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 Upload
    others

  • View
    8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좌 현 숙

Page 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Page 3: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Page 4: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 4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1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2

실천모델과 기술 3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목차

Page 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집단 대상사회복지실천 6

사회복지실천평가 7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목차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5

Page 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오늘 내용

0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 02 사회복지 실천기술 03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Page 7: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전문지식

실천기술 가치

사회복지실천의 3대 축

Page 8: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관점/시각

패러다임

이론

모델

실천지혜

실천현장

구체성

추상성

0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

1) 실천지식의 차원

실천에 영향을 주는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패러다임, 시각, 이론,

모델 등의 형태로 구분

Page 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실천지식: 패러다임

Khun(쿤): “한 시대를 지배하는 과학적 인식, 이론,관습,사고, 관념,

가치관 등이 결합된 총체적인 틀 또는 개념의 집합체”

추상적인 수준의 개념적 틀, 세계관과 현실에 대한 인식의 방향을 결정

•토마스 쿤 (Thomas Samuel Kuhn) 미국, 사회학자, 철학자 1922 - 1996년 • 패러다임 개념 창안, [과학혁명의 구조] • “과학은 누적적으로 발전한다?” “혁명적으로 발전한다” 첫번째 정상과학 → 위기 → 첫번째 과학혁명 → 두번째 정상과학 → 위기 → 두번째 과학혁명 →세번째 정상과학

Page 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전통적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 1960년대 이전): 의료적 개념

진단과 치료의 개념을 중심으로 실천과정 인식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실천과정을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이라고 인식하여 개인의 심리치료에 주력

1960년대 이후

환경적 요인에 대한 관심,탈상황적인 심리치료적 접근에 대한 한계 인식 → 인간과 환경 사이의 적응적 관계에 관심갖는 생태적개념의 패러다임

1980년대 이후

클라이언트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강조하는 소비자 중심의 패러다임

의료적 개념의 패러다임

생태적 개념의 패러다임

소비자 중심의 패러다임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 변화 1960년대 1980년대 1900년대 전후

Page 1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실천지식: 관점/시각

관점/시각

관점/시각(perspective)은 개념적 준거틀

관심영역과 가치, 대상들을 규정하는 사고체계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다양한 이데올로기적인 스펙트럼을 반영하면서 보수주의적 관점으로부터 급진적 관점까지 다양하게 구성

개인과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과 가치의 차이를 반영하므로 관점들 간 상호배타적인 경우가 많음

병리적 관점 vs 강점 관점

Page 1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실천지식: 이론

사회복지실천 이론

사회복지실천이 개인의 적응과 사회변화라는 개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기 필요한 이론들을 선택하며 발전한 배경과

관련됨

이론(theory)

특정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이나 개념, 의미의 집합체

현실을 구조화하고 객관화하는 과정 속에서, 추상적 수준의 관점이 구체화된 것

정신역동 이론 , 인지행동이론, 임파워먼트 이론 등

Page 13: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실천지식 : 모델

사회복지실천 모델의 두 가지 유형

관점과 이론을 배경으로 기술적 과정을 도출한 것

정신분석 이론과 정신분석 모델, 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수정모델,

인지이론과 합리적 정서적 치료 등

단일한 이론적 배경을 갖지 않는 절충주의적 모델

심리사회모델, 과제중심 모델

모델(model)

실천활동의 원칙과 방식을 구조화시킨 것

실천과정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기술적 적용방법 제시

Page 14: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그림 1-2] 실천모델의 이론적 관계

교과서 21쪽

Page 1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실천지혜/ 직관/ 암묵적 지식

실천지혜(practice wisdom),암묵적 지식,직관

실천현장에서 귀납적으로 만들어진 지식

의식적으로 표현하거나 구체적으로 명시할 수 없는 지식으로서

개인의 가치체계와 경험으로부터 얻어진 것

사회복지사의 직관에 의존하는 비구조화된 지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통한 앎을 강조하는 사회복지실천에서

경험적으로 얻어지는 이러한 유형의 지식은 사회복지사의

사고와 행동에 절대적 영향을 미침

Page 1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기초지식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적,

인류학 등 기초 사회

과학으로부터

얻어지는 지식

실천지식의 종류

전문지식

인간행동과 발달에 관한 지식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

실천이론과 모델에 관한 지식

특정분야나 대상집단에 관한 지식

사회정책과 서비스에 관한 지식

사회복지사 자신에 관한 지식

Page 17: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전문지식

실천기술 가치

사회복지실천의 3대 축

Page 18: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Your site here

02 사회복지실천 기술

기술(skill)

솜씨나 재능, 자원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것

사물을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사회복지사의 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

대화나, 클라이언트의 문제, 욕구, 능력 등에 대한 사정,

자원개발과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데 있어서의 숙련성

지식과 가치를 조화시켜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실천 요소

Page 1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사회복지실천기술(p. 27)

18

사회복지실천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전문가적인 목적과 이해를 기초로 타인의 말을 경청하는 기술

자료를 찾아 의미있게 조합하는 능력

전문적 원조관계를 형성 발전시키며, 자신을 도구로 활용하는 기술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관찰, 해석 하며, 관련이론이나 진단방법을 활용하는 기술

클라이언트와 초기관계를 맺고 신뢰감을 획득하는 기술

민감한 정서적 주제를 지지적 방식으로 다루는 기술

갈등적 관계에 놓인 양측을 중재하고 협상하는 기술 등

Page 2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Your site here

사회복지실천 기술의 특징

다양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목적달성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기술 활용

실천 상황에 맞는 실천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필요

보편적인 어느 상황이나 문제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것 아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지식에 근거

지식을 기반으로 하므로 개발 및 학습 가능

사회복지실천은 각기 다른 상황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 적절한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요구됨

Page 21: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03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p.31)

사회복지직은 전문직인가?

사회복지사는 전문가인가?

Page 2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1915년 미국의 전국자선단체 및 교정대회(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에서

「사회복지는 전문직인가? Is social work a preofession?」

라는 논문을 통해 사회복지는 전문직으로서 5가지

특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주장

Page 23: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플렉스너 Abraham Flexner

플렉스너 연설

사회복지는 사회과학적 기초가

결여되어 있다.

독자적이고 명확한 지식체계 및

전수할 만한 전문기술이 결여되어

있다.

정부의 책임 아래 실시되는 교육

및 전문적 자격제도가 없다.

전문적 조직체가 없다.

전문적 실천에 대한 강령이 없다.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미국, 1866. ~ 1959

Page 24: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결함의 근원은 무엇일까?

플렉스너 왈

“사회복지의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경계를 정하기가 불가능하다”

“전문직은 확실하고 구체적인 경계가

있어야 하는데 사회복지사의 업무는

너무 넓고 다양하며, 따라서 짜임새

있고 목적적으로 조직된 교육적

훈련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Page 2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하여,

사회복지의 초점을 좁히고

교육적으로 소통가능한 기법개발 위해 노력

사회복지실천 기본 이론 구축 프로이드, 메리 리치몬드

교육훈련제도 도입 1919년까지 17개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설립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의 정교화 우애방문원 교육,수퍼비젼 제공

보수체계정립: 유급자원봉사자

전문가협회설립: 미국사회복지사협회 등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제정

플렉스너 비판 이후의 변화

Page 2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onam/jwahyunsuk/1.pdf · 사회복지 전문직 논란의 역사 플렉스너(Flexner)의 연설

그린우드가 제시한 전문직의 속성

그린우드(Greenwood)

1957년 「전문직의 속성(Attributes of a Profession)」이라는 글에서

전문직의 속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

사회복지직은 이미 전문직이라 규정하고 계속적으로 전문직화를 추구해

나가는 과정 속에 있다고 평가

전문직의 속성 ★★

체계적인 이론(체계화된 지식기반과 기술)

전문적인 권위

사회적인 승인(재가)

윤리강령

전문직 문화(공유된 전문적 가치와 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