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9, No.4, April (2019), pp. 23-34 http://dx.doi.org/10.21742/AJMAHS.2019.04.03 ISSN: 2383-5281 AJMAHS Copyright 2019 HSST 23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운영 사례 김선희 요 약 본 논문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음악영역통합 음악과 다른 교과영역의 통합 음악과 예술영역의 통합 중 유아동작교육 교과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이해 및 적용을 목적으로 유아동작교육 실행연구 사례 를 제시하였다 유아동작교육 교재와 박사논문을 참고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안 을 구성하고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을 모의수업에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의 년제 유아교육과 학년 명 학생들로 주차 주차까지는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과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국가수준 교육과정 유아동작교육의 계획 및 운영을 이론 실기 워크숍 토의 및 토론을 통해서 지도하였다 주차 주차까지는 교사의 역할 예비유아교사들이 작성한 모 의수업계획안에 대하여 조언하고 조별 모의수업시연 및 자기평가 동료평가 프로그램평가 저널쓰기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를 진행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에 율 짝 체조 전통춤 세계 여러 나라의 춤 포크댄스 리본 춤 세탁기 되어보기 동물 걸음마 바다여 가을나무 등 창의적 신체표현 기본동작을 포함한 게임 등을 활용한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 학습방법을 유아동작교육 활동에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핵심어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 예비유아교사교육 유아동작교육 실행연구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 integration of music area, music and other subject area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hich refers to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extbooks and doctoral theses,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was composed and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was applied to the mock class. Participants were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yeonggi-do and 95 students in second grade. From the 3rd to 7th weeks, the teaching contents include the contents, teaching method, national level curriculum, planning, and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From the 9th to the 16th of the week, the teacher was Received (March 29, 2019), Review Result(April 8, 2019) Accepted(April 13, 2019), Published(April 30, 2019)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운영 사례journal.hsst.or.kr/DATA/pdf/44223_v9_4_3.pdf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pp. 23-34

http://dx.doi.org/10.21742/AJMAHS.2019.04.03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23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운영 사례

김선희1)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Sun-Hee Kim1)

요 약

본 논문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음악영역통합, 음악과 다른 교과영역의 통합, 음악과 예술영역의 통합 중 유아동작교육 교과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이해 및 적용을 목적으로 유아동작교육 실행연구 사례를 제시하였다. 유아동작교육 교재와 박사논문을 참고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안을 구성하고,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을 모의수업에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의 4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 95명 학생들로 3주차 ~ 7주차까지는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과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국가수준 교육과정, 유아동작교육의 계획 및 운영을 이론, 실기 워크숍,토의 및 토론을 통해서 지도하였다. 9주차 ~ 16주차까지는 교사의 역할, 예비유아교사들이 작성한 모의수업계획안에 대하여 조언하고, 조별 모의수업시연 및 자기평가, 동료평가, 프로그램평가, 저널쓰기,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를 진행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에 율동, 짝 체조, 전통춤, 세계 여러 나라의 춤, 포크댄스, 리본 춤, 세탁기 되어보기, 동물 걸음마, 바다여행, 가을나무 등 창의적 신체표현, 기본동작을 포함한 게임 등을 활용한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을 유아동작교육 활동에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핵심어: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 예비유아교사교육, 유아동작교육, 실행연구

Abstract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 integration of music area, music and other subject area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hich refers to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extbooks and doctoral theses,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was composed and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was applied to the mock class. Participants were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yeonggi-do and 95 students in second grade. From the 3rd to 7th weeks, the teaching contents include the contents, teaching method, national level curriculum, planning, and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From the 9th to the 16th of the week, the teacher was

Received (March 29, 2019), Review Result(April 8, 2019)

Accepted(April 13, 2019), Published(April 30, 2019)

1Associate Professor, 11458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dong University, Yangju-si,Gyeonggi-do, KoreaE-mail: [email protected]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24

advised about th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mock class plan prepared by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lass demonstration and self evaluation, peer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journal writing, organizing concept map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apply and evaluate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istic area integration in children 's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by means of writing plan and demonstration of mock class which includes rhythmic movement, paired gymnastics, traditional dancing, dancing in various countries, folk dancing, ribbon dancing, game based on basic movement, creative body expressions such as being a washing machine, animal toddlers, sea trips, autumn trees, etc.

Keywords: integration of music and art area, teaching metho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nstructional practice

1. 서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은 영유아가 자신의

친근한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 음악, 움직임과 춤, 모양과 색 등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또

래와 교사, 부모, 지역사회의 주민이나 작가가 표현한 예술작품을 가까이 접하면서 탐색하고 창의

적인 표현을 즐기며 감상하도록 하기 위한 영역이다[1-2].

음악과 움직임을 통하여 감수성을 키우는 것은 곧 음악적 능력과 동작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며, 음악적 및 동작능력의 발달은 유아로 하여금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

‘움직임과 춤 요소 탐색하기’, ‘음악으로 표현하기’, ‘움직임과 춤으로 표현하기’, ‘통합적으로 표현

하기’, ‘다양한 예술 감상하기’, ‘전통예술 감상하기’를 음악영역내의 통합, 음악과 예술영역과의 통

합, 음악과 타 교과영역과의 통합을 기초로 전인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

다[1-2].

유아동작교육은 동작의 구성요소 - 신체, 공간, 노력, 관계, 기본동작 유형 - 안정 동작(비이동 동

작), 이동 동작, 조작동작, 리듬 동작 - 손 유희, 율동, 체조, 표현 동작 - 신체표현, 창의적 신체표

현, 무용 ·춤, 동극, 응용동작 - 게임 등 다양한 동작활동을 통하여 영유아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계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3]. 그리고 유아동작교육의 목표는 다양한 동작활동을 통하

여 자신의 신체, 인지, 언어,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 . 정서, 심미적 감각, 창의 . 인성 등 모든 발달

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경험 및 체험을 통한 전인적 성장 . 발달을 도모하는 데 있다[1-3].

최근 문화예술교육의 동향은 음악, 동작, 문학, 연극, 미술, 만화, 영화와 같은 예술분야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예술을 통합시키는 교육과정들이 연구되어 왔고, 유아의 전인발달을 위한 발달에 적

합한 통합적 접근방법[4-5]이 포괄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융합교육[6], STEAM이 강조되었고,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디지털 기기의 활용,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의 활용 등이 유아교육현장에

서 적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과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음악과 예술영역의 통합[4, 7]은 음악 · 동작 개념과 요소의 이해를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 할 수 있겠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동요, 민요, 전래동요, 클래식 곡, 세계 여러 나라의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기초로 하여, 손 유희, 율동, 체조, 춤, 무용, 포크댄스 등 음악 감상하기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25

신체표현하기의 리듬 동작 활동과 표현 동작 활동의 통합적 활동과 그림책, 동화책, 동시 및 동요,

동극 등 다양한 수단을 함께 활용하는 체계적인 음악과 움직임 통합 유아동작교육 교육과정은 영·

유아뿐만 아니라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들 모두에게 필요하고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의 유아동작활동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발표 및 평가하기, 저널쓰기,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분석에 기초한 실행연구를 통하여 예비유

아교사의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무

엇인가? 셋째,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의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활용은 어떠한가? 이다.

2. 연구방법

2.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예비교사 95명을 대상으로 2017년

2학기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수업에서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의 통합적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을 이해하고,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을 통한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예비교사교육을 진행한 과정, 모의수업계획안, 조별 모의수업평가표, 저널쓰기, 유아

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 등의 내용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2.2 연구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유아동작교육 관련 교재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2017

년 6월부터 2017년 8월까지 김선희[4], 김성재[8], 신한나[9], 이은희[10]의 박사논문을 참고하여 연

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유아동작교육 교육과정 중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구성

하고,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수업계획서는 [표 1]과 같다. 그리고 영유아

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을 [표 2]와 같이 범주화하여 사용하였고, [표 3]

과 같이 모의수업 평가를 위한 범주화를 구성하였으며 유아동작교육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3 연구 절차

본 논문의 연구 기간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12월 말까지로, 첫째, 유아동작교육 교재, 음악

및 동작교육 관련 논문 등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토대구축, 둘째,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안 사례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셋째, 사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안 구성, 넷째, 음

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 분석 및 개발 다섯째, 개발된 음악과 예술통합 유아동작교육 프로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26

그램 16주 수업 진행, 여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피드백, 일곱째, 모의수업

시연 발표 분석 및 평가하기, 여덟째, 저널쓰기와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의 내용 분석 처

리로 진행하였다.

[표 1] 유아동작교육 수업계획서

[Table 1] A class plan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수 업 계 획 서

교과목 명 유아동작교육 이수구분:

전공 선택

학점 2

시간 이론(2), 실기(0)

교과목표

유아동작교육 교과목은 영유아기에 필요한 동작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동

작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 본 후, 영유아기의 발달과 동작교육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

고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필요한 동작교육의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알고 활용 및 적용하여 동작활동

의 기초를 다지고, 동작활동의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 실제적 동작교육의 지도능력을 키움으로써 영유

아교사로서의 동작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교재 영유아동작교육 (김지영, 황혜경, 이영애, 김선희, 성연승, 양서원, 2013)

참고도서영유아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은심, 창지사, 2016)

영유아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오연주, 김혜옥, 이경실, 권명희, 창지사, 2017)

평가 절대평가 - 출석(2%), 과제(10%), 중간고사(20%), 기말고사(30%), 기타(모의수업: 20%)

주차 별 강 의 내 용 수업방법 수업자료 및 특기사항

1 오리엔테이션: 강의 소개강의

수업계획서 참조

요구도 설문조사

2 유아동작교육의 이해: 개념, 필요성 및 목적 교재 1장 1절 & 3절

3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 강의, 실기,

토의 및 토론,

워크숍

교재 1장 4절, 3장

4유아교육과정과 동작교육

유아동작교육의 계획 및 운영교재 4장, 8장 1~2절

5 유아동작교육의 역사 강의, 발표,

토의 및 토론,

워크숍

교재 1장 2절

6 유아의 발달특성과 동작교육 교재 2장

7 유아동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교재 6장

8 중간고사중간고사

지필고사중간고사

9

유아동작교육을 위한 환경(환경오염, 쓰레기 분리수

거, 미세먼지 등 환경교육), 유아동작교육을 위한 교

사의 역할

강의

조별 모의수업계획안 제출1

10/23~10.25

교재 5장, 7장

10 유아동작교육 평가

조별 모의수업계획안 피드백 받기

강의, 토의 및 토론,

워크숍

교재 8장 3절

조별 모의수업계획안 제출 및

피드백 받기

11 모의수업 시연 발표 1 실기, 발표, 강의

12 모의수업 시연 발표 2 실기, 발표, 강의

13 모의수업 시연 발표 3 실기, 발표, 강의

14 종합토론 및 총 평가 강의, 워크숍조별 모의수업 평가표 제출,

최종 모의수업계획안 제출

보강주간 보강주간 보강주간 보강주간

15 기말고사 기말고사기말고사: 오픈 북 -

개념망짜기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27

[표 2]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Table 2]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유아동작교육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영유아를 위한 동작활동

동작의 구성요소 : 신체, 공간, 노력, 관계 강의, 토의 및 토론

기본 동작 유형: 안정 동작(비 이동 동작), 이동 동작, 조작동작

강의, 토의 및 토론, 실기&워크숍; 동요, 행진곡, 춤곡, 클래식 곡 등의 음악을 감상하며 기본 동작 이해하기;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

리듬 동작: 손 유희, 율동, 체조

강의, 토의 및 토론, 실기&워크숍; 동요 곡, 율동 곡, 체조 곡 등을 피아노 연주 또는 유투브 동영상, 음원 등을 활용하여 리듬 동작 이해하기;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 ; 음악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방법

표현 동작: 신체표현, 창의적 신체표현, 무용, 춤, 동극, 음악극

강의, 토의 및 토론, 실기&워크숍; 그림 책 또는 동화책, 동요 곡, 신체표현 곡, 무용 곡, 춤곡 등을 피아노 연주 또는 유투브 동영상, 음원, ppt동화 등을 활용하여 표현 동작 이해하기 ; 음악과 문학 통합 교수학습방법;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 음악과 미술 통합 교수학습방법

응용동작: 게임

강의, 토의 및 토론, 실기&워크숍; 동요, 행진곡, 춤곡, 클래식 곡 등의 음악을 들으며 음악&움직임 게임 또는 체육활동 게임 이해하기;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과 동작교육

표준보육과정과 동작교육강의, 토의 및 토론

누리과정과 동작교육

유아동작교육의 계획 및 운영 강의, 실기 & 워크

영유아를 위한 동작교육 이론

유아동작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강의, 토의 및 토론, 워크숍

유아동작교육의 역사 강의, 발표

발달특성과 동작교육 강의, 발표

교사의 역할 및 환경구성 강의, 발표, 토의 및 토론

유아동작교육을 위한 평가 강의, 발표, 토의 및 토론, 워크숍

모의수업

모의수업계획안 작성하기 및 피드백 받기 강의, 실기 & 워크숍

모의수업계획안 시연 발표 및 평가하기 발표, 실기, 토의 및 토론,강의, 워크숍

저널쓰기 강의, 실기 & 워크숍

총정리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 강의, 실기 & 워크숍

[표 3] 모의수업 평가표

[Table 3] An evaluation table of mock class

관찰대상

활동 명

수 업 내 용

(주제와의 관련 내용의 충실도)

상호작용 · 태도

(유아와의 반응)

교사의 역할

(언어ㆍ복장ㆍ배치)준 비 물

교수학습

방법 유형

평점

(1~5점)

■ 평점 : 1. 아주못함 2. 못함 3. 보통 4. 잘함 5. 아주잘함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28

2.4. 자료 처리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사례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시연 평가하기, 저널쓰

기, 영유아동작교육의 개념 망 구성을 음악과 예술통합영역의 교수학습방법의 교육활동 유형별 범

주로 내용분석 처리 한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3. 연구 결과

3.1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 결과

수집한 강의(수업)계획서 10부와 문헌연구의 유아동작교육 교재 10권의 공통된 교육내용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동작교육은 유아기 동작교육의 중요성, 특성,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이론적 기초 학

습, 교사의 역할, 동작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유아발달과 동작교육의 이해, 동작교육의 실제적 활동

계획, 실습, 평가를 통한 교사로서의 전문적 자질 및 교수능력 갖추기, 유아동작활동계획안 작성

및 발표, 창의적인 동작활동,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음악을 활용한 동작으로 표현하기)이 대부분

공통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특히, 예비교사들의 저널쓰기를 살펴보면, 동작의 요소 개념들, 춤(무

용), 체조, 게임, 창의적 신체표현, 음악과 동작교육에 관련된 모든 교육내용을 지도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대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동작의 요소, 음악의 요소에서 중복되는 여러 가지 개념들에 대해서 탐색해 보고 이런 건 될 수 있을

것 같고, 예를 들면 음악에서도 템포에 관련된 활동으로 몸 움직이기를 더 빠른 음악, 천천히 하는 음

악을 했다면 동작에서 연계가 되는 거고, 동작교육에선 실제적으로 아이들하고 해볼 수 있는걸 많이

가르쳐야해요. 기본동작에서 스텝의 원칙도 해보고 리듬동작은 구조적인 동작, 율동을 어떻게 해야 되

는지 기본적으로 알 수 있는 율동, 재미있고 신나는 율동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2017년 11월 27일 -

"리듬은 시간요소로 빠르게, 느리게 표현해 보고. 기본동작요소와 신체표현, 창의적 신체표현으로 기본

동작을 선정하고 공간, 시간 등을 변형시킨 활동을 구성하려해요....... 예를 들어 동요를 선정한다든지

꿀벌의 여행에서 시간,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 꿀벌의 움직임, 빠르기에 따른 꿀벌의 창의적 신체표현

등을 내용으로 동작을 만들어 모의수업을 준비하려 한다.”

- 2017년 11월 23일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29

3.2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결과

수집한 강의(수업)계획서와 문헌연구의 유아동작교육 교재의 공통된 교수학습방법 결과를 살펴

보면, 유아동작교육은 강의, 실기, 실습, 실기 중심 워크숍, 모의수업 시연 발표 및 평가, 음악과 움

직임(신체표현) 통합 교수학습방법이 공통적이었고, 그 외에 이론, 토의 및 토론, 개념적 접근방법

의 방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저널쓰기를 살펴보면, 동작의 구성 요

소들, 기본동작의 개념적 접근방법 활용, 다양한 세계 여러 나라의 춤, 우리나라의 전통 춤, 체육활

동 게임, 창의적 신체표현으로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을, 동요 및 율동 곡, 클래식 및

춤곡 등과 그림책 및 동화책 등 문학작품과 미술을 활용한 음악과 예술통합 교수학습방법으로 지

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에 대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한 가지 동작개념을 중심으로 이끌어주는 수업. 신체의 부분, 신체의 전체, 신체의 모양 등 개념적 접

근방법으로 한 가지 개념을 정해서 수업을 이끌어 가야지 좋다. 유아들에게 신체, 공간, 시간, 힘, 흐

름, 관계의 동작의 구성요소를 한 개념씩 지도하도록 계획하려 합니다.”

- 2017년 12월 5일 -

" 동작교육의 기본동작 중 이동 동작은 걷는 것부터 시작해서 달리고, 말처럼 뛰고, 한 발 들고 뛰기,

두 발 모아 뛰기, 미끄러지기까지 시간의 구성요소에 리듬과 속도를 느끼면서 몸으로, 음악을 들으면

서 표현할 수 있어서 재미있었다.”

- 2017년 12월 3일 -

3.3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활용 결과

유아음악과 동작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법에는 음악영역의 통합, 음악과 예술영역의 통합, 음악

과 다른 교과영역의 통합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 중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에는 음악, 움직임, 미

술, 문학 등이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방법이다. 특히, 유아동작교육은 음악과 움직임(Music

& Movement) 활동의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이해한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

법을 모의수업계획안에 잘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공통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예비교사의 저널쓰기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유아음악교육과 유아동작교육 두 가지를 잘‘통합’해야 좋은 거 같아요. 교수님이 강조해 주셨던

Music & Movement를 유아들에게도 많이많이 적용하고 싶어졌어요. 멋쟁이 토마토, 그대로 멈춰라, 안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30

마합시다, 우리 모두 다 함께, 우리 집에 왜 왔니, 엄마와 함께.......지금도 율동했던 거 신나게 했던 거

기억나요....... 탈춤도 배워봤고, 핀란드 포크댄스도 다 같이 음악과 함께 신나게 춤췄고, 꼭두각시 춤,

짝 체조, 리본 춤, 한삼춤, 동물도 표현해보고.......훌라춤이랑 세탁기 신체표현에서 작은 거품 했던 거

재미있었어요. 교사가 되어서 음악과 동작을 꼭“통합”해서 유아들을 지도할 것 같아요.”

- 2017년 12월 7일 -

3.4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 교수학습방법의 유아동작교육을 위한 활동유형 결과

수집한 수업계획서, 유아동작교육 교재, 석·박사논문의 문헌연구, 유아동작교육 교과 수업을 위

한 개발된 15주 수업계획안, 그리고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피드백과 저널쓰기의 내용분석 결과

인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유아동작교육을 [그림 1] 에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선정 및 브레인스토밍

동작의 구성요소 및 기본동작 유형 선정 : 신체, 공간, 노력, 관계 / 안정·이동·조작 동작

<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 >

리듬 동작 활동 표현 동작 활동 응용 동작 활동

손 유희, 율동, 체조신체표현, 창의적 신체표현, 춤&무용,

동극, 뮤지컬게임 활동

음률활동 체조활동창의적 표현활동

극 활동 체육활동 리듬활동

음악과 움직임 통합 음악, 움직임, 문학, 미술 통합 음악, 움직임 통합

음악, 움직임, 미술, 만화, 기술 통합

모의수업계획안 작성 및 피드백

모의수업 시연 발표 및 평가하기 저널쓰기,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

[그림 1] 음악과 예술통합 유아동작교육 모형

[Fig. 1 ] A model for children's movement education that integrates music and arts area

위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었던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유아를 위한 동작교육 모의수업계획안 중

음악과 움직임 통합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모의수업계획안 사례를 [표 4]에 제시하였다.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31

[표 4] 모의수업계획안 사례

[Table 4] An examples of Mock Lesson Plan

생활주제 교통기관 활동연령 만 4세주 제 안전한 놀이와 생활 활동형태 게임, 율동

활 동 명 몸으로 표현하는교통 표지판 교육과정관련요소

·의사소통>말하기>느낌 . 생각 . 경험 말하기·신체운동·건강>신체인식하기>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사회관계>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

활동목표-교통안전규칙에 관심을 가져본다.-교통표지판을 지켜본다.-신체를 활용하여 게임을 해본다.

활동자료 우리 동네에서 볼 수 있는 도로교통 표지판 (과속방지턱, 미끄러운 도로, 천천히, 정지 )음원-건너가는 길

활동전개과정및 소요시간

동작의구성 요소 활동유형 교수-학습내용

도입(7분)

신체-신체 부분공간-장소,방향시간-속도흐름-연속흐름

율동,

이동동작,

비 이동동작

- ‘건너가는 길’ 율동을 배워본다.T:우리 지난주에 건너가는 길 동요를 배웠지요? 이번시간에는 율동을 해볼 거예요. T:건너가는 길을 건널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C: 진짜로 걸어요. T: 안돼요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C: 손으로 X모양을 만들어요. - 중략 -T:그럼 처음부터 해보아요.(음원에 맞추어 신나게 표현한다.)-교통 표지판을 직접 몸으로 표현해본다.T: 어제 여러 가지 교통표지판을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교통표지판을 보고 몸으로 표현해 보려고 해요. T:(과속방지턱 표지판을 제시하면서) 자동차가 방지턱을 넘는 모습을 어떤 동작으로 표현해볼 수 있을까요? C:점프해요. T: 점프해볼까요?T:(미끄러운 도로 표지판을 제시하면서) 이 표지판을 보면 자동차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나요? C:미끄러져요.T:자동차가 미끄러지고 있죠? 미끄러운 동작을 몸으로 표현해볼까요?C:(슬라이딩 동작을 한다.)T:(정지 표지판을 제시하면서)어, 이 표지판은 아까 무엇이라고 했죠?C:정지요. T:그럼 우리도 제자리에서 걷다가 선생님이 정지를 외치면 정지를 신체로 표현해볼까요? - 중략 -

전개(10분)

신체 – 신체전체. 신체활동관계 – 다른 사람공간 – 장소, 방향, 경로시간 – 속도흐름 – 연속흐름, 한정흐름

게임,

신체표현,

이동동작,

비 이동동작

- 친구들과 함께 교통표지판을 보며 게임을 한다.T:그럼 우리 교통 표지판으로 보고 아까처럼 몸으로 표현해보는 게임을 해볼 거예요. 게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줄게요. 잘 들어봐요? -중략 -T: 출발한 곳에 도착하면 다음 친구가 이어서 똑같이 하는 거예요. 그리고 모든 친구가 먼저 도착한 팀이 이기는 거예요. C:네. T:그럼 게임을 시작해보아요. C:(게임을 한다.)T:○○팀과 ○○이 대결한 결과, ○○팀이 이기게 되었어요. 하지만 우리 두팀 모두 다 잘 표현해준 것 같아서 선생님이 칭찬해주고 싶어요. 모두 신체 표현도 게임도 잘 했어요. C: 박수 ~~~~~

마무리(3분)

- 표지판 게임을 한 후 느낌에 대해 말해본다.T:표지판을 활용한 게임을 해보니깐 어땠어요?C:재미있어요. T:어떤 점이 재미있었어요?C:게임을 통해 표지판에 대해 더욱더 알게 돼서 재미있었어요.

평 가 - 활동 시 자신의 신체표현 뿐 아니라 다른 친구들의 신체표현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한다.- 활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 활동을 진행하여 유아들이 보다 안전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32

3.5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 결과

본 논문의 연구문제 3이었던 음악과 예술영역 통합의 교수학습방법 적용 및 활용은 어떠한가?

에 대해서 기말고사에 유아동작교육의 개념 망 구성을 지필고사로 진행하였고, 전체 유아동작교육

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실제 및 모의수업 관련 내용들 모두 예비유아교사들이 이해한 내용

으로 개념 망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대체로 음악과 예술통합 교수학습방법 관련 내용들은 실기

및 실제 수업 내용으로 또는 모의수업관련 내용으로 영유아를 위한 동작활동 명 또는 동작활동 유

형으로 정리하여 제시해 주었다. [그림 2]에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2]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

[Fig. 2] A concept map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Vol.9, No.4, April (2019)

ISSN: 2383-5281 AJMAHSCopyright ⓒ 2019 HSST 33

4. 결 론

본 논문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동작교육 교과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이해 및 적용을 목적으

로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을 실기 및 모의수업계획안과 모의수업 시연 발표 및 평가하

기에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내용 분석 결과로 제시한 유아동작교육 실행연구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유아동작교육의 교육내용 즉, 동작의 구성 요소, 안정 동작(비 이동) ·이동 동작 · 조작 동작의

기본동작 유형 3가지를 바탕으로 율동, 체조의 리듬 동작활동, 신체표현, 창의적 신체표현, 춤, 동

극의 표현 동작활동, 응용 동작활동의 게임 활동까지 음악과 움직임(Music & Movement) 활동이

중심이 되어 음악, 움직임, 미술, 문학, 나아가 만화 및 기술에 이르기까지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

수학습방법이 적용 및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동작교육 모의수업계획안을 작성하고,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

을 모의수업에 적용 및 활용하여 운영하였으며, 이를 모의수업 평가표에 제시하고, 자기평가, 동료

평가, 프로그램 평가, 저널쓰기 및 유아동작교육 개념 망 구성하기까지 이론 및 실제를 잘 이해하

고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준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과 예술영역통합 교수학습방법을 적용 및 활용한 모의수업 시연 및 발표 사례로는 건너가

는 길 율동, 유아 체조, 태권도 체조, 탈춤, 꼭두각시 춤, 한삼 춤 등의 전통춤, 훌라 춤, 리본 춤,

캉캉 춤, 삼바 춤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춤, 핀란드 춤, 미국 폴카 춤, 스페인 집시 춤 등의 포크댄

스, 창의적 신체표현으로 세탁기 되어보기, 바다여행, 가을나무, 신체표현으로 동물 걸음마, 동물의

움직임, 기본동작과 체육활동을 포함한 탱탱 볼을 옮겨라, 분리수거로 지구를 지켜요, 흔들, 말 뛰

기 등 게임 활동 등을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에 활용하여 유아동작교육 활동에 적용

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이에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동작의 구성요소, 기본동작의 유형, 리듬동작, 표현 동작, 응용동작

의 유아동작교육 교육내용지식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이해하고

모의수업에 적용하여 모의수업계획안을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유아음악교육 교과에서 배웠던 음악

과 예술영역통합 접근방법을 유아동작교육 교과에 활용할 수 있고 확장시킬 수 있다. 넷째,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방법 중 음악과 움직임(Music & Movement) 통합의 율동, 체조, 춤, 신체

표현, 창의적 신체표현, 게임 등 다양한 활동을 이론 및 워크숍 실제, 모의수업 시연으로 즐겁게

체험할 수 있다. 다섯째, 개념 망(concept map) 구성하기를 통한 음악과 예술영역통합의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 및 적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이론, 워크숍, 모의수업계획안 작성하기 및 시연,

저널쓰기,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 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 개념 망 구성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동작교육 교과목 지도 시 담당교수들은 수업계획서 구성, 세부수업계획서 작성,

A Case Study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using Teaching Method of Music and Arts Area Integration

Copyright ⓒ 2019 HSST34

예비유아교사교육 실행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적용방법, 평가방법, 교수내용지식 및 교수학습방

법 활용, 나아가 유아동작교육 학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의 밑거름이 될 수 있

겠다. 나아가 음악과 움직임 통합 중심 교수학습방법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움직임, 문학, 미

술 통합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예비유아동작 교사교육 및 현직유아동작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

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References

[1] Teacher's Guide of Age Course Nuri curriculum for 3-5 years old children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2013).

[2] Kindergarte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Korea (2007).

[3] J. Y. Kim, H. K. Hwang, Y. A. Lee, S. H. Kim, Y. S. Seong (2013).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Gyeong-Gi: Yangseowon.

[4] S. H. Kim.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Model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eoul Women's University Doctorial thesis, Seoul (2008).

[5] E. A. IM. The Effect of Integrated Music Educational Program on Preschooller's Musical Inteligence. Yeungnam University Doctorial thesis, Daegu (2008).

[6] J. J. Choi.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Fusion Art Education Program. Proceedings of the 45th Summer Symposium of Korea Music Educators Society, (2014) August 12-13; Seoul, Korea.

[7] Y. Y. Kim, Edit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kjisa, Seoul (2002).

[8] S. J. Kim. The effects of movement educational activity integrated with developomental games and educational gymnastics. Doctoral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7)

[9] H. N. Shin. The effects of movement educational program with korean traditional dancw on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011).

[10] E. H. Le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ncept of movement. Doctoral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