26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하연희 ** 김상윤 ***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능력을 노래 따라 부르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 발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유아 명을 대상으로 차 예비 검사와 유아 명을 대 상으로 차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으로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을 분 석하고 진단하는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고 유아 명에게 본검사를 실 시하였다 적용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유아들이 재생하여 내는 음정과 리듬의 정확도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낮은 도에서 솔까 지 이후의 음을 재생하는데 평균 주파수와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남아보다 는 여아가 더 정확히 리듬을 재생해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음정감 리듬감 노래 따라 부르기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연구는 년 박사논문을 재구성한 것임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1호 , 147 - 172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하연희** ․ 김상윤***

요 약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능력을 노래 따라 부르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

발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유아 33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 검사와 유아 26명을 대

상으로 2차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Cubase 5.0 프로그램으로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을 분

석하고 진단하는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고, 유아 341명에게 본검사를 실

시하였다. 적용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유아들이 재생하여 내는 음정과 리듬의 정확도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낮은 도에서 솔까

지 이후의 음을 재생하는데 평균 주파수와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남아보다

는 여아가 더 정확히 리듬을 재생해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음정감(tune sense)리듬감(rhythm sense)노래 따라 부르기(singing along)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test tool of singing along)

※ 논문접수 : 2014. 10. 31 / 수정본 접수 : 2014. 12. 11 / 게재승인 : 2015. 03. 25* 본 연구는 2013년 박사논문을 재구성한 것임.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Ⅰ. 서 론

음악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고, 인간의 삶을 보다 풍

요롭고 아름답게 만드는데 기여해 왔으며, ‘비타민 M’으로 표현될 정도로 인간의 삶과 정

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Lehman, 2002). 또한, 음악은 인간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일종의 언어(Blaking, 1973; Bruno, 1956)이면서 심리적 감수성에도 영향을 주는 정서적 사

고(Husain 외, 2002)이기도 하다. 유아는 성장해감에 따라 생물학적, 유전학적 요인과 더불

어 환경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에 의해 음악을 지각하고 이해하며 음악에 반응하고 음악활동

에 참여함으로써 선호하는 음악도 갖게 된다(이선민, 2004).

유아들에게 적절한 음악적 체험을 다양하게 제공한다면, 그들은 소리의 셈여림, 음높이,

음길이 등을 정확하게 구별하고, 흐름결 및 가락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들려준 소리를 정확

하게 따라 낼 수 있게 된다(박성경, 1997). 즉, 이는 음악적 능력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

는 청감각과 반응력이 뚜렷이 발달한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유아기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까지는 소리의 높낮이, 장단, 화음, 음색 등 청각이 가장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적

절하고 다양한 음악적 활동이 제공될 때 음악능력을 크게 성장시킬 수 있다(안재신, 1996).

듣기 활동에 이어 자연스럽게 노래 부르기 활동이 나타나게 되는데, 노래 부르기는 목소

리를 사용하여 음악을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술이다. Sloboda(1993)는 4세 유아는

40%, 5세 유아의 경우 75%의 비율로 친숙한 음악의 재인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나

이가 되면 음색이나 가사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음정과 리듬만으로 선율들을 변별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보았다(김상윤, 2003, 재인용). Gardner(1983)는 유아기에 해당되는 2

세에서 7세까지 음악적 옹알이에서 상징사용으로 전이되며 음정이 불안하지만 간단한 노래

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선행 연구되어진 음악 능력 측정 검사들을 살펴보면 Seashore 등(1960)의 음악

재능척도, Bentley(1966)의 음악능력척도, Gaston(1958)의 음악태도검사, Hevner(1934)의 음

악감상력검사, Gordon(1979)의 PMMA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 검사들의 방법적인 면

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피검사자가 음악을 듣고 판단하는 재인검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유아들이 실제로 발성을 하거나 표현하는 음정이나 리듬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라기보다 듣는 음정이나 리듬 등을 변별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억력 검사에 재인(再認; recognition)검사와 재생(再生; recall)검사가 있듯이 음악능력

검사에서도 재생에 해당되는 발성이나 연주 등을 통한 진단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김애자

Page 3: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49

와 이규민(2005)의 연구에서 부르기 능력까지 포함한 유아음악능력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

등 직접 불러서 음정이나 리듬 등을 검사를 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현경실과 석문

주(1997)는 Gordon의 IMMA와 MAP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그 타당도를

연구하였고, 조효임 외(1996)역시 IMMA를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외국의 음악적

성검사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

는 음악적성검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도구들 역시 녹음된 음악 자극에 의한 듣고 기억하여 변별하는 집단

검사의 형태로 선다형 답안지를 사용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조효임(1995)은 이러

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개별 검사방법을 고안한 바 있으며, 웹상에

서 음악능력검사를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장기범 외, 2004)도 진행되어지는 등 더욱 편리한

기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는 Rutkowski(1986)의 노래 부르기 5단계에 따라 유아 노

래 부르기 능력 분석을 한 연구(이민정, 2010) 등 노래 부르기를 통한 재생능력에 대한 연

구들이 보고되고 있고, 음감치료영역(유현수, 2003; 이드보라, 2010; 이미옥, 2011), 유아교육

영역(임미영, 2011)에서 음정의 주파수를 진단하는 음정측정기를 활용한 검사 등이 음정의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유아의 음악발달을 이해하고 측

정하는데 있어 빠르게 발달하는 현대 사회의 편리한 시스템들을 유아의 음악 재생 능력 측

정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유아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

한 또 다른 연구들(Gordon, 1996; Rutkowski, 1986)에 의하면, 2세경이면 대부분의 유아는

노래 부를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다. 자기중심적이며 말놀이 식의 즉흥적인 노래를 부르며,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배울 때는 D(레)부터 A(라)사이의 음역이어야 편하게 부를 수 있다

고 한다.

선행 연구들(강신영, 2008; 류은미, 2011; 장은주, 2009)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음악창작하기, 음악 감상하기 등으로 다양

하게 분류하고 있다. 이민정(2002)은 유아의 노래 부르기 능력을 Rutkowski(1986)가 제시한

‘유아의 노래 부르기 단계’ 준거를 사용하여 전노래 부르기, 말하기 범위 노래 부르기, 제한

된 범위 노래 부르기, 초기단계 노래 부르기, 노래 부르기의 5 단계로 분석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효과적인 유아의 노래 부르기 지도를 위해서는 그들의 음정감이나 리듬감 등에

관한 음악적 능력의 발달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Rutkowski, 1986). 이에 본 연구

는 표현능력을 진단하는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을 분석하여 유아의 음정감 리듬감 발달을 이해하고 음악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

며, 또한 유아의 노래 표현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는데

Page 4: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다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내용 1.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개발한다.

2.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분석한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을

분석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1차 예비검사는 재인검사도구 대신에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타

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5월 30일 부산 M유치원에 재원중인 33명의 만 5세 유아

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도구의 적절한 음원을 찾고, Cubase 5.0 프로그램이 유아가 따라

부른 노래의 음정의 높이와 리듬의 길이를 측정하기에 적절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된

2차 예비검사는 2012년 9월 6일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는 A유치원 만 5세의 남아 17명,

여아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검사는 2012년 9월 10∼14일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는

A유치원에서 남여 유아 총 224명과 부산광역시의 J어린이집에서 10월 5∼11일까지 남여

유아 총 117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 도구

1) Cool Edit Pro 2.1

1차 예비검사에서 유아가 따라 부른 음정의 높이와 리듬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

한 Cool Edit Por 2.1 은 다중 트랙을 지원하는 디지털 오디오 레코딩, 편집, 믹싱프로그램

으로서 WAV 파일로 녹음은 물론이고 기존의 녹음된 3음 음계를 분석하여 주파수로 측정

이 가능하며,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Cubase Studio 5.0 프로그램

Cubase Studio 5.0은 독일의 스타인버그사가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

Page 5: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51

으로 MIDI 신호를 제어하는 음악 시퀀싱, 디지털 오디오 편집, 믹싱 등이 모두 가능한 프

로그램이다.

3) 음악능력검사

(1) 재인검사

재인검사를 위해 Gordon(1986)의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기

초로 하여 김상윤(2003)이 유아들을 위해 제작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는 24쌍의 짧은 음

악적 소절들로 구성되어졌다. 각 문항과 검사 방법에 대한 설명과 악보가 mp3 파일로 저

장되어 있어 검사 실시를 위해 노트북으로 내용을 틀어주도록 되어 있다. 음정감 12문항,

리듬감 12 문항에서 각 두 개의 짧은 패턴을 들어보고 음패턴이 같으면 O, 다르면 X로 표

하고,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처리 하였다.

예비연구에서 사용한 김상윤(2003)이 유아들을 위해 제작한 검사 도구 문항의 내적 일관

성의 지표가 되는 신뢰도 Cronbach 는 각각 .691과 .760이다(김상윤, 2003).

(2) 재생검사

1차 예비검사에서는 재생검사를 위해 성악전공자에 의해 녹음되어진 다 장조 음계를 계

명으로 2∼3번 듣고, 그대로 따라 부르는 것을 스마트폰으로 녹음하였다.

2차 예비검사에서는 1차 예비검사의 결과에 의하여 성악전공자에 의해 녹음되어진 음원

을 Cubase 5.0 프로그램으로 음정과 리듬을 정확한 주파수와 박자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문헌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재생검사 도구로서의 음원은 다음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먼저 실시해 본 다음 그 신뢰도를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검사방법을

채택하기로 하였다. 이에 총 7가지 음원을 듣고 따라 부르는 것을 스마트폰으로 녹음하였다.

①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으로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②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 대신 ‘라’로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③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 대신 ‘바’로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④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으로 ‘높은 도에서 낮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⑤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 대신 ‘라’로 ‘높은 도에서 낮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⑥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 대신 ‘바’로 ‘높은 도에서 낮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

⑦ ‘눈은 어디 있나? 여~기’라는 동요를 따라 부르기

Page 6: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검사개발 계획수립 ← 검사의 목적 및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문헌검토 및 기존도구 분석 ←유아의 발달 관련 연구들과 발달의 측정과 관

련된 검사들을 검토하였다.

1차 시안제작

검사자 훈련←

유아의 음악적성검사 관련연구들과 음악적성

중 재생에 대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1차 시안

을 개발하였다.

1차 예비검사 개발된 1차 시안을 작곡전문가 1인과 지도교

수에게 의뢰하여 유아음악재생검사의 내용구

성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전문가 검토

결과 수정된 1차 시안을 유아 34명에게 실시

하여 검사의 실시 적합성과 적절성에 대해 알

아보았다.

작곡전문가 1인과

지도교수에게

적절성 검토

=

수정된 1차 시안을

유아 34명에게

실시

2차 시안제작 ←1차 예비검사 실시 후 분석도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정하여 2차 시안을 개발하였다.

2차 예비검사 ←개발된 2차 시안을 작곡전문가 1인과 지도교

수에게 의뢰하여 유아음악재생검사의 문항의작곡전문가 1인과

지도교수에게=수정된 2차 시안을

유아 26명에게←

[그림 1] ‘눈은 어디 있나? 여~기’라는 동요를 따라 부르기에 사용된 악보

4) 녹음 및 녹화

검사자는 검사 대상자인 유아에게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담긴 파일을 들려 준 다음 그

노래를 그대로 따라 부르도록 하였다. 이 때 검사자는 유아가 따라 부르는 노래를 자신의

휴대폰에 저장하도록 하였다.

3. 연구절차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절차를 간단히 도표화 하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Page 7: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53

적절성 검토 실시

내용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2차 시안을 유

아 26명에게 실시하고 한 달 뒤 재검사를 실

시하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알아

보았다.

최종안 확정 ←

2차 예비검사 실시 후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

도를 분석하여 문항을 수정하여 유아음악재생

검사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본검사(341명) ←개발된 유아음악재생검사 최종안을 유아 341

명을 대상으로 시시하였다.

논문 작성 ←

본검사 결과 유아음악재생검사의 신뢰도와 타

당도를 토대로 유아들에게 나타난 음악재생

정도를 분석하고 결과정리를 작성하였다.

[그림 2]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절차

1)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계획 수립

유아의 음악 적성검사의 재생능력인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

아음악발달에 관한 연구들과, 선행 연구되어진 국내외 음악적성검사도구들을 참고로 개발

방향 및 목적을 명세화 하였다.

2)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관련 문헌 및 검사도구 분석

유아음악능력 발달 및 음악적성검사 관련 연구들과 이미 개발되어진 노래 따라 부르기에

관련된 검사 연구들의 측정 영역, 측정 방법, 장점과 한계점 등을 분석하였다.

3)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1차 시안의 제작

석사 성악전공자의 다장조 계명창 음원을 스마트폰에 녹음한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1차

시안을 제작하였다.

4) 검사자 훈련

검사의 실시에 앞서 검사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1, 2차 예비 검사는 연구자와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박사과정 학생 1명이 하였고, 10월 본 검사에서는 검사 기관의 각 담임 교

사를 포함하였다. 검사자 훈련은 유아 음악적성검사의 이론 개관과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를 실시할 때의 유의사항 및 재인 검사 방법 등에 관한 내용으로 2012년 8월 25일, 8

Page 8: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월 29일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는 A유치원의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1) 전문 검사자 훈련

예비검사를 위한 전문 검사자 훈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전문 검사자 훈련

차시 내용 진행자 대상 장소

11차예비연구 전 연구도구

소개 및 연구방법연구자

연구자,보조검사자

(유아교육학

박사과정)

부산광역시 소재

지도교수님 연구실

2

2차예비연구 전 새로운

연구도구 소개 및 연구방

작곡전문가

연구자,보조검사자

(유아교육학

박사과정)

부산광역시 소재

(작곡전문가

작업실)

(2) 담임교사 검사자 훈련

본 검사를 위한 담임교사 검사자 훈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담임교사 검사자 훈련

차시 내용 진행자 대상 장소

1연구 목적 및 검사절차 소개

지도교수 및연구자

1차 예비연구 집단의 교사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유치원 교실(1차 예비

연구집단 유치원)

2연구 목적 및 개괄적인 검사절차 소개

지도교수 및연구자

2차 예비 및 본연구 집단의

교사

경상남도 소재 사립유치원 교실(2차 예비 및 본 연구집단 유치원)

3검사실시방법과 실시 일자 안내

연구자2차 예비연구 집단의 교사

2차예비·,본연구집단 유치원

4검사실시방법과 절차 안내

연구자본연구 집단의

교사2차 예비,·

본연구집단 유치원

5) 1차 예비검사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33명의 7세

유아를 대상으로 1차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재인검사는 Gordon(1986)의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기초로

하여 김상윤(2003)이 유아들을 위해 제작한 검사를 노트북을 통해 음정감 12문항, 리듬감

Page 9: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55

12문항에서 각 두 개의 짧은 패턴을 들어보고, 제시된 검사지에 음패턴이 같으면 O, 다르

면 X를 그리기로 하였다. 재인검사는 3∼4명의 유아에게 함께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다. 재생검사는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1차 시안을 스마트폰을 통해 들려준 뒤, 유아가 따

라 부르는 것을 다시 스마트폰에 녹음한 다음 Cool Edit Pro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6) 2차 시안의 제작

1차 예비검사 실시 후, Cool Edit Pro 2.1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도중, 한 계명에

도 음정이 계속 변하는 현상이 발견되어 이 중에 세 군데를 표집하여 그 평균을 내도록 하

였으나, 이 역시 표집하는 방식이 임의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곡전공자를 찾아 논의하던 중 최근에 오디오 전문가들이 널

리 사용하고 있는 Cubase 5.0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권유 받았다. 또한 작곡전공자의

녹음실에서 성악전공자에 의한 다장조 음원 녹음을 다시 실시하였다. 녹음한 음원을

Cubase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토 수정하여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2차 시안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1차 녹음한 다장조 음원을 체크하던 중,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따라 부르는 상행 외에 높은 도에서 낮은 도까지 따라 부르는 하행과 Gordon(1986)의 연구

에서와 같이 ‘바’, ‘라’로 따라 부르는 것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동요 1곡을 추가하기

로 하고, 낮은 도에서 높은 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이 고루 들어 있는 곡 중 유아들이

쉽게 접하는 곡인 ‘눈은 어디 있나? 여∼기’를 선정하여 녹음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같은 리듬으로 다장조 음계 계명으로 따라 부르기’ 대신 리듬의 변화가 포함된

계명으로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차례로 부르기와 계명 대신 ‘라’, ‘바’ 등으로 부르기와

동요 중에서 계명이 고르게 포함된 것을 골라 그 동요를 듣고 따라 부르기 등을 사용하기

로 하였고,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2차 시안을 제작하였다.

7) 2차 예비검사 실시

2012년 9월 6일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한 A유치원 7세 남, 여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재

인, 재생 검사를 실시하였다. 재인검사는 예비검사 때와 같은 검사도구(김상윤, 2003)를 사

용하였다. 이 재인 검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여러 명의 유아를 대상으로도 검사 실시가

가능하다. 본 1차 검사에서는 한번에 3명씩의 유아를 각 각 분리하여 앉힌 다음 실시방법

을 설명하고 노트북에 저장된 파일을 틀어 나누어준 검사지에 O, X 를 표하도록 하였다.

재생검사는 리듬과 음정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음악전공자가 녹음실에서 녹음

하고, 이를 Cubase 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문 작곡가가 주파수와 음길이를 수정하였다.

Page 10: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재생검사는 위의 방법으로 녹음된 7항목을 노트북으로 들려주고 스마트폰으로 녹음하였다.

8)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최종안 확정

유아에 대한 2차례의 예비 검사 실시 결과와 아동발달에 저명한 유아교육 전문가, 성악

전공자 등에 함께 분석하여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도구를 최종안을 다장조 상행 계명 부

르기로 확정하였다.

9) 본 검사 실시

본 검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 A유치원과 부산광역시의 J어린이집 341명으로 남여

및 개월 집단별로 구분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본 연구 대상의 개월 및 남여 집단별 인원 수

5세(46-62개월) 6세(63-71개월) 7세(72-81개월) 전체

남아 53 58 62 173

여아 57 62 49 168

전체 110 120 111 341

경상남도 김해시 A유치원은 9월 10∼14일까지 검사를 실시하여 총 224명 의 유아에게

검사를 실시하였고, 부산광역시의 J어린이집은 10월 5∼11일까지 총 117명의 유아에게 검

사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는 각 담임교사가 유아 노래 부르기 검사 도구의 최종안인 ‘계명으로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따라 부르기’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유아의 음원을 본 검사자에게

전송하면 본 검사자가 Cubase 5.0 프로그램으로 유아의 음정 및 리듬감을 분석하였다.

10) 자료 분석 및 처리

(1) 1차 예비검사

1차 예비검사 실시 자료의 녹음된 파일을 Cool Edit Pro 2.1에 입력하여 음고를 지정한다.

Page 11: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57

[그림 3] Cool Edit Por 2.1에 입력된 녹음 파일에서 음고 지정

(2) 2차 예비검사 분석

2차 예비 검사 실시 자료를 Cubase 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Window용 SPSS 1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Ⅳ. 결 과

1.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의 개발

유아에 대한 2차례의 예비 검사 실시 결과와 아동발달에 저명한 유아교육 전문가, 성악

전공자 등이 함께 분석하여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의 최종안을 음정이

Cronbach α 0.835 리듬이 0.742인 신뢰도를 나나내는 다장조 상행 계명 부르기로 확정하

였다.

[그림 4] 다장조 상행 계명 부르기에 사용된 악보

1) 검사도구의 구성

(1) 목적 - 유아음악발달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통해 쉽고, 간단하며, 보다 정

확한 유아의 음악재생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2) 내용 -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음원 파일, 검사도구의 활용방법 및 지침서

Page 12: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 검사도구의 활용방법 및 지침

(1) 유의사항

녹음하여 검사하는 도구임으로 유아들이 녹음하는 상황에 익숙지 않거나 내성적인 경우,

재생능력을 측정하는데 무리가 있으므로 최대한 자연스러운 검사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

다. 또한 검사자는 유아들이 바른 자세와 용기를 가지고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격려

를 할 필요가 있다.

① 다장조 계명 상행 따라 부르기 음원을 들려준다. 이 때 1회 또는 2회만 반복 가능

(노트북, MP3, 스마트폰, 오디오 등 어느 기기를 사용하든 무방).

② 유아가 따라 부를 때 스마트폰 등 녹음기기를 사용하여 녹음한 후, 유아의 이름을

노래가 끝난 뒤 함께 녹음하여 저장한다.

③ 녹음한 파일을 MP3 파일로 변환한다.

④ 변환한 파일을 Cubase 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다.

(2) Cubase 5.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음정과 리듬을 측정하는 방법

①음원을 mp3파일로 변환

②음정 분석

음원파일의 음정을 분석하기 위해 Cubase Studio 5프로그램 내에 있는 Melodyne을

통해 주파수(Hz)를 분석한다. 그림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파일메뉴를 불러와서 왼쪽

의 'Inserts'를 선택하여 i1을 클릭하여 새 창이 뜨면 Celemony-Melodyne을 클릭한다.

[그림 5] Cubase Studio 5.0프로그램 내에 파일메뉴와 새로 생성된 창

Page 13: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59

[그림 6] Celemony-Melodyne 프로그램의 창 [그림 7] Melodyne화면

Celemony-Melodyne 프로그램의 창에서 가운데 보이는 Transfer를 누르고 위의 재생키

(>)를 눌러 그 전에 불러온 음원파일을 재생한다. 이때 노래를 들을 수 있다. 노래가 끝날

때 정지키(□)를 누르면 음정의 그래프가 자동적으로 화면에 다음 그림 7의 사진과 같이

나타난다.

위 그림 7 의 Melodyne화면 왼쪽에는 음의 명칭이 나타나 있고 오른쪽에는 유아가 부른

음원의 스케일이 각 음의 높이에 따라 나타나 있다. 각 음에 해당되는 그래프를 클릭하면

그 부분이 빨간색으로 변하며 위에 가장 가까운 음계의 명칭과 cent의 증감이 표기된다. 다

음의 표 4에는 한 유아가 낸 음정의 높이가 나타나 있다.

<표 4> 보기 음정의 계명과 유아가 낸 음정의 높이 예

도 C5 B4 -1ct

시 B4 G#4 62ct

라 A4 G4 7ct

솔 G4 F#4 35ct

파 F4 E4 24ct

미 E4 D#4 41ct

레 D4 D4 -7ct

도 C4 B3 -19ct

이렇게 유아가 발성한 ‘도’의 음정이 B3 -19ct로 표시되었는데 이를 주파수(Hz)로 변환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a. B3을 주파수로 바꾸는 방법

여기서 영어로 B란 계명은 이탈리아어 ‘시’라는 계명에 해당된다. 각 계명들은 옥타브에

따라 여러 개가 존재하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뒤에 번호를 붙여 구분한다. 보통 우리가

Page 14: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쉽게 부르는 노래에 등장하는 ‘시4’(이탈리아어)는 B4(영어)에 해당된다. 그런데 이탈리아

음계 상 각 옥타브마다 ‘시’가 끝이므로 B4 다음에는 C4가 아니고 C5가 된다.

[그림 8] 표준음 A4에 해당되는 주파수(440Hz)를 중심으로 여러 옥타브에 걸쳐

A0에서 A7의 건반 위의 위치를 보여주는 그림

b. -19ct를 주파수로 바꾸는 방법

여기서 B3 -19ct이란 B3에서 19ct가 낮다는 의미인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ct 즉, 센트

(cent)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현대 음악에서는 피타고라스 등의 음율 이론에 근거하여 근

사치 음정을 실용적으로 고르게 나눈 평균율을 사용하고 있는데 평균율에서 높은 ‘도’ 주파

수는 낮은 ‘도’ 주파수의 2배가 된다. 그리고 한 옥타브는 ‘도-도#-레-레#-미-파-파#-솔-솔

#-라-라#-시-도’의 12개의 반음이 차례로 증가하고 있다. 12번의 비율증가가 누적되어서 2

배가 되므로 반음의 증가 비율치는 2의 12제곱근이 되어야 한다. 예로 들어 표준음 A4보다

반음 높은 음은 A#4의 주파수는 440× 즉, 440× 1.0594631=466.1638...이다. 이를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 위의 표에 나타난 수치 466.2에 해당된다.

1cent란 이 반음을 다시 백 등분 한 것이다. cent란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 반음들

마다 주파수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되는 반음의 단위를 백으로 나누어 상

대적 위치를 알기 쉽게 한 것이다. 가령 어떤 유아가 B3의 음을 듣고 B3를 재생하지 못하

고 반음을 낮게 소리 내었다면 B3 -100ct 즉, A#3가 된다. 그런데 이 유아가 다음에 부를

때는 더 정확하게 음정을 재생하여 반음의 절반 정도만 낮게 소리 내었다면 반음의 절반은

50cent 이므로 이 유아가 낸 음정은 B3 -50ct가 된다. 이러한 단위는 길이의 단위 1m를

100cm로 구분하듯이 조율사나 오디오 편집자들과 같이 음의 피치 즉, 음정을 정밀하게 다

루는 전문가들이 정확한 음정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c. 가성(假聲) 처리

가끔 Cubase Studio 5.0 프로그램에서 유아의 가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가 낸 기본 옥타브에서 벗어난 음을 기본 옥타브의 음으로 변환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유아가 낮게 낸 가성 B3(246.9)-19ct의 음은 이를 변환한 주파수

244.3(Hz)에 B3의 주파수246.9(Hz)에 대한 B4의 주파수(493.9(Hz)의 비율 즉, 493.9/246.9를

Page 15: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61

곱해준다.

③ 리듬분석

음원파일의 음정을 분석하기 위해 Cubase Studio 5.0 프로그램을 통해 음의 시작점과

마치는 점을 측정하여 해당 음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림 9] Cubase Studio 5.0 파일메뉴에 불러온 유아의 음원 파일의 그래프 생성

위 그림 8의 화면에 나타난 음원 표기 부분을 확대하면 다음의 그림9과 같다.

[그림 10] Cubase Studio 5.0 파일메뉴에 불러온 유아의 음원파일 그래프

그래프 위에는 초 단위의 숫자가 보인다. 이 그래프에 해당되는 계명과 그 시작 시각의

초 단위가 다음의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 음원 그래프에 표기된 계명이 시작된 지점의 시각들

계명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시작점(초) 0.5 1.0 1.5 2.1 2.6 3.8 4.4 5.0

자료 분석은 유아에게 전공자가 녹음한 다장조 음계인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를

먼저 들려준 다음 유아가 듣고 그대로 따라 부르게 하여 계명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를 녹음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음정측정기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각의 음의 시작점을

Page 16: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3) 신뢰도

2차 예비검사 결과 계명 상행으로 부르기의 신뢰도는 음정이 Cronbach α 0.835 리듬이

0.742 였다. 각 노래별로 구한 음정감과 리듬감의 신뢰도를 구한 것이 다음의 표 3에 나타

나있다.

<표 6> 낮은 ‘도’에서 높은 ‘도’에 이르기까지 상행으로 ‘계명’, ‘라’, ‘바’로 부르기에 나타난

음정감과 리듬감의 신뢰도

 Cronbach 문항수음을 재생한 유아의 수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음정

계명 0.835 8 26 26 26 26 26 26 26 25

라 0.704 8 26 26 26 26 26 26 22 16

바 0.657 8 26 25 26 26 26 25 24 21

리듬

계명 0.742 8 26 26 26 26 26 26 26 25

라 0.192 8 26 26 26 26 26 26 22 16

바 0.524 8 26 25 26 26 26 25 24 21

위의 표 6에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에 이르기까지 상행으로 ‘계명’으로 부른 경우와 계

명 대신 ‘라’로 부른 경우 및 ‘바’로 부른 경우의 음정 주파수를 각각 구하여 이들의

Cronbach 신뢰도를 구한 것이 나타 있다. 이 표에서 ‘라’로 끝까지 부른 유아는 16명이었

으며 ‘바’로 끝까지 부른 유아는 21명이었다. 따라서 음정과 리듬 모두에서 신뢰도가 계명

으로 부르는 경우보다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라’나 ‘바’로 따라 부를 경우

그 숫자를 잘 기억하지 못해 끝까지 부르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으로 음을 재생하는

유아의 수가 마지막 계명에 이를수록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표 7> 높은 ‘도’에서 낮은 ‘도’에 이르기까지 하행으로 ‘계명’, ‘라’, ‘바’로 부르기에 나타난

음정감과 리듬감의 신뢰도

 Cronbah 문항

음을 재생한 유아의 수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음정

계명 0.955 8 26 26 26 26 26 26 24 25

라 0.922 8 25 25 25 25 24 24 22 18

바 0.918 8 25 25 25 25 25 24 23 18

리듬

계명 0.736 8 26 26 26 26 26 26 24 25

라 0.645 8 25 25 25 25 24 24 22 18

바 0.645 8 25 25 25 25 25 24 23 18

Page 17: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63

위의 표 7에는 높은 ‘도’에서 낮은 ‘도’에 이르기까지 상행으로 ‘계명’으로 부른 경우와 계

명 대신 ‘라’로 부른 경우 및 ‘바’로 부른 경우의 음정 주파수를 각각 구하여 이들의

Cronbach 신뢰도를 구한 것이 나타 있다. 이 표에서 ‘라’로 끝까지 부른 유아는 18명이었

으며 ‘바’로 끝까지 부른 유아도 18명이었다. 여기서도 음정과 리듬 모두에서 신뢰도가 ‘계

명’으로 부른 경우보다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하행으로 따라 부르게 한 경우도 유아

들은 ‘라’나 ‘바’로 따라 부를 경우 그 숫자를 잘 기억하지 못해 끝까지 부르지 못하는 경우

가 생기기 때문으로 음을 재생하는 유아의 수가 마지막 계명에 이를수록 점점 줄어드는 것

으로 보인다.

그 밖에 인위적인 ‘계명’으로 부른 경우보다 자연스러운 동요를 부르게 하는 것이 음정

과 리듬을 진단하는데 더 신뢰로운 지를 검정하기 위해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모든

음정을 다 포함하고 있는 동요 ‘눈은 어디 있나 여~기’를 따라 부르게 하여 노래의 모든 가

사의 음정과 리듬을 기초로 구한 신뢰도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동요 ‘눈은 어디 있나’를 따라 부르기에서 나타난 신뢰도 Cronbach

눈(코, 귀) 은(는) 어 디 있 나 여 기

음정 .788 .890 .921 .912 .844 .762 .925 .872

리듬 .307 .311 .574 -.054 .378 .482 .504 .552

위의 표 8에서 음정은 그 신뢰도의 범위가 .762에서 .925로 높은 반면 리듬은 -.054에서

.574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고 음정감에 비해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상태에 따라 검사결과가 다르게 나올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9월 6일에서 사

전검사를 실시한 다음 10월 12일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양 득점간의 상관계수로 구한 검사

재검사 신뢰도 rtt는 음정이 .540 리듬이 .360으로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가리키는 Cronbach

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재인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알아본 양 득점간의

상관계수는 음정이 .006 리듬이-.130으로 양 검사 간에 서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계명으로 따라 부르기를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로 하

는 것이 가장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본 연구의 검사 도구로 하였다.

Page 18: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분석한 유아의 음정과 리듬 분석

1) 노래 따라 부르기에 나타난 음정

(1) 계명에 따른 음정의 진단

<표 9> 전체집단(N=341)의 계명별 평균주파수(Hz)

N M(SD) 표준(Hz)

도 341 255(35) 262

레 341 277(26) 294

미 341 295(49) 330

파 341 317(51) 349

솔 341 334(57) 392

라 341 341(68) 440

시 341 360(86) 494

높은 도 341 375(94) 523

[그림 10] 전체집단(N=341)의 계명별 평균주파수(Hz)

위의 표 9와 그림 10에는 전체 집단 유아 341명의 각 계명 별 평균 주파수가 나타나 있다.

낮은 ‘도’는 표준 주파수에 거의 일치하지만 계명이 올라갈수록 격차가 벌어져 ‘미’를 재생한

소리의 주파수는 표준 주파수 ‘레’와 비슷하고 ‘파’는 평균 주파수가 ‘미’에도 미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파’에서 ‘라’까지는 그 증가폭이 미미하여 표준음 ‘도’에서 ‘레’까지의 증가폭과 비슷

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높은 ‘도’의 주파수는 표준 음 ‘솔’의 주파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2) 성별에 따른 음정의 진단

<표 10> 성별 계명에 따른 평균주파수(Hz)의 차이검증

남아(N

=173)

여아(N

=168) t df p

M(SD) M(SD)

도 251(38) 259(32) -2.199 332 0.029

레 275(46) 279(39) -0.897 333 0.371

미 293(50) 297(48) -0.639 339 0.523

파 313(56) 321(45) -1.515 327 0.131

솔 332(59) 337(56) -0.836 339 0.404

라 336(66) 346(70) -1.247 337 0.213

시 357(86) 363(86) -0.652 339 0.515

높은도 369(96) 382(93) -1.286 339 0.199

[그림 11} 성별 계명에 따른 평균주파수(Hz)

Page 19: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65

남아(N=173) 여아(N=168)t df p

M(SD) M(SD)

도-레 0.76(0.85) 0.62(0.82) 1.478 339 0.140

레-미 0.50(0.69) 0.48(1.14) 0.210 274 0.834

미-파 0.99(1.37) 1.23(1.86) -1.403 307 0.162

파-솔 0.43(0.71) 0.36(1.14) 0.707 279 0.480

솔-라 0.10(0.64) 0.18(0.85) -1.017 309 0.310

라-시 0.39(0.83) 0.33(0.82) 0.653 339 0.514

시-도 0.40(2.01) 0.63(1.91) -1.105 339 0.270

위의 표 10과 그림 11에는 남아와 여아의 음정의 주파수를 비교하였다. ‘도’의 음정의 주

파수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통계적으로 5%수준의 유의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7개

의 음계 모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노래 따라 부르기에 나타난 리듬

<표 11> 남아 및 여아 집단별 계명간 증가주파수(Hz)의 비율의 차이검정

[그림 12] 남아 및 여아 집단별 리듬(초)의 비율

위의 표 11과 그림 12에는 남아와 여아 집단별로 재생한 주파수의 증가치를 비교한 것이

나타나 있다. 통계적으로 남아와 여아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이는 유아가 재

생한 리듬을 수치로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 집단 유아 341명의 각 계명 별 평균 음정 주파수가 낮은 ‘도’는 표준 주파

수에 거의 일치하지만 계명이 올라갈수록 격차가 벌어져 ‘미’를 재생한 소리의 주파수는 표

준 주파수 ‘레’와 비슷하고 ‘파’는 평균 주파수가 ‘미’에도 미치지 못함을 볼 수 있었다.

둘째로, 성별간 음정의 주파수가 ‘도’의 음정의 주파수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통계적으로

Page 20: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5%수준의 유의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연령별 음정의 주파수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치되

는 주파수를 보여 주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도’의 음정의 주파수는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로, 7세의 성별간 음정의 주파수 검증에서 낮은 ‘도’, ‘레’, ‘미’ 그리고 ‘솔’에는 5% 수

준에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주파수의 음정을 재생하였다.

다섯째, 음의 길이 즉, 리듬에서 통계적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은 ‘레’

와 ’라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정확한 길이로 재생하여 표준음의 길이에 근접했으며, 비교적

여아가 남아보다 정확한 음의 길이를 재생하였다.

여섯째로, 표준음의 길이에 대한 각 음계를 재생했을 때의 연령별 음의 길이비율이 통계

적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은 낮은 ‘도’와 높은 ‘도’로 가장 어린 집단인 5

세 연령집단이 6, 7세 연령집단에 비해 더 정확한 길이로 음을 재생하였다.

일곱째로, 표준음의 길이에 대한 각 음계를 재생했을 때의 연령별 음의 길이비율이 통계

적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은 낮은 ‘시’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정확한

길이로 음을 재생하였다.

여덟째로, 표준음의 길이에 대한 각 음계를 재생했을 때 7세의 성별간 음의 길이비율이

통계적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은 낮은 ‘레’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정

확한 길이로 음을 재생하였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능력을 노래 따라 부르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

발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이론적 배경을 연구

하고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의 음원을 확정한 후, 이를 듣고 따라 부른 유아의

음원을 Cubase 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Window용 SPS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유아들이 재생하여 내는 음정과 리듬의 정확도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에 다음과 같이 논의해 보

았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의 노래 따라 부르기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앞서 살

펴본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선행연구(Bentley, 1966;Gaston, 1958;Gordon, 1996; Rutkowski,

Page 21: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67

1986;이민정, 2010)들에 의하면 유아의 음악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들이 수용하는 영역인 재인

검사에 치중되어 있고, 표현영역인 재생검사를 할 수 있는 도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가 유아들의 노래 따라 부르기 능력을 측정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의 시

발점이 되는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비록 현대 사회는 스마트기기 하나만으로도

모든 것을 처리하는 시대가 되었으며 이에 스마트 기기 중독을 우려하는 연구(김종민, 문정

주, 권미량, 2014)들이 보고되어지고 있지만,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쓰여지고 있는 스마트 기

기의 장점을 활용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간단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도 그

의의를 둘 수 있겠다.

둘째, 본 검사도구를 적용한 결과 유아들이 재생하여 내는 음정과 리듬의 정확도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낮은 도에서 솔

까지 이후의 음을 재생하는데 평균 주파수와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남아보

다는 여아가 더 정확히 리듬을 재생해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세경이면 대부분의

유아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고,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배울 때는 D(레)부터

A(라)사이의 음역이어야 편하게 부를 수 있다는 유아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연구들

(Gordon, 1996; Rutkowski,1986)에서와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의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에 의한 분석 결과는 객관적인 수치로 정확하게 유아가 재

생하여 내는 음정과 리듬을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7살에서 11살까지의 아동의 음악발달에 관한 Taylor(1973)의 연구에서는 연령이 더

어린 아동에게 있어 리듬반응이 향상되어진다고 보고했으며, Gordon(1990)도 리듬발달이

음정발달보다 빠르다고 연구되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도 유아가 재생한 리듬의 정확도가 가

장 어린 연령집단인 5세에서 나타남을 진단할 수 있었다. 현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슈타이너 교육, 달크로즈, 코다이, 오로프, 고든 등의 음악교수법들이 리듬활동의

교육적인 적용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리듬활동에 대한 연구(김세곤, 남경민, 2014)들 또

한 지속되어지고 있듯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있어 음정과 리듬을 측정하여 정확하게 진단하

는 것은 음악교육을 위한 유아교육에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Gordon(1988)에 의하면 태어난 직후의 음악적성이 가장 높고 음악적 자질에 제일 중요

한 시기는 태어나서 18개월까지이고 두 번째로 중요한 시기는 3~5세까지라 하였으며,

Gardner(1983)의 연구에서 9세라는 연령을 중시하여 그 이전의 음악적성을 ‘개발되는

(Developmental)’ 음악적성이라 하여 그 성취도의 효율성이 9세 이전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음악발달에서 중요한 시기인 5세∼7세(만3세∼만5세)까지를 대상으로

유아가 재생하는 음정과 리듬을 정확히 측정하는 도구개발과 이를 적용한 본 연구는 앞으

Page 22: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로의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에 대한 연구나 음악의 재생능력 등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도구에 의한 검사 결과들은 교사들이 유아들의 음악능력발달을 이해하

고 유아음악교육 계획을 수립하며, 유아음악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

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재생을 통한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을 측정하여 분석해 보았다. 검사 결과 5세∼7세 유아들의 음정감과 리듬감은 연령이나 성

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선행 연구들에서 유아음악발달이 9세까지 이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대상이 5세까지였으므로 9세 아동의 음정과 리듬의 발달과 비교할 수

없었으므로, 후속 연구는 대상의 연령과 대상수를 늘려 9세 이상의 아동에게 적용하여 결

과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민정(2010)의 연구에서와 같이 전문가의 주관적인 분석방법과 교사가 판단하는

평가와 본 검사도구로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도 이루어진다면 본 검사 도구의

적절성과 효과를 더욱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으로 표현영역인 재생분야의 연

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반면, 본 연구를 통해 최종 개발되어진 낮은 도에

서 높은 도의 상행 노래를 따라 부르는 도구는 유아들의 음악발달을 고려하여 간단하고 쉬

운 가사를 계명으로 선택하여 음정, 리듬을 따라 부르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음악교육학적

으로 노래 따라 부르기를 하나의 악곡이 시작에서 마무리되어 불리어지는 과정이라고 보는

관점에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선율패턴과 리듬패턴이 간단하다는 제안점이 있다. 그

러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과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도구가 더욱 표준화되고 일반화

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Page 23: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69

참고문헌

강신영(2008). 음악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 감상과 표현활동의 적용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상윤(2003). 초등학생들의 음정감 및 리듬감의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연구, 12, 1-12.

김세곤, 남경민(2014). 사쿠란보 리듬활동에 함의된 생태유아교육학적인 의미. 생태유아교육

연구, 13(3), 81-99.

김애자, 이규민(2005). Gardner와 Feldman에 기초한 유아 음악능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이

화여자대학교 인간발달. 36(1), 17-31.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2014).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생태유아교

육연구, 13(1), 199-219.

류은미(2011).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덕성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경(1997).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의한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재신(1996). 유아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유현수(2003). 건청 아동과 인공 와우 수술을 한 아동의 Pitch 산출 비교. 한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이드보라(2010).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아동과 보청기 사용 청각장애아동의 음정지각과 리

듬지각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미옥(2011). 코다인 접근의 음악치료가 건청 아동과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고재생에 미

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민정(2002). 유아 노래부르기 지도법. 경남: 경남대학교출판부.

______(2010). 유아 노래부르기 능력분석. 유아교육연구, 30(6), 331-343.

이선민(2004). 노래부르기와 감상 시 아동이 선호하는 템포와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

치료학회지, 6(1), 66-84.

이은수(2004).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유아교육학회지, 1(1),

105-128.

임미영(2011). 다장조 음계를 계명으로 듣고 따라 부르기에 나타난 유아의 음정감 발달. 고

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기범, 김갑수, 조성기(2004) 아동들을 위한 음악 적성검사 도구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집

Page 24: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8(3), 405-414 .

정대현, 김종완, 이충근, 한광희(2007). 음악의 템포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GSR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pp. 45-47. 5월 18-19일, 부산:

동서대학교.

조효임, 최은식, 정진원(1996). 한국초등학생의 음악적성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15,

437-471.

현경실(2004). 한국 음악적성 검사. 서울: 학지사.

현경실, 석문주(1997).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3학년 학생을 위한 음악적성 검사 개발. 음악

교육연구, 16, 119-141.

Bentley, A.(1966). Musical ability in children and its measurement. New York : OctoberHouse.

Blacking, J.(1973). How musical is man? Seattle and Londeon: Washington University

press.

Bruno, N.(1956). Music in primitive cultur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Gardner, H.(1975). The shattered mind. New York: Vintage

___________(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Gaston, E. T.(1957). A test of musicality: manual of directions. Lawrence: Odell’'s

Instrumental Service.

Gordon, E. E.(1979). Developmental music aptitude by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Psychology of Music, 7, 42-49.

_______________(1982). Intermediate measures of music audiation. Chicago: G.I.A.

Publications.

_______________(1988/1965). The musical aptitude profile. Chicago: The Riverside

Publications.

_______________(1990/2003).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G. I. A.

_______________(1993). Learning Sequence in Music Chicago: G. I. A.

Greenberg, M.(1982).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 J.:Prentice-Hall.

______________(1997). 유아음악교육. (이기숙, 김영주 편역). 서울: 교문사. (원저 1995년 발간).

Hevner, K.(1934). Appreciation of Musics and Tests for the Appreciation of Music.

Page 25: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171

University Oregon Publ, 4(6), 83-151.

Lehman, P. R.(2002). A personal perspective. Music Educators Journal, 88(5), 47-51.

Rutkowshi, J.(1986). The effect of restricted song range on kindergarten children's use

of singing voice and developmental music aprir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eashore, C. E., Lewis, D., & Saetveit, J. G.(1960). Manual of instruction and

interpretations for the seashore measures of musical talents. Camden. N. J.: RCA.

Sloboda, J. A.(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music performance. Trends in Cognitive

Science, 4(10), 397-403.

Taylor, S.(1973) Mu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seven to eleven. Psychology of

Music, 1(1), 44-49.

Page 26: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 +장은주 ) 에서는 음악 기술을 소리 탐색 및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Abstrac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ing along testing tool

Yeon Hee Ha ․ Sang Yoon Kim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velop a screening tool that can measure toddlers’

ability to sing, sing-along songs.

In an early childhood setting, 33 people conducted a pre-inspection to target primary toddlers as

well as a second preliminary examination wherein 26 people sang from Cubase 5.0. In an early

childhood program, the program’s tools were used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songs’ pitch on

the basis of the songs’ rhythm. For this purpose, 341 young children's songs were analysed using

the Cubase 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new testing instrument―“singing along”―that can measure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by recall was developed.

Second, the children’s sense of tune and rhythms was analyzed using the singing along testing

tool,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with

regard to gender and age; however, an aged-based difference was found with regard to the “do”

tune, and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6-year-olds and 7-year-olds with regard to the “do”,

“re”, “mi”, and “sol” tunes. Further, with regard to rhythms, 5-year-olds played the tunes more

accurately than the 6- and 7-year-olds, and the 5-year-old females played more accuratel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