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호주 달러 강세, 그 원인과 시사점 동남아시아와 남미를 중심로 신흥 통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외환시도 점차 안정 찾 다. 주목할만한 주목할만한 주목할만한 주목할만한 점은 점은 점은 점은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와 달러와 달러와 달러와 뉴질랜드 뉴질랜드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의 달러의 달러의 달러의 통화가치 통화가치 통화가치 통화가치 상승 상승 상승 상승다. 특히 3 후 호주 달러는 달러 대비 3.6% 절상되어 콜롬비아 페소(4.2%)와 터키 리라(3.8%)에 어 3번째로 강세를 나타냈다. 호주 달러는 통상적로 차나 리스크나 재 가격 하락에 민감하다. 중 호주 최대 역로, 호주 주요 수출상품 철석 석탄, 리 등 최대 수요처 기 때다. 중 제가 부진하면 호주 달러 역시 그 가치가 약세를 면치 했다. 그러나 최근 중발 신용리스크 발생에 따른 금시 변동성 확대와 재 가격 하락에도 불하 호주 달러는 안정적 흐름 어가 다. 처럼 호주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는 에는 대내적 요 대외적 요 함께 맞려 다.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가 달러가 달러가 달러가 강세를 강세를 강세를 강세를 나타내고 나타내고 나타내고 나타내고 있는 있는 있는 있는 대내적인 대내적인 대내적인 대내적인 배경은 배경은 배경은 배경은, , , , 내수 내수 내수 내수 경가 경가 경가 경가 예상보다 예상보다 예상보다 예상보다 호조를 호조를 호조를 호조를 보이면서 보이면서 보이면서 보이면서 RBA RBA RBA RBA의 완화적이었던 완화적이었던 완화적이었던 완화적이었던 통화정책 통화정책 통화정책 통화정책 조가 조가 조가 조가 이처럼 이처럼 이처럼 이처럼 중립 중립 중립 중립 성향으로 성향으로 성향으로 성향으로 이동 이동 이동 이동했기 때로 판단된다. 호주 제가 산업 주 성 높 중 존도에서 벗어나, 내수 중심 성 기반 축 할 것라는 기대감 호주 달러 추가 강세를 지지할 것로 보다. 더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 대외적 요다. 최 나타나고 나타나고 나타나고 나타나고 있는 있는 있는 있는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의 달러의 달러의 달러의 강세는 강세는 강세는 강세는 위험자산 위험자산 위험자산 위험자산 선호 선호 선호 선호 심리의 심리의 심리의 심리의 개선을 개선을 개선을 개선을 방증 방증 방증 방증하 다는 판단다.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에 달러에 달러에 달러에 투영된 투영된 투영된 투영된 ‘Risk On Risk On Risk On Risk On’ 시 그널은 그널은 그널은 그널은 더 나아가 나아가 나아가 나아가 캐리 캐리 캐리 캐리 트레이드 트레이드 트레이드 트레이드 환경의 환경의 환경의 환경의 개선을 개선을 개선을 개선을 시사 시사 시사 시사하 다. 미국과 미국과 미국과 미국과 중국의 중국의 중국의 중국의 경 경 모멘텀이 모멘텀이 모멘텀이 모멘텀이 회복 회복 회복 회복 가능성이 가능성이 가능성이 가능성이 높고 높고 높고 높고, , , , 중국과 중국과 중국과 중국과 유럽의 유럽의 유럽의 유럽의 경부양책에 경부양책에 경부양책에 경부양책에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가 대가 대가 대가 높은 높은 높은 높은 현 국면에서는 국면에서는 국면에서는 국면에서는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 달러 달러 달러의 추가 추가 추가 추가 강세가 강세가 강세가 강세가 예상 예상 예상 예상된다. 특히 재 가격 하락에도 불 하 강세를 보였던 호주 달러 직에는, 중 기 착륙에 대한 려보다는 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녹아 들어다는 판단다.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 거래 추를 살펴보면, 순매도 규모가 큰 폭로 감소해 추가 강세에 대한 기대감 높아지 확할 수 다. 호주 호주 호주 호주 달러에 달러에 달러에 달러에 투영된 투영된 투영된 투영된 ‘Risk On Risk On Risk On Risk On’ 시그널은 시그널은 시그널은 시그널은 이머징 이머징 이머징 이머징 주식시장으로의 주식시장으로의 주식시장으로의 주식시장으로의 자 자 유입을 유입을 유입을 유입을 자극 자극 자극 자극할 것로 보다. 미 지난 3 25 후 ishare MSCI EM ETF 좌수는 7.4%가까 증가 했다. 머징마켓로 지속적 금 주가를 끌어올리는 동력 될 것며, 국내 국내 국내 국내 주식시장의 주식시장의 주식시장의 주식시장의 외국인 외국인 외국인 외국인 수 수 개선에도 개선에도 개선에도 개선에도 정적인 정적인 정적인 정적인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미칠 미칠 미칠 미칠 것다. 시황전망 2014.4.4 투자전략 이정민 02-768-3267 [email protected]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 Upload
    fngenii

  • View
    222

  • Download
    3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호주 달러 강세, 그 원인과 시사점

동남아시아와 남미를 중심으로 신흥국 통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외환시장도

점차 안정을 찾고 있다. 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 점은점은점은점은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와달러와달러와달러와 뉴질랜드뉴질랜드뉴질랜드뉴질랜드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통화가치통화가치통화가치통화가치 상승상승상승상승이다.

특히 3월 이후 호주 달러는 달러 대비 3.6% 절상되어 콜롬비아 페소(4.2%)와 터키

리라(3.8%)에 이어 3번째로 강세를 나타냈다.

호주 달러는 통상적으로 차이나 리스크나 원자재 가격 하락에 민감하다. 중국은 호주

의 최대 교역국으로, 호주의 주요 수출상품인 철광석과 석탄, 구리 등의 최대 수요처

이기 때문이다. 중국 경제가 부진하면 호주 달러 역시 그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발 신용리스크 발생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원자재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호주 달러는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호주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는 원인에는 대내적인 요인과 대외적인 요인이 함께 맞물려 있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가달러가달러가달러가 강세를강세를강세를강세를 나타내고나타내고나타내고나타내고 있는있는있는있는 대내적인대내적인대내적인대내적인 배경은배경은배경은배경은, , , , 내수내수내수내수 경기가경기가경기가경기가 예상보다예상보다예상보다예상보다 호조를호조를호조를호조를 보이면서보이면서보이면서보이면서

RBARBARBARBA의의의의 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기조가기조가기조가기조가 이처럼이처럼이처럼이처럼 중립중립중립중립 성향으로성향으로성향으로성향으로 이동이동이동이동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호주 경제가 광산업 위주의 성장과 높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 내수 중심의 성장

기반 구축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호주 달러의 추가 강세를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더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대외적인 요인이다. 최근최근최근최근 나타나고나타나고나타나고나타나고 있는있는있는있는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강세는강세는강세는강세는

위험자산위험자산위험자산위험자산 선호선호선호선호 심리의심리의심리의심리의 개선을개선을개선을개선을 방증방증방증방증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에달러에달러에달러에 투영된투영된투영된투영된 ‘‘‘‘Risk OnRisk OnRisk OnRisk On’’’’ 시시시시

그널은그널은그널은그널은 더더더더 나아가나아가나아가나아가 캐리캐리캐리캐리 트레이드트레이드트레이드트레이드 환경의환경의환경의환경의 개선을개선을개선을개선을 시사시사시사시사하고 있다.

미국과미국과미국과미국과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경기경기경기경기 모멘텀이모멘텀이모멘텀이모멘텀이 회복회복회복회복 가능성이가능성이가능성이가능성이 높고높고높고높고, , , , 중국과중국과중국과중국과 유럽의유럽의유럽의유럽의 경기부양책에경기부양책에경기부양책에경기부양책에 대한대한대한대한 기대가기대가기대가기대가

높은높은높은높은 현현현현 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달러달러달러의의의의 추가추가추가추가 강세가강세가강세가강세가 예상예상예상예상된다. 특히 원자재 가격의 하락에도 불

구하고 강세를 보였던 호주 달러의 움직임에는, 중국 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려보다는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녹아 들어있다는 판단이다.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 거래

추이를 살펴보면, 순매도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해 추가 강세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에달러에달러에달러에 투영된투영된투영된투영된 ‘‘‘‘Risk OnRisk OnRisk OnRisk On’’’’ 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 이머징이머징이머징이머징 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 자금자금자금자금 유입을유입을유입을유입을 자극자극자극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 3월 25일 이후 ishare MSCI EM ETF의 좌수는 7.4%가까이 증가

했다. 이머징마켓으로의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결국 주가를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국내국내국내국내 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 외국인외국인외국인외국인 수급수급수급수급 개선에도개선에도개선에도개선에도 긍정적인긍정적인긍정적인긍정적인 영향을영향을영향을영향을 미칠미칠미칠미칠 것것것것이다.

시황전망 2014.4.4

투자전략 이정민 02-768-3267 [email protected]

Page 2: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시황전망 2014.4.4

호주 달러 강세에 주목. 그 원인은?

동남아시아와 남미를 중심으로 신흥국 통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외환시장도 점

차 안정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취약통화로 꼽혔던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브라질 헤알

화 역시 연초 이후 각각 달러 대비 7.8%와 4.1% 절상되었다.

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주목할만한 점은점은점은점은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와달러와달러와달러와 뉴질랜드뉴질랜드뉴질랜드뉴질랜드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통화가치통화가치통화가치통화가치 상승상승상승상승이다. 특히 3월 이후 호주 달러

는 달러 대비 3.6% 절상되어 콜롬비아 페소(4.2%)와 터키 리라(3.8%)에 이어 3번째로

강세를 나타냈다. 3월 말에는 0.9263달러로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는달러는달러는달러는 통상적으로통상적으로통상적으로통상적으로 차이나차이나차이나차이나 리스크나리스크나리스크나리스크나 원자재원자재원자재원자재 가격가격가격가격 하락에하락에하락에하락에 민감민감민감민감하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교역국으로, 호주의 주요 수출상품인 철광석과 석탄, 구리 등의 최대 수요처이기 때문이

다. 중국 경제가 부진하면 호주 달러 역시 그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최근최근최근최근 중국발중국발중국발중국발 신용리스크신용리스크신용리스크신용리스크 발생에발생에발생에발생에 따른따른따른따른 금융시장의금융시장의금융시장의금융시장의 변동성변동성변동성변동성 확대와확대와확대와확대와 원자재원자재원자재원자재 가격가격가격가격 하락에도하락에도하락에도하락에도

불구하고불구하고불구하고불구하고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는달러는달러는달러는 안정적인안정적인안정적인안정적인 흐름흐름흐름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호주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

는 원인에는 대내적인 요인(내수지표 개선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과 대외적인 요

인(위험자산 선호심리 및 캐리트레이드 환경의 개선)이 함께 맞물려 있다는 판단이다.

그림그림그림그림 1111. . . . 3333월월월월 이후이후이후이후 강세를강세를강세를강세를 나타내고나타내고나타내고나타내고 있는있는있는있는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달러달러달러 그림그림그림그림 2222. . . . 2014201420142014년년년년 이후이후이후이후 원자재원자재원자재원자재 가격가격가격가격 하락에도하락에도하락에도하락에도 불구불구불구불구, , , ,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달러달러달러 반등반등반등반등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호주 달러 강세의 원인 1) 내수지표 개선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감 약화

호주중앙은행(RBA)은 지난 4월 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 지

난해 8월 이후 7개월 째 사상 최저수준을 유지했다. 호주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대내적인 배경은, 내수내수내수내수 경기가경기가경기가경기가 예상보다예상보다예상보다예상보다 호조를호조를호조를호조를 보이면서보이면서보이면서보이면서 RBARBARBARBA의의의의 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완화적이었던 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통화정책 기조기조기조기조

가가가가 이처럼이처럼이처럼이처럼 중립중립중립중립 성향으로성향으로성향으로성향으로 이동이동이동이동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과거 호주 경제 성장을 견인해왔던 광산업이 중국을 비롯한 이머징국가의 수요 위축으로

흔들리자, 호주중앙은행은 중국에 대한 경기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를 진작시키기 위해

2011년부터 금리인하를 단행해왔다(2011년 9월 4.75% → 2013년 8월 2.5%).

-3

-2

-1

0

1

2

3

4

5

콜롬비아

터키호주인도브라질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러시아

남아공

멕시코

칠레한국싱가포르

태국캐나다

대만홍콩말레이시아

유로폴란드

필리핀

체코스위스

영국중국아르헨티나

일본

달러 대비 통화 절상률 (2월 말 대비)

(%)

0.85

0.90

0.95

1.00

1.05

1.1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3.1 13.4 13.7 13.10 14.1 14.4

중국의 철광석 수입가격 (L)

달러/호주달러 (R)

(달러/톤) (USD/AUD)

Page 3: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시황전망 2014.4.4

내수 경기의 바로미터인 주택가격은 저금리에 힘입어 상승세를 지속했다. 광산업 부문의

위축으로 실업률은 다소 높은 수준을 이어갔지만,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로 민

간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글렌 스티븐스 RBA 총재 역시 ‘수요가 광업 중심

으로 증가하던 것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민간 부문에서 증가하기 시작했다는 시그널이 나

타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내수 부문이 호조를 보이면서 물가의 상승세도 지속되었다. 4분기 소비자물가 상

승률은 2.7%를 기록, RBA의 물가 목표치(2.25~3.25%)의 하단 및 기준금리를 상회했다.

그 동안 인플레이션에 선제적 대응을 해온 RBA가 7개월째 금리를 동결한 이유도 여기

에 있다고 본다.

호주호주호주호주 경제가경제가경제가경제가 광산업광산업광산업광산업 위주의위주의위주의위주의 성장성장성장성장과과과과 높은높은높은높은 중국중국중국중국 의존도에서의존도에서의존도에서의존도에서 벗어나벗어나벗어나벗어나, , , , 내수내수내수내수 중심의중심의중심의중심의 성장성장성장성장 기반기반기반기반 구축구축구축구축을을을을

할할할할 것이라는것이라는것이라는것이라는 기대감기대감기대감기대감은은은은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달러달러달러의의의의 추가추가추가추가 강세를강세를강세를강세를 지지지지지지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달 고용

및 소비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자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숏 포지션은 크게 축소된 바

있다.

그림그림그림그림 3333. . . . 인플레이션에인플레이션에인플레이션에인플레이션에 선제적선제적선제적선제적 대응을대응을대응을대응을 해온해온해온해온 호주호주호주호주, 7, 7, 7, 7개월째개월째개월째개월째 기준금리기준금리기준금리기준금리 동결동결동결동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그림그림그림 4444. . . . 광업부문의광업부문의광업부문의광업부문의 위축으로위축으로위축으로위축으로 실업률실업률실업률실업률 상승세상승세상승세상승세 지속지속지속지속 그림그림그림그림 5555. . . . 금리금리금리금리 인하인하인하인하 효과로효과로효과로효과로 주택가격주택가격주택가격주택가격 상승세상승세상승세상승세 지속지속지속지속

자료: CEIC,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

1

2

3

4

5

6

7

8

07.3 07.9 08.3 08.9 09.3 09.9 10.3 10.9 11.3 11.9 12.3 12.9 13.3 13.9 14.3

호주 기준금리 호주 소비자물가 상승률 (YoY)

(%)

물가상승률, 목표치(2.25~3.25%) 및

기준금리 상회

3.0

4.0

5.0

6.0

7.0

8.0

0

50

100

150

200

250

30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호주 광업 취업자수 (L)

호주 실업률 (R)

(천명) (%)

-10

-5

0

5

10

15

20

25

05.3 06.3 07.3 08.3 09.3 10.3 11.3 12.3 13.3

주택가격 상승률 (YoY)

주택가격 상승률 (QoQ)

(%)

Page 4: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시황전망 2014.4.4

호주 달러 강세의 원인 2) 위험자산 선호 심리의 개선

글로벌 금융시장 측면에서 더 중요하게 보아야 할 점은 대외적인 요인이다. 최근최근최근최근 나타나나타나나타나나타나

고고고고 있는있는있는있는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강세는강세는강세는강세는 위험자산위험자산위험자산위험자산 선호선호선호선호 심리심리심리심리의의의의 개선을개선을개선을개선을 방증방증방증방증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글로벌 리스크 프리미엄 지표인 EMBI+스프레드와 호주 달러는 역의 상관관계를 지닌

다. EMBI+스프레드는 이미 2월초 고점을 찍고 빠르게 안정되기 시작했고, 호주 달러 역

시 강세를 나타냈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에달러에달러에달러에 투영된투영된투영된투영된 ‘‘‘‘Risk OnRisk OnRisk OnRisk On’’’’ 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 더더더더 나아가나아가나아가나아가 캐리캐리캐리캐리 트레이드트레이드트레이드트레이드 환경의환경의환경의환경의 개선을개선을개선을개선을 시사시사시사시사하고 있다.

캐리 트레이드가 활성화되려면 자금 조달 국가와 투자 대상 국가의 금리차가 커야 하고,

무엇보다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작아야 한다.

실제로 3월 한달 간 통화가치가 크게 오른 국가들은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터키 리

라, 인도 루피, 브라질 헤알, 인도네시아 루피아 등 고금리를 제공하는 국가들이었다(그

림1). 특히 호주 달러의 경우 달러화뿐만 아니라 엔화에 대해서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그림그림그림 6666. . . .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반등반등반등반등: Risk On?!: Risk On?!: Risk On?!: Risk On?! 그림그림그림그림 7777. . . .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달러달러달러, , , , 엔화에엔화에엔화에엔화에 대해서도대해서도대해서도대해서도 강세강세강세강세 지속지속지속지속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호주 달러 강세에 투영된 ‘Risk On’, 이머징으로의 자금 유입 지속 시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호주 내수지표의 개선과 함께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심리의 개선

이 호주 달러화의 절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호주 달러는 어떻게 움직일까?

대내적으로는 호주 달러의 상승 추세가 지속될 경우 호주 경제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다

는 점에서 RBA의 개입이 나타날 수 있다. 이미 스티븐스 RBA 총재는 3월 금융정책회

의에서 정책 성명서를 통해, 호주 달러 강세는 광업 산업에서 탈피해 균형 경제 성장을

꾀하려는 노력에 방해가 된다며 호주 달러화 가치 절상에 대한 경계 심리를 드러냈다.

0.85

0.90

0.95

1.00

1.05

1.10

200

250

300

350

400

450

13.1 13.4 13.7 13.10 14.1 14.4

EMBI+ 스프레드 (L) 달러/호주달러 (R)

(bp) (USD/AUD)

리스크프리미엄의

하락

85

90

95

100

105

110

13.1 13.4 13.7 13.10 14.1 14.4

엔/호주달러

(JPY/AUD)

Page 5: P market daewoo 20140404 1281402617[1]

시황전망 2014.4.4

그러나 대외적으로 미국과미국과미국과미국과 중국의중국의중국의중국의 경기경기경기경기 모멘텀이모멘텀이모멘텀이모멘텀이 회복회복회복회복 가능성이가능성이가능성이가능성이 높고높고높고높고,,,, 중국중국중국중국과과과과 유럽의유럽의유럽의유럽의 경기부양경기부양경기부양경기부양

책에책에책에책에 대한대한대한대한 기기기기대가대가대가대가 높은높은높은높은 현현현현 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국면에서는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의달러의달러의달러의 추가추가추가추가 강세가강세가강세가강세가 예상예상예상예상된다. 특히 원자재 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강세를 보였던 호주 달러의 움직임에는, 중국 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

려보다는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녹아 들어있다는 판단이다.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

적 거래 추이를 살펴보면, 순매도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해 추가 강세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에달러에달러에달러에 투영된투영된투영된투영된 ‘‘‘‘Risk OnRisk OnRisk OnRisk On’’’’ 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시그널은 이머징이머징이머징이머징 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주식시장으로의 자금자금자금자금 유입을유입을유입을유입을 자극자극자극자극할 것으로 보

인다. 이미 지난 3월 25일 이후 ishare MSCI EM ETF의 좌수는 7.4%가까이 증가했다.

이머징마켓으로의 지속적인 자금 유입은 결국 주가를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국내국내국내국내 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주식시장의 외국인외국인외국인외국인 수급수급수급수급 개선에도개선에도개선에도개선에도 긍정적인긍정적인긍정적인긍정적인 영향을영향을영향을영향을 미칠미칠미칠미칠 것것것것이다.

그림그림그림그림 8888. . . . 호주호주호주호주 달러에달러에달러에달러에 대한대한대한대한 순매도순매도순매도순매도 포지션포지션포지션포지션, , , , 큰큰큰큰 폭으로폭으로폭으로폭으로 감소감소감소감소: : : : 추가추가추가추가 강세에강세에강세에강세에 대한대한대한대한 기대감기대감기대감기대감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그림그림그림그림 9999. . . . Risk On Risk On Risk On Risk On 국면국면국면국면: : : : 이머징마켓으로의이머징마켓으로의이머징마켓으로의이머징마켓으로의 자금자금자금자금 유입유입유입유입 지속은지속은지속은지속은 그림그림그림그림 10101010. . . . 이머징마켓이머징마켓이머징마켓이머징마켓 주가를주가를주가를주가를 끌어올리는끌어올리는끌어올리는끌어올리는 원동력원동력원동력원동력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0.85

0.90

0.95

1.00

1.05

1.10

-120

-80

-40

0

40

80

120

12.1 12.5 12.9 13.1 13.5 13.9 14.1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포지션 (L) 달러/호주달러 (R)(천계약) (USD/AUD)

0.85

0.90

0.95

1.00

1.05

1.1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3.1 13.4 13.7 13.10 14.1 14.4

MSCI EM (L) 달러/호주달러 (R)

(P) (USD/AUD)

0.85

0.90

0.95

1.00

1.05

1.10

7

8

9

10

11

12

13

13.1 13.4 13.7 13.10 14.1 14.4

ishare MSCI EM ETF 좌수 (L)

달러/호주달러 (R)

(억좌) (USD/A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