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目 次

�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 실제

�아∙태 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이연호∙ 35

녹색성장론의 정치경제적 등장원인과 이론적 문제

�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남궁곤∙이서 ∙ 61

「상호안전보장법안(Mutual Security Act)」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박 준∙ 85

『문명론지개략』(1875)에서『새로운 중세』(1997)까지

�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이상신∙장희경∙109

중국 국가이미지의 결정요인 연구

�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서승원∙133

관료정치화, 파벌정치, 그리고 친중국 연합전선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남근우∙159

민족, 조국 귀속성, 현실의‘3중 경계문화정체성’을 중심으로

�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이옥연∙189

�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박선희∙213

�[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인남식∙237

�부 록 ∙255

Page 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과실제*

고 봉 준

(충남 학교)

【한 초록】

이 연구는 비확산 국제정치의 향후 전개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관련된 이론적 관점을

비교∙검토하고 보다 효과적인 비확산 정책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선행 연구들의 논의는 비확산 국제정치의 구조를 파악하고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을

적절히 다루는데 한계가 있음을 드러낸다. 이 연구는 기존 논의의 한계를 종합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안으로서 네트워크적 관점의 도입을 주장하고, 복합비

확산네트워크(complex network of non-proliferation)의 구축을 전망한다. 현 비확

산 네트워크상에서 한국이 구조적 공백을 활용하여 중개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의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서론

Ⅱ. 핵확산과 비핵화: 이론과 처방

1. 안보 모델과 비확산

2. 국내정치 모델과 비확산

3. 규범 모델과 비확산

4. 비확산 국제 레짐

Ⅲ. 네트워크 이론과 비확산 국제정치

1.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

2. 위치권력, 구조적 공백, 중개자

3. ANT와 네트워킹 전략

Ⅳ. 비확산 국제정치의 네트워크 이론적

이해

1. 핵무기와 번역: 핵군축

2. 핵무기와 번역: 확장억지

3. 핵의 평화적 이용과 번역

4. 더욱 난해한 번역: 북한과 이란

Ⅴ. 결론 및 제언

∙주제어: 네트워크 세계정치, 비확산, 사회-네트워크 이론, 중개자, 구조적 공백,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번역, network politics, non-proliferation, social-network theory, broker, structural hole, actor-network theory,translation

� 차 례 �

�본 논문은 2011년도 국방 학교 안보문제연구소 안보학술진흥사업 연구비로 수행된 연구논문임. 이의 초고는 2011년 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학술회의, 2011년 충남 학교 국방안보 국제세미나, 2011년한국동북아학회 공동 학술회의 등에서 발표된 바 있다. 박민형, 윤태룡, 최우길 교수님과 김일기 박사님께 감사드린다. 아울러 초심과 재심 과정에서 세심한 비평을 해주신 세 분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리고,후속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을 반 할 계획임을 밝힌다.

Page 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서 론

21세기 국제안보의 핵심 이슈는 테러와의 전쟁과 (핵)비확산이라고 할 수 있다.1) 하지만, 오

바마 행정부에 들어서서 미국의 정책에서 테러와의 전쟁이란 개념은 공식적으로 배제되었고,

이라크에서 미군 철수의 단계적 진행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미군 철수가 구체화하고 있

어서 테러와의 전쟁의 개념적, 실천적 중요성은 과거에 비해 많이 축소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

이다. 반면“핵없는 세상”의 강조로 비확산 국제정치는 국제안보의 전면에 핵심적 이슈로 부

상하 다.2)

핵없는 세상은 국제정치에서 핵무기의 중요성을 약화시키는 국제적 공조를 통해 전체적인

안보를 증진시키자는 의욕적인 제언이다. 하지만, 2010년 4월에 개최되었던 핵안보정상회의

(Nuclear Security Summit)의 상징성, 이어서 5월에 개최되었던 2010 NPT 검토회의

(Review Conference)의 부분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비확산 이슈와 관련되어 있는 갈등이

단시일 내에 해결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 근본적으로 비확산과 핵없는 세상의 추진은 국

가 간 이익의 상충이라는 엄연한 현실 국제정치의 무 에서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비확산 국제정치는 주권 국가들 간의 권력 관계를 반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인 국제정치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3) 따라서 핵불평등과 핵주권을 둘러싼 규범 및 이익에서

의 충돌, 핵무장과 핵억지라는 군사안보적 요소가 본질적으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이슈들을 다루기 위한 국제 레짐의 가능성과 한계 또한 비확산 국제정치의 불가결한 부분으

1) 일반적으로 비확산은 핵의 비확산을 얘기하는 고유명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에서는 용어를

비확산으로 통일하기로 한다.

2) 이는 미국이 당면한 안보위협에 한 평가와 응책에 한 처방이 달라진 점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도

있다. 전임 부시 행정부에서는 미국에 한 핵테러의 위협을 테러와의 전쟁을 통해 해결하려 노력했던

반면에,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핵무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에 보다 중점을 두는 정책 노선을 취하고 있

다. 이에 해서는 신성호, “부시와 오바마: 핵테러에 한 두 가지 접근,”『국가전략』제15권 ⑴호 (2009)

참조.

3) 황지환, “핵확산의 국제정치와 비확산체제의 위기,”『국제관계연구』제13권 ⑴호 (2008).

창은 열려 있다. 한국이 주어진 개별적 네트워크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강 국들이 부과하는 표준이 놓치고 있는 부분에 해

보완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때 네트워크상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 비확산

네트워크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성공적인 번역의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는 비확산 국제정치에 해 단선적인 접근을 불식하고 구조적 조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 한 자율적이고 생산적인 논의를 주도할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네

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행위자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연합할 수 있는 네트워크적 능

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Page 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로서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핵에너지의 자원과 환경에 한 함의 등도 비확산 국제정치의 폭

을 넓히고 있다. 여기에 비국가행위자에 의한 핵테러리즘과 핵시설의 안정성에 한 우려도

최근 비확산 국제정치의 큰 흐름에 반 되어 오고 있다.

그간 범위와 수준이 다른 복합적인 이슈들을 내포하고 있는 비확산 국제정치를 이해하고 그

에 한 처방을 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들은 국제

정치의 전통적인 이론들에 기반을 두고 있고, 비확산 국제정치가 보여주고 있는 본질적인 특

징을 이해하는 데에 한계를 드러내었다.4) 예를 들면 기존의 이론들은 핵이라는 인간 과학기술

의 결과물이 비확산 국제정치의 흐름 속에서 발휘하고 있는 매력에 해 별도의 주의를 기울

이지 않는다. 기존의 관점들은 나름 로 핵확산의 동기를 분석하고 비확산을 위한 처방을 내

리고 있으나, 이런 노력들이 분절적이어서 비확산 국제정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비확산 국제정치에 한 한국의 전략적 효율성도 이런 관점

들을 기반으로 담보되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 은 비확산 국제정치를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한국의 전략적 응 방안을

검토할 수 있는 이론적 토 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은 비확산 국제정치가 전

통적인 국제정치 행위자의 역할과 이슈들 이외에, 핵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분야별 국제 레짐

네트워크, 초국가 네트워크가 일정 정도 향력을 발휘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고, 이에

한 응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관점을 통한 분석과 전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이 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비확산 국제정치의 쟁점과

관련된 기존의 이론적 주장을 정리하고 그 한계에 해 논의한다. 3장에서는 기존 이론에

한 안으로서 네트워크 이론의 접근법을 소개하고, 비확산 국제정치에의 적용 가능성에

해 논의한다. 4장에서는 비확산국제정치의 핵심 이슈를 번역의 개념을 통해 핵무기, 확장억

지, 핵의 평화적 이용, 북한 및 이란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복합

비확산네트워크(complex network of non-proliferation)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한국의

실천 방안을 전망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Ⅱ. 핵확산과 비핵화: 이론과 처방

비확산 국제정치의 한 축에는 핵개발이라는 현상이 자리하고 있다. 즉 왜 국가 또는 다른

행위자가 핵무기 또는 핵개발을 원하는가라는 중요한 질문이 답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4) 이러한 이론적 논의는 지금까지 국제정치학계의 주류 이론으로 활용되어 온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

주의적 시각을 반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핵무기와 비확산의 문제는 주로 안보 역과 관련이 되어

있고, 따라서 현실주의적 논의를 기반으로 한 분석과 처방이 정책적인 함의 측면에서 주된 관심을 받아

왔다. 이에 해 자유주의적, 구성주의적 설명은 현실주의적 설명의 ( 체가 아닌) 보완이라는 측면에

서 일정 부분 설득력을 가진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하지만, 핵개발과 비핵화에 한 통합

적인 분석과 효율적인 처방의 제시에 있어서 기존의 이론적 입장은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새로

운 이론적 관점의 도입의 필요성이 두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Page 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또한 다른 한 편에는 비확산을 위한 하나의 전통적인 처방으로서 각종 국제 레짐(기구와 조약

등)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핵확산의 동인과 그에 한 처방을 중심으로 기존의 이

론적 입장들을 검토하고 그 한계에 해 논의한다.

1. 안보 모델과 비확산

핵무기 개발의 동기에 해서는 여러 해석이 제시되어 왔다. 이에 해 세이건(Sagan)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안보 모델(security model), 국내정치 모델(domestic politics

model), 규범 모델(norm model) 등이 핵무기 추구의 동기를 일정 정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5)

안보 모델의 주된 논리는 외부로부터의 재래식 위협이나 핵위협에 항하기 위해 핵 억지력

을 필요로 하는 국가들이 핵무기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소련은 미국의

2차 세계 전에서의 핵사용에 응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하 고, 유럽에서 소련으로부터

의 안보 위협을 느끼고 있었던 국과 프랑스도 소련의 핵개발에 응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 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미국, 나중에는

소련의 핵무기에 응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하 고, 인도의 경우는 중국, 파키스탄의 경우

는 인도라는 핵무기 개발의 전략적 연쇄반응의 시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6)

그렇다면 안보 모델은 핵개발이 국제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의 합리적 선택이라는 현실주의

적 설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안보 모델은 핵보유의 결과로 국가 간에 억

지력이 존재하게 되고, 핵무기가 부여하는 책임감에 의해 전쟁 가능성 자체가 줄어들어 국제

정치를 상 적으로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인정하기도 한다.7) 현재까지 핵무기를 가진 나

라들 사이에서 전면전이 발발한 적이 없다는 현실은 안보 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해주는 증거

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현실주의의 국가이익 중심적인 사고에서는 핵무기가 타 국가에 가지는 부정적인 효

과에도 불구하고, 당사국의 억지력을 괄목할 만큼 신장시킬 수 있다면 그 국가를 위해서는 당

연히 고려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현재의 핵보유국들은 모두

억지력의 명분으로 핵무기를 개발하여 왔다. 따라서 국가가 안보상의 위협을 구실로 핵무기

를 개발하고 세력균형을 도모한다는 논리를 전적으로 부정하기가 힘들어질 수 있다.

또한 안보 모델에서는 비핵화 또는 핵자제(nuclear restraint)를 안보 위협의 감소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즉 핵개발의 자제, 또는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핵개발을 추진하는 국

5) Scott Sagan, “Why Do States Build Nuclear Weapons?: Three Models in Search of A

Bomb,”International Security 21-3 (1996/97).

6) 초기 중국의 핵개발 과정과 정책에 해서는 이철기, “중국의 군비통제 및 군축정책: 평가와 전망,”『한

국정치학회보』28집 ⑴호 (1994) 및 Jianqun Teng, “중국의 핵보유정책,”배정호∙구재희(편),

『NPT 체제와 핵안보』(통일연구원, 2010) 참조.

7) Scott Sagan and Kenneth Waltz,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New York: W. W. Norton, 2003) 중 왈츠의 논의 참조.

Page 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가의 안보 위협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주장인데, 새롭게 핵개발을 추진하던 국가들이 실질적

인 안보 위협의 감소와 더불어 핵개발을 중단하거나 핵을 폐기하기에 이르 다는 것이다. 예

를 들면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소련으로부터의 위협이 사라진 1991년에 핵 프로그램을 폐기했

고, 아르헨티나와 브라질도 서로의 위협이 없음을 인지한 후에 핵 프로그램을 종결시켰으며,

구소련 3국도 러시아로부터의 위협이 없음을 알고 핵미사일을 폐기하는 데에 동의했다는 것

이다.8)

이런 맥락에서 안보 모델에서는 잠재적 핵 개발국에 해 동맹의 형태로 안보 확약이 제공

되거나, NPT의 소극적 안전보장 조치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핵을 포기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집단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를 극복할 수 있는 기제들이 제공되는 경우

에는 핵확산의 속도가 늦춰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9) 하지만, 안보 모델이 의존하고 있는

현실주의 이론의 전제는 국제 무정부 상태에서 초래되는 안보 위협인 바, 국가가 합리적인 선

택을 한다면 막 한 국방비를 투자하여 다른 전력을 증강하는 것보다 상 적으로 큰 억지력

을 발휘하여 안보에 도움이 되는 핵무기를 포기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

다.10) 왈츠(Waltz)의 주장처럼, 국가가 핵무기를 필요로 하는 이유 중의 부분이 안보와 결

부가 되어 있다면, 국제정치 상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이 안보상의 이유로 핵무기를 추구하던

국가가 자발적으로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전망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는 것이다.11) 즉 핵은

안보를 고려할 때, 다른 무기가 가지지 못하는 결정적인 매력(전쟁 억지력)을 가지고 있는 것

이다. 그렇기 때문에 냉전기 미국과 소련 양국의 무제한적인 핵 경쟁이 양국의 안보의 실질적

증진과는 별도로 진행되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미증유의 파괴가 예상되는 핵전쟁으로의 비화를 막는 것이 국가의 지상 과제

가 된다면 핵을 보유한 국가들 사이에서도 제한전의 방식으로 재래식 전쟁이 발생할 여지는

충분히 존재하는 것이다.12) 즉 핵의 부정적 매력(재래식 전쟁 촉진 요인) 또한 향력을 발휘

해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핵무기가 억지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수긍한다 하더라도 안보 상

필요 때문에 국가가 반드시 핵무기를 추구할 것인지에 해서는 의문이 남을 수밖에 없다. 안

보 모델이 핵개발에 필수적인 요인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한계가 분명해진다.

핵개발은 국제적 요인과 국내적 요인이 결합함으로써 추동력을 확보하는 경향을 보여 왔고,

그 과정에서 개별 국가들이 확보한 핵과학 기술(지식, 시설, 평화적 이용 문제)의 수준이 매개

변수로서 중요한 향력을 발휘했는데, 안보 모델의 논의로는 비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처방

8) Sagan (1996/97), pp. 60-61.

9) Sagan (1996/97), pp. 61-62.

10) 한인택, “핵폐기 사례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례의 함의와 한계,”『한국과 국제정치』제27집 ⑴호

(2011), pp. 89-90.

11) Kenneth Waltz, “Peace, Stability, and Nuclear Weapons,”IGCC Policy Paper (University

of California Institute of Global Conflict and Cooperation, August 1995), pp. 5-6.

12) 중국이 핵을 이미 사용했던 미국을 상 로 한국 전쟁에 개입했던 사례나, 1960년 말에 소련과 중국

사이에 전투가 발생했던 경험, 그리고 1973년에 핵을 보유한 이스라엘에 해 이집트와 시리아가 전

면전을 시도했던 사례들은 핵무기의 향력의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Page 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을 내리기가 힘든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2. 국내정치 모델과 비확산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안보 모델의 논리는 비결정적이어서 개별 국가에 적용하기가 용이하

지 않은 난점이 존재한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정치 모델의 유용성이 별될 수 있다. 민주주

의 전통이 자리 잡은 국가에서도 일반적으로 안보 정책은 다른 국내 정책과는 구별되는 기

성과 전문성의 역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핵심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정치인, 군부, 또는

핵과학자가 핵무기와 관련하여 일반 중의 정보나 위기 인식을 배후 조종할 가능성이 존재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모델에 따르면 핵개발이나 비핵화 결정의 동기는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행위자들과 그들

의 상호작용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고, 그럴 때 핵 관련 결정에 해 보다 세 한 설명이 가능

한 것이다.13) 이러한 중요한 행위자는 수동적인 행위자가 아니라, 자신들에게 유리한, 즉 핵무

기의 획득을 선호하는 조건을 창출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조건의 창출은 외부로부터

의 안보 위협 인식을 극 화하거나, 국방비 증가를 로비하거나, 뜻을 공유하는 정치인을 지지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모델에 따르면 군-산-학 연 (scientific-military-industrial

coalition)의 효과적인 형성이 핵 결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14)

솔링건(Solingen)의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15) 이 연구는 안보위

협이라는 변수를 통해 개별 국가의 핵정책 변화를 설명하려는 시도에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

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즉 안보위협을 경험하는 국가들이 모두 같은 방식으로 응하지는 않

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만 중에서 이스라엘만 재래식

안보 위협에 핵무장으로 응하 다. 또한 핵 자제의 사례로 평가되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우를 보았을 때, 이들 국가에 한 안보 공약이 핵무기 추구를

중단시키는 데에 큰 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솔링건은 평가한다. 이들 국가들의 핵정책에 차

이점을 가져온 것은 국내 지배집단의 성격이었다고 간주할 근거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국내정치 모델에서 핵무기는 국제 안보 문제에 한 명확하고도 불가피한 해

결책이기보다는 핵무기의 획득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정당화하려는 집단에 의해 문제로

두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제 안보상의 위협이라는 것도 결국은 국내정치에서 어떻게

해석되느냐에 따라 그 향력이 좌우될 수 있는데, 안보 위협은 지엽적인 이익의 실현을 위해

활용되는 기회의 창(windows of opportunity)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국내정치 모델의 해석

이다.16)

세이건은 인도의 핵개발의 경우도 초기에는 집권 세력 내에 핵무기에 한 전반적인 합의가

13) 한인택 (2011), p. 91.

14) Sagan (1996/97), p. 64.

15) Etel Solingen, “The Political Economy of Nuclear Restraint,”International Security19-2 (1994).

16) Sagan (1996/97), p. 65.

Page 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없었지만, 1970년 초반 이후에 핵과학자들이 집권 세력을 설득하면서 1974년의 핵실험으

로 진행되었다고 인정하고 있다.17) 북한과 이란의 경우도 결국은 핵심 강경 세력이 외부로부

터의 안보 위협을 강조함으로써 핵추구를 위한 명분을 축적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정치

모델의 논리는 일리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우리의 관점에서 핵개발 문제를 관

찰하기에 그 유용성이 안보 모델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솔링건은 국제시장경제체제와 친화적인 자유주의적(liberal) 지배연합(ruling coalitions)

이 국제적 핵 규범 및 제도에 보다 순응할 가능성이 크고, 다분히 폐쇄적인(inward-

looking) 지배연합의 경우에는 국제경제로부터 얻는 이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의 압력

에 크게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18) 인도와 파키스탄의 경우에 자유주의 성

향의 지배연합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정책의 변화가 있음이 관찰되었고, 이집트의 경우에도 사

다트 정부시절에는 NPT를 지지하면서 중동비핵지 화를 추진했던 경험도 있다.19)

하지만, 국내정치 모델에 의존하여 당면한 핵확산의 문제에 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우선 한 국가 내부의 집단에 한 직접적 향력 행사가 현실적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둘째, 간접적인 향력 행사의 방식, 예를 들면 외교적 채널의

가동이나 경제적 수단의 활용 등도 해당 국가의 성격에 따라 그 효용성이 좌우될 수밖에 없

다. 북한과 이란처럼 내부적으로 결속력이 강하고 폐쇄적인 국가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가

능한 조치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해당 국가 내부의 비핵화 그룹의 입지가 강

화되기 위해서는 핵보유국들이 핵군축 또는 핵폐기를 향한 명확한 모범을 보여줘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런 방향의 진행을 전망하기는 무리가 따른다.

3. 규범 모델과 비확산

규범 모델은 핵무기와 관련하여 국제 규범이 핵개발을 부추기거나 자제시킬 수 있다는 주장

이다. 핵보유국들의 경우와 핵폐기 사례 중에서 국제 규범이 핵관련 결정에 향을 미친 사례

가 몇 가지 있다. 시 의 변화에 따라서 핵보유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여지가 큰 경

우가 있었고, 다른 한편 NPT 등의 규범이 정착되면서 핵보유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

었던 것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의 경우는 핵무기를 외부 안보 위협에 한 억지력이기보다는

강 국의 표상으로서 추구했다고 볼 수 있는 여지가 크고, 우크라이나의 비핵화는 우크라이나

가 국제 규범을 무시하는 문제 국가로 인식되는 것을 두려워해서 조속히 종결될 수 있었다는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20) 이런 분석에 따르면 핵무기는 외부의 위협에 한 응이나 국내정치

집단의 이익에 봉사하는 것이기보다는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 추구되는 것이다.21)

17) Sagan (1996/97), pp. 65-67.

18) Solingen (1994), pp. 137-142.

19) Solingen (1994), pp. 145-149.

20) Sagan (1996/97), pp. 76-82.

21) 한인택 (2011), pp. 91-92.

Page 1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그런데, 퍼먼(Fuhrmann)의 연구는 규범 모델의 설명에 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22)

그는 모든 형태의 핵 관련 민간 협력이 핵확산의 위협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그의 주장을 확인한다. 퍼먼의 논리는 안보위협 또는 특정 집단의 정치적 이익 증진 때

문에 핵무기를 추구한다는 일반적 견해와는 달리 기술적 능력 자체가 핵무기 추구에 결정적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23) 그 이유는 민간 차원의 원자력 협력 지원을 받은 국가는 추후 핵

프로그램의 준비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기술적으로도 확신을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핵분열 물질을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보유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퍼먼의 사례 연구에서 다루는 국가들, 즉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라엘, 북한, 인도24),

파키스탄25) 등은 모두 핵보유국들로부터 연구용 원자로와 기술지원을 받은 국가들이었다.

북한과 이란의 경우에서도 불법적인 거래가 양 국가의 핵프로그램의 진전에 많은 도움을 준

것이 아니라 이미 진행된 민간 차원의 원자력 협력이 프로그램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

서 퍼먼의 주장의 함의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핵보유국들 또는 선진국들은 과거에 전략적

필요에 의해서 위에서 언급한 국가들에 차별적으로 원자력 협력 지원을 제공하 고, 국제정

치적 상황의 변화로 이제 그 국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핵프로그램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상

황인 것이다. 퍼먼의 다른 연구는 핵보유국들이 전략적,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서 핵확

산의 위협을 실제로는 무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26)

이러한 지적 이외에도 현실적으로 규범 모델은 비확산을 위한 처방을 내리기가 힘들다. 우

선, 핵무기의 추구가 국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규범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핵무기의

유용성 자체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 경우 핵보유국이 외부 안보 위협을 느끼는 동맹

국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안보 공약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증가된다. 예를 들면 북한의 핵무기

1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2) Matthew Fuhrmann, “Spreading Temptation: Proliferation and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International Security 34-1 (Summer 2009).

23) Fuhrmann (2009), p. 8.

24) 인도의 경우에 해서는 Sumit Ganguly, “India’s Pathway to PokhranⅡ: The Prospects and

Sources of New Delhi’s Nuclear Weapons Program,”International Security 23-4 (Spring

1999) 참조. 인도는 애초에 국의 설계로 연구용 원자로 건설을 시작했고, 미국은 중수와 핵과학자

의 훈련을 제공했다. 1962년에 중국과의 국경전을 경험하면서 인도의 핵프로그램은 가속화하여 1964

년에 핵무기 프로그램을 시작하 다.

25) 파키스탄의 사례는 Samina Ahmed, “Pakistan’s Nuclear Weapons Program: Turning Points

and Nuclear Choices,”International Security 23-4 (Spring 1999) 참조. 파키스탄의 경우,

미국과 캐나다가 1950년 부터 중수와 우라늄을 제공하 고, 1960년 이후에는 유럽 국가들이 추가

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하 다. 1971년 인도와의 분쟁에서 지면서 핵무기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1974년

에 인도가 핵무기 실험을 실시하면서 파키스탄의 핵무기 프로그램도 가속화하 다. 비록 1977년과

1979년에 미국이 파키스탄에 해 제재를 부과하 지만, 1979년에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 침공하면

서 미국으로서는 다시 파키스탄이 필요한 입장이 되어 제재를 유보하고 핵무기를 쓸 수 있는 F-16을

파키스탄에 판매하기에 이른다.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 미국의 압력이 증가하 으나, 파키스탄의 핵무

기 프로그램은 중단되지 않았다. 파키스탄의 경우도 외부의 지원이 핵무기 보유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

로 작용하 다고 판단하는 데에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26) Matthew Fuhrmann, “Taking a Walk on the Supply Side: The Determinants of Civilian

Nuclear Cooperation,”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53-2 (April 2009).

Page 1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로부터 직접적인 위협에 직면한 한국은 비핵화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의 안보 공약을 재차 확

인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동맹국을 보호하기 위해 안보 공약을 강화(억지력으

로서의 핵무기의 사용을 포함하여)하는 경우에, 이는 NPT 등의 국제 규범과 충돌할 가능성

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미국에 적 적인 비핵국가가 안보상의 이유로 핵

무기를 추구하거나 핵폐기를 거부할 명분을 강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규범의 강

화와 현실이 항상 같은 방향을 지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규범 모델이 해결해야 하는

딜레마인 것이다.

이런 상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고려할 점을 제시한다. 첫째, 과거의 사례를 검토하면 비

확산에 절 적 가치를 부여하는 데에 동의하지 않는 국가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실질적인

문제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국제규범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 둘째, 비확산의 근간인 NPT 등을 통해 평화적 핵이용 권리를 보장하는 조치들의 실

효성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 NPT가 비확산을 위해 기능할 수 있

는 것인지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결국은 비확산이라는 것이 일부 불량 국가들

의 존재 때문에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의 의미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핵은 불량

국가만이 아니라 다른 국가 및 행위자들에게도 매력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4. 비확산 국제 레짐

국제사회는 관련 국제 레짐을 통해 비확산을 행동 규범으로 체계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

다. 이런 다자주의적 레짐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주도에 의존하고 있는 바가 크다. 즉 이러한

다자주의의 틀이 미국의 이익과 합치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제 레짐은

비확산과 관련하여 미국의 독자적 주도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증거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비확산 관련 주요 레짐들을 성격과 기능별로 구분하면 <표 1>과 같다. 이들 비확산

제도들은 그 기능, 정책적 효용성, 목표, 포괄성 등에서 차이를 보여주고 있고, 또한 그 역할

에 있어서 한계들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즉 어떤 레짐은 법적, 관료적 장치들을 갖추고 있

는 반면에 다른 레짐들은 보다 유연하다. 또한 어떤 레짐들은 포괄적이고 명확한 의사결정 구

조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레짐은 불개입(non-interference) 원칙을 고수한다.

Page 1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표 1>에서 관찰되는 특징은 비확산과 관련된 주요 국가들이 정작 관련 레짐에 포섭되어 있

지 않다는 점이다. 코헤인(Keohane)의 정의에 따르면, 국제 레짐은 약속의 이행을 중앙집권

화된 권력에 의해 강요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들 간에 상 방과 상 방의 행위 패턴에

해 안정적인 상호 기 를 구축하고 서로 새로운 상황에 맞도록 실천을 조정할 수 있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를 발전시키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27) 국제 레짐은 국가들의 행위에 있어서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및 불확실성(uncertainty)을 줄이고, 투명성(transparency)

및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을 증 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유익한 협상이 가능해질 수 있

다는 장점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런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확산 관련 주요 국가들이 레짐에 포섭되지 않는다는 사실

은 그들이 현재의 레짐 네트워크의 내용과 형식에 흥미가 없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이들 미

참여 국가들로 인해 관련 레짐은 애초에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비확산 레짐에 한 관련 국가들의 자발적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27) Robert Keohane, “International Institutions: Can Interdependence Work?”ForeignPolicy 110 (Spring 1998), pp. 82-96.

<표 1> 군축∙비확산 다자 레짐 현황(2009년 5월 현재)

발효/구성시기

가입국 남북한 현황 주요 국가구 분

협약

기구

수출통제

기타

NPT

IAEA

NSG

PSI

ZC

MTCR

CTBT

FMCT

68.7 채택/70.3 발효

56.10 채택/57.7 설립

78.1 설립

03.5 설립

74.8 설립

87.4 설립

96.9 채택/미발효

93.9 제안/협상 중단

191개국 가입

145개국 가입

45개국 가입

94개국 참여

36개국 가입

34개국 가입

148개국 가입(180개국 서명)

한국 75.4 가입/북한 85.12 가입, 03.1탈퇴선언

한국 57.8 가입/북한 74.6 가입, 94.6 탈퇴

한국 95.10 가입/북한 미가입

한국 09.5 전면참여 선언

한국 95.10 가입/북한 미가입

한국 01.3 가입/북한 미가입

한국 99.9 가입/북한 미가입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등 미가입

미국, 브라질 등 추가의정서 미비준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등 미가입

중국, 인도, 파키스탄,인도네시아, 이란, 이집트등 미참여

브라질, 인도, 파키스탄,이스라엘, 발트 3국 등미가입

중국, 인도, 파키스탄,이스라엘, 시리아 등 미가입

인도, 파키스탄, 미국, 중국등 미가입

출처: 외교통상부, 『군축∙비확산 주요 국제문서집』(2008), pp. 694-695의 표에서 발췌 및 수정.

Page 1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존재하는 각종 비확산 다자 레짐들은 현실 국제정치에서 국가이익이라는 주된 작

동 원리를 극복하 거나, 핵보유국과 비보유국 간 또는 립하는 강 국 간의 전향적 협력을

심화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오히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최근의

비확산 다자 레짐 역시 미국이 자국의 향력 또는 이익 실현의 기제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서 기존 권력 정치의 속성을 반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산적인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아이켄베리(Ikenberry)가 지적하는 것처럼, 국제 레짐은 참여국의 상

호 이익에 부응하는 세계 질서를 고착화하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가 있다. 즉, 미국이 자

국 힘의 일방적 행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타국에 한 의무 이행의 신뢰성을 높일 때, 타국은

오히려 좀 더 적극적으로 미국과 협조하려는 모습을 보일 수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제도화

하는 규칙과 체제를 통해 미국은 자국의 이익실현에 보다 큰 정통성과 지속성을 부여할 수 있

는 것이다.28) 그러나 전통적인 시각에서는 이러한 초강 국의 전향적 행동을 이론적으로 설명

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비확산 질서의 향후 전망과 관련된 실천적 안을 제시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진부함을 극복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Ⅲ. 네트워크 이론과 비확산 국제정치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존의 이론적 논의들은 비확산 국제정치 현상에 해 부분적 설명을

제공하고 있지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비확산체제의 작동을 위한 실천적 처방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비확산체제는 핵확산의 기술적 장벽을 높이고, 핵무기를 추구하는

정치적 의지를 약화시키고, 핵군축을 포함하여 핵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

다.29) 그런데, 기존의 논의에서는 비인간 행위자로서 핵이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에게 가지

는 향력을 다루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핵확산의 동인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적 처방을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바탕으로 하고 있는 실증주의적 논의에서 필수적 요소인 비확산과 관

련된 여러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당사자 간의 이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안 마련에 문제가 발생한다.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은 이에 해 세 가지 장점을 지닌다. 먼저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은 비확산 국제정치의 핵심적 (그렇지만 기존의 논의의 중심에서는 벗어나 있는) 요소인

핵이라는 비인간 행위자의 향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둘째,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는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관계적 구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마지

막으로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은 네트워크의 중개자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28) G. John Ikenberry, After Victory: Institutions, Strategic Restraint, and the Rebuildingof Order after Major War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29) 조동준, “핵확산의 추세 vs. 비확산의 방책,”『한국과 국제정치』제27권 ⑴호 (2011).

Page 1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정의함으로써 실천적 전략으로서의 정책적 처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

다. 다음에서는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을 간략히 정리하고, 비확산 국제정치에서 가능한

중개자의 역할에 해 논의한다.

1.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30)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시각은 국제정치의 주요 노드(node)인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권력에

한 이해만으로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한 올바른 인식이 불가능하기 때

문에 탈 노드 차원의 권력개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트워

크 권력에 한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를 주장한다.31) 네트워크 이론에서 네트워크란“상호 연

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네트워크 권력이란 노드 자체의 속성이나 노드가 보

유하고 있는 자원이 아니라 노드들 간의 관계인 네트워크에서 비롯되는 권력을 지칭한다.32)

다시 말해 네트워크 권력은 개별 노드들의 경계 밖에 있는 외재적 요소, 노드와 노드들이

맺는 링크의 총합으로서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생성되고 작동하는 권력을 개념화한 것이다.

물론 외재적 요소인 네트워크와 노드는 별개 혹은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노드 자체도

네트워크가 작동하는 데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네트워크 권력은 개별

노드들의 자유로운 선택에 기원을 두지만 그 작동과 향은 노드가 아닌 네트워크 차원에서

이뤄지는 권력”으로 파악되며, 이런 관점에서는 네트워크 권력이“노드의 행동에서부터 비롯

되었지만 역으로 노드를 제약하는 구조로 작동하는 권력, 즉 행위자와 구조의 차원에서 동시

에 작동하는 권력의 이중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네트워크 권력

은 네트워크를 구성한 노드들이 발휘하는 권력, 네트워크라는 환경에서 특정 노드들이 상호

작용의 과정에서 발휘하는 권력, 그리고 행위자와 노드를 제약하는 구조 모두를 포괄하는 체

제 차원의 권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33)

네트워크 이론의 장점은 행위자들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생성되는‘관계적 구도

(relational configuration)’를 포착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행위자들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창출되는 구도, 즉 네트워크 그 자체를 구조로서 볼 수 있게 하고 행위자

들 간의 동태적 상호작용을 개념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34) 한 가지 주의할

30) 네트워크 이론은 물리학을 포함한 자연과학, 사회학, 역사학 등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 에서

는 다른 분야에서 논의되어온 네트워크적 시각의 일부분을 차용하여 국제정치에 적용하는 시도를 네

트워크 세계정치론으로 정리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31) 이러한 움직임에 해서는 김상배, “네트워크 권력의 세계정치: 전통적인 국제정치 권력이론을 넘어

서,”『한국정치학회보』42집 ⑷호 (2008), pp. 387-408 참조.

32) Manuel Castells, “Information, Networks, and the Network Society: A Theoretical

Blueprint,”in Manuel Castells (ed.), The Network Society: A Cross-culturalPerspective (Cheltenham, UK: Edward Elgar, 2004), p. 3.

33) 김상배 (2008), pp. 389-390.

34) Barry Wellman and S. D. Berkowitz, Social Structures: A Network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age 1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것은 기존 국제정치학의 주류 이론들이 여러 분파적 갈래를 포함하고 있는 연구 프로그램인

것처럼, 네트워크 이론 또는 네트워크 세계정치론도 단일한 이론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인식론

이나 방법론에 기반을 둔 연구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35) 인식론과 분석 초점에서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진 으로 나눌 수 있다.36)

우선 네트워크를 독특한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는 조직으로 파악하는 시각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조직이론의 표적 학자인 카스텔은 네트워크를 단순히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 방

식을 지칭하기보다는 정보기술의 발전을 토 로 고유한 작동 논리를 가진 미래지향적 조직으

로 평가한다.37) 위계적인 조직과 시장이라는 다원적인 체계와는 구별되는 조직 구조로서의 네

트워크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표되는 환경의 변화에 응하기 유리한 장점을 토 로 지배

적 조직형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네트워크의 구조에 보다 집중하는 사회-네트워크(social-network)의 시각이 있

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노드 행위자의 행동에 향을 미치는 구조로 작용하는데,

이는 행위자들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는 관계의 패턴을 의미한다.38) 이런 시각은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행위자들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하는데, 구조로서의

네트워크가 반드시 행위자들의 의식적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서 기존 국제제도론에서

논의하는 레짐과는 차별화된다. 아울러 이러한 네트워크 효과가 관찰되기는 하지만, 결국은 사

회적 맥락에서 파생된다는 점을 인정하기 때문에, 행위자가 네트워크의 구조를 변경할 가능성

도 상 적으로 열려 있게 된다.39) 아울러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는 신현실주의에서 주로 원용

하는 거시적 구조 개념에 비해서 중범위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 특징은 거시적 구조의 틀

을 관찰함과 동시에 행위자의 선택과 구조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40)

35) 국제정치에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하는 최근 해외의 표적인 연구에 해서는 Emilie M. Hafner-

Burton, Miles Kahler, and Alexander H. Montgomery, “Network Analysis for

International Relations,”International Organization 63-3 (2009), pp. 559-592; Miles

Kahler (ed.), Networked Politics: Agency, Power, and Governa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Zeev Maoz, Networks of Nations: The Evolution, Structureand Impact of International Networks, 1816-2001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Grahame F. Thompson, Between Hierarchies and Markets:The Logic and Limits of Networks Forms of Organ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David Singh Grewal, Network Power: The Social Dynamics of Globalization(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8); Margaret E. Keck and Kathryn Sikkink,

Activists beyond Borders: Advocacy Networks in International Politic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등을 참고할 것. 아울러 국내의 선구적인 연구로는 하 선∙김상배(편),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서울: 을유문화사, 2006) 및 하 선∙김상배(편), 『네

트워크 세계정치: 은유에서 분석으로』(서울: 서울 학교출판문화원, 2010)을 참고할 것.

36)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의 세부 이론적 구분에 한 논의는 김상배, “네트워크 이론의 국제정치학적 원

용,”미간 원고 (2011b) 참고할 것.

37) Manuel Castells,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2nd edition (Oxford: Blackwell, 2000).

38) 이런 주장의 예로 Thompson (2003)을 참고할 것.

39) Grewal (2008).

40) 김상배,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구조적 공백과 위치권력 이론의 원용,”『국제정치논총』

제51집 ⑶호 (2011a).

Page 1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를 하나의 동태적 과정으로 이해하여 실제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가

는 과정에 주목하는 시각이 있다. 이러한 시각은 네트워크 구조와의 연관 속에서 행위자들이

구체적인 네트워크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할 수 있게 해준

다.41) 특히,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을 표하는 라투르

(Latour)나 칼롱(Callon)에 의하면, 네트워크는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가 상호작용하

면서 구성하는 행위자이다.42) 즉 네트워크로서의 행위자는 행위자와 네트워크의 결합체로서

분석의 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ANT는 역시 권력이 완성된 것이 아니라 관계적 맥락에서

생성된다고 이해하고, 행위자와 구조가 그들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을 동원 또는 배열하는

방식을 관찰하기 위해 노력한다.43) ANT는 기존의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입각한 분석에 주력

하지 않고, 그보다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가는 동태적 과정에 더 주목한다. 더 나아가서,

ANT는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가 어떻게 하나로 유지되면서 동시에 이종적인 네트워크로 구

성되어 가는지를 관찰한다.44)

네트워크 이론의 이러한 세 가지 시각 중에서 이 에서는 비확산 네트워크의 구조를 이해

하기 위한 시도로서 사회-네트워크 이론의 주요 개념들과 비인간 행위자를 포함한 네트워크

의 동태적 과정에 주목하는 ANT에서 소개하는 네트워킹의 전략을 주로 원용하여 비확산 국

제정치에 적용한다.

2. 위치권력, 구조적 공백, 중개자

사회-네트워크 이론은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관계적 구도 속에서 특정한 위치

를 차지하는 행위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관련된 주요 개념은 위치권력과 중

개자이다. 먼저, 위치권력은 네트워크상에서 행위자가 차지하는 위치로부터 파생되는 권력인

데 신현실주의나 신자유주의 이론에서 파악하는 물질적인 자원권력과는 다른 속성을 지닌다.

동일한 내적 속성을 지닌 행위자들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 속에 위치해있다면 상이한 역

할을 부여받게 되고 이러한 점이 바로 위치권력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발생시킨다. 즉 네트워

크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보유한 자원권력이 동일하더라도 더 많은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행위자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행위자들과 보다 많은 링

크를 연결하면 할수록 그러한 링크로부터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증 되기 때문이다.45) 아울

41) 김상배, “한국의 네트워크 외교전략: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원용,”『국가전략』제17권 ⑶호

(2011c).

42) Bruno Latour, Reassess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 Theory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3) 존 로, “ANT에 한 노트: 질서 짓기, 전략, 이질성에 관하여,”홍성욱(편), 『인간∙사물∙동맹: 행위

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이음, 2010), pp. 49-50.

44) 홍성욱, “7가지 테제로 이해하는 ANT,”홍성욱(편),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

크노사이언스』(이음, 2010), pp. 23-24.

45) 김상배 (2011a), p. 13.

Page 1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46) Ronald S. Burt,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47) 김상배 (2011a), p. 20.

48) ANT에서는 행위자들이 서로의 이해관계와 주변 환경 등을 엮어서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을 번역

(translation)이라고 정의한다. 서로 다른 속성을 지닌 요소들이 방치된다면 큰 의미가 없겠지만 이

러한 번역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관계가 설정된다. 이에 해서는 Michel Callon,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in John Law (ed.), Power, Action, and Belief: A NewSociology of Knowledg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86), 미셸 칼롱, “번역의 사

회학의 몇 가지 요소들: 가리비와 생브리외 만의 어부들 길들이기,”홍성욱(편),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이음, 2010).

49) 중개자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중개전략과 그 함의에 해서는 김상배 (2011a), pp. 22-23의 논의를

참고할 것.

러 그러한 자원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다른 행위자들로부터의 선호도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비확산과 관련해서 이러한 위치권력은 큰 시사점을 가진다. 전체적인 비확산 네트워크상에

서 국가 행위자의 능동적인 역할을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국제정치 이론의 시각

에서는 자원권력을 상 적으로 많이 보유한 강 국들이 권력 정치를 좌우하는 것으로 파악되

어왔다. 물론 연성 국력에 한 논의도 있지만, 연성 국력 자체는 자원권력으로 구성되는 경성

국력의 뒷받침 없이는 큰 의미를 지닐 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맥락에

서는 위치에 따라 강 국이 아니어도 일련의 권력을 발휘할 틈새가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틈새는 버트(Burt)가 얘기한 구조적 공백의 개념에서 보다 구체화된다.46) 구조적 공

백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두 행위자와 가지고 있는 관계를 의미한다. 즉 네트워크

에서 발견되는 일종의 균열인데, 이러한 공백에 한 두 개의 링크를 추가할 수 있는 행위자, 즉

연결되지 않은 행위자들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행위자는 이들에 해 전략적 이점을 가지

게 된다. 이들 간에 이미 연결성이 강한 고리가 연결되어 있다면 중간의 행위자가 개입할 가

능성이 거의 없으나, 상 적으로 느슨하거나 아예 형성된 연결이 없는 경우에는 그 중간에 위

치한 행위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는 것이 버트의 지적이다.

이러한 구조적 공백을 메움으로써 중개자는 네트워크상에서 중요도를 증진시키고 이러한

과정이 지속될수록 중심의 위치를 차지하면서 부분적으로는 허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47)

중개자는 이 과정에서 중복되지 않은 다양하고 신선한 정보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가능성이

커지고, 상이한 집단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위에서 언

급한 것처럼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할 때 보다 많은 권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커지지만, 이러

한 권력의 중심성은 연결 중심성의 증진을 통해서도 일정 정도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연결

중심성은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노드들과 연결된 링크를 늘림으로써 증진될 수가 있다. 중개

자의 역할은 단순히 흐름을 이어주는 연결자, 정보의 형식을 바꿔주는 변환자, 같은 종류의

행위자 사이에 의미의 흐름까지 중개해주는 전달자, 마지막으로 다른 종류의 행위자들 사이

에서 의미의 흐름을 연결해주는 번역자48)의 역할까지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49)

물론 중요한 점은 중개자의 역할과 권력이 행위자 자체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속해있

는 네트워크의 특성과 위치에 따라 우선적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즉 위치권력의 정의 상,

Page 1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중개자가 획득할 수 있는 권력은 중개자가 처해있는 네트워크의 속성, 즉 구조적 조건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속해있는 네트워크의 성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개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의 출발점이라고 할 것이다. 동시에 구조적 조건

하에서 행위자가 발휘하는 자율성(전략)도 분명히 존재한다.50) 다음에서는 ANT를 통해 행위

자의 전략에 해 논의한다.

3. ANT와 네트워킹 전략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ANT는 비인간 행위자(또는 물질적 요소)의 역할을 인정한다. 비확

산 국제정치와 관련하여 이와 같은 시각이 주는 함의는 핵이라는 비인간적(non-human) 요

소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비확산 국제정치에서 노정되는 여러 문

제들은 사실상 핵이라는 비인간적 요소를 인간 또는 국가행위자가 완전히 통제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그러한 요소로부터 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

서 비인간 행위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ANT는 새로운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해

준다.

비확산 국제정치에서 이미 핵의 역할과 향력은 입증되어 왔다.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

은 계속하여 핵을 추구하고 있다. 핵은 인간 행위자와 결합한 비확산 네트워크 속에서 인간

행위자의 상호 작용을 매개하고, 그들의 선호도를 장악하여 결과적으로 비확산 네트워크의

질서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비확산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핵의 결

정적 역할은 ANT를 통해 비로소 충분히 논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ANT가 얘기하는 행위자-네트워크의 동태적 과정에서 핵심적인 개념은 번역이

다. 전술한 칼롱이 제시한 번역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51) 문제제기, 관심끌

기, 등록하기, 동원하기로 이어지는 네 단계의 번역은 각각 다른 행위자를 기존의 네트워크에

서 분리하고, 관심을 끌어 새로운 협상을 진행하고, 그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여, 결국

은 자신의 네트워크로 포섭하는 과정이다.

결국 번역의 과정은 관계를 재설정하여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권력의 과정이다. 이 과정이 성

공적으로 진행되면 그 행위자는 네트워크 내에서 더 많은 권력을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한 행

위자가 기존의 네트워크 질서를 교란시켜 새로운 행위자를 자신의 네트워크로 포섭하기 위해서

는 다른 행위자들이 자신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게 하는 의무통과점으로서 기능해야 한다.52)

이런 측면에서 사회-네트워크 이론의 위치권력, 구조적 공백과 의무통과점을 중심으로 한

ANT의 번역 개념이 결합될 가능성이 생긴다. 비확산의 향후 전망은 네트워크의 구조적 공백

을 메우려는 행위자가 번역자의 역할에 가까운, 즉 다른 행위자들에게 새로운 선호도와 역할

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다. 그런 기능을 수행하는 행위자는 상

50) 김상배 (2011b), p. 20.

51) 칼롱 (2010), pp. 67-87.

52) 홍성욱 (2010), pp. 25-26.

Page 1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적으로 많은 권력을 획득함과 동시에 비확산의 경로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비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정리해나가기 위해서는 기존 주요 행위자들 외에 서로 다른 종

류의 정보(가치 또는 이익)의 흐름까지 연결해주는 새로운 중개자의 역할이 필요하고, 이러한

역할은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에서 논의될 수 있다.

Ⅳ. 비확산 국제정치의 네트워크 이론적 이해

위에서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가 관찰하고자 하는 비확산 국제정치는 국가와 비국가

행위자, 핵물질과 핵관련 기술로 표되는 비인간 행위자, 그리고 이들이 구성하는 네트워크

와 그 안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확산 국제정치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자국

의 입장에서 비확산을 분명하고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다.53) 한 마디로 미국은 핵군축, 핵

에너지의 평화적 사용 증진, 핵테러리즘의 예방을 통한 비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미국은 비확산 네트워크의 질서를 만들기 위해 중개자로서 성공적인 번역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핵이란 비인간 행위자는 억지력과 평화적 이용이라는 두 경로를

통해 인간 행위자에게 향을 미치고 있고, 미국은 이러한 비인간 행위자에 한 다른 행위자

들의 선호도를 조정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

1. 핵무기와 번역: 핵군축

최근까지 미국은 냉전기의 미∙소 군비경쟁에서 비롯된 과도한 핵무기 보유라는 상황을 탈

피하고자 노력하여 왔다. 소련이라는 경쟁자가 부재하는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양의 핵무기

를 보유할 명분이 사라진 것은 물론이고, 국내적으로도 그 필요성이 의심받는 상황에 이른 것

이다. 그러나 핵무기에 한 미국 선호도의 변화는 다른 행위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 번역은 서로 다른 행위자들 사이의 협상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행위자들의 의도가

동일해질 수는 없지만 공유하는 부분을 새롭게 창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미국은 핵무

기와 관련한 새로운 네트워크 권력을 획득하는 데에 실패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핵무기와 관련해서는 러시아가 거의 유일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한 행위자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 효과적인 억지력의 발휘를 목적으로 막 한 양의 핵무기를 보유했던 미국

53) 2010년에 발표된 미국의 핵태세검토보고서(NPR: Nuclear Posture Review)에서는 미국 핵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핵보유국이 증가하는 것을 차단하고 테러리스트 그룹이 핵을 보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핵테러리즘의 위협을 막는 것임을 천명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미국이 핵탄두 개발이나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고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을 조속히

비준할 것임을 약속하는 모범을 보이고 다른 국가들도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확산의 국제협력에 적극

동참할 것을 강조하 다. 이를 위해 미국은 비확산조약을 주축으로 비확산체제의 강화, 확산위험이 없

는 평화적 원자력 이용의 촉진, 핵물질 방호의 강화, 핵분열물질 생산금지조약 협상 개시 등을 추진할

것임을 공언하 다.

Page 2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과 러시아는 냉전 이후에 꾸준히 핵군축을 진전시켜 왔다. 1987년에 미국과 소련 간에 INF

협정이 체결되었고 1991년에는 START I 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핵군축을 위한 제도적 여건

이 마련되었고, 미국은 러시아와 함께 이 협정에서 제시된 기준을 비교적 충실하게 이행하여

2001년에 이미 협정에서 제시한 수준으로 핵무기를 감축한 바 있다.

또한 최근 2008년 한 해 동안, 미국은 천 개 이상의 핵탄두의 배치를 해제하여 전략공격무

기감축협정(SORT: Strategic Offensive Reduction Treaty, 또는 Moscow Treaty)에서

설정한 2,200개의 핵탄두 상한선을 3년 이상 앞당겨서 맞춘 바 있다.54) 이 결과 2009년 1월

기준으로 미국의 총 핵탄두 보유수는 5,200여개 고, 이 중 배치되어 있는 전략핵탄두는

2,200개,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탄두는 약 2,500개에 달했다(나머지 500개는 전술핵탄두이

다). 이 외에 4,200개의 핵탄두가 해체를 기다리고 있는데, 이는 부시행정부가 2004년에

2012년까지 미국의 핵탄두 보유량을 거의 50% 가량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에 따르는 조치를

이행한 결과이다. 이 조치도 2007년 12월까지 마무리되어 예정보다 5년 이상 앞당겨진 것이

다. 여기에 추가로 2012년까지 약 15%의 감축이 더 진행되면 미국의 핵탄두 보유량은

4,600개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다.55) 2010년에 미국과 러시아가 체결한 신전략무기감축협정

(New START)에 따르면 양국은 전략 무기의 상한선을 전략 핵탄두 1,550개, 실전배치 전략

적 핵무기 운반수단 700개, 실전배치 및 미배치 전략적 발사 수단 800개로 설정하는 데에 동

의하는 등 중단기적으로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핵군축은 지속될 전망이다.

2. 핵무기와 번역: 확장억지

미국이 러시아와 지속적으로 진행시키고 있는 핵군축을 통해 향후 현재 New START의 지

침처럼 1,500개 이하 수준에서 미국의 핵무기 보유가 유지될 것이다. 이런 수준의 핵무기로

미국 본토를 향한 핵공격에 한 억지력을 발휘할 수는 있다.56) 하지만, 미국의 확장억지력

한 신뢰도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즉 핵무기와 관련해서 미국과 동맹국들 사

이에서 아직 번역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2010 NPR에서 명시된 함상발사순항미사일의 퇴역 조치는 이를 구체적으로 치할 만한

내용의 제시가 없다는 점에서 미국 확장억지의 근간에 한 한국과 일본의 의구심을 자아낸

바 있다.57) 한국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핵무장 및 중국의 핵전력 강화 움직임에 응해야 하는

54) SORT는 미국의 부시 통령과 러시아의 푸틴 통령이 2002년 5월에 서명했는데, 이 조약에 따르면

양 측은 전략 핵탄두 수를 2012년까지 1,700~2,200개 수준으로 감축하기로 되어있다. SORT에서는

배치되지 않고 저장되어 있는 핵탄두의 숫자는 고려하지 않았다.

55) Robert S. Norris and Hans M. Kristensen, “Nuclear Notebook: U.S. Nuclear Forces,

2009,”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65-2 (March/April 2009), p. 60.

56) Ivo Daalder and Jan Lodal, “The Logic of Zero: Toward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Foreign Affairs 87-6 (November/December 2008), pp. 80-95.

57) 이에 해 한국에서는 이미 자체 핵무장이나 주한 미군의 전술핵 재배치가 공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이러한 주장은 실제로 한국이 핵무장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보다는 그러한 압박을 통해

중국과 북한에 보다 분명한 의사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움직임 자체

Page 2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일본으로서는 핵을 포함한 군사력의 증강에 해 심각한 고려를 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전

력의 재조정을 통해 확보하는 전략적 유용성만큼 한국과 일본으로서는 독자적인 군사력을 보

강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된다는 점에서 미국의 국방정책 조정은 동아시아에서 미국 동맹

국의 군사력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상황의 전개에 따라서 한국과

일본 내의 안보불안 심리가 강화된다면 북한과 중국의 핵전력에 응해야 하는 양국에 핵무

장을 포함한 적극적 정책 안을 모색하라는 압력이 거세질 가능성도 있다.58)

실제로 일본은 최근 공표된 2010 방위계획 강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북한의 군사

적 동향과 중국의 군사적 불투명성에 해서 경계감을 강하게 표현한 바 있다. 특히 중국의

급속한 군사력 현 화, (핵무기를 포함한) 원거리 작전 및 투사능력의 강화 등에 한 우려가

이번 방위계획 강에서 분명히 제기되었다. 물론 부분적으로는 중국과의 안보협력의 필요성

도 강조되기는 하 으나, 방점은 중국의 군사력 현 화에 한 고민에 주어졌다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일본이 궁극적으로는 위협요인에 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국

과의 협력 강화와‘동적 방위력’으로 군의 첨단화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중국도 이런 일본의

움직임을 자국의 전략적 이해에 악 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할 소지가 남아있다.59) 이러한 부

정적인 전략적 연쇄반응은 비확산 국제정치에서 핵무기의 역할과 기능을 번역하는 작업이 단

순하지가 않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준다.

3. 핵의 평화적 이용과 번역

비확산 국제정치에서 핵이 가지는 향력은 비핵 국가를 중심으로 강조되고 있는‘핵의 평

화적 이용’과 관련된 움직임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최근에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에 한

우려로 인해 상 적으로 안정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핵에너지에 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특히 2005년 이후 그간 핵발전소가 없던 국가 중 27개국 이상이 핵발전소의

신규 건설을 선언하 다. 이들의 절반은 소위 개발도상국이다. 이들 국가의 계획이 예정 로

진행된다면 2030년에는 지금의 두 배 규모로 핵에너지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

다. 국제사회에서 확산방지에 친화적인 핵연료주기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아

직 이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장치가 효율적으로 구축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60)

현재까지 논의되어온 연료임 계약, 농축 및 재처리 방지협정, 구적 핵연료공급 방안 등

에 한 국제사회의 합의에 뚜렷한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핵발전을 새롭게 시작하는 국가의

핵연료주기가 NPT 체제 하에서 관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이는 국제 비확산 노력에 새

로운 도전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미 2010년 5월에 개최된 제8차 NPT 검토회의에서 비핵국

가 한국에 비생산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크다. 여기에 해서는 Ralph A. Cossa, “U.S. Weapons

to South Korea,”PacNet 39 (July 2011) 참조.

58) 고봉준, “동북아 평화와 새로운 군비경쟁의 극복,”한용섭(편), 『미중 경쟁시 의 동북아 평화론: 쟁

점, 과제, 구축전략』(서울: 아연출판부, 2010).

59) 박 준, “일본 <방위계획 강 2010>과 한국 안보정책에의 시사점,”『EAI논평』16 (2010).

60) Sharon Squassoni, “Nuclear Energy Enthusiasm: The Proliferation Implications,”JPI

Page 2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가들은 농축 및 재처리 시설의 구축이 NPT에 보장된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 권리에 해당한

다는 주장을 강하게 한 바 있다.61) 따라서 핵의 평화적 이용권리에 한 주장을 비확산체제 내

에서 보다 성공적으로 다루지 못한다면 불안정한 상태로 지속되고 있는 NPT 중심의 기존 비

확산체제의 미래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62)

4. 더욱 난해한 번역: 북한과 이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현재의 비확산 체제는 북한과 이란의 일탈적인 행위로 인해 그 한계

에 봉착해 있다. 북한은 1990년 와 2000년 에 두 번에 걸쳐 NPT 탈퇴를 선언하면서 국제

적 우려를 야기함과 동시에 핵무기를 보유하는 상황까지 실질적으로 핵프로그램을 진행시켰

다. 이란도 2000년 초반부터 미신고 핵프로그램을 가동시켰다는 의혹을 강하게 받으면서

도, IAEA의 추가의정서를 비준하지 않고 핵무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국제적 우려를 증폭시키

고 있다. 물론 NPT에서 인정하고 있는 핵강 국 외에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도 NPT 외

부에서 핵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국가와는 달리 북한은 NPT의 탈퇴라는 일종의 자

충수를 두면서 NPT 체제에 근본적인 도전을 하고 있는 사례이다.63) 또한 이란은 NPT 회원

국이면서도 NPT의 안전협정을 준수하지 않고 있는 사례이다. 2003년 IAEA 이사회가 이란

의 안전협정 위반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하고,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란에게 농축우라

늄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요구했으나, 이란의 경우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북한의 사례는 세 가지 이슈를 제기한다. 우선 북한이 현재 NPT를 탈퇴한 상태이지만,

NPT 회원국으로서 최우선 과제인 핵비확산을 위반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에 한 처

리가 현재의 체제에서는 효율적이지 않다는 점이 문제로 남는다. 두 번째로 북한의 고농축우

라늄 프로그램은 국제 확산 네트워크의 도움을 일정 부분 받은 것이고, 이를 통해 핵무기관련

기술과 물자 거래를 통해 이득을 추구하는 행위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향후 비확산

체제에 지속적인 저해 요인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북한의 NPT 탈퇴는 향후에 NPT

체제의 비핵국가로서 지원을 받고 탈퇴하는 경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응책이 체제 내

61) 박재적, “새로운 원전 르네상스 시 의 도래: 핵비확산 체제의 위기?”배정호∙구재희(편), 『NPT 체

제와 핵안보』(통일연구원, 2010).

62) 최근에 일본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경험하면서 핵에너지에 한 열기가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들

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새로 원전을 건설하려던 국가들이 기존 계획을 재검토하는 사례들이 보도되고

있다. 비확산과 아울러 핵안전의 중요성이 새로운 국제적 의제로 부상한다는 주장에 해서는 함택 ,

“동북아 핵의 국제정치,”『한반도 포커스』제13호 (2011); James Goodby and Markku Heiskanen,

“The Fukushima Disaster Opens New Prospects for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Policy Forum (Nautilus Institute, 28 June 2011) 참조. 핵발전소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던

중국 내에서도 핵안전에 한 경각심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해서는 Wen

Bo, “Japan’s Nuclear Crisis Sparks Concerns over Nuclear Power in China,”SpecialReport (Nautilus Institute, 2 June 2011) 참조.

63) 북한의 사례는 기존의 전망과는 다르게 NPT 회원국이 비확산체제의 구속과 제재로부터 자유로울 수

도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자체적으로 강제력이 없는 비확산체제의 허점이 북

한의 사례로부터 전면에 등장한 것이다.

Page 2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에 준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64)

이란은 1979년의 혁명 이전까지는 민간 원자력 프로그램을 진행시키고 있었고, 이후 이라

크와의 전쟁 과정에서 해당 프로그램들이 중단되었다가 전쟁 이후에 핵 프로그램을 재개하여

1990년 초반 이후 상당한 정도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진척시켰으나 미국 등의 개입으로

프로그램의 정상 가동까지는 아직 이르지 못한 상태이다.65) 이란은 기본적으로 IAEA의 사찰

을 수용하고 안전조치에도 서명한다는 측면에서 북한보다는 다소 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

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란이 취하는 조치는 사후적이고 매우 소극적이라는 점에서 NPT 체

제의 안정성을 마찬가지로 위협하고 있다. 우선 이란은 IAEA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조치가 실시된 이후에 핵 활동을 부분적으로 시인하고 시간을 끄는 상황을 반복해서 연출하

고 있다. 즉 회원국으로서의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이란의 비 핵

프로그램도 국제 확산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았다는 증거들이 드러나면서 북한의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핵확산 네트워크의 활동에 한 우려를 야기하고 있다.66)

북한과 이란의 경우 모두 핵프로그램을 스스로 포기할 것으로 전망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기존 비확산체제의 강제력 또한 인상적이지 않기 때문

에 새로운 안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Ⅴ. 결론 및 제언

이 은 비확산 국제정치에 한 기존 이론적 논의의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안으로서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 다. 현재 비확산

국제정치의 네트워크에는 다층적 의미의 구조적 공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비확산체

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국제적 레짐 사이에는 연계가 미약하다. 따라서 그 기능이 부분 분절

적이고 비확산의 네트워크적 질서를 구축하는 데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핵보유국

과 비보유국, 그리고 비확산 허브와 확산 네트워크의 중심지 사이의 구조적 공백은 전통적인

국제정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처방으로는 메워지지 않고 있다. 미국은 네트워크적 관점을 도

입하여 비확산을 위해 전 세계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려 하나, 이는 아직까지는 넥슨

(Nexon)이 언급한 제국적 네트워크의 모습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어서, 여전히 공백이 포

함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67)

64) 주용식, “ 로벌 거버넌스로서의 핵비확산 체제의 현황,”배정호∙구재희(편), 『NPT 체제와 핵안보』

(통일연구원, 2010), pp. 68-69.

65) 최근 외신보도에 따르면 이 중에서 60MW급의 부셰르 원전은 정상 가동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

려지고 있다.

66) 황지환 (2008), pp. 75-77.

67) Daniel Nexon, The Struggle for Power in Early Modern Europe: Religious Conflict,Dynamic Empires, and International Chan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참조. 넥슨의 연구는 제국적 질서를 독특하게 정의한다. 제국은 허브와 바퀴살로 구성된 네트

Page 2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다른 한편으로 비확산 이슈와 관련하여 미국의 관심은 상 적으로 핵테러리즘의 방지 측면

에 치중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는 핵안보정상회의나 NPT의 부분적 성과들도 비확산의 근

본적 문제 해결보다는 보다 시급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핵테러리즘의 방지에 방점이 주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번(Bunn)이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핵테러리즘의 방지를 위해 미국과

핵보유국들이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있다.68) 가장 큰 과제는 핵무기(물질)의 재고의 안

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감축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진정한 문제는 이런 과제들을 추진함에 있

어서 기술적, 경제적 이슈보다는 정치적, 관료적 문제의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까지는 핵테러리즘의 심각성에 한 전반적인 동의가 아직 구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각

국의 핵프로그램 실태에 한 전반적인 파악도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비확산에 한 미국의 접근법은 부시 행정부 시기에 강조했던 불법 확산 네트워크

(illicit proliferation networks)의 향력과 불량 국가의 일탈적 성격에 한 판단을 기초

로 하고 있다.69) 일명“확산결정론(proliferation determinism)”은 불법 확산 네트워크가

핵무기의 확산을 결정적으로 초래함과 동시에 불량 국가들은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를 보유하

는 것으로 정책 결정을 내린 상태라고 판단한다. 문제에 한 인식이 이런 판단을 기반으로

하는 상태에서는 불법 확산 네트워크와 불량 국가들에 해 정권 교체(regime change)를

포함하는 보다 강경한 정책적 처방을 내릴 수밖에 없다. 서로 다른 행위자 간에 협상의 여지

가 굉장히 작아지는 것이다.

앞에서 논의한 것처럼, 다양한 레짐의 등장은 향후 비확산 거버넌스의 특징을 미리 보여주

고 있는지 모른다. 이들 레짐은 비확산 거버넌스에 있어서 네트워크 행위자들의 역할 증 를

의미한다. 또한 거버넌스 방식으로서 노드 중심보다는 네트워크 중심적 방식의 확산을 의미

한다. 칼러(Kahler)의 지적처럼, 네트워크가 여러 수준에서 작용하는 거버넌스로서 정치적

행위를 위한 방식으로 효율적일 수가 있는 것이다.70) 그렇다면 향후 비확산 국제정치를 네트

워크를 기반으로 풀어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행위자의 복합성, 핵이라는 비인간 행위

자의 향 때문에 비확산과 관련된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는 이미 분명해진 상황이다.

현재 미국이 구축하려고 하는 비확산 체제의 제국적 속성 때문에 비확산 네트워크상에서 한

국이 구조적 공백을 활용하여 중개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은 열려 있다. 주의할 점

은 한국이 네트워크의 판을 짜는 설계권력을 구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따

라서 기존에 미국이 구축하고자 했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판을 복합적으로 구상하는 것이

워크의 중심에 초강 국이 허브로서 존재하고, 바퀴살의 끝에 위치한 주변국들이 중간 매개자를 거쳐

허브와 연결되는 구조인데, 특이한 점은 주변국들 사이에는 링크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국들은

중간매개자나 허브를 통해서만 다른 국가들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68) Matthew Bunn, “Nuclear Terrorism: A Strategy for Prevention,”in Michael Brown,

Owen R. Cote Jr., Sean Lynn-Jones, and Steven Miller (eds.), Going Nuclear: NuclearProliferation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MIT Press,

2010).

69) Alexander H. Montgomery, “Ringing in Proliferation: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Network,”International Security 30-2 (Fall 2005).

70) Kahler (2009).

Page 2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기존에 구성되어 있는 비확산 네트워크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

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기다린다. 이에 해서는 잠정적이지만, 결국은 네트워크 공동체 또는

복합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기존의 네트워크들과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가야할 필요

가 있다고 생각된다. 기존에 동아시아에서 작동되고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상에서 한국이 동

시에 위치 권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나가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우선 고려할 점은 복합 네트워크의 중심부에 어떤 국가들이 위치할 것인지, 즉 한국이 포함

되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어떤 것인지를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비확산 네트워

크의 중심에는 군축과 NPT체제의 강화를 통해 비확산을 주도하는 미국과 러시아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들과 연결되지만 또 다른 소규모의 허브로서 중국, 국, 프랑스 등의 핵보유국

이 위치한다. 북한과 이란은 구조적 공백의 위치에 있으면서 현실적으로는 기회의 창이기보다

전체 네트워크에 부정적 향을 미칠 수 있는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

은 일본 및 호주와 함께 중개자의 입장에서 비확산에 새로운 동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71)

다음은 성공적인 번역의 전략이 필요하다. 구조적 공백을 메울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언어를

비슷한 의미의 언어로 치환시키는 작업을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기존 강 국 행위자들의 번

역 노력은 지금까지 그리 인상적이지 못했다. 비확산 네트워크에서 북한의 의도나 동기를 성

공적으로 번역하는 일은 이론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한국에게는 구체적인 실존의 문제이다.

북한을 비확산 네트워크의 다른 요소들과 결합시켜 안정적으로 포섭하기 위해서는 번역의 네

단계 전략 중에서 관심끌기와 등록하기 과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비확

산 네트워크에서 권력을 획득하는 일은 그 자체가 우리에게는 수단이자 목적이 될 수밖에 없

는 것이다.

이런 고려를 토 로 우리가 질서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비확산 네트워크의 모습은 다

음과 같이 전망할 수 있다. 비확산 네트워크는 개방성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점차 선호

적 연결의 확 가능성을 증 시키는 방향으로 구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결과로서 예상

되는 복합비확산네트워크는 일종의 네트워크 복합체라는 점에서는 최근에 논의되는 레짐복

합체와 유사성이 있지만 비확산이라는 핵심 이슈의 해결을 위한 내재적 실천의 가능성이 보

다 강조된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72)

한국이 주어진 개별적 네트워크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중개자의 역할을 수

행함은 물론 강 국들이 부과하는 표준이 놓치고 있는 부분에 해 보완하는 역할까지 수행

71) 비확산과 관련한 각국의 입장과 역할에 한 간단한 논의는 한용섭, “핵무기 없는 세계: 이상과 현실,”

『국제정치논총』제50집 ⑵호 (2010) 참조.

72) 레짐복합체에 해서는 Robert O. Keohane and David G. Victor, “The Regime Complex for

Climate Change,”Perspective on Politics 9-1 (2011) 참조. 코헤인과 빅터는 레짐복합체를“느

슨하게 연계된 일련의 레짐들(loosely coupled sets of specific regimes)”로 정의하고 이를 완전

통합적인 위계적 조직과 중심부가 없고 레짐 간 연계성이 희박한 파편화된 집합체의 중간 정도로 정의

하고 있다. 코헤인과 빅터가 설명하는 레짐복합체는 일정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에서 각

국의 실천과 연관이 있지만, 외부에서 형성되는 제도화의 과정이라고 본다면, 이 에서 주장하는 복

합비확산네트워크는 보다 실천적 의미가 강조되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age 2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할 때 네트워크상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비확산 국제정치에 해 단선적

인 접근을 불식하고 구조적 조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 한 자율적이고 생산적인 논의

를 주도할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행위자들과 다양한 방

식으로 연합할 수 있는 네트워크적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Page 2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1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참 고 문 헌

고봉준. “동북아 평화와 새로운 군비경쟁의 극복.”한용섭 편. 『미중 경쟁시 의 동북아 평

화론: 쟁점, 과제, 구축전략』서울: 아연출판부, 2010.

______. “세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군사안보 질서 전망.”『EAI 국가안보패널보고서』

(2011).

김상배. “네트워크 권력의 세계정치: 전통적인 국제정치 권력이론을 넘어서.”『한국정치학

회보』42집 4호 (2008).

______.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구조적 공백과 위치권력 이론의 원용.”『국제

정치논총』제51집 3호 (2011a).

______. “네트워크 이론의 국제정치학적 원용.”미간 원고 (2011b).

______. “한국의 네트워크 외교전략: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원용.”『국가전략』제17권 3

호 (2011c).

박 준. “일본 <방위계획 강 2010>과 한국 안보정책에의 시사점.”『EAI논평』16 (2010).

박재적. “새로운 원전 르네상스 시 의 도래: 핵비확산 체제의 위기?”배정호∙구재희 편.

『NPT 체제와 핵안보』통일연구원, 2010.

신성호. “부시와 오바마: 핵테러에 한 두 가지 접근.”『국가전략』제15권 1호 (2009).

이철기. “중국의 군비통제 및 군축정책: 평가와 전망.”『한국정치학회보』28집 1호 (1994).

조동준. “핵확산의 추세 vs. 비확산의 방책.”『한국과 국제정치』제27권 1호 (2011).

주용식. “ 로벌 거버넌스로서의 핵비확산 체제의 현황.”배정호∙구재희 편. 『NPT 체제와

핵안보』통일연구원, 2010.

하 선∙김상배 편. 『네트워크 세계정치: 은유에서 분석으로』서울 학교출판문화원,

2010.

______.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을유문화사, 2006.

한용섭. “핵무기 없는 세계: 이상과 현실.”『국제정치논총』제50집 2호 (2010).

한인택. “핵폐기 사례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례의 함의와 한계.”『한국과 국제정치』제

27집 1호 (2011).

함택 . “동북아 핵의 국제정치.”『한반도 포커스』제13호 (2011).

홍성욱 편.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이음, 2010.

황지환. “핵확산의 국제정치와 비확산체제의 위기.”『국제관계연구』제13권 1호 (2008).

Ahmed, Samina. “Pakistan’s Nuclear Weapons Program: Turning Points and Nuclear

Choices.”International Security 23-4 (Spring 1999).

Brown, Michael, Owen R. Cote Jr., Sean Lynn-Jones, and Steven Miller. eds. Going

Page 2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Nuclear: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MIT Press, 2010.

Bunn, Matthew. “Nuclear Terrorism: A Strategy for Prevention.”In Michael Brown,

Owen R. Cote Jr., Sean Lynn-Jones, and Steven Miller. eds. Going Nuclear: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national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MIT Press, 2010.

Burt, Ronald S.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Callon, Michel.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In John Law. ed. Power,

Action, and Belief: A New Sociology of Knowledg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86.

Castells, Manuel. “Information, Networks, and the Network Society: A Theoretical

Blueprint.”In Manuel Castells. ed. The Network Societ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heltenham, UK: Edward Elgar, 2004.

Cossa, Ralph A. “U.S. Weapons to South Korea.”PacNet 39 (July 2011).

Daalder, Ivo and Jan Lodal. “The Logic of Zero: Toward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Foreign Affairs 87-6 (November/December 2008).

Fuhrmann, Matthew. “Spreading Temptation: Proliferation and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International Security 34-1 (Summer 2009).

______. “Taking a Walk on the Supply Side: The Determinants of Civilian Nuclear

Cooperation.”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April 2009).

Ganguly, Sumit. “India’s Pathway to PokhranⅡ: The Prospects and Sources of New

Delhi’s Nuclear Weapons Program.”International Security 23-4 (Spring

1999).

Goodby, James and Markku Heiskanen. “The Fukushima Disaster Opens New

Prospects for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Policy Forum. Nautilus Institute,

28 June 2011.

Grewal, David Singh. Network Power: The Social Dynamics of Globaliz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8.

Hafner-Burton, Emilie M., Miles Kahler, and Alexander H. Montgomery. “Network

Analysis for International Relations.”International Organization 63-3 (2009).

Kahler, Miles. ed. Networked Politics: Agency, Power, and Governa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Keck, Margaret E. and Kathryn Sikkink. Activists beyond Borders: Advocacy

Page 2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3핵비확산과 네트워크 세계정치 □ 고봉준

Networks in International Politic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Keohane, Robert O. “International Institutions: Can Interdependence Work?”Foreign

Policy 110 (1998).

Keohane, Robert O. and David G. Victor. “The Regime Complex for Climate Change.”

Perspective on Politics 9-1 (2011).

Latour, Bruno. Reassess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 Theory.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Maoz, Zeev. Networks of Nations: The Evolution, Structure and Impact of International

Networks, 1816-2001.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Montgomery, Alexander H. “Ringing in Proliferation: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Network.”International Security 30-2 (Fall 2005).

Nexon, Daniel. The Struggle for Power in Early Modern Europe: Religious Conflict,

Dynamic Empires, and International Chan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Norris, Robert S. and Hans M. Kristensen. “Nuclear Notebook: U.S. Nuclear Forces,

2009.”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65-2 (March/April 2009).

Sagan, Scott and Kenneth Waltz.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

New York: W. W. Norton, 2003.

Sagan, Scott. “Why Do States Build Nuclear Weapons?: Three Models in Search of A

Bomb.”International Security 21-3 (1996/97).

Solingen, Etel. “The Political Economy of Nuclear Restraint.”International Security

19-2 (1994).

Squassoni, Sharon. “Nuclear Energy Enthusiasm: The Proliferation Implications.”JPI

PeaceNet, 2010-7. Jeju Peace Institute, 2010.

Teng, Jianqun. “중국의 핵보유정책.”배정호∙구재희 편. 『NPT 체제와 핵안보』통일연구원,

2010.

Thompson, Grahame F. Between Hierarchies and Markets: The Logic and Limits of

Networks Forms of Organ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Waltz, Kenneth. “Peace, Stability, and Nuclear Weapons.”IGCC Policy Paper. University

of California Institute of Global Conflict and Cooperation, August 1995.

Wellman, Barry and S. D. Berkowitz. Social Structures: A Network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Wen, Bo. “Japan’s Nuclear Crisis Sparks Concerns over Nuclear Power in China.”

Special Report. Nautilus Institute, 2 June 2011.

Page 3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Non-proliferation and Network Politics :Theory and Practi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Bong-Jun Ko

This study tries to lay a foundation for a new approach to non-proliferation politics. Toward

this end, it compares existing models for explaining non-proliferation politics and reviews some

of the important practices based on the models. This study argues that previous efforts have

shown critical limitations in dealing with the complexities of non-proliferation politics, and

suggests an approach based on network politics a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Introducing the concept of network politics to the issue of non-prolife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complex network of non-proliferation that can operate

with the issues of security and peace and various actors embedded in non-proliferation politics in

a more balanced and practical manner.

The opportunity for Korea and other concerned parties to utilize structural holes in the

complex network of non-proliferation and to play an efficient role of broker remains open. In

this regard, it can be hardly overemphasized that grasp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to

which parties belong is the first step, and a good translation in that network is the second, toward

effective practices. In doing so, the complex network of non-proliferation should maintain a high

level of openness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referential connections.

투 고 일 :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2월 26일

3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3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녹색성장론의 정치경제적 등장원인과 이론적 문제*

이 연 호**

(연세 학교)

【한 초록】

UNESCAP의 주도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녹색성장론(Green Growth)이 등장하

게 된 데에는 경제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이 병존한다. 지속가능발전론은 경제성장이 환

경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향을 통제하기 위해 규제적 방식을 주로 활용하 고 그 결

과 시장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낼 유인요인이 다소 약했으며 환경친화적 경제방식이

무엇인가에 한 해답을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지속가능발전론에서

파생한 녹색성장론은 경제성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성취할 수 있는 경제적 그리고 정

책적 안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지역 개도국들의 관심을 유발하 다. 아울러 이

이론은 단기간에 경제적 성장을 성취하고자 하는 이 지역의 개도국들이 사회발전이나

민주화와 같은 정치사회적 부담을 다소 덜어내고 경제성장과 환경보호의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명분도 제공했다. 녹색성장론이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할 현실적 안이라는 점

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으나, 이론적 완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다수의 과제

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UNESCAP의 주도하에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개도국들을 중심

으로 전개된 녹색성장론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문제들을 검토하고 있다.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서론

Ⅱ. 지속가능발전론과 녹색성장론

Ⅲ. 녹색성장론의 주요정책과 시장주의

Ⅳ. 아시아-태평양 개도국과

UNESCAP의 녹색성장론

Ⅴ. 결론: 녹색성장론의 정치경제적

문제와 발전과제

∙주제어: 아시아태평양, 개발도상국, 녹색성장론, 지속가능발전, 시장주의, 정치경제, 발전, the Asia-Pacific, green growth, sustainable development, marketideology, political economy, development

� 차 례 �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분야 기초연구지원사업)으로 한국연구재단(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과제번호: KRF-2009-327-B00039).

**논문이 개선될 수 있도록 좋은 의견을 준 심사자들에게 감사드린다.

Page 3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서 론

아시아태평양지역은 총지구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인구의 61%가 거주하고 있

다. 지난 반세기동안 이 지역은 가장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보여주었으며 1, 2차산품의 주요

공급지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그 간의 경제적 성장이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온 것은 아니

었다. 무엇보다도 이 지역에서 전개된 급속한 산업화가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

여왔음을 간과할 수 없다. 예컨 농업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진행된 관개사업의 향으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할 조짐을 보이고 있고 화학비료의 사용증가율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나고 있어 토질의 악화가능성이 심화되고 있다. 농업용지 확보를 위한 개간사업이나 광물

생산을 위한 무분별한 산지훼손으로 인해 피해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산업화와 도

시화에 따른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 자연파괴를 가속화하고, 산업쓰레기의 포화, 화석연료의

남용으로 인한 공해, 그리고 생활용수의 부족현상 등 환경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국가들은 빈곤문제의 해결을 위해 여전

히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지역 빈곤층의 약 80%가 거주하고

있는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1) 이 지역 부분의 국가들은 경제성장과 환경의 보호를 동시에 달

성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환경의 훼손으로 경제성장의 가능성이 저하되고 경

제적인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기 전에 두 가지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환경요인에 한 별다른 고려 없이 경제성장을 성취해온 OECD회원국을 포

함한 선진국들의 전철을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

2005년 UNESCAP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은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 그리고 UNEP

(UN Environment Programme)의 협조를 받아‘2005 아태지역환경현황보고서’(State

of Environment in Asia and the Pacific 2005)2)를 작성했다. 이를 계기로 아시아 태평

양 지역에서의 녹색성장(Green Growth)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 된 것도 동지역의 이러한 현

실을 반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보다 앞서 1982년 유엔총회가‘세계자연헌장’을 채택한데

이어 1987년 유엔총회에 의해 구성된‘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WCED: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가‘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제하의 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1)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모든 국가들이 개발도상에 있거나 심각한 빈곤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다. 유

엔경제사회이사회(UNECOSOC: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산하의

UNESCAP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에

는 53개의 회원국과 9개의 준회원국이 가입해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도 일부 포함한다. 그러나 이

지역의 OECD회원국 및 싱가포르 등을 제외한 절 다수의 국가들이 빈곤으로 발생하는 경제사회적 문

제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UNESCAP의 주도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개발도상국들이 논의하고 있

는 녹색성장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밝힌다.

2) UNESCAP, State of the Environment in Asia and the Pacific (Thailand: UNESCAP,

2006a).

Page 3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7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논의가 본격화된 바 있다. 지속가능발전은 경제발전, 환경보호 그리고 사회발전을 동시에 성

취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2000년 중반에 들어서면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국

가들을 회원으로 하는 UNESCAP은 녹색성장론(Green Growth)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지속가능발전론의 기본정신은 승계하되 이를 구현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보다 경제학적이고

정책적이며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UNESCAP은 근본적으로 녹색성장론이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강조한

다. 하지만 양자간에는 접근법에 있어 입장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3) 무엇보다도 UNESCAP은

지속가능발전론이 빈곤탈출을 위해 경제적 성장을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아시아태평양지역

소재 개도국의 상황을 적절하게 반 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지속가능발전이 단순히

공해억제와 같은 환경개선적 성과에만 집중하고 있을 뿐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이 무엇인지 그

리고 이 것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에 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공해물질의 배출억제라는 것은 단순히 생산의 결과물에 한 규제일 뿐이며 이러한 결과를

도출한 생산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향에 해서는 아무런 처방도 제시해주지 못한다고 강조

한다. 동지역의 개도국들이 빈곤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적이고 환경효율적인

경제방식이 새롭게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4) 비록 녹색성장론이 지속가능발전론에서 파생

된 개념이기는 하지만 보다 실천적인 입장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는 이념적 차이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론으로부터 파생된 녹색성장론이 어떠한 이유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에서 등장하게 되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론이 가지고 있는 어떤

문제나 한계로 인해 UNESCAP과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개발도상국가들이 녹색성장에 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는지 연구하려는 것이다. 물론 UNESCAP만이 녹색성장론

을 주창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서구선진국들 사이에서도 OECD의 주

도로 녹색성장론을 논의하고 있다. OECD는 지속가능발전의 달성을 위한 시장주의적 방안에

관한 연구를 1990년 중반부터 수행하여 녹색성장론의 경제학적이고 정책적인 기반을 마련

했다. 본 연구는 OECD의 시장주의적 입장이 아∙태지역의 녹색성장론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며, 연구의 초점은 주로 UNESCAP이 이 지역의 개도국을 상으로 논의

한 녹색성장론에 맞추어 질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아래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론과

녹색성장론을 비교이론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이어 녹색성장론의 구체적인 정책적 내용과 시

장주의적 속성을 분석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국가들이 UNESCAP의 주

도하에 녹색성장이라는 개념으로 전환하게 된 정치경제적 원인을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녹

색성장론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문제들을 지적하고 이론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과제가 해결되어야 하는지 논의하도록 하겠다.

3) UNESCAP (2006a); UNESCAP, Green Growth at a Glance: the Way forward Asia and thePacific (New York: UN Publications, 2006b).

4) UNESCAP, Greening Growth (Bangkok: UN Publications, 2008), pp. 8-13.

Page 3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Ⅱ. 지속가능발전론과 녹색성장론

본 논문의 주제인 녹색성장론(GG: Green Growth)은 근본적으로 지속가능발전론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파생한 개념이다. 우선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 개념은 1987년 발표된 소위 브룬트란트 보고서(Brundtland Report)를 통

해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본 보고서는 WCED(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활동의 결과물이다.5) 이후 이 개념은 UN과 관련하여 개최된 환경관련 주요회

의의 의제로 공식 채택되었다. 1992년 브라질 리오에서 개최된 환경과 발전에 관한 UN회의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와 2002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에서 개최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정상회담(UN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정식주제로 다루어졌다. 지속가능발전이란‘미래세 가 그들의 필요성

을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6)

지속가능발전론을 구성하는 세 가지의 요소는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of

economic growth), 사회발전(social development)과 환경보호(environment protection)

등이다. 따라서 지속가능론은 단순히 환경이론만은 아니며 경제, 사회적 이론의 요소도 강하

게 내포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당초 1970년 에 등장한 환경과 경제발전에 관한 고전적인

주장은 본래 염세적이고 부정적인 것이었다. 1972년 로마클럽(the Club of Rome)이 제기

한 소위‘성장의 한계’(the limits of growth)론은 산업화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어 결국 경

제성장자체가 한계에 도달할 것이므로 선진국은 경제발전정책을 중지해야 하고 후진국은 산

업화전략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 본래 2차 전 이후 유럽의 환경론자들은 산업사회가

구축해온 미래에 한 희망적 비전에 해 비관적이었다. 경제성장의 둔화, 에너지 위기의 전

조 등을 지적하며 산업성장에 의한 풍요의 시 가 막을 내렸음을 역설했다. 특히 생태론자들

은 인간 역시 생태적 환경하에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인간의 능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8)는 주장을 제기했다. 인구의 증가와 물질적 경제성장은 생태계에 위

협을 가하여 결국 스스로 붕괴를 자초하게 된다는 것이다.9) 산업화에 한 비판적 도전의 집

약체가 곧‘성장의 한계이론’이었다. 이로서 인간의 물질적 욕구에 기반한 양적 성장방식과

는 구분되는, 지속가능한 발전양식을 찾아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10)

1980년 에 들어 독일을 중심으로 생태적 근 화론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방향으로 시각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경제성장과 환경파괴가 반드시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불가피하

다고 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산업부문에서의 에코(eco)혁신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유발

5) WCED, Our Common Fu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6) WCED (1987), p. 43.

7) D. H. Meadows, et al., Limits to Growth (New York: Universe Books, 1972).

8) 김판석∙사득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이해와 개념정립,”『한국정치학회보』32집 ⑷호 (1998), p. 75.

9) William Catton and Riley E. Dunlap, “A New Ecological Paradigm for Post Exuberant

Sociology,”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24-1 (1980); 김판석∙사득환 (1998), p. 75.

10) 김판석∙사득환 (1998), pp. 72-3.

Page 3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39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 생태적 근 화론의 핵심은 자원의 공급과

생태계의 수용력 안에서 생태효율성과 경제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

서 다양한 탈오염형 환경보호전략을 도입하여 비용을 절감하자는 것이 핵심이었다. 생태근

화론은‘빈곤은 환경의 최 적’이라는 말로 요약되기도 한다.12) 즉 경제성장과 환경보호가 병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속가능발전론은 이러한 생태적 근 화론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지속적 발전을 위한 조건

으로‘경제성장’과‘환경보호’뿐만 아니라‘사회적 발전’이라는 요인까지 고려했다. 넓게는

사회적 발전 좁게는 사회적 형평성이라는 요인이 고려될 때 비로소 환경요인을 배려하는 경

제성장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논리이다. 삶의 질과 인간의 기본적 필요(basic needs)가 충족

될 수 있는 사회가 구현되어야 비로소 경제적 성장은 지속적으로 성취될 수 있고13) 환경역시

보호될 수 있다고 상정한다. 빈곤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문제에 한 검토 없이 환경문제를

다루는 것은 무의미 하며 인간의 삶이 전개되는 환경과 사회는 분리되기보다는 동반되는 개

념이라 보고 있다.14) 이 이론은 환경보호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은 민주주의라는 주장과

도 연결된다. 즉 국가와 시장에 한 민주적인 통제를 통해 무분별한 경제성장욕구를 억제하

고 환경보호정책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15) 요컨 환경보호와 사회발전의 구현이라는

전제하에서 경제성장의 방식이나 정도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상에서 보듯이 지속가능발전모델은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적 그리고 사회중심적 개념이며,

시민참여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요소를 깊게 내포하고 있다.16) 2000년 189개국 표들이 모인

유엔정상회의에서 채택된‘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천년개발선언문’은 이 점을 아래와 같

이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17)

11) 김형국(편), 『녹색성장 바로알기』(서울: 나남, 2011), p. 37.

12) 김형국(편) (2011), p. 37.

13) Clive Geor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Governance,”The Journal ofEnvironment Development 16 (2007), p. 103; William Lafferty, “The Politic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Norms for National Implementation,”EnvironmentalPolitics 5-2 (1996), p. 189.

14) WCED (1987), p. 4.

15) Jeff Haynes, Third World Politics (Oxford: Blackwell, 1996), p. 173.

16) James Meadowcroft,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odes of Citizen,

Community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in William Lafferty (eds.), Governance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hallenge of Adapting Form to Function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04), p. 450; Anne McLennan and Wendy Yolisa Ngoma,

“Quality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Progress in Development Studies4-4 (2004), p. 282.

17) 이연호, “국제개발협력의 투명성과 정당성,”『평화포럼: 다자외교 강국으로 가는 길』제21권 ⑸호

(2009), p. 86.

Page 3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새천년개발목표 MDG: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1. 극심한 가난과 기아의 근절 (Eradicate extreme poverty and Hunger

2. 초등교육의 확 (Achiev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3.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한 확 (Promote gender equality and empower women)

4. 어린이 및 유아의 사망률 낮추기 (Reduce child mortality)

5. 임산부의 건강개선 (Improve maternal health)

6. 에이즈, 말라리아 등 질병퇴치 (Combat HIV/AIDS, malaria and other disease)

7.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장 (Ensur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8. 개발을 위한 로벌 파트너쉽 조성 (Develop a global partnership for development)

한편‘녹색성장’(Green Growth)이라는 용어는 2000년도 1월 29일자 이코노미스트

(Economist)지가 미국 예일(Yale) 학의 연구팀이 같은 해 다보스포럼(World Economic

Forum in Davos)에서 발표하는 신흥시장지표(Emerging Market Indicators)를 공개하

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8) 물론 일부 선진국가, 그 중에서도 표적으로 독일이 2000년에

재생가능에너지법을 입법하는 등 신에너지 시장을 확 하기 위한 노력을 선도적으로 경주하

지만 이 용어를 공식화하여 사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이 무렵부터 지속가능발전

론은 환경문제에 관한 거시적인 패러다임이므로 에너지와 기후문제 등 현실적 이슈에 응하

기 위해서는 보다 미시적이고 정책적이며 시장친화적인 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서

구학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19) 1992년 리우회담에서 선진공업국들이 이산화탄소

배출을 2000년까지 1990년 수준으로 감축하겠다고 선언했으나 달성하지 못했고 1997년의

교토기후협약에서 약속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목표 역시 달성하지 못했다. 이어 2009년 코

펜하겐 기후회의에서도 합의에 이르는데 실패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지구온난화에 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억제에만 얽매이기보다는 체에너지의 개발과 같은 기술혁신을 통하

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녹색경제를 활성화시켜 경제성장을 촉진할 새로운 접근법이 마련되

어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힘을 얻었다. 환경관련 주제의 두 축은 에너지 정책과 기후정책이

다. 전자는 화석연료 의존 방식으로부터의 탈피가 주축이고 후자는 온실가스에 처하는 방안

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에너지 정책은 다시 에너지 효율성의 제고와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보급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환경문제에 한 책을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세분화하여 실질

적인 방안을 모색하며, 아울러 시장행위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하

는 등 시장의 입장을 전향적으로 고려하고, 환경관련 기술혁신을 통해 시장의 확 를 도모하

자는 지적인 조류가 형성되었는데 이것이‘녹색성장론’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20)

18) “Emerging Market Indicators,”The Economist (29 January 2000), p. 130.

19) J. Sachs, Common Wealth: Economics for Crowded Planet (New York: Penguin Books,

2008); N. H. Ster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age 3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1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의 정부들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경기침

체가 발생하자 시장활성화 책의 하나로 녹색성장정책을 본격 추진하기 시작했다. 선진국들

의 모임인 OECD도 2009년부터 녹색성장을 본격적으로 언급하기에 이르 다. 동년 6월에

개최된 OECD장관급이사회의(OECD Ministerial Council Meeting)에서 공식적으로 녹색

성장전략(Green Growth Strategy)을 개발하기로 결정하 다.21)

그런데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녹색성장론이 개념적으로 공식화된 것은 이보다 앞선 2005

년 서울에서 개최된 환경과 발전에 관한 아태지역장관회의(Ministri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Asia Pacific)에서 다. 이 회의는 결과물로서‘녹색

성장에 관한 서울이니셔티브’(Seoul Initiative Network on Green Growth)를 채택하

다. 녹색성장론의 문제의식은 1) 아시아의 개발도상국들이 환경요소를 간과한 채 산업화를 달

성하고자 했던 선진국들의 실수를 극복해야 한다는 점과 2) 창의적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여

이를 법적으로 제도화함으로써 이를 추진할 수 있는 동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었다.22)

녹색성장론은‘쿠츠네츠 환경곡선가설’(Kuznets Environmental Curve Hypothesis)에

기반하고 있다. 경제성장과 소득불평등의 관계를 설명하는‘쿠츠네츠 역U곡선가설’은 경제

성장 초기에는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지만 성숙단계에 들어서면 소득분배가 개선된다고 상정

한다. 마찬가지로 쿠츠네츠환경가설 역시‘일국의 경제성장이 어느 정도 도달하 을 때 경제

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환경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은 경제성장이다’라고

상정한다.23) 즉 낮은 소득수준에서는 오염수준이 높아지지만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환경

상태도 개선된다는 것이다. 물론 녹색성장론이‘선성장 후환경’논리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

다. 다만 녹색성장론은 환경보호를 통한 지속적 발전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의 중요

성이 결코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환경기술이 개발되어 환경친화적 경제

성장이 실현되면 비용이 절약될 수 있고 경제성장도 지속될 수 있다는 있다는 것이다.

녹색성장론은 환경보호와 경제성장간의 관계를 긍정적인 선순환관계로 전환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환경보호를 지속적 경제성장을 담보할 중요 조건으로 간주한다. 예컨 환경친화적

기술의 발전은 자원의 가용성을 제약하기보다는 오히려 기술혁신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을 강

화하여 시장확 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24)는 것이다. 아울러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 환경

효율(eco-efficiency)을 향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 환경효율적인 경제계획, 환경효

율의 향상을 담보할 경제 및 법적 제도의 확충, 환경친화적인 재화와 서비스 시장의 육성, 생

산단위당 소모되는 자원의 절약, 그리고 생산에 있어서 산업생태적 지식의 적용 등이 구현되

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소비에 있어서도 환경효율을 개선해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환경 친화

적인 재화와 용역의 확 와 소비에 있어서의 3R (Recycle, Reuse, Reduce)개념을 정착해

20) 김형국(편) (2011), pp. 21-2.

21) OECD, Towards Green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2011), p. 3.

22) UNESCAP (2006b).

23) UNESCAP (2006b), p. 14.

24) M. A. Porter, “America’s Green Growth Strategy,”Scientific American 264 (1991).

Page 3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녹색(Green) GDP, 녹색회계(Green Accounting)와 같은 효과

적인 정책결정 및 정책도구의 개발 필요성을 강조한다.25)

녹색성장론에 있어서 환경효율(eco-efficiency)은 매우 핵심적 개념이다. 지속가능발전론

만 하더라도 공해배출억제와 같은 규제를 통한 억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

한 규제적 방식이 적용될 경우 환경요인은 경제성장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

라는 게 녹색성장론의 입장이다. 그보다는 환경효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환경요인이

경제성장에 기여케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자는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입장에 서있다.26) 나

아가 체에너지의 개발과 같은 기술혁신을 통해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녹색경제를 활성화시

켜 경제성장을 촉진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후발개도국들에게 환경오염을 이유

로 경제개발을 포기하라고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녹색성장론에게 더

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개도국들이 경제성장을 환경친화적이고 시장친화적인 방식으로 달성

하게 하자는 것이 녹색성장론의 입장이다.

2008년 이후 미국, 일본, 국, 독일 등 선진국들 역시 녹색산업을 각광받는 신산업으로 간

주하고 적극적으로 육성정책을 수립했다. 이들은 녹색산업이 청정산업, 에너지산업, 바이오

산업 등과 연관되면 IT산업보다 파급효과가 광범위하고 무엇보다도 일자리 창출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는 기 를 가지고 있었다.27) 이처럼 녹색성장론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도상국들에 의해서도 광범위하게 지지를 받는 환경이론으로 부상하 다. 녹색성

장론이 각광을 받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시장친화적 이론을 제시하고 있어 시장행위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동기를 유발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래에서 이 점에 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다.

Ⅲ. 녹색성장론의 주요정책과 시장주의

앞서도 언급하 듯이 녹색성장론은 근본적으로 지속가능발전론에서 진화한 것이다. 따라서

양자를 립적인 것으로 볼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방법론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전자가 후자에 비해 시장원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예컨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속가능론은 직접적인 억제방식

을 활용하는데 비해 녹색성장론은‘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같은 시장친화적 정책을 선호한

4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5) UNESCAP (2006b), pp. 13-4.

26) Rae-Kwon Chung and Aneta Nikolova, “Concept and System Change in the Asian and

Pacific Region,”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in 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Rae-Kwon

Chung, “Prospects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Asia and the Pacific,”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 Asian and the Pacific(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27) 미래기획위원회, 『녹색성장의 길』(서울: 중앙북스, 2009), pp. 30-5.

Page 3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3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다. 녹색성장론이 시장주의화하게 된 데에는 지속가능발전에 한 시장주의적 안을 모색해

온 OECD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UN과 OECD는 제도적 협력관계에 있는 국제기구이

다. 특히 지속가능발전문제와 관련해서 OECD는 1990년 부터 UN과 보조를 함께하고 있다.

1998년도에 OECD는 지속가능발전을 기관의 최우선과제로 설정하기에 이르 다. 다만 지

속가능성이라는 목표에는 전적으로 동조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성취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OECD는 다소 다른 입장을 견지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론이 주장하는 규제중심의 방법이

현실에서는 지속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90

년 중반부터 OECD는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효율중심적(cost-efficient)인 안

을 모색하는 작업에 착수하 다.28)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세계정상회담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은 지속가능발전논의에 시장주의적이며

정책중심적 안을 도입하기 위한 OECD의 노력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회의에서

OECD는‘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시장의 작동’(Making marke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그리고‘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결정의 강화’(Strengthen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등의 아젠다를 제시하 다.

전자는 가격메커니즘을 도입하여 모든 개별행위자들이 자신들의 결정으로 인해 타인에게 부

과되는 비용을 스스로 감내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세금이나 양도가능한 면허

(tradable permits)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외부효과(externalities)의 발생을 최

소화하고 시장의 실패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는 정부의 정책결정제도를 보다 투명

하게 하고 중과 민간의 참여를 허용하도록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과학과 기술

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의 창출’그리고‘ 로벌라이제이션과 기술적 진보의 혜택이 고르게 분

배될 수 있도록 시장을 개방하며, 정책을 보다 일관성 있고 상호지지적일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제시하 다.29)

그 후 OECD는 2005-2008년 기간동안 소위‘지속가능발전을 위한 OECD 전체 프로그

램’(OECD Horizontal Programme on Sustainable Development)을 수행하여‘지속가

능하지 못한 보조금 제도의 개혁’, ‘굿 거버넌스 개혁’,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위한 효

율적인 정부정책의 모색’등 일련의 시장주의적 제도개혁 연구를 추진하 다.30) 마침내 2008

년도 금융위기 발생 이후에는 녹색성장론을 공식화하여 논의를 진행했다. 2009년 6월에 개

최된 OECD 장관급회의(Ministerial Council Meeting)에서 참가국 장관들은 환경과 경제

성장은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하고 녹색성장전략(Green Growth

Strategy)을 개발하기로 합의하기에 이르 다.

28) Jean-Philippe Barde, “Making Markets Wo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ECD

Approach,”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p. 177.

29) Barde (2010), p. 178.

30) Barde (2010), p. 179.

Page 4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OECD는 생산성의 향상, 혁신의 기회, 녹색기술/서비스/상품/일자리를 창출하는 새로운 시

장,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신뢰의 구축, 자원가격의 안정화 그리고 공공지출

의 효율성제고를 통한 안정화 등을 통해 녹색성장이 성취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31) 아울러,

공해나 천연자원의 사용을 세금이나 배출허가권 등으로 환산하여 가격화하는 방식을 제안하

거나 잘못된 보조금제도를 폐지하고 가격중심의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을 때를 비하여 규

제적 제도를 설치하되 결과중심적인 것으로 설계하는 등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32) 이러한

가격 중심 제도의 장점은 공해와 같은 외부효과 요인들을 내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천연자원

과 같은 생산요소들을 적절하게 가격화할 수 있도록 가격 신호체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리하여 가장 최소한의 비용으로 환경해악적 요인들을 축소하기 위한 행동에 인센티

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33) 이러한 시장중심적 방법이 있어야 녹색혁신(green

innovation)도 가능해 진다고 주장한다. 요컨 시장중심적 방식의 핵심은 천연자원을 효율

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해서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해를 배출하는 행위는 보다 비용소모

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세금(tax)과 면허(permit)등을 제안

했던 것이다.

이러한 OECD의 시장주의적 입장은 유럽의 선진국들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언급할 아시아

등 태평양지역 국가들이 시행하는 녹색성장론의 기반이 되었다. 현재 한국은 물론 선진제국

에서 운용되고 있는 녹색성장정책의 주요한 시장주의적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녹색

성장정책은 녹색기술의 개발을 지원하는 산업정책 뿐만 아니라 재정정책, 금융정책 그리고

규제개혁 정책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산업정책측면은 녹색산업관련기술을 개발하여 산업화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우선 에너지 계통의 혁신 사업으로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 조명

기기의 보급, 전기의 수요와 공급을 IT로 제어하는 스마트 그리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연

료전지개발 같은 것들이 있고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는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조력발전, 조

류발전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재정정책은 재정지원과 조세체계의 개편이 핵심이다. 예컨 1990년 북구의 국가를 중심으

로 시작되어 캐나다, 프랑스, 독일, 국 등에서 도입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세, 일본이

온난화 응차원에서 도입하고 있는 환경세, 국이 도입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근거

한 자동차세 등이 포함된다. 재정정책과 관련해서는 녹색생산설비, 교통, 건축, 국토개발 등

녹색자원의 축적을 지원하고 녹색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재정을 지원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녹색금융이란 녹색성장에 필요한 자금이 금융기관을 매개로 하여 녹색산업에 집중 공급되

도록 하는 것이다. 금융회사가 판단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기업에는 자금 출을 억제하고

친환경 사업을 도모하는 기업에는 자금을 풍부하게 공급하는 것이 그 예이다.34) 탄소배출권거

래제 역시 녹색금융정책이 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배출권거래제도란 온실가스 배출 권리를

31) OECD (2011), p. 9.

32) OECD (2011), p. 35; Barde (2010).

33) OECD (2011), p. 38; Barde (2010).

34) 김형국(편) (2011), p. 74; 기본법 제28조.

Page 4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5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제도를 의미한다. 각 국가가 배정 받은 할당량 미만으로 온실가스를 배

출할 경우 남은 여분을 타국에 팔 수 있고 이를 초과할 경우 타국으로부터 구입한다. 할당량

은 국가별로 배정되며 이를 거래하는 주체는 민간기업들이다. 금융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를 갖고 있는 고객들에게 탄소배출권 관련 업무를 행해 주기도 하고 배출권 자체에 투자를

하기도 하며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의 형태로 거래할 수도 있다.

녹색규제개혁은 온실가스배출에 따른 기후변화의 문제를 시장실패를 유발하는‘외부효과’

(externality)의 문제로 접근한다. 온실가스 배출은 비록 고의는 아니어도 제3자에게 피해를

준다. 따라서 온실가스를 배출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어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다.35)

시장의 실패가 발생할 경우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단 정부는 비용 비 효과

가 높은 규제수단을 발굴하고 기존의 규제를 시장친화적으로 개혁하여 외부효과의 발생을 최

소화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이상에서 보듯이 전체적으로 녹색성장론은 정부가 규제를 통해 직접적으로 시장을 통제하

기보다는 시장중심적인 제도개혁을 통해 환경친화적 경제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시장행위자들

로 하여금 이에 순응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정책적으로 구사하고 있다. 그러면

당초 지속가능발전론을 설파했던 유엔의 경제사회이사회(UNECOSOC) 산하 하부조직인

UNESCAP이 이처럼 시장중심적 속성이 강한 녹색성장론을 선제적으로 받아들이게 된 이유

는 무엇이었을까? 녹색성장론은 아시아태평양개도국들로 하여금 사회발전이라는 과제의 부

담을 덜어주는 측면은 있지만 시장주의적인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또 다른 부담

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산업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개도국들은 여전

히 국가주도적이고 중상주의적 경제성장방식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서 왜 이런 정책적 전환이 선제적으로 발생했던 것일까?

Ⅳ. 아시아-태평양 개도국과 UNESCAP의 녹색성장론

2000년도를 전후하여 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론에 한 몇 가지 문

제가 제기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이 이론의 내부에 이념적 모호함이 존재한다

는 것이었다. 지속가능발전론의 3요소 즉 환경보호, 경제성장 그리고 사회발전 간의 우선순

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이는 이론의 근본적인 한계로 지적되

었다. 예컨 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해 만일 경제성장이 억제되거나 포기되어야 한다면, 그리

고 저성장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빈곤으로 인해 사회발전이 후퇴하게 된다면 과연 이것이 바

람직한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사회발전을 위해서는 재화가 필요한데 환경보존을 위해

경제활동이 규제된다면 그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인간 역시 산업화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의 직접적 피해자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제성장의 후퇴로 국민의 기본적 필요

35) 김형국(편) (2011), p. 78.

Page 4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마저 충족되지 못한다면 환경보존으로 인해 성취될 사회발전의 이익은 상쇄되고 말 것이라는

주장이다.36) 사회발전을 위한 재정적 자원 역시 경제성장을 통해 조성될 수밖에 없다. 경제성

장과 환경악화라는 두 변수간의 상충적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논의되

지 않은 채 환경보존을 위해 자원개발을 억제하거나 정부가 기오염물질을 방출하는 산업시

설을 통제해야한다는 논리를 유지하는 한 지속가능발전론은 당면한 경제문제를 해결해야 하

는 후진국은 물론 선진국들의 지지마저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 봉착했다.

둘째로 지속가능발전론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 간의 발전문제에 관한 갈등 즉 남북문제

를 자극하는 결과를 낳았다. 문제의 근원은 환경오염에 한 근본적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

가 하는 점이었다. 피식민경험을 갖고 있던 부분의 후발개도국들은 환경오염은 역사적으로

서구에 의한 식민지 착취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역사적 특수성에 한 고려없

이 환경에 한 전세계적 기준을 자신들에게도 부과하는 것은 정당치 못하다는 주장이다. 서

구의 국가들이 후발개도국의 산림황폐화(deforestation)현상에 해 우려를 표명하며 이들

국가의 정부를 비난하지만 이들이 산업화를 위해 저지른 환경적 과오는 훨씬 더 심각한 것이

라고 강조한다. 게다가 IMF나 World Bank 등이 저개발국들에게 해외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서 시장을 더 개방하고 자원을 개발하라고 권고하면서 환경보호를 주장

하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라고 주장한다.37)

녹색성장론은 개발도상국 특히 1차 산품을 수출하여 경제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아시아

태평양지역 개발도상국들의 입장을 불편하게 하는 이론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노정했다.

즉 환경보존과 사회발전을 위해 경제성장을 억제해야 한다면 자원개발 등 1차산업을 통해 개

발자금을 마련하는 전략을 추구해 온 아시아지역의 국가들은 사실상 산업화를 통한 경제성장

의 달성이라는 목표를 포기해야 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논리가 성립된다.38) 게다가 지속가능발

전론은 사회발전 차원에서 인권의 문제를 언급함으로써 정부주도적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산

업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개발도상국들을 정치적으로 당황스럽게 할 여지가 많았다. 사

회발전의 문제는 정치적 민주화와도 쉽게 연결될 수 있는 여지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엘리트가 중심이 되어 관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정부를 수립함으로써 국가주도

적 발전전략을 추진하는 정부들은 국가의 목표를 물질적 성장 즉 경제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

고 있다. 정부는 국내외에 존재하는 발전자원을 육성하고자 하는 전략산업부문에 집중투자하

는 경향이 있다.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전략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시도하는 소위 불균형

성장정책은 계층간 그리고 산업부문간 소득격차를 확 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개발도상국의 정부는 재분배연합(distributional coalition)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면

서 자본의 총량을 확 하고자 중상주의적 전략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중상주의적

전략은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자원의 분배를 요구하는 국민적 저항에 봉착하기 쉽다. 게다가

국가와 자본간의 결탁을 촉진하는 결과를 유발하고 부패를 야기하기도 한다.

36) 이정전, 『녹색경제학』(서울: 한길사, 1995), pp. 88-90.

37) Haynes (1996), p. 172.

38) 김형국(편) (2011), p. 36.

Page 4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7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경제성장과 환경보존 그리고 사회발전을 동시에 지향하는 지속가능

발전론은 개발도상국들에게 정치적 부담으로 다가왔을 수밖에 없었다. 다수의 개발도상국

들은 1980년 신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1990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냉전구조가

해체되어 정치적 자유민주주의화가 촉진되자 심각한 발전의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심지어

개발원조제공문제에 있어서도 민주주의적 이슈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1990년

이후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남미의 저개발국 그리고 개발도상국들을 상으로 수행된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에 관한 연구들은 정책 수립과 집행단계에서 정부의 역할을 제

한하고 민간부문과 시민사회조직의 참여를 활성화한 경우 오히려 경제발전이 도모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39) 정책결정과정을 사회적 향력으로부터 격리한 경우 오히려 국가엘리트들

이 정책을 자의적으로 결정하고 집행할 뿐 아니라 부패를 유발하여 발전에 필요한 자원들을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들을 근거로 선진국들은 개발원조제공

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원조 사용의 투명성을 제고해줄 굿 거버넌스가 보장될 것을 개도국들

에게 요구했다. 굿 거버넌스는 정부의 투명성, 개방성 나아가 민간의 참여확 등을 중요 요

소로 상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권위주의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의 입

장에서 볼 때 심각한 약점이었다.

지속가능발전론이 지향하는 중요한 가치 중의 하나가 형평성인데 이 역시도 민주주의와 연

결되는 개념이다. 1987년의 브룬트란트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정의하면서 세

간의 형평성을 강조한 바 있다. 현 세 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경제성장을 추구하더라도

미래세 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다.40) 그런데 이러한 세 간의 수직적 형평성은 동시 의 지역간 그리고 계층간 형평성 즉 수

평적 형평성으로도 발전했다. 1992년의 UNCED의 결과물로 발표된‘의제 21’(Agenda 21)

이나 UN의 새천년선언(Millennium Declaration)에 기초한‘새천년개발목표’가 제시하는

사회개발목표의 핵심 역시 궁극적으로 형평성이다. 이처럼 형평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국가내

계층간 그리고 국가간 빈부격차가 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아울러 사회발전

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 때문이다.41)

지속가능발전론은 단순히 경제성장방법론이 아니며 사회적이며 정치적 성격마저 내포하고

있는 포괄적인 패러다임이다. 결국 경제성장이라는 실물적 목표가 환경보호와 사회적 발전이

라는 이상적 목표와 충돌함이 없이 조화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적 시스템이 필요

하다는 것이 지속가능발전론이 행간에 주장하는 논리라 할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목표가

인간의 기본적 필요의 충족을 상정한다면 이 것은 단순히 물질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자유, 평

등, 정의, 건강, 교육 등 비경제적이며 사회적인 가치까지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성장

과 더불어 정치사회적 발전이 필요하게 된다.42) 의제 21이 제안하듯이 국가간 그리고 남북간

39) B. C. Smith, Good Governance and Development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7), ch. 9.

40) WCED (1970), p. 43.

41) 이정전 (1994), p. 14.

Page 4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형평성의 제고를 위해 선진국들이 개발원조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인정하지만, 무분별하게

환경을 파괴하고 사회개발비용의 지출을 꺼리는 정부들에게까지 원조를 제공할 수는 없다는

것이 원조제공국들의 입장이다. 반면에 권위주의적 정부들은 발전자원을 분배할 수 있는 권

한을 확보함으로써 정치적 권력을 공고화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적 개

혁을 통해 정부의 독점적 권력이 약화되거나 정부주도적 산업화 추진능력이 약화되는 것을

용납하기 어려웠다.43) 이처럼 지속가능발전론이 환경보존을 위한 경제적 성장의 억제 그리고

정치사회적 개혁을 요구하는 이론으로 자리매김하자 개도국들은 이 패러다임에 전적으로 동

조하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했다. 개도국들의 입장에서 지속가능발전론은 선진국이 환경파괴

의 책임을 회피하고 개도국의 발전을 위한 기술 및 재정적 지원을 축소하려는 구실로 간주되

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지속가능발전론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개도국들이 가장

현실적으로 지향하는 목표 즉 경제적 성장을 가능케 할 경제적 그리고 정책적 이론을 결여하

고 있었다는 점이다.44) 환경보존론자와 산업성장론자 그리고 선진국과 개도국이 제각각‘지

속가능발전’의 3요소간 우선 순위를 자의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았다.45) 정작 경제성장과

환경간에 존재하는 상충적 관계-즉 경제성장은 환경파괴를 야기한다-를 긍정적인 관계로 전

환시킬 실질적인 방안을 설득력있게 제시하지 못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의 개발도상국들은 빈곤을 추방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경제성장을 절실하게 필요로 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속가능발전론은 환경의 보호를 위해 통제적 안(예컨 , 공해배출을 규

제하거나 자원개발을 억제)을 주로 제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적 방안들은 실질적으로 경

제성장의 기회를 축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장발전에 필요한 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시장유

인요인이 약해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더욱이 인구가 많고 1차산업에 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빈국들이 현재 유지하고 있는 생산과 소비의 패턴은 통제

적 방식만으로는 응할 수 없는 엄청난 환경재앙을 유발할 수 있었다.46)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경제성장 방식 그리고 시장의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경제성장 방식

이 무엇인지에 관해 지속가능발전론은 충분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환경을 경제성장 촉진요인으로 전환시켜 기술혁신을 유도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친시장적 요

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국가들은 여전히 경제성장을 환경보호나 사회발전문제보다 우선하여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경제성장 특히 GDP의 증가에 우선순위를 두되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상의 부정적 향을 최소화하고 사회정치적 이슈의 우선순위를 부

차화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현실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에

42) Peter Bartelmus, Environment, Growth and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1994).

43) 이연호, 『발전론』(서울: 연세 학교 출판부, 2009).

44) Sachs (2008).

45) 김판석∙사득환 (1998), p. 79.

46) UNESCAP (2008), pp. 8-10; 김형국(편) (2011), p. 36.

47) UNESCAP (2006a), p. 18.

Page 4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49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이르 다.47) 보다 미시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녹색성장론은 아∙태지역에서 이상의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으로 등장했다. 이

러한 패러다임상의 전환을 주도한 것은 UNECOSOC의 아시아 태평양지역을 담당한

UNESCAP(UN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환경문

제의 주무기관인 UNEP(UN Environment Programme) 그리고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이었다. 세 기관은‘아시아태평양지역환경현황보고서 2005’

(State of Environment in Asia and the Pacific 2005: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ility 2005)를 작성하고 경제성장 중심적 해결방안의 모색을 시도했다. 2005년 3

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5차 환경발전에 관한 아태지역장관회의는‘녹색성장’(Green Growth)

또는‘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을 아시아지역에 특화된 정책과제로 공인하기에 이르 다. 발전이라는 단어가 경제적 성장과

형평을 포괄하는 데48)서 생기는 모호함을 제거하기 위해 성장(growth)이라는 실질적인 개념

이 도입되었다.

녹색성장론이 모색되게 된 데에는 아시아 태평양지역-중앙아시아, 동북아시아, 서남아시

아, ASEAN 그리고 태평양 군도 지역-의 개발도상국들이 처한 현실적 절박함이 작용한 바가

크다. SOE 2005 보고서가 지적하는 문제들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49)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경제적 성장을 구가하는 지역으로 세

계적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했다. 1995-2002기간동안 38%의 산업생산측면의 성장이 이

루어 졌는데 이는 전 세계평균치(23%)보다 높은 것이다. 농업생산은 1990-2002기간동

안 60%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 부분의 상품들은 주로 수출을 위해 생산된 것들인데 이러한 생산활동이 공해 등 환경

적 위협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6개 국가들 중 7개의 국가들이 최저개발국

(LDCs: Least Developed Countries)이다.

● 급속한 경제성장은 소비능력의 확 에 기인한 바도 크다. 1990-2002기간동안 가구당

소비지출은 전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중국이 동 기

간 동안 해당 지역에서 가장 높은 소비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 이러한 생산 및 소비능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동지역의 가장 절박한 문제는 빈곤의 퇴

치이다. 아직도 6억7천만의 인구가 1일당 US1$(PPP환산기준)이하의 비용으로 생활을

위하고 있다. 경제적 빈곤은 의료복지의 빈곤을 유발하고 있으며 전세계에서 가장 높

은 아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 동 지역의 6억6천5백만에 달하는 인구가 위생적인 식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19억

48) 이연호 (2009).

49) UNESCAP (2006a).

Page 4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의 인구는 위생서비스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이처럼 식수

를 공급받지 못하고 위생서비스로부터 소외된 인구를 현재의 절반으로 축소하기 위해서

는 2015년까지 매년 US$80억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에너지, 위생 그리고 식수의 부족은 동지역 인구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서 인간복지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다.

이상에서도 보듯이 SOE 2005보고서가 강조하는 절박한 문제의 핵심은 환경오염과 더불어

경제성장이었다. 즉 인간복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경제적 성장을 통한 재원의 확

보라는 것이다. 지속가능발전이 상정하는 세 가지의 목표 즉 환경보존, 사회발전 그리고 경제

성장중 경제성장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재원이 확보되면 환경보존과 사회

발전을 통한 인간복지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환경보존과 사회발전을 우선시 하느라 경

제성장이 저해된다면 문제해결자체가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50) 동보고서는 녹색성장론이 지

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 전략이라고 강변한다. 빈곤층이 환경훼손의 최 피해자

인 만큼 환경지속가능성(MDG7)과 빈곤과 기아의 퇴치(MDG1) 목표는 동시에 달성되어야 한

다고 주장한다. 녹색성장은 바로 이 두 가지 목표를 집중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것이다.51)

이로써 녹색성장론은 지속가능발전론이 제기하는 세 가지의 목표중 우선 경제성장과 환경

보호 등 두 가지의 요소를 어떻게 조화롭게 달성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자는 당

초 1970년 에 환경보호론자들이 강조하듯 근본적으로 역비례의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었다. 따라서 녹색성장론의 핵심은 경제성장과 환경보호간에 존재하는 것으

로 믿어지던 역관계를 단절(de-link)하고 이를 조화롭게 만들 수 있는 논리와 방법을 모색하

고 있다. 경제성장을 먼저 달성하고 환경문제를 개선하자(grow first, clean up later)는 전

략은 환경개선비용을 증 시켜 결국 경제성장의 효과를 상쇄하게 될 것이라 주장한다.52) 따라

서 양자의 동시적 달성이 필요하다.

UNESCAP의 녹색성장론은 환경효율적(eco-efficient) 성장방식을 구현함으로써‘경제성

장=>환경악화’의 악순환을 단절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환경효율’의 개념은 생산과 소비 모

두에 적용된다. 당초 경제성장과 환경보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존 이론은

앞에서 언급한 소위 쿠츠네츠환경가설이다. 물론 이 가설은 보완이 필요하다. 경제적 성장이

환경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환경효율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할 경험적 증거가 보다 충분히 축적될 필요가 있다.53)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색성장론은

쿠츠네츠환경가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이 가설을 보다 설득력 있게 발전시키기 위

해 경제성장방식을 모색하는 근본적인 단계부터 환경요소를 고려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양

자를 분리하기보다는 하나로 통합시키는 발상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50) UNESCAP (2006a), p. 18.

51) UNESCAP (2006a), p. 21.

52) UNESCAP (2006b), p. 8.

53) UNESCAP (2006b), p. 14.

Page 4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1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녹색성장론은 생산중심 그리고 공해예방 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

러면서 강조하는 것이 환경효율개선책의 모색, 생산보다는 소비중심의 해결방안 모색, 그리

고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제도적 개선 등의 문제이다. 먼저 환경효율이란 생산과정에서 환경

요인이 미칠 수 있는 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초 이 개념은 민간부문(the private

sector)에서 제시한 것으로‘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비즈니스위원회’(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정의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54)

“환경효율은 수명주기 동안 환경적 향과 자원집약도를 최소한 지구가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능력수준에 맞도록 선제적으로 축소시키는 한편, 인간의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고 질적으로 우수한 삶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서비스를 제

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환경효율이 우선 적용될 수 있는 상은 생산측면이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역내외

지역으로의 수출을 도모하여 성장을 구가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수출중심의 경제성장전

략이 환경파괴에 미치는 향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동지역의 국가들은 경제성

장을 위해 산업생산능력을 증 시키거나 농업산출능력을 제고하는 전략을 추구하 다. 그로

인해 수자원, 에너지 그리고 목재 및 광물과 같은 원자재가 빠르게 고갈되고 있으며 아울러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가 가속화하고 있다.55) 따라서‘오염된 성장’(dirty industrialization)의

가가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56) 환경을 보호하려는 기존의 전략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공

해 즉 기 및 수질오염을 최소화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예컨 자동차의 이산화탄소배출기

준을 강화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공해를 축소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처럼 생

산측면에서 생기는 공해의 문제를 기술적인 개선이나 규제를 통해 해결하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것이 녹색성장론의 입장이다. 보다 총체적이고 근본적인 제도적 개선을 통해 환

경효율을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지역에서 환경효율의 개선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 소비의 측면이다. 그동안 생산

과정에서 환경의 과도한 착취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의 문제 예컨 기 및 수질오염 등 공해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산업폐기물과 같은 소비의 측면은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

데 빈곤층 인구가 많은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는 생산측면에서 발생하는 공해 이상으로 소비

측면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압력이 심각하다.

이 지역은 빈곤이 심각하여 실질적인 소비압력은 타지역에 비해 낮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

나 최소한 18개의 국가에서 현재의 소비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생물학적 생산

역(biologically productive area)은 현재 존재하는 실제적인 생산 역의 범위를 초과한

54)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asuring Eco-efficiency: AGuide to Reporting Company Performance (Geneva: WBCSD, 2000).

55) UNESCAP (2006b), pp. 3-5.

56) Chung (2010), p. 5.

Page 4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상태이다. 게다가 인구증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동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자원

은 감소하고 있어 증 하는 소비압력을 만족시키기 어렵다.57)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간접자

본의 확 역시 소비증 를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비압력을 심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동 지역에서 물과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건설은 선진국의 수준

에 따라 계획되고 있는데 이는 동지역의 자원보유능력을 상회하고 있어 필요이상으로 소비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다. 사회발전양상이나 자원집약적 산업화의 가속화가 지속되고 있는 점

을 두고 볼 때 공해의 증가와 폐기물의 증가가 거의 확실하게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정

도 경제성장의 궤도에 진입한 국가일수록 더더욱 환경효율적 소비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녹색성장은 환경효율을 제고하는 방법으로 제도와 정책적 개선을 통한 인센티브제공을 제

안하고 있다. 즉 공해, 오염 그리고 폐기물을 축소시키기 위해선 기술적 개선만으로는 부족하

며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발적으로 환경효율을 제고하는 행동을 취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기적 이익추구가 정당화되는 시장경제하에서는 환경자원을 보호하는 행동이 장려되지 않

을 개연성이 높다. 자원을 보호하기보다는 선점하여 개발하는 것이 보다 많은 이익을 제공한

다. 따라서 제도적으로 인센티브구조를 재설계함으로써 환경효율을 제고할 동기를 부여할 필

요가 있다. 예컨 녹색재정(green budget)이나 세제개혁(green tax reform)을 통해 환경

친화적 투자를 유도하고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 환경효율을 제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58) 이

러한 제도적 개혁을 위해서는 공공정책적 고려가 아울러 요구된다.

요컨 , UNESCAP을 중심으로 전개된 아태지역의 녹색성장론은 정치사회적 담론이기보

다는 경제적 그리고 정책적 담론이다. 경제성장과 환경보호라는 두 가지의 변수에 주로 집중

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경제성장이 환경을 악화시키지 않게 하는 기술적 방법 뿐만 아니

라 보다 근본적으로 환경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 개혁을 시도함으로써‘경제성장=>환

경악화’의 귀결을 개선하려는 시도이다. 경제성장 방식 역시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모색하는

방법론적 논의를 강조한다. 경제성장을 통해 환경보호와 궁극적으로 사회개발을 도모할 수

57) UNESCAP (2006a), p. 2.

58) UNESCAP (2006a), pp. 18-9.

59) UNESCAP (2006b), pp. 31-6.

녹색인센티브와 정책개혁59)

● 환경세제개혁(eco-tax reform)을 통한 환경개선비용의 제품가격반 및 시장실패교정

● 경제개발계획수립 수립에 있어서 환경효율개념을 도입하여 재정을 할당하는 재정개혁(eco-tax

and budget reform)

● 환경친화적 제품을 중심으로한 공공/민간기관의 녹색조달 (green procurement)

● 환경관련 공공정보 공개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 생산-폐기과정 감시장치 개발(product stewarship tools)

Page 4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3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지속가능개발론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지만 그 이면에 존재하는

철학적 기반은 보다 실용주의적이고 현실적이다. 그만큼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국가들이 당면

하고 있는 빈곤의 문제가 심각하고 산업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산 및 소비측면의 환경압력

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Ⅴ. 결론: 녹색성장론의 정치경제적 문제와 발전과제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개발도상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녹색성장론은 지속가능발전론에

비해 정치사회적 부담이 상 적으로 적으며 정책적으로 구체성을 갖고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색성장론이 당초에 상정한 목표 즉 환경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도

출해 내기 위해서는 아래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결

론적으로 분석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성장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경제성장과 환경보호간의 부정적 상관관계를 명확히

단절(delink)할 수 있는지에 해서 아직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쿠츠네츠의 환

경가설은 경제성장 수준이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환경보호에 오히려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

하지만, 이 것이 경제성장과 기오염이라는 제한된 변수간에 한정된 연구여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60) 경제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환경오염의 양상이 다원화되는 현

실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경제성장 요인만

을 고려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오염은 문화, 시민의식, 제도 등 비경제적 요인

과도 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제적 및 비경제적 요인에 한 종합적 고려 없이

환경오염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단순화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론이 사회발전

요인을 강조했던 이유도 이를 통한 인간복지의 증진이 환경파괴를 예방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경제적 가치가 전적으로 강조되는 상황에서

는 인간이 부의 창출을 위해 내몰릴 수밖에 없고 이는 불가피하게 환경파괴로 귀착된다. 환경

오염을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적 여건이 성숙화되는 것도 중

요하다. 아직까지 민주화와 환경보호간의 상관관계에 한 경험적 연구는 충분히 정립되지

않고 있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만의 사례를 보면 민주화 이후 환경보호에 관한 정

치사회적 운동이 활발해졌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아울러 녹색성장론이 지향하는 시장중심적 또는 환경효율적 논리가 과연 기 하는 만

큼의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지에 한 보다 경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에너지 사용억제나 절

60) Akihisa Mori and Kazuhiro Ueta, “Beyond Green Grow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st Asia,”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pp. 282-3.

61) Mariano Torras and James K. Boyce, “Income, Inequality and Pollution: A Re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Ecological Economics 25 (1998).

Page 5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약과 같은 접근법이 도외시된 채 오히려 사용확 를 유도하는 경향마저 보인다는 주장도 제

기되고 있다.62) 또 시장친화적 제도의 가장 표적인 예로 꼽히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가 기존의 규제적 제도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2007년 말 배

출권 거래제를 도입한 미국에서 이산화황이 단지 43% 감소한데 비해 직접규제방식을 사용한

EU는 71%를 줄일 수 있었다고 한다.63) 배출권거래제도가 당사자인 기업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효과에 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배출권의 양을 얼마나 할

당할 것인가 역시 정확한 추산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과도하게 할당이 될 경우 제도의 효

과가 미미하고 게다가 EU에서 한때 경험했듯이 배출권 폭락사태마저 발생할 수 있다. 이 제

도가 잘못 운 될 경우 기업들은 오히려 오염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정당화하게 되고 배출

권거래에 참여한 금융기관들 마저 엄청한 이익을 획득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시화

되고 있다.

환경효율적 논리도 의외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효율중심의 논리로 인해 원자력은 친환경

적 에너지로 정당화되고 있다. 원자력은 1KWh의 전기를 만드는데 10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

하는데 이는 석탄(991g)의 10분의 1수준이고 태양광(57g)이나 풍력(14g)보다도 적은 수준이

다.64) 이러한 통계는 방사성 폐기물이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적 향의 문제를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하게 하는 착시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경제적 논리가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 논리를 압도

함으로써 논란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신속한 경제성장을 통한 빈곤의 탈출을 계획하고 있는 개발도상국들이 환경비용을 감

당할 의사가 있을지도 불분명하다. 예컨 앞서 언급한 환경관련 세금부과는 결국 추가적인

생산비용으로 부담될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환경세금을 통해 확보된 재정은 일자리 창

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인 효과일 뿐 당장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을 우

려하는 개도국들은 생산과정에서 환경관련비용의 증 를 회피하려 할 것이다. 아울러 환경오

염의 결과가 자국이 아닌 타국에 향을 주게 될 경우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는 더욱 약화될

것이다. 예컨 중국의 기오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성비가 한국이나 일본에 향을 준다

하더라도 중국이 이를 해결하려 전력을 투구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또 관광업과 서비스업으

로 산업발전을 도모하려는 국가들에게 개도국수준에 걸맞는 소비패턴을 권장하는 것 역시 실

효성이 의문시 된다. 예컨 낙후된 위락환경에 외국관광객들이 올 가능성도 낮을 뿐만 아니

라 소비의 억제는 국내 부유층들이 해외로 나가 소비하도록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넷째, 녹색성장론의 전개로 인해 사회복지비용이 더욱 축소되는 결과도 예상된다. 환경친화

적 경제성장이 가능하다는 논리가 제기되면서 규모의 자금을 필요로 하는 산업프로젝트가

발주되고 이는 결국 국가재정의 사회복지 지출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친

환경적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토목사업이 환경지속가능프로젝트로 간주되어 규모

62) “녹색성장 핵심은 원자력?”『한겨례 21』제725호 (2008. 8. 28).

63) “녹색은 없고 성장만 있는 녹색성장,”『위클리 경향』878호 (2010. 6. 8).

64) “원자력=친환경 편향 홍보,”『위클리 경향』제878호 (2010. 6. 8).

Page 5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5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의 재정이 투입되면 상 적으로 사회복지비용의 확 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지속가능발전론이 강조하던 사회발전요소가 배제되면서 인간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비용들이 상 적으로 간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시장주의를 지향하는 녹색성장론이 사회적 약자의 보호를 위한 보조금의 지급에

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방하고 있는 것도 사회발전분야에 한 정부의 지출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녹색성장론에서 긍정적으로 간주하는 보조금은 친환경기술개발을 위한 보조

금지급 정도이다. 농업생산, 운송, 에너지생산 그리고 용수공급 등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보조

금은 낭비와 비효율을 유발하므로 정부는 가급적 보조금의 제공을 삼가야 한다는 것이 녹색

성장론의 기본입장이다.65) 이 경우 경제성장이 충분하게 이루어져 정부가 사회적 약자를 배려

하기 위한 재정을 마련할 때까지 사회발전은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UNESCAP의

녹색성장론은 이 문제에 해 명확한 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녹색성장론이 상정하는 환경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경우 이것이 전

지구적 공공재(public goods)로 간주될 것인지, 아니면 시장에서 거래되는 일반적인 재화로

통용될 것인지에 관해 뚜렷한 결론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지적하 듯이 그린테크놀

로지(GT: Green Technology)를 개발할 능력이 있는 한국과 일본의 입장은 매우 경제중심

적인 것이다. 예컨 한국정부의 경우 GT가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부가가치나 고용파급효

과가 매우 크다는 점을 국내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라면 GT를 일반적인 재화로

간주하여 아시아의 개발도상국들에게 시장을 통한 구매를 제안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환경효율개선을 도모할 기술과 제도를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선도국가들이 개발도상국들에게

최소한의 부담만을 주면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경제적이기보다는

정치적인 논의가 될 것이다.

아울러, 녹색성장에 있어서 실제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도 중요한 현실적 문제이다. 다국적 기업의 기술이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

기 보다는 오히려 이들의 상업적 이익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뿐이라는 비판은 매우 고전적인

것이다. 환경효율을 개선할 기술의 개발주체가 정부가 아니라 기업이라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기업이 GT의 상품화를 시도한다 하더라도 정부가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은 현실적으로 부

재하다. 따라서 국가가 기업으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GT기술의 확산에 기여하도록

어떠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정치적 논의가 필요하다.

여섯째, 사회발전요소를 상 적으로 덜 강조하는 녹색성장론은 개도국의 정부나 기득권층

의 이익을 변하는 논리로 작동할 가능성이 다소 높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사회발전요소

는 경제성장의 욕구가 환경을 훼손할 정도로 무분별하게 분출되는 것을 제어해 주는 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녹색성장론은 이에 한 강조가 상 적으로 약하다. 환경오염문제 있어서

최 의 피해자는 빈곤계층이다. 특히 저개발국 빈곤계층의 경우 다수가 생계를 자연에 의존

하고 있어 환경이 파괴되면 생활의 터전을 잃게 되고, 자연속에서 삶을 위하던 이들이 오히

65) Barde (2010), pp. 182-4.

Page 5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려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비난을 받는 경우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66) 그러나 따지고

보면 이들은 재산권제도가 제 로 정비되지 않은 시장에서 자신들의 재산과 권리를 제 로

평가받지 못한 채 피해를 강요당하는 존재들이다. 심지어 제3세계의 정부나 지주들이 이들로

하여금 자연을 파괴하도록 유도하고 환경보호나 농경지 조성을 명분으로 이를 가로채는 극단

적인 사건도 발생한다.67) 선진국에서는 녹색성장정책으로 인해 기업들이 막 한 보조금의

혜택을 위하고 있으나 상 적으로 적은 숫자의 일자리만을 창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

고 있다. 녹색성장정책이 환경보호보다는 경제성장을 위한 그리고 신산업육성을 위한 산업정

책의 본질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기술수준과 규모의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므로 정책의 수

혜자는 중소기업보다는 기업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68) 게다가 당초의 예상과는 달리 미국

의 경우 청정기술(0.6%), 바이오테크(0.2%) 등 녹색산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은 기존의 소매

업(11.3%), 금융업(5.9%), 건설업(4.9%) 등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서

민이나 노동자계층들에게 파급되는 효과도 제한적이라는 주장이 맥킨지 로벌연구소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69) 정부는 막 한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감내하도록 기업을 설득

하기 위해 지원금을 제공하지만 그로 인한 일자리 창출은 제한적이어서 결과적으로 계층간,

산업간 격차를 확 시키는 결과를 도출하는 딜레마가 있다. 녹색성장론이 사회발전 및 형평의

문제를 상 적으로 덜 강조하고, 지주, 기업, 자본가 등 기득권층들의 자발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도 고안하지 않으면 빈자들의 재산권이나 자연을 활용할 권리

(endowment)가 침해당하게 되고 결국 불평등이 심화되는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끝으로, 빈곤퇴치와 환경보호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지역공동체나 시민사회 세력의

참여가 불가피한데, 과연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이들의 참여를 용인할 것인지에 한 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녹색성장론은 각국 정부가 민간부문의 기업이나 NGO들과 정책적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예컨 환경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거나

녹색정부조달(Green Procurement)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

하다. 녹색성장운동을 지식인들이 지지하고 다수의 정부들이 동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민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나아가 정부 역시 녹색성장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민간부

문과 시민사회에 투명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0) 녹색성장론이 환경문제를 다루고 있

는 이상 인간의 기본권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또 환경문제에 관한 시민사회

의 관심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런데 발전초기단계에 있는 국가들의 경우 산업화 초기과정에서

환경문제의 발생은 불가피하며, 시민사회의 과도한 참여 확 는 정부의 입지약화로 귀결될

가능성도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개도국들은 실제로 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시민사

66) Haynes (1996), pp. 174-187.

67) Mori and Ueta (2010), pp. 290-2.

68) Stefan Theil, “A Green Retreat: 녹색정치 잔치는 끝났다,”『뉴스위크』(한국어판) (2010. 8.

11); 이진우, “녹색은 없고 성장만 있는 녹색성장,”『위클리 경향』878호 (2010. 6. 8).

69) “일자리 늘린다고? 녹색산업 환상서 깨라,”『조선일보』(2010. 4. 19).

70) UNESCAP (2006), pp. 33-37.

Page 5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7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회의 참여를 가급적 억제하려고 한다. 그러나 인간복지나 형평성이라는 요소가 배제되면 경

제성장이 환경보호로 귀결되기 어렵다. 녹색성장론이 이론적으로 제시하는 바와 개도국의 정

치사회적 현실이 어떻게 조화할 수 있을지 여전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요컨 , 녹색성장론이 진정한 의미에서 경제성장이나 빈곤문제의 완화에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보완이 필요하다. 그간 환경문제가 저개발국들에게 긍정적으로 수

용되지 않았던 이유는 이것이 빈곤문제의 개선에 장애가 된다고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사회

경제적 부담의 증가가능성과 빈곤완화의 실질적 가능성에 한 우려를 가지고 있던 저개발국

들은 녹색성장론의 기반이 된 지속가능발전론을 적극 지지하지 않았다. 따라서 저개발국들이

녹색성장론을 수용하면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적으로 어떤 이익을 획득할 수 있

을지가 명확하게 제시될 때 녹색성장론의 지속가능성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

다. 녹색성장론을 보다 이론적으로 심화시키고 현실적으로 구체화 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Page 5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참 고 문 헌

김판석∙사득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한 이해와 개념정립.”『한국정치학회보』32집 4호

(1998).

김형국 편. 『녹색성장 바로알기』서울: 나남, 2011.

“녹색성장 핵심은 원자력?”『한겨례 21』제725호. 2008. 8. 28.

“녹색은 없고 성장만 있는 녹색성장.”『위클리 경향』878호. 2010. 6. 8.

미래기획위원회. 『녹색성장의 길』서울: 중앙북스, 2009.

“원자력=친환경 편향 홍보.”『위클리 경향』제878호. 2010. 6. 8.

이연호. “국제개발협력의 투명성과 정당성.”『평화포럼: 다자외교 강국으로 가는 길』제21

권 5호 (2009).

______. 『발전론』서울: 연세 학교 출판부, 2009.

이정전. 『녹색경제학』서울: 한길사, 1995.

이진우. “녹색은 없고 성장만 있는 녹색성장.”『위클리 경향』878호. 2010. 6. 8.

“일자리 늘린다고? 녹색산업 환상서 깨라.”『조선일보』2010. 4. 1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법률 제933호. 2010. 1. 13. 제정.

Barde, Jean-Philippe. “Making Markets Wo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ECD Approach.”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 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Bartelmus, Peter. Environment, Growth and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1994.

Catton, William and Riley E. Dunlap. “A New Ecological Paradigm for Post Exuberant

Sociology.”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24-1 (1980).

Chung, Rae-Kwon. “Prospects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Asia and the

Pacific.”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 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Chung, Rae-Kwon and Aneta Nikolova. “Concept and System Change in the Asian

and Pacific Region.”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 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Emerging Market Indicators.”The Economist. 29 January 2000.

George, Cli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Governance.”The Journal of

Environment Development 16 (2007).

Page 5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59아∙태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녹색성장론 □ 이연호

Haynes, Jeff. Third World Politics. Oxford: Blackwell, 1996.

Lafferty, William. “The Politic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Norms for National

Implementation.”Environmental Politics 5-2 (1996).

McLennan, Anne and Wendy Yolisa Ngoma. “Quality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Progress in Development Studies 4-4 (2004).

Meadowcroft, James.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odes of Citizen,

Community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In William Lafferty. eds.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hallenge of Adapting Form to

Function.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04.

Meadows, D. H., et al. Limits to Growth. New York: Universe Books, 1972.

Mori, Akihisa and Kazuhiro Ueta. “Beyond Green Grow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st Asia.”In Rae Kwon Chung and Euston Quah. eds. Pursuing Green

Growth in Asian and the Pacific. Singapore: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2010.

OECD. Towards Green Growth. OECD Publishing, 2011.

Porter, M. A. “America’s Green Growth Strategy.”Scientific American 264 (1991).

Sachs, J. Common Wealth: Economics for Crowded Planet. New York: Penguin Books,

2008.

Smith, B. C. Good Governance and Development.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7.

Stern, N. H.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Theil, Stefan. “A Green Retreat: 녹색정치 잔치는 끝났다.”『뉴스위크』(한국어판). 2010. 8. 11.

Torras, Mariano and James K. Boyce. “Income, Inequality and Pollution: A Re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Ecological Economics 25 (1998).

UNESCAP. State of the Environment in Asia and the Pacific. Thailand: UNESCAP,

2006a.

UNESCAP. Green Growth at a Glance: the Way forward Asia and the Pacific. New

York: UN Publications, 2006b.

UNESCAP. Greening Growth. Bangkok: UN Publications, 2008.

WCED. Our Common Fu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asuring Eco-efficiency: A

Guide to Reporting Company Performance. Geneva: WBCSD, 2000.

Page 5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The Green Growth Theory andDeveloping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Political Economic Causes and Theoretical Problems

(Yonsei University)Yeonho Lee

The emergence of the green growth theory, substitu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in

the Asia-Pacific region is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reasons. The theory helps the developing

countries of the region to relieve their social political burdens accompanied b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rgument such as social or democratic development; it helps them to concentrate

upo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ssues. However, it is not theoretically

possible to sever social development issue from the deba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re

exist numbers of limitations in de-link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The market-centric perspective of green growth theory can

serve ironically as a political burden to these developing countries seeking a state-le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region. Besides of these reasons, the numbers of other factors show

that the green growth theory has theoretical limitations to sustain.

투 고 일 :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2월 16일

6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5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상호안전보장법안(Mutual Security Act)」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남궁 곤∙이 서

(이화여자 학교)

【한 초록】

1950년 미국 의회에서는「상호안전보장법안(Mutual Security Act)」개정을 둘러

싸고 외원조 규모에 한 찬반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은 1945년 이후 미국이 시행해

온 외원조를 둘러싸고 원조 확 론과 축소론이 그 명분과 논리에서 극명하게 립적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은 1950년 논쟁, 특히 1956년 법안 개정 과정에서 외원조 확 를 주장해 온

사람들의 정치적 특성과 과정, 그리고 이들이 제기했던 외원조 확 론의 논리를 분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이 은 미국의 해외 개입정책의 하나로 작동하고

있는 외원조가 어떤 정치적 과정을 통해 주창되었는지 분석하고 미국이 내세우는 인

도주의적 명분 이외에 실질적인 외원조 목표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의 필요성과 실효성을 적극 설파했던 확 론자

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고도의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 다. 외원조 확

론은 당시 학계의 주요 지식인들로부터 튼튼한 이론적 토 를 제공받았다. 외원조

확 론자의 표적인 인물이었던 아이젠하워 통령과 정책결정자들은 자신들의 정치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

개정 과정과 미국 외원조

Ⅱ. 미국 외원조의 정치적 의의

Ⅲ. 1950년 외원조 확 론의

정치적 배경

1. 외원조 확 론의 중심 세력과

이론적 배경

2. 외원조 확 론의 정치적 과정

Ⅳ. 1950년 외원조 확 론의

논리적 근거

1. 힘의 획득수단에 한 재인식

2. 외원조 정책 효과

3. 수혜국 반응에 한 인식

Ⅴ. 맺음말

∙주제어: 미국 외교정책, 개입론, 상호안전보장법안, 외원조, 경제원조, 군사원조, U.S.foreign policy, interventionism, Mutual Security Act(1951), foreignaid, economic aid, military aid

� 차 례 �

Page 5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개정 과정과 미국 외원조

외원조(foreign aid)는 미국 외교정책 역사에서 해외개입의 주요한 수단의 하나로 이용

되어 왔다. 외원조는 경제적 개입 수단의 하나로 군사적 개입과 함께 미국 외교정책 이념을

국제주의라고 정의하는 데도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미국은 현재 OECD-DAC1) 회원국 중

외원조 규모가 가장 큰 국가이다. 미국은 최 원조 공여국 자격으로 각종 국제적 사안에

개입하고 자신의 국가이익을 국제기구에서는 물론 다른 국가에서 직접 실현해 왔다. 미국은

이른바 제3세계 지역 우방국들을 상으로도 외원조를 무력개입 방식과 더불어 국제주의

외교정책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해 오고 있는 것이다. 미국이 외원조를 수행하는 데 외

적으로 내세우는 명분은 인도주의적인 지원과 국제사회의 균형 발전이다. 하지만 그 명분 이

면에는 미국의 국가이익 추구와 안전보장 확보라는 뚜렷한 외교 목표가 담겨져 있다.

이 은 1950년 미국 외원조의 논쟁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2) 이 은 미국이 제2차 세

계 전 이후 세계질서를 재편하는 미국의 외원조 필요성을 주창한 사람들의 정치적 특성과

정치적 과정, 그리고 그들이 목표로 했던 외원조의 논거를 밝힌다. 그렇게 함으로써 미국이

외교정책 수행에서 군사력과 더불어 외원조를 제3세계 국가를 상으로 하는 주된 외교정

책 수단으로 삼는 계기가 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미국 외원조가 시작된 것은 1947년 마셜플랜(Marshall Plan)을 통한 16개국 서부 유럽

지역 국가들에 한 군사 및 경제 원조를 통해서 다. 미국의 제3세계에 한 외원조가 처

1)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는 OECD 24개 전문분야별 위원회 중

의 하나로 개도국에 한 원조의 확 및 효과성 제고 등 개도국 개발을 위한 각종 재원의 흐름을 파악

하고 회원국 간 원조정책에 한 협의 및 조정을 담당한다. 외교통상부, 「개발원조평가용어」(외교통상

부 개발정책과, 2008). 2008년 기준으로 미국의 공적개발원조 총액은 약 260억 달러(순지출기준)로

OECD 국가 중 최 규모이다. OECD 홈페이지,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 Online

DB,”https://www.oecd.org (검색일: 2010. 4. 21).

2) Raymond F. Hopkins, “Political economy of Foreign Aid,”Finn Tarp (ed.), Foreign Aid andDevelopment: Lessons Learnt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outledge, 2000), pp. 423-

449, “제19장. 원조의 정치경제학,”임을출 역, 『원조와 개발』(한울아카데미, 2009), p. 619.

적 권한을 잘 활용하여 국회의원과 국민들을 효과적으로 설득하 다. 이들은 논리적인

측면에서 외원조 확 에 뚜렷한 기준과 원칙을 천명함으로써 외원조가 갖는 유용성

에 한 명분을 마련하 다. 외원조 확 론자들이 제기한 변화하는 세계에 한 인

식, 정책 효과와 상 수혜국에 한 고려사항은 외원조의 본질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보다 정확한 처방이었다. 더구나 확 론자들은 외원조 유지가 미국안보에 결정적

이라는 논리를 개발함으로써 논쟁에서 우세했고 이후 미국 외원조의 전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Page 5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3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3) 포인트 포 계획(Point Four Program)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빈곤을 줄이고 생산력을 증 시켜 미

국의 시장을 넓히고, 개발도상국이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성장하는 것을 도와 공산주의의 위협을 줄이

는 것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과 상관없이 미국과의 일 일 협력에 동의한 국가를 상으로 시행되

었다. 1949년 2월 9일 이를 이행하기 위해 사무엘 헤이즈(Samuel Hayes)를 위원장으로 하는 기술원

조그룹(Technical Assistance Group)이 조직되었고, 1950년 6월 5일, 미국의회가 1950-51년

(fiscal year) 이 프로그램에 2천5백만 달러를 배정하 다. 트루먼 통령은 공산주의의 확산을 방지

하기 위해 이 프로그램을 시행한다는 점을 명시하 고, 1950년 10월 27일, 포인트 포 프로그램을 집행

하기 위해 기술협력부서(TCA: Technical Cooperation Administration)가 설립되었다. 이후 아이

젠하워 통령이 외활동본부(Foreign Operations Administration)로 이전시켰다. USAID 홈페

이지, http://www.usaid.gov/about_usaid/usaidhist.html (검색일: 2011. 11. 19);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Point_Four_Program (검색일: 2011. 11. 19).

4) United States National Archives, “Records of U.S. Foreign Assistance Agencies, 1948-

1961,”Administrative History, Records of the Mutual Security Agency (MSA) 1949-56,

History, http://archives.gov/research/guide-fed-records/groups/469.html (검색일: 2011.

1. 28).

음 논의된 것은 1949년 트루먼 통령이 미국의 자본과 기술원조로 후진국의 경제를 개발하

여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세계경제와 무역을 확 시키려는 의도로 구상했던 포인트 포 계획

(Point Four Program)이었다.3) 하지만 이 계획은 미국 민간독점자본에 투자시장에의 길을

열어 준다는 성격이 있어서, 지원 상 지역인 제3세계 지역을 실제로 지배해 온 서유럽 국가

들의 반 로 실행되지 못했다.

외원조가 본격적으로 제3세계 지역 국가들에 한 효과적인 외교정책 수단의 하나로 등

장하게 되는 계기는 1951년「상호안전보장법안(Mutual Security Act)」제정을 통해서 다.

원래「상호안전보장법안」은「상호방위원조법안(Mutual Defense Assistance Act)」과「경

제협력법안(Economic Cooperation Act)」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군사원조를 담당했던

「상호방위원조법안」은 1949년에 제정되었고 미국은 이 법안을 근거로 2차 전 이후 유럽에

한 군사원조를 지원하 다. 그리고 1948년에 경제원조를 담당하는「경제협력법안」이 제정

되었고, 미국 정부는 이를 근거로 1948년 4월부터 1951년 말까지 서유럽에 120억 달러에 이

르는 경제원조를 제공하 다.

마셜플랜에 의한 미국의 서유럽 지원이 1951년에 종결됨에 따라 미국의 외원조는 원조

방식과 목표가 수정되고 지원 상도 확 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미국의 외원조는 단순한

서방세계의 지원에서 벗어나 자유 진 의 상호안전보장과 개별적∙집단적 방위를 강화하고

우방국의 안전과 독립 또는 미국의 국가적 이익을 위한 우방국의 자원을 개발하며, 우호국이

쉽게 국제연합의 안전보장조직에 참가하여 효과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 목표로

수정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이 과정에서 트루먼 통령의 포인트 포 계획도「상호안전보장법

안」속에 흡수되어 외원조체제가 일원화되었다.

1951년「상호안전보장법안」이 제정되자 마셜플랜을 주관하던 경제협력부서(Economic

Cooperation Administration)는 상호안전보장기구(MSA: Mutual Security Agency)로

체되었다.4) 상호안전보장기구는 1952년 이전까지는 동맹 국가들에게만 원조를 했지만,

1952년에는 동맹국이 아니더라도 세계평화와 안보를 추구하는 우방국에게도 원조를 지원하

Page 6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다. 상호안전보장기구는 1953년 외활동본부로 기능이 이전되었다.5) 이를 통해 미국 외

원조의 정당성이 확보되었고 체계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상호안전보장법안」은 1951년 제정된 이후 1960년까지 매년 개정되었다. 「상호안전보장법

안」제정과 개정 과정에서 이를 둘러싸고 의회 내에서 치열한 논쟁이 야기되었다. 외원조의

규모, 종류, 방법 등이 논의되었고, 그 과정에서 수차례 이 법안의 개정을 둘러싸고 의회 내

에서는 외원조 증가와 축소에 한 논쟁이 있었다. 수차례 의회 내 논쟁에는 단순히 국회의

원들만 가담한 것이 아니고 당시 미국의 세계전략을 구상했던 행정부 요인들과 외원조 필

요성을 논리적으로 제공하는 여러 사회세력이 가세했다.

「상호안전보장법안」제정과 개정 과정의 논쟁들 중에서 특히 1956년 논쟁은 외원조 논쟁

의 성격 자체는 물론 외원조를 둘러싼 찬반 논리를 파악하는 데 결정적이다. 1956년은「상

호안전보장법안」이 제정된 지 5년이 되는 해로, 국내외적으로 이 법안에 한 평가가 이루어

졌기 때문에 찬성 측과 반 측의 논쟁점이 선명하게 나타났다.6) 아이젠하워 통령, 덜레스

국무장관 등 외원조 논쟁의 핵심적인 인물들이 1956년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더 적극적으

로 찬반논쟁을 이끌어갔다.7) 하원 외교위원회가 1956년 12월 24일에 위원회 보고서「외교정

책과 상호안전보장(Foreign Policy and Mutual Security)」을 상원에 제출했는데, 이 보고

서는 통령의 지시를 받아 작성된 것으로 상호안전보장법안에 따른 외교정책과 프로그램의

목적, 방법, 결과에 한 연구로, 이를 토 로 외원조를 둘러싼 논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또한 실제적으로도 1956년은 미국 외원조의 전환점이 되는 해 다. 1951년 상호안전보장

법안이 제정되면서 처음으로 경제원조가 군사원조를 앞지르기 시작했지만 1956년 원조 확

논쟁을 거쳐 경제원조 규모가 크게 확 되었고 경제원조가 군사원조에 비해 주된 외교 수단

으로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다.

「상호안전보장법안」은 1961년 11월 외원조법안과「실행명령(Executive Order 10973)」

으로 계승되었다. 또한 1961년 마셜플랜 집행기구인 유럽경제협력기구(OEEC)가 경제개발협

력기구(OECD)로 개편되었고, 개발원조그룹(DAG)이 OECD 산하의 개발원조위원회(DAC)로

체되었다. 같은 해에 제1차 UN개발 10개년 계획(UNDD)이 채택되었으며 미국 평화봉사단

5) Office of the Clerk,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Mutual Security Act of 1951,”

http://clerk.house.gov/art_history/highlights.html?action=view&intID=175 (검색일: 2011.

2. 8).

6) 국제적인 평가의 하나의 예로 파리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파리 매치(Paris Match)에서 표자 까르

띠에(Raymond Cartier)는‘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착한 행색을 하지 않는다면 반미감정이 줄어들 것이

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인도사례를 들면서 미국 외원조가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고 지적

했다. Raymond Cartier, “An English Language Translation Appearing on May 2, 1956,

issue of The National Review,”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7) 일례로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5월 1일 의회 지도자들과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외원조 프로그램

을 지지할 것을 권고하 다. 이 만남을 통해 의원들의 입장이 외원조프로그램에 해 우호적으로 바

뀌었다. James Reston, “The President Acts,”The New York Times (1956. 5. 2), http://select.nytimes.com/

gst/abstract.html?res=F30A14F63 45B177B93C0A9178ED85F428585F9&scp (검색일: 2011.

3. 23).

Page 6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5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이 발족되었고 USAID가 창설되었다. 이처럼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은 미국과 세계

공여국들의 외원조 기반을 형성하는 시작점이 되었다. 「상호안전보장법안」은 그 후 1961년

에「 외원조법안(Foreign Aid Act)」으로 계승되었고, 현재 미국 외원조를 주관하는 국제

개발청(USAID) 설립의 근간이 되었다.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개정을 둘러싼 논쟁은 미국이 1945년 이후 실행해 온 외

원조를 확 할 것을 주장하는 확 론자들과 외원조 축소를 주장하는 축소론자들이 립하

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논쟁의 표면적인 쟁점은 외원조 규모 확 또는 축소에 한 논쟁

이었지만 그 본질은 미국의 해외개입 정책 방식을 둘러싸고 이루어진 외원조가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것인가에 한 최초의 현실과 논리의 립이었다. 이 논쟁에서 외원조 확 를 주

장하는 확 론자들의 입장이 채택됨으로써 미국 외교정책에서 외원조가 중요한 외교정책

수단으로 입지를 굳히기 시작했다. 그 결과 경제원조 규모가 군사원조 규모를 앞질 고 외

원조 전체 규모도 꾸준히 확 되어 왔다.8) 아이젠하워 통령을 비롯해서 덜레스 국무장관 등

이 주동이 되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외원조의 필요성과 확 를 설파하 다.9) 이들이 내세운

논거는 현재까지도 미국의 외원조 원칙과 방향을 설정해 줌으로써 미국 외원조 확 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은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개정을 둘러싼 논쟁에서 외원조 확 론자들의 정

치적 특성과 과정, 그리고 이들이 제기했던 외원조 확 논리를 분석한다. 이로써 미국 개

입정책의 하나로 작동하고 있는 외원조 효과론이 어떤 특성을 가진 정책 결정자 집단에 의

해 두되고 설파되었는지를 밝힌다. 또 외원조 확 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어떤 정치적 과

정을 통해 외원조 확 의 필요성을 서로 공감하고 공동보조 기조를 유지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 미국 외교정책에서 꾸준하게 확 되어 온 외원조의 효과와 명분이 어떤 조건에

서 제시되고 작동될 수 있는지를 파악한다. 또 이들 외원조 확 론자들이 추구했던 외원

조 목표가 내세우는 논리를 파악함으로써 미국 외원조의 정치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미국 정부가 개입주의 외교정책을 수행하는 데 외원조가 제공해 주는 실질적인 외교목표가

어떤 내용이었는지를 추출하고자 한다.

Ⅱ. 미국 외원조의 정치적 의의

외원조는 현 에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이다. 외원조는 저개발국에 한

경제원조와 우방국에 한 군사원조를 의미하는가 하면, 정부 간 원조나 민간단체의 자원봉

8) 이에 해서는 Committee on Appropriations, “Trends in Mutual Security, Fiscal Year

1948-49 to Fiscal Year 1957,”Committee Print (1956), p. 7을 참조할 것.

9) 일례로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5월 1일 의회 지도자들과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외원조 프로그램

을 지지할 것을 권고하 다. 이 만남을 통해 의원들의 입장이 외원조프로그램에 해 우호적으로 바

뀌었다. Reston (1956. 5. 2).

Page 6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사활동, 자금, 물자, 기술의 국제적인 이동, 저개발국 정부인사 초청 간담회나 교육지원 등을

뜻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외원조는 외원조(foreign assistance),

개발원조(development assistance), 개발협력(development cooperation), 경제협력

(economic cooperation) 등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고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된다.10)

현 적 의미의 외원조는 2차 전 직후에 이루어진 미국 외원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

18세기나 19세기에도 국가 간 물자교류나 자본의 이동이 이루어졌지만, 한 국가가 다른 국가

의 발전과 성장을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재정과 물자를 제공한 것은 2차 전 후 미국이 실시

한 마셜플랜이 처음이다. 마셜플랜은 유럽의 전후복구라는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었

고, 1951년「상호안전보장법안」이 제정된 이후에는 유럽 이외 지역에도 원조가 제공되었다.

미국 외원조는 지속적으로 확 되었고, 미국을 필두로 하는 선진국 그룹이 국제기구를 만

들고 개발도상국에 한 원조를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OECD가 창설되었고, OECD는 좁은 의미의 외원조인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를 정의했다.11) 이 연구는 ODA개념이 생기기

이전인 1950년 논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경제원조와 군사원조를 포괄하는 외원조

를 다룬다. 넓은 의미에서 외원조는 경제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원조와 비경제적 목적

을 가지고 있는 군사원조를 포함한다.12)

2차 전 이후 미국은 1948년부터 3년간 유럽에 약 186억 달러의 경제원조를 지원하

다.13) 1950년 에 미국은 외원조의 초점을 제3세계14) 신생국으로 전환하 는데, 제3세계

10) 공여주체에 따라 공공기관이 공적자금으로 제공하는 공적원조와 민간기관이 사적자본으로 제공하는

사적원조로 구분된다. 원조방식에 따라서는 양국정부 간 직접 원조를 주고받는 양자원조(bilateral

assistance)와 UN기구, 세계은행, 지역개발은행 등 다자기구를 통해 원조를 제공하는 다자원조

(multilateral assistance)로 나뉘고, 원조목적에 따라 경제원조, 군사원조, 인도주의적 원조로 구분

된다. 원조형태에 따라 증여 형태의 무상원조(grant)와 공여국이 제공한 것을 되돌려받는 차관(loan)

이 있으며, 원조내용에 따라서는 재정지원, 프로그램 원조, 기술협력 등이 있다. 원조 공여국들은 국가

특성에 맞게 각 종류를 선택하여 외원조를 수행한다.

11) 1972년 OECD DAC(Development Assistance Commitee 개발원조위원회)이 채택한“금융조건

개정 권고(Revised DAC Terms of Recommendation)”에 따르면, ODA는“중앙 및 지방정부를 포

함한 공공기관이나 이들 기관의 집행기관이 개도국의 경제개발과 복지증진을 주목적으로 하여 개도국

및 국제기구에 양허적 성격으로 제공하는 자금의 흐름”을 의미-증여(grants) 및 양허성 차관

(concessional loans 또는 soft loans)으로 구분한다. 즉, 개발(developmental purposes)을 위한

경제적 자원(economic resources)의 양허적 조건(concessional terms)의 공공 이전(public

transfer)을 ODA로 정의-“개발원조”가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목표로 하는데 비해“국제협력”은 선진

국과 개도국을 모두 상으로 하며, 협력분야를 경제분야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 문화, 학술교류 등도

포함한다. 또한, OECD/DAC는“aid”라는 용어 신에“assistance”라는 용어를 사용하여“aid”가

내포하고 있는 부정적 의미를 완화-“assistance”에는 개발원조가 일방적인 행위가 아니라 원조공여

국과 원조수원국간의 파트너십(partnership)에 기초한 상호적인 행위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ODA와

유사한 개념으로 foreign assistance, economic assistance, economic aid, development aid,

development cooperation 등도 사용하고 있으나, OECD/DAC은 ODA를 공식용어로 사용한다.

http://mofaweb.mofat.go.kr/MofaDic.nsf/viewTermTitlesearch/ (검색일 2011. 11. 15).

12) 군사 관련 원조 중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원조는 경제원조의‘기타 경제원조’에 포함된다.

13) USAID (2009), p. 17.

Page 6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7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국가의 주권을 존중하면서도 공산화 조짐이 보이는 국가에 해서는 강경하게 처하 다.

이때부터 미국은 외원조를 개입주의 외교수단의 하나로 적극적으로 활용하 는데, 외원

조를 통해 전 세계적인 향력을 확보하고, 미국인의 일자리를 확보하며 미국 안보에 도움이

되는 군사적 보루를 설치하기 시작했다.15)

미국이 외원조를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사용하는 이유에 해 카플란(Jacob J. Kaplan)

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첫째, 미국은 저개발국과 교류를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군사적 외교정책이 효과적인가에 해 의문이 있었고, 둘째, 미국이 외원조를 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셋째, 미국 정치지도자들은 외원조의 편리성과 이익이 무

엇인지 알고 있었다.16) 한편 외원조가 다른 외교수단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

는데, 하이터(Teresa Hayter)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데에 비해 원조를 받고자 하는 국가

가 많기 때문에 공여국이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외원조 정책을 고르는 것

은 기술적인 문제이고, 공여국이 더 객관적으로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이유로 수혜국에

한 공식적인 개입을 정당화했다.17)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은 자국 안보에 도움이 되고 차후에 시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국가를 중심으로 외원조가 배분되었다. 특히 수혜국과 일 일로 교류하는 양자원조는 미국

의 안보적 이익이 있는 곳에 집중적으로 배분되었다. 1960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 양자원조

수혜 1순위 국가는 빈도순으로 이스라엘, 이집트, 인도, 이라크, 베트남, 아프가니스탄, 파키

스탄이다. 이 수혜국가들은 미국안보와 깊이 연관되어 있었던 반면, 빈곤 수준과의 상관성은

떨어진다.

미국은 다자기구에 출자금을 지원하는 다자원조보다 수혜국 정부와 직접 교섭하는 양자원

조를 선호한다. 1956년부터 1989년까지 DAC회원국과 미국의 ODA에서 다자원조가 차지하

는 비율을 보면 1980-1984년을 제외하고는 미국 다자원조 비율은 DAC회원국 다자원조 비

율보다 낮았다. 2009년에도 미국의 ODA에서 양자원조가 87%를 차지했는데, 국 67%, 프

랑스 56%, 독일 59%에 비해 상당히 큰 비율이다.18) 이러한 성향은 미국이 더 직접적으로 수

혜국에 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양자원조를 선호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14) 제3세계 국가란 2차 전 이후 제국주의 국가들이 무너지면서 새로 만들어진 약 37개국을 지칭한다.

Dennis Merrill, “The United States and the rise of the Third World,”in Gordon Martel

(ed.), American Foreign Relations Reconsidered 1890-1993 (Routledge, 1994), 정진위 편

역, “제10장. 제3세계의 등장과 미국,”『미국외교정책』(박 사, 1996), p. 282. 이들은 개 남반구

에 위치하고 유색인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화되지 않고 식민주의에 해 반감을 가지고 있다.

제3세계 국가 내부에서는 식민지적 잔재, 사회 내부의 모순, 독재 및 과두제 등 비민주적인 정치체제

로 인한 문제를 안고 있다. 박인숙, “제5장. 1950년 의 미국 외교(1953-1960),”최 보 외, 『미국현

외교사』(비봉, 1998), p. 256.

15) Roger C. Riddell, Does foreign aid really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p. 55-59.

16) Jacob J. Kaplan, The Challenge of Foreign Aid (Frederick A. Praeger, 1967), pp. 132-133.

17) Teresa Hayter, Aid as Imperialism (Penguin Books, 1971), p. 19.

18) OECD, “Aid Statistics, Donor Aid Charts,”http://www.oecd.org/dataoecd/42/30/44285539.gif

(검색일: 2011. 4. 27).

Page 6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9) Samuel Kernell and Gary Jacobson, The Logic of American Politics (Cq Pr, 2007), p. 337.

20) Willard L. Thorp, “Foreign Aid: A Report on the Reports,”Foreign Affairs 48-3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April 1970), p. 573.

21) Walter George,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7, 1956,”Congressional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Ⅲ. 1950년 외원조 확 론의 정치적 배경

1. 외원조 확 론의 중심 세력과 이론적 배경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 확 론자들은 개입주의 노선의 관료와 현실주의 개

발경제학자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2차 전 이후 고립주의에서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국제

사회에 개입해야 한다는 개입주의가 미국 의회에서 초당적인 합의를 이끌어냈고, 개입주의자

들은 제3세계 국가들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 다. 제3세계의 선택에 따라 냉전구도가 급

격하게 바뀔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개입주의 노선이자 외원조 확 론을 주도했던 사람은 20년 만에 공화당 후보로 통령에

당선된 아이젠하워 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제2차 세계 전에서 연합군 사령관 출신으로

전후 처리 과정에서 소련의 국가성격과 전후 구상에 해 비판적이었다. 아이젠하워 통령

은 제3세계 국가가 선택하는 노선에 따라 세계 냉전 구도가 급격히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믿

었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제3세계의 민족주의와 중립주의에 해 비도덕적이고 공산주의

로 이행하는 과도적 성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제3세계의 공산화를

막고 동맹국을 얻고자 이들 지역에 한 군사적, 경제적 원조에 적극적이었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소련에 해서 타협의 여지를 두지 않고 작은 국가라도 공산주의의 위협으로부터 보

호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동원했다. 연방예산 작성권한을 사용하여 외원조 규모를 늘렸

고, 국회의원을 조직하고 국민연설을 통하여 국민을 설득했다. 특히 하원 특별위원회를 설

치하여 외원조 연구를 장려하고 이론적인 토 를 마련하고자 했다. 또한 통령은 뛰어난

정보수집능력을 발휘하여 외원조 근거를 확보하고 반 측의 정보를 제한하 다.19)

1950년 외원조 논쟁은 다른 논쟁들과 달리 당파성, 지역선호가 뚜렷하지 않았다. 의원

들은 체로 유권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결과를 원했기 때문에 단기적

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없는 외원조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을 보 다.20) 그리고 국

제회의에서 수혜국이 미국의 입장을 따르지 않자 외원조에 한 신뢰도가 하락했다. 그 중

에 외원조 확 를 선호하는 의원이 있었는데 84 의회 상원 외관계위원회(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의장, 조지(Walter F. George, D-GA) 의원이 표적이다. 그는

하원의 외원조 삭감 요구를 비판하고 정부의 제안이 국회에 수용되게 하기 위해서는 1947

년 마셜플랜을 국회가 수용할 때와 같이 상하원 공동 연구 수행 필요성이 있음을 주창했다.21)

또한 그는 통령과 국무장관에게 독립적인 입법 위원회를 구성하여 외원조 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Page 6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9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외원조 확 론자의 또 다른 부류는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와 개발경제학자들이다. 이들

은 외원조에 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 다. 학자들 중 일부는 정책결정에 참여하 고, 정책

자문을 하거나 책, 논문 등을 발표함으로써 미국 외원조 정책에 향을 미쳤다.

당시 표적인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가이자 국무부 자문위원이었던 모겐소(Hans J.

Morgenthau)는 외교정책 결정에 현실적으로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 국무부 자문위원으로

서 외원조 외교정책 형성에 기여했다. 그는 외원조는 개별 국가의 국력을 보충하는데 필

요한 권력요소로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고 소련의 팽창을 막는데 유용하다는 입장이었다. 그

는 미국이 외원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외원조의 본질을 이해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22) 그는 외원조를 인도주의적 외원조, 생계보조를 위한

외원조(subsistence foreign aid), 군사적 외원조, 뇌물, 위신(prestige)을 위한 외

원조, 경제개발을 위한 외원조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 다.

다수의 개발경제학자들이 저개발국의 빈곤상태를 근거로 외원조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 다. 리칸(Max Millikan)과 로스토우(Walt Rostow)는 1957년에 출판된『제안:

효과적인 외교정책의 핵심(A Proposal: Key to an Effective Foreign Policy)』23)에서 미

국이‘현실주의적 이상주의’라는 특징을 가진다고 말했다. 이것은 미국이‘옳은 일’을 하기

원하면서,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을 조종하고자 한다는 의미이다. 이들은

외원조가 이것을 실현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비폭력적으로 저개발국에게 자본을 공급함으로

써 민주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외원조를 통해 미국에 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고,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확 하여 자국의 이익을 증진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24)

로스토우는 1962년 출판한『경제성장단계』에서 모든 사회가 전통적 사회, 도약준비단계,

도약단계, 성숙단계, 고도 중 소비단계라는 다섯 단계를 거쳐 성장한다는‘경제성장단계이

론’을 제시했다. 그는 저개발국이 도약준비단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투자확충, 제조업 부문

의 성장, 제도적 환경마련 등 세 가지 조건이 충족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스토우는 이 세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경제원조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25)

22) Hans Morgenthau, “A Political Theory of Foreign Aid,”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Review 56-2 (1962), p. 301.

23) 리칸과 로스토우는 1954년 5월 덜레스 국무장관의 요청에 따라 타임지와 라이프지 부사장이자 아

이젠하워 통령의 보좌관이었던 잭슨(C. D. Jackson)이 주최한 프린스턴 모임에 참석했다. 이 모임

에서 미국이 저개발국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고, 리칸과 로스토우는

미국 외원조의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입증하는 을 작성하 다. 1954년“미국의 신경제외교정책을

위한 제안(Proposal for A New United States Foreign Economic Policy)”이라는 제목으로 회

람된 이후에 1957년“미국 경제원조프로그램의 목적(The Objective of United States Economic

Assistance Programs)”이라는 보고서로 상원 외교위원회에 보고되었고, 같은 해에『제안: 효과적

인 외교정책의 핵심(A Proposal: Key to an Effective Foreign Policy)』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24) Kimber Pearce, Rostow, Kennedy, and the rhetoric of foreign aid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01), p. 52.

25) Walt Whiteman Rostow,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nist manifesto(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pp. 12-30.

Page 6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로젠슈타인-로당(Paul Narcyz Rosenstein-Rodan)은 외원조는 전 세계의 균형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 세계 인구의 약 25%가 저개발국 농촌에 표면적으로는 취업

상태이지만 생산성이 제로(0)인 위장실업상태로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하여

세계경제의 구조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한‘ 규모추진이론(Big Push Model theory)’을 제

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가가 계획경제를 주도하여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데 부유한 국

가가 적극적으로 저개발국가에 재정과 기술을 지원하고, 투자 환경을 조성하면 기업이나

기업연합체가 공업화를 추진하여 서로 다른 공업부문들이 상호보완작용을 하고 더 높은 산업

화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외원조가 필수적이다.26)

넉시(Ragnar Nurkse)는 저개발국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도식화했다. 시장의 크

기가 작으면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데 저개발국은 시장의 규모가 매우 작았다. 시장의 크기

는 구매자의 실질구매력에 따라 정해진다. 실질구매력은 생산성 수준에 달려있다. 따라서 구

조적으로 성장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저개발국은 단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신 국

민들의 실질구매력을 높여 시장의 크기를 확 하고, 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구조적인 환

경을 마련해야 했고, 이를 위해 외원조가 필요했다.27)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은 저개발국이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발전되기 위해

서는 성장을 이끌어내는 최소한도의 투자가 필요하다는‘임계적 최소효과이론(Critical

Minimum Effect Thesis)’을 주장했다. 가난한 국가는 자본이 없기 때문에 가난하고, 가난

하기 때문에 자본이 늘어나지 않는 악순환에 빠져있는데, 악순환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임계점(critical point)을 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임계점을 넘어서 투자가 이루어지면 경제발

전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따라서 그는 외원조를 통해 저개발국에게 자본을 직접 투입하

거나 투자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저개발국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28)

이들 1950년 개발경제학자들은 외원조 축소를 반 하 고, 외원조에 한 이론적 논

의를 진전시켰다. 이들은 외원조를 각 특성에 따라 분류하거나 외원조가 필요한 이유를

이론적으로 증명했는데 이 때 이루어진 연구는 외원조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 고 국민들

과 정책입안자들을 설득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직접 정책결정에 참여하 고,

정책결정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더라도 정책 자문을 하거나 책과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미국

외원조 확 논리가 설파되는데 일정부분 향을 미쳤다.

2. 외원조 확 론의 정치적 과정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 규모의 확 를 주장하는 측은 아이젠하워 통령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다양한 설득방법을 사용하 으며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에 논쟁

26) Paul Narcyz Rosenstein-Rodan, “International Aid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3-2 (May 1961), pp. 107-138.

27) Ragnar Nurkse, Problem of Capital Formation (Oxford, Basil Blackwell, 1955), pp. 6-10.

28) Harvey Leibenstein, Economic Backwardness and Economic Growth (Wiley, 1957), pp. 94-110.

Page 6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1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1952년 당선된 아이젠하워 통령은 외원조 축소 반 에 가장 앞

장섰던 인물이다. 그는 개입주의 입장에서 외원조는 필수적인 외교정책이라고 보았다. 그

는 연방예산 작성, 국회의원 소집, 위원회 구성 등의 권한을 사용하 고, 연두교서와 일반 연

설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국내외 언론 인터뷰를 통해 외원조의 중요성을 설명하

고, 시민위원회를 구성하여 외원조 지지 세력을 확보했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3월 19일에 1956년보다 약 1.5배 늘어난 규모인 467억 달러

를 1957년 외원조에 사용할 것을 요구하 다. 같은 해 4월 30일과 6월 5일에 지도급 국회

의원들을 소집하고 외원조의 중요성을 설득하는가 하면 하원 외교위원회가 외원조를 연

구하도록 장려하 다. 한편 그는 1956년 1월 5일 연두교서29)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국민들의 지지를 요청하 다.

“우리는 상호안전보장프로그램을 유지하고 강화해야 한다. 저개발지역의 빈곤과 불안

감으로 인해 소비에트 진 의 목표가 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저개발지역이 공산화되지

않도록 그들의 경제성장을 도와야 한다. 우리는 그들에게 외원조 프로그램을 지속적

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나는 의회에게 장기적인 외원조 프

로그램을 계획하고 집행할 것을 요구한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7월, 제네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군사적 수단 이외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해 공식적으로 밝혔다.30) 같은 해 9월 19일 국민 연설에서는‘세계 평화와

번 을 위해서, 군비를 축소하여 외원조로 이전하도록 국민들에게 부탁할 준비가 되어 있

다’고 말하 다.31) 1953년 4월 16일 미국 신문편집자협회 연설에서는‘이 위 한 일( 외원

조)의 목적은 저개발지역 개발을 돕고, 이익을 창출하고 공정한 무역을 촉진하며, 모든 사람

들이 자유라는 축복을 누리도록 돕는 것이다’고 말하기도 했다.32)

나아가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9월 22일, 외원조 연구를 위한 시민위원회를 구성

했다. 시민위원회는 미국철강(U.S. Steel) 전(前) 회장인 벤자민(Benjamin Fairless)을 비

롯하여 7인으로 구성되었고,33) 연구결과를 통령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었다.

29) 미국 통령은 매년 1월 의회에 제출하는 연두교서를 발표함으로써 정책결정에 향을 미친다. 연두

교서는 신년도 시정방침으로 국가의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고 요약하여 기본정책을 설명하고 필요한

입법을 요청하는 통령 연설이다. 국내정책과 외교정책의 기본방침을 밝히고 정책에 한 구체적인

권고를 한다.

30) Reston (1956. 5. 2).

31) Eugene Castle, The great giveaway: the realities of foreign aid (Henry Regnery, 1957),

p. 163.

32) 미국 신문편집자협회(National Society of Newspaper Editors)는 1922년 설립된 비 리 전문인

기관으로 리더십 개발과 저널리즘 관련 이슈에 초점을 맞춘다. 신문편집자협회는 공정하고 원칙에 입

각한 저널리즘을 촉진하고 수정헌법 1조(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지지하며, 정보의 자유와

열린 정부를 위해 투쟁한다. 미국 신문편집자협회 홈페이지, http://asne.org/about.aspx (검색일:

2011. 5. 5).

Page 6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덜레스 국무장관도 다양한 방법으로 원조 축소를 반 했다. 그는 1956년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19일간 아시아 지역을 여행하면서 아시아 국가들이 공산주의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

미국에 의존하고 있고, 자유세계의 안정과 확장을 위해 미국이 강해지기를 바라고 있다는 점

을 확인하 다. 여행 후 그는 고위급 관료들에게 외원조의 필요성을 설명했고, 텔레비전 연

설에서 30분 간 국민들을 설득하 으며, 3개 위원회에서 축소 반 발언을 하 다. 이 같은

방법으로 덜레스 국무장관은 국제사회에 미국 외원조를 홍보하 고 미국 국민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같은 해 12월, 그는 통령의 지시를 받아 외원조자문위원회(Foreign Aid Advisory

Committee) 의원들과 함께 52일 동안 여행을 다녀왔다. 그들은 약 20개국을 돌아보면서 미

국정부의 외원조 활동에 한 본격적인 연구를 실시하 고, 연구 결과는 1957년 3월 1일,

통령에게 보고되었다.34) 미국 국무장관이 50일이 넘는 기간 동안 한 가지 목적으로 여행하

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고, 자연히 미국 국민들과 해외 언론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상호안전

보장프로그램을 홍보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

한편, 언론은 찬반논쟁을 정리하고 보도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다. 언론의 보도방

식에 따라 동일한 사안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언론의 입장은 매우 중요했는

데, 언론은 외원조 확 론자에 더 유리한 논조를 띠었다. 정부 관료의 인터뷰나 연설이 중

계되고 원조 축소를 반 하는 특별기고문이나 논평, 외원조의 새로운 개념을 모색하는

이 실리기도 했다.

국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정책자문가 바바라 워드(Barbara Ward)는 1956년 5월 11일

자 뉴욕타임즈에“새로운 외원조 개념을 위하여(For a New Foreign Aid Concept)”라는

을 기고했다. 그녀는 미국과 소비에트의 외원조를 비교하고 미국 외원조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 소비에트는 외원조가 저개발국을 위한 것이라고 선전했고, 신생국들은

소비에트의 외원조가 자국의 성공을 보장하고 소비에트로부터 존중받는다고 느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워드는 외원조가 미국 사회에 이미 뿌리내리고 있는 사회적인 전통을 기

반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원조 확 론자들은 탄탄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찬반논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1950년 개발경제학자들은 저개발국 빈곤상황을 설명하고 외원조가 저개발국

에 미치는 향에 해 연구했다. 한편, 아이젠하워 통령은 1956년 5월「상호안전보장법

33) 시민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된 사람들은 미국철강(U.S. Steel) 전(前) 회장 Benjamin Fairless, 뱅크

오브 아메리카 부회장 Jess W. Tapp, 버지니아 학교 총장 Colgate W. Darden, Jr., 미국광산노

동자협회 회장 John L. Lewis, 미국중앙정보국(CIA) 전(前) 국장 Walter Bedell Smith, 뉴욕헤럴

드트리뷴 회장 Whitelaw Reid, 프록토 앤 갬블(P&G) 회장 Richard R. Deupree이다. U.S. Foreign

Aid, “Question of Curtailing U.S. Foreign Aid,”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operation, 1956), p. 258.

34) 여행일자는 1956년 12월 27일부터 1957년 2월 17일까지 고, 여행의 행선지는 마드리드, 파리, 본,

비엔나, 벨그레이드, 아테나, 이스탄불, 앙카라, 테헤란, 카라치, 뉴델리, 양곤, 방콕, 사이공, 마닐라,

홍콩, 타이페이, 서울, 도쿄 다. Castle (1957), p. 25.

Page 6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3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안」과 관련 법안에 따른 원조정책의 방식, 효과, 결과 등을 연구할 것을 요청하 고, 하원 외

교위원회는 보고서「외교정책과 상호안전보장」을 1956년 12월 26일 상원에 제출하 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첫째, 세계 빈곤상황이 미국의 외원조를 통해서 나아졌는가를 확인하고,

둘째, 외원조 수단을 더 나은 방법으로 바꿀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보고서의 주

제는 소비에트 진 의 경제적 침투, 미국 외교정책으로서의 경제원조, 사적 자본과 미국 외교

정책, 제3세계 중립주의의 특징, 식민주의와 미국 외교정책, 다른 국가에 향을 줄 때 발생

하는 문제 등이었다. 약 반 년의 연구 끝에 완성한 이 보고서는 정부 차원에서 발간한 최초의

외원조 관련 연구물이었다. 이 연구는 외원조를 수행해야 하는 근거를 논리적으로 설명

하고, 시 적 상황을 표현했으며, 다양한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1956년 이전에 나온

외원조에 관한 정부 보고서들보다 월등히 뛰어났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외원조 정책을 발

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했다.

외원조 확 론은 무엇보다 외원조 축소론에 비해 1950년 에 소련의 지도세력이 변화

하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군사력과 더불어 경제력이 중요한 외교수단으로 등장했다는 점

을 잘 인식하 다. 외원조 확 론자들은 외원조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 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설득력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국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

원조 예산을 삭감해야 한다는 외원조 축소론의 주장에는 인과적인 오류가 있었다. 미국에

게 안보적으로 더 중요한 지역의 상황이 외원조 확 론자들의 주장 로 현실적 필요성이

노정되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우월했다. 그 결과 아시아, 중동, 서유럽에서는 외원조를 통

해 미국 국가이미지가 상승했고, 군사적 보루를 유지하는 성과를 낳았다.

Ⅳ. 1950년 외원조 확 론의 논리적 근거

1950년 미국의 제3세계 국가들에 한 외교정책의 주요 목적은 이들을 자유진 으로 편

입시켜 미국 안보를 보장하는 데 보탬이 되는 것이다.35) 외원조 확 론자들은 외원조가

외교정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원조를 지속적으로 확 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들이 제기했던 외원조 확 논거는 힘의 획득수단에 한 인식, 정책 효과

에 한 평가, 수혜국의 반응이라는 세 가지 기준으로 정리된다.

1. 힘의 획득수단에 한 재인식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 축소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힘을 획득하는 유일한 수

단은 군사력이라고 주장했다. 써몬드(Strom Thurmond) 상원 의원(R-SC)은 보상이 불확

실한 외원조 프로그램으로 친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할 때라며‘친구를 얻을

35)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Foreign Policy and Mutual Security (Committee Print,

1956a), p. 66R.

Page 7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승산이 있는가?(What Price Friends?)’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그는 외원조로 다른 국

가들의 호의를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국제사회에서 우방국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강한 군

사력을 보유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36) 또한 이들은 외원조가 비효율적이며 부적절한 정

책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랑거 의원은 미국이 외원조가 현실적으로 좋은 외교수단이

라는 망상에 사로잡혀 있다고 말하면서 외원조로 인해 생기는 안일함에 해 경각심을 불

러일으켰다.37)

1952년 공화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64년 통령 선거에 공화당 후보로도

선출된 바 있는 반공주의자인 골드워터(Barry Goldwater)38)는 돈으로 정치적인 신념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외원조를 통해 제3세계 국가들을 자유진 으로 끌어올 수 없고 오히려 미국

을 적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골드워터는 군사원조로 투입된 재정이 실제

로는 수혜국의 내부경제 활성화에 사용되거나 원조 수혜국이 원조를 받지 않은 국가보다 경제

회복 속도가 느렸던 경우를 지적했다. 골드워터의 주장을 종합해보면, 외원조는 정책집행과

정에도 문제가 있지만, 바르게 작동하더라도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이었다.39)

이러한 외원조 확 반 론자들의 논거에 항해 확 론자들이 내세운 것은 냉전환경에

서 조성되는 소련에 한 견제방식이었다. 소련의 지도부가 교체되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미국은 국제사회에서 힘의 획득수단에 해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1953년 3월, 강경하고

엄격한 군사지배를 추구했던 스탈린이 사망한 후, 소비에트는 자본주의를 철저하게 배격하는

강경한 태도에서 한 발 물러나 유연한 태도를 취했다. 중립국들이 소비에트 진 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경로를 다양화했고, 경제적인 방법을 이념 확산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스탈린의 뒤를 이은 흐루시초프는 1956년 2월, 제20차 소련공산당전당 회에서 스탈린의

독재를 비판했고, 자본주의 국가들과의 평화공존을 주장했으며 미국과의 화를 시도했다.40)

그는 1959년 미국을 방문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 다. “우리가 무역을 하는 이유는 소비에트

진 내 국가 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정치적인 목적을 가진다.”41) 다시 말해, 자본주

의체제를 받아들여 무역을 하지만, 자유 시장 참여가 목적이 아니라 세계의 공산화를 위한 것

이라는 뜻이다.

한편 소비에트는‘다른 이유는 없다(No Strings Attached)’라는 외원조 슬로건을 내세

36) Alexander Smith,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7, 1956,”Congressional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p. 282.

37) Walter George,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7, 1956,”Congressional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p. 280.

38) 배리 골드워터(Barry Goldwater, 1909-1998)는 1952년, 공화당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64년

선후보로 출마할 때까지 의원직을 역임하 다. 골드워터는 노동조합 개혁과 반공산주의에 깊이 연

관되었고 의회 내 보수연합의 표자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벌 다. 그의 표적인 저서 Conscienceof a Conservative (Hillman Books, 1961)는 보수진 을 표하는 주요 참고서로 활용된다. 위키

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Barry_Goldwater (검색일: 2011. 11. 19).

39) Barry Morris Goldwater, The conscience of a conservative (Hillman Books, 1961), pp. 95-99.

40) 하 선∙남궁곤(편), 『변환의 세계정치』(을유문화사, 2007), p. 78.

41) Willard L. Thorp, “American Policy and the Soviet Economic Offensive,”Foreign Affairs35-2 (January 1957), p. 278.

Page 7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5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42)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1956a), pp. 16R-22R.

43) Thorp (1957), pp. 273-278.

44) 이삼성 (1993), p. 109 and p. 202.

웠다. 그러나 그 내용과 달리 외원조는 저개발국의 중립주의를 강화하고, 소비에트에 적

적인 동맹을 깨뜨리며, 서구 향력을 중국-소비에트 향력으로 체하고, 타지역을 공산화

하는 데에 사용되었다.42) 즉, 소비에트는 외원조를 통해 향력을 넓히고자 했다.

1950년 에 소련경제가 급격하게 성장했다. 제5차 5개년개발계획(1950-1955) 결과 국민

총생산(national income)이 약 68% 증가했고, 제6차 5개년개발계획(1955-1960) 이후 연

평균 국민총생산 증가율은 10.5%, 5년간 국민총생산 증가율은 6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

다. 공산권 국가들과의 무역이 증가했고 자유진 국가와의 무역도 허용하 다. 이러한 성장

은 경제의 중요성을 인식한 결과로 서구의 경제성장보다 월등했다. 1956년 10월 30일 흐루

시초프는“소비에트 정부는 사회주의 국가들 간의 경제적 연 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

할 준비가 되어있다”라고 발표하여 경제적 연 에 한 의지를 보 다.43) 나아가 소련은 원자

재를 구입하고 잉여농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場)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자유시장에 흡수되

지 않은 저개발국들을 포섭하고자 원조를 활용했다.

그 결과, 미국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위험에 노출되었다. 첫 번째는 소련이 무역입지를 넓

혀 자유 시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위험이었다. 두 번째는 소련의 경제적 도움을 받은 빈곤국

이 다른 역에서도 소련을 계속 의존할 수 있다는 위험이었다. 미국은 세계적인 시장 주도권

을 노리는 소비에트에 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많은 제3세계 국가들이 중립주의 원칙을 고수하고자 했는데, 당시 미국에서는 미국의

전통과 경험에 위배되는 것은 모두 소비에트 진 에 속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덜레

스 국무장관은 중립주의는 비도덕적이고 근시안적이라고 비판했고, 공산주의로 넘어가는 하

나의 단계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정부 관료들이 도미노이론을 받아들 기

때문에 하나의 국가라도 공산화되는 조짐을 보이는 것에 매우 민감했다. 이때 미국의 최선의

전략은 제3세계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소련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피하면서도 공산

주의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아이젠하워 통령은 경제원조가 이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고,44) 덜레스 국무장관도‘상호안전보장 프로그램은 국가보장정책(national

insurance policy)이다’라고 표현했다.

2. 외원조 정책 효과

외원조 확 론자는 외원조의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고 주장

했다. 외원조의 본질적인 특성상 단기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은 외원

조를 통해 저개발국 저축률을 높이고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여 해외자본가의 투자가 이루어

지며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했다. 이 과정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았

다. <표 1>은 미국이 장기적으로 저개발국 성장에 기여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Page 7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1950-1955년에는 제3세계에 한 사적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았

고 ODA 117억 달러가 유입되었다. 1956-1960년에는 ODA가 203억 달러, 사적투자가 135

억 달러 유입되었다. 1965년까지 주춤하던 사적투자가 갑자기 두 배씩 증가하더니, 1975-

1980년에는 1,586억 달러가 투입되었다. 1950년 에는 저개발국에 투입된 ODA가 투자환

경을 마련하여 1950년 후반부터 사적자본이 들어가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1950-1955년에 들어간 ODA가 저개발국들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러한 외원조의 특성 때문에 외원조의 단기적인 효과를 기 하기 어려웠다. 아이젠하

워 행정부는 이 점을 인식하고 장기적으로 외원조를 수행할 것을 강조했다.46)

그러나 외원조 축소론자들은「상호안전보장법안」이 제정된 지 5년이 지났으나 목적을 달

성하지 못했으므로 외원조를 축소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미국 국민들은 세금으

로 집행된 외원조 정책이 미국의 이익과 상관없이 사용되었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외

원조 확 론자는 외원조액을 국내문제 해결에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이와 반 로, 외원조 확 론자들은 미국정부가 자국민을 위해서 예산을 효과적으로 사용

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당시 미국은 2차 전 이후 서유럽 복구 및 재건작업과 다른 나라들

에 한 차관으로 2,800억 달러의 부채를 떠안고 있었고 자국민들의 복지나 교육과 같은 문

제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해 써몬드 의원은‘이제는 결과를 보장할 수 없는 외원조로

친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지금은 외원조보다 국내 경제문제에 더 관심을

7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45) 1960년 이전 수치는 공적원조(Official Flows)를 포함하는데 그 규모는 매우 작다. Lumsdainen

(1993), Table 2.1, “Volume of Aid Compared with Private Financial Flows to the Third

World,”p. 34, 재인용.

46) 아이젠하워 통령은 회계연도 1957년「상호안전보장법안」예산 49억 달러 중 10억 달러를 10년간

단계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표 1> 제 3세계로 유입된 공적, 사적자본 규모(기준: 1988년 US십억 달러)

합계1961-1989

1986-1989

1981-1985

1976-1980

1971-1975

1966-1970

1961-1965

1956-1960

1950-1955

자본이동

공적개발원조(ODA)

사적투자

해외직접투자(FDI)

원조(Aid)

11.7

-

-

79

20.3

13.5

-

115

30.1

12.1

9.8

146

32.7

26.3

13.3

144

50.7

51.4

32.4

145

98.4

158.6

50.0

170

139.2

164.8

51.7

208

173.1

108.0

69.0

184

524.2

521.2

226.2

1,146

출처: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ssistance45)

Page 7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7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47) Smith (1956), p. 282.

48) Goldwater (1961), pp. 95-99.

49) Thorp (1970), p. 563.

50) George (1956), p. 276.

51) Smith (1956), pp. 282-285.

52) John Foster Dulles, “Testimony before the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on

April 30,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pp. 272-274.

53) Thorp (April 1970), p. 672.

가져야 할 때이다’라고 말했다.47) 그리고 정부가 외원조 집행과정과 결과를 국민들에게 알

리지 않았기 때문에 외원조는 신뢰를 잃었다. 골드워터는 미국 헌법에는 미국정부가 다른

국가들의 경제적, 사회적 복지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내용이 없으므로 외원조가 미국의 헌

법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48)

그러나 외원조 확 론자는 외원조 예산을 국내문제 해결에 사용하는 것은 외원조의

장기적 효과를 간과하는 것이고, 국내문제 해결을 위해서 그 재정을 사용하더라도 기 하는

효과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신 이들은 외원조를 통해 전 세계 긴장감을 감소시

키므로 집행과정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효과를 기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

장했다. 정책자문관 토프(Willard Thorp)는 같은 맥락에서 외원조는 단기적인 정치적, 경

제적 목표를 겨냥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49)

3. 수혜국 반응에 한 인식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 축소론자들은 저개발국들이 외원조를 제국주의적

인 개입으로 받아들 기 때문에 외원조가 미국의 국가이미지에 부정적인 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소비에트가 자신의 향권에 있는 지역에서 이러한 인식을 심어주어 부정적인 효

과를 증폭시켰고 그 결과 제3세계 국가들이 미국에 적 적이 되거나 중립주의를 유지하게 되

었다. 이점에 해 랑거 의원은 다른 국가들의 의심과 분노를 일으킨다고 말했다.50) 일례로

실론섬(Celyon)에서는‘만약 미국이 외원조를 중단했다면, 독립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신문보도가 나올 정도로51) 미국 원조에 한 저항적인 의견이 팽배했다.

또 외원조 축소론자들은 외원조가 공산화를 막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미국이

그리스에 막 한 원조를 제공했지만 미국-그리스 관계는 악화되었다. 반면 그리스는 소비에

트의 개입을 환 했고 소련-그리스 관계가 더욱 접해졌다. 축소 찬성측은 돈으로 친구를

얻고자했던 외원조 정책은 돈과 친구를 동시에 잃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52)

이러한 견해와는 달리 외원조 확 론자들은 외원조가 미국의 국가이미지를 고양시킨다

고 주장했다. 국가이미지는 국가의 크기나 힘에 좌우되지 않는데 외원조가 매우 적절한 수

단이다. 토프는 외원조를 통해 자애롭고 평화를 사랑하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국제적인 리더십도 특정 가치를 강요하거나 재정을 투자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

니다.53) 다음은 스미스 의원의 1956년 6월 27일 상원 연설 내용이다.

Page 7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 외원조는 공산주의의 확산을 방지할 뿐 아니라 더 인간적이고 보편적인 목적을 가

져야 한다. 미국은 외원조를 통해서 다른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세계평화를

이루고자 한다.”

한편 제3세계 국가들은 미국에 해 피식민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질감을 느꼈다.

제3세계 국가들은 제국주의에 해 저항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미국이 자유와 민주주의에

한 가치를 가지고 접근하자 국가이미지가 올라갔다.

외원조 확 론자들은 미국안보에 핵심적인 지역에서 외원조가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만약 외원조를 통해 군사적 보루를 만들지 않았다면 미국은 중요 지역을 지키기 위해 직접

미군을 파병해야 했을 것이고 많은 비용이 들었을 것이다. 1950년 미국안보에 핵심적인 지

역은 태평양 연안, 중동, 서유럽 지역이었다. 회계연도 1957년「상호안전보장법안」예산의

약 83%가 이 세 지역에 배분되었다.

미국은 태평양연안에 있는 인도차이나반도, 한국, 필리핀, 일본이 중국 공산당에 흡수되지

않기를 원했다. 그러나 군사력에 있어서 이 국가들이 소비에트의 원조를 힘입은 중국 공산당

에 못 미쳤기 때문에 미국은 원조를 통해 그들의 군사력을 보강하 고, 현지 군사력과 미국

군사력이 서로 보완하 다. 태평양연안 지역에 배정된 1957년 상호안전보장 프로그램 예산

은 전체 예산의 1/3을 상회하는 약 15억 달러 다.

중동 지역은 소비에트와 토가 직접 맞닿아 있었기 때문에 공산주의 위협에 더 노출되어

있었다. 전 세계 공산화를 막기 위해서는 서유럽의 군사력과 산업력을 유지해야 했는데, 파키

스탄, 터키, 이라크, 이란은 서유럽에 필요한 유전(油田)이 발견된 지역으로 넘어가는 관문이

었고 아프리카로 가는 관문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은 1957년 중동지역에 상호안전

보장 프로그램으로 약 8억 달러를 배정하 다.

한편 서유럽 지역은 북 서양 조약기구의 군사력으로 공산주의의 위협을 막고 있는 지역이

었다. 덜레스 국무장관은“우리는 스페인과 기초적인 협약(basic cooperation)을 맺었다. 이

협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규모의 재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우리는 유고슬라비아가

스스로 독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울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1957년 서유럽 지역에

외원조 10억 달러가 배정되었다.

Ⅴ. 맺음말

미국의 외원조 명분과 현실 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미국 외교정책 역사에서 외원조는

군사개입과 함께 제3세계에 한 해외개입의 주요한 수단이다. 미국은 최 원조 공여국 자

격으로 각종 국제적 사안에 개입하고 자신의 국가이익을 국제기구는 물론 다른 국가에 직접

실현해 왔다. 미국이 외원조를 수행하는 인도주의적인 명분 이면에는 뚜렷한 외교 목표가

담겨져 있다. 그러한 명분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처음 반 된 것은 미국이 외원조 확 를

Page 7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79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본격적으로 정책에 반 하기 시작한 1950년 다.

1950년 「상호안전보장법안」개정을 둘러싼 논쟁, 특히 1956년 법안 개정을 둘러싼 논쟁

에서 외원조 확 론자들의 입장이 채택됨으로써 미국 외교정책에서 외원조가 중요한 외

교정책 수단으로 자리 매김 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경제원조 규모가 군사원조 규모를 앞질

고 꾸준하게 외원조 전체 규모도 확 되어 왔다. 이들이 내세운 논거는 현재까지도 미국의

외원조 원칙과 방향을 설정해 줌으로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1950년 외원조 논쟁에서 외원조 확 론을 선도했던 아이젠하워 통령은 다

양한 권한을 사용하여 외원조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외원조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하고

중들에게 알리기 위해 여행을 하거나, 연설, 인터뷰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 하원 외교위원회와 개발경제학자들이 외원조를 해야 하는 이론

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이론적 기반을 구축한 것도 논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외원조 확 론자들은 1950년 에 소련의 지도력이 변화하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이를

봉쇄하기 위해 군사력과 더불어 외원조가 중요한 외교수단으로 등장했다는 점을 인식하

다. 이들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외원조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 기 때문에 설득력

이 있었다. 미국에게 안보적으로 더 중요한 지역의 상황이 외원조 확 론이 자리매김 되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미국이 외원조를 통해 국가이미지를 상승시키려는 의도가

강했던 점도 외원조 확 론 구축에 일조하 다.

이 분석을 통해서 미국 외원조는 미국의 개입주의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는 점

을 확인했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미국 외교정책에서 외원조는 해외개입의 주요한 수단 중

의 하나이다. 미국이 내세우는 외원조의 명분은 인도주의적 실천을 통해 미국의 전통적 가

치를 전파하고 국제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혜국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등이다.

미국이 외원조 명분으로 사용하 던 전통적 가치는 기독교정신과 자유 및 민주주의에 한

신념이었다.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점과 세상을 구원할 메시아에 한 신앙이 외원조 정

책에 큰 향을 미쳤다. 또 자유와 민주주의에 한 신념을 외원조를 통해 전파함으로써 더

나은 세계를 만들 수 있다는 명분을 갖는다. 냉전기 미국은 전 세계 공산화의 위협을 느꼈고,

자유주의 진 을 수호하기 위해 외원조가 필요하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냉전이 끝난 후에도 미국은 국제적인 평화를 기한다는 목적으로 외원조를 수행하 는데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는 전 세계를 테러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세계평화를 유지한다는 명

목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 막 한 규모의 군사원조와 경제원조를 투입하 다.54) 미국

은 저개발국의 필요를 채워줌으로써 자애롭고 책임감 있는 지도자로서의 국제적인 위신을 얻

고자 했다. 나아가 미국은 외원조를 통해 국제사회의 기준과 표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개발협력 방식으로 외원조의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개발협력이 갖는 정치적

54) 2008-2009년 미국 양자원조 수혜규모 1위와 2위를 차지한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는 각각 2,549백

만달러, 2,544백만달러를 공여 받았다. 이는 미국 총 양자원조의 10%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두 국가

에 한 지원은 2002년부터 현재까지 순위에 변동 없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OECD 홈페이지,

http://www.oecd.org/dataoecd/42/30/44285539.gif (검색일: 2011. 11. 21).

Page 7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함의를 파악하는 일은 중요해 보인다.55)

미국이 내세우는 외원조의 또 다른 명분은 수혜국의 요구이다. 수혜국들은 미국으로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받는 동시에 미국의 가치를 전수받고자 했다. 미국이 풍족한 자원을 보유하

고 있었고 민주화 및 경제발전을 이루는 데에 유용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2차

전 이후 유럽 국가들은 마셜플랜으로 경제를 회복하 고, 저개발국들도 미국의 원조를 받아

경제발전에 필요한 여건을 마련하 다. 저개발국은 자본과 기술부족으로 산업발전이 멈추어

생산성이 향상되지 않았고, 민간인 경제활동과 해외투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사회간

접자본의 부재로 빈곤의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제3세계 국가들은 공산주의를 거

부했고, 민주정부를 세우기 위해 자유와 민주주의에 한 가치를 전수받고자 했다. 요컨 미

국은 수혜국의 요구에 부응하여 외원조를 한다는 명분을 갖는다.

55) 미국은 자국의 안보에 핵심적인 저개발지역에서 안정이 유지될 때 국익이 보장된다. 탈냉전기에 들어

서도 미국은 외원조를 줄이거나 없애라는 의회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변화

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지역적인 중추국(pivotal states)에 경제적, 군사적인 원조를 지원하고

있다. Robert S. Chase, Emily B. Hill, and Paul Kennedy, “Pivot States and U.S. Strategy,”

Foreign Affairs 75-1 (1996), pp. 111-129.

Page 7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1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참 고 문 헌

권용립. 『미국 외교의 역사』삼인, 2010.

한민국 외교통상부 홈페이지. http://mofaweb.mofat.go.kr/

박인숙. “제5장. 1950년 의 미국 외교(1953-1960).”최 보 외. 『미국현 외교사』비봉,

1998.

외교통상부. 「개발원조평가용어집」외교통상부 개발정책과, 2008.

이삼성. 『현 미국외교와 국제정치』길사, 2003.

하 선∙남궁곤 편. 『변환의 세계정치』을유문화사, 2007.

Baylis, John and Steve Smith.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하 선 외 편. 『세계정치론』을유문화사, 2003.

Bonomi, Patricia. Under the Cope of Heaven: Religion, Society, and Politics in

Colonial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Cartier, Raymond. “An English Language Translation Appearing on May 2, 1956,

issue of The National Review.”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Castle, Eugene. The great giveaway: the realities of foreign aid. Henry Regnery, 1957.

Chase, Robert S., Emily B. Hill, and Paul Kennedy. “Pivot States and U.S. Strategy.”

Foreign Affairs 75-1 (1996).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An Address before the National Conference

on Inter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n April 10, 1956.”

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Committee on Appropriations. Mutual Security Appropriation Bill, 1957 (1956).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Foreign Policy and Mutual Security. Committee Print,

1956a.

_______. House Committee Minority Report. Committee Print, 1956.

_______. “Trends in Mutual Security, Fiscal Year 1948-49 to Fiscal Year 1957.”

Committee Print, 1956.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미국 외교협회) 홈페이지. http://www.cfr.org/

Dulles, John Foster. “Testimony before the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on

April 30,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Page 7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Eisenhower, Dwight David. “Annual Message to the Congress on the State of the

Union”(1956).

Garrett, Laurie. “Foreign Aid Isn’t Foreign. It’s American.”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1. 3. 3 (검색일: 2011. 3. 10).

George, Walter.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7,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Goldwater, Barry Morris. The conscience of a conservative. Hillman Books, 1961.

Hayter, Teresa. Aid as Imperialism. Penguin Books, 1971.

Hopkins, Raymond. “Political economy of Foreign Aid.”In Finn Trap. ed. Foreign Aid

and Development: Lessons Learnt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Taylor &

Francis Group, 2000. 임을출 역. 『원조와 개발: 교훈과 미래 방향』한울, 2009.

House of Representatives (미국 하원) 홈페이지. http://house.gov/

Kaplan, Jacob J. The Challenge of Foreign Aid. Frederick A. Praeger, 1967.

Kennedy, Paul, Robert S. Chase and Emily B. Hill. “Pivot States and U.S. Strategy.”

Foreign Affairs 75-1 (1996).

Kernell, Samuel and Gary Jacobson. The Logic of American Politics. Cq Pr, 2007.

Langer, William.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9,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Leibenstein, Harvey. Economic Backwardness and Economic Growth. Wiley, 1957.

Lumsdaine, David Halloran. Moral vis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foreign aid

regime, 1949-1989.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Merrill, Dennis. “The United States and the rise of the Third World.”In Gordon

Martel. ed. American Foreign Relations Reconsidered 1890-1993. Routledge,

1994. 정진위 편역. “제10장. 제3세계의 등장과 미국.”『미국외교정책』박 사, 1996.

Millikan, Max and Walt Rostow. A proposal: key to an effective foreign policy.

Harper, 1967.

Morgenthau, Hans. “A Political Theory of Foreign Aid.”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6-2 (1962).

National Archives (미국 국가기록부)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v/

National Society of Newspaper Editors (미국 신문편집자협회 홈페이지). http://asne.org/

Nurkse, Ragnar. Problem of Capital Formation. Oxford: Basil Blackwell, 1955.

OECD (경제개발협력기구) 홈페이지. http://www.oecd.org/

OECD. “Aid Statistics, Donor Aid Charts.”http://www.oecd.org/dataoecd/42/30/

44285539.gif (검색일: 2011. 4. 27).

Page 7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31950년 미국 외원조 확 론 연구 □ 남궁곤∙이서

Office of the Clerk,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Mutual Security Act of 1951.”

http://clerk.house.gov/art_history/highlights. html?action=view&intID=175 (검

색일: 2011. 2. 8).

Pearce, Kimber. Rostow, Kennedy, and the rhetoric of foreign aid.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01.

Reston, James. “The President Acts.”The New York Times. 1956. 5. 2. http://select.nytimes.com/

gst/abstract.html?res=F30A14F63 45B177B93C0A9178ED85F428585F9&scp (검

색일: 2011. 3. 16).

Riddell, Roger C. Does Foreign Aid Really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Rosenstein-Rodan, Paul Narcyz. “International Aid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43-2 (May 1961).

Rostow, Walt. The stages of economic growth: a non-Communist manifest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Silk, Mark. “Notes o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in America.”American Quarterly

(1984).

Smith, Alexander. “An Address on the Floor of the Senate on June 27,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Thorp, Willard L. “American Policy and the Soviet Economic Offensive.”Foreign

Affairs 35-2.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January 1957.

_______. “Foreign Aid: A Report on the Reports.”Foreign Affairs 48-3.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April 1970.

Thurmond, Strom. “A Speech at a convention of the South Carolina Junior State

Chamber of Commerce on May 20, 1956.”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rporation, 1956.

United States National Archives. “Records of U.S. Foreign Assistance Agencies, 1948-

1961.”Administrative History, Records of the Mutual Security Agency(MSA)

1949-56, History. http://archives. gov/research/guide-fed-records/groups/

469.html (검색일: 2011. 1. 28).

USAID (미국 국제개발청) 홈페이지. http://www.usaid.gov/

U.S. Foreign Aid. “Action in the Current Congress.”Congressional Digest. The

Congressional Digest Cooperation, 1956.

Ward, Barbara. “For a New Foreign Aid Concept.”The New York Times. 1956. 5. 11.

http://select.nytimes.com/gst/abstract.html?res=FB0712FE3954157A93C3A81

788D85F428585F9&scp (검색일: 2011. 3. 17).

Page 8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Mutual Security Act (1951) andthe U.S. Foreign Aid Debate in the 1950s

(Ewha Womans University)Gon Namkung∙Seo Young Lee

There was a debate on the volume of foreign aid implemented by ‘Mutual Security Act’ in the

U.S. congress during 1950’s. The debate on ‘Mutual Security Act’ clearly presented the logics

and moral obligations of expansionis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backgrounds and logical frameworks of the

expansionists-who insisted on expanding foreign aid- through investigating the revision

procedure of ‘Mutual Security Act’ in 1956. Eventually it explores political implications of

foreign aid as one of the U.S. intervention foreign policy.

The expansionists were so active to persuade people of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The idea of expanding foreign aid was supported by some critical scholars in 1950’s.

Moreover, the President, Eisenhower, the representative of expansionists, and some policy

makers convinced congressmen and people by using their political influences. With clear criteria

and principles, they attained logical justification of foreign aid. Their arguments were more

persuasive than the opponents when it comes to the recognition of the changing world,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and the reaction from recipient countries. Furthermore, the idea that

foreign aid is decisive for the U.S. security paved the way for success and it became the main

idea of the foreign aid afterwards.

투 고 일 :2011년 10월 7일

심 사 일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2011년 12월 16일

8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8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문명론지개략』(1875)에서『새로운 중세』(1997)까지*

박 준

(국방 학교)

【한 초록】

국제관계이론 혹은 국제질서관은 서구 국제정치학의 전통에서만 유래하는 것인가. 아

니면 여타 지역 혹은 국가에서도 나름의 국제질서를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가. 본 논고는 근 이후 일본의 텍스트를 연구 상으로 삼아 일본의 식자들이 국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들어가는

Ⅱ. 메이지(明治) 시 의 국제질서관과

아시아 정책론

1. “문명”과“미개“의 국제질서관

2. 아시아 정책론: 아시아연 론과

륙외정론(外征論)의 길항

Ⅲ. 제국(帝國) 시 의 국제질서관과

아시아 정책론

1. 국제민주주의론 vs

양극적 국제질서관

2. 아시아 정책론: 식민지 자치론

vs 동아협동체론(東亞協同體論)

Ⅳ. 전후(戰後) 일본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과 아시아 정책

1. 전후 일본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과

국제질서관

2. 전후 일본의 외정책 방향과

아시아 인식

Ⅴ. 냉전기의 국제질서 인식과 새로운

정체성 모색

1. 냉전기의 국제질서 인식과 새로운

정체성 모색: 상인국가 vs 안보국가

2. 냉전기의 아시아 정책

Ⅵ. 탈냉전기 일본의 국제질서 인식과

아이덴티티 모색

1. 신중세적 국(大國) 혹은

미들파워의 정체성

2. 21세기 일본의 외정책론

Ⅶ. 맺음말

∙주제어: 일본, 국제질서관, 계서적국제질서관, 후쿠자와유키치, 다나카아키히코, Japan,view on international order, hiarachical order, Fukuzawa Yukichi,Tanaka Akihiko

� 차 례 �

�졸고에 해 상세하고도 귀중한 지적을 해주신 익명의 심사자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미진한 부분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해 가겠다는 말 을 드린다. 본고는 2009년 한일 양국간에 조직된 한일신시 공동연구위원회에서 필자가 발표한 초고의 일부임을 밝혀둔다. 초고에 해 유익한 조언을 해주신 공동연구위원회 소속 한일 양국의 참가자분들께도 사의를 표한다.

Page 8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들어가는

각 국가들은 나름 로의 방식에 따라 국제질서를 파악하고, 그 속에서 자신들의 위상이나

정체성(self-identity)을 갖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리고 이러한 독특한 자기정체성은 외정

책 선택에 있어서도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 미국의 경우는 자신들의 국가성격이나 지

향하는 바가 유럽의 국가들과 다르다고 보는 예외주의(exceptionalism)를 갖고 있다. 그리

고 자신들에게 부여되었다고 믿는 사명, 소위“명백한 소명(manifest destiny)”의 관념에

의해 외교정책을 수행해 온 바가 적지 않다. 구소련도 맑스-레닌주의의 국제질서관에 따라

세계정세를 관찰했으며, 사회주의 혁명의 종주국이라는 자기 정체성이 외정책에 적지 않게

투 되었던 바 있다. 즉 개별 국가가 인식하는 국제질서관, 혹은 국제질서 속에서 갖는 자기

정체성은 다른 요인들 못지 않게 그 국가의 외정책에 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의 한가지가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그렇다면 일본의 경우는 어떠할까. 근 적 국제질서에 편입된 이래 일본은 국제질서를 어떻

제정치의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에 나름의 독특성이 있었는가, 만일 독특성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러한 성향은 어떻게 계승 혹은 변화되어 왔는가를 다루어보고자 했다.

그 결과 메이지유신 직후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국제질서를 문명의 관점을 기

준으로 해서 문명, 반개(半開), 미개의 3가지 계층적 질서로 파악한 이래 일본의 식자들

사이에서는 국제질서를 나름의 기준에 의해 구조적, 계서적(階序的)으로 파악하려는 성

향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았다.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로 팽창하던 시 에는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 등에 의해 국제질서를 가진 국가와 가지지 못한 국가로 별

하는 시각이 등장하 다. 제2차 세계 전의 패전 이후에는 우메사오 다다오(梅棹忠夫)

등에 의해 다시 봉건주의와 전체주의를 경험했는가 등의 변수에 따라 국제질서를 제1세

계와 제2세계로 나누어 보는 시각이 나타났다. 냉전시 에는 전략핵무기 등의 자산을

갖고 국제질서의 중심적 행위자로 되는가 아니면 경제 역을 중심으로한 행위자인가의

여부에 의해 사무라이 국가와 상인국가로 구별하는 시각이 주목을 끌었다. 그리고 일본

이 경제적인 수준 뿐 아니라 정치적인 민주화 측면에서도 명실상부하게 국으로 부상

한 최근에 이르러서는 다나카 아키히코(田中明彦)에 의해 국제질서를 신중세권, 근

권, 혼돈권으로 구조화해서 파악하려는 시각이 두되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볼 때 일본형 국제질서관은, 예컨 홉스적 국제질서관, 칸트적

국제질서관, 그로티우스적 국제질서관 등 서구 국제질서에서 고찰된 것과 다른 성향의

독특한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일본형 국제질서관은 근 이후 일본

의 외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향을 미친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되어 왔다고 보

여진다.

Page 8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7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게 인식해 왔으며, 그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해 왔던가. 근 이래 일본의 국

제질서관, 혹은 자기정체성은 다른 국가들의 그것과 구별되는 일본적 특수성을 갖고 있었는

가.1) 만일 갖고 있었다고 한다면 일본적 국제질서관을 바탕으로 배태된 자기정체성은 외정

책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특성을 띠면서 전개되어 왔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근

국제질서에 편입된 이래 일본의 지식인과 정치가들이 각 시기마다 어떠한 국제질서관과 자

기정체성을 보여왔는가를 중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국제질서관과 자기정체

성이 각 시 별로 나타난 일본의 외정책, 특히 아시아 정책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왔는가를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일본의 외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것

으로 기 한다.

Ⅱ. 메이지(明治) 시 의 국제질서관과 아시아 정책론

1. “문명”과“미개”의 국제질서관

메이지시 일본의 표적인 지식인들과 관료들은 국제질서를 문명의 기준, 혹은 독립의 기

준에 따라 계서적(階序的)으로 파악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왕정복고 직후 신생 메이지정부

에 의해 간행된 잡지『明治月刊』제2호(1868)는 세계의 국가와 지역을 문명, 개화, 반개(半

開), 그리고 이속(夷俗)과 야만(野蠻)의 5가지 단계로 나눈 일람을 게재하 다. 이에 의하면

문명 및 개화의 국가에는 구미 국가들이 포함되었고, 반개(半開)의 국가에는 인도, 페르시아

(波斯), 터어키(土耳古)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2) 이 잡지에서 일본의 위상은 특정되지

않았으나, 이로부터 7-8년 후에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발간한『문명론지개략』(1875)

은 보다 구체적으로 일본의 위상을 나타내고자 하 다. 당 최고의 계몽사상가 던 후쿠자

와도 당시의 국제질서를 문명, 반개(半開), 미개(未開)의 단계로 나누고, 문명의 단계에는 유

럽 국가들 및 아메리카가, 미개의 단계에는 다수의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이 해당된다고

1)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최근의 논고로는 猪口孝, 「日本の國際關係論の系譜」, 『國際關係論の系譜』(東京

大學出版會, 2007); 田中明彦, 「日本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 積み分けを越えて」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會(編), 『日本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 ?/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として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有斐閣, 2009) 등이 있다. 이노구치 다카시(猪口孝)는 메이지 시

부터 국가학, 맑스주의, 역사주의, 실증주의의 조류 속에 일본적 국제관계론이 전개되고 있다고 파악한

다. 다나카 아키히코(田中明彦)의 연구는 본고에서도 다루고 있는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와 나카에 초

민(中江兆民), 그리고 후쿠자와 유키치 등의 1870-80년 저작들에서 현 국제정치의 주요 이론들인

현실주의, 자유주의와 유사한 관점이 발견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박철희 교수도 1945년 이후의 전후 일

본 국제정치학 흐름과 특성에 해 고찰한 바가 있다. 박철희, “일본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 변화,”『일

본연구논총』제14호 (2001. 12). 근 에 국한해 국제정치론의 전개를 다룬 연구로는 春名展生, 「近代日

本における@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論の展開」, 小田川大展, 五野井郁夫, 高橋良輔(編),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哲?/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ナカニシヤ出

版, 2011)이 있다. 그런데 이들 연구들이 학문으로서의 일본 국제정치학 전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한다면, 본고는 메이지 시 이후 현 에 이르기까지 일본인들의 국제질서관 및 자기정체성에 관한 인

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에 중점을 둘 것이다.

2) 春名展生 (2011), p. 228에서 재인용.

Page 8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하 다. 그리고 후쿠자와는 일본을 포함하여 터어키(土耳古), 중국(支那) 등이 반개(半開)의

역에 있다고 보면서, 일본이 속히 반개(半開)의 역에서 문명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

한 바 있다.3) 메이지정부의 문부 신(文部大臣)을 역임하게 되는 모리 아리노리(森有禮)는

1874년『명육잡지(明�雜誌)』에 발표된 을 통해 19세기 국가들을 정치적 독립의 정도에 따

라 자유독립, 약속독립, 공납(貢納)독립의 단계로 구분지어 파악하면서, 일본은 자유독립, 중

국은 약속독립, 조선은 공납독립의 단계에 있다고 보았다.4) 즉 메이지시 정치가들과 지식인

들은 국제질서를 문명 혹은 독립의 기준에 따라 계서적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인식하면서, 그

속에서 일본의 위상을 반개(半開) 혹은 자유독립의 단계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당 의 표적 정치학자 가운데 한사람이었던 오노츠카 기헤이지(小野塚喜平次)는“미개(未

開)의 국가는 국가경쟁력에 하여 자각의 정도가 높지 않아 국가적 안광(眼光)에서 경제력을

조화적으로 발달시키는 것이 부족하다. 이에 반해 문화(文化)국가는 국가경쟁을 자각하고, 계

통적으로 경쟁력을 발달시켜 국운을 확장하는 것에 힘쓴다”라고 하 다.5) 이러한 지적처럼

국제질서상 자신들의 위상이“문명”의 수준에 달한 국가들에 비해“반개(半開)”정도의 수준

에 머물러 있다고 보았던 메이지시 일본의 정치가들과 식자들은, 국내적으로는“문명개화”

나“부국강병”정책의 적극적 추진을 통해 문명의 단계로 나아가려고 하 고, 외적으로는

막부 시기에 체결되었던 구미 각국과의 불평등 조약 개정운동이나, 청일 및 러일전쟁을 통한

국제적 지위의 상승을 위해 노력을 경주하 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개화의 길로 나아가

기 위해서는“아세아의 동변(東邊)에 순연(純然)한 새로운 서양국가를 출현시키는 정도의

단(大英斷)”을 내려서, 일본을 문명국으로 만들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문명개화 사상

을 강력하게 제창하 다. 1880년 에 외상을 지낸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는 일본이 불평등

조약개정을 성취하기 위해서는“우리 제국으로 하여금 유럽적(歐洲的) 제국을 만들고, 우리나

라 사람으로 하여금 유럽적 인민으로 만들어, 유럽적 신제국을 동양에 만들어야 한다”고 호소

하 다. 1894년 청일전쟁 개전 당시 일본 외상을 역임한 무츠 무네미츠(�奧宗光)도 제국의

회 연설을 통해“조약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필경 아국(我國)의 진보와 아국의 개

화가 실로 아세아 가운데 특별한 문명이고, 강력한 국가라고 하는 것을 외국에 실증하는데 있

다”고 역설하 다.6)

이러한 문명개화 정책에 따라 부국강병정책이 추진되고, 외적으로 조약개정이나 일련의

전쟁들에서 승리하면서, 일본은 20세기초 드디어 구미 열강과 반열을 같이 하기에 이르 다.

3) 福澤諭吉, 『文明論之槪略』(1876: 岩波文庫, 1991). 후쿠자와가 조선의 문명화를 지원하려는 입장을 가

진 것은 분명하지만, 문명의 단계에 해서는 일본의 아래 단계로 인식하 다. 김용구 교수는 19세기

유럽 국제법학자들이 체로 유럽국가들을 문명국, 페르시아, 샴, 아프가니스탄, 중국 등을 반(半)문명

국, 그 외의 국가들을 야만의 국가들로 구별하고 있었다고 지적한다. 김용구,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

학』(나남출판, 1997), pp. 49-51. 후쿠자와 등의 세계질서 인식에는 이같은 당 유럽 국제법학자들

의 향이 작용했다고 보여진다.

4) 森有禮, 「獨立國權義」, 『明�雜誌』제7호 (1874년 5월).

5) 1903년 저술된『政治學大綱』상권에서, 春名展生 (2011), p. 230에서 재인용.

6) 이상은 春名展生 (2011), pp. 231-233.

Page 8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89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러일전쟁 승전 이후인 1907년에 행한 연설을 통해, “일본은 수십

년래의 오랜 관습을 깨고 세계문명의 수입에 힘썼다...이 진보, 변천의 결과 일본은 국

의 반열에 들어 확실히 세계로부터 중시되기에 이르 다”7)라고 선언한 것은 드디어 반개(半

開)의 단계에서 문명의 단계로 전환하 음을 내외에 알리는 것이기도 했다.

2. 아시아 정책론: 아시아연 론과 륙외정론(外征論)의 길항

메이지시 의 정치가들과 지식인들이 구미제국에 해서는 그 문명개화 수준을 따라잡으려

고 하는 구화(歐化)정책을 일관되게 취하 다고 한다면, 아시아에 해서는 그 상 적 국력의

위상 변화에 따라 정책이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1880년 중반의 시점에서 일본 내에서

는 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연 하여 서양세력의 동진에 항하려는 아시아연 론, 외적 관

심을 기울이지 않고 일본 일국 내에서 민주와 경제번 의 국가를 이룩하려고 하는 소일본주

의, 그리고 륙국가들을 점령하여 그를 바탕으로 서양 세력에 항하려는 륙외정론(外征

論) 등 크게 3가지 정도의 아시아 정책론이 논의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8)

그런데 갑신정변의 실패로 인해 조선 등에서 개화를 도모하려는 정치세력들이 실각하자, 후

쿠자와 유키치가 1885년의 논설을 통해서는 아직 미개의 단계에 머물고 있는“아세아 동방의

악우(惡友)들과는 사절해야 한다”는 탈아입구론(脫亞入歐論)을 제창하기 시작하 다. 일본은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에 해서도 문명으로 나아가려 하는 일본과 아직 야만에 머물러

있는 청국과의 결로 인식하 다. 후쿠자와는 청일전쟁이 문명과 야만의 전쟁이라고 갈파하

고, 쿠가 가츠난(��南)도 청일전쟁이“문명의 승패”라고 보았으며, “이 전쟁에서 패하는

것은 동양에서 도의의 패배”로 직결된다고 하 다.

일본이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에 거듭 승전을 거두면서, 동아시아 지역 뿐 아니라 국제질서

상의 국으로 부상하고, 한제국과의 국력격차가 현저해지면서 일본의 위정자들은 점차

륙외정론의 방향으로 정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9)

1890년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수상은 국가독립 자위의 길은 주권선과 이익선의 확

보에 있으며, 일본의 이해에 긴절(緊切)한 것은“아방(我邦) 이익선의 초점”인 조선국(朝鮮國)

7) 伊藤博文, 「公平なる日本の政策」(1907. 4. 17, 京城 일본구락부의 한국경제협회에서 행한 연설), 平塚

篤(編), 『伊藤博文演說集: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p. 227.

8) 1887년 출간된 나카에 초민(中江兆民)의『삼취인경륜문답(三醉人經綸問答)』(1887)에 등장하는 남해선

생(南海先生), 양학신사(洋學紳士), 호걸군(豪傑君)의 화가 각각의 아시아정책론을 반 하고 있다. 국

내 번역으로는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 사상팀 역, 『삼취인경륜문답(三醉人經綸問答)』(서울: 소명

출판, 2005)을 참조.

9) 이토 히로부미는 1909년 행한 연설에서 을사조약 체결을 전후한 한제국의 연간예산이 1904년 347

만 3402원, 1905년 677만 5525원인데 반해, 일본의 그것은 1904년 2억 7705만엔, 1905년 4억

2074만엔으로 약 60배 이상의 격차가 있음을 강조하 다. 伊藤博文, 「韓國の國力」(1909. 3. 1), 平塚

篤(編), 『伊藤博文演 說集: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pp. 236-238. 다른 연구에 의하

면 1911년 당시 조선 GDP는 1990년 가격기준으로 79억 6600만 달러, 1인당 소득은 772달러 고, 일

본의 GDP는 680억 7천만 달러, 1인당 소득은 1356달러여서, GDP의 경우는 8-9배, 1인당 소득의 경

우는 2배 정도의 격차를 보이고 있었다. Angus Maddison, The World Economy: Historical

Page 8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의 중립인데, 향후 일본으로서 조선을 연합보호하고 항구 중립의 위치를 점하게 하는 것이 과

제라고 하 다.10) 여기에는 국력이 약한 조선을 일본의 배타적 국가이익 확보를 위한 방편으

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야마가타는 러일전쟁 직후인 1905년에 쓰여진“전후경

의견서(戰後經營意見書)”에서 러시아가 장차 남하운동을 개시하여 복수전을 수행할 것에

비하고, “동양 장래의 평화”를 위해, 한국에 한 보호권을 확립하고 조선의 외관계를 수중

에 장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구히 한국의 요지에 유력한 군 를 주둔시켜야 한다고 제언하

다.11) 이러한 의견서에 따라 한제국에 한 외교권 박탈과 군 주둔이 결정되고 있다.

초 조선통감으로 부임한 이토 히로부미는 야마가타에 비해 상 적으로 온건한 어조로 일

본의 조선정책을 설명하려 하 다. 그는 1906년 1월에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제국의 한

국 보호정치에 한 책임은 한국 국민의 궁핍을 구제하는 방책을 세우는 것이라고 말하 다.12)

그는 다른 자리에서는 통감으로 부임한 이후 자신의 책무는“한국의 개발”및“한국민을 문명

으로 인도”하는 것에 있다고도 하 다. 또한 1909년 1월, 구지방의 지방관리 및 유생들에

게 행한 강연에서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해 결코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일본이 한국

에 바라는 바는 국민을 지식으로 이끌고 산업을 유도하여 일본과 같은 문명의 은택에 젖게 하

여, 함께 힘을 합하여 동양을 지키는 것이라고 하 다.13)

즉 문명개화 정책을 바탕으로 외전쟁을 승리로 이끈 일본의 정치가들은 여전히 미개의 단

계에 머물러 있는 아시아 륙을 문명으로 인도하는 것이 일본의 과업이라고 인식했으며, 이

를 위해 식민지 정책을 정당화하고자 하 다.14)

Statistics (OECD, 2006), p. 548, p. 550 and p. 558 참조. 이토가 양국간의 국력격차를 강조하기

위해 가장 현저한 차이가 드러나는 지표를 제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10) 山縣有朋, 「外交政略論」(1890년 3월), 大山梓(編), 『山縣有朋意見書』(原書房, 1966), p. 197 and p. 199.

11) 山縣有朋, 「戰後經營意見書」(1905년 8월), 大山梓(編), 『山縣有朋意見書』(原書房, 1966), p. 281

and p. 285.

12) 伊藤博文, 「韓國統治の方針」(1906. 1. 30, �南坂 관저에서 각 신문기자 초 회), 平塚篤(編),『伊藤博

文演說集: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p. 221.

13) 伊藤博文, 「公平なる日本の政策」(1907. 4. 17, 京城 일본구락부의 한국경제협회에서) 및「韓國開發

論」(1909. 1. 12), 平塚篤(編), 『伊藤博文演說集: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pp. 225-

226 and p. 233 참조. 1898년에 이어 1914년에 수상으로 취임하는 오쿠마 시게노부(大�重信)도

1906년에 쓰여진 논설에서, 한국이 정치만 좋다면 일본만큼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동화정

책의 실시를 주장했다. 小熊英二, 『單一民族神話の起源』(新曜社, 1996), 제5장“일선동조론(日鮮同祖

論)”에서 재인용.

14) 이토 히로부미는 1907년 7월에 조선주재 일본 언론인들을 상으로 행한 연설에서는 일본은 자위의

필요상 한제국을 보호국으로 하 으며, 일본의 지도감독이 없다면 조선 내에서 건전한 자치를 수행

하는 것은 어렵다고 공언하 다. 伊藤博文, 「余は天下に公言す」(1907. 7. 29), 平塚篤(編), 『伊藤博

文演說集: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pp. 230-231. 이토 히로부미가 주도한“한일병

합”과정에 해 당시 George Trumbull 예일 학 교수는 이토 히로부미의 행위를 옹호했지만, 프랑

스 법학자 Francis Rey는 1906년에 Revue general de Droit Public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일본

이 국제적으로 보증된 조약체결의 방식을 침해했고, 강압적 보호조약 체결은 개탄할 만한 행위라고 비

판했다. Alexis Dudden,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Discourse and Power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pp. 72-73에서 재인용.

Page 8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1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Ⅲ. 제국(帝國) 시 의 국제질서관과 아시아 정책론

1. 국제민주주의론 vs 양극적 국제질서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쳐 일본이 참가한 일련의 전쟁들, 즉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제1차 세계 전에서의 일본의 승리는 명치유신 이후 일본이 50여년간 매진해온 문명

개화, 부국강병, 그리고 서구화 정책의 성공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 결과 일본은 구미의 열강

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강국의 반열에 올라설 수 있게 되었다. 1차 세계 전 직후 국제법학

자 던 시노부 준페이(信夫淳平)는 이를 다음과 같이 언급하 다.

우리나라는 메이지 27, 28년(1894-95)의 청일전역, 33년의 의화단사건을 거쳐, 그

실력이 세계에 인정되어, 35년에는 일동맹이 만들어지고 동양의 치란에 한 중요한

발언권을 획득했다. 나아가 37, 38년(1904-05)의 러전역의 결과로서 세계의 최 강

국의 하나에 헤아려지게 되었다. 열국은 공연히 우리나라를 국의 반열에 더해 그 결과

구미의 7 국은 세계의 8 국이 되었다. 그런데 유럽 전은 독, 오, 러의 3국을 국의

지위에서 탈락시켰다. 그래서 남은 5 국이 세계의 雄國으로서 새롭게 국제정국의 위에

돌출하 고, 국제연맹도 이 새로운 5 국을 추축으로 운용되게 되었다. ... 최근 별도로

세계의 3 국이라는 말도 있다. 즉 프랑스, 이태리를 빼고, 일 미의 3국을 추 하는 말

이다.15)

불과 50여년 만에 국제질서상 반개(半開)의 지위에서 세계 3 국의 일원으로 발돋움한 일

본의 지식인과 정치인들은 과연 1차 세계 전 종전을 전후하여 어떠한 국제질서론과 자기정

체성 인식을 갖고 있었던 것일까.

도쿄제국 학 교수 던 요시노 사쿠조는“종래의 국제관계는 제국주의, 강한 자가 승리하

고 약한 자는 강한 자의 먹이가 되어 왔지만, 그 관계를 이전에는 정리하여 국가와 국가 간에

는 자유평등의 관계로 가기 때문에, 군함이 많기 때문에 발언권을 주지 않을 것이고, 인구가

많기 때문에 발언권을 주지 않고, 사민평등의 원칙을 국제간에도 적용하여 서로 조화되고 믿

는 새로운 국제관계를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에서 세계가 개조되어 갈 것이라고 믿는다”16)

라고 하면서, 국제질서가 종전의 제국주의 질서에서 이제는 평등에 기초한 국제적 민주주의

의 질서가 전개될 것으로 전망하 다. 이에 따라 일본도 국제민주주의의 정신에 입각하여 국

제적 군비통제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식민지에 해서도 과감하게 자치를 허용할 것을 주

장하 다.

언론인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나 정치인 오구마 시게노부(大�重信) 등도 일본이 다른 문

15) 문명협회(편), 『 전후 세계의 움직임』, 春名展生 (2011), p. 232에서 재인용.

16) 春名展生 (2011), pp. 242-243에서 재인용. 요시노 사쿠조의 외관에 해서는 酒井哲哉, 「解?O@?e@??)X?e@@@?e3L?@)?e

N1?@H?e?@@@@@?@X@?@W)X?

?@@@@@@@)?@@@??@f?@H?

?@f?@e@@@??@@@@@@@e@?@L?@Y@?@V@e@@@@e?@?@f@?@HeJ5?@f@?@?e7H?@?@e@@@??J5??@?@e@V'=O.Y??@?@L?@?V40Ye?@@@@?

:

吉野作造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民主主義論」, 『吉野作造選集6』(岩波書店, 1996)를 참조.

Page 8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명, 다른 인종간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사해형제의 인도주의를 실행해야 한다고 하 다. 제1

차 세계 전 이후 성립된 국제연맹의 사무차장을 역임하게 되는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

도 일본이 인류에 봉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하 다. 이같이 이들은 러일전쟁 및 제1차 세

계 전 이후의 국제질서에 해서 이상주의적 입장에서 국제민주주의나 사해형제(四海兄弟)

의 인도주의적 전망을 내보인 것이다.

그러나 다른 논자들은 오히려 제1차 세계 전 이후의 국제질서가 양극적 혹은 인종적 립

의 경쟁상태가 노정될 것으로 상반되게 전망하 다. 황족 출신의 청년 지식인으로 제1차 세계

전의 강화회의에 일본측 표단의 일원으로 참가한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는 1918년에

저술한 논설을 통해 전후 세계에서“가진 국가”와“가지지 못한 국가”의 분열이 나타나고 있

다고 명언하 다. 그에 의하면 가진 자를 표하는 국과 미국이 평화를 주창하고 있지만,

실은 이 정책은 국과 미국의 이익에 기여하는 현상유지의 방책에 다름 아니라고 비판하

다. 국과 미국의 주도에 의해 제시된 국제연맹도 결국은 국이 경제적으로 소국을 병탄할

우려가 있는 질서구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면서 그는“가진 국가”들에 의한 경제적 제국주의

가 배척되고, 식민지가 개방되며, 천연자원의 공급지에 해서도 각국이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질서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 다.17)

제1차 세계 전 이후 재편되는 국제질서를 미 주도의“가진 국가”와 그렇지 못한“가지지

못한 국가”의 양극적 질서로 파악하고, 일본을“가지지 못한 국가”의 표로 규정할 때, 일본

은 과연 어떠한 외정책을 가져야 할 것인가. 이 지점에서 고노에 후미마로 등의 식자와 정

치인들은 결국 일본이“못가진 국가”들, 즉 동양민족의 표가 되어 구미 국가들에 도전해야

한다는 외정책론을 주창하게 된다.

2. 아시아 정책론: 식민지 자치론 vs 동아협동체론(東亞協同體論)

일본은 제1차 세계 전에의 참전으로 인하여 전후 미국, 국 및 프랑스 등과 더불어 승전

국의 반열에까지 국제적 위상을 드높 다. 일본은 표면적으로 여타 승전국들과 파리강화회의

와 워싱턴 군축회의 등에 참가하면서 국제적 군비축소, 국제기구 결성을 통한 평화체제의 구

축을 표방하 다. 그러나 내면적으로 1919년 3.1운동에서 나타나듯 조선 등의 식민지 통치로

인한 문제들이 불거져 나오면서, 일본의 위정자와 식자층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기

존에 추구해온 아시아 정책에 해서도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도쿄제국 학 교수 던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와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 등은 제

1차 세계 전 이후 국제적 추세가 되어있던 반군국주의, 국제협조주의, 국제민주주의의 동향

을 수용하면서, 그 연장선상에서 기존 일본의 조선에 한 강압적 식민지정책에 해 비판을

가했다.18) 그러면서 이들은 조선에 해 자치를 보다 확 하는 방향으로 식민지 정책을 전환

9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7) 近衛文�, 「英美本位の平和主義を排す」, 『日本及日本人』제746호 (1918. 12); 中西W&K?O@K?eO)X?7@@@@@@@@@@@,?3Xe@??@eW(Y?V4@@@@@@@@0Ye

@??@g@@@@@@@@f@?f?@f@@@@@@@@f@@@@@@@@f@?f?@f3@@@@@@@fS(M??@e?@e

?O.Ye?3=??@L??@@0Y?e?V4@@@@?

, 「近衛文�『英

美本位の平和主義を排す』論文の背景」, 『法?/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論叢』132?)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4∙5∙6@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京都大?/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 1993)도 참조.

18) 吉野作造, 「?)X??@@??@f?3)K?@Y??@W)X??V4@@@@@@@@@)?

?@e?@X?e?)X?@K?@e?@)Xe?31?@@@@@@@@@)e?V'X@?e?@gN@@@@@@@@@@@@??@?@e?@e?@H?C5?@?@?@?@?@e

?@@H?@?@?@?@?@e?N@L?@?@?@?@?@e31?@?@@@@@?@eN@?@?@M?I'@5e?@?@f?V+Ye

韓を視察して」, 『中央公論』(1916년 6월호) 혹은「朝鮮人虐殺事件に就て」, 『中央公論』

Page 8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3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할 것을 주장하 다.19) 한편 이시바시 탄잔(石橋湛山)과 같은 언론인들은 한걸음 나아가 일본

이 일본주의(大日本主義)의 노선, 즉 군사력 증강과 외확장의 노선을 버리고, 이미 확보

한 식민지에서 과감하게 철수하여 경제적 번 과 평화를 추구하는 소일본주의(小日本主義)의

노선을 취해야 한다고 제언하 다. 이시바시 탄잔은 조선, 만, 사할린, 만주 등의 기존 식

민지를 포기하는 것이 조선 등으로부터의 반항을 완화하는 길이 될 뿐 아니라, 동양 및 세계

전체의 약소국들을 일본에 한 도덕적 지지자로 만들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라고 갈파하

다.20) 결국 하라 다카시(原敬) 수상 등장 이후 일본 본국 정부는 식민지 조선에 해 독립이나

자치를 부여하기 보다는, 프랑스가 식민지에서 행한 정책을 모델로 하여 본국의 법과 제도를

동등하게 식민지에 이식하여 종국적으로 식민지를 본국과 동화시키려는 동화정책(同化政策),

혹은 내지연장주의(內地延長主義)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식민지 조선 내에 일

본과 같은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의 학제가 마련되었고, 1924년에는 경성제국 학도 설립

되었다.21)

그런데 제1차 세계 전 이후의 국제질서를“가진 국가”들과“못 가진 국가”들의 립구조로

파악한 식자들은, “못 가진 자”로서의 동양을 표하는 일본이 동양을 규합하여 백인종의 세

계에 항하는 전략을 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 다. 애초에 이러한 주장은 청일전쟁과 러일

전쟁을 거치면서 유럽 3개국에 의한 삼국간섭이나 일본인 이민배척운동 등의 인종분규 양상

이 발발했을 때 일부 식자들에 의해 동합방론이나 동인종(同人種)동맹, 혹은 아세아먼로주

의의 형태로 제기된 바 있었다.22) 그런데 1차 세계 전 이후 개최된 국제군축회의에서 서구

국가들에 의해 일본에 한 해군 군비축소의 요구 등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동인종 동맹 혹은

아세아 먼로주의의 구상이 다시 활발하게 재연되었던 것이다.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제1차 세계 전 이후 중국관련 정책의견서를 제출하면서, “백인과 유

색인 간의 경쟁이 급격하게 되고 백인이 모두 규합하여 우리 유색인(有色人)의 적이 되는 시

(1923年 11月@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 등을 참조. 이 들은 吉野作造, 『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論』松尾尊兌(編) (平凡社, 1970)에 수록.

19) 이에 한 평가는 일본학자와 한국학자 간에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요시노 등의 진보적 성향을 강

조하는 견해는 三谷太一郞, 『大正デモクラシ一論: 吉野作造の時代』(東京大學出版會, 1995), 酒井哲

哉, 「解?O@?e@??)X?e@@@?e3L?@)?e

N1?@H?e?@@@@@?@X@?@W)X?

?@@@@@@@)?@@@??@f?@H?

?@f?@e@@@??@@@@@@@e@?@L?@Y@?@V@e@@@@e?@?@f@?@HeJ5?@f@?@?e7H?@?@e@@@??J5??@?@e@V'=O.Y??@?@L?@?V40Ye?@@@@?

: 吉野作造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民主主義論」, 『吉野作造選集6』(岩波書店, 1996) 등을 참조. 이에 해 요

시노 사쿠조의 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논문들을 발굴하여 그가 실제로 현실적 식민지통치론자 다고

강력히 반박하는 견해는 한상일, 『제국의 시선: 일본의 자유주의 지식인 요시노 사쿠조와 조선문제』

(새물결, 2004) 참조. 야나이하라 타다오 등의 견해가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

다고 보는 견해는 姜?)X?g

?/X??@)??)X?e?N1??@H??@)?e@??@e?@H?e@??@eJ5f

@Ke?@?O&YO)X?@@@@@@@@@@@@)?@??@f@X?@H?@??@@@@@@@?@e@??@f@H?@e@??@f@??@e@??@@@@@@??@e@??@M??I'=?@e@?gV'@5e@?g?V+Ye

中, 「日本の殖民政策?/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とオリエンタリズム」, 『オリエンタリズムの彼方へ』(岩

波書店, 1996)등을 참조.

20) 石橋湛山, 「社說:大日本主義の幻想」(1921년 7월 30일, 8월 6일, 8월 13일)와「社說: 鮮人暴動に對す

る理解」(1919년 5월 1일), 『石橋湛山評論集』(東洋經濟新報社, 1990), p. 189 and p. 217.

21) 駒�武, 『植民地帝國日本の文化統合』(岩波書店, 1996), p. 195.

22) 청일전쟁 직전의 시기에 다루이 도키치(樽井藤吉)는 백인종과의 생존경쟁에 비하여 황인종간의 일

치단결을 도모해야 한다고 하 다. 樽井藤吉, 『大東合邦論』(1893). 청일전쟁 직후 러시아, 프랑스 등

이 일본에 해 삼국간섭을 행하고, 청국의 주요 지역을 조차하는 사태가 전개되자, 귀족원 의장이었

던 고노에 아츠마로(近衛篤�)는 유럽 열강이 자신들의 이해를 위해 동양에서 서로 개입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과 중국이 동인종(同人種)동맹을 조직하고, 동아시아에서의 먼로주의를 공동으

로 실행하자는 흥아론(興亞論)을 주창하 다. 春名展生 (2011), p. 235 참조.

Page 9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기”에 비하여, “동색(同色), 동문(同文)인 일본과 중국 양국이 상호 친선하고 상호 이익을 추

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하 다.23) 한 때는 사해형제주의를 주장했던 언론인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는 제1차 세계 전 발발 이후에는“아시아의 일을 아시아인에 의해 처리하는”

아세아 먼로주의가 필요한데, “일본 국민 이외에 이러한 임무를 할 자격이 없다고 한다면”일

본인에 의해 아시아를 처리하는, 아시아 먼로주의를 일본이 감당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24)

이같이 아시아를 단위로 하는 지역범위를 일본 주도로 규합하면서 구미세계와 항할 수 있

는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는 논의는 실제 외정책을 담당하는 관료와 군인들에게도 공유되었

다.25) 일본 육해군의 소장파 장교들은 제1차 세계 전이 장기총력전의 양상을 띠게 되자, 일

본으로서도 장차 동아시아에서 전개될 최종전쟁에 비하여 군수자원을 풍부하게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만주지역을 유하고, 나아가 중국이나 러시아와도 협력관계를 확보하지 않

으면 안된다고 생각하 다. 경제정책 담당자 던 다카하시 고레키요(高橋是淸)도 일본이 아

시아의 표적인 존재로서, 일본의 경제력과 공업능력, 그리고 중국의 천연자원과 노동력을

규합하여 세계 경제의 일단위로서 동아시아 경제체를 수립해야 한다고 판단하 다.

이러한 아시아 정책론 하에서 1931년 만주사변이 기획되었고, 1937년에는 중일전쟁이 도

발되었다. 결국 1930년 후반까지 한반도, 만주, 중국은 물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필두

로 동남아 방면에까지 일본 제국의 판도가 확장되게 되자, 일본의 위정자와 식자층은 조선이

나 만은 물론, 중국과 동남아의 여러 민족들까지 일본제국의 통치권에 포함하려는 정책에

한 자기정당화의 필요에 직면하 다. 이같은 일본 주도에 의한 다수민족 통치의 이념은 서

구 제국주의와도 달라야 하고, 손문(孫文) 등 아시아 민족운동 지도자들이 주창하던 민족주의

와도 차별성을 가져야 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로야마 마사미치(蠟山政道), 미키 키요

시(三木淸), 그리고 교토학파(京都學派)의 소장 학자들은 동아협동체(東亞協同體)의 이론을

강구하기에 이르 다.26) 이들에 따르면 당 의 세계는 개별 민족들의 단위를 넘어서 보다 큰

단위로 세계 분할이 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아시아의 경우에도 메이지유신 이후‘모랄리쉬 에

네르기’(moralische energie), 즉 도덕적 생명력이 가장 앞선 일본이 지도적 역할을 하면

서, 기존의 식민지들인 조선, 만은 물론이고 만주와 중국, 그리고 동남아의 여러 민족들이

정치, 경제, 국방, 문화의 각 분야에서 적당한 역할과 지위가 할당되는 소위 동아협동체가 창

23) 春名展生 (2011), p. 247. 야마가타는 러일전쟁 종료 이후에 일본의 청 정책 방침에 해 논하면서

향후에는 중국에 해 상호간의 오해를 피하면서 교정(交情)을 두텁게 하는 정책으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 山縣有朋, 「對淸政策所見」(1907년 1월 25일), 大山梓(編), 『山縣有朋意見書』(原書房,

1966), pp. 305- 306.

24) 春名展生 (2011), p. 240.

25) 이러한 주장은 육군 소장파 나가타 테츠잔(永田鐵山),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 국제법학자 치카 츠

루타로(千賀鶴太郞), 외교시보 주필이었던 한자와 다마키(半澤玉城) 등에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春名

展生 (2011), pp. 248-249.

26) 이하 이들의 논리는 蠟山政道, 「長期戰と日本の世界政策」(1938. 2), 『世界の@@g@YeO)X?

@@@@@@@@@@@@)?@?e@Xf

?@(?@?e@)X?eJ(YJ5?e@V/Ke

?W&UO&U?e@?V'@??.R4@@)?@@@L?V'?

W@Y?eV)X?e?W&@@@@@@@,?eW&@@X?eW(Y?e.M?I/K?O.Yf

S@@@U?f?O2@0M?I4@@@(?

?@@@0MgI(Y?

局と日本の世界政策』

(嚴松堂書店, 1938), 三木淸, 「新日本の思想原理」(1939. 1), 酒井三郞, 『昭和硏究會: ある知識人集@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の軌跡』(TBSブリタニカ, 1979), 高坂正顯, 西谷啓治, 高山岩男, �木成高, 『世界史的立場と日本』

(中央公論社, 1943)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 미키 키요시의 동아협동체론에 한 국내 연구로는 함동

주, “중일전쟁과 미키 키요시의 동아협동체론,”『동양사학연구』제56호 (1996) 참조.

Page 9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5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27) 동아협동체론의 논리가 중국 등의 내셔널리즘을 견제하기 위해 민족자결주의를 비판하고, 국가평등관

념도 부정하는 성격을 갖고 있었다는 지적에 해서는 酒井哲哉, 「戰後外交論の形成」北岡伸一, 御廚

貴, 『戰爭∙�興∙發展: 昭和政治史における權力と構想』(東京大學出版會, 2000) 참조.

28) ‘ 동아공 권’의 구조와 그 내적 이념에 한 당 일본 군부 및 식자들의 논의에 해서는 임성모,

“ 동아공 권 구상에서의 지역과 세계,”『세계정치』제26집 ⑵호 (2005)를 참조.

29) 小熊英二, 『民主と愛國』(新曜社, 2002), pp. 154-156에서 재인용.

30) 동경 총장을 지낸 난바라 시게루(南原繁)도 이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小熊英二 (2002), pp. 156-157

and p. 169.

31) 小熊英二 (2002), pp. 80-88을 요약.

설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27) 이같은 동아협동체의 논리가 중일전쟁 발발 이후인 1938년 고

노에 (近衛文�) 수상이 공표한 동아신질서 선언, 그리고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인 1942년에

일본 정부가 전쟁의 목표로서 공표한 동아공 권 건설의 논리로 이어졌다.28)

Ⅳ. 전후(戰後) 일본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과 아시아 정책

1. 전후 일본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과 국제질서관

1945년 8월,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끝났고, 일본은 항복문서에 조인하면서 패전국이 되었다.

“동아협동체”론의 전제가 되었던 만, 한반도, 만주, 중국, 그리고 동남아의 구식민 역에는

새로운 독립국들이 속속 탄생하 다. 패전국 일본의 위정자와 지식인들은 전후의 새로운 자

기정체성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군국주의가 횡행하던 시기 주류의 지위에서 려나

침묵을 강요당하던 관료들과 지식인들이 새로운 일본의 목표에 해 발언하기 시작했다.

중일전쟁 발발 전까지 제국육군의 실력자로 군림했던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는 종전 직

후인 1945년 8월 28일의 신문 인터뷰에서, 전쟁에 패한 이상 일본은 군비를 철폐하고 세계

제일의 평화국가, 과학과 문화와 산업이 발달된 문명국가 및 도의국가를 향후 최고의 이상으

로 추구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고 발언하 다.29) 전전기에 자유주의적 성향의 언론인으로 활

동했던 이시바시 탄잔(石橋湛山)이나 외교관 출신으로 전후 수상에 취임하는 요시다 시게루

(吉田茂)도 패전후의 일본이 군국주의와 결별하여“세계평화의 일등국”혹은“평화애호국의

선두”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다짐하 다.30) 전전(戰前)의 군국주의 하에서 도쿠가와 시 의

정치사상에 내재된 근 적 요소에 주목하던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는, 전후에 발표된 일

련의 논설을 통해 메이지시 에 보여졌던“건강한 진보적 정신”이 왜 다이쇼(大正)와 쇼와(昭

和) 시 에 국가주의 및 제국주의로 경사되었는가를 정면에서 비판하 다. 이러한 입장에서

마루야마는 전후 일본에 주어진 정치적 과제는 메이지유신이 완수하지 못했던 민주주의 혁명

을 건전한 내셔널리즘과 결합하는 것이라고 갈파하 다.31)

평화국가 혹은 민주국가의 정체성 모색은 제국 시 일본이 추구하 던 반서구적 동아협동

체론을 탈피하여 보다 친서구적인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과 결부되었다. 교토 학 인류학

교수 던 우메사오 다다오(梅棹忠夫)는 1957년에 발표된「문명의 생태사관(生態史觀)」을 통

Page 9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해 일본이 실은 서구세계와 지리생태적으로 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역사구조적으로 증명

해 보려 하 다. 우메사오는 이 저작에서 세계를 유라시아 륙을 중심으로 그 동쪽 끝(東端)

과 서쪽 끝(西端)에 위치한 일본과 서유럽 국가들을 제1지역으로 놓고, 그 외의 모든 구역에

속하는 소련, 중국, 인도, 파키스탄, 유고슬라비아 등을 제2지역으로 구분하 다. 그에 의하

면 제2지역에서는 광활한 륙을 기반으로 강 한 제국이 존재했었지만, 결국 봉건제를 경험

하지 못하고 자본주의 체제가 성숙되지 못한 가운데 공산주의나 사회주의와 같은 전체주의로

귀결된 역사를 갖고 있다. 반면 제1지역에 속한 서유럽과 일본은 봉건체제와 식민지 경 의

역사적 경로를 거친 후에 현재는 고도의 공업력을 갖춘 문명국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보았

다.32) 우메사오의 저술은 일본과 서구 지역의 지리생태적 유사성을 강조하면서 일시적으로 서

구세계와 전쟁을 치루며 서구적 경로에서 이탈되었던 일본인들에게 향후 침로(針路)를 제시

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33)

2. 전후 일본의 외정책 방향과 아시아 인식

전후 일본의 식자층 사이에서 향후 일본이 지향해야 할 국내적 목표로서 민주주의와 평화주

의가 제시되었다고 한다면, 외교적인 목표로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나타났던 미협

조주의의 복원이 제창되었다. 특히 1946년 수상으로 취임한 요시다 시게루는 군국주의 하의

일본이 메이지유신 이래 일본의 문명화를 지원해온 국 및 미국의 해양세력과 결별하여 독

일 및 이탈리아와 동맹을 체결한 것이 일본 본연의 모습이 아니었다고 비판하면서, 해양국가

인 일본이 전후(戰後) 취해야 할 기본적인 외정책은 경제적으로 가장 풍요하고 기술적으로

앞서있는 국 및 미국과의 친선, 미협조주의의 복원에 있다고 주장하 다.34) 이같은 전후

일본이 지향해야 할 내외적 정체성론에 입각해 미군 점령기 하의 일본에서 1946년 새로운

평화헌법이 제정되고, 1951년에는 불과 5-6년 전에는 적 국이었던 미국과 강화 및 동맹조

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적으로 민주주의, 외적으로 평화주의와 미협조주의 지향을 표방한 전후 일

본은 구식민지에 해서는 착종(錯綜)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시하라 간지와 같은 인사는 과

감하게 일본이 동아시아 각국에 하여 패도(覇道)정책으로 임했던 과거의 일절의 죄를 깊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35) 그러나 다수의 위정자와 식자층은 제국주의 시기의 선입관적

인 인식에서 자유롭지 못하 다.

제국주의 시 에 경성제국 학 교수를 역임하 고, 전후의 1946년에는 시데하라 내각의 문

부상을 맡게 되는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는 패전후 일본 사회에서 도덕의 재건이 필요하다

32) 梅棹忠夫, 「文明の生態史觀」(1957. 2), 『文明の生態史觀』(中公文庫, 1974: 2006), pp. 106-129.

33) 靑木保, 『日本文化論の@@g@YeO)X?

@@@@@@@@@@@@)?@?e@Xf

?@(?@?e@)X?eJ(YJ5?e@V/Ke

?W&UO&U?e@?V'@??.R4@@)?@@@L?V'?

W@Y?eV)X?e?W&@@@@@@@,?eW&@@X?eW(Y?e.M?I/K?O.Yf

S@@@U?f?O2@0M?I4@@@(?

?@@@0MgI(Y?

容: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本の文化とアイデンティティ一』(中央公論社, 1990), pp. 70-75.

34) 吉田茂, 『回想10年』(新潮社, 1957). 인용은 吉田茂, 「日本外交の)Xg@)g

@?e@YO)X?e@?e@@@@)?e@?e@?g@?e@?eO)X?

?@@@@@@@@@@@@@)?@?e@?I'X?e

?J5?e@??V'@eW.Y?e@?eV'e

?W.Y?@@@5?W&f?.Y?eI(YW&5f

O&0YfO2@@0Mg

?@@@0Mhe

んできた道」北岡伸一,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本

外交論集』(中央公論社, 1995), pp. 105-109.

35) 小熊英二, 『民主と愛國』(新曜社, 2002), p. 156에서 재인용.

Page 9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7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36) 小熊英二 (2002), p. 197에서 재인용.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는 태평양전쟁이 진행 중이던 1942년

에는 조선의 통치를 위해 만주국을 공고히 장악하고, 동아공 권 내에서의 교육이 일본의 이익을 위

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하 다.

37) 이원덕, 『한일과거사처리의 원점: 일본의 전후처리 외교와 한일회담』(서울 학교 출판부, 1996),

pp. 73-75에서 재인용.

38) 이외에도 구보다 차관은“한국민족의 노예화”란 표현을 담은 카이로, 포츠담 선언은 전쟁에 시달린 연

합국의 히스테리의 소산이며, 종전후 한국에서 일본인을 축출한 것이나 샌프란시스코 조약 체결 이전

한국이 독립한 것 등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발언하 다. 한표욱, 『이승만과 한미외교』(중앙일보사, 1996),

pp. 278-281에서 재인용. 若宮啓文, 『戰後保守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朝日新聞社, 1995), p. 29도 참조.

39) 1950년 중반 일본과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 격차에 해 서울 교수 던 이양하는 300-400불

50-75불의 격차를 보 다고 말한다. �敭河, “나라를 구하는 길,”『사상계』(1957. 9), p. 216.

40) 吉田茂, 『回想10年』(1957). 若宮啓文, 『戰後保守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朝日新聞社, 1995), p. 57에서 재인

용. 와카미야(若宮啓文)는 요시다의 이러한 주장이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탈아론과 유사한 발

상이라고 지적하 다.

41) 케네스 파일 교수는 이러한 일본의 내셔널리즘으로 인해 전후의 독일과 달리 일본에서는 아시아 국가

들과의 문화적, 정치적 통합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Kenneth B. Pyle, JapanRising: The Resurgence of Japanese Power and Purpose (New York: A Century Foundation

Book, 2007), p. 301.

고 주장하면서도, 식민지 상실을 개탄하는 논조의 칼럼을『세카이(世界)』창간호에 집필하

다.36) 1949년을 전후로 외무성에서 조직한“평화조약문제연구간사회”와 장성 주관으로 마

련된“재외(在外)재산조사회”등은 각각 전전(戰前)의 시기에 일본이 식민지 지역의 발전과

근 화에 큰 공헌을 하 으며, 조선 지역에서도 일본의 지도 결과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인식

을 표명하 다.37) 1953년 10월, 제2차 한일회담 당시 일본측 수석 표 던 구보다(久保田貫

一郞) 외무차관이 36년간에 걸친 일본의 한국 식민통치는 철도나 항만의 구축, 농지 조성 등

을 통해 한국민에게 유익했고, 당시 한국은 일본이 아니더라도 중국이나 러시아에 의해 지배

되었을 것이라고 발언하 다.38) 이 발언은 국교정상화 과정에서의 한국에 한 외교전략적인

차원의 언술이라기보다 당 일본 위정자층의 보편적인 한인식과 식민지 시기에 한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아시아태평양 전쟁에서 패하면서, 이제는 군국주의가 아닌 평화주의와 민주주의로의 방향

성을 정한 일본이었지만, 아시아 여러 민족에 비해서는 모랄리쉬 에네르기가 강한 일본이 지

도적 위치를 점해야 한다는“동아협동체”의 인식구조가 뿌리깊게 남아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1950년 중반 이후 소위 한국전쟁 특수로 일본의 경제발전이 본격화되고, 여타 아시아 국가

들과의 격차가 다시 벌어지기 시작하면서 재현되기 시작했다.39) 요시다 시게루(吉田茂)는

1957년에 간행한 회고록에서 메이지시 이래의 독립국인 일본은 신흥독립국인 아시아 국가

들과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 다. 그에 의하면 금일의 일본은 정치, 경제, 사회적 사정

등에서 아시아적이라기보다는 서구적이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나라들은 민도가 낮고, 저개

발이고, 후진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이 미국과 더불어 이 지역의 경제개발을

원조하고 자유주의의 가치를 알리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40) 이러한 일본과 아시아

국가들 간의 격차와 이질성에 한 의식의 잔존이 결국 1950년 일본에 있어 아시아 외교

의 소극성, 한 국교정상화 교섭의 소극성으로 나타났다.41)

Page 9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42) Pyle (2007), pp. 259-260에서 재인용.

43) 天谷直弘, 「町人國∙日本手代のくりごと」(文藝春秋, 1980. 3), 北岡伸一(編), 『戰後日本外交�集』

(中央公論社, 1995), pp. 386-392.

44) 나카소네가 방위청 장관 및 수상으로서 추구한 국가전략의 성격에 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다. 소에

야 요시히데(添谷芳秀)는 요시다 노선의 연장으로서 나카소네의 외교전략을 평가한다. 添谷芳秀, 『日

本の「ミドルパワ一」外交』(ちくま新書, 2005), 제4장. 그러나 케네스 파일은 나카소네가 기존의 요

시다 독트린을 체하는 새로운 그랜드 디자인을 제시했다고 평가한다. Pyle (2007), pp. 270-272.

마이크 모치즈키도 나카소네의 국가전략이 기존의 정치적 현실주의와 구별되는 군사적 현실주의라고

Ⅴ. 냉전기의 국제질서 인식과 새로운 정체성 모색

1. 냉전기의 국제질서 인식과 새로운 정체성 모색: 상인국가 vs 안보국가

일본은 전후의 피폐를 딛고 일어나 1960년 접어들어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했고, 1970

년 전반에는 국과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의 경제 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외교관계가

없었던 한국과는 1965년 국교가 정상화되었고, 1972년 이후에는 중국과도 관계가 정상화되

기 시작하 다. 경제지표상의 국제적 지위 상승을 기반으로, 또한 근린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

계 정상화를 배경으로, 일본의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은 향후 일본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 혹은

아시아 정책의 방향에 하여 새로운 논의들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나가이 요노스케(永井陽之助)는 향후의 국제질서가 웨스트팔리언적 국제질서에서 경제력과

기술력이 중시되는 칸티안적 국제질서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일본도 평화헌법 하에

경무장 및 비핵국가 노선을 견지하고, 기술력과 경제력을 더욱 키워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하

다.42) 통산성 관료 던 아마야 나오히로(天谷直弘)는 미국과 소련이 도쿠가와 시 의 사무

라이처럼 군사력으로 세계질서를 주도하고 있다면, 일본은 군사력은 갖고 있지 않지만, 경제

적 번 을 추구하는 초닌(町人)계층처럼 상인국가의 길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하 다.43) 즉

냉전기 일본의 식자들은 일본이 미국이나 소련 등 군사력과 경제력이 극 화된 국가들과 구

별되는‘초닌국가’또는‘상인국가’의 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정체성 인식

은 전후 요시다 수상에 의해 추진되어온 일련의 정책, 즉 군사상으로 미일동맹에 의존하여 경

무장 방침을 지속하면서, 경제발전에 주력하는 요시다 독트린의 국가정책방향을 옹호하는 논

의로 이어졌다.

이같은 논의들이 경무장, 경제발전 우선의 요시다 노선을 계승하는 비전을 제안했다면, 군

사안보분야에서의 역할 강화를 주장하는 전략론도 제시되기 시작했다. 1970년 방위청 장관

에 취임하고 1982년에는 수상으로 선출되는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는 일본의 증

된 국제위상을 직시하면서, 안보의 측면에서는 종합안보 역량을 키우면서 보다 등한 미일

동맹을 추구하고, 사회경제적으로도 더 이상 서구 모델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일본 독자의 길

을 찾아야 한다고 역설하 다. 나카소네는 경무장의 노선에 자족해 왔던 전후의 일본에서 탈

피하여, 경제력의 수준에 상응하는 군사적 역할도 확 해야 한다는“군사적 현실주의”의 전

략을 그려보인 것이다.44)

Page 9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99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평가하 다. Mike M. Mochizuki, “Japan’s Search for Strategy,”International Security 8-3

(Winter 1983-1984), pp. 152-179.

45) 빅터 차, 『적 적 제휴: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안보체제』(문학과 지성사, 2004), p. 130.

46) 그는 일본과 한국이 우호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는가의 여부가 일본의 국가백년 계에 해당하는 문제

라고까지 하 다. 岡崎久彦, 「隣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で考えたこと」(1976. 9, 1977. 2), 北岡伸一(編), 『戰後日本外交

�集』(中央公論社, 1995), p. 358.

47) 니시하라 교수는 한국이 민주주의 가치를 유지한다면 한층 더 일본과 미국이 한 협력을 지속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지적하기도 하 다. Nishihara Masashi, “How Much Longer the Fruits of

the Yoshida Doctrine?”in Hahn Bae-ho and Yamamoto Tadashi (eds.), Korea andJapan: A New Dialogue Across the Channel (Seoul: Asiatic Research Center at the

Korea University, 1978), p. 166.

48) 添谷芳秀, 『日本の「ミドルパワ一」外交』(ちくま新書, 2005), p. 160에서 재인용.

49) 岡崎久彦, 「隣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で考えたこと」(1976. 9, 1977. 2), 北岡伸一(編), 『戰後日本外交�集』(中央公論

社, 1995), pp. 330-350.

2. 냉전기의 아시아 정책

그런데 일본이 계속“상인국가”의 전략을 추구하든, 아니면“군사적 현실주의”로 외연을 확

장하든 간에, 일본에게 있어 한국과 중국, 그리고 동남아와 같은 아시아 국가들의 존재는 경

제적 측면이나 안보적 측면에서 공히 중시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일본의

경제발전과 안전보장을 위해 정책그룹 사이에서 그 전략적 위상이 재평가되었다. 1969년 11

월,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수상은 닉슨 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지면서 공동성명에서 한국

의 안보가 일본의 안보에 긴요하다는 조항을 포함시켰고, 이 입장은 체로 이후 일본 정부가

계승하게 되었다.45) 일본의 엘리트 외교관이었던 오카자키 히사히코(岡崎久彦)도 1970년

중반에 작성한 저술을 통해 한국의 경제발전과 근 화 노력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한

일간의 역사적 앙금을 해소하고, 나아가 일본의 외교안보와 경제를 위해 큰 이익이 되는 길이

라고 역설하 다.46) 한일 양국의 고위급 군 관계자들의 상호방문이 실시되고 있던 1970년

후반의 시기에, 방위 학교 니시하라 마사시(西原正) 교수는 일본과 한국이 공동의 해양수송

로 보호를 위해 일본 해상자위 와 한국 해군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기도 하

다.47) 1983년 1월에는 나카소네 수상이 취임 직후 한국을 방문하여 전두환 정부와 40억 달러

의 경제협력에 합의하고, 공동성명을 통해 한국과 일본이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방위노력이 한반도의 평화유지에 기여하고 있음을 새삼 천명

하기도 하 다.48) 요컨 로벌 질서상 경제 국으로 부상한 일본이 상인국가 혹은 군사적

현실주의의 전략을 동시적으로 모색하던 시점에서, 인방(�邦) 한국의 존재는 전략적 협력의

상으로 비춰졌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결정 그룹의 전략적 판단과는 다르게 일본의 시민사회와 학에는 아시아

국가들에 한 무관심, 혹은 편견이 강하게 잔존해 있었다. 예컨 오카자키 히사히코는 1970

년 중반에 쓰여진 에서 일본의 학에서 한국의 역사와 언어에 한 강의와 연구가 거의

없으며, 이 결과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한 양서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지적하 다. 그는 한국

에 한 무지와 이해의 결핍이 한국인에 한 멸시와 편견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우려하 다.49)

Page 9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당 의 일본에서 가장 향력있는 잡지 가운데 하나 던『세카이(世界)』가 1960년 와

1980년 를 거쳐 한국의 정치와 경제현실에 해 비판적인 예봉을 세우면서, 오히려 북한에

해서는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하여, 한일 양국의 화해에 오히려 부정적인 향

을 끼쳤다는 점은 한국 연구자에 의해서 지적된 바 있다.50) 가쿠슈인(學習院) 학의 다나카 야

스마사(田中靖正) 교수도 1970년 후반기에 작성한 논문에서 일본 학들이 거의 한국 언어

에 관련한 강좌를 개설하지 않고 있고, 『세카이(世界)』같은 잡지에서도 한국과 관련해서는 정

부에 의한 인권탄압이나 독재에 관한 부정적인 내용만을 주로 취급하고 있다고 지적하 다.

이러한 학과 언론의 분위기로 인해 지리적 근접성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은 한국과 한국인

에 해 잘 모르고 있으며, 오히려 어둡고 위협적인 이미지만이 팽배해 있다고 분석하 다.51)

다시 말해 1960년 이후 일본은 상인국가 혹은 안보국가의 정체성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한

국이나 중국 등의 아시아 국가들을 경제적, 혹은 안보전략적 관점에서 재평가하기 시작했으

나, 일반 시민들의 인식 속에서는 여전히 계서적, 차별적 인식이 잔존해 있었다고 보여진다.

Ⅵ. 탈냉전기 일본의 국제질서 인식과 아이덴티티 모색

1. 신중세적 국(大國) 혹은 미들파워의 정체성

탈냉전기의 도래는 일본의 식자층과 위정자들에게도 새로운 일본의 국가정체성에 한 논

의를 촉진시켰다. 일본의 정책결정자와 식자들은 냉전기에 고도경제성장을 지속해온 일본이

과연 국제질서상 어떠한 국가가 되었는가, 그리고 그러한 위상에 입각하여 어떤 방향의 외

정책을 전개해야 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논쟁을 전개하 다.

우선 현실주의적 성향의 식자층이나 자유주의적 식자층의 다수는 일본이 탈냉전기를 거치

면서 경제적, 정치적 수준에서 로벌 국으로 부상했다는 점에 체로 동의하 다. 예컨

현실주의적 성향을 갖는 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인 다나카 아키히코(田中明彦) 교수는『새로

운 중세(新しい中世)』(1996)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의 성숙과 시장경제의 발전정도에 따라 세

계질서를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성숙한 단계에 있어 신중세(新中世)의 성격을 갖는 제1권

역, 근 국제질서의 속성을 여전히 갖고 있는 제2권역, 그리고 아직 혼돈의 와중에서 헤어나

오고 있지 못한 제3권역으로 나누어 구조적으로 파악하려 하 다.52) 그는 일본이 제1권역에

50) 한상일,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세카이(世界)》와 한반도』(기파랑, 2008). 한상일 교수는 특히 도쿄

학의 스미야 미키오(隅谷三喜男), 무사코지 긴히데(武者小路公秀),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등 당

의 표적인 진보적 지식인들이 한국의 정치와 경제에 해 무리한 비판을 가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51) Tanaka Yasumasa, “Japanese Perception of the World of Politics: An Analysis of a

Subjective Political Culture,”in Hahn Bae-ho and Yamamoto Tadashi (eds.), Korea andJapan: A New Dialogue Across the Channel (Seoul: Asiatic Research Center at the

Korea University, 1978), pp. 225-227.

52) 田中明彦, 『新しい中世』(日本經濟新聞社, 1996). 세계질서를 나름의 기준에 따라 정치적 자유민주주

Page 9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1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의와 시장경제 정착 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필자는 다나카 아키

히코의 착상이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문명론지개략』(1875)이나 우메사오 다다오(梅棹忠夫)

의「문명의 생태사관」(1957)에 나타난 문제의식을 계승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53) 박철희 교수는 전후 일본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 특성을 다룬 연구에서 1980년 이후 일본 국제정치

학이 상 적으로 세계시스템론, 패권안정론 등 거시적 국제체제의 변화에 관심을 쏟았고, 다나카 아키

히코 교수도 그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고 지적하 다. 박철희, “일본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 변화,”

『일본연구논총』제14호 (2001. 12), pp. 207-208.

54) 船橋洋一, 『日本の對外構想: 冷戰後のビジョンを書く』(岩波新書, 1993).

55) 添谷芳秀, 『日本の「ミドルパワ一」外交』(ちくま新書, 2005), 종장 참조.

속해 있다고 하면서 일본으로서는 동일한 속성을 갖는 선진국가들에 해서는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면서 협력을 공고화하고, 제3권역에 속한 국가들에 해서는 평화유지 및 외원조를

통한 국제공헌을 확 할 것을 제언하 다. 그리고 제2권역에 속한 불안정한 국가들, 특히 동

아시아 지역의 중국과 북한에 해서는 세력균형의 관점에서 미일동맹을 공고히 하거나, 전

수방위의 역 내에서 일본 자신의 안보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 다.53) 한편 자

유주의적 성향을 갖는 표적 저널리스트의 한 사람인 후나바시 요이치(船橋洋一)도 1990년

이후 일련의 저작을 통해 일본이 로벌 시빌리언 파워(地球民生大國)로서의 아이덴티티

를 갖게 되었다고 파악하 다. 그러한 위상에 걸맞게 후나바시는 일본이, 개발도상국에 한

개발원조나 경제력과 기술 측면에서의 국제공헌을 확 해 가야 한다고 제언하 다.54)

한편 소에야 요시히데(添谷芳秀)는 아직 일본이 미국, 중국, 러시아 등 핵무기를 갖고 있고,

자신의 세계전략을 가진 국과는 거리가 있는 중급국가, 미들파워의 위상을 갖고 있다고 보

았다. 그는 이러한 미들파워의 위상을 갖고 있는 일본으로서는, 강 국 파워 정치에 관여하기

보다는 인간의 안전보장, 국제공공재의 제공과 같은 범주 하에서 같은 미들파워에 속하는 국

가들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등과의 다양한 협력을 강구해 가야 한다는 외교정책론

을 제안하고 있다.55)

다시 말해 탈냉전기 일본의 식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신중세권’에 속한 국으로 보는 관

점과, 여전히‘미들파워’의 반열에 속해 있다고 보는 관점으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같은 자기정체성의 차이는 외정책 구상의 차이로 연결되고 있다.

2. 21세기 일본의 외정책론

탈냉전기 이후 일본이 신중세적 국으로 부상하 다고 보는 식자들은 로벌, 혹은 아시아

의 지역적 범위에서 일본의 외정책이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실

주의적 입장에서 일본이 신중세권, 즉 국의 반열로 부상하 다고 보는 다나카 아키히코 교

수는 일본이 제1권역, 제2권역, 그리고 제3권역에 속한 다양한 국가들에 해 맞춤형 정책을

구사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예컨 선진 구미국가들과는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면서 협력을

강화하고, 민주주의나 경제성장의 수준이 아직 낮은 제3권역에 속한 국가들에 해서는 외

원조 및 평화유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고 하 다. 그리고 제2권역에 속한 국가

들과는 일본이 안보상의 취약성에 노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의 안보체제를 강화하여 응

Page 9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 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아시아 정책에 해서도 일본이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고 보았다.

2000년에 발간한 저서를 통해 그는 21세기 일본 외교의 최 과제는 새로운 동아시아의 형

성에 있다고 하면서, 제2권역, 혹은 제3권역에 머무르고 있는 중국과 북한에 해 시장경제

와 자유민주주의를 정착시켜 제1권역을 확 하는 것이 일본이 지향해야 할 외교정책 방향이

라고 제언하 다.56)

한편 자유주의적 입장에서 일본의 위상이 국으로 부상하 다고 보는 후나바시 등은 일본

이 안전보장의 역에서가 아니라 빈곤 개발도상국에 한 국제원조 확 등의 분야에서 적

극적 외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같은 관점에서 한국 및 중국과의 관계 강화도

제기하고 있다. 이가라시 다케시(五十嵐武士) 동경 학 교수도“평화국가”의 정체성을 일본

이 지향해야 할 목표로 제시하면서, 구체적인 과제로서 평화헌법의 준수, 유엔의 평화유지활

동에 한 협력, 그리고 역사문제에 한 솔직한 입장을 표명하여 아시아 국가들과의 신뢰관

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 다.57) 자유주의적 지식인들의 부격인 사카모토 요

시카즈(坂本義和) 동경 명예교수도 동아시아에서 유럽과 같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공유하는 동아시아“공동의 집(共同の家)”결성을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해 일본이 여

타 아시아 국가들에 해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한 사과와 보상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하 다.58)

21세기 일본의 국제적 위상이 국이 아닌 미들파워에 속한다고 보는 미들파워론자들은,

일본이 국간 정치에 관여하기보다도 캐나다, 호주, 북유럽 국가들과 더불어 유엔평화유지

활동, 인간의 안전보장, 국제적 시민사회 교류,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과 같은 어젠다에 적극

참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본다면 21세기 일본의 식자들도 일본의 국제적 위상이 어

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외정책론을 전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이다.

56) 田中明彦, 『ワ一ド∙ポリティクス』(筑摩書房, 2000), 제4장 참조. 다나카 교수는 2006년 5월 12일,

서울 학교 일본연구소 주최로 개최된 세미나에서, 필자의 질문에 해 1996년의 저서에서 나타난 입

장을 바꾸어 한국도 제1권역의 국가로 진입했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한편 2002년 당시 자민당 출신의

고이즈미 수상이 조직한 외교안보 관련 자문그룹은, 일본의 외관계에 관련한 공동의 정책제언을 수

상에게 보고하면서, 한국이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달성하여 제1급의 국제국가가 되었음을 지적하고,

일본과 더불어 민주주의, 시장경제, 그리고 미국과의 동맹을 공유하는 한국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가

장 중요한 지역전략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하 다. 對外關係タスクフォ一ス, 「21世紀日本外交

の基本戰略: 新な時代, 新なビジョン, 新な外交」(2002년 11월 28일) 참조.

57) 五十嵐武士, 「平和國家という視點」, 『日米關係と東アジア: 歷史的文脈と未�の構想』(東京大學出版

會, 1999) 참조.

58) 坂本義和, 『相對化の時代』(岩波新書, 1997), pp. 104-107.

Page 9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3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Ⅶ. 맺음말

국제정치이론은 과연 국제질서 형성과 유지에 직접 관여하는 로벌 국들의 전유물인가.

아니면 중급 국가이든, 소규모 국가이든 개별 국가들의 위상에 걸맞은 독자적 국제정치이론

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가. 현실주의, 자유주의, 맑스주의, 구성주의 등 주요 국제정치이론들

의 부분이 미국과 구소련 등 세계 국의 위상을 지닌 국가들에서 개발된 사실을 보면, 국제

정치이론은 로벌 국의 전유물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과연 중급국가나 약소국은 자

신들의 위상에 상응한 국제정치이론, 혹은 국제질서관을 가질 수 없는 것일까. 본고에서 검토

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국가의 국제적 위상에 관계없이, 중급국가나 소국이라 하더라

도, 각자의 처한 입장에 따라 국제질서를 보는 독특한 견해와 외정책론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100여년간 일본은 국제질서상 중급국가에서 출발하여 한때는 지역질서의 패자로 부상

했을 뿐 아니라 세계 3 강국의 하나로 부상하면서 로벌 패권에 도전한 역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세계 전의 패전 이후는 전범 국가로 취급받았다가, 다시 세계 2위 수준의 경제 국

으로 부상한 이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본이 각 시 마다, 즉 국가적 위상이

상이했을 때마다, 어떠한 국제질서 인식을 갖고 있었고, 그러한 국제질서 인식 속에서 어떠한

외정책을 취했던가를 검토하 다. 시 마다 다른 역사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지난 100여년

간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일본의 국제질서관에 해 다음의 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은 메이지시 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나름의 기준에 입각해서 국제질서를 계서

적, 차별적으로 파악하는 특성을 견지해 왔다. 메이지시 에는 문명의 발달정도에 따라 문명,

미개, 반개(半開)로 국제질서를 계서화해서 보거나, 독립의 단계에 따라 자유독립, 약속독립,

공납독립의 단계로 계서화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청일 및 러일전쟁, 그리고 제1차 세계

전의 승전국으로 부상하면서는 다시 일본의 식자들이“가진 국가”와“가지지 못한 국가”로

국제질서를 계서화, 구조화해서 보는 시각을 보여주었다. 태평양전쟁에 패전하고, 일본이 새

롭게 국제사회의 멤버로 출발하던, 1950년 에는 우메사오 다다오(梅棹忠夫)가 제시했던 것

처럼, 지리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그리고 역사상 봉건제 및 절 왕조를 경험했는가

의 여부에 따라 제1지역과 제2지역으로 국제질서를 나누어 파악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냉전

기에 아마야 나오히로(天谷直弘)는 국제질서가 사무라이적 강 국, 초닌적 상인국가로 구조

화되어 있다고 파악하 다. 탈냉전기 이후에는 다나카 아키히코(田中明彦)에 의해 경제발전

과 민주화의 정도에 따라 신중세권, 근 권, 혼돈권으로 국제질서를 구조화해서 파악하려는

방식이 채용되기도 하 다. 배경의 차이, 시 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 이후 일본

이 문명, 역사, 경제발전과 민주화의 정도 등의 기준에 입각하여 국제질서를 계서화해서 보려

고 했던 점은 일본적 국제질서관의 큰 특징의 한가지라고 생각된다.

둘째, 일본의 식자들과 정책결정자들은 구조적, 계서적으로 국제질서를 파악하려고 하면서,

그 속에서 일본의 위상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에 해서 민감하게 추적하고, 파악하려 하

다. 메이지시 의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 미개, 반개의 단계 가운데 일본이 반개(半開)의

Page 10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역에 속해 있다고 진단하 다. 제1차 세계 전 이후 국제질서를“가진 국가”들과“가지지 못

한 국가”들로 구조화한 고노에 후미마로는 일본이“가지지 못한 국가”들을 표하고 있다고

보았다. 1950년 에 제1지역과 제2지역으로 국제질서를 구획해본 우메사오 다다오는 일본이

서유럽과 같은 제1지역에 속한다고 파악하 다. 탈냉전기에 국제질서를 신중세권, 혼돈권,

근 권의 병존으로 파악했던 다나카 아키히코는 일본이 신중세권에 속한다고 보았다. 이같이

국제질서를 구조적으로 파악한 일본의 식자들은 그 속에서 일본의 자기위상과 자기정체성이

과연 어디에 속하는가에 해서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그를 엄 하게 규정하려 하 다.

셋째, 일본의 식자들과 정책결정자들은 구조적 국제질서관 및 규정된 자기정체성에 입각하

여 일본이 추구할 내외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려 하 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반개(半開)에 처

한 일본이 문명개화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보았으며, 고노에 후미마로는 일본이“가지

지 못한 국가”의 표로서, 국과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에 해서 도전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 냉전기의 아마야 나오히로는 일본이 초닌(町人)적 국가로서 경제발전과 교역에 힘써야 한

다는 정책방향을 제시하 다. 다나카 아키히코 역시 신중세권에 속한 일본이 근 권 및 혼돈

권의 국가들에 응해서 각각 맞춤형 외교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같은 일본적 국제질서관 및 일본적 아이덴티티의 고찰은 향후 일본의 외정책을 고찰하

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즉 우리는 일본의 외정책을 전망함에 있어 표적인 식자와 정

책결정자들이 당 의 국제질서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그리고 그 속에서 일본의 위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국제질서관과 자기정체성

이 일본의 외정책 변화를 설명하는 최종적인 요인은 아닐지라도, 이러한 요소들이 일본의

외정책을 전망하고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의 하나임은 분명해 보인다.

Page 10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5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참 고 문 헌

김용구.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나남출판, 1997.

박철희. “일본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 변화.”『일본연구논총』제14호 (2001).

이원덕. 『한일과거사처리의 원점: 일본의 전후처리 외교와 한일회담』서울 학교 출판부,

1996.

임성모. “ 동아공 권 구상에서의 지역과 세계.”『세계정치』제26집 제2호 (2005).

차, 빅터. 『적 적 제휴: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안보체제』문학과 지성사, 2004.

한상일. 『제국의 시선: 일본의 자유주의 지식인 요시노 사쿠조와 조선문제』새물결, 2004.

______.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 《세카이(世界)》와 한반도』기파랑, 2008.

함동주. “중일전쟁과 미키 키요시의 동아협동체론.”『동양사학연구』제56호 (1996).

Dudden, Alexis.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Discourse and Power.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Mochizuki, Mike M. “Japan’s Search for Strategy.”International Security 8-3 (Winter

1983-1984).

Nishihara, Masashi. “How Much Longer the Fruits of the Yoshida Doctrine?”In Hahn

Bae-ho and Yamamoto Tadashi. eds. Korea and Japan: A New Dialogue

Across the Channel. Seoul: Asiatic Research Center at the Korea University,

1978.

Pyle, Kenneth B. Japan Rising: The Resurgence of Japanese Power and Purpose.

New York: A Century Foundation Book, 2007.

Samuels, Richard. Securing Japan: Tokyo’s Grand Strategy and the Future of East

Asia.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Tanaka, Yasumasa. “Japanese Perception of the World of Politics: An Analysis of a

Subjective Political Culture.”In Hahn Bae-ho and Yamamoto Tadashi. eds.

Korea and Japan: A New Dialogue Across the Channel. Seoul: Asiatic

Research Center at the Korea University, 1978.

靑木保. 『日本文化論の@@g@YeO)X?

@@@@@@@@@@@@)?@?e@Xf

?@(?@?e@)X?eJ(YJ5?e@V/Ke

?W&UO&U?e@?V'@??.R4@@)?@@@L?V'?

W@Y?eV)X?e?W&@@@@@@@,?eW&@@X?eW(Y?e.M?I/K?O.Yf

S@@@U?f?O2@0M?I4@@@(?

?@@@0MgI(Y?

容: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本の文化とアイデンティティ一』中央公論社, 1990.

天谷直弘. 「町人國∙日本手代のくりごと」(文藝春秋, 1980. 3). 北岡伸一 編. 『戰後日本外

交�集』中央公論社, 1995.

新たな時代の安全保障と防衛力に@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する懇談?@@?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新たな時代における日本の安全保障と防

衛力の)Xf?W-Xe@)K?eO&@)e@V@@@@(Mf

/X@?3XI'U?@(eN@@?N1?N)T(Ye?3@??@e@0Y?e?N@?he?J@?@@@@@@@@@??7@?f?@fC@@??/K??@f

?'@Y@??V'@?@f?V'?@?eV'?@f

@?f?@f@?e?@@@f@?fI@f

?)X?g?@)?g?@Y?eO)X?

?@@@@@@@@@@@@@)??@h

@??@e?@f?J@L?@eJ@L?eW&@1?@?O&@1?e.MI'X@@@<I@?e?S@@V'L?fW.Y@?V/Xf

?W&H?@eN)K?eO&@??@e?@@@(?

?@0Me?@fI(Y??@h

構想: 「平和創造@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を目指して』2010年 8月.

五十嵐武士. 「平和國家という視點」. 『日米關係と東アジア: 歷史的文脈と未�の構想』東京

大學出版會, 1999.

Page 10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石橋湛山. 『石橋湛山評論集』東洋經濟新報社, 1990.

猪口孝. 「日本の國際關係論の系譜」. 『國際關係論の系譜』東京大學出版會, 2007.

梅棹忠夫. 「文明の生態史觀」(1957. 2). 『文明の生態史觀』中公文庫, 1974: 2006.

大山梓 編. 『山縣有朋意見書』原書房, 1966.

岡崎久彦. 「隣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で考えたこと」(1976. 9, 1977. 2). 北岡伸一 編. 『戰後日本外交�集』

中央公論社, 1995.

小熊英二. 『單一民族神話の起源』新曜社, 1996.

______. 『民主と愛國』新曜社, 2002.

小澤一郞. 『日本改造計劃』1993.

姜?)X?g

?/X??@)??)X?e?N1??@H??@)?e@??@e?@H?e@??@eJ5f

@Ke?@?O&YO)X?@@@@@@@@@@@@)?@??@f@X?@H?@??@@@@@@@?@e@??@f@H?@e@??@f@??@e@??@@@@@@??@e@??@M??I'=?@e@?gV'@5e@?g?V+Ye

中. 「日本の殖民政策?/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とオリエンタリズム」. 『オリエンタリズムの彼方へ』岩波書店,

1996.

北岡伸一. 『普通の國へ』中央公論新社, 2000.

高坂正顯, 西谷啓治, 高山岩男, �木成高. 『世界史的立場と日本』中央公論社, 1943.

駒�武. 『植民地帝國日本の文化統合』岩波書店, 1996.

小松綠. 「倂合に直面して」朝鮮新聞社 編. 『朝鮮統治の回顧と批判』朝鮮新聞社, 1936.

酒井三郞. 『昭和硏究會: ある知識人集@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の軌跡』TBSブリタニカ, 1979.

酒井哲哉. 「解?O@?e@??)X?e@@@?e3L?@)?e

N1?@H?e?@@@@@?@X@?@W)X?

?@@@@@@@)?@@@??@f?@H?

?@f?@e@@@??@@@@@@@e@?@L?@Y@?@V@e@@@@e?@?@f@?@HeJ5?@f@?@?e7H?@?@e@@@??J5??@?@e@V'=O.Y??@?@L?@?V40Ye?@@@@?

: 吉野作造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民主主義論」. 『吉野作造選集6』岩波書店, 1996.

______. 「戰後外交論の形成」北岡伸一, 御廚貴. 『戰爭∙�興∙發展: 昭和政治史における權

力と構想』東京大學出版會, 2000.

坂本義和. 『相對化の時代』岩波新書, 1997.

添谷芳秀. 『日本の「ミドルパワ一」外交』ちくま新書, 2005.

對外關係タスクフォ一ス. 「21世紀日本外交の基本戰略: 新な時代, 新なビジョン, 新な外交」

2002年 11月 28日.

田中明彦. 『新しい中世』日本經濟新聞社, 1996.

______. 『ワ一ド∙ポリティクス』筑摩書房, 2000.

______. 「日本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 積み分けを越えて」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會 編. 『日本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として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有斐閣, 2009.

中江兆民.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 사상팀 역. 『삼취인경륜문답(三醉人經綸問答)』서울:

소명출판, 2005.

春名展生. 「近代日本における@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論の展開」小田川大展, 五野井郁夫, 高橋良輔 編.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哲?/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ナカニシヤ出版, 2011.

平塚篤 編.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______. 『伊藤博文演說集: 續伊藤博文秘錄』原書房, 1929: 1982.

福澤諭吉. 『文明論之槪略』1876: 岩波文庫, 1991.

Page 10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7일본형 국제질서관의 전개와 아시아정책론의 변화 □ 박 준

船橋洋一. 『日本の對外構想: 冷戰後のビジョンを書く』岩波新書, 1993.

增田弘. 『石橋湛山硏究: 小日本主義者の國際認識』東洋經濟新報社, 1990.

三木淸. 「新日本の思想原理」(1939. 1). 酒井三郞. 『昭和硏究會: ある知識人集@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の軌跡』

TBSブリタニカ, 1979.

三谷太一郞. 『大正デモクラシ一論: 吉野作造の時代』東京大學出版會, 1995.

森有禮. 「獨立國權義」. 『明�雜誌』제7호 (1874年 5月).

山?/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健太郞. 『日本統治下の朝鮮』岩波新書, 1971.

吉田茂. 「日本外交の)Xg@)g

@?e@YO)X?e@?e@@@@)?e@?e@?g@?e@?eO)X?

?@@@@@@@@@@@@@)?@?e@?I'X?e

?J5?e@??V'@eW.Y?e@?eV'e

?W.Y?@@@5?W&f?.Y?eI(YW&5f

O&0YfO2@@0Mg

?@@@0Mhe

んできた道」北岡伸一.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本外交論集』中央公論社, 1995.

吉野作造. 『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論』松尾尊兌 編. 平凡社, 1970.

蠟山政道. 『世界の@@g@YeO)X?

@@@@@@@@@@@@)?@?e@Xf

?@(?@?e@)X?eJ(YJ5?e@V/Ke

?W&UO&U?e@?V'@??.R4@@)?@@@L?V'?

W@Y?eV)X?e?W&@@@@@@@,?eW&@@X?eW(Y?e.M?I/K?O.Yf

S@@@U?f?O2@0M?I4@@@(?

?@@@0MgI(Y?

局と日本の世界政策』嚴松堂書店, 1938.

若宮啓文. 『戰後保守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朝日新聞社, 1995.

渡邊昭夫. 『アジア太平洋連@??@@??@f@??@Y??@W)X?

?@@@@@@@@@@@@@)?@??@e?@f@@@@@@@@f@MfI@f

@KhO)X??J@@@@@@@@@@@@,??7(Y@??@e?@W(Y??(Y?@@@@@@@@(Ye

@??@e?@H?e@??@e?@f@??@?@@@f@??@eI@f?@h

構想』東京: NTT出版, 2005.

Page 10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0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The Evolution of Japanese Perception of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Change of

Foreign Policy toward Asia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Young-June Park

Major perceptions on the international order, such as Hobbsian or Kantian view, were said to

be originated in the Western tradi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I argue that each state

or nation can have its own perception on international order. In the case of Japan, from the

period of Meiji Restoration, Japanese intellectuals have had a peculiar view on international

order in response to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ts own status among it.

Fukuzawa Yukichi saw the world as a hiera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civilized, half-civilized

and under-civilized sphere; in this hierarchical order, he diagnosed that Japan belonged to a half-

civilized sphere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strive to enter into the level of civilized sphere.

When Japan rose to the status of empire after the vic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First

World War, Konoe Fumimaro began to criticize the existing world powers such as Great Britain and

the U.S. as the ‘have countries’ in the world. Based on this criteria, he urged that Japan should take a

defiant policy to the existing world order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have-not’ countries.

After the defeat of the Second World War, Japanese intellectuals such as Umesao Tadao

pointed out that the world could be divided into the first world in which experienced the

feudalism as well as developped capitalism and the second world in which did not experience

the feudalism and, instead, had the character of the strong authoritarianism.

Facing the post-cold war period, Professor Tanaka Akihiko explained that the world has shown

its three-tierd structure which were consisted of ‘new-middle age sphere’, ‘modern sphere’ and the

‘chaotic sphere’ in term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this

hierarchical order, he emphasized that Japan is the member of the ‘new-middle age sphere’ in which

each member states does not fight one another and every member freely communicate each other.

In sum, Japanese intellectuals have shown their peculiar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which was characterized as a structural or hierarchical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present

times. This kind of perception has influenced a lot on its foreign policy toward the East Asian

region as well as the world.

투 고 일 : 2011년 9월 3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2월 2일

Page 10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중국 국가이미지의 결정요인 연구

이 상 신∙장 희 경

(서울 학교)

【한 초록】

한중관계가 작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사건을 거치면서 상당한 변화의 조짐을 보이

고 있다. 중국에 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북한과의 접근을 우려하는 인식이 늘

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국 여론의 변화를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증 되는 상

황에서, 이 연구는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중국에 한 이 인식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정요인이 무엇인가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07년부터 조사한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해 지난 5년간의 중

국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그 결정요인을 분석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 연구의 분석을 기초하고 있는 기존 연구 및 이론을 검토한 후, 데이터와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을 정리할 것이다. 이어 중국에 한 시계열적 인식 변화를 소개

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분석하 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중국

에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들은 미국에도 역시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음

이 드러났다. 또 중국의 국가 이미지는 미국 및 북한에 한 국가 이미지 및 감정에

접한 연관이 있음을 발견하 다.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검토

1. 외교정책과 여론

2. 국가이미지 이론

Ⅲ. 데이터와 변수

1. 통일의식조사

2. 종속변수: 중국의 국가 이미지

3. 독립변수

4. 통제변수

Ⅳ. 로지스틱 회귀분석

Ⅴ. 결론

∙주제어: 중국, 한중관계, 국가 이미지, 여론조사, 동북아 정세 변화, China, SouthKorea-China relations, national image, public opinion survey,Northeast Asia

� 차 례 �

Page 10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들어가며

2012년이면 한중수교 20주년이 된다. 그동안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양 강국으로 급

속히 부상한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가가 이제 한국 외교가 직면한 가장 중

요한 현안이 되었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의 중국정책도 중국의 변화 및 한국의 정세변화

에 따라 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중국과 어떠한 관계를 가져야 하느냐에 해서는 많은 이

견이 있을 수 있지만, 한중관계를 지혜롭게 설정하는 작업이 한국의 미래 및 통일의 전망에

결정적인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점을 부인하는 이는 드물다.

중국에 한 한국인의 여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한국 여론이 중국의 국가이미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 중요하다.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

고, 중의 여론은 선거기제를 통해 현실적 권력으로 구현되면서 정치엘리트의 정책결정에

향을 미친다. 그리고 한국의 민주주의가 심화되면서 국가의 전략적 인식과 정책방향에 국

민의 여론이 미치는 향력의 폭과 깊이는 계속 강화되고 있다.1) 따라서 한국의 정책결정자들

이 입안하는 중국정책 또한 마찬가지로 중국에 한 여론이 바뀌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

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중국의 부상이 국제정치의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에 한 이론적인 논의는 많

다. 특히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의

등장이 미국의 단일패권에 위협이 될 것인지, 여전히 미국 중심의 단일패권을 유지하는 가운

데 미국과 협력을 유지할 것인지를 놓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실주의 이론을 신

봉하는 논자들은 개 중국의 부상을 위협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이 미국의 패권과 경쟁하는

힘의 균형을 이룰 것이라고 본다.2) 반면 자유주의 이론에서는 중국의 부상으로 미국 또한 경

제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기에 미국과의 관계는 협력적이라고 보는 경향

이 있다.3) 한편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시각에서 중국의 부상을 이분법적으로 분석할 것이 아

니라, 중국이 가지고 있는 힘과 이익, 또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복합적으로 고

1) 남궁 곤, “외교정책과 여론: Almond-Lippman Consensus와 그 비판적 검토,”『한국과 국제정치』

제15권 ⑴호 (1999), p. 33. 같은 입장의 연구로는 Robert Shapiro and Lawrence R. Jacobs,

“Public Opinion, Foreign Policy and Democracy: How Presidents Use Public Opinion,”in

Jeff Manza, Fay L. Cook, and Benjamin I. Page (eds.), Navigating Public Opin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Benjamin Page and Robert Shapiro, “Effects of

Public Opinion on Policy,”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7 (1983); Thomas Risse-

Kappen, “Public Opinion, Domestic Structure, and Foreign Policy in Liberal Democracies,”

World Politics 43 (1991).

2) Lyle Goldstein and William Murray, “Undersea Dragons: China’s Maturing Submarine

Force,”International Security 28-4 (Spring 2004), pp. 161-191; Richard Bernstein and

Ross H. Munro, “Comming Conflict with America,”Foreign Affairs (March/April 1997).

3) Michael O’Hanlon, “Damn the Torpedoes: Debating Possible U.S. Navy Losses in a

Taiwan Scenario,”International Security 29-2 (Fall 2004), pp. 202-206; David Shambaugh,

“China Engages Asia: Reshaping the Regional Order,”International Security 29-3

(Winter 2004/05), pp. 64-99.

Page 10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1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4) 이내 ∙정한울,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세계여론을 통해 본 중국의 현재와 미래”(동아시

아연구원, 2007).

5) 서진 ∙강수정,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인식에 한 실증적 연구: 중국의 부상에 관한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의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48집 ⑴호 (2008).

6) 이상신, “천안함과 외인식,”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0 통일의식조사 발표회 발표논문, 서울,

2010.

려해야 한다는 절충주의적 입장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중국의 부상에 해 각국 여론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에 한 경험적

연구는 많지 않다. 이내 과 정한울4)이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에서 미국의 시카고국제문제협

회(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CCGA)와 공동으로 한국∙미국∙중국∙일본∙인

도∙인도네시아∙호주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주변국의 중국에

한 기 와 우려는 동시에 존재하지만, 미국과 중국 국민들은 서로의 국제적 역할에 해 합

적(zero-sum)인 관계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기타 국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국제적 역할을

경쟁적이고 합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미국에 해 친화적 인

식을 가진 사람은 중국에 해서도 친화적인 인식을 가지는 친미친중형 혹은 그 반 인 반미

반중형의 인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국 동아시아 연구원의 국제여론 조사를 바탕으로 서진 ∙강수정5)은 중국의 부상에 한

국제사회의 인식이 주관적 평가와 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중국의 부상

이 위협으로 인식될 지 협력으로 인식될 지는 중국이 가진‘능력’과‘의지’라는 변수 이외에

타국의‘인식(perception)’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중국의 향력이 자신이 바라는 것보다 더

크다고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중국의 부상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경험적으

로 보여줌으로써, 중국의 부상에 한 인식은 중국의 향력에 한 주관적 평가와 선호에 따

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한중관계가 작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사건을 거치면서 상당한 변화의 조짐을 보이

고 있다.6) 중국에 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북한과의 접근을 우려하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에 한 인식의 변화 조짐은 중국과의 외교적 관계도 새로 설정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중국에 한 여론이 변화하고 있는지를 경

험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증 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중국에 한 인식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정요인이 무엇인가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

었다. 구체적으로 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07년부터 조사한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해 지난 5년간 중국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그 결정요인을

분석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 연구의 분석을 기초하고 있는 기존 연구 및 이론을 검토한 후,

데이터와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을 정리할 것이다. 이어 중국에 한 시계열적 인식 변화를 소

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분석하는 순서로 논문을 진행할 것이다.

Page 10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Ⅱ. 이론적 검토

1. 외교정책과 여론

외교정책은 국제체계 및 국가의 사회구조적 성격과 정책결정 엘리트들의 이익과 성향이 서

로 향을 주고받으면서 조정과정을 거쳐 표출된다. 즉 외교정책은 국제적 수준의 정치와 국

내정치를 연계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교정책의 결정과정에서 여론이 어떠한 역할

을 하는 지는 국제정치학의 주요한 연구 주제로 다뤄지고 있다. 국가 간 분쟁의 해결방안으로

폭력보다는 항구적이고 평화적인 해결에 비중을 두는 자유주의적 시각에서는 한 국가가 공공

정책을 수행할 때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 효과적으로 그 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여론의 합

의 과정을 정책 결정과정의 중심에 위치시켜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일반 중의“판단”은 최

고의 권위를 가져야 함을 인정한다. 반면 현실주의 전통은 한 국가의 외교행위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일반 중들의 향력이 될 수 있는 로 배제되어야 한다는 회의적인 시

각을 가지고 있다.

여론의 역할을 둘러싼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논쟁은‘알몬드-리프만 컨센서스(Almond-

Lippmann Consensus)’를 둘러싼 논쟁에서 더욱 심화되었다. 첫째, 알몬드는 2차 전과

베트남 전쟁을 거치는 과정에서 여론의 역할을 분석하면서, 중은 공적인 현상에 해 즉흥

적인 풍조(mood)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서 여론은 기본적으로 불안정하고 비합리적인

속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둘째, 일반 중 개개인이 갖는 태도는 그 인식론적 구조가 불확실

하고 논리적 일관성이 없다고 알몬드와 리프먼은 주장했다. 셋째, 외교정책 결정이나 실행 과

정에서 여론의 향력은 극히 제한적이다. 코헨은 국무부 관료들과의 면담조사를 통해 관료들

은 여론의 향배에 관심을 두지만, 정책 방향에는 향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7)

이러한 현실주의적 견해에 반 하면서, 세련되고 과학적인 여론 조사 방법에 기 어 중의

외교 정책 신념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등장했다. 캐스페리8)는 알몬드가 제시했던 여론은 즉흥

적인 풍조라는 가설에 해 반론을 제기했는데, 그에 따르면 일반 중들의 견해는 무책임한

일회성이 아니라 비교적 견고하고 일관되게 정부 정책의 불가피성을 받아들이는‘순응적 감

성(permissive mood)’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쟁과 중의 태도를 연구한 뮬러9)는

전쟁에 해 일반 중들의 반감을 표시하는 시계열 곡선의 패턴이 실제 전장에서 일어나는

사상자 수의 시계열 곡선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면서 중도 일정한 자기 논리

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페이지와 샤피로10)가 1930년 중반부터 1980년 말까지 시행했던 여론 조사와 외정책

7) 남궁 곤 (1999), p. 42.

8) William Caspary, “The Mood Theory: A Study of Public Opinion and Foreign Polic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4 (1970), pp. 536-547.

9) John Mueller, War, Presidents and Public Opinion (New York: John Wiley, 1973).

10) Benjamin Page and Robert Shapiro, The Rational Public: Fifty Years of Trends inAmericans’Policy Preferenc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Page 10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3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사이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중의 여론이 외교 정책 이슈에 따라 합당하고 예측 가능

한 추이 변화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중이 갖는 외교 정책 신념이 구조가 결여

되고 논리적 일관성이 없다는 현실주의적 주장에 해 국제정치와 관련된 중들의 신념체계

는 일관되게 구조화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즉, 중은 아주 제한된 극소수의 신념틀이나 인지

틀(frame)을 사용하여 다양한 사건이나 현상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허위쯔11)는 중

들의 외교정책 신념체계는 수평적으로 일관된 것이 아니라, 수직적으로 위계가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는‘위계적 모형(Hierarchical Model)’을 제시했다. 이는 중의 외교정책에 한

선호도는 개인적 입장(posture)이라는 보다 넓은 개념에 따라 좌우되고, 이 입장은 더 일반

적인 핵심가치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이후‘인식(cognition)’과‘정보처

리(information processing)’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정치심리학 연구에서 보다 정교하게 다

뤄지고 있다.

2. 국가이미지 이론

1) 스키마 이론

외교정책은 국제적인 사건을 관찰하고 해석하여 국내의 입장과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국내행위자의 다양한 입장을 조율하여 하나의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여

론은 정책결정자로 하여금 무시할 수 없는 인지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렇다면 여

론은 자국과 관련된 상 국가나 국제적 사건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판단하는가? 이 질문에

한 답으로 국제정치 이론에서 제시된 것이 국가 이미지(national image) 이론이다.

이미지는 특정 한 개인이 갖는 주관적인 지식 혹은 그가 진리로 믿고 있는 확신들의 합으로

정의된다.12) 이 정의를 수용한다면 국가 이미지는 곧 특정 국가에 해서 개인이 갖고 있는 주

관적인 판단과 특정국가에 한 정보에 관해 진리라고 여겨지는 확신을 더한 개념이다. 이런

측면에서 국가 이미지는 특정한 개인이 해당 국가에 해 취하는 태도나 그 국가와 관련한 외

교행위와 관련된 신념과 지지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13)

이미지 개념을 통해 외교정책과 여론 분야에서 국가 이미지 개념(national images)을 처

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보울딩14)이다. 외교정책과 여론 분야에서는 국가 이미지를 국민 여론의

한 구성요소로 파악하고, 정책 결정자가 고려해야 할 개인 수준에서의 변수로 고려해왔다. 보

11) Jon Hurwitz and Mark Peffley, “How are Foreign Policy Attitudes Structured?: A

Hierarchical Model,”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1 (1987), pp. 1099-1211.

12) K. W. Deutsch and R. L. Merritt, “Effects of Events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Image,”in H. C.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 and Psychological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5), pp. 130-187.

13) H. C. Kelman, “Social-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Definition of Scope,”in H. C.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 and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5), pp. 3-42.

14) K. E. Boulding, “National Images and International Systems,”Journal of ConflictResolution 3 (1959), pp. 120-131.

Page 11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울딩 이후 국가 이미지에 한 연구는 여론이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미치는 향력의 한 수단

으로 인식하는 연구, 외교정책 신념 체계의 구성 인자인 외교정책 신념,15) 외교정책 실행 과정

상의 조작부호, 통합이나 적 적 정책의 상이 되는 국가선호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외국

국가에 한 태도연구,16) 그리고 국가 위기 시의 인식이나 오식의 연구17) 등에서 폭넓게 응용

되어 왔다.

이미지는 특정 개인의 심리적 절차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단일하지 않고 복합적 성격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개인들의 특정 국가에 해 갖고 있는 국가

이미지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외교정책 신념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외교정책

신념체계의 한 부분을 이루게 된다. 개인의 신념과 신념체계는 임의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교하고 체계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를테면“스키마(schema)이론”에 의하면

이미지의 심리 요소들은 서로 단순히 병렬적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 상태가 위계

적 형태를 띠거나 형성 시기가 시간적인 전후관계를 갖는다.18)

스키마 이론이란 인지심리학에서 복잡한 상황과 정보를 정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분석하기

위해 그 내부적인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스키마란“한 개념의 여러 속성과 그들 속성간의 관

계에 한 지식을 포함하는 인지적 구조”혹은 단순히“군집된 지식”(a cluster of knowledge)

으로 정의된다.19) 즉 일군의 지식이 포도송이처럼 군집을 이루고 있고, 개개의 지식이 일정한

구조를 이루며 연계되어 있는 상태를 스키마라고 부른다. 따라서 주변국 혹은 스스로가 속한

국가에 한 인지의 모음으로써 국가 이미지 또한 스키마의 일종으로 정의할 수 있다.20)

스키마의 기능은 첫째,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조직하는 기능이다. 즉 사람들은 환경 속의 여

러 요소를 관련 스키마의 구조에 따라 정리한다. 둘째, 스키마는 특정의 자극에 응하여 기억

속의 어떠한 정보가 환기되는가에 향을 미친다. 셋째, 관련 스키마의 구조는 정보처리에 도

움을 준다. 즉 정보의 부족부분을 보충하고 상충되는 정보를 거르는 역할을 한다. 넷째, 스키

마는 문제해결과정을 단순화하는 문제해결의 수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스키마는 현실에

비추어 참고할 수 있는 기 치를 창출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평가하는 기반을 제공한다.21)

15) O. R. Holsti, “The Belief System and National Images: A Case Study,”The Journal ofConflict Resolution 6-3 (1962), pp. 244-252.

16) Miroslav Nincic and Bruce Russett, “The Effect of Similarity and Interest on Attitudes

toward Foreign Countries,”Public Opinion Quarterly 43-1 (1979), pp. 68-78.

17) Robert Jervis,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World Politic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18) J. A. Rosati, “A Cogni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Foreign Policy,”in L. Neack, J. K.

Hey, and P. J. Haney (eds.), Foreign Policy Analysis: Continuity and Change in itsSecond Generation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95), pp. 49-70.

19) S. T. Fiske and W. E. Taylor, Social Cognition (New York: Random House, 1984), p. 149.

20) Richard K. Herrmann and Michael P. Fischerkeller, “Beyond the Enemy Image and

Spiral Model: Cognitive-Strategic Research after the Cold War,”International Organization49-3 (1995).

21) Robert Axelrod, “Schema Theory: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Perception and

Cognition,”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7-4 (1963), pp. 1248-1266.

Page 11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5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외교정책 신념체계에 한 위계적 모형(The Hierarchical Model) 또한 스키마 이론이 적

용된 것이다. 즉 특정한 개인이 국제적 사안에 해 갖는 다양한 견해가 외교정책 신념체계를

형성한다고 보고, 이 외교정책 신념들은 무질서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고도로 구조화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개인이 속한 국가의 정부가 외국에 파병할 것을 지

지할 것인가와 같은 특정 외교정책 신념은 그 개인이 일반적인 국방안보정책에 해 갖고 있

는 외교정책 신념에 의해 제한받는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국방안보 정책 신념은 보수와 진

보의 구분으로 표현되는 정치이념 같은 더욱 보편적인 신념에 의해 제한받는다. 이 위계적 모

형 이론은 여론이 절 로 변덕스럽지 않고 나름 로 합리적인 판단력을 지녔다고 보며, 때문

에 민주주의 다원론의 입장에 서있다.

이렇게 구조화된 개인의 외교정책 신념 체계에서 국가 이미지는 개인의 일반적 외교정책 신

념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에 한 정보가 먼저 유입되면, 일반 외교

정책 신념보다는 국가 이미지가 시기적으로 먼저 형성된다. 이를 고려하면 일반 외교정책 신

념은 단순히 국가 이미지와 상관관계의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 이미지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개인은 정치이념에 의해 국가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 국가

이미지는 다시 일반적 외교정책 신념체계를 형성하는데 향을 미치며, 이 일반적 외교정책

신념체계는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외교정책 신념에 향을 준다는 것이다.

2) 국가이미지 변동요인

이와 같이 여론과 외교정책을 분석하는 과정은 새로운 정보를 유입하고 받아들이는 구조화

된 신념체계, 즉 스키마의 작용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념적 정향이 국

가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향을 주게 되고, 이 국가 이미지를 통해 개인은 새롭게 유입되는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입각해서 새로운 외교정책 신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

가이미지를 형성하는 상은 무엇인가. 통상적으로 국가 이미지를 언급하면 국가의 정부

(government)와 국민(people)을 복합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정부에 한 이미지가 외부 자

극에 반응하는 시간과 폭이 훨씬 크지만, 특정 국가의 외교적 행위의 동기와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면 정부와 국민을 일치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복합적으로 사고한다. 또한 국가 이

미지는 사회적 구성체로 파악된 국가 이외에 경제와 지리적 요소 같은 물리적 실체를 상정할

수 있다. 물리적 실체는 경제력, 군사력과 같이‘국적효과(country of origin effect)’로 볼

수 있다. 또한 한 개인이 특정 사물이나 현상에 해 갖는 이미지는 그 측정 시점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고 과거는 물론 미래의 기 이미지를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 이미지를 언급할

때는 그 국가에 해 현재 느끼는 심리적 과정은 물론이고 다양한 과거 기억들과 앞으로의 기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국가이미지는 항구적인 것이 아니며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실제로 변화한다.

그 변동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22) 첫째,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on Theory)에

22) 남궁 곤, “국가이미지(national images)론의 중심테제와 국제정치적 의의,”『시민정치학회보』제5권

(2002).

Page 11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3) Robert Jervis (1976), pp. 239-257.

24) 매회 조사의 표본오차는 따라서 95% 신뢰수준에서 ±2.8% 이다.

따르면 인간은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그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믿음을 더욱 강화시키는데 필

요한 정보나 지식에 취약하다. 즉 새로 받아들인 정보나 지식이 기존의 믿음과 기 에 합치되

지 않을 때, 개인은 새로운 정보나 지식의 수용을 거부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일

상에서 접하고 있는 정치 혹은 국제정치 현실은 단순히 실제로 일어난 일은 물론 실제로 일어

난 일을 어떻게 해석하고 내화시키는가에 따라서도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저비스23)는 각 개인

이 특정 국가와 연관되어 그가 과거에 경험했던 사실에서 유추하여 현재 그 국가에 한 호감

도를 결정한다고 본다. 이때 개인이 경험했던 과거는 그의 인지적 정보 유입과정을 통해 형성

된 것이다. 현재에 특정 국가에 해 근거가 없거나 편파적이거나 또는 불완전한 정보는 그

개인으로 하여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국가 이미지의 두 번째 변동요인은 개인이 속한 정치사회적 환경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정

치사회적 환경은 보통 특정한 사회의 총체적이고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관행과 태도에 의

해 형성된다. 외국 국가나 외교정책 선택에 한 태도를 논할 때, 국가 이미지의 사회적 배경

은 집단적 차원에서 거론된다. 즉 특정 국가 이미지와 특정 정책 안에 한 사회적 합의 차

원에서 논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 이미지의 정치사회적 배경은 한 사회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들의 국가 선호도 선택이 그 국가에 한 외교정책 안의 선호도 선택에 미치는

향을 중심으로 파악될 필요가 있다.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sis)의 논지에 따르

면 민주국가 사이에는 상호 유사성과 상호 신뢰성이라는 공통의 규범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논지는 당위적 규범보다는 개별 민주국가를 구성하는 개인이 각자 처한 정치사회적 배경에

따라 타 민주국가에 한 선호도가 어떻게 다른가를 밝혀야만 그 논지가 가정하는 상호 신뢰

성이 증명된다.

개인의 국가 이미지 변동요인의 세 번째는 국내체제 혹은 국제체제 차원의 다양한 사건을 들

수 있다. 국가 이미지 형성 과정은 개인이 처한 정치사회적 배경에 따라 제한되고 개인이 받아

들인 정보와 지식의 인지적 절차에 의존한다. 개인이 이러한 이미지 형성과정을 경험하게 되

는 계기가 되는 것은 각자가 실제 생활에서 다양한 사건을 직접 경험하는 일에서 비롯된다.

Ⅲ. 데이터와 변수

1. 통일의식조사

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은 2007년부터 매년 1회씩“통일의식조사”라는 제목으로 서베

이를 실시해오고 있다. 2011년 5회째를 맞은 이 여론조사는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상으로 조사되며, 매회 1200명분의 표본을 추출하고 있다.24) 추출방법은 통계청의 인구총조

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조사 표본을 지역별∙연령별∙성별로 배분한 후, 각 지역별로 모집

Page 11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7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단 비율에 따라 층화하여 최종조사지점을 추출하는 다단층화무작위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방법을 사용하 다. 실제 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해당 가구를 방문하

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일 일 면접조사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통일의식

조사는 매년 7월 중순에서 8월 초의 기간에 행해지고 있다. 5년 동안 누적된 총 표본 수는

6,017명이다.

2. 종속변수: 중국의 국가 이미지

통일의식조사에는 한국의 주변국-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의 국가 이미지를 측정

하는 항목이 들어 있다. 이 설문은 각 국이 우리에게 어떤 상인지를 응답자에게 묻고, 협력

상, 경쟁 상, 경계 상, 그리고 적 상의 네 가지 보기 중에서 하나를 고르도록 설계되

어 있다.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한중관계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특히 통일의식조사는

2010년 천안함 사건 이후 한국인들이 중국에 해 느끼는 감정에서 큰 폭의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지만, 중국에 한 인지방식, 혹은 스키마로서 중국의 국가 이미지는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 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아래의 <표 1>은 지난 5년간 중국의 국가 이

미지 조사 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위 표를 보면 중국의 국가이미지는 지난 5년 동안 거의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해 응답자들의 약 20%는 중국을 협력 상으로, 40%는 경쟁 상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비율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두 이미지를 중국에 한 긍정적 국

가 이미지로 본다면 나머지 경계 상과 적 상은 부정적 이미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을 적국이라고 말하는 응답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비율은 최고 5.1%에서 최저

3.3% 사이로, 그다지 의미 있다고 말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즉, 중국을 적이라고 생각하는

한국인들은 략 25명 중 1명꼴이어서 이들이 중국에 한 여론을 주도하기는 힘들어 보인

다. 반면 중국을 경계 상이라고 답한 이들의 비율은 30%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 다.

<표 1> 중국의 국가 이미지: 2007~2011

합 계(3)+(4)(4)

적 상(3)

경계 상(1)+(2)

(2)경쟁 상

(1)협력 상

조사연도

2007~2011 종합

2007

2008

2009

2010

2011

19.3%

23.7%

21.1%

19.7%

20.5%

20.8%

46.3%

38.1%

42.0%

45.1%

40.2%

42.3%

65.6%

61.8%

63.1%

64.8%

60.7%

63.1%

30.9%

32.8%

33.3%

31.8%

34.9%

32.8%

3.3%

5.1%

3.6%

3.4%

4.4%

4.0%

34.2%

37.9%

36.9%

35.2%

39.3%

36.8%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들이 보는 중국의 국가 이미지를 정리하면, 우선 부분의 한국인들은

중국을 경쟁 상 혹은 협력 상으로 보고 있다. 중국을 적으로 하는 이들의 비율은 매우 낮

은 수준이지만, 약 3분의 1 정도의 한국 국민들은 중국에 해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종속변수로 사용되는 중국의 국가이미지 변수는 위의 변

수를 이용하여 만든 이진변수이다. 첫 번째 종속변수인 중국의 협력이미지 변수는 응답자가

중국을 협력 상이라 답한 경우를 1, 기타의 답변을 0으로 코딩하여 작성하 다. 두 번째 종

속변수인 중국의 경계이미지 변수는 마찬가지로 중국을 경계 상으로 답한 경우를 1, 기타를

0으로 코딩한 것이다.

<표 1>은 중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당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지만, 중

국에 한 여론의 모든 측면이 이렇게 굴곡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 것은 아니다. <표 2>는 응

답자들에게 만약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난다면 중국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예측해보라는

설문의 응답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20% 정도의 응답자들이 중국을 협력 상으로 보고 있지만(<표 1>), <표 2>에서 보듯

막상 전쟁이 발발하면 중국이 한국을 도와 북한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예측한 응답자들의 비

율은 5년간 평균 3.7%에 불과했다. 반면 중국이 북한을 도울 것이라는 응답은 지난 5년간 큰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2010년을 기점으로 그 비율이 급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7년 첫 통일의식조사가 실시될 당시에는 불과 26.8%의 응답자들만 중국이 북한을 도

울 것이라고 답변한 바 있다. 반면 같은 조사에서 과반수를 넘는 56.4% 응답자들은 중국이

자국의 이익을 따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비율은 2010년을 기점으로 역전된다. 즉, 처음으

로 2010년에 중국이 북한을 도울 것이라는 응답자가 중국이 자국의 이익을 따를 것이라는 응

답자보다 많았다. 그리고 그 추세는 2011년에도 지속되어,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 가까운 숫

자가 중국이 전쟁에서 북한 편을 들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물론 2010년 천안함 사

건 당시 중국이 결정적으로 북한을 옹호하고 나선 것이 계기가 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표 1>과 <표 2>를 비교하면 중국에 한 인식에 있어 안정된 부분과 변화하는 부분이 공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두 설문에 해 반응하는 응답자들의 인지 반

<표 2> 한반도 전쟁 시 중국의 태도 예상

합 계중립을

지킬 것이다자국의 이익에따를 것이다

북한을도울 것이다

한국을도울 것이다

조사연도

2007~2011 종합

2007

2008

2009

2010

2011

5.3%

4.5%

3.1%

3.3%

2.4%

3.7%

26.8%

30.3%

38.5%

55.5%

62.8%

42.8%

56.4%

52.2%

50.7%

37.4%

31.0%

45.6%

11.4%

12.9%

7.7%

3.8%

3.8%

7.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Page 11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19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응이 다르기 때문에 비롯된다. <표 1>의 설문은 중국과 한국의 일 일(dyadic) 관계를 상정

했을 때 중국을 어떻게 생각하는 지를 묻고 있다. 하지만 <표 2>의 설문은 한국, 북한, 중국,

미국, 일본, 러시아 등 세계의 최강 국들의 국익이 결정적으로 교차하는 동북아 정세를 배경

으로 하여, 중국을 동북아 주변국들과의 관계 속에 위치시켜 인식할 것을 응답자들에게 요구

하고 있다. 즉, <표 2>에서 드러난 중국에 한 인식은 동북아 국가들 간의 역학관계 속에서

중국의 역할과 의도에 한 판단이 포함된 것이다. 이렇게 비교해 보았을 때, <표 2>에서 중

국의 이미지가 급속히 변화하는 것은 중국 자체에 한 이미지 변화를 반 할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가 작동하는 환경에 한 인식의 변화까지도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3. 독립변수

1) 미국의 국가이미지

중국의 국가 이미지가 상 적으로 안정적이었던 반면, 미국의 국가 이미지는 지난 5년 동안

긍정적인 부분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아래의 <표 3>에서 이러한 변화를 정리하 다.

우선 미국을 적 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적은 수준이다.

광우병 수입 문제로 전국이 촛불시위에 휩쓸렸던 2008년에도 미국을 적 상 혹은 경계

상으로 본 사람들의 비율은 오히려 2007년에 비해 상당히 줄었다. 반면 미국을 협력 상이라

고 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2008년을 기점으로 오히려 폭 상승했다. 따라서 2008년의 촛불

시위는 최소한 미국의 국가이미지에는 향을 끼치지 못했다고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에 미국을 협력 상이라고 말한 응답자의 비율이 갑자기 전년에 비해 17.1%나 상승

한 것은 이명박 정부의 한미동맹 강화정책이나 오바마 미국 통령의 당선 등25)에 원인이 있

을 것이라고 추측된다.26) 오바마 통령의 당선이 향을 주었다고 짐작되는 이유는 첫째, 퓨

25) 2008년 통일의식조사는 8월 21일에서 9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는데, 당시는 오바마 통령이 민주

당 예비경선에서 승리한 직후로 그에 한 관심이 가장 고조되었을 시기 다.

26) 박명규 외, 『2009 통일의식조사』(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p. 124; 이상신, “동북아 정세

변화와 외인식변화,”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통일의식조사 발표회 발표논문, 서울, 2011.

<표 3> 미국의 국가 이미지

합 계적 상경계 상경쟁 상협력 상

조사연도

2007~2011 종합

2007

2008

2009

2010

2011

53.1%

70.2%

73.6%

76.4%

75.0%

69.7%

21.9%

13.0%

13.7%

14.6%

14.2%

15.5%

21.9%

14.8%

11.7%

8.2%

9.7%

13.3%

2.9%

2.0%

0.9%

0.8%

1.1%

1.5%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리서치 센터의 25개국 조사에 따르면27) 2008년을 전후해서 한국뿐만이 아니라 몇몇 이슬람

국가를 제외한 부분의 나라에서 미국에 한 호감도가 증가되었음을 들 수 있다. 둘째, 통

일의식조사에 따르면 2007년과 2008년 사이에 미국에 한 호감도가 가장 급격하게 올라간

집단은 진보적 이념성향을 가진 응답자 다. 즉, 주변국 중 미국이 가장 가까운 나라라고 답

한 진보적 응답자들의 비율이 2007년에는 42.9% 던 반면 2008년에는 57.1%로 급격하게

상승하는데, 이는 보수나 중도 응답자들의 상승 비율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이는 최초의 흑

인 미국 통령 등장에 진보적 성향의 응답자들이 더욱 호의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중국의 국가이미지 변수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에서는 협력 상과 경계 상으로서 미국 국

가이미지 변수를 위의 설문을 이용하여 생성했다. 두 변수는 모두 이진 변수로, 미국을 협력

상 (혹은 경계 상)이라고 답한 경우를 1, 기타의 답을 0으로 코딩하여 작성하 다.

<표 4>는 응답자들에게 한반도 가상 전쟁의 상황에서 미국이 어떻게 행동할 것이라고 예측

하는지를 물은 것이다. 중국의 경우와는 반 로 미국이 한국을 도울 것이라는 답변이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07년 처음 조사가 시작되었을 때는 50.6%의 응답자만 미

국이 한국을 도울 것이라고 답한 반면, 2010년과 2011년에 이 비율은 74.7%와 72.4%로 상

당히 증가했다. 미국이 북한을 돕거나 중립을 지킬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들은 거의 없는 반

면, 자국의 이익을 지킬 것이라는 응답의 비율은 2007년 이후 계속 줄고 있다. 2007년에는

미국이 자국 이익을 추구할 것이라는 응답이 미국이 한국을 도울 것이라는 답변보다 불과 5%

적은 45.5%이었는데, 2011년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24.1%까지 떨어진다.

한반도 전쟁에서 중국의 태도를 물은 <표 2>와 미국의 태도를 물은 <표 4>를 비교하면 두

나라에 한 인식의 변화 방향이 반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명확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과 중국 모두 한반도 문제에 있어 자국의 이익을 지킬 것이라는 답변은 큰 폭

27) The Pew Global Attitudes Project, “Confidence in Obama Lifts U.S. Image Around the

World: Most Muslim Publics Not So Easily Moved,”in 25-Nation Pew Global AttitudesSurvey (Pew Research Center, 2009).

<표 4> 한반도 전쟁 시 미국의 태도 예상

합 계중립을

지킬 것이다자국의 이익에따를 것이다

북한을도울 것이다

한국을도울 것이다

조사연도

2007~2011 종합

2007

2008

2009

2010

2011

50.6%

57.4%

65.1%

74.7%

72.4%

64.0%

1.3%

1.4%

0.7%

0.7%

1.6%

1.1%

45.5%

37.4%

32.3%

23.0%

24.1%

32.5%

2.6%

3.8%

2.0%

1.7%

1.9%

2.4%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Page 11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1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으로 줄고 있다. 반면, 미국은 한국을 돕고, 중국은 북한을 도울 것이라는 인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추세다. 아래의 <그림 1>은 이러한 미국과 중국에 한 인식 변화를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위 그래프는 이러한 인식 변화의 추세가 이미 2007년에서 2009년 사이에도 뚜렷이 존재했

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2010년 조사에서 중국에 한 인식 그래프가 교차하는 큰 변화가 발

생하여 이 시점이 미∙ 중 인식의 중요한 변곡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천안함 사건이

일어난 2010년을 기점으로 중국에 한 인식 변화가 일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 그래프가

보여주는 것은 이 변화가 단순히 천안함 사건이라는 독립적 변수로 인해 발생한 우연이 아니

라는 점이다. 천안함 사건은 인식 변화의 하나의 중간 계기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좀 더 근본

적으로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강 국으로서의 급부상, 그리고 이것이 한국과

북한, 미국과 중국의 복잡한 동북아 역학관계에 가져온 변화를 한국인들의 여론이 냉철하게

반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2) 북한의 국가이미지

북한의 국가 이미지를 측정하는 것은 미국이나 중국의 국가 이미지 측정과는 다른 성격의

작업이다. 중국과 미국은 그들을 협력 혹은 동맹관계라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아무리 관계가

가깝다 하더라도 이 국가들은 명백한“타국”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북한의 경우는 한국과의

민족적 혈연관계라는 특성 및 2000년 정상회담 이후 한국이 막 한 경제적 투자와 원조를

제공해왔다는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통일의식조사에는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상이냐는 설문에“지원 상”이라는 보기 한 가지를 추가시켜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반 하

고 있다.

<그림 1> 한반도 전쟁 시 미국과 중국의 태도 예상

Page 11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위의 <표 5>에서 북한의 국가이미지 분포를 보면, 일단 북한을 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북한을 지원 혹은 협력 상으로 보는 응답자들이 전체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북한을 경계 혹은 적 상으로 보는 응답자들은 약 25%

정도 다. 이에 따라 북한의 국가이미지는 지원∙협력 이미지와 경계∙적 이미지의 두 변

수로 측정하 다. 앞의 중국 및 미국 이미지 변수의 경우처럼 북한의 두 이미지 변수는 모두

이진 변수다. 지원∙협력변수는 북한을 지원 상 혹은 협력 상이라고 답한 경우를 1, 기타

의 답을 0으로 코딩하여 작성하 다. 경계∙적 변수의 코딩 방식도 같다.

북한의 국가이미지는 시계열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우선 지원∙협력 상으로서의 북한

이미지는 2007년 이후 꾸준히 줄고 있는 반면, 경계∙적 상으로서의 북한 이미지는 반

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는 점이다. 이명박 정부가 햇볕정책을 전면적으로 중단한 이래

악화일로에 있는 남북관계를 생각하면 이는 크게 놀랍지 않은 변화일 것이다.

오히려 놀라운 것은 이러한 변화의 폭이 그다지 크지 않다는 사실이다. 경계∙적 상으로

서의 북한이미지는 2007년 18.4%에서 2011년에는 33.8%로 약 15% 정도 증가했다. 마찬가

지로 같은 기간 동안 북한의 지원∙협력 이미지는 15% 정도 감소했다. 그런데 의외로 천안함

사건 이후의 북한 이미지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다. 2010년 조사는 천안함 사건 이후의 여론

변화를 반 하는데, 2009년과 2010년 조사 사이 북한의 경계∙적 이미지는 불과 3% 정도

증가했을 뿐이다. 오히려 북한에 해 부정적 인식이 증가한 시기는 2008년과 2009년 사이

로, 이때 경계∙적 이미지는 12.4%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009년 북한의 이미지 악화에

향을 준 가장 큰 계기는 아마도 북한의 제 2차 핵실험이었다고 짐작된다. 즉, 북한 이미지의

악화는 천안함이나 연평도 사건보다 핵실험이 더욱 결정적인 계기 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3) 주변국 친 감과 위협감

국가이미지가 인지(cognition) 차원의 개념인 것에 반해, 여론의 변화에는 각 국가에 한

감정 또한 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친 감과 위협감 변수를 통해 한반도 주변국에 해

응답자들이 느끼는 감정을 측정하 다.

우선 친 감은“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를 묻고, 이에 한 보기로 미국, 일본, 중국,

<표 5> 북한의 국가이미지

(4)경계 상

(5)적 상

(4)+(5)경계∙적

합 계(3)

경쟁 상

(1)+(2)지원∙협력

(2)협력 상

(1)지원 상

조사연도

2007~2011 종합

2007

2008

2009

2010

2011

21.8%

22.3%

17.4%

19.3%

16.7%

19.5%

56.6%

56.9%

50.7%

44.7%

47.1%

51.2%

78.4%

79.2%

68.1%

64.0%

63.8%

70.7%

3.3%

3.5%

2.2%

3.3%

2.3%

2.9%

11.8%

11.9%

20.6%

20.7%

17.1%

16.4%

6.6%

5.4%

9.1%

12.0%

16.7%

9.9%

18.4%

17.3%

29.7%

32.7%

33.8%

26.3%

100%

100%

100%

100%

100%

100%

Page 11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3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28) 일본과 러시아에 한 이미지와 감정변수를 분석에서 제외한 것은 우선 러시아에 한 관심이나 친

감 등이 매우 낮은 편이고, 또 이 두 국가에 한 이미지나 감정이 중국의 이미지에 향을 줄 것이라

는 이론적 근거를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러시아, 북한을 제시하여 그 응답의 분포를 보았다. 아래의 <표 6>은 이 친 감의 시계열적

분포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우선 미국에 한 친 감은 2007년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에 한 협력 상 이미지의 비율이 상승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중국에 한 친 감은 비록 그 변화의 폭은 완만하지만 계속 줄

어들고 있다. 북한에 한 친 감 또한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북

한에 친 도가 계속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2011년 조사에서 북한은 여전히 주변국

중 두 번째로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로 꼽힌 것이다. 남북관계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한 친 감이 오히려 일본이나 중국보다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북한을 같은 민족이자 동포로

이해하는 정서 때문일 것이다.

친 감 변수는 모두 세 가지로, 각각 미국, 중국, 북한을 가장 가까운 나라라고 답한 응답자

들을 1, 기타 답을 한 응답자들을 0으로 코딩한 이진변수이다.28)

<표 6>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

2007~201120112010200920082007국 가

미 국

일 본

북 한

중 국

러시아

합 계

53.4%

11.6%

24.0%

10.2%

0.9%

100%

60.7%

9.5%

20.4%

7.8%

1.7%

100%

68.3%

8.7%

15.9%

6.1%

1.0%

100%

70.6%

9.6%

14.9%

4.2%

0.8%

100%

68.8%

9.1%

16.0%

5.3%

0.8%

100%

64.4%

9.7%

18.2%

6.7%

1.0%

100%

<표 7> 한반도의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주변국

2007~201120112010200920082007국 가

미 국

일 본

북 한

중 국

러시아

합 계

21.1%

25.9%

36.1%

15.6%

1.3%

100%

16.0%

34.5%

33.7%

14.6%

1.2%

100%

12.5%

17.7%

52.9%

15.9%

1.1%

100%

8.3%

10.4%

55.6%

24.6%

1.2%

100%

8.6%

11.6%

46.0%

33.6%

0.3%

100%

13.3%

20.0%

44.8%

20.8%

1.0%

100%

Page 12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주변국 친 감 변수와 마찬가지로, 위협감 변수도 미국, 중국, 북한을 한반도의 평화에 가

장 위협적인 나라로 꼽은 응답자들을 1로 코딩한 이진 변수이다. <표 7>에서는 2007년 이래

한국 국민들이 가장 위협적이라고 꼽은 국가들의 분포 변화를 볼 수 있다. 북한의 위협감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예측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변화는 중국

이 가장 위험한 국가라고 답한 비율이 2010년을 기점으로 갑자기 폭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다. 2011년 조사치를 보면 한국인 세 명 중에 한 명은 중국을 가장 위협적인 국가라고 답하고

있다.

4. 통제변수

지금까지 설명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외에, 통제변수로 이념, 정치관심, 성별, 교육, 연령,

소득수준 등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념은 응답자들의 정치적 이념 성향을 5점 척도로 측정

하 다.29) 정치관심은 4점 척도로 응답자들의 정치에 한 관심정도를 물었으며,30) 교육은 중

졸 이하, 고졸, 재 이상의 세 집단으로 응답자들을 나누어 코딩하 다.31) 연령 변수는 20

와 30 , 40 , 그리고 50 이상으로 나눈 4점 척도 다.32) 소득수준 역시 4점 척도로, 응

답자의 가구 월평균 총수입을 기준으로 측정하 다.33)

Ⅳ. 로지스틱 회귀분석

<표 8>과 <표 9>는 지금까지 설명한 이론과 변수를 바탕으로, 중국에 한 협력이미지와 경

계이미지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중국에 한 인식과 태도의 획기적

변화가 2010년을 기점으로 일어나는 것을 감안,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한 것이 모형 1이다. 이어 2010년과 2011년 데이터를 횡단면 분석한 것

이 모형 2이며, 모형 3에서는 5년간 데이터 전체를 분석하 다.

우선 <표 8>에서 분석하고 있는 중국 협력 이미지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자. 흥미롭게도 독립

변수 중 가장 큰 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미국에 한 협력 이미지이다. 즉, 미국에 해 협

력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응답자는 중국에 해서도 협력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

었다. 승산비(odds ratio)를 통해 이 관계를 살펴보면, 2007년과 2009년에 미국에 해 협

력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중국에 해서도 협력 이미지를 가

지고 있을 확률이 4.525배나 높았다. 이 승산비는 모형 2에서 2010년 이후 10.481배로 두

29) 매우 진보적 = 1, 약간 진보적 = 2, 중도 = 3, 약간 보수적 = 4, 매우 보수적 = 5. 2007년과 2011년

사이 통일의식조사의 응답자 중 진보는 27%, 중도는 47.4%, 보수는 25.6% 다.

30) 매우 관심이 있다 = 1, 다소 관심이 있다 = 2, 별로 관심이 없다 = 3, 전혀 관심이 없다 = 4

31) 중졸 이하 = 1, 고졸 = 2, 재 이상 = 3

32) 20 = 1, 30 = 2, 40 = 3, 50 이상 = 4

33) 200만원 미만 = 1, 200~299만원 = 2, 300~399만원 = 3, 400만원 이상 = 4

Page 12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5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표 8> 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 - 중국 협력이미지

모형 3 (2007-2011)모형 2 (2010-2011)모형 1 (2007-2009)

미국 협력

미국 경계

북한 지원∙협력

북한 경계∙적

중국 친 감

중국 위협감

미국 친 감

미국 위협감

북한 친 감

북한 위협감

이 념

정치관심

성 별

교 육

연 령

소득수준

상 수

N

Pseudo R2

Log Likelihood

회귀계수(표본오차)

1.51***(0.157)

-0.252(0.204)

0.483(0.304)

0.143(0.317)

0.351(0.187)

-0.48**(0.16)

-0.497***(0.14)

0.787***(0.139)

-0.292(0.161)

0.321**(0.11)

-0.016(0.053)

-0.151*(0.059)

-0.106(0.089)

0.237(0.083)

0.023**(0.048)

0.157***(0.044)

-3.205***(0.492)

3579

0.0947

-1678.92

2371

0.1278

-1037.01

5950

0.1019

-2733.9

승산비

4.525

0.777

1.620

1.154

1.421

0.619

0.608

2.197

0.747

1.378

0.984

0.860

0.899

1.268

1.023

1.170

0.041

회귀계수(표본오차)

2.35***(0.287)

-0.693(0.482)

0.652(0.379)

0.181(0.388)

1.015***(0.283)

-0.296(0.197)

-0.552**(0.179)

0.781**(0.258)

-0.089(0.219)

0.347(0.179)

-0.086(0.07)

0.027(0.077)

-0.039(0.113)

0.423***(0.11)

0.001(0.059)

0.009(0.055)

-4.581***(0.69)

승산비

10.481

0.500

1.920

1.198

2.760

0.744

0.576

2.183

0.915

1.416

0.917

1.028

0.962

1.527

1.001

1.009

0.010

회귀계수(표본오차)

1.756***(0.136)

-0.268(0.184)

0.537*(0.236)

0.125(0.244)

0.556***(0.154)

-0.421***(0.116)

-0.535***(0.11)

0.775***(0.122)

-0.231(0.129)

0.297***(0.092)

-0.041(0.042)

-0.086(0.047)

-0.072(0.069)

0.294***(0.066)

0.013(0.037)

0.099**(0.034)

-3.566***(0.395)

승산비

5.788

0.765

1.711

1.133

1.744

0.656

0.586

2.171

0.793

1.346

0.960

0.918

0.931

1.342

1.013

1.104

0.028

*** p < 0.001 ** p < 0.01 * p < 0.05

배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어서 오히려 천안함 사건 이후로 중국과 미국의 협력이미지의 상관

관계가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을 경계한다고 해서 중국에 한 협력이미지가 높아지는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

Page 12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다. 이는 친중(親中)과 반미(反美)가 상관관계에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보수 언론들은

종종 한중관계와 한미관계를 일종의 길항관계로서 제시하는 경우가 있는데,34) 최소한 한국인

들의 인식 차원에서는 친중국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반미가 아니라 친미적인 태도를 가

질 확률이 높았다.

<표 9> 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 - 중국 경계이미지

모형 3 (2007-2011)모형 2 (2010-2011)모형 1 (2007-2009)

미국 협력

미국 경계

북한 지원∙협력

북한 경계∙적

중국 친 감

중국 위협감

미국 친 감

미국 위협감

북한 친 감

북한 위협감

이 념

정치관심

성 별

교 육

연 령

소득수준

상 수

N

Pseudo R2

Log Likelihood

회귀계수(표본오차)

-0.062(0.104)

1.444***(0.131)

-0.426*(0.213)

-0.097(0.223)

-0.824***(0.191)

0.479***(0.113)

0.305*(0.124)

-0.761***(0.126)

0.223(0.138)

-0.274**(0.093)

0.039(0.045)

0.095(0.05)

0.076(0.076)

-0.115(0.069)

-0.021(0.041)

-0.022(0.038)

-0.521(0.379)

3579

0.0756

-2168.27

2371

0.0876

-1427.33

5950

0.0767

-3610.44

승산비

0.940

4.239

0.653

0.908

0.439

1.614

1.357

0.467

1.250

0.760

1.040

1.100

1.079

0.891

0.979

0.979

0.594

회귀계수(표본오차)

-0.34**(0.128)

1.865***(0.203)

-0.14(0.272)

0.232(0.277)

-0.619*(0.291)

0.596***(0.156)

0.472**(0.162)

-0.343(0.223)

0.324(0.191)

-0.108(0.151)

0.083(0.057)

0.01(0.064)

0.006(0.093)

-0.186*(0.086)

0.01(0.049)

0.119**(0.046)

-1.08*(0.501)

승산비

0.712

6.453

0.870

1.261

0.538

1.815

1.603

0.710

1.383

0.898

1.087

1.010

1.006

0.831

1.010

1.126

0.340

회귀계수(표본오차)

-0.178*(0.081)

1.524***(0.108)

-0.312(0.167)

0.031(0.172)

-0.763***(0.158)

0.502***(0.086)

0.373***(0.098)

-0.648***(0.109)

0.265*(0.111)

-0.227**(0.077)

0.059(0.035)

0.063(0.039)

0.046(0.058)

-0.136*(0.053)

-0.006(0.031)

0.033(0.029)

-0.743*(0.3)

승산비

0.837

4.592

0.732

1.031

0.466

1.652

1.453

0.523

1.303

0.797

1.061

1.065

1.047

0.873

0.994

1.033

0.476

*** p < 0.001 ** p < 0.01 * p < 0.05

Page 12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7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반면, <표 9>는 중국 경계이미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독립변수가 마찬가지로 미국에

한 경계이미지임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경계이미지 변수의 회귀계수는 다른 독립변수의 회

귀계수들보다 월등히 높으며, 이는 미국을 경계하는 응답자들은 역시 중국 또한 경계의 시각

으로 바라볼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승산비를 중심으로 분석해보면, 2010년 이전에는

(모형 1) 미국에 해 경계 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중국에

해서도 경계 이미지를 갖고 있을 확률이 4.239배나 높았다. 그리고 2010년 이후에는 (모

형 2) 이 승산비가 6.453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 즉, <표 8>과 <표 9>는 2010년 이후 미국

과 중국을 동시에 협력 상으로 보거나 아니면 동시에 경계 상으로 보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중국의 협력 혹은 경계 이미지에 미국의 국가 이미지가 큰 향을 미치고 있지만,

북한에 한 국가 이미지는 중국 국가이미지에 별다른 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표 8>의 모

형 3에서 북한 지원∙협력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또 <표 9>의 모형 1에서도 같은

이미지가 어느 정도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오긴 했지만, 북한을 경계 혹은 적 시한다고 해

서 중국에 한 협력이미지가 강화된다거나 혹은 중국 경계 이미지가 달라지는 등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북한에 한 인식과 태도는 중국에 한 인식과 태도에 별다른 향을

끼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한편, 주변국에 해 느끼는 친 감이나 위협감이 중국에 한 국가이미지 결정에 상당한

향을 끼친다는 사실도 <표 8>과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그 향력의 방

향이 국가이미지 변수들의 방향과 반 라는 것이다. <표 8>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미국에게

친 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중국을 협력 상으로 볼 가능성이 적으며, 반 로 미국에게 위협

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중국을 협력 상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중국 협력이미지와 미국

협력이미지가 정(正)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과 그 방향이 반 이다. 이런 현상은 <표 9>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된다. 미국을 가깝게 느끼는 사람은 중국에 해 경계이미지를 가질 확률이

높으며, 반 로 미국에서 위협을 느끼는 사람들은 중국에 한 경계이미지가 상 적으로 덜

했다. 그리고 북한에 한 감정은 북한 위협감이 중국 협력이미지와 경계이미지에 제한적인

향을 미치는 것 외에는 크게 주목할 만한 관계에 있지 않았다.

즉, 위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중국의 국가이미지의 두 결정요인인 인지 변수와 감정 변수가

서로 상반된 방식으로 중국 국가이미지에 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이를

다시 한 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⑴ 중국에 해 한국인이 갖고 있는 국가 이미지는 미국

에 한 국가 이미지 및 감정에 향을 받는다; ⑵ 미국을 협력 상으로 인지하는 사람들은

중국도 협력 상으로 인지할 가능성이 높다. 반 로 미국을 경계 상으로 인지하는 사람들은

중국도 경계 상으로 인지할 가능성이 높다; ⑶ 미국에 해 친 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중

34) 예를 들어 동아일보의 2004년 8월 11일 사설의 제목은“친미 매도하고 중국에 손 흔들더니” 다. 중

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와 정부의 응을 다룬 이 사설에서는“사사건건 미국에 반 하면서 안으

로 중국 중시를 내세웠던 단견과 시행착오의 가”라는 표현으로 당시 노무현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이 사설은“중국은 미국을 체할 우방이 아니며 신뢰하기 어려운 상 ”라고 결론 내린다.

Page 12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국을 경계 상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미국을 위협적인 국가라고 생각하는 사람

들은 중국에 해 협력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⑷ 북한에 한 인지나 감정은

중국의 국가 이미지에 부분적인 향을 미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⑵와 ⑶에서 중국과 미국에 한 인지와 감정의 구조가 엇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하나의 가능성을

추론해보면 다음과 같다. 강 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위상변화에 맞게 중국의 이미지

에 한 한국인들의 인지 변화는 이미 이루어졌으나, 좀 더 즉자적인 반응으로서의 중국에

한 감정은 아직 이 인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가설이 가능할 것이다. 미국과 중국

의 협력 이미지 및 경계이미지가 같은 방향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은 한국인들이 중∙미가

립하는 냉전적 세계관을 통해 동북아 정세를 이해하는 것에서 벗어나, 미국에 도전할 수 있

는 등한 강 국으로서의 중국 이미지를 형성하 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지적 반응으로서는

이렇게 판단할 수 있지만, 아직 중국과 미국에 한 친 감과 위협감이라는 즉자적 반응으로

서의 감정 판단은 이 새로운 인지구조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가설을 설정해볼 수 있

을 것이다.

이 밖에 통제변수 중, 이념, 성별, 정치관심, 연령은 중국의 국가이미지에 큰 향을 주지

못했다. 교육의 경우는 2010년 이전에는 중국의 국가이미지에 향을 주지 못했지만 2010년

이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0년 이후에는 교육 수준이 높을

수록 중국을 협력 상으로 볼 확률이 높으며, 반 로 경계 상으로서의 중국 이미지를 가질

확률은 낮았다. 비슷하게 소득수준 변수를 보면 2010년 이전에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중국

을 협력 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 효과는 2010년 이후에는 사라졌다. 반면, 2010

년 이전에는 응답자들의 소득 수준과 중국의 경계이미지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지

만, 2010년 이후에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경계이미지를 갖고 있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Ⅴ. 결 론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지난 2007년부터 2011년 사이 남북관계의 악화 및 중국이 초

강 국으로 부상한 것은 한국인들이 주변국을 보는 방식에 해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 중 특히 중요하고 눈에 띄는 것은 중국에 한 인지와 감정의 복합적이고 다층적

인 변화 다. 그리고 이는 천안함 사건 등에 향을 받은 일회성 변화라기보다는 좀 더 심층

적인 차원에서 한중관계와 동북아 정세의 변화를 반 하고 있다.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국가 이미지의 결정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해본 결과, 한국인들이 보는 중국의 국가 이미지는 한중 관계뿐만 아니라 미국 및 북한에

한 인지와 감정에 향 받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과 달리, 최소

한 국민들의 인지의 차원에서 친중(親中)과 반미(反美)가 연결되거나 혹은 그 역의 관계가 성

Page 12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29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립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앞 절의 분석에서 밝혔듯이 중국의 국가 이미지를 협력과

경계 이미지로 나누어 보았을 때 중국과 한국이 협력해야 한다고 보는 이들은 미국에 해서

도 비슷한 이미지를 갖는 경향이 있었으며, 반 로 중국을 경계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응답자

들은 미국에 해서도 비슷한 인지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감정 변수들은 이와 달리

중국 협력이미지와 미국에 한 위협감이, 그리고 중국 경계이미지와 미국에 한 친 감이

같은 방향의 상관관계로 묶여 있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주변국에 한 인식은 응답자의 정치적 이념이나 정치관심도, 성별, 그리고

연령 등의 인구학적 변수에 향 받지 않았다. 이는 친중국적 태도를 반미와 연결짓고, 이를

이념 성향이나 세 간 차이로 확 해석하는 경향이 옳지 않음을 증명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

요한 발견이다. 미국이나 중국을 보는 시각은 세 및 정치이념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

다. 그러나 젊은층과 노령층 모두에 친중국적 인식은 친미적 인식과 같은 방향성으로 연관되

어 있었다. 이는 정치이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국제관계에 한 여론은 때때로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2008년 일본에 한

여론의 변화가 그러했다. “한반도 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를 묻는 설문에서는 이 연구에

서 인용한 통일의식조사가 시작된 2007년 이후 항상 북한이 제 1순위로 꼽혀왔는데, 유일한

예외가 2008년에 일본이 가장 위협적인 국가라는 답변이 34.4%로 북한의 33.6%를 근소하

게 앞선 것이었다. 이는 2008년 당시 일본이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토로 표기하는 문제 때

문에 국민적 공분을 산 결과로 짐작된다. 그러나 독도문제로 촉발되었던 반일감정은 다음 해

인 2009년 북한이 제 2차 핵실험을 하면서 급반전되는데, 2009년에는 북한이 가장 위협적

인 국가라는 답변이 52.7% 고 일본이 위협적이라는 응답자의 비율은 절반인 17.6%로 떨어

졌다.

중국에 한 인식변화는 2008년 반일감정의 촉발 같은 일시적 변화가 아닐 수 있다는 점에

그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천안함 사건 이후 수습과정에서 중국이 노골적으로

북한을 옹호하고 나섰다는 것에서만 이유를 찾기보다는, 미국에 이어 세계 제 2의 강 국으

로 급속히 부상한 중국의 위상변화를 한국의 여론이 민감하게 반 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

다. 중국의 한반도에 한 향력 강화는 남북한 통일을 위해 중국의 협조가“매우 필요”하다

는 응답이 2008년 25.3%에서 2011년에는 43.2%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드러

나고 있다.

동북아 정세의 변화를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한국의 여론은 따라서 정치권과 행정

부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사안이다. 중국에 한 인식이 계속 부정적으로 변화하다

끝내 중국을“적”으로 인식하는 국민이 다수가 되는 경우에는 중 외교정책의 입안과 집

행에도 상당한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아직도 중국을 협력 혹은 경

쟁 상으로 보는 시각이 60.7%이고, 경계 혹은 적 의 상으로 보는 시각은 2007년 이후

큰 변화 없는 39.3%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렇게 중국의

위협도가 계속 심화된다면 앞으로는 한중관계에 한 돌이킬 수 없는 족쇄로 작용할 수도 있

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Page 12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참 고 문 헌

남궁 곤. “국가이미지(national images)론의 중심테제와 국제정치적 의의.”『시민정치학

회보』제 5권 (2002).

_______. “외교정책과 여론: Almond-Lippman Consensus와 그 비판적 검토.”『한국과

국제정치』제 15권 1호 (1999).

박명규 외. 『2009 통일의식조사』서울: 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서진 ∙강수정.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인식에 한 실증적 연구: 중국의 부

상에 관한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의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

48집 1호 (2008).

이내 ∙정한울. “중국의 부상, 위협인가 기회인가: 세계여론을 통해 본 중국의 현재와 미

래.”동아시아연구원, 2007.

이상신. “동북아 정세변화와 외인식 변화.”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통일의식조

사 발표회 발표논문. 서울, 2011.

_______. “천안함과 외인식.”서울 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0 통일의식조사 발표회 발표

논문. 서울, 2010.

Axelrod, Robert. “Schema Theory: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Perception

and Cognition.”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7-4 (1963).

Bernstein, Richard and Ross H. Munro. “Comming Conflict with America.”Foreign

Affairs (March/April 1997).

Boulding, K. E. “National Images and International Systems.”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3-2 (1959).

Caspary, W. R. “The “Mood Theory: A Study of Public Opinion And Foreign Policy.”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4-2 (1970).

Deutsch, Karl W. and Richard L. Merritt. “Effects of Events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Images.”In H. C.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5.

Fiske, S. T. and W. E. Taylor. Social Cognition. New York: Random House, 1984.

Goldstein, Lyle and William Murray. “Undersea Dragons: China’s Maturing Submarine

Force.”International Security 28-4 (Spring 2004).

Herrmann, Richard K. and Michael P. Fischerkeller. “Beyond the Enemy Image and

Spiral Model: Cognitive-Strategic Research after the Cold War.”International

Organization 49-3 (1995).

Page 12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1친중(親中)과 반미(反美)의 경계 □ 이상신∙장희경

Holsti, O. R. “The Belief System and National Images: A Case Study.”Th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3 (1962).

Hurwitz, Jon and Mark Peffley. “How are Foreign Policy Attitudes Structured?: A

Hierarchical Model.”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1-4 (1987).

Jervis, Robert.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World Politics.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Kelman, H. C. “Social-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Definition of Scope.”In H. C.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A Soci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5.

Mueller, J. E. War, Presidents, and Public Opinion. New York: John Wiley, 1973.

Nincic, Miroslav and Bruce Russett. “The Effect of Similarity and Interest on

Attitudes toward Foreign Countries.”Public Opinion Quarterly 43-1 (1979).

O’Hanlon, Michael. “Damn the Torpedoes: Debating Possible U.S. Navy Losses in a

Taiwan Scenario.”International Security 29-2 (Fall 2004).

Page, Benjamin and Robert Shapiro. “Effects of Public Opinion on Policy.”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7 (1983).

_______. The Rational Public: Fifty Years of Trends in Americans’Policy Preferenc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Risse-Kappen, Thomas. “Public Opinion, Domestic Structure, and Foreign Policy in

Liberal Democracies.”World Politics 43 (1991).

Rosati, J. A. “A Cogni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Foreign Policy.”In L. Neack, J. A.

K. Hey, and P. J. Haney. eds. Foreign policy analysis: Continuity and change

in its second generation.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995.

Shambaugh, David. “China Engages Asia: Reshaping the Regional Order.”International

Security 29-3 (Winter 2004/05).

Shapiro, Robert and Lawrence R. Jacobs. “Public Opinion, Foreign Policy and

Democracy: How Presidents Use Public Opinion.”In Jeff Manza, Fay L. Cook,

and Benjamin I. Page. eds. Navigating Public Opin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The Pew Global Attitudes Project. “Confidence in Obama Lifts U.S. Image Around the

World: Most Muslim Publics Not So Easily Moved.”In 25-Nation Pew Global

Attitudes Survey. Pew Research Center, 2009.

Page 12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A Choice between Pro-China or Anti-America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National Image of

China among South Koreans

(Seoul National University)Sang Sin Lee∙Hee Kyoung Chang

Since the Cheonan Ship incident and the bombardment of Yeonpyeong island in 2010, South

Korea-China relations has experienced substantial changes. The data from a public opinion

survey by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IP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ows

that Koreans have become more cautious of China and wary of closing tie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uth Koreans’ changing attitudes toward China. The

IPUS began the annual Unification Attitude Survey in 2007, and this study depend on the data.

Using this data make it possible to track the changes of Korea attitudes on Chin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shows that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those respondents

with pro-American attitudes are morely to have pro-Chinese attitudes too, which was suggested

by Lee (2007). Also, Chinese national imag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national images on

the U.S. and North Korea.

투 고 일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2011년 11월 22일

13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12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관료정치화, 파벌정치, 그리고 친중국 연합전선*

서 승 원

(고려 학교)

【한 초록】

1955년부터 1972년까지의 중일관계는 샌프란시스코체제에 구속되었다. 중국이 그 극

복을 위해 정경불가분 원칙을 주장하는 가운데 일본 자민당 정권은 국교 없는 무역확

, 즉 정경분리로 응하 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중 정경분리를 둘러싼 정책운

의 틀에 한 체계적 분석을 결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일 민간무역 사례를 일본의

정책결정의 시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정경분리의 재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일본의 정경분리는 샌프란시스코체제라는 냉전의 틀을 여건(與件)으로 받아들이

면서도 반(反)정경불가분, 비(非) 중봉쇄, 비군사적 경제외교라는 다면적이고도 비냉전

적인 정책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포괄성은 중국, 미국, 타이완 등 외적

요인에 응하면서 형성되어 온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러한 정책운 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은 정부 내 정책결정의 관료정치화, 여당 자민당 내 파벌정치, 그리고 사회적

친중 연합전선의 변용을 포함한 국내정치적 요인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형성된 정책

운 의 기본 틀은 국교정상화 이후에도 부분 지속 내지 강화되었다. 정책라인이 주도

하는 정책결정과 그 관료정치화, 친타이완파와 친중파의 립구도, 그리고 정서적 차원

의 친중 또는 반중 논쟁이 그것이다.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서론

Ⅱ. 중일 민간무역의 진전, 그리고 미완의

1. 민간무역협정과 점진주의 방식

2. LT무역과 제2차 요시다 서간

Ⅲ. 정경분리와 국내정치

1. 정부 내 정책결정과 관료정치화

2. 자민당 파벌정치와 중국문제

3. 친중국 연합전선과 보수∙혁신 역전

Ⅳ. 결론

∙주제어: 중일관계, 자민당정권, 정경분리, 관료정치화, 파벌정치, 친중연합, Japan-Chinarelations,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separation of politics andeconomy, bureaucratic politics, faction politics, Pro-Chinese Alliance

� 차 례 �

�이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인문한국[HK] 해외연구소지원사업)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362-A00019). 이 자리를 빌려 귀중한 코멘트 및 조언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 여러분께 사의를 표한다.

Page 13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서 론

1950년 중반부터 1972년 9월 국교정상화까지의 중일관계를 결정적으로 구속한 것은 이

른바‘샌프란시스코체제’ 다. 1951년 9월 8일에 체결된 일본과 연합국(공산주의 진 제외)

사이의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및 미일안전보장조약, 그리고 이들 두 조약의 발효일인 1952

년 4월 28일에 체결된 일본과 중화민국(이하 타이완)의 평화조약으로 이루어진 샌프란시스코

체제가 목표하는 바는 다름 아닌 공산주의 세력 남하 저지, 그 중에서도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을 봉쇄하는 것이었다. 중국의 외정책 기조가 샌프란시스코체제 극복, 구체적으로 일

본의 중 적 정책 변경으로 설정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이를 위해 중국이 천명한 것이

무역과 정치를 연계시키는 정경불가분(政經不可分) 원칙이었다. 경제적 이익의 제공 또는 박

탈을 통해 일본과 정부 간 관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국교정상화를 이루기 위한 시도 다.

이에 해 일본 자유민주당(이하 자민당) 정권 하의 역 내각은 내용에 적지 않은 차이점은

있으나 기본적으로 국교를 정상화하지 않으면서 무역확 를 추진한다고 하는 정경분리(政經

分離) 입장을 견지하 다. 1972년의 중일 국교정상화가 그 전해의 미국과 중국 사이의 역사

적 화해로 인해 비로소 가능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일 향력 행사 시도는 결국 성공

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일본이 표방한 정경분리의 정책적 실체는 과연 무엇이며, 이를 장기간에 걸쳐 고

수(固守)한 이유는 무엇인가? 사실 역 내각이 정경분리에 관한 명확한 정책 프로그램을 제

시한 적은 없었다. 정경분리에 한 정치적 의지와 논리도 상황에 따라 빈번하게 변화하 다.

게다가 중일무역에는 복합적 정책목표들이 중첩되기까지 하 다. 정경분리가 카멜레온과 같

은 속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아 온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예를 들어 아마코스트와 파일

(Michael H. Armacost and Kenneth B. Pyle)은 정경분리를 고도의 정치적 계산이 작용

한‘두 개의 중국정책’으로 간주한다.1) 타이완과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 무역을 통해 장래의

관계정상화에 비하 다는 것이다. 존슨(Chalmers Johnson)은 중일전쟁과 중국의 공산화

로 인해 잃어버린 중국시장을 되찾기 위한 중상주의적 외정책의 위장막에 지나지 않는다는

다소 혹독한 평가를 내린다.2) 이에 해 소에야 요시히데(添谷芳秀)는 정치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제교류를 추진한다는 의사표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3) 국제정치적 제약을

우회하려는 고육책도 중상주의 전략의 위장막도 아니라는 것이다. 한편 이리에 아키라(Iriye

Akira)는 상 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중국과 그 동맹국을 상으로 한 동맹체제에 편

입된 상황에서 과거의 군국주의와 결별하고 평화적 외정책을 희구하는 가운데 만들어진 독

창적 외교라는 것이다.4)

1) Michael H. Armacost and Kenneth B. Pyle, “Japan and the Engagement of China:

Challenges for U.S. Policy Coordination,”NBR Analysis 12-5 (December 2001), pp. 13-16.

2) Chalmers Johnson, Japan Who Governs: The Ri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5), pp. 238-60.

3) 添谷芳秀, 『日本外交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東京: 慶應通信, 1995), pp. 112-3.

4) Akira Iriye, “Chinese-Japanese Relations, 1945-1990,”in Christopher Howe (ed.), China

Page 13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5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본 논문에서는 약 15년에 걸친 중일 민간무역의 사례를 일본의 중 정책결정과정의 시점

에서 분석함으로써 정경분리의 실체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그 동안 극단적으로 엇

갈린 평가를 받아온 정경분리에 한 재평가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인 분석시점은 경제

적 수단에 의한 외정책 운 내지 향력 행사를 지칭하는 넓은 의미의 경제외교

(economic statecraft)이다. 경제외교는 경제원조와 경제제재로 구성되며 통상 당근과 채찍

으로도 불린다.5) 본고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일본정부의 정경분리는 샌프란시스코체제라고

하는 냉전의 틀을 여건(與件)으로 받아들이면서도 반(反)정경불가분, 비(非) 중봉쇄, 비군사

적 경제외교라는 다면적이고도 비냉전적인 정책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이었다.6) 이 같은 포괄

성은 중국의 외교적 공세, 그리고 일본의 중국접근에 한 미국과 타이완의 견제 등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응해 나가는 과정에 형성되어 온 것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정책운 의 방식

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은 국내정치적 요인이었다. 여기서 국내정치적 요인이라 함은 정부

내 정책결정의 관료정치화, 여당 자민당 내의 파벌정치, 그리고 사회적 친중 연합전선의 변용

을 말한다.

아래의 Ⅱ절에서는 우선 민간무역을 중심으로 한 중일관계의 전개 양상을 검토하겠다. 하토

야마 이치로(鳩山一郞)에서 이시바시 단잔(石橋湛山),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이케다 하야토

(池田勇人), 그리고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내각에 이르기까지 자민당 정권 하의 역 내각

이 표방한 정경분리의 다면적 성격이 밝혀질 것이다. 이어지는 Ⅲ절에서는 중정책 운 을

둘러싼 세 가지 정치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역 내각을 종단하는 정부 내 정

책결정과정, 여당 자민당 내 정치과정, 그리고 여야당 관계 및 사회적 정치과정이 주된 분석

상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1955년 체제 하에서 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 운 의 기본 틀

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가 규명될 것이다. 결론에서는 이 시기에 형성된 기본 틀이 1972년

국교정상화 이후의 이른바‘1972년 체제’에 어떻게 이어졌으며, 또한 21세기 현재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 지에 해 언급하고자 한다.7)

and Japan: History, Trends, and Prospects (Oxford: Clarendon Press, 1996), pp. 46-59.

5)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경제제재적 측면, 즉 중봉쇄를 다루고 있다. 일본의 경제원조, 예를 들어 수출

입은행 융자, 최혜국 우, ODA 등은 1979년 말 이후에 본격화되었다. 분석 틀 등 자세한 내용은 徐承

元 (2005) 참조.

6) 국교정상화 이후 일본의 중 경제외교 및 ODA정책에 해서는 다음을 참조. 徐承元, 『日本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交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東京: 慶應大?/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2004); 손기섭, “일본의 중국 원조정책의 변화와 특징: 동남아원

조와 한국원조와의 비교,”『일본연구논총』제21호 (2005), pp. 63-104; 岡田?@@?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とODA』

(東京: 日本僑報社, 2008); 박홍 ,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일본연구논총』제

32호 (2010), pp. 245-272; Akitoshi Miyashita, “Gaiatsu and Japan’s Foreign Aid:

Rethinking the Reactive-Proactive Debate,”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3-4

(December 1999), pp. 695-732.

7) ‘1972년 체제’란 1972년 9월 국교정상화 이후에 형성된 중일관계의 기본 틀을 말한다. 자세히는 다음

을 참조.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分良成, 「冷?/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終結後の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72年)Xf)Xf@)f@)f@Hf@Hf@?f@?O)X?

?J@?@@@@@@@@)??7@?e?@@@fJ@@?eJ@@@f

?W.Y@?e7Y@@L?e?.Y?@??J5?@V1?e

@??7H?@W@Le@?J@=?@@R)[email protected]@@5?@,?@(Y?e@H?(Y?@Hf@?f@?f@?f

制』の)Xhe@)X?e?O)Xe

?@@@@@)?@@@@@)e@Xhe

@X@)X?h@@@@)?h@?@@H?fO)X?@@@@?@@@@@@@)?@@@5f@@X?e@Y@?f@V1?e@)X??J5?3Le

?@@@@@)??7H?S)X?@?e?@?O&@1?@??'@@@0M?@?@??V+Mf@?

換」,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問題』第490@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2000), pp. 42-

56; 손기섭, “일중 정치경제 관계에서의‘72년 체제’의 발전과 전환,”『일본연구논총』제19호 (2004),

pp. 93-128.

Page 13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Ⅱ. 중일 민간무역의 진전, 그리고 미완의 기

1. 민간무역협정과 점진주의 방식

국교가 없는 가운데 중일관계는 민간무역을 접점으로 두 차례의 소용돌이를 경험하 다. 하

토야마와 이시바시 내각 시기에 민간무역협정을 토 로 중일무역이 확 되었으나 기시 내각

이 들어서자 무역은 전면적으로 단절되었다. 이어 이케다 내각 출범을 계기로 다시 무역이 재

개되었으나 이 또한 사토 내각이 들어서자 정체에 빠졌다. 이러한 소용돌이의 직접 당사자는

물론 양국 정부 다. 하지만 당시 중일관계에 자기완결성은 현저하게 결여되어 있었다. 정치

체제상 중국은 단일 행위자 으나 일본에는 정부 이외에도 여야당, 민간단체, 경제계, 매스

미디어 등 수많은 행위자가 중일관계에 개입하 다. 게다가 승전국인 미국과 타이완도 중일

관계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일본정부의 중국정책에 한 개입과 견제를 주저하지 않았

다. 전술한 로 샌프란시스코체제는 일본과 사회주의 진 의 단절, 미군의 일본 주둔, 그리

고 일본의 중국 불승인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었다. 그 위에 한국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공산

권 전략물자 수출통제위원회(COCOM)에 가입하여 중봉쇄의 일선에 서게 되었다.8)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내각이‘정경분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된 것이 바로 이 무렵이었다.

요시다 수상은 1952년 봄 한국전쟁 휴전협상이 진행되면서 중일무역 요구가 비등하자 정경

분리 원칙을 내걸면서 일본 민간의 중국접근에 방관적인 자세를 취하 다.9) 민간무역이 중일

관계를 잇는 유일한 통로가 된 이유 다.

중국이 미일 양국의 봉쇄망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의 이간(�間), 즉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가 불가결하 다. 따라서 1950년 초 일정책 기조는 ①미국 중심의 일 단독

강화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반 ; ②미국의 장기적인 일본 점령과 일본 재군비 반 ; ③일

본과 타이완 국민당 정부의 평화조약 체결 반 ; ④일본국민과 일본정부의 구별 및 일본국민

의 독립과 평화, 그리고 중일우호 투쟁 지지; ⑤미일 양국의 봉쇄∙무역금지 반 로 설정되었

다.10) 이어 일본과의 관계정상화를 위해 제시한 방식이 이른바‘점진주의’(일본어로 積み上

げ, 중국어는 漸進) 다.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의 1954년 12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 보고

8) 加藤洋子, 『アメリカの世界?/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略とココム』(東京: 有信堂, 1992); 萩原徹 (監修), 『日本外交史 (30) 講和

後の日本(Ⅱ) ?@(?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上)』(東京: 鹿島硏究所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72). 일본이 COCOM과 그 동렬기관인 중국위원회

(ChinCOM)에 가입한 것은 한국전쟁 휴전협상이 진행되던 1952년 9월이었다. 미국이 일본을 가입시

킨 이유는 북한과 중국의 전쟁수행 능력 약화, 그리고 더욱 중요하게는 봉쇄정책의 파탄을 야기할 가능

성이 있는 일본의 중국접근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일본측의 동기는 약간 상이하 다. 우선

미협조의 기본노선을 고려하여 서유럽과 함께 수출통제에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 다.

패전국 일본이 서방 주요국으로 이루어진 국제조직에 참가하여 동등한 우와 의무를 수행한다는 점은

국가위신의 향상으로 여겨졌다. 보다 직접적으로는 COCOM에 참가함으로써 상 적 엄격하게 유지되

어 온 일본의 중 무역통제가 서유럽 수준으로 완화될 것이라는 기 가 작용하 다. 石井修, 「?)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中禁

輸と日本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自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85@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7), p. 118.

9) 서승원, “일본의 경제와 안보, 1945-1954: 비냉전형 무역통제 체제의 형성과 국내정치,”『일본연구논

총』제29호 (2009), pp. 85-111.

10) 林代昭 (渡邊英雄?O@??@K?eO)X?@@@??@@@@@@@)?

?@f?@H??@@@@@?@f?@e

?@f?@e@@@??@f?@e

?@@@@@@@e@@@??@e?@V@e@?@L?@e?@f@@@@?@e?@f@?@HJ5e?3L?e@?@?7He?N)Xe@@@?@?f3)X?@V'T5?fN@,?@?V+Y?f?(Y?

),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東京: 柏書房, 1997), pp. 47-50.

Page 13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7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가 그것으로“우리나라(중국)는 일본과의 정상적인 관계 수립을 희망한다. 만약 일본정부도

마찬가지 희망을 갖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면 중국정부는 단계적으로 중일관계를 정

상화할 용의가 있다”는 내용이었다. 외교관계를 회복하기 전에 우선 민간의 경제, 문화교류를

확 하여 이를 점차 준정부적 교류로 격상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정부 간 외교관계를 이루어내

는 방식을 말하 다.

물론 점진주의를 위한 조건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었다. 중국 건국 직후 일본에는 다양한

친중국 민간단체가 설립되었다. 그 표격이 1950년 1월에 설립된 일중우호협회(日中友好協

會) 다. 동 협회를 포함한 친중 단체들은 1954년 11월 중일국교회복전국 회를 개최하여 일

본정부를 압박하 다. 요구 내용은 일소 국교실현, 중일 사급회담 개최, 정부 간 무역∙어

업∙문화협정 체결, 금수조치 철폐, 통상 표부와 상설 견본시 상호설치, 출입국규제 철폐 등

이었다. 이들은 1953년부터 실시된 재중국 일본인 귀국지원 사업을 주도하기도 하 다. 중일

우호운동으로 불리는 교류활동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55년부터 2년 동안 중국을 방문한

일본의 개인∙단체는 무려 293단체, 계 3,272명에 이르 다. 또한 중일 민간무역 움직임도

본격화하 다. 1949년 5-6월에 설립된 일중무역촉진회(日中貿易促進會), 일중무역촉진의원

연맹(日中貿易促進議員連盟), 일중무역회(日中貿易會)는 이미 1952년 6월과 1953년 10월 제

1차 민간무역협정과 제2차 민간무역협정 체결을 주도한 바 있었다.11) 세 단체는 1954년 9월

국제무역촉진협회(國際貿易促進協會)로 통합되었다. 무역협정 이외에 COCOM 규제 완화 요

구, 중국무역 표단 방일 초청 등이 주된 활동 내용이었다. 이들이 중국에 접근한 동기는 타

이완으로 패퇴한 국민당 정권보다 인민이 주인이 된 공산당 정권이 낫다는 인식, 중국과의 평

화우호 관계를 위해서는 두 번 다시 일본의 군국주의를 부활시키면 안 된다는 경계감, 그리고

미군정 하의 경제적 제약과 불황에 처한 상황에서의 중일무역에 한 기 감 등 복합적인 것

이었다.12)

이상을 배경으로 1950년 중후반 제3차 및 제4차 민간무역협정이 체결되었다. 우선 1955

년 5월 방일한 중국무역 표단과 일본 국제무역촉진협회∙일중무역촉진의원연맹 사이에 제3

차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이 수출입액 각각 3,000만 파운드 규모의 물물교환 방식인 점은

이전 협정과 동일하 다. 하지만 제3차 협정에서 양측이 점진주의 방식에 기본적으로 합의한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하토야마 내각(1954. 12-1956. 12)이‘지지와 협력’을 약속하 다는

점은 특기할 만 하 다. 한편, 제3차 협정을 더욱 구체화한 것이 1958년 3월의 제4차 협정이

었다. 제4차 협정 내용은 이미 1957년 9월 일본 무역 표단(일중무역촉진의원연맹, 일본 국

제무역촉진협회, 일중수출입조합)과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외무역부, 외교부, 은행, 무

역공사 표) 사이에 합의되어 있었다. 문제는 제4차 협정이 통상 표기구 직원 외교관특권,

11) 일중무역촉진회은 사회당, 공산당, 진보적 학자, 노동조합 활동가, 중소기업 경 자 등으로 구성되었

다. 이들은 일본의 자주적 경제부흥을 위해 중국과의 무역이 불가결함을 주장하 다. 일중무역촉진의

원연맹은 민주자유당, 민주당, 사회당, 공산당, 녹풍회, 노농당 출신 친중파 국회의원들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일중무역회는 닛산중공업(日産重工業) 등이 참가한 산업계 단체로 평화적인 일본을 건설하기

위해 중국과의 무역이 불가결하다고 주장하 다.

12) 日本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友好協?@@?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正統]中央本部(編), 『日中友好運動史』(東京: ?@@?g?@Y?O)X?e

@@@@@@@@@@)?e?@h

?@@@@@@@@@f?@fO)X?

?@@@@@@@@@@@@@)?@@@@@@@@f@?f?@f@@@@@@@@f@?f?@f@@@@@@@@f@?f?@f@?e@@@5f@?e?I(Yf

年出版者, 1975), pp. 29-30.

Page 13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통상 표기구 국기게양 등 사실상 외교적 승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는 점이다.13) 중국측이 제시한 점진주의 방식의 제2단계, 즉 준정부 간 교류로의 격상을 의미

하 다. 하토야마 내각은 요시다 내각의 미일변도 외교를 비판하면서‘자주외교’를 기치로

헌법 개정과 재군비, 소련∙중국과 국교회복, 중관계 개선, 유엔가입을 내걸은 바 있었다.

제3차 협정에 지지와 협력을 약속한 배경이었다. 중국과 일본 민간단체 사이에는 중일어업협

정(1955. 4)과 문화교류협정(1955. 11)이 조인되었고, 중국에서 일본상품전람회도 개최되었

다. 이외에도 반둥회의에서는 다카사키 다쓰노스케(高崎達之助) 일본정부 표가 저우언라이

총리와 공식회담을 갖기도 하 다. 중무역을 계속 확 한다면 미일 경제관계를 재검토할

것이라는 미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일본측의 전향적 자세는 수그러들지 않았다. 뒤이은 이

시바시 내각도 1956년 12월 중일 무역확 방침을 천명하 다.

중일 양측의 노력 이상으로 무역확 에 기여한 것은 국제정세 다. 한국전쟁 휴전 후 미소

양 초 국은 평화공존과 정치적 긴장완화를 모색하고 있었다. 이를 계기로 동서무역도 확

되었다. 특히 경제부흥을 통해 향력을 증 시킨 서유럽 국가들의 공산권 시장 접근이 중요

했다. 1954년 이후의 정기적인 COCOM 리스트 개정, 1957-8년 COCOM 산하기관인

ChinCom 소멸과 COCOM 리스트 폭 완화, 그리고 1969년 COCOM 리스트 완화 합의는

이들의 노력에 의한 것이었다. 소련 및 동유럽 공산권 내부에서도 스스로의 경제발전과 소비

수준 다양화로 자유주의 진 과 무역을 확 할 필요성이 증 되고 있었다.14) 중일무역의 경우

제1차-제3차 협정에서 수출품목을 갑류, 을류, 병류(갑류는 갑류, 을류는 을류, 병류는 병류

와 교환)로 나눈 것도 COCOM 규제 돌파를 위해서 다. 갑류(철강, 기계 등 중요품목) 전체

와 을류 부분이 규제 상 품목이었다. COCOM 규제가 최 의 구조적 장애 던 셈이다.

그러나 COCOM 가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압력으로 인해 중 수출규제는 엄격하게 유지되

었다. 일본의 책은 서유럽 국가들과의 연계 하에 미국에 한 중 금수완화 주장, 그리고

중국에 비해 상 적으로 덜 엄격한 소련과의 무역 확 다. 1958년 4,000만 달러에 불과했

던 일본의 소 무역액은 1966년 서방국 가운데 최 인 5억 1,500만 달러에 달하 다.

한편 일본의 중국접근은 곧바로 안팎에서 강력한 반발에 직면하 다. 먼저 타이완 장제스

(蔣介石) 총통은 기시 수상에게 친서를 보내 제4차 협정 내용 가운데 통상 표기구 국기게양

이 사실상의 중국승인이라며 비난하 다. 일본과의 통상회담이 중지되었고 입법원(타이완 국

회)도 일 비난결의안을 채택하 다. 더불어 민간의 일본상품 불매운동도 격렬하게 전개되

었다. 미국도 타이완의 입장에 동조하여 국기게양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 다. 기시 내각

(1957. 2-1960. 7)은 당초 제4차 협정을 위한 협의에는 동의한 상태 다. 하지만 양측 합의

13) 제4차 협정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⑴쌍방은 적절한 방법으로 상 방 통상 표기구 및 소속 인원

의 안전을 보장한다; ⑵쌍방은 상 방 통상 표기구에 소속한 직원에 해 출입국 편의를 부여하며 세

관 우조치 및 무역활동을 목적으로 한 여행 자유를 부여한다; ⑶통상 표기구는 업무상 필요로 하는

암호전문을 사용할 수 있다; ⑷통상 표기구는 그 건축물에 본국 국기를 게양할 권리를 갖는다; ⑸쌍

방의 통상 표기구 인원수는 쌍방 각각 업무상 필요에 따라 결정하며 이들 직원 및 그 가족에 해 지

문날인을 면제한다.

14) 『通商白書』(1965年版), http://www.meti.go.jp/hakusho/index.html (검색일: 2010. 8. 20).

Page 13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39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문 가운데 국기게양과 외교관특권에는 반 입장이었다. 결국 협정이 원안 로 조인되자 아

이치 기이치(愛知揆一) 관방장관은 국기게양을 인정할 수 없다는 담화를 발표하 다(1958.

3). 기시 수상도 장제스 총통에게 친서를 보내“일본은 베이징 정부를 승인할 의사가 없으며

일본 국내법에 중국 국기게양을 저지할 수 있는 근거는 없지만 국기게양을 권리의 일종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하 다. 타이완과 미국의 반발을 고려한 조치 다.

이러한 와중에 발생한 것이‘나가사키(長崎) 국기사건’이었다. 1958년 5월 나가사키에서

열린‘중국 우표∙색종이 전시회’에 일본 우익청년 두 명이 난입하여 회의장에 게양된 중국

국기를 끌어내린 사건을 말한다. 당시 타이완 정부가 국기게양에 강력하게 항의하고 이에 일

본 외무성이 주최측에 국기게양 중지를 권고하던 상황이었다. 사건 직후 일본정부는 비수교

국 국기이므로 형사사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청년들을 석방하 다. 이에 격분한 중국정부는

무역을 포함한 교류의 전면 중단을 발표하 다. 일본인 처 귀국∙방문 연기, 어업협정 연장

거부, 스포츠 교류 취소 등도 이어졌다. 제4차 협정까지 이어져 온 점진주의 방식의 파국을

의미하 다. 다나카 아키히코(田中明彦)는 관계단절의 이유로 다음을 들고 있다.15) 우선 정경

분리와 정경불가분이 모순에 봉착하는 것은 예견된 일이었다. 중소관계가 균열될 조짐을 보

이기 시작하고 중미관계 또한 1958년 타이완해협 위기로 결상황이 전개되는 등 국제정세

도 열악하 다. 그리고 내정에 있어서도 중국은 약진운동, 그리고 일본은 미일안보 개정의

소용돌이에 돌입하고 있었다. 이외에 일본측의 입장을 들여다보면 기시 내각의 외교적 고려도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기시 수상은 중국이 사실상의 외교적 승인을 의도하 고 이를 통해 일

본과 타이완, 일본과 미국, 그리고 일본사회의 분열을 꾀하고 있다고 판단하 다. 특히 일본

총선거 와중에 이에 간섭하여 여론 분열을 획책하 다는 것이다.16) 기시 내각은 또한 타이완

문제를 동남아시아 문제와 연결시켜 생각하고 있었다. 동남아시아는 일본경제에 사활적인 지

역이었고 이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타이완을 배려해야만 했다. 일본의 중국접근으로 인해 타

이완-동남아 지역에는 일종의‘반일연합’이 형성될 기운이 감지되던 상황이었던 것이다.17)

2. LT무역과 제2차 요시다 서간

나가사키 국기사건 후 중단되었던 중일무역은 1960년 초 다시금 회복되기 시작하 다.

1960년 6월 미일안보조약 개정 후 기시 내각이 퇴진하고 이케다 내각(1960. 6-1964. 11)이

출범하자 중국은 전향적 자세를 취하기 시작하 다. 우선 1960년 8월에는 기존의‘정치 3원

칙’을 유연하게 적용한‘무역 3원칙’이 제시되었다: ①양국 간의 모든 협정은 반드시 쌍방 정

부가 체결해야 한다, ②양국 정부가 당분간 협정을 체결할 수 없을 경우 일본기업이 중국측이

제안한 원칙, 즉 정치 3원칙, 무역 3원칙, 정경불가분 원칙을 준수한다면 거래를 할 수 있다,

③무역중단으로 인해 피해를 보고 있는 일본 중소기업은 개별적으로 배려한다는 내용이었

15) 田中明彦,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1945-1990』(東京: 東京大?/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91), p. 52.

16) 添谷芳秀 (1995), p. 85.

17) 權容奭, 『岸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期のアジア外交: ?)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米自主とアジア主義の逆?O@?e@??)X?e@@@?e3L?@)?e

N1?@H?e?@@@@@?@X@?@W)X?

?@@@@@@@)?@@@??@f?@H?

?@f?@e@@@??@@@@@@@e@?@L?@Y@?@V@e@@@@e?@?@f@?@HeJ5?@f@?@?e7H?@?@e@@@??J5??@?@e@V'=O.Y??@?@L?@?V40Ye?@@@@?

』(東京: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書院, 2008), pp. 155-6.

Page 13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다.18) 점진주의 방식의 좌절을 교훈으로 삼아 당장 정부 간 협정을 맺지 않더라도 민간계약이

가능하다는 사실상의 정경분리 수용이었다.19) 이어 1961년에는 상품전시회, 교역회 등에 일

본기업이 참여하여 직접 무역거래를 하는 우호무역(友好貿易)도 개시되었다. 일본측 우호단

체나 우호인사가 친중적 입장을 표명한 기업을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에 추천을 하고 동

위원회가 우호기업으로 인정하면 무역에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중국의 기 에 부응하듯 이케다 내각도 무역협정을 정부 간 협정으로 간주하고 전면적으로

지원하 다. 이케다 수상의 후원에 힘입어 자민당 친중파 거물인 마쓰무라 겐조(松村謙三)는

1962년 9월 저우언라이 총리와의 회담에서 무역의 전면 회복에 합의하 다. 그 결실로 1962

년 11월‘중일 장기종합무역각서’(이른바‘LT무역’)가 체결되었다.20) 물물교환 방식은 마찬

가지 으나 최초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협정이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연체지불 방식

이 채택되었다는 점은 획기적이었다. 특히 양국 정부가 민간계약에 보증을 부여하고 중국측

이 연체지불 방식으로 플랜트를 수입할 경우 일본정부가 플랜트 수출업자에게 일본수출입은

행 자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중 한 결정이었다. 사실상 사관 기능을 수행하는 통

상 표기구 상호설치에도 합의하 다.21) 이케다 내각은 1962년 5월 각료회의에서 중 연체

지불 허가를 결정한 상태 다. 그리고 협정 체결 후인 1963년 8월의 각료회의에서는 구라시

키레이욘(倉敷レ一ヨン) 플랜트수출에 일본수출입은행 자금이용을 허가하 다. 이때 이케다

내각이 내건 명분은 연체지불 기준을 서유럽이 중무역에서 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으로 한

다는 것이었다.22)

여기서 중일무역의 개괄적 추이를 살펴보기로 하자(<표 1> 참조). 무역규모는 1955년 1억

908만 달러에서 1971년 9억 13만 달러로 약 8.2배 성장하 다. 이는 서유럽 국가 전체의

중무역 규모에 필적하는 것이었다.23) 특히 1960년 중반 이후 중국의 외무역에서 일본이

14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8) 정치 3원칙은 1958년 6월 교류 전면 중단을 선언하면서 내건 것이다: ①일본정부의 중국 적 정책 전

환, ②일본정부의 미국에 추종한‘두 개의 중국’음모 가담 중지, ③일본정부의 중일관계 정상화 방해

중지.

19) 田中明彦 (1991), p. 54.

20) LT는 양측 표인 랴오청지(廖承志/Liao Chengzhi)와 다카사키 다쓰노스케(Takasaki

Tatsunosuke)의 문을 딴 것이다. LT무역은 이후의 MT무역과 함께‘각서무역’으로 불리며 준정

부 간 협정이라는 점에서 우호무역과 구별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쌍방은 장기적, 종합적인

무역을 발전시키는 데 동의하 다. 1963년부터 67년까지를 제1차 5개년 무역기간으로 하여 연평균

수출입총액을 3,600만 파운드(약 1억 달러)로 한다; ②중국의 수출품목은 석탄, 철광석, 두, 옥수

수, 잡콩, 소금, 주석 등으로 하며 일본의 수출품목은 강제(특수강 포함), 화학비료, 농약, 농업기계,

농기구, 플랜트 등으로 한다; ③각서에 근거한 거래는 관계 무역수출입공사를 통해 개별적 계약을 맺

는다.

21) 베이징의 다카사키사무소는 일본 통산성 외곽단체로 정부 간 연락창구 역할을 하 다. 도쿄의 랴오청

지사무소도 국무원 외업무사무소(外事弁公室) 지도 하에 외교부, 외무역부 간부들이 파견되었다.

22) 伊藤昌哉, 『池田勇人とその時代』(東京: 朝日新聞社, 1985), p. 189.

23) 일본이 중국의 최 무역상 국으로 자리 잡은 것은 1965년 이후이다. 한편 일본의 외무역에서 중

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출∙수입 공히 2-4% 에 지나지 않았다. 참고로 당시 일본의 동서무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1956년 국교정상화를 실현하고 1963년 정부 간 무역협정을 체결한 소련

이었다.

Page 13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1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차지하는 비중이 비약적으로 증 된 것을 알 수 있다(1963년 5.3%[1.37억 달러]에서 1970년

약 20%[8.23 억 달러]). 무역형태는 전형적인 공업국과 저개발국 간 무역이었다. 일본측은

화학비료, 철강, 기계류 등 공업제품(총수출액의 약 70%)을 수출하 고, 중국의 주요 수출품

은 농림수산품, 공업원료, 섬유제품 등이었다. 무역수지에서는 1964년까지는 중국측, 그리고

그 이후에는 일본측이 흑자를 기록하 다. 한편 우호무역과 각서무역의 구성비를 보면 1960

년 초중반에는 우호무역과 각서무역이 병존하다가 1960년 후반에 각서무역이 감소하고

우호무역이 증 되는 양상을 보 다. 각서무역이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3년

의 62.9%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여 1971년에는 10% 내외로 감소하 다. 이에 비해 우호무

역은 비중이 점차 증 되어 1971년 가을 광저우(廣州)교역회에 약 1,400사의 일본기업이 참

가하여 2억 달러 규모의 무역계약이 이루어졌다.24)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케다 내각의‘도가 넘는’중국접근에 타이완과 미국은 또다시

반발하 다. 이들의 입장에서 보면 플랜트수출과 일본수출입은행 융자는 사실상의 경제원조

에 다름 아니었다. 타이완 정부는 중국인 통역 망명소동에서 일본정부가 중국을 배려한 문제

를 빌미로 주일 타이완 사관 직원의 본국송환 조치를 취하 다. 또한 정부조달물자에서 일

본제품의 수입 또한 금지시켰다. 미일 양국 간의 의견 립도 점차 고조되었다. 중국은 위협이

아니며 자유진 은 중 접촉을 확 해야 한다는 이케다 수상의 주장을 미국측은‘철없는

짓’으로 일축하 다. 이와 더불어 라이샤워(E. Reischauer) 주일 미국 사는“우리는 무역

이라기 보다는 원조에 가까운 연체지불 조건, 특히 연체지불 조건을 둘러싸고 자유주의 국가

24) 『通商白書』(1970年版) 및『通商白書』(1972年版), http://www.meti.go.jp/hakusho/index.html

(검색일: 2010. 8. 20).

출처: 通商産業政策史編簒委員會 (編), 『通商産業政策史 � 統計∙年表』(東京: 通商産業調査會, 1992), pp. 254-9발췌∙재작성.

<표 1> 중일무역의 추이, 1955년-1971년(단위: 1,000 달러)

연 도일본수출(중국수입)

일본수입(중국수출)

합계 연 도일본수출(중국수입)

일본수입(중국수출)

합 계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28,484

67,073

60,421

50,443

3,603

2,772

16,639

38,460

62,417

80,599

83,426

80,377

54,324

18,847

20,787

30,895

46,020

74,599

109,083

150,499

140,798

104,767

22,450

23,559

47,534

84,480

137,016

152,739

245,036

315,150

288,294

325,438

390,803

568,878

578,188

157,750

224,705

306,237

269,439

224,185

234,540

253,818

323,172

310,489

469,741

621,387

557,733

549,623

625,343

822,696

901,360

Page 13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들이 서로 경쟁하는 상황을 깊이 우려한다”는 경고까지 하 다.25) 내각의 입장에서 더욱 민감

한 문제는 요시다, 기시 전 수상 등 자민당 친타이완파의 압력이었다. 1964년 2월 요시다 전

수상은 이케다 수상의 양해 하에 타이완을 방문하여 개인 서간 형식으로 일본정부의 관계개선

방안을 제시하 다. ‘제2차 요시다 서간’으로 불리는 것으로 ① 중 플랜트수출 융자는 순수

한 민간베이스에 한정하며 반드시 타이완의 의견을 반 한다; ②1964년의 차관방식의 일본

방적 비닐론플랜트 중수출을 인가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26) 이는 이케다 내각의 중 적

극책의 좌절을 의미하 다. 그 결과 중일관계에는 다시금 냉기류가 흐르기 시작하 다. LT무

역은 기간 만료 후 1년 동안의 공백을 거쳐 1968년‘MT무역’(Memorandum Trade)으로 전

환되었다. 장기방식이 아닌 각년 협의방식이었다. 통상 표기구도 각각 일중각서무역사무소

(구 다카사키사무소), 중일각서무역사무소(구 랴오청지사무소)로 축소, 개편되었다.

뒤이은 사토 내각(1964. 11-1972. 7)도 기시 내각과 유사한 강경노선을 취하 다. 사토 수

상의 지론은 명료하 다. “현재 하나의 국가 안에 두 개의 정부가 존재하는 것이 중국이다.

따라서 양쪽 모두와 우호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그게 불가능하다면 타이완의 국민당 정

부와 우호관계를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었다.27) 중일무역에서도 완강하 다. 중국 무역 표

단의 입국을 거부하 고 요시다 서간을 이유로 일본수출입은행 융자를 전면 취소하여 LT무

역을 파탄시켰다. 우호무역에 한 COCOM 규제도 엄격하게 실시하 다.28) 더욱이 사토 내

각은 미국을 신하여 타이완 경제원조를 폭 증 시켰다. 1965년의 1.5억 달러 정부차관

공여 결정, 그리고 1969년의 2.5억 달러 제2차 정부차관 공여 결정이 그것이다. 1968년 타

이완이 도입한 외국정부 차관 가운데 미국은 15.4%, 일본은 25.6%를 차지하 다.

1960년 후반 중일관계는 더욱 더 요동치기 시작하 다. 특히 1969년 11월 닉슨 통령과

의 미일공동성명에서 합의한‘타이완조항’및‘한국조항’은 중일관계를 결정적으로 악화시켰

다. 한반도 및 타이완 해협 유사시의 주일미군 행동에 일본이 전향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는 점

을 공개적으로 선언하 기 때문이다.29) 그 외에 사토 내각은 유엔에서도 타이완 지지 입장을

견지하 다. 1970년 유엔총회에서 중국의 유엔가입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과 함께 중국의

표권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유엔총회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는‘중요사항지정안’을

25) 神田豊隆, 「池田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の?)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中積極政策: 『自由陣@??/X??)X?e@??N1??@)?e

?J5?e@??@H?e?7Y?f?@W)X?J@@@@@@@@@@@,?7@X?gW(Y?(R@@@@@@@@(Ye@@@@@@@0Y?e@(M?g

?@K?@Ye?O)Xe?@@@@@@@@@@)e?@h@He?@h@?e?@@@@@@@@@@?e?@M?f?I@?e

の一員』と『@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連』」,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15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2008), pp. 89-91.

26) 제1차 요시다 서간은 1952년 10월 당시 요시다 수상이 미국의 덜레스(J. Dulles) 국무장관에게 보낸

것으로“일본정부는 중국의 공산당 정권과 쌍무적 조약을 체결할 의도를 갖고 있지 않다”는 내용을 담

고 있었다. 『朝日新聞』(1965. 8. 5). 참고로 제2차 서간에 관한 이시이 아키라(石井明)의 지적이 흥미

롭다. 즉, 『장제스비록(蔣介石秘錄)』에 따르면 1964년 4월 4일자 서간이 진짜라는 것이다. 서간에서

언급된‘중공 책요강’(中共對策要綱)은 중국 륙 민중을 공산주의 지배에서 해방하여 자유주의 진

에 끌어들이는 것이 긴요하다는 점, 이를 위해 일본, 타이완 양국이 구체적인 제휴∙협력을 꾀해야 한

다는 점, 중무역은 민간무역에 한하며 일본정부가 정책적 차원에서 경제원조를 지지하는 듯한 행동

은 엄격하게 자제한다는 점 등을 담고 있다. 石井明, 「1960年代の日台@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法外交?)X?e?@?)X?e?@)Xe?@@@)?e

?@@@@)eJ(Y@H?e?@@He7Y?@W)X?J@@?@X@@@@@@)?

?W.Y@?@@@??@f?.Y?@@(Y@??@W@e

@@e@@@@@@e?@@@@@@?@??@?@eW@@?e@@@@@@e7Y@Le@??@f@?@)X?@??@f

?J5?@V/?@??@W)X??.Y?@?e@@@@@@)?

@?e@Mg

誌』第101?)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第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3), pp. 160-1.

27) 衛藤瀋吉, 『佐藤@??/X??)X?e@??N1??@)?e

?J5?e@??@H?e?7Y?f?@W)X?J@@@@@@@@@@@,?7(M?gW(Y?(Ye?)X?e7He

?@)Ke@Le@@@@@@@@@@@@e?@@@V'X?fJ(Y@?V/Xf

?O.Y?@eN)K?e?W20Y??@e?@@@(??.M?e?@fI(Y?

?@h

作』(東京: 時事通信社, 1987), p. 234.

28) 톈진(天津) 일본과학의료기기 상품전시회(1967. 6), 그리고 상하이(上海)∙베이징(北京) 일본공업상품

전시회(1969. 3-6)에서의 일부 제품이 COCOM 규제품목이라는 이유로 전시를 불허하 다.

29) 波多野澄雄, 『?@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しての日米安保?)X?hJ@)KeO@f7@@@@@@@f

?C@Xe?W@5f@0R/X?W&0Yf?N)?&Yg?C@@@@6Kf

?@@@@0Y@(MI4@@@??@Y?g

?@@@@@@@@@@@@@eW@@@V'X?f

?W&(Y@?V'6K?eO&0Y?@eV'@@(?

?@0Me?@e?V40Y??@h

約』(東京: 岩波書店, 2010), pp. 230-1.

Page 13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3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제출하 고, 이듬해인 1971년에는 중국이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되는 것은 찬성하지

만 타이완을 추방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는‘역중요사항지정안’공동

제안국이 되기도 하 다.30) 한편 문화 혁명 와중의 중국도 일본군국주의 부활이라며 강력하

게 반발하 다. 1967년 초 중국이 제시한‘4개의 적’안에 미국 제국주의, 소련 수정주의, 일

본 수정주의(일본공산당을 지칭), 그리고 일본반동파(친타이완파)가 포함되었다. 더불어 일본

기업에 해서도 친중 자세를 강요하는‘중일무역 4원칙’(1970. 4)이 제시되었다.31) 중국측

이 일본군국주의 부활 근거로 지적한 것은 재벌, 자위 , 정부기관 및 정당 내부의 군국주

의자, 경찰과 국내 탄압, 경제협력, 타이완 및 한국의 세력범위 포함, 안보의 상확 및 반

혁명동맹, 생명선인 말라카해협 방위론, 화 및 매스컴에 의한 침략전쟁 미화 여론조성 등이

었다.32)

Ⅲ. 정경분리와 국내정치

이상에서 검토한 사례는 기존 연구에서 제 로 다뤄지지 않은 중요한 의문을 제공해 준다.

국제환경의 지속적인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가 정경분리 입장을 고수(固守)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라고 하는 문제이다. 국내정치적 역학이 보다 충실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까닭이다.33) 첫째, 이 시기에 진행된 중국문제의 급속한 국내정치화와 정부의 중국정책

사이의 관련성이 규명되어야 한다.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 수상의“중일관계는 국내문

제”라는 언급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온 것인지에 한 이해가 필요하다.34) 둘째, 역 내각의

30) 田中明彦 (1991), pp. 71-2.

31) 다음의 일본기업과는 무역을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말한다: ①중국과 무역하는 일본 메이커∙무역상

사 가운데 타이완 장제스 일당의 륙반공(反攻)에 협조하거나 한국의 북한 침략에 협조하는 기업; ②

타이완과 한국에 규모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 ③미국 제국주의의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침략과

관련하여 무기∙탄약을 제공하는 기업; ④일본 내 미일 합변기업과 미국 기업의 자회사. 그 후 적지 않

은 일본 기업이 이 4원칙을 받아들 으나 이들 부분은 타이완 및 한국에 유령회사(dummy

company)를 만드는 방식으로 사업의 계속을 꾀하 다. 한편 게이단렌(經團連) 등 일본 경제계 중심

부가 중일무역은 물론 정부의 정책결정, 더 나아가 중일관계 전반에 한 관여를 본격화하는 것은

1978년 2월‘중일 장기무역협정’체결 이후이다. 자세히는 徐承元 (2005) 제2장 참조.

32) 菅@??/X??)X?e@??N1??@)?e

?J5?e@??@H?e?7Y?f?@W)X?J@@@@@@@@@@@,?7(M?gW(Y?(Ye?)X?e7He

?@)Ke@Le@@@@@@@@@@@@e?@@@V'X?fJ(Y@?V/Xf

?O.Y?@eN)K?e?W20Y??@e?@@@(??.M?e?@fI(Y?

?@h

一, 山本剛士, 白西紳一郞, 『日中問題』(東京: 三省堂, 1971), p. 52.

33) 일본 외정책의 변화는 정부의 외교전략이나 국내정치적 압력의 결과라기보다는 새로운 외적 환경

에 한 수동적 반응의 결과로 보는 견해가 주류를 이룬다. 냉전기 외정책에 관한 표적 연구로는

다음을 참조. Robert A. Scalapino (ed.), The Foreign Policy of Modern Japa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T. J. Pempel (ed.), Policymaking in ContemporyJapa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Gerald L. Curtis, “Domestic Politics

and Japanese Foreign Policy,”in William J. Barnds (ed.), Japan and the United States(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79), pp. 21-85; Takashi Inoguchi and

Daniel I. Okimoto (eds.),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 Vol. 2, The ChangingInternational Context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8).

34) 다나카 수상은 국교정상화에 즈음하여“일본에서 중일문제는 외교문제라기보다는 국내문제이다. 메이

지(明治) 100년의 역사를 보면 그 어떠한 내각에도 최 의 난문(難問)이었다. 중일문제가 국내문제로

Page 14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정책결정에 있어서 그 정치적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 되어 간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외부 요인의 강도가 획기적으로 증 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책적 선택의 폭은 갈

수록 협소해졌다. 셋째, 특기할 만 한 것은 다양한 국내 행위자 사이에 연합정치 또는 동맹정

치(alliance politics)가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아래에서는 다음 세 가지 국내

정치과정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수상, 각료, 관료기구를 포함한 정부 내 정책결정 과정,

파벌정치를 특징으로 한 자민당 내 정치과정, 그리고 여야당 관계, 각종 사회단체, 여론과 매

스 미디어, 그리고 일반 국민을 포함한 사회적 정치과정이다. 여기서는 앞의 두 과정을 넓은

의미의 정책결정과정으로 간주한다.

1. 정부 내 정책결정과 관료정치화

자민당 내각의 중국정책은 수상과 일부 각료, 그리고 관료기구로 이어지는 비공식 정책라인

에 의해 주도되었다. 정책라인의 구성원과 정책성향은 내각별로 적지 않은 차이를 보 다. 정

치인과 관료기구 사이에 협조관계가 존재하고 복수의 협조관계가 서로 빈번하게 경합하는 상

황이라고 할 수 있다.35) 정책라인의 정점에 있는 것이 자민당 총재이며 내각 수반인 수상이

다. 수상의 외정책 성향은 요시다 전 수상이 설정한 외교노선을 탈피하고자 하는 당인파(黨

人派)와 이를 계승하고자 하는 관료파(官僚派)로 별되었다. 정당인 출신인 당인파는 하토야

마 이치로, 이시바시 단잔, 기시 노부스케 등 보수우파와 보수리버럴 세력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관료파는 이케다 하야토와 사토 에이사쿠 등 요시다의 후계자들을 말하며 보수본류로

분류된다. 당인파는 반(反)요시다, 즉 미일변도에 한 자주외교(중소와 수교), 점령헌법에

한 자주헌법, 그리고 경무장 노선에 한 재군비 주장에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 다. 관료파가 미일동맹을 기축으로 한 미협조와 경무장, 그리고 경제성장 제일주의를

통해 요시다 노선을 발전∙정착시키고자 한 것과 비된다. 이시바시 이외에 미키 다케오(三

木武夫), 마쓰무라 겐조, 우쓰노미야 도쿠마(宇都宮德馬) 등 보수리버럴은 보수우파의 미자

주에는 공감하 으나 개헌과 재군비 문제에서는 사회당, 공산당 등 혁신진 의 입장에 가까

웠다. 또한 하토야마 내각의 일소 국교정상화, 기시 내각의 미일안보조약 개정 등 보수우파의

자주외교는 혁신진 이 제창하는 비무장 중립, 즉 미독립과 동일한 것은 아니었다.36)

물론 당인파와 관료파의 정책성향이 바로 중국정책에 반 된 것은 아니었다. 중국정책에

한 의지, 이를 위한 각료 구성, 그리고 정책 의제 설정 등 제반 요소가 갖추어져야 한다. 단명

서 커다란 암적 존재가 되어 있는 점은 좋은 게 아니다. 중일문제가 진정되면 국내 불협화음 가운데 3

분의 2는 없어질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田中明彦 (1991), p. 75 재인용.

35) John Creighton Campbell and Ethan Scheiner, “Fragmentation and Power: Reconceptualizing

Policy Making under Japan’s 1955 System,”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9-1

(2008), p. 90. 이는 일본의 정책결정을 정치인이 우위인가 아니면 관료기구가 우위인가 하는 정관

(政官)관계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36) 보수우파의 자주외교는 미국에 한 일본의 지위를 다소 개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요시다 노선을 보

완하는 역할을 수행하 다. 박철희, 『자민당 정권과 전후 체제의 변용』(서울: 서울 학교출판문화원,

2011), pp. 102-12.

Page 14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5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한 이시바시 내각을 제외하면 중일무역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었던 것이 하토야마와 이케다

다. 하토야마 내각에는 이시바시 단잔 통산상, 마쓰무라 겐조 문부상, 고노 이치로(河野一

郞) 농림상, 미키 다케오 운유상, 다카사키 다쓰노스케 경제심의청(이후 경제기획청으로 개

칭) 장관 등 중일무역 추진파가 거 포진하고 있었다. 이시바시와 다카사키는 일본 국제무역

촉진협회 설립에 직접 관여한 당사자 다. 이에 비해 이케다 수상은 관료파이면서도 중일무

역 의지를 갖고 있었다. 그는 1960년 초 마쓰무라 겐조가 표를 맡은 방중단 구성에 직접 관

여하 으며 1962년 9월에는 마쓰무라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각서무역 창설에 기여하 다. 하

지만 수상이 중시한 것은 국교정상화가 아닌 단기적 무역확 다.37) 미소 긴장완화와 자신의

경제우선주의를 중일무역에 반 시킨 셈이었다. 하토야마 내각에 비해 이케다 내각의 각료

구성도 주류파의 반발에 상 적으로 취약하 다. 이케다파 출신으로 통산상을 역임한 의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38)

한편 기시와 사토 내각이 중시한 것은 중일무역이 아닌 외교∙안보적 과제 다. 기시 수상

은 다카사키 다쓰노스케와 이케다 하야토를 통산상에 임명하 으나 외교의 중점은 타이완과

동남아시아에 두었다. 특히 그는 민간인 출신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郞)를 외상에 임

명하여 경제외교를 적극 추진하 다. 배상, 준배상, 경제협력을 통해 일본의 경제적 진출은

물론 정치적 위상의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그에 비해 나가사키 국기사건 후의 중국정책은 정

관(靜觀) 바로 그 자체 다.39) 타이완 및 화교의 반발, 동남아시아에서의 경제적 우위 확립과

반일 내셔널리즘 회피, 그리고 미관계를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케다 내

각의 친중 자세에 반발하여 기시 등 친타이완파는 타이완과의 연계 하에‘반공참모부(反共參

謀部)’란 비 조직 설립구상을 마련하기도 하 다.40) 한편 사토 내각의 최 과제는 오키나와

(沖?@(??@K??O)XeC@U??@@@@@@)e

?@@R1??@e@?@He?N@?@??@@@@@@?e3T5??@e@?@?eN@U??@@@@@@?e?@1?f@?f

?@@@5?@@@@@@@@eW@e@?e@?@He7@1?@@@@@@@?e

?J@@@?@?e@?@?e?7Y@@?@@@@@@@Le?@?@5?@Me@?B1e?@?@H?f3=?@L??@gV4@@@?

) 반환문제 다. 미국의 베트남전쟁에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하고 한국 및 타이완 조항

을 수용한 이유는 거기에 있었다. 또한 수상 주변에는 이케다 내각을 용공(容共)으로 비판하

는 세력이 다수 다. 마쓰무라 겐조와의 사이도 좋지 않았다.41) 중국의 유엔 가입문제에 있

어서는 후쿠다 외상이 제안한 역중요사항지정안을 수용하 다.42)

여기서 정부 내 정책결정의 패턴이 변화한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1960년 초반까지

는 일소 국교회복이나 안보조약 개정 등 수상이 주도하는 하향식(top-down) 정책결정이 두

37) エコノミスト編集部, 「匿名座談?@@?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進展する日中∙日韓@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池田外交の二面性」, 『エコノミスト』

(1962. 10. 2), p. 10.

38) 이케다 내각에서 통산상 역임자는 이시이 고지로(石井光次郞, 이시이파), 시이나 에쓰사부로(椎名?)X??/X??)X?e?@)??N)X?@)?e?@f31?@H?eJ@1?@KV@?@W)X?7@@?@@@@@@@@)?

?J@@5?@?f?@H??7Y@H?@?f?@e?@?@e@@@@@@@@e?@e@Y@??@V@e?@f@??@f?@e?J5??@f?@e?7H??@?@e?@eC5e?@?@e?@W20Ye?@?@L??@0Mf?@@@@?

郞, 기시파), 사토 에이사쿠(사토파), 후쿠다 하지메(福田一, 오노파), 사쿠라우치 요시오(?)X?e?/X??)X??@)?/X?N)X?@,??@eN)X?3)T(Y??@)X?31?V'@He

?@@@@)?V'??S5?eW@X?fO.Y?e7@1?eO2@Yf

?J@@5?@@@@@@@@@??7Y@H??W(M?@(Me?@?@eW&H??@H?e?@?@e7@=??@f?@e(R46X@f?@f?S@@f?@e?O20R4@@e?@?@@0M?eI@e

?)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義雄, 고

노파) 다.

39) 權容奭 (2008), pp. 137-76.

40) 반공참모본부의 중점사업은 신문기자∙평론가 양성과 언론 사업, 반공사업의 이론연구, 반공 상업무

역조직 설립, 지도적 국회의원을 통한 의회 내 반공투쟁 전개 등이었다. 세부 조직 조장에는 다나카

다츠오(田中龍夫), 후쿠다 다케오, 사토 에이사쿠, 이시이 고지로, 기시 노부스케 등이 맡는다는 구상

이었다. 石井明 (1983), pp. 164-5. 기시 노부스케의 국가주의 성향에 해서는 다음을 참조. 김준

섭, “기시 노부스케: 전후 일본의 우익 정치인의 원형,”『일본연구논총』제15호 (2002), pp. 51-81.

41) 衛藤瀋吉 (1987), p. 232.

42) 楠田?@@?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 『主席秘書官: 佐藤?@@?f?)X?e?@Y?e)X?@,?e

?/T@@@e@,?3U?e?N@Y@H?J(Y?V)Ke3@@??7H?@@@@(?N@@L?@?J@XI(Y??@V)X?W&R)X?e

?@@@@@)?&@@@)?e@Xe?I'Xf

@?@1fN1f@?@@?@?)T5?/X?

?J5?@@T5?@(Y?N1??7H?@V@H?@H?@?@??@e@?@??3=?@Le

@?e?V4@@@e

理との十年間』(東京: 文芸春秋, 1975), p. 129.

Page 14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드러졌으나 그 후에는 상향식 정책결정이 점차 증 되었다.43) 사토 수상이 오키나와 반환에

심혈을 기울 으나 이는 반환 여부가 아닌 반환 시기가 교섭의 주된 과제 다. 한편, 중국정

책 운 방식이 상향식으로 변화하는 시점은 이케다 내각의 중국접근책이 좌절한 이후이다.

세 가지 요인이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 다. 첫째, 이케다 내각은 기시 시 의‘정치의 계절’

을‘경제의 계절’로 전환시키고자 하 다.44) 1960년의 규모 안보투쟁으로 국론이 심각하게

분열된 상황에서 저자세, 관용과 인내, 그리고 소득배증정책을 천명함으로써 경제성장 제일

주의를 새로운 국가적 정책 아젠다로 설정하 다. 경제중시노선에 근거한 중일무역은 보수우

파를 제외한 보수본류, 보수리버럴, 그리고 혁신진 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하지만

이케다의 좌절 후 이케다는 물론 후임 사토 수상까지도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

는 중일무역에 관여하는 것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증 되었다. 셋째, 1960년 에 관료파

의 수상 역임이 계속되면서 관료정치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45) 정치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이슈가 경제문제로 국지화되고 경제문제는 정치가 아닌 관료기구의 일상적 과제로 간주되는

현상을 말한다. 정치적 결정의 경제화를 상징하는 것이 경제외교 다.

부연하면 경제외교는 안정적 원료공급, 상품시장 확보, 반일 내셔널리즘 회피, 국제적 위신

향상 등은 물론 상 국의 경제발전을 통해 정치적 안정과 공산주의 확산 저지, 국가 간 전쟁

이나 분쟁 회피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요시다 전 수상은 서방 정치가들을 만날 때마

나 동남아시아의 경제개발과 번 이 공산주의에 항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중국 공산당에

한 근본적인 책이라고 역설하 다.46) 하토야마 수상도 공산권과의 무역이 전쟁을 피하는

길이라고 역설하 다. 이시바시 내각 당시 기시 외상도 군사가 아닌 경제에 기초한 외교의 추

진을 외교원칙으로 제시하 다.47) 그는 내각 출범 후 경제외교간담회를 설치하고 경제협력기

준을 작성하는 등 경제외교를 궤도 위에 올려놓았다.48) 이케다 수상은 더 나아가 무역을 통해

중국 민중에게 자유경제가 옳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기까지 하 다.49) 사토 내각에

이르자 경제원조는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 다.

요시다에서 이케다로 이어지는 상인(商人)외교와의 결별을 의미하 다.50)

43) Campbell and Scheiner (2008), p. 98.

44) ?O@?f@@f@@@?f@YO)X??O2@@@@@@@)?

?@@@@0M?e@?f@?f

@@@??@@@@@@@e

@@@?@@@@@@@@(?@?@W(MfW(Y?@@@(Y?@??@(Ye@?@He@??@H?e@?@?e@??@f@@@??J5??@?@e@V'=O.Y??@?@L?@?V40Ye?@@@@?

@@g@YeO)X?

@@@@@@@@@@@@)?@?g@?g

?@@@@@@@@@@@e

W2@@@@@@@@@@(?7(M?gW(Y?(Ye@?e@?.Ye?J5?e@?f?7H?e@?fJ5f@??@e

?O.Yf3=?@L??@@0Y?fV4@@@?

新聞政治部(編),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三十年』(東京: ?O@?f@@f@@@?f@YO)X??O2@@@@@@@)?

?@@@@0M?e@?f@?f

@@@??@@@@@@@e

@@@?@@@@@@@@(?@?@W(MfW(Y?@@@(Y?@??@(Ye@?@He@??@H?e@?@?e@??@f@@@??J5??@?@e@V'=O.Y??@?@L?@?V40Ye?@@@@?

@@g@YeO)X?

@@@@@@@@@@@@)?@?g@?g

?@@@@@@@@@@@e

W2@@@@@@@@@@(?7(M?gW(Y?(Ye@?e@?.Ye?J5?e@?f?7H?e@?fJ5f@??@e

?O.Yf3=?@L??@@0Y?fV4@@@?

新聞社, 1985), pp. 95-6.

45) 1960년 이후 이케다, 사토 등 관료출신 의원이 자민당 실력자로 급부상하면서 관료기구는 이들과

긴 한 협조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케다 내각 시기 관료파 의원들은 자민당 내의 정무조사회와 부

회 등을 거의 장악하 다. 당내 파벌의 성격을 보면 기시파, 이케다파, 사토파는 관료파가 거의 장악

하는 상황이었다. 渡?/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保男,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派官僚論」, 『中央公論』(1960. 9), pp. 203-5. 경제관료 출신인 기

시, 이케다, 사토가 관료기구와 사적 네트워크를 운 한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예를 들어 장성 출

신인 이케다의 경우 장성 내에 이케다 왕국이 존재하 다고 전해지며 이케다는 장성을 통해 금융

계, 증권계 등에 막강한 향력을 행사하 다고 한다. 사토의 경우도 우정, 운수, 통산, 건설 등 업계

에 막강한 향력을 행사하 다.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記者@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派閥: 生態とその周?/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 『中央公論』(1963.

9), pp. 140-1.

46) 高坂正?@@?g?@Y?O)X?e

?@@@@@@@@@)?e?@h

@@?@e@@f@Yf@YO)X?

?@@@@@@@@@@@@@)??I@Me?I@Mf

?O)Xe@@@@@@@@@@@)e?@e?@gJ5e?@g

?W&He?@e?@eO&@?e?3=??@L?

?@0Mf?V4@@@@?

, 「吉田茂以後: 保守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の系譜と課題」, 『中央公論』(1967. 8), p. 62.

47) 原彬久, 『岸信介?O)Xhe@@@)f?O)Xe

@@@@@)e?@@@@@@?e?@f

?@f@@@@f?@f

)X?@f@@@@e@)?@@@e@??@L?@H?@f@@@@@?@??@f@??@H?@??@f@??@e@??@f@@@@?J@??@W)X?@?I@?@@@@@@@)?@?hf

言@?fO)X?e

?J@Le@@@@)?e?7@1f?@H?eJ(?@e@@@@f7Yg?@W)X?

?J@@@@?@@@@@@@)??*U?@?f?@f?V4@@@?'@?J@?@(?

@??V'T&@W(Y?@?@1eN@Y@@He3X@5eC5?@@LeV'@YO2@H?@@)X??V@@0R'=?@?@,?

?'@@0MeV'@5?(Y??V+Mf?V+Yf

』(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2003), p. 150.

48) 佐多忠隆, 「岸?)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閣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外交批判」, 『エコノミスト』(1957. 5. 25), pp. 33-4.

49) 伊藤昌哉 (1985), p. 196 and p. 211.

Page 14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7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50) 高木早苗, �彰, @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正彦, 「佐藤?)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閣長命の?)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幕」, 『中央公論」第989@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70. 1), p. 120.

51) 정책심의회(1967년 정무조사회로 개칭), 부회, 조사회, 특별위원회, 간담회 등이 그 향력을 증 시

키기 시작한 것은 1970년 이후 다. 佐藤誠三郞, 松崎哲久,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東京: 中央公論社,

1985), pp. 85-9.

52) 이시바시 내각 시기에 파벌의 원형인‘8개 사단’체제가 형성되었다. 8개 사단은 구자유당계 4파(사

토파[佐藤派], 이케다파[池田派], 이시이파[石井派], 오노파[大野派]), 구민주당계 3파(기시파[岸派],

이시바시파[石橋派], 미키∙마쓰무라파[三木∙松村派]), 그리고 구민주당계 일부와 구개진당(改進黨)

계 일부로 구성된 고노파(河野派) 다. 8개 사단은 1960년 초 12개 파벌로 세분화되었으나 1970년

이후 감소되기 시작하여 1980년 중반에 5개 파벌(다나카파[田中派], 스즈키파[鈴木派], 후쿠다파

[福田派], 나카소네파[中曾根派], 고모토파[河本派])로 수렴되었다. 1950-60년 자민당 파벌정치에

해서는 다음을 참조.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記者@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派閥: 生態とその周?/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 『中央公論』(1963. 9);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新聞社政治部(編),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 きょうとあす』(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1973); 佐藤誠三郞, 松崎哲久 (1986)

등을 참조.

53)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編), 『日本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 正常化への道』(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1971), p. 274.

54) 原彬久 (2003), p. 184.

55) 내각 출범 당시의 상황을 보면 하토야마 내각의 주류는 구민주당 하토야마계, 구자유당 오가타 다케토

라[緖方竹虎]계와 오노 반보구[大野伴睦]계, 그리고 구민주당 기시계와 미키 부키치[三木武吉]계 다.

기시 내각에서는 기시파, 사토파, 고노파, 오노파가 주류, 이시바시 내각의 주류 던 이시바시파, 이

케다파, 미키∙마쓰무라파가 비주류로 전락하 다(이시이[石井]파는 중간파 고 1959년 중반 이후 고

노파, 오노파, 이케다파가 중간파로 합류하 다). 이케다 내각의 경우는 이케다파, 사토파, 기시파가

주류를 구성하고 후지야마파, 오노파, 이시이파가 측면에서 지지하는 6파 협력체제가 형성되었다. 사

토 내각은 사토파, 마에오파(구이케다파), 후나다파 및 무라카미파(구오노파), 후쿠다파 및 가와시마

파(구기시파), 미키파가 주류, 이시이파, 후지야마파, 모리파 및 나카소네파(구고노파), 마쓰무라파가

비주류 다.

56) Donald Hellman, Japanese Foreign Policy and Domestic Politic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p. 18.

2. 자민당 파벌정치와 중국문제

1955년 보수합동으로 탄생한 자민당은 반공(反共), 반사회주의라는 목표를 제외하곤 이렇

다 할 정책적 공감 를 갖고 있지 않았다. 당내 정책결정기구의 역할도 여전히 미미한 상태

다.51) 그 신 정책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이‘파벌정치’(派閥政治) 다.52) 중요 외교

정책이 외상이나 외무성이 아닌 파벌 간 절충에 의해 결정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 다.53) 1958

년 7월 기시 내각이 외무성의 권한을 제한하고 자민당의 관여를 증 시킨다는 명분 아래 외

교조사회를 다시 발족시키고 정부∙여당연락회의를 신설하 지만 이는 파벌 수의 발언권

증 를 초래한 바 있었다.54) 그렇다면 파벌정치와 내각의 중국정책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가? 첫째, 내각의 중국정책은 정권을 지탱하는 주류 파벌의 정책성향에서 자유롭지 못하

다. 하토야마 내각의 정권기반은 보수우파와 보수리버럴이었고 그에 이은 기시, 이케다, 사토

내각은 보수우파와 보수본류 다.55) 수상이 주류의 지지를 획득할 경우 상당한 정책적 주도권

을 행사할 수 있었다. 합의제보다는 다수결에 가까운 구조 다. 문제는 주류 내부의 견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때 중국문제를 둘러싼 논쟁은 개 당내 권력투쟁에 종속되는 경

향을 보 다. 수상을 지향하는 파벌 수들이 외정책을 정책적 중요성에서 뿐만 아니라 당

내 지위향상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 기 때문이다.56) 그 결과 파벌 간 항쟁이 내각 퇴진이나

Page 14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당내 주도권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 다. 하토야마, 기시 내각의 퇴진이 그 전형적인 사례

다. 이케다 수상이 중 소극자세로 전환한 결정적 이유는 기시파와 사토파의 압력이었다.57)

사토 수상이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취하지 않은 것도 당내 분쟁을 회피하고 파벌 간 균형을 유

지하기 위해서 다.58)

둘째, 파벌정치는 각료 포스트 배분을 통해 중국정책에 관여할 수 있었다. 자민당은 파벌세

력을 기준으로 각료와 당 3역(간사장, 총무회장, 정무조사회장)을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 다.

다수결 방식으로 주류파벌이 상 적으로 많은 수의 당 중역과 각료를 배출하는 구조 다. 특

히 통산상, 장상에는 주류 파벌 수가 직접 취임하는 경향이 강하 다. 수상-각료 관계가

사실상 수평적이었던 셈이다. 그 가운데 수상이 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되는 것으로 알려진

통산상을 둘러싼 경쟁은 치열하게 전개되었고 빈번하게 교체되었다. 기시 내각에서는 3명,

이케다 내각과 사토 내각에서는 각각 5명이 통산상에 취임하 다. 또한 주요 각료가 수상의

정치적 라이벌일 경우 각료직 사퇴나 정책 반 를 통해 내각에 타격을 가할 수도 있었다. 셋

째, 비주류의 경우는 내각의 중국정책을 적극적으로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 다. 하토야마

의 중소 접근에 가장 강력하게 반발한 것이 구자유당 요시다계 다. 기시 내각의 미일안보 개

정 당시 사회당, 민사당에 동조하여 국회출석을 거부한 것이 비주류인 미키∙마쓰무라파, 이

시바시파, 고노파 소속의원들이었다. 기시 내각 이후에는 미자주와 중일관계 개선을 주장

한 보수리버럴이 비주류로 전락하 다.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우츠노미야 도쿠마, 후루이 요

시미(古井喜實), 다가와 세이치(田川誠一), 오카자키 가헤이타(岡崎嘉平太) 등이 표적인 인

물로 이들은 사토 내각의 중국정책을 비판하면서 중국과의 파이프 유지에 진력하 다.

이상을 종합하면 기시 내각 이후에 보수우파와 보수본류로 구성되는 주류파에는 친타이완

파, 보수리버럴이 속한 비주류에는 친중파가 상 적으로 많은 구도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

다. 여기서 친타이완파와 친중파의 동향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하자. 친타이완파는 1956년에

설립된 일화협력위원회(日華協力委員會)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59) 핵심은 이시이 고지로(石井

光次郞), 기시 노부스케, 오노 반보쿠, 후나다 나카(船田中), 가야 오키노리(賀屋興宜), 후쿠

다 다케오, 아이치 기이치 등 당내 실력자들이었다. 이에 비해 1960년 친중파 모임인 일중문

제연구회(日中問題硏究會)가 설립되었으나 자민당 집행부의 압력으로 이렇다 할 조직적 활동

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사실 기시 내각까지만 하더라도 친타이완파와 친중파로 양분되지 않

은 상태 다. 기시 수상은 중국과 타이완, 한국과 북한이 분단된 상황을 고려하면 당내에 이

들 국가들과 파이프를 갖는 인사들이 있는 것은 피치 못할뿐더러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여

겼다.60) 그러나 이케다 내각에 들어서자 립구도가 점차 부상하기 시작하 다. 이케다 수상

이‘두 개의 중국’노선을 취하면서 비주류 친중파를 중용하자,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친타이

57) 神田豊隆 (2008), pp. 87-91; 高木早苗, �彰, @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正彦 (1970), p. 114.

58) Frank Langdon, Japan’s Foreign Policy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73), p. 5.

59) 池井優, 「日華協力委員?@@?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台@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に一考察」, 『法?/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硏究』第53?)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第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0. 2), pp. 141-168.

60) 原彬久 (2003), pp. 218-9.

Page 14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49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완파가 세력의 조직화를 꾀했기 때문이다.61)

그 결과가 1964년 12월 주류 5개파가 중심이 되어 설립한‘아시아문제연구회’(A연)라는

반중연합이었다. 중국 유엔가입 반 , 타이완 유엔의석 옹호, 그리고 공산권 무역확 반 가

주된 슬로건이었다. 한편, 이에 친중파도 1965년 1월‘아시아∙아프리카문제연구회’(AA연)

를 설립하여 친타이완파에 항하 다. 각서무역에서 양국 간 파이프 역할을 담당한 국회의

원, 일중무역촉진의원연맹 소속 의원들로 구성되었다.62) 중국 유엔가입, 사급회담 개회, 정

부 간 교섭에 의한 중일무역 확 가 주된 주장이었다. 당시의 파벌별 분포를 보면 A연 참가

자는 사토파, 기시파, 이시이파, 마에오파 소속 의원들이, AA연의 경우는 오노파, 고노파, 마

쓰무라파 소속 의원들이 상 적으로 많았다.63) 친타이완파와 친중파의 립은 한일 국교정상

화(1965. 6)와 중국 문화 혁명 등을 배경으로 일시적으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전세가

급격히 역전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 후반이었다. 우선 중국 유엔 표권문제가 국제사회

의 주요 이슈로 부상하자 친중파와 친타이완파는 격렬한 논쟁을 전개하 다. 특히 1971년 닉

슨 미국 통령의 중국방문 발표 및 중국 유엔가입을 전후하여 친중파는 일중국교회복의원연

맹을 중심으로 한‘유엔문제위원회’설립, 중국의 유엔가입에 반 한 후쿠다 다케오 외상에

한 불신임안 제출, 국교회복을 권고하는 국회결의안 제출 등을 통해 사토 내각에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 다.64) 바로 이 시점에 두 세력의 립구도에 결정적인 변화가 발생하 다. 미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마에오파/구이케다파),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구고노파) 등 주요 파벌 수들이 일제히‘일중타개론’을 주장하면서 친중 자세로 전향한 것

이다.65) 그 결과 그간 주류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해 온 보수본류가 중국정책에서 보수리버럴

과 함께 친중연합을 형성하고, 그에 반해 보수우파는 소수파로 전락하여 친타이완 자세를 견

지하는 새로운 구도가 형성되었다.66)

61) エコノミスト編集部 (1962. 10. 2), pp. 6-13.

62) 每日新聞社 (1971), p. 258; 毛利和子,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から新時代へ』(東京: 岩波書店, 2006), pp. 18-

20. 초기의 민간무역협정을 주도한 것이 초당파 국회의원 모임인 일중무역촉진의원연맹(1949년 5월

설립)이었다. 설립 당시 구성원은 자유당 26명, 민주당 17명, 사회당 21명, 공산당 10명, 녹풍회 12명,

무소속 6명이었다. 연맹은 1950년 네 차례의 무역협정에 모두 서명한 유일한 조직이었다. 나가사키

국기사건 이후 자민당 의원들이 거 탈퇴하 으나 1964년 상당수 복귀하 다. 1970년 시점에는 자민

당 70명, 사회당 84명, 민사당 19명, 공명당 11명이 연맹에 참가하 다. 添谷芳秀 (1995), pp. 76-7.

63) 添谷芳秀 (1995), pp. 115-9.

64) 1972년에 들어서자 이들의 움직임은 더욱 더 활발해졌다. 같은 해 봄 미키 다케오는 유엔이 중국 표

권을 결정한 이상 일본-타이완 조약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주장하 고 AA연, 중국문제의원간담회, 일

중국교회복촉진의원연맹은 합동회의를 열어 사토 수상의 퇴진을 요구하기도 하 다.

65) 당시 나카소네 야스히로 자민당 총무회장은 전향의 이유로“미키씨 등 비주류파만 중국의 정통성과

타이완이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듯한 이미지를 주어서는 도움이 안 된다”고 들었다.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1971), pp. 264-5. 국교정상화가 피치 못할 상황임을 전제한 것이었다.

66) 친타이완파는 후쿠다파(구기시파)를 중심으로 세이란카이(靑嵐?@@?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를 조직하 다(1973. 1). 중참의원

31명(후쿠다파 10명, 나카소네파 9명, 시이나파 4명, 미즈다파 3명, 미키파 1명, 무파벌 4명)이 참여

하 다. 다나카파와 오히라파 소속 의원은 없었다. 박철희, “일본 보수정치세력의 동아시아를 둘러싼

갈등: 1960년 와 1990년 의 비교,”『일본연구논총』제33호 (2011. 6), p. 174.

Page 14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3. 친중국 연합전선과 보수∙혁신 역전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민당 보수우파와 타이완, 그리고 미국 사이에는 적지 않은 공명(共

鳴)이 존재하 다. 일종의 반공연합이었다. 한편, 자민당 정권의 외부에는 이에 항한 친중

연합전선도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중국 입장에 공명하는 혁신정당, 친중 민간단체, 그리고

중일무역 종사자들을 포함하 다. 자민당 보수리버럴과 언론도 이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했

다. 정부와 자민당 내 정치과정과 더불어 사회적 정치과정에 한 분석이 불가결한 이유이다.

친중 연합전선의 구심점은 일중우호협회 등 민간단체 다. 이들은 정당(주로 혁신정당), 문화

계, 무역업계, 주일화교총회 등 각계 표들로 구성되었고 중일 평화∙우호, 일본 군국주의

부활 반 , 중일무역 확 등을 주장하며 적극적인 중(大衆)운동을 전개하 다. 우선 중국

건국 직후에는 국교회복운동이 전개되었다. 1950년 초 일본의 재군비와 한국전쟁 참전, 그

리고 미일강화가 미일 양국 사이에 본격적으로 논의되자 혁신 야당, 노동조합, 농민단체, 부

인단체, 문화인 등은 재군비 반 , 전면강화, 세중립을 기치로 전국적 반 운동을 전개하

다. 또한 이들은 중국과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하 다. 초기의 국교회복운동이 샌프란시스

코체제, 즉 중국봉쇄에 한‘저항’이라는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 것을 의미하 다.67) 운동의

방향성이 중일무역 확 , 정확하게는 COCOM 돌파로 향해진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 다. 하

토야마 내각 당시 중국과 친중 연합이 합의한 점진주의 방식은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를 수 있

게 되었다. 그러나 기시 내각은 이러한 시도를 좌절시켰다. 나가사키 국기사건을 계기로 한

무역단절 후 혁신정당은 물론 간사이(關西) 및 서일본 경제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서도 무역재개 요구가 고조되었다.68) 1958-9년 타이완 해협위기가 발생하자 이번에는 타이

완 지역 미군 철수와 두 개의 중국 반 운동이 전개되었다. 운동은 미일 안보조약 개정으로

정점에 치달았다. 총평(總評), 사회당, 일중국교회복국민회의, 전일농(全日農) 등은 안보조약

개정저지국민회의를 결성하여 중일관계 타개와 안보조약 폐지를 주장하 다. 중국과의 공동

보조도 두드러졌다. 사회당 방중단 아사누마 이나지로(?)X?e)X?@f?31?e@)?@f?V'?e@HeO)X?

@?O2@@)??)X?@@@@@@0Mf?31?@??I'X?O)Xe?V'X@?eV@@@@1eN@5?@@@@e?@L??@H?eW@@@@@@?C5?@@@0Y@@(Me

?@@Hg3@H?e?N@LgV@?@e31fO2@@X@L?N@eO20M?I4@1??@?@0Mf?I@?

沼)XgO2@?@)?@@@@@@Ue

@@@HgB)X?@L?/X?/X?@,?@)XN1?N)T(Y?

?@@@@@)?@??@0Ye?W@XheW&@1?@@?@@@@@?7Y@5?@H?@??@H?

?J5?@H?@e@@@@e?7H?@??@e@??@e?@e@??@e@??@e

@??@e@??@e@??@e@@@@e@??@e@MI@e

次郞) 표는“미국 제국주의는

중일 양국 국민의 공동의 적”으로 발언하여 큰 반향을 일으키기도 하 다(1958. 3). 여기서

안보조약 반 와 중일관계 타개가 일체화한 점은 주목할 만한 일이었다.

그렇다면 친중 연합전선을 활성화시킨 요인은 무엇인가? 첫째, 정당정치는 외정책에서

여론과 정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제 로 수행하지 못하 다. 사회당은 의회 제2당임에도 불구

하고 실체로 존재하는 안보체제를 부정함으로써 여당과의 논의를 원천적으로 봉쇄하 다. 자

민당 또한 정권유지 차원에서 유권자∙압력단체와‘진정(陳情)=이익환류’파이프를 가질 뿐

국민의 지지를 외정책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거의 수행하지 못하 다.69) 둘째, 정당정치의

기능부전 속에서 실질적인 외교정책 논쟁은 매스 미디어와 중운동으로 경사되었다. 여론

67) 日本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友好協?@@?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正統]中央本部(編) (1975), p. 49.

68) 도쿄(東京)의 재계 중심부에서는 중국의 일방적 무역단절과 그 정치적 의도에 해 내셔널리즘적 차원에

서 반발하는 견해가 적지 않았다. 일반 국민들의 반응도 이와 유사하 다. 權容奭 (2008), pp. 161-2.

69) 高坂正?@@?g?@Y?O)X?e

?@@@@@@@@@)?e?@h

@@?@e@@f@Yf@YO)X?

?@@@@@@@@@@@@@)??I@Me?I@Mf

?O)Xe@@@@@@@@@@@)e?@e?@gJ5e?@g

?W&He?@e?@eO&@?e?3=??@L?

?@0Mf?V4@@@@?

, 「自民∙社?@@?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O)X??@@@@@@@@@@@@@)?

?@h@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X?g@??@)??@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問う: 外交政策不在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日本」, 『中央公論』(1963. 8), pp. 35-41.

Page 14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1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부분이 자민당 외교에 이의를 제기하는 가운데 혁신진 은 미일안보와 재군비를 전전(戰

前) 군국주의, 파시즘의 부활로 규정하고 그에 반하는 평화주의를 제창함으로써 안보문제를

체제선택의 문제로 격상시켰다.70) 특히 사회당은‘비무장∙중립’을 슬로건으로 내걸어 도시

의 고학력자, 젊은 층, 화이트컬러 등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71) 셋째, 이러한 상황은

중일무역과 안보문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 다. 혁신진 은 중국과의 연 하에 미독립을

실현하고자 하 고 보수우파와 보수리버럴은 중국에서 미자주의 출구를 찾으려고 하 다.

혁신진 과 경제계, 그리고 언론계는 물론 보수 세력 부분이 중국침략에 한 속죄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72) 게다가 중일무역 확 가 패전 후 일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불가결하다

는 인식도 폭넓게 자리잡고 있었다.

한편 1960년 안보개정 이후 보수와 혁신 사이의 극단적인 결은 일단락되었다. 이후 자민

당 정권은 경제성장의 기수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하기 시작하 다. 이케다 내각 시기에

는 혁신진 및 친중 단체 이외에 자민당 보수리버럴, 무역업계, 제조업자들까지 중일무역에

참여하게 되었다. 친타이완파는 반 하 으나 여론은 중일우호와 무역확 를 지지하고 있었

다. 중국도 이에 호응하듯 일중무역협회 파트너인 중일무역협회를 성 하게 출범시켰다

(1963. 10). 국제사회에서 중국승인 문제가 본격화되자 친중 단체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

다. 하지만 1960년 중반 중국공산당과 일본공산당의 결을 계기로 혁신진 의 친중연합이

붕괴하 다. 1967년 사토 수상의 남베트남 및 타이완 방문을 반 하는 국민 회가 개최되었

으나 안보투쟁 당시와 같은 열기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 후 국교회복국민운동이 다시금 들불

처럼 번지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 타이완을 신해 유엔 표권을 획득한 1971년 가을이었다.

이 시기 친중 연합전선의 주도권이 혁신진 에서 보수진 으로 넘어가기 시작한 것은 중

한 변화 다. 먼저 이케다 내각의 중국적극책은 비록 좌절되었지만 당시 일본의 중국승인을

유엔 중국 표권문제와 연결시킨 점은 그 후의 중국정책에 지 한 향을 미쳤다.73) 사실 중

국의 유엔가입이 확정되자 그간 유보적 자세를 취했던 자민당 보수본류는 일거에 친중 자세

로 전환하 다. 친타이완파가 보수진 내부에서 고립되는 것은 시간문제 다. 사토 내각에

이은 다나카 내각은 국교정상화 문제에서 당내 보수리버럴은 물론 주류파 4파(다나카파, 오

히라파, 미키파, 나카소네파), 사회당, 그리고 공명당의 지지와 협조를 구할 수 있었다. 혁신

진 또한 중국문제로 분열되기 시작하 다. 그 발단은 1960년 초의 중소 립과 중국 문

화 혁명이었다. 이들 사건은 사회당과 일본공산당 내부의 균열, 그리고 중국공산당과 일본

공산당의 립을 초래하 다.74) 그 결과 중일 간 파이프의 주역은 일본공산당에서 사회당과

70) 大嶽秀夫, 『日本政治の?)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立軸: 93年以降の政界再編の中で』(東京: 中公新書, 1999), pp. 7-10.

71) ジェラルド, カ一ティス著 (山岡?@@?g?@Y?O)X?e

@@@@@@@@@@)?e?@h

?@@@@@@@@@f?@fO)X?

?@@@@@@@@@@@@@)?@@@@@@@@f@?f?@f@@@@@@@@f@?f?@f@@@@@@@@f@?f?@f@?e@@@5f@?e?I(Yf

二?O@??@K?eO)X?@@@??@@@@@@@)?

?@f?@H??@@@@@?@f?@e

?@f?@e@@@??@f?@e

?@@@@@@@e@@@??@e?@V@e@?@L?@e?@f@@@@?@e?@f@?@HJ5e?3L?e@?@?7He?N)Xe@@@?@?f3)X?@V'T5?fN@,?@?V+Y?f?(Y?

), 『「日本型政治」の本質: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支配の民主主義』(東京: TBSブ

リタニカ, 1987), p. 15.

72) 이에 해서는 다음을 참조. ?)X?e)X?)X?e?@)?e@)?@)?e?@f@Y?@YO@??@)T2@@@@@@@@?

?@@@@@U?@??@fW@XI4@@@@@@@@?7@1?f@?f

?J@@5??@@@@@@@e?7Y@H??@@@@@@@e?@?@e?@e@??@e?@?@e?@@@@@@@e?@e?@M?eI@e?@fW-T-K?e?@e?O&@0R4@@??@?@@0M?e?I@?

山宏彰, 『日中の障壁』(東京: サイマル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94); 若宮啓文,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保守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東京: 朝日選書, 1995).

73) 이러한 방침은 이시바시, 기시 내각 당시에 형성된 것으로 사토 내각도 1971년 10월 중국 유엔 가입

이후 국교정상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 다. 神田豊隆 (2008), pp. 92-4.

74) 사회당과 공산당은 1961년 9월 소련의 핵실험 재개를 둘러싸고 이견을 보이기 시작하 다. 사회당은

Page 14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공명당으로 바뀌었다. 무엇보다 결정적이었던 것은 중국의 자민당 접근이었다. 궁극적으로

국교를 정상화하여 일본정부로 하여금‘하나의 중국’을 인정시키기 위해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사회당도 공산당도 아니었다. 야당 제2당으로서 타이완과의 조약 폐기 및 하나의

중국론을 명확히 표방한 공명당, 그리고 권력 중심부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일본정부를 움

직일 수 있는 자민당 친중파를 중시한 이유 다.75)

Ⅳ. 결 론

자민당 정권이 표방한 정경분리는 중일무역 확 에 한 기 이외에 적어도 다음 세 가지

얼굴을 갖고 있었다. 첫째, 정경분리는 중국이 주장하는 정경불가분에 한 안티테제로서의

정경분리, 즉‘반(反)정경불가분’을 의미하 다. 중국측이 무역확 와 국교정상화를 통해 샌

프란시스코체제의 타파를 의도했다면 일본측은 어디까지나 샌프란시스코체제 내에서 국교정

상화를 전제조건으로 하지 않는 무역확 를 모색하 다. 이는 중국이 주장하는 무역의 정치

화, 그리고‘하나의 중국’에 한 거절을 내용으로 하 다. 덧붙여 정경분리에는 중국과 일본

친중단체 사이의 연계를 차단코자 하는 의도도 내재되어 있었다. 둘째, 정경분리는 미국이 주

도하는 중봉쇄에 한 이의 제기, 다시 말하면‘비(非) 중봉쇄’의 의사표명이었다. 일본은

COCOM 가입을 통해 중봉쇄의 당사자가 되어 있었지만 역 수상들은 봉쇄보다는 무역확

가 중국의 개방에 유익하며 일본이 미중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76) 동서 이데올로기 결 및 경제봉쇄의 효과에 한 회의, 경제적 기회의 상실이 주

된 동인이었다. 셋째, 정경분리는 미자주 욕구의 표출이기도 하 다. 미국, 타이완 등이 중

일무역에 이의를 제기할 때마다 일본은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어디까지나 제한된

틀 안에서 중일무역을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하 다. 이 때 제시한 것이“일본과 중국 륙은

역사적∙전통적으로 특수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중일 특수관계론이었다.77) 이러한 논리는

중일관계의 자기완결성 모색, 엄 히 말하면 일본의 중국정책에 한 외부의 개입을 최소화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다. 미자주란 요시다류의 미일변도에 한 반 는 물론 외교의

독자성 확보에 한 희구(希求)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 다.

일본정부의 중국정책운 의 기본 틀은 세 가지 정치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핵실험 반 , 공산당은 소련 옹호 입장을 취하 다. 이후 양당의 립이 격화됨에 따라 1960년 중

반 혁신진 의 아성인 원수폭금지일본협의회가 분열되었다. 原彬久 (2003), pp. 222-3. 한편, 1960

년 중반 중국 마오쩌둥(毛澤東) 주석은 베트남전쟁에서 소련 지지를 표명한 일본공산당을 중일 양국

인민의 공동의 적이라 비난하 고, 그에 해 일본공산당은 문화 혁명의 급진주의를 비판하 다. 不

破哲三, 『私の?/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六○年: 日本共産?)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議長の?O)Xhe@@@)f?O)Xe

@@@@@)e?@@@@@@?e?@f

?@f@@@@f?@f

)X?@f@@@@e@)?@@@e@??@L?@H?@f@@@@@?@??@f@??@H?@??@f@??@e@??@f@@@@?J@??@W)X?@?I@?@@@@@@@)?@?hf

言』(東京: 新潮社, 2005), pp. 116-7.

75) 原彬久 (2003), pp. 231-2.

76) 中西W&K?O@K?eO)X?7@@@@@@@@@@@,?3Xe@??@eW(Y?V4@@@@@@@@0Ye

@??@g@@@@@@@@f@?f?@f@@@@@@@@f@@@@@@@@f@?f?@f3@@@@@@@fS(M??@e?@e

?O.Ye?3=??@L??@@0Y?e?V4@@@@?

, 「吉田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151?)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2008. 3), pp. 18-35; 五十嵐武士,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米@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の形成』(東京: 講談社?/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術文庫, 1995), p. 289.

77) 萩原延?@@?g?@Y??O)Xe

@@@@@@@@@@@)eW(M?g

?O&YeO)X?e?@@@@@@@@@)?e

@?h?@@@@@@@@@@@@@@?

@?f?@?@e?@@@@@@@@@@@@@@??W@@[email protected]?e?@f

?W.Ye@?e?@f?.Y?f@@@5f

?I(Yf

, 「首相池田勇人論」, 『中央公論』(1964. 7), p. 58; 伊藤昌哉 (1985), p. 164 and p. 185.

Page 14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3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우선 정부 내 정책결정은 수상, 각료, 관료기구를 횡단하는 정책라인에 의해 주도되었고 그러

한 정책라인은 내각별로 상이하게 구성되었다. 1960년 초반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반요

시다를 기치로 하는 당인파가, 그 이후에는 요시다를 계승하는 관료파가 정권을 담당하 다.

특히 관료파 집권기에는 경제중시노선, 중일문제의 정치적 부담, 경제외교 진전 등을 배경으

로 정책결정의 관료정치화가 진행되었다. 이와 더불어 내각의 중국정책을 보수 여당 내부로

부터 강력하게 압박한 것이 파벌정치 다. 하토야마 내각은 보수우파와 보수리버럴, 그리고

기시, 이케다, 사토 내각은 보수우파와 보수본류가 정권기반이었다. 중국문제는 파벌 수 간

권력투쟁에 쉽게 종속되는 경향을 보 다. 통시적으로는 1960년 중후반까지 보수우파와

보수본류 중심의 친타이완파가 우세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그 후 국제정세를 친중파

가 세력을 일거에 확장하여 보수본류까지 포섭하기에 이르 다. 한편 광의의 정책결정과정

외연에는 여야당, 사회단체, 매스 미디어를 망라하는 연합정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음도 간

과할 수 없다. 자민당 보수우파, 타이완, 미국 사이에 일종의 반공연합이 존재하 고 이에

항하여 친중 민간단체, 혁신 정당, 자민당 보수리버럴, 중국을 잇는 그다지 견고하지 않은 친

중연합이 형성되었다. 친중연합은 정당정치의 기능부전과 혁신진 의 미 내셔널리즘을 자

양분으로 성장하 으나 그 주도권은 혁신진 의 분열, 국제사회의 중국승인, 그리고 중국의

자민당 친중파 중시로 인해 보수진 으로 이행되기에 이르 다.

1972년 국교정상화 이후에도 정부 내 정책결정이 정책라인에 의해 주도되는 점에는 큰 변

화가 없었다. 국교정상화 교섭에서 중국측이 미일안보체제를 사실상 인정함으로써 안보적 쟁

점은 수면 밑으로 내려갔다. 1970년 후반에는 일본의 경제협력이 본격화하면서 관료정치

화가 한층 더 진전되었다. 자민당 친타이완파는 1978년 중일 평화우호조약을 둘러싸고 일시

적인 반격에 나섰으나 보수본류가 친중 자세를 더욱 선명히 함으로써 1990년 중반까지 중

국정책운 에서 고립을 면할 수가 없었다. 사회적 친중연합도 경제계 중심부 등을 포함하여

그 외연을 더욱 더 확장해 나갔다. 이와 같은 일본사회 전체의 중국경사(傾斜)는 적어도 1989

년 6월 톈안먼(天安門)사건이 발발하기까지 계속되었다. 문제는 정부 내 정책결정과 여당 내

정책결정이 정책라인에 속하지 않거나 주류가 아닌 여당 행위자, 더 나아가 야당을 포함한 사

회적 행위자의 참여를 배제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으로 닫힌 구조 다는 점이다. 그 결과, 정책

결정과정에서 배제된 행위자들이 정서적 차원에서 일본정부의 중국정책에 해 강렬하게 찬

성하거나 또는 반 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국문제를 둘러싼 일본사회

의 논의에서 정책적 논의보다는 감정적 반응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Page 15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참 고 문 헌

김준섭. “기시 노부스케: 전후 일본의 우익 정치인의 원형.”『일본연구논총』제15호 (2002).

박철희. “일본 보수정치세력의 동아시아를 둘러싼 갈등: 1960년 와 1990년 의 비교.”

『일본연구논총』제33호 (2011).

______. 『자민당 정권과 전후 체제의 변용』서울: 서울 학교출판문화원, 2011.

박홍 . “전후 일본 ODA 정책의 변화상: 해석과 평가.”『일본연구논총』제32호 (2010).

서승원. “일본의 경제와 안보, 1945-1954: 비냉전형 무역통제 체제의 형성과 국내정치.”

『일본연구논총』제29호 (2009).

손기섭. “일본의 중국 원조정책의 변화와 특징: 동남아원조와 한국원조와의 비교.”『일본

연구논총』제21호 (2005).

______. “일중 정치경제 관계에서의‘72년 체제’의 발전과 전환.”『일본연구논총』제19호

(2004).

Armacost, Michael H. and Kenneth B. Pyle. “Japan and the Engagement of China:

Challenges for U.S. Policy Coordination.”NBR Analysis 12-5 (December 2001).

Campbell, John Creighton and Ethan Scheiner. “Fragmentation and Power:

Reconceptualizing Policy Making under Japan’s 1955 System.”Japanes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9-1 (2008).

Curtis, Gerald L. “Domestic Politics and Japanese Foreign Policy.”In William J.

Barnds. e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79.

Hellman, Donald. Japanese Foreign Policy and Domestic Politics.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Inoguchi, Takashi and Daniel I. Okimoto. eds. The Political Economy of Japan: Vol.

2, The Changing International Context.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8.

Iriye, Akira. “Chinese-Japanese Relations, 1945-1990.”In Christopher Howe. ed.

China and Japan: History, Trends, and Prospects. Oxford: Clarendon Press,

1996.

Johnson, Chalmers. Japan Who Governs? The Rise of the Developmental Stat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5.

Langdon, Frank. Japan’s Foreign Policy.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73.

Miyashita, Akitoshi. “Gaiatsu and Japan’s Foreign Aid: Rethinking the Reactive-

Page 15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5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Proactive Debate.”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3-4 (December 1999).

Pempel, T. J. ed. Policymaking in Contempory Japan.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Scalapino, Robert A. ed. The Foreign Policy of Modern Japa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五十嵐武士.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米@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の形成』東京: 講談社?/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術文庫, 1995.

池井優. 「日華協力委員?@@?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台@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に一考察」. 『法?/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硏究』第53?)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第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0. 2).

石井修. 「?)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中禁輸と日本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自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85@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7. 5).

石井明. 「1960年代の日台@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法外交?)X?e?@?)X?e?@)Xe?@@@)?e

?@@@@)eJ(Y@H?e?@@He7Y?@W)X?J@@?@X@@@@@@)?

?W.Y@?@@@??@f?.Y?@@(Y@??@W@e

@@e@@@@@@e?@@@@@@?@??@?@eW@@?e@@@@@@e7Y@Le@??@f@?@)X?@??@f

?J5?@V/?@??@W)X??.Y?@?e@@@@@@)?

@?e@Mg

誌』第101?)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第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83).

伊藤昌哉. 『池田勇人とその時代』東京: 朝日新聞社, 1985.

エコノミスト編集部. 「匿名座談?@@?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進展する日中∙日韓@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池田外交の二面性」. 『エコノミ

スト』(1962. 10. 2).

衛藤瀋吉. 『佐藤@??/X??)X?e@??N1??@)?e

?J5?e@??@H?e?7Y?f?@W)X?J@@@@@@@@@@@,?7(M?gW(Y?(Ye?)X?e7He

?@)Ke@Le@@@@@@@@@@@@e?@@@V'X?fJ(Y@?V/Xf

?O.Y?@eN)K?e?W20Y??@e?@@@(??.M?e?@fI(Y?

?@h

作』東京: 時事通信社, 1987.

大嶽秀夫. 『日本政治の?)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立軸: 93年以降の政界再編の中で』東京: 中公新書, 1999.

岡田?@@?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とODA』東京: 日本僑報社, 2008.

カ一ティス∙ジェラルド著(山岡?)X?e?@@?f?3)Ke?@YO)Xe?V4@@@@@@@@)e

?@g?)X?@?@@@@@@@?e?31?@?e?@e?O@??V'X@@@@@@@@@@@?N@(Y@@@@@@@?e?@H?@?f@?eC5e@@@@@@@?e

?@@He@?f@?e?N@Le@@@@@@@?e31e@?e?W@?eN@e@?e?75?e?@e@?e?(Y?e

二?O@??@K?eO)X?@@@??@@@@@@@)?

?@f?@H??@@@@@?@f?@e

?@f?@e@@@??@f?@e

?@@@@@@@e@@@??@e?@V@e@?@L?@e?@f@@@@?@e?@f@?@HJ5e?3L?e@?@?7He?N)Xe@@@?@?f3)X?@V'T5?fN@,?@?V+Y?f?(Y?

). 『「日本型政治」の本質: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支配の民主主義』東

京: TBSブリタニカ, 1987.

加藤洋子. 『アメリカの世界?/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略とココム』東京: 有信堂, 1992.

神田豊隆. 「池田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の?)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中積極政策: 『自由陣@??/X??)X?e@??N1??@)?e

?J5?e@??@H?e?7Y?f?@W)X?J@@@@@@@@@@@,?7@X?gW(Y?(R@@@@@@@@(Ye@@@@@@@0Y?e@(M?g

?@K?@Ye?O)Xe?@@@@@@@@@@)e?@h@He?@h@?e?@@@@@@@@@@?e?@M?f?I@?e

の一員』と『@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連』」.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152@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2008. 3).

權容奭. 『岸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期のアジア外交: ?)X?f?)X?e?@)?f?@)?e?@H?f?@H?e?@W)X?e?@W)X?

?@@@@@)?@@@@@@)?@?f?@f@?f?@f

@@@?e'@?@f@?eV'?@f@Lf?@f

?J@1f?@f?7Y@f?@fJ5?@f?@f

?W.Yf?@@@f?.Y?gI@f

米自主とアジア主義の逆?O@?e@??)X?e@@@?e3L?@)?e

N1?@H?e?@@@@@?@X@?@W)X?

?@@@@@@@)?@@@??@f?@H?

?@f?@e@@@??@@@@@@@e@?@L?@Y@?@V@e@@@@e?@?@f@?@HeJ5?@f@?@?e7H?@?@e@@@??J5??@?@e@V'=O.Y??@?@L?@?V40Ye?@@@@?

』東京: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書院, 2008.

高坂正?@@?g?@Y?O)X?e

?@@@@@@@@@)?e?@h

@@?@e@@f@Yf@YO)X?

?@@@@@@@@@@@@@)??I@Me?I@Mf

?O)Xe@@@@@@@@@@@)e?@e?@gJ5e?@g

?W&He?@e?@eO&@?e?3=??@L?

?@0Mf?V4@@@@?

. 「自民∙社?@@?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O)X??@@@@@@@@@@@@@)?

?@h@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X?g@??@)??@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問う: 外交政策不在の@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日本」. 『中央公論』(1963. 8).

高坂正?@@?g?@Y?O)X?e

?@@@@@@@@@)?e?@h

@@?@e@@f@Yf@YO)X?

?@@@@@@@@@@@@@)??I@Me?I@Mf

?O)Xe@@@@@@@@@@@)e?@e?@gJ5e?@g

?W&He?@e?@eO&@?e?3=??@L?

?@0Mf?V4@@@@?

. 「吉田茂以後: 保守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の系譜と課題」. 『中央公論』(1967. 8).@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分良成. 「冷?/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終結後の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72年)Xf)Xf@)f@)f@Hf@Hf@?f@?O)X?

?J@?@@@@@@@@)??7@?e?@@@fJ@@?eJ@@@f

?W.Y@?e7Y@@L?e?.Y?@??J5?@V1?e

@??7H?@W@Le@?J@=?@@R)[email protected]@@5?@,?@(Y?e@H?(Y?@Hf@?f@?f@?f

制』の)Xhe@)X?e?O)Xe

?@@@@@)?@@@@@)e@Xhe

@X@)X?h@@@@)?h@?@@H?fO)X?@@@@?@@@@@@@)?@@@5f@@X?e@Y@?f@V1?e@)X??J5?3Le

?@@@@@)??7H?S)X?@?e?@?O&@1?@??'@@@0M?@?@??V+Mf@?

換」.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問題』第490@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2000. 1).

佐藤誠三郞, 松崎哲久.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政?)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東京: 中央公論社, 1985.

佐多忠隆. 「岸?)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閣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外交批判」. 『エコノミスト』(1957. 5. 25).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記者@KhO)X?@@@@@@@@@@@@)?@?h?@H?@?f?)X??@e@?f?@)X?@e@?f?@V1?@e@?@@@@@@@@?@e@?@@X??@e?@e@??I/??@e?@e@?f?@e?@e@?e@@@5e?@e@?e?I(Ye?@e@?h?@e@@@@@@@@@@@@e@MhI@e

.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派閥: 生態とその周?/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 『中央公論』(1963. 9).

菅@??/X??)X?e@??N1??@)?e

?J5?e@??@H?e?7Y?f?@W)X?J@@@@@@@@@@@,?7(M?gW(Y?(Ye?)X?e7He

?@)Ke@Le@@@@@@@@@@@@e?@@@V'X?fJ(Y@?V/Xf

?O.Y?@eN)K?e?W20Y??@e?@@@(??.M?e?@fI(Y?

?@h

一, 山本剛士, 白西紳一郞. 『日中問題』東京: 三省堂, 1971.

楠田?@@?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 『主席秘書官: 佐藤?@@?f?)X?e?@Y?e)X?@,?e

?/T@@@e@,?3U?e?N@Y@H?J(Y?V)Ke3@@??7H?@@@@(?N@@L?@?J@XI(Y??@V)X?W&R)X?e

?@@@@@)?&@@@)?e@Xe?I'Xf

@?@1fN1f@?@@?@?)T5?/X?

?J5?@@T5?@(Y?N1??7H?@V@H?@H?@?@??@e@?@??3=?@Le

@?e?V4@@@e

理との十年間』東京: 文芸春秋, 1975.

添谷芳秀. 『日本外交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東京: 慶應通信, 1995.

徐承元. 『日本の?@(?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外交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東京: 慶應大?/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2004.

中西W&K?O@K?eO)X?7@@@@@@@@@@@,?3Xe@??@eW(Y?V4@@@@@@@@0Ye

@??@g@@@@@@@@f@?f?@f@@@@@@@@f@@@@@@@@f@?f?@f3@@@@@@@fS(M??@e?@e

?O.Ye?3=??@L??@@0Y?e?V4@@@@?

. 「吉田のアジア?)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際政治』第151?)X?g

?/X??@)??@f?N1??@H?J5f?J@??@?O&Yf?@@@@@@@@@@?e?W(MI'X?fO&Y??V)Kf

?@@@@@@@@@@@@@@?W@@@@@@@@@@@5?

?@0Mg@?I(Y?@?f

@@@@@@@?f@?e?I@?@?e3=g@LeV4@@@@@@@@e

(2008. 3).

日本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友好協?@@?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正統]中央本部 編. 『日中友好運動史』東京: ?@@?g?@Y?O)X?e

@@@@@@@@@@)?e?@h

?@@@@@@@@@f?@fO)X?

?@@@@@@@@@@@@@)?@@@@@@@@f@?f?@f@@@@@@@@f@?f?@f@@@@@@@@f@?f?@f@?e@@@5f@?e?I(Yf

年出版者, 1975.

高木早苗, �彰, @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正彦. 「佐藤?)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閣長命の?)X?g?@)?g?@H?g

@Ke?@fO)X?@@@@@@@@@@@@)?@?e?@f?@H?@?eJ@=?e?@e@??W.R46X??@e@??7H??B)X?@e@?J5f31?@e@?7HfV'?@e@?@?g?@e@?h?@e@?g?'@5e@?g?V+Ye

幕」. 『中央公論」第989@KfO@f@@@@@@@@f@?f?@f@?f?@f@@@@@@@@f@MfI@f

O)X??@@@@@@@@@@@@@)?

@?f?@X?e@@@@@@@@@?e@Mf?@H?e

?@f?@f

@@@5f?I(Yf

(1970. 1).

Page 15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田中明彦.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1945-1990』東京: 東京大?/X?/Xe?@f?N1?N1e?@f@??@eJ@L?e

@Kf?O&R)Xe?J@@@@@@@@@@@,e?7(Mg?W(Ye?(Y?f?O2@H?e

@@@@@@@@f?@(Mg?@Y?eO)X?

?@@@@@@@@@@@@@)??@h?@h

@@@5h?I(Yh

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91.

通商産業政策史編簒委員會 編. 『通商産業政策史16 統計∙年表』東京: 通商産業調査會,

1992.

萩原延?@@?g?@Y??O)Xe

@@@@@@@@@@@)eW(M?g

?O&YeO)X?e?@@@@@@@@@)?e

@?h?@@@@@@@@@@@@@@?

@?f?@?@e?@@@@@@@@@@@@@@??W@@[email protected]?e?@f

?W.Ye@?e?@f?.Y?f@@@5f

?I(Yf

. 「首相池田勇人論」. 『中央公論』(1964. 7).

萩原徹 (監修). 『日本外交史 (30) 講和後の日本 (Ⅱ) ?@(?f?O)XeC@U?@@@@@@@)e

?@@R1?e@?e@He?N@?@?e3L?J5?e3T5?eV/T&H?eN@U?e?S@@f?@1??O2@>@@@(?

?@@@5?@0MB@8W(Y?W@g@W&Ue7@1?@@@@@@@)e

?J@@@?f@?f?7Y@@?f@?f?@?@@=f@?O)X??@?@V4@@@@@@@@)??@hf

?)X?e?@@?f?3)Ke?@Y?O)X??V4@@@@@@@@@)??I'Xe?@(Me

?)X?@?V/K?C(Y?e?31?@??S@@@Uf?V'X@?O&0MI'@@(?N@@@@Ye?V@(Y??@e@@@@@@@HeC5e@?f@?e

?@@He@@@@@@@?e?N@Le@?f@?e31?J5?f@[email protected]?f@?e?@0Yg@?e

(上)』東京: 鹿島硏究所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72.

波多野澄雄. 『?@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しての日米安保?)X?hJ@)KeO@f7@@@@@@@f

?C@Xe?W@5f@0R/X?W&0Yf?N)?&Yg?C@@@@6Kf

?@@@@0Y@(MI4@@@??@Y?g

?@@@@@@@@@@@@@eW@@@V'X?f

?W&(Y@?V'6K?eO&0Y?@eV'@@(?

?@0Me?@e?V40Y??@h

約』東京: 岩波書店, 2010.

原彬久.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史の中の日本社?@@?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X?g@??@)??@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東京: 中公新書, 2000.

原彬久. 『岸信介?O)Xhe@@@)f?O)Xe

@@@@@)e?@@@@@@?e?@f

?@f@@@@f?@f

)X?@f@@@@e@)?@@@e@??@L?@H?@f@@@@@?@??@f@??@H?@??@f@??@e@??@f@@@@?J@??@W)X?@?I@?@@@@@@@)?@?hf

言@?fO)X?e

?J@Le@@@@)?e?7@1f?@H?eJ(?@e@@@@f7Yg?@W)X?

?J@@@@?@@@@@@@)??*U?@?f?@f?V4@@@?'@?J@?@(?

@??V'T&@W(Y?@?@1eN@Y@@He3X@5eC5?@@LeV'@YO2@H?@@)X??V@@0R'=?@?@,?

?'@@0MeV'@5?(Y??V+Mf?V+Yf

』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2003.

不破哲三. 『私の?/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六○年: 日本共産?)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議長の?O)Xhe@@@)f?O)Xe

@@@@@)e?@@@@@@?e?@f

?@f@@@@f?@f

)X?@f@@@@e@)?@@@e@??@L?@H?@f@@@@@?@??@f@??@H?@??@f@??@e@??@f@@@@?J@??@W)X?@?I@?@@@@@@@)?@?hf

言』東京: 新潮社, 2005.

林代昭 (渡邊英雄?O@??@K?eO)X?@@@??@@@@@@@)?

?@f?@H??@@@@@?@f?@e

?@f?@e@@@??@f?@e

?@@@@@@@e@@@??@e?@V@e@?@L?@e?@f@@@@?@e?@f@?@HJ5e?3L?e@?@?7He?N)Xe@@@?@?f3)X?@V'T5?fN@,?@?V+Y?f?(Y?

).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東京: 柏書房, 1997.@?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編. 『日本と中@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 正常化への道』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1971.@?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政治部 編.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 きょうとあす』東京: @?he

?J@?gO)X??7@@@@@@@@@@)?J@X?he

?W.R)KfO)X?e?.Y?@@@@@@@@)?e

@??@e?@Y?e?@@@@@@@@@@@@@@??@e@?e?@fJ5?J5?e?@L?e7YO&Y?e?@)Xe@@@@@@@@@@@)e@Mg?@f

@@@5f?I(Yf

日新聞社, 1973.

毛利和子. 『日中@K?O)X?@K?O)X?@@@@@)?@@@@@)?@?e@H?@e?@H?@@@@@??@@@@@e@?e@??@e?@e@@@@5??@@@@@e@?I'U?J@X??@e@??V)?&@1??@e@?@@@@@@@??@e@?e?@f?@e@?@@@@@@@@?@e@??W(?'Xe?@e@?W.Y?V'@6X@e@?.Ye?V4@@5e@?g?I(Ye

係: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から新時代へ』東京: 岩波書店, 2006.?O@?f@@f@@@?f@YO)X??O2@@@@@@@)?

?@@@@0M?e@?f@?f

@@@??@@@@@@@e

@@@?@@@@@@@@(?@?@W(MfW(Y?@@@(Y?@??@(Ye@?@He@??@H?e@?@?e@??@f@@@??J5??@?@e@V'=O.Y??@?@L?@?V40Ye?@@@@?

@@g@YeO)X?

@@@@@@@@@@@@)?@?g@?g

?@@@@@@@@@@@e

W2@@@@@@@@@@(?7(M?gW(Y?(Ye@?e@?.Ye?J5?e@?f?7H?e@?fJ5f@??@e

?O.Yf3=?@L??@@0Y?fV4@@@?

新聞政治部 編. 『自民?)X?g

@??@)??@f@??@H?J5f

@X@??@?O&YO)X??J@@@@@@@@@@@@,??7(MhW(Y??(Y?@KfO2(Ye

@@@@@@@@H?e@?f?@f@@@@@@@@f@Y@??@V@f?J5??@[email protected]??@e?@e

?O.Ye?3=??@L??@@0Y?e?V4@@@@?

の三十年』東京: ?O@?f@@f@@@?f@YO)X??O2@@@@@@@)?

?@@@@0M?e@?f@?f

@@@??@@@@@@@e

@@@?@@@@@@@@(?@?@W(MfW(Y?@@@(Y?@??@(Ye@?@He@??@H?e@?@?e@??@f@@@??J5??@?@e@V'=O.Y??@?@L?@?V40Ye?@@@@?

@@g@YeO)X?

@@@@@@@@@@@@)?@?g@?g

?@@@@@@@@@@@e

W2@@@@@@@@@@(?7(M?gW(Y?(Ye@?e@?.Ye?J5?e@?f?7H?e@?fJ5f@??@e

?O.Yf3=?@L??@@0Y?fV4@@@?

新聞社, 1985.?)X?e)X?)X?e?@)?e@)?@)?e?@f@Y?@YO@??@)T2@@@@@@@@?

?@@@@@U?@??@fW@XI4@@@@@@@@?7@1?f@?f

?J@@5??@@@@@@@e?7Y@H??@@@@@@@e?@?@e?@e@??@e?@?@e?@@@@@@@e?@e?@M?eI@e?@fW-T-K?e?@e?O&@0R4@@??@?@@0M?e?I@?

山宏彰. 『日中の障壁』東京: サイマル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94.

若宮啓文.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保守のアジア?@@?e?@K?O)X??@YO)X?@@@@@)?J@@@@)?@e?@H?.Y@?e?@@@@@e@?O@X@e?@e

?@@@@@@@@@e?@e?W@?@X?@@@@@eW&@@@1?@e?@e

?W&@@@@@?@@@@5e?.Y@?@e?@Y@@He?@@@@@eJ@@?e?@?@f7Y@?e?@?@W@KC5?@?@??@@@@@@(Y?@?@??@M??I(Ye@@@?

』東京: 朝日選書, 1995.

渡?/X?he?N1?gO)X?@?@@@@@@@@)?

?@e?@H??@e?@e?@e?@e

?O@?eJ@e?@e?@@@@?e75e?@e

@??J(Ye?@e@??7H?eJ5e@?J5e?O&He

[email protected]'@5?eO&@@U?eV'Y?e

?@(MI4)Kh?(Y?eI4@@@@@@@?

保男. 「?/X?@??)X?@6X?e?N1?@??@(?@V/?e@?@?J(Y?@?f

*Ue@?O)X?@KeV)K?@@@@)?@@@@@@@@@(M?e@?@??@e@??)X?@@@@@@e3)T@)?@@@@@@eN@@<e@Y@?I@e?@5?e@?f?@H?e

?@@@@@@@@?J@?@e@?e?W&@X@e@?eO.MI'@L?@??@0YeV4@?

後派官僚論」. 『中央公論』(1960. 9).

Page 15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57자민당 정권의 중국정책과 정경분리, 1955-1971 □ 서승원

Japan’s China Policy under the Rule of LDP and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1955-1971 :

Bureaucratic Politics, Faction Politics, and Pro-Chinese Alliance

(Korea University)Seung-won SUH

The San Francisco system had been one of the most decisive factor which had dominated the

Japan-China relations from 1955 until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in 1972. Everyone knows

that while coping with the Chinese incessant efforts to link Japan-China private trade to her goal

of diplomatic normalization, Japanese government under the rule of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had persistingly suggest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nalyse Japan-China private trade during one and half decades from an

angle of policy-making process, and to re-evaluate the policy substance of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To conclude, it had embraced multiple, relatively non-Cold War based

policy aspects such as the rejection of the Chinese principle of inseparability between politics

and economy, the sceptical responses to the U.S. containment policy toward China, and the

newly emerging pursuit of Japanese non-military, economic diplomacy. This kind of multiplicity

was mainly the result of three-layered patterns of policy-making processes, that is, the advance

of bureaucratic politics, the faction politics of LDP, and the transition of pro-Chinese alliance in

the society.

투 고 일 : 2011년 10월 8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1월 9일

Page 15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민족, 조국 귀속성, 현실의‘3중 경계문화정체성’을 중심으로*

남 근 우

(한양 학교)

【한 초록】

이 은 해방 이후 재일동포사회가 놓여 있던‘민족의 경계’, ‘조국 귀속성의 경계’

그리고‘현실의 경계’속에서 형성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 분석한다. 재일동포

사회의 문화정체성은 3중의 경계 속에서 각각 지킴과 투쟁, 갈등과 분열, 그리고 분화

하는 문화정체성으로 표출되었다. 이 은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3중 경계문

화정체성’으로 규정하고 각각의 경계가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3중 경계문화정체성으로

표출되었는지 문화정체성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살펴본다.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

성 연구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주로 재일동포나 일본인 학자에 의해 연구되어 왔

다. 이런 측면에서 이 은 한국의 정치학 분야에서 재일동포사회에 한 학문적 관심

을 환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 한다. 아울러 재일동포사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

래를 진단해 봄으로써 재일동포사회에 한 우리사회의 인식전환과 정책적 안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연구목적과 기존연구 검토

Ⅱ. 개념과 분석틀

Ⅲ. 민족의 경계: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

Ⅳ. 조국 귀속성의 경계: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

Ⅴ. 현실의 경계: 분화하는 문화정체성

Ⅵ. 재일동포사회 문화정체성의 미래와

제언

∙주제어: 재일동포, 자이니치(在日), 문화, 정체성, 문화정체성, Korean residents inJapan, Zainichi, culture, identity, cultural identity

� 차 례 �

�본 연구는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330-B0040). 이 은 2011년 한국정치세계학술 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당시 유익한 토론을 해주신 토론자 선생님과 이 에 해 세심한 논평을해주신 익명의 세 분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립니다.

Page 15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연구목적과 기존연구 검토

재일동포, 그들은 한국(북한)인인가, 반(半)일본인인가? 한 , 김치, 한복을 고수하는 것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이고 이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인가? 그렇

지 않다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무엇이고, 현재 어떻게 분화하고 있는가? 재일동포

사회의 문화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과 일본에서의 정주과

정이 재미∙재중동포사회와 다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 던 점도 유

념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을 전제로 이 은 해방 이전에 일본으로 이주한 올드커머(old

comer) 재일동포들이 해방 이후 일본에 정착하면서 그들과 그들의 후손들이 어떤 경계에 놓

여 있었고, 경계 간의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재일동포사회의 삶의 행위와 방식이 형성

되고 분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은 해방 이후 재일동포사

회가 놓여 있던 민족의 경계, 조국 귀속성의 경계, 현실의 경계 속에서 형성된 지킴과 투쟁,

갈등과 분열, 그리고 분화하는 문화정체성을‘3중 경계문화정체성’으로 규정하고 문화정체성

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해방 이후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역사적으로 그들이 처해 있던 3중의 경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첫째,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은 일본인의 타자로서 재일동포 그리고 재

일동포의 타자로서 일본인이라는‘민족의 경계’를 구획하 다. 재일동포사회는 한민족과 일

본민족의 경계에서 일본사회의 차별과 억압에 응하기 위해 민족을 이데올로기 삼아 동포사

회의 단결과 응집을 도모하는 과정에서‘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둘째, 재

일동포사회는 해방 직후‘조국 귀속성의 경계’에도 놓여 있었다. 한반도에 상호 적 적인 두

정부가 수립되면서 비롯된 한반도의 정치적 갈등과 분열은 재일동포사회에도 그 로 투 되

었다. 재일동포들은 한국과 북한 중 어느 한 곳을 정치적 조국으로 삼게 되면서 재일동포사회

에‘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이 형성되었다. 셋째, 일본에서 출생한 2세 이하가 재일동포

사회의 중심 행위자로 등장한 1970년 이후부터 재일동포사회는 일본사회에 정주할 수밖에

없는‘현실의 경계’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1세가 중심이 되어 형성되었던 기존의 두 개

의 경계문화정체성은‘숨기기’, ‘권리 찾기’, ‘뿌리 찾기’등‘분화하는 문화정체성’으로 급

격하게 재구성되고 있다.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순수한 동포애적 측면이다. 재일동포들은 식민지시기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사회의 차별 속

에서 살았으며, 해방 이후에는 한반도에 적 적인 두 개의 정부가 수립되면서 재일동포사회

역시 민단과 총련으로 양분되어 정치적으로 결하 다. 이 과정에서 민단계 재일동포와 총

련계 재일동포들은 각각 한국과 북한의 경제재건에 상당한 기여를 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재일동포들은 한국과 북한정부로부터 그들의 기여에 상응하는 우를 받지 못하 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우리는 재일동포사회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지도 않고 있다. 재

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는 재일동포사회에 한 동포애적 관심의 시작이다.

둘째,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는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반드시 필요하

Page 15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1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다. 통일한국은 한국과 북한 그리고 재중∙재일동포사회의 분절화된 다양한 문화정체성을 맞

이하게 될 것이다. 이는 통일 이후 한민족 간의 타자화된 문화적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

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는 남북통일

에 비한 재외동포사회에 한 문화적 접근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는 우리의 문화적 국익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재일동

포들은 한민족의 문화정체성과 일본의 문화정체성을 함께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최

근 귀화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법무성의 자료에 의하면, 재일동포는 1991년

693,050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여 2009년에는 578,495명으로 15.9%가 감소하 다. 특

히, 해방 이전에 일본으로 건너가 살아온 사람과 그 후손들인 특별 주권자가 매년 1만여 명

씩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2005년 447,805명에서 2009년에는 405,571명으로

42,234명이 감소하 다.1) 특별 주권자가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자연수명의 다함과 귀화를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은 추세로 귀화자가 증가한다면 산술적으로 30-

40년 후에는 특별 주권자가 모두 일본인으로 귀화하게 될 것이다. 재일동포사회의 존재여

부와 관계없이 한일관계는 국익적 차원에서 협력과 동반자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

본에서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문화첨병의 역할을 수행해 왔던 재일동포, 특히 특별 주권자

의 소멸은 물질적 국익과는 차원이 다른 문화적 국익의 소실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치학 분야에서 재일동포사회

의 문화정체성과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인접 학문분과나 재일동포 및 일본

인 학자에 의한 연구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현실은 우리의 정치학 분야에서 재일동포

사회의 문화정체성 연구가 얼마나 척박한지 말해준다. 최근 국내외에서 연구된 재일동포사회

의 문화정체성 연구를 분류해 보면 크게 세 분야로 나뉜다.

첫째는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국적’의 측면으로 접근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는 일본인으로 귀화하는 것을 당연시하여 민족정체성을 새롭게 창조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연

구와 한국(조선) 국적을 유지하면서 민족정체성을 지켜야 한다는 연구로 구분된다. 먼저, 김

양기(�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2)와 김태 (�泰泳)3)은 재일동포들이 귀화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새로

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를 창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4) 김현선은 일본인으로 귀화하지

1) 法務省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局, 『出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平成22年版)』(東京: 法務省, 2010), p. 102.

2) �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 『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人か日本人か』(東京: サイマル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86).

3) �泰泳, 강석진 역, 『저항과 극복의 갈림길에서』(서울: 지식산업사, 2005).

4) 일본 국적 취득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으로는 다음을 참조할 것. 白眞勳, “人生O)X??@?@f

?@@@@@)??@@@f?@f?@eO@e?@W@K??@W2@@eJ@@@@@@@@@X?e7(Y@e?@?S)Xe

?J@Y:5e?@W&@1e?7@@@H?@@@@Y?@L??@?'@?f@@@@@??N@?@@@@@X@?e?J5?fB@5?e?7H?fJ@H?eJ5f?O&@T&e

?W.Ye?O20MI'@L??.Y?e@0M?eV4@?

40年は日本籍でいきてみようと@?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化,”白井美友紀(編),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り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

在日コ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石日,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や民族が私を選ぶのではなく私が@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と民族を選ぶ,”

白井美友紀(編) (2007); 坂中英德, “權利として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求める運動は戰後の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の運動

のなかで最も劃期的,”白井美友紀(編) (2007); 河炳俊,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取得の權利を?@@?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現しマイノテイとし

ての在日の地位を確立,”白井美友紀(編) (2007); 韓昌祐, “私は永遠に朝鮮民族であり權利として堂○

と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得,”白井美友紀(編) (2007). 물론, 반 의견도 있다. 신숙옥(辛淑玉)은 국적을 포기하고

일본사회에 귀화하면 민족정체성은 상실되고 말 것이라고 주장하 다. 辛淑玉, 강혜정 역, 『자이니치(在

日), 당신은 어느 쪽이냐는 물음에 하여』(서울: 뿌리와이파리, 2006). 또한, 민단 신주쿠지부 조명 단

장 역시 일본인으로 귀화해서 제3의 민족문화정체성을 창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하 다.

Page 15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않고 한국과 조선 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재일동포 2, 3세에 한 심층면접을 통해 국적을 포

기하지 않고 민족정체성이 유지되고 있는 이유를 고찰한다.5) 귀화에 한 의견을 공유하고 있

으나, 그 의도가 전혀 다른 경우로서 일본 우파의 전형적인 시각을 표출하고 있는 사또 가즈

미(佐藤勝巳)의 주장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는 미국, 중국에 살고 있는 소수민족은 그 나라

의 국적을 취득해 그 나라의 국민으로 살고 있는데 재일동포만 한국 국적을 유지하면서 일본

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적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재일동포사회가

민족교육론이나 공존공생론을 주장하는 것은 일본의 국민화 논의에 안티테제로 작용해 오히

려 민족 간의 립만을 부추길 것이라고 주장한다.6)

둘째는 1990년 후반부터 일본에서 다문화공생 개념이 등장하면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

정체성을 일본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지향 가능성에 맞춰 접근하는 연구이다. 서용달(徐龍

達)과 박종석(朴鐘碩)에 의하면, 일본사회가 다문화 공생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일본사회

에 뿌리 깊게 남아 있는 단일민족 의식에 의한 문화적 배타의식을 청산해야 하는데 재일동포

사회가 그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7) 오구마 에이지(小熊英二)는 일본사회에

재일한국(조선)인을 비롯한 소수민족과 외국인 노동자가 공존하고 있는 현상을 살펴보면서

협소한 일본인 개념을 보다 넓은 개념의 일본인 개념으로 확 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8) 박종

명(朴鐘鳴)은 국제화시 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타자 혹은 차이에 한 인식이 요구되고 나아

가 나와 타자 간의 공통점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점에서 일본인의 타자

로서 재일동포에 한 이해가 일본사회에도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9)

셋째는 재일동포사회의 세 간 정체성의 변화를 일본사회에서 각 세 가 당면했던 역사성

과 연계시켜 분석하는 연구이다. 후쿠오카 야스노리(福岡安則)는 젊은 재일동포들의 정체성

을 피억압 역사의 중시경향과 정주 중시경향의 두 기준에 따라‘조국지향형’, ‘공생지향형’,

‘개인지향형’, ‘귀화지향형’의 4가지로 유형화한다.10) 그러나 이러한 유형화는 1980년 말

의 인터뷰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젊은 재일동포들의 정체성의 변화까지 포괄하지

못한다. 이에 반해, 소냐 량(Sonia Ryang)은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한국인 일본

인’의 구도로만 분석하지 않고 일본사회에서 일본인으로 살아가면서 다양하게 재구성되고 있

음을 분석한다. 소냐 량은 정주지향의 성향이 강한 재일동포들은 한국인 일본인의 구도 속

에서 집단적으로 형성되었던 정체성에서 벗어나 일본인으로 살아가면서 갖게 되는 남성

여성의 문제, 노인 젊은이의 문제, 재일동포 상호간의 문제, 한국인과 재일동포간의 문제

등 정체성이 보다 세분화되어 개인별로 다양하게 재구성되고 있음을 분석한다.11)

5) 김현선, “국적과 재일 코리안의 정체성,”『경제와 사회』통권 제83호 (2009).

6) 佐藤勝巳, 『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に問う』(東京: O)X?

?@@@@@@@@@@@@@)??@f@?f?@f@?f

?@X@f@W)Xe?@@@@@@@@@@)e?@?@f@?@He?@?@f@?@?e?@@@@@@@@@@?e?@Y@f@V@?e?@f@?f?@f@?f?@f@?O)X?

?@@@@@@@@@@@@@)?

紀書房, 1992).

7) 徐龍達, 서윤순 역, 『다문화공생 지향의 재일 한조선인』(서울: 도서출판 문, 2010); 朴鐘碩, 上野千鶴

子 ほか, 『日本における多文化共生とは何か』(東京: 新曜社, 2008).

8) 小熊英二, 『私たちは今どこにあるか』(東京: 每日新聞社, 2011).

9) 朴鐘鳴 編著, 『在日朝鮮人の?@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文化』(東京: 明石書店, 2006).

10) 福岡安則, 『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 若い世代のアイデンティティ』(東京: 中公新書, 1993), p. 89, <@KhO)X?@@@@@@@@@@@@)?@?h?@H?@?e?/X??@?@e@?/X?N1?J@?@e@?N1e@?75?@e@?J@e?J@H?@e@?@@@6T&5??@e@?e?S@@U??@e@?eO.MI'@?@e@?W20YeV'?@e@?.Mg?@e@?h?@e@@@@@@@@@@@@e@MhI@e

3>;

福岡安則, 『同化と異化のはざまで』(東京: 新幹社, 2000), pp. 5-7.

Page 15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3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이 은 기존 연구의 결과들을 수용하면서도 기존 연구와 달리 문화정체성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 유형화한다. 특히, 이 은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

성을 형성시키고 변화시킨 요인을 구체적으로 재일동포사회의 역사성과 행위주체의 정치성

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3개의 경계로 상정한다. 그리고 3개의 경계에서 형성된 재일동

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의 실재가 집단으로서의 재일동포사회와 개인으로서의 재일동포에게 어

떻게 수렴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재일동포사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해 성찰하며 나아가 재일동포사회에 한 인식의 재정립과 그에 따른 정책적 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Ⅱ. 개념과 분석틀

분석에 앞서 이 장에서는 문화정체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 분

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모색한다. 사실, 문화와 정체성의 개념만큼 추상적이고 복잡한 개념도

드물 것이다. 특히, 문화는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공동의 정의를 내리기 어

려운 개념이다. 표적인 문화학자인 윌리암스(Raymond Williams)에 의하면, 문화의 개념

은 역사적으로 복잡하고 추상적인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기 때문에 오늘날 세 가지의 의미를

지닌다고 지적한 바 있다.12) 첫째는 지적, 정신적, 미학적 발달의 전체적인 과정으로서의 문화

이다. 둘째는 특정한 국민, 시 , 집단 등 인간들의 특정한 생활양식으로서의 문화이다. 셋째

는 음악, 문학, 회화와 조각, 연극과 화, 철학, 학문 등 예술활동의 실천이나 작품을 의미하

는 문화이다.13)

11) Sonia Ryang, “Diaspora and Beyond: There is No Home for Koreans in Japan,”THEREVIEW OF KOREAN STUDIES 4-2 (2001); Sonia Ryang, “Resident Koreans in Japan,”

in Sonia Ryang (ed.), Koreans in Jap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pp. 1-12.

12) Raymond Williams, Keywords (London: Fontana Press, 1976), pp. 87-91. 윌리암스가 분류

한 세 가지 이외에도 산업으로서의 문화개념도 있다. 산업으로서의 문화는 문화가 하나의 상품으로 생

산되고 판매되는 현 산업의 새로운 유형으로서 흔히 문화산업이라 일컫어진다. 문화산업은 프랑크

푸르트학파의 아도르노(T. W. Adorno)가 산업에 의한 문화의 왜곡현상으로서 문화의 상품화를 비판

하면서 문화가 경제논리에 의해 침해받는 현상을 문화산업으로 비판하면서 사용했던 용어이다. 아도

르노는 자본주의의 논리와 그것의 생산관계가 문화에 침투하여 인간과 사회가 지닌 개별성 혹은 차이

를 동일화시켜 보편화시키는 현상을 산업에 의한 문화의 왜곡으로 보고 문화산업을 비판하 다. 테오

도르 아도르노, 김유동 역, 『계몽의 변증법』(서울: 문학과지성사, 2001).

13) 이외에도 문화를 세 가지로 유형화한 학자로는 질스(Judy Giles)와 미들턴(Tim Middleton) 그리고

김남국을 들 수 있다. 질스와 미들턴이 유형화한 문화는 첫째, 예술적이고 지적인 성취물을 묘사하는

집합명사로서의 문화이다. 둘째는 기업문화, 특정 청년 하위문화와 같이 비교적 제한된 사회 역에서

의 배경문화이다. 세 번째는 공통되거나 독특한 생활방식으로서의 문화이다. J. Giles and T.

Middleton, Studing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1999), p. 10.

김남국도 문화를 세 가지로 분류하 는데, 첫째는 인류의 축적된 물질문명으로서의 문화이다. 둘째는

예술적∙과학적 창조의 과정으로서의 문화이다. 세 번째는 생활의 양식으로서의 문화이다. 김남국,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국제정치논총』제50집 ⑴호 (2010), pp. 264-265.

Page 15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이처럼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에 해 필자는 문화의 세 가지 특징에 주목해

문화의 개념을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는 상 성을 지닌다. 문화는 행위주체(행위자 혹

은 행위집단)가 누구냐에 따라 문화의 목적과 의도가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는 특정

계급과 집단만의 상화된‘그것’에 국한되지 않고 보통사람들과 집단의 삶과 행위의 경험에

서 발현되는‘그것’까지 포괄한다. 둘째, 문화가 상 성을 갖는다는 것은 곧 문화가 타자성을

지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화는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맺으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만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갖는다. 문

화가 타자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문화는 결코 정태적이고 고정불변적인 상

화된‘무엇’이 아니다. 문화는 끊임없이 변하면서 개인과 집단의 삶에 향을 주고, 그로부터

향받는 동적 과정인 것이다. 클리포드(James Clifford)가 문화를 어떤 실체가 아니라 이

동하고 개입하고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장소라고 규정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

다.14) 그렇기 때문에 윌리암스는 자신이 분류한 세 가지의 문화가 각각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의 상호관련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하 다.15) 결국, 문화는 베넷

(Tony Bennett)과 윌리암스가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듯이, 특정 계급과 집단이 만들어낸 예

술, 학문, 가치, 신념뿐만 아니라 특정 계급 이외의 보통사람과 보통집단이 형성시킨‘그것’

까지 포괄한다.16) 나아가 문화는 행위주체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일상적인

행위에서 표출되는 의미와 가치를 함축하고 있는 삶의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은 문화를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와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체험된 다양한 삶의 행위와

방식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의 다양한 역에서 나타난 표현양식을 포함한 생활양식으로 파

악하고자 한다. 그러나 김남국도 중요하게 지적하고 있듯이, 생활양식 자체를 문화로 보기는

어렵다. 김남국에 의하면, 생활양식이 문화가 되기 위해서는 특정 생활양식이 사람들 사이에

서 공유되고 학습을 통해 다음 세 로 전수되어야 한다.17) 이 말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경험

된 생활양식을 문화라고 상술했던 것과 연관지어 보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공유된 경험이

학습과정을 거쳐 다음 세 에 전수된다는 말과 상통한다. 따라서 문화는 특정계급과 집단만

의 공유되고 학습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보통사람들과 집단이 공유하고 학습해 경험된 생활

양식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화의 세 번째 특징은 문화의 상 성과 타자성으로 인하여 행위주체들의 공통된 이해관계

나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관계나 인식은 행위주체들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같음’과‘다름’으로 헤쳐모여의 재구성 과정을 거쳐 행위주체들은 각각‘같음’

과‘다름’의 문화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거친다. 그렇기 때문에 행위주체들의 공통된 이해관

계와 인식은 무엇인지, 즉 정체성이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수밖에 없다. 이 점

14) James Clifford, “Travelling cultures,”in L. Grossberg, C. Nelson, and P. Treichler

(eds.), Cultural Studies (New York: Routledge, 1992), p. 101.

15) Raymond Williams, The Long Revolution (New York: Broadview Press, 2001), p. 63.

16) Tony Bennett, Culture: A Reform’s Science (London: Sage, 1998), p. 28.

17) 김남국 (2010), p. 265.

Page 16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5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은 웨이거트(Andrew J. Weigert)도 지적하고 있는데, 정체성은 개인과 집단이 속한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18) 이 이 문화와 정체성을 개별적인 것으로 보

지 않고 문화정체성으로 분석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개인의 사회화 과정으로 정체성을 분석한 기든스(Anthony Giddens)에 의하면, 정체성은

행위주체가 일정한 시간을 거치면서 자신이 속한 문화 속에서 타 행위주체와 상호관계를 맺

으면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 지속적으로 자신이 그 문화의 일원임을 깨달을 때 형성된다.19)

따라서 정체성은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이 속한 집단의

문화 속에서 이해관계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그럼으로써 다른 집단의 문화와 차별성을 확인한

다. 사실, 집단의 문화 속에 모든 행위자의 정체성을 동일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동일성의 문

제는 정체성을 논의할 때 가장 논쟁적인 부분이다.20)

그 이유는 첫째,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닌 개인들을 어떻게 집단의 정체성으로 집합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과연 고정되고 불변하는 개인과 집단

의 정체성이 존재할 수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체

성은 동일성의 측면과 시 와 상황에 따라 변하고 재구성되는 측면 모두를 지니고 있음에 주

목해야 한다. 동일성의 문제는 사회구성원들이 타집단과 구별되는 자신들만의 이해관계나 가

치를 공유하고 있다면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을 동일화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정체성의 형성

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타 행위주체와의 상호관계이기 때문이다.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공통된 경험을 갖고 그들과 립되는 이해관계를 분명히 인식할 때 자신들

만의 문화가 형성된다는 톰슨(E. P. Thompson)의 지적은 동일성이라는 정체성의 문제가 여

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말해준다.21) 라레인(Jorge Larrain) 역시 정체성의 형성과정에서 타자

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지적한 바 있다.22) 그 이유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주체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체성은 타 행위주체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집단의 이해관계의 동일성을 확인한다. 그렇기 때문

에 정체성은 항상 나와 타자를 구별함으로써 차별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한 정치와 권력

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구별짓기를 통해 정체성은 그것이 개인적이든 집합적이든 어

떤 의미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구별짓기를 통해 생산된 의미는 공통된 이해관계로서 다음

18) Andrew J. Weigert, J. Smith Teitge, and Dennis W. Teitge, Society and Identity:Toward a Sociological Psych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9) 앤서니 기든스, 김미숙 외 역, 『현 사회학』(서울: 을유문화사, 1992), p. 79; 앤서니 기든스, 권기

돈 역, 『현 성과 자아정체성: 후기 현 의 자아와 사회』(서울: 새물결, 1997), p. 90.

20) 정체성에 한 유명한 근 적 정의를 내린 로크(John Locke)는 정체성을 불변하는 동일한 인격으로

규정한 바 있다. 존 로크, 이재한 역, 『인간오성론』(서울: 다락원, 2009), pp. 83-85. 그러나 이러

한 근 적 정의는 탈근 화론자들과 울리히 벡(Ulrich Beck), 앤서니 기든스 등 소위 성찰적 근 화

론자들의 거센 도전을 받았다. 탈근 화론자들은 본질적으로 고정되고 불변하는 정체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성찰적 근 화론자들은 로크적인 근 적 정체성 개념과 근 화론자들의 정체성

개념을 넘어 현 사회의 불확실성의 증가로 정체성은 재구성된다는 측면을 강조한다.

21) E. P. 톰슨, 나종일 역, 『 국노동계급의 형성 (상)』(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0), p. 7.

22) Jorge Larrain, Ideology and Cultural Identity: Modernity and the Third WorldPresence (Cambridge: Polity Press, 1994), pp. 141-166.

Page 16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세 의 행위자들에게 전수된다. 이때 전수된 정체성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정체성이지만 전수

과정에서 다양한 상황적 변수가 개입된다면 재구성되기도 한다.

재일동포사회의 정체성 역시 동일성의 측면과 변화하고 재구성되는 측면 모두를 지닌다.

즉, 재일동포사회는 한편으로는 일본민족을, 다른 한편으로는 재일동포 서로를 타자화하면서

공통된 경험을 갖게 되었다. 일본민족을 타자화하면서 형성된 공통경험은 지킴과 투쟁의 정

체성을 형성하 고, 재일동포 서로를 타자화하면서 형성된 공통경험은 갈등과 분열의 정체성

을 형성하 다. 재일동포사회는 일본 그리고 재일동포 상호 간에 구별되는 자신들만의 이해

관계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인으로서의 재일동포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정체

성과 동일화되었다. 이러한 동일화 과정은 한편으로는 일본을 타자화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

로는 재일동포 서로를 타자화하기 위해 정치와 권력이 개입하여 재일동포사회는 차별성과 특

수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재일동포사회의 정체성은 후 에 전수되는 과정에서 재일동

포사회가 정주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역사성에 직면하면서 재일동포들은 동포사회의 정체성

에서 벗어나 일본사회에서 자신의 이해관계와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개인과 집

단의 정체성은 일치하지 않고 재구성되어 다양한 정체성으로 분화되고 있다. 따라서 정체성

은 동일성의 측면과 재구성되는 측면 모두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 로 문화정체성을 개념화하면 다음과 같다. 행위주체가 자신이 속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 행위주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되고 학습된 총체적인 삶의 행위와

방식이 문화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타 행위주체와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해 정

치와 권력이 개입하여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문화에 적응해 가면서 동일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타 행위주체의 문화와 차별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정체성은 시 와 상황에 따

라 변화하면서 어떤 의미를 생산하고 그것이 다음 세 로 전수된다. 다시 말하면, 문화정체성

이란 차별화되고 특수한 삶의 행위와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공유되고 학습된 행위주체 자신

만의 가치체계이다. 이것은 특정한 의미를 생산하고 다음 세 의 문화로 전수되는 것이다. 문

화정체성의 형성과정을 도식화하면 <그림 1>과 같다.

16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그림 1> 문화정체성의 형성과정

주체의 문화정체성

(다음세 ) 문화

사회구성원(집단)

A

의미 전수 전수

B C

구별짓기

구별짓기

적응

타주체의 문화정체성

(다음세 ) 문화

사회구성원(집단)

D

E F

구별짓기

적응

의미

Page 16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7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따라서 문화정체성은 역사성, 행위의 정치성, 사회적 다양성을 지닌 구성물이라고 할 수 있

다.23) 첫째, 문화정체성의 형성과정에는 시간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문화정체성은 기본적

으로 역사성을 갖는다. 둘째, 문화정체성은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

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한 구별짓기 과정이기 때문에 행위의 정치성이 개입한다.

셋째, 문화정체성은 다양한 사회적 행위주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한 경험들을 그들만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사회적 다양성을 갖는다.

이 은 지금까지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을 중심으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

을 분석한다. 첫째,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었던 역사성을 파악한다. 재일

동포사회는 역사적으로‘민족’, ‘조국 귀속성’, ‘현실’의 3중 경계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3

중 경계의 역사성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어떤 구조로 작용했는지 분석한다. 둘째,

문화정체성의 형성과정에는 그것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해 정치와 권력이 개입하

기 때문에 3중 경계문화정체성을 형성시킨 행위주체의 정치성을 파악한다. 셋째, 3중의 경계

속에서 역사성과 행위의 정치성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시킨 경계문화정체성의 다양한 실재

를 파악한다.24) 재일동포사회 3중 경계문화정체성의 분석틀은 <그림 2>와 같다.

23) 라레인은 문화정체성이 다양한 요소들의 구성물인 이유에 해 문화정체성이 역사적으로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계급이나 집단의 이익과 세계관이 투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 다.

Jorge Larrain (1994), p. 164. 따라서 문화정체성의 분석은 그것이 형성되었던 역사성, 주체, 다양

한 집단의 이익 혹은 세계관이 무엇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24)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역사성만을 강조하면 행위주체들의 행위와 그 상호관계에 의한 사회적 다양

성은 간과될 수 있다. 반 로 행위주체들의 주관적인 행위와 그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역사성이

간과될 수 있다. 따라서 재일동포사회의 3중 경계문화정체성은 기본적으로 구조와 행위의 관계에

한 통합적인 시각을 요구한다. 이것은 주체를 구조로 환원시키려는 알튀세르(Louis Althusser)나 구

조를 행위의 결과로 환원시켜 행위주체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엘스터(Jon Elster) 모두를 경계해야 함

을 의미한다.

<그림 2> 재일동포사회의 3중 경계문화정체성

역사성

행위주체(정치성)

사회적다양성

3중 경계문화정체성

재일동포

지킴과 투쟁의 경계문화

민족의 경계

갈등과 분열의 경계문화

조국 귀속성의 경계

분화하는 경계문화

현실의 경계

구별짓기

적응 적응

구별짓기

Page 16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Ⅲ. 민족의 경계: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

재일동포사회의 경계문화정체성 가운데 가장 먼저 형성된 것은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

이다.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은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에서 비롯되었다. 재일동포사

회 형성의 역사성은 일본인의 타자로서 재일한국(조선)인 그리고 재일한국(조선)인의 타자로

서 일본인이라는 민족의 경계를 구획하 다. 민족의 경계에서 재일동포사회는 일본인으로의

귀화와 동화를 거부하고 일본인과 일본사회에 한 타자로서 자신들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지

키기 위해 정치단체를 조직하 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민족정체성과 동포사회의 권리 및

생존권 확립을 위한 다양한 투쟁을 전개하 다. 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은 고국과의 문화적

연 와 정체성을 지켜나가게 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 다.

통계에 의하면, 1910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으로 이주해 간 동포들은 모두 1,936,843명

에 이른다.25) 1909년에 790명에 불과했던 재일동포가 경술국치 이후 거 도일(渡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점은 도일했던 재일동포 인원의 증가시기를 살펴보면 재일동포사회가

자율적인 이주를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의한 타율적인 정착이었음을

알 수 있다. 경술국치부터 해방 직전까지 일본으로의 이주인원의 변화는 크게 세 번 있었다.26)

첫째는 일본이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한 1910-1918년 기간이다. 토지조사사업으로 자작농들

이 거 몰락해 농민들의 빈궁화가 촉진되자 경제적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1910년부터 매

년 수천 명의 동포들이 일본으로 이주하 다. 둘째는 일본이 산미증산계획을 실시했던

1922-1934년 기간이다. 산미증산계획으로 1930년 조선의 총경작지 면적의 55.6%가 소작

지로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소작농민은 전체 농민 중 46.5%에 달하 다.27) 토지조사사업과

산미증산계획으로 농민들의 경제적 빈궁화가 심해지자 이 기간에만 매년 수만 명의 동포들이

일본으로 이주하 다.28) 그러나 경술국치 이후부터 1930년 초반까지 세농민들의 일본으

로의 이주를 자발적 이주로 보기 어렵다. 상술했듯이 조선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의 일환

으로 진행된 토지조사사업과 산미증산계획으로 세농민이 증가하 다. 더군다나 1차 세계

전의 발발로 일본의 산업이 호경기를 맞이하자 일본인들도 기피했던 산업직종에 동포들을 값

싼 노동력으로 모집함에 따라 많은 동포들이 고국에서의 열악한 경제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25) http://www.mindan.org/kr/shokai07.php (검색일: 2011. 8. 1). 1945년도의 정확한 재일동포

인원 통계가 없는 관계로 해방 당시 일본에 거주했던 재일동포 인원은 자료마다 일치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권인섭(?)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은 일본제국통계연감(日本帝@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統計�鑑)과 내무성경보국조사(內務省警保局

調査)를 활용하여 해방 당시 약 210만여 명의 재일동포가 거주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 “在日朝

鮮人社?@@?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の形成,”朴鐘鳴 編著, 『在日朝鮮人の?@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文化』(東京: 明石書店, 2006), p. 91. 그러나 강

철(姜徹)의 자료에 의하면 240만여 명이 체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姜徹, 『在日朝鮮韓人史?@@?f?)X?e?@Y?e)X?@,?e

?/T@@@e@,?3U?e?N@Y@H?J(Y?V)Ke3@@??7H?@@@@(?N@@L?@?J@XI(Y??@V)X?W&R)X?e

?@@@@@)?&@@@)?e@Xe?I'Xf

@?@1fN1f@?@@?@?)T5?/X?

?J5?@@T5?@(Y?N1??7H?@V@H?@H?@?@??@e@?@??3=?@Le

@?e?V4@@@e

合年表:

在日同胞120年史』(東京: 雄山閣, 2002), p. 230.

26) 경술국치에서부터 해방 직전까지 도일한 인원 통계는?)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 (2006), p. 91 <표 1>을 참조할 것.

27) �贊汀, 박성태∙서태순 역, 『재일 한국인 백년사』(서울: 제이앤씨, 2010), p. 67.

28) 토지조사사업과 산미증산계획으로 농민들의 빈궁화가 진행되자 주로 한반도 남부 지방 농민들이 일본

으로 이주하 다. 이 점은 1938년 일본 내무성 자료에서도 확인된다. 자료에 의하면, 당시 재일조선

인 가운데 38도선이남 지역 출신자가 96%에 달했고, 이들 중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출신이 전체의

8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菊池嘉晃, 『北朝鮮@?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事業』(東京: 中央公論新社, 2009), p. 12.

Page 16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69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도일했던 것이다.29)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당시 재일동포들의 직업이다. 1920년 방적, 광

산, 일용직 인부, 토목공사장의 막노동에 종사했던 동포들은 전체 재일동포 가운데 8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셋째는 1939년-해방 직전까지의 기간이다. 이 기간의 이주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에 동

원할 인력을 수급하기 위한 일본정부의 계획에 의한 것이었다. 일본은 1937년 중일전쟁의 발

발로 1938년‘국가총동원법’을 실시했고, 이에 근거하여 1939년‘노무동원계획’을 마련하

다. 이 계획에 의해 일본 내무성과 후생성은‘조선노무자 내지 이주에 관한 건’을 발령해서 8

만5천 명의 조선인 노무자를 모집하도록 일본 기업에 허가하 다.31) 이것이 조선인 강제징용

의 시작이다. 그러나 일본은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지 못하자 1942년 각의결정으로 13만여

명의 조선인을 강제로 연행해 오는‘반도 노무자 활용에 관한 건’을 결정하고 행정력과 경찰

력을 동원하여 조선인 강제연행을 실행하 다. 이후 1944년 4월에는 조선인 징용령을 발동

하 다.32) 이러한 일련의 계획으로 이 시기 일본으로 이주한 인원은 1945년을 제외하고 매년

평균 20만 여명에 이른다.

이와 같이 일본의 식민지 정책으로 해방 직전인 1945년에는 200만 명 이상의 동포들이 일

본에 거주하 다. 이들 중 134만 명이 1945년 8월부터 1946년 3월까지 한국으로 귀국하

다. 이 가운데 94만 명은 일본의 계획송환에 의해 귀국했고, 나머지 40만 명은 자력으로 귀

국하 다.33) 이후 한국전쟁 직전까지 10만여 명이 추가로 귀국해 1950년까지 한국으로 귀국

한 사람들은 모두 140만여 명에 이른다. 당시 귀국하지 않고 일본에 잔류했던 사람들은 오랜

기간 일본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다. 1959년 일본 법무성이 조사한 재일동포의 인원은

607,533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전시동원기(1939-45년)에 도일했던 사람은 불과 6.7%인

40,461명에 불과하 다.34) 이 통계가 의미하는 바는 해방 직후 귀국한 사람들의 부분은 일

본에 생활기반이 없던 사람들로서 전시동원기에 강제로 연행 혹은 징용되어 왔던 사람들이라

는 점이다. 이들은 짧은 기간 동안 일본에서 체류했기 때문에 일본에 정주하려는 의식보다는

귀국지향의 성향이 강하 다. 따라서 해방 직후의 규모 귀국은 재일동포들의 정치적 성향

보다는 귀국지향성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일본에 남아 있던 사람들의 다수

는 전시동원기 이전 즉, 1910-30년 에 도일했던 사람들임을 의미한다. 이들은 일본에서 오

래 거주했기 때문에 고국에서의 생활기반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귀국자들로부터 한반도의 혼

29) �贊汀 (2010), p. 29.

30) 菊池嘉晃 (2009), p. 14.

31) ?)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 (2006), pp. 103-104.

32) ?)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 (2006), p. 107.

33) 日本赤十字社, 『在日朝鮮人@?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問題の?@@?g?@Y??O)Xe

@@@@@@@@@@@)e?@h

@@@@@@@@f@?f?@f@@@@@@@@f@@@@@@@@f@?f?@f@@@@@@@@f

O)X??@@@@@@@@@@@@@)?

W@X?I4@Xf?O&@@?eI4@@e@0M?gI@e

相』(日本赤十字社, 1956), p. 2. 강철에 의하면, 이 기간에

계획송환에 의해 귀국한 사람들은 모두 940,438명으로 일본적십자사 자료와 일치한다. 그러나 자력

으로 귀국한 사람들, 즉 정규루트가 아닌 비정규루트로 귀국한 사람들은 81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어

일본적십자사 자료와 약 40만 여명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姜徹 (2002), p. 230. 한국으로의 귀국과

달리 북한으로의 귀국은 사세보(佐世保)-흥남 루트로 1947년 3월 15일에 233명, 6월 26일에 118명

등 모두 351명에 불과하 다. 菊池嘉晃 (2009), pp. 20-21.

34) 菊池嘉晃 (2009), p. 13.

Page 16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란한 정치, 경제 상황을 전해 듣고 귀국을 보류하거나 단념했던 사람들이다.35) 현재의 재일동

포사회는 바로 이 당시 귀국하지 않고 일본에 잔류했던 재일 1세와 일본에서 출생한 이들의

후손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은 해방 이후 재일동포사회

가 어떠한 역사성에 직면해 있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해방 이후 재일동포의 부분은 노동환경이 열악한 직종에서 저임금을 받으면서 생활하거

나 실업상태에 놓여 있었다. 1950년 재일동포들의 직업구성을 살펴보면, 고철과 고물 수

집, 빠칭코 가게, 음식점 등이 부분임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직업이 있는 경우보다 실업자

가 더 많았다고 한다. 1952년 재일동포 취업연령의 60%가 실업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생활보호비로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1956년 3월 기준으로 일본인 생활

보호 상자가 2%인 반면, 재일동포 생활보호 상자는 전체 재일동포 가운데 24%에 이르

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36) 재일동포들은 생활상의 제약과 더불어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

화조약의 발효로 모두 외국인 신분으로 바뀌면서 일본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재일동포들은 취

학, 취직, 사회보장 및 생활상의 권리 면에서 많은 제약을 받았다.

이처럼 해방 이후 일본에 잔류했던 재일동포들은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과 각종 차별을 받

으면서 생활했기 때문에 일본으로의 귀화의식이 희박해 일본에 정주하기 보다는 해방된 조국

으로 돌아가려는 성향이 강하 다. 이러한 성향은 해방 직후 곧바로 귀국할 수 없었던 사정과

일본에서 그들이 직면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들이 해방된 조국의 새로운 국가건설의 염

원과 맞물리면서 조국지향성으로 이어졌다. 소냐 량도 해방 직후의 재일동포들은 일본에 정

주하려는 경향보다는 임시체류자(sojourner)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 조국지향성이 강

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37) 재일동포들은 일본으로의 귀화의식이 희박했기 때문에 귀화와 동화

를 거부하고 동포사회의 민족성과 민족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해 민족을 지킴과 투쟁을 위한

이데올로기 수단으로 삼아 민족교육과 동포사회의 권리와 생존권 확립을 위한 투쟁을 전개해

나갔다.

해방 직후 재일동포사회는 가장 먼저 동포들의 민족의식을 고양하기 위해 학교를 건설하고

민족교육에 힘썼다. 당시 조국으로의 귀국이 현실적인 문제로 두했기 때문에 모국어와 모

국의 역사를 교육하는 문제가 중요한 현안으로 등장하 다. 이 점은 1946년 10월 기준으로

각급 민족학교가 525개교에 재학생만 4만2,000여 명에 달한 것에서 알 수 있다.38) 비록

1946년에 들어와 한국으로의 귀국열기는 급속히 냉각되었지만 재일동포들의 조국지향성을

반 한 민족교육은 오히려 활기를 띠었다. 이 점은 1947년 10월에 조사된 민족학교의 수가

초급학교 541개교(학생 수 56,000여명), 중학교 7개교(2,661명), 고교 7개교(학생 수 358

명) 등 1946년보다 오히려 증가한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39) 이러한 민족교육은 일본에서 태

35) 당시 귀국하지 않고 일본에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해서는 다음을 참조할 것. 남근우, “북

한 귀국사업의 재조명,”『한국정치학회보』제44집 ⑷호 (2010), pp. 140-141.

36) �贊汀 (2010), pp. 211-214.

37) Sonia Ryang (2001), pp. 58-59.

38) 姜徹 (2002), p. 246.

39) �贊汀 (2010), p. 169.

Page 16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1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어나 모국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2세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모국어와 모국의 역사 교육에 주안

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민족교육은 재일동포들의 정주지향성보다는 조국지향성

을 반 하고 있다.40) 민족교육의 문제가 재일동포사회에서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중요한 수단

으로 될 수 있었던 데에는 두 가지의 요인이 있었다. 하나는 상술했듯이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염원 때문이었다. 두 번째는 북한이 재일동포들을 공민으로 인정하는 조치를 발표하면서 북

한으로 귀국할 경우 생활의 안정과 함께 교육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천명했기 때문이다.41)

민족교육의 실시와 함께 재일동포사회는 일본을 상 로 격렬한 운동도 중적 기반을 갖고

전개하 다. 재일동포사회가 일본을 상 로 한 투쟁은 재일한국(조선)인, 즉 외국인의 입장에

서 민족의 권리와 생존권을 확립하기 위한 투쟁의 성격이 강하 다. 상술했듯이 재일동포사

회는 정주지향성 보다는 조국지향성이 강했기 때문에 중적 기반을 갖춘 투쟁이 가능할 수

있었다.42) 민족의 권리와 생존권 확립을 위한 중운동은 일본과 재일동포사회 간의 탄압과

저항이라는 상호 결의 형태로 표출되었다. 가장 표적인 중운동은 민족교육 사수투쟁,

노동자 및 반전투쟁이 있다. 민족교육 사수투쟁은 1947년 10월 3일 도쿄도 교육부가‘조선

인학교 취급요강’을 발표하면서 재일동포사회의 민족학교를 정규학력으로 인정하지 않고‘각

종학교’로 인가하는 방침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이어 1948년 1월 24일 문부성은 조선어

교과를 정규과목에서 삭제하고 일본 교과서를 사용할 것을 지시하 다. 동년 3월 24일에는

문부성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민족학교를 폐쇄한다고 통보한 이후 4월 5일 오사카부, 효고

현, 오카야마현은 조선학교의 폐쇄를 명령하 다. 재일동포들은 학교폐쇄에 항하여 동년 4

월 14일 조련 표 70명이 효고현 지사 면담요청을 시작으로 4월 26일까지 효고현과 오사카

부에서 민족교육사수 투쟁이 일어났다.43) 재일동포들이 참가 혹은 주도했던 표적인 노동자

및 반전투쟁으로는 1950년 5월 30일 나고야 카나야마 사건과 1952년에 일어났던‘도쿄 메

이데이 사건(5월)’, ‘오사카 스이타 사건(6월)’, ‘나고야 오스 사건(7월)’을 들 수 있다.44) 이

들 투쟁들은 노동자로서의 삶의 질 개선과 한국전쟁을 반 하기 위해 일본 공산당의 지도아

래 전개되었다. 이와 같이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에서 비롯된 지킴과 투쟁은 민족 정체

40) 당시 민족학교에서 수학했던 이용수(가명, 2세)씨와 이달완(2세)씨에 의하면, 해방 직후에는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의식이 컸기 때문에 우리말과 역사를 공부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아주 강했다고 한다. 남근

우 외, 『구술로 본 해외 한인 통일운동사의 재인식: 일본지역』(서울: 선인, 2010), p. 158 and pp. 185-

186.

41) 북한은 재일동포들이 외국인 신분으로 바뀌자 한국보다 먼저 재일동포들을 자국의 공민으로 인정하는

성명을 발표하 다. 먼저 1953년 11월 16일 평화옹호전국민족위원회 위원장 한설야가 재일조선인을

북한의 공민으로 인정하는 조선통신 방송연설을 하 다. 『解放新聞』(1953. 11. 21). 이후 1954년 8

월 30일 남일 외상이 성명을 통해 재일조선인을 공화국 공민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하 다. 『解放新聞』

(1954. 8. 31).

42)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역시 재일조선인들의 조국지향성이 일본에서 중운동을 전개하게 한 요인

중 하나로 지적하고 있다. 外村大, 신유원∙김인덕 역,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서울: 논

형, 2010), p. 459.

43) 姜徹 (2002), pp. 258-266.

44) 이들 사건들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할 것. �贊汀 (2010), pp. 186-187; 남근우 외 (2010),

pp. 161-163.

Page 16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성을 지키는 한편, 동포사회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

을 낳을 수 있었다.

당시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을 주도한 것은 좌파 성향의 재일조선인연맹(조련)과 친 북

한 성향의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민전) 그리고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이었다.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이 주로 좌파와 친북단체가 주도할 수 있었던 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었

다. 첫째는 조련과 민전의 경우 일본 공산당의 강력한 향력 하에서 일본공산당의 정치목표

인 일본의 인민민주주의 혁명 수행의 일환으로 재일동포들의 생활개선을 위한 노동운동과 정

치투쟁을 전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조련과 민전은 강력한 조직력을 기반으로 재일동포들

의 생존권과 민족권을 지키기 위한 정치 및 노동투쟁을 전개해 우파 성향의 조선건국촉진청

년동맹(건청), 신조선건설동맹(건동) 그리고 재일 한민국거류민단(민단)보다 재일동포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더군다나 김찬정(�贊汀)에 의하면, 우파로 불렸던 사람들 중에는 전

시동원체제 하에서 재일동포들을 전쟁협력으로 끌어넣은 사람들도 많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

문에 이들에 한 혐오감도 좌파 단체에 한 지지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45)

둘째, 한반도에 수립된 한국과 북한의 상반된 재일동포정책도 좌파 단체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은 민단을 재일동포사회의 강

력한 단체로 개편해 반공노선의 전초기지로 삼으려고 한 반면, 재일동포사회에서 가장 중요

한 문제 던 생존권과 민족권에 해서는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반면에 북한은 일

찌감치 재일동포를 북한 공민으로 인정하는 일련의 조치들을 취했을 뿐만 아니라, 1959년 12

월부터 귀국사업을 추진하여 열악한 경제상황에 놓여 있던 재일동포들의 귀국열기를 부추겼

다. 더군다나 북한은 1957년부터 매년 총련에 교육원조비와 장학금을 전달했기 때문에 재일

동포사회에서 북한에 한 평가는 좋은 편이었다.46)

Ⅳ. 조국 귀속성의 경계: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

한편, 해방 직후의 재일동포사회는 민족의 경계와 함께 조국 귀속성의 경계에도 동시에 놓

여 있었다.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이 일본민족의 타자로서 재일동포라는 민족의 경계를

구획했다면 한반도의 분단과 정치적 갈등은 재일동포 상호간을 타자화해 한국과 북한 중 어

45) �贊汀 (2010), p. 156.

46) 당시 총련계 재일조선인들에게 김일성과 북한에 한 신뢰는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오구마 에이지와

강상중(姜尙中) 교수가 재일동포 1세 52명을 인터뷰한 자료를 보면 이에 한 증언을 찾아볼 수 있다.

한 사례로 조선학교 교사 출신 여일화(오사카 출신, 1930년생)씨의 증언에 의하면, 1957년 북한으로

부터 교육원조비와 장학금이 전해져 오자 재일조선인 사회에서는 이를 환 하는 집회가 열렸다고 한

다. 小熊英二, 姜尙中(編), 『在日一世の記憶』(東京: 集英社新書, 2008), p. 630. 또 다른 사례를 보

면, 조선총련 활동가 출신 박용철(충남 논산 출신, 1929년생)씨의 증언에 의하면, 1958년 11월부터

‘항일무장투쟁 참가자들의 회상기 독서운동’이 전국의 총련 조직에서 시작되었는데‘회상기’는 재일

조선인들 사이에서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고 한다. 小熊英二, 姜尙中(編) (2008), p. 512.

귀국사업에 한 자세한 내용은 남근우(2010) 참조.

Page 16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3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47) 姜徹 (2002), pp. 232-233.

48) 민단은 1948년 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강령에‘ 한민국 국시를 준수한다’는 규정을 제정하 다.

이에 반해 민전은 1952년 12월 개최된 제3차 전체 회에서 채택한 강령 초안 제1조에“우리는 재일

전체 조선인민의 애국 력량을 총집결하여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부 두리에 굳게 뭉쳐 우리 조국

에 무력 침범한 미∙ 제국주의자들과 괴뢰 리승만 정권을 격멸 소탕하여 국토완정과 민족통일을 쟁

취하고 조국의 안전과 번 을 위하여 싸운다.”라고 되어 있다. 朴慶植(編), 『解放後の在日朝鮮人運動

Ⅰ』(東京: アジア問題硏究所, 1983), p. 300.

49) 민단과 총련 간의 구체적인 갈등과 분열의 사례를 열거하고 설명하는 것은 이 의 목적을 넘어서기

때문에 이 부분에 해서는 당시 민단과 총련에서 활동했던 활동가들의 구술을 기록한 남근우 외

(2010)를 참조. 사토 가즈미는 재일동포사회가 분열되어 상호 반목과 결을 보이는 모습을 재일동포

사회의 문화라고 지칭하면서 반목과 분열의 구체적인 사례로 상호 비방을 지적하고 있다. 佐藤勝巳

(1992), pp. 30-34.

50) 이 점은 민단 중앙본부 황 만 의장과 박상홍 국장도 지적하고 있다. 남근우 외 (2010), pp. 15-28

and pp. 59-62.

느 한쪽을 정치적 조국으로 선택해야 하는 조국 귀속성의 경계를 구획하 다. 분단과 국가수

립과정에서 발생한 조국 귀속성의 경계는 한국과 북한에 한 서로 다른 지지와 반 를 초래

하여 재일동포사회에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을 형성시켰다.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을

형성시킨 주요 행위주체는 우파 성향의 정치조직과 좌파 성향의 정치조직이었다. 특히, 남북

한의 정부와 각각 정치적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된 민단과 총련은 남북한의 정치적 립과 궤

를 같이 하면서 재일동포사회에 갈등과 분열관계를 구축하 다.

해방 직후 가장 먼저 결성된 재일동포단체는 1945년 8월 18일 도쿄에서 조직된 재류조선인

책위원회이다. 이후 22일에는 재일조선동포귀국지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10월 15일에는

조련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조련이 좌파 활동가들에 의해 장악되자 반공 활동가들은 동년 11

월에 건청과 1946년 건동을 결성하면서 재일동포사회는 사실상 좌우로 분열되었다.47) 이후

남북한 정부가 수립되기 직전까지 재일동포사회는 좌파 성향의 조련과 우파 성향의 건동이

중심이 되어 새롭게 결성된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으로 크게 양분되었다. 물론 이들 단체들은

남북한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에 조직되었기 때문에 한국이나 북한을 지지하는 단체는 아니었

다. 다만 조국의 해방으로 한반도에 새로운 국가건설에 참여하기 위해 귀국준비와 동포들의

생활보호를 목적으로 결성된 것이다. 재일동포사회가 조국 귀속성을 경계로 본격적으로 분열

된 시점은 한반도에 남북한 정부가 수립되면서부터이다. 이때 한국정부를 지지했던 재일본조

선인거류민단이 재일본 한민국거류민단으로 개칭되었고, 1949년 조련이 일본정부에 의해

강제 해산된 후 1951년에 북한을 정치적 조국으로 규정한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민전)이 조

직되었다.48) 이후 1955년 민전이 해산되고 북한의 합법적인 공민단체로 조선노동당의 직접적

인 지시를 받는 총련이 조직되면서 재일동포사회의 갈등과 분열은 본격화되었다.49)

민단과 총련 간의 화합과 통합이 불가능한 가장 큰 이유는 이들 단체가 이념과 사상을 초월

하기 어려운 한국과 북한의 국민(공민)을 자처하는 단체이기 때문이다.50) 특히, 1970년 까

지 북한은 김일성체제가 공고화되는 과정이었고, 한국은 유신체제가 성립되는 시기 기 때문

에 민단과 총련의 중앙본부 차원에서 화합과 단합은 시도되지 않았다. 다만, 민단과 총련의

중앙본부 차원이 아닌 제3의 조직체가 중심이 되어 재일동포사회의 화합을 시도한 바는 있

Page 16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다. 가장 먼저 재일동포사회의 통합을 시도한 단체는 1955년 남북통일을 목적으로 결성된 남

북통일촉진협의회이다. 이후 1965년과 1966년에 각각 결성된 한국민족자주통일동맹과 한국

민족자주청년동맹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한이 첨예하게 립하

고 있던 시기에 제3의 단체가 재일동포사회의 통합을 시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 다. 1980

년 에 들어와‘원코리아 페스티벌’을 시작으로 민단과 총련에 속하지 않은 제3의 민간단체

가 주도하는 다양한 화합의 시도가 전개되고 있으나, 민단과 총련 간의 화합은 상술했듯이 이

념과 사상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60여년 이상 지속되어 온 민단과 총련 간의 갈등과 분열은 현재에도 진행형에 있다.

1990년 에 들어와 민단과 총련은 중앙본부 차원에서 두 차례에 걸쳐 화합을 시도한 바 있

다. 첫 번째는 1991년 일본 치바(千葉)세계탁구선수권 회에서 남북단일팀이 구성되었을 때

이다. 이를 계기로 민단과 총련이 공동응원단을 구성하 고, 회가 끝난 이후 민단이 총련에

상설 화창구를 제안했으나 총련측에서 거부하 다. 이후 2006년 5월 17일 민단의 하병옥

단장과 총련의 서만술 의장이 총련 중앙본부에서 소위‘5∙17공동성명’을 발표했으나 실천

에 옮겨지지 못하 다.51)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재일동포사회의 갈등과 분열은 기본적으

로 한반도의 통일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지속될 수밖에 없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만큼 이념

과 사상의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 재일동포사회의 현실이다.

이와 같이 민단과 총련이 이념과 사상을 달리하면서 갈등과 분열의 관계에 놓여 있을 때 북

한은 한국과 달리 발 빠르게 재일동포를 공민으로 인정하면서 재일동포사회에 교육원조비와

장학금을 지급하고 규모 귀국사업을 실시하 다. 이러한 북한의 정책으로 재일동포들은 적

어도 1960년 말까지는 북한과 총련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 현재는 재일동포의 다수가

한국적을 보유하고 있으나 적어도 1960년 말까지는 한국적보다는 조선적이 많았다. 해방

직후인 1947년에는 좌파 성향의 조련에 가입한 재일동포가 614,178명일 정도로 좌파 성향의

단체는 재일동포사회에서 강력한 향력을 발휘하 다.52) 좌파 성향의 단체가 재일동포사회

에서 폭넓은 지지와 향력을 발휘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조선적 재일동포의 인원이

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발효로 재일동포들은 모두 외국인 신분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재일동포들은 일본인으로 귀화하지 않고 부분이 조선적을 유지하 다. 1959년도

기준으로 재일동포들의 출신은 한국이 98.3% 북한이 1.7% 다.53) 그러나 이들의 국적은 북

한이 71.9%, 한국이 28.1%로 다수의 한국 출신 재일동포들이 조선적으로 변경하여 재일동

포사회가 북한과 총련을 지지하는 성향으로 되기 쉬운 형식적 요건을 갖추게 되었다.54) 적어

도 이런 수치는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가 이루어져‘재일교포의 법적지위와 우에 관한 부

속협정’의 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55)

51) 남근우 외 (2010), pp. 18-22 and pp. 39-55.

52) 강철의 자료에 의하면, 1947년 7월 1일 현재 조련은 부현(府?@K?eO)X?e?@@@@@@@)?e

?@X@f?@H?e?@@@@@@@@@f?@?@f?@f?@?@@@@@@@f?@?@f?@f?@?@@@@@@@f?@hO)X??@@@@@@@@@@@)??3X?e@?g?N)Xe@??/K?e?C@)e@??V4@@?

?@@0M?e@?e?I@?@?g

)본부 49개소, 지부 633개소, 분회

1,417개소를 운 했으며, 회원으로는 614,178명의 재일동포가 가입해 있었다. 姜徹 (2002), p. 254.

53) 外村大 (2010), p. 401 <표6-6>.

54) 이광규, 『在日韓國人』(서울: 일조각, 1995), p. 88 <표3-10>.

Page 17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5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민단과 총련이 행위주체가 되어 각각 남북한 정부와 정치적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된 갈등과

분열은 재일동포들의 삶의 행위와 방식에도 향을 미쳤다. 상술했듯이 북한은 재일동포들을

공민으로 인정하는 조치를 취했을 뿐만 아니라, 1957년부터 교육원조비와 장학금을 총련에

전달하 다. 이러한 북한의 적극적인 재일동포정책은 다수가 한반도이남 출신이었던 재일

동포들에게‘조국=북한’이라는 조국관을 심어주는 계기로 작용하 다. 조국관의 변화는 북

한의 해외공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굳히는 요인으로 작용하 다.56) 조국관의 변화에 따른 해외

공민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은 귀국사업과 한 (조선어)교육으로 나타났다. 1959년 12월부터

1984년까지 진행된 귀국사업을 통해 일본인 6,730여 명을 합쳐 모두 93,339명의 재일동포

들이 북한을 조국으로 간주하여 귀국하 다.57) 또한, 조선민족으로서의 자긍심과 민족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해 민족학교의 수립과 한 (조선어)을 고수하려는 경향으로 표출되었다.

여기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부분이 있다. 그것은 지킴과 투쟁, 그리고 갈등과 분열의 문화

정체성이 민족과 조국 귀속성이라는 각각의 경계에서 별개의 문화정체성으로 형성된 것은 아

니라는 점이다. 해방 직후 재일동포사회는 민족의 경계와 조국 귀속성의 경계에 동시에 놓여

있었다. 재일동포사회에 가해진 두 개의 경계는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과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을 형성시킨 동시구조로 작용했지만, 재일동포들의 행위선택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가져왔다. 즉, 재일동포사회 형성의 역사성은 민족의 경계를 구획하여 일본민족을 상

로 재일동포사회의 민족성의 고수와 생존권 쟁취라는 행위를 추동하 다. 반면에 한반도의

정치적 분열의 역사성은 조국 귀속성의 경계를 구획하여 재일동포 서로를 타자화시켜 한반도

두 정부에 한 서로 다른 지지와 반 의 행위를 추동하 다. 재일동포사회는 조국의 분열이

라는 하나의 현실에 직면했지만 그것을 인지한 행위자로서 재일동포들은 현실에 적응하기 위

해 상이한 행위를 선택하 다. 이런 측면에서 재일동포사회가 당면한 현실은 르산

(Lawrence Leshan)과 마지노(Henry Margenau)가 말한‘ 체현실(alternate reality)’

55) 재일외국인 통계를 집계하는 일본 법무성은 1994년까지 한국적과 조선적 재일동포를 구분해 재일동

포 통계를 공개했으나, 1995년부터는 별도로 통계를 집계하지 않고 재일한국(조선)인 전체 통계만을

집계하고 있다. 이광규에 의하면, 한국적이 조선적을 능가하기 시작한 때는 1969년부터로서 당시 한

국적이 51%이었고, 조선적이 49% 다. 이광규 (1995), p. 88. 1960년 후반에 들어와 한국적이 증

가하게 된 이유는 귀국사업으로 북한에 한 정확한 실상이 알려지면서 한국적 취득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1965년 한일기본협정의 부속협정인‘재일교포의 법적지위와 우에 관한 협정’으로

일본 정부가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재일동포에 한해 주권을 인정한 것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 다.

이후 총련계 재일동포들이 1975년에 재일동포추석모국방문단으로 한국을 방문해 비약적인 경제발전

을 목격하면서 한국 국적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상술했듯이 일본 법무성은 한국적과 조선적의

별도 통계를 집계하고 있지 않아 현재 총련계 재일동포의 통계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으나, 1996

년 정인섭은 247,000여 명으로 추정했고, 2005년 진희관은 13만여 명으로 추정하 다. 정인섭, “일

북수교와 재일교포의 국적,”『교포정책자료』53 (1996), p. 88; 진희관, “재일동포 사회의 문제와 북

일관계,”『한국사연구』제131호 (2005), p. 158. 재일동포친목회 정소용(1996년 한국적 취득)회장에

의하면, 니가타 한국 사관은 조선적 재일동포를 5만여 명으로 집계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3만 7

천여 명 정도일 것이라고 말하 다. 남근우 외 (2010), p. 189.

56) 조선적에서 한국적으로 변경한 정경자씨의 경우에도 젊은 시절 북한의 해외공민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살았다고 한다.

57) 金英達, 高俊男(編), 『朝鮮事業係資料集』(東京: 新幹社, 1995), p. 341.

Page 17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이었다.58) 현실은 조국분단 하나이지만 재일동포들이 그것을 상이하게 인지함으로써 현실은

극복될 수 없는 것, 혹은 극복해야만 되는 것으로 분리해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재일동포사

회는 조국의 현실을 상이하게 인식했기 때문에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상이한 행위를 선택하

던 것이다.

이와 같이 해방 직후 재일동포사회가 직면해 있었던 두 개의 경계가 한편으로는 재일동포사

회를 일본사회와 구분짓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일동포 서로를 구분지을 수 있었던 요인은 무

엇인가? 그것은 두 문화정체성의 중심 행위자가 조련, 민전 그리고 총련과 같은 좌파 성향의

단체 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상술했듯이 당시 좌파 성향의 단체가 재일동포사회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었던 데에는 이들 단체가 동포들의 생존권과 민족권을 지키기 위한 투쟁을

적극적으로 전개했을 뿐만 아니라, 민족교육을 위한 학교설립에도 적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재일동포들이 북한으로부터 공민 우와 교육원조비를 받게 되자 재일동포사회에서

좌파단체의 향력은 높을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해방 이후 재일동포사회가 놓여 있었던 두

개의 경계는 좌파 성향의 단체가 재일동포사회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구조로 작

용하 다.

Ⅴ. 현실의 경계: 분화하는 문화정체성

이와 같이 해방 이후 형성된 두 개의 문화정체성은 민족과 조국 귀속성의 경계에 동시에 놓

여 있던 재일동포사회에 좌파 성향의 단체가 중심 행위자로 등장하면서 형성될 수 있었다. 재

일동포사회의 두 문화정체성은 민족권리와 생존권의 확보, 그리고 정치적 조국으로서의 북한

의 해외공민이라는 정치∙사회적 의미를 생산하여 학교와 가정에서의 학습을 통해 공유된 의

식으로 후 에 전수되었다. 그러나 지킴과 투쟁 그리고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은 1970년

에 들어오면서 약화되기 시작하 다. 여기에는 몇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 북한으로 귀국했던 사람들로부터 북한의 열악한 생활이 전해지자 귀국열기가 급속하

게 냉각되었다. 귀국열기의 냉각은 북한과 총련에 한 지지를 함께 떨어뜨렸다. 둘째, 민단

과 총련이 재일동포사회가 직면하고 있던 권리와 생존권 문제보다는 한국과 북한 정부의 외

곽기구화 되어 정치적 결을 일삼으면서 재일동포사회의 거부감은 증 되었다. 셋째, 이 시

기에 접어들면 일본의 경제가 고도성장하면서 실업난과 비숙련직에서 하층민으로 생활하던

재일동포들의 생활도 어느 정도 안정되기 시작하 다. 1983년 4월『가나가와현 내 재주외국

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재일동포들 가운데 사업을 하는 사람은 조사 상자의 29.9%에 이

르고, 이 가운데 연간 5억 엔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사업소도 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59) 그러나 이 시기에 접어들면 일본의 경제적 성공을 일본인의 문화적 우수성으로 보는

58) Lawrence Leshan and Henry Margenau, Einstein’s Space & Van goh’s Sky: Physicalreality and Beyon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82), pp. 23-41.

59) �贊汀 (2010), p. 246.

Page 17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7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편협한 문화정체성 역시 일본사회에서 확 되기 시작하 다. 그렇기 때문에 정주 외국인으로

서 재일동포들은 취직과 승진 등에서 사회적 차별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60) 이와 같이 귀국열

기의 냉각과 민단과 총련의 정치투쟁 일변도의 활동에 한 거부감 그리고 생활의 안정과 일

본사회의 차별은 일본사회에서 정주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작용하여 1세가 형성시킨 문화정

체성을 약화시키는 역사성으로 작용하 다.

넷째, 1970년을 기점으로 재일동포사회의 중심 행위자가 2세 이하로 전환되기 시작했던 점

도 기존의 문화정체성을 약화시킨 원인으로 작용하 다. 지킴과 투쟁 그리고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이 조국지향성이 강한 1세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면 1970년 에 들어서 정주지향

성이 강한 2세와 3세가 재일동포사회의 중심 행위자로 등장하 다. 1969년 2세의 인구는 재

일동포사회 전체의 72.4%, 1974년에는 75.6%를 차지하면서 1970년을 전후로 재일동포사

회의 중심은 1세에서 2세로 확실하게 넘어가고 있었다.61) 이와 함께 2000년 에 들어서면서

3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2005년을 기준으로 20-40 의 3세 인구는 49.8%로 전

체 재일동포사회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62) 2세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1세들의 지킴과 투쟁

그리고 분열의 문화에 적응하면서 정체성을 형성한 세 이기 때문에 기존의 문화정체성이 내

면화되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2세는 일본에서 출생했기 때문에 일본사회와 문화에도 내면

화되어 있는 세 이다. 그렇기 때문에 2세는 기존의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와 일본문화에 모두

적응하면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할 수밖에 없는 세 이다.63) 반면에 3세 이하는 기존의 문화

정체성보다는 일본사회와 문화에 더욱 내면화되어 있어 일본에서 정주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세 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족과 친족 구성원들이 재일한국(조선)인이라는 점 때문에 존

재와 의식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세 이기도 하다.

분명한 것은 2세 이하의 세 는 정주지향성이 강한 세 라는 점이다. 2세 이하 세 의 정주

지향성은 귀화현황과 일본인과의 결혼율 그리고 조선학교의 감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귀화현황을 살펴보면, 1952년 232명의 귀화를 시작으로 매년 2-3천명 수준이었던 귀

화자 수가 1970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늘어나 1995년에는 처음으로 귀화자 수가 1만 명

을 넘기 시작하여 이후 매년 1만 명 전후로 귀화하고 있다. 2005년까지의 귀화자는 모두

296,168명에 달하고 있다.64) 귀화자가 증가하고 있는 원인 가운데에는 1985년 1월 1일 일본

의 국적법이 부계주의에서 부모양계주의로 개정되어 일본 국적을 취득하기가 용이해진 점도

60) 1984년 6월 16일자『조선일보』사설“일본사회의 한국관: 해방 39년, 국교 19년의 백서”에 의하

면, ‘재일동포들은 일본에서 행정적으로 200여 종, 사회적으로 100여 종 모두 300여 종의 가혹한 차

별 우에 시달리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해 사또 가즈미는 조선일보의 사설에 해 300여

종의 차별의 출처가 모호하다고 비판하며 취직과 사회보장에서의 차별을 민족차별로 접근하는 재일동

포사회의 사고는 이해할 수 없으며 취업과 사회보장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일본인으로의 귀화, 동화

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지적하 다. 佐藤勝巳 (1992), pp. 48-49.

61) �泰泳 (2005), p. 142.

62) http://www.mindan.org/kr/shokai07.php (검색일: 2011. 8. 1).

63) 정경자씨 역시 고향과 출생지의 불일치로 인해 일본인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국인이나 북한인도 아닌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했다고 한다.

64) http://www.mindan.org/kr/shokai07.php (검색일: 2011. 8. 1).

Page 17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65)

둘째, 일본인과의 결혼율 증가도 2세 이하의 재일동포들의 정주지향성을 잘 보여주는 지표

이다. 1965년 동포간의 결혼은 64.7% 다. 그러나 1975년에 들어서면 동포 간의 결혼은

49.9%로 처음으로 50% 이하로 감소하 고, 1985년에는 28%로 폭 축소되었다. 반면에 일

본인과의 결혼은 1965년에 34.6%에서 1975년에는 48.9%를 기록한 이후 국적법이 개정된

1985년에는 71.6%로 폭 증가하 다. 3세의 경우 일본인과의 결혼이 동포 간의 결혼보다

월등히 높다. 1990년 이후 동포 간의 결혼은 10% 로 축소되었고, 일본인과의 결혼은

80% 를 넘어섰다. 2000년 이후 일본인과의 결혼은 거의 90% 를 육박하고 있다.66)

셋째, 조선학교 수의 감소 역시 정주지향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조선학교는 1970년

160개교에 4만여 명이 재학했으나, 2000년에는 76개교로, 2010년에는 73개교에 8,300명

으로 크게 감소하 다.67) 조선학교가 감소한 이유는 교과과정과 내용이 북한 위주로 편성되었

기 때문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조선학교가 일본에서 정식 교육기관으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조선학교 졸업생은 일본의 학에 진학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규학력으로도 인

정받지 못한다.68) 일본에서 살아야하는 현실에서 조선학교를 선택한다는 것은 현실의 경계에

위치한 2, 3세에게 쉽지 않은 선택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재일동포들의 정주지향성을 반 한 것이 민단의 명칭변화와 총련의 약화이다. 민단

은 1946년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으로 발족한 이후 한민국정부가 수립되자 재일본 한민국

거류민단으로 명칭을 변경하 다. 이후 1994년 임시로 거주한다는 의미의 거류를 삭제한 현

재의 재일본 한민국민단으로 변경되었다. 총련의 단세는 귀국자로부터 북한에 한 실상과

1975년 재일동포추석모국방문사업으로 한국을 방문하면서 한국에 한 실상이 재일동포사회

에 알려지면서 약화되기 시작하 다. 특히, 1998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2002년 김정일 국

방위원장의 일본인 납치 인정으로 일본 사회에서 북인식은 크게 악화되었다. 북인식의

악화는 총련계 동포로 하여금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움직임으로 표출되고 있다.69)

65) 재일동포의 귀화문제는 다른 해외 한인사회에서의 귀화와 다른 성격을 갖는다. 우리는 미국 국적을 취

득했거나 주권만 갖고 미국에서 살고 있는 한인계 사람들을 모두 재미동포라고 지칭한다. 또한,

다수가 중국인으로 귀화한 중국조선족도 재중동포라고 지칭한다. 반면에 재일동포사회나 한국사회에

서는 귀화한 재일동포들을 더 이상 동포로 인식하지 않고 일본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크다(조명, 박

상홍 인터뷰). 오히려 일본인으로 귀화하면 민족정체성이 소멸되기 때문에 귀화자는 민족정체성이 상

실된 일본인으로 취급받는다(안 옥 인터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화에 한 1세와 2세 이하의 시각

은 현격하게 다르다. 1세의 경우는 귀화를 일종의 정신적 패배로 받아들 다. �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 (1986), p. 3. 그

러나 2세 이하로 내려오면 귀화는 자연스런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어 귀화하지 않은 2세의

경우라도 3세와 4세들이 귀화하는 것에 해 일본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실

이라고까지 말하고 있다(조명, 정기욱, 정경자, 구말모 인터뷰). 이 점은 현실의 경계에 놓여 있는 재

일동포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 준다.

66) http://www.mindan.org/kr/shokai07.php (검색일: 2011. 8. 1).

67) 姜徹 (2002), pp. 749-751;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0/07/18/

0511000000AKR20100718026900073.HTML (검색일: 2011. 8. 7).

68) 일본은 1947년 10월 3일 도쿄도 교육부가‘조선인학교 취급요강’을 발표하면서 재일동포들이 설립한

초급, 중급, 고급학교를 정규학력으로 인정하지 않고‘각종학교’로 인가하는 방침을 세웠다. 姜徹

(2002), p. 258.

Page 17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79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이상으로 서술한 네 가지의 요인들은 지킴과 투쟁 그리고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을 약화

시키는 역사성으로 작용하 고 나아가 기존의 문화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구조로 작용

하 다. 재일동포사회는 일본 그리고 재일동포 상호 간에 구별되는 자신들만의 이해관계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개인으로서의 재일동포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정체성과 동

일화될 수 있었다. 이러한 동일화 과정은 한편으로는 일본을 타자화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

는 재일동포 서로를 타자화하기 위해 정치와 권력이 개입하여 재일동포사회는 차별성과 특수

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정주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경계에서 일본사회와 문화에 익숙해

진 2세 이하의 재일동포들은 재일동포사회에서 벗어나 일본사회에서 자신의 이해관계와 가

치를 형성하면서 개인과 집단의 문화정체성은 일치하지 않고 새로운 정체성으로 분화되고 있

다. 이 부분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 논할 때 관심 깊게 보아야 할 목이다. 기존의

문화정체성이 약화되고 재구성되면서 새롭게 분화하고 있는 문화정체성은 재일동포사회 전

체의 삶과 행위 그리고 운명에 어떤 식으로든 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1970년 이후

기존의 문화정체성이 약화되면서 새롭게 분화하고 있는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다음

과 같이 유형화할 수 있다.70)

첫째,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으로의 분화이다.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은 재일동포의 차별성

과 특수성을 포기하고 일본사회에 동화하는 문화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경

우는 일본인으로 귀화한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나 자신의 본명과 출신을 감추는 경우로 표

출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일본인으로 귀화한 경우는 감추기를 넘어 일본인 이

상의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보통이다.71) 가장 큰 이유는 일본사회에 뿌리 깊게 남아 있는

단일민족의식에 의한‘국민=일본 민족’이라는 협소한 국민개념 때문이다.72) 일본인을 민족적

요소(혈통과 문화)와 국적 요소를 통해 8가지로 유형화한 후쿠오카 야스노리에 의하면, 현행

국적법상으로는 일본인 혈통, 일본문화의 내면화 정도, 일본 국적 보유여부 등 3가지 요소 가

운데 국적만 보유하고 있어도 일본인으로 된다.73) 그러나 오구마 에이지도 지적했듯이, 전후

69) 총련의 단세 약화를 틈타 통일교(現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지원을 받는‘평화통일연합’이 2004년

7월 4일 결성되어 총련계 동포들을 회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민단 관계자에 의하면, 일본에서는 통

일교의 이미지가 좋지 않아 통일교가 평화통일연합이라는 단체를 조직해 일본에서 세력을 확장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하 다. 총련도 2004년 11월 24일자『조선신보』를 통해 평화통일연합을 비판하

다. 총련이 이 단체를 비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총련계 동포들이 평화통일연합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조직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용수씨는 총련에서 간부로 활동했어도 평화통일연합에 가입하면‘반역

자’로 낙인찍힌다고 말하 다. 남근우 외 (2010), pp. 178-179.

70) 필자가 유형화한 3가지의 문화정체성은 집단으로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서 벗어나 일본사회

에 정주하기 위한 정체성으로의 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귀화하여 일본인화 된 재일동포들

이 한국(조선)계 디아스포라가 아닌 일본인으로서 갖는 문화정체성의 개별적인 특징은 유형화의 상

에서 제외한다.

71) 김양기는 재일동포가 일본으로 귀화할 경우 자신의 본명과 재일한국인 혹은 재일조선인의 신분도 숨

긴 채 일본인보다 더욱 일본인으로 살아간다고 지적한 바 있다. �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 (1986), p. 17. 민단 신주쿠 지

부 조명 감찰위원장 역시 일본인으로의 귀화는 곧 일본인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하 다.

72) 박상홍 민단중앙본부 민생국장은‘국민=일본 민족’이라는 일본사회의 협소한 국민관으로 인하여 소

프트뱅크 손정의 사장과 같은 유명인사가 아닌 평범한 재일동포들은 본명과 출신을 밝히기 어려워 일

본인처럼 행동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Page 17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일본의 고도성장으로 일본사회에서는 단일민족의식이 확산되면서 한편으로는 일본인으로 동

화를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 귀화한 일본인은 국적상으로 일본인이지만 혈통적으로 일본 민

족은 아니라는 의식 역시 강화되었다.74) 그렇기 때문에 일본 국적을 보유하고 있어도 일본인

의 혈통을 계승하지 않은 경우나 혈통과 문화 모두를 지니고 있지 않은 일본인, 즉 귀화자로

서 재일한국(조선)인이 자신의 혈통과 본명을 들어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더군다나 식민

지의 잔재로 남아 있는 한국(조선)인 차별의식이 일본사회에 여전히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

신을 들어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귀화하지 않고 한국(조선)인으로 생활해도 본명과 출

생을 들어내기 어려운 것은 귀화자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의

이면에는 재일동포들의 민족성의 약화도 자리하고 있다. 일본의 단일민족 의식과 한국(조선)

인에 한 차별의식이 남아 있는 일본사회에서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은 자신의 민족성과 민족

의식에 한 고민이 투 된 선택이기도 한 것이다.

둘째,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으로의 분화이다.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이 현실순응적인 문

화정체성이라고 한다면,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귀화했거나 혹은 귀화하지 않은 재일동포

들이 일본인과 동등한 권리를 받기 위해 법적, 사회적 차별구조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현실 타

파적인 문화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두 가지의 모습으로

표출되었다. 하나는 일본정부에 세금을 납부하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일본인과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모습이다. 가장 표적인 것이 1970년 박종석씨의 히타치제작소 취업차별 반 운

동, 1976년 김경득씨 사법고시 국적조항 철폐운동이다. 다른 하나는 일본사회에서 재일동포

로서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지키기 위해 지문날인 철폐운동, 출입국관리법안 반 운동, 지방

참정권 획득운동이다. 이러한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일본사회에 공생의 필요성을 확산시

키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공생개념은 1980년 후반에 들어와 일본사

회에서 논의되기 시작하 다.75) 이 시기에 들어오면 일본사회에 외국인이 급증하기 때문에 외

국인과의 공생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76) 그러나 재일외국인 가운데 한국(조선)인이 점유

하는 비율이 일본 패전 이후 2006년까지는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점에 유의한다면 일본사회

에서 공생의 필요성이 조금씩이나마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1970년 이후 재일동포사

회의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도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했음은 틀림없다.77)

셋째,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으로의 분화이다.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재일동포사회

73) 福岡安則 (1993), p. 4.

74) 小熊英二 (2011), p. 168.

75) 김태 에 의하면, 1970년 에 일본 언론에서 공생 개념이 등장한 것은 4건에 불과했지만, 1989년에

35건, 1992년에 198건, 1995년에 318건, 1997년에 299건 등 1980년 후반에 들어와 공생 개념의

사용빈도가 증가하 다고 한다. �泰泳 (2005), p. 60.

76) 다음의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을 보면 외국인과의 공생의 필요성이 제기된 가장 큰 이유가 외국인의 급

증임을 알 수 있다. 『朝日新聞』(1989. 7. 4); 『朝日新聞』(1991. 11. 24); 『朝日新聞』(1992. 2. 17).

일본 법무성 자료에 의하면, 1990년을 기점으로 재일외국인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5년 처음으로

일본 전체 인구에서 1%(1.08%)를 넘어섰다. 이후 매년 재일외국인은 증가하여 2009년 12월 현재 일

본 전체 인구의 1.71%를 점유하고 있다. 法務省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局 (2010), p. 19.

77) 2007년을 기점으로 재일중국인이 재일한국(조선)인 보다 많아졌다. 法務省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局 (2010), p. 20.

Page 17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1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스스로 본명을 사용하고 민족문화와 언어를 배우고 습득함으로써 민족성과 민족의식을 회복

하려는 문화정체성이다. 특히, 한류열풍이 젊은 재일동포들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공유됨으

로써 한국문화에 한 관심이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

로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일본인화 되어 가는 동포사회의 위기의식의 발로라고 할 수 있

다.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이 일본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감추고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라면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일본에서 형성된 두 가지 정체성, 즉 일본적인 정체성과 한국

(조선)적인 정체성의 이중 정체성을 들어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

성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젊은 재일동포들에게 한국어와 한

국문화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민족의식을 잃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일본

인과 한국(조선)인의 경계의 현실에서 도피하지 않고 스스로 현실을 개척해 나가게 하는 수단

으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주로 모국의 언어와 문화를 익히고 체

험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본명 사용하기 운동, 예를 들어‘민족이름 회복모임(民族名をとり

もどす?@@?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이나, 한국(조선)어를 학습하거나 민족악기를 연주하며 한국(조선)문화를 습득하는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에 비해 동

포의 참여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거의 체험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예를 들어

일본 공립학교에 다니는 재일동포 학생들을 위한 민족학급의 경우 일본 지방자치단체는 방과

후 한국(조선)어 과외수업 정도로 인식하고 지원을 제 로 하지 않고 있다. 또한, 민단이 실시

하고 있는‘어린이 토요학교’나‘재일동포 어린이 잼버리’는 재정문제 때문에 일부의 재일동

포 학생들만을 상으로 하고 있다.78) 모국어 교육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1980년 초반

부터 민단이 주최가 되어 각 지부별로 한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나 참가자는 재일동포보다는

일본인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79)

이러한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의 주도세력은 민단과 총련 등 기존의 정치단체뿐만 아니라

제3의 단체도 출현하여 주도하고 있다. 적어도 1960년 말까지 재일조선인 사회의 문화정

체성 건설의 주체는 민단과 총련 같은 정치조직이었다. 그러나 1970년 에 들어서면서 재일

동포사회의 정주지향성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정치조직이 간과해 왔던 동포사회의 권리와 생

존권 그리고 민족의식의 회복을 위해 다양한 단체가 조직되기 시작하여 현재 재일동포 사회

단체가 600여 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80)

78) 남근우 외 (2010), p. 61.

79) 민단 신주쿠지부 윤청 단장은 한 강좌 참여자 가운데 일본인 수강생이 80% 이상을 차지한다고 말하

다. 일본인 수강생이 많은 이유는 한류열풍으로 한국어를 공부하려는 일본인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

으로 보인다.

80) 남근우 외 (2000), p. 191.

Page 17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Ⅵ. 재일동포사회 문화정체성의 미래와 제언

일본의 패전으로 해방을 맞이한 재일동포사회는 한민족과 일본민족 간의 경계 그리고 남북

분단으로 초래된 조국 귀속성의 경계에 놓이게 되었다. 두 개의 경계에 놓여 있던 재일동포사

회는 각각의 경계에서 지킴과 투쟁의 문화정체성 그리고 갈등과 분열의 문화정체성을 형성시

켰다. 그러나 일본에서 출생하여 일본 문화에도 적응해 온 2세 이하의 동포들은 일본사회에

서 정주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경계에 놓이게 되면서 1세의 문화정체성을 그 로 계승하여 발

전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2000년 에 들어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일본인 납치 인정으로 일본사회의 북인식은 상당히 악화되었다. 민단 관계자에 의하면,

북인식의 악화로 일본사회에서는‘총련=북한’이라는 인식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일본사회의

북인식 악화로 민단이 총련과 협력을 모색하기도 어렵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민단과 총

련의 지속적인 정치 결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민단과 총련의 지속적인 정치 결과 일본사회의 북인식의 악화 그리고 일본사회에서 정

주할 수밖에 없는 동포사회의 현실이 맞물리면서 1세에 의해 형성된 문화정체성은 급격히 탈

각되고 있다. 1세의 문화정체성이 해방 직후의 정치, 경제적 역사성에 의해 향받아 민족성

의 고수와 고국과의 문화적 연 를 강조한 것이라면, 현재의 재일동포사회 문화정체성은 반

로 재일동포사회의 정치, 경제적 역사성에 향을 끼치면서 재구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

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탈민족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감추기’, ‘권리 찾기’그리고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그러나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은 본명과 출신을 감춤으로써 일본인으로 동화되는 것이기 때

문에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을 재일동포사회나 한국사회에서 바람직한 경향으로 인식하기 어

렵다. 또한,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 역시 외국인으로 정주하는 재일동포가 일본인으로 귀화

하지 않고 정치, 사회적 권리를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우리 정부가 귀화하지 않은 재일동포들의 정치적, 사회적 권리를 보장할 것을 일본

정부에 촉구하기도 어렵다.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귀화하거나 귀화하지 않은 동포들에게

고국과의 문화적 연 를 갖게 함으로써 한국계 일본인, 혹은 재일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갖

고 현실을 개척해 나가게 하는 문화정체성이다. 그러나 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은 동포사회

의 참여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주로 고국문화를 체험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현실의 경계에서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으나, 이러

한 문화정체성은 고국과의 문화적 연 를 상실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더군다나 특별 주

권자가 매년 1만 명 내외로 귀화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은 고국과

의 문화적 연 가 끊긴 감추기의 문화정체성으로 남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현

재 감추기와 권리 찾기의 문화정체성이 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을 구성하는 한 단면이라

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재일동포들이 현실의 경계에서 도피하지 않고 스스로 현실을 개척해

나가도록 자신의 뿌리를 인식하고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이것은

Page 17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3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우리 사회의 재일동포관(在日同胞觀)에 한 인식전환의 필요성과 함께 정책적인 측면에서

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먼저, 우리 사회의 재일동포관을 되돌아보고 재일동포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에서 재일동포의 법적 정의는 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일본에 주하고 있는 재일본한국교

포를 의미한다. 이들은 1991년 693,050명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여 2009년 12월 현재

578,495명이다. 특히, 재일동포라 지칭할 수 있는 특별 주권자는 자연수명의 다함과 매년

1만 명 내외로 귀화하여 2009년 12월 현재 405,571명으로 2005년 447,805명보다 11%나

감소하 다. 더군다나 1985년 1월 1일 일본의 국적법이 부계주의에서 부모양계주의로 개정

되어 일본 국적을 취득하기도 용이해졌다. 이를 반 하듯이 2000년 이후 일본인과의 결혼

율은 90%를 상회하기 시작하 다. 자연수명의 다함과 현재의 추세로 귀화와 일본 국적 취득

이 진행된다면 특별 주권자는 30-40년 이내에 모두 일본인으로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

다.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2세들은 자녀들의 귀화와 일본 국적 취득에 해 어쩔 수 없

는 현실적 선택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해 김양기는 더 이상 재일동포사회의 순혈주의에

집착하지 말고 일본인이 되어도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문화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81) 그러나 많은 재일동포들은 귀화와 일본 국적 취득이 어쩔 수

없는 현실적 선택이라 하더라도 일본인이 되는 순간 민족적 정체성은 소멸하고 말 것이라고

암울하게 진단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계 일본인은 더 이상 재일동포의 범주에 들 수 없는 것인가? 머지않아 특별

주권자가 일본인화 되면 재일동포사회에는 귀국을 전제로 도일한 유학생, 공무 및 기업 관련

자 그리고 뉴커머들만 남을 것이다. 그러나 특별 주권자의 소멸은 일본사회에 한민국을

알리고 일본과 한민국을 연결하는 문화적 매개체의 소멸을 의미한다. 이것은 곧 우리의 문

화적 국익의 소실을 의미한다. 혈통과 문화와 같은 민족적 요소와 국적 요소 중 국적 요소를

기준으로 재일동포사회를 볼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민족적 요소로 볼 것인가. 우리사회는 현

재 재일동포관에 한 새로운 정립을 요구받고 있다.

재일동포사회에서 귀화와 일본 국적 취득이 현실적인 선택이라면 재일동포관에 한 재인

식과 함께 재일동포들이 자신의 뿌리를 인식해 현실의 경계에서 도피하지 않고 민족의식을

지닐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사회도 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한국적을 유지하

고 있든, 귀화했든 관계없이 재일동포들이 우리의 말과 역사 그리고 문화를 공부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문화공간을 폭 확 하고 이를 재정적으로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재 민단에서 한

강좌와 한국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한 강좌 수강생의 다수는 일본인이고 문

화행사는 예산상의 제약으로 체험수준에 머물고 있는 현실이다. 더군다나 우리의 말과 역사,

문화를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은 총련계 민족학교가 부분이다. 총련계 민족학교를 졸업한 동

포학생들은 비록 북한에서 사용하는 조선어이기는 하지만 한국어에 능숙하다. 그러나 총련계

민족학교는 일본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여건으로 쇠퇴하고 있다. 반면에 재일동

81) �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 (1986), p. 17.

Page 17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포 학생의 다수가 일본학교를 졸업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에 능숙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

다. 게다가 민단계 학교는 도쿄한국학교, 교토한국학원, 오사카금강학원, 오사카건국학원 등

4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나마 재학생은 동포보다는 일본에 주재하는 외교관, 기업인들의

자녀들이 많은 실정이다.

일본에서 우리말로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학교를 건립하는 것은 일본과의

외교관계나 정식학력 인정의 유무를 따져봐야 하는 문제이기는 하다. 그러나 방과 후 혹은 방

학기간에 우리말과 역사 그리고 문화를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안학교나 문화공간을 건

립하고 지속성을 갖는 다양한 문화행사를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의 후원 하에 진행하

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총련계 민족학교의 경우도 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학습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총련계 재일동포 역시 언

젠가는 통일한국의 공간에서 함께 살아야 할 동포이기 때문이다. 재일동포사회의 민족적 정

체성을 지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말과 역사 그리고 문화를 학습하고 체험하는 것이

다. 나아가 재일동포사회가 한민족의 문화정체성을 회복하도록 우리 사회가 지원하는 것은

남북통일에 비한 재일동포사회에 한 문화적 접근의 일환임을 명심하자.

Page 18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5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참 고 문 헌

구말모(1.5세, 70 , 민단 도쿄 신주쿠지부 고문). 2011년 6월 6일 인터뷰.

기든스, 앤서니. 김미숙 외 역. 『현 사회학』서울: 을유문화사, 1992.

______. 권기돈 역. 『현 성과 자아정체성: 후기 현 의 자아와 사회』서울: 새물결, 1997.

김남국.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국제정치논총』제50집 1호 (2010).

김현선. “국적과 재일 코리안의 정체성.”『경제와 사회』통권 제83호 (2009).

남근우. “북한 귀국사업의 재조명.”『한국정치학회보』제44집 4호 (2010).

남근우 외. 『구술로 본 해외 한인 통일운동사의 재인식: 일본지역』서울: 선인, 2010.

로크, 존. 이재한 역. 『인간오성론』서울: 다락원, 2009.

박상홍(뉴커머, 40 , 민단중앙본부 민생국장). 2011년 6월 7일 인터뷰.

아도르노, 테오도르. 김유동 역. 『계몽의 변증법』서울: 문학과지성사, 2001.

안 옥(3세, 30 , 기자). 2011년 6월 7일 인터뷰.

이광규. 『在日韓國人』서울: 일조각, 1995.

윤 청(2세, 60 , 민단 도쿄 신주쿠지부 단장). 2011년 6월 6일 인터뷰.

정경자(2세, 60 , 주부). 2011년 6월 8일 인터뷰.

정기욱(2세, 60 , 민단 도쿄 코토우지부 단장). 2011년 6월 6일 인터뷰.

정인섭. “일북수교와 재일교포의 국적.”『교포정책자료』53 (1996).

조 명(2세, 60 , 민단 도쿄 신주쿠지부 감찰위원장). 2011년 6월 6일 인터뷰.

『조선일보』1984. 6. 16.

진희관. “재일동포 사회의 문제와 북일관계.”『한국사연구』제131호 (2005).

Bennett, Tony. Culture: A Reform’s Science. London: Sage, 1998.

Clifford, James. “Travelling cultures.”In L. Grossberg, C. Nelson, and P. Treichler.

eds. Cultural Studies. New York: Routledge, 1992.

Giles, J. and T. Middleton. Studing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1999.

http://www.mindan.org/kr/shokai07.php (검색일: 2011. 8. 1).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0/07/18/0511000000AKR2010071802690007

3.HTML (검색일: 2011. 8. 7).

Larrain, Jorge. Ideology and Cultural Identity: Modernity and the Third World

Presence. Cambridge: Polity Press, 1994.

Leshan, Lawrence and Henry Margenau. Einstein’s Space & Van goh’s Sky: Physical

reality and Beyon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82.

Page 18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Ryang, Sonia. “Diaspora and Beyond: There is No Home for Koreans in Japan.”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2 (2001).

______. “Resident Koreans in Japan.”In Sonia Ryang. ed. Koreans in Jap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Tompson, E. P. 나종일 역. 『 국노동계급의 형성 (상)』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0.

Weigert, Andrew J., J. Smith Teitge, Dennis W. Teitge. Society and Identity: Toward

a Sociological Psych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Williams, Raymond. Keywords. London: Fontana Press, 1976.

______. The Long Revolution. New York: Broadview Press, 2001.

姜 徹. 『在日朝鮮韓人史?@@?f?)X?e?@Y?e)X?@,?e

?/T@@@e@,?3U?e?N@Y@H?J(Y?V)Ke3@@??7H?@@@@(?N@@L?@?J@XI(Y??@V)X?W&R)X?e

?@@@@@)?&@@@)?e@Xe?I'Xf

@?@1fN1f@?@@?@?)T5?/X?

?J5?@@T5?@(Y?N1??7H?@V@H?@H?@?@??@e@?@??3=?@Le

@?e?V4@@@e

合年表: 在日同胞120年史』東京: 雄山閣, 2002.

菊池嘉晃. 『北朝鮮@?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事業』東京: 中央公論新社, 2009.

�O)X?

?@@@@@@@@@@@@@)??@h

@Ke?@e?O)Xe@@@@@@@@@@@)e@?e?@f@He@?@@?@e@@@?e@?@H?@e@?@?e@?@??@e@?@?e@?@@@@@@@?@?e@?@?e?I@?@?e@?@?g@?e@?g'@5?e@?gV+Y?e

基. 『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人か日本人か』東京: サイマル出版?@@?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 1986.

金英達, 高俊男 編. 『朝鮮事業係資料集』東京: 新幹社, 1995.

�贊汀. 박성태∙서태순 역. 『재일 한국인 백년사』서울: 제이앤씨, 2010.

�泰泳. 강석진 역. 『저항과 극복의 갈림길에서』서울: 지식산업사, 2005.?)X?e@@g?@)??J@Y?O)Xe?@e?7@@@@@)e?@1?J(M?@?f

?@@@5?*Ue@?O)X?W@eV4@@@@@@)?7@1?eW(Y@X?e

?J@@@T2@@Y?@)Xe?7Y@V+Y@@@@@@)e?@?@e?@e?@X?e?@?@e?@@@@@@?e?@e?@e?@H?e?@e?@e?@W)X??@e?@@@@@@@)??@e?@M?g

仁燮. “在日朝鮮人社?@@?gJ@@Lg

?W&(R/X?fW&0Y?V/Xf

?W&<fS)K?eO&@?e?O&>@@@?

?@0R4@@@@@@0Y@H??@L?

@@@@@@@@@@@@@?@Xh

?J@,e?@fW&0YeJ@L?e

?O&Ye?O&@)Xe'@@@@@@0MI'1eV+M?gV'e

の形成.”朴鐘鳴 編著. 『在日朝鮮人の?@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文化』東京: 明石書店,

2006.

朴慶植 編. 『解放後の在日朝鮮人運動Ⅰ』東京: アジア問題硏究所, 1983.

朴鐘鳴 編著. 『在日朝鮮人の?@K?gO)X??@@@@@@@@@@@)??@e@?e?@f?@e@?e?@f?@@@@@@@@@@@@??@W@@@X?W@@Xe?@@Y@V/T&@V/X??@5?@?N@>5?V/?J(Y?e?@(Yf7H?)X??@YO)Xe@??@)??@@@@)e@??@H??@g

?J5?J@e?@eO)X??7H?@@@@@@@@@@)??@hg

史と文化』東京: 明石書店, 2006.

朴鐘碩, 上野千鶴子 ほか. 『日本における多文化共生とは何か』東京 : 新曜社, 2008.

法務省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局. 『出入@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管理(平成22年版)』東京: 法務省, 2010.

福岡安則. 『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 若い世代のアイデンティティ』東京: 中公新書, 1993.

______. 『同化と異化のはざまで』東京: 新幹社, 2000.

白眞勳. “人生O)X??@?@f

?@@@@@)??@@@f?@f?@eO@e?@W@K??@W2@@eJ@@@@@@@@@X?e7(Y@e?@?S)Xe

?J@Y:5e?@W&@1e?7@@@H?@@@@Y?@L??@?'@?f@@@@@??N@?@@@@@X@?e?J5?fB@5?e?7H?fJ@H?eJ5f?O&@T&e

?W.Ye?O20MI'@L??.Y?e@0M?eV4@?

り40年は日本籍でいきてみようと@?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化.”白井美友紀 編.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り

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在日コ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徐龍達. 서윤순 역. 『다문화공생 지향의 재일 한조선인』서울: 도서출판 문, 2010.

小熊英二. 『私たちは今どこにあるか』東京: 每日新聞社, 2011.

小熊英二, 姜尙中 編. 『在日一世の記憶』東京: 集英社新書, 2008.

辛淑玉. 강혜정 역. 『자이니치(在日), 당신은 어느 쪽이냐는 물음에 하여』서울: 뿌리와이

파리, 2006.

�石日.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や民族が私を選ぶのではなく私が@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と民族を選ぶ.”白井美友紀 編.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

取り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在日コ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谷智雄. 『コリアン三@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志』東京: 新幹社, 2006.

日本赤十字社. 『在日朝鮮人@?f?O)Xe@?@@@@@@@)e@?g@He@??@@@@@@?e

@?@?g@?e@?@@@@@@@@@Le

?J@?@?@?fV)X??@@?@@@@@@@@@@,?

@@X?e@?W(Y??J(R@@@@@@@He?7H?@?e@?@?e?@e@?e@?@?eJ5e@?e@@5?e

?W.Ye@?e@(Y?e?.Y?g(Yf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問題の?@@?g?@Y??O)Xe

@@@@@@@@@@@)e?@h

@@@@@@@@f@?f?@f@@@@@@@@f@@@@@@@@f@?f?@f@@@@@@@@f

O)X??@@@@@@@@@@@@@)?

W@X?I4@Xf?O&@@?eI4@@e@0M?gI@e

相』日本赤十字社, 1956.

Page 18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87재일동포사회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 □ 남근우

外村大. 신유원∙김인덕 역.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접근』서울: 논형, 2010.

『朝鮮新報』2004. 11. 24.

『朝日新聞』1989. 7. 4.

______. 1991. 11. 24.

______. 1992. 2. 17.

佐藤勝巳. 『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に問う』東京: O)X?

?@@@@@@@@@@@@@)??@f@?f?@f@?f

?@X@f@W)Xe?@@@@@@@@@@)e?@?@f@?@He?@?@f@?@?e?@@@@@@@@@@?e?@Y@f@V@?e?@f@?f?@f@?f?@f@?O)X?

?@@@@@@@@@@@@@)?紀書房, 1992.

坂中英德. “權利として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求める運動は戰後の在日韓@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朝鮮人の運動のなかで最

も劃期的.”白井美友紀 編.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り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在日コ

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河炳俊.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取得の權利を?@@?g

?@K??@Y?eO)X?J@@@@@@@@@@@,?7(M?gW(Y?(Ye?@@?e.Ye

?@Y?g?'@@@@@@@@(?e?V4@@@@@@0Y?e

?@h?@fO)X?

?@@@@@@@@@@@@@)??W(?'XgO.Y?V46Kf

O20YfI4@@(??@0MhI(Y?

現しマイノテイとしての在日の地位を確立.”白井美友紀

編. 『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り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在日コ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韓昌祐. “私は永遠に朝鮮民族であり權利として堂○と日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得.”白井美友紀 編. 『日

本@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を取りますか?: @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家∙@KhO@e@@@@@@@@@@@@e@?h?@e@?gO@?@e@?@@@@@@@@?@e@?e?@f?@e@?e?@?O)X?@e@?@@@@@@@)?@e@?e?@V'X??@e@?e?@?N)X?@e@?e?@e@1?@e@?@@@@@@@@?@e@?h?@e@@@@@@@@@@@@e@MhI@e

籍∙民族と在日コリアン』東京: 新幹社, 2007.

『解放新聞』1953. 11. 21.

______. 1954. 8. 31.

Page 18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The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Korean Residents in Japan :

‘Triple-boundary Cultural Identity’ of People,Attributions of One’s Homeland, Reality

(Hanyang University)Keun Woo Nam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Zainichi) through its theoretical conception and define it as a ‘triple-boundary cultural

identity’ of people, attributions of one’s homeland, reality. The cultural identity of Zainichi was

expressed as ‘struggle and keeping’, ‘division and conflict’, and ‘diversity’ of cultural identity.

Despite the need for the study of the cultural identity of Zainichi, it has been studied mainly by

Zainichi scholars or Japanese scholars. So,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ble to attract the

academic attention for the cultural identity of Zainichi in the field of Korea’s political science.

This paper making a diagnose with Zainichi’s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paper proposes a

need to change our perception to the Zainichi. Also this paper proposes a need of policy

alternative to the Zainichi.

투 고 일 : 2011년 10월 4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1월 28일

18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18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이 옥 연

(서울 학교)

【한 초록】

이민 문제는 원칙으로나 내용으로나 국경통제 뿐 아니라 국가 정체성 및 시민권으로

연계되며, 이민 정책은 출입국과 귀화를 다루는 국가 간의 국제 문제에 더해 이주민의

통합과 수용에 관한 국가 내부의 문제이다. 그러나 헌법은 이민자를 원론적으로‘열외’

로 간주한다. 결국 누가 언제 어떻게 왜 특정국가의 시민으로서 자격을 부여받고 그에

수반되는 권리를 향유할 뿐 아니라 의무도 수행해야하는지, 따라서 어떤 근거에서 특정

일부는 제외되는지에 한 심의가 바로 이민 문제에 관한 논의의 주요 축을 형성한다.

연방국가에서는 이러한 정치적 논의에 더해 어느 정부가 그 책임소재지로서 헌법에 합

당한지에 한 헌법적 논의가 추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미국이 건국 이후

연방주의를 헌정 질서로 채택하면서 이민 문제의 권한 소재지에 한 법제도적 관점이

추가된 사실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어서 미국의 이민 정책 주체가 실질적으로 그리고

규범적으로 연방정부로 정립되는 과정을 살피면서 최근 30년 간 책임소재지 논의가 재

부상하는 배경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반 하는 지표로서 여론 추이

와 객관적 증빙자료인 인구구성도 및 실업률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민 문제의 실재

와 허상을 논하고자 한다. 결론으로 앞서 검토한 결과를 토 로 이민 문제가 미국의 국

가 구상에 미칠 향력과 선택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들어가는 말

Ⅱ. 미국 이민에 관한 선행 연구

Ⅲ. 미국의 이민 문제: 법제도적 발전 과정

1. 이민자 국가 미국의 건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2. 연방정부의 이민 문제 선점과

주 정부의 응

Ⅳ. 반이민정서와 연방-주 정부 관계

1. 반이민정서의 배경

2. 인구 구성도, 경제 침체 및

반이민정서 간 상관관계

Ⅴ. 맺는 말

∙주제어: 이민자 국가, 연방-주 정부 관계, 이민 정책, 미국, immigrant nation,federalism, immigration policy, U.S.

� 차 례 �

�본 논문의 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유익한 조언을 주신 심사위원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Page 18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들어가는 말

최초의 연방귀화법(United States Naturalization Law of March 26, 1790)은 미국

토 내 최소 2년 이상 거주한“자유 백인남성(free white person)”을 시민으로 규정했다. 즉

노역계약에 종속되지 않고“품행이 방정(good character)하며”미국헌법에 한 충성을 서

약한 경우를 시민권의 자격으로 명시했다. 그러나 주지하듯이 연방정부가 미국 시민의 자격

을 명시한 법을 제정하기 이전부터 그 업무는 주 정부가 주관했다.1) 결국 연원을 따지면 미국

이라는 국가에서는 건국보다 이주가 앞섰다. 따라서 이주민을 수용하는 총괄적 이민 정책의

주요 책임이 연방정부보다 먼저 존립한 주 정부 또는 그 하위 정부체계에 소재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연방 헌법을 채택하고 연방주의를 통치의 주요 원칙 중 하나로 구현하는 건국 과

정에서 이민 문제는 연방-주 정부 관계를 구성하는 정치 또는 정치경제 의제 중 하나 다. 본

논문은 미국의 연방-주 정부 관계를 이민 문제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 정착한 이주민은 어떠한 동기에서 미국행 이민을 택했을까. 일찍이 토

크빌은 청교도 집단이 미국으로 이주한 동기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리하여 그들[청교도 집단]은 11년 이상 보금자리로 삼고 정착한 신실한 레이든

(Leyden, a goodly and pleasant city)을 떠났다. 그러나 정든 곳을 뒤로 하고 미지

를 향해 떠난 자신의 소명이 순례자와 이방인임을 되새기며 험난한 처지에 개탄하기보

다 하나님이 마련해주신 신령한 도시 (히브루서 11장 16절)를 꿈꾸며 스스로 용기를 북

돋았다...”2)

주지하듯이 청교도 집단은 국의 종교 탄압을 벗어나 미국이라는 독립국가가 존재하기 이

전에 이주하여 이민자 국가 미국의 선조가 되었다. 물론 이주 이전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거쳐 레이든(Leyden, a fair & bewtifull citie)에 정착했지만, 당시 구 륙 정세의 격변으

로 새로운 정착지가 절박해진 현실적 제약도 작용했다. 그러나 청교도 집단은 공통적으로 구

륙에서는 더 이상 종교의 원론에 충실한 순화(purification)를 실천할 수 없다고 통감했기

때문에 위험천만한 이주를 감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동질적 집단마저도 미국이라는

국가를 구상하는 데 있어서 정교분리(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를 주장하는 분파와

1) “Be it enacted by the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ofAmerica in Congress assembled, That any alien, being a free white person, who shall

have resided within the limits and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r the term of two years, may be admitted to become a citizen thereof,..., that

he is a person of good character, and taking the oath or affirmation prescribed by law,

to support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Statutes At Large, First Congress,

SessionⅡ, Chap.Ⅲ, Section 1, 103 (이탤릭체는 원전을 따라 인용함), http://rs6.loc.gov/cgi-

bin/ampage?collId=llsl&fileName=001/llsl001.db&recNum=226

2) 정확하게 말하면, 토크빌은 성경 히브루서 11장 16절을 인용한 Nathaniel Morton을 재인용했다.

Alexis de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 trans. by Henry Reeve (1851/2006), p. 16.

Page 18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1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종교와 정치의 유 관계를 주장하는 분파로 립했다. 또한 순례자(pilgrim)로 지칭하는 소

집단과 신 륙행 이주에는 동참했으나 그 동기를 차별하려는 의도가 다분히 담긴 이방인

(stranger)이라는 소집단으로 세분화했다.3) 이렇듯이 동일한 국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이

주 초기부터 이주민의 배경과 이주 동인은 다양했다. 더불어 이주민의 출신국가도 다양해지

면서 이민은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큰 파장효과를 내포하는 안건으로 빈번하게 등장했다. 따

라서 미국을 흔히 이민 국가로 명명하는 데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 천 명 당 이민자 비율을 비교해보면,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연합 기

존 15개 회원국 간 격차가 그다지 크지 않다.4)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은 1924년 이후 40

년 간 서반구를 제외한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을 제한한 반면 유럽 국가는 각기 다른 이유에서

최소한 1960년 까지 비교적 이민 수용에 개방적이었다. 그러나 1965년 이후 미국은 경제주

기와 무관하게 공식적으로는 개방 지향적 이민 정책을 표방한 반면 다수의 유럽 국가는

1960년 를 거치며 경제주기나 국내정치의 틀 전환에 따라 폐쇄적 이민 정책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이 명실상부한 이민자 국가의 위상을 지니게 되었지만 실제로 비

이민자 국가인 유럽과 격차는 오히려 줄었다. 결국 공식적으로 표방하는 이민 정책과 그 실제

간 격차가 심화되면서 이민자 국가 미국에서도 이민 문제가 국내정치의 틀 전환에 의해 변동

했다. 따라서 이민 문제도 일반 공공정책과 마찬가지로 이민자 총수 또는 출신국가나 지역별

할당의 증감 여부와 그 폭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정치적 파장효과, 즉 이민의 정치경제로 주로

논의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민 문제가 원칙으로나 내용으로나 국경통제 뿐 아니라 국가 정체성 및 시

민권으로 연계되는 고리에 주목하는 연구가 최근에 늘어난다는 사실이다. 이민 정책은 출입

국과 귀화를 다루는 국가 간의 국제 문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더해 이주민의 통합과 수용에

관한 국가 내부의 문제, 즉 국가에 한 구상과 직결된다. 그리고 헌법은 이민자를 원론적으

로‘열외’로 간주한다. 그렇다면 누가 언제 어떻게 왜 특정국가의 시민으로서 자격을 부여받

고 그에 수반되는 권리를 향유할 뿐 아니라 의무도 수행해야하는지, 따라서 어떤 근거에서 특

정 일부는 제외되는지에 한 심의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이 국가를 구상하는 안

건으로서 이민 문제를 어느 정부에게 책임을 부여할지에 관해 역사적으로 어떻게 결정했으

며, 어떠한 배경에서 최근에 이민 문제를 해결할 적절한 책임소재지는 주 정부라고 공세적으

로 주장하는 주 정부 입법 활동주의가 부상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민 문제는 수직적 권력

분립에 근거한 연방주의를 통치원칙으로 수용한 미국이라는 국가의 구상과 접하게 연관된

다는 점에서 기존의 정치경제에 더해 이민 문제의 발상 전환을 요구한다. 본 논문의 결어에서

3) “But now we are all, in all places, strangers and pilgrims, travellers and sojourners...”

레이든에 정착한 청교도 집단의 지도자인 Robert Cushman의 설교를 인용한 Mourt’s Relation (저

자는 레이든에서 플리머쓰로 이주한 청교도 집단의 지도자인 William Bradford와 Edward

Winslow로 추정됨, 1622)에서 재인용했으며, 이는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 레이든에서 사망한 청교도

들이 묻힌 피터교회(Pieterskerk)의 기념비에 새겨졌다.

4) Martin Schain, The Politics of Immigration in France,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Comparative Stud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8), p. 3.

Page 18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미국이 구상하는 국가상(像)의 맥락에서 이민 문제에 한 분석을 확 할 필요성에 관해 논하

고자 한다.

Ⅱ. 미국 이민에 관한 선행 연구

이민은 우선 유입의 사회경제적 요건, 즉 이주를 필요로 하는 견인(pull) 요인에 의해 결정

된다. 즉 이민은 특정 이주 상 국가의 공공 정책에 의해 형성되는 경향이 크며 공공 정책의

속성 상 동일 국가 내에서도 시 에 따라 변한다. 또한 이주를 촉발시키는 압박(push) 요인

은 주로 특정 사례국가나 특정 역사적 상황에 의해 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한 국가를 떠

나는 압박 요인과 다른 한 국가로 향하는 견인 요인이 별도로 또는 동시에 작동한다. 따라서

선행 연구의 한 축은 이주 상 국가의 공공 정책에 의해서 향을 받거나 또는 출입국을 저

해하는 정치 과정의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는 접근 방식을 택한다.

특히 국경통제는 근 국가 개념, 즉 주권, 국민, 토와 접하게 연계된 법제도적 문제이

다. 따라서 이민 문제는 일찍이 구 륙의 근 국가 형성과정에서 제기되었다. 다만 실질적으

로 사법 또는 행정 기제에 의존해 국경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된 지 백 오십여 년이

경과했을 뿐이다. 예컨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출입국 감독과 연계한 여권 체계가 정립

되어 실질적 국경통제가 가능해졌다.5) 이렇듯이 짧은 사법-행정 차원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민 문제 중 국경통제 측면은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상징성을 지닌다. 국경통제에 소요되는

순찰과 검색 인력에 한 요구가 주요 정치쟁점으로 포장된다. 따라서 이민을 국경통제와 연

계해 설명하는 데 있어서 안보(security) 담론으로 접근하는 선행 연구도 속출한다. 특히 9-

11사태 이후 파생된 결과로서, 이민 문제를 접근하는 관점으로 국토(homeland)의 안보를 담

보로 하는 외부 세력의 침투를 국경통제를 통해 차단해야 한다는 정치적 색깔론마저 제기된

다.6) 그러나 현실적으로 육로를 통한 국경통제는 비용효과 측면에서 불합리하므로, 실질적

국경통제는 항공편을 통한 국경통제에 그친다. 더구나 국경통제의 효율성은 국경 순찰이나

검색 자체보다 현실적으로 출국 상국의 사증발급을 통해 제고할 수 있다. 결국 불법이민을

저지한다는 상징성은 이민 문제의 해결 자체보다 중 합적 (populist) 정치쟁점으로 흡입

력을 지닌다.

더불어 이민 문제를 국경통제의 연장선에서 국가정체성 문제로 확 하는 배경에는 개인 또

는 집단의 권리를 보장하려는 자유주의의 이상과 이민 규제라는 현실이 충돌하기 때문이다.

5)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철도의 발달로 최소한 유럽 륙 내에서는 여권 관리가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이었

기 때문에 1차 세계 전 직전까지 체로 여권검사에 의존한 국경통제의 실효성을 상실했다. 상세한 논

의는 John Torpery, The Invention of the Passpor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를 참조하기 바란다. 유럽에서는 1차 세계 전 직전 확립된 사증제도를 쉥겐 협정(Schengen

Agreement)을 통해 폐지한 결과, 국경 없는 쉥겐 지역(Schengen Area)이 구축되었다.

6) 유성진∙김희강∙손병권, “2007년 미국 이민법 개정 논쟁: 과정과 함의 그리고 미국의 다원주의,”『미

국학논집』39집 ⑶호 (2007), pp. 159-61.

Page 18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3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더욱이 안정된 민주주의 체제의 근간에는 이민자의 인권 문제가 법적 형평성과 나아가 정치

적 형평성 문제와 직결된다. 그러나 다수 안정된 민주주의 국가의 헌법은 이민자의 법적 지

위를 원론적으로 언급하거나 그에 관해 침묵한다. 이러한 사법부의 소극적 행동주의는 이민

자의 사회 및 정치적 권리를 정치적 논리로 결정할 수 있는 공백을 남긴다. 결국 이민 문제를

수요와 공급 양면에서 조명해야 할 뿐 아니라 그 비용효과와 상징성으로 차별할 필요가 있다.

주목할 점은 이민 문제에 한 여론과 그 변화에 초점을 맞춘 최근 선행 연구이다. 기존 선

행 연구는 이민 증가에 관한 설문조사가 경제주기와 무관하게 항상 부정적 결과로 나타난다

는 사실을 경시한다.7) 물론 이들 기존 연구도 연령층에 따라 이민 감소에 한 반응이 다르며

체로 청년층보다 노년층이 이민증가에 반발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즉 이민자 수가 증가할

수록, 경제침체가 심각할수록, 최근 이민자가 상이 될수록, 이민증가에 한 반발이 거세지

는 경향을 강조한다.8) 그러나 최근 선행 연구는 국가에 따라 또는 동일 국가 내에서도 집권정

당이나 연립의 정치적 결단에 따라 이민 정책을 개방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여론

을 결집하여 공공 정책에 반 해야 정치 경력 및 심지어 정치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정치인

이 단지 득표 또는 집권을 위해 공약(空約)을 남발한 후, 이민 문제에 관한 공공 정책 집행을

여론과 별개로 통치 기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일까? 만약 그렇다면 의민주주의 체제

에서 어떻게 여론으로부터 독립된 이민 정책 집행이 존속될 수 있을까? 이에 답하기 위해 국

가정체성과 연계해 이민을 능력(merit) 담론 또는 가치 준거(standards of worth) 담론으

로 접근한 선행 연구도 있다.9)

본 논문은 수사(rhetoric)로서 능력 또는 가치 준거에 초점을 맞추는 선행 연구에 더해 행

위(action)로서 능력 또는 가치 준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예컨

속지주의(jus solis)나 속인주의(jus sanguinis)에 의해 시민권을 부여하는“시민권은 정치

체(polity)의 가장 근본적이고 깊숙이 스며있는(pervasive) 제도로서 정치적 집합 정체성

(collective identity)의 초석”을 제공한다.10) 따라서 선행 연구가 지적하듯이 시민권 개념의

형성은 자타를 구별하는 집합적 인지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민 문제가 바로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행태를 규정하려는 기술을 수반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바로 이 정체성

을 생산하는 기술(identity technology)에 따라 정체성의 정치가 탄생하는 것이다. 더불어

연방주의를 헌정질서로 채택한 미국의 경우 국가 정체성의 정치조차 수직적 권력분립에 의거

한 법제도적 및 정치 논리로 연계될 소지가 크다.

7) Joel Fetzer, Public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Germa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 93.

8) 구체적 자료는 Pew Research Center, A Global Generation Gap (Washington, DC, Feb.

2004), p. 2를 참조하기 바란다.

9) 유성진 외 (2007), pp. 163-66; Miche`le Lamont, The Dignity of Working Men: Moralityand the Boundaries of Race, Class, and Immigr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pp. 212-13.

10) Ireneusz Pawel Karolewski, Citizenship and Collective Identity in Europe (New York:

Routledge, 2010), p. 172.

Page 18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그렇다면 이민자의 권한에 한 미국 연방헌법의 규정은 어떠한가? 주지하듯이 미국 연방

헌법 수정헌법 14조는 평등 보호(equal protection) 구절이다. 미국 연방최고법원은 인종이

나 원 국적(national origin)과 마찬가지로 이민자 신분(alienage)에 해서 위헌의 개연성

이 있는 기준(suspect classification)으로 분류한 판결을 내렸다. 따라서 평등 보호와 관련

된 통치 행위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하는 사법심사에서 강도 높은 기준을 요구하는“엄격 심사

(strict scrutiny)”를 채택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미국연방헌법에 의거한 헌법적 관점에서

는 이민자는 거주 기간과 상관없이 외지인(alien), 즉 제3국에 소속된 국민이다. 따라서 이민

자의 입국과 입국 후 정착 권한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엄격 심사”를 채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1) 결과적으로 연방정부에게 부여된 전권 구절에 근거한 정부 행위로 인해 이민자의 헌

법이 정한 기본권이 유린되는 경우에 한해 평등 보호 조항을 적용한다는 결정이 지배적이다.

결국 특권에 해당하는 정치적 권한을 이민자에게 허용하거나 또는 제한하는 정부 행위는 연

방이든 주차원이든 또는 두 정부단계 간이든 입법을 포함한 정상적 정치과정을 통해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물론 헌법이나 사법심사가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해줄 수 없다는 점은

누구나 공감하는 바이다. 그러나 헌법이 침묵하거나 경직된 사법심사로 인해 정책 혼선이 야

기된다면 정치과정은 이를 순화시키기보다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민 문제는 바로 이 사

법적 공백지 로 인해 그 해결책이 실질적 행위 자체보다 상징적 수사(rhetoric)로서 정치 시

장에 지속적으로 동원되는 의제이다.

기본적으로 이민 문제는 출입국 관리나 국경통제에서 시작하지만 이주한 국가에 수용되는

과정 내내 지속된다. 따라서 이민 규제를 둘러싼 논란은 국가 정체성에 중 한 도전을 제기하

는 문제로 이에 어떻게 응전할지에 한 집합적 고민, 즉 국가에 한 구상이다. 이러한 맥락

에서 이민 문제는 이민자의 통합 및 수용 방식과 접하게 연계되기 때문에, 이민에 한 설

명 틀은 이민의 전체 주기를 총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즉, 이민자가 입국하는 순간부터 어

떻게 이주국가의 구성원으로 포함되어야할지, 그리고 어떤 결과가 예측되는지에 한 일종의

이민 종합설계도면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사분란하게 정돈된 이민 정책 꾸러미,

즉 이민 레짐(immigration regime)이 제시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12) 우

선 이민자의 지위에 한 헌법적 규정이 혼재한다. 더불어 이민 정책은 체로 연방 또는 중

앙정부가 세련되게 포장된 공공 정책을 제공하기보다 공공 정책의 집행방향을 제시하는 방침

내지“공공 철학(public philosophy)”을 정립하는데 그친다.13) 따라서 만약 연방 또는 중앙

11) Ruth Rubio-Marln, Immigration as a Democratic Challenge: Citizenship and Inclusion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Kindle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 138. 따라서 연방최고법원이 위헌의 개연성이 있는 기준에 해서“엄격심사”를 적용하면, 정부 행

위가“중 한 국가 이익의 달성에 필수불가결한 수단임이 입증되는 경우”에 제한해 합헌으로 판정한

다. 반면에 성(性), 적서(嫡庶)는 위헌의 개연성이 있는 기준에 준하는 기준으로 설정해“엄격심사”

신에 보다 유연한“중간심사”를 적용했다. 상세한 사법심사의 기준에 관한 논의는 이우 , “미국의 위

헌심사기준으로서의‘이중 기준(二重 基準) (Double Standard)’,”『서울 학교 法』50권 ⑴호

(2009), p. 422를 참조하기 바란다.

12) 표적 일례로 Aristide Zolberg, A Nation by Design: Immigration Policy in theFashioning of America, Kindle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을 들 수 있다.

Page 19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5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정부의 주도로 이민 문제가 선점된다면 이민 정책의 처음과 끝에서 발견되는 괴리가 발생하

기 마련이다. 많은 선행 연구는 사회 균열구조를 정치적으로 동원하는 이익집단과 정당 정치

에 초점을 맞추어 이민의 정치경제를 설명한다. 예컨 이민 정책의 추이를 사회의 균열구조

를 활용해서 이민자의 할당을 확보하려는 민족이나 인종 특정적 이익집단의 압력으로 조명할

수 있다.14)

흥미로운 점은 이민자 규제의 권한소재지가 연방정부가 아닌 주 정부인가 라는 최근 설문조

사의 문항에 해 미국 총 응답자의 69퍼센트, 민주당 지지자의 66퍼센트, 공화당 지지자의

75퍼센트가 찬성하 다는 사실이다.15) 헌법에 명시된 전권(plenary powers) 구절에 의하면,

이민 규제의 핵심이 출입국을 다루는 국가 간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민 정책의 주체를 연방정

부로 규정하며, 연방최고법원도 이에 동의하는 판결을 내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민자를

주류 사회로 포용하는 주체로서 주 정부가 적절하다는 공감 가 널리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

은 연방국가 미국 사회의 일면을 드러낸다. 나아가 미국의 건국 이래 이민법 개혁처럼 장기간

에 걸쳐 정치 무 에 빈번하게 등장한 사안도 드물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

회 전반에 걸쳐 파장이 큰 사안으로서 이민법 개혁을 제 로 수행할 주체로서 연방정부의 역

할에 한 갑론을박은 궁극적으로 미국이라는 국가를 구상하는 주체가 누구 또는 어느 정부

인지와 직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미국이 건국 이후 연방주의를 통치 질서로 채택

하면서 이민 문제를 통해 연방-주 정부 관계가 구성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국내외 선행 연구는 체로 연방정부 또는 연방의회 내 정치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이

민에 한 여론이 투표행태에 미치는 향 또는 이민에 관한 여론과 별도로 추진되는 이민 정

책에 주목한다. 본 논문은 이민 문제가 어떻게 미국의 국가 구상에 향을 주는지 연방-주 정

부 관계를 접목해 재조명하고자 한다. 미국은 연방주의를 헌정질서로 표명한 국가군 중에서

도 건국이 이민 또는 거주민 이동을 선행한 유럽의 연방국가와 달리 국가 간 이민이 건국과

동시에 진행되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정책차원에서 제도화된 이민국가군에 속한다. 특히 이민

국가군 중에서도 미국의 이민 증가폭의 변동이 극심했다. 그러나 연방정부가 포괄적 이민과

이민자 정책 개혁에 관한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연방정부 차원의 정

치과정에서 드러나는 이익집단의“땅따먹기”에 한 우려와 실망의 목소리가 들렸다. 나아가

원론적으로 주요 통치원칙인 연방주의에 한 현상 타개를 목표로 한 총력전의 양상으로 나

타났다.16) 예컨 상 적으로 포괄적이라고 평가되는 1990년 이민법은“크리스마스 트리,”

즉 모든 이권 관련자/집단이 제각기 마음에 드는 장식품을 법안에 추가시켜 상정된 원안의 주

요 목표인 이민 규제와 거리가 먼 법안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경제주기의

13) Theodore Lowi, The End of Liberalism (New York: W.W. Norton, 1969).

14) Zolberg (2006)을 참조하길 바란다.

15) First Focus, “Public Support for the Dream Act”(June 2010), http://www.firstfocus.net/

sites/default/files/dreampollbreakdown_0.pdf (검색일: 2011. 9. 30).

16) ”Two Reasons to Rejoice on Immigration,”The New York Times (29 October 1990) 재인

용. 더불어 2010년 중간선거를 계기로 표면화된 티파티(Tea Party) 운동도 이민의 맥락에서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

Page 19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침체와 맞물리면 이민의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강조하는 이민의 정치경제가 선거판을 달군다.

본 논문은 이에 더해“진정한”국민으로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 또는 자질을 검증하

자는 소위“토착민 주의(autochthony)”로 치닫는 위태로운 정치풍경이 다름 아닌 이민자 국

가 미국에서도 펼쳐진다는 점을 주시하고자 한다.17) 비록 그 광기를 상실했지만 예컨 최근

의 오바마 통령의 출생지를 검증하자는 소위“미국 토출생(birther)”난상토론을 들 수

있다. 그러한 논의가 공론의 장으로 부상할 수 있는 정치적 분위기는 앞으로 이민자의 권한과

지위를 포함해 최근에 급부상하는 미국의 국가 구상, 즉“미국 찾기”에 관한 논의의 전개방향

과 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다음 절에서는 이민자 국가 미국에서 연방주의가 이민과 이민자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검토한 후, 1990년 이민법 개정 이후 연방

정부 차원에서 통제 불능으로 낙인이 찍힌 이민 규제에 주 정부가 지난 10여 년 간 어떻게

처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미국의 이민 정책 주체가 실질적으로 그리고 규범적으로 연

방정부로 정립되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최근 30여 년 간 책임소재지 논의가 재부상하는 배

경에 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화를 반 하는 지표로서

여론 추이와 객관적 증빙자료인 인구구성도 및 실업률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민 문제의

실재와 허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론으로 앞서 검토한 결과를 토 로 이민자 국가 미국에

한 재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Ⅲ. 미국의 이민 문제: 법제도적 발전 과정

1. 이민자 국가 미국의 건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인권과 조적으로 배타적 권리에 해당하는 시민권을 규정하는 권한은 모든 연방국가에 공

통적으로 연방정부에 속한다.18) 그러나 원칙으로서 시민권을 규정하는 권한보다 실질적으로

시민권을 구현하는 권한, 즉 일정 기간 거주한 경우 시민권을 자동적으로 부여할지 여부나 또

는 좀 더 구체적 사안으로 구적으로 시민권 취득에 따른 수혜를 거부할지에 한 결정권이

체로 연방정부보다 주 정부 이하 정부단계에 소재한다. 따라서 이민인구의 현저한 증가추

세, 그 중에서도 특정 집단의 폭증은 연방-주 정부 관계 설정 또는 재설정에 향을 끼칠 수

있다. 왜냐하면 미국 사회의 구성원을 실질적으로 규정하는 권한의 소재지 변동은 바로 미국

이라는 국가를 구상하는 주체의 변동 가능성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이민 문제가

19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7) Peter Geschiere, The Perils of Belonging: Autochthony, Citizenship, and Exclusion inAfrica and Europe, Kindle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인류학자인 헤쉬어

는 탈식민(post-colonial) 아프리카 종족 간 목격되는 토착민 논의가 선거라는 민주주의 기제를 통해

배타적 권한 부여의 정당화로 악용되는 사례를 분석한 후 이를 네덜란드에 변형된 형태로 전개되는

“외지인 논의(allochtonen)”에 적용했다.

18) 상세한 내용은 이옥연, “연방주의와 이민 문제: 유럽연합에 주는 시사점 일고,”미발표 논문 (2011)을

참조하기 바란다.

Page 19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7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국가 정체성 논의로 비화하는 양상을 띠면서 더 이상 연방최고법원도 이민자의 권한과 지위

에 관한 포괄적 유권해석을 기피할 수 있는 시점에 이르 다고 주장하는 선행 연구도 있다.19)

그렇다면 미국은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민 문제에 처했을까?

앞서 강조했듯이 연방헌법체제에 의한 건국과 이민이 동시에 진행된 미국은 이민의 책임 소

재지를 결정하는 논의를 세분해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다음과 같은 두 방향으로 차별화시켰

다. 첫째, 미국 국내로 유입되는 이주자, 즉 이민자를 사회 구성원으로 통합하는 업무는 국가

의 경제적 필요성, 즉 노동에 한 수요에 근거하기 때문에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구속받지 않

도록 해야 한다는 기본 방침이었다. 이에 따라 연방정부는 기본 정책지침을 입법화하고 이에

한 실질적 집행권한을 주 정부에게 부여하는 분업화를 택했다. 나아가 연방사법부는 인권

존중을 포함한 보편적 사법 논리에 근거해 집행방향을 판결문에 명시했지만, 동시에 그를 이

행하는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 자격을 결정하는 책임 소재지에 해 침묵했다. 따라서 이민

자의 권한과 지위에 관한 양분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상충하는 견해가 병존했다. 이러한 사

법부의 지침은 궁극적으로 이민자가 미국의 구성원으로서 동등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해 헌법에 명기하는 신 입법과정을 통해 결정할 사안으로 확정되는 전례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사법부의 신중한 응은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이민자의 권한을 헌법

에서 명기하지 않은 탓에 그 로 정치적 압력에 노출시킬 위험성을 내포했다. 다만 헌법이 보

장하는 기본권을 침해할 가능성을 축소하기 위해 배타적 소외의 범위를 명기함으로써 사법부

는 이민자의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하는데 주력했다. 그러나 헌법에 명기된 이민자의 권한과

지위는 무슨 근거에서 미국사회의 구성원으로 포함되느냐에 관해 침묵하기 때문에, 원론적으

로 미국에서 출생하지 않은 유입 인구 중 구 정착의 의사를 표명한 이민자는 불법 여부와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헌법에서“열외”로 간주된다. 바로 이 헌법의 침묵으로 인해 이민자의

정치적 권한을 설정하려는 정치 시장에서 이민 문제와 이민자를 상으로 하는 정책은 단골

메뉴로 등장한다.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1790년에 최초로 연방 귀화법이 제정된 이후 19세기 중반까지

130년 간 연방정부가 제정한 이민법은 크게 3 차례에 그친 반면, 유입인구가 폭증한 19세기

후반부터 1943년에 중국인 추방법을 철폐하기까지 연방정부가 제정한 이민법은 2배로 증가

했다. 이러한 연방정부의 입법 활동주의는 미국이 남북전쟁의 종료, 산업혁명, 양 세계 전

을 거치며 주요 강 국으로 부상한 위상에 걸맞은 권역 확장을 입증한다. 즉 국제무 에서 주

요 강 국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려면, 미국의 표 정부로서 연방정부에게 국내에서도 주 정

부의 정책을 통합하는 상위정부로서 위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주 정부에게 부여

된 권한에 해 점차적으로 연방정부가 우위권한을 주장했다. 따라서 연방정부의 확 가 제

도화되었고 이민 문제도 그 일환이었다.

19) Rubio-Marln (2000), pp. 132-34.

Page 19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표 1> 건국 이래 제정-공표된 연방 이민법령과 연방정부 구조

의회다수당상원/하원

통령(정당)연도 법 령

1790

1798

1819

1875

1882

1891

1906

1907

1917

1918

1921

1924

1929

1942

1943

1948

1952

1965

1978

1986

1990

1996

1997

2000

2005

2009

2010

최초 연방귀화법 제정

Alien and Sedition Act

Passenger Act

Henderson v. Mayor of New York

Chinese Exclusion Act; Immigration Act

Immigration Act

귀화 조건으로 어능력 필수화

일본노동자의 미국 이민협정(하와이 제외)

문자해독능력 필수화; 아시아 이민금지지역 선정

Passport Control Act

Emergency Quota Act

Johnson-Reed Act

출신국적별 할당 공식 책정

Bracero Agreement; Public Law 45 (1943)

Chinese Exclusion Act 철회

Displaced Persons Act

Immigration and Nationality (McCarran-Walter) Act

Immigration and Nationality (Hart-Celler) Act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개정

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

Immigration Act (IMMACT)

Illegal Immigration Reform and ImmigrantResponsibility Act (IIRIRA); Antiterrorism andEffective Death Penalty Act (AEDPA)

숙련기술자 상 잠정사증 확

Legal Immigration Family Equity Act

Real ID Act

Uniting American Families Act

Development, Relief, and Education for Alien MinorsAct (American Dream Act)-상원보류

워싱턴(무소속)

아담스(무소속)

먼로(민주공화)

그랜트(공화)

아더(공화)

해리슨(공화)

T.루스벨트

(공화)

윌슨(민주)

하딩(공화)

후버(공화)

FDR(민주)

트루만(민주)

존슨(민주)

카터(민주)

레이건(공화)

부시(공화)

클린턴(민주)

W. 부시(공화)

오바마(민주)

연방파

연방파

민주공화

공화/민주

공화

공화/민주

공화

공화/민주

공화

공화

민주

공화/민주

민주

민주

공화/민주

민주

공화

공화

민주

민주/공화

출처: Martin Schain, The Politics of Immigration in France,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Comparative Study (New York: Palgrave-Macmillan, 2008), pp. 184-185; 미국정치연구회(편), 『2008년 미국 선을 말한다: 변화와 희망』(서울: 오름, 2008), pp. 281-283; http://www.nilc.org/(최종검색일: 2011. 6. 30).

*분점정부는 굵게 표시했다.

Page 19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99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문제는 이민 문제에 관한 한, 연방정부의 비 는 주 정부의 의사와 무관하게 진행되거나 심

지어 주 정부가 권한 이관에 반발함에도 불구하고 전개되었다는 불편한 전력이다. 또한 이민

과 이민자 정책에 관한 권한이 연방정부에 이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이권을 내세운 압

력단체의 향력에 의해 연방정부는 이민 규제를 추진할 수 있는 통제력을 침식당했다. 따라

서 2차 전 종료 후 최근 오바마 행정부의 이민법 개정 시도를 제외한 십여 차례의 이민과

이민자를 겨냥한 법안은 공통적으로“지속적 타협과 세세(細細)한 거래”에 매몰되었다는 평

가를 받는다.20) 특히 주 정부는 이민 문제의 해결자로서 연방정부의 무능을 공세적으로 비판

하기 시작했다. 우선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정당 간 결 뿐 아니라“정당 내부의 이합집산”과

건국시조가 우려한“파벌의 해악”에 준하는 각종 이익단체 간“땅따먹기”가 횡횡하는 현실을

개탄했다. 나아가 이민을 규제하기보다 이민자 할당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해서 결국 이

민 규제에 역행했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연방정부의 무능으로 인한 폐해에 더해 주 정부는 수

직적 권력분립에 기초한 연방주의 원칙을 근거로 이민 문제를 연방-주 정부 간 관계 재설정

에 활용하기 시작했다.21)

2. 연방정부의 이민 문제 선점과 주 정부의 응

그렇다면 단일한 이민 개혁을 표방한 연방정부의 입법 시도가 이민 규제를 단일화시키기는

커녕 이민의 확 를 가져오기까지 주 정부는 어떻게 응했을까? 더불어 통령제를 통치 질

서로 채택한 미국에서 통령소속정당과 입법부 또는 양원 간 다수당이 다른 분점정부가 발

생할 경우 이는 이민 정책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져왔을까? 심지어 통령과 입법부 다수당

이 모두 동일한 단일정부(unified government)인 경우라도 균형과 견제의 통치 원칙에 의

해 운용되는 미국에서 이민 정책이 과연 정치 과정을 거치며 온전하게 원안의 취지를 보존할

수 있었을까? 이 모든 질문은 연방주의를 채택한 국가 중에서도 특히 수직적, 수평적으로 복

잡한 형태로“권력분산을 통한 권력공유의 묘(妙)”를 요구하는 미국의 통치체계 내에서 이민

과 이민자를 상으로 하는 정책에 해 재조명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과 직결된다.22) <표

1>에서 보면 19세기 말까지 크게 4차례에 걸친 이민법 개정이 있었다는 사실은 주 정부가 실

질적으로 제각기 출입국 관리를 관장하는 주체 음을 암시한다. 결국 연방주의가 권력분산과

권력공유를 동시에 요구하는 딜레마를 통치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연방정부와

주 정부는 항시 이견 립의 상황에 처하지만 이를 타결하는 방안도 또한 동일한 경로로 모색

해야함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민 문제에 관한 한 연방-주 정부 관계를 크게 1790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 이중 연방주의 (dual federalism), 19세기 말 이후 1990년 까지 연방정

20) 유성진 외 (2007), p. 140.

21) Ted Perlmutter, “Bringing Parties Back In,”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0-1 (1996).

22) 이옥연, “연방제도 정립과정 비교: 안정된 연방국가 7개국의 다층구조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23집 ⑷호 (2007), pp. 99-137.

Page 19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부 우위성(superiority), 그리고 1990년 이후 신연방주의(New federalism)로 나눌 수 있

다.23) 특히 이중 연방주의와 연방 우위성 시 간 분수령을 이룬 역사적 사례로 서부 개척에

투입할 노동력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868년 중국과 미국 간 중국인 이민을 도모하는

조약을 들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이보다 앞서 중국 이민의 증가에 반발한 캘리포니아 주는 주

법을 제정해 중국 이민자의 권한을 제한했다는 사실이다.24) 비록 연방정부와 중국 간 조약 체

결이 시간적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이민 법안 제정 이후에 발생했으나, 1882년에 이르러서는

공화당 그랜트 통령과 공화당이 주도하는 연방의회가 중국 이민을 향후 10년 간 잠정 보류

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급기야 1902년에는 구 보류를 안건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중국 이민자의 귀화를 원천 봉쇄했다.25)

그러나 1882년에는 동시에 이민 문제, 특히 출입국 관리에 관한 연방정부의 권한 확 도 이

뤄졌다. 더구나 이민 문제의 주요 역인 출입국 관리를 연방정부 권한으로 이양하는 요구가

다름 아닌 뉴욕 주의 주도로 가능했다. 결국 이전까지 주 정부가 개별적으로 관장하던 이민자

입국절차와 관련한 규제를 뉴욕 주의 압력으로 연방정부가 전담함으로써 출입국 관리의 책임

소재지를 단일화시켰다. 그 결과 1891년에 이민, 특히 출입국 관리에 관한 한 연방정부에게

모든 권한이 소재함을 공표한 연방이민법을 제정했다. 마침내 이민 규제는 외국과의 통상을

규제하는 연방정부의 권한 역이라는 1875년의 연방최고법원의 판결이 연방정부의 주도라

는 정책집행의 실체로 19세기 말에 구현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역사적 사례는 연방정부와 주 정부 간 이민에 관한 권한분산은 단순한 분업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층 거버넌스를 통한 이견조정을 권장하는 형태로 정책결정과정이

유지되었음을 입증한다. 더구나 20세기 초까지 직선이 아닌 간선으로 상원 의원을 선출하

기 때문에 연방정부 차원에서 각 주 정부가 지역이권을 변하는 창구를 동원할 수 있었다.26)

따라서 주 정부의 관점에서 보면, 19세기말까지 연방주의에 입각한 이민 정책의 결정과정에

서 한편으로는 연방과 주 정부 차원에서 선출된 변인 간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

로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주 정부 변인에게 압력을 넣을 수 있는 경로를 통해 주 정부가 실

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 역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그 압력은 특정 이민자 집단의 권한을

23) 이러한 분류는 체로 연방주의의 변천과 유사한 준거에 의한다고 볼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이옥연,

“미국의 연방주의: 탄생과 유지의 비결,”『미국학』제29권 (2006), pp. 163-199, 특히 <표 2>를 참

조하기 바란다.

24) Schain (2008), pp. 181-82. 1848년 미국서부의 골드러시는 유럽계 이민자 집단에게 증가하는 중

국인 이민자에 한 규제를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캘리포니아 주는 1850년과 1852

년에 Foreign Miners’License Tax Law를 제정함으로써 시민권이 없는 중국인 이민자의 재산축

적을 제어했다. 이후 1870년 경제침체에 접어들면서 중국인 이민자에 한 반감은 더욱 악화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에 이르 다.

25) 1868년 미국과 중국 간 체결된 Burlingame-Seward 조약은 중국에게 최혜국(Most Favored

Nation)의 특권을 부여하 고 미국에 이주하는 중국인에게 귀화의 특권도 부여하 다. 그러나 공화

당이 다수당인 의회의 반발로 인해 공화당 헤이즈 통령은 급기야 1880년에 귀화를 보류하는 조항을

삽입하여 조약을 개정했고, 결국 1882년 공화당 그랜트행정부가 중국이민금지법을 제정함으로써 조

약은 효력을 상실했다.

26) 주지하듯이 연방 상원의원 직선은 수정헌법 17조에 의해 1914년 선거부터 시행되었다.

Page 19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1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제한하는 입법안으로 결실을 맺었으니, 주 정부로서는 이 시기가 이민법 개혁의 황금기에 해

당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연방정부의 관점에서는 19세기 말을 종점으로 이민 문제에 관한 한 주 정부가 자발

적으로 정책 집행의 주도권을 연방정부에게 이관했다고 볼 수 있다. 앞서 <표 1>에서 볼 수 있

듯이 20세기 초에는 이민을 제한하기 위한 일련의 법안, 예컨 어구사능력이나 문자해독

능력 또는 출신 국가에서 미국 사증을 발급받는 것을 의무화함으로써 미국 토 내 입국 이전

에 사전 관리할 수 있는 방식을 법으로 제정했다. 이어 1921년에 출신국가별 할당을 재배정한

이후 이민법 개정 내용은 이민자 집단의 구성에 초점을 맞췄다. 즉 20세기 초부터 주 정부가

아닌 연방정부의 주도로 개방적 이민 정책을 공식적으로 폐쇄적 이민 정책으로 전환했다. 또

한 20세기 초부터 연방정부가 주도하는 이민 정책의 주요 의제가 이민자 집단의 구성이었기

때문에 이후 연방 이민법 제정의 목표는 포괄적 개혁보다 공평한 할당 조정에 역점을 두었다.

미국의 연방주의는 정책결정과정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행위자가 복합적 다층구조

로 존재하기 때문에 정책 입안과정은 길고 경우에 따라 험난한 여정을 거친다. 이민과 이민자

정책은 수직적으로 수평적으로 복잡한 연 세력 간 이합집산을 동반한다. 따라서 이민법이

특정 집단이나 계층 또는 가족관계 간 할당 조정에 관한 개정을 시도하는 순간 모든 행위자의

거부권 행사 가능성도 커진다. 결국 이는 이민자 총수를 확 하는 방법, 즉 파이를 크게 만드

는 미봉책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론은 불행하게도 일관적으로

이민의 확 에 해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게다가 불법 이민자의 증가에 해서는 심각한 우

려를 표명한다. 결국 국민에 더 가깝게 존재한다고 자부하는 주 정부로서는 이민법의 주체로

서 지위를 재탈환할 명분을 확보하는 셈이다.27)

1990년 이후 주 정부는 마침내 입법 활동주의로 이민 문제에 관한 책임 소재지를 재탈환

하고자 하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단적인 사례로 1994년 캘리포니아 주에서 주민발의로 입법

안으로 채택되었다가 로스앤젤레스 연방구역법원에서 위헌판결로 번복된 주민발안

(Proposition) 187을 들 수 있다. 이 주민발안의 주요 골자는 캘리포니아 주가 자체적으로

시민권 검증제도를 구비하고 불법이민자에게 공공구제와 서비스의 혜택을 제한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특히 캘리포니아 주민 중 히스패닉 주민의 1/3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계 주민의 과

반수가 이 주민발안을 가결시켰다는 점에서 연방정부의 이민 정책에 정면 도전장을 던진 사

건이다. 이는 이민 정책이 단순한 반이민정서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통념을 뒤집는 중요성

을 지닌다.

다음 소절에서는 반이민정서가 연방-주 정부 관계에 미치는 향력을 여론조사 결과, 인구

통계학적 변화, 경제 침체 등 요인과 연계해 추론하면서 앞으로 이민 문제가 넓게는 미국의

국가구상, 좁게는 연방-주 정부 관계에 어떤 이정표를 남길지 논하고자 한다.

27) Fetzer (2000), p. 82.

Page 19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Ⅳ. 반이민정서와 연방-주 정부 관계

1. 반이민정서의 배경

그렇다면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를 위시해 남부 알라바마 등 몇몇 특정 주에서 최근 중

합적 반이민정서가 미국 사회를 뒤흔들고 때로는 정치적 지각변동을 일으키는 진원지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의 서부와 멕시코 접경지 에 근접한 주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추론

이 가능하다. 과거 서부개척의 표적 주는 이민자가 창설한 동부 주와 달리 미국의 국가 정

체성을 이민자 국가와 결부하는 데 그다지 공감하지 않은 채 별도의 정착과정을 거쳤다.28) 즉

이민자가 주축이 된 동부 주들과 달리 서부 주들은 미개척지 인 변방(frontier)을 개척한다

고 자부하는 토착민이 주축을 형성했다. 그러나 현재 멕시코나 태평양 연안과 접한 서부 주는

다른 어느 지역의 주보다 불법 이민자가 집중되어 있다. 무엇보다 그로 인한 재정적 손실도

크다는 인식이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팽배하다.29) 이 불법이민자에게 들어가는 공공구제와 서

비스 비용 이외 출입국 관리 위반자 감금 시설 유지비 등은 결과적으로 주 재정에 압박을 준

다는 반발이 크다. 문제는 이러한 비용을 부분 주 정부나 이하 하위정부에서 전적으로 부담

하는데 비해 이민자 집단을 상으로 하는 세금의 부분을 연방정부가 징수하는 데 한 불

만이다. 결국 주 재정이 이중으로 압박을 받는 불합리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주

정부의 입법 활동주의로 나타나기 시작했다.30)

더불어 과거 이민 규제가 노동시장과 최저임금 논의에 의해 정책 틀을 구상했다면, 1990년

중반 이후에는 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악 향 논의로 체되었다. 특히 재정균형 논의를

1994년 중간선거에서 연방하원의 다수당 지위를 확보한 공화당이 개헌 논의로‘승격’시키는

분위기가 수용되면서 이민 규제는 재정 건전성 회복과 직결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고

전파되었다. 그 결과 불법 이민을 근절하려는 캘리포니아 주 법안보다 더 진일보한 형태로 연

방정부 법안은 이민자의 총수 제한에 주력함으로써 이민자 국가로서 미국의 위상은 유지하되

실질적으로는 이민의 문을 닫고자 했다. 그러나 각종 이익단체의 이합집산으로 인해 오히려

이민자 할당이 증가했을 뿐 불법 이민에 한 근본적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1952년 이

민국적법 이후 거의 매 10년마다 이민법 개혁 논의를 입법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비교

적 포괄적 이민법 개정이라는 평가를 받는 1990년 이민법을 제외하곤 이민 규제와 거리가 멀

거나 아니면 입법과정에서 소멸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는 불법 이민을 근절하려던 캘리포

니아 주를 비롯해 불법 이민으로 가장 타격이 큰 몇몇 주에게 연방정부의 무능력을 확인시켜

28) 무엇보다 서부의 백인 개척자는 미국의 토 확장에 참여함으로써 국가건설에 기여했다는 자부감에

근거해 이질적 집단인 이민자가 그 공로를 가로챈다는 불안감을 여과 없이, 심지어 폭력적으로 드러내

곤 했다.

29) 실제로 40퍼센트의 불법이민자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고 나머지 35퍼센트는 애리조나를 포함한 5개

주에 분포한다.

30) Christian Joppke, Immigration and the Nation-State: The United States, Germany,and Great Britain (Oxfor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2008), p. 58.

Page 19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3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31) Pablo Mitnik and Jessica Halperin-Finnerty, “Immigration and Local Governments:

Inclusionary Local Policies in the Era of State Rescaling,”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 52. 구체적 자료는 이소 ∙ 이옥연, “의료보험개혁, 이민

규제, 그리고 2010 미국 중간선거,”미국정치연구회(편), 『2010년 미국 중간선거: 또 다른 변화』(서

울: 오름, 2011), p. 223, 표 5를 참조하기 바란다.

32) Doris Marie Provine, “Local Immigration Policy and Global Ambitions,”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 217.

33) 이소 ∙이옥연 (2011), p. 215. 문화적 주변성 가설은 주변 집단에 한 주류 집단의 우호감 또는 적

감이 시공간적 변이를 보이는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반면에 상호교류 가설은 편견의

실재 자체보다 편견의 인지 여부가 설명력을 결정하므로 주류 집단과 주변 집단 간 우호감이나 적 감

의 변이를 부인하는 모순을 지닌다.

주는 결과를 낳았다.

물론 최근 자료는 이민과 이민자에 관한 주 정부의 입법 활동주의를 입증한다. 다만 유의할

점은 주 정부의 입법 자체가 반드시 이민자의 권한 제한에만 주력하지 않고 오히려 이민자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정착하도록 보조하는 프로그램을 정책으로 입안한다는 사실이다.31) 그러

나 주 정부의 입법 활동주의가 단지 연방정부의 이민 정책 집행이나 보완입법에 그치지 않고

궁극적으로 연방 이민법을 체하려는 범위로 확 되는 최근의 현실을 경시할 수 없다.32) 더

불어 의민주주의 체제에서 목격되는 반이민정서를 설명하는 기존 이론이 연방주의를 통치

원칙으로 표명한 미국의 경우 불충분하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흔히 반이민정서의 원인을 낮은 문화적 유사성에서 찾는 문화적 주변성(cultural

marginality), 낮은 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또는 기술 숙련도 등에서 찾는 경제적 사리추구

(economic self-interest), 그리고 직접적 면보다 가시성에 근거한 상호교류(contact)에

서 찾는다. 특히 경제적 사리추구 가설은 이질성에 근거한 문화적 주변성이나 가시성 증가로

인한 상호교류 자체보다 재정 손실로 인한 상 적 박탈감에 한 공포에 초점을 맞춘다. 즉

이 공포심으로 인해 이민의 합법성과 무관하게 반이민정서를 부추기는 정치 현실이 반복되는

점을 강조한다.33) 그러나 경제적 사리추구 가설도 궁극적으로 이질성과 가시성에 한 반발심

을 정치적으로 동원하여 금전적 타격과 정치 시장의 논리로 접목될 때 그 설명력을 확보한다.

연방주의를 헌정 질서로 채택한 의민주주의 체제에서는 바로 이 접목 과정에서 주 정부나

지방정부 등 하위정부가 법제도적으로 행위자로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미국의 사례는

이런 점에서 기존의 설명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는 헌법상 연방

주의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수직적 권한분산에 의해 운용하는 정치 체제의 경우에

도 이민의 정치경제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참조해야할 점이다.

2. 인구 구성도, 경제 침체 및 반이민정서 간 상관관계

<그림 1>은 1952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인구 구성도 변화를 나타내는 외국태생 인구 비

율 및 실업률, 그리고 이민에 관한 여론 설문조사를 보여준다.34) 앞서 선행 연구에서 인용되

Page 19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는 문화적 주변성이나 상호교류 가설의 지표로 사용되는 외국태생 인구 비율과 경제적 사리

추구 가설의 지표로 사용되는 실업자 비율과 함께 이민에 관한 정치적 체감온도 지표로 사용

되는 설문조사 결과를 비하면 다음과 같은 관측이 가능하다.35)

첫째, 외국태생 인구 비율은 1953년 6.8퍼센트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다가 1986년 이후 상

승세를 타면서 200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해 12퍼센트로 배가되었다. 합법적 이민자의 인

구 비율도 1980년 중반까지 2퍼센트 내외에서 보합 추세를 보이다가 1991년에 이르러서는

7.2퍼센트로 폭증하는 양상을 보 다. 이후 급격한 하향 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다시 2퍼센

트 내외 수준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부터 다시 증가추세로 돌아서서 2009년 현

재 3.7퍼센트에 달한다. 이는 이민자 국가 미국이 1900년 초에 공식적으로 개방적 이민 정

책을 폐기한 이후 1960년 민권운동을 계기로 다시 개방적 이민으로 정책전환을 했다는 주

장을 일부 입증한다. 이 현상 자체보다 중요한 점은 개방적 이민 정책의 전환 배경에 바로 연

34) 이민자 비율, 외국태생 인구 비율과 실업률이 백분율이므로 이민 감소에 한 찬성 응답률을 천분율로

조정해서 추세를 검토하고자 했다는 점을 덧붙인다.

35) 특히 실업자 중에서도 27주 이상 실업상태인 장기 실업자 추세는 경제적 사리추구 가설의 주요 지표

로 사용된다. 2010년 미국 중간선거와 연계한 연구결과로 김준석, “경제이슈를 중심으로 본 2010년

미국 중간선거,”『2010년 미국 중간선거: 또 다른 변화』(서울: 오름, 2011), pp. 172-173의 도표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림 1> 미국 인구 구성도 변화, 실업률 및 반이민 정서 추세, 1953-2009

출처: http://www.census.gov/compendia/statab/hist_stats.html, Gallup Poll, 해당 연도 (검색일:2011. 9. 30); Gallup Poll. 1953-2009, 해당 연도 (검색일: 2011. 9. 30).

1. 이민감소 찬성: 이민 감소에 찬성하는 설문응답자 천분율 (수치는 해당 연도 우측에 표기함)2. 외국태생%: 전체인구 중 외국태생인구 백분율 (상단에 표기함)3. 실업률%: 민간경제 분야 가용노동자 중 실업자 백분율 (좌측에 표기함)

Page 20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5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방정부 차원의 이민 규제 능력의 상실이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즉, 능동적으로 개방적 이민

정책으로 선회한 결과가 아니라 이익단체의 로비에 려 수동적으로 타협한 미봉책이 개방적

이민 정책이라는 점이다. 더불어 이민 규제를 요구하는 여론과 특히 불법 이민으로 인한 고충

을 호소하는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국경지 주 정부의 압력에 부응하는 차원에서 할당 조정

이라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할당 조정으로 인해 타격을 받게 되는 특정집단,

특히 히스패닉 이주자의 불법 이민을 조장하는 악순환을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36)

둘째, 민간 경제 분야의 가용노동자 중 실업자 비율은 경제 주기에 따라 고락을 반복하지

만, 공황 이후 최악이라고 평가받는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해 2009년에는 급기야 9.3퍼센

트로 치솟으면서 최악의 수준인 1982년(9.7퍼센트)과 1983년(9.5퍼센트)에 달하는 상황에

처했다. 실업률과 합법적 이민 인구 비율의 증감을 조해보면, 체로 경제가 활성화되면 노

동력 수요에 부응하려는 유입인구의 증가로 인해 합법적 이민 인구 비율도 동반 상승하는 추

세를 보인다. 그러나 경제 침체기에도 이와 상응하는 유입인구의 감소가 반드시 수반되지는

않는다. 더구나 합법적 이민 인구 비율이 폭증한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실업률과 합법적

이민 인구 비율을 조하면, 실업률의 증가에도 이민 인구 비율이 1990년까지 증가했다. 이

러한 역행은 이민 규제의 실패로 인한 부산물로 평가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1992년에서야

1990년 이민법이 실행되면서 이민자 총수가 감소된 점을 미루어 경제적 사리추구 가설은 효

과적 정치 동원이라는 전제 조건을 충족해야 설명력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연방주의를

헌정 질서로 채택한 미국에서는 수직적 권한분산을 헌법에 명기한다. 이는 재정 분산으로 인

한 부담이 균등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정치적으로 동원하는 경우에 한해 경제

적 사리추구 가설이 유효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국경통제나 불법 이민 근절의 압박감이 상 적으로 큰 국경지 주 정부로서는

집중된 비용부담을 연방정부가 분담해주지 않는다면, 자구책을 강구하겠다는 발상을 내놓을

수밖에 없다.37) 나아가 물리적 국경지 가 아니더라도 이질적 유입인구의 증가에 따른 비용부

담을 자각하는 심리적 국경지 에서 주 정부의 반발은 가능하다. 예컨 노스캐롤라이나 샬

롯 시를 심리적 국경지 의 표적 사례로 들 수 있다. 이민자 수용단계가 첫째, 주류와 모든

면에서 이질성을 보이는 히스패닉 집단을 호기심으로 바라보는“Welcome, amigos”에 이어

둘째, 샬롯 시 아메리카은행 본부의 건축 회사가 텍사스에 소재한 탓에 노동력으로 유입된 히

스패닉 인구의 증가를“Bank of America Phenomenon”으로 관망하다가 셋째, 이 유입인

구가 본부건물이 완성된 후에도 상주하자 그에 한 반감을 표시하는“Honk if you hate

Spanish”로 격앙되고 넷째, 급기야 비이민자 도시인 샬롯 시마저도 이민 문제에 관한 선택

의 기로(“Charlotte at the immigration crossroads”)에 서 있다는 정치쟁점화로 이어진

36) Schain (2008), p. 220.

37) Michele Waslin, “Immigration Enforcement by State and Local Police: The Impact on

the Enforcers and Their Communities,”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 98.

Page 20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현상이 목격된다. 결국 이민자가 정착하는 곳으로 간주되지 않던 지역에서도 특정 집단의 규

모가 확 되자 기회비용의 상실에 한 우려가 격화되면서, 주 정부나 지방정부 등 하위정부

차원에서 불충분한 이민 규제에 한 연방정부의 불신이 심화된다.38)

셋째, 1999년 이전에는 일관된 설문 조사 문항이 없기 때문에 십년 단위로 정리한 도표만

보면 이민 감소에 찬성하는 비율이 1965년 이민법 개정을 계기로 폭증하고 이 부산물로 불법

이민도 증가한 데 반발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1990년 중반을 기점으로 보합세를 유지한다

고 나타난다. 그러나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설문 조사 결과를 검토하면 이민의 정치가

선보다 중간선거 직전에 선거의제로 활용된다는 점을 추론해볼 수 있다.39) 즉, 중간선거가 있

기 직전의 해당 연도 (2001년, 2005년, 2009년) 설문조사에는 공통적으로 이민 감소에 찬성

하는 응답률이 선거유세가 펼쳐지기 이전보다 올라간다.

예외적으로 2007년 선 직전에도 이민 감소를 찬성하는 비율이 증가하지만, 이 경우는 민

주당 오바마 통령후보가 아프리카계임을 감안할 때 최초로 유색인종 후보가 양 정당 후

보로서 통령에 당선될 경우 향후 이민 정책의 선회에 한 우려를 반 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앞서 검토했듯이 국가의 구성원에 한 정의와 접하게 연관되는 시민권 자격을 부여

하는 연방정부의 역할은 헌법의 전권(全權) 구절과 연방최고법원의 판결이나 이후 선례에 의

해 선점되었다.40) 예컨 텍사스 주의 1975년 교육법 개정은 주 정부와 납세자에게 부당한 비

용을 부담하게 한다는 이유로 불법 이민자 자녀에게 공교육 기회를 박탈하는 내용이었다. 결

과적으로 Plyer v. Doe 457 U.S. 202 (1982)에서 논란의 상이 된 텍사스 주법은 위헌이

라는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이 판결문에는 이민 규제는 위헌 여부에 관한 사안이 아

니라 입법과정을 통해 해결해야할 문제라는 이견이 첨부된 점이 흥미롭다. 이는 이민 규제가

근본적으로 헌법에서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공유된 권한 역으로 규정한다는 점을 상기시키

는 사법부의 판단이다.41)

이민 문제가 정치경제의 의제일 뿐 아니라 국가 정체성의 의제로 부각되는 이유는 바로 연방

정부가 주도한 이민법 개혁에 의존해 더 이상 이민을 규제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주 정부가

과거에 연방정부에게 위임한 또는 연방정부의 선점을 묵인한 이민 규제의 권한을 되찾겠다는

의지를 정치 시장에서 표명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살아있는 연방주의의 핵심은 바로 주 정부

38) Owen Furuseth and Heather Smith, “Localized Immigration Policy: The View from

Charlotte, North Carolina, A New Immigrant Gateway,”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 176.

39) 구체적 수치는 이소 ∙ 이옥연 (2011), p. 213, 그림 3을 참조하기 바란다.

40) “...it is for Congress, and not this Court, to assess the social costs borne by our

Nation when select groups are denied the means to absorb the values and skills upon

which our social order rests...”상세한 내용은 http://caselaw.lp.findlaw.com/scripts/

getcase.pl?court=US&vol=457&invol=202 을 참조하기 바란다.

41) Kimberly Nortman, “Legal Limits on Immigration Federalism,”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p. 32-35.

Page 20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7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가 개별적으로 판단하는“미국 찾기”에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는 통치 원칙으로서 연방주

의의 장점으로 지엽적 정책의 실험(localized laboratories of policy)을 든다는 점과 일맥상

통한다. 즉 효율적 정책 구상과 집행이 이러한 정책의 전파와 확 를 통해 보급되는 경우 가장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절차를 통해 정책 레짐이 형성된다는 주장이다. 결국 이민 정책은 이민의

주기를 총괄하는 이민 종합설계도면을 요구하지만, 연방정부가 주도하기보다 정책의 집행방향

을 제시하는“공공 철학(public philosophy)”을 정립 또는 재정립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Ⅴ. 맺는 말

1980년 부터 시작한 이민법 개혁 논의는 1990년 에 들어서 적절한 이민 정책 구상과 집

행의 주체, 즉 국민의 의사를 존중해 이민 규제를 제 로 수행할 수 있는 주체에 한 논의로

확 되었다. 그리고 9-11사태와 이후 반테러전이라는 전례 없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거치면

서 이민과 이민자 정책은 국가안보와 그를 받쳐주는 국가정체성의 보존 문제로 변형되었다.42)

구체적으로 2010년 봄에 애리조나 주가 이민법(SB 1070)을 제정하자 연방항소법원이 그 핵

심조항의 이행을 제어하는 판결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6개 주는 잇따라 유사한 법안을 상정

했다. 이 중 애리조나를 포함해 네브래스카, 미시시피와 오클라호마 주에는 주민발의가 있는

반면에,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 주에는 주민발의나 주민투표가 없다. 이는 이민 규제의

권한 소재지를 연방이 아닌 주 정부로 규정하려는 논쟁이 가능한 배경이 반드시 주 정부 단계

에 허용된 주민발의 자체에 기인하지는 않는다는 의미이다. 오히려 주민발의가 없는 주에서

도 이민 규제를 주 정부의 소관이라고 주장하는 정치인들과 그에 동감하는 유권자들이 증가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정치적 의지가 연방정부 차원의 입법과정을 통해 결실을 맺었다.

예컨 2001년 애국법(Patriot Act)의 핵심 내용에는 테러집단과 연계되었다는 사실과 무관

하게 그렇게 의심되는 이민자들을 구속하거나 추방할 수 있는 정부 부처, 구체적으로 사법부

나 이민국의 권한을 폭 확 하는 방안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2005년 이후 폐지를 잠정적으

로 합의하 지만 여론의 압력에 려 이듬해 애국법 연장을 승인했다.

아이러니는 이러한 연방정부의 정책방향 선회가 오히려 주 정부의 이민 규제 권한을 공세적

으로 주장하기 위해 연방정부를 상 로 포문을 여는 데 필요한 비장의 무기를 제공했다는 사

실이다.43) 그 결과 이민과 이민자 정책이 연방정부에 한 불신과 연방정부의 무능을 상징하

는 징표로 정치 시장에서 자산의 가치를 지니는 정치적 화폐로 통용된다. 그리고 이 배경에는

연방주의를 통치 원칙으로 채택한 이민자 국가 미국의 연방헌법과 이에 해 침묵하는 헌법

의 빈자리를 제 로 채우지 못하는 연방최고법원이 자리하고 있다. 더구나 이민은 국가 정체

성의 근간을 뒤바꿀 만한 파괴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기 때문에, 정치인은 선거의

42) 이옥연, “캘리포니아 주를 통해 본 미국의 민주주의,”『국제∙지역연구』17권 ⑷호 (2008), p. 136.

43) Julia Preston, “Political Battle on Illegal Immigration Shifts to States,”The New YorkTimes (31 December 2010).

Page 20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제로서 이민에 해 끊임없이 유권자를 동원하는 데 활용하려는 충동을 느낀다.44) 최근 일례

로 오바마 행정부가 발안한 소위 Dream Act는 수혜 상이 이민자의 자녀들에 국한되지만

그에 한 찬반은 공화당 지지자와 민주당 지지자 간 큰 격차를 보 다.

이민을 설명하는 데 이주 배경의 국제정치경제, 국경 통제, 국가 정체성과 시민권에 관한

여론, 그리고 당시 이민자 수용과 통합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하며 체계적 설명 틀을 제

시하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가능하다. 예컨 종교적 핍박으로 인해 국을 떠나 당시 의류

산업이 발전하고 이질적 이념에 개방적인 네덜란드에 정착한 이주민이 십여 년 후 더 위험부

담이 큰 신 륙 행을 결심한 역사적 사례를 들어 보자. 이에 해 다수 선행 연구에는 정착

후 현지인으로 동화되는 우려로 인해‘순례자’인 청교도 집단의 사명을 완수하고자 험난한

항해를 결심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45) 그러나 뱅스(Jeremy Bangs)는 당시 유럽의 국제

정세의 변환에 따라 스페인의 끊임 없는 침략위협을 저지하기 위해 앙숙인 국과 관계를 강

화하려는 홀란드 연합주의 선택에 따라 압박을 느낀 청교도 지도자의 판단에 주목한다. 동시

에 홀란드 연합주의 통치자로서 권력을 다지기 위한 오라녀(Oranje) 왕족의 노력이 종교 분

쟁을 격화시켜 국의 간섭을 초래하자 정교 분리를 주장하던 이주민의 분파가 신 륙행을

주도한 점을 지적한다. 무엇보다 당시 홀란드 연합주 토로 이주한 국인의 후손에게도 속

인주의에 의거해 자동적으로 국 시민권이 부여되는지 여부에 한 법적 문제가 미결된 상

태 다. 즉 시민권 문제는 국 내 유산상속 문제와 직결되는 주요 정치경제 요건이다. 따라

서 종교적 핍박을 피해 국 군주에 귀속된 토가 아닌 홀란드에 정착했지만, 국 군주에

귀속된 토가 아닌 뉴 네덜란드, 지금의 뉴욕 맨해튼 정착을 고사하고 결국 국령인 뉴잉

랜드 행을 결정했다.46)

이민 문제를 정책으로 구상하고 집행하는 이민의 정치는 이러한 이민의 배경을 설명하는 틀

을 포함해 이민의 전체 주기를 포괄하는 틀을 요구한다. 또한 미국 이민의 정치는 건국 당시

부터 또는 그 이전에 구 륙 이주민이 신 륙에 정착하는 순간부터 기로에 서 있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만 인구통계적 변화와 경제 침체 그리고 이를 정치 시장에서 선별적으로 때

로는 왜곡된 형태로 동원한 결과물인 여론의 추세에 따라 이민의 순기능보다 그 역기능을 강

조하는 양상을 띠었다. 결과적으로 이민자 또는 이민 정책에 한 평가가 특정 요인에 치우쳐

있다는 한계를 본 논문에서는 연방주의라는 통치 원칙을 보완하여 설명할 필요성에 해 논

하고자 했다. 특히 본 논문은 이민 문제를 미국의 국가 구상에 접목해 설명하기 위해서 연방-

주 정부 간 관계의 변화를 통해 재조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44) Schain (2008), p. 10.

45) Jeremy Bangs, Strangers and Pilgrims, Travellers and Sojourners (Plymouth: General

Society of Mayflower Descendants, 2009), vii-xvii.

46) Bangs (2009), pp. 512-73. 이는 청교도 집단의 배경에 신정(theocracy)정치를 주요 요인으로 설

정하는 주장에 한 반박이다. 표적 일례로 Russell Shorto, The Island at the Center of theWorld, The Epic Story of Dutch Manhattan and the Forgotten Colony That ShapedAmerica (New York: Doubleday, 2006)을 들 수 있다.

Page 20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09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참 고 문 헌

김준석. “경제이슈를 중심으로 본 2010년 미국 중간선거.”『2010년 미국 중간선거: 또 다

른 변화』서울: 오름, 2011.

미국정치연구회 편. 『2008년 미국 선을 말한다: 변화와 희망』서울: 오름, 2008.

유성진∙김희강∙손병권. “2007년 미국 이민법 개정 논쟁: 과정과 함의 그리고 미국의 다

원주의.”『미국학논집』39집 3호 (2007).

이소 ∙이옥연. “의료보험개혁, 이민 규제, 그리고 2010 미국 중간선거.”미국정치연구회

편. 『2010년 미국 중간선거: 또 다른 변화』서울: 오름, 2011.

이옥연. “다층구조 거버넌스로서의 연방체제.”『한국정치학회보』37집 5호 (2002).

______. “미국의 연방주의: 탄생과 유지의 비결.”『미국학』제29권 (2006).

______. “연방제도 정립과정 비교: 안정된 연방국가 7개국의 다층구조 거버넌스 구축을 중

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23집 4호 (2007).

______. “연방주의와 이민 문제: 유럽연합에 주는 시사점 일고.”미발표 논문 (2011).

______. “오스트리아, 호주, 캐나다, 독일의 연방주의 비교.”『한국과 국제정치』18집 4호

(2002).

______. “캘리포니아 주를 통해 본 미국의 민주주의.”『국제∙지역연구』17권 4호 (2008).

이우 . “미국의 위헌심사기준으로서의‘이중 기준(二重 基準) (Double Standard)’.”『서

울 학교 法』50권 1호 (2009).

Bangs, Jeremy. Strangers and Pilgrims, Travellers and Sojourners. Plymouth:

General Society of Mayflower Descendants, 2009.

Davis, William T. Bradford’s History of Plymouth Plantation, 1606-1646.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08.

de Tocqueville, Alexis. Democracy in America. Trans. by Henry Reeve. Kindle edition,

1851/2006.

Fetzer, Joel. Public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German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First Focus. “Public Support for the Dream Act.”June 2010. http://www.firstfocus.net/

sites/default/files/dreampollbreakdown_0.pdf (검색일: 2011. 9. 30).

Freeman, Gary. “Modes of Immigration Politics in Liberal Democratic State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9-4 (2000).

Furuseth, Owen and Heather Smith. “Localized Immigration Policy: The View from

Charlotte, North Carolina, A New Immigrant Gateway.”In Monica Varsanyi.

Page 20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Gallup Poll. 1953-2009, 해당 연도 (검색일: 2011. 9. 30).

Geschiere, Peter. The Perils of Belonging: Autochthony, Citizenship, and Exclusion

in Africa and Europe. Kindle 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http://caselaw.lp.findlaw.com/scripts/getcase.pl?court=US&vol=457&invol=202 (검색

일: 2011. 9. 30).

http://epp.eurostat.ec.europa.eu/cache/ITY_OFFPUB/KS-SF-10-045/EN/KS-SF-10-

045-EN.PDF (검색일: 2011. 9. 30).

http://unstats.un.org/unsd/demographic/products/dyb/dybsets/1989%20DYB.pdf (검색

일: 2011. 9. 30).

http://www.census.gov/compendia/statab/hist_stats.html (검색일: 2011. 9. 30).

http://www.migrationinformation.org/datahub/ (검색일: 2011. 9. 30).

http://www.nilc.org/ (검색일: 2011. 9. 30).

http://www.tradingeconomics.com/Economics/Unemployment-Rate.aspx?

Symbol=USD (검색일: 2011. 9. 30).

Joppke, Christian. Immigration and the Nation-State: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Great Britain. Oxfor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2008.

Karolewski, Ireneusz Pawel. Citizenship and Collective Identity in Europe. Kindle

edition. Routledge, 2010.

Lamont, Mich`ele. The Dignity of Working Men: Morality and the Boundaries of Race,

Class, and Immigr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Lowi, Theodore. The End of Liberalism. New York: W.W. Norton, 1969.

Mitnik, Pablo and Jessica Halperin-Finnerty. “Immigration and Local Governments:

Inclusionary Local Policies in the Era of State Rescaling.”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Nortman, Kimberly. “Legal Limits on Immigration Federalism.”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erlmutter, Ted. “Bringing Parties Back In.”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0-1

(1996).

Pew Research Center. A Global Generation Gap. Washington DC, February 2004.

Preston, Julia. “Political Battle on Illegal Immigration Shifts to States.”The New

Page 20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1이민자 국가 미국과 연방-주 정부 관계 □ 이옥연

York Times. 31 December 2010.

Provine, Doris Marie. “Local Immigration Policy and Global Ambitions.”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Rubio-Marln, Ruth. Immigration as a Democratic Challenge: Citizenship and

Inclusion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Kindle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Schain, Martin. The Politics of Immigration in France,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Stud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8.

Shorto, Russell. The Island at the Center of the World, The Epic Story of Dutch

Manhattan and the Forgotten Colony That Shaped America. New York:

Doubleday, 2006.

Torpery, John. The Invention of the Passpor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Waslin, Michele. “Immigration Enforcement by State and Local Police: The Impact on

the Enforcers and Their Communities.”In Monica Varsanyi. ed. Taking Local

Control: Immigration Policy Activism in U.S. Cities and Stat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Zolberg, Aristide. Nation by Design: Immigration Policy in the Fashioning of

America. Kindle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Page 20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Building an Immigrant Nation under Federalism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eoul National University)Okyeon Yi

Immigration, in principle and substance, is both relevant to border control and national

identity; it is also intimately related with the issue of citizenship. Accordingly, immigration

policy touches on foreign relations with regard to entry and departure of foreign nationals and

their naturalization. It simultaneously envelops domestic realm in which immigrants integrate

into society as its members. Yet immigrants are bound by their alienage, a suspect classification,

often exempt from equal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U.S. Constitution. That is why

immigration debate often epitomizes on the eligibility of citizenship, which, then, leads to the

exclusion of a certain segment of immigrants and its consequent repercussion in community.

Under federalism, immigration debate additionally accompanies the constitutional locality of

powers. In this paper, I argue that more veto players are involved across multiple levels of

government when it comes to politics of immigration under federalism, such as in the U.S. In the

remainder of paper, I explore how politics of immigration has unfolded in U.S., followed by

investigation into recent legislative activism observed at the state level. I conclude by

reevaluating the U.S. at the immigration crossroads.

투 고 일 :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2월 12일

Page 20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프랑스의 입장*

박 선 희

(서울 학교)

【한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외규장각 도서 반환 사례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프랑스가 문화재

보호 및 반환문제에 해서 어떤 입장을 취해왔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국, 미국과 함

께 표적 문화시장국가로 분류되며 문화국제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프랑스의 문화재

반환 입장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문화재 보호와 관련된 주요 국제협약 체결 시에 프랑

스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고찰할 것이다. 특히 프랑스가 어떤 배경으로“무력충돌시

의 문화재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일명 1954년 헤이그 협약 비준에는 적

극적일 수 있었는지, “문화재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이전 금지와 예방 수단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일명 1970

년 유네스코 협약 비준에 해서 상 적으로 주저했는지 그리고 왜 국제사법통일기구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일명 UNIDROIT

@@@@@@@@e?@@@@@@@@e?@@h?@@h?@@h?@@h?@@h?@@h?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e@@@@@@@@

@@g@@g@@g@@g@@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서론

Ⅱ. 문화재 약탈의 역사

Ⅲ. 문화민족주의의 입장 vs

문화국제주의의 입장

Ⅳ. 문화재보호 국제협약과 프랑스

1. 1954년 헤이그 협약

2. 1970년 유네스코(UNESCO) 협약

3. 1995년 UNIDROIT 협약

Ⅴ. 프랑스의 문화재 반환 사례

Ⅵ. 결론

∙주제어: 프랑스, 문화재 반환, 1954년 헤이그 협약, 1970년 유네스코 협약, 1995년UNIDROIT 협약, 문화민족주의, 문화국제주의, France, return of culturalproperty, 1954 Hague Convention, 1970 Unesco Convention, 1995UNIDROIT Convention, cultural nationalism, cultural internationalism

� 차 례 �

�유익한 논평을 해주신 세 분의 심사위원께 감사를 드립니다.

Page 20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서 론

문화재가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에서 반출된 사례는 수세기 동안 이어져왔으며 전

시 또는 식민지 기간 동안 약탈된 문화재의 반환1) 요구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반환은

매우 간헐적이며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이뤄지고 있다. 반환요구가 잇따르면서 국제사회는 한

나라의 고유문화로 정체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예술작품이 원소유국에서 반출되는 행위에

해서 점차적으로 비윤리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불법적으로 반출된 문화유산에 해

법률적 보호를 마련하기 위한 국제적 수준에서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중

심에는 국제적 노력으로 일궈낸 국제 협약이 있다. 현재까지 체결된 주요 국제문화재 보호 협

약은 세 가지로 먼저 무력충돌시의 문화재 보호에 관한 협약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일명 1954년 헤이

그 협약, 문화재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이전 금지와 예방 수단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일명 1970년 유네스코 협약 그리고 국제

1) 일반적으로 반환(return)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지만 외규장각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용어 선택 문제

에 민감하다. 외교통상부는 외규장각 사안에 해서 문화재 반환이 아닌‘이관(移管)’임을 강조하 다.

이는 아직도 프랑스로부터 돌려받아야할 문화재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프랑스를 자극하지 않기 위한 것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관이란 소유권이전이라기보다는 관할권을 옮긴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

다. 실제로 완전한 소유권의 이전까지를 포함하는 반환에 해당되는 예는 극히 드물다. 반환으로 통칭되

지만 세분화 시키면 원상회복(Restitution), 반환(Return)과 본국귀환(Repatriation)으로 나눌 수 있

다. 세분화된 용어 정의는 다음을 참조할 수 있다. Marie Cornu and Marc-Andre Renold, “New

Developments in the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y: Alternative Means of Dispute

Resolution,”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roperty 17-1 (2010), p. 2.

가 1995년에 체결한“도난 및 불법 반출 문화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Objects)은 비준을 거부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국과 미국처럼 문화시장국가로 분류되는 프랑스가 국

과 미국과는 달리 문화재 보호관련 국제협약 체결 시에 상당히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음

을 밝혀낼 수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가 원소유국으로 문화재를 반환한 최근 사례를 살펴

보면 문화재 보호 주요국제협약 채택 시에 보여준 적극적인 입장과는 달리 실제 반환사

례에 이를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프랑스는 국제조약 체결

시에는 비교적 너그러운 입장을 표명하며 국이나 미국과 비교했을 때 국제협약에 적극

적 입장을 취했지만 구체적 법 적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프랑스가 무

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은 문화 국제주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나라들과 다르지

않게 불소급원칙의 적용이며 선의 취득자에 한 우선보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Page 21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5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사법통일기구(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다시 말해

UNIDROIT라 일컫는 기구가 1995년에 체결한 도난 및 불법 반출 문화재에 관한 유니드로아

협약(Convention on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Objects, 이하 UNIDROIT

협약)이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프랑스와의 외규장각 사안에서도 볼 수 있듯이 문화재 반환

과정은 순탄치 않다. 우리 입장에서는 프랑스로 넘어간 경위가 정상적인 소유권이전이 아니

라 전쟁 중에 행해진 약탈이며, 조선왕조의 풍속과 왕실생활사를 기록한 우리나라의 주요 국

가기록물이라는 점에서 외규장각 반환이 타당성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함에도 불구하고 협상

은 난제를 거듭하 다. 그 중에서 프랑스가 가장 많이 언급한 것은 공공재산(collections

publiques)의 양도불가성(inalienabilite)이라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la domanialite

publique(국유재산)’이라 알려진 이 개념은 1941년 6월 23일 예술작품 수출법(Loi du 23

juin 1941 relative a` l’exportation des oeuvres d’art)2)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재

산으로 등록된 주요 문화재의 반출을 금지하는 원칙이다. 문화재가 소속된 사회의 재산이기

에 국가의 승인 없이는 문화재를 양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개념에 동의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현 소속된 사회의 재산이기 이전에 다른 원 출처국가가 있었다면 양도불가성 개념은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 소유권이 원 출처국가 즉 원소유국가에게 있음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 프랑스는 외규장각 도서를 프랑스 국가재산으로 등재했기 때문에 양도불가성의 원칙을

근거로 원소유국인 우리나라로 반환하는 것이 어렵다고 반박했다. 문화재 반환에 있어서 가

장 핵심적인 소유권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보인다. 이렇

듯 문화재 반환문제는 국제공동체의 난제 중의 하나다. 더욱이 문화재 반환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문화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와 문화국제주의(Cultural Internationalism)

로 나뉘며 문화재 공급국가(Source Nation)의 입장과 문화재 시장국가(Market Nation)의

입장은 상당한 립각을 보이고 있다(Ⅲ장 참조).

본 논문의 목적은 외규장각 도서 반환 사례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프랑스가 문화재 보호

및 반환문제에 해서 어떤 입장을 취해왔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외규장각 도서 반환 문제가

수면위로 떠올라 제 1차 정부간 협상(1992년 7월-1999년 2월)이 시작된 1990년 초반부터

국제법 학자 중심으로 외규장각 사안을 중심으로 한불 양국 사이에서 진행된 협상의 내용과

문제점에 한 연구가 진행되었다.3) 국외 연구로는 문화재 반환 문제에 한 상이한 시각 차

이를 다루는 연구4)와 문화보호 관련 주요 국제협약의 쟁점5)에 한 연구를 찾아 볼 수 있지만

2) Jeanette Greenfield, The return of cultural treasur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p. 113.

3) 김형만, 『문화재 반환과 국제법』(서울: 삼우사, 2001)은 국제법에서 어떻게 문화재 반환문제를 다루는

지에 한 이해를 높이는데 유용한 책이다. 또한 국내 연구논문으로는 다음을 참조할 수 있다. 백충현,

“해외유출, 불법 반출 문화재 반환의 국제법적 규제,”『서울 학교 법학』제 30권 (3-4)호 (1989); 이

태진, “파리국립도서관 소재 외규장각 도서의 현황과 내력,”『서울국제법연구』1호 (1995); 정상천,

“파리 국립도서관 소장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경과, 쟁점 및 평가,”『프랑스사 연구』16호 (2007).

4) John Henry Merryman, “Two Ways of Thinking about Cultural Property,”AmericanSociety of International Law 80-4 (October 1986), pp. 831-853.

Page 21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국내연구와 마찬가지로 특정 국가의 문화재 반환 입장을 다룬 논문 그 중에서도 프랑스의 입

장에 해서 연구된 사례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 미국과 함께 표적 문

화시장국가로 분류되며 문화국제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프랑스의 문화재 반환 입장을 살펴

보기 위해 먼저 문화재 보호와 관련된 주요 국제협약 체결 시에 프랑스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

지 고찰할 것이다. 특히 프랑스가 어떤 배경으로 1954년도 헤이그 협약 비준에는 적극적일

수 있었는지, 1970년도 유네스코 협약 비준에 해서 상 적으로 주저했는지 그리고 왜

1995년도 UNIDROIT협약은 비준을 거부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

해서 프랑스가 같은 문화시장국가인 국과 미국과 다른 입장을 취했음을 밝히고 이러한 프

랑스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살펴 볼 것이다. 또한 프랑스가 원소유국으

로 문화재를 반환한 최근 사례를 통해서 문화재 보호 주요 국제협약 채택 시에 보여준 프랑스

의 입장과의 상관 관계에 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프랑스가 무엇보다도 중요하

게 여기는 원칙은 문화 국제주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나라들과 다르지 않게 불소급원칙의

적용이며 선의 취득자에 한 우선보호임을 살펴볼 것이다.

Ⅱ. 문화재 약탈의 역사

문화재 약탈은 오랜 동안 전쟁의 일환처럼 여겨져 왔다. 알렉산더 왕이 정복 원정속에서

파괴를 일삼고 페르시아 도시국가들을 약탈한 예, 십자군 전쟁 시 이슬람 성지의 파괴6) 등 역

사속에서 약탈과 파괴는 반복되었다. 살아있는 인간보다 석상이 더 많았다는 고 그리스에

서의 인명피해 못지않은 문화재 손실은 따라서 불의라기보다는 운명처럼 받아들여졌다고 한

다.7) 하지만 전시에도 문화재 약탈이 정당화 될 수 없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로 제 3차 십자군전쟁에 참여하 고 누구보다도 전쟁을 많이 치룬 프레데릭 I

(Frederick I)세는 교회를 보호하기위해 약탈금지칙령(1158년)을 반포하기에 이르지만8) 예

술적인 가치를 지닌 문화재의 보호차원이 아니라 신성한 성지의 보호로 생각할 수 있다. 서유

럽의 통일을 이뤄낸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 제(Charlemagne)는 프랑스, 독일뿐 아니라

5) Jennifer N. Lehman, “The continued struggle with stolen cultural property: The Hague

Convention, the Unesco Convention and the Unidroit draft Convention,”Arizona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14-2 (1997), pp. 527-549; Harvey E.

Oyer, “The 1954 Hagu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 Is It Working? A Case Study: The Persian Gulf War Experience,”

Colum.-VLA J.L. & Arts 23 (Winter 1999), pp. 49-65; Thomas Desch, “The Second

Protocol to the 1954 Hagu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2 (1999), pp. 63-

90; Craig Forrest, International Law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London:

Routledge, 2010).

6) Oyer (1999), p. 49.

7) Louis Jacques Rollet-Andriane, “Precedents,”Museum XXXI-1 (1979), p. 4.

8) Oyer (1999), p. 49.

Page 21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7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이탈리아에 있는 예술품을 자신의 소유로 치부하려던 유혹을 떨쳐냈으며 마땅한 의무를 지켜

내기 위해 아드리안 교황의 자문을 구했다고 한다.9) 루이 13세와 루이 14세 시기까지도 프랑

스 군 는 전쟁에서의 승리를 이용해서 왕궁의 문화재 소장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고려해

본 적이 없었다. 이처럼 절 주의 시기에도 다른 민족의 과학, 예술, 문학의 업적으로 표현된

과거의 기념물 등을 약탈하는 것을 자제했다고 한다. 하지만 상반되는 기록도 찾아볼 수 있

다. 루이 14세 군 가 독일 팔츠 지역에서 행한 파괴행위에 해 유스틴 겔틸리스(Justin

Gentilis)의 비난의 은 전시 상황속에서 파괴와 약탈이 얼마나 일반적으로 자행되었는지를

보여준다.10)

프랑스 정부가 앞장서서 공공연히 진귀한 보물을 약탈하고 광범위한 약탈을 자행한 시기는

나폴레옹 시기다. 나폴레옹은 1794년 벨기에 침공이후 이탈리아, 이집트 등으로부터 전시 약

탈 문화재로 루브르(Louvre)11)를 채워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르네상스의 화로운 예술작품

을 지닌 이탈리아에서 갖고 온 수많은 문화재가 루브르 궁안으로 들어오면서 절정을 이루게

되었다. 총재정부가 보나파르트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서 루브르 궁안이 이탈리아의 예술품으

로 채워지기 위해 얼마나 조직적인 약탈이 자행되었는지가 잘 나타난다.

“국립박물관은 모든 예술품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으로 채워져야하며 이탈리아 군 를

정복한 현 상황에서 박물관이 예술품들로 채워지길 기 한다는 것을 당신은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 총재정부(le Directoire executif)는 당신이 연구와 소장 목적으로 가장

귀중한 예술품들을 선택하기를 바랍니다.”12)

나폴레옹 시 에는 전쟁 승리의 트로피로 예술자산을 자신의 소유물로 취득하는 것에 해

전혀 거리낌이 없어 보인다. 유럽이 이집트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도 나폴레옹 시 로

그가 이집트 원정을 떠날 때는 고 유물 탐사를 위해서 제도사와 과학자가 동행했다고 한다.

1801년 프랑스가 국에 패해 이집트로부터 철수하고 나서는 이집트의 유물은 국군 손에

넘어가서 루브르 박물관 신 박물관으로 행선지가 옮겨졌다. 1815년에는 비엔나 회의의

결과로 주변 유럽 국가들이 나폴레옹이 약탈한 예술품에 한 규모 반환을 요구했다. 이때

의 유명한 일화로 당시 루브르의 책임자는 예술품 반환을 몸으로 막아서면서 다음과 같이 소

리쳤다고 한다. “가지고 가라고 하시오. 하지만 그들은 볼 수 있는 안목이 없소. 프랑스는 항

상 예술에 있어 그 탁월함을 보여줄꺼요. 왜냐하면 프랑스가 소유하는 걸작은 다른 나라의 것

9) Rollet-Andriane (1979), p. 4.

10) 김형만 (2001), p. 148.

11) 필립 오귀스트 왕 시절 설립된 루브르는 혁명까지 왕궁이면서 동시에 학술원의 역할을 하다가 1793

년부터 박물관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1848년에 루브르는 국가재산으로 등록되었다. 1913년 12

월 31일 법령 제 18조는 국가재산의 소유 이전이 가능하지 않다고 적고 있다.

12) Le Directoire executif a` Bonaparte; chef de l’armee d’Italie, lettre du 7 mai 1796 in

Antonin Debidour, Recueil des actes du Directoire executif (Paris: Imprimerie

Nationale, 1911), p. 333.

Page 21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들보다 항상 월등하기 때문이요.”13)

인도차이나와 북아프리카 등과 같은 해외식민지에서는 식민지 통치기간동안 프랑스에 의해

문화재 약탈이 자행되기도 했다. 9-14세기까지 지속된 크메르(Khmer) 문명의 중심지인 캄

보디아 문화는 유럽에는 뒤늦게 알려지는데 여기에는 프랑스 사람인 앙리 무오(Henri

Mouhot)의 공이 크다. 앙코르(Angkor) 문화를 처음 접한 유럽인은 16-17세기 포르투갈과

화란의 무역상과 선교사들이지만 1860년에 출판된 무오의 기록과 그림에 의해서 이 지역의

문화적 유산에 해서 관심이 증 되어 해군 중장인 보나르(Bonard)가 앙코르를 방문하여

“예술적이면서 동시에 산업적인 국가”14)라고 본국에 보고하 으며 마침내 1887년에는 캄보

디아가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그에 앞서 1873년에는 루이 들라포르트(Louis Delaporte)

장군이 프랑스에 수출할 고 물건을 수집하기 위해 고고학적인 임무를 띠고 앙코르를 방문하

는데 그는 70여개의 조각상을 프랑스로 반입하여 1878년 국제 박람회에 전시하기도 했다.

앙코르 유적이 외적으로 널리 알려지는데 있어 프랑스 학자의 도움(특히 프랑스 극동학파

Ecole Francaise d’Extr^eme Orient)이 컸으며 이로 인해 앙코르 문화가 발굴되고 연구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15)되기도 하지만, 앙코르의 유적은 프랑스 식민기간동안

상당히 많이 유실되었다는 점을 묵과할 수는 없다. 말로(Malraux)는 젊은 작가시절인 1923

년에 앙코르의 반테이 스레이(Banteay Srei) 신전의 일곱 개의 석상을 훔친 혐의로 체포되

었으며 그는 법정 변론에서‘방치된 소유물(abandoned property)’16)을 프랑스로 반입해 동

양예술품 전시관인 프랑스 기메 박물관(Musee Guimet)에 기증하려고 했다고 진술한다. 말

로는 드골 통령시절 프랑스 초 문화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8년 7월 11일 프랑스-알제리 양자조약17)을 통해서 프랑스는 예술작품 300여점을 반환

했으며 이중 부분은 알제 박물관(Musee d’Alger) 소장품이었다. 반환한 물건은 알제리 독

립전쟁의 혼란기를 피해 프랑스에 은닉시킨 작품이 부분이었지만 프랑스가 식민기간동안

알제리에서 갖고 온 문화재도 포함되었다. 현재 알제리가 반환요구를 하는 중요 문화재 중에

는 18세기 초에 제작된 알제 회교사원의 천문관측기18)로 시간, 날짜, 위도뿐만 아니라 방위도

나타내서 회교도들이 기도드리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구가 있다.

13) Greenfield (2009), p. 112.

14) William Anderson, “Commodifying Culture: Ownership of Cambodia’s Archaeological

Heritage,”Limina 13 (2007), p. 105.

15) Masha Lafont, Pillaging Cambodia: the illicit traffic in Khmer Art (North Carolina:

Mcfarland & Co Inc, 2004), p. 89.

16) Penny Edwards, Cambodge: the cultivation of a nation, 1860-1945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p. 158.

17) Recueil General des Traites de la France; Accords bilateraux non publies, 1958-1974,

Vol.Ⅱ. n�680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1977), p. 330.

18) “L’astrolabe de la grande-mosquee d’Alger retrouve en France!”http://www.algerie360.com/

algerie/ahmed-djebbar-retrouve-l%E2%80%99astrolabe-de-la-grande-mosquee-

d%E2%80%99alger/ (검색일: 2011. 5. 15).

Page 21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19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Ⅲ. 문화민족주의의 입장 vs 문화국제주의의 입장

문화재 반환 논쟁은 문화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와 문화국제주의(cultural

internationalism)와 같이 두 가지 립되는 입장으로 나뉜다.19) 2차 세계 전 이후 신생

독립국가들의 요구가 표적인 문화민족주의의 입장으로 민족동질성을 신장하는 과정에서

문화유산의 역할을 강조한다.20) 유형의 상물을 통해 무형의 정신적 유산이 만들어진다는 차

원에서 민족동질성의 재구성과정 속에서는 문화재 유출과정의 불법 유무와 상관없이 본국귀

환이 우선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문화민족주의는 문화재를 국가 중심적(nation-

centered)21)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문화재가 문화정체성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문화민족주의를 표방하는 나라는 부분 문화재 공급국가(source nation)라 일컫

기도 하는데 이들은 문화재가 풍부하며 문화재 유출로 고통 받는 국가들이다. 하지만 메리맨22)

과 같은 문화국제주의자는 문화 민족주의적 접근방식이 국제적 차원에서의 학자, 과학자와

일반 중의 접근을 제한하기 때문에 문화재 향유의 이기주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화국제주의는 문화민족주의와 달리 국가 중심적이 아니라 상 즉 작품(object-

centered) 중심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즉 문화재가 인류공동의 유산

(Common Heritage of Mankind)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문화재 관람과 전시 등의 기회제공

측면의 보편성과 문화교류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외규장각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

재된다는 점이 반환 협상을 어렵게 할 수 있는 이유도 바로 보편성의 잣 로 해석했을 때 외

규장각이 앞으로도 프랑스가 소유권을 갖고 있을 문화재라는 점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

된다는 것은 반환의 걸림돌로 작용될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문화재 보유선진국 또는 문

화재의 소비가 높아 문화재 시장국가(Market Nation)로 칭해지는 국, 미국 그리고 프랑스

와 같은 나라들이 표적으로 문화국제주의 입장을 표방하는 국가다.23) 이들은 전 인류의 문

화유산의 연구 및 전시를 중요하게 여기며 보존과 복원, 조사 연구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서 선진국의 기술과 관리능력에 의해서 고문헌과 예술품들이 보호되었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

긴다. 이들은 큐레이터(curator)의 역할이 라틴어의‘curare(to cure)’라는 어원처럼 손상

되기 쉬운 것을 치료하고 복원하는 기능에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논리 속에서 문화국제주

의는 문화재 보호에 있어 국제적 차원에서 협력을 요하는 분야는 반환 문제보다는 문화재 보

존을 위한 공동 노력에 있다고 본다. 최적조건에서 보관되고 보존되기에 반환청구국의 기술

19) 문화민족주의와 문화국제주의의 입장과 정확히 일치되는 입장은 아니지만 문화민족주의 입장을 두둔

하는 국가는 부분 source nation(문화재 공급국)이며 문화국제주의는 market nation(문화재 시

장국가)으로 구분할 수 있다.

20) 표적 나라로는 멕시코, 그리스, 이집트 그리고 인도를 꼽을 수 있다.

21) John Henry Merryman, “Cultural Property Ethics,”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Property 7-1 (1998), p. 26.

22) Merryman (1986).

23) 이 외에도 문화재 시장국가로는 일본, 독일, 이탈리아 그리고 스위스를 들 수 있다. 프랑스, 국 그리

고 미국과 상기의 나라를 포함한 총 일곱 개의 나라는 전체 문화재 수입의 88%와 수출의 64%를 차지

한다. Emmanuel Hoog and Michel Hoog, Le marche de l’Art (Paris: PUF, 1991), p. 11.

Page 21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지원이 따르지 않으면 반환 청구국에게 문화재를 돌려 줬을 때 문화재의 파손 우려가 있다는

우려도 표명한다. 하지만 그리스에서 온 비너스의 팔이 바로 루브르 안에서 절단되어 지금의

비너스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24)

세계 주요 박물관은 예외 없이 문화국제주의의 입장을 견지한다. 그리스의 엘긴 마블스

(Elgin Marbles)를 주축으로 점점 문화재 원소유국 반환에 한 목소리가 높아지자 2002년

에는 박물관, 루브르, State Hermitage Museum(쌩 페테르스부르그, 러시아), 프라도

박물관(스페인), 라익스뮤지엄(암스테르담, 네덜란드) 그리고 미국의 주요 박물관을 포함하여

40여개의 박물관 및 화랑25)이“보편적 박물관의 중요성과 가치에 한 선언(Declaration of

the Importance and Value of Universal Museums)”26)을 통해 보편적 박물관이라는 개

념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한다. 선언문은 특히“박물관은 한민족의 시민만을 위해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민족을 위한 것이다”라고 적으면서 문화재의“보편적”원칙을 강조하

지만 특이할 만한 것은 주요 형박물관 및 화랑이 모두 다 북미와 서유럽에 위치한다는 점이

다. 보편적 박물관이 거의 서구유럽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은 서구 유럽 중심적 미술사에 편향

된 보편성을 강요받는 것과 마찬가지다. 뿐만 아니라 형 박물관이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모

든 문화재를 일반 중에게 전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27) 전시 관람의 보편성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문화국제주의자의 논리의 모순이 있다.

프랑스의 형 박물관도 보편주의적 성격을 강조한다. 보다 많은 중에게 문화재의 역사

적, 미적 예술성을 소개할 수 있다는 점과 계몽주의 시 부터 지속적으로 문명화 사명에 일익

을 담당했음을 강조한다. 박물관 중에서도 최고의 박물관으로 손꼽히는 루브르와 루브르박물

관에서 그동안 상 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그리고 아시아와 미주 지역

토착 예술품을 소장한 케 브랑리(Quai Branly) 국립인류학 박물관은 공히 보편주의적 성격

을 지닌 박물관임을 강조한다.28) 프랑스 형 박물관이 이처럼 예술작품의 보편적 성격을 강

조하지만 제네바의 골동품상인 쟝 폴 바르비에(Jean-Paul Barbier)로부터 수집한 케 브랑리

의 작품의 상당수가 불법적 도굴 및 불법적으로 매매된 문화재29)라는 점과 루브르 박물관의 주

요 소장품이 혁명이후 원정을 통해서 얻은 전리품으로 채워졌다는 점은 프랑스 박물관이 약

탈물 전시장이며 프랑스 제국주의 시 의 유물이라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한다.

22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4) Greenfield (2009), p. 112.

25) 국립박물관 연합(Reunion des musees nationaux)을 설립한 Irene Bizot의 이름을 따서 Bizot그

룹이라 불리우기도 하는 이 단체는 박물관 관계자들로 구성되며 연례 모임을 가져왔다.

26)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ICOM News 57-1 (2004).

27) 외규장각 고 문서의 경우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이를 전시하고 있지 않았다.

28) 루브르 박물관의 공식 웹페이지에서‘루브르 박물관의 사명’참조. http://louvre.fr/llv/musee/

mission.jsp (검색일: 2011. 4. 29). 2006년 6월 20일 시락 통령의 케 브랑리 개회연설 참조.

http://www.jacqueschirac-asso.fr/fr/wp-content/uploads/2010/04/Quai-Branly-20-

06-06.pdf (검색일: 2011. 4. 29).

29) http://www.mcdonald.cam.ac.uk/projects/iarc/culturewithoutcontext/issue12/news.htm

(검색일: 2011. 4. 29).

Page 21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1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Ⅳ. 문화재보호 국제협약과 프랑스

문화재 반환에 한 프랑스의 기본 입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장에서는 문화재 보호 주요국

제협약에 한 프랑스의 입장을 살펴보겠다. 최초의 문화재보호 국제협약은 2차 세계 전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체결된 1954년 헤이그 국제협약으로30) 이는 유네스코의 1970 협약과

UNIDROIT(국제사법통일기구)의 1995년도 협약과 더불어 문화재 반환 및 불법유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적 제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프랑스가 어떤 배경으로 1954

년도 헤이그 협약 비준에는 적극적일 수 있었는지 그리고 1970년도 협약 비준에 해서 상

적으로 주저했는지 그리고 왜 1995년 UNIDROIT 협약은 비준을 거부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고찰할 것이다. 미국과 국과 같이 문화재 시장국가이며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을 표

방하는 프랑스는 미국과 국과 달리 헤이그 협약뿐만 아니라 1차 의정서의 비준국가다.31) 아

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은 2008년도 9월에 가서나 협약을 비준하 으며 1차 의정서는

비준하지 않았다.32) 국은 협약과 의정서 모두 다 비준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기본적으로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프랑스는 어떤 이유에서 문화재

보호 주요 국제협약에서 비교적 적극적인 입장을 표방하 을까? 이와 같은 프랑스의 입장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30) 문화재 반환 및 보호에 한 논의는 훨씬 더 오래전부터 논의되었다. 30년 전쟁의 약탈물 반환을 규정

한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비롯해 미국 남북전쟁 동안 북부군을 위해 작성된 1863년 Lieber

code, 1907년 지상전의 법규 및 관례에 한 헤이그 협약 그리고 1차세계 전 후 주요 연합국과 오스

트리아, 헝가리, 러시아 등 별도 국가 간 체결된 조약까지 이미 오래 전부터 심도 있게 논의되어 왔다

고 한다.

31) 서유럽 국가 중에서 2차 의정서를 비준한 국가는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캐나다, 핀란드, 네덜란드 그

리고 스페인이 있다. 네덜란드는 헤이그 협약을 주도한 국가다.

32) 2008년도 9월 25일에 122번째 국가로 헤이그 협약의 가입국가가 된 미국은 협약 협상 과정 속에서

국과 매우 유사한 입장을 보여줬을 뿐 아니라 비준하기 전까지는 국의 입장과 유사하게 해석되었다.

33) 벨기에, 스위스, 네덜란드 그리고 프랑스는 헤이그 협약 시 비슷한 입장을 지닌 나라며 미국과 국은

프랑스와 함께 표적 문화재보유국가(시장국가)며 문화국제주의를 표방하는 나라다.

<표 1> 주요국제협약 비준 현황33)

주요 협약1954

헤이그 협약1차 의정서 1970 협약

1995UNIDROIT 협약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미 국

스위스

1957

1958

1960

2008

×

1962

1957

1958

1960

×

×

1962

1997

2009

2003

1983

2002

2004

×

×

×

×

×

×

Page 21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 1954년 헤이그 협약

무력충돌시의 문화재 보호에 관한 협약, 일명 헤이그 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34)은 유네스코의 주관하에 1954

년에 체결되었다. 앞서의“전시에서의 미연방정부 육군에 한 명령”일명 리버법전(Lieber

Code, 1863), 지상전의 법과 관습에 한 협약(1907) 등과 같은 전쟁법이 헤이그 협약의 기

본 틀을 만들어준다. 하지만 가장 직접적으로는 2차 세계 전동안 자행된 나치의 약탈 행위

해결을 위해 체결된 1943년 런던 선언이 바탕이 되어 헤이그 협약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헤

이그 협약은 2차 세계 전을 통한 문화재 유실을 경험한 나라가 주축이 되었다. 헤이그 협약

은 전쟁법규의 법전화 과정의 결정판으로 국제적 성격을 지닌 최초의 국제협약으로 평가된

다. 1954년 협약은 1949년 네덜란드의 제안으로 착안되었으며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적극적

인 노력으로 결실을 맺었고 프랑스는 이들과 유사한 입장을 견지하 다.35) 이렇듯 문화재보호

에 한 최초의 국제협약은 서구 선진국가가 주축이 되어 문화재의 민족주의적 특성보다는

인류공동의 유산이라는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이 더 부각될 수 있었다. 협약의 기본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전문을 살펴보면 문화재의 민족주의적 특성보다는 인류공동의 유산이라는

개념이 더 부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 속한 문화재가 파괴되면 그것이 어떤 것이든 개개인은 세계문화에 기

여하기 때문에 전 인류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헤이그 협약은 문화재와 개별국가의 관계보다는 문화재 공공의 이익 즉 문화재

의 범세계주의적 개념(cosmopolitan notion)에 힘을 실어줬다는 점에서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을 확장시킬 수 있었던 협약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36)

헤이그 협약은 앞서 1943년 런던선언에 비해 문화재 보호에 한 적극적인 원칙을 포함하

고 있지 못한다. 런던선언이 점령 시 문화재의 약탈에 따른 해당 문화재의 본국으로의 반환과

원상회복 관련 난제에 한 해결 선례를 제시했다면37) 헤이그 협약 본문은 이를 포함하고 있

지 않다. 2차 세계 전 이후 국제사회 재건에 선두역할을 맡고 있던 국의 요구38)와 미국의

34) 일명 문화유산 적십자헌장(Red Cross Charter of Cultural Property)이라고도 불리운다.

35) CBC/DR/20은 헤이그 협약 준비 초안에 해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그리고 스위스가 공동으로

수정사항을 작성한 것이다.

36) Merryman (1986), p. 842; Lehnman (1997), p. 532.

37) “... 직접 또는 간접 점령 및 통제를 받던 토에서 발생한 또는 해당 토 주민(법인 포함)이 소유 또

는 소유했던 어떠한 종류의 소유물, 권리 및 이권의 이전 또는 권리도 무효화 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보유한다. 본 경고는 이러한 이전 또는 거래가 공공연한 약탈 또는 표면적으로는 합법적인 거래로 이

루어진 경우, 심지어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된다.”

38) Gouvernement des Pays-Bas (Conference intergouvernementale sur la protection des

biens culturels en cas de conflits arm?), “Actes de la Conference convoquee par l’

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 pour l’Education, la Science et la Culture”tenue a` La

Page 21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3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적극적 동조39)로 문화재 반환조항은 본문조항에서 삭제되어 별도의 의정서에 삽입되었다. 이

는 협약에 한 비준과 별도로 의정서의 비준을 거치도록 함으로 문화재 반환 조항을 선택 사

항으로 놓은 것이다. 1949년부터 헤이그협약의 준비 작업에서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

네덜란드는 이러한 요구에 강력히 반발했다. 네덜란드 뿐 아니라 벨기에와 프랑스와 같이 나

치점령기에서 갓 벗어난 국가는 문화재 반환 문제가 협약 속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화재 반환 조항은 결국 제 1의정서라는 별도의 의정서로 채택하게 했다. 협약에

한 비준을 하되 별도의 의정서에는 비준하지 않을 수 있었던 선택이 주어졌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미국은 2008년 9월에 가서야 협약을 비준했고40) 국은 현재까지도 비준하지 않고 있

다. 런던선언에 비해서 퇴보라고 할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과 미국은 문화재 반환 조

항 내용을 담고 있는 의정서를 포함하고 있는 협약에는 서명할 수 없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결

국 협약과 의정서 모두의 당사국이 되길 오랜 동안 거부하 다. 무력충돌시의 문화재 보호라

고 하지만 선진국에게 문화재 반환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협약은 채택에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헤이그 협약은 2차 세계 전을 통해 엄청난 손실을 경험한 그리고 나치

의 점령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국가에게만 그 울림이 직접적이었다.

나치 점령 기간의 뼈아픈 경험을 공유하는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그리고 프랑스는 헤이

그 협약뿐 아니라 1차 의정서 모두의 당사국이 되는데 지체하지 않았다<표 1>. 선의 취득자

(bona fide purchaser) 보호 규칙이 그 어느 나라보다 강력한 프랑스가 1943년의 런던선언

의 입장에서 이 전시의 문화재 반환과 원상회복 관련 의무규정41)을 수락했다는 것은 매우 특

기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헤이그 협약 1차 의정서는 문화재 반환 소송청구에는 시효가 적용

되지 않는다.(제 3항)42) 국제법의 기본적 원칙중 하나이면서 문화국제주의자의 방패43)인 불소

급(non-retroactivity)원칙을 적용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프랑스가 이를 받아들 다는 것

도 매우 예외적이다. 기본적으로 문화국제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며 그 어느 나라보다도 선의

취득자의 보호 규칙과 불소급원칙에 해서 민감한 프랑스가 이 두 가지의 원칙에 위배되는

요소가 분명히 있다는 것을 인지함에도 불구하고 헤이그 협약 체결에 적극적 의지를 표명했

다는 것은 나치점령 경험을 떼어놓고는 설명할 수가 없다. 프랑스가 헤이그 협약의 비준을 적

극적으로 찬성한 것은 나치 점령기간에 유출된 프랑스 문화재 반환을 이끌기 위한 노력의 일

Haye du 21 avril au 15 mai (1954), p. 264 제 1645항.

39) Ibid., p. 264 제 1647항.

40) 헤이그 협약 1차 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은 미국의 경우 완전한 비준이라고 할 수 없다.

41) 김형만 (2001), pp. 243-244.

42) Stanislaw-Edward Nahlik, “La protection internationale des biens culturels en cas de

conflit arme,”Recueil des cours de l’Academie de droit international de la Haye 120

(1967), p. 147.

43) 불소급원칙이 문화국제주의자의 방패라는 것은 2010년 4월 이집트에서 개최된 문화재 반환에 관한

국제회의 일명“카이로 국제회의”의 요구사항을 보면 알 수 있다. 16개 국가 즉 중국, 인도, 볼리비아,

사이프러스, 그리스, 멕시코, 한국, 온두라스, 과테말라, 이라크, 이탈리아, 리비아, 나이지리아, 스페

인, 시리아 그리고 스리랑카가 참여한 카이로 회담의 핵심 내용은 주요 문화재 관련 협약이 1970년

이전 약탈된 문화재에 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불소급원칙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칙을 수정

하라는 것이다.

Page 21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환인 것이다. 1940-44년 사이에 나치로 넘겨진 예술품은 10만 정도로 보고 있으며44) 나치시

절 빼앗긴 문화재 반환문제는 아직까지도 독-불 양자관계와 유네스코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까지도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 지속적으로 반환 노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45)

2. 1970년 유네스코(UNESCO) 협약

헤이그 협약이 무력 충돌 시 문화재를 보호하는 협약이라면 유네스코가 중심이 되어서 체결

한 문화재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이전 금지와 예방 수단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일명 1970년 협약)은 평시 문화재 보호 협약이다.46) 이

협약은 문화재 불법유통을 차단하기위해 멕시코와 페루 등 남미국가의 제안에 의해서 착안되

었으며47) 특히 50-60년 의 탈식민화 과정을 통해서 새로이 독립한 국가가 UN과 UNESCO

의 신규회원국가로 가입하면서 서구선진국가의 주도권을 견제할 수 있는 분위기 속에서 협약

이 준비되었다. 헤이그 협약이 서구선진국들이 중심이 되어서 준비한 협약이었다면 1970년

유네스코협약은 서구 중심적으로 주장되어온 공동문화유산이라는 개념에 도전하는 신규독립

국가와의 팽팽한 조율 (국가문화유산 vs 인류공동의 유산) 작업 끝에 도출한 결과물로 두 진

의 의견이 적절히 혼합되었다고 해석되었다.48) 하지만 서구선진국들의 주장만으로 구성된

협약을 기 했던 문화국제주의자49)에게는 1970년 협약이 국가 민족주의적 접근 방식을 취하

고 있다고 해석되어 질 수 있는 여지가 있다.50) 이러한 해석은 특히 문화국제주의자인 문화시

장국가가 협약을 비준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점을 살펴볼 때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

헤이그 협약의 제안 국가인 네덜란드는 1954년 협약비준과는 달리 거의 30년이 지난 2009

년도에나 비준했으며 프랑스와 미국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 2000년 이후에 협약을 비준한다.

미국이 문화시장국가로는 처음으로(협약의 50번째 가입국가) 1983년에 비준하 지만 협약

비준 이유는 신생독립국가 및 개발 국가와의 관계 개선과 같이 협약의 내용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국이 협약준비과정에 참여함으로 인해 애초에 협약 제안국가가 작성

44) Corinne Hershkovitch and Didier Rykner, La restitution des oeuvres d’art: Solutions etimpasses, L’art en travers (Paris: Hazan, 2011), p. 44.

45) UNESCO, Committee of experts finalised Draft Principles relating to Cultural Objects

Displaced in relation to the Second World War (December 2002); Ana Filipa Vrdoljak,

International Law, Museums and the return of cultural objects, 3rd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 147.

46) 이는 달리 말하면 전시와 평시의 구분을 두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47) Forrest (2010), p. 166.

48) Vrdoljak (2006), p. 207.

49) Merryman (1986).

50) 예를 들면 협약 전문은“문화재는 문명과 국가문화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중의 하나를 구성한다”라고

적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협약은“국민”과“원소유국(country of origin)”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사

용한다.

Page 22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5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하려는 내용 수정이 불가피했을 뿐만 아니라 협약의 의미가 궁극적으로는 모호해졌다는 평가

를 받기도 한다51)는 측면을 고려했을 때 미국이 1983년에 비준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한 예로 협약 발의국가는 합법적이지 않은 반∙출입에 해서는 원천적으로 봉

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했지만, 미국은“예술작품의 교류(flow of art objects)를 위해 합

법적인 거래는 증진(promote legitimate commerce)”52)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펴서 애초의

협약 발의국가와 치되는 상황에 놓이는 논리를 전개했다. 결국 예술작품의 자유로운 이동

을 원하는 또 다른 나라들, 그 예로 국과 스위스는 협약 준비 작업에 참여하지 않아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면 미국의 참여로 원 협약의 취지가 퇴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합법적

이지 않은 반∙출입에 한 정의는 제 3조에서 찾아야하는데 제 3조는“문화재 반∙출입 및

소유권 이전이 협약 당사국이 체결한 본 협약의 구문에 위배되는 상황에서 이행될 때 불법이

된다”는 애매하면서 구속력 없는 조항이 되어 결국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53)

프랑스는 협약 준비 과정 속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국가로 협약의 기초가 된 1964년 불법 문

화재 반∙출입 및 매매 금지 수단에 관한 권고(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Means

of Prohibiting the Illicit Export, Import and Sale of Cultural Property)의 초안에

해서 미국,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일본 등이 자국의 견해를 담아 제출해서 권고안 수정

을 요구했지만 프랑스는 표적 문화재 공급국가인 멕시코, 우루과이 등과 함께 권고안 그

로 승인하는 것을 허락했다.54) 1970년 협약 준비초안에 한 프랑스 정부 보고서55)를 살펴보

면 체적으로 초안 내용에 합의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1954년 협약 체결시와는 달리 불소

급원칙과 선의 취득자 보호 원칙을 강력히 주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프랑스는 새로이 도입

되는 반출증명서 제도와 문화재 목록 작성(6조)에 찬성의 뜻을 표하며 특히 1970년 협약이

불소급원칙(non-retroactivity)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뿐만 아니라 미국이

문화재의 자유로운 이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프랑스는 선의의 구매자 즉

상인, 수집가 그리고 전시를 관장하는 사람들에게 필요이상의 의심을 할 것에 한 우려를 표

명하며“선의 취득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구분하는 것은 실제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it is almost impossible, in practice, to distinguish between bona fide owners

and others)”고 주장함으로 선의 취득자 보호 원칙을 확고히 한다.56) 이는 문화재 취득의 불

법성 여부가 국내법(프랑스 법)에 의해서 정의되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한계를 감안할 때 프랑

스는 문화재의 반 출입의 규제보다는 선의의 피해자를 보호하는데 더 주력할 것이라는 것을

51) Forrest (2010), pp. 166-167.

52) UNESCO,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Replies to Draft Convention,”UNESCO Doc.

SHC/MD/5 (27 February 1970), p. 21.

53) Forrest (2010), pp. 176-177.

54) UNESCO/CUA/123 Add. I Paris (21 March 1964). 그 외의 나라는 버마,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노르웨이, 파키스탄, 마다가스카르다.

55) UNESCO (1970), Annex I 7-8.

56) UNESCO (1970), Annex I 8.

Page 22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알 수 있다.57) 프랑스는 1970년 협약의 86번째 비준국가로 프랑스 의회는 1983년에(loi no

83-347) 이를 승인했지만 국내법 차원에서의 협약의 이행이 가능하도록 입법조치를 해야 하

는 문제로 1997년(Journal Officiel. 3 mai 1997, 6680)에 가서야 비로소 협약을 비준한

다. 결국 1970년 협약의 비준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지만 다른 문화재 시장국가와

비교했을 때 프랑스는 1970년 협약에 해서도 상 적으로 적극적인 입장을 보여줬다는 것

을 살펴 볼 수 있다(표 1 참조). 이는 앞에서 언급한 메리맨의 주장과 달리 1970년 협약이 문

화민족주의적인 입장보다는 문화국제주의자의 입장에 더 힘을 실어준 요인도 있기 때문으로

분석될 수 있다. 1970년 협약에서 분명히 보여주는 불소급원칙이야말로 문화국제주의자의

입지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규장각 반환을 비롯해 반환청구 기각 사유 중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것은 불소급원칙으로 이는 협약 발효 이전의 문화재 이전문제에 해서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게 하는 원칙이기 때문이다. 1970년 협약 준비초안에서 중국은 협약 체

결 이전에 불법적으로 취득한 중요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을 경우 후자에게 원상회복 하라는

문구 삽입을 제안하지만58) 본 협약에 채택되지 않았다. 문화재 공급국과 시장 국가 간에 중요

한 쟁점이 되는 불소급 원칙이 협약에서 배제되지 못한 이유는 부분의 서구 선진 국가들은

이 원칙 없이는 본 협약을 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며 프랑스도 예외

가 아니었다. 나치점령시기의 경험이 생생했던 1954년 협약 비준시에는 불소급원칙과 선의

취득자 보호원칙이 예외적인 상황에 의해서 도외시 되었지만 문화국제주의 입장을 취하는 프

랑스에게 있어서는 이 두 가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문화재 반환 문제와 관련해서 가장 민감

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3. 1995년 UNIDROIT 협약

유네스코는 기존의 문화보호 국제협약에서 사법적 측면의 취약점이 있다는 점을 염두하고

정부간 기구인 국제사법통일기구(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이후 UNIDROIT 협약)에게 문화재 반환 및 복구 문제와 관련된 사법적 측면

을 보완하는 협약을 요청하 으며 이는 1995년에 체결되었다. 앞선 협약과 가장 다른 점은

반환 상이 되는 것이 공공재산뿐 아니라 개인이 소장하는 사유재산에도 적용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위의 <표 1>에 언급된 어떤 국가도 1995년 UNIDROIT 협약을 비준하지 않고 있다.59)

그 이유로 볼 수 있는 것은 본 협약의 핵심 내용이 주로 선의의 취득자에 한 보호를 제한하

고 있기 때문이다.60) 다시 말하면 UNIDROIT 협약은 1970년 협약과 비교해 볼때 불법 취득

문화재에 한 원소유자에게로의 이전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즉 불법 유통에 한

보다 더 철저한 규명을 요구함으로 선의의 취득자에게 관 했던 프랑스와 같은 나라에게는

57) 제 5장 녹(Nok) 조각상 판결문을 참고할 것.

58) UNESCO (1970), Annex I 4.

59) 서구 선진국가로 덴마크가 2011년 2월에 비준했다.

60) 김형만 (2001), p. 138.

Page 22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7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61) Assemblee Nationale, “Projet de loi autorisant l’approbation de la convention d’UNIDROIT sur les biens cultures voles ou illicitement exportes,”du 29 janvier 2002.

62) 프랑스와 라오스는 1950년에 그리고 프랑스와 알제리는 1968년에 식민관계의 청산이라는 의미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문화재 반환이 이뤄졌다.

63) 박종인, “‘남성’을 떨게한 머리 200년,”『조선일보』(2011. 5. 15).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프랑스의 골동품상에게는 불리할 수밖에 없는 협약이다. 프랑스 의회

는 2002년 1월 29일에 UNIDROIT 협약 승인 법안61)을 채택했지만 골동품상의 로비와 박물

관 관계자들의 반 여론 그리고 무엇보다 국내법의 입법조치의 한계로 아직까지 비준하지

않고 있다.

Ⅴ. 프랑스의 문화재 반환 사례

프랑스가 비록 문화재 보호 국제협약에 해서 다른 시장국가보다 적극적이었다고 할 수 있

지만 프랑스의 입장은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본 장에서는 이러

한 입장을 견지하는 프랑스가 어떤 상황에서 양도불가성(inalienabilite)의 원칙을 예외적 상

황으로 만들고 반환을 허용했는지 최근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62)

첫 번째 사례는 인골 반환 사례로 2010년 프랑스는 1875년부터 루앙(Rouen)시 자연사 박

물관에서 보관해 온 마오리(Maori) 족의 머리를 뉴질랜드에 반환할 것을 최종 결정했다. 마

오리 족 머리 반환은 불소급원칙을 적용하는 1970년 협약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지만 동

협약 제 1조는 인체 해부체(anatomy)가 보호받아야할 중요한 문화유산에 적용됨을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20년 전부터 유럽전역에 있는 마오리족의 머리 반환을 위해 노력

하고 있었다. 프랑스에 앞서 이미 호주,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국가에서 이미 마오리족의

유해 반환에 해 긍정적인 답을 한 상태 다. 마오리족의 머리 반환은 별반 문제가 없어보

다. 인골은 단순 문화재와는 다른 유형의 문화재기 때문이다. 더욱이 마오리족의 머리가 유

럽에 유입되게 된 계기는 지극히 야만적이다. 마오리족은 전통적으로 부족의 일체감을 높이

기 위해 얼굴전체에 다양한 문신을 새겨 넣었으며 마오리 족의 전통에 따라 부족장이 죽으면

머리를 미라로 만들어 집안에 모셨다가 장례를 지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뉴질랜드의 정복

자인 유럽인에게 문신한 머리는 호기심의 상으로 소장품으로 전락하게 된다. 유럽인들은

총과 화약을 주고 문신한 머리를 매입하 는데 수요가 늘어나자 전통적으로는 부족장만 문신

을 하 지만 노예로 판매된 마오리도 문신을 새겼다. 그들의 머리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이

러한 야만적인 거래가 성행하게 되자 국정부는 마침내 1831년에 법으로 머리 수출을 금지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야만적인 관행에 의해 유럽으로 입수된 마오리족의 머리 반환 문제

도 반 에 부딪힌다. 2007년 10월 루앙 시는 마오리족 머리의 반환을 결정하지만 당시 문화

부장관인 크리시틴 알바넬(Christine Albanel)은“박물관의 소장품인 마오리 머리는 국가

유산”63)이라는 논리로 그리고 국립인류학 박물관인 케 브랑리 박물관의 관장은“고 예술품

Page 22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을 땅에 묻어 파괴하는 것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지워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반환을 거부

한다. 다른 문화재와 같은 기준에서 국가에 속하는 국가재산이기에 양도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다. 마침내 3년 뒤인 2010년 5월 18일에 의회는 마오리족 반환을 합법화하는 법을

제정한다.64) 비슷한 사례로 이미 프랑스는 2002년도 남아프리카에게‘호텐토트(hottentote)

비너스’를 특별법65)을 제정해서 반환했다. 1810년경 프랑스에 와서 1816년에 프랑스에서 죽

은 그녀는 1976년까지 인간박물관에 진열되었다. 그녀의 반환은 이미 인골의 경우 국립박물

관의 공공재산이라는 이유로 양도불가능하다는 원칙을 파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줬다.

왜냐하면 호텐토트 비너스 반환 논쟁 시 공공기관의 재산 목록 분류에서 배제해서(declassement)

합법적으로 다른 나라로 반환할 수 있는 기준에 해 박물관 담당자들과 논의가 이뤄졌기 때

문이다. 그때 논의된 사항 중에 프랑스 국립박물관 소장품 과학위원회(Commission

scientifique nationale des collections des musees de France: CSNCMF)의 승인을

받은 후 특별한 절차를 거쳐서 시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2010년 마오리족의 반환 결정은 인골의 경우 다른 여느 문화재와 같은 차원에서 고려할 수

없기에 양도 불가능하다는 논리가 절 적일 수 없다는 생각에 또 한번 힘을 실어줬다. 뿐만

아니라 CSNCMF의 역할을 더 뚜렷히 정의하면서 양도불가성의 원칙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해서도 더 구체적 논의가 전개되었다.66) 적어도 인골의 경우 양도불가성이 유

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줬다. 하지만 루브르 박물관의 이집트 관에 아직도 고

이집트 미라들이 관 속에 누워있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인골의 특수성이 얼마나 유효할 수 있

는지에 해서는 의문을 갖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두 번째로는 녹(Nok) 조각상(statue)67) 반환사례를 들 수 있다. 프랑스는 2002년 2월 13일

정부간협정을 통해서68) 나이지라아의 녹 조각상 세 개를 반환할 것을 약속한다. 녹 조각상은

유럽이 아닌 지역(아프리카, 미주, 오세아니아, 아시아)의 원시예술을 소장하는 박물관인 케

브랑리(Quai Branly) 국립인류학박물관의 2006년 개장을 앞두고 프랑스가 매입하 는데

64) UNESCO, “L’UNESCO salue l’adoption d’une loi par la France permettant la

restitution des te^etes maories conservees dans les musees,”http://www.unesco.org/

new/fr/media-services/single-view-tv-release/news/unesco_welcomes_french_

legislation_paving_the_way_for_restitution_to_new_zealand_of_maori_heads_held/ (검색

일: 2011. 3. 10). Loi n 2010-501, du 18 mai 2010 visant a` autoriser la restitution par la

France des tee^tes maories a` la Nouvelle-Zelande et relative a` la gestion des

collections, publiee au JO du 19 mai 2010.

65) Loi n�2002-5 du janvier 2002.

66) Loi n�2010-501 du 18 mai 2010 visant a` autoriser la restitution par la France des te^etes

maories a` la Nouvelle-Zelande et relative a` la gestion des collections,

http://www.ump-senat.fr/Proposition-de-loi-permettant-le.html?debut_arts=30 (검색

일: 2011. 3. 10).

67) 녹(Nok) 문화는 기원전 1000년에 나이지리아 부근에서 나타나서 기원후 500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실

물크기의 테라코타 상이다.

68) “Sursis pour les Nok du Louvre”(14 February 2002), http://www.artaujourdhui.info/

q1594-sursis-pour-les-nok-du-louvre.html (검색일: 2011. 3. 10).

Page 22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29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뒤늦게 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의 적색리스트69) 즉 반입과 매매가 금

지된 작품임이 알려졌다. 하지만 녹 조각상 반환은 단지 나이지리아에서 불법적으로 유출되

었기 때문에 선의의 취득자인 프랑스가 1970년 협약에 근거해서 순순히 반환을 결심한 것은

아니다. ICOM의 적색 리스트 목록의 역할과 함께 그 외에 반환하지 않을 수 없는 중요 이유

가 있었다. 1970년 유네스코 협약 30주년 행사가 열리는 파리 유네스코 본관에서 시락

(Chirac) 당시 프랑스 통령이 거론되었다. 명예롭게가 아니라 불명예스럽게. 캠브리지

학의 맥도널드 고고학 연구소 장인 램프르 경(Lord Renfrew)은 30주년행사 기조연설에서

시락 통령이 반입된 나이지리아 문화재가 합법적으로 매매된 것처럼 해서 케브랑리 박물관

에서 그리고 그에 앞서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전시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나이지리아 통령

에게 요청했다는 비화가 공개되었다. 그는 또한‘한 나라의 통령이 요청하기에는 명예롭지

않다’70)고 언급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시락은 케 브랑리 박물관 건립을 계획하는 등 아시아

아프리카 문화재 애호가로 알려져 왔지만 비화가 공개되면서 수모를 받았다.71) 결국 2002년

녹 조각상 반환(소유권 이전을 포함한) 결정은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가능할 수 있었다. 또한

절차상으로는 1970년 유네스코 협약 제 7조에 따라 선의의 피해자에 한 보상과 관련해서

나이지리아는 25년 동안(갱신 가능) 선의 취득자인 케 브랑리 박물관에 전시할 수 있는 권한

을 허락하 다.

시락의 아프리카 예술작품에 한 관심은 다방면으로 표명되었다. 2003년 3월 28일 상원

전시회에서는 아프리카 문화재 보호(La protection des biens culturels africains) 학술

회의가 열렸다. 이는 시락 당시 프랑스 통령의 후원 하에 개최된 학술회의로 시락 통령은

기조연설문72)을 통해서 시락 통령의 명으로 열린 루브르 박물관의 아프리카관과 2006년

개장을 한창 준비 중인 케 브랑리 박물관의 설립 이유를 공고히 하고자 한다. “야수파로부터

큐비즘”까지의 미술 경향 속에서의 아프리카 문화의 향력을 강조하면서도 다른 나라의 저

명한 박물관 속에서 아프리카관이 점점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명시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는 중요 아프리카 문화재가 프랑스 국립박물관에 전시되는 명분을 얻기 위함이다.

또 다른 녹 조각상 반환 요청이 있었다. 이는 2006년 파기법원의 판결에 따라 요구가 기각

된다. 앞에서 언급한 2002년 녹 조각상 반환의 경우 시락 통령이 불명예스럽게 언급되었

69) 국제박물관 협의회(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는 1997년 10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아프리카 문화유산 보호 워크샵(Workshop on the Protection of the African Cultural

Heritage)에서 논의된 약탈당할 위험이 높은 아프리카 문화재 적색목록(Red list of African

Archaeological Cultural Objects at Risk)을 만들어 목록에 오른 문화재의 국제시장 거래를 금지

할 수 있도록 회원국에 배포했다.

70) Patrick J. O’Keefe, “Conference Report: Thirthieth Anniversary of UNESCO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Property 10-2 (2001), pp. 326-327.

71) Veronique Prat, “Ces chefs-d’oeuvre que les pays du Sud veulent recuperer,”LeFigaro (30 April 2010).

72) Jacques Chirac, “Message de M. Jacques Chirac”(2003. 3. 28), http://www.senat.fr/rap/

r02-361/r02-3601.htm#toc0 (검색일: 2011. 3. 17).

Page 22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을 뿐 아니라 ICOM의 적색리스트에 포함되었다는 점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면 특별한 조명

을 받지 않는 일반적 문화재 반환 논의는 아직도 기존의 문화보호 국제협약에 의지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음을 다음의 녹 반환 요구 사례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나이지리아는 2000

년에 여러 개의 녹 조각상을 경매에 부친 파리 골동품상을 상 로 소송을 제기한다. 하지만

소송에서 기각당하고 2004년 4월 4일 고등법원에서 다시 1심 결과가 반복되고 마침내 2006

년 9월 20일 파기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골동품상의 손을 들어준다. “문화재 협약(1970)

내용은 가입국가의 국내법에 직접 적용될 수 없으며, 후자(개별국가)에 의해서만 의무가 규정

되며, 그 국민에게 직접적인 의무를 지우지 않는다. 따라서 골동품상에 한 소송은 성립되지

않는다.”73) 이는 프랑스가 비준한 1970년 협약이 실제로 반환사례에 적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파기법원은 민법 2279조에 의한 선의 추정(presomption

de bonne foi)의 원칙으로 구매자 보호를 우선시하는 판결을 내린 것이다. 골동품상이 취득

한 물건의 유출경위-불법유통여부-에 해서 덜 엄격한 잣 를 지닐 수 있는 여지를 보여 준

것이다.74) 이와 같은 파기법원의 판결은 프랑스가 왜 아직까지도 UNIDROIT 협약을 채택하

지 않고 있는지에 한 답을 제공하기도 한다. 1995년 서명된 UNIDROIT는 각국의 민사법

규정의 미비 혹은 불일치하는 부분 등을 국제적으로 통일하거나 조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

다. 1970년 협약의 미비 사항 중에서도 반환과 관련해서 각국의 법률을 조율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하는 UNIDROIT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2002년 국회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

구하고 가입절차를 밟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2007년 1월 24일 1심 재판소는 에콰도르

(Ecuador) 공화국이 프랑스를 상 로 낸 콜롬비안 이전시 (pre-colombian) 문화재 반환

소송에 해서 유사한 판결을 내려 요청을 기각했다.75) 프랑스는 국제조약 체결시에는 비교적

너그러운 입장을 표명하며 국이나 미국과 비교했을 때 국제협약에 적극적 입장을 취하지만

이처럼 구체적 법 적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Ⅵ. 결 론

문화재 보호 주요 국제협약에 한 프랑스의 입장을 1954년 헤이그 협약, 1970년 유네스코

협약 그리고 1995년 UNIDROIT 협약을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프랑스가 상기 협약 채택 시

에 상 적으로 적극적이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미국과 국과 같이 문화재 시장국가이며

문화국제주의적인 입장을 표방하는 프랑스는 하지만 미국과 국과는 달리 1954년 헤이그

협약뿐만 아니라 헤이그 협약의 1차 의정서를 비준하 다. 프랑스는 1970년 유네스코 협약을

비준하는데 있어 상당한 시간을 소요했지만 협약 준비 과정에서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73) Cass. civ. 1, 20 sept, 2006, arr^et 1350 F-P+B.

74) Jean-Marie Schmitt, “Statues Nok: cynisme ou rappel?”Le Journal des Arts 25 (30

mars 2007).

75) 1심 재판소 판결. TGI Paris 1re ch. Sect. A, 24 janvier, 2007, n�RG 04/04828.

Page 22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1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줬음을 알 수 있었다. 1995년 UNIDROIT 협약에 해서는 프랑스가 이를 서명하 으나 아

직 비준하지 못한 상태다. 서구 선진국가로는 덴마크가 유일하게 비준하 고(2011년 2월) 각

국의 민사법 규정의 국제적 조율 작업의 어려움을 감안한다면 UNIDROIT 협약에 한 국회

승인이 2002년도 통과됐음에도 불구하고 가입 절차를 밟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 해서 이해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하지만 국제협약 체결시의 비교적 적극적인 프랑스의 입장과는 달리 실제 반환 사례를 살펴

보면 여지없이 사안의 예외성과 특수성을 강조함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반환이 일반화될 경우

소장품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궁색해져서 프랑스에게 불리한 선례를 남길 수 있

기 때문이다. 제국주의 시기동안 다수의 식민 국가를 거느린 표적 문화재 소유국가인 프랑

스에게 문화재 반환문제는 섣부른 응을 하기에는 위험이 따른다. 유사한 상황에 놓인 국가

로부터의 반환 요청이 쇄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입장이 국이나 미국과 별반 다르

지 않다는 것은 2006년 녹 조각상 소송에 한 파기원의 판결과 2007년 에콰도르 공화국의

문화재 반환 소송에 한 1심 재판소의 판결문을 통해서 고찰할 수 있었다. 프랑스는 국제 협

약 채택 시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지만 협약의 내용을 국내법에 적용하려는 적극적인 의지

가 있는지에 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프랑스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은 문화

국제주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나라들과 다르지 않게 불소급원칙의 고수이며 선의 취득자에

한 우선적인 보호로 보여진다. 불소급원칙은 2006년 녹 조각상뿐만 아니라 문화연 가 파

리 행정법원에 제기한 외규장각 반환 소송을 기각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로 삼았다. 따라서 프

랑스가 문화재 반환과 원상회복과 관련하여 불소급원칙을 적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선의의

취득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는 소지가 강한 1954년 헤이그 조약과 본 조약의 1차 의정서

비준에 있어서 적극적인 태도를 보 던 것은 예외적인 입장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1954년

협약에 해서 보여준 프랑스의 입장은 나치 점령시기를 통해서 문화재 유실을 겪은 당시의

프랑스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취한 예외적인 입장이다.

문화재 원소유국 반환 문제에 해서 프랑스는 기본적으로 문화 국제주의자의 입장을 견지

한다. 유네스코가 오랜 동안 심혈을 기울인 문화보호 및 육성 그리고 소수문화 보호 등의 노

력의 구체적 산물인‘인류공동의 유산’그리고‘문화다양성’과 같은 개념을 프랑스가 적극적

으로 옹호하는 것76)도 문화 국제주의 논리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프랑스는 문화다양성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아프리카, 남미 그리고 아시아 등 세계 곳곳의 문

화재 보호를 논할 수 있는 주요한 빌미를 얻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프랑스 형 박물관에서의 이들 문화재 소장 이유를 역설할 수

있는 논리를 만들어낸다.

76) 박선희, “유네스코‘문화다양성’과 프랑스의 전략,”『한국정치학회보』43집 ⑶호 (2009), pp. 195-217.

Page 22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참 고 문 헌

김형만. 『문화재 반환과 국제법』서울: 삼우사, 2001.

박선희. “유네스코‘문화다양성’과 프랑스의 전략.”『한국정치학회보』43집 3호 (2009).

박종인. “‘남성’을 떨게한 머리 200년.”『조선일보』2010. 5. 15.

백충현. “해외유출, 불법 반출 문화재 반환의 국제법적 규제.”『서울 학교 법학』30권 3-

4호 (1989).

이태진. “파리국립도서관 소재 외규장각 도서의 현황과 내력.”『서울국제법연구』제 1호 (1995).

정상천. “파리 국립도서관 소장 외규장각 도서반환 협상경과, 쟁점 및 평가.”『프랑스사 연

구』제 16호 (2007).

Anderson, William. “Commodifying Culture: Ownership of Cambodia’s Archaeological

Heritage.”Limina 13 (2007).

Assemblee Nationale. Projet de loi autorisant l’approbation de la convention d’

UNIDROIT sur les biens cultures voles ou illicitement exportes. du 29 janvier

2002.

Auboyer, Jeannine. “The Exchange of Works of Art at government level.”Museum 31-

1 (1979).

Cornu, Marie and Marc-Andre Renold. “New Developments in the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y: Alternative Means of Dispute Resolution.”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roperty 17-1 (2010).

Debidour, Antonin. Recueil des actes du Directoire executif. t. II. Paris: Imprimerie

Nationale, 1911.

Desch, Thomas. “The Second Protocol to the 1954 Hagu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2 (1999).

Edwards, Penny. Cambodge: the cultivation of a nation, 1860-1945.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Forrest, Craig. International Law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London:

Routledge, 2010.

Gouvernement des Pays-Bas(Conference intergouvernementale sur la protection des

biens culturels en cas de conflits arme). “Actes de la Conference convoquee

par l’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 pour l’Education, la Science et la

Culture”tenue `a La Haye du 21 avril au 15 mai, 1954.

Greenfield, Jeannette. The return of cultural treasures. Cambridge: Cambridge

Page 22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3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University Press, 2009.

Hershkovitch, Corinne and Didier Rykner. La restitution des oeuvres d’art: Solutions

et impasses, L’art en travers. Paris: Hazan, 2011.

Hoog, Emmanuel and Michel Hoog. Le marche de l’Art. Paris: PUF, 1991.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ICOM News 57-1 (2004).

Lafont, Masha. Pillaging Cambodia: the illicit traffic in Khmer Art. North Carolina:

Mcfarland & Co Inc., 2004.

Lehman, Jennifer N. “The continued struggle with stolen cultural property: The

Hague Convention, the Unesco Convention and the Unidroit draft

Convention.”Arizona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14-2

(1997).

Merryman, John Henry. “Two Ways of Thinking about Cultural Property.”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80-4 (October 1986).

______. “Cultural Property Ethics.”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roperty 7-1

(1998).

Nahlik, Stanislaw-Edward. “La protection internationale des biens culturels en cas de

conflit arme.”Recueil des cours de l’Academie de droit international de la

Haye 120 (1967).

O’Keefe, Patrick J. “Conference Report: Thirthieth Anniversary of UNESCO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roperty 10-2 (2001).

Oyer, Harvey E. “The 1954 Hagu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 Is It Working? A Case Study: The Persian

Gulf War Experience.”Colum.-VLA J.L. & Arts 23 (Winter 1999).

Perrot, Xavier. De la restitution internationale des biens culturels aux XIXe et XXe

siecles: vers une autonomie juridique. Th`ese en Histoire de Droit du 7

December, Limoges: Universite de Limoges, 2005.

Prat, Veronique. “Ces chefs-d’oeuvre que les pays du Sud veulent recuperer.”Le

Figaro. 30 April 2010.

Recueil General des Traites de la France. Accords bilateraux non publies, 1958-1974.

Vol.Ⅱ. n�680,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1977.

Rollet-Andriane, Louis-Jacques. “Precedents.”Museum 31-1 (1979).

Schmitt, Jean-Marie. “Statues Nok: cynisme ou rappel?”Le Journal des Arts 25 (30

mars 2007).

Page 22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UNESCO. “Means of prohibiting the illicit export, import and sale of cultural

property.”UNESCO/CUA/123 Paris, 15 July 1963.

______. “Final Report for Special Committee of Governmental Experts.”

UNESCO/CUA/123 Add I, Paris, 21 March 1964.

______.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Preliminary Report, UNESCO Doc.

SHC/MD/3, 8 August 1969.

______.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Replies to Draft Convention.”UNESCO

Doc. SHC/MD/5, 27 February 1970.

______. “Report of the Special Committee of Governmental Experts to examine the

Draft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Unesco Doc.

16C/17, 13 July 1970.

______. “Committee of experts finalised Draft Principles relating to Cultural Objects

Displaced in relation to the Second World War.”December 2002.

Vrdoljak, Ana Filipa. International Law, Museums and the return of cultural objects.

3rd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age 23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5문화재 원소유국(country of origin) 반환과 프랑스의 입장 □ 박선희

French Position o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the Country of Origin

(Seoul National University)Sunhee Park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recent return of Oegyujanggak books which is part of the

royal archives of the Chosun Dynasty,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French position on the

promotion and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 the Country of Origin. Since Franc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arket Nations with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nd

firmly stands in support of Cultural Internationalism, it is crucial to put the initial focus on the

French attitude toward signing of major international agreements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s of the active

French role on the ratification of 1954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as known as the 1954 Hague Convention. Furthermore, this paper

considers why France was relatively reluctant to the ratification of the 1970 Unesco Convention

and why it still refuses to the ratification of the 1995 UNIDROIT Convention. After analyzing

these cases, this paper shows that unlik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ho have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Cultural Market Nation with France, France fostered an active

participation on the ratification of the major international conventions. However, the analysis of

the procedure of recent return of Cultural Property case illustrates that despite it’s active

inclination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se concrete cases show the unwillingness of the

French authority toward its application to domestic law system.

투 고 일 :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1월 4일

Page 23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인 남 식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

【한 초록】

한 튀니지 청년의 분신은 소위‘아랍의 봄’이라 불리우는 아랍권 전체의 정치변동을

일으켰다. 중동의 권위주의는 냉전 해체,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의 정치변동에도 불구하

고 지속되어 왔었으나, 이번에는 무서운 속도로 붕괴되었다. 청년 실업 등 경제의 피폐,

지배 이데올로기의 부재, 그리고 역사적 박탈감에 따른 인지적 괴리현상과 같은 구조적

원인과 인터넷 미디어의 발달과 같은 촉진요인이 작동한 결과로 일어났다. 그러나 아랍

의 정치변동이 곧 민주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동의 예외주의처럼 민주주

의와는 거리가 먼 속성들이 계속 논의의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한편 금번 아랍지역 정

치변동은 하나의 단일한 구조로 일반화하기 힘들다. 이집트와 튀니지가 시민혁명 성격

이었다면 리비아는 부족간 내전 양상이었다. 바레인의 경우는 시아파 주요국인 이란의

부상과 맞물려 일어났던 종파분쟁 현상이었다. 이렇듯 다양한 형태의 역학관계를 추적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중동 전역의 정치적 지형도를 정확히 그려낼 수 있

는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Ⅰ. 서론

Ⅱ. 2011 아랍 정치변동의 동인

1. 촉발 요인

2. 구조적 원인

3. 촉진 요인

Ⅲ.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쟁점

1. 중동의 예외주의 논쟁과 함의

2. 체제 성격에 따른 정치 변동 전개

3. 정치변동 양상의 다양성

Ⅳ. 결론

∙주제어: 재스민 혁명, 정치변동, 중동 예외주의, 지 국가, 중동민주화, Jasminerevolution, political upheaval, Middle East exceptionalism, Rentierstate, Middle East democratization

� 차 례 �

Page 23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Ⅰ. 서 론

튀니지 청년의 분신자살은 아랍 전역의 정치변동1)을 불러왔다. 튀니지 독재체제에 한 저

항으로 벤 알리 (Ben Ali) 권위주의 체제가 붕괴하자 정치변동의 파고는 국경을 넘어 아랍권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튀니지의‘재스민 혁명’(Jasmine revolution)2)은 이집트의‘코샤리

혁명’(Koshari revolution)3)으로 이어졌고, 리비아 카다피(Moammar Qadhafi) 독재체제

를 붕괴시켰다. 이어 예멘의 알리 압둘라 살레(Ali Abdullah Saleh) 통령의 하야 선언 및

시리아 바샤르 알 아사드(Bashar Al Asad) 정권의 위기로 이어졌다. 이렇게 2011년 1년간

일어났던 아랍의 정치변동은 극적이었고 전격적이었다.

냉전 해체 당시 거 한 체제 전환기를 거치면서도 아랍의 권위주의 체제는 강고하게 유지되

었다. 동유럽 및 중앙아시아 벨벳 혁명기에도 아랍의 독재정권들은 요동하지 않았었다. 내부

적으로 정권에 한 반발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시리아나 이라크 등지에서 수만명의 학살이

일어나는 상황속에서도 독재는 유지되었었다. 사실상 미국과 유럽 주요국들은 다양한 아랍

민주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사담의 몰락을 제외하고 정권의 변화는

전무했다. 그러나 금번 튀니지발 정치변동은 기존의 역사적 경험과는 완연히 다른 속도와 범

위로 확산되고 있다.

금번 아랍의 정치변동은 국제사회에 다양한 질문을 던진다. 어떻게 이런 급작스런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는가? 미증유의 상황을 거치면서 아랍의 미래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과연

이번 사태를 거치면서 아랍에서 민주주의의 제도화가 가능할 것인가? 그리고 새롭게 들어설

정권은 어떤 세력들이 주도할 것이며 이에 따른 국제정치질서의 변화 양상은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 본 고에서는 먼저 2011년을 관통했던 아랍 정치변동의 원인을 3가지 층위로 나누

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성격이 어떻게 규정될 수 있을지와 민주주의 관련 쟁점을 다루면서

각 국가별 미래에 관해 설명을 도출하려 하 다. 그러나 용이한 작업은 아니다.

사실상 아랍 정치변동은 여전히 현재시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독재정권이 붕괴

된 이집트나 튀니지 및 리비아 등도 상황이 종료된 것이 아니다. 새로운 체제수립과 정부구성

을 놓고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시리아에서는 2011년 말 현재 희생자가 속출하며 시민들의

1) 2011년 아랍 권위주의 정권의 붕괴와 관련하여‘아랍 민주화’또는‘아랍 시민 혁명’및‘정치 변동’

등의 다양한 용어들이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정치 변동’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리비

아 및 예멘 등 일부 아랍 국가에서 발현된 현상은 민주화와 시민 혁명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2) 재스민(Jasmine) 은‘신의 선물’이라는 뜻을 가진 튀니지의 국화로 금번 혁명의 상징으로 불리움. 보

다 구체적으로는 20 실업상태의 젊은이들이 길거리에서 주로 물담배(후카)와 자스민차를 마시면서

소일하다가 정치적 격변을 주도하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혁명의 별칭으로 사용됨.

3) 이집트의 표적인 서민음식으로서 곡물가격 인상과 생활수준 저하로 인한 불만을 상징하는 차원에서

사용됨. 다른 표현으로 아이쉬(이집트 서민의 주식 빵) 혁명 또는‘연꽃’(lotus) 혁명이라는 표현을 쓰

기도 함. 연꽃의 의미는 과거 파라오가 숭상하던 여신의 상징물로서 드디어 질곡의 역사를 끝내고 파라

오의 화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의미로 반체제 정치학자인 사드 이브라힘(Saad ed-din

Ibrahim)이 명명.

Page 23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39[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저항이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을 비추어 볼 때 아직 학계에서 아랍 정치변동을 체계적으

로 분석한 연구성과물을 찾아 보기는 힘들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문헌 검토가 이루어지기 힘

든 상황을 바탕으로 초보적인 수준에서 원인과 성격을 짚어보고 략의 방향성을 전망해보는

틀로 이루어졌다. 보다 정 한 후속 연구는 아랍 각국의 선거와 헌법제정 이후, 민주주의 정

부 수립 가능성을 중심으로 수행될 것이다.

Ⅱ. 2011 아랍 정치변동의 동인

1. 촉발 요인

2010년 12월 17일, 튀니지 남부 소도시 시디 부지드(Sidi Bouzid) 의 야채 노점상인 모하메

드 부아지지(Mohamed Bouazizi, 1984. 3. 29-2011. 1. 4) 가 경찰의 횡포와 행정당국의

부조리 및 개인적 모욕에 저항하여 분신자살을 기도, 사망했다. 상황은 점차 심각해졌고, 결

국 튀니지 벤 알리 정권이 붕괴했으며 이집트에서도 무바라크 통령의 독재가 막을 내렸다.

본 사건은 단순히 공권력과 갈등관계에 있던 시민의 우발적 희생 수준을 벗어난다. 기존 정치

체제에 한 불만이 임계점에 달해있던 전 아랍국 중들을 자극하는 방아쇠를 당긴 것이다.

그의 죽음은 신속하게 전파되었다. 주어진 현실과 여건이 비관적이고 희망이 없었던 수많은

아랍 젊은 청년들의 울분이 분출되는 사건이었다. 사실상 이슬람 교리상 자살은 금기(haram)

이다. 성실한 무슬림 청년이 자살을 택한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정치적 시위효과가 컸다. 여

기에 화장조차 금하고 있는 계율상, 분신이 갖는 상징성은 더 충격적이었다. 한 청년의 죽음

은 임계점에 도달해 있던 중동 아랍권의 불만에 불을 당김으로 전지역의 정치변동으로 발화

했다.

2. 구조적 원인

금번 아랍 정치변동의 구조적 원인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먼저 민심 이반의 첫

번째 동인은 경제적 피폐 및 삶의 질 저하를 들 수 있다. 최근 곡물가 상승으로 인해 식량 보

조금이 폭 삭감된 튀니지와 이집트 등의 국가에서는 민심 이반 현상이 심각해졌다. 이와 맞

물려 최근 내수 에너지 비용까지 상승하면서 일상의 피폐가 가속화된 상황에서 서민층의 불

만은 증폭되었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일자리 부족이었다. 실업률 수준은 그 어느 지역보다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이 높은 편이다. 국제노동기구 자료에 의하면 중동과 북아프리카는 비

EU 유럽국가와 CIS 국가들과 함께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Page 23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은 여타 지역에 비해 훨씬 심각하다. 중동 아랍지역의 20 이하 인구

비율이 급등하면서 청년 실업률 문제는 사회 불안의 뇌관이었다. 중동 북아프리카 부분 국

가의 청년 실업률이 공식적으로 23-25% 내외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통계상의 수치이고

실질적 실업률은 60%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들 20 , 30 청년들은 실업상태

에서 할 일이 없어 거리에 앉아 소일하는 실정이다. 실업상태 젊은이들의 분노가 촉발되어 반

정부 시위가 격화되었고, 그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독재 정권 붕괴의 도미노가 일어났다.

두번째 구조적 요인은 정치적 이념의 부재와 독재의 심화이다. 2차 전 이후 동서로 분리되

어 이념의 진 론에 포획되어 있던 아랍은 냉전 해체로 인한 이데올로기 고갈 상태에 들어가

게 되었다. 오토만 멸망과 제1차 전 종전 이후 근 식민주의 통치를 겪으면서 이에 한 박

탈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이념적 시도들이 있었다. 그 표적인 이념 운동이 아랍의 통합

<표 1> 세계 지역별 실업률 현황

2010*2009200820072006200520042000

6.2

8.8

9.6

4.1

5.1

4.3

7.7

10.3

9.8

8

6.3

8.4

10.4

4.4

5.2

4.4

7.7

10.3

9.9

7.9

5.7

6.1

8.6

4.3

5.3

4.3

6.6

10.2

9.6

7.9

5.6

5.8

8.6

3.8

5.4

4.5

7

10.5

10.2

7.9

5.9

6.3

9.3

4

6

4.6

7.6

10.7

10.5

8

6.2

6.9

9.4

4.1

6.3

4.8

7.9

11.2

11.6

8.6

6.4

7.2

9.9

4.3

6.4

4.7

8.4

11.2

11.9

8.6

6.3

6.7

10.9

4.5

4.9

4.5

8.5

10.6

14.1

9

전체

선진국 (EU 포함)

비EU유럽 및 CIS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남아시아

남미 및 캐리비언

중동

북아프리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출처: ILO (2010). *2010년 현황은 추정치

<표 2> 2010년 세계 지역별 세부 실업률

전 체 선진국비EU

유럽 CIS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남 미 중 동북

아프리카사하라이남아프리카

6.2

6

6.5

12.6

4.8

8.8

9.3

8.2

18.2

7.5

9.6

9.6

9.4

18.9

7.9

4.1

4.6

3.5

8.3

3.3

5.1

5

5.2

14.2

3

4.3

4

4.9

9.5

2.8

7.7

6.4

9.5

15.2

5.8

10.3

8.2

17

25.1

6.5

9.8

7.8

15

23.6

6.2

8

7.6

8.5

12.3

6.4

전체

남성

여성

청년층

장년층

출처: ILO (2010).

Page 23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1[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을 기치로 내걸었던 아랍 민족주의 즉 나세리즘(Nasserism)과 바티즘(Baathism) 이었다.

이들 아랍 통합 운동은 1960년 를 관통하여 아랍 민족이 하나될 수 있고, 번 을 이루어낼

수 있다는 확신을 전파하는 계기 다. 아랍민족주의를 바탕으로 이스라엘과의 전쟁이 이루어

졌고, 아랍 전역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기제가 되었으나 가말 압둘 나세르(Gamal Abdul Nasser)

의 사망과 지도국 이집트의 쇠퇴로 인해 약화되어 왔다. 아랍 민족주의의 쇠퇴와 더불어 일련

의 중동전쟁 패배, 이스라엘의 강경한 행보, 미국과 유럽의 이중적 중동정책 등은 아랍의

자존심을 상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랍의 의를 견인할 이념과 리더십이 부재했고, 현

존하는 권위주의 독재정권은 타락했고 부패했다. 개별 국가단위의 폭압적 권위주의 체제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중의 정치적 불만 수준은 임계점에 이르고 있었다.

또 하나의 구조적 요인으로 역사문화적 패배주의의 확산 현상을 들 수 있다. 이슬람과 아랍

이 결합하여 배태했던 화로운 시 (Khalipha Rashidun)의 역사를 반추하는 아랍 중들

은 주어진 현실과 여건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다. 즉 중세 문명사 속에서 아랍권이 보여주었

던 우월성은 현재 역전되어 서구 유 -기독교 문명에 뒤지는 데서 오는 일종의 인지적 괴리

현상(cognitive dissonance) 현상이 발현된 것이다. 한동안 나세르 등의 지도자들에 의해

아랍통합을 통한 서구 역전을 꿈꾸기도 했으나 상황은 다시 비관적이었다. 아랍의 중들

은 현존하는 지도자들이 권위주의 독재의 폭압성을 유지하며 자신들의 권익과 정권 안보에만

매몰되어 있다는 판단을 했다. 이러한 패배주의적 박탈감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현재 아

랍 독재정권들에 한 불만도 점증해왔고, 결국 정치변동이 일어나는 역사-심리적 요인으로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3. 촉진 요인

정치변동의 발화는 한 청년의 분신으로 일어났다. 앞서 살펴본 경제적 피폐, 지배 정치 이

념의 부재와 독재에 한 염증, 그리고 역사심리적 박탈감 등 내연성이 강했던 구조적 요인에

불을 붙이면서 정치적 격변이 시작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구조적 요인은 사실상 오랫동안

아랍권에 상존해 온 상황이었다. 그렇다면 2011년의 상황 즉 구조적 요인이 촉발요인과 만나

구체적 정치변동으로 이어지게 된 본격적인 촉진요인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 지역

에서 발생한 하나의 정치적 사건(incident)이 정치적 조류로 확산되게 한 기제로서 인터넷과

미디어의 역할을 간과할 수 없다.

아랍 지역 부분의 국가들에서 최근 10년간 인터넷 사용자 수는 급증했다. 2000년-2010

년 전체 인터넷 이용자 증가율은 444%인데 반해, 중동 북아프리카권 16개국의 인터넷 사용

자 수는 평균 4,863% 를 기록했다.4) 인터넷 사용자 수의 증가는 정보의 소통 총량을 확 시

킨다. 인터넷 사용량의 폭증과 더불어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4) Hussain Muzammil M., “The Role of Digital Media,”Journal of Democracy 22-3 (2011),

pp. 35-48.

Page 23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의 증 와 발전은 정권 차원에서의 통제가 어려울 정도의 정보 교류를 생산하고 있다.

단순히 정보 전달 및 소통의 기제가 확 되었을 뿐 아니라 구체적인 정보를 생산하는 방송

매체의 발전도 주목하여야 한다. 즉 중동 전역에서 벌어진 시위와 권위주의 정권의 행태 등이

실시간으로 위성으로 보도되고, 이러한 보도 내용이 인터넷과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

유포되면서 아랍의 중들은 물리적 거리와는 상관없이 인접국에서 벌어지는 정치변동을 목

격할 수 있었다. 특히 카타르에서 설립한 알 자지라(al Jazeera) 방송의 경우 비교적 아랍의

실상을 가감없이 전달한다는 평을 받으며 신뢰도가 높아졌다. 알 자지라를 통해 아랍권 전역

으로 방송된 시위 현장 보도와 정부의 강경진압 화면이 전파되면서 시위는 확산, 격화되었다.

실제로 이집트의 경우 청년(20-40세)들에게 가장 향력이 큰 뉴스 매체가 무엇인지를 물

었을 때, 2000년에는 이집트 국 방송이라는 답이 80% 으나, 2008년에는 알 자지라 방송

이 68%를 점유했고, 2010년 조사에서는 알 자지라를 신뢰한다는 답변이 84%에 육박했다.

이는 뉴스를 생산하고 분배하는 독점적 원천으로서의 알 자지라 방송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

으며, 금번 정치변동의 시위를 실시간으로 가감없이 보도함에 따라 아랍권 청년들의 시위 참

여에 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Ⅲ.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쟁점

2011년 아랍권의 정치변동을‘민주화’로 설명할 수 있을지에 관한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일견 철권 통치를 해오던 독재자들이 일거에 물러나고 새로운 정치체제가 들어설 준비를 하

는 시점에서 민주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아랍권에서 민주주의가 가능할 것

인가에 관한 원론적인 논쟁과 함께 기존 권위주의 체제가 붕괴된 금번 정치변동 사례가 민주

<표 3> 최근 10년간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 인터넷 사용자 증가율

국 가인터넷 사용자 증가율(2000-2010, %)

3,500

4,375

자료 없음

2,700

1,523

13,017

13,180

2,500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

바레인

시리아

이란

이라크

국 가인터넷 사용자 증가율(2000-2010, %)

1,353

414

4,800

1,274

633

13,113

1,268

9,300

카타르

UAE

사우디 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모로코

요르단

알제리

출처: Internet World Stats (2011).

Page 23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3[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화와 어떤 연계성을 갖는가하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금번 정치변동 사례를 살펴보

면 시민민주주의 혁명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맥락이 작동했다.

1. 중동의 예외주의 논쟁과 함의

아랍에서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수 있는가에 관한 논쟁은 중동정치의 고전적인 논의 주제이

다. 특히 부시행정부 당시‘확 중동구상’(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5)를 내세우며

중동 민주화를 추진하던 상황과 맞물려 학계의 관심사를 불러일으켰다. 중동 예외주의

(Middle East exceptionalism)란 중동 아랍권에서는 보편적 가치로서의 민주주의가 수용

되기 힘들다는 논지이다. 즉 민주주의 관련 중동 예외주의는 아랍 및 이슬람권의 문화적 전승

에 맞는 형태의 민주주의 맥락화(contextualization)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중동의 예외주의를 설명하는 논리적 근거는 부족주의, 이슬람, 그리고 지 추구행태 등 크

게 3가지로 별된다. 먼저 부족주의를 살펴보면, 아랍 문화의 기저에는 유목민적 생활양식

(nomadic way of life)이 깔려있다. 유목 생활의 핵심은 오아시스를 찾아 가축을 먹여야 되

는 습속이다. 즉 광야와 사막에서 옮겨다니며 생존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민주주의적 의

사결정구조는 작동하기 어렵다. 혜안과 경험을 가진 원로의 지도력이 더 중시되는 문화가 부

족주의 문화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목문화적 전통에서 기인한 부족주의는 결국 민주주의와

상당히 거리가 먼 정치 문화를 창출해냈다는 분석이 많다. 결정의 착오 여부에 의해 공동체의

존망이 오고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혜안을 가진 원로지도자의 경험을 존중하는 정치문화, 의

사결정구조를 배태시킨 것이다. 단순다수의 의사결정을 통해 전체 공동체의 운명이 쉽게 결

정될 경우의 위험성이 사막에서는 확연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

하고 부족장 개인의 경험과 혜안에만 의존하는 것 역시 일정부분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아라

비아 반도 및 북아프리카 아랍국가의 부족들은 족장이 심사숙고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는 동시에, 가문과 부족의 원로들이 모여 족장에게 자문하는 형식을 갖춘다. 다만 이들의

자문은 다수결 등의 표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철저하게 충심을 담은 조언형식으

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기본적인 임무는 반 와 논쟁이 아니고 충성과 복종에 기반한 조언임

은 물론이다. 이러한 정치문화의 특질을 담은 형태의 정치구조를 유목정치(bedoucracy)라고

부르기도 한다. 에바 벨린(Eva Bellin) 은 중동에서의‘시민사회’개념 자체가 성립되기 힘

들다고 주장한다. 기본적으로 앞에서 살펴본 부족 및 위계질서에서 오는 문화적, 종교적 이질

5) 확 중동구상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2004년 4월에 열린 6월 G8 정상회의 준비모임에서 다. 그

러나 그 이전인 2월경 아랍 신문인 al Hayat에 그 구상이 먼저 보도된 바가 있다. 이 내용은 중동 지역

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관한 민주화와 현 화를 향한 개혁 노선들을 천명하고 있었다. 이를 위하여

중동미래를 위한 포럼, 중동 민주화 지원 그룹, 중동 민주주의 재단, 중동 교육 지원 그리고 중동에서

의 G8 금융 구상 등 모두 5개의 지원 그룹으로 구성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하 다. Tamara Cofman

Wittes, “The New U.S. Proposal for a 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 An Evaluation,”

Saban Center Middle East Memo #2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10 May 2004).

Page 23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6) Eva Bellin, “Civil Society: Effective Tool of Analysis for Middle East Politics?”PoliticalScience and Politics 27-3 (September 1994), pp. 509-510.

7) 따휘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Islmail R. Faruqi, Tawhid: Its Implications for Thought andLife (Herndon, VA: International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1982)를 참조할 것.

8) Bernad Lewis, 김호동 역, 『이슬람 문명사』(서울: 이론과 실천, 1994), p. 20.

9) Ross E. Burkhart and Michael S. Lewis-Beck, “Comparative Democracy: The Economic

Development Thesis,”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8-4 (December 1994), p. 903.

10) 일반적으로 지 국가에 관한 범주규정은 학자마다 약간씩의 편차가 있어왔다. 가장 많이 인용되는 지

아코모 루치아니의 정의에 의하면, 전체 국가수입에서 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40%를 상회하는 경우

지 국가로 분류했고, 부분 이 분류를 따르고 있다. 외에도 제프리 삭스와 앤드류 워너는 GDP 비

순수 석유수출 수입인 석유수입의존도를 유사한 기준으로 삼기도 했다. Giacomo Luciani, “Allocation

vs. Production States: A Theoretical Framework,”in Giacomo Luciani (ed.), The ArabWorld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p. 71.

11) 마이클 허브는 지 국가와 권위주의와의 강한 상관성을 부정하 다. 석유로 인한 국부의 증가가 민주

화를 촉진시키지는 않지만, 역으로 국가의 지 주의가 민주주의에 심각한 장애요소로 등장하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Micahel Herb, “Does Rentierism Prevent Democracy?”prepared

for delivery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PSA, 29 August - 1 September 2002. 그러나

유사한 부분의 연구결과는 지 추구와 민주주의는 부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Michael Ross, “Does Oil Hinder Democracy?”World Politics 53 (April 2001), pp. 325-361;

Lisa Anderson, “Democracy in the Arab World: A Critique of the Political Culture Approach,”

in Rex Brynenetal (ed.), Political Liberalization & Democratization in the Arab World(Colorado:Lynne Rienner Publishers, 1995); Jill Crystal, Oil and Politics in the Gulf:Rulers and Merchants in Kuwait and Qatar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Dirk Vandewalle, Libyasince Independe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참조.

성으로 인해‘시민의 연 ’라는 개념은 정착하기 힘들다고 본다.6)

두 번째, 이슬람을 근거로 민주주의와 아랍간의 부정적 상관성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이

슬람의 기본 교리는 신정일치에서 발원한다. 무슬림 신앙고백의 핵심적 가치는 유일신 사상

에 입각한‘통전성(統全性)의 원리’(al Tawhid principle)이다.7) 사회 전분야와 층위를 포괄

하는 일체로서의 통합사상에 기반하여 정치를 해석한다. 따라서 모든 무슬림들에게 정치적

행위는 알라의 가르침과 뜻에 준하는 규범이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 역에서 일어

나는 각종 행위들 즉 선거, 정당, 의제 등의 장치들은 종교적 권위에 의해 지배되어야 한다

는 인식으로 인해 민주주의의 본원적 가치와는 거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즉 주권의 소재가 국

민 개개인에게 귀속되는 민주주의 원칙과 상이한 인식론이라 할 수 있다. 이슬람 원리에서 규

정하고 있는 국가와 정부의 일차적 기능은 절 자 알라의 율법을 보존, 유지, 전파하여야 하

며 이 과정에서 권력은 종교적 권위에 기반하고 있다고 본다.8)

세 번째로는 예외주의를 주장하는 이들은 아랍에서 민주주의 적용이 어렵다는 요인 중 하나

로 지 추구 행태를 제시한다. 일찍이 세이모어 립셋(Seymour Martin Lipset)이 주장한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상관관계는 경험적으로 폭넓게 증명 되었다.9) 그러나 높은 GDP 수준

을 보이더라도 정부 재정수입에서 자연자원 수출로 인한 수입이 국민으로부터 징수하는 세금

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지 국가(rentier states)의 경우 권위주의 정권이 집권하는 비율이

컸다.10) 중동의 아랍 산유국은 부분 이 범주에 든다. ‘석유가 민주주의의 발전을 저해한다’

는 지아코모 루치아니(Giacomo Luciani)의 명제는 경험적으로 증명되어 온 셈이다.11) 그는

Page 23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5[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표 4>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 원유 생산-매장 현황 및 렌트 비율

석유 수입이야 말로 중동 산유국의 정치체제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한다. 산

유국의 석유 수입을 기반으로 하는 권위주의는 국가의 생산성보다는 얻어진 재화의 분배에

주력하게 된다. 이렇게 분배되는 재화가 국민 개개인의 주 수입원이 되면 국가는 국민으로부

터의 사회적, 정치적 압력에 반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소위“세금 없는 의민주주의는 없

다”(no representation without taxation) 는 명제에 부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산유국들의 국가 내적 자율성은 높아지게 되고, 시민사회의 성장은 거의 불가능하며 권위

주의 정권의 존립기반은 자연스럽게 강화된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렌트 비율이 80을 상회

하는 걸프 연안의 국가들의 경우 민주주의가 정착하기 힘들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역사 경험적인 맥락에서, 그리고 지 추구 행태와 연관된 경제 구조에서 중동의 민주주의에

관한 전망은 비관적인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지난 부시 행정부에서 시도하

던 중동 민주화 구상이 실패로 귀결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예외주의 논쟁에 의거하면 향

후 아랍 정치변동 이후 민주주의의 미래는 불투명한 상황이라 유추할 수 있다.

Rent 비율*전체 비(%)확인매장량(bbl)전체 비(%)생산량(tbd)국 가

90

82

88

82

88

80

45

83

46

55

21

69

75

-

8.3

9.9

7.3

0.4

1.9

19.1

0.2

7.1

0.2

0.3

-

3.4

0.9

0.05

59.5

115.0

137.0

101.5

5.5

25.9

264.5

2.5

97.8

2.7

4.5

0.4

46.4

12.2

0.1

8,160

3.1

5.2

3.1

1.0

1.7

12.0

0.5

3.3

0.3

0.9

0.1

2.0

2.0

0.1

35.3

2,460

4,245

2,508

865

1,569

10,007

385

2,849

264

736

80

1,659

1,809

48

29,484

이라크

이란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

시리아

U.A.E.

예멘

이집트

튀니지

리비아

알제리

기타

출처: BP Aramco,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1,”http://www.bp.com/assets/bp_internet/globalbp/globalbp_uk_english/reports_and_publications/statistical_energy_review_2011/STAGING/local_assets/pdf/statistical_review_of_world_energy_full_report_2011.pdf (검색일: 2011. 11. 20).

tbd = 1000배럴/1일, bbl = 10억 배럴*렌트비율은 2007년의 통계를 바탕으로 추산한 략의 수치임. (알제리 및 카타르는 천연가스 수입 포함)

Page 24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 체제 성격에 따른 정치 변동 전개

금번 정치 변동의 주요 특징은 각국 정치 체제의 성격에 따라 시민들의 저항 정도 및 자극

에 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아랍권내에서 왕정이나 공화정을 막론하고 전반

적인 정치 문화는 권위주의적 성격을 발현시켜왔다. 소위 본원적 민주주의 체제를 운 하며

자유로운 선거가 보장되고, 시민사회의 역량이 강화되어 있는 아랍국은 거의 없다 할 수 있

다. 전반적인 권위주의 체제를 붕괴시키며 등장한 금번 정치변동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전개

양상을 나타내야 할 것이나, 실제로는 정권의 체제 성격에 따라 다르게 전개 되었다. 체제 유

형상 공화정을 채택하는 국가에서 민주화 운동이 먼저 촉발되었고, 이는 다시 비산유 왕정으

로 이어진 후, 절 왕정 지역에서 산발 시위로 이전하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실제로 가장 먼저 시위가 촉발되고 정권의 붕괴가 일어난 곳은 튀니지 다.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 리비아, 예멘 등으로 시위가 확산된 바, 정치변동 초기 바레인을 제외하고 반정부 저

항이 가시화된 곳은 부분이 군부 공화정 국가 다. 현재까지 왕정국가의 정권이 붕괴된 경

우는 한 차례도 없다. 이는 공화정의 경우 유명무실하나마 헌법이 존재하고, 선거제도가 존재

했었다는 점과 연관된다. 또한 2004년 이후 미국의 압력으로 투사되었던 중동 민주화 구상

의 향으로 일정부분 시민의 정치적 의식이 숙성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특히 이집트의 경

우 과거 아랍민족주의 발흥기에 이미 공화정의 정신과 가치에 관해 노출된 바 있었기에 결정

적인 임계점을 넘어 투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반면 왕정의 경우 왕의 존재 자체가 정통성의 근원이 된다. 실제로 부분의 왕정은 국부인

왕이 국민들에게 재화를 배분하는‘배분국가(allocation state)’이기 때문에 지 추구적 국

가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국민들이 왕실의 붕괴 및 공화정의 수립을 요구하기 쉽지 않은

정치 문화가 작동하는 것이다. 부분의 왕정은 그 가문을 중심으로 하는 정체성의 근원을 바

탕으로 세워졌다. 따라서 부분의 왕정국가 시민들은 부족간의 위계관계에 관해 1차 집단적

인 정서를 갖고 있으므로 단순다수의 의지에 의한 정권의 교체단계로 진입하기에는 아직 이

른 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걸프 왕정국가들의 경우 왕(al Malik)은 종교적 정통성을 동

시에 갖고 있다. 즉 종교지도자 울라마(ulama)의 수장 역할을 겸임함에 따라, 일반적 왕실의

정통성 이상의 권위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따라서 min umur al-dunya(세상적 사안)을

판단할 유일한 근거도 샤리아(이슬람 성법)에 둘 수밖에 없는데 이는 현재 전적으로 국왕의

권한으로 귀속되어 있다.

결국 모두 권위주의 독재체제를 유지했음에도 정치 변동이 실제로 작동할 수 있었던 지역은

상 적으로 국민들의 인식상 정통성이 약하고 형식적이나마 제도적으로 공화정을 택했던 국

가들이었다. 이는 국가 불안정 지수와도 연결된다. 예멘, 리비아, 이집트, 시리아 등은 불안

정 종합지수가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을 통틀어 상위 1위부터 4위까지의 순위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하나의 예외 사례가 있다면 바레인의 경우이다. 그러나 바레인은 시민들의 혁

명이라기보다는 종파적 투쟁의 양상으로 발현된 저항이었다.

Page 24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7[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표 5> 아랍권 사회 불안정 지표

실업률(%)

문자해독(%)

평균연령(세)

빈곤층(%)

부패도(순위)

불안정 지수(종합)

국 가

35

30

9.7

8.3

15.3

15

30

10.8

9.9

13.4

14

9.8

15

N/A

2.4

2.2

0.5

50.2

82.6

71.4

79.6

74.1

81.4

51.2

78.8

69.9

89.9

74.3

52.3

86.5

87.4

77.9

93.3

89

17.9

24.2

24

21.5

20.6

23.9

19.3

24.9

27.1

21.8

29.7

26.5

30.4

29.4

30.2

26.4

30.8

45.2

N/A

20

11.9

25

N/A

40

N/A

23

14.2

3.8

15

N/A

28

19.5

N/A

N/A

146

146

98

127

175

41

39

50

105

50

59

85

48

127

28

54

19

86.9

71

67.6

67.3

66.8

60

58

52.8

51.3

50.3

49.4

48.2

37.7

33.4

26.5

24

22.5

예멘

리비아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오만

모리타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요르단

튀니지

모로코

바레인

레바논

아랍에미레이트

쿠웨이트

카타르

불안정 지수: The Economist, 부패도: Transparency International, 빈곤층, 중간 나이, 문자해독률, 실업률: IMF, CIA, World Factbook (2009년 조사).

3. 정치변동 양상의 다양성

일견 민주화 운동이라는 동질적 현상으로 아랍 정치변동이 인식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다양

한 본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민 혁명의 성격이 나타난 사례인 이집트와 튀니지의 경우와

는 달리 리비아는 시종일관 내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한편 이란의 부상과 맞물린 종파주의

요인이 분쟁의 형태로 발현되는 사례로 나타나는 등 사실상 내재되어 있던 갈등 요인이 동시

다발적으로 분출되었다. 따라서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은 동질적인 성격의 확산현상

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맥락 속에서 잠재되어 온 모순들을 부각시켜 정치 변동으

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1) 시민 혁명: 이집트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에서 일어난 무바라크 정권의 하야과정은 전형적인 시민 혁명적 성격

Page 24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2) 3개 지역, 4개 종족, 8개 거 부족, 141개 부족 및 500여개의 문벌로 구성된 복잡한 층위의 리비아

부족정체성은 분쟁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을 나타냈다. 역사적으로 낫세리즘의 본산이자 아랍의 맹주역할을 자임했던 이집트는 1979

년 캠프데이비드 협정에 의한 이스라엘과의 국교수립으로 인해 이집트 국민들은 정서적으로

아랍에 한 부채의식이 있었다. 그러나 공고한 무바라크 철권통치가 지속되고 계엄체제 하

에서 장기집권을 유지함에 따라 이렇다 할 저항을 시도하지 못했다.

시민 혁명의 결정적 계기는 20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무바라크 통령은 자신의

차남인 가말(Gamal Mubarak)에게 권력을 승계할 계획을 표명하고 있었다. 이 상황에서 미

국의 확 중동구상이 발표되고, 민주화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미국의 우방인 이집트에 한

정치개혁 압박이 시작되었다. 이집트의 진보진 은 이 기회를 이용, 거리 시위에 나섰고 이집

트의 민주화를 희구하는 정치 운동을 촉발시켰다. 이 운동을‘키파야’(qifaya)라 하며 결국

2005년 헌법 및 선거법을 개정하여 상 적으로 진일보한 정치체제가 등장했었다.

금번 이집트의 정치변동이 시민혁명적 성격을 띠게 된 것은 2005년 당시 키파야 운동과 연

계되어 있다. 키파야 운동은 특정 정파나, 이슬람 세력 또는 급진적 테러세력과는 상관없는

범시민적 운동이었다. 2011년 1월과 2월 카이로 해방광장 (Midan Tahrir)에 모여 무바라크

의 하야를 희구하던 국민들은 종교, 종파, 계급의 차이 없이 독재타도의 기치하에 시민 저항

운동으로 움직 다. 특정한 세력이 시위를 주도하고, 조직했다기보다는 자유를 희구하고 변

화를 열망하는 시민 전체의 총의가 반 된 결과 다. 모든 기득권을 상실할 위기에 처한 군부

는 무바라크의 하야를 요청했고, 이 요청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시민의 요구와 군부의 동의에

의해 무바라크 정권은 붕괴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시민 정권이 들어서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군부 기득권 해체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여전히 군부 최고위원회 의장인 모하메드 탄타위

(Mohamed Tantawi) 총참모장이 실권을 유지하며 향후 막후 권력 획득을 위해 진력하는 것

으로 알려지고 있다.

2) 부족간 내전: 리비아

리비아는 부족간 내전 형태를 거친 정치변동이었다. 부족 간의 갈등구도는 지역간의 고질적

분쟁과 연계되며 폭력적 충돌을 강화시켰다.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다수의 시민들이 일인의

독재자를 축출한 것과는 달리 리비아에서는 동서 진 을 거점으로 하는 주요 부족 연합간의

결이 상황을 악화시키며 희생자를 양산했다. 3 부족인 와르팔라(Warfala), 주와야

(Zuwiaya) 및 마가리하(Magariha) 부족 간의 복잡한 역학관계가 카다피의 출신 부족인 카

다파(Qadafa) 부족과 연 및 갈등 구도를 심화시키며 정치변동의 기저를 구성했다.12)

동부 키레나이카(Cyrenaica) 지역은 과거 세누시 왕조의 이드리스 2세가 거점으로 삼았던

곳이다. 최 도시는 벵가지이고, 이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부족들은 사실상 과거 왕정에

한 향수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반면 서부 트리폴리타니아(Tripolitania) 지역 인사들은

수도 트리폴리를 거점으로 하며 카다피 정권을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역사적으로 볼 때,

Page 24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49[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동부지역의 생활수준과 민도(民度)가 높았던 바, 이들 지역 주민들은 중부 시르테(Sirte) 출

신 카다피가 서부지역을 배경으로 자신들을 탄압하고, 불평등하게 우한다는 점에 비판적이

었다.

카다피는 측근 부족들을 중심으로 거 부족들을 탄압하기 시작했고, 피억압 정파는 동부지

역 및 남부 사막지역으로 흩어져 비정규전 세력으로 잔존했다. 결국 리비아 정치 이면에는 이

러한 억압과 피억압의 기제가 부족단위로 형성되어 있었고, 인근 국가의 불안정성 확 와 정

권의 몰락은 리비아 피억압 계층을 자극하면서 반정부 운동의 동력을 결집시켰다. 사태 초반

막 한 군사력과 오일 달러를 보유한 카다피 정부는 반정부군을 거의 궤멸 직전 상황까지 포

위했었다. 그러나 반정부군 진압과정에서 나타난 반인륜적 범죄(crimes against

humanity)에 해 2011년 3월 17일 안보리 결의에 의해 유엔의 군사적 개입(비행금지구역

설정)이 확정되었다. 유엔의 위임을 받은 나토의 지속적인 공격으로 결국 카다피 정부는 붕괴

되었고, 2011년 10월 20일 카다피가 사살되며 42년 철권 통치가 막을 내렸다. 금번 사태에

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의한 군사개입은 2005년 유엔정상회의에서 결의된‘보호책임’

(responsibility to protect) 규범이 최초로 발동된 것이다.

이집트 사례가 시민에 의한 독재정부 축출이라면 리비아는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아 내전에

서 승리한 사례로 정리된다. 이는 두 정치변동 사례가 근본적으로 상이한 형태로 전개되었음

을 나타낸다.

3) 종파 분쟁: 바레인

아랍 지역의 또하나 중요한 분쟁요인은 종파간 갈등(sectarian conflict) 요소이다. 즉 수

니와 시아파로 분기되는 역사적 갈등요인이라 할 수 있다. 종파분쟁은 사실상 국내 문제일 뿐

아니라, 최근 정세에서는 이란의 부상과 맞물린 시아파 연 의 확산과 관련된다. 바레인의 경

우 전체 인구 75만명의 70퍼센트 이상인 절 다수가 시아파이며 이들 시아파는 여타지역 시

아파와는 또다른 측면에서 이란과의 정서적 연 를 갖고 있다. 30퍼센트에 못미치는 수니파

를 표하는 알 칼리파(al Khalifa) 가문이 시아파의 정치적 지위를 억압하며 권력을 독점하

는 상황에서 인근 아랍국가의 정치변동을 계기로 바레인 시아파 역시 권력 투쟁에 나서면서

시위가 시작된 것이다.

이에 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한 것은 미국이다. 미국은 중동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역내

패권국가로 이란을 상정하고 있다. 이란의 부상과 맞물린 핵개발 의혹은 어떤 형태로든 미국

이 이란 견제 정책을 가속화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시켰다. 따라서 바레인에 친이

란 혁명 정부가 들어설 경우 그 파장은 매우 크기에 이란의 부상과 걸프 안보 차원에서 미국

은 오히려 리비아보다 바레인의 안정화에 진력한 경향성이 강했다. 한편 바레인 정부가 시위

진압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인근 걸프 왕정이 나섰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반도방위

군(Peninsula Shield Force)를 바레인으로 파병하여 시아파의 봉기를 막았다. 이는 사우디

아라비아 동부지역에 집중 거주하는 시아파들의 동요를 막기 위함과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

가 바레인을 포함한 걸프 아랍왕정의 지도자임을 자신하는 행보이다.

Page 24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3) 알라위파는 시아파의 변종으로서 다섯이맘파에서 갈라져 나왔다. 후일 기독교 문화와 변증법적으로

합일되면서 현재로서는 이슬람적 선명성은 많이 약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갈등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면서 종파적 선명성으로 전이되고 정치적 이슈가 종교적 이슈로 전환될 경

우 사안의 휘발성은 훨씬 더 상승하게 된다.

시리아 역시 종파분쟁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수니파 다수 중들이 종파

적 이익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서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현 집권자인 바샤르 알 아사드(Bashar

al Asad) 통령이 알라위파13)이기에 집권층과 피지배층간의 확연한 정체성의 차이가 표출되

고 있다. 이는 정체성에 한 충성심에 의해 추동되는 양상이 드러나는 중동지역 정치현상으

로 볼 때 종파주의적 성격이 점차 강해질 것을 예상케 한다.

4) 기타 복합적 요인: 예멘

예멘의 경우, 갈등양상은 복합적이다. 북부지역 반군들은 후티(Houti)족을 중심으로 시아

파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란과 연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리주의 운동을

펼치면서 사우디 남부 아시르지역에 한 향력까지 확장되었고 국지전을 초래하는 분쟁지

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남부에는 알 카에다 아라비아 반도 지부(AQAP)의 거점이 형성되어

상황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으며, 과거 분단 당시 과거세력을 추종하는 남예멘 복고주

의 역시 작동하는 등, 총체적인 국가 위기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즉 예멘의 경우 정권의 무능과 부정부패에 한 시민들의 반발, 시아파의 종파주의적 분쟁

양상, 분단 당시의 이념 립 구도, 그리고 테러리즘 세력의 발호 등이 복합되어 중동 북아프

리카 지역에서 가장 복잡한 분쟁 구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가 주도하여

GCC의 중재로 결국 살레 통령의 하야가 결정되어있다.

이렇듯 재스민 혁명으로 통칭되는 중동에서의 정치적 변동 현상은 단순히 독재에 항거하는

시민 민주주의 혁명의 구도로만 읽을 수 없다. 다양한 원인이 내재해 있었고, 잠복했던 갈등

의 요인들이 동시에 발화하면서 상황은 예측불가능한 속도와 방향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정치변동의 귀결과정도 상이하다.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시민들의 독자적인 저항운동으로 인

해 권위주의 정권이 붕괴되었다면, 리비아는 국제사회 규범에 의거한 군사조치에 의해서, 그

리고 바레인은 걸프 아랍국가의 동맹에 의해서 귀결점을 찾았다. 따라서 이 지역의 정치적 변

화의 양상을 분석하고 미래의 향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인과론적 구조에 보

다 깊이 천착하고, 이에 조응하는 분석 방법론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Page 24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1[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표 6> 아랍 주요 3개국 정치변동 사례 비교

정권 유형

정치변동 성격

정치 변동의구조적 원인

현재 상황

국제 사회개입 양상

국제정치적 함의

바레인 (걸프)리비아이집트

군부 권위주의Military (Praetorian)

Authoritarianism

시민혁명

독재와 경제적 피폐

�1차 정치변동 완료- 통령 하야- 헌법 개정- 신정부출범 준비

�자생적 정치변동- 외부세력 개입 전무- 군부의 결단

민주주의 모델국가론

�1차 정치변동 완료- 카다피 사살- 국가과도위원회 주도- 부족, 지역, 군벌간경합

�유럽주도- UNSCR 1970, 1973- 나토주도의 NFZ

보호책임 규범론

�정치변동 좌절- 계엄 유지 중- 강경 진압- 정중동 국면

�걸프주도 (미국지원)- GCC PSF의 진주- 미국 vs. 이란 구도

이란견제론

전제적 전체주의Autocratic (despotic)

Totalitarianism

부족분쟁

동-서 지역간 부족갈등

왕정 권위주의Monarchical

Authoritarianism

종파분쟁

수니-시아간 갈등

Ⅳ. 결 론

여전히 아랍 정치변동은 지속되고 있다. 시리아에서 반정부 세력의 향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독재체제의 붕괴 자체가 정치변동의 완결태는 아니기 때문이다. 튀니지와 이집트의

선거는 략 새롭게 들어서는 정부에 한 아랍 중의 기 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가

늠하게 한다. 현재로서는 자유주의와 다원주의에 입각한 소위 본원적 민주주의 정파보다는

이슬람적 성향을 가진 정당과 정파에 한 유권자들의 호의가 두드러진다.

이집트에서는 기존의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hood)과 이슬람 전통주의 세력인 살

라피스트(Salafist)들의 약진현상이 나타난다. 가장 먼저 선거를 통해 정부를 구성한 튀니지

의 엔 나흐다(En Nahda)당 역시 온건 이슬람 정당이다. 현 단계에서 전국적 조직망과 동원

능력 및 메시지 생산-전달 능력을 보유한 정파는 이슬람 세력과 기존 기득권 세력 밖에는 없

다. 구 정권에서 탄압을 당하던 자유주의자들이 정치적으로 강력한 세를 규합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는 이슬람 세력과 기존 기득권 세력과의 정치적 경

합 구도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느 정파나 종파가 집권하더라도 사실상 현재 상황

으로서는 단기간내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권을

하야시킨 경험을 한 시민들로서는 차기정부가 무능할 경우 또다른 정치투쟁을 전개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자칫 상황 악화가 반복되면서 정세가 불안해질 경우 군부는 안정화를 명분으

로 개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이 경우 조합주의적 권위주의 지배연합이 발생할 가능성

이 높아진다.

리비아의 경우 상황은 좀 더 복잡하다. 내전 국면이 종료되었다고는 하지만 부족단위, 가문

Page 24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단위로 저항과 투쟁을 해 온 관성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어 상황은 매우 불안정하다. 카다피

독재하에 수탈과 억압을 당하던 지역과 부족들의 원한이 어떤 식으로 발현될지에 관한 우려

가 상존하고 있다. 카다프 부족과 마가리하 부족이 카다피 측근으로 남아 결사항전을 벌 기

에, 이에 맞서던 와르팔라(Warfala) 등 반 카다피 부족과의 향후 관계 설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의 변수는 반정부군 저항을 이끌던 세력 중 상당수가 극단적 이슬람주의자일 가

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주로 리비아 이슬람 투쟁그룹(Libyan Islamic Fighting Group)의

경우 국제테러리스트로 분류되고 있으나, 카다피와의 투쟁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

려지고 있다. 이러한 극단적 세력들이 논공행상 과정에서 리비아 차기 정부 제도권에 진입한

다면 미국이 주도하는 테러와의 전쟁 국면에 변화가 찾아올 수 있다.

사실상 금번 정치변동의 조류에서 상 적으로 자유로웠던 입장에 있던 국가들은 걸프 연안

산유국들이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보면 국가의 취약성이 많이 드러나고 있던 상황이기에

내심 긴장 강도가 높아졌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왕위 계승문제, 종파주의 갈등 문제,

알 카에다의 준동 등 내부의 불안정성이 매우 많은 상황이므로 금번 중동민주화 및 국제정치

질서 재편의 핵심 관찰 포인트 다. 사실상 사우디 왕정이 붕괴된다는 것은 미국으로서는 재

앙에 가까운 일이므로 어떻게 해서든 사우디의 불안정성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으

로 보인다.

특히 동부 알 하사(Al Hassa) 지역의 시아파들이 바레인 시위의 향으로 동요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확산을 근절시키지 않고서는 걸프 왕정국가에 이란식 이슬람 혁명 노선이

수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수니-시아 갈등구도가 사우디 토에서 격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관건인 셈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안보와 정정(政情)과 관련하여 최 독립변수라 할 수 있는 바레인의 경

우 지속적인 강력한 유화책을 연일 발표함으로써 시위를 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향

후 아랍 정세 추이에 따라 정치변동의 흐름이 다시 급물살을 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

황이다. 한편 카타르, UAE는 내부 안정성이 상 적으로 공고한 편이다. 쿠웨이트는 내부 종

파갈등 가능성이 상 적으로 높은 편이기는 하나 사바(al Sabah) 왕가의 지속적인 시아파

위무책으로 인해 현 시점에서 상기 3국에서는 단기간 정치적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걸프 왕정국가들은 사우디, 바레인을 제외하고는 현재로

서는 정치변동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 보아 쿠웨이트처럼 점진적인

민주주의 시스템 도입 방향으로 진행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현재와 같은 절 왕정 시스템

에 근본적인 변화가 도래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 변화의 추동력을 막을 수 있는 여력을 가진

아랍의 왕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11년 아랍 지역에 도래했던 정치변동은 국가별로 각각의 맥락

에서 상당히 다른 양상과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단일한 구도로 아랍지역의 정세를 평가하고

이에 한 전망을 도출하는 것은 자칫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아랍의 정치변동을 하나의

틀로 해석하지 않고 각각의 역사적 배경과 역학관계를 반 하여 유형별로 분류하여 접근함으

로써 중동 아랍지역 내부에 작동하는 흐름들을 섬세하게 추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Page 24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3[쟁점주제논평] 2011 아랍 정치변동의 성격과 함의 □ 인남식

참 고 문 헌

루이스, 버나드. 김호동 역. 『이슬람 문명사』서울: 이론과 실천, 1994.

Anderson, Lisa. “Democracy in the Arab World: A Critique of the Political Culture

Approach.”In Rex Brynenetal. ed. Political Liberalization & Democratization in

the Arab World. Colorado: Lynne Rienner Publishers, 1995.

Bellin, Eva. “Civil Society: Effective Tool of Analysis for Middle East Politics?”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27-3 (September 1994).

BP Aramco.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1.”http://www.bp.com/assets/

bp_internet/globalbp/globalbp_uk_english/reports_and_publications/statistical_e

nergy_review_2011/STAGING/local_assets/pdf/statistical_review_of_world_energy

_full_report_2011.pdf (검색일: 2011. 11. 20).

Burkhart, Rose E. and Michael S. Lewis-Beck. “Comparative Democracy: The

Economic Development Thesis.”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8-4

(December 1994).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The New Arab Revolt. N.Y.: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1.

Crystal, Jill. Oil and Politics in the Gulf: Rulers and Merchants in Kuwait and Qatar.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Faruqi, Ismail R. Tawhid: Its Implications for Thought and Life. Herndon, Virginia:

International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1982.

Liberman, Joseph. “Egypt in Transition.”Briefing at the US Capitol. 22 July 2011.

Luciani, Giacomo. “Allocation vs. Production States: A Theoretical Framework.”In

Giacomo Luciani. ed. The Arab Worl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Muzammil M., Hussain. “The Role of Digital Media.”Journal of Democracy 22-3

(September 2011).

Ross, Michael. “Does Oil Hinder Democracy?”World Politics 53 (April 2001).

Vandewalle, Dirk. Libyasince Independe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Wittes, Tamara Cofman. “The New U.S. Proposal for a 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

An Evaluation.”Brookings Saban Center Middle East Memo #2. May 2004.

Page 24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tical Upheaval in Arab States 2011

(Institute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MOFAT)Nam-sik In

A Young Tunisian’s self-immolation was followed by a series of political upheaval, so called

‘Arab Spring’. Authoritarianism in the Middle East has been resilient even during the wave of

democratization that swept across the world after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Political

upheaval in the Middle East in 2011, however, progressed at an alarming rate. Economic

victimization, lack of dominant ideologies and cognitive dissonance sentiment are the main

factors which determine the consequences of regimes’ collapse in the Middle East. Collapse of

authoritarian regimes does not necessarily mean democratization. There have been variety of

causes in the process of political upheaval in the region; civil revolution case in Egypt and

Tunisia, civil war case in Libya and sectarian conflict in Bahrain and Syria. Therefore, it is

crucial to identify which of the sources of conflicts have been hiding their influence and

carefully analyze each of these factors rather than symplifying recent political changes in the

Middle East as one big flow.

투 고 일 : 2011년 10월 10일

심 사 일 : 2011년 10월 12일

심사완료일 : 2011년 12월 21일

25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4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부 록

■(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2011년도 상임위원회 사업보고

■2011년도 특별위원회 사업보고

■2011년도 임원명단

■평생정회원 명단

Page 25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57(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제 1장 총 칙

제 1조 본 법인은 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이하 본회라 한다)라 칭한다.

제 2조 본회의 사무소는 서울특별시 내에 두고 필요에 따라 지회를 설치할 수 있다.

제 3조 본회는 국제정치학 및 이에 관련되는 학문의 연구 발표 및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협조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4조 본회는 전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행한다.

1. 국제관계 및 이에 관련되는 제 학문의 연구 및 발표

2. 연구지의 간행

3. 강연회의 개최

4. 본회와 목적을 같이하는 국내외 학술단체와의 교류

5. 본회의 목적을 지원하기 위한 수익사업

6. 기타 본회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제 2장 회 원

제 5조 본회는 본회의 목적에 찬동하고 가입한 자로서 조직한다.

제 6조 본회의 회원자격은 다음과 같다.

1. 정회원

가. 학교, 학 및 이에 준하는 교육기관에서 국제정치학 및 이에 관련되는 과

목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급 이상의 자

나. 공∙사립기관 또는 연구소에서 국제관계에 관련되는 사무 및 연구에 종사하

는 자

다. 단 정회원 중 상임이사회가 결정한 소정의 평생회비를 납부한 자는 평생정회

원이 된다.

2. 준회원

국제정치학 및 이에 관련되는 전공의 학졸업자 및 학원에 재학 중인 자

3. 기관회원

본회의 목적에 찬동하고 가입한 법인, 단체 및 기관

4. 특별회원

가. 국제관계분야에서의 활동 및 연구가 많은 자

나. 본회의 활동에 공헌이 많은 자

다. 단 특별회원 중 상임이사회가 결정한 소정의 찬조금을 납부한 자는 평생특별

회원이 된다.

(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Page 25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제 7조 본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회원자격을 갖게 된다.

1. 정회원 및 준회원으로 입회하려는 자는 정회원 2명의 추천을 얻어 본회 소정양

식에 의거한 입회원서를 제출하여 상임이사회의 승인을 얻음으로써 회원자격을

갖게 된다.

2. 기관회원은 그 기관의 표자 명의로 본회의 소정양식에 의거한 입회원을 제출

하여 상임이사회의 승인을 얻음으로써 회원자격을 갖게 된다.

3. 특별회원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회원자격을 갖게 되며, 명예회장, 고문, 명

예이사로 추 될 수 있다.

제 8조 본회 회원의 권리 및 의무는 다음과 같다.

1. 본회의 모든 회원은 총회에 출석하여 토의에 참여할 수 있고, 본회의 연구지를

배부 받으며, 기타 본회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2. 총회에서의 표결권은 정회원만이 갖는다.

3. 본회의 임원은 정회원만이 될 수 있다.

4. 본회의 회원은 상임이사회의 결정에 의한 소정의 회비를 납부할 의무를 진다.

제 9조 본회의 회원은 다음의 경우에 회원의 자격을 잃게 된다.

1. 회원이 사망하 거나 탈퇴신고를 하 을 경우

2. 회비를 연속 3년 이상 미납하여 상임이사회에서 제명을 결의하 을 경우

3. 본회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본회의 회원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하지 못한 자로서

이사회에서 제명을 결의하 을 경우

4. 단 본회 회원이 된 후 신분의 변화가 있더라도 회원자격에는 향을 미치지 아

니한다.

제 3장 자산 및 회계

제 10조 본회의 출자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회비 및 입회비

2. 출연금품

3. 찬조금 및 기부금

4. 기타 수입금

5. 단 출연금품 및 찬조금의 접수는 상임이사회에서 결정한다.

제 11조 본회의 자산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한 것으로 구성한다.

1. 별지 목록 기재의 재산

2. 회비 및 입회비

3. 자산으로부터 생기는 과실

4. 사업에 따른 수입

5. 기타 수입

제 12조 본회의 자산은 기본재산과 보통재산으로 구성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본재산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되 이는 처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총회의 결의를 거쳐 그 일부를 처

25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5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가. 별지 목록 기재의 재산 중 기본재산으로 기재된 재산

나. 기본재산으로 하기로 지정하여 출연된 재산

다. 이사회에서 기본재산으로 하기로 결의한 재산

2. 보통재산은 기본재산의 원본 이외의 재산으로 한다.

제 13조 본회의 경비는 보통재산에서 지출한다.

제 14조 본회의 자산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정한 관리방법에 따라 회장이 관리한다. 단

본회의 기본재산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 한국국제정치학회 회관 및 기금관리∙운

세칙에 따라 관리한다.

제 15조 자산 중에서 현금은 금융기관에 예치하거나 국채 또는 공채 등 확실한 유가증권으

로 바꾸어 보관한다.

제 16조 회계 연도 말에 잉여금이 생긴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그 전부 또는 일부

를 기본재산으로 하거나 다음 회계 연도에 이월시킨다.

제 17조 본회의 예산작성 및 집행권은 회장이 갖는다.

제 18조 본회의 매년도 세입세출예산은 제22조에 의한 회계 연도 개시 직후 2개월 이내에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회장의 확인을 받아 확정한다.

제 19조 본회의 세입세출결산은 회계 연도 종료 직후 15일 이내에 회장이 연도 말 현재의

재산목록과 함께 결산보고서를 작성한 후 감사에게 제출하여 감사의 검토를 거친

후 총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 20조 본회는 수익사업을 행하거나 또는 기타 필요한 경우에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

별회계를 둘 수 있다.

제 21조 전조의 특별 회계로부터 생긴 수익 또는 잉여금은 이를 모두 기본재산이나 보통재

산으로 하여야 한다.

제 22조 본회의 회계 연도는 정기총회일로부터 차기정기총회 전일까지로 한다.

제 4장 회 의

제 23조 본회의 회의는 정기총회, 임시총회, 이사회, 상임이사회로 구성되며, 회장은 필요

에 의해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운 할 수 있다.

제 24조 정기총회는 매년 11월 혹은 12월 중에 1회 개최하며, 임시총회, 이사회 및 상임이

사회는 필요에 의해 회장이 소집한다. 단 임시총회는 상임이사회의 결의 또는 정회

원 10인 이상의 요청으로도 소집될 수 있다. 총회의 소집은 회장이 적어도 회의일

자 1주 전까지 유인물,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 25조 총회는 다음의 권한을 갖는다.

1. 정관의 개정 (단 이 경우 개정안은 30일 이상 공지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정관이 정한 사항의 의결

3. 회장, 이사회 및 상임이사회가 부의한 사항에 한 의결

4. 회장 및 감사의 선출과 편집위원장 인준

5. 회원의 권리, 의무에 한 규정

259(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Page 25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6. 기타 관례상 총회에 속하는 권한

제 26조 총회의 모든 의결은 출석 정회원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제 5장 임 원

제 27조 본회는 회장 및 차기회장을 두며 각기 임기는 1년이다. 차기회장은 선출되며 임기

후 자동으로 회장이 된다.

1. 회장은 학회 운 에 한 자문을 구하기 위해 고문단(전임회장)과 원로회원 중에

서 약간 명의 명예이사를 둘 수 있다.

2. 차기회장 후보는 정회원 20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 후보 등록을 한다. 선정 방식

은“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선거 관리 규정”에서 정한다.

제 28조 본회에는 2인의 감사를 둔다.

1. 감사의 임기는 1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 감사는 선거권이 있는 정회원 중에서 선거입후보자 등록일 현재까지 이사 또는

상임이사의 직책을 2년 이상 역임한 자로 한다.

3. 감사는 총회에서 출석회원 다수의 찬성으로 선출한다.

제 29조 회장 선출에 관한 규정은 별도로 둔다.

제 30조 회장은 다음의 권한을 갖는다.

1. 본회를 표하며, 회의를 통괄한다.

2. 이사회 및 상임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3. 총회를 소집하며, 총회의 사회를 담당한다.

4. 이사 및 상임이사를 선임하며, 이사 및 상임이사의 임기는 각기 1년이다.

5. 기타 관례에 의하여 회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을 담당한다.

제 31조 차기회장은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의 위임에 의하여 회장의 권한 일부를 행할 수

있고, 회장 유고 시 회장의 전 권한을 행한다.

제 32조 이사회는 상임이사와 정회원 중에서 회장이 위촉한 총 회원 수의 10% 이내의 이사

로 구성된다. 다만 본회 사단법인등기부 시 이사는 매년 구성되는 회장과 상임이사

7인으로 한다.

제 33조 이사회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1. 특별회원의 선출 및 명예회장∙고문∙명예이사의 추

2. 회원의 제명 결의

3. 총회에 제출할 안건의 결의

4. 다음의 경우 차기회장 선출권

⑴ 후보자나 당선자가 없을 경우

⑵ 차기회장 당선자가 취임 전에 사고 또는 취임할 수 없는 사유로 공석이 되었

을 경우

5. 자산관리 및 운 에 관한 사항

제 34조 이사회의 의결은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제 35조 상임이사회는 본회의 상설기구로서 회장, 부회장 및 차기회장을 포함하여 25인 내

26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5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외의 이사로 구성된다.

제 36조 부회장 및 상임이사는 회장이 위촉한 이사와는 별도로 선임한다. 분과위원장은 정

회원 중에서 선임하며 지회장은 이사회의 일원이 된다. 회장은 상임이사에게 총

무∙연구∙출판∙ 외협력 등에 관한 회장의 업무를 위임할 수 있으며, 약간명의

무임소이사를 둘 수 있다.

제 37조 상임이사회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1. 정회원∙준회원∙기관회원의 입회 승인

2. 임시총회의 소집 의결

3. 총회 및 이사회의 권한에 속하지 않는 일체의 회무에 관한 의결

제 38조 상임이사회의 의결은 총원의 과반수로 한다.

제 39조 감사는 회장 및 이사회의 사업에 관한 사무 및 회계 감사를 실시하고, 차기 총회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제 40조 회장은 회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유급 상임간사를 임명할 수 있다.

제 6장 사 업

제 41조 본회는 연 1회 이상 논총을 발간하기 위하여 회장이 구성하는 조직과는 별도로 편집

위원회를 설치한다. 그리고 논총 발간에 관한 모든 사항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1. 편집위원장은 재임 중인 회장의 추천을 받아 총회에서 인준한다.

2. 편집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1년에 한하여 연장할 수 있다.

3. 편집위원장은 국문과 문 논총 총괄위원을 각각 임명할 수 있으며, 총괄위원은

임기가 2년이다. 그리고 총괄위원은 당해 년에 당연직 출판이사가 된다.

제 42조 본회는 연 2회 이상 연구발표회를 가진다. 연구발표회에 관한 모든 사항은 상임이

사회에서 정한다.

제 43조 본회는 본회 목적에 부합하는 정기∙부정기의 각종사업을 행하며, 이에 관한 세부

사항은 성격에 따라 회장∙상임이사회∙이사회 및 총회에서 결정한다. 또한 사업추

진상 필요시 상임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운

세칙은 상임이사회에서 정한다.

제 7장 정관의 변경 및 해산

제 44조 이 정관은 총회의 의결에 의해 주무 관청의 허가를 받아 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45조 본회는 민법 제77조 및 제78조의 규정에 의하여 해산한다. 단 본회가 해산시 잔여재

산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유사한 목적을 가진 다른 비 리 법인에게 귀속한다.

제 8장 부 칙

제 46조 이 정관의 시행에 필요한 시행세칙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이를 따로 정한다.

제 47조 우편 또는 온라인 의결

261(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Page 25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1. 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를 요하는 사항에 하여 회의 소집이 불가능 또는 불필요

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출석을 위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는 응답자를 출석자로 간주한다. 총회 또는 이사회의 결의를 우편 또는 온라인으

로 부의할 것인가의 여부는 상임이사회에서 결정한다.

2. 총회 또는 이사회를 소집하 음에도 부득이한 이유로 출석이 불가능할 경우 우

편 또는 온라인으로 출석을 위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응답자를 출석자로 간

주한다.

제 48조 당해 연도 임원 및 그 임기

1. 당해 연도 이사 및 감사는 다음과 같다.

�이 사 : 참 조

�감 사 : 참 조

2. 이사 및 감사의 임기는 당해 연도 정기총회일까지로 한다.

제 49조 설립 당시 취득한 정회원∙준회원∙기관회원∙특별회원의 자격은 사단법인 설립과

함께 그 로 유지된다.

제 50조 본회는 기부금 모금액의 내역과 활용 실적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한다.

제 51조 본 정관은 총회에서 통과된 즉시로 발효된다.

(1956년 5월 30일 본회 창립)

(1977년 5월 20일 전면개정, 동 12월 10일 부분개정)

(1982년 12월 11일 부분개정)

(1992년 4월 13일 전면개정, 임시총회)

(1993년 12월 11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1996년 12월 14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1997년 12월 13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1998년 12월 12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2001년 12월 15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2004년 12월 11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2009년 12월 12일 부분개정, 정기총회)

(2010년 8월 13일 부분개정, 임시총회)

(2011년 8월 26일 부분개정, 임시총회)

26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5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63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선거 관리 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본 규정은 한국국제정치학회(이하 본회라 칭한다) 회장의 선출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정함

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선거관리위원회

제2조(선거관리위원회)

회장 선출에 관한 사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선거관리위원회(이하 관리위원회라 칭한다)를

둔다.

제3조(구성)

1) 관리위원회는 선거관리위원장(이하 관리위원장)을 포함하여 7인으로 구성한다.

2) 관리위원장은 전임회장 중에서, 3인의 위원은 전임 상임이사 중에서, 3인의 위원은 현

상임이사 중에서, 회장이 위촉한다.

3) 관리위원의 임기는 당해년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4조(직무)

1) 관리위원장은 관리위원회를 표하며 관리위원회의 회무를 통할하고, 총회 및 이사회에

출석하여 선거에 관한 제반 업무를 보고하고 의견을 진술하여야 한다.

2) 관리위원장은 총회에서 선거사무를 관장하는 임시의장이 된다.

3) 관리위원회의 위원은 관리위원장을 보필하고 공정히 선거관리를 하여야 한다.

제5조(의사)

1) 관리위원회의 의결은 재적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6조(관리위원회의 임무)

관리위원회는 본 규정에 특별히 정하는 이외에 다음의 임무를 가진다.

1) 입후보자의 자격심사

2) 선거인명부의 작성 및 확인

3) 총투표권수의 확정

4) 제13조에 정하는 소정 양식결정

5) 선거운동방법의 결정

6) 선거공보 발행

7) 투표용지 양식 결정 및 투∙개표방법 결정

8) 투∙개표의 관리

9) 당선자의 확정 보고

10) 선거에 관련된 기타사항 결정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선거 관리 규정

Page 25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제7조(문서발송)

선거에 관하여 관리위원회가 통지하는 사항은 관리위원장의 명의로, 문서로서 행하여야 한다.

제8조(선거관리결과보고서 제출)

관리위원회는 선거사무 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회장에게 선거관리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3장 선거권 및 선거인 명부

제9조(선거권)

매년 총회일 1년 전에 가입하고 10월 31일 17:00(송금일자를 기준)까지 본회에 한 제 의

무 회비를 완납한 정회원이 선거권을 가진다.

제10조(선거인 명부)

1) 관리위원회는 선거권을 가지는 정회원의 이름을 기재한 명부를 작성하여 총회 35일 이

내에 정회원에 통보하여야 한다.

2) 전항의 명부에 이의가 있는 정회원은 소정기일까지 관리위원회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3) 관리위원회도 전항에 이의 제기를 접수하는 즉시 심의를 행하여 심의결과를 소정기일

내에 제기인에게 통보한다.

4) 소정기일까지 선거인명부에 하여 이의 제기가 없을 때에는 선거인명부를 확정한다.

제4장 피선거권

제11조(입후보 자격)

차기회장의 피선거권은 다음의 조항을 모두 만족한 자로 한다.

1) 선거입후보 시 등록일 현재까지 만 5년 이상 정회원의 자격을 가진 자로 한다.

2) 1년 이상 상임이사직을 수행한 자로 한다.

3) 『국제정치논총』이나 KJIS에 1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자로 한다.

제12조(자격 제한)

1) 법률상 공민권을 박탈당한 회원은 본회의 회장이 될 수 없다.

2) 본회의 회장에 입후보한 자는 동일직에 2회에 한하여 입후보할 수 있다.

제13조(입후보 등록)

회장에 입후보하는 회원은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관리위원회에 등록하여야 한다.

1) 입후보등록신청서 2통

2) 정회원 20인 이상의 추천서

3) 입후보자 이력서 2통

4) 입후보자의 소신 1통

5) 명함판 사진 2매

6) 주민등록등본 1통

7) 기타 관리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서류

26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5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제14조(입후보 등록 확정 공고)

관리위원회는 입후보 등록 마감일로부터 10일 이내에 등록 확정된 입후보자의 명단을 정회

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제5장 선거운동

제15조(정의)

본 규정에서 선거운동이라 함은 당선되게 하거나, 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

제16조(선거운동기간)

선거운동기간은 관리위원회가 입후보자 등록 확정 공고를 통보한 익일부터 선거일 전일까

지로 하며 이 기간 외의 선거운동은 일체 행할 수 없다.

제17조(선거운동방법)

1) 입후보자나 지지자의 선거운동방법은 관리위원회가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하며, 관리위원

회는 16절지 6면 이내로 입후보자 소개, 소신 및 선거요령을 게재하여 정회원에게 배포

하여야 한다.

2) 관리위원회는 후보자의 합동소신발표회를 개최할 수 있다.

제18조(입후보 자격의 박탈)

1) 제16조 및 제17조의 규정을 위반한 사안이 인지되었을 때에는 관리위원회는 정관 제9조

3항에 의거 당해 후보자의 피선거권을 박탈한다. 다만 이 결정은 상임이사회의 승인을

득하여만 그 효력을 발생한다.

2) 입후보 자격을 박탈당한 자는 상임이사회에 출석하여 변명할 기회를 가진다.

제19조(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자)

1) 선거관리위원(이하 관리위원)은 선거운동을 할 수 없다.

2) 관리위원이 특정 입후보자를 위하여 선거운동을 하 다고 인정되었을 때에는 상임이사

회의 의결로 관리위원직을 박탈할 수 있다.

제6장 투표와 개표

제20조(투표와 개표)

1) 투표는 출석투표를 원칙으로 하되 출석이 불가능할 경우 우편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편 투표자(부재자 투표자)로 간주한다.

2) 투표방법 및 투표용지와 개표에 관한 사항은 관리위원회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21조(참관인)

투표 및 개표에 있어서 각 입후보자는 1명의 참관인을 둘 수 있다. 다만 해당년도 본회의

임원은 참관인이 될 수 없다.

265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선거 관리 규정

Page 25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제7장 당선자의 결정

제22조(당선자의 결정)

1) 단일후보일 경우 총회 당일에 찬성투표를 실시하여 투표 참석 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당선된다. 단, 그렇지 못할 경우 이사회에서 차기회장을 선출한다.

2) 복수후보인 경우에는 총회에서의 직접투표와 우편투표(부재자 투표)결과를 합산하여 유

효투표 중 최다득표자가 당선자가 된다. 단, 득표수가 동수인 경우에는 연장자가 당선자

가 된다.

제23조(당선자의 발표)

관리위원장은 당선자가 결정되면 지체 없이 회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회장은 이를 확인

한 후 당해 총회에서 당선선포를 하여야 한다.

제8장 일 정

제24조(일정)

1) 관리위원회는 선거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다음 각호와 같이 일정을 정한다.

가) 관리위원회 구성: 선거일 60일 전까지

나) 선거인명부 작성: 선거일 35일 전까지

다) 선거인명부 이의 신청: 선거일 30일 전까지

라) 선거인명부 확정 통보: 선거일 20일 전까지

마) 입후보 등록: 선거일 35일 전부터 30일 전까지

바) 입후보 확정 통보: 선거일 20일 전까지

사) 우편투표(부재자 투표)지 및 선거공보 제작 발송: 선거일 15일 전까지

2) 전항은 각 일정에 있어서 개시일 또는 마감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익일로 기산 또는 종

료한다. 그리고 우편투표(부재자 투표)는 선거일 5일 전까지의 소인이 유효한 것으로 한다.

제9장 보 칙

제25조(위임규정)

본 규정에 정하여진 이외의 회장 선거에 관한 사항은 관리위원회가 제안한 안을 기본으로

하여 상임이사회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부 칙

본 규정은 1994년 1월 1일 부터 시행한다.

본 규정은 2005년 1월 1일 부터 시행한다.

본 규정은 2011년 8월 26일 부터 시행한다.

26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Page 26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672011년도 상임위원회 사업보고

<총무위원회>

1. 위원회 명단

�총무이사: 조윤 (중앙 )

�총무간사: 이병하(연세 ) 이정우(경남 )

�총무위원: 박재적(통일연구원) 백우열(성균관 ) 우정엽(아산정책연구원)

유현정(세종연구소) 정성윤(고려 ) 조진만(인하 )

2. 회원현황

�정 회 원: 총 1,203명(신입회원 36명)

�준 회 원: 총 49명(신입회원 8명)

�기관회원: 47곳(신입기관 1곳)

�평생특별회원: 17명

�총: 1,316회원

3. 학회비 납부현황

�일반회비: 42,440,000원

�평생회비: 8,190,000원

�총 액: 50,630,000원

�납 부 율: 약 47%

�올해도 학회비 납부는 50%를 못 넘겨 상당히 저조한 납부율을 보 으나 올해부터 회장

직선제를 다시 도입하 기 때문에 향후 학회비 납부율은 높아질 것으로 기 함.

4. 지회지원

�강원∙호남 2개 지회에 200만원 지원.

5. 제도개선위원회 조직

�회장 선출에 한 회원들의 건의를 반 하여 제도개선위원회를 구성함.

�2차례의 회의를 통하여 회장선거를 직선제로 개정할 것과 편집위원회의 편집위원장 아

래 국문과 문 총괄위원(편집간사 삭제)을 분리하여 운 할 것을 제안함.

2011년도 상임위원회 사업보고

Page 26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6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제안된 안건은 규정된 절차에 따라 이사회의∙임시총회를 거쳐 정관 및 관련 규정에 수

정반 하 으며, 2013년 회장선거부터 적용하도록 함.

6. 정관 및 회장선거에 한 규정 수정

�임시총회를 개최하여 정관의 간선제 부분을 직선제에 맞게 수정함.

�기존의 감사가 선거직임원으로 선출되는 부분을 삭제하면서 선거직임원선출에 관한 규

정을 회장선거관리규정으로 변경하고 내용을 수정하 음.

7. MOU 체결

�올해 2건(외교안보연구원, 제주평화연구원)의 MOU를 체결함.

�MOU 체결로 인하여 향후 공동연구 및 학술회의 공동개최, 연구자 교류 등에서 더욱 활

발한 협력을 하기로 하 음.

<연구위원회>

1. 위원회 명단

�연구이사: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소) 박인휘(이화여 ) 신성호(서울 )

우승지(경희 ) 한석희(연세 )

�연구간사: 김용순(연세 ) 김장호(연세 ) 오경섭(세종연구소)

�연구위원: 권오국(통일연구원) 김광웅(명지 ) 김현욱(외교안보연구원) 문순보(세종연구소)

박채복(숙명여 ) 이동선(고려 ) 이상숙(외교안보연구원) 이윤식(통일연구원)

조동준(서울 ) 조한승(단국 ) 최종건(연세 )

한인택(제주평화연구원) 황지환(서울시립 )

Page 26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692011년도 상임위원회 사업보고

2. 2011년도 학술회의 개최현황

3. 활동내용

2011년도 학술회의는 국제학술회의 1회, 정례학술회의 1회(연례), 국내학술회의 2회, 안

보국방학술회의 1회, 특별학술회의 1회, 공동학술회의 4회(사월회, 제주평화연구원, 민주

평통, 일본국제정치학회 공동주최)로 총 10회가 개최되었다. 특히 세계정치학회 인권위원

회와 공동으로 개최된 6월의 국제학술회의는 12개국 200여명의 학자들이 참여한 규모

학술회의로 탈냉전시 의 인권 및 국제정치환경에 한 포괄적인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번호

1

2

3

4

5

6

7

8

9

10

총계

공동학술회의

국내학술회의

국제학술회의

안보국방학술회의

공동학술회의

공동학술회의

국내학술회의

공동학술회의

특별학술회의

연례학술회의

10회

4/15(금)한국프레스센터

4/22(금)한국프레스센터

6/16-17(금,토)플라자호텔

8/26-27(금,토)충남 학교

9/30(금)제주평화연구원

10/21-22(금,토)썬크루즈호텔

10/28(금)한상공회의소

11/11-13(금-일)쯔꾸바국제회의장

11/25(금)성균관 학교

12/9-10(금,토)외교안보연구원

총 발표논문 수 : 167편총 발표자 수 : 176명총 토론자 수 : 159명총 사회자 수 : 57명

4∙19 정신과 한국 정치 선진화

녹색의 국제정치학:

핵∙에너지∙환경

전쟁, 평화, 인권:

탈냉전 20년의 경험과 의미

선진일류국가로 발전하기 위한

국방개혁의 방향과 보훈의식

중국의 부상과 아시아의 응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 변화와통일외교 추진방향

한국의 다자외교와 공공외교

일본과 한국의 지역전략

세계화시 한국의 다문화현상과

해외문화교류

국제정치학의 이론동향과 주요쟁점:

한국적 수용과 연구방법

3

9

29

18

5

4

11

3

11

74

3/7/2

9/9/3

32/22/9

18/18/6

5/5/2

4/22/4

11/13/4

3/2/2

11/12/4

80/49/21

학술회의명 일시/장소 학술회의 주제발표논문수

발표자수/토론자수/사회자수

Page 26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4. 2011년도 학술연구용역

5. 학원학술논문상 시상

제5회 학원학술논문상 수상은 최우수상에 설인효, 이택선(서울 ), 우수상에 정경두(국

방 )로 결정되었다. 학원학술논문상이 5회째를 맞이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지방학생

들의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집계되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더 많은 학생들이 전국적으로 참

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되는 사안이다.

< 외협력위원회>

1. 위원회 명단

� 외협력이사: 남광규(고려 ) 안득기(국가안보전략연구소)유진석(숙명여 ) 이동윤(신라 )

� 외협력간사: 김일기(국가안보전략연구소)정미 (한국외 )

� 외협력위원: 이동철(고려 ) 이소 ( 구 ) 이종서(한국외 ) 조정인(숙명여 )

차동욱(동의 )

2. 학회소식지 발간

1) 연간 4회 발간(4월, 7월, 10월, 12월).

2) 각 소식지는 외협력이사 1인의 책임 하에 발간.

3) 2011년 뉴스레터의 편집방향

�국제정세의 주요 변화에 한 인식을 제고하고, 시사적 이슈와 학계의 소통을 추구.

�기획논단에서는 한국의 주요 국제교류 협력기구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 한국국제협

력단(KOICA), 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재외동포재단(OKF) 4단체장 면담을

게재하고 각 기구와 활동내용 소개.

번호

1

2

3

4

통일부1

통일부2

외교통상부

문화체육관광부

2011.5.17~2011.7.1

2011.5.16~2011.9.15

2011.5.1~2011.7.31

2011.11.28~2011.12.27

국제사회와 북한인권: 현황, 쟁점, 과제

국제협력을 통한 북한 법제지원 전략

로벌 거버넌스의 변화와 한국의 외교전략

한민국 근현 사 연구 활성화 방안 연구

발 주 처 기 간 용 역 명

Page 26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12011년도 상임위원회 사업보고

�권두언, 회원논단, 각종 학술회의 참관기, 각종 위원회 회의 내용을 게재.

4) 각 소식지 주요 내용

�제138호 (4월) : 김병국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사장 인터뷰, 2011년도 학회 임원명

단 소개, 각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업계획 등 소개.

�제139호 (7월) : 박 원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장 인터뷰, 공동주최 학술회의,

국내학술회의, 6월 International Conference 결과보고, 제도개선

위원회 회의 내용 등 소개.

�제140호(10월) : 홍석우 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 인터뷰, 안보국방학술회의,

KAIS-JPI 공동학술회의 결과보고, 임시총회 개최보고, 선거관리위원

회, 상임이사회, 이사회, 분과위원장, 편집위원회 회의 내용 등 소개.

�제141호(12월) : 김경근 재외동포재단(OKF) 이사장 인터뷰, 연례학술회의, 총회 보고

사항, 학술회의 참관기 등을 총 정리하여 실을 계획.

3. 뉴스레터 포맷 전면 교체

1) 뉴스레터 표지를 6년만에 전면 교체하 고 형식도 주요내용을 중심으로 변경함.

2) 소식지의 성격이다 보니 표지가 있는 형식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학회를 상징하는 로

고를 바탕으로 하여 심플하게 디자인하 고, 목차를 실어 필요한 사항을 골라 볼 수 있

도록 하 음.

Page 26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1. 위원회 명단

�편집위원장 : 안청시(서울 )

- 총괄위원: 최진우(한양 )

- 편집위원: 김기석(강원 ) 김민정(서울시립 ) 김태현(중앙 ) 남궁곤(이화여 )

류길재(북한 학원 ) 박건 (가톨릭 ) 박흥순(선문 ) 신욱희(서울 )

양기호(성공회 ) 윤진표(성신여 ) 이희옥(성균관 ) 임성호(경희 )

임혜란(서울 ) 정준표( 남 ) 한용섭(국방 )

- 행정간사: 배병인(국민 ) 안상욱(부경 )

2. 『國際政治�叢』발간현황

1) 제51집 1호: 게재신청 20편, 게재논문 10편 (게재율 50%)

- 2011년 3월 31일자 발간

2) 제51집 2호: 게재신청 12편, 게재논문 8편(51집 1호 이월논문 1편 포함)(게재율 58%)

- 2011년 6월 30일자 발간

3) 제51집 3호: 게재신청 19편, 게재논문 10편 (게재율 53%)

- 2011년 9월 30일자 발간

4) 제50집 4호: 게재신청 16편, 게재논문 10편 (게재율 63%)

- 2011년 12월 31일자 발간 (예정)

※제51집 1호~4호: 게재신청 총 67편, 게재논문 총 38편 (게재율 57%)

※편집위원회는『國際政治�叢』발간과 관련하여 예정된 발간 일정을 엄수하 음.

3.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발간현황

1) KJIS 9-1: 게재신청 8편, 게재논문 5편 (게재율 63%)

- 2011년 6월 30일자 발간

2) KJIS 9-2: 게재신청 7편, 게재논문 5편 (게재율 71%)

- 2011년 12월 31일자 발간 (예정)

※KJIS 9-1~2: 게재신청 총 15편, 게재논문 총 10편 (게재율 67%)

※편집위원회는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발간과 관련하여 예

정된 발간 일정을 엄수하 음.

2011년도 특별위원회 사업보고

<편집위원회>

Page 26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32011년도 특별위원회 사업보고

4.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SSCI 등재준비 계속 진행

편집위원회는 2010년부터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이하

KJIS)의 SSCI 등재를 위해 미국 Thompson Reuters에 KJIS를 발송하고 있음. 심사가

계속 진행 중인데 SSCI 등재까지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만큼 회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림.

5.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평가

2010년 12월 국제정치논총과 KJIS를 분리하면서 불가피하게 학술지 등급이 한국연구재

단 등재학술지에서 등재후보지로 하락한 바 있음. 편집위원회는 등재지 자격의 회복을 위

해 올해 8월 22일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계속평가 신청과 관련서류 제출을 모두 마침. 최

종 결과는 12월 말에 나올 예정이며 평가 통과시 2011년도 국제정치논총과 KJIS 발행분

은 모두 등재지로 소급 적용됨.

6. 국제정치논총 발간 50주년 기념사업

국제정치논총은 1963년에 창간되어 2013년에 발간 50주년을 맞게 됨. 편집위원회는 논총

발간 50주년 기념사업으로 '한국의 국제정치학 50년'을 회고하는 패널 구성 및‘논총 50년사’

특별호 발간 등을 논의함. 이에 한 계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회관 및 기금관리∙운 위원회>

1. 위원회 명단

�위 원 장 : 임용순(성균관 )

�부위원장 : 윤 오(국민 )

�위 원 : 김달중(연세 ) 황병무(국방 ) 강태훈(단국 ) 김성주(회장, 당연직)

조윤 (총무이사, 당연직)

�감 사 : 이규 (서강 ) 이원덕(국민 )

Page 26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수 입

1. 전년도 이월금 10,882,432원

2. 수입액 133,188,813원

1) 정기예금 28,942,767원

2) 계약금 4,000,000원

1) 정기예금 34,838,313원

2) 논총 문호 발행지원금 10,000,000원

3) 학회 경상비 지원금 30,000,000원

4) 계약금 반환(203호) 1,000,000원

5) 보증금 반환 43,498,060원

6) 수리비 3,707,720원

7) 회관 관리비 7,800,000원

8) 법인세 298,100원

9) 회의비 1,162,326원

10) 재산세 1,319,620원

11) 세무사 기장 수수료 및 소모품비 1,816,000원

12) 지방소득세 206,150원

13) 법인세 결산조정수수료 396,000원

14) 경조비 250,000원

15) 행정비 132,700원

16) 환경개선부담금 102,220원

17) 정화조청소비 79,580원

18) 주민세 62,500원

19) 면허세 55,620원

20) 송금수수료 4,250원

3) 보증금 36,000,000원

4) 월세 46,109,030원

5) 관리비 4,484,350원

6) 평생회비(17명) 10,710,000원

7) 담보물반환금 1,858,194원

8) 국고환급(마포세무서) 1,039,210원

9) 예금이자 28,262원

10) 기타입금 17,000원

203호(세입): 1,000,000 / 302호(세입): 1,000,000

304호(세입): 2,000,000

203호(세입): 9,000,000 / 302호(세입): 9,000,000

304호(세입): 18,000,000

201, 301호 보일러 / 402호 누전공사 및 전등세트교체,

베란다 샷시 코킹작업, 천정석고보드 공사 /

501호 베란다 방수공사 외

203호(전출): 5,678,710 / 204호(전출): 6,480,000

302호(전출): 8,211,610 / 303호(전출): 4,320,000

304호(전출): 18,807,740

김기정, 김성주, 김홍철, 박성준, 박재적, 박찬욱, 박홍서,

서종진, 우평균, 유진석, 윤 비, 이문기, 이상신, 이승주,

정재관, 최용환, 하이케헤르만스

1. 잔 액 7,342,086원

2. 지출액 136,729,159원

지 출

합 계 144,071,245원 합 계 144,071,245원

잔 액 7,342,086원

회관 및 기금관리∙운 위원회 결산보고서(2010년 11월 21일 ~ 2011년 11월 30일)

Page 26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52011년도 임원진 명단

■회 장: 김성주(성균관 )

■차기회장: 안인해(고려 )

■부 회 장: 송용운(한국사회통일연구원) 김석우(서울시립 ) 김 수(서강 )

박광기( 전 ) 박 호(통일연구원) 서창록(고려 )

유병용(한국학중앙연구원) 이충묵(한국학술연구원) 홍규덕(숙명여 )

■총무이사: 조윤 (중앙 )

■연구이사: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소) 박인휘(이화여 ) 신성호(서울 )

우승지(경희 ) 한석희(연세 )

■출판이사: 이상환(한국외 ) 조화순(연세 ) 채재병(국가안보전략연구소)

최진우(한양 )

■ 외협력이사: 남광규(고려 ) 안득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유진석(숙명여 )

이동윤(신라 )

■무임소(기획)이사: 장계순(연세 ) 곽진 (건국 ) 박봉규(공군사관학교)

이경수(성균관 )

■감 사: 김은경(한국여성정책연구원) 차창훈(부산 )

■전임회장(고문)

김 준 박봉식 하경근 이명식 김옥렬 유정열 손제석 김홍철 김종휘 정진위 윤정석

김 덕 안병준 김용구 박경서 이상우 김달중 양성철 황병무 이은호 임용순 류재갑

김동성 백종천 우철구 강태훈 안청시 윤 오 김형국 하용출 장공자 함택 김의곤

■명예이사

강광식 강성학 견학필 고성준 곽태환 구 열 구범모 구종서 구태회 기연수 길정우

김강녕 김경수 김경원 김계동 김기조 김도태 김부식 김소중 김수일 김순규 김승호

김연철 김 래 김 문 김 작 김용현 김웅진 김윤배 김점곤 김택기 김학준 김한경

김현동 남재희 노명준 노재봉 노태구 문수언 문승익 문정인 문태운 문희수 박병원

박상식 박 규 박용옥 박재규 박홍규 박흥순 배성동 배 일 백상창 백승기 백 철

변창구 서기준 서진 서창호 손학규 손학모 송 성 송 선 송이랑 신국주 신희석

양길현 양병기 양승함 양 식 여인곤 염홍철 오세응 왕임동 우병규 유석렬 유세희

유재일 유정환 유철종 유현상 윤 관 윤종호 윤형섭 이경숙 이남 이동휘 이민룡

이상민 이서항 이성근 이수훈 이숙자 이우정 이정복 이정희 이준일 이창훈 이춘근

이태환 임채완 임혁백 장덕환 전득주 전용헌 전인 정봉화 정용길 정종욱 정준표

정준호 정천구 정희채 조순구 조찬래 조현석 지병문 차기문 차기벽 차 구 최상용

최수경 최 관 최오경 최종철 최춘흠 하병주 하 선 한상일 한승주 한용섭 허남성

현인택 홍광엽 홍성태 홍순남 홍욱헌

2011년도 임원진 명단

Page 26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이 사

강근형(제주 ) 강원택(서울 ) 강윤희(국민 )

고상두(연세 ) 고유환(동국 ) 구갑우(북한 학원 )

권경희(동원 학) 권만학(경희 ) 권선홍(부산외 )

김경민(한양 ) 김경숙(공주 ) 김국신(통일연구원)

김규륜(통일연구원) 김기석(강원 ) 김기정(연세 )

김도종(명지 ) 김동성(경기개발연구원) 김명섭(연세 )

김민정(서울시립 ) 김병국(고려 ) 김병로(서울 )

김성진(덕성여 ) 김성철(세종연구소) 김수암(통일연구원)

김 재(청주 ) 김 호(국방 ) 김 호(성신여 )

김왕식(이화여 ) 김용현(동국 ) 김웅희(인하 )

김유은(한양 ) 김유향(국회 입법조사처) 김의 (서울 )

김재철(가톨릭 ) 김창수(국방연구원) 김창희(전북 )

김태웅(원광 ) 김태현(중앙 ) 김학노( 남 )

김학성(충남 ) 김 현(경희 ) 김형준(명지 )

김호섭(중앙 ) 김호준(부산외 ) 김흥규(성신여 )

남궁곤(이화여 ) 남궁 (한국외 ) 남기정(서울 )

남정휴(경기 ) 남창희(인하 ) 류길재(북한 학원 )

류석진(서강 ) 마상윤(가톨릭 ) 마인섭(성균관 )

문흥호(한양 ) 민병원(이화여 ) 박건 (가톨릭 )

박기철(평택 ) 박명림(연세 ) 박봉규(공군사관학교)

박수헌(경희 ) 박 준(국방 ) 박의경(전남 )

박재 (경상 ) 박종철(통일연구원) 박헌주(KDI국제정책 학원)

배긍찬(외교안보연구원) 배정호(통일연구원) 백승주(국방연구원)

백창재(서울 ) 백학순(세종연구소) 서경교(한국외 )

서주석(국방연구원) 석재왕(성균관 ) 손기웅(통일연구원)

손병권(중앙 ) 손 열(연세 ) 송병록(경희 )

송은희(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신기현(전북 ) 신범식(서울 )

신상범(연세 ) 신욱희(서울 ) 신유섭(연세 )

안성호(충북 ) 안순철(단국 ) 양기웅(한림 )

양기호(성공회 ) 양태호(한국통일진흥원) 엄상윤(세종연구소)

연현식(국가정보 학원) 오경택(전남 ) 유찬열(덕성여 )

유현석(경희 ) 유호열(고려 ) 윤 미(평택 )

윤이숙(광운 ) 윤정원(육군사관학교) 이강로(전주 )

이규 (서강 ) 이기종(경희 ) 이내 (고려 )

이 우(세종연구소) 이동형( 구경북연구원) 이상옥(전주 )

이상현(외교통상부) 이신화(고려 ) 이 애(단국 )

이완범(한국학중앙연구원) 이원덕(국민 ) 이원태(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인성(연세 ) 이인호(국가안보전략연구소) 이재승(고려 )

Page 27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72011년도 임원진 명단

이정훈(연세 ) 이조원(중앙 ) 이종찬(국민 )

이지수(명지 ) 이철기(동국 ) 이태윤(한미연합사)

이헌경(동아 ) 이호 (창원 ) 이호철(인천 )

이홍종(부경 ) 이희옥(성균관 ) 임성호(경희 )

임혜란(서울 ) 장경룡(광주여 ) 장덕준(국민 )

장성민(세계와 동북아포럼) 장 훈(중앙 ) 전성흥(서강 )

전 웅(국가정보 학원) 전재성(서울 ) 전진호(광운 )

전홍찬(부산 ) 전황수(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경환(동의 )

정규섭(관동 ) 정성장(세종연구소) 정우탁(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정은성(인앤시스템) 정재호(서울 ) 정진 (경희 )

조경근(경성 ) 조성권(한성 ) 주재우(경희 )

진미경(아주 ) 진장철(강원 ) 진창수(세종연구소)

차재훈(경기 ) 차창훈(부산 ) 최 석(이화여 )

최동주(숙명여 ) 최 종(가톨릭 ) 최용섭(광주보건 )

최우길(선문 ) 최은봉(이화여 ) 최청호(경남 )

최태강(한림 ) 하 애(경희 ) 허만호(경북 )

홍관희(안보전략연구소) 홍규덕(숙명여 ) 홍성걸(국민 )

홍용표(한양 ) 황 주(부산외 ) 황진환(육군사관학교)

<상임위원회>

■총무위원회

∙총무이사:조윤 (중앙 )

∙총무간사:이병하(연세 ) 이정우(경남 )

∙총무위원:박재적(통일연구원) 백우열(성균관 ) 우정엽(아산정책연구원) 유현정(세종연구소)

정성윤(고려 ) 조진만(인하 )

■연구위원회

∙연구이사: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소) 박인휘(이화여 ) 신성호(서울 ) 우승지(경희 )

한석희(연세 )

∙연구간사:김용순(연세 ) 김장호(연세 ) 오경섭(세종연구소)

∙연구위원:권오국(평화문제연구소) 김광웅(명지 ) 김현욱(외교안보연구원) 문순보(세종연구소)

박채복(숙명여 ) 이동선(고려 ) 이상숙(외교안보연구원) 이윤식(통일연구원)

조동준(서울 ) 조한승(단국 ) 최종건(연세 ) 한인택(제주평화연구원)

황지환(서울시립 )

■출판위원회

∙출판이사:이상환(한국외 ) 조화순(연세 ) 채재병(국가안보전략연구소) 최진우(한양 )

Page 27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출판간사:강동완(동아 )

∙출판위원:강주현(숙명여 ) 박 자(이화여 ) 배병인(국민 ) 안상욱(부경 )

윤석상(한국외 ) 장지향(건국 ) 전혜원(외교안보연구원)

■ 외협력위원회

∙ 외협력이사:남광규(고려 ) 안득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유진석(숙명여 ) 이동윤(신라 )

∙ 외협력간사:김일기(국가안보전략연구소) 정미 (한국외 )

∙ 외협력위원:이동철(고려 ) 이소 ( 구 ) 이종서(성균관 ) 조정인(숙명여 )

차동욱(동의 )

<연구분과위원회>

■국제정치이론 분과위원회

∙위 원 장:홍용표(한양 )

∙위 원 :한동호(외교안보연구원, 간사) 김상배(서울 ) 김정용(여의도연구소) 김지용(외교안보연구원)

김태완(동의 ) 박인휘(이화여 ) 이상현(한양 ) 조정인(숙명여 )

홍우택(통일연구원)

■외교사 분과위원회

∙위 원 장:박명림(연세 )

∙위 원:조철호(통일교육원, 간사) 마상윤(가톨릭 ) 박 준(국방 ) 배종윤(연세 )

엄상윤(세종연구소) 이근욱(서강 ) 이지수(명지 ) 이철순(부산 )

조동준(서울 ) 조양현(외교안보연구원)

■한국외교정책 분과위원회

∙위 원 장:서주석(국방연구원)

∙위 원:김성배(국가안보전략연구소, 간사) 강명옥(한국국제개발연구소) 구갑우(북한 학원 ) 길병옥(충남 )

김명섭(연세 ) 김현욱(외교안보연구원) 송정호(우석 ) 신정화(동서 )

윤 미(평택 ) 이철순(부산 ) 조정인(숙명여 ) 지은주(고려 )

■국제기구 및 평화 분과위원회

∙위 원 장:박흥순(선문 )

∙위 원:오 달(충남 , 간사) 김열수(국방 ) 김 현(경희 ) 박재 (경상 )

오경택(전남 ) 이신화(고려 ) 정우탁(유네스코한국위원회) 조동준(서울 )

조정현(외교안보연구원) 홍규덕(숙명여 ) 홍기준(경희 )

■국제정치경제 분과위원회

∙위 원 장:최 종(가톨릭 )

Page 27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792011년도 임원진 명단

∙위 원:권형기(서울 , 간사) 김용복(경남 ) 김치욱(세종연구소) 백창재(서울 )

변 학( 구가톨릭 ) 송주명(한신 ) 이성형(서울 ) 임혜란(서울 )

장지향(아산정책연구원) 정하용(경희 ) 한 빈(서강 )

■안보∙국방 분과위원회

∙위 원 장:박 준(국방 )

∙위 원:고봉준(충남 , 간사) 나종남(육군사관학교) 박원곤(국방연구원) 우정엽(아산정책연구원)

윤 미(평택 ) 이근욱(서강 ) 이동선(고려 ) 이수형(국가안보전략연구소)

인남식(외교안보연구원) 임수호(삼성경제연구소) 조동준(서울 ) 최아진(연세 )

최종건(연세 ) 황지환(서울시립 )

■통상정책 분과위원회

∙위 원 장:차재훈(경기 )

∙위 원:김홍국(경기 , 간사) 김도태(충북 ) 박건식(경기 ) 오정은(국제이주기구)

우명수(서원 ) 이면우(세종연구소) 임채형(단국 )

■국제거버넌스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의 (서울 )

∙위 원:배병인(국민 , 간사) 김범수(서울 ) 문 돈(경희 ) 미우라 히로키(경희 )

박한규(경희 ) 박헌주(KDI국제정책 학원) 이신화(고려 ) 조화순(연세 )

황지환(서울시립 )

■국제인권 분과위원회

∙위 원 장:손혁재(경기 )

∙위 원:김관옥(계명 , 간사) 김연철(인제 ) 김 근(국민 ) 김주삼(조선 )

박찬봉(통일부) 양 미(전 인권재단, 자문위원) 이동형( 구경북연구원) 이승현(국회 입법조사처)

장지향(아산정책연구원) 정미애(국민 ) 진시원(부산 )

■국제정보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유은(한양 )

∙위 원:김연규(한양 , 간사) 김성수(한양 ) 박봉규(공군사관학교) 서동주(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신유섭(연세 ) 이상호( 전 )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소) 전 웅(국가정보 학원)

조성권(한성 ) 차창훈(부산 ) 허태회(선문 )

■과학기술 분과위원회

∙위 원 장:허태회(선문 )

∙위 원:윤석상(아주 , 간사) 금혜성(숙명여 ) 손기웅(통일연구원) 이상호( 전 )

장우 ( 구가톨릭 ) 정기웅(한국외 ) 진창수(세종연구소) 최용환(경기개발연구원)

Page 27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여성 분과위원회

∙위 원 장:임혜란(서울 )

∙위 원:김희강(고려 , 간사) 곽진 (건국 ) 김남국(고려 ) 김범수(서울 )

박경미(이화여 ) 박선희(서울 ) 원시연(국회입법조사처) 유성진(이화여 )

유진숙(배재 ) 이병하(연세 ) 이신화(고려 ) 정인경(서울 )

황 주(부산외 )

■북한통일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근식(경남 )

∙위 원:이무철(경남 극동문제연구소, 간사) 김갑식(국회입법조사처) 서보혁(서울 ) 이기동(국가안보전략연구소)

이미경(통일교육원) 조 국(국가인권위원회) 최용환(경기개발연구원) 최종건(연세 )

홍우택(통일연구원) 황지환(서울시립 )

■미국 분과위원회

∙위 원 장:신유섭(연세 )

∙위 원:정회옥(이화여 , 간사) 강주현(숙명여 ) 김재천(서강 ) 류재성(계명 )

서현진(성신여 ) 안병진(경희사이버 ) 엄기홍(경북 ) 유성진(이화여 )

전용주(동의 )

■유럽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민정(서울시립 )

∙위 원:안상욱(부경 , 간사) 고상두(연세 ) 고주현(연세 ) 김미경(조선 )

김성현(한양 ) 김 일(신라 ) 박채복(숙명여 ) 이규 (서강 )

이무성(명지 ) 최진우(한양 )

■일본 분과위원회

∙위 원 장:손기섭(부산외 )

∙위 원:조양현(외교안보연구원, 간사) 김 근(계명 ) 김진기(부경 ) 남기정(서울 )

박정진(서울 ) 박철희(서울 ) 이면우(세종연구소) 이원덕(국민 )

이이범(강릉 ) 이홍표(큐슈 ) 정미애(국민 ) 진창수(세종연구소)

차재복(동북아역사재단) 최운도(동북아역사재단)

■중국 분과위원회

∙위 원 장:원동욱(동아 )

∙위 원:이문기(세종 , 간사) 김재관(전남 ) 박홍서(동덕여 ) 신종호(경기개발연구원)

유동원(국방 ) 윤 덕(전남 ) 이홍규(성균관 ) 정해용(신라 )

조 남(서울 ) 주장환(한신 ) 차창훈(부산 )

Page 27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12011년도 임원진 명단

■러시아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성진(덕성여 )

∙위 원:현승수(한양 , 간사) 강봉구(한양 ) 고상두(연세 ) 서동주(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신범식(서울 ) 우준모(선문 ) 우평균(통일연구원) 유진숙(배재 )

윤익중(한림 ) 이경완(고려 ) 이유신( 남 ) 정은숙(세종연구소)

최태강(한림 )

■동북아 분과위원회

∙위 원 장:채규철(국가안보전략연구소)

∙위 원:권오국(평화문제연구소, 간사)고봉준(충남 ) 김치욱(세종연구소) 박광득( 구 )

여인곤(통일연구원) 이민룡(육군사관학교) 이인호(국가안보전략연구소) 정 철(서강 )

최명해(삼성경제연구소) 최종철(국방 ) 홍관희(안보전략연구소)

■동남아 분과위원회

∙위 원 장:최동주(숙명여 )

∙위 원:김동엽(부산외 , 간사) 강 순(한국외 ) 김태완(동의 ) 박은홍(성공회 )

이동윤(신라 ) 이재현(외교안보연구원) 전제성(전북 ) 조 희(동남아연구소)

조정인(숙명여 ) 최경희(동남아연구소) 황인원(경상 )

■중남미 분과위원회

∙위 원 장:이헌경(동아 )

∙위 원:박병철(부경 , 간사) 강경희(제주 ) 강성훈(부산 ) 김주삼(조선 )

박범종(부산외 ) 유현정(세종연구소) 이신욱(동아 ) 조희원(경희 )

최현실(경성 )

■중동∙아프리카 분과위원회

∙위 원 장:정상률(명지 )

∙위 원:이효분(국방 , 간사) 금상문(한국외 ) 김한지(한국외 ) 박찬기(명지 )

박현도(명지 ) 서정민(한국외 ) 안정국(명지 ) 오종진(한국외 )

유달승(한국외 ) 이한규(한국외 ) 인남식(외교안보연구원) 장지향(아산정책연구원)

최 철(건국 ) 최재훈(단국 ) 하병주(부산외 ) 홍미정(건국 )

황규득(한국외 )

■중앙아시아 분과위원회

∙위 원 장:윤 미(평택 )

∙위 원:성동기(인하 , 간사) 강봉구(한양 ) 김덕중(경기 ) 김상철(한국외 )

김 진(한양 ) 박상남(한신 ) 손 훈(한국외 ) 심헌용(군사편찬연구소)

오종진(한국외 ) 이성규(에너지경제연구원) 이유신( 남 ) 정세진(한양 )

Page 27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현승수(한양 ) 황 삼(한국외 )

■자원에너지안보 분과위원회

∙위 원 장:김재천(서강 )

∙위 원:박재적(통일연구원, 간사) 고봉준(충남 ) 김형민(서울과학기술 ) 김현욱(외교안보연구원)

배종윤(연세 ) 우정엽(아산정책연구원) 유웅조(국회입법조사처) 유진석(숙명여 )

정성윤(고려 ) 홍우택(통일연구원)

<특별위원회>

■회관 및 기금관리∙운 위원회

∙위 원 장:임용순(성균관 )

∙부위원장:윤 오(국민 )

∙위 원:김달중(연세 ) 황병무(국방 ) 강태훈(단국 ) 김성주(회장, 당연직)

조윤 (총무이사, 당연직)

∙감 사:이규 (서강 ) 이원덕(국민 )

■편집위원회

∙위 원 장:안청시(서울 )

∙총괄위원 :최진우(한양 )

∙편집위원 :김기석(강원 ) 김민정(서울시립 ) 김태현(중앙 ) 남궁곤(이화여 )

류길재(북한 학원 ) 박건 (가톨릭 ) 박흥순(선문 ) 신욱희(서울 )

양기호(성공회 ) 윤진표(성신여 ) 이희옥(성균관 ) 임성호(경희 )

임혜란(서울 ) 한용섭(국방 )

∙행정간사 :배병인(국민 ) 안상욱(부경 )

Page 27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3평생회원명단

1. 평생정회원(551명)

가상준 강광식 강규형 강근형 강동완 강동준 강명옥 강 훈 강윤희 강종일

강주현 강태훈 강택구 견학필 고상두 고성윤 고성준 고세훈 고유환 고재방

곽준혁 곽태환 구광모 구범모 구본학 구종서 구춘권 구태회 권경희 권만학

권무혁 권문술 권재상 권혁용 권형기 기광서 기연수 길병옥 길정우 김경미

김경민 김경원 김계동 김관옥 김국신 김국진 김규륜 김규택 김기정 김기조

김남국 김년수 김달중 김 덕 김덕중 김도종 김도태 김도희 김동명 김동성

김동 김두진 김만규 김면회 김명섭 김민정 김민하 김범수 김병주 김봉석

김봉진 김상준 김상준 김상태 김석우 김선미 김성배 김성주 김성진 김성철

김세중 김소중 김수일 김수현 김순옥 김순태 김승준 김애경 김 래 김 작

김 재 김 준 김 호 김옥열 김왕식 김용구 김용욱 김용호 김용호 김우상

김우준 김웅진 김유은 김유향 김윤배 김응수 김의곤 김의 김인혁 김일상

김일주 김재경 김재천 김재철 김재한 김점곤 김정용 김정원 김조표 김종두

김종휘 김준석 김준엽 김준희 김지연 김지 김진 김창희 김충남 김태완

김태일 김태준 김태현 김태형 김태호 김태효 김택기 김하룡 김하 김학노

김학준 김한식 김 혁 김 현 김현동 김현욱 김형국 김형기 김형오 김호섭

김홍국 김홍명 김홍철 김홍철 김흥규 나 주 나종일 남궁곤 남궁 남기정

남재희 남정휴 남창희 노명준 노병열 노승우 노재봉 노태구 도윤주 로버트켈리

류길재 류상 류석진 류재갑 마상윤 문경희 문 돈 문수언 문승익 문정인

문창극 문하 민만식 민병석 민병원 박건 박경서 박광기 박광주 박 근

박동천 박명원 박문서 박병광 박봉규 박봉식 박사명 박상섭 박상식 박선희

박성관 박성우 박성준 박 준 박 호 박용수 박의경 박인휘 박재규 박재민

박재적 박종철 박종철 박준규 박찬욱 박철언 박태우 박현모 박호성 박홍규

박홍서 박홍석 박홍 배긍찬 배병인 배성동 배 자 배정호 배종윤 배한동

백상창 백승기 백 철 백종국 백종천 변 호 서규환 서보근 서보혁 서양중

서유경 서재만 서정경 서종진 서진 서창록 석재왕 성원용 소치형 손기섭

손기웅 손병권 손 열 손제석 손학규 손혁상 손호철 송기도 송 성 송병록

송석원 송 우 송은희 송이랑 송정호 신국주 신명순 신범식 신봉수 신상범

신성호 신승권 신 란 신욱희 신유섭 신은 신정현 신지호 신 진 신희석

심흥수 안병준 안성호 안세현 안순철 안외순 안인해 안청시 양기웅 양기호

양길현 양병기 양성철 양승함 양준희 어수 엄상윤 여문환 연현식 염홍철

오경택 오규열 오세응 오수열 온창일 왕임동 우병국 우병규 우평균 원동욱

유달승 유석렬 유성희 유세희 유승남 유승익 유재익 유재일 유정열 유진석

유진숙 유철종 유현상 윤경우 윤 비 윤성석 윤성이 윤 관 윤 식 윤 오

평생회원명단

Page 27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윤정석 윤종호 윤해수 윤형섭 윤홍석 윤 황 이강로 이강석 이경숙 이규

이규일 이근욱 이내 이동선 이동원 이동윤 이동휘 이명식 이문기 이번생

이병두 이병재 이상민 이상식 이상신 이상옥 이상우 이서항 이석호 이성근

이세춘 이수석 이수훈 이숙자 이숭희 이승근 이승자 이승주 이승현 이신화

이 애 이 일 이옥연 이완범 이용선 이용욱 이우진 이원덕 이원웅 이원태

이유신 이은호 이인성 이인호 이자헌 이재승 이정복 이정진 이정하 이정훈

이정희 이조원 이종률 이종섭 이주천 이준일 이준한 이지수 이창헌 이창훈

이철순 이춘수 이태윤 이태환 이표규 이하우 이헌경 이혁섭 이현우 이현출

이호 이호철 이홍구 이홍섭 이홍표 이화용 이희옥 인남식 임경훈 임석준

임성학 임수호 임수환 임용순 임채완 임혁백 임현진 장계순 장동진 장우

장은석 장인성 전가림 전경옥 전성훈 전 웅 전 웅 전인 전정환 전진호

전혜원 전황수 정기웅 정문헌 정미애 정미 정병기 정봉화 정상화 정성윤

정성장 정용화 정은성 정은숙 정일 정재관 정재호 정재호 정종욱 정준표

정준호 정진 정지웅 정진위 정철호 정해용 정희석 조경근 조동준 조석종

조성렬 조성환 조순승 조양현 조 남 조 철 조찬수 조한승 조현석 조홍식

조화순 조희원 주봉호 주재우 주형민 지병근 지은주 진미경 진 재 진창수

차기문 차 구 차창훈 천상덕 최경규 최 석 최동주 최동희 최병운 최상룡

최성권 최성철 최아진 최 진 최용환 최우길 최은봉 최의철 최정욱 최정운

최정원 최종기 최종철 최준 최진우 최형규 하경근 하민 하병주 하세헌

하 선 하용출 하이케 헤르만스 한동호 한배호 한상일 한석희 한승주 한 구 한용섭

한종수 함성득 함택 허재석 현 송 현인택 홍관희 홍규덕 홍성태 홍성표

홍순길 홍순남 홍순호 홍양호 홍완석 홍현익 황규득 황병무 황인원 황지환

황태연

2. 평생특별회원(20명)

감경철 고정택 김경한 김 윤 김문희 김홍식 서민석 손주환 신진수 심규형

오두석 유상근 윤 석 이명화 이정재 임○훈 최종현 최효석 홍성목 허남각

Page 27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5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본 규정은 한국국제정치학회가 발간하는 국제정치논총의 편집에 관한 제반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편집위원회의 구성과 역할

제2조(편집위원회 구성) 편집위원장의 선출과 편집위원회의 구성은 한국국제정치학회 정관 제41

조(추후 보완)에 따른다.

제3조(편집위원의 자격 및 선임) 다음 조항에 유의하여 편집위원을 선임한다.

가. 편집위원은 한국국제정치학회의 정회원이어야 한다.

나. 편집위원장은 학문적 경력, 전공 분야, 소속기관 등의 제반 요인을 고려하여 20명 이하

의 편집위원을 추천하고 학회장이 편집위원으로 위촉한다. 결원 발생 시 같은 방식에 따

라 편집위원을 위촉한다.

다. 출판위원회와의 업무 협조를 위해 편집위원 가운데 최소 한 명은 재임 출판이사로 한다.

제4조(편집위원회 간사) 편집위원회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하여 편집위원 가운데 총괄위원을

두며, 필요 시 일반 정회원 가운데 행정간사를 둘 수 있다.

제5조(편집위원회 역할)

1.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이 소집하며, 다음 사항을 심의하고 결정한다.

가. 논문의 초심을 위한 심사위원의 추천

나. 논문의 재심과 게재 여부의 최종 판정

다. 논문심사 및 학회지 출판 관련 규정의 개정

2. 편집위원회의 의결은 구성원 과반수의 참여와 참여자 과반수의 찬성을 원칙으로 하며, 온

라인 의사결정도 이에 준한다.

제3장 학회지의 발간

제6조(기고논문의 접수) 논문의 접수와 그에 한 처리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기고논문 작성- 기고논문은 편집위원회가 정한 논문작성요령에 따른다.

제정 2006년 2월 24일제 1차 개정 2008년 2월 22일제 2차 개정 2009년 1월 14일제 3차 개정 2009년 4월 4일제 4차 개정 2010년 4월 9일

Page 27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6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기고논문 접수- 기고논문은 전자우편으로 수시 접수하며, 원고가 편집위원회에 도달한

때를 접수 시점으로 간주한다.

3.접수사항의 고지- 논문이 접수되면 편집위원회는 그 사실을 논문 제출자에게 고지한다.

4. 논문기고의제한- 학회원들의자유로운논문기고를권장하나다음과같은제한조항을둔다.

가. 단독 혹은 공동연구 논문에 관계없이 한 연구자가 당해연도에 1편만 게재하도록 하되,

문 학회지는 별도로 한다.

나. 모든 편집위원은 편집위원장이 인정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기 중에 논문을

제출할 수 없다.

제7조(발간 예정일) 국제정치논총의 국문호는 년 4회 발간하며, 발간 예정일은 매년 3월 31일, 6월

30일, 9월30일, 12월31일로한다. 이에따라각호별원고접수마감일은12월31일, 3월31일,

6월 30일, 9월 30일로 한다. 문호는 년 2회 발간하며, 발간 예정일은 6월 30일, 12월 31일

로 한다. 그 원고접수 마감일은 3월 31일, 9월 30일로 한다.

제4장 심사절차와 기준

제8조(초심) 편집위원회는 각 분기별로 원고접수 마감일 직후 초심을 의뢰한다.

1. 심사위원 위촉- 편집위원장은 편집위원에게 기고논문의 심사위원 추천을 의뢰하여 3인

의 심사위원을 위촉한다.

2. 심사의뢰- 위촉된 심사위원에게 전자우편으로 심사를 의뢰하되 논문평가는 편집위원회

에서 정한 초심용 논문심사양식에 따른다.

3. 기일- 초심 결과는 2주일 내에 회신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특별한 사유 없이 3주일

내에 심사결과 통보가 없는 경우 편집위원장은 심사위원을 교체할 수 있다.

4. 판정기준- 심사위원은 논문을 평가한 후 정해진 양식에 따라 심사평을 작성하고, 게재가,

수정 후 게재, 수정 후 재심, 게재불가 판정을 내린다. 초심 결과에 따른 종합

판정은 판정표에 따른다.

<초심판정표>

판 정 심사위원1

×

심사위원2 심사위원3

게재 가

수정 후 게재

Page 28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7한국국제정치학회 편집규정

제9조(수정 후 게재)‘수정 후 게재’로 종합 판정을 받은 논문은 기고자에게 보내 수정을 요구한

다. 수정 후 다시 제출된 원고에 해서는 편집위원회가 초심평에 기초하여 수정 이행 여부

를 검토한 후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제10조(수정 후 재심) 초심 결과‘수정 후 재심’판정을 받은 논문은 재심 절차를 밟는다.

1. 심사 상- ‘수정 후 재심’판정을 받은 논문은 기고자에게 수정을 요구한다.

2. 심사의뢰- 기고자의 수정을 거쳐 다시 제출된 논문은 초심위원 3인이 원고 수정이 충분

하고 적절히 이행되었는지를 심사한다.

3. 기일- 수정기간과 재심기간은 각각 1주 이내로 한다.

4. 판정기준- 수정 후 재심 결과 게재 가, 게재불가는 판정표에 따른다.

5. 재심 연기- 기고자가 기한 내에 수정본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논총 다음 호에 수정본을

다시 기고하면 초심을 생략하고 당시 초심위원 3인에게 보내 재심절차를 진

행한다. 그 다음 호에 수정본을 기고할 경우 초심부터 다시 진행한다. (예: 논

총 1호에 제출 후‘수정 후 재심’판정을 받은 논문을 수정을 거친 다음 논총

2호에 다시 제출 시 초심을 생략하고 재심 과정에 회부. 그러나 수정된 논문

을 3호 또는 4호에 재제출할 경우에는 초심 과정부터 다시 시작.)

판 정 심사위원1

×

×

×

×

×

×

×

×

×

×

×

×

×

×

심사위원2 심사위원3

수정 후 재심

게재 불가

(○: 게재가, △: 수정 후 게재, ▽: 수정 후 재심, ×: 게재불가)

<재심판정표>

판 정

게재 가

게재 불가

심사위원1

×

×

×

×

×

×

심사위원2 심사위원3

Page 28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8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제11조(이의제기와 재재심 신청) 논문의 재심판정에 이의가 있는 경우 기고자는 심사결과를 통보

받은 지 2주일 이내에 충분한 사유와 함께 재재심을 요청할 수 있으며, 편집위원장은 재재

심 수용 심사를 편집위원회에 회부할 수 있다. 편집위원회는 재재심 요청 수용을 심사하고,

그것의 타당성이 인정되면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초심 및 재심에 참여하지 않은 편집위

원을 재재심 심사위원으로 위촉하여 앞의 10조 절차에 따라 최종판정을 내리며, 그 결과에

해서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제12조(인쇄와 발간) 논문 인쇄를 위한 최종 편집과 발간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발간- 게재가 확정된 논문은 출판사에 의해 인쇄용 원고로 편집된 후 저자의 확인을 거쳐

출간한다.

2. 이월게재- 게재 확정을 받은 논문이라도 편집위원회의 출간 일정에 따라 이월게재 할 수

있다.

제13조(게재불가 논문의 처리) 게재불가 판정을 받은 논문은 그 사유와 함께 기고자에게 통보하되

제출된 논문은 반환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종 통보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후에 논문 내용을

수정하여 다시 기고할 수 있다.

제14조(게재증명과 표절처리) 논문게재증명은 편집위원회의 최종심사 결과 게재가 확정된 후에

기고자의 요청에 의해 발급된다. 게재 판정이 확정된 후라도 표절 행위가 드러난 논문은 편

집위원회의 표절처리 절차에 의해 처리한다.

제15조(편집위원 윤리) 편집위원은 논문심사과정 전반에 걸쳐 엄격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견지해

야 하며, 학회지 편집의 전문성과 수월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같은 조건이 충족

되지 않을 경우 편집위원장은 학회장에게 편집위원직 해임을 요청한다.

부 칙

본 규정은 2006년 2월 24일 이사회의 동의를 얻은 날로부터 효력을 발생하며, 이후 개정 절차는

본 규정 제5조에 따른다.

Page 28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89한국국제정치학회 윤리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윤리헌장

제정 2007년 12월 8일

제1차 개정 2008년 12월13일

1. 학회의 임원 및 회원은 학회의 각종 사업과 업무를 공정하고 성실하게 수행한다.

2. 학회의 회장과 차기회장은 학회의 설립목적에 반하거나 학회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제반

활동을 하지 않는다.

3. 학회 회원은 학회 활동을 통하여 학회뿐만 아니라 국제정치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공익 증진에

노력한다.

4. 학회 회원은 연구 및 출판 활동에 있어 학자의 양심과 윤리를 지킨다.

한국국제정치학회 윤리위원회 운 규정

제정 2007년 12월 8일

제1조(목적) 한국국제정치학회(이하 학회) 윤리위원회 운 규정은 학회의 회원이 윤리헌장을

위반하여 제소되었을 경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윤리위원회의 구성)

1. 운 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 한다.

2. 윤리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7명으로 구성한다.

3. 윤리위원회 위원은 학회 정회원 가운데 전임회장단 회의에서 선임한다.

4. 윤리위원장과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5. 위원장은 윤리위원의 호선으로 정한다.

6. 윤리위원회의 간사는 본 학회의 총무이사로 하며, 간사는 의결권을 가지지 아니한다.

제3조(윤리위원회의 임무)

윤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임무를 수행한다.

1. 학회 회원들에게 운 규정에 한 공지와 홍보

2.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윤리 위배 행위에 한 심의 및 의결

3. 윤리규정(윤리헌장과 운 규정)의 개정 및 보완

Page 28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0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연구 및 출판 윤리규정

제4조(윤리위원회의 운 )

1. 윤리위원회는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회원의 윤리헌장 위반 여부를 심의하며, 이에 필요

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2. 윤리위원회는 제소된 사안에 해 접수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심의∙의결하여야 한다.

3. 징계의 종류와 공표는 윤리위원회의 결정에 의한다.

4. 윤리위원회의 의사결정은 재적위원 2/3 출석과 출석위원 2/3 찬성으로 한다.

제5조(윤리헌장 위반의 제소)

1.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기 위해서는 정회원 20인 이상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

2. 윤리헌장 위반으로 제소된 임원과 회원은 본 학회 윤리위원회에서 행하는 조사에 협조

하여야 한다.

제6조(소명 기회와 비 보장)

1. 윤리헌장 위반으로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자는 확정이 되기 전까지는 윤리헌장을 위반하

지 않은 것으로 본다.

2. 윤리헌장 위반으로 윤리위원회에 제소된 자에게는 충분한 소명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3. 윤리위원은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당사자의 신원을 외부에 공개해서는 아니 된다.

제7조(윤리위원회 운 규정의 개정)

윤리위원회 운 규정의 개정절차는 본 학회 회칙 개정 절차에 준한다.

부 칙

윤리헌장과 윤리위원회 운 규정은 이사회의 심의를 거쳐 총회의 의결을 얻는 때부터 효력

을 발한다.

제정 2007년 12월 8일

제1차 전면 개정 2008년 12월 13일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사단법인 한국국제정치학회(이하 학회) 회원의 연구윤리를 확립하고,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 발생 시 신속하고 공정하며 체계적인 검증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며,

검증 및 판단을 담당할 편집위원회 산하 연구 및 출판 윤리소위원회(이하 윤리소위)의 설치

및 운 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Page 284: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1한국국제정치학회 윤리헌장

제2조(적용 상) 이 규정은 학회 모든 회원에 하여 적용한다.

제2장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에 관한 규정

제3조(목적) 이 규정은 한국국제정치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에 게재 및 게재신청 논문의 연

구 및 출판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그러한 행위가 발생했을 때의 처리절차를 규정함을 목적

으로 한다.

제4조(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의 유형)

1. “위조”라 함은 존재하지 않는 연구자료나 연구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어 보고하는 행위

를 말한다.

2. “변조”라 함은 연구자료, 연구과정, 연구결과를 사실과 다르게 변경하거나 누락시켜 연

구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를 말한다.

3. “표절”이라 함은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과정, 연구결과 등을 적절한 출처 표시 없이 연

구에 사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4. “부당한 저자 표시”는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하여 학술적 공헌 또는 기여를 한 사람에

게 정당한 이유 없이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거나, 학술적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자에게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를 말한다.

5. 자신의 연구물의 일부나 전부를 적절한 명기 없이 재사용하는 행위는 연구 및 출판 부정

행위에 해당한다.

6. 연구진실성을 심각하게 해하는 기타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의 기준은 한국학술진흥재단

의 윤리규정(제정예정)에 준한다.

제5조(심사주체)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에 한 판단과 제재내용의 확정은 학회 편집위원회

산하 윤리소위가 담당한다.

제6조(절차)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에 한 판단과 제재 절차는‘연구 및 출판 윤리소위원회

의 설치와 운 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

제3장 연구 및 출판 윤리소위원회의 설치와 운 에 관한 규정

제7조(목적) 학회의 연구 및 출판 윤리소위원회 운 규정은 학회의 회원이 연구 및 출판 윤리

규정을 위반하여 제소되었을 경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8조(윤리소위의 구성)

1. 연구 및 출판 윤리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윤리소위를 편집위원회 산하에 설치

하여 운 한다.

2. 윤리소위는 위원장을 포함하여 7명으로 구성한다.

Page 285: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2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3. 윤리소위 위원은 편집위원 가운데 편집위원장이 선임한다.

4. 윤리소위 위원장은 윤리소위원의 호선으로 정한다.

제9조(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의 판정 절차)

1.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에 한 외부의 제보나 심사자의 문제제기 등이 있을 경우 편집위

원장은 윤리소위를 소집하여 부정행위 여부를 심의해야 한다.

2. 윤리소위는 제소된 사안에 해 접수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심의∙의결하여야 한다.

3.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 여부는 윤리소위의 합의에 의하며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윤리소위 위원 과반의 출석과 출석위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이 규정에 정해지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제10조(제재)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로 판단된 경우 부정행위의 경중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재(혹은 복수

의 제재)를 내릴 수 있다.

1. 학회보에 3년 이하의 투고 금지

2. 학회 인터넷 홈페이지에 부정행위 사실 공시 및 인터넷 학회보에서 해당 논문의 삭제

3. 부정행위 확정 후 발간되는 첫 학회보에 부정행위 및 게재취소 사실 공시

제11조(소명 기회와 비 보장)

1. 연구 및 출판윤리규정 위반으로 윤리소위에 제소된 자는 확정이 되기 전까지는 연구 및

출판윤리규정을 위반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

2. 논문의 집필자가 윤리소위의 판정에 불복할 경우 판정 통보 7일 이내에 새로운 재심위

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3. 재심위원회의 구성과 결의요건은 윤리소위의 운 규정에 준하며 재심위원회는 새로운

위원으로 구성해야 한다.

4. 논문집필자는 재심위원회에 소명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5. 윤리소위는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당사자의 신원을 외부에 공개해서는 아니 된다.

제12조(윤리소위원회 운 규정의 개정)

윤리소위원회 운 규정의 개정절차는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부 칙

윤리헌장과 연구 및 출판 윤리규정은 학회 이사회의 심의 후 총회의 승인을 거쳐 효력을 발

한다.

Page 286: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3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Ⅰ. 논문 제출의 기준과 절차

1. 국제정치논총에 기고하는 논문은 타 학술지 또는 단행본에 제출되지 않은 미출판 논문이어야

하며, 국제정치학의 발전에 기여할 만한 학문적 수월성을 지녀야 한다.

2. 논문 기고는 회비를 납부한 정회원에 한해 가능하며, 준회원과 기타 사회 인사는 정회원과의

공저에 한하여 투고할 수 있다.

3. 기고논문은학회홈페이지(www.kaisnet.or.kr)나학회지편집전용이메일([email protected])

로제출하며, 논문접수후3일이지나도록학회로부터회신이없을경우사무국에접수여부를확인

한다.

4. 논문 게재자는 학회가 정한 게재료(게재료 10만원, 연구비 수혜논문일 경우 추가 게재료 10만

원)와 별쇄본 비용(5만원)을 납부해야 한다.

Ⅱ. 원고의 분량

1. 원고분량은 각주, 표, 그림이 포함된 본문과 참고문헌을(초록과 키워드는 제외) 합하여 A4 용

지 20매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20매를 넘을 경우 초과 분량에 해 학회가 정한 별도의 추가

경비(A4 1매당 5만원)를 지불한다.

2. 원고분량을 A4 용지로 계산할 때 아래와 같은 <한 > 초기(default) 지정치를 기준으로 한다.

Ⅲ. 원고의 구성

1. 본문은 순 한 을 원칙으로 하며 한자, 외국어 등은 의미전달 상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첫

번째 한 옆 괄호 속에 기재한다.

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용지여백 (A4 기준)

위쪽 20㎜ / 아래쪽 15㎜ / 왼쪽 30㎜ / 오른쪽 30㎜ / 머리말 15㎜ / 꼬리말 15㎜ / 제본 0㎜

�본문

꼴: 바탕 / 자크기: 10point / 장평: 100% / 자간: 0% / 들여쓰기: 10point / 줄간격: 160%

�각주

꼴: 바탕 / 자크기: 9point / 장평: 95% / 자간: -5% / 내어쓰기: 10point / 줄간격: 130%

Page 287: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4 國際政治�叢 제51집 4호, 2011

2.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항목별 소번호는 다음 예에 따른다.

예: Ⅱ, 2, 2), ⑵, 나

3. 각주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가급적 간략하게 작성하며, 그 형식은 아래 각주 작성요령을 참

고한다.

4. 참고문헌은 새로운 면에 참고문헌 제목을 단 후 시작하며, 그 형식은 아래 참고문헌 작성요령

을 참고한다.

5. 표와 그림은 본문 내 적절한 위치에 <표 1> <그림 1>의 형식으로 순서를 매겨 삽입하며, 출처

는 표나 그림 바로 아래에 제시한다. 예: 출처: 한국은행, 『통계연감』(1985), pp. 1-2.

Ⅳ. 저자의 익명성 처리

1. 논문 기고자는 저자의 익명성을 지키는 데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심사용 원고의 경우 겉표지

외에는 저자 성명, 소속기관명, 인터넷주소, 동료에 한 감사의 등 저자의 신원이 파악될

수 있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해서는 안 된다.

2. 기고자 자신이 이전에 출판한 문헌을 심사용 원고의 각주나 참고문헌에 인용하는 것은 가급적

피하도록 하며, 논의의 전개 상 그 인용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저자 이름을 적절한 가명으로 바

꾸어 각주와 참고문헌을 작성하도록 한다. 게재가 확정된 후에는 저자의 신원을 밝힐 수 있다.

3. 논문 기고 일년 이내의 시점에 공식 학회나 세미나에서 발표한 원고를 이전과 동일한 제목으

로 제출할 경우 발표 당시의 학술회의명과 패널리스트(사회자, 발표자, 토론자 전원) 명단을

논문접수 시에 알려야 한다. 해당 정보의 누락으로 동일 패널리스트가 논문을 심사한 경우 편

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심사결과가 무효 처리될 수 있다.

4. 논문 접수 시 저자의 신원이 파악되는 원고는 기고자에게 반송되며, 시정 후 다시 제출된 시점

을 논문 접수시점으로 한다.

Ⅴ. 각주 작성요령

�著書

1) 박경서, 『국제정치경제론』(서울: 법문사, 1985), p. 120.

2) Samuel P. Huntington,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68), p. 12.

��文

3) 양성철, “북한정치연구,”『국제정치논총』제34집 ⑵호 (1994), pp. 5-18.

4) Richard J. Anderson, “Marxism and Secular Faith,”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9-3 (September 1965), pp. 627-40.

Page 288: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295국제정치논총 논문작성요령

�再引用

5) 박경서 (1985), p. 125.

6) Huntington (1968), p. 30.

7) 양성철 (1994), p. 15.

8) Anderson (1965), p. 30.

�編著書

9) 이홍구, “마르크스와 정치이론,”이홍구(편), 『마르크시즘 100년』(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4), p. 129.

10) Susan Strange, “IMF: Monetary Managers,”in Robert W. Cox and Harold

Jacobson (eds.), The Anatomy of Influ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73), p. 277.

�인터넷 자료

웹 주소의 검색일자를 명기하여야 한다.

예) 홍길동, “한국의 외교정책,”http://www.technorealism.org (검색일: 1999. 2. 12).

Ⅵ. 참고문헌 작성요령

1. 참고문헌에는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정보를 기재하며, 본문과 각

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2. 참고문헌은 한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어 문헌, 기타 외국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

어 등) 문헌 순으로 배열하며, 각 문헌별로 가나다순 혹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한다.

�著書

1) 박경서. 『국제정치경제론』서울: 법문사, 1985.

2)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New Have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1968.

��文

3) 양성철. “북한정치연구.”『국제정치논총』제34집 2호 (1994).

4) Anderson, Richard J. “Marxism and Secular Faith.”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9-3 (September 1965).

�인터넷 자료

5) 홍길동. “한국의 외교정책.”http://www.technorealism.org (검색일: 1999. 2. 12).

Page 289: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Table of Contents

Non-proliferation and Network Politics :

Theory and Practice

The Green Growth Theory and Developing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Political Economic Causes and Theoretical Problems

Mutual Security Act (1951) and the U.S. Foreign Aid Debate in the 1950s

The Evolution of Japanes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Change of Foreign Policy toward Asia

A Choice between Pro-China or Anti-America :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National Image of China among South Koreans

Japan’s China Policy under the Rule of LDP an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1955-1971 :

Bureaucratic Politics, Faction Politics, and Pro-Chinese Alliance

The Study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Triple-boundary Cultural Identity’ of People, Attributions of One’s Homeland, Reality

Building an Immigrant Nation under Federalism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ench Position o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to the Country of Origin

Research Note on Main Issu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tical Upheaval in Arab States 2011

Bong-Jun Ko

Yeonho Lee

Young-June Park

Seung-won SUH

Keun Woo Nam

Okyeon Yi

Sunhee Park

Nam-sik In

Gon Namkung Seo Young Lee

Sang Sin Lee Hee Kyoung Chang

<Articles>

Page 290: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국제정치논총 51집, KJIS Vol. 9 심사자

강상규(한국방송통신 ) 고봉준(충남 ) 고상두(연세 )

고유환(동국 ) 구갑우(북한 학원 ) 길병옥(충남 )

김갑식(국회 입법조사처) 김경순(국방 ) 김근식(경남 )

김기석(강원 ) 김남국(고려 ) 김동명(국민 )

김면회(한국외 ) 김명섭(연세 ) 김민정(서울시립 )

김범수(서울 ) 김상배(서울 ) 김상준(연세 )

김성진(덕성여 ) 김성철(세종연구소) 김연규(한양 )

김 수(서강 ) 김 진(국민 ) 김 호(국방 )

김용찬( 구가톨릭 ) 김용철(전남 ) 김용호(연세 )

김용호(인하 ) 김 욱(배재 ) 김의곤(인하 )

김의 (서울 ) 김 인(한양 ) 김일수(충북 )

김재천(서강 ) 김재철(가톨릭 ) 김재한(한림 )

김종법(서울 ) 김주찬(광운 ) 김주홍(울산 )

김준석(가톨릭 ) 김준섭(국방 ) 김진 (부산 )

김치욱(울산 ) 김태현(중앙 ) 김태호(한림국제 학원)

김학노( 남 ) 김학성(충남 ) 김희강(고려 )

나정원(강원 ) 남궁 곤(이화여 ) 남기정(서울 )

남창희(인하 ) 류상 (연세 ) 마상윤(가톨릭 )

문 돈(경희 ) 문흥호(한양 ) 민병원(이화여 )

박건 (가톨릭 ) 박 광(한국국방연구원) 박사명(강원 )

박수헌(경희 ) 박 준(국방 ) 박인휘(이화여 )

박재적(통일연구원) 박채복(숙명여 ) 박철희(서울 )

박한규(경희 ) 박홍서(동덕여 ) 박흥순(선문 )

배병인(국민 ) 배 자(건국 ) 백우열(성균관 )

백창재(서울 ) 서정민(한국외 ) 서창록(고려 )

손기섭(한국외 ) 손혁상(경희 ) 송석원(경희 )

신두철(선거연수원) 신범식(서울 ) 신봉수(고려 )

신상범(연세 ) 신성호(서울 ) 신욱희(서울 )

신유섭(연세 ) 신정화(동서 ) 심경욱(한국국방연구원)

안문석(한서 ) 안병억(서울디지털 ) 안상욱(부경 )

안외순(한서 ) 양기웅(한림 ) 양기호(성공회 )

오경택(전남 ) 오 달(충남 ) 우승지(경희 )

우평균(통일연구원) 유동원(국방 ) 유성진(이화여 )

유진숙(배재 ) 윤광일(서울 ) 윤덕희(명지 )

※2011년 한 해 동안 바쁜 일정 속에서도 심사에 협조해주셔서 단히 감사합니다.

Page 291: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윤이숙(광운 ) 이근수(한국국방연구원) 이금순(통일연구원)

이 우(세종연구소) 이동선(고려 ) 이동휘(외교안보연구원)

이면우(세종연구소) 이문기(세종 ) 이병하(연세 )

이상신(서울 ) 이석수(국방 ) 이소 ( 구 )

이수석(국가안보전략연구소) 이수형(국가안보전략연구소) 이승주(중앙 )

이연호(연세 ) 이왕휘(아주 ) 이원웅(관동 )

이유진(숙명여 ) 이재승(고려 ) 이정남(고려 )

이조원(중앙 ) 이지수(명지 ) 이지은(한국외 )

이춘근(한국경제연구원) 이혜정(중앙 ) 이호철(인천 )

이홍섭(국방 ) 이희옥(성균관 ) 인남식(외교안보연구원)

임성호(경희 ) 임수환(국가안보전략연구소) 임혜란(서울 )

장덕준(국민 ) 장승진(국민 ) 장지향(아산정책연구원)

전경옥(숙명여 ) 전복희(한국항공 ) 전상숙(이화여 )

전성흥(서강 ) 전재성(서울 ) 전제성(전북 )

전진호(광운 ) 정경 (가톨릭 ) 정규섭(관동 )

정기웅(한국외 ) 정미애(국민 ) 정성임(육군사관학교)

정성장(세종연구소) 정우탁(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정정숙(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하용(경희 ) 정흥모(성균관 ) 조성환(경기 )

조희정(국회 입법조사처) 차동욱(동의 ) 차두현(한국국제교류재단)

차창훈(부산 ) 최운도(동북아역사재단) 최준 (인하 )

최진우(한양 ) 하상식(창원 ) 한용섭(국방 )

현승수(한양 ) 홍용표(한양 ) 홍우택(통일연구원)

홍현익(세종연구소) 황 주(부산외 ) 황재호(한국외 )

황지환(서울시립 )

Page 292: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편 집 후 기

2012년 용의 해가 밝고 있습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님들께서 뜻하시는 바 모두

이루시는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2011년도에 발간된 국제정치논총 제 51집은 2010년도의 제 50집과 비교했을 때

체로 두께가 얇았습니다. 2011년에는 기고 논문의 수와 게재 논문의 수가 2010년

에 비해 모두 적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무엇보다도 한국연구재단의 심사를 통해 정해지

는 학술지 등급제도 상에서 국제정치논총이 2011년 한 해 동안‘등재지’가 아닌‘등재

후보지’의 등급에 속해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제정치논총이

한시적으로나마 등재후보지가 되었던 이유는 2010년에 국제정치논총에서 문호를 분

리해 별도의 학술지로 등록했기 때문입니다. 국 문 학술지의 분리는 문지의 SSCI 등

재를 추진하기 위해서 습니다. 뉴스레터와 온라인 공지문을 통해 수차례 우리 회원님

들께 공지해 드린 바와 같이 한국연구재단의 규정에 따르면 기존의 학술지를 국문호와

문호로 분리할 때에는 분리된 두 개의 학술지가 모두 자동적으로 원래의 등급보다 한

등급 아래의 지위로 하락하게 됩니다. 이 규정에 의거해 국제정치논총은 일시적으로 등

재후보지가 되었습니다만, 2011년 말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평가 결과에 따라 다시

‘등재지’로서의 등급을 회복했고, ‘등재지’등급은 2011년도에 기발행된 51집 1호부

터 4호에 해서도 모두 소급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우리 학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문

저널인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의 등급 판정과 관련된

평가 절차는 이 편집 후기를 작성하고 있는 현 시점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학술지 등급 변동에 따른 고려 때문에 일시적으로 기고 논문의 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심사 과정은 변함없이 엄격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어 예년과 비슷한 수준의 게재율을 기

록하고 있습니다. 설령 논총이 얇아지더라도 게재논문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

하다고 본 편집위원회의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등급의 일시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심사

자로 수고해 주신 우리 회원님들 또한 국제정치논총이 한민국 정치학계에서 최고의

학술지라는 자부심을 공유하고 있어 변함없이 성실하고 엄정하게 심사를 해 주셨기 때

문이기도 합니다.

국제정치논총에 한 회원님들의 애정과 기여에 힘입어 국제정치논총은 해가 갈수록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국제정치논총은 이미 웬

만한 SSCI급 학술지에 비해 결코 질적 수준이 뒤떨어지지 않을 것이라 감히 생각해 봅

니다. 국제정치논총은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의 하나로서 학계에 몸담고 있는

우리 모두가 같이 고민하고 논쟁해야할 화두를 던지고 담론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

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계속 해나가기 위해서는 결국 우리 회원님들께서 꾸준히 좋은 논

문을 투고해 주시고, 또 심사자 선생님들께서 투고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해 엄격하고

꼼꼼하게 심사를 해 주시는 것이 가장 중요하리라 생각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좋은 을 보내주신 기고자 선생님들, 그리고 바쁘신 시간을 쪼개어

심사 의뢰된 논문을 면 하게 검토하시고 건설적인 비판과 제언을 아끼지 않으신 심사

자 선생님들께 머리 숙여 깊이 감사드립니다. 2012년에도 우리 논총과 학회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할 수 있도록 회원님들의 관심어린 성원을 부탁드리면서, 회원님들 모두가

건승하시는 한 해가 되기를 빌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총괄위원 최 진 우 배상

Page 293: 國際政治 叢s-space.snu.ac.kr/bitstream/10371/83398/1/논총51집4호... · 2019-04-29 · 目次 핵비확산과네트워크세계정치: 고봉준∙ 7 이론과실제 아∙태지역의개발도상국과녹색성장론:

“이 학술지는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國際政治�叢 第51集 4號

印 刷 2011年 12月 27日發 行 2011年 12月 31日

發行處 : 社團法人 韓國國際政治學會編輯人 : 韓國國際政治學會編輯委員會住 所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67-4번지

한국국제정치학회 회관 401호TEL. (02)325-0372~3FAX. (02)325-0355E-mail : [email protected] : www.kaisnet.or.kr

인 쇄 : 명 P & P COM TEL. (02)722-0586

�본 논총에 게재된 논문은 본 학회의 의견이 아니며필자 각자가 그 내용에 하여 책임을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