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제주도 연안습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 일시 : 2019년 12월 4일(수) 15시 - 장소 :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

제주도 연안습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 2019-12-13 · - 13 - 2. 국내습지현황 국내습지현황 -유형별약2,000여개소·1,872㎢ (여의도면적의220배)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제주도 연안습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 일시 2019년 12월 4일(수) 15시- 장소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

토론회 식순

인사말 (1500-1510)bull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좌장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주제발표 (1510-1610) bull발제1gt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bull발제2gt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bull발제3gt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Tea Time 지정 토론 (1620-1700)bull좌종헌 제주국제대학교 교수bull정상배 제주자연학교장bull김완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bull현원학 제주생태교육연구소장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1700-1730)

Contents목차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 정책 _ 05-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_ 33-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_ 63-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5 -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 7 -

제주특

별자

치도

연안

습지

보전

middot관리

정책방향

해양산업과해양관리팀장오상필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토론회 식순

인사말 (1500-1510)bull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좌장 이영웅 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주제발표 (1510-1610) bull발제1gt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bull발제2gt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bull발제3gt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Tea Time 지정 토론 (1620-1700)bull좌종헌 제주국제대학교 교수bull정상배 제주자연학교장bull김완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학예연구사bull현원학 제주생태교육연구소장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1700-1730)

Contents목차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 정책 _ 05-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_ 33-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_ 63-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5 -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 7 -

제주특

별자

치도

연안

습지

보전

middot관리

정책방향

해양산업과해양관리팀장오상필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Contents목차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 정책 _ 05-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_ 33-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_ 63-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5 -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 7 -

제주특

별자

치도

연안

습지

보전

middot관리

정책방향

해양산업과해양관리팀장오상필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 -

제주도의 연안습지 보전정책

- 오상필 제주도 해양산업과 해양관리팀장

- 7 -

제주특

별자

치도

연안

습지

보전

middot관리

정책방향

해양산업과해양관리팀장오상필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 -

제주특

별자

치도

연안

습지

보전

middot관리

정책방향

해양산업과해양관리팀장오상필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목차

1습

지개

2국

내습

지현

3도

내습

지현

4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정책

5도

내해

양의

보호

구역

관리

강화

방안

6향

후추

진계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9 -

1

습지

개요

지의

정의

-일반

적으

로영

구적

또는

계절

적으

로습

윤상

태를

유지

하면

서그

상태

에적

응된

식생

이서

식하

고있

는곳

계적

으로

널리

쓰이

는람

사르

협약

에서

의습

지는

자연

적인

것을

비롯

한인

공적

인습

지로

포함

하고

습지

의수

심을

2m

에서

6m

이하

까지

로습

지의

범위

를확

대하

여정

의하

고있

지의

범위

(습지

보전

법)

-담

수 기

수 염

수가

영구

적으

로또

는일

시적

으로

그표

면을

덥고

있는

지역

으로

내륙

습지

와연

안습

지로

구분

지의

기능

-연

안습

지(산

호초

지대

)의경

우해

양생

물의

25

서식

-어

류의

산란

장소

류의

먹이

공급

처로

다양

한서

식환

경제

공-

습지

에사

는동

middot식물

생물

등은

육상

등으

로부

터흘

러나

오는

각종

오염

물등

을정

화-

기상

악화

시바

다로

부터

육지

지역

을보

호하

는역

할을

하여

해안

선보

호등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0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연안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연안

조하대

조간대

해양수초대

산호습지

해양습지

연안수초대습지

암석해안습지

갯벌습지

염습지

해빈습지

수초대

산호초

고결

미고결대

수초대

암석해안

미고결대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1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내륙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내 륙 습 지

하천형

기수역

하구갯벌습지

R1

하구

하구감삭주습지

R2

하구염습지

R3

유수역

하도습지

R4

제외지

보습지

R5

보의축조로형성된습지

정수역

배후습지

R6

제내지범람원

용천습지

R7

용출천

호수형

기수역

석호습지

L1석호

( 기수

염수

)간척호습지

L2자연발생적인공호습지

( 김수

염수

)

담수역

담수호습지

L3자연호수습지

자연발생적인공호흡지

우각호습지

L4구하도

사구습지

L5해안

하안

산지형

강우

고층습원

(bog

s)M1

산성습원

이탄습원

지중우

저층습원

(fen

s)M2

계절적

영구적알카리성습원

지표수

지중수

저습지

(marshes)

M3

추수성수생식물우점늪

묵논

이탄지

소택지

(swam

ps)

M4

관목우점묵논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2 -

1

습지

개요

습지의분류(인공습지)

환경부

국가습지의유형별

∙등급별분류및유형별습지복원매뉴얼작성연구

(201

0)

대분류

중분류

( 지형

)소분류

( 수원

범람

)상세분류

( 식생

토양

수문

)기호

비고

( 특성

)

인 공 습 지

연안

염전

염전

Hc1

염전

폐염전

양식장

연안양식장

Hc2

양식장

내륙

인공호

인공호습지

H1

인공댐

저수지

농경지

논H2

경작지

( 논)

내수면어업

내수면어업

H3

양식장

낚시터

용수로

인공수로습지

H4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조성습지

인공수로습지

H5

관개및연락수로

어도

수질정화습지

H6

오폐수및비점오염원저감시설

대체습지

H7

새로복원된습지

생태수변공원

H8

인공웅덩이

채굴지습지

H9

채굴지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3 -

2

국내

습지

현황

내습

지현

-유

형별

약20

00여

개소

middot18

72

(여의

도면

적의

220배

)

리나

라습

지보

전지

역(2

016 12월

기준

)지

정현

황 36개

지역

middot3560

45

-환

경부

지정

내륙

습지

21개

소middot1

242

41

-해

수부

지정

연안

습지

12개

소middot2

251

70

-지

자체

지정

3개

소middot6

634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4 -

2

국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1개소

환경부지정

지역명

위치

면적

(msup2)

지정일자

( 습지보호지역

)지정일자

( 람사르습지

)

낙동강하구

부산광영식강서구

37718

000

19

99‐08‐09

대암산용늪

강원도인제군

136

000

0 19

99‐08‐09

1997

‐03‐28

무제치늪

울산광영식울주군

18400

0 19

99‐08‐09

2007

‐12‐20

우포늪

경상남도창녕군

860

900

0 19

99‐08‐09

1998

‐03‐02

제주물영아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30900

0 20

00‐12‐05

2006

‐10‐18

화엄늪

경상남도양산시

12400

0 20

02‐02‐01

두웅습지

충청남도태안군

67000

20

02‐11‐01

2007

‐12‐20

신불산고산습지

경상남도양산시

30800

0 20

04‐02‐20

담양하천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8100

0 20

04‐07‐08

신안장도습지

전라남도담양군

90000

20

04‐08‐31

2005

‐03‐30

한강하구

경기도고양시

60668

000

20

06‐06‐17

재약산사자평고산습지

경상남도밀양시

58700

0 20

06‐12‐28

제주

1100고지습지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12600

0 20

09‐10‐01

2009

‐10‐12

제주물장오리오름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61000

0 20

09‐10‐01

2009

‐10‐13

제주동백동산습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59008

3 20

10‐11‐12

2011

‐03‐14

고창운곡습지

전라북도고창군

193

000

0 20

11‐03‐14

2011

‐04‐07

상주공검지

경상북도상주시

26400

0 20

11‐06‐29

한반도습지

강원도영월군

277

200

0 20

12‐01‐13

2015

‐05‐13

정읍월영습지

전라북도정읍시

37500

0 20

14‐07‐24

제주숨은물뱅듸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117

500

0 20

15‐07‐01

2015

‐05‐13

순천동천하구

전라남도순천시

539

900

0 20

15‐12‐24

2016

‐01‐20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5 -

2

국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12개소)

경부

지정

지자체지정습지(3개소)

-대

구달

성하

천습

지 대

청호

추동

습지

도갯

지역

명위

치면

적(m

sup2)지

정일

자( 습

지보

호지

역)

지정

일자

( 람사

르습

지)

무안

갯벌

전라

남도

무안

군42

000

000

20

01‐12‐28

2008

‐01‐14

진도

갯벌

전라

남도

진도

군144

000

0 20

02‐12‐28

웅진

장봉

도갯

벌인

천광

역시

웅진

군68

400

000

20

03‐12‐31

보성

벌교

갯벌

전라

남도

보성

군10

300

000

20

03‐12‐31

2006

‐01‐20

순천

만갯

벌전

라남

도순

천시

28000

000

20

03‐12‐31

2006

‐01‐20

부안

줄포

만갯

벌전

라북

도부

안군

490

000

0 20

06‐12‐15

2010

‐02‐01

고창

갯벌

전라

북도

고창

군10

400

000

20

07‐12‐31

2010

‐02‐01

서천

갯벌

충청

남도

서천

군15

300

000

20

08‐02‐01

2009

‐12‐02

중도

갯벌

전라

남도

신안

군31

300

000

20

10‐01‐29

2011

‐09‐01

봉암

갯벌

경상

남도

창원

시92

396

20

11‐12‐16

시흥

갯벌

경기

도시

흥시

71000

20

12‐02‐17

비금

∙ 도초

도갯

벌전

라남

도신

안군

12320

000

20

15‐12‐30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294개소)

「제주특별자치도내륙습지

DB 구축자료조사연구」결과이며

( )는실제조사에서위치불분명

접근불가

경작지

공영주차장

골프장등이들어서있어이를제외한습지개수임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비고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1720

(3)

구좌읍

3536

(1)

조천읍

1924

(5)

애월읍

2325

(2)

한림읍

2122

(1)

한경면

2831

(3)

우도면

1919

(0)

소계

162

177(15

)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328

(5)

대정읍

2730

(3)

안덕면

1113

(2)

남원읍

1213

(1)

표선면

1517

(2)

성산읍

4444

(0)

소계

132

145(13

)합계

294

322(28

)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7 -

3

도내

습지

현황

내륙습지분포도(294개소)

물영아리

남생이못

물찻분화구

뱅듸못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8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총

21개소)

습지분포지역

습지분포수

( 개)

제주시

제주시동지역

3구좌읍

2조천읍

3애월읍

1한림읍

2한경면

2우도면

0소계

13

서귀포시

서귀포시동지역

2대정읍

1안덕면

1남원읍

1표선면

1성산읍

2소계

8합계

21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19 -

3

도내

습지

현황

연안습지분포도(21개소)

삼양해안

외도천하류해안

다려도

하도리철새도래지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0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의

보호

구역

지역

현황

-우

리나

라연

안과

해양

에지

정되

어있

는보

호지

역은

총82개

소 면

적은

96

755

1km

sup2 차

우리

나라

는총

6개

의해

양에

서의

보호

지역

관련

법률

을3개

의중

앙부

처가

구분

관하

고있

으며

별보

호지

역의

목적

준 절

차규

정가

lt국

내보

호지

역중

해양

의면

적현

황( rsquo1

8년

12월

기준

) gt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1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양보

호구

역(해

양생

태계

법제

25조

)

-해

양보

호구

역은

「해

양생

태계

법」

제25조

1항

에의

거해

양생

태계

및해

양경

관등

을특

별히

보전

할필

요가

있는

구역

으로

양생

태계

의특

성에

따라

해양

생태

계보

호구

역 해

양생

물보

호구

역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으

로구

분하

여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태계

보호

구역

은13개

소2593

32km

sup2가지

정middot관

리중

middot해

양생

물보

호구

역은

가로

림만

해역

1개

소로

912

37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양보

호생

물인

점박

이물

범의

서식

지로

체계

적보

전middot관

리필

요middot 해

양경

관보

호구

역은

소황

사구

해역

1개

소52

3km

sup2가지

정되

어있

으며

이한

지형

으로

보전

가치

가높

은해

안사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2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해양생태계보호구역지정현황(13개소)

명칭

위치

면적

(kmsup2)

특징

관리청

지정일시

문섬등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강정동

‐ 보목동

일원해역

13684

해양보호생물

11종이서식하며

주로해송이발견

부산청

2002

11

대이작도

주변해역

인천광역시옹진군

이작리

승봉리

일원해역

557

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인천청

2003

12

오륙도및

주변해역

부산광역시

남구용호동

035

여러새살이풀로학술적

경제적가치가높은

게바다말서식

부산청

2003

12

신두리

사구해역

충청남도태안군

원북면신두리

064

국내최대사구로내륙과

해안생태계를연결하는

완충지역이며통합적

생태계형성

대산청

2002

10

가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신안군

흑산면가거도리

일원해역

7017

해면의일종인

빨강해면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소화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금당면육사리

일원해역

081

남해고유종인침해면

맨드라미서식

목포청

2012

11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3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나무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나무섬

주변해역

027

5대형육식성포식자로연안

생태계최상위자인

나팔고둥서식

부산청

2013

11

청산도

주변해역

전라남도완도군

청산면청산도

주변해역

7138

현존하는해양화석종인

세로줄조개사돈서식

목포청

2013

11

남형제섬

주변해역

부산광역시사하구

다대동남형제섬

주변해역

01

다양한해양보호생물중

주로밤수지맨드라미서식

부산청

2013

11

울릉도

주변해역

경상북도울릉군

울릉읍북면

서면

주변해역

3944

수중암반생태계가잘형성

되었고해양의자연상태가

원시성을유지

유착나무

돌산호서식

포항청

2014

12

추자도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추자면

주변해역

118

우리나라와일본에만출현하는

포기거머리말서식

부산청

2015

12

토끼섬

주변해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구좌읍

하도리토끼섬주변해역

059

3수질정화및산란장과서식지

역할을하는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군락

부산청

2016

12

양양조도

주변해역

강원도양양군

현북면기사문리

일원해역

501

해양보호생물인왕거머리말

( 잘피

) 가013

kmsup2 범위로서식

동해청

2017

12

합계

(13 개

소)

25933

2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4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습지보호지역

(13개

소)

습지보호지역은습지보전법제

8조제

1항에따라습지중자연상태가원시성을유지하거나

생물다양성이풍부한지역

희귀하거나멸종위기에처한야생동식물이서식하거나나타나는

지역

특이한경관적

∙ 지형적

∙지질학적가치를지닌지역

‐우리나라연안에는

13개소

142

165

에해당하는습지보호지역이지정되어있으며

이중송도갯벌은인천시가지정관리한우리나라유일의시

∙도지정습지보호지역

명칭

위치

면적()

지정주체

지정일시

무안갯벌

전남무안군해제면현경면일대

42

해양수산부

20011228

진도갯벌

전남진도군군내면고군면일원(신동지역)

144

해양수산부

20021228

순천만갯벌

전남순천시별량면해룡면도사동일대

28

해양수산부

20031231

보성middot벌교갯벌

전남보성군호동리장양리영등리장암리대포리

3185

해양수산부

20180903

옹진장봉도갯벌

인천옹진군장봉리일대

684

해양수산부

20031231

부안줄포만갯벌

전북부안군줄포면middot보안면일원

49

해양수산부

20061231

고창갯벌

전북고창군부안면(1지구)심원면(2지구)일원

6466

해양수산부

20180903

서천갯벌

충남서천군비인면종천면일원

6809

해양수산부

20180903

봉암갯벌

경남창원시마산회원구봉암동

01

해양수산부

20111216

시흥갯벌

경기시흥시장곡동

071

해양수산부

20120217

대부도갯벌

경기안산시단원구연안갯벌

453

해양수산부

20170217

신안갯벌

전남신안군일원

110086해양수산부

20180903

송도갯벌

인천연수구송도동

611

인천광역시

20091231

합계

142165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5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하구습지

(2개소

)

강과바다가만나는지점을강하구라하고대부분지형적으로부채꼴모양을

하고있는데

하구는바닷물과민물이만나섞이는기수역경계를기준으로정한다

‐하구습지는한강

∙낙동강하구에서환경부가지정한내륙습지보호지역으로관리

명칭

위치

면적()지정주체

지정일시

낙동강하구부산사하구신평장림다대동강서구명지동

3772

환경부

19990809

한강하구

김포대교남단강화군송해면숭뢰리

6067

환경부

20060417

합계

9839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6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람사르습지

(7개소

)

‐물새서식지로서특히국제적으로중요한습지에관한협약이lsquo71년

2월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채택되어rsquo75년

12월에발효되었고

우리나라는lsquo97년

7월28일

101번

째로

람사르협약에가입

‐람사르협약에서는전세계의주요습지를람사르습지로지정

∙관리

‐우리나라는

22개소

19162

7에해당하는람사르습지가지정되어있으며

그중해양수산부소관람사르습지는

7개소

17677임

명칭

위치

면적()

지정일시

순천

만갯

벌(Suncheon Bay)

전남순천시

별량면해

룡면도사동

일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해안가

일대

39259

20060120

무안

갯벌

(MuanTidal)

전남

무안군

해제면middot현경면

일대

3477

20080114

서천

갯벌

(SeocheonTidal Flat)

충남

서천군

서면유부도

일대

153

20091202

고창

middot부

안갯

벌(Gochang

amp Buan

Tidal Flats)

전북

부안군

줄포면middot보안면

고창군

부안면middot심원면

일대

455

20100201

중도

갯벌

(JeungdoTidal Flat)

전남

신안

군증

도면

증도

및병

풍도

일대

313

20110710

송도

갯벌

(SongdoTidal Flat)

인천

연수구

송도

611

20140710

대부

도갯

벌(DaebudoTidal Flat)

경기

안산시

대부

도453

20181025

합계

176769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7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기념물지정현황

(3개소

)

‐천연기념물은문화재보호법제

2조인위적이거나자연적으로형성된국가적민족적

또는세계적유산으로서역사적예술적학술적또는경관적가치가있는것

‐우리나라천연기념물은

456개

명승은

110개

이며

이중연안해양에위치한

천연기념물은

3개 천

연보호구역은

6개 명

승은

9개‐이

중제주지역연안해양에위치한천연기념물은

1개소임

lt 연안해양의천연기념물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227호

거제연안

아비도래지

4350242

1970110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

지내는유일한지역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19호

강화갯벌및

저어새번식지

43501

200007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

갯벌로경제적생산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

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42호

제주연안

연산호군락지

9011

20041213

-연산호군락지에는돌산호류각산호류해양

염류등의다양한산호류가서식

-제주연안해역에는한국산산호충류92종이서

식이중66종은제주해역에서만서식학술적

가치가매우높음

합계

96014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8 -

4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정

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6개소

)‐천

연보호구역으로지정된총

6개중에서제주도에지정되어있는

4개소

lt 연안해양의천연보호구역지정현황

gt

번호

명칭

면적()

지정일시

지정근거

제170호

홍도

천연보호구역

59

19720724

-아비회색머리아비큰회색머리아비등희귀종임

-거제도연안의아비도래지는아비가겨울을지내는유일한지역

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

02

19821106

-저어새는천연기념물제205호로지정하여보호하는종

-강화갯벌은보존상태가양호한몇남지않은갯벌로경제적생산

성및정화능력해양생태계의중요한곳으로천연기념물로지정

제420호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59

20000718

-일출봉은커다란사발모양의평평한화구가다른곳과는구별되

는특이한형태

-비교적넓은조간대암석지대자갈디대모래사장등이있음

-해안식물은총127종해산동물은177종이서식

제421호

문섬및범섬

천연보호구역

98

20000718

-주상절리가수직으로발달

-식물118종서식흑비둘기서식처

-해조류111종후박나무

제422호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67

20000718

-홍조식물자생신종해산생물서식

제423호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69

20000718

-침식에의한동굴해산식물풍부난대성해양동식물서식

합계

354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29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전국)lsquo06년부터rsquo18년까지바닷가불법이용사례적발

rarr공유수면관리청의꾸준한계도middot단속middot사법기관고발등의조치로

점차개선중

rarr불법사례의상당수가어민과영세상인들로관련되어

지도middot단속에어려움

닷가

등록

도입

등연

안관

리법

개정

(lsquo19 10월

양수

산부

)

구분

적발건수

개선건수

개선율

불법매립

1307

626

48

공유수면무단점middot사용

2013

1377

68

합계

3320

2003

603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0 -

5

도내

해양

의보

호구

역관

리강

화방

(제주)행정의무분별한해안가

개발사업관행으로제주미래가치에

반하는공유수면점middot사용허가

관행으로훼손된연안을복원추진

rarr김녕종달애월등미관저해

해안조형물및방치된시설물

철거및해양경관복원사업추진

공유수면

관리강화

방침

마련(lsquo167월

제주특별자치도)

《종달해안전망대복원전

∙후》

《해안초소복원전

∙후》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1 -

6

향후

추진

계획

안관

리법

개정

에따

른바

닷가

실태

조사

를통

한바

닷가

등록

제도

입(2

019 10월

양수

산부

)에따

른사

업추

유수

면관

리강

화방

침(2

016 7월

주특

별자

치도

)에따

라보

존과

이용

의조

화로

운해

안변

관리

-불

법시

설물

rarr 의

법조

치및

원상

회복

-경

관재

해시

설물

rarr 단

계적

철거

조치

전가

치가

있는

도내

연안

습지

에대

한관

리방

안마

련추

진-성

산포

및하

도리

철새

도래

지등

rarr 환

경부

에서

협조

를통

한람

사르

습지

등록

추진

양생

태계

보전

에기

반한

해양

공간

계획

도입

을통

해해

양생

태계

재해

를최

소화

하고

양공

간의

통합

관리

를이

행-

「해

양공

간법

」재

정에

따른

해양

공간

계획

수립

중(해

양수

산부

)

부의

제2차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기

본계

획에

따라

제주

지역

실정

에맞

는세

부실

천계

획수

립과

병행

하여

연안

습지

발굴

및보

호방

안강

구-

rsquo20년

해양

생태

계보

전middot관

리세

부실

천계

획수

립용

역추

진예

정(5

0백

만원

)-

해양

보호

구역

지정

의확

대방

안모

색rarr

주민

의견

수렴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2 -

경청해주셔서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3 -

제주도 연안습지의 관리 현황과 과제

- 양수남 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5 -

제주도 연안습지 관리현황과 과제

양수남middot제주환경운동연합 대안사회국장

제주도 연안습지 개요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이뤄진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와는 전혀 다른 지질적생태

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다 습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내륙습지의 경우 육지부와

달리 지반이 빌레용암으로 된 곳에 형성된 습지가 매우 많다 제주의 연안습지도

마찬가지이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발달된 연안습지는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을 비롯하여 남해안

과 동해안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다 제주도는 길이 253km의 해안선의

조간대 전부가 연안습지에 속한다

1975년 발효된 람사르 협약에서는 습지를 ldquo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물이 고여 있든 흐르든 그리고 땅을 덮고 있는 물이 민물이든 바닷물

이든 하구에서처럼 바닷물과 민물이 적당히 섞인 물(기수)이든 관계없이 소택지 습

원 또는 물로 된 지역rdquo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에서 연안습지는 썰물 때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도 습지로 정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연안까지 습지의 범위가 확장

되었다

1999년 제정된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를 ldquo밀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

계선으로부터 썰물 때 바닷물과 땅이 만나는 경계선까지rdquo로 규정한다 습지보전법

에서 말하는 연안습지는 해양학에서 정의하는 조간대와 일치한다 썰물 때 낮은 해

수면(간조선)과 밀물 때 높은 해수면(만조선)사이 지역으로 조석 간만의 차에 따라

주기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바닷가를 조간대라

고 한다

제주의 연안습지는 제주가 화산섬임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화산박물

관이다 제주화산섬의 대표적 상징물인 곶자왈과 오름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

서 식생으로 뒤덮여 원지형을 알기 어렵지만 연안습지는 용암이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급격하게 굳은 용암지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최고의

화산 학습장이라 할만하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6 -

또한 제주의 해안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안 빌레로 이루어진 해안 갯벌로 이루어

진 해안 사빈으로 이루어진 해안 등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고 그에 맞는 풍부한

생태적 다양성이 있다 이 바다에 삶을 기대어온 제주민의 어로 유적은 제주의 매

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하지만 제주의 연안은 그동안 해안도로 항포구 양식장

상업관광개발 군사기지(강정 해군기지) 등으로 인해 상당부분 파괴되었고 지금도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연안습지조사단을 구성하여 주목할 만한 도내 연

안습지 10여 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 조사결과를 토

대로 도내 연안습지 보전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도 미흡하나마 제시하려고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바다와 육지의 점이지대 해안사구

해안사구는 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다시 운반되어 해안선을 따라

평행하게 쌓인 모래 언덕이다 하지만 습지보전법에서는 연안습지의 범위에 해안사

구가 들어있지 않다 하지만 해안사구와 조간대는 연결된 생태계이고 끊임없이 조

간대와 상호교류를 하는 생태계로서 함께 보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해안사구는 조간대에서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

이 일어났을 때 모래를 다시 조간대로 되돌려 주는 모래 저장고이자 천연 제방역할

을 한다 사구 모래는 영양염류의 운반자 역할을 통해 해안생태계 영양 순환을 담

당하며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의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한다 바다-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middot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이다

이 글에서 해안사구에 지면을 많이 할애한 이유는 해안사구를 포함한 조간대와

인접한 해안숲 등의 점이지대 또는 완충지대의 중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공유수면

인 조간대에 비해 이 지대는 사유지가 많고 제도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무분

별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안습지는 현재의 법조항으로는 조간대에

한정되어 있어 이곳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안습지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이곳의 보전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안사구를 포함한 전

이지대의 보전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해양과 육상 환경의 점이지대이며 완충지대인 해안사구는 경관이 뛰어나고 육지

와 바다 사이의 퇴적물 교환에 의하여 사구와 해안의 평형을 유지하며 염수의 침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7 -

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식수원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한 개발압력이 높아 충분한 보전과 관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해안사구는 해안과 육지의 중간에 있는 곳으로 국내 실정 상 관리주체가 뚜

렷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은 먹이연쇄의 근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다 특히 초본식물은 모래땅을 피복하여 풍식에 의한 모래 이동을 방지하고 토

양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배후지를 보호하여 해안림의 유지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는 외부 영향에 대해 매우 민

감하게 반응하는 지역으로서 일시적인 교란에도 생물종의 감소 또는 소멸이 급속하

게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제주도 해안의 사구는 해안도로와 항포구 개발 관광시설

숙박시설 등으로 상당부분 훼손된 실정이다

해안사구에 대한 최근 연구는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2017 박진영 외)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무인도서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체 해

안사구의 면적은 약 504로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

(794)에서 약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절대적인 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로서 과거 135에서 현재는 238로 약 82에 해당

되는 1117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면 제주도의 사구는 마라도(03)면적의 37배가 사라졌

고 축구장 면적의 1354배의 사구가 사라진 것이다 엄청난 면적의 사구가 사라짐으

로써 소멸위기에 처해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일례로 전국 최대의 사구였던 제주 김

녕 사구는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신두리 사구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소형사구로

축소되어버렸다

우리나라 해안사구는 2001년 환경부에 의해 연안지역 사구 133개소가 목록화 되

었고 이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07년-2009년에 걸쳐 기존의 사구 분포현황을 재조

사하고 도서지역의 사구목록을 추가하여 전체 199개 사구의 목록이 보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서 제주는 총 14개 지점의 해안사구(이력관리사구) 지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이호 곽지 협재 하모 사계 표선

섭지코지 신양 하도 평대 월정 함덕 중문 김녕이다 물론 이 조사에서는 규모가

작은 해안사구 등 제주도 전체의 해안사구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특히 개별 사구별로는 과거 해안사구 면적이 가장 넓었던 곳은 제주도 김녕 사구

(398) 다음으로 신두리 사구(372)였으나 현재 가장 넓은 사구는 신두리 사구

로 371의 면적이 유지되고 있다 이것은 신두리 사구가 보호지역으로 보호받고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8 -

있는데 반해 김녕 사구의 경우 보호장치가 없고 개발이 이뤄지다보니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어 버린것이다

이처럼 해안사구를 감소하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개발 사업이었다 연구에서도 드

러났지만 해안사구의 인공구조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도로로

전체 사구의 약 80 이상에 해당되었다 해안사구는 주변의 산지보다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고 평평하기 때문에 도로를 건설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로를 건설함으로

써 해안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광객 주변의 농업시설 운영 등 편리함을 높일 수 있

기 때문에 다른 시설물에 비해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제주

도는 전 해안의 도로건설을 추진하고 있어서 해안사구와 조간대 파괴가 심각하다

이러한 해안도로는 제주의 조간대와 사구 지역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간대나

사구 지역에 해안도로가 개설될 경우 파도에너지가 바로 도로를 강타하게 되고 해

안가의 침식을 가속화 시킨다 해안가의 침식은 곧 해안 지형과 해안생태계의 파괴

와 연결된다 또한 사구가 있었을 때 해빈에서 날아온 모래가 이곳에 머물러 있다

가 풍향이 바뀌면 다시 해빈으로 날아가 해빈의 모래를 보충해주었다 그러나 사구

가 있었던 곳에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이 역할이 사라져버려 이러한 기능이 사라

짐으로써 해빈의 침식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미 김녕해수욕장 함덕해수욕장 등에

서는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지적공부상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의 소유 현황은 전체적으

로 국유지가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소유 24 공유지 17 순으로 나타

났다 지역별로는 국유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754)이다 사유지

(4)에 비해 높은 것이 다행이나 오히려 행정당국이 도로개발 등을 통해 사구를

감소시키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해안사구 내 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개발 여부 및 그 규모가 결정되므로 해안사

구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안사구 경계 내에서 설정된 용도지역은 분석결

과 전국적으로 도시지역이 18 관리지역1)

40 농림지역 1보전지역 2로 관

리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관리지역 이외 도시지역의 경우에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따라 건폐율 및 용적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안사구 관리를 위해 토지의 용도지역을 분석할 때는 세부적인 요소를 더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전관리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의 제한이 가

1)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lsquo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rsquo에 따라 도시middot군관리계획으로 결정middot고시된 지역이다 관리지역은 토지적성평가에 따라 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으로 세분하여 지정middot관리되고 건축 시 건폐율과 용적률에 차이가 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39 -

장 높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경우도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의 건축이

가능하므로 개발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해안사구 토지의 용도지역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지역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제주

도 부산광역시로 나타났다 경기도와 부산은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으로 연안지역의

토지까지 도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며 제주도는 중산간에 비해 해안

에 마을과 대규모의 관광지가 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도

의 해안사구는 도시지역 50 관리지역 176 보전지역 324였다

현재 해안사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천연기념물과 같이 사구 자

체가 보호지역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되고 있는 곳과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

호구역과 같이 해안사구가 포함되어 있는 일대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관리

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 경우 해안사구는 위 중 어느 곳에도 해당 안돼 개발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제주도당국에서 도내 해안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습지보호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이 시급한 이유이다

생태자연도 1 2등급에 해당되는 지역은 환경영향평가 개발의 인허가 시 검

토의 대상이 되므로 개발을 제한하여 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환

경부에서 지정관리하는 도내 14개의 사구 중에 생태자연도 2등급에 사계해안과

월정해안 신양해안이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해안사구는 환경부 지정(생태경관보전지

역 국립공원습지보호지역) 사구 32개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 사구 4개 해양수

산부 지정(해양보호구역) 2개로 해안사구 및 주변지역을 합쳐 38곳이 보호되고 있

다 그러므로 제주 해안사구에 있어서는 다음의 2가지가 해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 제정

제주도 습지보전조례가 있지만 해안사구는 포함 되지 않았다 연안습지의 범위 안

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법적 근거도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습지보전조례와

별도로 lsquo제주도 해안사구 보전 조례rsquo를 제정하여 해안사구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습지보전지역 또는 람사르습지 보전 지역 등 보호지역 지정돼야

현재 제주도에는 제주도가 지정한 습지보전지역과 람사르습지가 5곳이나 있지만 연

안습지는 한 곳도 없는 상태이다 도내 해안사구 중 특별하게 중요성이 확인된 해

안사구와 주변 연안습지에 대한 습지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 현재 충남 태안의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0 -

두웅습지가 해안사구로서는 유일하게 2002년에 환경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이후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인 것이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제주도 해안사구의 754가

국유지라는 것이다 비율로는 전국 최고이다 이것은 그만큼 해안 사구 보전 조례

제정이나 습지보전지역 지정을 할 경우 사유지에 비해 수월할 가능성이 있음을 뜻

한다 행정당국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1 순비기나무 대규모 군락

지 사계 해안

사계 해안에도 대규모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안가에 인접

해서는 순비기나무 대형군락지

가 있고 옆으로는 해송 등 해안

숲이 형성되어 있다 순비기나

무가 군락을 이룬 곳에는 갯메

꽃 통보리사초 애기달맞이꽃

등 수많은 염생식물이 함께 있

다 이곳에 순비기나무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사계해안

은 현재 제주도내 해안사구 중

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생태자연도 2등

급에 지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이곳의 해안사구는 행정당

국의 도로건설에 의해 절단된

상태이며 일부에는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늘에서 바라본 사계해안 사구가 도로에 의해 단절되

고 체육시설에 잠식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1 -

김녕~월정 해안은 전국 최대의 사구였으나 해안도로와 건축물로 면적이 많이 줄었다

(Daum지도 캡처)

2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던 김녕월정 해안 사구

김녕 마을을 중심으로 하는 행원리와 월정리 일대에는 소위 lsquo김녕 해안사구rsquo로 불

리는 사구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제주도 최대의 해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이다

김녕 사구(398)는 전국 사구 중에서도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이었으나 개발로 면적

이 줄면서 신두리 사구(3132)에 자리를 내준것뿐 아니라 환경부가 관리하던 대형

사구에서 소형사구로 면적이 쪼그라들고 말았다 해안도로 건축물 등 개발에 의한

결과이다

이 지역에서 특징적인 것은 해안사구가 파호이호이용암류의 현무암 암반을 두껍

게 피복하며 내륙으로 약 5km 이상을 혀 모양으로 침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처

물동굴을 비롯하여 김녕사굴 만장굴의 지표면을 덮고 있으며 이 주변의 경작은 모

두 해안사구 모래밭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월정 해안 사구도 환경부에서 생태

자연도 2등급에 해당한다

3 상록활엽수림으로 울창한 온평리 해안숲

온평리 해안은 사구지역은 아니지만 빌레용암 위에 해안숲이 형성된 특이한 지역

이다 온평리는 제주의 건국 신화가 깃든 마을이다 제주시내에 삼성혈은 건국시조

인 고양부 세 신인이 태어난 곳이고 온평리 해안은 이 세 신인과 결혼한 벽랑

국의 세 공주가 배를 타고 도착한 곳이다 세 공주는 오곡과 가축을 가지고 옴으로

써 탐라국이 시작된 것이다 온평리는 이러한 건국 신화 이외에도 중요한 가치를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2 -

지니고 있다 온평리 해안은 제주도 해안 마을 중 해안선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바닷

가의 방어유적인 환해장성이 도내에서 가장 잘 보전되어있는 곳이다 멸종위기식물

인 황근과 갯대추 자생지 군락도 이 해안을 따라 넓게 형성되어 있다

온평리해안은 특이하게도 해안사구에 숲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빌레용암 위에 숲이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개발과 농지 숙소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Daum지도 캡처)

온평리해안은 흐름이 빠른 파호이호이용암의 발달이 두드러져서 약 200m 너비의

매우 넓고 평평한 암반 조간대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선의 암반 조간대는 마치 빌

레와 같아서 까만색의 아스팔트 도로와도 같은 표면 모양을 하고 있다 조간대에는

육지에서 이어진 튜물러스 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에 염생식물뿐만 아니라

소나무 등 육상식물이 공존하고 있어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간대 내륙쪽 건너편은 사구는 아니지만 빌레용암이 굳은 용암대지 위에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인 해안숲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이곳은 이미 해안도

로가 들어서있고 그 주변으로 상가 숙박시설이 많이 들어와 있다 특히 만약 제2공

항 계획이 확정되면 이 해안숲도 개발될 우려가 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3 -

온평리 해안

숲을 포함한

온평리는 한국

내셔널트러스

트의 제 17회

lsquo이곳만은 꼭

지키자rsquo에서 내

셔널트러스트

대상을 수상했

을 정도로 전

국적으로도 인

정받았다 제주

도당국에서도

이제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도외시되고 있는 제주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

제주도의 연안습지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우리나라에서

지질학적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세계 지질공

원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연안습지의 지질학적 가치는 제대로 조명되고

있지 못하다 실제로도 2004년도에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한 lsquo제주도 해

안을 가다rsquo강순석)에서 제주 해안의 지질학적 조사가 이루어진 이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조사가 전혀 없었다 더욱이 제주 연안습지 중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곳들이

답압이나 행정당국의 개발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1 사계 해안의 젊은 화산의 발자취 하모리층

사계해안은 선사인들의 발자국이 발견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가까운 송

악산에서 분출한 젊은 용암 화산재가 쌓여 굳은 lsquo하모리층rsquo이 지면을 덮고 있는 곳

이기도 하다 이곳으로부터 사람발자국 화석 이외에도 조류 코끼리 소와 사슴 육

식동물 어류 무척추동물 게 식물 전복middot소라 등의 동물화석과 식물화석이 함께

발견됐다 후기 구석기 인류의 이동경로 연구를 비롯하여 고고학 고인류학 고생물

학 고생태학 분야 연구에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케냐 탄자

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등 현재까지 6개국에서 사람발자

국이 발견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송악산이 바다 속에서 폭발할 당시 이

해안은 화산재의 갯벌이 넓게 펼쳐진 해안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발자국 화

온평리의 용암대지 위에 형성된 해안숲 해안도로에 의해 일정부

분 단절되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4 -

석은 후기 신석

기에 있어서 사

슴 등을 사냥하

던 선사인들의

발자국으로 추

정된다 즉 하

모리층은 제주

도에서 가장 젊

은 지층이다 하

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수천

년 전 폭발한

젊은 화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발자국 화석지 외에 하모리층은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다 하모리층은 단

단하지 못해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침식된 모습이 참 특이한 지형이다 반면에 사

람들의 답압이 지속되면 파괴될 수밖에 없다 이곳에 대한 안내판이나 경계울타리

가 필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이미 하모리층에 접해서 사계리해안체육공원이 들어서

있는 등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튜물러스가 작은 다도해처럼 분포한 신창 해안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신창 해안 튜물러스가 해안에 산재해서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

다 (Daum지도 캡처)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는 사계해안의 하모리층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5 -

신창해안은 현재 싱계물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곳이다 조간대에 튜뮬러스(파호이

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서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굳어진 지형)

가 해안에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많이 형성되어 있는 특이한 곳이다 이러한 조간

대의 튜물러스는 바다의 수중 암초라고 할 수 있다 제주어로는 lsquo여rsquo라고 부른다 특

히 lsquo마리여rsquo 등대 일대의 해안선에는 여러 튜물러스들이 작은 섬과 같이 흩어져있어

작은 다도해를 연상시킨다 또한 해저는 모래이기 때문에 바위와 옥빛 바다가 어우

러진 환상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제주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해안 풍경이다 이 지

역은 예전에 주민들이 삼동낭모살왓이라 부르던 지역으로 70평 안팎의 소금밭 40개

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섬처럼 산재한 튜물러스에는 염생식물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상동낭

물 등 용천수가 풍부하여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기수역에는 많은 생물들이 살게 되고

이 생물을 먹으러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갯대추군지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색적인 풍광 때문에 싱계물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 때문에 옛 모습을

많이 잃었다 공원을 조성하기 전에 이미 해안도로에 의해 조간대가 단절되었다 보

전보다는 개발에 익숙한 행정당국의 토건정책의 산물이다 현재도 이 지역에는 계

속 시설물이 조성되거나 소규모의 매립이 일어나고 있다

멸종위기종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연안습지

현재 제주 연안습지의 멸종위기종 관리는 매우 부실하다 식물을 포함해서 타생물

들도 관리가 안 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불법도채에 매우 취약하고 개발로부

터도 방파제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려면 멸종위기종 개

체 자체에 대한 보호보다도 서식지 보존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언급할

갯게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갯게는 갈대를 먹고 사는 종이라서 갈

대밭의 존재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재 갈대밭은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여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기수지역 중에서도 한정된 곳에서

만 사는 기수갈고둥도 마찬가지이다

1 살기 불안한 세계적 멸종 위기종 동일리 해안의 lsquo갯게rsquo

갯게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해안의 초지대나 하구의 갈대밭 등에서 유기물과 갈

대를 먹고 산다 참게과로서 이 속에는 한 종만 있을 정도로 세계적 희귀종이다 개

체수가 워낙 적어 정확한 생식 양상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주요 서식처가 갯벌이

나 하구처럼 서식 위협도가 높은 지역이라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2012년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6 -

2015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에 의하면 문헌상 4곳이 서식지이지만 실

제 조사에서는 화북천 하류에서 5개체 동일리 해안에서 2개체만 나타났다고 서술

하고 있다 하지만 동일리 해안도 안전하지 못하다 종을 유지할 수 있는 개체수 자

체가 너무 적다 더욱이 도로개설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어 갯게의

서식지가 축소단절되어 있고 앞으로도 장담할 수 없다 또한 인근에서 지속적으

로 유입되는 하수와 쓰레기로 인해 서식지의 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리 갯게 서식지 크로바농장 위쪽 갈대밭이 서식지이다(Daum지도 캡처)

2 기수갈고둥

제주대학교가 2015년 전도 해안에 걸쳐 기수갈고둥 분포를 조사한 결과 옹포천 하

류 해안을 포함하여 외도동 도근천 외도동 외도천 하류 외도동 연대 해안 하귀 1

리 해안 화순 창고천 하류 서귀동 연외천(천지연) 하류 화북동 화북천 하류 강정

솔목천 하류 총 9곳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두 하천 하류에서 담수가

흐르거나 용천수가 흐르는 조간대지역이다 도내 대부분의 하천이 건천인데 이처럼

하류에서 물이 흐르는 곳은 적을 수 밖에 없고 그 하천 중에서도 일부분만 기수갈

고둥이 발견된다는건 서식조건이 그만큼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수갈고둥이 극도로 적게 발견되고 있는 이유는 매우 까다로운 서식 조건

때문이다 담수가 바다와 만나는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이 있

는 지역)이어야 하고 파도가 세지 않은 내만형 해안이어야 하며 해역수질기준 Ⅱ~

Ⅲ등급 수준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분포구간이 넓지 않고 매우 짧은 수

계에만 존재한다 유속이 빠르고 잔자갈이 깔려있는 하천의 기수지역에 서식해 국내

에서는 전라남도 보성 고성 경상남도 마산 거제 등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7 -

일부 발견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흐르는 하천이 매우 적은 제주도의 경우 보기 드물 수밖에 없다 기수

갈고둥은 일본 대만 및 중국에서만 보고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종으로 형태나 생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매우

적은 편이다 더욱이 하천정비 해안 개발 등 각종 개발과 수질오염 때문에 기수갈

고둥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주도당국은 기수갈고둥이 발견된 지점

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함께 서식지 주변에 개발행위 등 방해요인을 차단하는 등

의 관리가 있어야 한다

lt도내에서 발견된 기수갈고둥 서식지(출처 2016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

책 방안 보고서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gt

보호대책이 미흡한 염생식물 군락지

염생식물은 말 그대로 짠 바닷물에 적응하여 사는 식물이다 서남해안 갯벌의 상

부 지역에 염생식물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갯벌에는 퉁퉁마디 해홍나물 나문

재 칠면초 갯개미취 강피 갯는쟁이 등이 많이 생육하며 해안 염습지와 기수성

침수 지역에는 갈대 지채 세모고랭이 부들 등이 군락을 이룬다

또한 고운 모래가 섞인 습한 이토(泥土)가 있는 장소에서는 천일사초의 생육이 왕

성하며 사질 이토의 건조지대에서는 갯질경이가 잘 자란다 동해안에도 보리사초

갯메꽃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군락이 잘 자란다 제주의 연안습지에도 다양한 염생

식물이 자라고 있다 육지부와 다른 점은 용암이 흐른 지형 위에 자란다는 것이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8 -

염습지는 열대우림에 비해 5배나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

다 물론 이것은 염습지 식물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염생식물 군락이 중요한 이유

는 연안습지 생태계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염생식물 군락이 있는

연안습지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1 대규모의 염생식물 군락지를 형성한 용수 해안의 엄나물 일대 습지

이곳은 lsquo설해개rsquo란 용수해안이 연결된 곳이었으나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염습지

이다 엄나물과 조개물이란 용천수가 흘러 바닷물과 만나는 지점에 광활한 면적의

갈대숲 등 염습지가 이루어진 곳이다 갯질경이 순비기나무 등 염생식물 군락이 넓

게 퍼져있다 이곳은 옛날부터 조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조개밭이라 불렀다

조개밭 일대는 오래전 조개 장어 숭어 등이 풍부하여 감시인을 두고 아무나 잡

을 수 없도록 하였다가 백중 전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잡았다고 한다 또한 바닷

물을 막아 벼농사를 지었는데 1년에 70-80석을 수확하여 부자논이라고 불리어왔다

해방 후 수문을 만들고 제방을 쌓는 등 보완작업이 있었으나 폐답되어 버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엄나물 일대 습지(Daum지도 캡처)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암반 위에 바다 쪽과 육지 쪽에서 모아진 퇴적물들이 쌓여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염습지를 형성하고 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49 -

갈대밭 안에서는 그물 통발을 이용해 뱀장어 망둑류와 게 등을 잡고 있으며 영양

염류가 풍부한 갈대 군락은 백로 왜가리 도요류 등 각종 철새들이 찾아오고 있다

그리고 서부지역 최대 철새도래지인 용수저수지와 3Km도 안 떨어져 있어서 물새들

이 이 두 곳과 바닷가를 오가며 휴식과 채식을 번갈아 가며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현재 해안도로에 의해 단절된 상태라 물 흐름에 방해가 있고 엄나

물 일대 습지에 대해서도 개발행위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엄나물 일대에

카페 등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2 염생식물이 대규모로 분포하는 하귀 관전동 해안

관전동은 해안가에 있는 평평한 바위에 관에서 관장하던 염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소금밭 면적은 440평 정도였다고 한다 이곳은 동녘섬여 서녁섬여 안

볼락여 썩은여 등 수중 암초가 유난히 많으며 용출수가 풍부하여 다양한 생물상을

나타낸다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관전동 해안(Daum지도 캡처)

특히 겨울철에는 청둥오리의 집단서식장소로 확인되었다 특히 외도천 하류 옹포

천하류와 함께 이곳에서도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서식하고 있다 이곳의 해안 지

형을 잘 활용하여 통시원 무근원 멜사진원 새개원 등 많은 원담도 축조하였었다

지금도 남아있는 궤앞원은 자른 면 1미터 높이에 2미터 안팎으로 11미터의 원담

을 만들어 놓았는데 평평한 바닥돌 위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깔아놓았다 바위그늘

을 궤라고 하는데 그 앞에 있는 원이 있어서 이름을 붙였다 원 안에는 주로 숭어

들이 몰려들고 썰물에 원 안에 가둬진 숭어를 주로 작살로 쏘아 잡고 이외에도 멸

치 날치 문어 배도라치 등이 원담에서 어획되기도 했다고 한다 갯가 쪽에는 용출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0 -

량이 풍부한 거시린물이 솟는다 이런 담수의 생성으로 인해 염습지가 형성되고 천

일사초 지채 등 도내 해안에서도 보기 드문 염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관전동 해안은 도내 해안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지채와 천일사초가 군락을 이루

고 있는 지역이라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지역이다 이곳을 포함하여 천일사초 지채

등 점차 사라져가는 염생식물 군락들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행정당국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가치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lsquo물이 흐르는rsquo 하천 하류

하천하류는 연안습지와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제

주도의 하천은 건천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물이 흐르는 하천이 있는 하류는 특히 더

주목해야 한다 특히 용천수가 흘러나오는 제주의 하천하류는 바닷물과 만나면서

기수역을 형성하게 되고 여기에 수많은 생명이 모여든다 기수역은 어김없이 새들

이 많이 날아오는 천혜의 장소로서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다 다른 곳에는

서식하지 않는 기수갈고둥 등 멸종위기동식물이 분포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용천수가 흐르는 몇몇의 하천하류에서만 기수갈고둥이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므로 향후 물이 흐르는 하천 하류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요구된다

1 자연이 돌아오고 있는 옹포천하류 해안

옹포천하류와 옹포해안(Daum지도 캡처)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1 -

기수갈고둥은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만 분포하는 희귀생물이다 기수역

에만 분포할뿐만 아니라 서식면적도 매우 작고 물살이 센 곳에만 분포하는 까다로운

종이다 수질도 깨끗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수갈고둥의 분포는 하천 하류와 연안습지

의 생태적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올해 7월 16일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옹포천하류 해안을 조사한 결과 환경부가 lsquo멸

종위기 야생 동식물 보호 2급rsquo으로 지정한 기수갈고둥이 대량 번식하고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옹포천하류 폭 15미터 길이 50미터 구간에서 기수갈고둥 성체 300개

체와 산란된 수많은 알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의 의뢰로 제

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lsquo제주도 해안의 멸종위기동물 현황 조사 및 관리 대책 방안보고

서lsquo의 평균 30여 마리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하천정비사업으로 파괴

되었던 옹포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 사업으로 생태계가 살아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제주도에는 드물게 도래하는 구레나룻제비갈매기를 발견하였고 꼬

마물떼새가 번식하는 둥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옹포천하류의 끝인 옹포해안은 1년에 폭 25미터 길이 16의 임항도

로가 옹포천하류 해안을 가로질러 건설되면서 단절되었다 옹포천하류 또한 하천정

비사업으로 콘크리트화 되었다 하지만 이곳은 옹포천 상류에서 내려오는 담수와

밀물 시에 해수가 밀려와 만나는 기수역의 특성을 지닌 곳이라 어느 연안습지보다

도 생물상이 다양하다 이들을 먹기 위해 많은 새들이 날아온다

제주도의 하천정비는 제주하천의 특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도외의 강 하천정비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옹포천하류도 예전의 모습을 잃었었다 하지만 생태복

원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면서 옹포천도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적으로 개선되면

서 많은 생물들이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한 고향의 강

선도 사업에 제주시 한림 옹포천이 최종 선정되면서 2011년~2015년까지 생태하천

복원 수변 공간 조성 사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지금도 현장에 가보면 흰뺨검둥오

리황로백로갈매기왜가리 등 수많은 새가 이곳을 기점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옹포천의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의 하천정비의 방향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시사

해주고있다 연안습지 보전정책도 마찬가지이다 하천하류를 포함한 제주의 많은 연

안습지가 있는데 연안습지를 보전하려면 위 하천하류와 함께 연결하여 보전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2 -

2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류하는 몽돌이 깔린 외도 해안

외도 해안은

용천수와 해수

가 교차하는 기

수역이라는 특

성 때문에 다양

한 형태의 지형

이 존재하는 한

편 많은 동식물

이 서식하는 공

간이다 제주시

내의 상수원인

외도천 하류의

용천수와 도근

천에서 나오는

용천수가 해안

으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이곳은 제주 해안에서는 보기 드문 몽돌해안의 특징을 갖고 있어 희소가

치가 크다

크기와 색깔이 다양한 몽돌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외도해안은 외도천과 도근천으

로 회귀하는 은어와 뱀장어의 길목이기도 하다 외도해안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월

대가 있는데 월대교 아래 보 지역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소량으로 서식하고

있고 도근천 하류는 대규모 서식처이다 또한 이 두 하천이 만나는 하류는 수많은

새들이 먹이를 구하는 곳이다 각종 오리류와 가마우지 백로 왜가리가 이곳에서

먹이를 취한다 외도해안은 외도천 하류와 도근천 하류가 합쳐지는 기수역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유기적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철새도래지

1 저어새의 먹이터인 종달리 해안

종달리의 남쪽바닷가에는 파호이호이용암류가 바다 속까지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용암류의 상부를 신양리층이 일부 덮고 있다 성산일출봉에서 신양리에 이르는 해

변에는 누룩과 같이 황갈색을 띠는 누룩빌레라고 일컫는 암반이 펼쳐져 있다 이

퇴적암을 신양리층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부터 두문포(종달마을포구의 옛 이름)까지

해안선에는 과거 해수욕장 전면에서 형성된 사주의 형태가 남아있다

외도천과 도근천이 합수하여 외도해안으로 흘러간다(Daum지도 캡처)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3 -

과거 지미봉 주변의 해안지형은 현재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지

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였다 해안선 부근에서의 빠른

퇴적작용과 논으로 개발하기 위해 매립한 결과 현재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지형분

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종달리의 옛마을인 안카름일대에서 종달리 패총이 분포되

어 있는데 이는 지미봉과 종달 마을 사이에 과거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안선이었다

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종달 갯벌은 지미봉 동쪽 두문포에서 시흥리까지의 약 3km의 해안선 길이와 최

고 1km 이상의 폭으로 광대한 암초와 모래갯벌로 이루어진 조간대가 펼쳐지고 있

는 곳이다 조간대가 넓은 만큼 해양생물과 함께 이들을 먹이로 삼는 민물도요 등

도요류 청둥오리 등 오리류 백로류 가마우지 등의 조류가 많이 찾아오는 곳이다

도내에서도 규모가 큰 해빈이며 배후 곳곳에는 갈대밭 등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한때 있었던 논은 17년부터 근 12년 동안 대대적인 간척 공사로 수답을 만들어

염전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이 일대가 광범위한 갯벌 또는 습지지역이었음

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일대의 자연 생태적 특성을 이해한다면 오래전 제주의

갯벌에 대한 형태와 특성에 대한 원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곳은 수심이 낮은 암반위에 가는 모래가 많이 섞인 뻘이 발달하여 바지락과 각

종 고둥 등이 서식하기에 적당한 곳이어서 해산물을 채취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해

안선 쪽에는 우도지역에서 밀려온 지금까지 산호모래로 알려져 왔던 색이 흰 홍조

단괴의 흔적들이 쌓여있어 학술적으로 흥미로운 곳이기도 하다 1년 7월에 맞조

개잡이 체험어장으로 개장하였다 하지만 맛조개의 개체수 및 적정채취량 등에 대

한 사전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개방함으로써 결국 이 일대에서는 조개를 찾아보기

가 어렵게 됐고 결국 문을 닫았다

특히 종달리 해안이 중요한 이유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터이기 때문이다 하도리

와 오조리가 제주지역 최대의 철새도래지이지만 종달리 해안이 없고서는 중요한 철

새도래지가 될 수 없었다 종달해안은 새들이 먹이를 주로 먹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는 종달리해안의 생물상이 그만큼 풍부함을 의미한다

도요물떼새류로는 이동시기인 봄가을에 무리를 지어 채식하는 민물도요 흰목물떼

새를 볼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는 많은 기간 이곳 종 달

리 해안에서 채식한다 오조리해안과 하도리 양식장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밤을 보

낸 후 밀물과 썰물에 때를 맞춰 이곳으로 찾아와 먹이를 먹는다 2002년 3월 2일

에는 국제적 희귀종인 흑두루미 32마리가 이곳에 들르기도 했다 일본 큐슈에서

북상하다가 이곳에 중간 기착한 것이다 이처럼 이곳은 철새와 나그네새 텃새의 중

요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즉 하도리와 오조리의 새들을 보호하려한다면 종달리해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4 -

안은 그 연결

고리로서 함께

보호되어야 한

다 하도리와

오조리 철새도

래지를 포함하

여 먹이터인

종달리가 포함

되는 철새도래

지 보호벨트가

만들어져야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

종달리는 과거

의 모습과 비

교가 안 될 정

도로 변형되어

있다 해안도로

가 개설되면서

일단 해안사구

를 파괴하고

단절시켰고 해

안도로를 따라

콘도 카페 육상양식장이 들어서면서 생태계 및 경관훼손과 수질오염으로 종달갯벌

을 위협하고 있다

2 제주제2공항으로 위협받고 있는 동부지역 철새 벨트와 항공기의 안전성

제주도는 우리나라를 오가는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며 중간기착지다 공항 예

정지에서 3~8 떨어진 성산~남원 연안과 오조리 구좌읍 종달리middot하도리는 제주의

lsquo철새도래지 동부벨트rsquo를 이룬다 해마다 겨울에 3여종의 철새 3천~천 마리가 찾

아오는 하도리는 특별보호구역이다 계획대로라면 새떼가 출몰하는 곳에 공항이 들

어서는 셈이다

KEI가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의견을 보면

옛날 지미봉 주변은 모두 바다 속에 잠겨있는 해안 염습지

였다 (Daum지도 캡처)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5 -

ldquo생태보전 가치가 우수한 제주도의 주요

철새도래지들이 예정지 가까이 있으므로

항공기-조류 충돌을 막기 위한 국내외 안

전규정에 부합하지 않는다rdquo고 했다 환경부

는 이때 보완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그대

로 본안을 제출했다 한국공항공사가 사용

하는 방법(모델)으로 분석했더니 ldquo조류 충

돌 가능성이 적었다rdquo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KEI는 국토부가 사용한 방법이

문제라고 봤다 이미 건설돼 운영 중인 공

항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공항

내middot외부 반경 5 이내의 조류 서식과 충

돌 현황 등을 분석한 것인데 제2공항은 아

직 지어지지 않은 lsquo미래 공항rsquo이므로 이보

다 더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주장한다

KEI는 2003년 미국middot캐나다 조류충돌위원회가 내놓은 lsquo신규 공항 입지 평가를 위한

조류 충돌 위험성 평가 방법rsquo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을 적용하면 공항 예정지 평가

에서 주변 조류 현황과 함께 조류 이동 경로 예정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가능성 등

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게다가 5는 국토부가 정한 내부 고시에도 어긋난다

lsquo조류 및 야생생물 충돌 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rsquo에는 공항에서 13 주변에 대해

조류와 야생동물을 유인할 토지 이용이나 농작물 경작을 금지하고 있다 예정지 반

경 13 안에는 철새도래지 말고도 과수원 양돈장 사냥금지구역 양식장 등이 있

다 모두 새를 유인할 수 있는 시설들이며 버드스트라이크의 가능성을 높이는 장소

들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습지 해수면상승이 심화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승범 인하대학교 교

수가 발표한 lsquo우리나라 연안(제주)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원인 분석rsquo 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 제주지역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시 53 서귀포 375로 나타

났다 제주시는 국내 해수면 상승률 평균(2)보다 2배가량 높다 40년간 무려

22나 상승했다 해안가 마을의 침수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6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배가 높게 떠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피해는 더 커진

다 특히 산방산 용머리 해안 우도 외도 한림 애월 한림읍 옹포 등은 포구와 해

안 주변 도로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런 현상이 없

었다 항구나 어항에 방파제 등을 다 높여야 하고 이는 사회적 비용이 든다 해안도

로 드라이브를 하며 바다가 아닌 파쇄제의 벽을 보게 되었다 설치비용이 드는 것

은 물론 관광 경관까지 훼손되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침범하고 있는 외도 해안(20191114)

하지만 이러한 지구적 피해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매우 제한적이다 당

장에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매우 장기적이고 전세계적

인 움직임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우리가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해

수 침범이 이뤄지는 곳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해일 등의 피해 때 더 큰

인명재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문제되고 있는 곳이 포락지(浦落地)이다 포락지는 지적공

부에 등록된 토지가 물에 침식돼 수면 밑으로 잠긴 토지를 말한다 주로 해안에 위

치한 토지가 포락지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 침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있는 탓이다

포락지는 개인 소유라도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산권이 상

실된다 공유수면에 해당돼 국가 소유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행정기관으로부터 공

유수면 점용이나 사용 허가를 받아 해당 포락지를 매립해 토지를 조성할 수 있다

2015년 제주도의 포락지 전수조사에 따르면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가 바닷물에

잠기면서 공유수면이 되는 포락지(浦落地)가 도내에는 127곳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7 -

가 도내 포락지를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포락지는 127필지로 면적은 해당 필지

면적 가운데 16만 7천로 파악됐다 소유자는 국공유지 685 사유지는 315로

나타났다 사유지 토지주의 경우에는 매립 등 무단형질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

하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포락지는 더 늘어날

것이며 무단 형질변경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수시 점검과

함께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제주 연안습지 생태계 파괴제주도내의 해안에 산재한 육상양식장은 해양생태계 파괴와 오염을 일으켜왔다

육상양식장 건설과정에서 해안사구를 개발할 수밖에 없고 배출수로 건설과정에서도

조간대를 파괴시켰다 항생제와 어류 사료 찌꺼기가 포함된 배출수는 해양생태계와

오염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총 해안선의 길이가 약 253인 제주도 해안에서 현재 육상양식장은 총 387개소

(2018년 기준)이다 평균적으로 해안 1마다 1개 이상의 육상양식장이 분포하고 있

는 것이다 우리나라 육상양식장의 절반 이상이 제주도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

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

속 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식장의 밀집화에 의한 배출수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양식장 배출수에 기인한 오염물질은 저층에 누적되어 연안역의 수

질 및 서식환경의 변화로 수산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바라본 금등해안 해안에 육상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8 -

이러한 육상양식장으로 인한 영향은 전도 해안에 걸쳐있다 이뿐 아니라 더 문제

되는 것은 양식장 앞 조간대의 훼손 문제이다

제주환경운동

연합이 올해 금

등리 해안을 조

사하였을 때도

조간대의 불법

매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간

대에 흙과 돌을

이용하여 100미

터 이상의 길을

조 성 하 였 으 나

확인한 결과 인

근 마을에서 제

주도의 공유수

면매립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으로 매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제주

시에서는 불법 행위자에 대한 수사의뢰를 진행했다 비단 이곳만은 아닐 것이다 육

상 양식장 건설과정에서 불법적인 매립이나 개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문에 행정당국의 연안습지에 대한 개발행위 감시가 중요한 것이다

연안습지의 용천수군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해안변과 고지대의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 용천수는 지하의 지층 속을

흐르던 지하수가 지표와 연결된 지층이나 암석의 틈을 통해 솟아 나오는 지하수이

다 제주인들의 대부분은 용천수를 lsquo산물rsquo이라고 부른다 산물은 살아 샘솟는 물(용

천middot湧泉)이란 뜻이다

용출 위치가 멸실매립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용천수는 총 661개

소로서 200m 이하의 저지대에 전체의 907에 달하는 대부분의 용천수 600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중산간 지대에 36개소(55) 600m 이상의 고지대에도 25개소

(3)가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제주시에 395개소 서귀포시에 266개소의 용천

수가 있다

중산간 지역과 산간 지역은 해안 지역에서 멀어질수록 용천수의 분포 비율은 낮

아지고 그에 따라 마을이나 거기에 거주하는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즉 오늘날

금등리 해안 공유수면을 불법으로 매립한 장면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59 -

제주도 마을이 해안선을 따라 환상(環狀)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해안 용천수의 분포

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용출량도 마찬가

지이다 표고별로는

해발 200m 이하 용

천수 455곳의 용출

량이 하루 82만3천

로 많았고 그다음

이 조간대middot공유수면

(145곳middot39만7천)이

다 즉 연안습지에

용천수들이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음

을 뜻한다 특히 용

천수가 나오는 해안

지역은 기수역이 되

기 때문에 생태적

다양성이 풍부하다

이 때문에 용천수가 나오는 해안지역은 더 특별하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제주도는 올해 용천수가 대규모로 밀집된 조천읍 조천리에 지역의 역사middot문화적

콘텐츠가 가미된 용천수 역사탐방길을 조성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곳들은 용

천수와 연안습지를 연결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생태관광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

연안습지의 쓰레기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

2018년 제주지역 국가해안 쓰레기모니터링2) 결과 여전히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가 공

동으로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지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

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쓰레기로 인한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 파악을 통해 정책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지

난 2008년부터 시작된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은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으로써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이 주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40곳을 선정하여 2

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제주지역은 김녕리 덩개해안과 사계리 모래해변에서

각각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조천 연안습지의 용천수 군락 이 짧은 해안선에 20개 이상의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다(Daum지도 캡처)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0 -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부분이 페트병류

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되었다 외국기인쓰레기의 경우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의 쓰레기가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안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는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

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

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

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

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

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다

더욱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

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수립에

서부터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마련 교육과 홍보방안 등을 아름

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시행계

획을 수립middot이행하도록 했다 또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

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해양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

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

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 해양환경과

생태계 파괴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더 늦기 전에 제주도의 발 빠른 대

응이 필요하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1 -

나가며제주도의 연안습지를 보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아직도 미흡하다 조간대인

연안습지 자체는 개인이 개발할 수 없지만 행정당국에 의한 lsquo합법적인rsquo 개발이 문제

다 행정이 주도하는 항포구 개발 택지개발 해안도로 등으로 이미 연안습지의 상

당부분이 파괴되었다 또 하나는 연안습지의 범위 자체가 주로 공유수면에 제한되

다보니 공유수면과 붙어있는 해안사구 등 조간대와 연결된 점이지대완충지대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관건은 연안습지에 대한 행정당국의 개발행위를 재해상의 위험 등 꼭 필요한

것을 빼고는 최대한 줄여나가고 연안습지에 인접한 해안사구 등 점이지대 완충지

대에 대한 개발도 제도적으로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이다 해안사구의 경우 국유지

가 75 이상이기 때문에 해안사구 보전조례를 제정해서 국유지에 한해서라도 개발

행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제주도의 습지관리정책은 내륙습지 중심으로 크게 치우쳐 있다 내륙

습지와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이원화 된 문제도 있다 제주도 연안보전을 관

리하고 있는 부서에서도 공유수면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지만 연안습지를 관리하는

부서가 없다 그러므로 내륙습지와 함께 연안습지에 대한 보전정책을 확대해야 하

며 내륙습지에 치우친 습지보호지역도 연안습지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gt

제주의 해안습지 2003 제주연구원

제주도 해안을 가다 200$ 강순석

lsquo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연구rsquo 207 박진영 외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3 -

도외 지역의 연안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사례

-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학박사)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4 -

도외지역의연안습지보전과지속가능한활용사례

2019 12 4

김인철 순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연안과해양에대한여건및인식변화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5 -

bull 해양생태계 서식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수단인 해양 내 보호지역의 지정개소 및 면적은증가하고 있으나 CBD(생물다양성협약)의 권고수준에는 미달

rsquo20년까지 해양의 1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권고

lt표gt 국내 보호지역 중 해양의 면적 현황(rsquo18년 12월 기준)

해양생태계서식지보호현황

연안및해양의보호지역은총 82개소 967551이며 전체바다면적의 218 (rsquo18년 12월기준)

국내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국립공원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국립공원 + 해양보호구역(해수부) + 천연기념물등(문화재청)

(45)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6 -

순천만

2018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등재람사르 습지도시 인증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7 -

생태계보존지구 7738ha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갯벌습지보호지역(2003년 해양수산부) 람사르습지(2006년) 명승41호(2008년 문화재청) 순천동천하구습지보호지역(2015년 환경부) 생태계보존지구(2009년 773888ha 순천 도시관리계획변경 고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18년 순천시 전역)

생태축 보전관리 및 복원

bull 단절된 해양생태계 서식공간을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고유의기능과 역할 증진

bull 육상 하구 갯벌 연안 근해가통합적으로 관리되고 고유의해양생태계 특성 보전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8 -

순천만법적보호장치와토지이용계획

순천만습지 보전middot관리 및 지원사업 등에 관한 조례(20140409 제1430호)

bull 순천만습지관리계획의 수립(5년마다)과 습지보전사업

bull 주민지원사업bull 지속가능한 재정

순천만국가정원 및 순천만습지 수입의 10 기금 조성

순천만권역 주민참여 공모사업 추진(생태자원화 환경개선 인식증진)

순천만 갯벌에 의존해 서식하는 혹부리오리와 수면성 오리류 잠수성 오리류의 년간 변화추이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69 -

지속가능한 어업과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지속가능어업 인증제도 3원칙

1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수산자원의 남획과 고갈 방지 어업활동의 지속성

2 환경영향 최소화 생태계내 다른 종들과 서식지들이 건강하게 유지

3 효과적인 어업관리 법규준수 순응적 관리시스템

정리 순천만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습지의 현명한 이용 관리 보전 정책의 모범 사례

bull 순천만 생태축의 온전한 보전을 위해 연안습지와 내륙습지가 연결된 보호지역 지정

bull 내륙습지와 갯벌의 복원 추진

bull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와 민관거버넌스 체계 구축 안정적인 재원 등 제도적 장치 마련

bull 국내외 습지네트워크 구축 철새 습지연구 인식증진 람사르습지도시 등

순천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순천만의 환경수용력을 넘는 관광객과 습지 주변 관광지화에 대책 필요 기본계획(Master Plan)과지역별 보전 및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의 과정의 구조화

순천만의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생태문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인식증진프로그램

적정수준의 수자원관리로 지속가능한 어업 실현 변화하는 갯벌환경에 대한 순응적 관리시스템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주민 주도의 어업활동관리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0 -

봉암갯벌

bull 경남 창원시 봉암동 소재bull 창원천과 남천 합수부에 위치한기수역습지

봉암갯벌

봉암갯벌 습지보전계획 기본방향

bull 시민의 힘으로 지키고 가꿔온 갯벌(1999년~)

bull 봉암갯벌에서는 갯벌의 보전과 식생복원 생물비오톱 조성 주변 생태관광과 연계를 목적으로생태관리지원과 갯벌센터 활성화 및 교육시스템구축 그리고 시민참여형 보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1 -

시민 중심의 해양보호활동 사례

bull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정부-민간 협력프로그램(Monitoring Enterprise)을 운영하여 학생 스쿠버다이버 낚시객 등으로 구성된 시민과학자가 해양보호구역 모니터링을 진행

bull 일본 산호모니터링조사 및 환경부 조류 센서스조사 등은 일정수준 전문성을 갖춘 개인 및시민단체의 참여를 통한

bull 영국의 해양관련 공익단체인 MCS(Marine Conservation Society)는 지속가능수산물 운동을 전개하는국제 비영리단체로 어종별 자원량과 어획방식에 따라 총 5등급으로 구분하여 초록색(1등급)부터빨간색(5등급)으로 표시하는 lsquoGood Fish Guidersquo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지역 커뮤니티 협력 사업(Shared seas)

자원봉사 다이버를 통한 조사데이터 수집

각 어종의 지속가능등급 소개

가로림만

bull 해양생물보호구역 지정(2016년 7월 25일)

근거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해양생물보호(점박이물범의 서식지) 91237

bull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 충남도 2030년까지3430억 투입 추진

bull 유입 하천 오염 밀집한 양식장 다수의 인공 방조제건설로 수질악화 우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2 -

제주 남방큰돌고래시민 SNS에 과학이 팔로하다

남방큰돌고래는 연중 제주도 연안에 서식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해양활동과해양자원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 등을 규정한해양공간기본계획 수립

(sim2017) 경기만rarr(2018) 부산middot경남rarr(2019) 전남middot제주middot울산middot서남해안 EEZrarr(2020) 전북middot충남middot서해안 EEZ rarr (2021) 강원middot경북middot동해안 EEZ 등 단계별 해양공간계획 수립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3 -

경남 해양용도구역(안)

보호지역을활용한수산자원관리

(Roberts et al 2001 Science) 케네디우주센터주변은 1962년부터안전상의

이유로접근이제한되고어업이금지됨

보호지역내 주요어류평균수명과크기가크게

증가하였고단위노력당어획량 23~ 128배증가

보호지역주변으로자원흘러넘치는

효과(Spillover Effects) 확인

민어류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4 -

보호지역을 활용한 수산자원 관리

해양생물 산란장 및 성육장 역할[공원특별보존지구 지정 필요]

해양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외

상업적 어업 및 관광∙레저산업 지속성 보장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

- 75 -

요약 연안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법적 보호장치와 토지이용계획 해양공간계획 보호지역지정 지방정부 차원의 조례 마을단위의자율관리 재정마련

해양생태축의 보전과 관리 복원 서식지와생태계기반의보전과관리 경관유지 오염원유입차단및관리

인식증진활동 연안습지와 해양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책 홍보 및 주민의 참여를통한 인식증진 활동 지속적 전개 필요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원관리 자연자원과 생태계 서비스 어업활동 여가활동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주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체계

도시기본계획과 연계된 지역별 보전과 이용계획 수립 부서간 협력체계 구축

네트워크 해양생태계 관련 다양한 이슈 대응을 위한 조직 민관산학 거버넌스 국내외 네트워크와국제협력 중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