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제10권 제1호 ISSN 22883606 Vol. 10, No. 1, May, 31, 201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제10권 제1호 ISSN 2288-3606

Vol. 10, No. 1, May, 31, 2018

Page 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 제1호 2018. 05. 31

차 례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1

김영아, 양영애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9

장경배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21

정승민, 상미숙, 박동자, 양영애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31

조미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39

김서현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7

김정기, 김미화, 손은지, 이아현, 정소현, 박수정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55

이다솔, 최윤서, 이혜진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67

장태용, 전영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75

심철재, 김영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91

박보라

Page 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Vol. 10, No. 1 2018. 05. 31

CONTENTS

Evaluation of the Use of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for the Elderly ···············1

Kim, Young-A, Yang, Young-ae

A study on the establishing strategy of the Rehabilitation Robot Intermediary Research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9

Jang, Kyung-Bae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Use of Manual Wheelchair Skills Ability of the Elderly over 65Years ············································································································21

Jung, Seung-Min, Sang, Mi-Suk, Park, Dong-Ja, Yang, Yeong-A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31

Cho, Mi-Lim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39

Kim, Seo-Hyun

The Effect of Visual-Perception Training Program on Hand Function, Visual-Perception & Self-Efficacy of Stroke ·································································47

Kim, Jeong-Ki, Kim, Mi-Hwa, Son, Eun-Ji, Lee, A-Hyeon, Jung, So-Hyeon, Park, Su-Jong

The Effect Patient Centered Task Oriented Training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55

Lee, Da-Sol, Choi Yoon-Seo, Lee, Hye-Jin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OTPF medication routines Education ································································································································67

Jang, Tae-Yong, Jeon, Young

Page 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he Preventive Salary System for the Disabled Persons through the Analysis of Economic Effect of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 Cushion and Pressure Ulcer Mattress ·················································75

Shim, Cheol-Jae, Kim, Young-A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91

Park, Bo-Ra

Page 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김영아*, 양영애**,***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 연구소

***인제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친고령산업융합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고령친화산업학과

국문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주 사용자인 고령 환자와 보호자, 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욕창예방 매트리

스 발전에 기여하며 욕창 중재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전문가 자문을 받아 작성된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설문지를 부산 및 경상도 지역의 노인

요양병원 등 8개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300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180부를 대상으로 SPSS 21.0

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욕창예방 매트리스 구조적 부분은 이음새 부분 55.5%, 공기 압력 조절의 소음

상태 부분 78.9%의 보통 이하 수준의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모양 및

색깔에 대한 외관은 71.7%, 촉감 및 쿠션감의 재질은 63.3%로 보통 이하 수준의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사용자의 73.4%는 욕창예방 매트리스가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의 주의사항 등의 지식수준에 사용자의 73.9%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욕창예방 매트리스 구조에 있어서 이음새 부분의 홈을 최소화하고 홈의 깊이를 낮추어 청소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공기 흡입 및 배기구 구조 변경을 통해 배기 소리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매트리스의 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깔과 디자인 및 재질 개발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고령화 시대의 욕창예방의 중재적 방안의 발전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욕창예방 매

트리스 사용을 위해 관련인들의 교육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욕창, 욕창예방 매트리스, 고령자 중심 매트리스

Corresponding author: Yang, Young-ae([email protected]/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of Inje University)

Received 17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17 May 2018; Accepted 24 May 2018

Ⅰ. 서 론

현대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기대수명은 지속적으

로 연장되고 있으며, 고령자 및 장애인의 수도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장기간 침상 또는 휠체어 생활자가 증

가하고 있다(Kim, 2017).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남성은 78.58세이며, 여성은

85.02세로 평균 81.80세이나, 건강수명(health expectancy)

은 평균 65.20년으로 약 15년을 질병 등에 의해 건강하

지 않은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Kim & Kang, 2017). 건

강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많은 고통과 불편으로 침상

생활이 길어지는데, 이는 환자나 고령자에게 욕창으

로 이어지기 쉽다.

욕창(Bedsore)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

력이 가해졌을 때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조직에 발

생한 괴사를 의미한다(NPUAP, 2007). 우리나라의 욕

Page 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창의 환자는 2004년도에 비해 2014년도에 2.7배 증가

했으며, 치료비용 또한 4.8배 증가했다. 2015년 한 해

동안 욕창으로 사망한 환자의 수는 317명에 달했으며,

이 중 65세 이상의 노인이 95%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

으로 보고된다(통계청, 2015).

중환자실 입원환자 2,107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

구에서는 40세 미만인 경우에 비해 80세 이상인 경우

는 욕창보유의 위험이 3.70배 높다고 밝혔다(Kwak &

Kang, 2015).

나이가 들면 신체 기능이 감소하고 움직임이 둔화

되며 피부가 얇고 감각-기능이 저하되므로 동일한 압

력에도 욕창이 쉽게 발생한다. 노인의 경우, 체중을

분산시켜주는 피하지방이 소실되어 표피가 얇아지고

한선, 피지선 활동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

우며 표피세포의 대치 및 증식도 점차적으로 감소하

여 피부 등이 손상받기 쉬우며, 회복은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Anous & Heimbach, 1986).

고령화 시대의 늘어나는 노인 인구 만큼 욕창의 위

험도와 유병률도 함께 증가되어 욕창에 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큰 필요성을 가지며, 또한 고령자일수록

욕창에 더욱 취약하여 더욱더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근래의 욕창에 관한 연구는 욕창실태(Kim et al., 2011),

입원환자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Kim & Park, 2010), 욕창

발생 위험사정도구의 타당도 조사(Han & Jeong, 2012),

욕창 예방 체위변경(Kim & Jeong, 2012), 영양중재(Cereda,

Gini, Pedrolli & Vanotti, 2009) 등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 고령친화산업과 관련된 복지용구의 개발 및 발전

으로 욕창방지 매트리스의 압력 분포도 실험 검증 등

의 다양한 기술적 시도의 연구와 전문가 분석이 함께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실제 주

사용자인 고령자와 이들을 주로 치료하는 임상 치료사

를 중심으로 한 표적 집단의 사용성 평가는 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주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 및 인터뷰 평가는 정량적인 의견을 얻으며, 사용

성 측면에서의 니즈와 적합성 평가에 필요한 평가 방

법임에도 불구하고 접근의 제한과 개별 설문 연구의

어려움에 있어 잘 시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로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사

용하는 만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와 보호자, 치료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과 집중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고

령 대상자 중심의 욕창예방 매트리스 발전에 기여하

며, 욕창예방 중재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약 4주에 걸쳐

부산 및 경상도 지역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노인요

양병원 등 8곳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였다. 총 300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06부 중 불성실한 응답 26부를 제외하고 180부가 분

석대상이 되었다.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65세 이상 고령 환

자와 그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 요양보호사, 환자의

담당 재활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방법

1)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설문조사

대학병원, 종합병원, 노인 재활 요양병원에 근무하

는 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3명, 물리치료사 2명,

재활 관련 분야의 교수 3명의 자문을 받아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 연구절차

설문조사가 행해진 병원은 욕창예방매트리스의 사

용성 평가 설문조사에 재활팀의 대표가 동의한 곳에

한하여 진행되었으며, 설문대상자는 군집표본추출로

조사되었다.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고령 환자 대부분은

설문지 문항을 읽고, 직접 작성하기가 어려워 연구자

가 묻고 답하는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간 값들을 빈도

Page 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3

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

램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 대상 전체 응답자 180명 중, 남성 71(39.4%)

명, 여성 108(60.6%)명이었고, 응답자의 연령은 30대

75명(41.7%), 20대 47명(26.1%), 40대 36명(20.0%), 50

대 12명(6.6%), 60대 이상 10명(5.6%)로 순으로 나타났

다. 직업은 치료사 98명(54.4%),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

37(20.6%)명, 환자의 가족 또는 친지 관계 등의 보호

자 41(22.8%)명, 환자가 4(2.2%)명이었다. 현재 사용하

는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소유현황에 구입한 경우 32

명(17.8%), 대여한 경우 47명(26.1%),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101명(56.1%)으로 나타났다. <Table 1>.

Item Category N Percentage

GenderM 71 39.4

F 108 60.6

Age

20-29 47 26.1

30-39 75 41.7

40-49 36 20.0

50-59 12 6.6

more than 60 10 5.6

Job

Therapist 98 54.4

Caregiver 37 20.6

Protector 41 22.8

Patient 4 2.2

Owner-

ship

Purchase 32 17.8

Rent 47 26.1

Do not know 101 56.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s

(N=180)

2.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사용성 평가

1)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전체적인 만족도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효과성과 구조, 외관 및 재질,

소독 기간, 가격,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 등 사용성 평

가에 관련된 13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그 중 2

문항은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사용의 불편사항과 이유

를 묻는 질문과 개선의견을 구하는 서술문항으로 실

시되었다.

욕창예방 매트리스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지 묻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 23명(12.8%), 그렇다 109명(60.6%),

보통이다 47명(26.1%), 그렇지 않다 1명(0.5%), 매우 그

렇지 않다 0명(0.0%)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욕

창예방 매트리스가 편안한지 묻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

1명(0.5%), 그렇다 98명(54.5%), 보통이다 77명(42.8%),

그렇지 않다 3명(1.7%), 매우 그렇지 않다 1명(0.5%)로

나타났으며, 안전한지 묻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 2명

(1.1%), 그렇다 107명(59.5%), 보통이다 51명(28.3%),

그렇지 않다 19명(10.6%), 매우 그렇지 않다 1명(0.5%)

로 나타났다<Table 2>.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helpfulness

Strongly agree 23 12.8

Agree 109 60.6

Neutral 47 26.1

Disagree 1 0.5

Strongly disagree 0 0.0

Feel

comfortable

Strongly agree 1 0.5

Agree 98 54.5

Neutral 77 42.8

Disagree 3 1.7

Strongly disagree 1 0.5

Feel

stable

Strongly agree 2 1.1

Agree 107 59.5

Neutral 51 28.3

Disagree 19 10.6

Strongly disagree 1 0.5

Table 2. Evaluation of bedsore prevention mat-

tress(Overall satisfaction) (N=180)

Page 1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구조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크기(높이와 넓이)에 매우 만

족 52명(28.9%), 만족 116명(64.4%), 보통 10명(5.6%),

불만족 2명(1.1%), 매우 불만족 0명(0.0%)로 나타났다.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이음새 부분의 편안함에 매우

만족 4명(2.2%), 만족 76명(42.2%), 보통 80명(44.5%),

불만족 18명(10.0%), 매우 불만족 2명(1.1%)로 나타났

다.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공기 압력 조절의 소음상태

에 매우 만족 12명(6.7%), 만족 26명(14.4%), 보통 136

명(75.6%), 불만족 6명(3.3%), 매우 불만족 0명(0.0%)

로 나타났다<Table 3>.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Size

(height,

width)

Very satisfied 52 28.9

Satisfied 116 64.4

Neutral 10 5.6

Dissatisfied 2 1.1

Very dissatisfied 0 0.0

Seam

(suture) part

Very satisfied 4 2.2

Satisfied 76 42.2

Neutral 80 44.5

Dissatisfied 18 10.0

Very dissatisfied 2 1.1

Air

conditioning

noise

Very satisfied 12 6.7

Satisfied 26 14.4

Neutral 136 75.6

Dissatisfied 6 3.3

Very dissatisfied 0 0.0

Table 3. Evaluation of bedsore prevention mat-

tress(Structure) (N=180)

3) 욕창예방 매트리스 외관 및 재질

현재의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모양 및 색깔 등의 외

관에 매우 만족 12명(6.7%), 만족 39명(21.6%), 보통

77명(42.8%), 불만족 34명(18.9%), 매우 불만족 18명

(10.0%)로 나타났다.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촉감 및 쿠

션 감각의 재질에 매우 만족 20명(11.1%), 만족 46명

(25.6%), 보통 96명(53.3%), 불만족 16명(8.9%), 매우

불만족 2명(1.1%)으로 나타났다<Table 4>.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Appearanc

e(shape,

color)

Very satisfied 12 6.7

Satisfied 39 21.6

Neutral 77 42.8

Dissatisfied 34 18.9

Very dissatisfied 18 10.0

Material

(feeling,

cushion)

Very satisfied 20 11.1

Satisfied 46 25.6

Neutral 96 53.3

Dissatisfied 16 8.9

Very dissatisfied 2 1.1

Table 4. Evaluation of bedsore prevention mat-

tress(Appearance, Material) (N=180)

4) 욕창예방 매트리스 가격

욕창예방 가격에 매우 만족 3명(1.7%), 만족 12명

(6.7%), 보통 65명(36.1%), 불만족 68명(37.8%), 매우

불만족 4명(2.2%)로 나타났으며, 28명(15.5%)은 가격

을 모른다고 답하였다<Table 5>.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Price

Very satisfied 3 1.7

Satisfied 12 6.7

Neutral 65 36.1

Dissatisfied 68 37.8

Very dissatisfied 4 2.2

Don’t know 28 15.5

Table 5. Evaluation of bedsore prevention mat-

tress(Price) (N=180)

3.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대한 인지 및

교육정도

1)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관한 종류 및 주의사항 등의

관련지식이 어떠한가의 질문에 아주 잘 알고 있다는

5명(2.8%), 조금 안다는 42명(23.3%), 잘 모른다 127명

(70.6%) 전혀 모른다 6명(3.3%)로 나타났다.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 37

명(20.6%)만이 그렇다고 나타났으며, 143명(79.4%)이

받는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사 및 관련 전공

Page 1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5

학생들에게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관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필요성은 조금 필요하다 96명(53.3%), 매우

필요하다 73명(40.6%), 필요 없다 11명(6.1%) 순으로

나타났다<Table 6>.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Related knowledge

Know much 5 2.8

Know some 42 23.3

Don’t know 127 70.6

No idea 6 3.3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Yes 37 20.6

No 143 79.4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Very needed 73 40.6

Needed a little 96 53.3

Not needed 11 6.1

Table 6. Knowledge and education about bedsore

prevention mattress (N=180)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소독 간격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소독 간격을 묻는 질문에 6개

월에 한번 정도가 49명(27.2%), 1년에 한번 정도가 25

명(13.9%), 2-3달 정도에 한번 64명(35.6%)로 나타났으

며, 42명(23.3%)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Table 7>.

Division Category N Percentage

Disinfection

Interval

About once every 6 months 49 27.2

About once a year 25 13.9

About once every 2-3 months 64 35.6

Don’t know 42 23.3

Table 7. Disinfection interval of bedsore prevention

mattress (N=180)

4.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불편사항 및 기타

개선의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에 있어 불편사항을 묻는

서술문항에서 공기주입부분의 소음도가 18건, 매트리

스 이음새 부분과 공기 셀 부분이 청소가 어려움 6건,

영구성 관련 5건, 매트리스 설치의 어려움 2건의 기타

의견이 있었다.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에 있어 개선

의견으로는 색상 및 디자인의 개선 7건, 다양한 촉감

및 재질의 개선 6건, 매트리스의 향균기능 추가 3건

등의 개선사항이 있었다.

Ⅳ. 결론 및 고찰

본 연구는 고령자와 장애인의 증가로 인하여 그 사

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주 사용자인 환자, 보호자, 간병인, 요

양보호사, 치료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

가의 구조적 부분은 매트리스 크기(높이와 넓이) 6.7%,

이음새 부분 55.6%, 공기 압력 조절의 소음상태 부분

78.9%의 보통 이하 수준의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나 욕

창예방 매트리스 구조에 따른 문제점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은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소음임을 알 수 있다.

인터뷰 과정에서 대다수의 보호자들은 환자가 욕창예

방 매트리스를 사용할 시기에 가장 적응하기 어려웠던

이유로 공기의 주입과 압력 조절에 따른 소음을 꼽았

다. 바람이 빠지는 소리가 귀에 거슬리며, 작동에 따

른 기계음이 매트리스 위에 누워있으면 울려서 더욱

크게 들리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수면 중 소음은 수면

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

우에는 두통까지 야기할 수 있다(Kim, et al, 2014). 욕

창예방 매트리스의 공기 흡입 및 배기구 구조 변경을

통해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욕창예방 매트리스 구조의 이음새 부분에 있

어서 홈을 최소화하고 홈의 깊이를 낮추어 청소와 관

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매트리스를 설

치하고 해체하는 과정을 보다 단순화하여 더욱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계 디자인이 요구된다(Jung,

Kang, Chun, Won & Hong, 2009).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외관 및 재질 부분에서 모양

및 색깔에 대한 외관은 71.7%, 촉감 및 쿠션감의 재질

은 63.3%로 보통 이하 수준의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

났다. 매트리스의 외관 및 재질에도 역시 관심을 기울

여 다양한 색깔과 재질의 사용이 고려되고, 보다 심플

한 형태와 감성적인 디자인 개발로 사용자의 만족감

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욕창예방 매트리스 가격에는 76.1%의 보통 이하 수

Page 1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준의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15.5%는 가격을

모른다고 나타나 매트리스의 더욱더 합리적인 가격의

접근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구입 및 절차에

있어서 더욱 간소적인 절차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의 73.4%가 욕창예방 매트리스가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지

식 및 교육정도에 대해서는 73.9%가 모른다고 대답하

였다. 욕창예방 매트리스의 소독 기간을 묻는 응답에

서도 23.3%가 모른다고 나타났다. 사용자의 20.6%만

이 욕창예방 매트리스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대다수인 93.9%가 욕창

예방 매트리스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고 응

답했다.

따라서 고령화 시대의 욕창예방의 중재적 방안의

발전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

용을 위해 관련 전공 학생 및 치료사, 환자와 보호자,

요양보호사 등의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Park & Shin,

2010).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보내는 욕창예방 매트

리스 위의 고령 환자들은 주로 의식이 명확하지 못하

고, 마비가 있는 대상자가 많으므로 매트리스의 공기

압력이나 기울기 조절, 청소 및 관리는 주로 보호자,

간병인, 치료사 등의 타인에 의해 조작된다. 그러므로

환자 뿐 아니라 환자와 관련된 대상자의 욕창예방 매

트리스에 대한 주의사항과 안전 교육이 매우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욕창예방 매트리스를 주로 사용하는 표

적집단을 중심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나, 실

제 사용자인 노인 요양병원의 고령자 욕창 및 욕창

위기의 환자들은 인지력이 부족 등의 이유로 사용성

평가 설문 응답에 어려움이 있어, 응답자 중 고령 환

자의 수가 적은 것에 제한점이 있다.

욕창은 욕창예방 매트리스만으로는 100% 예방이

어려우며, 자세변경, 영양, 감염, 구축예방운동 등 다

양한 팀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사용되는 욕창예방 매

트리스의 한계를 뛰어넘는 장비들이 개발되고, 기술적

실험 및 전문가의 평가 뿐 아니라 실제 사용자인 환

자 및 보호자, 치료사 중심의 사용성 평가가 이루어져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욕창예방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Statistical Office. (2015). Elderly person statistics.

Han, I. K., & Jeong, I. S. (2012).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Brade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2), 867-880.

Jung, K. T., Kang, B. K., Chun, K. J., & Won, B. H.

(2010). Other Subjects of Partical Engineering Education:

Usability Evaluation and Company Supporting of

Senior-friendly Produc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2(2), 157-164.

Jung, K. T., Kang, B. K., Chun, K. J., Won, B. H., & Hong,

J. S. (2009). The Ergonomic Evaluation and Design of

Mattress and Controller to Prevent Bedso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2(3), 67-76.

Kim, D. W. (2017).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by

Using Life Expectancy Indicators. The graduate school

of Samyook University.

Kim, G. H., Kang, S. H. (2017). Intelligent anti-pressure

bed mattress for interventional nursing in the age of

aged society. Magazine of the IEEK, 44(12), 32-37.

Kim, H. J., & Jeong, I. S. (2012). Optimal time interval

for position change for ICU patients using foam mat-

tress against pressure ulcer fis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 730-737.

Kim, H. R., Lee, K. F., Park, K. C., Choe S. T., & Cho,

W. D. (2014). A Study on The Sleep Quality Index

Considering Noise During Sleep.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6(1), 5-6.

Kim, J. M., & Park, J. S. (2010). Development of an al-

gorith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4), 353-364.

Kim, K. N., Kang, K. J., Lee, H. S., Shin, Y. H., Kim,

S. K., Park, K. H., & Kim, H. Y. (2011).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33-442.

Kim, Y. H., Jang, J. N., Song, M. J., Oh, M. K., & Lee,

Y. M. (2015). Effect of Integrative Pressure Ulcers

Page 1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7

Nurs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15-1029.

Kwak, H. R., & Kang, J. Y. (2015).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7(3), 347-357.

Lee, J. K. (2003).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5(2), 267-277.

Lee, Y. J., Kim, S. E., Lee, H. J., Lim, H. J., & Yang,

Y. Y. (2017).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by Formal Caregiver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1(1), 43-50.

Park, S. J., & Shin, J. I. (2010).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welfare medical devi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outpatients.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ged and Dementia, 4(2), 19-25.

Anous, M. M., & Heimbach, D. M. (1986). Causes of

deaths and predictors in burned patients.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 Critical Care, 26(2), 135-139.

Baumgarten, M., Margolis, D. J., Localio, A. R., Kagan,

S. H., Lowe, R. A., & Kinosian, B. (2006). Pressure

ulcers among elderly patients early in the hospital stay.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61a(7), 749-754.

Cereda, E., Gini, A., Pedrolli, C., & Vanotti, A. (2009).

Disease specific versus standard nutritional support for

the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i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8), 1395-1402.

Dugaret, E., Videau, M-N., Faure, I., Gabinski, C.,

Isabelle B-M., & Salles, N. (2012). (2012). Prevalence

and incidence rates of pressure ulcers in an Emergency

Department. International Wound Journal, 11(4). 386-391.

Eom, J. Y., & Jung, D. Y. (2013). Systematic review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ve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1), 21-37.

Gorecki, C., Closs, S. J., Nixon, J., & Briggs, M. (2011).

Patient-reported pressure ulcer pain: A 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2(3), 443-459.

Kosiak, M. (1959). Etiology and pathology of ischemic

ulce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0(2), 62-69.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2007). Pressure

ulcer stage. Retrieved May 24, 2012 from

http://www.npuap.org/pr2.htm.

Page 1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Abstract

Evaluation of the Use of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for the Elderly

Kim, Young-A*, Yang, Young-a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of Inje University, Elderly Life Redesign Research

Institute, Inje University

***Department of Aging Friendly Industr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Convergence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bedsore mattress by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elderly patients, caregivers and therapists who are the main users of bed-

sores prevention mattress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afe and convenient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Method :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use of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was prepared by an expert

and administered in 8 departments including a rehabilitation hospital for the elderly in Busan

and the Gyeongsang area. 3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180 data se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 : In the currently used bedsore preventive mattresses satisfaction with structural parts showed

a mainly negative response. Specifically seams with 55.5% and noise of the air pressure regu-

lation with 78.9% non-positive impressions. For appearance 71.7%, of responses were not sat-

isfied while 63.3%,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aterial and cushioning of the mattresses.

While 73.4% of the users thought that the bedsore prevention mattress was helpful to the pa-

tient, 73.9% of the users were not well informed about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and rel-

evant procedures.

Conclusion : In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the structure should be optimized by minimizing the grooves

of the joints and reducing the depth of the groove to facilitate cleaning and maintenance.

Furthermore, the noise of the air pressure regulation should be minimized by changing the air

intake and exhaust structure. Considering the appearance of the mattress,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developing various colors, designs and a variety of material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 of bedsore mattress users in order to develop in-

tervention plans for the prevention of the bedsores in the age of aging and to develop mat-

tresses which are more convenient and safe.

Key Words : bedsores, bedsores prevention mattresses, mattresses for the elderly

Page 1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국문초록

목적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에 대해 종합적인 사업추진 현황 및 연구 성과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사업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사업의 고도화를

이루고자 한다.

연구방법

재활로봇중개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과제 현황, 특허, 논문실적, 시제품 개발, 임상시험, 사용성

평가에 대한 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해당 사업에 대해 사업 관리자 및 관계자

와의 그룹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 통해 부족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2013년 연구개발을 통해 18건의 논문이 게재 되었고, 특허 3건, 재활보행운동장치 시제품 5건이 개

발되었다. 2014년 하지외골격로봇 등 시제품 12건, 2015년 발목근육훈련기 등의 시제품 15건 등 총

32건에 제작되었다. 특히 임상시험 및 사용성 평가 진입실적 총 17건을 창출하여 보건의료제품⋅서

비스의 성공적 개발 가능성 및 보급, 상용화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단기 실용화

제품 개발, 노인과 장애인 공용 사용 제품 개발, 건강보험공단 수가화 및 재활로봇 시범사업 등의

추가 전략의 도출 및 적용 시 더 빠른 재활로봇의 시장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재활로봇중개연구는 2013년 본격적으로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짧지만 3년 동안 급속한 성장을 통해 재활로봇 중개연구 분야에 높은 기술력과 임상연구를 수행하

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재활로봇 중개연구는 실용화와 사업화의 관점에서는 미흡하여 향후 상품

화를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하여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재활로봇, 중개연구, 성과분석, 전략수립, FGI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용역(2016-3)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rresponding author: Jang, Kyung-Bae([email protected]/Mechanical and Control Engineering,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Seoil, Korea)

Received 3 April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4 April 2018; Accepted 21 May 2018

Ⅰ. 서 론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과학기술에 막대한 자원을

투자고 하고 있다. 특히 국내 국가연구개발사업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선진국 수준의 과학기술 경쟁력

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과학기술부, 2007).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14년도 우리나라의 총 연구

개발비는 전년대비 4조 4,332억 원(7.5%) 증가한 63조

7,341억 원으로 세계 6위권이고,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

다. 2015년 우리나라의 정부⋅공공재원 연구개발비는

16조 2,935억원, 정부⋅공공재원 비중은 24.7% 이며

기업체가 사용한 연구개발비는 51조 1,364억원으로 전

체의 77.5% 차지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

정부의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 정책에 힘입어 산학

연(산업, 학교, 연구소)등의 연구개발 능력은 크게 신장

Page 1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되어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

다. 특히 '15년도 우리나라의 SCI 과학논문수는 57,626

편이며, 전년대비 4.54%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11∼

2015까지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5.13회로 논

문 발표수 상위 50위 국가 중 34위수준이다(이종원,

2015).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부는 국가 R&D 투자 및

관리 중심에서 이제 성과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많

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2005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

했으며 이를 근거로 국가 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

획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가이드라인이 수립

하게 되었다(김성수 2008).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에

대해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규정을 반영하여 재

활로봇중개연구사업의 성과지표와 성과물 분석하여

향후 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사업 추진 전략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의 2012~

2015년까지(3년) 과제현황 및 성과를 종합적이고 객관

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사업 운영 및 전략 수

립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대상

을 설명한다. 본론에서는 첫째,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에 대한 기존의 문헌들을 탐색한다. 둘째, 국가연구개

발사업 R&D관리체계의 발전과정 및 추진현황을 분석

하고 마지막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지

표에 근거하여 해당 유형과 질적 및 양적 연구성과와

의 관계를 분석한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Ⅱ. 재활로봇중개연구 사업의 이해

1. 사업추진배경 및 필요성

국내에서 근래 공학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개발된

다양한 재활로봇은 출시되고 있으나, 재활로봇에 대

한 임상연구 인프라의 구축이 되어있지 않고 의료와

공학의 접목에 대한 관점의 R&D 투자는 미미한 수준

이다. 재활로봇은 다양한 전문가 그룹의 상호 협력이

필요한 연구 분야이나 현재 다양한 협력체계가 구축

되지 않아 신속한 제품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로봇산업 활성화에 따른 재활로봇 연구개발의 임상진

입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보건 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수립 등에 따른 임상과 연계된 지속적

인 중개연구에 대한 투자가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지

고 있는 않은 상황이다. 반면 재활로봇은 미성숙한 시

장을 가지고 있으나 장애인의 사회참여확대, 고령인

구증가 및 의료기술발전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잠재력

이 높은 “확실한 로봇 운용처”이며 공공복지 영역에

서 체감하는 복지 실현에 적합하다(국립재활원 2014).

2. 재활로봇중개연구 선행연구

1)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정의와 개념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라는 용어는 1990년

대 등장하여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의료계와 산업계

전반에 확산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 개념적 혼란

을 비롯한 논쟁이 심화 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

원 2013).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에서는 중개연구란

용어를 기초연구 결과를 임상 적용 가능한 새로운 치

료법(의약품, 의료기기, 진단 및 치료기술)으로 전환하

는 것을 말한다. 재활 로봇의 개발은 제품 설계 및 제

조 단계에서 의학, 공학, 운동학 등 최첨단 기술의 복

합적인 융합과 임상 시험 등을 거쳐야 하는 대규모

연구 분야이다. 초기 컨셉 설정부터 전문 의료진과의

긴밀한 공동 연구 체계 확립이 요구되는 분야라 볼

수 있다. 특히 재활이라는 특성상 환자 및 노약자의

기능, 능력, 장애 등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여 개발된

재활 로봇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국립재활원 2012). 상용화 부분에서는

표준, 인증, 보급화 등의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한 연

구도 중요하다. 또한 재활로봇의 경우도 의료기기와

유사하게 (1) 기초연구, (2) 개발, (3) 임상시험, (4) 인

허가 및 생산판매의 순으로 통상의 의료기기개발 프

로세스에 준하여 개발되고 있다. 기초연구는 제품 컨

셉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진행하며 개발은 설계, 시제

품 제작, 테스트/평가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의료기기

의 구조/형태가 완성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임상시험

은 인허가를 신청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질적으로 환

자에게 의료 행위를 통해 의료기기의 안전성 및 유효

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허가 및

Page 1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11

생산 판매 사이에는 각각의 죽음의 계곡(Death Valley)

가 존재하여 최종적으로 재활 로봇이 의료 환경에까

지 보급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Study Results

Minna &

Gazdar

(1996)

For Lab’s discovery of disease, disease’s

diagnosis, treatment, prognosis. They used

clinical interventions translate,and then give a

direct advantage to human’s health.

Rustigi

(1999)

Applying base scientific discoveries to clinical

approaches, based on clinical circumstances,

includes all of making scientific question based

on it.

AAMC

(1999)

If it is not transllates to medical activities,

Genetics. Biotechnology, neuron science,

molecule science, structure biology’s monumental

developments would have no benefits

Table 1. Translational Research Concept

2) 중개연구 개념에 대한 이해

국내에서도 중개연구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그

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지만 지원주체나 연구자들

사이에 중개연구 개념과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한 인식

의 차이가 있어 연구 지원과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하

고 있다. 또한 중개연구의 취지와 목표에 부합하는 연

구 수행과 성과 창출을 위해 그 개념과 내용을 보다 깊

이 이해하고 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김

석관,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외 재활로봇중개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서 중개연구의 핵심적 목표와

지향점을 살펴보고 성공사례를 통해 발전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3. 국외 재활로봇중개연구 현황

1) 선진국의 재활로봇중개연구 현황

미국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와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국가로봇계획 (National Robotics

Initiative, NRI)의 일환으로 재활치료 로봇 연구개발 지

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0억원 내외의 소형과제가

대부분이고 기존에 개발된 요소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 사업은 각각의 장애 유형별, 대상

자 분류별로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제품화를 위한

응용분야 연구지원이 가잘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EU

는 Robotics for Healthcare('08년)의 6개 혁신 영역에 재

활치료로봇이 포함되어 있다. 이중 운동 협응 치료와

동작 및 협응 분석에 대한 기술개발로드맵이 수립되어

추진 중이다. 현재 EU FP 7프로그램에서 재활치료로

봇 분야에 3개 과제가 수행 중이며, FP 7의 ICT, Health

프로그램으로 재활치료로봇 분야 중형 규모 과제를 지

원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80억원 규모

의 재활로봇 개발 사업을 착수('12년)하고 있다. 덴마크

는 '08년 정부의 공공분야의 기술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PWT(Public Welfare Technology)기금을 설립했다. PWT

는 실증실험, 공공분야로의 개발제품 소개 프로젝트와

간호/간병노동부담경감 프로젝트를 위한 기금을 설립

하여 실증실험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덴마크에는

신기술개발과 이노베이션을 담당하는 인정기술서비

스기관(GTS)이 9개 존재하고 있다. 인정기술서비스기

관 중 간호/간병복지서비스 등의 분야를 담당하며, 60

명 이상의 로봇기술에 관한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는

DTI(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가 오덴세시(Odense)

에 입지하고 있다. DTI의 로봇기술센터(CRT: Center for

Robot Technology)를 거점으로 덴마크 국내의 개호로봇

도입⋅실용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스웨덴은 2010

년부터 2012년까지 사회보건성을 중심으로 고령자를

돕는 제품 및 서비스 도입을 목적으로 SIAT(스웨덴

개호⋅복지기기기술연구소)를 통해 100건의 실증실험,

평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정부주도의 ‘생

활지원 로봇 실용화 프로젝트-간병로봇 기기개발⋅도

입촉진사업'을 통해 간호 및 재활치료에 활용될 수 있

는 로봇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인증⋅보급을

위해 후생노동성과 함께 진행(32.6억엔, 2013)하여 제

품화를 위한 안전 인증 체계 구축, 국제 표준 수립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및 공적 보험 적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2012.07) 했다. 일본은 벤처기업을

비롯하여 전기기계 및 자동차 관련 대기업등 이종업

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 속해 있는 대기업이 간호/

간병 로봇 사업에 뛰어들어 기존 자사기술 및 지식을

활용하여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2) 대표적인 선진국의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Integrated Center for Research and Treatment(이하 IFB)

Page 1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사업은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가 2008년부터 추

진한 사업으로 중개연구지원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특히 IFB사업에서는 총 8개의 연구 주제를 설정하고 이

와 관련한 중개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지역별 센터를 설

립하게 되었다.

Figure 1. Integrated Center for Research and Treatment

IFB의 주요 목적은 환자 중심의 연구기관을 운영하

는 것으로 환자와 과학자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중개

연구 추진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임상연구와 환자의

치료사이의 통합적인 협력을 통해 임상현장에 직결되

는 구체적인 성과를 끌어올림으로써 타겟을 좁혀, 기

초연구와 임상연구를 균형 있게 연계하는 전략을 취

하고 있다.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이하, RIC)는 1954

년 Dr. Palu B. Magnuson에 의해 설립되었다. RIC는

개인의 회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통합연구,

과학적 발견, 그리고 교육을 통해 환자에게 최고의 품

질의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건강 상태를 해치는

질병 및 장애 영향을 제거하고,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혁신과 응용 그리고 더 유망한 치료의 개선을 통해

세계 최고의 과학 병원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RIC는 1991년 이후 줄곧 미국

내 재활병원 중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적

으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특히 지적장애, 척추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은 전문영역에서 부터

관절염, 만성통증 등에 이르기까지 재활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서적⋅정신적⋅사회적⋅

직업적⋅지역적 욕구를 고려한 총체적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Ⅲ.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분석의 목적

및 연구 내용

1.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분석의 목적

국내 유일의 재활로봇 및 기기에 대한 중개 R&D

사업인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재활로봇의 개발, 임

상 및 상용화를 위한 전주기적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 결과물을 중심으로 임상 진입 및

상용화를 위한 중개연구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

하고 있다. 타부터 연구개발 사업과 기존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제품에 연구비를 지원하여 기업 및 연구

기관의 임상 진입을 촉진하고 사업화를 추진하여 고

령자 및 노약자의 삶의 질을 증진할 목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활로봇중개연구는 범부처 R&D 중

장기 추진계획에 따라 노인 및 장애인 등 복지 서비

스 대상자의 케어 서비스 기술로 지속적 개발에 집중

하고 있다.

2.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분석의 주요내용

1) 기본방향

재활로봇중개연구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을 수행하

기 위해서는 먼저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에서 발표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 성과분석에

근거하여 성과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국가연구개발

사업 표준 성과분석은 총 3가지의 기본 방향으로 구

성되어 있다. 첫째, 세부사업(또는 내역사업) 단위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인 개발 사업은 중장기 목표

를 설정해야 된다. 둘째, 사업 유형을 고려한 합리적인

성과목표 설정해야 된다. 셋째, 정성적, 정량적 성과지

표 설정해야 된다. 이러한 기본방향성을 근거하여 성

과목표 작성해야 되며, 아래는 설정 절차에 대한 설명

이다.

2) 성가목표 설정 절차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는 해당 사업의 자

원 투입, 사업의 집행, 산출 과정, 기대되는 성과 등을

분석해야 된다. 또한 성과지표 및 성과지표 설정부분

에서는 사업 유형과 기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구체

Page 1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13

Strategical Goal Contents

Strategical GoalDisabled ability recovery through rehabilitation research development,increase of welfare, endorsing social

recovery.

Result Goal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sabled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rototype, program development,

usability evaluation, program supply

Steps of

Result Goal

Step 1 (’14~16) Step 2 (’17~’19)

For the increase of product and program ability to

supply, performing clinical test, and usability tests

For the disabled ability to recover, and society

comeback, product and program’s distribution

Performance

Index

Indicator Name Indicator Name

Clinical Trials and usability tests Clinical Trials and usability tests

Product and program distribution Product and program distribution

Product and program distribution Product and program distribution

Patent Registration Patent Registration

Table 2. Performance goals and indicators summary

Division End of‘11 End of‘12 ʼEnd of‘13 End of‘14 End of‘15

National Rehabilitation Centre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 project

Total Funding 445.5 1,423 3,124 4,231 3,895

Technological funding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ervice project

Total Funding 445.5 1,423 741 1,372 1,295

Technological Funding

Rehabilitation robot brokerage research

business

Total Funding - - 2,383 2,859 2,600

Technological Funding

Table 3. Annual Input Research Cost (won: one million)

Figure 2. R&D of Input Research Cost

적으로 성과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성과목표와의 관련

성, 핵심성을 고려하여 성과지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 성과분석 지침에 의거

재활로봇중개연구 사업의 전략적 목표, 성과 목표, 단

계별 성과목표, 마지막으로 성과지표를 작성하게 되

었다. 아래 (Table 2) 성과목표 및 지표 총괄표이다.

Ⅳ.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분석

1. 투입성과

1) 연구비

재활로봇중개연구와 관련되어 연구개발을 위하여

사업단의 예산으로 지원되고 연구사업이 수행된 조사⋅

기획⋅연구개발 사업비의 비용이다. 연구개발 사업 중

내부과제 665백만원(2014년 700백만원), 외부용역 1,080

백만원, 자산취득비 665백만원(2014년 700백만원), 사

업단 운영비로 총 26억원(2013년, 2014년 각 30억원)

이 투입되었다. (Table 3)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개발연구, 응용연구, 기초연

Page 2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목차 2013 2014 2015

IN Out Total IN Out Total IN Out Total

SCI/SCIE ∙ ∙ ∙ ∙ ∙ ∙ 1 4 5

SCOPUS ∙ ∙ ∙ ∙ ∙ ∙ 1 1

International Etc. ∙ ∙ ∙ ∙ ∙ ∙ ∙ ∙ ∙

KCI Entry ∙ ∙ ∙ 2 1 3 ∙ 4 4

KCI Entry Candidate ∙ ∙ ∙ ∙ 1 1 ∙ 1 1

National Etc. 1 ∙ 1 1 ∙ 1 1 ∙ 1

Table 5. The section of the journal on performance

구 순으로 연구비가 많이 투자되고 있고 있으며, 기초

를 제외(`14년도 제외)한 연구들은 투자 규모가 조금

씩 증가 되고 있다. 아래 (Figure 2)는 연구개발단계별

투입 연구비 규모를 나타낸 자료이다.(Figure 2)

2) 연구인력

사업이 시작된 2013년 이후 연구인력은 내부연구

과제 연구인력, 외부연구 과제 연구인력, 운영인력으

로 구성되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내부연구과제 연구

인력은 국립재활원 재활병원 및 재활연구소의 공학,

의학, 보건학, 디자인 등 다양한 전공자로 구성되고

있다. 외부연구과제 연구 인력은 산⋅학⋅연 및 의료

계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는 연구자(2015년 기준)들의 학력은 석사이고, 석

사 연구 인력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며 석사, 박사

학위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Figure 3)

Figure 3. Research Personnel Input (internal)

또한 외부 인력(Figure 4)을 살펴보면 재활로봇 전

공자가 기존 학부 수준에서 석�박사 졸업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요구되는 기

술 수준이 높아져 관련 학위자의 충원이 확대되는 추

세이다. 그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자들의

학력은 학사이고, 학사 연구 인력이 꾸준히 느는 추세

이다.

Figure 4. Research Personnel Input (external)

2. 활동성과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대표적인 활동성과는 아래

(Table 4)과 같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활동성과는 하

지 재활로봇에 대한 의료기기 허가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재활로봇은 개발, 중개연구 및 의료기기 등

록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단기간에 개발에서 의료기

기 등록까지 이루어진 성공적 사례로 분석된다.

3. 산출성과

1) SCI 논문 실적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연구개발을 완료한 시제품

의 보급화, 사업화를 통해 장애인의 기능향상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임상

평가에 따른 결과의 논문 성과는 신뢰성 확보, 임상결

Page 2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15

Name of

Accomplishment

Accomplisher

(Institute)

Accomplishment

PeriodRelevance, Core-ability, Excellence

Motion tracking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Stroke-disabled (who is

unable to walk)’s

indicator of rehabilitation

Prof.Yoon

(A University)2013

∙ (Relevance) In Korea, there are total 10.1 percent (2015)of brain

lesion disabled people, it’s the fifth in total disabled. Like this,

technology development for brain lesion disabled fits the this

project’s core performance goals.

∙ (Core-ability) It could develop fused, and complex contents

needed for stroke paraplegia patients, and also it’s applicable to

hospital, rehabilitation institute, sanatorium, local society .

∙ (Excellence) Based on clinical principals, it could actualize

game-like treatment contents, Presenting scientific proof of

rehabilitation exercise game-like treatment contents.

Korean Tools for

Standardized

Knowledge-Meaning for

Stroke Patient

Prof. Pyeon

(B University)2014

∙ (Relevance) Wi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linically used

Cognitive Rehab program, specialized in meaning knowledge, it

fits with this project’s accomplishment goal.

∙ (Core-ability) Not only stroke, but also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ncrease, meaning knowledge's corruption frequency is getting

higher, it could evaluate meaning knowledge from those patients.

∙ (Excellence) By developing “Korean Meaning knowledge test”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providing Korean standard, Clinically

they could judge whether it’s corrupted or not, after the treatment,

making some effect judgement.

Walking exercise

machinery development

and technology transfer

E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2015

∙ (Relevance)Through the valuable startups’ rehabilitation robot

technology’ Intermediate research, developing it, transferring

technology. Thorough that result, it’s highly related to Rehabilitation

Robot Intermediate research project’s establishment purpose.

∙ (Core-Ability) It is walking exercise device for stroke disabled,

it’s cheap to build, and operable by patient themselves,

rehabilitation effect is high.

∙ (Excellence) Through the clinical evaluation, it was found out that

price-to rehabilitation performance was high.

Flexible wearable hand

robot development.

Prof. Cho

(C University)2015

∙ (Relevance)For disabled Rehabilitation Robot’s productization, it

fits the intermediate research project’s details, and coincide with

project’s core result goal, so it’s relatable.

∙ (Core-Ability) Flexible disabled hand function support robot

development and electro-mechanical stability tests.

∙ (Relevance) Compared to Domestic-international similar

technology, it’s evaluated as ahead of the current technology,

through the clinical tests it has proven tat it is prevalent.

Approval of Underlegs

rehabilitation robot

medical devices

Mx. Lee

(A Incorporated)2015

∙ (Relevance) Under leg rehabilitation robot has high necessity of

clinical tests. For the supply and commercialization, they

completed medical device approvement. Also, it fits with rehab

robot intermediate research ‘s purpose.

∙ (Core-Ability) Completed supply and commercialization’s

requirement, “Medical devices manufacturing, and quality

management standard approval(GMP), medical devices

manufacturing certification, medical devices manufacturing

business approved.

∙ (Excellence) Product that sellable as medical devices, it has

verified mechanical, and electrical safety.

Table 4. Activity and performance

Page 2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과 보급, 사회적 파급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과

요소들이 부합되어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을 통해 18건

의 논문이 게재하였으며, 이중 Robotics and Automation

Magazin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등

SCI/SCIE급 저널에 논문 5건을 게재하여 탁월성을 입

증하고 있다. 아래는 (Table 5) 학술지 성과부분이다.

2) 특허출원, 등록 실적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국가연구개발 성과로 등록

된 지식재산에 대하여 전문기관에 의한 분석을 실시했

다. 특히 특허의 잠재적 질적가치 값의 평균을 측정하

는 특허관련 객관적 성과지표인 K-PEG을 활용했다.

지금까지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을 통해 2013~2015년

국내에 등록된 특허는 총 3건이다.(Table 6) 현재 다수

의 특허가 출원중이나 특허 출원에서 등록에 오랜 시

간이 소요되는 요인으로 사업 기간이 짧은 사업 특징

상 현재 등록 특허는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

Proprietary

name

Registerd

Country

Accomplis

hment

Year

Host

organizationApplicant

Robotic

Gadget for

severely

disabled

Korea 2015

National

Rehabilitation

Centre(NRC)

Rep. Of

Korea

(Director

of NRC)

Robotic

Arm for

severely

disabled

Korea 2015

Finger

Rehabilitati

on robot

Instrument

Korea 2015

Table 6. Patent Activity and performance

Domestic Patent i register Index +

American Patent

j register Index (i,j = 1,2,3...N)

Total Patent i (i=1,2,3...N)

3) 시제품 개발

시제품 개발은2013년 연구개발을 통해 재활보행운

동장치 등 3개의 시제품이 제작되었으며, 2014년은 하

지외골격로봇 등 10개의 시제품이 제작되었다. 마지

막으로 2015년은 발목근육훈련기 등 12개의 시제품

개발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의 성장동력 창출에 기여

했다. (Table 7)

4) 임상시험 및 사용성평가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의 2013~2015년

간 임상시험 및 사용성 평가 수행실적은 총 17건이다.

사성 평가와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된 제품의 의료 현

장 적용 가능성을 높였으며, 향후 상용화와 재활로봇

보급을 위한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된다. 또한 임상

시험기관의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승인을 받고 임상시험을 진행함으로서

임상시험의 윤리적⋅과학적 측면에 대한 검증을 했다.

대표적 성과는 아래와 같다.(Table 8)

4. 결과성과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13년도 시작)은 정부R&D 사

업으로 계속사업이며, 기존 2개년 동안 짧은 사업 기간

에도 불구하고 많은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또한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및 교육부의 R&D 결

과를 활용하여 임상진입을 가속화한 측면에서 유용성

이 높다고 분석된다. 이는 기존 연구가 기초 또는 원천

수준에서 연구되었으나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한

계가 있던 제품을 중개연구를 통해 임상연구를 수행함

에 따라 향후 상품와에 한 발 다가가는 효과를 내고 있

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기존의 기술 중심의 연구결과

와 임상연구간의 연계가 촉진되어 재활로봇 등 재활보

조기술 산업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재

활로봇중개연구개발용역과제 중 ‘유연한 착용형 손 재

활로봇 상용화 개발’, ‘장애인을 위한 하지재활로봇중

개연구’ 등의 과제 수행을 통해 현재 의료기기 등록을

위한 시험검사를 추진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의료기기

의 등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재활로봇중개연구 내

부연구과제도 외부과제와 유사하게 ‘보행 및 상지 재

활환경 중심의 인터렉티브 재활로봇에 대한 연구’, ‘보

급형 보행운동기기 및 로보틱가젯의 사용성 평가 및

임상연구’ 등의 과제를 통해 공인시험인증을 추진하고

있어 추후 제품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Page 2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17

Project Name Prototype NameDeveloper

(From)

Year of

Development

Robotic Gadget development for Severe disabled’s

increase of social involvement

Robotic Gadget complex

workaround module

Mx. Kim(etc.)

(National Institution)2013

Research on interactive rehab robotsUpper limb rehab robot with

grip feature (NREX V2)

Mx. Song(etc.)

(National Institution)2013

Entry level under leg walking exercise rehabilitation

robot intermediate research

Rehab walking exercise

instrument

Mx. Eun(.etc)

(National Institution)2013

Developing instrument for brain Stroke patient’s

neurodynamic quantification and analyzation.

Stroke patient’’s hand abillity

assessment device(SHEA)

Mx.Sim(.etc)

(A University)2014

Robotic Gadget development for Severe disabled’s

increase of social involvement

6 degree of freedom automatic

robotic gadget

Mx. Kim(.etc)

(A Medi)2014

Research on entry level under leg walking exercise

rehabilitation robot’s commercialization

Entry level body walking

excise instrument

Mx. Eun, Mx. Kim (.etc)

(National Institution)2014

Under leg exoskeleton robot system, and movement

systemUnder limb exoskeleton robot

Mx. Paik(.etc)

(B University)2014

Walking, and upper limb exercise interactive exercise

rehab robot research

Upper limb rehab robot with

grip feature (NREX V3.0)

Mx. Song(.etc)

(National Institution)2014

Day-to -day life passive support exoskeleton robot and

arm development Wearable Robot Mx. Lee(.etc)

(C University)2014

Static Robot Static Robot

Flexible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robot.EXO-Glove Mx. Cho (.etc)

(D University)2014

Mock-up forexperiments

Research on entry level under leg walking exercise

rehabilitation robot’s commercialization

Entry level body walking

excise instrument

Mx. Eun (.etc)

(National Institution)2014

Entry level rehab support tool for brain stroke

hemiplegia disabled’s enhancement of walking ability,

and enhancement of ankle muscle

Ankle Muscle trainer

(1st Prototype)

Mx. Kim (.etc)

(National Institution)2015

Entry level walking exercise device and robotic

gadget’s usability test and clinical researches.

Universal handle, ankle joint

degrees change induction

device, harness system

Mx. Eun(.etc)

(National Institution)2015

Interactive rehab robot research towards walking and

upper limb rehabilitation environment.

Upper limb rehab robot with

grip feature. (NREX V3.1)

Mx. Song(.etc)

(National Institution)2015

Development of Variable Stiffness Actuator Module for

rehab robotsUpper limb rehab devices

Mx. Choi (.etc)

(ST)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mentsTools for brain strokes nerve

bio-mechanics analysis

Mx. Bae(.etc)

(ST)2015

Table 7. List of Prototype (2013~2015)

5. 향후 추진전략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시제품 개발, 특허 등록, 논

문 게재, 임상시험 및 의료기기 등록을 통해 성과를 도

출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의 도출을 가속화 하고 실제

장애인과 노인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

해 향후 추진할 전략의 수립 및 집행이 필요하다.

첫째, 단기 실용화를 위한 재활로봇 개발이 필요하

다. 재활로봇의 품목 분류가 의료기기로 분류되고 있

어 의료기기 인증에 따른 복잡한 절차와 시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

로 사업화가 가능한 보조기기 형태의 기술의 간략화

및 적정화를 통해 단기 실용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Page 2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Project Name Product Name IRB Approval # Participants Year

Research towards upper limb and

walking exercise with feedback

Rejoyce, WAM, MOTOmed(Clinical

Name::Basic research on stroke

disabled’s in life stretch movement)

NRC-2012-05-035 Brain Stroke 2014

C-mill((brain Stroke Patient’s walking

control through visual feedback)NRC-2013-04-037

Normal,

Brain Stroke2014

Strength evaluation tests(Clinical

Name:: The effect of hand bending

muscle on the grip strength of stroke)

NRC-2013-04-038Normal,

Brain Stroke2014

Development for BMI: Brain Machine

Interface ‘s R&D and service management.

Current technology validation

Brai n activation measurement with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fNIRS) and Brain

machine Interface(BMI)

NRC-2014-04-025Normal Adult

women2014

Research about walking and upper

limb rehab environment central

interactive rehab robot

Rejoyce, WAM, MOTOmed NRC-2012-05-035 Brain Stroke 2015

Rejoyce, WAM NRC-2013-01-003Normal,

Brain Stroke2015

C-mill NRC-2013-04-037Normal,

Brain Stroke2015

Strength Measurement

Device(Development)NRC-2013-04-038

Normal,

Brain Stroke2015

WAM NRC-2015-04-029 Brain Stroke 2015

SHEA NRC-2014-06-037Normal,

Brain Stroke2015

Entry level walking exercise instrument

and robotic gadget’s usability evaluation

and clinical research

NRCGT NRC-2015-02-015Brain Stroke

disabled2015

Non disabled and cervical root

damaged disabled’s exercise EEG data

analysis and compairsion

EEG NRC-2015-02-009

Normal Adult, spin e

damaged disabled,

all-limb paralyzed

disabled

2015

Research on spine damaged patient’s

upper limb rehab robot’s clinical effectArmeo Power NRC-2015-01-001

Spine damaged

Patient2015

Development of entry level muscle

reinforcement rehab devices for brain

stroke hemiplegia disabled’s wallking

ability enhancement

Ankle Muscle exercise

machine(development)NRC-2015-03-020

Normal,

Brain Stroke2015

Table 8 Clinical Trial and usability testing (’13~’15)

둘째, 노인과 장애인이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

플랫폼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영세성으로 실제 제품화가 어려운 측면

이 있으나 장애인과 노인의 신체 특성이 유사한 부분

이 있어 두 분류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재활로봇의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시장

을 확대하고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의 도

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건강보험을 통한 수가 산정이 필요하다. 재활

로봇의 특징상 매우 고가이므로 개인이 구입하기 어

려운 여건을 반영하여 국민건강보험내 수가의 산정이

시급하다. 수가의 산정을 위해 다양한 임상 시험과 의

학적 효과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의 지속적 추진 및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재활로봇 보급 시범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재활로봇은 현재 수가가 산정되지 않은 상태로 다양

Page 2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19

한 의료진 및 사용자가 경험해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가의 지원을 통해 다양한 재활로봇을 실제 의료 현

장에 적용해 보고 임상 경험을 쌓게 되면, 기업은 이

를 근거로 하여 해외 수출의 활로를 개척할 수 있어

선순환의 구조를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재활로봇중개연구는 2013년 본격적 시작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사업 기간은 짧지만 3년

동안 급속한 성장을 통해 재활로봇중개연구 분야에 높

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축경험이 매우 풍부하

다고 판단된다. 그 결과로 2013년 연구개발을 통해 18

건의 논문을 게재 되었고, 특허 총 3건 재활보행운동

장치 시제품 5건, 2014년 하지외골격로봇 등 시제품

12건, 2015년 발목근육훈련기 등의 시제품 15건 등 총

32건에 제작되었다. 특히 임상시험 및 사용성 평가 진

입실적 총 17건 창출하여 보건의료제품⋅서비스의 성

공적 개발 가능성 및 보급, 상용화의 가능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하지만 실제 제품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시험과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상용화 노력

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활로봇중개연구 관련 학회, 업

계, 연구기관 등에서 선진국 대비 우수한 기술력을 지

속적으로 확보한다면 국내⋅외 중계연구시장에서 경

영우위를 달성과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우리나라 재활

로봇중개연구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Ⅵ. 시사점

재활로봇의 장점은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치료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고, 치료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RIC에 따르

면 보통 연구는 전문 저널에 공개가 되고나서 해당

결과가 실무자들에 의해 정기적으로 사용되기까지 10

년 정도 걸린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재활로봇의 중개연구 활동에서는 환자

에게 적용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을 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개발부터

제품 출시까지 기업/개발자/재활전문가/임상의 등의

협력은 물론, 재활 로봇을 직접 사용하게 되는 최종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제품의 상용화 및 보

급을 추진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Kim, S. G. (2013). Concept and Success Conditions of

Translational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7). Government

R&D era of 10 trillion : Invest in the hopes of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2).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rehabilitation Robot

Translational Research.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4). Heavy Equipment

Development plan (2014~2018).

Lee, J. W. (2015). Current Status of Science Citation Index

(SCI) in Korea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Oh, Y. J. (2015). Comparisons of the R&D Investment

Size Between Korea and major nation Countries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Health Technology Licensing Office Field Work Manua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fact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2014.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1999). Clinical

Research: A National Call to Action, AAMC, Washington,

DC(http://www.aamc.org).

Minna, J. D., & A. F. Gazdar (1996). Translational Research

Comes of Age. Nature Medicine, 2, 974-975.

Kim, S. S., Park, S. H., Lee, C. G., & Roh, S. H. (2008).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R&D

Program of the New Government STEPI P.3.

Rustgi, A. K. (1999). Translational Research: What is It?.

Gastroenterology, 116, p.1285.

Page 2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Abstract

A study on the establishing strategy of the Rehabilitation Robot Intermediary

Research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Jang, Kyung-Bae*

*Mechanical and Control Engineering, The Cyber University of Korea, Seoil, Korea

Objective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about the statu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robot intervention research project and research results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to ana-

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roject and establish the future business improvement strategy

through this to achieve the advanced business.

Method : W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projects, patents, thesis achievements, prototype

development, clinical trials, and usability evaluations for rehabilitation robot intervention re-

search objectively. In particular,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business managers and

stakeholders has complemented and supplemented the shortcomings of the project.

Result : In 2013 8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3 patents, and

5 prototypes of rehabilitation gait exercise devices were developed. In 2014,15 prototypes such

as exoskeleton robots, and in 2015, 32 prototypes such as 15 ancillary muscle trainer were

produced. Especially, it was analyzed that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development and dis-

semination of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and commercialization will be high by creating

17 clinical trials and usability evaluat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market of rehabilitation robo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dditional strategies such as prod-

uct development for short - term use, development of product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ealth insurance public companies insurance cost calculation, and finally the pilot project for

rehabilitation robot.

Conclusion : Rehabilitation Robot Intermediary Research started full fledged in 2013.Although it is shorter

than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Europe and Japan, it is experiencing rapid techno-

logical development by clinical research in the research field of rehabilitation robot for 3

years. However, research on rehabilitation robot intervention in Korea is insufficient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based on commerci-

alization in the future to carry out business.

Key Words : Rehabilitation Robot, Translational Research, Performance Analysis, Strategy Plan, FGI

Page 2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정승민*, 상미숙**, 박동자***, 양영애****

*국립재활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재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국문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휠체어 조작능력, 자신감의 수준, 안전한사용 및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해

휠체어 사용의 현 수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독립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한 휠체어 제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2월 1일부터 동년 3월 1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장기요양 급여를 이

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휠체어에서 의자로의 이동’이 조작능력 및 자신감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턱 오르고 내리기’,

‘경사 오르고 내리기’ 등 지속적 근력이 요구되는 기술항목에서 조작능력 및 자신감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안전사고 경험은 ‘없음’이 97.1%이나, 휠체어 사용 교육 및 훈련 받은 경

험이 77.1%가 ’없음‘으로 응답하였다. 60%가 휠체어 사용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을 응답하였으며,

‘주의사항교육’, ‘휠체어 구성품 조절’ 및 ‘조작기술 교육’순으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독립적인 휠체어 사용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를 통한 사용수준의 평가 및 휠체어 사용교육 등 맞춤

형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에는 휠체어 사용 수준 및 기술 평가를 위한 표준

화된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수동휠체어, WST-Q, 조작능력, 자신감

Corresponding author: Yang, Yeong-Ae([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Received 27 April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27 April 2018; Accepted 24 May 2018

Ⅰ. 서 론

저출산 고령화시대가 접어들면서 노인인구는 증가

하고 있으며 노인이 장애인이 되고 장애인이 노인이

되어가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2014년 장애인실태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이면서 노인인 수는 전체 장애

인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HSA,

2014).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작되면서

일상생활⋅신체활동지원 및 인지기능 유지 향상을 위

해 복지용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약21만명이 수혜를

받고 있다(NHIS, 2016). 그중에서도 수동휠체어는 전

체 17개 품목에서 32.1%를 차지하며, 8개의 대여품목

중에서 수동휠체어가 6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수요가 높고,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된다.

수동휠체어는 독립적인 사회의 참여와 활동에 중요

Page 2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Item Cont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Medical care grade, Physical

Function, Disease

Experience of

wheelchair use

Period of Wheelchair use, Wheelchair

Feature, Purpose of use, Propeller

Wheelchair

Skill AbilityCapacity, Confidence

Education and

Safety accident

to Wheelchair

use

Experience of Accidents, Cause of Accidents,

Type of Accidents, Experience to wheelchair

use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d level of

use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d contents

of wheelchair use education

Table 1. The Contents of survey

한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Kirby et al., 2016; Smith

& Kirby, 2011.) 노인의 재활에서 사회적 참여와 활동

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나 개개인의 고령화로 인

해 참여 제약이 주로 발생되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휠체어를 필요로 한다(Sakakibara et al., 2014). 앞으로

노인들의 생활수명이 연장되기 때문에 더 많은 65세

이상 노인의 휠체어 사용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 된

다(Sakakibara et al., 2013a).

이동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과 노인에게 독립적인

이동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수동휠체어가 자

주 처방되었다(Kirby et al., 2016; Sakakibara et al., 2014;

Sakakibara et al., 2013a; Sakakibara et al., 2013b). 그러

나 사실상 휠체어 사용 그자체가 활동의 장벽이 된다는

인식이 되기도 하며 독립적 이동을 어렵게 하기도 한다

(Shields, 2004). 특히 노인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휠체어

및 이동기기를 다루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휠체어를 이

용하는 것이 독립성을 더 낮추게 한다는 보고(Sakakibara

et al., 2014, Sakakibara et al., 2013a)와, 연령이 증가 할

수록 휠체어 사용 그 자체가 위험요소가 된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이 되고 있다(Sakakibara et al.,

2014).

노인이 휠체어를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

해서는 휠체어 사용의 조작능력과 자신감을 강조하고

있으며(Sakakibara et al., 2014, Sakakibara et al., 2013a),

휠체어 조작능력의 낮은 수준은 독립적 이동을 어렵게

하고 접근성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9]. 사회인지이론에

따른 자신감(confidence)은 목표 달성을 위한 개개인의

수행 능력에 대한 확신을 의미한다(Sakakibara et al.,

2013b). 다수의 연구에서 자신감은 노인의 휠체어 사용

을 통한 사회적 참여에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 있

다(Sakakibara et al., 2013a; Sakakibara & Miller, 2015).

그러나 아직까지 노인들의 휠체어 조작에 필요한 기술

에 대한 조작능력, 자신감의 정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65세 이상 노인의

휠체어 조작능력 및 자신감을 평가하는 것이며, 둘째

로 노인의 안전한 수동휠체어 사용실태 및 교육 요구

도를 알아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종합하여 노인

의 독립적이고 안전한 수동휠체어 사용을 위한 효과

적인 휠체어 제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7년 2월 1일부터 동년 3월 10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재가 노인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1:1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

상자는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를 실시하는 복지용구사

업소를 통해 65세 이상, 수동휠체어 이용 경험자 및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를 기준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과정에서 사용수준 및 실태에 관한 명확한 자료

를 얻기 위해 보호자 또는 보조인을 참여시켜 함께

실시하였다.

2. 연구도구

노인의 휠체어 조작능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캐나다 델하우지 대학교에서 개발한 휠체어 사용

기술 평가 설문지WST-Q 4.3 버전(Wheelchair Skill Test-

Questionnaire: WST-Q)을 이용하였다. WST-Q는 휠체어

사용기술에 필요한 3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능력(capacity, 조작기술을 할 수 있는가?), 자신감

(confidence, 각 기술에 대한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를 자가 평가하여 잠재적 훈련 목표 확인 및 점수화할

수 있는 설문형태의 평가도구이다(Kirby et al., 2015).

휠체어 사용경험 및 요구도는 Kong(2013)의 연구와 Yang

등 (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사고유형, 사고경험 및 교

Page 2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23

육 훈련 요구정도에 관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ST-Q 4.3버전의 평가도와 휠체어 사용

경험 및 교육훈련 요구정도에 관한 설문을 종합하여

<Table 1>과 같이 최종 구성하였다.

3. 연구절차

정보수집 및 활용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2017년 2

월 1일부터 동년 3월 10일까지 서울에서 거주하는 재

가 노인장기요양 급여 대상자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자

외 2인과 대면 약속을 잡아 1:1 방문 조사를 통해 설문

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설문의 각 항목별 내용을 보고

휠체어 사용 경험을 중심으로 자가보고식(self-reported)

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의미 전달 등의 보충이 필

요할 경우 개입하여 일부 내용을 전달하였다.

4. 연구 분석

연구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휠체어 사용경험, 휠체어 조작

능력, 자신감 및 휠체어 안전사용 실태에 대해 기술통

계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연구 대

상자는 남자가 22명(31%), 여자가 48명(69%)로 여자가

남자 보다 많았다. 연령은 75~79세가 30명(42.9%)으로

가장 많았으며, 80~84세 13명(18.6%), 90세 이상 10명

(14.3%)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등급에서는 3등급이 28

명(40%)로 가장 많았고, 4등급 18명(25.7%), 1등급 11

명(15.7%), 2등급 10명(14.3%), 5등급 3명(4.3%)의 분포

를 나타냈다. 신체적 기능면에서는 양손사용이 가능한

대상자가 19명(27.1%), 좌측편마비가 15명(21.4%), 우

측편마비가 13명(18.6%)으로 양손 또는 편측 손의 사

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으로는 뇌졸중이 34

명(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치매 11명(16%), 파킨슨

이 9명(13%), 퇴행성 질환 6명(9%) 순으로 나타났으며

뇌혈관성 질환이 주를 이루었다.

Division Contents Frequency

GenderMale 22(31)

Female 48(69)

Age

65~ 69years 1(1.4)

70~ 74years 8(11.4)

75~ 79years 30(42.9)

80~84years 13(18.6)

85~89years 8(11.4)

90 years 10(14.3)

Medical care grade

1 11(15.7)

2 10(14.3)

3 28(40)

4 18(25.7)

5 3(4.3)

Physical

Function

Use of both hands 19(27.1)

Lt. hemi 15(21.4)

Rt. hemi 13(18.6)

Etc 23(32.9)

Disease

Stroke 34(48)

Dementia 11(16)

Parkinson 9(13)

Degenerative

disease6(9)

Etc 10(14)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N=70)

(Unit: N, %)

2. 휠체어 사용경험

휠체어 사용경험은 <Table 3>과 같다. 휠체어 사용기

간은 5년 이상 24명(34.3%)이 가장 많았으며, 2년 이상

3년 미만과 4년 이상 5년 미만이 각각 14명(20%), 3년

이상 4년 미만이 9명(12.9%), 1년 이상 2년 미만 5명

(7.1%), 1년 미만 4명(5.7%)으로, 전체 평균 사용기간이

3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사용하는 휠체어 특

성을 살펴보면, 90%이상이 표준형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팔걸이와 발걸이 분리형 휠체어는

51명(73%), 고정형 12명(17%)으로 나타나 ‘옮겨앉기’가

용이한 휠체어를 주로 선택하였다. 반면에 10%가 침대

Page 3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Item Contents Frequency(N, %)

Period of Wheelchair Use

Less than a year 4(5.7)

1 years 5(7.1)

2 years 14(20)

3 years 9(12.9)

4 years 14(20)

5 years~ 24(34.3)

Wheelchair Feature

Bed TypeRecline, Footrest Elevation & Separated 6(9)

Recline, Tilting, Armrest & Footrest Separated 1(1)

StandardArmrest & Footrest Separated 51(73)

Armrest & Footrest Fixed 12(17)

Weight average 15.5kg

Purpose of Use *

Restroom 11(7.9)

Go out 49(35)

Out of room 6(4.3)

Hospital 64(45.7)

Etc. 10(7.1)

Propeller**

Family 62(49.6)

Long-term care giver 49(39.2)

User 14(11.2)

Plural response *(n=140), **(n=125)

Table 3. Experience of wheelchair use(N=70)

형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클라인, 발걸이 거상

및 분리형 6명(9%), 리클라인과 틸팅, 팔걸이 발걸이

분리형 1명(1%)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하

는 휠체어의 평규무게는 15.5kg이며 다소 무게감 있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를 사용하

는 주요목적은 64명(45.7%)이 ‘병원 갈 때’ 주로 사용하

였고, 다음으로 ‘외출할 때’ 49명(35%), ‘화장실 갈 때’

11명(7.9%), ‘방에서 나갈 때’ 6명(4.3%)으로 나타났다.

주로 실외 활동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시

추진 보조해주는 자는 가족이 62명(49.6%)으로 가장 높

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요양보호사가 49명(39.2%)으로

나타났다.

3. 조작능력(Capacity)

휠체어 사용에 필요한 34가지 조작기술에 대한 조

작 능력을 평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34가지

조작기술에 대해 대부분의 노인 휠체어 사용자가 할

수 없거나 겨우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겨우 가능

한 수준을 살펴보면, ‘휠체어에서 의자로 이동(11번

항목)’이 25명(35.7%)으로 가장 많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짧은 거리 전진(2번 항

목)’ 11명(15.7%), ‘바닥에 있는 물건 줍기(9번 항목)’

7명(10%), ‘엉덩이 압력 완화시키기(10번 항목)’ 6명

(8.6%), ‘짧은 거리 후진(3번 항목)’이 5명(7.1%),‘발걸

이, 발판 조정 등의 자세변환 기능 조작(1번항목)’이 3

명(4.3%), ‘좁은 공간에서 옆으로 지나가기(7번 항목)’

2명(2.9%)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제자리 회전(4

번 항목), 전진하면서 회전(5번 항목), 높이 있는 물건

손 뻗기(8번 항목), 장물 또는 주변 사람 피해서 이동

(15번 항목), 2m거리의 부드러운 지면 이동(21번 항

목)’에서 1명(1.4%)이 겨우 수행 가능하다고 응답하였

다. 경사 오르고 내리기(16번~19번 항목), 턱 오르고

내리기(22번~27번 항목), 휠체어를 타고 계단 오르고

내리기(33번~34번 항목) 및 휠리 자세를 통한 활동(28

번~31번 항목) 등에서 전혀 할 수 없음으로 나타났으

Page 3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25

Skill Description Yes With Difficulty No

1 Operates body positioning options 3(4.3) 67(95.7)

2 Rolls forwards short distance 11(15.7) 58(82.9)

3 Rolls backwards short distance 5(7.1) 65(92.9)

4 Turns in place 1(1.4) 69(98.6)

5 Turns while moving forwards 1(1.4) 69(98.6)

6 Turns while moving backwards 0(0) 70(100)

7 Maneuvers Sideways 2(2.9) 68(97.1)

8 Reaches high object 1(1.4) 69(98.6)

9 Picks objects from floor 7(10) 63(90)

10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 6(8.6) 64(91.4)

11 Level transfer 25(35.7) 45(64.3)

12 Folds and unfolds wheelchair 0(0) 70(100)

13 Gets through hinged door 0(0) 70(100)

14 Rolls longer distance 0(0) 70(100)

15 Avoids moving obstacles 1(1.4) 69(98.6)

16 Ascends slight incline 0(0) 70(100)

17 Descends slight incline 0(0) 70(100)

18 Ascends steep incline 0(0) 70(100)

19 Descends steep incline 0(0) 70(100)

20 Rolls across side-slope 0(0) 70(100)

21 Rolls on soft surface 1(1.4) 69(98.6)

22 Gets over threshold 0(0) 70(100)

23 Gets over gap 0(0) 70(100)

24 Ascends low curb 0(0) 70(100)

25 Descends low curb 0(0) 70(100)

26 Ascends high curb 0(0) 70(100)

27 Descends high curb 0(0) 70(100)

28 Performs stationary wheelie 0(0) 70(100)

29 Turns in place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0 Descends steep incline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1 Descends high curb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2 Gets from ground into wheelchair 0(0) 70(100)

33 Ascends stairs 0(0) 0(0)

34 Descends stairs 0(0) 0(0)

Table 4. Wheelchair Skill Capacity(N=70)

며, 대부분 많은 근력 사용이 필요한 기술항목과 근력

유지를 통한 기술 수행 등이 전혀 수행 할 수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4. 자신감(Confidence)

휠체어 사용에 필요한 34가지 조작기술에 대한 자

신감을 평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34가지 조작

기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 수준이 조금 있거나 전혀 없

Page 3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kill Description Somewhat Not at all

1 Operates body positioning options 3(4.3) 67(95.7)

2 Rolls forwards short distance 10(14.3) 60(85.7)

3 Rolls backwards short distance 3(4.3) 67(95.7)

4 Turns in place 0(0) 70(100)

5 Turns while moving forwards 1(1.4) 69(98.6)

6 Turns while moving backwards 0(0) 70(100)

7 Maneuvers Sideways 2(2.9) 68(97.1)

8 Reaches high object 0(0) 70(100)

9 Picks objects from floor 7(10) 63(90)

10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 6(9) 64(91)

11 Level transfer 20(29) 50(71)

12 Folds and unfolds wheelchair 0(0) 70(100)

13 Gets through hinged door 0(0) 70(100)

14 Rolls longer distance 0(0) 70(100)

15 Avoids moving obstacles 0(0) 70(100)

16 Ascends slight incline 0(0) 70(100)

17 Descends slight incline 0(0) 70(100)

18 Ascends steep incline 0(0) 70(100)

19 Descends steep incline 0(0) 70(100)

20 Rolls across side-slope 0(0) 70(100)

21 Rolls on soft surface 1(1.4) 69(98.6)

22 Gets over threshold 0(0) 70(100)

23 Gets over gap 0(0) 70(100)

24 Ascends low curb 0(0) 70(100)

25 Descends low curb 0(0) 70(100)

26 Ascends high curb 0(0) 70(100)

27 Descends high curb 0(0) 70(100)

28 Performs stationary wheelie 0(0) 70(100)

29 Turns in place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0 Descends steep incline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1 Descends high curb in wheelie position 0(0) 70(100)

32 Gets from ground into wheelchair 0(0) 70(100)

33 Ascends stairs 0(0) 0(0)

34 Descends stairs 0(0) 0(0)

Table 5. Wheelchair Skill confidence(N=70) (Unit: N, %)

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신감이 조금 있는 수준을 항

목별로 살펴보면, ‘휠체어에서 의자로 이동(11번 항목)’

이 20명(29%)으로 가장 많은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고, 다음으로 ‘짧은 거리 전진(2번 항목)’이 10명

(14.3%), ‘바닥에 있는 물건 줍기(9번 항목)’가 7명(10%),

‘엉덩이 압력 완화 시키기(10번 항목)이 6명(9%), ’자세

변환 기능 조작(1번 항목)‘과 ’짧은 거리 후진(3번 항

목)‘이 3명(4.3%)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좁은 공

간에서 옆으로 지나기(7번 항목)’ 2명(2.9%), ‘전진하면

서 회전(5번 항목)’과 ‘2m거리 부드러운 지면 이동(21

Page 3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27

Item Contents Freq.(N, %)

Experience of

Accidents

Yes 2(2.9)

No 68(97.1)

Cause of Accidents

N/A 68(97.2)

Transfer 1(1.4)

Etc 1(1.4)

Type of AccidentsN/A 68(97.1)

Falling 2(2.9)

Experience to use

education and training

Yes 16(22.9)

No 54(77.1)

Required level of use

education and training

Need 42(60)

Usually Need 13(18.6)

Not Need 15(21.4)

Required contents of

wheelchair use

education*

Notices 44(32.6)

Adjustment of

wheelchair parts43(31.9)

Wheelchair skill 42(31.1)

Maintenance 4(3)

Basic repair 2(1.5)

*Plural response(n=135)

Table 6. Education and Safety accident to Wheelchair

use(N=70)

번 항목)’ 1명(1.4%)이 자신감의 조금 있는 수준을 나

타내었다. ‘인도턱 오르기 및 내려오기(24번 항목~27번

항목)’, ‘경사 오르고 내리기(16번~19번 항목)’, ‘휠리

자세로 수행(28번~31번 항목)’, ‘계단 오르고 내리기

(33번~34번 항목)’ 등에서 자신감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휠체어 사용 및 교육 실태

휠체어 안전사용에 관한 실태결과는 <Table 6>과

같다. 휠체어 사고경험은 69명(98.6%)이 없음을 응답

하였고, 1명(1.4%)이 사고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유형은 ‘옮겨 앉기 및 옮겨질 때’가 1명(1.4%),

‘기타’가 1명(1.4%)으로 나타났으며, 사고형태는 ‘넘어

짐’ 2명(2.9%)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사용 교육 및 훈련

을 받은 경험은 ‘전혀 받은 적 없음’이 54명(77.1%)으로

가장 많았으며, ‘받은 적 있음’이 16명(22.9%)으로 대부

분이 휠체어 사용에 관한 교육 및 훈련 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및 훈련 필요성에 대해서

는 ‘필요하다’가 42명(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없다’가 15명(21.4%), 보통이 13명(18.6%)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이용자가 교육이 필요함으로 나타

내고 있었다. 휠체어 사용 교육의 필요한 내용은 ‘주의

사항교육’이 44명(32.6%)으로 가장 많았고, ‘휠체어 구

성품 조절 교육’ 43명(31.9%), ‘조작기술교육(조작훈련)’

42명(31.1%), ‘유지관리교육(점검 및 세척)’ 4명(3%), ‘기

본수리교육’ 2명(1.5%) 순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수동휠체어 사용조

작 능력 및 사용실태를 알아보았다. 수동휠체어는 이동

의 독립성을 향상시켜 생활 환경 범위(life space)를 높

여주는 중요한 이동 보조기기이다. 또한 안전하고 독

립적인 이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작능력, 자신감 등

이 중요한 요소임을 언급하고 있다(Kirby et al., 2016;

Sakakibara et al., 2014; Sakakibara et al., 2013a).

본 연구결과 수동휠체어 이용자는 3등급의 요양등

급을 받은 자가 가장 많았고 뇌졸중 질환으로서 편마

비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동휠체어의 특성

으로는 표준형 휠체어이면서 옮겨앉기 수행에 용이한

팔걸이와 발걸이 분리되는 휠체어를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으며 평균 무게가 15.5kg으로 나타났다. 팔걸이

분리형은 옮겨앉기 수행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 있으

나, 15.5kg의 무게는 근력이 약한 편마비 노인이 독립적

이동을 위한 무게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무게에 대한 불만족은 간병인의 휠체어 만족도

와 노인환자의 휠체어 만족도 조사 연구에서도 무게

에 대한 불만족이 제시되기도 하였다(Lee et al., 2016).

수동휠체어 사용의 목적이 외출할 때와 병원 갈 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가족이나 요

양보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는 노인 환자들의 휠체어 사용 만족도 결과와도 유

사하게 나타났다(Park & Shin, 2015).

수동휠체어 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조작기술 항목에

대한 조작능력 평가 결과 ‘휠체어에서 의자로의 이동’

및 ‘짧은 거리 전진’에 대해서는 조작이 가능한 것으

로 나타났으나, ‘턱오르고 내리기’, ‘100m 장거리 이

Page 3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2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동’, ‘경사 오르고 내리기’, ‘휠리 자세 수행’ 등 근력

사용 및 유지가 필요한 휠체어 조작에서는 전혀 수행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휠체어 사용에 있어서 자신감을 살펴본 결과,

‘휠체어에서 의자로의 이동’ 및 ‘짧은 거리 전진’에 대

해서는 자신감이 보통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도턱 오르기 및 내려오기’, ‘경사 오르고 내리기’,

‘휠리 자세로 수행’, ‘계단 오르고 내리기’ 등에서 자신

감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작능력과 자신감

수준 간에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해

석은 휠체어 사용의 조작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

감이 높아지는 상관관계 유의성이 높은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Kirby et al., 2016; Sakakibara et al.,

2014; Sakakibara et al., 2013a).

휠체어 사용에 대한 사고경험은 ‘없음’이 가장 많았

으나 휠체어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 또한 ‘없

음’이 가장 많았다. 필요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

사한 결과 ‘주의사항 교육’ 및 조작기술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휠체어 제공에 따

른 사용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사용자가 사용능력과 자

신감은 낮고 가족 및 주변인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지며(Rushton et al., 2014), 독립적인 생활환경범위(life

space)가 축소될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참여 빈도와 생활환경범위가 높다는 상호관계

연구 결과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Sakakibara et al., 2014).

또한, 일본 테크노에이드 협회에 따르면, 이용자의 사

용부주의와 사용환경의 부적합한 보조기기의 이용으

로 인한 사고 발생이 60%를 차지한다고 보고하고 있

다(公益財団法人 テクノエイド協会). 결과적으로 안

전하고 독립적인 이동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정

확한 사용수준을 평가하여 제공되는 것이 필요해 보

인다. 두 번째는 제품 지급과 더불어 전문가를 통한

맞춤형 서비스 공급체계 마련 및 체계적인 사용교육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교육 및

조작 기술 훈련에 대한 지원체계가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휠체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

해 다양한 휠체어 조작기술에 대한 평가와 진단, 독립

적 이동을 위한 재활훈련 목표의 설정을 위한 표준

테스트를 위한 도구가 아직 없는 현실이다(Killens et

al., 2003). 독립적 이동 및 사용 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휠체어 사용 훈련 지표 및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해 조사하였으나 표본의 수가

크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

계점이 있으며, 향후 표본의 크기를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NHIS. (2016). Statics of assistive device for Long term

care.

KIHSA. (2014).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2014.

Yang, Y. A., Seok, G. H., Jang, G. B., Kim, B. S., Lee,

J. H., Kim, D. J., ... Lee, B. M. (2015). A Study on

the repair public paid of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tual us of electric assistive de-

vice, NHI.S

公益財団法人 テクノエイド協会

http://www.techno-aids.or.jp/hiyari/hiyari01.html

Kong, J. Y. (2013). The Safety Incidents Survey of Mobility

Assistive Device Us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2), 1-16.

Lee, J. A., Lee, B. S., Choi, H., Yoo, S. M., Yang, S.

p., Bae, J. H., & Park, H. R. (2016). An Investigation

of caretakers needs for changes in electric wheelchairs.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10(3), 177-184.

Park, S. H., & Shin, J. I. (2015). Wheelchair Usage and

Satisfaction Survey of Elderly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9(4), 257-263.

Kirby, R. L., Worobey, L. A., Cowan, R., Pedersen, J. P.,

Heinemann, A. W., Dyson-Hudson, T. A., ... Boninger,

M. L. (2016). Wheelchair skills capacity and perform-

ance of manual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7,

Page 3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29

1761-1769.

Kirby, R. L., Smith, C., Parker, K., McAlister, M., Hons,

J. B., Rushton, P. W., ... Brandt, A. (2015). The

wheelchair skills program manual ver4.3.

Kirby, R. L., Mifflen, N. J., Thibault, D. L., Smith, C.,

Best, K. L., Thompson, K. J., & MacLeod, D. A.

(2004). The manual wheelchair-handling skills of care-

givers and the effect of trai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 2011-2019.

Killens, O. J., Post, M. W., Dallmeijer, A. J., Seelen, H.

A., & Van Der Woude, L. H. (2003). Wheelchair skills

tests: a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17, 418-430.

Rushton, P. W., Routhier, F., & Smith, C. (2014).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wheelchair skills test-

questionnaire for powered wheelchair users. Disabil

Rehabil Assist Technol, 11(5), 400-406.

Sakakibara B. M., & Miller W. C. (2015). Prevalence of

low mobility and self-management self-efficacy in man-

ual wheelchair users and the association with wheel-

chair skill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

habilitation, 96, 1360-1363.

Sakakibara, B. M., Miller, W. C., Routhier, F., Backman,

C. L., & Eng, J. J. (2014). Association between self-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dwelling man-

ual wheelchair users aged 50years or older. Physical

therapy, 94(5).

Sakakibara, B. M., Miller, W. C., Souza, M., Nikolova,

V., & Best, K. L. (2013a). Wheelchair skill training to

improvement confidence with using a manual wheel-

chair among older adults: A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4, 1031-1037.

Sakakibara, B. M., Miller, W. C., Eng, J. J., Backman, C.

L., & Routhier, F. (2013b).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old-

er manual wheelchair users. Archives of physical medi-

cine and rehabilitation, 94, 791-794.

Shields, M. (2004). Use of wheelchairs and other mobi-

lity devices. Health Rep, 15, 37-41.

Smith, C., & Kirby, R. L. (2011). Manual wheelchair skills

capacity and safety of residents of a long-term-care

facil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2.

Page 3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3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Abstract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Use of Manual Wheelchair Skills Ability

of the Elderly over 65Years

Jung, Seung-Min*, A.T.P., Sang, Mi-Suk**, Park, Dong-Ja***,

Yang, Yeong-Ae****, Ph.D, O.T.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stitute of aged life redesign,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derly 's capacity to manipulate the wheel-

chair, the level of self-confidence, the frequency of wheelchair skills practice, and the safe use

and education of wheelchair users, and to provide a wheelchair for independent and safe use.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living in

Seoul from February 1, 2017 to March 10, 2017,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nduct

a 1: 1 visiting questionnaire.

Result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ransferring from a wheelchair to a chair' was com-

mon high in manipulation capacity, self – confidence frequency of operation, and in the skill

items requiring continuous strength such as ‘Ascends and Descends low curb', ‘Ascends and

Descends steep incline’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low. In the case of wheelchair ac-

cident experience, 97.1% answered 'No', but 77.1% answered 'No' in the experience using

wheelchair education and training. 60% responded to the need for training and training in us-

ing wheelchairs, and education was required in order of 'cautions training', 'control of wheel-

chair components', and 'operation skill training'.

Conclusion :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independent wheelchai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us-

tomized support system such as evaluation of level of use through experts and education on

wheelchair us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ized evaluation tool for

wheelchair use level and skills evaluation.

Key Words : Manual Wheelchair, WST-Q, Wheelchair Skill Capacity, Confidence

Page 3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조미림*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목적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

료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통

하여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을 키워드로 하여 국내학회지를 전

자 검색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2007년에서 2017년까지 매년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으며,

총 5개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행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경

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연구 대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 파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

Corresponding author: Cho, Mi-Lim([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Honam University)

Received 3 April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3 April 2018; Accepted 8 May 2018

Ⅰ. 서 론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는 현재 13.8%로 고령사회를

앞두고 있고, 장애인 수는 249만명으로 지속적인 증가

율을 보인 후, 일정비율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이 같은 현상에 따라 노인 및 장애인의

복지 및 삶의 질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 주거문제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인

으로 자리 잡고 있다(Kim, Kim & Park, 2017; Kim,

Chang, Kim & Kang, 2006).

주거는 인간의 삶이 시작되는 곳이며, 가장 편안하

게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다(An, 2015). 주택 내

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노인들에게 주거환경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Pak, Jae & Chan, 1995).

그러나 기존의 주택은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등 비

장애인과 장애인 모두에게 계단 및 단차, 턱 등 많은

부분에서 개선을 필요로 한다(An, 2015).

선진국에서는 주거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정책으로 일반 주택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서비

스를 통해 신체적으로 허약해진 노인들이 주택에 거주

할 수 있게 한다(Lee, 2015).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및

장애인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2006년 한국산업규격

KS로 주거공간에 대한 설치치수 원칙 및 기준을 제시

하는 등 제도 마련과 다양한 지역사회 서비스가 이루

어지고 있지만, 공공의 제한된 자원 내에서 배분되어야

Page 3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3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제약을 가지고 있다(An, 2015).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가정 내에 있는

시설물이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에 의한 골절 등

간단한 사고에 노출되기 쉽다(Korea Consumer Agency,

2003). 또한 장애인에게 지원성이 지나치게 낮은 환경은

장애인을 좌절시키고 스트레스와 불만족을 가중시킨다

고 하였다. 따라서 그들이 지내는 환경이 어느 정도 도

전적이고, 동시에 안정적인 조화점을 찾기 위해서는 적

절한 환경선택과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Victor, 1994).

작업치료 이론에서 인간작업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과 인간-환경-작업모델(Person-Environ ment-

Occupational Model)은 작업을 기능적으로 수행하기 위

해서는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하였다(Lee, Taylor,

Kjelhofner & Fisher, 2008; Metzler & Metz, 2010). 작업

치료사는 보건의료 전문직의 하나로 노인 및 장애인의

현실적응과 일상생활 자립도모를 위해 가정환경 수정

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Cho, Park & Yang, 2011;

Yang et al, 2016). 가정환경 수정은 노인 및 장애인 등

사는 사람이 생활의 자립이나 안전, 간병부담의 경감

등에 효과를 발휘하여 기분 좋게 살기 위한 하나의 방

법으로 주거자의 특성과 요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Yang et al, 2016). 주거환경개선을 위

한 환경수정은 기능적 독립성을 촉진하고 안전성을 증

진시키며, 개인돌봄서비스에 대한 필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지닌다(Sanford, March & Butterfield,

2005). 많은 노인 및 장애인이 가정환경 수정을 통한

거주환경 개선을 원하지만, 실제로 개조가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Yang et al, 2016).

노인과 장애인이 증가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이 시점에서

기존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에 대

해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특히 주거

환경개선에 대한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개입 사례가

많지 않는 이 시점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강화하

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동향의 파악

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주거환경과 관련된

연구가 어떠한 동향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연

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논문 선정 과정을 거쳤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주제어는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으로 국내학회지 논문을 전자 검색하였다.

그 중 발행연도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

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중복되는 논문이나 작

업치료 분야가 아닌 논문, 연구동향 파악에 부적합한

논문들은 제외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논문 12편이 선정되었다.

2. 연구내용

최종 결정된 12편의 논문은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

하기 위하여 연구자료 연도별 발행처, 연구주제, 연구

대상, 연구방법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료의

연도별 범위는 200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이며,

연도별 발행처 분석은 자료수집에 이용된 학술연구정

보시스템과 DBpia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자료가 등록

된 연도와 출처를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

구방법별로 범주화하여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의 주요한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SPSS 22.0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

구동향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의 연도별 발행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Page 3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33

Classification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Total

(%)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 - 1 - 1 - 1 - - -

3

(25)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 - - 2 1 - -

3

(25)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1 - - - - - - - - 1 1

3

(25)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 - 1 1 - - - - - -

2

(16.7)

The Korea Contents Society - - - - - - 1 - - - -1

(8.3)

Total (%)1

(8.3)

0

(0)

0

(0)

2

(16.7)

1

(8.3)

1

(8.3)

1

(8.3)

3

(25)

1

(8.3)

1

(8.3)

1

(8.3)

12

(100)

Table 1. Journal of yearly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Assessment tool 2 16.7

Design preferences 2 16.7

Effect of residential modification 3 25

Needs of residential modification 4 33.3

Universal design 1 8.3

Total 12 100

Table 2. Research topics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Dementia 2 16.7

Elderly 4 33.3

Disabled 4 33.3

Stroke 2 16.7

Total 12 100

Table 3. Characteristics of subjects

Ⅲ. 연구결과

1. 연도별 발행처 동향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의 연도별 발행

처를 분석해보면 표 1과 같다. 먼저, 연도별로 분석해

보면 2014년에 3편(25%)으로 가장 많이 게재되었으며,

2010년에 2편(16.7%)으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최

근 3년간 주거환경과 관련된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는

1편(8.3%)으로 10년간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는 매년 최대 3편 이하로 발행되었다.

발행처별 현황을 살펴보면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에서 모

두 3편(25%)씩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

외에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에서 2편(16.7%), 한

국콘텐츠학회에서 1편(8.3%)을 발행하였다.

2. 연구 주제별 동향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의 주제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고려하

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별 동향은 표 2와 같다. 연

구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

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

거환경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범주화되었

다.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4편

(33.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주거환

경개선의 효과가 3편(25%)로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3. 연구 대상별 동향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의 연구대상별

동향에 대해 분석해보면 표 3과 같다. 여러 종류의 장

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3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외에도 뇌

Page 4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3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졸중 환자와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각 2

편(16.7%)을 차지하였다.

4. 연구 방법별 동향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의 연구방법별

동향에 대해 분석해보면 표 4와 같다. 조사연구가 6편

(5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실험연구가 3편(25%)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례연구,

문헌연구 등이 있었다.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Case study 1 8.3

Research study 6 50

Experimental study 3 25

Literature study 1 8.3

Another study 1 8.3

Total 12 100

Table 4. Characteristics of subjects

Ⅳ. 고 찰

본 연구는 주거환경과 관련하여 국내 작업치료 연구

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

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 12편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선정된 연구

논문은 연도별 발행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별로 범주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도별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최대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작업치

료 분야에 비해 작업치료 내에서 주거환경개선 분야

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주거환경 관련 영역으로 작업치료사의 진출

및 지역사회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관심

증대가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발행처별 현황 분

석 결과에 따르면, 총 5개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행하였고, 대한보조공학기술

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에서 가장 활발하게 관련 주제의 논문을 발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개의 학회 모두 해당 연구주제와 학

회 특성 간의 밀접성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 주제별 분석에 따르면,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

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

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

경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이 차

지하였다. 주거환경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활성

화를 위해서는 먼저 노인 및 장애인의 주거환경에 대

한 인식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요구

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

련된 연구가 많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

료 연구 대상으로 모두 노인과 장애인 대상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령대 또는 특성을 지닌 그룹보

다 노인과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이 시

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조

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였는데, 주거환경개

선에 대한 요구도와 관련된 주제가 주제별 동향 분석

에 1위를 차지한 것을 고려해 보면, 연구주제 특성상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차지하였을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작업치료사가 환경

수정과 관련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거환경개선 사례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주거환경개선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

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 환자와 보호자의 인식도가

낮았으며,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개선 기초조사에서

는 응답자의 81.1%가 주거환경개선은 경제적 비용 때문

에 부담스러워 주거환경개선이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

하였다(Lee, Lee & Lee, 2007; Jang, Kim & Kim, 2015).

노인과 장애인들은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매일의

생활에 익숙해져 문제가 되어도 인식하기 쉽지 않다

(Yang et al, 2016).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 및

장애인들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해서는 제도적 마련도

중요하지만, 작업치료사의 역할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치료사는 노인 및 장애인에게 전문가

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주거환경개선

에 대한 효과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Johansson, Lilja,

Petersson & Borell, 2007). 또한 획일적인 주거환경개

Page 4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35

선보다는 노인 및 장애인의 환경적 상황과 경제적 비

용을 고려한 최소한의 주거환경개선과 생활의 불편함

을 보완할 수 있는 적절한 보조도구의 제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주거환경과 관련하여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총 12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 발행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별

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년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

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으며, 총 5개

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

행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

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경개선 요구도, 유니

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

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

환경 관련 작업치료 연구 대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

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노인과 장애인이 주거환경 내에서 삶의 질을 높이

기 위해서는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인식 증진이 필요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작업치료사와 사회적 기관의 역

할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

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 파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An, S. J. (2015). The Study on Develop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based on Disabl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Baek, D. R., Jung, Y. J., Kang, S. G., Kim, H. J., &

Lee, C. Y. (2014). Preferences of Stroke Patients for

Kitchen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n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4(2), 1-10.

Cho, D. Y., Jo, H. K., Kim, J. Y. & Choi, Y. M. (2010).

The analysis of ADL performance posture after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 dwelling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4(1), 1-12.

Cho, M. L., Park, B. R., & Yang, Y. A. (2011). The Study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3(2), 41-49.

Hwang, C. H. (2010). A Study on Universal Design Model

of the Improvement of Dwelling Environment for the

Handicapped –Focused on the Wheelchair User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1), 39-46.

Jang, J. S., Kim, T. H., Kim, J. H. (2015). Basic Investigation

for Publicit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papy, 5(1), 45-53.

Johansson, K., Lilja, M., Petersson, I., & Borell, L. (2007).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 sample of

applicants for home modification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papy, 14(1), 44-5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 Statistics on

the Aged. Seoul: KNSO.

Kim J. K., Kim H. S., & Park S. J. (2017). Accessibility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in Hypermarket: The

Case of Daegu City.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9(1), 9-18.

Kim K. M., Chang M. Y., Kim J. M., & Kang M. S.

(2006). The Study of Usability on the Indoor for Elderly

Residents in the Kimhae C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4(1), 35-48.

Korea Consumer Agency. (2003). Survey on the safety of

the elderly at home. Seoul, Korea: Korea Consumer

Agency.

Lee, C. D., Jung, M. Y., Kim, J. N., & Lee, Y. J. (2016).

Effects of Client-Centered Home Modification and

Caregiver Education on Activity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Mild Dementia: A Case

Page 4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3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75-88.

Lee, C. W. (2015). General Housing and Congregate

Houses Rural Elderly Households Residential Satisfaction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10), 9-17.

Lee, S. J., Lee, H. S., & Lee, K. S. (2007). Understanding,

Need, and Improtance of Universal Design in Home

Environment – Focusing o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1-12.

Lee, S. W., Taylor, R., Kjelhofner, G., & Fisher, G. (2008).

Theory use in practice: a national survey of therapists

who use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1), 106-117.

Lim, K. M., Ahn, S. N., Cho, S. Y., Lee, J. H., Lee, H. Y.,

& Kim, J. N. (2014). Clinical Application of the in-Home

Safety Assessment Scale for the Elderly: A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6(1), 1-6.

Lim, K. M., Kim, Y. S., Yoon, S. J., Hong, K. H., & Lee,

C. Y. (2014). 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4(2), 31-40.

Lim, K. M., & Lee, Y. N. (2013). Need Survey of Home

Modification on Outpatient with Stroke and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Center.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8(13), 324-333.

Metzler, M. J., & Metz, G. A. (2010). Analyzing the bar-

riers and supports of knowledge translation using the

PEO model. Ca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3), 151-15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Act on the pro-

mo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handicapp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Disability Support Rights Division.

Park, H. Y., Cho, D. Y., Lee, J. H., & Kim, H. S. (2010).

Effects of Improving Safe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Resi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2(2), 11-20.

Park, K. R., Jae, M. K., & Oh, C. O. (1995).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or with the Spouse

- With a focus on the family, consumer, and housing

life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4). 101-114.

Park, S. J., & Kim, J. K. (2017). The needs of residential

modifications for the elderly, particularly for those

suffering from dementia.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5(2), 1-8.

Park, S. K., & Yoo, D. H. (201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

Assessment Tool(K-HSSA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3), 117-130.

Sanford J. A. & Butterfield T. (2005). Using remote as-

sessment to provide home modification services to un-

derserved elders. The Gerontologist, 45(3), 389-398.

Victor, R. (1994). Assisted Living Housing for the Elderly:

Design Innovation from United States and Europ. New

York: John Wily & Sons.

Yang, Y. A., Choi, H. S., Choung, B. H., Chae, S. G.,

Lee, J. S., Oh, H. W., ... Lee, H. J. (2016).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Seoul, Korea: Edufactory.

Page 4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37

Abstract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Cho, Mi-Lim*,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th Science, Honam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

search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published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Method : Through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provided by KERIS

and database of DBpia, the keywords 'occupational therapy', 'residential environment', 'home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environment modification' to search for articles. A total of

12 articles were selected from 2007 to 2017.

Result : From 2007 to 2017, research o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less than 3 resi-

dential environments was conducted every year, and a total of five conferences published resi-

dential environment related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There were research items such as

evaluation tool, design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

ronment,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Most of

articles were about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method, re-

searches were the most comm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Key Words : occupational therapy, residential environment, home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envi-

ronment modification

Page 4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4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서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목적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의 적용대상과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

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데이터베이스에서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로는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앱’ 또는 ‘어플’ 그리고 ‘재활’, ‘효과’ 또는 ‘중재’로 하였다.

연구결과

검색된 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여 최종 분석한 논문은 11편이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편, 청각장애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 자폐 범주성 장애 대상 연구는 3편,

뇌졸중 대상 연구는 1편, 지적장애 대상 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제공의 형태는 한 집단 내

비무작위 연구가 2편, 단일대상 연구가 9편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중재효과 측면에서는 10편에서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1편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예비실험논문으로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치료도구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스마트폰 어

플리케이션을 중재에 활용 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치료 목표 및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주제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중재, 재활

Corresponding author: Kim, Seo-Hyun([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Received 16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17 May 2018; Accepted 25 May 2018

Ⅰ. 서 론

현재 우리사회는 건강 및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개인

과 국가의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치료 중심 의료서비스에서 개인의 지

속적인 건강관리를 통한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예

방중심 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

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Kim, 2012).

스마트폰은 PDA와 디지털 이동전화의 기능이 결합

된 하이브리드 장치로 일부 정의하고 있으나(Kenneth

& Jane, 2008), PC수준의 고기능 핸드폰이나 OS를 사

용하는 이동전화로 정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데이

터나 Wi-fi를 이용한 이동성과 어플리케이션의 다양성,

그리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개방성 등의 특징을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멀티미디어의 활용과 다양한 커

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Kim, 2012).

2015년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83%에 육박하며,

여기서 중⋅노년층의 보급률 또한 2014년 기준으로 51.4%

Page 4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4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에 해당하고, 모바일 및 인터넷의 이용 역시 지속적으

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덧붙여 스마트폰은 휴대

성이 좋아 장소적인 제약을 덜 받으므로 다양한 장소

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치료사의 개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수행결과에 따른 피드백 또한 환자에게

즉시 이루어져 치료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과 동시에

객관적인 결과를 획득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활용하

여 환자의 진전 상황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이 가능하

다는 장점 또한 갖는다(Lee, 2014).

현재 스마트폰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행동

추적, 신체 정보 모니터링, 다이어트와 체중감량, 운동

법 제공, 의료/건강 정보 및 캠패인 관련 어플리케이

션과 의료부분에서 의료 관계자용, 환자용 관리 어플

리케이션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Lee & Yoo, 2014)

사용자들은 정보 제공형, 건강정보 기록형, 웨어러블

기기 연동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헬스케어 어플리

케이션을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다(Shim et al, 2009).

이처럼 기술 발전과 함께 최근 재활관련 어플리케

이션 개발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

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재의 효과 연구는 찾아

보기 힘들기 때문에 중재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중재가 어느 대상으로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의미있

는 효과를 내는지에 대해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한 시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해진 주제에 대해 과학적

인 연구방법인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스마트폰 어플

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의 대상자, 연구 진행방법, 효

과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

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에 대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하며, 추후 스마트폰 어플

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문헌 검색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문헌 검색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대

상논문의 범위는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로

하였으며, 한국어 검색어로는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앱’ 또는 ‘어플’ 그리고 ‘재활’,

‘효과’ 또는 ‘중재’로 하였다.

records identified through database searches

(n=158)

158

papers

Inclusion criteria

1) Publish in 2013 to 2017

2) Research article

25

papers

Filtering: Reviewed abstracts and selected

research topic relevant article (133 records

rejected)

11

papers

Filtering: Full text, experimental study,

articles used smart phone based

measurement (14 records rejected)

Figure 1. Flow Diagram for Literature Search and

Article Inclusion.

연구의 선정 기준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

하여 재활이나 중재가 제공된 연구, 전문을 획득할 수

있는 연구, 실험연구인 연구였고 회색문헌이나 학위

논문, 한글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논문과 질적 연구는

배제하였다.

분석대상 논문 선정을 위해 4개의 데이터베이스 검

색결과를 수합한 후 총 158개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검색된 논문은 1차적으로 저자가 논문의 제목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 검토하여 25개의 논문

이 재선별 되었고 이렇게 선별된 논문은 원문을 검토

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Figure 1).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단순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적용대상, 중

Page 4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41

재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은 Arbesman, Scheer와 Lieberman

(2008)이 개발한 근거수준 5단계 분류법을 사용하였

다. 분석대상 논문의 질적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을

살펴본 결과, 11개의 논문 중 수준 Ⅲ에 해당하는 논

문은 2개(18%), 수준 Ⅳ에 해당하는 논문은 9개(82%)

였다(Table 1).

Level of

evidenceDefinition

Frequency

(%)

Ⅰ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0(-)

Ⅱ Non-randomized two group studies 0(-)

Ⅲ 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2(18%)

Ⅳ Single experimental studies 9(82%)

Ⅴ Case studies 0(-)

Total 11 (100%)

Table 1. Level of Quality Among each Study (N=11)

3. 자료의 분석 및 제시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논문의 근거제시 방법은 스마

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전체 연구들에 대한 구체

적인 근거제시를 위하여 문헌고찰시 자료를 검색하거

나 검색된 근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도록 하는 방법

인 PICO(Patie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의

원리에 따라 기술 하였다.

Ⅲ. 연구결과

선정기준에 의하여 본 고찰의 대상으로 선정된 11

편의 논문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질적 수준 분류를

분석한 결과 Ⅲ단계인 한집단 내 비무작위 연구2편,

Ⅳ단계인 단일대상 실험연구 9편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진단은 언어장애, 청각장애, 자폐 범주

성 장애, 뇌졸중, 지적장애였으며, 연구별 참여자의 평

균연령은 36.5세였지만 Ⅲ단계인 한집단 내 비무작위

연구의 평균연령은 52.9세, Ⅳ단계인 단일대상 실험연

구의 평균연령은 17.1세로 단일대상 실험연구에서 연

구대상자의 나이가 어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10편에서 가설과 일치한 유의

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Go et al(2017)

의 연구에서는 본연구를 위한 예비실험연구로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치료도구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Go, Song & Choi(2016)의 본 연구에

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치료가 실어증환자

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위해 10명의 한집단 내 비무작위 연구를 통해

언어중재로 따라말하기와 명명하기 과업을 수행하였

다. 그 결과 중재 전후의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

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Song & Han(2014)는 앱 기반의 직업교육이 도서분

류작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명의 자

폐 범주성 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하

였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고 연

구자가 직접 제작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직업교육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도서 분류작업 수행의 정확도는

향상되었고, 수행시간은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Yu et al(2014)와

Lee & Lee(2017)은 청능훈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

여 청각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청각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Lee(2014)는

한명의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집중력과 기억력 증진

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ABA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

억력, 집중력관련 어플리케이션 3개를 활용하여 중재

하였다. 회기별 실시한 기억력과 집중력 평가 결과, 집

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보였고 중재 전후 평가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Lim, Kim & Jeon(2013)의 연구는 3명의 자폐 범주

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참여행동과 소리지르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

기의 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학생의 수업

참여행동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소리지르기 행

동은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

지기간에도 두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 & Kim(2016)과 Jo & Park(2016)은 지적

장애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일생생활기술 수행에 미

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물건을 계산하여 구입하기

Page 4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4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tudy Level Patients n Study aims Used application Outcomes

Go et

al(2017)Ⅲ

aphasic

patient10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eech therap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on the

language ability

‘실어증을

위하여’

using the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language

ability in patients with aphasia

Go,

Song &

Choi

(2016)

Ⅲaphasic

patient15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phasia speech therapy for

application development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using the application

‘실어증을

위하여’

the aphasia smartphone

application was helpful

Song &

Han

(2014)

students

with autism

apectrum

disorder

4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

designed for vocational

education on book classification

developed

application

‘도서 PANG’

smartphone application not

only enhanced the accuracy of

the book classification but also

decreased the time it took to

complete the task

Yu et al

(2014)Ⅳ

hearing

-impaired

adult

1

develops an auditory training

program for mobile devices that

was then applied to an adult

listener suffer from bilaterally

moderate-to-severe sensorineural

hearing loss to examine its efficacy

‘Eclipse software’

a moderate amount of auditory

training using a mobile device

is effective when it is used to

improve the speech perception

of hearing-impaired adults

Lee &

Lee

(2017)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ral

habilitation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s of

auditory memory skills

‘청각장애

재활훈련(아동용)

aural habilitation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s is

effective and useful in

improving auditory memory

skills for children with Cls

Lee

(2014)Ⅳ

stroke

patient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tention and memory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기억의 달인’

‘Memory free’

‘Matching cute

animals’

attention and memory

assessment results showed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in intervention line

Lim,

Kim &

Jeon

(2013)

students

with autism

apectrum

disorder

3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including smartphone

application to decrease a

problem behavior and to

increasw on-task behavior

수학용앱

‘얼○○요’

‘후○○산수’

smart learn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to two dependent

behaviors and maintenance

condition was retaining low

occurrences of the yelling

behavior and high occurrences

of the on-task behavior

Cho &

Kim

(201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o find th effect on community

living skills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utilizing the

smartphone residential center

situated learning

‘나위험해요’

‘우리아이 위치확인’

‘클래스팅’

‘네이버 지도’

‘카메라’

‘OneTouch call’

both students improve life skills

tha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Jung &

Han

(2016)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using mobile AAC

app on the self-determination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in the community settings

‘Talkfriend’

using the mobile AAC app was

effective on the self-determination

charge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in three community

settings and was effective 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elf-determination, also

Table 2. Summary of Included Studies

Page 4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43

Study Level Patients n Study aims Used application Outcomes

Jo &

Park

(2016)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

to find out the effects of functional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martphone calculator application

on purchasing skill within budget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계산기’

to acquire purchasing skills

within budgets and the purchasing

skills were generalized in other

places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were maintain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Choi &

Kim

(201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

to examine the type token ration

and context language use change

in the use of application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카카오톡’

smartphone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changing type

token ration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나 거주지 중심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적인 기술 수행

능력이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Jung & Han(2016)은 ACC 어플리케이션인 ‘talkfriend’

를 이용한 중재가 지역사회 상황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자

기결정력의 변화에 효과적이고, 유지와 일반화에도 효

과적이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

해 자기결정력을 발휘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독립적인

생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Choi & Kim(2015)는 국내에서 가장 보

편화된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을 AAC

언어중재 프로그램에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에 결함

을 보이는 지적장애 중학생의 어휘다양도 및 내용어

사용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카카오톡’ 어

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어휘다양도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의사소통에 사용된 명사, 동사, 형용사, 수사의 변

화를 통해 살펴본 내용어 사용 변화의 정도에 있어서

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고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이후 이루어질 어플리케이션 적용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에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를 적용한 연구들의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어플리케이션 종류 및 결과를 정

리하여 현재까지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적용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실험논문 11편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Ⅲ단계

인 한 집단 내 비 무작위 연구 2편, Ⅳ단계인 단일대

상 실험연구 9편이 포함되어 있었고 연구대상자의 진

단은 언어장애, 청각장애, 자폐 범주성 장애, 뇌졸중,

지적장애였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중재는 여러 가지

장점과 함께 수반되는 역기능 또한 고려해야 한다. 가

장 큰 부정적인 영향은 접근성이 쉬워짐에 따른 중독과

과사용에 무분별한 매체의 노출 등이 있다(Yoo, 2012).

따라서 스마트폰을 중재로 사용할 때에는 중재자가 치

료 및 중재목표에 부합하는 알맞은 콘텐츠를 선택하도

록 하고,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권고해야 할 것

이다(Barr et al, 2010).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11편

의 연구를 분석하였고 2편을 제외한 9편의 연구가 단

일 대상 실험연구이기 때문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을 활용한 중재의 강력한 근거를 주장하는데 다소 무

리가 있다. 그리고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국

외문헌을 살펴보지 못한 것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

이션을 활용한 중재에 관련한 국내연구들이 많지 않

아 좀 더 다양한 대상을 적용한 중재를 분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는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중재 접근법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진단군

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 및 노

Page 5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4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인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Barr, R. C., Danzinger, M. E., Hilliard, C., Andolina, J.,

& Ruskis, J. (2010). Amount, content, and context of

infant media expos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8(2).

Cho, K. Y., & Kim, C. B. (2016). Effects of situated

learning utilizing smart phone on community living

skills in residential center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3), 251-280.

Choi, H. S., & Kim, N. J. (2015). The Effects of the

Language Mediation Program using K-application in

Smart phone on Language Abil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7(1), 133-152.

Go, G. B., Kwon, Y. M., Noh, H. Y., Song. K. B., &

Choi, Y. G. (2017). The Effects of Speech-Language

Therap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to Improve

Language Ability in Patient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6(4), 1-10.

Go, G. B., Kwon, Y. M., Noh, H. Y., Song. K. B., &

Choi, Y. G. (2016). A Study of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phasia: Pilot Stud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5(4), 1-12.

Jo. J. E., & Park, S. H. (2016). Effects of Functional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Smartphone Calculator

Application on Purchasing Skills within Budget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3), 5-33.

Jung, M. C., & Han, K. I. (2016). Effects of Intervention

Using Mobile AAC App Talk Friend on the Self-

Determination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Autism

in the Community Setting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2(3), 321-341.

Kim, Y. (2012).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12(9), 369-379.

Lee, S. H., & Yoo, S. S. (2014). The status and outlook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ICT & Media Policy,

26(7) 1-23.

Lee, I. S. (2014).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Memory of

Stroke Patient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 Single

Case Stud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3(1), 57-65.

Lee, Y. R., & Sim, H. S. (2016). Effect of Speechreading

Telepractic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on

Speechreading Ability of Young Deaf Adult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3), 125-154.

Lee, Y. M., & Lee, S. G. (2017). Effect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Aural Habilitation i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Improvement for Auditory Memory Skills.

Korean Academy of Audiology, 13(2), 176-192.

Lim, H. J., Kim, J. M., & Jeon, B. U. (2013).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On-Task Behavior and Yelling

Behavior of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3), 129-145.

Shim, H., Lee, J. H., Hwang, S. O., Yoon, H. R., & Yoon,

Y. R. (2009). Development of Heart rate monitoring for

mobile telemedicine using smartphon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1116-1119.

Song, S. M., & Han, K. G. (2014). The Effects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Designed to Develop Book

Classification Skill in Vocation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5(2), 353-375.

Yoo, K. J.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

gram by using smartphones and tablet PC and its ef-

fects on scientific thinking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17), 85-110.

Yu, J. H., Chin, H. J., Song, C. G., & Han, W. J. (2014).

Case study of Speech Perception Enhancement in Hearing-

Impaired Adult by Auditory Training Program of Mobile

device. Korea Academy of Audiology 10, 158-168.

Page 5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45

Abstrac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Kim, Seo-Hyun*, O.T.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and useful data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

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nd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intervention,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for further study.

Method : This study was searched form papers published from Jan, 2013 to Dec, 2017 using NDSL,

RISS, KISS, DBpia based. Key words using on the search were ’mobil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app’, ’rehabilitation’,’effect’ or ’intervention’

Result : Elev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mong the 11 subjects, two were for aphasic,

three we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wo were for hearing-impaired, three wer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just one were for stroke. A form of intervention was that 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were two studies and the other studies were single experimental studies.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had meaningful effect consistent with the hypoth-

esis in 10 subjects. The other study reported that preliminary study for this study could has been

confirm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treatment tool.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y presenting the usage

type and intervention results.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evidence for intervention goals.

Key Words : Smartphone, Application, Intervention, Rehabilitation

Page 5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5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기*, 김미화**, 손은지**, 이아현**, 정소현***,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리더스재활병원

***영남요양병원

국문초록

목적뇌졸중환자에게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상지기능과 시지각능력, 자

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현재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시지각 훈련 프로그

램 실시하고 대상자들의 손 기능,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시지각 훈련은 시각

운동협응, 전경배경, 공간내 위치지각, 형태항상성, 공간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손기능 영역에서 비우세손이 중재 전 35.25점, 중재 후 40.40점

이였고, 우세손이 중재 전 51.95점 중재 후 55.65점이다. 시지각 영역에서 중재 전 22.10점에서 중

재 후 24.95점이고, 자아효능감 영역에서 중재 전 77.80점, 중재 후 83.20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있어 손기능, 시지각, 자아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다양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적용이 가

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뇌졸중, 손기능, 시지각, 자아효능감

Corresponding author: Park, Su-Jong([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Received 13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14 May 2018; Accepted 18 May 2018

Ⅰ. 서론

급성 신경학적으로 발생하는 뇌졸중 또는 뇌혈관사

고는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뇌 병변 부위에 따라서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 장애로, 2014년 국내 사망률

이 전년도에 비해서 한 단계 낮아졌지만 여전히, 3번

째로 높은 질환이다(Statistics Korea, 2015). 일반적인

뇌졸중 환자 중 85%이상이 편마비를 경험하며, 그 중

에 55~75%의 환자가 지속적인 상지기능 제한을 가진

다(Luke, Dodd, & Brock, 2004).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예후에 관한 연구에서 나온 결과로 환자 중 65% 이상

이 인지와 시지각 기능에서 장애가 나타났고, 그들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게 된

다. 따라서 다양한 후유장애로 인하여 장기적 재활치

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우울증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많이 저하되고 장기간의 치

료가 요구된다(Pendleton & Schultz- Krohn, 2012; Zinn

et al., 2004).

이 중, 자아효능감이란 자기조절학습의 동기가 되

는 요소로, 정해진 유형의 수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Page 5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4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행위를 실행하고 조직화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

해서 지각하는 것으로 자신에 대한 기대와 신념이다

(Bandura, 1986). 환자의 능력저하로 타인에게 의존하

는 생활을 장기간 지속하게 되면 뇌졸중 환자는 우울,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위축 또한 경험하게 될 것이다

(Angeleri, Angeleri, Foschi & Giaquinto, 1993). Lee(2002)

는 대부분의 편마비 환자들은 눈에 보이는 회복 결과

인 독립보행에 더 큰 관심을 보이지만, 독립적인 일상

생활과 자기효능감 회복을 위해서 상지기능이 중요하

다고 하였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상지기능 회복은

심리적으로 영향을 크게 미친다.

정상적 상지 기능은 먹기와 옷 입기, 씻기, 쓰기와 같

은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과제를 하기 위한 소단위 운동

기술에 기본바탕이 된다(Shumway-Cook & Woollacott,

2007).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대부분 활동은 시지각과

밀접한 연결이 있는데 식사 준비하기, 옷 입기, 이동

하기 등의 대부분 행동들은 시지각과 연결된 일상생

활활동이고, 또한 시지각적 경험을 통해 행하고 인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Chung, 2003). 이러한 다양한

작업과 기능적 수행을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신체 기능 중에 상지 및 손 기능과 시지각이다(Lee,

2009).

시지각은 망막으로부터 얻은 기초 자료를 인지적

개념으로 전환시킨 후,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서 중추신경계가 시각정보 통합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으로써 형태, 크기, 물체의 공간관계 판단을 정확

하게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Warren, 2001). 시지각

장애가 동반되게 되면 시각정보처리 능력을 변화시키

게 되기 때문에 독립적 일상생활활동이나 수행을 방

해하고, 재활치료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시

지각 장애 환자를 평가하고 적절한 중재로 치료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Ravensberg et al., 1984; Jung, 2008). 이렇듯 뇌졸

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부족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을 보상하려면 중재를 통한 시지각 치료가 필요하다

(An, 2013).

Lee(2009)의 연구에서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성

마비 아동의 시지각과 손 기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성인 뇌졸중 환자에 대한 시지각

과 자아효능감, 손 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

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상지기능과 시지각, 자아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향후 뇌졸중 환자의 기

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기간 및 대상

연구 대상은 대구 소재 R병원과 경산 소재 S병원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은 성인 뇌졸중 환자로 연구

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5월 19일 까지

본 연구의 기준 조건에 적합한 2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연구에 참가한 환자의 기준 조건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기준

➀ 전문의에게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자

➁ 발병기간이 2년 미만인 자

➂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

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➃ 시력에 이상이 없는 환자

➄ 시야(visual field) 결손이 없는 환자

➅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결과 20점 이상인 자

2. 연구 도구

1)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MMSE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표준화 한 것으로 검

사자 간의 신뢰도가 0.99로 높고 신뢰도를 가지고, 또

한 치매를 진단 할 뿐 아니라 인지 기능의 장애 유무

를 분별하는데도 사용되는 도구이다. 총 30점으로 되

어 있으며 24점 미만일 경우 인지손상으로 간주하게

된다. 구성은 12문항으로 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집중력, 계산, 언어기능, 이해 및 판단 등 6개 항

목으로 이루어져 있다(Park & Kwon, 1989).

Page 5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9

Stage Sub Program n

Level 1 Visual-Motor Coordination 8

Level 2Figure-Ground Perception 8

Perceptual Constancy 8

Level 3Position in Space 8

Spatial Relationship 8

Table 1.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2) 비운동성 시지각검사(MVPT)

비운동성 시지각검사(이하 MVPT)는 운동능력을 포

함하지 않는 시지각 검사도구로 판별, 진단, 연구를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MVPT는 아동과 성인 모두에서

전체 시지각적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높은 신

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는 표준화된 도구이다. 또한 다

른 검사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되어 유용한 검사도구

이다. MVPT는 36문항으로 총점이 36점이고 시각적

수행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전경배경, 시각적 구별,

시각적 기억, 시각적 완성, 공간관계의 5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Colarusso & Hammill, 1996).

3) 젭슨-테일러 손기능검사(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젭슨-테일러 손기능검사는 일상생활에 가장 많이 사

용되는 손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시행 가능한 검사 도구이다. Jebsen et al(1969)에 의해

만들어진 이 평가도구는 표준화된 7가지 하위검사로

이루어져 있고, 과제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

정한다. 이 평가도구에 대해 각 연령층의 정상인을 대

상으로 한 표준화 자료와 검사-재검사간 신뢰도가 제

시되어 있다. 손에 장애를 가진 환자의 우세손인 경우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67~.99의 범위를 갖고, 비우세

손인 경우 .60~.92의 범위를 갖는다(Asher, 1996; Jebsen

et al, 1969)

4) 자아효능감 척도

이 연구에서는 자아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Kim

& Cha(1996)가 개발한 자아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효능감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

이도 선호와 같은 세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총 24문항으로, 자신감 7문항은 자신의 능력

에 대한 개인의 확신 또는 신념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조절 효능감 12 문항은 자기관찰,

자기 판단, 자기반응을 잘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효능기대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제난

이도 선호 5문항은 개인이 일을 수행할 때 어떤 수준

의 난이도를 선호하는가를 측정하는 문항을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서 대한 응답은 6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9문항에 대해서는 역 채점을 하였으

며 점수범위는 24점에서 144점 사이이다.

3. 연구의 절차 및 방법

1) 연구의 절차

본 연구는 2017년 4월 10일부터 5월 19일 까지 총 12

회기 주 3회 시지각 중재를 실시하였다. 시지각 중재에

앞서 작업치료사는 연구에 대해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목적을 이해하고 이에 동의한 동의를 대상자들 20명

을 대상으로 사전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든 중재가 이

루어진 뒤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Figure 1).

CVA / MMSE-K Score > 20

N=20

Pre-Test

MVP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Self-Efficacy Scal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3 per week, 30min per session

4 weeks, total 12 session

Post-Test

MVP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Self-Efficacy Scale

Figure 1. Course of Research

2)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 훈련 중 40가지 과제를 선정

하여 시각-운동협응(VM) 8개, 전경배경변별(FG) 8개,

항상성직각(PC) 8개, 공간위치지각(PS) 8개, 공간관계

지각(SR) 8개를 분류하였다. 환자에 따라 모두 순서를

다르게 편성하여 제공하였고 치료사가 함께 치료시간

Page 5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5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Classification n (%)

GenderMale 8 40

Female 12 60

Age

30-39 1 5

40-49 0 0

50-59 4 20

60-69 6 30

More than70 9 45

Paralysis

R. hemiplegia 4 20

L. hemiplegia 14 70

Quadriplegia 2 10

Education

level

Formal education 17 85

No formal education 3 15

On set6m. before 5 25

6m. after 15 75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 (N=20)

동안 실시하였다.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Table 1.과 같다.

4. 분석방법

본 연구의 측정 결과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기

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

다.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는 본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20명으로

성별 분포는 남성 8명, 여성 12명으로 여자가 60%를

차지하였다. 연령집단에서는 30-39세 1명, 50-59세 4명,

60-69세 6명, 70세 이상 9명으로 평균 연령은 66.45(39~84)

세 이었으며 70세 이상이 9명으로 전체의 45%를 차지

하였다. 환측은 우측 4명, 좌측 14명, 양측 2명으로 좌

측에서 70%라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학력은 무학 3명,

유학 17명으로 유학이 85%를 차지하였다. onset은 6개

월 이전 5명, 6개월 이후 15명으로 이후가 75%를 차지

하였다(Table 2).

2.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1) 손 기능 향상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라이

언트의 손 기능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5). 비우세

손에서 중재 전 35.25점에서 중재 후 40.40점으로, 우

세손에서 중재 전 51.95점에서 중재 후 55.65점으로 비

우세손, 우세손의 손 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p<.05).

Pre After t

Non-Dominant 35.25±24.66 40.40±26.45 2.885*

Dominant 51.95±21.40 55.65±18.79 2.287*

P*

< .05

Table 3. Result of Hand Function

2) 시지각 기능 향상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라

이언트의 시지각 변화는 다음과 같다(Table 6). 중재

전 22.10점에서 중재 후 24.9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able 4. Result of Visual Perception

Pre After t

MVPT 22.10±5.95 24.95±5.46 2.181*

P*

< .05

3) 자아효능감 향상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라

이언트의 자아효능감 변화는 다음과 같다(표7). 중재

전 77.80점에서 중재 후 83.2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able 5. Result of Self-Efficacy

Pre After t

Self-Efficacy 77.80±11.68 83.20±10.47 2.359*

P*

< .05

Page 5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1

Ⅳ. 토 의

뇌졸중환자에서 보이는 일상생활능력의 결함을 보

상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방법이 필요하며(Chong

et al, 2004), 뇌졸중 발병 후 초기부터 기능회복과 재활

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 중재가 이루어져야한다(Broeks

et al., 1999). 시지각은 일상생활수행능력 회복을 결정

하는 중요한 인자이다(Kim, 2012). 따라서 시지각 장애

가 있을 경우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적 수행과 학습능력

에 지장을 주어 기능회복을 어렵게 만드며(Ravensberg

et al., 1984), 상실된 독립적 일상생활들로 인해 타인

에게 의지하게 되고 그로인해 환자 자신의 자존감 저

하와 우울로 이어져 자아효능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Kang, 2010).

최근 연구들은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

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뇌졸중환자에서 시지각 치료가 기능회복에 미치는 연

구,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과 일상생활동작의 관련성

에 대한 연구 등이 연구되어져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시지각 훈련프로

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 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손

기능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MVPT에서 시지각 기능의 변화는 사

전 22.1점에서 사후 24.9점으로 5.15점 증가하였다. 이

는 An(2013)의 연구에서도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효과와 시지각 기능 향상이라고 보고된 바 있으며 Kim,

Peak & Chong(2010)등의 연구에서도 시지각 작업치료

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회복 및 일상생활활동 회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고 보

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둘째, 시지각 훈련을 통한 손기능 변화는 비우세손

은 5.1점 증가하였고, 우세손 경우 3.3점 증가하였다.

젭슨-테일러 손기능검사는 일상생활활동에 가장 일반

적으로 사용하는 손 기능의 광범위한 부분을 평가하며,

각각의 손 기능 평가범위 안에서 능력의 연속성을 기

록한다. 이는 일상생활활동과 젭슨-테일러 손기능검사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An(2013)의

연구에 의하면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한 시지

각 작업치료 집단이 대조군에 비해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시지

각 훈련프로그램은 손기능 향상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아효능감의 변화는 77.80점에서 사후 83.20

점으로 5.4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다. 이것은 재활 기간 동안 시지각 훈련 및 재활

치료를 받으면서 시지각과 손기능이 향상된 환자들의

자아효능감이 향상된 결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이 적어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특정지역에 한정되

어 있지 않고 다수 지역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성별, 연령, 경

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세부적인 평가를 실시하며

시지각 중재에 적용할 수 있다면 뇌졸중 환자의 시지

각 기능향상과 손기능, 자아효능감 등 여러 부분에서

최대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

이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 중요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의 높은 수준의 시

지각재활의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훈련 프

로그램 중재 후 시지각, 손기능 및 자아효능감의 전후

비교를 확인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기준 조건에 합당한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평가를 시행하고 4주간 주 3회 30분씩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12회기 실시 이후 재평가를 실시하였

다. 시지각 평가를 위해 MVPT, 손기능 평가를 위해

젭슨-테일러 손기능평가, 자아 효능감평가를 실시하

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

라이언트의 손기능 변화는 우세손과 비우세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2.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

라이언트의 시지각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3.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 한 후 클

라이언트의 자아효능감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

Page 5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5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참고문헌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AOTA).

(1994). Uniform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rd ed. 48(11), 1047-1054.

An, T. G. (2012). Visual-Perception Training Program

Having an Effect on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Performance capability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Stroke. Daegu University, Daegu.

Angeleri, F., Angeleri, V. A., Foschi, N., & Giaquinto, S.

(1993).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Family Stress on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Stroke, 24(10), 1478-1483.

Bandura, A. (1986). Social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theory.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Broeks, J. G., Lankhotst, G. J., Rumping K., & Prevo,

A. J. H. (1999). The long-term outcome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Results of a follow-up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1(8), 357-364.

Chung, H. S. (2003). The Effect of Visual - Motor

Development Program on Developing Visual Perception

of Preschool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Colarusso, R. P., & Hammill, D. D. (1996) Motor-free

visual perceptiontest – Revised. Novato. C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Jung, Y. J. (2008). The effect of computer-aided cogni-

tive rehabilitation program (REHACOM) on visual

perception in patients with stroke. Wonkwang University,

Iksan.

Kang, J. J. (2010). The Effect of an ADL Training on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of People with Stroke

in Elderly Care Facilities. Nazarene University.

Kim, J. K., Peak, H. H., & Chong, B. H. (2010). The

Effect of Visual Perceptu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1), 21-27.

Kim, A. Y., & Cha, J. E. (1996). Measurement of Self-

efficacy; Proceeding of Annual Winter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1-64.

Kim, M. A. (2012). Changeof Visual Percep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Depending on Various Factor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im, O. H. (1995). The Effects of Ocular Motor o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Eye-Hand Coordination

of Patients After a Strok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Lai, S. M., Studenski, S., Duncan, P. W., & Perera, S.

(2002). Persisting consequences of stroke measured by

the Stroke Impact Scale. Stroke, 33, 1840-1844.

Lee, J. E. (2009). The Visual-Perception Program Having

an Effect on Visual Perception and Hand Skill for

Cerebral Palsy Childre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Lee, J. H. (2002).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Motor Function, Patterns and

Reorganization of Motor Network for Stroke Patients

(Docto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Luke, C., Dodd, K. J., & Brock, K. (2004).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8(8), 899-898.

Nichols-Larsen, D. S., Clark P. C., Zeringue, A., Greenspan,

A., & Blanton, S. (2005). Factors Influencing Stroke

Survivors Quality of Life During Subacute Recovery.

Stroke, 36(7), 1480-1484.

Park, J. H., & Kwon, O. C. (1989). The Study on

Standardizat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Pendleton, H. M., & Schultz-Kruhn, W. (2012). Occupational

Therapy for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Missoun: Mosby.

Raversberg, C. D., Tyldesley, D. A., & Rozendal, R. H.

(1982). Visual Percepetion in Hemipleg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5(6), 304-309.

Page 5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3

Rogers, J. C., & Holm, M. B. (1994). Assessment of self

care. IN B, R, Bonder & M. B. Wagner(Eds.), Functional

Performance in Older Adult. Philadelphia; F. A. Davis.

Shumway-Cook, A., & Woollacott, M. (2007). Motor control.

3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Statistics Korea.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

2015. Seoul.

Trombly, C. A., & Radomski, M. V. (2008).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Baltimore: Williams

& Wikins.

Warren, M. (2001).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s In L. W. (5th ed., pp. 386-414). St Louis

Missouri Mosb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International classi-

fication of disease-10. Geneva, Switzerland: WHO.

Zinn, S., Dudley, T. K., Bosworth, H. B., Hoenig, H. M.,

Duncan, P. W. & Horner, R. D. (2004). The Effect of

Post Stroke Cognitive Impairment on Rehabilitation

Process and Functional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7), 1084-1090.

Page 6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5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Abstract

The Effect of Visual-Perception Training Program on Hand Function,

Visual-Perception & Self-Efficacy of Stroke

Kim, Jeong-Ki*, Ph.D, O.T., Kim, Mi-Hwa**, B.O.T., Son, Eun-Ji**,, B.O.T.,

Lee, A-Hyeon** B.O.T., Jung, So-Hyeon***, B.O.T., Park, Su-Jong*, Ph.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Leaders Rehab Ceter

***Young Nam Care Hospita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on hand func-

tion, visual perception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in ADL.

Method : 20 stroke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herapy were enrolled in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for 4 weeks, and their hand function, visual perception,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nsisted of visual-motor coordination, figure-ground

perception, perceptual constancy, position i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

Result : In the hand function area, after applying the visuo training program, the number of non -

seeson was 35.25 before intervention, 40.40 after intervention, and the dominant hand was 55.

65 after intervention after 51.95 before interven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

ence in all areas from 22.10 before intervention to 24.95 after intervention, 77.80 before inter-

vention, and 83.20 after intervention in self efficacy area.

Conclusion :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hand functio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 stroke patien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visu-

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enable effective application to stroke patients.

Key Words : Stroke, Hand Function, Visual Perception, Self-Efficacy

Page 6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이다솔*, 최윤서**, 이혜진***

*메드윌병원 작업치료실

**강남동강병원 작업치료실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해 환자 스스로 과제를 선택하고 수행하였을 때 환자의 삶

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와 치료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P, W시 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

자 46명을 대상으로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군과 전통적 작업치료군으로 각각 8주간 주5회 1회

15분씩 실시하였다. 각 치료효과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8.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 작업치료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두 치료 모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과

제지향적 훈련이 전통 작업치료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 작업치료 모두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을 향상 시키고, 환

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과

제지향적 훈련은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과제지향적훈련, 삶의질, 일상생활활동

Corresponding author: Lee, Hye-Jin([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of Health

Sciences)

Received 26 April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26 April 2018; Accepted 15 May 2018

Ⅰ. 서 론

1. 연구배경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동맥의 병변으로

24시간 이상 국소적 혹은 전반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

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Garrison et al., 1977), 우리

나라의 사망원인 3위이다(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뇌졸중은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작업치료 서비

스를 제공하는 환자들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Rijken

& Dekker, 1998) 신경학적 결손의 급작스런 발병을 특

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운동 및 감각장애, 인지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 정서장애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한다(Trombly & Radomski, 2013).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로봇

재활(Barker et al., 2008), 양측성 상지훈련(Summers et al.,

2007),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 Induced Movement

Page 6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5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Therapy, CIMT)(Lin et al., 2009), 동작 관찰 훈련(Action

Observation Training)(Jeong et al., 2013), 과제 지향적

훈련(task-oriented training)(Van Peppen et al., 2004) 등

과 같은 치료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치

료접근법들 중 치료의 과학적인 증거에 입각한 중재방

법으로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에게 효과적

인 것으로 추천되어지고 있다(Langhorne et al., 2009).

일상생활활동 중 식사하기, 옷 입기, 쓰기, 씻기 등

과 같은 섬세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본 바탕이 되는

대부분의 활동이 상지와 손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

각할 때, 손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보조수단을 통하

여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뇌졸중 환자의 절망

감이 크다(Lee & Kim, 2001).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

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활치료 과정에 참여하자고

하는 재활동기이므로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재활

동기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Yeo & Kim, 2012).

과제 지향적 접근(task-oriented approach)이란 치료사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 접근(client-centered approach)

으로 의미 있는 과제를 중요한 요소로 선택한다. 의미

있는 과제는 반드시 실질적이고 친숙한 도구를 사용

하며, 이러한 과제는 실제 환경 안에서 수행하도록 한

다. 이는 근골격계나 신경계 등을 연합시킬 수 있는

특수한 기능적 과제들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정상적 패턴들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기보다는 기능적

과제들에 초점을 두고 제시된 문제 해결을 능동적인

시도를 통해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Noh, Han, Jo, Ahn,

Kam, 2015). 과제 지향적 접근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증진을 위한 중재로서, 환자

들에게 움직임의 정상적 패턴들을 반복적으로 연습시

키는 것 보다 기능적 과제를 제공하여 문제해결을 능

동적으로 시도함으로서 학습이 된다고 가정한다(Carr

& Shepherd, 2003).

과제지향적 접근은 실제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하고 기능적인 활동들로 구성

되어 보다 효율적인 치료방법을 제시(Carr, Shepherd,

2003)함으로써 손상된 상지의 능동적인 사용을 조장

한다(Dromerick et al, 2000)고 하였다.

과제지향적 훈련은 목표 지향적인(goal-directed) 연

습으로서 일상적인 환경 내에서 기능적인 움직임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특정한 기능적 과제를 제공하는 것

으로써(Gergory et al, 2004), 운동학습에 기초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환자에게 필요한 과제를 분석하여, 과

제를 수행하기 위한 필요한 요소를 부분적 과제로 연

습하여 전체적인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다(Lee, Schmidt 1999). Carr & Shepherd(2000)에

의해 제안된 과제지향적 훈련은 운동 학습이론을 바

탕으로 뇌졸중 환자를 위해 고안된 치료의 한 형태로,

신경학적 손상을 가진 환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시스

템 이론으로서 환자가 과제 특수화(task specific) 전략

을 배워 변화 하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다.

과제지향적 훈련은 기존에 단일 동작을 반복 훈련하

던 치료방법과 달리 기능적 과제로 부여된 문제들을,

연관된 기관들이 상호작용 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

로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라고 하였다(Carr, Shepherd,

2000).

본 연구는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과 기존 전

통적 작업치료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가 함께 이루어지는 현

실에서 다른 치료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 과 기존 전통적 작업치

료와의 만족도 조사하여 차이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및 도구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부산,

울산 소재 병원에 입원하여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 중에서 MMSE-K 24점 이상, MoCA-K 23점 이

상 으로 인지 기능에 장애가 없는 환자 46명을 선별

하였다. 무작위배분을 통해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는 실험군 22명, 전통적 작업치료를 받는 대

조군 24명으로 나누었다.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

음과 같다.

①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자

②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③ MMSE-K 점수가 24점 이상인 자

Page 6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57

④ MoCA-K 점수가 23점 이상인 자

⑤ 뇌손상 외 기타 중복장애와 실행장애가 없는 자

⑥ 본 연구에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자

2) 대상자 선정 도구

(1)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 MMSE-K)

박종한과 권용철(1989)이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한글로 변역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검

사자간 신뢰도가 0.99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진단적

타당도가 높으며, 치매를 진단 할 뿐 아니라 인지 기

능의 장애 유무를 판별하는데도 사용되는 도구이다.

총 30점 만점으로 되어 있으며 24점 이상을 ‘확정적

정상’, 19점 이하를 ‘확정적 치매’, 그리고 20~23점은

‘치매 의심’으로 판별된다. 구성은 12문항으로 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 집중 및 계산, 언어 기능,

이해 및 판단 등 6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상

에서 편하게 뇌손상 환자의 인지 수준을 평가하는 도

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권용철과 박종, 1989).

(2) 한국판 몰트리올 인지평가(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본 연구는 Nasreddine 등(2005)이 개발한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를 Lee 등(2008)에 의해

수정 보완한 Th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을 사용하여 인지 수준 평가를

하였다. 도구는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공간 실

행력 5점, 어휘력 3점, 주의력 6점, 문장력 3점, 추상력

2점, 지연 회상력 5점 및 지남력 6점을 평가하며, 6년

이하 학력을 가진 자는 1점의 추가 점수를 부여한다.

총 30점 만점이며, 0∼22점은 경도 인지 장애, 23점 이

상은 정상으로 간주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 기능

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MoCA-K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 0.84이다.

3) 실험도구

(1) 기능적 독립 측정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석소연(2010) 의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짧은 시간 안에 환자의 수준을 감별하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의

사소통 사회 인지 부분이 보완된 FI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상생활동작능

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FIM을 사용하였으며,

FIM은 1983년 Granger 등에 의해 개발되어 장애환자

의 일상생활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널

리 사용되어지고 있다(Granger et al., 1990). 검사자간

신뢰도가 0.83~0.96이다.

(2) 뇌졸중환자 삶의 질 측정도구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 SS-QOL)

Linda 등(1999)이 개발한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을 문정인(2003)이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대상자와 직접 인터뷰하여 측정하는 삶의 질

평가도구이다. 에너지(energy;3항목), 가족(family;3항목),

언어능력(language;5항목), 움직임(mobility;6항목), 기분

(mood;5항목), 성격(personality;3항목), 자조활동(self care;5

항목), 사회역할(social roles;5항목), 사고력(thinking;3항목),

상지기능(upper extremity function;5항목), 시력(vision;3

항목), 일(work;3항목)의 12개 영역 총 49항목으로 구

성되어 있다. 5점 척도로 측정하고, 총점은 최저 49점

에서 최고 245점으로 측정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S-QOL의 원래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 = 0.73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문정인

(2003)의 연구에서는 신뢰도가 Cronbach’s alpha = 0.80

이었다(문정인,2003).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대

상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등은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상자 선정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를 통해 선정 조건에 부

합하는 대상자를 선정 하였다. 환자중심의 과제지향

적 훈련에 참여하는 실험군과 전통적 작업치료에 참

여하는 대상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두 그룹의 효과 결

과를 얻기 위해 사전 검사로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삶의 질 평가(SS-QOL)를 평가 한 후 똑

같이 배분된 숫자 ‘1’과 ‘2’ 카드를 대상자가 뽑기를

통해서 ‘1’은 실험군, ‘2’ 대조군을 무작위로 분류하였

Page 6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5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ubject selection (N=46)

MMSE-K selection

Pre-test

FIM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SS-QOL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Experimental group (n=20)

Patient-centered

problem-oriented Jungjae

program, 5 per week,

15min per session, 8 week

Control group (n=20)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5 per week, 15min

per session, 8 week

Post-test

FIM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SS-QOL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Treatment Satisfaction Research

Result Analysis

Analysis of frequency, T-test

Figure 1. Follow Diagram

Task1Balloon

strike

With balloons larger than 20cm in

diameter, they are played against a

therapist at a distance of 1m.

Task2Bean pouch

throw

Throw the bean pouch at a basket at

a distance of more than 1 meter.

Task3 ColoringColor A4 paper with colored pencils

of three colors or more.

Task4 Origami

The therapist shows a paper folding

demonstration first, and the patient

folds down using colored paper.

(e.g. crane, heart, plane, etc.)

Task5 Puzzle Use 15-30 pieces to solve puzzles.

Task6Personal

hygiene

Do activities such as washing hands,

washing face, and brushing hair.

Task7Coffee

making

Pour the coffee mix into a paper cup

and make coffee using hot water in

a water purifier.

Task8

Enjoy simple

board game

activities

They perform board game activities

such as Omog, Go-Stop, Gong-Gul,

Al-Kagi, HalligalI, and Jenga.

Table 1. Patient-centered problem-oriented Jungjae

program

다. 사전 검사를 시행 한 후 모든 대상자는 8주간 주

5회 총 40회기 동안 매일 15분씩 작업치료를 받았고,

추가적으로 실험군은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을

실시하였다. 중재를 마친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모

두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삶의 질 평가

(SS-QOL), 치료 만족도 검사를 사후검사로 진행되었

다[Figure 1].

1)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

5년 이상 숙련된 작업치료사 3명이 환자중심 과제

지향적 훈련 방법에 대해 교육을 받은 후 클라이언트

가 과제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Timmermans 등(2010)은 기능적

움직임(functional movements), 기능적 목표(functional

goal), 환자중심목표(client-centered patient goal), 부하

(overload), 실생활 물건 조작(real-life object manipu-

lation), 구조화된 환경 안에서의 수행(context specific

environment), 운동 진행(exercise progression), 피드백

(feedback), 다양한 운동(exercise variety), 다중움직임

계획(multiple movement planes), 전체적인 기술실행

(total skill practice), 환자맞춤형 훈련부하(patient-cus-

tomized training load), 무작위적 실행(random practice),

분산된 실행(distributed practice), 양손 실행(bimanual

practice)을 과제 지향적 활동을 구성 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인자라고 하였다. 이러한 중요 요소들을 고

려하여 송승일 등(2015)의 과제 지향적 활동 매뉴얼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8가지의 과

제로 고안하였다. 과제 지향적 훈련을 실시 할 때 치

료사의 감독 하에 구두 명령과 활동에 대한 가이드를

주어 실시하였으며, 한 동작이 끝난 후에는 활동에 대

한 피드백을 주어 자신의 수행 결과를 알게 하여 환

자의 동기를 유발하였다[Table 1, Figure 2].

4.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의 빈도분석을 사용하였

다. 두 집단의 중재 전, 후의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t

Page 6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59

Experiment

al group

(n=22)

Control

group

(n=24)

N(%) N(%)

Gender Male 11(50%) 11(45.8%)

Female 11(50%) 13(54.2%)

Age average (세) 55.5 59.17

Type of stroke infarction 18(81.8%) 19(79.2%)

hemorrhage 4(18.2%) 5(20.8%)

Paretic side right 13(59.1%) 13(54.2%)

left 9(40.9%) 11(45.8%)

Length of stroke average(mon) 10.95 13.33

MMSE-K average(점) 26 25.75

MoCA-K average(점) 25.36 25.42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Task 1 Balloon strike Task 2 Bean pouch throw

Task 3 Coloring Task 4 Origami

Task 5 Puzzle Task 6 Personal hygiene

Task 7 Coffee making Task 8 Enjoy simple board game activities

Figure 2. Patient-centered problem-oriented Jungjae

program activities

Experimental group (n=22)

M SD t p

FIM Pre 69.86 15.77 -5.600 *** .000

Post 76.64 14.70

SS-QOL Pre 109.00 22.50 -7.504 *** .000

Post 124.18 19.90

Table 4.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atient-centered problem-oriented Jungjae program

검정을 사용하였고, 대응표본t검정을 통해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 모

든 통계분석의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별에 따른 대상자의 수는 실험군 남자 11명(50%),

여자11명(50%)이었고 대조군 남자 11명(45.8%), 여자

13명(54.2%)으로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으로 총 46

명이었다. 진단명은 실험군뇌경색 18명(81.8%), 뇌출

혈 4명(18.2%)이었으며, 대조군 뇌경색 19명(79.2%),

뇌출혈 5명(20.8%)이었다. 연령은 실험군 평균 55.5세,

대조군 59.7세 이었다. 마비측은 실험군 오른쪽 13명

(59.1%), 왼쪽 9명(40.9%)이었고 대조군 오른쪽 13명

(54.2%), 왼쪽 11명(45.8%) 이었다. 유병기간은 실험군

평균 10.95개월 대조군 13.33개월 이었다. MMSE-K점수

에서는 실험군 평균 26점 대조군 27.5점 이었다. MoCA-K

점수에서는 실험군 평균 25.36점 대조군 25.42점 이었

다[Table 3].

2.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과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 적용에 따른 변화

1) 실험군

중재 전과 후의 FIM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의

평균값이 69.86으로 나왔고, 중재 후의 평균값이 76.64

로 나와 중재전의 평균값보다 중재 후의 평균값이 상

승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Page 6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중재 전과 후의 SS-QOL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

의 평균값이 10.90, 중재 후의 평균값이 124.18로 나와

중재전의 평균값보다 중재 후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Table 4].

2) 대조군

중재 전과 후의 FIM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의

평균값이 69.25로 나왔고, 중재 후의 평균값이 72.71로

나와 중재전의 평균값보다 중재 후의 평균값이 상승

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전과 후의 SS-QOL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의 평균값이 112.83으로 나왔고, 중재 후의 평균값

이 121.54로 나와 중재전의 평균값보다 중재 후의 평

균값이 상승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Table 5].

Control group (n=24)

M SD t p

FIM Pre 69.25 18.84 -4.969 *** .000

Post 72.71 15.94

SS-QOL Pre 112.83 21.00 -5.054 *** .000

Post 121.54 15.00

Table 5.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3. 중재 전과 중재 후의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

1) 중재 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 중재 전 일상생활동작 점수를 비

교한 결과 실험군의 FIM 점수는 69.86±15.77이고, 대

조군의 FIM 점수는 67.25±18.84이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또한 세부 항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삶의 질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SS-QOL 점수는 109.00±22.50이고, 대

조군의 SS-QOL 점수는 112.83±21.01로 집단 간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부 항목에서도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5).

결과적으로 중재 전 집단간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6].

Experimental

group (n=22)

Control group

(n=24) p

M±SD M±SD

FIM Self-Care 22.77±6.20 20.67±6.53 .269

Sphincter

Control10.86±3.06 9.63±3.55 .213

Transfers 10.82±3.30 11.08±4.48 .822

Locomotion 5.86±3.12 5.38±3.02 .592

Communication 8.91±1.88 9.21±2.11 .615

Social Cognition 10.64±3.54 11.29±3.79 .549

TOTAL SCORE 69.86±15.77 67.25±18.84 .614

SS-QOL Energy 6.91±3.15 6.42±2.36 .549

Family Roles 6.55±3.10 7.08±2.80 .539

Language 12.18±5.17 12.17±4.91 .992

Mobility 12.91±4.52 14.04±4.85 .418

Mood 11.86±4.19 12.13±3.78 .825

Personality 6.45±1.82 7.04±1.78 .275

Self Care 9.50±3.38 10.88±3.07 .155

Social Roles 11.23±3.01 11.67±2.91 .617

Thinking 5.59±1.74 6.08±1.61 .324

Upper Extremity

Function11.09±3.13 11.00±3.09 .922

Vision 9.27±2.91 8.42±2.93 .327

Work/

Productivity5.45±2.11 5.92±2.77 .530

TOTAL

SCORE109.00±22.50 112.83±21.01 .553

Table 6. Comparison of pre-intervention FIM and

SS-QOL

2) 중재 후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의 변화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일상생활동작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FIM 점수는 76.64±14.70이고,

대조군의 FIM 점수는 67.25±15.94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부 항목에서도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 삶의 질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SS-QOL 점수는 124.18±19.91이고, 대

조군의 SS-QOL 점수는 121.54±14.99로 집단 간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부 항목에서도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5).

Page 6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61

Experimental

group

(n=22)

Control group

(n=24) p

M±SD M±SD

FIM Self-Care 26.05±5.58 22.88±5.02 .049

Sphincter

Control10.95±3.09 9.96±3.17 .287

Transfers 11.55±3.46 12.46±3.45 .376

Locomotion 6.59±2.99 5.96±3.03 .480

Communication 9.36±1.76 9.17±1.81 .711

Social

Cognition12.14±2.34 72.71±3.29 .854

TOTAL SCORE 76.64±14.70 67.25±15.94 .391

SS-QOL Energy 7.32±2.89 6.88±2.37 .570

Family Roles 6.95±2.77 7.58±2.43 .416

Language 13.36±4.83 13.00±4.36 .790

Mobility 14.36±4.03 14.50±4.17 .911

Mood 12.86±3.69 13.00±2.80 .888

Personality 7.09±1.77 7.63±1.47 .270

Self Care 11.55±2.91 11.46±2.47 .913

Social Roles 12.36±2.30 12.75±2.36 .578

Thinking 6.50±1.95 6.75±1.57 .632

Upper Extremity

Function14.45±2.30 12.63±2.52 .014

Vision 9.36±2.97 8.33±2.28 .191

Work/

Productivity8.00±1.41 7.04±2.49 .120

TOTAL SCORE 124.18±19.91 121.54±14.99 .612

Table 7. Comparison of post-intervention FIM and

SS-QOL

Experimen

tal group

(n=22)

Control

group

(n=24)

content N N

1. satisfaction very satisfaction 13 0

satisfaction 9 2

normal 0 6

dissatisfaction 0 14

very dissatisfaction 0 2

1-1.

satisfaction

reason

Smooth use of the

affected side6 1

In addition to treatment

time, my own exercise5 1

Interesting programs 3 0

Achieved sense of

accomplishment8 0

1-2.

dissatisfaction

reason

Tired after treatment 0 2

don't know the reason

for the treatment.0 3

Be ineffective 0 2

Don't know how to

do it0 5

Don't see anyone

checking every day0 4

2. Adequacy

of tool

yes 22 24

no 0 0

3. Adequacy

of place

yes 22 24

no 0 0

Table 8.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com-

parison of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결과적으로 중재 전 집단 간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

을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7].

4. 실험군, 대조군의 실험 전, 후 만족도 비교

만족도 설문지 결과 만족도 항목에서 실험군 총22

명 중 매우만족이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만

족 9명, 보통 0명, 불만족 0명, 매우 불만족 0명 이었

으며, 대조군에서는 총24명 중 불만족이 14명으로 가

장 많았고, 보통 6명, 만족 2명, 매우 불만족 2명 매우

만족 0명 이었다.

만족이유 항목에서 실험군은 성취감이 생긴다 문항

이 8명으로 가장 많았고, 환측의 사용이 원활해졌다 6

명, 치료 외에도 스스로 운동할 수 있다 5명, 훈련이

재미있다 3명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환측의 사

용이 원활해 졌다 1명, 치료 외에도 스스로 운동 할 수

있다 1명으로 위의 두 가지 문항이 가장 많았고, 훈련

이 재미있다 0명 성취감이 생긴다 0명으로 나왔다.

불만족 이유 항목에서는 실험군에서는 전 항목이 0

명으로 나왔으며, 대조군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문항이 5명으로 가장 많았고, 매일 확인해

주는 사람이 없다 4명 왜 해야 하는지 이유를 잘 모르

겠다 3명, 효과가 없는 것 같다 2명, 치료가 끝나면 피

곤하다 2명으로 나타났다. 도구의 적절성 항목에서 실

Page 6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험군은 예 22명, 아니오 0명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에

서는 예 24명 아니오 0명으로 나왔다. 장소의 적절성

항목에서 실험군은 예 22명 아니오 0명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예 24명 아니오 0명으로 나왔다. [Table 8]

Ⅳ. 고 찰

본 연구는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

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시행 되었으며,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과 기존 전통적 작업치료의 환자가 느끼는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두 집단 모두 치료중재를 실시

하기 전. 후의 FIM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의 SS-QOL 변화를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에게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를 돌렸고 그 결과 통

계학적으로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대조군보다 실험

군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과제지향적 훈련이 전통 작업치료보다 뇌졸중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arr와 Shepherd(2000)에 의해 제안된 과제지향

적 훈련은 운동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를

위해 고안된 치료의 한 형태로, 신경학적 손상을 가진

환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시스템 이론으로서 환자가

과제 특수화(task specific) 전략을 배워 변화 하는 환경

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다.

방요순 등(2007)은 과제지향적 활동을 통한 성인 뇌

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훈련인 옷 입기, 먹

기, 꾸미기, 화장실 가기의 활동을 통하여 유의한 향

상을 보였다고 하였다. 손주리 등(2015) 과제 지향적

일상생활활동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삶

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과제지향적 일상생활활동 훈련을 적용 한

후, 상지의 기능회복 및 삶의 질에 대해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30명의 대상으로 15명이 일

상생활활동 훈련군으로 시행되었으며 화장실 독립적

으로 이용하기, 세수하기 및 칫솔에 치약짜고 양치하

기, 보관된 옷 꺼내서 상. 하의 갈아입기, 차 끓여 마

시기, 라면 끓이기, 설거지하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가

벼운 가구 옮기며 청소하기, 다리미판 준비해서 셔츠

다리기, 간단한 마트에서 물건 사기, 간단한 레저 활

동 즐기기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본 연구에서는 8주간의 과제지향적 훈련을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할활동 수행능력에 있어 변화한 것은

볼 수 없었지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실험군인 22명

의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만족도

가 일반 전통적 작업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분들보

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과제지향적 훈련이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는 없

었으나, 치료의 긍정적인 결과를 미치는 만족도에서

는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와 과제지향적 훈련

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싶었으나, 연구의 결과는 유의

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과제지향적 훈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의미 있

게 보아야 할 부분이다. 환자의 높은 성취감과 만족감

은 치료의 긍정적인 결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게 되는 과

정에서 동기유발과 치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훈련

이다. 추후 과제지향적 훈련의 효과성을 더 검증하여,

작업치료 수가로 개발하게 된다면, 장애인 및 노인들

의 재활치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치료의 만족도가 향상될수록 삶의 질 또한 같이 향

상되기 마련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치료의 만족도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한 실험 대상

자는 입원환자이다. 치료의 만족도는 치료 후 바로 확

인할 수 있는 본인의 주관적인 만족도이지만, 삶의 질

은 치료 후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입원환자가 아닌 외래환자였다면 결

과는 달라질 수 있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유의하게 확인하여야 할 결과

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서 향상을 보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

는 없었지만, 과제지향적 훈련 뿐 만 아니라 작업에

목적을 둔 전통적 작업치료만으로도 치료의 효과를

Page 6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63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며, 치료환경에 제약이 있어 과

제지향적 훈련을 하지 못하더라고, 전통적 작업치료

를 꾸준히 시행한다면 환자의 삶의질과 일상생활활동

또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한점은 대상자 수가 적어 결과를 일

반화하기 어려웠으며, 대상자 선정 시 MoCA-K점수가

23점 이상인 인지기능에 이상이 없는 대상자를 선정

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기능 수준은 고려하

지 못하였다. 또한 부산과 울산 소재지 병원을 대상으

로 지역이 한정적 이였으며 실험기간이 짧았고 일반

과제지향적 활동이 아닌 다른 치료와 겹칠 수 있는

부분을 배제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환자중

심의 과제지향적 훈련을 통해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을 생각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활동과 전통적 인지 재활에

의한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변

화와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과 기존 전통적 작

업치료와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광역시 M병원과 G병원의

재활의학과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작업치료실에 의

뢰된 성인 뇌졸중 46명을 대상으로 각 22명의 실험군

(환자중심의 과제 지향적 훈련)과 24명의 대조군(전통

적 작업치료 활동)으로 나누어, 8주간 주5회 1회당 15

분씩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그리고 민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FIM와 SS-QOL

과 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가 함께 이루어지는

현실에서 다른 치료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

여 환자중심의 과제지향적 훈련과 기존 전통적 작업치

료와의 만족도 조사하여 차이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

은 결과를 얻었다.

1. 과제 지향적 활동은 전통적 작업치료보다 일상

생활활동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과제 지향적 활동은 전통적 작업치료와의 삶의

질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과제 지향적 활동과 전통적 작업치료를 받은 환

자분들의 만족도는 과제 지향적 훈련을 받은 실

험군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과제 지향적 활동

이 전통적 작업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와 비교한 결

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만족도는 과제 지향적

활동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기 때문

에 환자중심의 과제 지향적 훈련이 환자 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Bang, Y. S. (200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49-61.

Barker, R. N., Brauer, S. G., & Carson, R. G. (2008).

Training of reaching in stroke survivors with severe and

chronic upper limb paresis using a novel nonrobotic

devic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39(6), 1800-7.

Carr, J. H., & Shepherd, R. B. (2000). In movement sci-

ence foundations for physical therapy in rehabilitation.

Austin: Pro-Ed.

Carr, J. H.,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litation.

Newton, MA: Butterworth helenemann. Deagu University,

Deagu.

Dromerick, A. W., Edwards, D. F., & Hahn, M. (2000). Does

the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

apy during acute rehabilitation reduce arm impairment

after ischemic stroke? stroke, 31(12), 2984-2988.

Garrison, S. J., Rolak, L. A., & Dodaro, R. R. (1977).

Rehabilitation of the stroke patient, rehabilitation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 Philadelphia, JB Lippincott.

Gergory, T. T., Dean, C, M., & Gentile, A. M. (2004).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task-related train-

ing versus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85(10), 1613-1618.

Jang, S. H., Kim, Y. H., Cho, S. H., Lee, J, H., Park, J,

W., & Kwon, Y. H. (2003). Corrtical reorganization

induced by task-oriented training in chronic hemiplegia

Page 7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troke patients. Neuroreport, 14(1), 137-141.

Jeong, W. S., Yun, T. W., Choi, Y. J., & Lee, H. G.

(2013).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Motor

Function of Paretic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J Korean Soc Phys

Med, 8(2), 271-80.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 Han, T. R.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3),

283-297.

Langhorne P., Coupar F., & Pollock, A. (2009).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Lancet Neurology,

8(8), 741-754.

Lee, J. M., & Kim, B. R. (2012).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Activity and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1(2), 23-34.

Lee, T. Y., & Kim, J. W. (2001). Factor Analysis of

Elements Affecting Activities of Daily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9(1), 25-36.

Lin, K. C., Wu C. Y., & Liu J. S. (2009). Constraint-in-

duced therapy versus dose-matched control intervention

to improve motor ability, basic/extended daily func-

tions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Neuro rehabil Neural

Repair, 23(2), 160-5.

Linda, S. W., Morris, W., Lisa, E. H., Daniel, O. C., &

Jose, B. (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

ity of life scale. Stroke, 30(7), 1362-1369.

Moon, J. I. (200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roke Quality of Life; Using the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Daegu University, Daegu.

Noh, D. H., Han, S. H., Jo, E. J., Ahn, S. H., & Kam,

K. Y. (2015).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6(2), 1153-1163

Pailk, Y. R., & Kim, S. K. (2010). A Task-Oriented

Approach Consisting of Modified Constraint - 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and Bimanual Activity

Effect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2), 75-90.

Park, J. H., & Gwon, Y. C.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Psychiatry investigation, 28(3), 508-513.

Richard, L., & Harvey, M. D. (2009). Impioving post-

stroke recovery: neuroplasticity and task-oriented training.

Cardiovascular Nedicine, 11(3), 251-259.

Rijken, P. M., & Dekker, J. (1998). Clinical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with chronic diseases: A

quantitative approach. Clinical Rehabilitation, 12, 143-150

Schmidt, R. A., & Lee, T. (1999). Motor control and

learning. Champaign, Human kinetics.

Son, J. R. (2015). The Effect of Task Orien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Stroke. Gachon

University, Gachon.

Summers J. J., Kagerer F. A., & Garry M. I. (2007).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 Neurol Sci. 2007; 252: 76-82.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2015 Cause of

Death Statistics . http://www.nso.go.kr.

Trombly, C. A., & Radomski, M. V. (2013).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7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Van Peppen, R. P., Kwakkel, G., & Wood-Dauphinee, S.

(2004).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what’s the evidence. Clin Rehabil,

18(8), 833-62.

Yeo, H. N., & Kim, Y. K. (2012). Effects of a Group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Stroke Patients on

Their Depression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424-434.

Page 7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65

Abstract

The Effect Patient Centered Task Oriented Training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Lee, Da-Sol*, O.T.R., Choi Yoon-Seo**, O.T.R., Lee, Hye-Jin***, O.T.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Medwill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Kangnamdongkang hospita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Metho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s self-selecting and per-

forming tasks through task-oriented training on patient’s quality of life, daily activities, and

treatment satisfaction.

Result :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and traditional oc-

cupational therapy, both treatment method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daily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In particular, task-oriented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 Both task-oriented training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daily activities. Especially, patient-centered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is very help-

ful in improving treatment satisfaction in stroke patients. Therefore, task-oriented training pro-

gram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treatment.

Key Words : Task Oriented Training Program, life of quality, Activity of daily living

Page 7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7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장태용*, 전영**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준재활의학과 아이준발달연구소

국문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한 관련

교육의 역할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작업치료사의 투약계획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작업치료사 89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의 일반적 특성과 작업

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 인식에 대한 모든 항목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잠재적인 약물 부작용이 일상생활에서 작업치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작업치료사가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나, 투약 지도에 관한 내용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노인을 위해 작업치료사가 투약계획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50명(56.2%)이 매우 그렇다라고

하였으며, 투약계획 교육에 대해 추후 들을 의향이 있다는 답변에 53명(58.7%)이 응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심과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교육과 인식개선에 도움을 주어 향후 작

업치료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작업치료사, 작업치료, 투약계획, 인식

Corresponding author: Jeon, Young([email protected]/I-jun Instltute of development)

Received 11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14 May 2018; Accepted 24 May 2018

Ⅰ. 서 론

식생활 및 영양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생활수준과 건

강수준을 향상시키고, 평균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수명

연장은 노인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다. 2018년 현재 우리

나라의 고령화율은 14.3%로 2060년에는 41.0%로 늘어

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7).

모든 노인들이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노인들이 의약품을 복용한다(Margaret, 2015).

감기와 같은 급성질환 치료를 위해 주로 단기적으로

의약품을 복용하는 장년층과는 달리 노인은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

러한 만성질환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해 장기적으로 거

의 평생 동안 의약품을 복용하게 된다. 더욱이 노인은

여러 가지 질환을 동시에 앓는 복합질환자의 비율이

높다(Park, 2015).

연령과 복용약물의 수가 증가하면 약물의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노인들은 연령과 관계된 생체기

능상의 특성으로 인해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에 변화가 있고, 수용체 반응이나 항상성 반응의 저해

등과 같은 약동력학적인 변화로 인해 약물의 부작용

이 나타나기 쉽고, 다제복용으로 인한 유해상호작용

에 노출될 가능성도 크다 (Kim, 2006).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약을 복용할 때의 준수는 성

Page 7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6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공적 치료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노인의

대부분은 약물 복용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Jang, 2007). 노인 인구에서는 처방 받은 약물

뿐만 아니라 비처방약과 한약 등 여러 가지 약물을 함

께 복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약물 상호작용에 의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우려가 더욱 많은 상황으로 (Hwang

et al., 2003), 노인의 약물 복용의 문제점이 제시되었

다(Park et al, 2014).

실제 노인들은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한 지식과

이행 정도가 부족하며, 노인들이 약을 복용할 때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지기능과 기민성의 저하(kim,

2011), 많은 종류의 약물 사용과 투약 처방의 복잡성

(Kim et al, 2008), 약물 부작용(Hong, 2004), 약물에 대

한 지식 부족, 건강상태와 질병에 대한 인식정도, 의료

진과의 의사소통(Kerzman, 2005)등이 주요 영향요인

으로 제시되었다.

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복용이 중요함이 대두되

어지고 있다. 이에 노인들의 투약계획 및 관리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 되어 지고 있다(Beckman, 2005).

이에 투약계획 교육까지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

할이 필요하게 되었고, 모든 잠재적 약물 부작용은 일

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작업치료 성

과를 저해시킴으로써 전체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Margaret, 2015). 이미 해외에서는 작업치료사가

수단적 일상생활영역에서 건강 관리 및 유지를 위하

여 약물 복용을 계획하며, 환자에게 적합한 전자 장치

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매주 활동 및 약물을 관

리하고 복용계획을 하도록 도와주고 있다(OTPF, 2014).

투약계획 교육은 작업치료사들이 노인 건강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며, 작업

치료사들은 적응 가능한 장비나 도구에 대하여 노인들

과 보호자들을 교육시키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Margaret, 2015). 이와 같은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있

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투약계획 교육

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

가 없는 실정이며, 객관적인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

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간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8년 1월 15일부터 2018년 2월 17일까

지 약 5주에 걸쳐 서울 및 경기지역의 작업치료사 100

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시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다. 응답내용 불충분으로 11부

를 제외한 89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

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Park(2016), Lee(2017)가

사용한 설문 도구를 바탕으로 초안을 작성 한 후 작

업치료 전공 교수 2인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한

후 수정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 항목을 제외하고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

료사의 인식 및 역할에 관한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able 1).

3. 자료 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투약계

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age 7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69

Questions Given answers

Q1

Do you know the five elements of

the WHO's implementation of the

prescription?

∙ 4 point Likert

scale

Q2

Do potential drug side effects affect

the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y in ADL?

∙ 4 point Likert

scale

Q3Do you know about medication

guide in the IADL inside OTPF?

∙ 4 point Likert

scale

Q4

Do you think it is necessary for a

occupational therapist to provide

education on medication planning for

the elderly?

∙ 4 point Likert

scale

Q5Have you ever conducted training on

medication planning?

∙ 4 point Likert

scale

Q6Have you ever received training in

medication planning?

∙ 4 point Likert

scale

Q7

Do you think there is a need for a

training program related to medication

planning education?

∙ 4 point Likert

scale

Q8Would you be willing to listen if you

had a training in medication planning?

∙ 4 point Likert

scale

Q9

What is your understanding of the

drugs used to train you on

medication planning?

∙ 4 point Likert

scale

Table 1. Survey Question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89명 중, 남

성 21명(23.6%), 여성 68명(76.4%)이었고, 연령별로는

20대가 49명(55%)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31명

(34.8%), 40대 이상은 9명(10.2%) 순이었다. 임상경력

은 3년이상~5년 미만 31명(34.8%), 1년이상~3년미만

19명(21.3%), 5년이상~10년 미만 22명(24.7%), 10년 이

상 17명(19.2%)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학사 60

명(67.4%), 전문학사 21명 (23.6%), 석사 8명(8.0%) 이

었다. 근무 기관은 재활병원 57명(64%), 종합병원 15

명(16.8%), 대학병원 11명(12.3%), 기타 6명(6.9%) 이

었다(Table 2).

Category N Percentage

genderM 21 23.6

F 68 76.4

age

20-29 49 55.0

30-39 31 34.8

more than 40 9 10.2

Clinical

career

1y above – 3y under 19 21.3

3y above – 5y under 31 34.8

5y above –10y under 22 24.7

10y above 17 19.2

Instituti-on

type

University hospital 11 12.3

General hospital 15 16.8

Rehabilitation hospital 57 64.0

Etc 6 6.9

Educati-on

degree

College 21 23.6

Bachelor 60 67.4

Master 8 8.0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 of subject (N=89)

2.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설문에 참여한 전체 응답자들의 인식 정도는 Table

3와 같이 나타났다. 투약계획 교육의 인식에 대한 9

문항 중 세계보건기구(WHO)의 투약지시 이행의 5가지

요소를 아는지 여부를 묻는 문항 1번에 대해 “매우 그

렇지 않다”로 답한 작업치료사가 비율이 63명(70.7%)

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렇지 않다”로 답한 비율이 25

명(28.2%)으로 뒤를 이었다(Table 3).

잠재적인 약물 부작용이 일상생활활동(ADL)에서

작업치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묻는 문

항 2번에 대해 “매우 그렇다”로 답변한 작업치료사가

비율이 35명(39.4%)로 가장 많았으며, “그렇다”라는 비

율은 27명(30.3%)로 차지했다. 3번째 문항인 OTPF에

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에 투약지도에 관한 내

용이 있는지 알고 있는지에 대해 물음에 “매우 그렇

지 않다”라고 답한 작업치료사가 72명(80.9%)이었으

며,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작업치료사는 15(16.8%)가

나왔다. 노인을 위한 작업치료사가 투약계획을 교육

을 하는 것이 필요하냐는 물음에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작업치료사의 비율은 50명(56.2%)을 차지했고,

Page 7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7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Items

Answers

Strongly

disagreeDisagree Agree

Strongly

agree

n (%) n (%) n (%) n (%)

Q1 63 (70.7) 25 (28.2) 1 (1.1) 0 (0)

Q2 15 (16.8) 12 (13.5) 27 (30.3) 35 (39.4)

Q3 72 (80.9) 15 (16.9) 1 (1.1) 1 (1.1)

Q4 17 (19.1) 4 (4.5) 18 (20.2) 50 (56.2)

Q5 80 (89.9) 8 (9.0) 1 (1.1) 0 (0)

Q6 81 (91.0) 8 (9.0) 0 (0) 0 (0)

Q7 15 (16.9) 6 (6.7) 28 (31.4) 40 (45.0)

Q8 5 (5.6) 7 (7.9) 24 (26.8) 53 (58.7)

Q9 86 (96.6) 3 (3.4) 0 (0) 0 (0)

Table 3. Occupational Therapists’ Awareness on the

education on medication planning in OTPF (N=89)

“그렇다”라는 답변도 18명(20.2%)을 차지했다.

투약계획 교육을 시행해본 적이 있느냐는 5번 문항

에 80명(89.9%)의 작업치료사가 “매우 그렇지 않다”, 8

명(9%)의 작업치료사는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투약계획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느냐라는 문항에는

81명(91%)이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작업치료사는 8명(9%)로 그

뒤를 따랐다. 문항 7번은 투약계획 교육 관련 보수교

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문항에 작업치료사들은

40명(45%)가 “매우 그렇다”, 28명(31.4%)가 “그렇다

“라고 응답하였다.

문항 8번은 투약계획 교육이 필요하면 들을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작업치료사 89명 중 53명(58.7%)이 “매

우 그렇다”, 24명(26.8%)는 “그렇다”라고 하였다.

투약계획 교육을 위한 약물에 대한 이해도는 어느정

도 인지에 대한 문항은 작업치료사들 중 86명(96.6%)이

“매우 그렇지 않다”, 그리고 3명(3.4%)은 “그렇지 않다”

라고 응답 하였다.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항목 안에 있는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및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되었다.

응답자는 89명의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로서 2018년 1월 15일부터 약 5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식 관련 설문지 문항들은 투

약계획 교육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에서 세부적인 내

용을 질문하도록 구성되었다.

투약계획교육은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수단

적일상생활활동(IADL) 영역인 건강 관리와 유지

(Health management and maintenance)의 항목 안에 약

물투약(medication routines)이 명시되어 있고, 작업치

료적 중재 중에 교육 및 훈련에서 훈련부분에도 명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치료사들이 투약계획교육에 관한 내용에 대한 인식이

전무한 실정이다.

약물 투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일상생활활동에서 영

향을 미친다고 생각한 결과는 Kim(2011)의 연구 결과

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나쁜 임상결

과를 초래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Kim(2006)연

구에서도 나타났다.

투약계획 교육은 작업치료사들의 노인 건강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며,

Margaret(2015)은 작업치료사들은 만약 환자가 자기에

대한 투약 지시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면 환자를 도울 수 있다고 권고했다. Sanders과

Van Oss(2013)의 연구에서도 일상생활에서 환자를 도

와 개별화된 투약계획하고 개발하고 투약을 촉진하는

것이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선행되

었다.

이에 한국의 작업치료사들은 대부분 인식개선을 위

해 노인을 위한 약물계획 교육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계획 교육에 관한 보수

교육의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

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지역의 제한성으로 모든 작

업치료사들에게 일반화 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설문지의 결과를 단순히 빈도분석의 결과로 나타냈기

때문에 보다 심층적인 분석으로 다차원적인 결과를

제시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

Page 7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71

양한 지역과 임상 경력을 가진 치료사를 연구대상으

로 조사하고 구조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제

언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

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및 인식을 파악함으로

써 차후 작업치료사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

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들은 약물 부작용이 일상생활

동에서 영향을 많이 미치고, 일상생활을 중요시 여기

는 작업치료분야에서 노인을 위해 투약계획 교육을 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반면에 세계보건기

구(WHO)는 투약지시불이행에 기여하는 여러 가지 요

소를 정의하기 위하여 투약지시이행에 대한 다섯 가지

(보건 시스템, 질병 관련, 환자관련, 치료 관련, 사회경

제적)의 요소를 개발하였지만, 이 요소에 대해 63명

(70.7%)이 전혀 알지 못했고, 투약계획 교육을 위한 약

물에 대한 이해도 또한 86명(96.6%)이 알지 못했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가 투약계획 교육에 관한

내용에 대해 교육을 받은 적도 없고 시행해 본적이 없

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작업치료사의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

약계획 교육에 대한 실태평가 및 필요성에 대한 지속

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투약계획을 돕기

위한 작업치료적인 전략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Beckman, A. G. K., Parker, M. G., & Thorsund, M.

(2005). Can elderly people take their medicine?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9(2), 186-191.

Hong, K. L. (2004). How do you approach the consultation

of med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ospital

Phamacists, 21(2), 30~67.

Hwang, G. J., Kim, J. S., Park, J. E., An, J. H., Kim,

M. H., Son, E. S., ... Park, S. B. (2003). Medication

Error and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ko-

re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ists, 20(2), 1-12.

Jang, J. S. (2007). A study on the status of drug use in

elders in kyongbuk provinc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1), 40-50.

Kerzman, H., Baron-Epel, O., & Toren, O. (2005). What

do discharged patients know about their medi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6(3), 276-282.

Kim, S. O., Park, J. Y., Choi, Y. S., Lee, H. Y., & Ki,

J. H. (2008). Control scheme of drug cost according to

a sort of medical service using.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2), 376-389.

Kim, K. S. (2006). A study of need for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measure to elderly patient according to

ag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Kim, Y. H., Lee, M. K., Lee, S. J., Cho, M. S., & hwang,

M. S. (2011). Medication Status and Adherence of the

Elderly under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2(3), 290-301.

Lee, J. Y., Kim, J. Y., Hong, M. Y., Kim, Y. S., & Lee, S.

A. (2017).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and the Amended-A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5(2), 103-114.

Margaret A. Perkinson. (2015). Occupational therapy with

aging adults. Elsevier.

Park, B. R. (2016).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Occupational Virtual Reality Program.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0(2), 41-46.

Park, E. J. (2015). Out-of-pocket Prescription Drug

Expenditures and Difficulty in Taking Medicine Among

the Korean Elder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ark, Y. L., Lee, K. Y., Kang, D. O., Uhm, D. C., &

Kim, J. H. (2014). Medica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a Med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a Community. Joumal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5(3), 170-179.

Page 7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7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Sanders, M. J., & Van Oss, T. (2013). Using Daily rou-

tines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1),

91-99.

Statistics Korea. (2017). Statistics of the aged.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Page 7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73

Abstract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OTPF

medication routines Education

Jang, Tae-Yong*, O.T.R., Jeon, Young**, O.T.R.

*Hallym Universit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I-jun Instltute of development

Objective : This study is purpos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of occupational therapists studying

meditating-plan, based on the role and necessity of related training which are figured out from

medicating-plan recognition survey in OTPF.

Method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9 occupational therapists in Seoul and Kyunggi

area to evaluat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s of OTPF medication routines education.

All items of OTPF medication routines education recogni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ng in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Result : The rate at which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better aware of the potential sid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outcomes in their daily lives, but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s of

drug therapy were limited. 50 people(56.2%) answered very affirmatively to the medicating-plan

training for the elderly, and 53 people(58.7%)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the medicating-plan training education.

Conclusion : The redults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a basic data on the interest and role of occu-

pational therapists in OTPF medication routines education. In addition, it will help the occupa-

tional therapist to improve education and awareness, which will help provide future occupa-

tional therapy services.

Key Words : Occupation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y, Medication routines, Recogniton

Page 8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8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심철재*, 김영아**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국문초록

목적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의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

리스를 지급 받은 가입자 1,059명의 지급일 전후 1년간 욕창 관련 진료비 현황을 분석하여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 제도 실시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애인보장구 급여현황을 분석하며,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의 지급일

전후 1년간 총 진료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급전에 비해 지급 후 총 진료비가 욕창예방방석은 20.73% 감소하였고, 욕창예방매트리스는 20.54%,

평균은 20.6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액 대비 절감액 배수는 욕창예방방석은 11.21배, 욕창

예방매트리스는 13.09배, 평균은 12.47배로 나타나 매우 비용효과적이고, 본인부담진료비 경감과 건강

보험 재정절감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 및 진료비 절감효과는 공단부담금과 본인부담금

이 함께 감소하였으므로 장애인의 경제적 부담 해소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재정절감에도 기

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장애인 보장구 급여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애인에게 양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원화된 공공전담기구가 필요하며, 급

여확대와 함께 보다 강화된 급여기준과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항후 외국의 사례 및 저출산⋅고령사회

가속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 발생이 예측됨에 따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장애인보장구 개발 등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장애인보장구, 장애인 보장구 급여현황, 욕창예방방석, 욕창예방매트리스, 장애인보장구 급여제도 개선

Corresponding author: Kim, Young-A([email protected]/Department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Received 17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17 May 2018; Accepted 24 May 2018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 전국 등록장애인 수는 현재 249만명에 이

르고 있으며, 장애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

다(Survey of the disabled, 2016). 우리나라의 GDP(국내

총생산)은 2016년 1조 3,779억 달러로 세계 11위의 경

제규모를 자랑하는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으나(World

Bank Resources, 2016) 경제규모에 비해 장애인 등 사

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은 아직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

이다. 일본, 스웨덴, 독일과 같은 복지선진국가는 노인

과 장애인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국가로 인정받고 있

으며, 우리나라도 늘어나는 노인인구와 장애인의 삶의

Page 8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7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질 향상을 위해 정부와 사회가 한층 노력해야 할 때

이다(Yang, & Lee, 2016).

2017년 8월 9일 정부는 일명, ‘문재인 케어’라고도

불리는 ‘건강보험 보장성강화대책’을 발표하였다. 이

중 장애인에게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욕창예방방석

지급대상에 지체장애인 외에 뇌병변장애인을 추가하

고, 이동식전동리프트는 척수, 뇌병변질환자 외에 신

경근육 질환자도 추가하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시각

장애인용 보장구 등에 건강보험 지원금을 인상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 제51조(장애인

에 대한 특례) 규정에 따라 1997년도부터 건강보험 장

애인보장구 급여제도를 시행한 이래, 5개 부처 9개 사

업으로 분산되어 시행되고 있는 국내 장애인보장구⋅

보조기기 급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클 뿐만 아

니라 급여품목의 단계적 확대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일정부분 기여해왔다. 장애인

보장구 급여제도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관한 국내연

구(Kim, 2016; Hwang, 2007; Lee, 2014; Jeong, 2014;

Jeong et al., 2016;)를 분석한 결과, 많은 장애인들은 장

애인보장구 구입에 드는 본인부담 비용에 부담을 느끼

고 있으며, 정보 비대치성으로 인해 충분한 상담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장애인들이 필요한

보조기기를 구입하지 않은 61.8%의 주된 이유는 비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Survey of the disabled, 2014).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장

애인보장구 급여를 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국

민건강보험법 제51조(장애인에 대한 특례)가 강제규

정이 아닌 임의규정으로 명문화되어 있어 그 한계성

을 지니고 있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이 본격

화하면 건강보험재정 수요가 증가할 것이나 장애인보

장구 급여를 지출이 아닌 투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하다(Song, Kim, & Kim, 2013).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 11월 15일부터 욕창예

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 등 6개 품목을 급여화하

였다. 연구자가 주목한 점은 욕창으로 인한 피해가 심

각한데 두 가지 보장구를 급여함으로써 얼마만한 경

제적 효과(진료비 절감)를 가져왔는가 하는 문제였다.

구체적 통계치를 활용한 장애인 보장구 급여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가 아직 국내에는 없고, 외국에도 몇 편

의 논문만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Kim, 2017).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애인보장구 급여비는 2015

년 말 현재 463억 원이었으나, 2016년 말에는 1,101억

원이 지급되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보

청기의 잠재수요와 과열양상을 띠고 있는 판매업체의

영업활동이 상승작용을 하였다고 보여 진다. 뿐만 아

니라 전동보장구와 수동휠체어 급여에 있어서는 장애

인단체나 각종 연구에 있어서도 장애상태에 맞는 장

애인보장구 급여가 타당하다며 지속적인 의견제기가

있어 왔다(Kim, 2017).

따라서 장애인보장구가 반드시 필요한 장애인에게

양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원화된 공공전담기구가 필

요하며, 급여확대와 함께 보다 강화된 급여기준과 사

후관리가 필요하다(Lee,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 독일, 스웨덴,

대만 등의 장애인보장구 급여제도를 살펴보고, 합리

적인 장애인보장구 급여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봄

으로써 건강보험 재정절감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이를 통해 장애인보

장구 급여제도의 합리적⋅효율적인 운영에 기여하고

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첫째, 우리나라와 일본, 독일, 스웨덴, 대만 등의 장

애인보장구 급여제도를 살펴보고, 선진국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시사점을 찾아 5개 부처 9개 사업으로 분

산되어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보장구(보조

기기 포함) 급여제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둘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15년 11월 15일부터

급여하기 시작한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

경제적 효과(진료비 절감)를 분석한다. 그 결과를 바

탕으로 노인에 대한 전⋅후방 지지워커의 급여기준을

다소 완화한다거나, 노인들의 야간 교통사고 예방과

낙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흰 지팡이를 지급한다

거나 실버 카 등 비교적 가격이 낮은 제품을 장애인

보장구를 급여범위에 포함시키는 등 예방적인 장애인

보장구 급여정책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일조하고자 하

고자 한다.

Page 8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77

Ⅱ. 연구방법

1. 연구내용

첫째, 우리나라 장애인보장구 급여제도와 지급현황

및 사후관리 실태를 고찰한다. 급여현황과 절차, 사후

관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애인 보장구 급여제도

를 고찰한다.

둘째, 선진국 장애인보장구 공적 급여제도를 고찰

한다. 일본, 독일, 스웨덴, 미국, 대만의 공적 급여제도

를 고찰하여 주요 선진국 공적급여제도가 주는 시사

점을 분석한다.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공적 급여

제도 비교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욕창예방방석⋅매트리스 급여효과 분석을 통

해 장애인보장구의 예방적 급여 필요성을 제기한다.

2. 연구대상

2015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국민건

강보험공단의 장애인보장구 급여현황을 분석하며, 욕

창예방방석⋅욕창예방매트리스의 지급일 전후 1년

간 총 진료비 변화를 분석한다.

3. 연구자료 및 방법

국내외 문헌고찰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내⋅외부

자료를 분석한다.

Ⅲ. 연구 결과

1. 우리나라의 장애인보장구 공적급여제도

1) 우리나라 장애인보장구 급여현황

2015년과 2016년의 급격한 증가는 2015년 11월 15

일부터의 욕창예방방석, 욕창예방매트리스, 전⋅후방

지지워커, 이동식전동리프트 등 6개 품목의 급여확대

와 보청기 등 5개 품목의 기준금액 인상 영향으로 나

타났다<Table 1>.

2) 우리나라 장애인보장구 공적급여 제도

(1) 장애인보장구 관련 유사 용어

국내 장애인보장구 및 이와 유사한 보조기구의 지

원은 5개 부처(4부 1처)의 9개 지원사업에 따라 지원

품목을 규정 및 지원하여 제품이라도 명칭이 다르므

로 용어의 혼란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장애인보장구는

장애인보조기구, 복지용구, 정보통신보조기기, 보철구,

보조공학기기 등의 용어가 혼용되고 있으나 그 의미

를 명확히 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해 적용

을 받는 품목에 대한 개념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지원은 보건복지부, 고

용노동부,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국가보훈처의 9개

사업영역에서 각 지원사업의 형태 및 목적에 따라 지

원품목을 지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급여제공 부처별

보장구 관련 지원사업은 보건복지부 장애인보조기구

교부사업,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장애인보장구 지

원사업,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지원

사업, 고용노동부 산재보험급여 재활보조기구 지급사

업, 고용노동부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국가보훈처

국가유공자 보철구지급사업,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

신 보조기구 지급사업이 있으며, 각 지원사업 별 주관

부서, 근거규정, 지원대상, 지원내용, 급여품목, 급여

제공 기준, 급여전달체계 등이 상이하다.

(2)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인보장구 지원사업

지원대상은 차상위대상자 또는 국민건강보험 가입

자인 장애인이다. 지원범위는 보험급여 품목의 급여

기준액 이내는 실구입가액의 90%, 기준액 초과 시는

기준액의 9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하고, 전동휠체

어, 전동스쿠터, 자세보조용구는 기준액, 고시액, 실

구입가액 중 낮은 금액의 90%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다.

급여품목은 총 85개로, 팔의지, 다리의지, 팔보조기,

척추보조기, 골반보조기, 다리보조기로 의지⋅보조기

에 해당하는 유형과, 교정용 신발류, 그 밖의 보장구

및 소모품으로 구성된다. 급여 전달체계는 전문의로

부터 보장구를 처방받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

후 급여결정 통보를 받으면 보장구를 구입한 후 검수

확인을 받고, 구입비용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한

다. 장애인보장구 급여 후 사후관리를 위한 지원은 전

Page 8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7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cate

gory

200

9201

0201

1201

2201

3201

4201

5201

6

Nu

mb

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

tota

l7

7,1

06

34,2

87

66,1

32

28,9

02

68,1

25

27,1

80

64,4

08

27,3

59

71,3

50

32,3

06

74,2

68

34,2

40

83,0

77

46,3

24

131

,73

8110

,07

7

Physi

cal

dis

abil

ity

Bra

in-d

isa

ble

d

Ele

ctri

c

whee

lch

air

4,0

78

6,8

30

3,2

36

5,4

38

2,6

01

4,3

66

2,1

97

3,6

21

2,5

78

4,3

12

2,4

43

4,0

90

2,6

47

4,7

52

2,6

81

4,9

32

Ele

ctri

c

scoote

r4,4

99

6,0

31

3,3

90

4,5

45

3,1

59

4,2

40

4,3

76

5,8

28

6,3

87

8,5

62

6,9

44

9,3

05

7,3

15

10,5

19

7,5

61

11,1

69

Ass

isti

ve

tech

nolo

gy

dev

ices

--

--

--

--

28

29

899

887

697

765

808

1,0

14

Whee

lchai

r1

3,8

20

5,2

30

11,5

84

4,4

07

10,8

39

4,1

33

11,4

87

4,3

83

13,0

49

4,9

91

13,7

73

5,2

89

14,9

67

6,1

09

18,3

13

8,2

25

Art

ific

ial

leg

2,7

53

3,5

63

2,6

90

3,4

13

2,7

66

3,5

11

2,8

11

3,6

18

2,9

39

3,8

53

2,9

15

3,8

90

2,8

23

3,9

61

2,7

55

4,6

55

Leg

bra

ce8,5

89

2,5

19

8,6

32

2,4

91

8,2

07

2,4

14

7,8

87

2,3

26

8,0

66

2,4

24

8,3

63

2,5

20

8,6

56

2,7

84

9,2

14

3,6

61

Ort

hoped

ic

sho

es1

0,9

48

1,9

28

8,3

89

1,4

77

9,8

21

1,7

31

10,0

94

1,7

80

11,1

47

1,9

69

10,8

98

1,9

27

12,1

66

2,3

00

11,6

48

2,7

08

Art

ific

ia

larm

1,4

17

569

1,3

19

512

1,1

78

435

114

84

56

1,1

40

426

1,1

14

421

1,1

42

461

1,1

04

515

Bac

kbon

e

bra

ce1,4

40

389

1,1

53

312

824

232

778

217

759

208

760

216

975

302

1,0

94

372

Arm

bra

ce7

84

89

637

74

655

77

696

77

686

80

780

94

730

88

814

115

Wal

kin

g

Sti

ck7

20

11

476

73

31

53

42

57

63

13

836

13

1,0

75

18

1,4

64

27

Pel

vis

b

race

65

742

432

352

529

340

421

226

4

Cru

tch

es1

00

11

05

198

179

187

189

168

186

2

Ante

rior

wal

ker

--

--

--

--

--

41

171

8

Post

ure

cont

rol

wal

ker

--

--

--

--

--

31

189

54

Mobil

e

elec

tric

li

ft-

--

--

--

--

-7

16

471

1,0

92

Pre

ssure

ulc

er

pre

ven

tive

mat

tres

s

--

--

--

--

--

47

17

2,6

99

996

Table 1 T

he w

age c

ost status o

f assisting d

evice b

y item

(unit: cases, millions)

Page 8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79

cate

gory

200

9201

0201

1201

2201

3201

4201

5201

6

Nu

mb

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N

um

ber

of

case

ssu

m

Physi

cal

dis

abil

ity

Pre

ssure

ulc

er

pre

ven

tive

cush

ion

--

--

--

--

--

60

14

1,8

03

433

Vis

ual

Art

ific

ial

eye

2,4

66

593

2,2

97

563

223

05

53

2,1

02

520

2,0

22

501

2,2

14

555

2,2

66

669

2,8

49

1,8

24

Low

vis

ion

gla

sses

1,2

53

98

1,0

89

85

903

71

841

66

889

70

890

70

765

64

816

82

Rea

din

g

gla

sses

300

22

293

21

212

16

190

14

245

19

233

18

205

16

257

24

Con

tact

le

ns

103

694

561

473

457

364

451

361

5

Tel

esco

pe

36

332

230

220

217

111

112

113

1A

udit

ory

Can

e2

43

33

17

32

12

21

81

21

83

21

53

21

43

21

42

2V

erbal

Hea

ring ai

d

23,3

23

6,3

27

20,1

76

5,4

78

15,8

66

4,3

08

13,7

09

3,7

16

15,3

68

4,1

74

15,4

47

4,2

02

20,5

40

12,6

48

58,2

35

67,0

94

ET

C

Art

ific

ial

lary

nx

169

68

153

61

121

49

111

45

120

48

127

51

118

51

104

55

Bat

tery

(fo

r

assi

stin

g

dev

ices

)

--

28

37,9

79

1,0

27

5,2

34

673

4,7

91

617

5,2

75

680

5,5

74

759

6,3

60

1,0

08

Nati

onal

Healt

h In

sura

nce S

erv

ice 2017

Page 8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동보장구 소모품으로 전지(밧데리) 품목에 한하며, 급

여된 보장구가 적정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

하고 있으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다소 미흡한 실

정이다.

2. 주요 선진국 장애인보장구 공적 급여제도

1) 일본

일본의 장애인보장구 지원 제도는 「장애인종합지원

법」에 의하여 보장구비 지급 제도와 지역생활지원사

업의 일환인 일상생활용구 급부가 있다.

보장구비 지급 대상자는 건강보험 가입자 중 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료용 장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장

애인, 장애아, 난치병 환자 등이며, 일상생활용구 급부

대상자는 신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을 포함

한 중증장애인이다.

보장구비 지급의 경우 비용 금액(기준액)에서 이용

자 부담액(원칙 10%)을 제외한 금액이며, 급여품목은

16종 82개 품목이다. 본인부담액은 장애인종합지원법

에 의해 보장구비를 지급하는 경우 장애인종합지원법

에 근거하여 보장구 구입에 필요한 비용 금액(기준액)

에서 이용자는 10%를 부담하고, 보장구 품목 및 기준

금액과 내구연한에 대한 조정은 보장구위원회에서 이

루어진다.

일상생활용구 급부의 경우 중증 장애인에게 일상생

활용구를 공비 부담으로 급부 또는 대여하며, 품목은

간호⋅훈련 지원 도구, 자립 생활 지원 도구, 재택 요

양 등 지원 도구, 정보⋅의사소통 지원 도구, 배설 관

리 지원 도구, 주택 생활동작 보조 용구로 나누어진다.

분류체계는 후생노동성 고시 제528호 「보장구의 종

목, 구입 또는 수리에 필요한 비용의 금액 정산 등에

관한 기준」에서 보장구의 종목, 명칭, 형식, 기본구조,

상한액 등을 정하고 있으며, 신체 장애인을 위한 의지,

장구, 앉은 자세 유지장치, 휠체어, 전동휠체어, 보행

기, 보행보조 지팡이, 중증 도용 의사전달장치, 신체장

애아를 위한 앉은 자세유지 의자, 기립유지구, 머리유

지구, 배변보조도구, 시각장애인을 위한 맹인안전지팡

이, 의안, 안경,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청기로 분류된다.

급여전달체계는 시정촌이 각 지역의 재활상담소나

지정자립지원의료기관, 보건소 등을 통하여 필요한 보

장구에 대한 판정을 의뢰하고, 지정자립지원의료기관,

보건소에서는 의견서 및 판정서를 시정촌에 교부하고,

시정촌은 이용자에게 보장구비 지급을 결정한 후 보장

구 업체와 이용자 간 계약을 체결하는 구조이다.

급여전달체계 중 가장 큰 특징은 각 급여제도간의

우선순위가 명확하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국민건강

보험법과 유사한 일본의 건강보험법에서는 장애인의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의사 처방에 따른 치료용 장구

만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치료 후 후유장애로 인한 재

활용 및 기능용 보장구는 대부분 노동자재해보상보험

등의 우선지원 제도 및 공적 부조를 기반으로 한다.

일본 재활상담소의 경우 의안, 안경(교정안경, 차광

안경, 콘택트렌즈. 약시안경), 휠체어(레디메이드), 보

행기, 지팡이 등 저가의 보장구는 의사 의견서에 의하

여 지자체에서 결정⋅지급하고, 비교적 고가인 의지,

장구, 좌위 유지 장치・전동휠체어, 특례보장구와 보

청기, 휠체어(오더메이드), 중증장애인용 의사전달장

치 등의 보장구는 재활상담소에서 단독 또는 의사의

의견서에 의해 지급 판정을 한다.

장애인보장구의 사후관리는 후생노동성 고시 528호

(보장구의 종목, 구입 및 수리비용액의 산정에 관한

기준)로 규정하며, 급여 후 수리에 관한 비용은 품목

별 고시가격의 100분의 104.8에 상당하는 금액이지만,

장애의 현 증상, 생활환경 등을 특히 고려하여 시정촌

이 비용을 지급하는 보장구수리에 대해서는 규정에

관계없이 시정촌이 정하는 금액이다.

급여 수가산정 시 ‘완제품’과 ‘완제품이 아닌 경우’

로 구분하며, 의지, 보조기와 같은 완제품이 아닌 경우

적층가산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기본가격에 제작요

소 및 완성요소 가격이 가산되어 최종가격이 결정되는

방법으로 기본가격 및 요소가격은 제조업체의 시장가

를 통해 책정된다.

2) 독일

독일의 장애인보장구 지원제도 및 정착, 전달체계,

지원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종합적인 역할은 정부

의 연방보건부에서 담당하며, 장애인보장구 관련 급

여운영은 공적의료보험제도(GKV)에 의거한다. 공적

의료보험제도의 대상자는 의료적 치료의 목적으로 장

애인보장구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Page 8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81

급여 품목은 공적의료보험제도 장애인보장구 품목

목록에 제시되어 있으며, 품목 분류는 1차적으로 39가

지 범주에서 제품의 분류가 시작되고, 2차적으로 제품

의 성격, 마지막으로 제품의 이용성격에 따라서 제품

이 분류되어지며, 등록된 제품은 제품그룹, 적용범주,

소그룹, 제품의 종류, 개별 제품의 번호 5가지의 숫자

조합으로 코드번호를 작성하여 처방의사, 보험사 등

이 쉽게 제품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의사의 판정으로 필요한 제품을 처방받고 개인에게

필요한 제품을 보험사에 통보한 후 보험사가 규정에

따라 의학적 필요성 등의 여부를 판단 후 지원 범위

를 결정하며, 결정된 내용을 토대로 판매업체에서 제

품과 옵션을 확인하고, 보험사에서 확인한 후 제품을

구입하면 보험사가 판매업체에게 대금을 지불하는 형

태이다.

독일은 필수적으로 보험사가 제공해야 하는 급여의

범위를 법에 의해 적용하고 있으며, 정한 규정에 의해

적용받지 못한 급여 범위에 대해서는 보험사가 개별

조정을 통해 보험급여를 제공하며, 규정된 지원 품목

외의 경우 조정절차로 추가 지원이 이루어지나 개인

에게 5~10%의 본인부담금이 요구되기도 한다.

3) 스웨덴

2014년, 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국외출장(덴마크,

스웨덴, 독일) 결과 보고서 자료를 부분 활용하여 분

석한 결과, 스웨덴 장애인 지원정책의 목표는 그들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것

이며, 이를 위해서 장애인보장구의 평가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NSH, 2004). 장애인보장구

의 지급은 보건 의료서비스 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전

체 지급되는 보장구 중 약 70%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를 대상으로 처방된다.

급여원칙은 장애인보장구에 대해서 미래의 기능 상

실 예방, 현 신체 기능의 유지⋅향상 및 일상생활 수

행에 힘든 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필요가 있을 때 국

가에서 지원을 해준다. 주 의회와 지방자치단체는 보

건의료법에 따라 장애인 보장구를 지원할 의무가 있

으며, 관련 규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장애인보장구

지급 품목 및 비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에 거주

지역에 따른 보장구 지원 품목 및 비용은 다르다.

급여내용은 지방정부 중심의 조세를 통한 재정을 기

반으로 주 의회와 지방자치 단체에 의해 지급된 장애

인보장구는 기본적으로 무료공급을 원칙으로 하며, 휠

체어 등에 소요되는 건전지 등의 소비재는 보통 사용

자가 비용을 부담한다. 한편,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장

애인보장구는 사회보험이나 스웨덴 고용안정소에 의해

재정이 지원되어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다만,

정형외과용 신발, 청력보조구 등의 특정 장애인보장구

는 사용자가 함께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처방 관리체계에 있어서는 청력, 시력 및 정형외과

용 장애인 보장구는 해당 센터를 장애인이 방문하여

처방받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책임은 주 의회

(county council)가 담당한다. 그 외에 인지 및 신체장

애 관련 보장구는 공학 센터(technology centre)를 방문

하여 지급 받으며, 주 의회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의

무가 있다. 보장구의 처방은 주 의회나 지방자치단체

의 1차 보건의료서비스 요원들이 담당하는데 대부분

은 지역의 간호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언어치료

사 등이다. 장애인 보장구센터의 전문가는 장애인이

보장구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면 상담을 통해

익숙해지도록 돕는다. 이러한 도움은 청각, 시각, 인지

장애 등 장애의 종류에 관계없이 무관하다.

처방 시 필요요건은 장애인보장구의 처방 과정은

장애인 보장구 필요에 대한 평가, 해당 장애인에게 맞

는 적절한 제품 평가 후 보장구 개조 및 선택, 필요 시

장애인보장구의 개조를 위한 지침서 구비, 장애인 보

장구의 교육과 훈련 및 정보 제공, 장애인보장구의 기

능 및 장점에 대한 평가와 추적 관찰 등의 요건을 충

족시켜야 한다.

장애인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는 스웨덴은 폭넓

은 사회보장 정책의 틀 안에서 지방정부 중심의 조세

를 기초로 한 통합된 공공전달체계가 중심이 되기에

서비스의 지속성, 안정성 및 통합성이 높다. 또한 중

앙-광역-지역별 합리적 분권화 및 체계적 역할분담을

통한 서비스 효율성과 이용 편의성의 극대화를 도모

하며, 지역중심의 전달체계 구축 및 운영을 수행하고

있다.

중앙-광역-지역별로 이루어진 전달체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앙 정부 차원에서는 중앙보조공

학센터가 정보제공, 인증 검사, 기술표준, 인력양성 및

Page 8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연구개발의 역할을 담당한다. 스웨덴 장애인 협회(The

Swedish Handicap Institute, HI)에서는 국가차원으로 양

질의 보장구를 제공하며, 장애인 보장구에 대한 평가

와 지원을 함으로써 중앙지원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중심의 전달체계에서 실행주체는 지방 주정부 주

립보조공학센터의 전문센터이며, 보조기기 처방, 처방

기구제공 및 처방인력교육 등을 통해 사회보장의 형

태로 대상자 및 서비스 통합성과 연계성을 강조한다.

시에서는 보조기기 처방, 사용자 교육훈련, 사용자 지

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재활기관 및 의료서비스

기관 등에 대한 조력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지방 기

초자치단체인 코뮌은 이동이나 커뮤니케이션, 인지기

능 등에 대한 보조기구를 담당한다. 콤뮨의 장애인보

장구 서비스에 대한 방향은 전문가에 의한 장애인 개

인 맞춤형 복지를 실행한다. 장애인에 대한 등급제도

는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있으며, 작업치료사, 물리치료

사 등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개인의 필요에 맞추어

지원한다. 전문가들은 장애상태 평가 및 기능 진단뿐

만 아니라 보장구 이용 시 보장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기능의 숙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용지

원 교육까지 실행한다. 모든 서비스는 이렇게 개인에

게 1:1 맞춤을 기본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다.

장애인보장구 수리는 웁살라 지역의 경우 지자체

(콤뮨) 소유 대여품으로 지자체에서 수리하고, 지자체

에서 수리가 불가한 경우 지역정부(란스팅) 보조기구

센터에서 수리한다. 스톡홀름 지역의 경우 남쪽지역

은 란스팅에서 직접 보조기구 대여사업을 실시하고,

북쪽지역은 소덱소에서 위탁받아 처리한다. 대여 제

품은 란스팅 또는 소덱소 소유이다. 다만, 란스팅 별

로 관리체계는 상이하지만 대여 제품에 대한 수리는

소유 지자체(지역정부) 또는 위탁업체에서 실시한다.

가이드라인을 제시받는 형태로 보장구 급여도 동일

하게 일반적인 메디케어 급여절차를 따른다. 메디케어

의 급여 수가산정은 품목 특성에 따라 매년 갱신된다.

4) 대만

대만의 장애인보장구 지원제도는 우리나라와 상당한

공통점을 가지며, 부처별로 해당 법령에 의해 분산된

전달 체계로 대상 및 지급 품목 등도 제도별로 상이하

며, 「심신장애자보호법」, 「심신장애인권익보장법」, 「심

신장애자 의료 및 보조기구비용지원법」을 통해 보조기

구 지원, 전달체계 및 보조기구 서비스 등에 대해서 규

정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등록 장애인으로 장애인 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들은 「심신장애자보호법」에

의해 16가지로 구분된다.

급여전달 체계는 장애인이 각 현⋅시의 지역사무소

에 방문하여 보조기구를 신청하고, 지역사무소의 심

사에 의해 지급⋅결정된 장애인에 한해 해당 보조기

구를 구입 후 검수과정을 거쳐 구입비용을 사회과에

신청하면 보조기구 구입비용을 환급받는 구조이다.

분류체계는 보조기구지원항목, 최고지원액, 내구연

한, 대상자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한 「심신

장애자 보조기구집표」에 따르며, 생활보조기구와 재

활보조기구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총 급여 품목은 74

종이다.

대만의 사후관리는 직할시 및 각 현⋅시에 지방보

조기구자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형태이며, 현재

주요 역할로는 보조기구 상담평가, 유지보수, 제작 등

을 담당한다. 수가산정은 보장구업체 평균 제시가격과

시장 실제가격을 고려하여 협의를 통해 지원 금액을

결정하며, 지원 금액은 일반적으로 각 보조기구 별로

500NT$ 부터 600,000NT$ 사이로 결정된다. 처방은

의료기관의 경우 의사와 치료사가 적합한 보장구를 처

방하고, 기금회에서 직접 처방할 경우에는 치료사가

단독으로 처방한다. 치료사는 1~5급 평가사 자격증

도 소지한 전문가로 보장구 급여평가 및 선정에도 적

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어 부정수급의 여지가 적다.

3. 욕창예방방석⋅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효과

분석

1) 현황 및 분석

장애인보장구의 예방적 급여 필요성을 입증하기 위

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15년 11월 15일 부터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 등 6개 품목을 급

여화 하였다. 2015년 11월 15일 이후일정기간 욕창예

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를 지급 받은 가입자의 욕

창 관련 상병 진료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건

강보험공단으로부터 지급일 전후 1년간의 지급건수와

Page 8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83

총 진료비(계=공단+본인부담금) 현황을 분석하였다

<Table 2>.

category

total Cushions Mattresses

Number

of casesSum

Number

of casesSum

Number

of casesSum

total 1,059 320 462 105 597 215

2015.11.1.

~12.31. 107 31 60 14 47 17

2016.01.1.

~03.31. 952 289 402 91 550 198

※ Fee : Standard by Total fee (A personal allowance + A NHIS

allowance) / Allowance for cushions per person 250,000 won,

allowance for mattresses per person 400,000 won

※ Allowance, Saving Cose : Standard by Total fee (A personal

allowance + A NHIS allowance)

Table 2 The Payment status of assisting device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Pressure ulcer

preventive mattress) (unit: cases, millions)

2015년 11월 15일부터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

트리스가 급여되기 시작한 이후 2015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욕창예방방석 60건, 14백만 원, 욕창예

방매트리스 47건, 17백만 원이 각각 지급되었다. 2016

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욕창예방방석 402건, 91

백만 원, 욕창예방매트리스 550건, 198백만 원, 양 기

간 동안에는 욕창예방방석 462건, 105백만 원, 욕창예

방매트리스 597건, 215백만 원, 합계는 1,059건, 320백

만 원이 지급되었다. 2015년과 2016년 전체 지급건수

4,609건, 1,460백만원 대비 건수는 22.98%, 금액의

21.92%였다<Table 3>.

categoryAllowance

before payday

Allowance

after payday

Saving

cost

Rate of

change

total 21,374 16,972 4,402 20.60

Cushions 6,271 4,971 1,300 20.73

Mattresses 15,103 12,001 3,102 20.54

Table 3 The change of annual fee per person for pres-

sure ulcer preventive cushion and mattress before/after

payday (unit: cases, millions, %)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의 지급일 전후 1

년간 1인당 진료비 변화를 살펴보면 욕창예방방석의

지급일 이전 지급액은 6,271백만 원, 지급일 이후 지

급액은 4,971백만 원으로서 절감액은 1,300백만 원이

되어 증감율은 20.73%였고, 욕창예방매트리스의 지급

일 이전 지급액은 15,103백만 원, 지급일 이후 지급액은

12,001백만 원으로서 절감액은 3,102백만 원이 되어

증감율은 20.54%였다. 이로써 합계 절감액은 4,4012백

만 원이 되어 평균 증감율은 20.60%를 나타냈다. 욕창

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의 지급비용 대비 총 진

료비를 살펴보면 전체 지급액은 욕창예방방석은 116

백만 원, 욕창예방매트리스는 237백만 원, 합계 지급

액은 353백만 원인데 비해 전체 절감액은 욕창예방방

석은 1,300백만 원, 욕창예방매트리스는 3,102백만원,

합계 절감액은 4,402백만 원이었다. 전체 절감액을 전

체 지급액으로 나눈 결과 그 배수는 욕창예방방석 11.21

배, 욕창예방매트리스 13.09배, 평균 12.47배를 나타냈

다<Table 4>.

결론적으로 지급전에 비해 지급 후 총 진료비는 욕

창예방방석 20.73%, 욕창예방매트리스 20.54%, 평균

은 20.6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액과 절감

액을 비교했을 때는 욕창예방방석은 11.21배, 욕창예

방매트리스는 13.09배, 평균은 12.47배로 나타나 매우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ategoryNumber

of cases

Saving

cost per

person

Allowa

nce

(A)

Saving

cost

(B)

Saving

cost(B)

/Allow

ance(A)

total 1,059 4,156 353 4,402 12.47

Cusions 462 2,813 116 1,300 11.21

Mattresses 597 5,195 237 3,102 13.09

※ Allowance, Saving Cose : Standard by Total fee (A personal

allowance + A NHIS allowance) / Allowance for cushions per

person 250,000 won, allowance for mattresses per person

400,000 won

Table 4 The analysis of total fee by allowance about

pressure ulcer preventive cushions and mattress

(unit: cases, millions, times)

(1) 국내 장애인보장구 급여 효과 연구

국내의 장애인보장구 급여에 따른 효과분석 연구는

정확한 통계치를 활용한 연구가 없다. 다만, 장애인

보장구 외국 연구를 인용하여 의료비 감소와 함께 장

Page 9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애인의 합병증 및 2차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는 논문

(Heo, 2017; Lee, 2017, Harris & Sprigle, 2013)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욕창은 최근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

하여 높은 발생률과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운동,

감각, 인지능력에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

나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중요한 건강문제로 그 사회

적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Kim, et al, 2015). 특히 그

손상의 특성상 외래를 통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

고, 입원환자에게서 38%보다 높게 욕창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입원기간

의 증가, 의료비 지출의 증가로 이어져 환자 및 보호

자, 병원에게 모두 고통을 가중시키는 특성을 보인다

(Kim, et al, 2011).

욕창은 일단 한 번 발생하면 의학적인 치료가 필요

한 것은 물론이고, 환자 개인이나 사회 전체로 보아

많은 경제적, 심리적 손실을 가져오므로 욕창은 초기에

과감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Gorecki, et al, 2011;

Lee, 2017).

또한, 수동휠체어의 경우 다리를 대신하여 손이 다

리 역할을 해야 하는 데 무겁고 잘 굴러가지도 않는

휠체어를 밀어야 한다면 이는 어깨 근육의 무리를 가

져올 것이며, 그로 인해 의료비의 가중은 물론 사회생

활에도 지장을 줄 것이다. 사지마비 척수장애인이 필

요한 특수휠체어가 필요한 것도 자신의 몸에 맞는 휠

체어에 앉아야 2차적인 체형변화를 예방할 수 있고,

틸팅(시트경사조절)기능으로 욕창방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Lee, 2013). 척수손상장애인의 욕창 예방을 위

한 3차원 모델링 기반의 맞춤형 오프로딩 방석의 임

상적⋅경제적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CAD/CAM과 전

통적 공정으로 제작된 두 방석의 임상적 효과 차이는

없으며, 기성 제품의 조절형 공기 방석보다 욕창 예방

을 위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Kim, 2017).

지체장애 및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자가 욕창예방용

매트를 사용하면, 예방율이 높아져 의료비 절감이 기

대된다. 비용효과성에 대해서는 욕창예방 프로그램에

드는 비용(7,276$)과 치료비(10,053$)를 비교해 보면

비용효율성이 있고, 척수 손상 환자에게서는 23%∼

30%가 욕창이 발생하고, 하지마비 환자에게서는 욕창

누적 발생율이 85.7%로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어 예방

이 효과적이다(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개선 필요성 근거에 대해서는 욕창예방매트리

스와 방석은 욕창 예방에 효과적이며, 욕창은 다수의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 장애인 등 자발적 움직임이 어

려운 사람들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를 보장구

로 급여하여 개선하는 것이 적정하다.

(2) 국외 장애인보장구 급여 효과 연구

국외 논문으로는 고령자에게 전동이동기기를 처방

하는 것은 비용 효과적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가 있다

(Lars Hagberg, et al, 2015, Kersti Samuelsson & Ewa

Wressle, 2013). 이 연구들은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

는 직업적 성과, 사회적 참여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이동성 촉진은 사회뿐만 아니

라 개인적인 관점에서 비용 효과적이고, 재활에 중대

한 개입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욕창예방 매트리스는 장시간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 및 대상자의 체압을 분산하여 욕창 위험에 예방

과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이며, 신체의 저항력을

유지 및 증진시킨다(Andréane, Cynthia, & Jean‐Marc,

2017). 또한 우울증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보

고되고 있어 욕창 예방 및 중재에 효과적이다(Abram,

Kara, & Melissa, 2016). 국내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

에 따른 지급액과 절감액을 비교했을 때와 동일하게

매우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2015년 3월부터 복지ㆍ보조

금 부정신고센터를 설치하고, 부패방지국 연계과제로

서 장애인보장구 지원금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제도개

선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주요 지적사항으로 보장구

관련 업체의 부정⋅부당행위, 지급기준 불명확, 전문

서비스 부재 등으로 부당지급 발생, 장애인보장구 품

질 및 보장구 관련 업체 관리 미흡, 사후점검 및 수리

체계 등 사후관리미흡, 불필요한 서류 요구 및 대국민

홍보 부족 등을 들었다. 제도 개선방안으로는 업체의

대리 신청 등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공공 전담지원기

구를 마련하여 불필요한 보장구 판매와 저가품목의

고가 판매, 유인⋅알선 등 업체의 부정수급 조장을 방

지하고, 개인별 특성에 맞는 전문가 상담⋅안내 등 전

문서비스를 제공할 것과 비대상자에 대한 보장구지급

방지를 위한 지급기준 구체화, 장애인보장구 제품안

Page 9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85

전 및 품질관리 강화와 업체관리 관리⋅감독 강화, 보

청기 등록업체 등록기준 강화, 지급된 보장구 사후관

리 보완, 수리관리체계 강화, 지급신청 서류 간소화,

대국민 홍보 강화를 제시하였다.

Ⅳ. 고찰

2015년과 2016년의 장애인 보장구의 급여의 급격한

증가는 특히 보청기 기준금액이 34만원에서 131만원

으로 인상됨으로써 2014년 대비 건수 3.77배, 금액 15.97

배가 증가하였는데 잠재수요의 분출과 과열양상을 띠

고 있는 판매업체의 영업활동이 상승작용을 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보조기기(보장구⋅보조기구⋅복지용구 등) 복지정

책 지원에 대한 예산누수 요인 차단 및 관리⋅운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이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향후 보장구 급여 기준가격의 단계적 인상을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가격을 반영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되어야 할 것이며, 예산 및 지원품목 확대와 온⋅

오프라인 보조기기 정보제공과 지원제도에 대한 정보

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Lee, 2014).

보조기기 품질관리 발전을 위한 5가지 정책적 제안

으로 첫째, 장애인보조기기 품질관리 컨트롤타워 설립,

둘째, 장애인보조기기 품질관리제도 통합, 셋째, 장애

인보조기기 통합인증마크 도입, 넷째, 장애인보조기기

관련 국가표준 이관, 다섯째, 장애인보조기기의 용어

정립을 제안하고 있다(Jeong, 2014).

아울러 장애인 보장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장애인의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의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재활공학사 등 보장구

관련 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장애인보장구 가

격상한제 도입에 관한 연구에서도 현행 제도의 문제

점으로 1997년도부터 제도가 시작되었으나 2차례에

걸친 소폭의 기준액 인상만 있어 구입액의 10% 자부

담, 기준액이 낮은 점과 단일한 기준액으로 기준액에

맞춘 보장구 가격 형성과 기준액 상향 조정 시 기능

개선 없이 인상가능성이 있고, 획일적인 내구연한으로

재구입시기가 부적절하다하며, 전문가 의견과 정보부

족 상황에서 보장구를 구입하고 있다(Jeong, et al, 2016).

장애인 보장구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장애인보

장구가 반드시 필요한 장애인에게 양질의 제품이 제

공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재정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원화된 공공전담기구가 필요하며, 급여확대와

함께 보다 강화된 급여기준과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해서는 의사만이 아닌 작업치료사, 물리치

료사, 재활공학사 등 보장구 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요

하다. 셋째, 정보의 비대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온⋅

오프라인 보조기기 정보제공과 지원제도에 대한 정보

가 제공되어야 한다.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애인보장구 품목

별 급여비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특징은 2015년과

2016년에 급격한 증가가 있었으며, 이는 2015년 11월

15일 이동식전동리프트 등 6개 품목의 급여확대, 보청

기 등 5개 품목의 기준금액 인상 영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보청기 기준금액이 34만원에서 131만원으로 인

상됨으로써 2014년 대비 건수 3.77배, 금액 15.97배나

증가하였는데 잠재수요의 분출과 과열양상을 띠고 있

는 판매업체의 영업활동이 상승작용을 하였기 때문으

로 분석된다.

장애인 보장구 급여제도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관

해서는 첫째, 장애인보장구가 반드시 필요한 장애인

에게 양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원화된 공공전담기구

가 필요하며, 급여확대와 함께 보다 강화된 급여기준

과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맞춤식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관련 전

문가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정보의 비대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온⋅오프라인 보조기기 정보제공과

지원제도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국내 장애인보조기구 관련 지원내용의 급여제공 부

처별 보장구 관련 지원사업은 각 지원사업 별 주관부

서, 근거규정, 지원대상, 지원내용, 급여품목, 급여제

공 기준, 급여전달체계 등이 상이하다.

국외 주요 선진국의 장애인보장구 공적 급여제도를

Page 9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보장구 지원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

보장구 분류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사후관

리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광역보조

기구센터⋅지역보조기구센터와 국민건강보험 장애인

보장구센터를 추가 설치⋅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일

본의 급여전달체계를 참고하여 각 제도 간의 우선순

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선진국과 같이

장애상태에 맞는 맞춤형 이동용보장구 임대제도 도입

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일본 재활상담

소의 경우를 참고하여 보장구 관련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일곱째, 처방전 발행에 있어 독일, 스웨덴,

대만의 경우와 같이 의사를 포함한 작업치료사, 물리

치료사 등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연구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15년 11월 15일

부터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 등 6개 품목

을 급여화 한 점에 분석하여 국내의 장애인보장구 급

여에 따른 의료비 절감 효과분석 연구는 없고, 외국에

는 몇 편의 논문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통계를 확보하여

2015년 11월 15일 이후 일정기간(2015년 11월 15일부

터 12월 31일까지와 2016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

지)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트리스를 지급 받은

가입자의 욕창 관련 상병 진료비와 관련하여 지급일

전후 1년간의 총 진료비(계=공단+본인부담금)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급전에 비해 지급 후 총 진료비

가 욕창예방방석은 20.73%, 욕창예방매트리스는 20.54%,

평균은 20.6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급액과

절감액을 비교했을 때는 욕창예방방석은 11.21배, 욕

창예방매트리스는 13.09배, 평균은 12.47배로 나타나

매우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보장구 욕창예방방석과 욕창예방매

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진료비 절감)는 공단부담

금과 본인부담금이 함께 감소하였으므로 장애인의 경

제적 부담 해소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재정

절감에도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 가속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급증, 노인돌봄제공자의 수적부족, 핵가족

화, 젊은 세대의 부모 부양기피현상에 따라 결국 ‘노

노케어’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와 인공지능

을 활용한 장애인보장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Cho, H. S., Kim, J. W., & Kim, Y. D. (2013). A Stud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on System

in Japa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4),

7-51.

Choi, Y. S. (2014). A Repor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ng System for the Disabled in Swede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8(4), 25-45.

Heo, C. Y. (2017). Prevention and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of the spinal cord, Korea Spinal Cord Association,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seminar book, 17-11,

2-7.

Hwang, G. J. (2007). The Utilization of Supportive

Equipment for the Disabl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stitute of Medicine (IOM). (1997), Enabling America:

Assessing the Role of Rehabilit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273.

Jang, C. M. (2013).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in Senior-Friendly Products, Hanyang University.

Jeong, J. T. (2010). A study on the activating of long-term

senior care,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Jeong, S. W. (2014). Present Quality Control and Development

Plan Study of Assistive Produc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Jeoung, M. Y., Park, W. J., & Kim, J. B. (201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Upper Price System

for the Disabled Persons. National People's Interest

Committee.

Kang, J. B., Woo, J. H., & Kong, J. Y. (2016). A Study

on Supporting and Activating the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Korean Disabled People Development

Institute, 2016 KODDI.

Kim, D. J., & Kim, M. K. (2011). A Study on Policy

Page 9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87

for Dementia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3(1), 33-43.

Kim, D. K. (2017). A Study on Health Insurance bene-

fits of Assistive Devices and Improvement Methods.

Dongeui University Institute of Local Autonomy.

Kim, E. J. (2016). Need of assistive devices and limits

of public benefits, Gyeonggi-do rehabilitation engineer-

ing service research support center, Auxiliary equipment

seminar book, 23-29.

Kim, E. P. (2016). Effectiveness and Future Tasks of Aged

Appliances Support Project, Gyeonggi-do rehabilitation

engineering service research support center, Auxiliary

equipment seminar book, 45-63.

Kim, H. W. (2016).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Assistive Medical Devices, Dongkuk University.

Kim, J. B. (2017). Cushion prevention technology and

case, Korea Spinal Cord Association, Spinal cord in-

jury rehabilitation seminar book, 17-11, 29-53.

Kim, J. H. (2017). Clinical and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3d modeling manufacturing based customized

off-loading cushion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o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Yonsei University.

Kim, J. Y.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enior friendly product industry, Busan University.

Kim, K. N., Kang, K. J., Lee, H. S., Shin, Y. H., Kim,

S. K., Park, K. H., ... Kim, H. Y. (2011).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33-442.

Kim, Y. H., Jang, J. N., Song, M. J., Oh, M. K., & Lee, Y.

M. (2015). Effect of Integrative Pressure Ulcers Nurs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015-1029.

Kong, J. Y. (2016). Organization of local ancillary center

personnel, arrangement of roles and roles, Gyeonggi-do

rehabilitation engineering service research support center.

Assistive Technology Seminar Kit, 32-40.

Lee, C. W. (2017). Suggestions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medical system policy for pressure ulcer.

Korea Spinal Cord Association, Spinal cord injury re-

habilitation seminar book, 17-11, 57-61.

Lee, S. Y. (2015). The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the Policy toward Assistant Devices for the Handicapp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m, E. J. (2013).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Jeonju University.

Nam, S. H. (2016). Central Auxiliary Equipment Center

according to Auxiliary Equipment Delivery System,

Gyeonggi-do rehabilitation engineering service research

support center. Auxiliary equipment seminar book, 20-3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Overseas

trip (Taiwan, Japan) Result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6). Report on

the pilot project for the compensation of disabled per-

son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7). Bedsore

prevention cushion pressure sore prevention mattress

payment date before and after medical expenses and

reduction amount statu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7).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7). Overseas

trip (Denmark, Sweden) Result report, Seoul.

National People's Interest Committee. (2016). Improvement

of transparency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up-

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 H. W. (2016).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

gional auxiliary equipment center through benchmark-

ing of domestic and foreign auxiliary equipment center

and plan for business activation, Gyeonggi-do re-

habilitation engineering service research support center,

Auxiliary equipment seminar book, 3-18.

Song, K. M., Kim, Y. W., & Kim, Y. S. (2013).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Reimbursement System to Prepare the

Ag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5(1), 27-37.

Page 9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8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The Japan Techno Aid Association. (2013). Guaranteed

Income Payment Office Guidebook. 70-74.

Yang, Y. A., & Lee, H. J. (2016). Comparison and

Implications of Korea, China, and Japan Care Industry.

The Journal of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8(2), 1-14.

Yang, Y. A., Seok, K. H., & Jang, K. B. (2015). A Study

on the Benefit of the Repair Cost of the Disabled

Person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Yang, Y. A., Seok, K. H., & Jang, K. B. (2015). Expansion

of item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Yang, Y. A., Son, H. J., & Choi, E. M. (2014).

Understanding German care services. Seoul, Korea:

Dongju. 67-89.

Yang, Y. A. (2017). Understanding Swedish Care Services.

Seoul, Korea: Dongju. 55-59.

Abram B., Kara K., & Melissa S. (2016). Preventing

Pressure Ulcers in Adults: An Integrative Review,

Basinger, Kistler, Soule Cedarville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Abram, B., Kara, K., & Melissa, S. (2016). Preventing

Pressure Ulcers in Adults: An Integrative Review,

Basinger, Kistler, Soule Cedarville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Andréane, R., Cynthia, T., & Jean‐Marc, M. (2017).

Effectiveness of a multi‐layer foam dressing in pre-

venting sacral pressure ulcers for the early acute care

of patients with a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com-

parison with the use of a gel mattress. International

Wound Journal, 14(1), 874–881.

Gorecki, C., Closs, S. J., Nixon, J., & Briggs, M. (2011).

Patient-reported pressure ulcer pain: A 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42(3), 443-459.

Kersti S., & Ewa W. (2014). Powered wheelchairs and

scooters for outdoor mobility: a pilot study on costs and

benefits, Journ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Pages 330-334.

Lars H., Liselotte H., Carin F., & Ingvor P. (2015).

Cost-effectiveness of powered mobility devices for eld-

erly people with disabilit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12(2), 1-6.

Page 9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89

Abstract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he Preventive Salary System for the

Disabled Persons through the Analysis of Economic Effect of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 Cushion and Pressure Ulcer Mattress

Shim, Cheol-Jae*, Kim, Young-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Objective : A total of 1,059 subscribers who received bedsore prevention cushions and pressure ulcer

prevention mattresses from November 15, 2015 to March 31, 2016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analyzed for the treatment costs related to pressure beds for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 payment date. We want to examine the necessity of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alyzed the status of salar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otal medical expenses for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 payment of bedsore prevention cushions and pressure sickness prevention mattresses.

Result : Compared with before payment, total medical expenses after payment decreased by 20.73%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20.54%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attress,

and the average decreased by 20.60%. The amount of savings compared to the payment amount

was 11.21 times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13.09 times for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attress, and 12.47 times on the average, and it was very cost effective and con-

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he medical burden cost and the health insurance financing.

Conclusion : The economic effect and the reduction of the medical expenses of the bedsore prevention

cushion and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bed reduction were both decreased not only the eco-

nomic burden of the disabled but als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benefi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unified public agency is

needed to provide quality products to disabled people and to prevent health insurance financial

leaks. In addition, Future stud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disabled people's protection using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needed as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problems due to the aging

of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re predicted.

Key Words : Welfare tool for the disabled, compensation for disabled persons, bedsore prevention cushions,

bedsore prevention mattresses,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for disabled persons

Page 9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9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박보라*

*우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국문초록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7

년까지의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연구자료로 하였다.

연구방법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총 122편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특성, 연구참여자 및 연구장

소의 특성,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논문은 평균 12.6편이 개제되었다. 연구자의 특성 중 연구자 수는 2인(36.06%),

주저자는 교수(47.84%), 교신저자도 교수(69.67%)가 많았다. 연구참여자는 성인(54.87%), 연구장소는

의료기관(50%)이 많았다. 연구수준은 Ⅳ단계(67.21%)가 많았고, 연구주제는 건강이 많았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서 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미래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주제어 고령친화산업, 고령친화산업학회지, 연구동향

Corresponding author: Park, Bo-Ra([email protected]/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Welfare, Woosuk University)

Received 23 May 2018; Revised version received 23 May 2018; Accepted 24 May 2018

Ⅰ. 서 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는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의

학술지이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는 2009년 창립총

회를 통하여 한국작업치료고령친화산업정책학회가 창

립하여 학회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2009년부터 정

기학술대회를 시작으로 학술세미나 및 학술대회를 지

속적으로 실시하여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활동을 시작

하였다. 2011년부터는 고령친화 분야의 확대와 더불어

학회에서 노인의 정신적⋅육체적 건강, 편익, 안전을

위한 요양, 건강, 여가, 노인용품 등을 포괄하기 위해

서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지속적인 국제포럼을 통해 국외의 이슈와 변화에 대한

학술의 장이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으로 노인의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고령친화의 의미가 더욱 확장되었다. 이에 2015년

에는 고령자 및 장애인 관련 고령친화용품, 복지, 여가,

요양, 재활, 주거환경, 식품, 미용 등 고령친화산업과

관련된 연구로 건강하고 활기찬 고령사회를 실현하여

고령자와 장애인들의 복지증진을 위해서 대한고령친화

산업학회로 학회명이 변경되었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

회의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는 2009년부터 연 2회씩

발행되었으며 2017년 발표된 한국연구재단 주관 학술

지 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되는 논문은 고령

친화산업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영역을 담은 연구이

다. 이에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는 단순히 고령사회

만을 조명하는 것이 아니라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재

활, 선진화된 장애인제도 정착 및 보건의료 건강증진,

고령화시대의 인지건강, 국외의 최신 경향등과 같은

향후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논문을 주제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Page 9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9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주제를 포괄적으로 담기 때문에 고령친화산업학회지

의 연구동향 파악은 향후 연구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

시 도움이 될 것이다. 학문분야가 과학적으로 발전하

기 위해서는 이론을 정립하고 이에 근거한 활동의 확

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Colley, 2003). 특히 한국은

급속한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인력과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고령친화산

업학회지의 역할 및 관련 분야의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의 최

근 연구에 대해 동향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까지 고령친화 산업 연구동향에 대해서 시행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고령친화기기산업 중 고령친화

기기에 대한 주제의 연구로 고령친화기기의 개발에

대한 연구(Lim, 2010),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현황에

대한 연구(Kim, 2009)가 있다. 선행연구의 연구동향

분석에 있어서 현황에 대한연구로는 광주지역의 고령

친화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Son, Jang &

Kim, 2011)가 있는데 이는 연구지역에 국한되어 전체

고령친화산업을 분석하는 자료로는 제한이 있다. 이

와 같이 고령친화 분야에 있어서 일부 연구자들에 의

해 특정 주제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있지만,

창간호부터 현재까지 수록된 전체 논문에 대한 내용

분석은 선행연구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2009년

부터 2017년까지 발행된 연구논문을 조사하여 게재논

문의 수, 연구자의 특성, 연구참여자 및 수집장소의

특성,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한고령친화상업학회지의 최신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학회지의 양적발전뿐만이 아닌 질적 발전과

고령친화산업의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논문

본 연구는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2009년 1권 1

호부터 2017년 9권 2호까지 9년 동안의 대한고령친화

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총 122편을 연구대상 논문

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일관성이 있어야하기에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연

구동향 분석방법을 바탕으로 하였다(Cha, Kwon, Kwon,

Lee & An, 2017; Cheo et al, 2014; Han et al, 2015;

Kim, Hwang & Shin, 2011, Lee et al., 2012). 이를 바탕

으로 고령친화산업 분야 교수 5인과 3회의 회의를 토

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연구논문의 게재 논문의 현황,

연구자의 수, 주저자의 직위, 주저자의 지역, 교신저자

직위, 연구대상자, 연구수준, 고령친화 세부 연구주제,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발행된 권을 기

준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은 중복선택을 하였다. 연구

주제 항목은 고령친화의 세부영역 분류는 한국보건산

업진흥원(2011)의 영역분류에 따른 구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기준의 분류는 연구의 제목 및 주제어를 기준

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에 저작권을 양

도한 것으로 간주하였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의 학

회지 사이트에서 전체논문을 다운받아 사용하였고,

논문은 연구의 목적으로만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연구의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 입력 시 각각의 논문 권 및 호

별 일련번호를 부여하였다. 전체 입력 후 재확인 작업

을 통해서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고, 분석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고령친화산업 분야 교수 4인과

의 수차례 회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최종 결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SPSS 18.00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서 백분율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게재논문의 수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2009년 1권 1호부터 2017

년 9권 2호까지 게재된 논문은 총 122편이다. 2012년

그리고 2013년이 동일하게 각 19편(15.57%)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많은

논문이 게재된 것은 2011년 15편(12.30%)이었고, 세

Page 9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93

번째는 2010년과 2016년이 동일하게 각 13편(10.66%)

로 나타났다. 년 평균 게재논문의 수는 12.6편으로 나

타났다(Table 1).

No. YearVolume

(Number)

Frequency

N(%)

Total

N(%)

12009

1(1) 5(4.10)8(6.54)

2 1(2) 3(2.44)

32010

2(1) 6(4.92)13(10.66)

4 2(2) 7(5.74)

52011

3(1) 7(5.74)15(12.30)

6 3(2) 8(6.56)

72012

4(1) 8(6.56)19(15.57)

8 4(2) 11(9.01)

92013

5(1) 10(8.19)19(15.57)

10 5(2) 9(7.38)

112014

6(1) 6(4.92)12(9.84)

12 6(2) 6(4.92)

132015

7(1) 5(4.10)12(9.84)

14 7(2) 7(5.74)

152016

8(1) 5(4.10)13(10.66)

16 8(2) 8(6.56)

172017

9(1) 5(4.10)11(9.02)

18 9(2) 6(4.92)

Table 1. The published papers in JKAFIA

2. 연구자 특성

1) 연구자의 인원

연구자의 기본정보 중 저자의 인원은 2인인 논문이

44편(36.06%)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가 1인인 논문이 29편(23.77%), 3인인 논문이 28편

(22.95%), 5인 이상인 논문이 13편(10.66%), 4인 이상

인 논문이 8명(6.56%)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2).

2) 주저자의 정보

주저자가 교수인 논문이 58편(47.84%)으로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저자가 임상가인 논문이 34명

(27.87%), 대학원생인 논문이 26편(21.31%), 주저자가

위의 영역에 속하지 않아서 기타로 분류되는 논문이

4편(3.28%)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2).

3) 주저자의 지역

주저자의 지역이 경상도인 논문이 74편(60.66%)으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로는 주저자

의 지역이 충청도인 논문이 14편(11.48%), 전라도인

논문이 12편(9.8%), 서울인 논문이 10편(8.20%), 강원

도 및 경기도인 논문이 각 6편(4.91%)의 순서로 나타

났다(Table 2).

4) 교신저자의 정보

교신저자는 교수인 논문이 85편(69.67%)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로는 교신저자가 임

상가인 논문이 23편(18.85%), 대학원생인 논문이 9편

(7.38%), 위의 영역에 속하지 않아서 기타로 분류된

논문이 5편(4.10%)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2).

3. 연구참여자 및 연구장소의 특성

1) 연구참여자의 연령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를 생애주기로 분류하면 성인

인 논문이 62편(54.87%)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 순서로는 연구참여자가 노인(65세 이상)인

논문이 41편(36.28%), 연구참여자가 미기재된 논문이

7편(6.20%), 아동인 논문이 3편(2.65%)의 순서로 나타

났다(Table 3).

2) 연구참여자의 성별

연구참여자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 모두가 참여한

논문이 61편(72.62%)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로는 미지개인 논문이 13편(15.48), 남성만

참여한 논문이 6편(7.14%), 여성만 참여한 논문이 4편

(4.76%)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3).

3) 연구의 장소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 장소는 의료기관(병원, 재활

병원, 요양병원 등)인 논문이 42편(50%)으로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로는 지역사회인 논문

이 16편(19.05%), 미기재인 논문이 13편(15.48%), 학교

인 논문이 12편(14.28%), 가정인 논문이 1편(1.19%)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3).

Page 10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9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Variables Characteristics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Total

N N N N N N N N N N(%)

Number of

author

1author 3 3 4 4 7 2 3 3 0 29(23.77)

2author 3 2 5 13 6 4 5 4 2 44(36.06)

3author 0 6 5 1 4 1 1 3 7 28(22.95)

4author 0 2 0 0 1 2 2 0 1 8(6.56)

≧5author 2 0 1 1 1 3 1 3 1 13(10.66)

First author

Professor 5 7 5 13 11 5 5 6 1 58(47.84)

Clinician 2 5 7 2 4 5 6 1 2 34(27.87)

Graduate student 1 1 3 4 4 1 1 3 8 26(21.31)

Others 0 0 0 0 0 1 0 3 0 4(3.28)

Area of First

author

Gangwon 1 1 2 1 0 0 0 1 0 6(4.91)

Seoul 0 0 1 1 3 2 1 2 0 10(8.20)

Gyeonggi 1 0 1 0 0 2 1 1 0 6(4.91)

Chungcheong 2 2 1 2 2 0 2 2 1 14(11.48)

Jeolla 0 1 2 3 2 1 1 1 1 12(9.84)

Gyeongsang 4 9 8 12 12 7 7 6 9 74(60.66)

Jeju 0 0 0 0 0 0 0 0 0 0(0)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6 10 7 15 14 8 9 8 8 85(69.67)

Clinician 2 3 7 2 3 3 2 0 1 23(18.85)

Graduate student 0 0 1 2 2 0 0 2 2 9(7.38)

Others 0 0 0 0 0 1 1 3 0 5(4.10)

Table 2. The Author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in JKAFIA

Variables Characteristics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Total

N N N N N N N N N N(%)

Research

participants

(life-cycle)

Geriatric 3 2 4 7 4 8 6 6 1 41(36.28)

Adult 6 4 11 13 8 6 6 5 3 62(54.87)

Child 0 1 0 0 0 0 1 1 0 3(2.65)

Not described 0 0 0 2 3 0 1 1 0 7(6.20)

Research

participants

(gender)

Men only 1 1 2 1 0 0 0 1 0 6(7.14)

Women only 1 0 1 1 0 0 0 0 1 4(4.76)

Both(Women and Men) 4 4 9 12 7 7 9 6 4 61(72.62)

Not described 1 1 0 2 4 2 1 2 0 13(15.48)

Research

setting

Medical institution 3 3 10 8 5 3 5 4 1 42(50.00)

Community 3 1 0 2 2 3 0 4 1 16(19.05)

School 0 1 2 4 1 2 2 0 0 12(14.28)

Home 1 0 0 0 0 0 0 0 0 1(1.19)

Not described 0 1 0 2 3 1 3 1 2 13(15.48)

Table 3.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in JKAFIA

Page 10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95

Variables Characteristics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Total

N N N N N N N N N N(%)

Evidence

level

Ⅰ 1 3 2 2 6 3 1 2 4 24(19.67)

Ⅱ 0 0 0 1 1 1 1 1 0 5(4.10)

Ⅲ 1 2 0 0 0 1 2 0 0 6(4.92)

Ⅳ 6 8 11 16 10 7 8 9 7 82(67.21)

Ⅴ 0 0 2 0 3 0 0 1 0 5(4.10)

Subjective

Others(Health) 6 8 13 16 18 11 10 9 8 99(81.14)

Medical instrumental 0 0 1 0 1 0 0 0 1 3(2.46)

Products 1 1 0 0 0 0 0 1 0 3(2.46)

Leisure 0 0 0 2 0 1 2 0 1 6(4.92)

Finance 0 1 0 0 0 0 0 0 0 1(0.82)

Convalescence 1 2 1 1 0 0 0 3 0 8(6.56)

Living・House 0 1 0 0 0 0 0 0 0 1(0.82)

Medicine 0 0 0 0 0 0 0 0 1 1(0.82)

Food 0 0 0 0 0 0 0 0 0 0(0.00)

Cosmetics 0 0 0 0 0 0 0 0 0 0(0.00)

Keyword 1 0 0 0 0 0 0 0 0 0 0(0.00)

2 0 0 3 3 0 0 1 0 1 8(6.56)

3 5 8 7 11 15 10 6 3 3 68(55.74)

4 2 3 4 5 1 2 5 3 7 32(26.23)

≧5 1 2 1 0 3 0 0 7 0 14(11.47)

Table 4. The Type of Research and Subjective classification of the published in JKAFIA

4.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

1) 연구수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의

수준은 Lloyd-Smith(1997)의 서열의 근거를 기본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Ⅳ단계 논문이 82편(67.2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는 Ⅰ단계 논문이 24

편(19.67%), Ⅲ단계 논문이 6편(4.92%), Ⅱ단계 및 Ⅴ

단계인 논문이 동일하게 각 5편(4.10%)의 순서로 나타

났다(Table 4).

2) 연구의 세부주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고령친화

영역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세부주제는 기타로

분류한 건강영역주제가 99편(81.14%)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서로는 요양영역 8편(6.56%),

여가영역 6편(4.92%), 의료기기영역 그리고 용품 영역

이 각 3편(2.46%), 금융영역, 주거⋅주택 및 의약품 영

역이 각 1편(0.82%)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4).

3) 연구의 주요어

연구의 주요어는 3개인 논문이 68편(55.74%)으로 가

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인 논문은 32편(26.23%),

5개 이상인 논문은 14편(11.47%), 2개인 논문은 8편

(6.56%)의 순서로 나타났다(Table 4).

Ⅳ. 고찰

본 연구에서는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에 2009년

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총 122개의 논문 자료를 바

탕으로 세부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한

고령친화산업분야에서의 연구동향을 세부적으로 파

악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Park, Lee & Seo(2016)의 연

Page 10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9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구에서는 학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고, 자료를 축적

하여 학문의 발전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고 하였다.

논문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서 세부내용은 크게

게재논문의 수, 연구자의 특성, 연구참여자 및 수집장

소의 특성,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으로 분류하

였다. 게재논문의 수에서는 지금까지 게재된 총 논문

의 수를 권과 호로 분류하여 시대에 따른 변화를 살펴

보았다. 연구자의 특성에서는 연구자의 총 인원, 주저

자의 정보, 주저자의 지역, 교신저자의 정보로 나누고

연구자의 정보를 심층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참여자

및 수집장소의 특성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연령(인생주

기), 성별,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 장소로 나누어 연구

의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

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에서는 연구의 수준의 단

계를 나누고, 연구를 고령친화 영역의 세부주제로 분

류하였다. 연구의 주요어의 수를 분석하여 대한고령

친화산업학회지에 투고된 논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와 발

전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게재논문의 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회지의 첫해에는 총 8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나 점

차 증가하여 평균 12.6편의 논문을 한해에 2호씩 지속

적으로 게재되고 있다. 이는 본 학회지가 꾸준한 질적

관리와 유지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자가 총 2인인 논문이 44편(36.06%)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단독연구 29편(23.77%)보다 많은

결과이다. 단독연구 비율로 재분석하면 2013년 36%, 2014

년 25%, 2015년 23.08%, 2016년 23.08%, 2017년 0.00%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결과 2013년부터 단독저

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Sohng 등(2008)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인데 다수의 연구자가 함께 연구

를 수행하여 논문의 질을 향상하고 있음을 반영한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제 1연구자가 교수인 논문이 58편

(47.84%)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는 Cha 등(2017)과 Jung 등(2001)의 연구 결과에서

도 동일하게 주저자가 교수인 비율이 연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 및 수집장소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참여자의 연령(생애주기)은 성

인(54.87%)이 노인(36.28%)로 총합이 91.15%로 높게

나타난 것은 본 학회지가 고령친화산업이라는 분야를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구를 위한 정보 수

집장소의 특성은 의료기관이 50%를 차지하였는데 이

는 kang 등(2010)의 연구에서도 의료기관이 31.6%로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논문의 다

양성을 위하여 향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장소

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Ⅳ단계 논문이 67.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Ⅰ단계의 논문이 19.67%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Ⅰ단계 논문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Han & Lee(2012)의 연구에서는 국내보다

국외에서 본 연구의 Ⅰ단계의 비율이 높다고 하였는

데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수준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고령친화산업의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건강이 81.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령

친화산업 키워드별 연결정도를 연구한 연구결과에서

1위가 건강으로 나타난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Cho,

2017). 주요어 분석결과 주요어의 수는 3개인 논문이

55.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게재된 논문의

절반이상이 핵심 주제어를 3개로 요약하고 있음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9년 동안 대한고

령친화산업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세밀하게 분석하

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서 향후 연구방향 설정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

행되었다. 분석대상의 논문은 2009년 1권 1권 1호부터

2017년 9권 2호까지의 전체 논문 총 12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분석의 결과는 실수 및 백분율로 표기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게재논문의 수로 살펴보

면 1년을 기준으로 평균 12.6편 이었다. 연구자의 특성

Page 10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97

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논문 당 연구자의 인원은 단독

연구논문이 감소하고, 공동연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

다. 주저자의 직위는 교수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임상

가의 순서였다. 주저자의 지역은 경남이 가장 많았고,

교신저자는 교수가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특성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연구참여자의

연령은 성인이 가장 많았고, 연구참여자의 성별은 남

성과 여성 모두 참여한 논문이 많았다.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장소는 의료기관이 가장 많았다.

연구수준 및 연구주제의 특성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연구수준은 Ⅳ단계 논문이 가장 많았다. 고령친화산

업의 영역으로 게재된 논문의 세부주제를 살펴보면

건강영역주제가 가장 많았고, 주요어는 3개가 가장 많

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한고령친화산업에서의

우수한 학술지인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의 분석결

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향

후 고령친화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모든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는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학

술지 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가를 바탕으로 대한고령친화산업학

회지의 발전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것처

럼 현재보다 다양한 지역의 논문과 고령친화영역의 분

야별 논문을 엄격한 심사를 하여 향후에는 양적 발전

및 질적 발전을 도모해야한다. 본 연구는 대한고령친

화산업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분석대상에 타 학회지, 석사 학위논문,

박사 학위논문은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전반적인 고령친화산업계의 연구동향으로 일반화시키

기에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후의 연구에서는 타 학

회지, 석사 학위논문, 박사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보다

고령친화산업 전반에 대하여 다면적으로 분석하는 연

구를 통해 통합적인 연구방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Colley, S. (2003). Nursing theory: its importance to practice.

Nursing Standard, 17(46), 33-37.

Cha, R. R., Kwon, J. E., Kwon, S. H., Lee, K. H., &

An, J. Y. (2017).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2015).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2), 92-100.

Cho, W. W. (2017).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aging-friendly industry for 10 years(2007〜2016) since

the implementation of Aging-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Gyeonggi: university of Kangnam.

Choe, M. A., Kim, N. C., Kim, K. M., Kim, S. J., Park,

K. S., Byeon, Y. S., ... Kim, J. H. (2014).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4(5), 484-494.

Han, Y. Y., & Lee, S. C. (2012).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2), 290-296.

Han, N. K., Kim, S. H., Kim, M. S., Kim, J. G., Kim, C.

H., & Choi, S. H. (2015).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for 5 Years

(2010~2014): Focused on Usage of Nursing Theor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5), 527-536.

Lee, K. J., Kang, Y. H., Gu, M. O., Kim, K. H., Kim, O.

S., Suh, Y. O., ... Hah, Y. S. (2012).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doctoral dissert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302-309.

Lim, D. H. (2010). Senior - Friendly - Device Industry

and Development Tendency of Major Senior – Friendly

– Dev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11, 53-54.

Lloyd-Smith, M. (1997). Evidence-based practice and oc-

cupational therap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 474-478.

Kang, B. W., Ahn, S. Y., Kim, S. K., Yoo, Y. S., Yoo,

E. M., & Lee, S. M. (2010).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6),

Page 10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9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991-1000.

Kim, Y. K., Hwang, S. Y., & Shin, S. J. (2011).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1989-2011).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6), 633-641.

Kim, J. J. (2009). Current and Future Issues on Elderly-

Friendly Medical System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8, 37-4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Survey

and analysis of aging friendly industries.

Park, S. H., Lee, Y. J., & Seo, H. J. (2016).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from

1996 to 2015.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1(6), 15-30.

Sohng, K. Y., Kim, j. I., Choi, D. W., Kim, A. K.,

Chaung, S. K., Kim, K. H., ... Chang, S. O. (2008).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 Based on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from 2001 to 2007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Nursing, 12(3), 325-336.

Son, S. C., Jang, H. Y., & Kim, K. S. (2011).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Gwangju Senior Friendly

Products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0, 23-41.

Jung, I. S., Kang, K. S., Kim, K. H., Kim, K. S., Kim,

W. O., Byun, Y. S., ... Jo, H. S. (2001). The Research

Trend in Fundamental Nursing. Journal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8(2), 132-146.

Page 105: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99

Abstract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Park, Bo-Ra, Ph.D*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Welfare, Woosuk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To that end, the research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from 2009 to 2017 was used as research material.

Method : A total of 122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participants and research setting place, research evi-

dence levels and research subjects.

Result : On average, 12.6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2 researchers per research(36.06%), First

author(47.84%), corresponding authors(69.67%) were professors. There were many adults (54.87%)

and medical institutions(50%)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re were many 4 evidence

levels of research(67.21%), and health issues were high.

Conclusion : This study allowed u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the Korea aging

friendly Industries Association.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think it will help

future research.

Key Words : Aging friendly industry,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Research analysis

Page 106: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Page 107: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10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저자 점검표

논문제목 :

본 저자 점검표는 논문과 함께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제출된 논문이 불완전하게 작성된 경우 재수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의 각 항목을 확인하고 ✔표시를 하십시오.

_______ 논문을 담은 3 1/2인치 디스켓과 사본 1부를 우편을 사용하여 보내거나 혹은 전자메일을 사용하여 보낸다.

_______ 원고는 윈도우용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_______ 본문의 글꼴은 신명조, 크기는 point 10, 줄간격은 160%로 작성하고, 위․아래․좌․우의 여백은 A4 용지 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표 지

표지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한다.

_______ 논문제목 _______ 저자명 ______ 저자소속 기관명

_______ 영문제목 ______ 영문 저자명 ______ 영문 학위명 ______ 영문 면허명

_______ 수정책임자의 연락처 (주소, E-mail, 전화번호, 핸드폰, 팩스)

_______ 학위논문 여부 혹은 연구비 지원기관을 기록한다.

_______ 저작권 양도에 대해 모든 저자들이 서명을 한다.

초 록

_______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

_______ 영문 초록의 단어수는 150자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3개 이상 10개 이하의 주제어(Key Words)를 첨부한다.

_______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예: Lee, Mi-Youn).

본 문

_______ 본문의 구성은 원저인 경우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으로 하며, 종설인 경우 서론, 본론, 결론으로

작성한다.

_______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로 작성하며,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_______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한다.

_______ 원고는 표, 그림 및 사진 등을 포함하여 전체 A4 15매 이내로 작성한다.

_______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영어로 표기한다.

Page 108: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0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_______ 본문에서의 인용문헌은 해당부위에 저자와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고, 어깨번호(윗첨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내 문헌 인용 시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로 연결하며, 3인 이상의 경우 저자가 첫 인용 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제1저자명 뒤에 ‘et al.’을 붙인다.

참고문헌

_______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한다.

_______ 참고문헌의 표기방법과 구두점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투고규정과 맞는지 확인한다.

_______ 모든 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단, 영문이 없는 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_______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 모든 저자명을 표기한다.

_______ 학술지명은 전체학술지명을 사용한다.

_______ 표를 만들 때는 선 그리기가 아닌 “표 만들기”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한다.

_______ 표의 제목은 간결하고 명료해야 한다.

_______ 표에 사용된 약어는 하단에 따로 설명한다.

_______ 표는 자체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고, 본문이나 그림의 자료를 중복 나열하지 않는다.

_______ 본문에 제시된 표 번호와 내용을 일치시킨다.

_______ 표의 제목은 캡션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그 림

_______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한다.

_______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번호를 쓰고 위아래

표시를 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영어로 작성한다.

_______ 그림 설명문은 단순히 제목만 쓰지 않았고 그림을 설명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_______ 그림의 제목은 캡션 기능을 사용하여 편집한다.

저자(들)는(은) 이상의 점검을 모두 마쳤으며 이 점검표를 원고와 함께 보냅니다.

저자(들)는(은) 모두 이 논문의 작성에 구체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원고 내용에 공적인 책임을 집니다. 이 논문은

이전에 출판된 적인 없으며, 현재 다른 간행물에 게재할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이 논문의 게재 소유에 대한

권한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에 있습니다.

저자(대표) (인)

공동저자 (인)

(인)

(인)

(인)

Page 109: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103

*본 저자점검표는 2014년 11월 30일부터 적용됩니다.

*본 학회지에 규정된 사항 외에의 것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한 규정집 6판에 근거하

여 작성하여야 한다.

년 월 일

Page 110: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0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투고규정

1. 본 학회지는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심의한 원저, 종설 및 증례보고 등을 게재하며, 게재 여부는 편집위

원회에서 결정한다.

2. 제출된 원고는 타 회지에 게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본지에 게재된 것을 저자 임의로 타 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 본 투고규정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th edition,

2001) 규정에 따른다.

3. 제출된 원고는

(1) 윈도우용 한글을 이용하여 작성하며 원고의 행 간격은 줄 간 160%로 하며 본문의 글자크기는 10, 글꼴은 신명조,

용지의 여백은 A4기준으로 3cm로 작성한다.

(2) 의미전달에 혼동이 없는 한 한글을 권장한다.

(3) 한글과 영문을 함께 표기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문은 괄호 속에 쓰며 고유명사 외에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4) 본문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도량형은 meter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표, 그림 및 사진의 제목과 설명은 모두 한글로 표기한다.

(6) 본문 외에 사진을 별도로 첨부할 경우, 사진의 규격은 8×10cm이며 각 뒷면에 제목과 그림 번호를 기입하여야

한다.

(7) 초록은 국문과 영문을 모두 첨부하되 국문초록은 원고의 앞, 영문초록은 맨 뒷부분에 첨부한다(단, 영문초록의

단어 수는 150자 이내로 한다).

(8) 영문초록에서 저자명은 성(family name)을 앞에 표기한다.

(9) 원고의 전체 매수는 A4 15매 이내로 제한한다.

4. 본문내 문헌 인용 시에는 해당부위에 저자명과 연도를 괄호 안에 표기하며 어깨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국내문헌은 ‘와(과)’, 외국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5인의 저자인 경우 첫 인용시에만 전체 저자를 표기하고 그 이후에는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 6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제1저자명 뒤에 ‘등’(국내문헌), ‘et al.’(외국문헌)을 붙인다(APA,

2001, pp. 208-209 참조).

(1) 저자명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

- 저자가 1인인 경우 예) 양영애(2006)는, Kang(2000)은

- 저자가 2인인 경우 예) 허진강과 양영애(2001)는, Song과 Jones(1984)는

-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 예) 양영애 등(2002)은, Parker 등(1988)은

(2) 문장 끝에 표기하는 경우: 여러 문헌을 동시에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표기하며 국내문헌은 가나다

순, 외국문헌은 ABC순으로 작성한다.

예) …라고 하였다(허진강과 양영애, 2003; 노민희, 2002; 용준환 등, 2000; Duncan et al., 1988; Posner & Berk,

1980).

5. 참고문헌은 반드시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표기하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모두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단, 영문 이

Page 111: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105

없는 국내문헌의 경우 한글로 제시하되 가나다순으로, 그 외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ABC순으로 한다. 먼저 국내 저자

문헌을 소개하고 나중에 외국 저자 문헌을 제시한다. 국외 인용문헌의 도서명과 정기간행물명, 학술지명, 권수는 이탤릭

체로 하고, 국내문헌은 HY중고딕을 사용한다. 다. 동일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예:1995a, 1995b). 공동 저자가 2인의 경우에는 저자명 사이에 한글로 제시된 문헌은

‘,’, 그 외 문헌은 ‘&’로 연결한다. 공동저자가 3~7인 인 경우 모두를 나열하고 마지막 저자 앞에 ‘&’를 붙인다. 공동

저자가 7인을 초과하는 문헌은 저자명 을 제6저자까지만 나열(‘&’생략)한 후 제 6저자명 뒤에 ‘...’을 삽입하고 마지막

저자명을 표기한다.

1)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1) DOI가 없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단 호수는 각 호가 1쪽부터 시작되는 경우에만 표기한다. - APA, 2010, p.199 참조)

예) Lee, J. S., & Jeon, B. J. (2008). A study on the balance ability and obesity of rural elderly persons in Non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1), 55-66.

예) McPhee, S. D. (1987). Functional hand evaluation: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1,

158-163.

예) Sillick, T. J., & Schutte, N. S. (2006).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mediate between perceived early

parental love and adult happiness. E-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2), 38-48. Retrieve from http://ojs. lib.

swin.deu.au/index.php/ejap

(2) DOI가 있는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쪽수. doi

예) Kang, D. H., Yoo, E. Y., Chung, B. I., Jung, M. Y., Chang, K. Y., & Jeon, H. S. (2008). The application

of client-centred occupational therapy for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5, 253-268. doi:10.1002/oti.258

예) Gilbert, D. G., McClernon, J. F., Rabinovich, N. E., Sugai, C., Plath, L. C., Asgaard, G., ... Botros, N. (2004).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and attention last for more than 31 days and are more severe

with stress, dependence, DRD2 A1 allele, and depressive traits. 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6, 249-267.

doi:10.1080/14622200410001676305

2)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미국 이외의 경우, 주명 대신 국가명 표기 - APA, 2010, pp. 186-187 참조)

예) 김경미, 이재신. (1997). 작업치료. 서울, 한국: 정담.

예) Mattingly, C., & Fleming, M. (1994). Clinical reasoning: Forms of inquiry in a therapeutic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3) 단행본의 장(chapter): 저자명. (발행연도). 장 제목. 단행본 저자명, 단행본 제목 (개정판, 쪽수).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이지연. (2007). 조기중재. 정민예, 아동작업치료 (pp. 27-43).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예) Schwartz, K. B. (2003). The history of occupational therapy. In E. B. Crepeau, E. S. Cohn, & B. A. Boyt Schell

(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10th ed., pp.5-13).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예) Exner, C. E. (2001).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 Case-Smith(Ed.),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p. 289-328). St. Louis, MO: Mosby.

Page 112: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106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4) 학위논문 (APA, 2010, pp. 207-208) 참조

(1) 단행본: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학교명, 도시명.

예) Kim, J. K. (2002). he effects of the universal cuff on upper limb motion during feeding in healthy subjec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예) Kaplan, E. B. (1997). Not our kind of girl: Unraveling the myths of black teenage moth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 인터넷을 통해 출력한 경우: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학위명). 인터넷주소

예) Adams, R. J. (1973). Building a foundation for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ohiolink.edu/etd/

주) 영문 박사학위 논문은 doctoral dissertation, 석사학위 논문은 master's thesis로 표기.

5) 번역서: 저자명. (역)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국가명: 발행처.

예) 최혜숙, 권혜련, 김성원, 김수일, 박수현, 양경희, ... 채수경. (역) (2007). 작업치료학. 서울, 한국: 현문사.

6) 협회 공식문건: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7) 회보속의 논문: 저자명. (발행연도, 계절). 제목. 회보명, 권수, 쪽수.

예) 강대혁. (2003, 여름). 세계 보건의료를 선도하는 작업치료. 작업치료, 21, 6-7.

예) Brown, L. S. (1993, Spring). Antidomination training as a central component of diversity in clinical psychology

education. Clinical Psychologist, 46, 83-87.

8) 저자가 단체인 도구 사용설명서(Manual): 단체명. (발행연도). 제목. 도시명, 주명(또는 국가명): 발행처.

예) Performance Enterprises. (2000). Dynavision 2000 operating manual [Brochure]. Markham, Canada: Author.

예)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6).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Version 5.0).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9) 인터넷 문서: 단체명. (게시년도). 제목. 인터넷주소 (APA, 2010, pp. 205-206 참조)

(1) 저자가 단체인 경우

예)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5). 2005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수가산정. http://www. kaot.org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2007).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the sexualization of girls.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wpo/ sexualization.html

(2) 저자가 단체가 아닌 경우

예) Kessy, S. S. A., & Urio, F. M. (2006). The contribution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to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Research Report No. 06.3). Retrieved from Research on Poverty Alleviation website:

http://www.repoa.or.tz/documents_ storage/Publications/Reports/06.3_Kessy_and_Urio.pdf

6. 제출된 원고 내용 중에서 본 학회의 투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위원이

수정하거나 그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Page 113: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107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임원 현황

학 회 장 양영애 (인제대학교)

부 회 장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기 획 이 사 김정기 (대구보건대학교) 교 육 이 사 신중일 (호남대학교)

총 무 이 사 오혜원 (우석대학교) 사 업 이 사 한동욱 (신라대학교)

학 술 이 사 박수희 (호남대학교) 재 무 이 사 박수정 (대구보건대학교)

국 제 이 사 정현애 (동신대학교) 출 판 이 사 정복희 (호원대학교)

홍 보 이 사 김덕주 (청주대학교) 대외협력이사 한경혜 (한국안전진흥협회)

이 사 감경윤 (인제대학교)

고주연 (대구보건대학교)

고영욱 (SK 건설)

김덕주 (청주대학교)

김성수 (광주보건대학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희진 (한양대학교)

박윤희 (춘해보건대학교)

박주형 (청주대학교)

유찬욱 (한려대학교)

염동삼 (충남도립대학교)

원시연 (입법조사처)

이세희 (경북보건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정상미 (상지영서대학교)

조미림 (호남대학교)

장 철 (경남정보대학교)

최우경 (부산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한승협 (마산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홍용근 (인제대학교)

한남경 (경북보건대학교)

김미점 (충남도립대학교)

김은정 (전 광양보건대학교)

고유정 (한영대학교)

김훈주 (동주대학교)

류재건 (부산카톨릭대학교)

박보라 (우석대학교)

박주영 (동주대학교)

박우권 (경복대학교)

백현희 (광주대학교)

상미숙 (디보슨케어)

손덕현 (이손요양병원)

송보경 (강원대학교)

안선정 (인제대학교)

우미옥 (창신대학교)

우성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용미현 (경운대학교)

윤정애 (대전보건대학교)

정재엽 (여주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최영건 (경북보건대학교)

차수민 (춘해보건대학교)

편 집 위 원 장 홍용근 (인제대학교)

편 집 위 원 김환중 (우석대학교)

김덕주 (청주대학교)

염동삼 (충남도립대학교)

정복희 (호원대학교)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황기철 (백석대학교)

배태수 (중원대학교)

장경배 (고려사이버대학교)

송보경 (강원대학교)

양영애 (인제대학교)

이범석 (일본군마대학교)

최숙희 (한양사이버대학교)

박수희 (호남대학교)

와타나베신이치 (일본요코하마재활센터)

김태국 (동명대학교)

고 문 위 원 양동주 (한국안전진흥협회)

조남훈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미자 (경복대학교)

감 사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Page 114: 제10권 제1호 ISSN 2288 - ot-kapa.co.krot-kapa.co.kr › board › board_file › HM41860241.pdf · 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0권1호 2) 욕창예방 매트리스

■ 대한고령친화산업회지 Vol. 10, No. 1

2018년 05월 31일 발행

발행인 / 양영애

발행처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경남 김해시 인제로 197 인제대학교 신어관 006호

Tel: 055-320-3799

인 쇄 /교보문고 070-8854-5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