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진료지침제정위원회 2004 Korean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T h e K o r e a n S o c i e t y o f H y p e r t e n s i o n 표지 2005.2.2 2:3 PM 페이지 4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도... ·  · 2013-12-115 t ´ r À ² ( 2 À ... D ¢ 3 Þ Þ t E 3 ´ ä ä î à ... 20 10 0 F÷ « 7 F÷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04년도

우리나라의고혈압진료지침우리나라의고혈압진료지침

대 한 고 혈 압 학 회고혈압진료지침제정위원회

2004 Korean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T h e K o r e a n S o c i e t y o f H y p e r t e n s i o n

표지 2005.2.2 2:3 PM 페이지 4

1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은 임상 증상이 없어 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않고 있고, 치료하고 있는 환자들

도 정상 혈압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이 적어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

다. 국내외에서 고혈압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도 국민건강 양

조사 결과 30세 이상 성인의 30%가 고혈압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고혈압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어 임상에 이용되고 있고 약리작용 및 생리학 반응이 약물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개선되고 있으므로 고혈압 진료에 종사하는 임상의들의 환자 진료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고

연구도활발해지고있습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는 2000년도에“고혈압 진료지침”을 제정하여 발표한 바 있으며 국제

적으로 고혈압치료에 관한 지침서가 WHO, 국제고혈압학회, 유럽 고혈압학회 등에서 새로

운지침서가발표되고있고, 더욱더엄격한치료를요구하는미국NIH산하고혈압합동위원

회의 제7차 보고서 (Joint National Committee;JNC)가 2003년 5월에 발표되었습니다.

제 7차 JNC보고서를 기본으로 하여 각국에서 고혈압 진료 방침에 향을 입게 되었으며 국

내에서도 4년 동안 치료에 관한 여러 분야의 발전으로 새로운 지침서가 필요해서 2004년도

“고혈압진료지침”을발간하게되었습니다.

“고혈압 진료지침”은 일차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개원의를 비롯한 모든 고혈압 환자를 진

료하는 의사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간단하고 실제적인 면을 정리하 고 고

혈압 환자들이 치료 후 정상 혈압을 반드시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치료를 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번 2004년도 대한고혈압학회“고혈압 진료 지침”발간을 위해서 수고하신 위원회 여러

분들의노고를치하하며감사를표합니다.

2004년 12월

대한고혈압학회 회 장 김종성

이사장 배종화

2004년도대한고혈압학회의b고혈압진료지침서c발간에즈음하여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

2 대한고혈압학회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서 론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기준과 혈압의 분 8

2. 고혈압의 중요성 9

3. 한국인의 혈압 분포와 고혈압 유병률 11

4. 고혈압 관리 현황 13

5. 요 약 15

임상 평가

1. 혈압 측정 16

2. 환자의 평가 18

생활요법 : 생활습관개선

1. 체중감량 23

2. 절주 23

3. 운동 23

4. 소금의 절제 24

5. 금 연 25

6. 건강한 식사요법 25

7. 기 타 26

목 차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

3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04

Korean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CONTENTS

고혈압의 약물 요법

1. 강압제 처방의 원칙 27

2. 강압제의 종류와 사용법 30

3. 병용요법 및 기타 사항 32

4. 고혈압성 위기 35

특수 질환에서의 고혈압

1. 심장질환과 고혈압 38

2. 당뇨병과 고혈압 39

3. 신질환과 고혈압 40

4. 뇌혈관질환과 고혈압 41

5. 노인의 고혈압 42

6. 여성의 고혈압 42

7. 대사증후군과 고혈압 44

8. 말초 동맥질환과 고혈압 45

9. 어린이와 청소년에서의 고혈압 45

10. 발기 부전과 고혈압 46

11. 요약 46

별 첨 48

CONTENTS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

위원장 : 배종화 (경희의대)

간 사 :김철호 (서울의대)

위 원 :이방헌 (한양의대)

전재은 (경북의대)

서 일 (연세의대)

홍순표 (조선의대)

임천규 (경희의대)

최석구 (인제의대)

박정배 (성균관의대)

박창규 (고려의대)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

최근 인구의 노령화와 생활습관의 서구화에 따라 심혈관 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방적

조치가 향후 평균수명의 연장과 삶의 질의 향상 및 의료비의 억제를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는 사실이다. 이중 고혈압이 심혈관 질환의 증가를 초래하는 향은 매우 크며 고혈압

의치료를통해서심혈관질환이감소되고특히뇌졸중이감소되는효과는잘밝혀져있다. 그러나많

은 지역사회의 연구를 통해서 보더라도 현재의 고혈압의 인지율, 치료율, 조절율이 만족스럽지 않으

며 이에 대한 많은 책임이 환자 자신에게도 있겠지만 목표혈압까지 혈압을 떨어뜨리지 않는 의사에게

도있다.

지난 지침서 제정위원들의 활약으로 2000년 1차 지침서가 간행된 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미

국 및 유럽, 국 등에서 서로 각각의 지침서를 발표하여, 전문가가 아닌 분들은 약간 혼란스러운 면

도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하면 국내의 진료현실에 맞는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것인가를 고민하면서

대한 고혈압 학회 학술회의에서 2회 토의를 거쳐 의견을 수렴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국내의

역학이 외국과는 매우 다르므로 외국의 지침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다는 지적부터 고위험군

에서는국내에서도심혈관질환의위험이동일하다는지적까지다양한의견을수렴하 다.

본지침서의목표는두가지로요약될수있다.

첫째는고혈압의인지율을증가시키고고혈압전단계를강조함으로서국민의생활습관을개선시켜

심혈관질환에대한위험을최소화시키기위한것이다.

둘째는 의료인들의 처방을 간단하게 하여 조절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과거 오랫동안 일차약

제로 어떤 것이 우수한가하는 논란에서 벗어나서 고혈압의 조절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병용

요법의방법을제시하 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지침서에서는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 mmHg미만이고

확장기 혈압이 80mmHg 미만인 경우로,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

압이90mmHg이상인경우로, 고혈압전단계는정상혈압과고혈압의사이로하 다.

이에대한이론적근거는다음과같은두가지의연구를들수있다.

첫째가 미국의 프래밍햄 연구로서 과거의 이상적 혈압(현 분류의 정상혈압)과 정상혈압, 높은 정상

5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5

(현재의 고혈압전단계)사이에 혈압이 높아질수록 심혈관 질환의 발생이 많아진다는 결과로서(그림 1)

과거의정상혈압도완전한정상일수는없다는것을시사하고있다.

둘째가 지금까지 발표된 전향적인 연구를 종합한 결과로 중년까지 에서는 뇌졸중, 관동맥질환은

115/75mmHg이상에서 수축기 혈압이 20mmHg, 확장기 혈압이 10mmHg 증가할 때마다 2배씩 증

가되며 이러한 증가 현상은 노인이 되면 약간 감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상혈압을 심혈관 질환이

가장작게발생되는혈압으로정의할때 120/80mmHg미만으로생각하 다(그림 2,3).

앞서언급하 지만국내고혈압환자에서심혈관질환의발생등의예후에대한자료가충분치않은

상태에서 지침서가 얼마나 정확하게 작성되었는가에 대한 비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본 위원회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나 국민의 보건향상을 위해서 이러한 지침서가 있어야 되며 보다 좋은 방향으

로 개선될 것이라는 것은 모두가 인정할 것이다. 향후 대한 고혈압학회는 보다 좋은 지침서를 제정하

기위해서노력할것을강조하면서의료계의많은분들의겸허한비판에귀를기울일예정이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6 대한고혈압학회

Cum

ulat

ive

Inci

denc

e(%

)

High normal 130-139/85-89 mm HgNormal 120-129/80-84 mm HgOptimal <120/80 mm Hg

Prehypertension

Men Women

Time (years)

14

12

10

8

6

4

2

00 2 4 6 8 10 12 14

Vasan et al. N Engl J Med. 2001;345:1291-1297

Time (years)

10

8

6

4

2

00 2 4 6 8 10 12 14

그림 1. 높은 정상혈압과 심혈관질환의 위험(프래밍햄 연구 결과)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6

서 론

7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IHD

Mor

talit

y(F

loat

ing

Abs

olut

e R

isk.

and

95%

Cl) 80-90 years

70-79 years

60-69 years

50-59 years

40-49 years

Age at risk:

80-90 years

70-79 years

60-69 years

50-59 years

40-49 years

Age at risk: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Usual Systolic BP (mm Hg)

256

128

64

32

16

8

4

2

1

0

120 140 160 180

Prospective Studies Collaboration. Lancet.2002:360:1903-1913

Usual Diastolic BP (mm Hg)

256

128

64

32

16

8

4

2

1

0

70 80 90 100 110

그림 2. 나이, 혈압에 따른 허혈성 심질환의 사망율

Stro

ke M

orta

lity

(Flo

atin

g A

bsol

ute

Ris

k. a

nd 9

5% C

l) 80-90 years

70-79 years

60-69 years

50-59 years

Age at risk:

Systolic Blood Pressure

Usual Systolic BP (mm Hg)

256

128

64

32

16

8

4

2

1

0120 140 160 180

Prospective Studies Collaboration. Lancet.2002:360:1903-1913

80-90 years

70-79 years

60-69 years

50-59 years

Age at risk:

Diastolic Blood Pressure

Usual Diastolic BP (mm Hg)

256

128

64

32

16

8

4

2

1

070 80 90 100 110

그림 3. 나이, 혈압에 따른 뇌졸중 사망율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7

8

1. 고혈압의기준과혈압의분류

고혈압의 기준과 정상혈압의 범위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지만 본 지침서는 다음 표 1과 같은 정

의와 분류를 선택하 다. 즉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 고, 정상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20mmHg미만이고 확장기 혈압이 80mmHg

미만인 경우로 하 으며 정상혈압과 고혈압의 사이의 혈압을 고혈압 전단계로 정하 다 (표 1). 수축

기혈압이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혈압이 80-89mmHg인 경우를 고혈압 전단계로 분류하 는

데, 혈압이이구간에속하는사람들이정상인사람에비해고혈압으로진행될위험이더높고심혈관

질환의발생이정상혈압인경우보다높기때문이다.

국제고혈압학회나 유럽고혈압학회에서는 적정, 정상, 높은 정상, 제1단계 고혈압, 제2단계 고혈압,

제3단계 고혈압, 그리고 수축기 고혈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적정혈압은 대한고혈압학회가 정의한

정상과 같고 정상과 높은 정상은 대한고혈압학회가 정한 고혈압 전단계와 같다. 고혈압의 3단계는 수

축기혈압이 160mmHg이상이거나확장기혈압이 110mmHg이상인경우로정의하고있다.

대한고혈압학회

표 1. 성인의 혈압 분류

혈압 분류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mmHg) (mmHg)

정상 (Normal) <120 그리고 <80

고혈압 전단계 (Prehypertension) 120-139 또는 80-89

제1기 고혈압 (Stage 1 Hypertension) 140-159 또는 90-99

제2기 고혈압 (Stage 2 Hypertension) ≥160 또는 ≥100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8

2. 고혈압의중요성

1) 외국의 자료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신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

험요인이다. 혈압이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혈압과 뇌졸중과의 관계

는관동맥질환과의관계보다더욱 접하다.

2) 국내의 자료 (그림 4.5)

KMIC Study (The Korean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의 남자대상자 100,224명

에 대해서 1990년과 1992년에 측정한 혈압의 평균값을 JNC 6차 보고서(NIH, 1997)에서 제시한 혈

압 분류 기준에 따라 6개의 군으로 나누어 1993년에서 1998년까지 6년간 뇌내출혈과 거미막하출혈

의 발생률을 비교하 다. 결과로는 혈압이 높을수록 뇌내출혈과 거미막하출혈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적정혈압인 사람에 비해 높은 정상인 사람들의 뇌내출혈과 거미막하출혈의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높았다.

또한 고혈압이 뇌혈관질환 발생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일반인구 기여위험도 (popu-

lation attributable risk)는 각각 35%와 21% 고 (그림 6) 정상혈압을 유지하면 뇌혈관질환과 허혈

고혈압의 역학

9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비교위험도,

혈 압,

50

40

30

20

10

0정 상, 높은정상, 제1기 고혈압, 제2기 고혈압, 제3기 고혈압,

그림 4. 혈압에 따른 뇌내출혈의 비교위험도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9

성심장질환을각각35%와 21%를예방할수있음을시사하고있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10 대한고혈압학회

비교위험도,

혈 압,

15

10

5

0정 상, 높은정상, 제1기 고혈압, 제2기 고혈압, 제3기 고혈압,

그림 5. 혈압에 따른 거미막하출혈의 비교위험도

기타 27%

당뇨 2%고지혈증 9%

흡연 41%

흡연 26%

고혈압 35%고혈압 21%

기타 31%

당뇨 3%

고지혈증 5%

그림 6. 한국인에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요인의 일반인구 기여위험도

허혈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0

3. 한국인의혈압분포와고혈압유병률

1) 한국인의 현황

2001년 국민건강ㆍ 양조사에서 측정한 30세 이상 성인의 혈압 분포를 분류하면 표 2와 같다. 특

히 남자의 39.8%, 여자의 30.6%가 고혈압 전단계에 속하므로 이들에 대한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30세이상성인중정상혈압을가진사람은남자에서는28.4%, 여자에서는47.3%에불과하

다.

고혈압을 조사 당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또

는 조사 당시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로 정의하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은 남자는 34.4%, 여자는 26.5%이었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고혈압 유병율이 증가하는

데 남자에서는 60대에서 가장 높고 여자에서는 70대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표 3). 50대까지는 남자

의유병률이높았으나70대가되면서여자의고혈압유병율이더높았다.

고혈압의 역학

11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2. 30세 이상 성인의 혈압 분포

성별 정상 고혈압 전단계 제1기 고혈압 제2기 고혈압

남자 28.4 39.8 22.5 9.4

여자 47.3 30.6 15.4 6.8

표 3. 연령별 성별 고혈압 유병률

연 령 남 자(%) 여 자(%)

10-19 2.5 0.9

20-29 10.8 1.7

30-39 17.5 5.4

40-49 28.6 15.2

50-59 40.0 33.2

60-69 56.8 57.4

70+ 52.5 61.5

30세이상 34.4 26.5

출전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양조사-검진편-; 2002

출전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양조사-검진편-; 2002

(단위 : %)

(단위 : %)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1

1980년 이후 실시한 전국적 규모의 고혈압 유병율 조사에서 산출된 30세 이상 성인의 고혈압 유병

율은 표 4와 같다. 연도별 비교에서는 한국인의 연령구조가 노령화하므로 이 향을 배제하려면 연령

을표준화하여줄필요가있다. 2000년인구구조로연령을표준화할경우의유병율은 <표 5>와같다.

인구구조를표준화할경우남자의고혈압유병율은 1980년에비해 1990년에 6.6% 낮아진뒤큰변화

없이지속되는반면, 여자에서는 1980년이후고혈압유병율이계속적으로큰변화없이지속된다.

2) 미국 자료와 비교

1988-1991년 실시한 NHAN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

phase 1, 1991-1994년 실시한 NHANES III phase 2, 그리고 가장 최근에 실시한 NHANES

1999-2000 결과에서 산출한 미국 고혈압 유병율은 <표 6>과 같다. 1988년에서 2000년특성 사이에

고혈압유병율이남자에서는2.2%, 여자에서는5.6% 상승하 다.

2001년 우리나라 국민건강 양조사에서 18세 이상 남자 성인에서는 고혈압 유병율이 29.8%, 여자

에서는 22.1%로 NHANES 1999-2000 결과에서 산출한 미국 고혈압 유병율보다 우리나라 남자의

고혈압 유병율이 높고 여자에서는 낮다. 또한 우리나라 18-39세 성인의 고혈압 유병율이 8.0%, 40-

59세는 26.9%, 60세이상은57.5%로미국에비해서60세이상의고혈압유병율이낮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12 대한고혈압학회

표 4. 한국 30세 이상 성인의 성별 고혈압 유병율의 변화

1980 1990 1998 2001

남자 34.4 27.9 31.2 34.4

여자 24.6 25.7 27.0 26.5

출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10년 국민건강증진 목표설정과 전략개발- 분야별 작업결과-; 200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양조사-검진편-; 2002

표 5. 한국 30세 이상 성인의 성별 고혈압 유병율의 변화 (2000년 인구조사시의 인구구조로 연령을 표준화)

1980 1990 1998 2001

남자 35.5 28.9 31.1 31.5

여자 25.8 26.6 27.0 25.6

출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10년 국민건강증진 목표설정과 전략개발- 분야별 작업결과-; 200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양조사-검진편-; 2002

(단위 : %)

(단위 : %)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2

4. 고혈압관리현황

미국 NHANES study에서는 고혈압 인지를“과거에 의료인에 의해 고혈압으로 진단 받은 것”으로

정의하고, 고혈압 치료를“조사 시점에서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고혈

압 조절을“항고혈압제를 복용하여 수축기혈압이 140mmHg 미만이고, 확장기혈압이 90mmHg 미

만인 경우”로 정의하 다. 이러한 지표는 얼마나 고혈압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므로

공중보건학적으로매우중요한지표이다.

2001년 국민건강ㆍ 양조사 결과 남자 25.2%, 여자 39.5%가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남

자의 7.6%, 여자의 16.6%에서 고혈압이 조절되고 있었다 (표 7). 또한,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30세이상성인중남자30.2%, 여자 42.0%에서고혈압이조절되고있었다. 치료율과조절율이남녀

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각기 제시하 으나 전체의 결과를 알려면 남녀의 두 수치를 합하여 반으로

나누면 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료율과 조절율이 증가하다가 남자의 경우 70대 이상까지 계속 증

가하고, 여자의경우60대를최고점으로하여70대이상에서는다시감소하고있다.

<표 8>은NHANES III phase 1, NHANES III phase 2, NHANES 1999-2000에서산출한고혈

압인지ㆍ치료ㆍ조절율을나타내고있다. 미국인의고혈압치료ㆍ조절율이한국인에비해높다.

고혈압의 역학

13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6. 미국 고혈압 유병율 변화

특 성 1988-1991‡ 1991-1994§ 1999-2000‖

성 별† 남자 24.9 23.9 27.1

여자 24.5 26.0 30.1

연 령† 18-39 5.1 6.1 7.2

40-59 27.0 24.3 30.1

≥60 57.9 60.1 65.4

† 2000년 미국인구의 연령구조로 표준화;

‡ NHANES III phase 1; § NHANES III phase 2; ‖ NHANES 1999-2000;

출전 : Hajjar I, Kotchen TA. JAMA 290(2): 199-206, 2003

(단위 : %)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3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14 대한고혈압학회

표 7. 연령별ㆍ성별 고혈압 치료ㆍ조절율

연 령 남 자 여 자

10-19 0.0 0.0

20-29 5.8 3.6

30-39 6.9 11.4

40-49 14.9 22.6

치료율 50-59 25.7 35.2

60-69 35.3 52.9

70+ 40.6 44.2

10세이상 23.6 38.8

30세이상 25.2 39.5

10-19 0.0 0.0

20-29 2.7 3.6

30-39 2.9 8.2

40-49 5.5 9.2조절율

50-59 9.1 15.1(전체 고혈압환자)

60-69 8.7 22.0

70+ 11.6 17.9

10세이상 7.2 16.3

30세이상 7.6 16.6

10-19 0.0 0.0

20-29 46.5 100.0

30-39 41.9 72.1

40-49 36.7 40.6조절율

50-59 35.4 42.9(항고혈압제복용자)

60-69 24.6 41.6

70+ 28.5 40.5

10세이상 30.4 42.0

30세이상 30.2 42.0

(단위 : %)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4

5. 요약

30세이상한국인남자 3분의 1, 여자 4분의 1이고혈압을가지고있으며, 60세이상인경우에는절

반이상이고혈압을가지고있다. 단일질환으로서는이보다높은유병율을보이는질환은없다. 그러

나고혈압환자의인지ㆍ치료ㆍ조절율은미국등선진국에비하여매우낮은상황이다.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고혈압을 예방하여 고혈압 유병율의 증가를 막아야 한다. 특히 30세 이상

성인 남성의 39.8%, 여성의 30.6%에 이르는 고혈압 전단계에 해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집중적인 관

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기적인 혈압 측정을 통해 고혈압의 인지ㆍ치료ㆍ조절율을 높여 고혈압 환자

에서관상동맥질환, 뇌졸중및기타순환기질환의발생을막아야한다. 고혈압의예방및관리는개인

의노력과함께국가적노력이매우시급하고절실하게필요하다. 국가가고혈압예방및관리의중요

성을인식하고국가차원의고혈압예방및관리사업을본격적으로실시하여야할것이다.

고혈압의 역학

15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8. 미국 고혈압 인지ㆍ치료ㆍ조절율 변화 (1998-2001년)

1988-1991† 1991-1994‡ 1999-2000§

인지율남 63.2 60.1 66.3

여 75.1 73.6 71.2

치료율남 44.5 42.6 54.3

여 60.1 60.0 62.0

조절율(전체고혈압환자)남 19.9 17.2 32.6

여 29.1 27.4 29.6

조절율(항고혈압제 복용자)남 44.6 40.2 59.9

여 48.5 45.7 47.8

†NHANES III phase 1; ‡NHANES III phase 2; § HANES 1999-2000;출전 : Hajjar I, Kotchen TA. JAMA 290(2): 199-206, 2003

(단위 : %)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5

16

1. 혈압측정

혈압은 상황에 따라 변화가 크기 때문에 여러 번 측정해야 한다. 단순히 혈압만 약간 상승되어 있는

경우는 수개월에 걸쳐 반복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고혈압의 진단, 치료 및 예후 평가에 가장 첫 번째

중요한것은정확한혈압측정이다.

1) 진료실 혈압 측정

청진기를 사용한 진료실에서의 혈압측정이 현재로서는 가장 좋은 표준법이며 앉은 자세에서 팔을

심장 높이로 하여 측정한다. 혈압은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최소한 5분)에서 여러 번 측정한다. 표준화

된혈압계를, 그리고적정크기의커프를사용해야한다. 작은커프를사용하면혈압이높게측정된다.

혈압을올바르게측정하기위해서는 <표 9>에열거한사항을준수해야한다.

2) 가정 혈압 측정

의공학의 발달로 진료실 밖에서 혈압을 편리하고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자혈압계가 널

리이용되고있으며손목형보다는상완형이더낫다. 집에서혈압을측정하면치료약물에대한정보

대한고혈압학회

표 9. 올바른 혈압 측정방법

혈압 측정 전 최소 5분 동안 안정한다.

1~2분 시간간격을 두고 적어도 2번 이상 혈압을 측정한다.

팔의 80%이상을 감을 수 있는 낭대(bladder)를 사용한다. (표준길이12~13㎝×너비 35㎝)

환자의 심장높이에 혈압 측정띠를 둔다.

Korotkoff음의 I과 Ⅴ를 각각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으로 측정한다.

처음에는 양팔에서 혈압을 측정하고 이후에는 높은 쪽에서 측정한다.

노인, 당뇨병 환자,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일어선 후 1분, 5분에 기립혈압을 측정한다.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6

및백의고혈압의평가에도움이되고환자의순응도를높이는이점이있다. 또한이방법으로측정한

혈압이 표적장기 손상(target organ damage)의 정도 및 예후와 더 좋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보고

도 있다. 너무 잦은 측정은 환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어 피하도록 한다. 정확한 기계는 수은혈압계

와 비교하여 5mmHg이내의 범위내로 측정되어야 한다. 가정 혈압의 측정은 혈압이 안정된 경우에는

주 3회, 하루 2회가권고된다. 아침에는기상후 1시간이후배뇨이후에, 저녁에는취침전에안정후

측정하도록 하고 혈압과 맥박수를 동시에 기록하도록 권유한다. 집에서 잰 혈압은 진료실에서 측정한

것보다 대체로 평균 12/7mmHg 낮다. 가정혈압의 평균이 135/85mmHg 보다 높으면 고혈압으로 간

주한다.

3) 24시간 활동중 혈압 측정

24시간 활동중 혈압측정(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BPM)은 낮시간 활동할 때

와 수면 중의 혈압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혈압을 측정할 경우 대다수에서는 야간의

평균혈압이 주간의 그것보다 최소한 10% 낮다. ABPM에 의한 고혈압의 진단기준은 <표 10>에서와

같이 일중 평균혈압이 125/80mmHg 이상이며 주간혈압은 135/85mmHg 이상으로, 야간혈압은

120/75mmHg 이상으로 정한다. 활동중 혈압이 진료실 혈압에 비해 좌심실비대, 단백뇨, 망막병증

등의 표적장기 손상을 예측하는데 더 낫다. 고혈압 환자 중 야간에 혈압감소(10% 이상)가 없는 예

(“non-dipper”)에서는 있는 예(“dipper”)에서 보다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혈관사고의 위험

이 3배 더 높다. ABPM이 적응되는 경우는 1) 백의고혈압이 의심될 때, 2) 항고혈압제에 반응하지 않

을때, 3) 간헐적인고혈압이있을때, 4) 자율신경장애가있을때등이다.

외래에서 측정한 혈압에 따라 혈압을 다시 측정할 것을 권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상 혈압인 경우

에는 2년 후에, 고혈압 전단계의 경우에는 1년 후에, 1기 고혈압에서는 1-2개월 내에, 2기고혈압에서

임상 평가

17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10. 혈압 측정방법에 따른 고혈압의 기준점

수축기 혈압(mmHg) 확장기 혈압(mmHg)

진료실 혈압 ≥140 ≥90

24시간 활동중 혈압

일일 평균혈압 ≥125 ≥80

주간 평균혈압 ≥135 ≥85

야간 평균혈압 ≥120 ≥75

가정혈압 ≥135 ≥85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7

는 180/110mmHg이상인경우에는즉시치료하거나 1주내에다시혈압을측정하도록하고이외의경

우에는 1개월내에다시측정하도록한다.

2. 환자의평가

고혈압 환자의 평가에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이 있다. 1) 예후와 치료에 향을 끼칠 수 있는 생활습

관과고혈압외의다른심혈관위험인자또는동반질환을찾고, 2) 고혈압의이차적원인을밝히고, 3)

표적장기 손상과 심혈관 질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환자의 평가에 필요한 정보는 병력청취, 신

체검사, 기본검사실검사그리고다른진단적절차를통해얻을수있다.

1) 증상 및 징후

대개의 고혈압 환자는 혈압상승과 관련된 특이한 증상이 없으며 건강 검진이나 직장 신체검사와 같

은 신체검사 중에 알게 된다. 환자가 의사를 찾게 되는 경우는 크게 3가지 즉, 1) 혈압상승, 2) 고혈압

성 심혈관 질환, 그리고 3)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기저질환과 관계한 증상이 있을 때이다. 두통은 통

속적으로 고혈압의 증상으로 여겨지지만 중증 고혈압의 경우 이외에는 발생이 드물다. 이 경우에도

흔히는 뒤통수 부위에 국한되며 환자가 잠에서 깨어나는 이른 아침에 발생하나 수 시간 후에 저절로

사라진다. 혈압상승과 관련 있을 수 있는 그 밖의 증상으로는 어지럼, 두근거림, 피로, 성기능 장애가

있다.

고혈압성 심혈관 질환에 의한 증상으로는 코피, 혈뇨, 망막변화에 기인하는 시야 흐림, 일시적 뇌허

혈에 의한 허약 또는 어지럼, 협심증(흉통),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있다. 대동맥박리나 대동맥

류에의한흉통도있지만매우드물다. 이차성고혈압의경우기저질환과관련있는증상으로는, 일차

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서는 저포타슘혈증에 의한 다뇨, 다음 및 근무력감을, 쿠싱증후군 환자에서는

체중증가와 정서불안을, 갈색세포종 환자에서는 발작성 두통, 두근거림, 발한 그리고 기립성 어지럼

을들수있다.

2) 병력

병력청취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환자 본인의 과거 및 현재 병력과 가족력-예

로서 부모나 형제 중 고혈압이 있으면 본태성 고혈압을, 그리고 고혈압이 35세 이전 혹은 55세 이후

에 발병한 경우는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다. 과거력상 요로감염이 잦은 경우는 만성 신우신염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18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8

을 의심케 한다. 2) 이차성 고혈압을 의심할만한 소견 유무. 3) 표적장기 손상 유무-예로서 협심증,

뇌졸중, 심부전,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 4)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유무-예로서 당뇨병, 지질대사 이

상, 심혈관 질환에 의한 조기 사망의 가족력. 5) 동반질환 병력-예로서 갑상선 질환. 6) 생활습관-예

로서 식이, 흡연, 육체적 활동, 음주. 7) 과거 고혈압의 유병기간, 치료여부와 결과 및 부작용. 8) 기

타-예로서직업, 교육정도, 경제력, 가족상태.

3) 신체검사

환자 평가를 위한 진찰에는 다음 사항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1) 최초에는 좌우 양팔에서 정확

한 혈압측정, 2) 안저 검사, 3) 키와 몸무게를 이용한 체질량지수(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와허리둘레의계측, 4) 경동맥, 복부및대퇴부잡음(bruits) 청진, 5) 갑상선촉진, 6) 심장과폐의

세 한 진찰, 7) 복부에서 신장비대, 종괴, 방광 팽창, 비정상적 대동맥 박동 등의 진찰, 8) 하지의 부

종과맥박의촉진그리고9) 신경학적검사.

4) 검사실 검사

치료 시작 전 시행하여야 할 기본 검사는 다음과 같다. 1) 심전도, 2) 소변검사, 3) 혈당 및 적혈구용

임상 평가

19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11. 고혈압의 검사실 검사

흉부X-선

혈액검사 - 공복시 혈당, 공복시 지질(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청 요산,

기본검사 크레아티닌, 포타슘, 칼슘, 혈색소, 적혈구용적

소변검사 - 단백뇨, 당뇨, 침전물

심전도

심초음파

경동맥 초음파(내막-중막두께:intimal-medial thickenss/IMT의 측정)

보충검사C-반응 단백

미세알부민뇨(당뇨에서는 필수)

24시간 소변 단백뇨 검사(소변 스틱에서 단백뇨가 양성인 경우)

24시간 활동중 혈압

확대검사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뇌, 심장, 신장기능 검사

이차성 고혈압의 선별검사(표13)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19

적, 4) 혈청 포타슘, 크레아티닌(또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 eGFR*)과 칼슘, 그리고 5) 공복시 지질

(HDL 및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보충 검사로는 소변 미세알부민뇨 측정, 또는 알부민/크레아

티닌 비율 측정이 있으나 당뇨병이나 신장질환 환자에서는 매년 측정해야 한다. 보다 광범위한 확대

검사는혈압조절이아니되거나임상및기본검사상이차성고혈압이의심되는경우즉, 혈관잡음, 카

테콜라민과다증상, 원인이불명확한저포타슘혈증이있는경우에시행한다 (표 11).

*eGFR= (140-연령)×체중/72/혈중크레아틴으로계산하고여자는90%값을사용한다.

5) 심혈관계 위험인자와 표적 장기 손상 확인

고혈압환자에서전체적위험을평가하기위해서는혈압의측정외에도병력청취, 신체검사및검사

실검사를시행하여심혈관계위험인자와표적장기손상의평가가중요하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20 대한고혈압학회

표 12. 심혈관계 위험인자와 표적장기 손상

주 위험인자

고혈압

흡연

당뇨병 (공복혈당 ≥126 mg/dL, 식후 2시간 혈당 ≥200 mg/dL)

지질대사이상 (LDL ≥160 mg/dL, 콜레스테롤>240 mg/dL,

HDL 콜레스테롤 남<40 mg/dL, 여<50 mg/dL )

미세알부민뇨 (30-300 mg/24시간) 혹은 신기능 장애 (eGFR<60 mL/min,

혈청크레아티닌 남>1.5 mg/dL, 여>1.3 mg/dL)

비만(체질량지수 ≥30 Kg/㎡ ; 허리둘레 남>102 cm, 여> 88 cm)*

육체적 비활동

연령(남자>55세, 여자>65세)

조기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남자<55세, 여자<65세)

C-반응단백≥1 mg/dL†

표적장기 손상

심장 : 좌심실비대, 협심증, 심근경색/관상동맥의 재개통술 과거력, 심부전

뇌 : 뇌졸중 혹은 일시적 뇌허혈

만성 신장질환 : 당뇨성 신증, 신기능 장애, 단백뇨 >300 mg/24시간

말초동맥질환

망막병증 (출혈, 삼출물, 유두부종)

경동맥 IMT≥0.9 mm 혹은 동맥 경화반†

* 한국인 : 체질량지수 ≥25; 허리둘레 남 >90 cm, 여 >80 cm

† 2003 ESH 고혈압 치료지침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0

6) 이차성 고혈압에 대한 선별검사

이차성 고혈압의 발생 빈도는 낮기 때문에(전체 고혈압의 5~10%) 추가적 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에 시행한다. 1) 나이, 병력, 신체검사, 고혈압의 중증도나 기본 검사실 검사상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

될 때, 2) 혈압이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을 때, 3) 잘 조절되던 혈압이 뚜렷한 이유 없이 상승할

때 그리고 4) 고혈압이 갑자기 발생할 때이다. 이차성 고혈압의 발생 빈도가 낮지만 추가적 검사가 필

요한주요이유의하나는, 본태성고혈압의경우거의평생동안약물치료가필요하지만, 이차성고혈

압은 수술이나 약물요법으로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 대동맥 축착 혹은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이차성고혈압의증상과선별검사는 <표 13>과같다.

임상 평가

21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13. 이차성 고혈압의 증상 및 선별 검사

진 단 증상 및 징후 진단적 검사

만성 신장질환 반복적 요로감염, 혈뇨, 부종 eGFR

대동맥 축착 두통, 혈압: 상지>하지 CT혈관조 술

쿠싱증후군 둥근얼굴, 몸통 비만, 복부선(striae) 병력/덱사메타손억제 검사

갈색세포종발작성 발한, 심계항진, 두통, 진전, 24시간 소변 메타네프린 및심한 혈압 변동 노르-메타네프린 검사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근력감소, 다뇨, 까닭 없는 저K혈증 24시간 혈장 및 소변 알도스테론 검사

신혈관성 고혈압 복부잡음 신혈류 도플러, MR 혈관 조 술

수면 무호흡 수면중 잦은 무호흡(40-60회/시간) 산소포화도를 포함한 수면검사

갑상선/부갑상선 질환 심계항진, 체중감소/고칼슘혈증갑상선자극호르몬(TSH), 혈청부갑상선호르몬(PTH) 검사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1

22

식사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은 모든 고혈압 환자에서 매우 유익하다(표

14).

저위험군의 경증 고혈압 환자에서는 초기치료로 생활습관 개선을 단독으로 3개월~6개월간 시행

한다.

약물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고혈압 환자에서도 생활습관 개선을 보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약효

를최대화하고부작용을줄일수있다.

고혈압이외의다른심혈관계위험을동시에줄일수있다.

고혈압의일차예방을위하여적용할수있다.

그러나 생활습관 개선은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최대한 노력하더라도 1기 고혈압

이상인 경우는 목표혈압까지 혈압을 강하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한계

점을 충분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어떤 한가지의 방법보다는 여러 가지의 방법을 병용하

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크므로 심혈관 질환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데에 목

표를두어야한다.

대한고혈압학회

표 14. 고혈압의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개선법 권고사항 수축기혈압의 감소

체중 감량 이상체중의 유지(체질량지수: 18.5~24.9) 5-20mmHg/10kg체중감소

건강식사법(DASH)포화지방산과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야채,

8-14mmHg채소, 저지방유제품의 섭취를 증가

저염식 하루 염분 6그람이하로 섭취 2-8mmHg

운동량 증가 하루 30분 이상 매일 속보로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 4-9mmHg

절주하루 30ml이하의 알코올 섭취/여자나 마른

2-4mmHg남자에서는 15ml이하의 섭취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2

1. 체중감량

체질량지수 (BMI;체중kg/신장m2)가 25이상이면 혈압상승과 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복부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관동맥질환의 사망률과 매우 접한 관련이 있다. 고혈압 환자에서 표준

체중보다 10% 과체중의 경우에 5kg 정도의 체중감량으로도 대부분에서 혈압이 감소한다. 그리고 당

뇨병, 고지혈증, 좌심실비대가 동반된 경우에는 특히 체중감량이 도움이 된다. 체중감량에 의한 혈압

하강은 운동, 절주, 식염섭취제한 등으로 그 효과가 증강된다. 체중감량은 최소한 5kg의 감량을 먼저

시도해 보고 필요에 따라 5kg을 추가 감량할 수 있다. 체중감량을 위한 식사지침으로는 식사는 거르

지않고천천히먹으며, 당분이많은음식이나술등은피하고불필요한간식을하지않는다(빵, 과자,

청량음료 등). 섬유소가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반면 기름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튀김이나 지짐과 같

이기름을많이사용하는조리법을피한다.

2. 절주

과도한알코올섭취는혈압을상승시키며강압제에대한저항성을높인다.

1) 하루알코올섭취허용량: 에탄올하루30g

맥주 720 mL(1병)

와인 200~300mL(1잔)

정종 200 mL(1잔)

위스키 60mL(2샷)

소주 2~3잔(1/3병)

2) 여자와체중이가벼운사람은알코올에대한감수성이크기때문에위의허용량의반으로줄인다.

3) 과음자는뇌졸중등의위험이높아진다는것을경고해야한다.

3. 운동

운동은 혈압을 낮추고, 심폐기능을 개선시키며, 체중감소를 유발하며, 고지혈증의 개선, HDL의 증

가, 스트레스의해소등으로고혈압환자에서매우유용하다.

생활요법 (생활습관 개선)

23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3

1) 운동의 종류

유산소 운동이란 우리 몸 전체의 관절과 근육들을 상당시간동안 율동적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운

동을 말한다. 여기에는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 , 체조, 줄넘기, 테니스, 배구, 에어로빅체조 등

이있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등척성 운동(무산소 운동)은 일시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

으므로피해야한다.

2) 운동의 강도

목표심박수는최대심박수의50~60%가적당하다.

최대심박수=220-연령

유효목표심박수=(최대심박수)×0.5~0.6

3) 운동의 회수

일주일에3~5회정도규칙적으로실시한다.

4) 지속시간

처음 시작할 때는 10~20분 정도 하다가 천천히 연장하여 30~50분 정도가 좋다. 준비운동과 마무

리 운동을 운동전후 5분 정도 하는 것이 좋다. 합병증이 없는 고혈압 환자의 대부분은 사전에 특별한

검사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운동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심장병이 있거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운동부하 검사 등 전문의에 의한 정 검사를 운동 처방전에 실시하고 철저한 평가 후 프로그

램에따라시행하는것이좋다

4. 소금의절제

1) 염분섭취는혈압상승과상관이있으며고혈압의유병율에기여한다.

2)하루 약 180mmol(소금으로 10.5g)의 나트륨을 섭취한 사람이 염분섭취량을 반으로 줄이면 수축

기혈압이평균4~6mmHg 감소되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3)식염에 대한 감수성은 고령자, 비만자, 당뇨병 또는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서 더욱 높다.

소금에대한감수성이높을수록적극적인저염식에더욱잘반응한다.

4)저염식은 하루 나트륨 100mmol(소금으로 5.8g) 이하를 섭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도 섭취로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24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4

는 혈압하강과 이뇨제에 의한 칼륨소모를 줄이며, 칼슘의 요배설을 줄임으로써 골다공증과 신장

결석을예방하는데도도움이된다.

5)한국인의 하루 평균 15~20g의 소금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구미인은 평균 10g, 일

본인은하루 12g을섭취한다고알려져있다.

6)고혈압 환자의 식사시에 식탁의 소금의 첨가를 피해야 하며, 소금이 많은 각종 가공식품을 삼가

야 한다. 한국인의 식품에서 김치, 찌개, 국, 젓갈, 라면, 마른안주 등은 특히 염분이 많으므로 고

혈압환자에서는삼가야한다(부록 1, 2).

자연재료로직접조리된음식을먹도록충고해야한다.

7) 소금섭취감소와더불어싱겁게먹으려는노력이무엇보다중요하다

5. 금연

흡연시에는 담배중의 니코틴에 의하여 일시적인 혈압상승이 올 수 있지만, 흡연자체는 지속적인 혈

압상승에는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흡연은 고혈압과 마찬가지로 심혈관 질환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이므로 고혈압 환자에서 아무리 혈압을 잘 조절하더라도 흡연을 한다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을피할수없게된다. 따라서흡연자에게는금연하도록반복적으로명백하게권고하여야한다.

금연보조품에함유된낮은니코틴양은혈압상승을일으키지않으며, 따라서고혈압환자의금연시

에 행동요법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금연 후에 볼 수 있는 체중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동과 식사

요법 등을 권고해야 한다. 특히 심혈관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당의 유병상태를

줄이기위해, 40세미만에서는과체중과흡연상태를반드시개선해야된다.

6. 건강한식사요볍

채식주의자들은 육식을 하는 사람들보다 혈압이 낮으며 채식위주의 식단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하강시킨다. 이런 효과는 동물성 단백질의 유무보다는 과일, 채소, 섬유질의 섭취와 포화지방산 섭취

의감소등과같은복합적인효과때문으로생각된다.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과일과 채소만을 늘린 군에서는 수축기 혈압/확장기 혈압이

3/1mmHg 감소한 반면, 지방의 섭취까지 줄인 군에서는 수축기 혈압/확장기 혈압이 6/3mmHg 감

소했다. 고혈압환자군에서는복합적인식사변경으로혈압이 11/6mmHg 감소했다.

생활요법 (생활습관 개선)

25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5

칼슘, 마그네슘, 혹은칼륨을많이섭취하는것이좋은효과를미쳤을가능성이있다. 그리고생선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비만인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강하 효과를 더 크게 하고 지질대사를 개선하

는효과를보인다.

고혈압환자들은과일, 채소와생선을보다많이먹고지방섭취를줄이도록권고해야한다.

DASH(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은 이상과 같이 지방섭취를 줄이고 채식의

섭취를강조하는식사요법으로지중해식식사방법을지향하고있다.

7. 기타

카페인은 혈압을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압상승 효과는 곧 내성이 생겨서 직접

적으로고혈압으로발전되지는않는다.

스트레스는혈압을상승시키고, 심혈관질환의위험과관련이있다. 그러므로스트레스해소는고혈

압의 치료와 순응도에 매우 중요하다.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장기간의 혈압에 미치는 직접적인 향에

관해서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혈압의 치료를 위하여 각종 스트레스 조절방법

(이완치료와바이오피드백등)의효과에관해서는확실치않다.

미세 양소, 칼슘, 마그네슘, 섬유질의 보충 등이 혈압강하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아직 학

문적으로증명이되지않았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26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6

고혈압환자에서혈압을강하하면심혈관질환의발생이감소된다는것은매우잘알려져있다. 현재

일차 약제로 권고되는 모든 약제들이 위약과 비교해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특히관동맥질환보다는뇌졸중이현저히감소된다.

1. 강압제처방의원칙

1) 약물 선택의 원칙

강압제의선택은다음원칙을따른다.

①강압제를 처음 투여할 때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저용량으로 반응이 양

호하더라도혈압조절이부족할때는환자가감내하는한같은약의용량을늘릴수있다.

②심혈관 질환의 장기간 이환율과 사망률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가역적인 위험인자를

제거하고 혈압을 철저히 조절하여 목표혈압을 최소한 140/90mmHg 이하로 낮춘다. 당뇨환자와

신장질환자는혈압을 130/80mmHg이하로낮춘다.

③2기 고혈압(160/100mmHg) 이상부터는 강압효과를 극대화하고 빠른 혈압조절을 위해 타 종류

에 속하는 강압제의 저용량 병용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이런 저용량 병용요법은 강압작용을 상

승시키고부작용은최소화하며, 주요한심혈관사고와표적장기손상을방지하는데도움이된다.

④약효가 24시간 지속되어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 선택한다. 특히 최저효과/최대효과비

(trough/peak ratio: T/P ratio)가 0.5이상인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런 약은 환자의 순

응도를높여주며혈압변동을최소화하여혈압을지속적으로부드럽게조절해준다.

2) 초기 약제의 선택

초기약제의선택은혈압수치보다는환자의임상적특성과동반된질환에따라특정약제를선택하

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강압작용이 효과적이며 안전성이 입증되고 부작용도 비교적 경미하며, 강압

27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7

치료의일차선택약으로인정되고있는강압제는5가지종류가있다.

①이뇨제

②베타차단제및알파베타차단제

③칼슘길항제

④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ACE억제제)

⑤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Angiotension Receptor Blocker : ARB)

이들 일차선택 강압제들은 강압효과의 강도에 있어서는 서로 비슷하나,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적용

했을때는이환율, 사망률, 부작용발생에있어서큰차이를나타낼수있다.

특별한 동반 질환이 없으면 일반적으로 AB/CD 법칙을 따른다. 즉, 만 55세를 기준으로 젊은 사람

은 ACE 억제제와 베타차단제를 그리고 고령자에서는 칼슘길항제와 이뇨제를 우선 투여한다. 혈압이

140/90mmHg이하로조절되지않을때는 <그림 7>와같이단계적으로치료한다.

미국의지침서에서는치료제로 thiazide계 이뇨제를우선적으로추천하고있으나상기 5가지강압

제중어느것을선택하여도무방하다.

환자가 타 질환을 동반하거나 위험인자가 있을 때는 <표 15와 16>을 참조하여 약을 선택한다. 단백

뇨를 동반한 당뇨병(제1형)시이나 신장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 보호효과가 있는 ACE 억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28 대한고혈압학회

1단계 치료,

2단계 치료,

3단계 치료,

4단계 치료,저항성 고혈압,

55세 미만,

알파차단제나, spironolactone 또는 다른 이뇨제중 하나를 추가,

A: ACE 억제제 또는 ARB B: 베타 수용체 차단제,

C: 칼슘 길항제, D: 이뇨제(Thiazide 계)

55세 이상,

A (or B)

A (or B) + C or D

A (or B) + C + D

C or D

그림 7. 연령에 따른 고혈압약 선택기준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8

제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심부전 시는 ACE 억제제와 이뇨제가 효과적이며, 고령자의 수축기 고

혈압에는 가능한 한 thiazide계 이뇨제와 장시간 작용형 dihydropyridine(DHP)계 칼슘 길항제를

먼저투여한다. 심근경색증시는베타차단제(ISA가없는)와ACE 억제제가특히효과적이다.

3) 약물치료의 개시

혈압이 140/90mmHg이상이면 가능한 한 약물치료를 권장하고, 특히 제 1기 고혈압이라도 합병증

이나표적장기손상이있거나당뇨병을동반시에는적극적인강압이필요하다.

4) 강압목표

일반적으로 대부분 환자의 적절한 목표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미만, 확장기 혈압 90mmHg

미만이다. 당뇨환자와신질환환자에서는 130/80mmHg미만으로더강력히조절한다.

고혈압의 약물요법

29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15. 고혈압의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약제종류 적극적 적응 적응가능 금기가능 절대금기

이뇨제(thiazide) 심부전

노인고혈압 당뇨병 임신 통풍

수축기 고혈압

이뇨제 (loop) 신부전, 심부전

협심증 임신 내당능 증가 천식 및 COPD

베타차단제 심근경색 후 빈맥성 부정맥 운동선수 및 신체활동이 2~3도 방실블록

심부전 활발한 환자 심한 서맥< 50 /분

말초혈관 질환 Raynaud 증후군

ACE억제제 심부전 임신

및 ARB 좌심실기능장애 고칼륨혈증

심근경색 후 양측 신동맥 협착

당뇨성 신병증

노인고혈압 말초혈관질환 심부전 2~3도 방실블록

수축기 고혈압 (DHP) (dilitiazem, (diltiazem,

칼슘길항제 협심증 상심실성 빈맥 verapamil) verapamil)

경동맥 죽상경화 (dilitiazem,

verapamil)

알파차단제 전립선 비대증 지질대사 이상 심부전 기립성 저혈압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29

2. 강압제의종류와사용법

각 종류의 강압제중 국내에서 가용한 것은 별첨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사용시에 참조하여야 한

다.

1) 이뇨제

신장 세뇨관에서 소디움 흡수를 감소시켜 혈압을 낮춘다. 초기에는 이뇨작용으로 심박출량이 감소

하나 4-8주간의 장기 치료 이후에는 말초혈관 저항이 감소한다. 직접적인 혈관 확장 작용도 있다.

Hydrochlorthizide 경우 고용량을 투여할 때는 저칼륨혈증, 내당능 저하, 부정맥, 지질대사 장애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지만 저용량에서는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현재 강압목적으로는 1일

25mg까지 주로 사용한다. 이뇨제는 고령자의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에 특히 권장되는 강압제이며 타

약제와병용시효과가좋다.

2) 베타차단제

협심증, 심근경색, 빈맥성 부정맥에 특히 심장선택성이 있는 베타1 차단제가 좋다. 또한 심박수가

높고 비교적 젊은 환자에 효과적이다. 이뇨제, DHP계 칼슘 길항제, 알파차단제와 병용하면 좋은 병

용이 된다. 천식이나 만성 폐색성 기관지ㆍ폐질환, 2-3도 전도장애, 말초혈관질환이 있을 때 금기이

다. 경련성협심증을악화시킨다는보고가있다. 장기간사용시에당뇨병의발생이증가될수있다.

3) 칼슘 길항제

수축기 고혈압에 효과적이며, 뇌졸중을 예방하는데 유효함이 증명되었다. 장시간 작용형 칼슘 길항

제를써야하며, 속효성칼슘길항제는빈맥을야기하며심장에부담을줄수있으므로가능하면피한

다. 칼슘길항제는 관동맥확장작용이있어안정성협심증에효과적이고, 특히관동맥의연축이관여

하는 변이형 협심증에 매우 유효하다. Verapamil과 diltiazem은 반사성 빈맥이 없어 심근경색 후에

도 좋으며 확장기 충만을 개선시키므로 비후성 심근증 환자에 사용된다. 최근 개발된 3세대 칼슘 길

항제는항동맥경화효과가있다.

부작용으로는 특히 속효성 약에서는 빈맥, 발목부종, 두통 및 안면홍조가 많으나 장시간 작용형

DHP 유도체에서는 적다. Verapamil과 diltiazem 투여 시 변비가 흔하고 방실 전도장애와 심근 수

축력저하로방실차단및심부전증시에는피해야한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30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0

4)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

ACE억제제는 심부전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신부전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특별히 효

과적이다. 좌심실 비대를 억제하고 동맥경화의 억제작용이 있으며 혈당 및 지질에 미치는 향이 적

다. 혈관 내피세포기능의 개선과 혈관재형성에 좋은 효과도 나타낸다. 초기 투여 시 저혈압(특히

captopril)이올수있으며고령이나탈수시주의를요한다. 양측신혈관협착시나한쪽신장의완전

위축 시 투여하면 신 기능 장애를 악화시킨다. 치료시작 첫 2개월 내에는 혈청 크레아틴이 상승할 수

있으나 기저치 대비 30%이내 증가는 혈중 포타슘이 5.5mEq/dl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 약을 끊을 필

요는 없다. 혈청 크레아틴이 3.0mg/dL 이상 시는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칼륨과 신 기능은 투여전

과, 투여후 1-2주일이내에검사한다. 그후에는3개월, 6개월뒤에검사한다.

Bradykinin의 분해를 차단하여 NO계의 생성을 자극하여 강압효과가 증강되기도 하지만 이로 인

해마른기침이약 20%이상에서관찰되며여성과노인에특히많다. 투약을중단하면수일내지수주

일 내에 소실된다. 임신 중 특히 제 2-3 분기의 여성에게는 아 사망 및 태아기형을 일으키므로 금

기다.

5)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안지오텐신 II 수용체에는AT1 수용체를선택적으로차단하는약이고혈압의치료에이용되며이들

차단제는말초혈관의저항을감소시키며맥박과심박출량에는거의 향이없다. ACE 억제제와달리

bradykinin에대한 향이없어기침의부작용이드물다. ARB의강압효과는ACE 억제제와비슷하

나 24시간을 통해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강압을 보여 1일 1회 투여가 가능하다. 기타 효과 및 부작용,

금기도ACE 억제제와비슷하며, 기침등으로ACE 억제제를투여할수없는경우에사용한다.

6) 알파 차단제

전립선 비대 환자에 효과적이며 당 및 지질대사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기립성 저혈압의 부작용이

있고최근심부전을악화시켰다는보고가있어고혈압의 1차약제로사용에주의를요한다.

7)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강압제

오랜 역사를 가진 clonidine, methyldopa, reserpine과 새로 나온 rilmenidine, moxonidine 등

이 있다. Methyldopa는 임신부의 고혈압치료에서 아직도 선호되는 강압제이다. 그러나 부작용 때문

에 일반적으로 일차 선택약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Clonidine은 변동성이 극심한 고혈압을 안정시키

는특성이있다.

고혈압의 약물요법

31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1

8) 혈관확장제

Hydralazine은 일차 선택약으로는 부적합하나 임신부 고혈압에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Minoxidil은빈맥, 두통, 부종, 다모증등의부작용때문에통상적인고혈압치료에잘반응하지않는

저항성고혈압시사용한다.

3. 병용요법및기타사항

1) 병용요법

고혈압 환자의 2/3이상은 하나의 약으로 조절되지 않으며 서로 분류가 다른 2가지이상의 강압제가

필요하다. 단일 약에 의한 강압효과는 약 40-50%에서 기대할 수 있으며 혈압을 충분히 낮추기 위해

서는60~70%이상의환자에서병용요법이필요하다.

충분한 양의 1차 약으로 효과가 없을 때는 다른 약으로 교체하고 약간의 효과는 있으나 혈압이 정상

화되지 않으면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다른 약을 추가한다. 그러나 용량을 늘리기보다는 서로 작용이

다른약을소량씩추가하면강압효과와순응도를높이면서부작용은억제할수있는장점이있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32 대한고혈압학회

표 16. 질환에 따른 추천 고혈압 약물

강제 적응 이뇨제 BB ACEI ARB CCB Aldo-Ant alpha-B

노인성 수축기 고혈압 O 0(DHP계)

심부전 O O O O O

심근경색후 O O O

관동맥 질환 O O O(nonDHP)

당뇨병성 신증 O(1형) O(2형)

만성 신질환 O(loop계) O O

뇌졸중 O O

경동맥 죽상경화 O(DHP계)

전립성 비대 O

BB: beta-blocker, ACEI: ACE inhibitor,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CCB: calcium channel blocker, Aldo-Ant: aldosterone antag-

onist, alpha-B: alpha-blocker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2

효과가우수한병용조합은다음과같다 (그림 8).

이뇨제와베타차단제

이뇨제와ACE억제제또는ARB

DHP계칼슘길항제와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와ACE억제제

알파차단제와베타차단제

2) 강압제의 감량과 휴약

치료 전의 혈압이 경증이었거나, 1년 이상 또는 4회 이상 방문 시 혈압이 효과적으로 조절된 경우

(평균 90mmHg미만), 초기에 한 가지 약이나 적은 용량으로 혈압이 효과적으로 조절된 환자에서 고

혈압의 위험인자나 장기 손상이 없는 경우에 생활습관개선을 엄격히 시행한 환자는 혈압이 안정되면

(120/80mmHg이하) 단계적으로 투여량을 서서히 감량하면서 투약을 중단할 수 있다. 그 후 계속 혈

압의 추이를 관찰해야 하며 생활습관개선을 엄격히 시행해야 한다. 상당수에서는 강압제 중단 후 6개

월~1년뒤혈압이다시상승한다.

고혈압의 약물요법

33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그림 8. 실제 병용요법의 예 (실선은 병용요법이 효과적인 경우이며 점선은 초기병용으로는 그다

지 추천되지 않는 경우이나 2개 약제로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는 추가로 병용하여도 무방

하다).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3

3) 저항성 고혈압

일반적으로 이뇨제를 포함한, 작용기전이 다른 강압제를 3가지 이상 병용하여 각각의 충분한 용량

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140/90mmHg 이하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약물섭취를 지

시한대로 따르지 않는 환자의 순응도 부족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감기약, 소염진통제(NSAIDs, 부신

스테로이드), 피임제, 과도한 식염이나 알콜 섭취가 원인이 될 수 있다. 강압제에 이뇨제가 포함되지

않았을 때는 용량과부하로 저항성 고혈압이 될 수 있다. 이차성 고혈압의 가능성을 의심할 수도 있다

(표 17).

진료실(백의)고혈압도제외해야하며, 굵은팔에혈압계의 cuff 폭이너무좁은것을썼을때도혈압

이높게측정된다.

4) 기타 약물치료

강압치료의 목적은 모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므로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른 위험인자를 동시에 치료해야 한다. 이때 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당뇨, 고지혈증, 관상동맥질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34 대한고혈압학회

표 17. 저항성 고혈압의 원인

부적절한 혈압 측정

백의 고혈압 또는 진찰실에서의 혈압상승

노년층의 가성 고혈압

뚱뚱한 팔에 표준 커프 사용

체액의 과잉

소금섭취과다

신장질환에 의한 볼륨 저류

부적절한 이뇨제 사용

약제와 관련된 요인

용량이 적거나 부적절한 병용 요법

약의 부작용

약품과의 상호 작용

감기약이나 비스테로이드(NSAID, COX-2) 진통제, 피임약, 부신스테로이드 호르몬, Cyclosporine 과

tacrolimus, erythropoietin,감초, 코카인

알콜 섭취과다

수면성 무호흡증을 포함한 이차성 고혈압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4

환, 뇌졸중, 신장질환이다.

(1) 항혈소판요법

심혈관질환의위험도가높은 50세 이상의고혈압환자에게는고혈압을안정범위(<150/90mmHg)로

강압시킨 다음 위장출혈의 위험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저용량aspirin(75 mg) 등의항혈소판제를투여한다.

(2) 항콜레스테롤제투여

관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이나뇌졸중및2형당뇨가있는경우LDL콜레스테롤이 130mg/dl 이상

이면 스타틴을 사용하여 수치를 30% 낮추는 것이 관상동맥 질환이나 뇌졸중의 발생 또는 재발위험을

억제할수있다.

(3) 혈당조절

2형당뇨를가진고혈압환자에서혈당목표치는식전혈당이 110mg/dl, HbA1c<6.5 %이다.

5) 환자 모니터링과 추적관찰

일반적으로 목표혈압에 도달 시까지 한달에 한번 방문하고 2기 이상의 중증 고혈압에서는 더 자주

방문할 수 있다. 혈중 K와 Cr은 일년에 최소 1-2번 측정해야 하며 목표혈압에 도달하고 혈압이 계속

안정적이면3~6개월에한번씩방문하도록한다.

6) 순응도의 제고

환자-의사간 신뢰가 가장 중요하며, 혈압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환자가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

함으로서순응도를높일수있다.

4. 고혈압성위기 (Crisis)

1) 고혈압성 응급(Emergency)

고혈압성 응급은 심한 혈압 상승(>180/120mmHg)과 표적장기손상이 진행하는 것이다. 즉시 정상

수치까지는 아니지만 혈압을 떨어뜨려서 표적장기손상을 예방하고 줄여야 한다. 고혈압성 뇌증, 뇌출

혈, 급성심근경색증, 폐부종을 동반한 급성좌심실부전, 불안정성협심증, 급성심근경색, 박리성 대동

고혈압의 약물요법

35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5

맥류 및 자간증 등에서는 즉각적 강압치료가 요구된다. 치료제로는 sodium nitroprusside, nitro-

glycerin, hydralazine, diazoxide, labetalol, esmolol 등을 정맥 주사한다(표 18). 치료 목표는 1

분-1시간이내 평균혈압을 약 25% 이내에서 줄이되 첫 24~48시간 내에는 수축기 160mmHg 이완기

100mmHg 이하로떨어뜨리면안된다. 지나치게혈압을떨어뜨리면신장, 뇌, 관상동맥에허혈을유

발할수있으므로주의하여야한다. 혈압강하에환자가잘견디고, 임상적으로안정되어있으면수일

내에정상혈압으로서서히떨어뜨리도록한다. 초기응급혈압처치후가능한빨리장기경구혈압치

료를병행한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36 대한고혈압학회

표 18. 저항성 고혈압의 원인

약제 (비경구용) 용 량 작용시작/작용시간 주의사항

혈관확장제

Sodium 0.25-10 ㎍/kg/분, 점적 즉각적/2-3분 장시간 사용 시

Nitroprusside thiocyanate 독성

Nitroglycerin 5-100 ㎍/min, 점적 2-5분/5-10분 두통, 빈맥, 내성

Nicardipine 5-15 mg/시간, 점적 1-5분/15-30분 장기간 사용 시

지속적인 저혈압

Fenoldopam* 0.1-0.3 ㎍/kg/분, 점적 1-5분/20-30분 두통, 빈맥, 안압상승

Hydralazine 5-10 mg 부하정주 10분/ >1시간 예측불가능한 과도한

또는 10-40 mg 근주 (정주) 혈압 저하, 빈맥,

(4-6시간 간격) 20분/ 4-6시간 협심증 악화

(근주)

Enalaprilat* 0.625-1.25 mg, 정주 15-60분/12-24시간 예측불가능한 과도한

(6시간 간격) 혈압 저하, 양측성

신혈관 협착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

교감신경 차단제

Labetalol 20-80 mg/천천히 정주 5-10분/2-6시간 기관지 수축, 방실차단,

(10분 간격) 또는 기립성 저혈압

0.5-2 mg/분 점적

Esmolol 500 ㎍/kg 3분간 정주 후 1-5분/15-30분 심근허혈의 악화

25-100 mg/kg/분 점적 기관지 수축, 방실차단,

Phentolamine 5-10 mg 정주 1-2분/10-30분 심부전

(5-15분 간격) 빈맥, 기립성 저혈압

*국내에는 시판되지 않고 있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6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 즉 출혈성 뇌졸중(지주막하 출혈, 뇌출혈) 환자, 대동맥 박리증 환자(가능

한 수축기 혈압을 120mmHg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 폐부종(급성 심근 경색증에 유발됐을 때는 주

의) 등에서는예외적으로혈압을빨리떨어뜨려야한다.

2) 고혈압성 긴박(Urgency)

수 시간 내로 강압시켜야 되는 상태로 중증 고혈압, 안저의 출혈 및 부종, 표적장기 장애가 진행 중

인 상태 등이다. Loop 이뇨제, 베타차단제, ACE 억제제, 칼슘 차단제, 중추신경작용 알파차단제 등

을 경구 투여한다(표 19).단시간 작용형 니페디핀의 설하 투여는 혈압강하의 정도를 예측할 수 없고

심박수를올림으로서심장에부담을주므로피하는것이좋다.

고혈압의 약물요법

37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19. 고혈압성 긴박에 사용하는 강압제

약제(경구용) 용 량 작용시작 주의사항

Captopril 25mg 15-30분/6-8시간 저혈압

Clonidine 0.1-0.2mg시간당 반복 30-60분/8-16시간 저혈압, 구갈증, 정신가라앉음

(총량 0.6mg까지)

Labetalol 200-400m㎍/kg 30분-2시간/2-12시간 기관지 수축, 방실차단,

2-3시간당 반복 기립성 저혈압

Prazosin 1-2mg 시간당 반복 1-2시간/8-12시간 졸도(처음 사용시), 기립성 저혈압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7

38

1. 심장질환과고혈압

1) 관상동맥질환

관상동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고혈압의 합병은 심혈관 질환에 의한 유병률 및 사망률을 증

가시키는 위험인자 중의 하나이다. 혈압조절의 목표는 140/90mmHg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안정형 협심증을 동반하는 고혈압에 우선적으로 추천되는 강압제는 베타차단제와 칼슘길항제이

다. 칼슘차단제중 속효성은 심근경색에서 사망률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을 금하는 것이 좋

다. 불안정협심증이나심근경색증및심근경색후에좌심실기능부전이합병되었을때는ACE억제제

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베타차단제 및 알도스테론 길항제가 추천되는데 심부전증의 재

발및사망률을감소시키는데유효한것으로보고되고있다.

2) 좌심실비대

좌심실비대의 퇴축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는 혈압의 강하정도이다. 약제 간에는 좌심실비

대가 있는 고혈압에서는 ACE억제제, ARB 및 칼슘차단제가 다른 약제와 비교해서 효과적으로 좌심

실비대를경감시키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3) 심부전증

고혈압은 좌심실기능 부전의 가장 큰 원인중의 하나이다. 심부전증이 있는 고혈압 환자에서 ACE억

제제와 ARB, 베타차단제(carvedilol, metoprolol, bisoprolol) 및 알도스테론 길항제가 심혈관 사망

률을 경감시키는데 유효하다고 보고 되어 우선적으로 추천되며, thiazide계 이뇨제는 증상완화에 효

과적이고 최근 ALLHAT연구에서 고혈압에서 심부전발생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었다. 장시

간작용DHP계칼슘차단제는고혈압이타약제에잘조절되지않을때는심부전에사용될수있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8

2. 당뇨병과고혈압

인구집단에서고혈압과당뇨병을둘다가진환자의숫자가증가되고있다. 당뇨병환자에서는고혈

압이 특히 많이 발견되고 고혈압 환자에서도 일반인구 집단에 비교해서 당뇨병의 발생이 2.5배 증가

된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공존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신질환을 진행시키는 매우 나쁜 위험

인자이다. 이환자들은소위대사증후군의형태를보일수도있다.

당뇨병에서도 미세알부민뇨(1일 30-300mg)는 신손상의 표식자이며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알리는

예측인자이다. 또한 당뇨병에서 수축기혈압이 확장기혈압보다 신질환의 발병을 예견하는데 더 좋은

인자이다. 우리나라에서도당뇨병성신증은말기신질환의으뜸원인이되어있다.

따라서 치료목적은 심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하고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 및 진행을 예방 또는 완화시

키는데 있다. 당뇨병에서의 고혈압의 치료목표는 130/80mmHg 미만으로 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전

향적 비교연구들에서 철저한 혈압 조절은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대개 두개 이상 치료제의 병용요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어떤 약제가 우월한가에 대한 논란

은의미가적다고할수있다.

약제의 선택에 관해서는 일반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thiazide 이뇨제, ACE억제제, 베타차단제,

ARB, 지속성 칼슘 차단제 모두 임상연구에 근거해서 권고되고 있다. 이들은 심혈관 합병증과 뇌졸중

을줄이는데유용하다고한다.

그러나 합병증 여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추천되고 있다. 1)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고혈압이

나알부민뇨에관계없이ACE 억제제가일차약으로추천된다. 2) 미세알부민뇨와고혈압을보이는제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ACE 억제제와 ARB가 추천되고 있다. 3) 고혈압과 임상적인 단백뇨, 신기

능 저하 등이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ARB가 추천된다. 4) 55세 이상의 심혈관질환의 위험

이 높은 당뇨병 환자들에서는 ACE억제제, 5)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베타차단제가 추천되고

있다. 소량의 이뇨제와 베타 차단제도 ACE 억제제와 같이 제 2형 당뇨병의 심혈관 합병증 예방에 유

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이뇨제 사용은 치명적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을 lisinopril,

amlodipine과동일하게감소시켰다. 이뇨제는고혈당을악화시키는경향을보 지만그정도는매우

작았고 심혈관 질환을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혈압 강하 효과가 좋은 DHP계 칼슘 차단제는 단독 사용

보다는ACE억제제또는ARB 제제와병용하는것이바람직하다.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39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39

3. 신질환과고혈압

만성 신질환에는 GFR이 60ml/min/1.73m2 미만 (대략 혈청 크레아티닌이 남자 1.5mg/dL여자

1.3mg/dL 이상) 또는 단백뇨 (1일 300mg이상)가 검출되는 환자들이 포함된다. 만성 신질환 환자들

의 대부분에서 고혈압이 나타나며, 신기능의 저하는 혈압과 비례하되 특히 수축기 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연간 감소율이 4-8ml/min으로 급속도로 나빠지게 된다.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일부에서도

치료하지 않으면 고혈압성 신경화증으로 진행되어 신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악성 고혈압이나, 신혈

관협착증, 신혈관동맥경화와색전증등에의하여이차적으로신기능이저하될수도있다.

또한만성신질환환자들에서심혈관질환이가장흔한사망원인인동시에만성신질환은심혈관질

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다. 심혈관 질환의 위험은 GFR 감소와 단백뇨의 심한 정도에 비례하여 증

가한다.

따라서고혈압의치료목적은신기능의악화를예방또는완화시키고, 빈발하는심혈관계합병증및

사망률을 줄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혈압을 130/80mmHg 미만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단백뇨가

1일 1.0g 이상일때는 125/75mmHg미만으로철저히혈압을조절함이신보호에효과적이다. 선택약

제로는 ACE 억제제나 ARB제제가 권고된다. 여기에 목표 혈압 달성을 위해 대부분 다른 약제들과의

병용요법이필요한데, 이경우이뇨제를추가하거나칼슘길항제등의다른약제를병용투여한다.

대부분의 임상 연구 결과에서 ACE 억제제나 ARB제 사용이 당뇨병성 신증이나 비당뇨병 신증들에

서 신손상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이 보고 되어 왔다. 대단위 분석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후는

수축기 혈압이 낮을수록, 알부민뇨가 적을수록, ACE 억제제로 치료할수록 좋았다. 또한 비DHP계열

칼슘길항제인 verapamil, diltiazem 등도 신질환에서 단백뇨를 감소시키고 신기능 악화 속도를 완

화시키는것으로보고되어있다.

신질환에서 ACE 억제제를 사용할 때 일부 환자에서는 일시적으로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면서 혈

청 크레아티닌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혈청 크레아티닌이 투여 전보다 35%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고칼륨혈증이발생하면약물을중단하여야한다. 또한혈청크레아티닌이3.0mg/dL 이상인만성신부

전증환자에서ACE 억제제의투여는주기적인혈청크레아티닌의추적검사가필요하다. 만성신부전

증으로 이행되면 수분이 축적되고 체액이 증가되어 이뇨제의 투여가 필요하게 된다. 혈청 크레아티닌

이 2.5-3.0mg/dL 이상일 때는 thiazide의 이뇨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으며 loop 이뇨제를 투여

해야된다.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처음 시작된 고혈압이나, 관상동맥질환 또는 말초혈관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신기능 저하의 고혈압 환자에서는 신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신혈관성 고혈압에 대한 검사를 시

행하여야한다. 특히양측신동맥죽상경화증환자에서는ACE 억제제의사용은금기로되어있다. 이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40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0

러한환자에서강압제는일차적으로칼슘길항제를투여하는것이바람직하다.

4. 뇌혈관질환과고혈압

허혈성및출혈성뇌졸중등의뇌혈관질환의위험은혈압이높을수록증가된다. 국내연구에따르면

뇌출혈의 발병 위험도가 제 1기 고혈압에서 2.6배, 제 2기 고혈압에서 4.3배, 특히 혈압 180/110mm

Hg 이상이면9.9배로급격하게증가한다.

고혈압의치료특히수축기혈압의치료는뇌졸중의발병을현저히감소시킨다. 뇌졸중의예방을위

해서 어떤 약제가 우수한가에 대해선 결정되진 않았지만 임상 연구들에 의해 ARB와 이뇨제, 칼슘 차

단제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뇌졸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에서 ACE 억제제나 이

뇨제의단독또는병용투여가뇌졸중재발과심혈관합병발생을감소시킴이보고되었다. 한편칼슘

길항제는 혈압 강하와 함께 뇌 혈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뇌출혈이 동반된 경우에는 뇌압상승을

일으킬수있기때문에사용시주의를요한다.

급성 뇌졸중에서 혈압이 상승하는 이유는 허혈이 발생된 뇌조직에 혈류공급을 증가시키려는 자동

보상작용으로생각되고있다.

급성기의 허혈성 뇌졸중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22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120-

140mmHg사이이면 혈압의 10-15%를 천천히 감소시키며, 확장기 혈압이 140mmHg인 경우에는 비

경구용 labetalol이나 nitroprusside를 주사하되 신경증상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도록 권하고

있다.

뇌출혈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80mmHg이상이면 치료를 하여 서서히 낮추며, 환자 상태가 안정화

되거나회복될때까지는혈압을중간정도인 160/100mmHg로조절함이적절하다. 그러나너무높은

혈압은뇌부종을악화시키므로낮춰야한다.

혈압의 상승정도는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전용해요법에 향을 미친다. 수축기혈압이 185mmHg,

확장기 혈압이 110mmHg이상인 경우에는 발작 3시간 내에 tPA를 이용한 혈전 용해요법은 금기이

다. 혈전용해요법을 사용하면 초기 24시간 내에는 주의 깊게 감시하여야 한다. 뇌출혈을 예방하기 위

해서 수축기 혈압이 180mmHg, 확장기 혈압이 105mmHg 이상인 경우에는 비경구용약제로 치료를

시작한다.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1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1

5.노인의고혈압

연령이증가함에따라수축기혈압은거의직선적으로증가하여노인의반수이상에서고혈압이나타

나며 대부분이 수축기 고혈압이다. 수축기 고혈압의 정의는 수축기 혈압 140mmHg이상이고 확장기

혈압90mmHg이하일때를말한다.

수축기 혈압은 50세 이상에서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젊은이에 비해 노인

의 심혈관계 질환은 3-4 배 많다. 80세 이상까지도 고혈압을 적절히 치료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율과 그로 인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되지만, 실제로 노인 고혈압에서 조절율이 약 20%에 머물

고있다.

노인에서도 혈압 조절의 원칙은 일반적인 원칙과 같다. 초기 용량은 저용량으로부터 시작하여 증량

함으로써 부작용 발생을 줄여야한다. 대부분 환자들에서 적절한 혈압 조절을 위해선 충분한 용량을

투여해야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병용요법이 필요하다. 노인에서 적절한 이완기 혈압의 기준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지만 60mmHg 미만으로 낮추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많은 노인들이 다른

위험인자들도가지고있다는점이함께고려되어야한다.

일반적으로노인성수축기고혈압의치료제로는이뇨제와칼슘길항제가추천된다. 이뇨제는심혈관

계사망률및심부전증의발생을줄이는데효과적인것으로나타나있으며, 칼슘길항제는수축기고

혈압의 치료제로 추천되고 있으며 뇌혈관 질환 예방에 우수하다. 이뇨제 사용은 노인에서 소량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빈뇨, 무기력 등을 호소할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약물

치료 시 기립성 저혈압이 잘 나타나므로 이뇨제 투여에 따른 과도한 체액 감량이나 빠른 약물 증량,

정맥확장제투여등의사용을피해야하며, 투약후선자세에서도혈압을측정하여평가하는것이바

람직하다. 최근엔 ACE 억제제와 ARB도 심혈관계 보호작용과 함께 노인성 수축기 고혈압의 치료제

로써효과적이라고보고되고있다.

6.여성의고혈압

1) 비임신 여성

고혈압의 유병율은 초기 성인기에는 여성에서 낮지만 50세가 넘으면서 빠르게 발생률이 증가하여

60세 이후가 되면 남녀차가 없거나 오히려 여성에서 조금 더 높게 나타난다. 대부분 연구들에서는 폐

경후여성의혈압이가임기여성의혈압보다수축기와이완기모두높게나타났다.

폐경후호르몬대체요법이혈압에미치는 향에대한현재까지의연구들의결과는일관성이없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42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2

일반적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에 의한 혈압의 변화는 미미하므로 호르몬 사용을 혈압 때문에 기피할 필

요는없다.

경구 피임약의 복용으로 여성들 다수에서 심하지는 않지만 혈압상승을 경험한다. 또한 가끔 가속성

혹은 악성고혈압이 유발되기도 한다. 고혈압의 가족력, 임신성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거나, 잠재성 신

장질환이 있는 경우, 비만하거나, 경구 피임약 복용기간이 길수록 그 위험도가 증가 한다. 이처럼 여

성 호르몬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는 초기에 혈압에 대해 주의 깊은 관찰을 요하며 그 이후에는 6개월

마다정기적인혈압측정이권장된다.

또한 여성에서 강압제에 대한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다. ACE 차단제, ARB는 임신을 계획하고 있

는 여성들에게는 금기이다. 이뇨제는 고관절 골절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고령의 환자들에게 유용하

다. 어떤항고혈압약물은성별에따라부작용이다르게나타난다.

2) 임신 여성

임신 중 고혈압은 모체와 태아, 신생아 사망과 유병율 증가의 주요원인이다. 임신 전부터 본태성 고

혈압으로 치료받고 있던 환자들 대부분이 임신초기에는 혈압이 하강하여 강압제의 투여를 중지한다.

그러나 임신후기가 되면 다시 혈압이 상승하여 강압제의 투여가 필요하게 된다. 임신 전부터 있었던

만성 고혈압과 전자간증을 구분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표 21). 특히 전자간증은 임신 20주 이후

에 수축기 혈압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면서 단백뇨(>300mg/24h)가 동반하는

것을말한다.

임신중 사용되는 강압제중 장기간 추적검사에서 태아에 가장 안전하다고 인정된 약제는 methyl-

dopa와 hydralazine이다. 그 다음으로 베타차단제(atenolol, metoprolol), 알파-베타차단제

(labetalol), 칼슘길항제(nifedipine), 알파차단제 등도 임신후기에 사용하 을 때는 비교적 안전한

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베타차단제를 임신초기부터 장기간 사용하 을 때는 태아의 발육부전,

서맥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며, 칼슘길항제는 혈압을 갑자기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으

므로 MgSO4와 병용 사용하는 것은 삼가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ACE 억제제와 ARB는 임신중기 및

후기에사용하 을때는신생아신부전증, 기형아출생등심각한합병증을초래할수있으므로그사

용을금지해야한다.

임신 기간 중의 만성 고혈압의 치료 시 제 1기 고혈압 정도는 생활 습관의 변화로만 조절한다. 그러

나 표적장기 손상이 있거나 임신 전에 혈압조절을 위해 항고혈압약물을 복용한 경우에는 임신 후에도

혈압조절을 위해 항고혈압 약물의 투여가 계속되어야 한다. 수축기 혈압이 150 또는 160mmHg, 이

완기 혈압이 100 또는 110mmHg 에 이르면 임신 기간동안 혈압이 극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방을 바꿔야 한다. 만성고혈압 산모가 단백뇨가 있거나 또는 혈청크레아티닌이 1.4mg/dL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3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3

이상인경우유산과모체의신기능악화가능성이높아진다는사실을유념해야한다.

전자간증은 임신 전 만성 고혈압이 있는 여성에서 더욱 빈발하는데 이 경우 예후가 나쁘다. 이중 일

부는응급을요하는고혈압이나타나입원과중환자관리, 조기태아출산, 강압제의주사등의적극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전자간증의 예방을 위해 고위험 여성을 미리 동정하여 조기 발견과 집중

감시를 시행하며, 그 치료는 입원, 침상안정, 혈압조절, 자간증이 임박한 증후가 보일 경우 간질예방,

그리고 적절한 시기에 출산유도 등으로 구성된다. 다수는 임신 전에 정상 혈압이었으므로 중등도의

급격한 혈압상승만으로도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고 치료를 요한다. 분만이 모체에게는 적절한 치료이

지만 가능한 임신 32주 이전의 출산은 태아에게 위험하므로 피한다. 항고혈압 약물로는 메틸도파 경

구투여가 안전한 선택이다. 그 외에 경구용 라베탈롤이나 다른 베타차단제 혹은 칼슘 차단제를 대체

사용할 수 있다는 소수의 보고도 있다. 분만이 임박한 경우에는 비경구적인 약물투여가 실제적이고

효과적이다.

7.대사증후군과고혈압

비만은 고혈압 발달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자

>90cm, 여자 >80cm) 과 고혈압 130/85mmHg 이상, 중성지방 상승(중성지방 150mg% 이상), HDL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44 대한고혈압학회

표 21. 임신과 관련된 고혈압의 분류

만성 고혈압임신전이나 임신 20주 이전에 수축기 혈압 >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 90mmHg,

분만 후 12주 이상 지속

전자간증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면서

단백뇨 (>300mg/24 h)가 동반. 자간증으로 이행가능

만성 고혈압산모에서 임신 20주 이후에 단백뇨가 발생하는 경우

만성 고혈압에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과 단백뇨가 있는 산모;

전자간증이 병발 갑자기 단백뇨가 2-3배 증가

갑자기 혈압이 상승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단백뇨가 동반되지 않는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 일시적 진단

전자간증으로 이행가능

일시적인 고혈압후향적인 진단명

출산 12주후까지 정상혈압회복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4

콜레스테롤의 저하(HDL-cholesterol 남자 40mg% 미만, 여자 50mg% 미만), 인슐린 저항성(혈당

110mg% 이상)의 5개중에서세가지이상인경우로정의한다.

다른 위험인자 없이도 비만자체가 특히 남자에서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사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이 4배,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과 전체사망률이 2배 증가한

다. 여성에서도심혈관계질환의위험이증가되고, 당뇨병발생이5-9배증가된다.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가장 좋은 치료는 좋은 생활습관을 갖도록 변화하는 것이다. 육체적 활동을

늘리고열량섭취를줄여서과체중과비만을치료하는것이매우중요하며, 고혈압전단계와 1단계고

혈압군에서 혈압 치료가 효과적이고, 지질변화의 개선 (특히 중성지방과, 저HDL 콜레스테롤) 역시

효과적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은 사람에서는 육체적 활동을 증가시키고 다른 생활습관을 개선하

면약60%에서당뇨병을예방할수있다.

8.말초동맥질환과고혈압

말초 동맥질환의 중요한 인자는 고혈압, 당뇨, 흡연이다. 말초 동맥질환은 광범위한 동맥경화, 관상

동맥질환, 신혈관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심혈관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높다. 따라서

말초동맥질환환자에서는이들질환에대한검사가필요하다.

말초 동맥질환에서 어떤 특정한 항고혈압 약물이 우위에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약물

의 선택은 필요한 적응증에 맞추어 정해야 한다. 베타차단제는 말초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 동맥질환

의증상을더빈번하게할수있으나, 최근연구결과는보행거리나장딴지혈류에큰 향을끼치지는

않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 Raynaud 현상이 있는 경우에는 칼슘 차단제가 사용될 수 있고, LDL

콜레스테롤을떨어뜨려주는것이말초동맥질환환자에서심혈관계위험을줄일수있다.

9.어린이와청소년에서의고혈압

소아와청소년기의고혈압은혈압을반복측정시나이, 키, 성별로 95% 이상의혈압의증가를보일

때로 정의한다. 주로 소아와 심한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이차성 고혈압이 더 흔하다. 만성

고혈압은 청소년기에 증가하기 시작하며 보통 비만,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 고혈압이나 다른 심혈관

계 질환의 가족력과 연관성이 많다. 지속적인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소아에서는 심초음파를 포함한

좌심실비대의발견을위한적절한검사가이루어져야한다.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5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5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모든 소아에서 생활습관의 조절이 필요하다. 약물의 선택은 성인과 유사하지

만, 약물의용량이적어야하고또한조절에신중을기해야한다.

소아가 합병증이 없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을 때 육체적 운동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운동

만으로도 혈압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만, 운동부족, 흡연 등의 위험인자를 줄

이도록철저한교육이필요하다.

10.발기부전과고혈압

발기부전은 50세이상의남성에서흔하고, 특히고혈압이있는사람에서더욱흔하게발생한다. 여

러 종류의 항고혈압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발기 부전의 발생율을 증가시키며, 혈압하강 자체가 성 기

관의혈액순환을감소시킬수있다. 발기부전의발생빈도는베타차단제나이뇨제, 알파차단제등의

사용으로 증가된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차이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항고혈압제를 사용한 개개인의 연

령, 혈관질환 및 개개인의 호르몬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신체적으로 활동적이거나, 비만하지

않거나, 비흡연자에서는 발기부전의 위험율이 낮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래서 생활습관의 변화는 발기

부전의발생을억제한다.

만일 항고혈압제를 시작했을 때 발기 부전이 관찰된다면 발기부전을 일으킨 약제를 중단하고 다른

약제를 사용한다. Sildenafil이나 다른 phosphodiesterase-5 inhibitor들은 부작용이 없이 다른 항

고혈압제제와같이처방할수있지만nitrate 제제와같이사용해서는안된다.

11.요약

특수한질환을동반한경우에는일정한약제의선택이중요할수있다. 그러나목표혈압을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약제의 병용투여가대부분에서 요구된다. <표 22>에 특수한 적응증과 목표혈압이 요약

되어있다.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46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6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47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표 22. 특수질환에서의 고혈압 치료 지침

특수질환 혈압 조절 목표 추천 약제

관상동맥질환 <140/90mmHg

협심증 베타차단제, 작용시간이 긴 칼슘 차단제

심근경색후 베타차단제, ACE억제제

좌심실비대 ARB, ACE억제제

심부전증 ACE억제제, ARB, 베타차단제, 알도스테론 길항제,

이뇨제(부종이 있는 경우)

당뇨병 <130/80mmHg

제1형 ACE 억제제

제2형 미세알부민뇨, 고혈압: ACE억제제, ARB

단백뇨, 고혈압: ARB

신질환 <130/80mmHg ACE 억제제, ARB, 이뇨제 병용

단백뇨 1일1g이상

<125/75mmHg

뇌혈관질환 허혈성10-15% 서서히 강압 ARB, ACE억제제, 이뇨제, CCB(뇌출혈에는 제한)

뇌출혈 160/100mmHg

노인 고혈압 수축기 고혈압, 저용량으로 시작

이뇨제, CCB, ACE 억제제, ARB

여성고혈압 폐경 후 상승

피임약 고혈압 유발

임신 고혈압 methyldopa, hydralazine,

후기엔 베타차단제 등

ACE억제제, ARB는 금기

말초동맥 질환 칼슘 차단제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7

별첨; 고혈압 약제의 종류와 통상 치료용량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48 대한고혈압학회

상상품품명명 제제 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TThhiiaazziiddee계계

Hydrochlorothiazide Dichlozid 25 mg 12.5-25 mg/ 1회

Chlorthalidon Chlorthalidon 25, 50 mg 6.25-25 mg/ 1회

Indapamide Fludex, Natrix 1, 1.5 mg 1.5-2 mg/ 1회

Metorazone Zaroxolyn 5, 10 mg 2.5-5 mg/ 1회

Tripamide Tripamol 15 mg 7.5-15 mg/ 1회

LLoooopp 계계

Furosemide Lasix 40 mg 20-40 mg/ 2-3회 분복

Torasemide Torem 2.5, 5, 10 mg 2.5-5 mg/ 1회

KK ssppaarriinngg 계계

Spironolactone Aldactone 25, 50 mg 25-50 mg/ 1-2회분복

Amiloride Amilo 5 mg 2.5-5 mg/ 1회

분분 류류 종종 류류 상상품품명명 제제 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Atenolol Tenormin 25, 50 mg 25-10 mg /1-2회 분복

Betaxolol Kerlone 10, 20 mg 10-20 mg/ 1회

심장 선택적 Bevantalol Calvan 25, 50,100 mg 100-200 mg/ 1회

Bisoprolol Concor 5 mg 5-10 mg/ 1회

Celiprolol Selectol 200 mg 200-400 mg/ 1회

Metoprolol Betalol 100 mg 50-200 mg/ 1-2회

Nadolol Corgard 40 mg 40-240 mg/ 1회

심장 비선택적 Propranolol Pranol 40, 80 mg 40-240mg/1-2회분복

Carteolol Mikelan 5 mg 10-15 mg

Arotinolol Almarl 5, 10 mg 5-30 mg/ 1회

알파 베타 차단제 Carvedilol Dilatrend 6.25, 12.5, 25 mg 6.25-25 mg/ 1회

Labetalol Trandate 100 mg 200-600 mg/ 2회 분복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8

별첨; 고혈압 약제의 종류와 통상 치료용량

49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성성분분명명 상상품품명명 제제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Amlodipine Norvasc 5, 10 mg 2.5-10 mg / 1회

Barnidipine Oldeca 5, 10, 15 mg 5-15 mg / 1회

Benidipine Coniel 2, 4, 8 mg 2-8 mg / 1회

Cilnidipine Cinalong 5, 10 mg 5-20 mg / 1회

Efonidipine Finte 20, 40 mg 20-60 mg / 1회

Felodipine Munobal/Splendil 2.5, 5 mg 2.5-10 mg / 1회

Isradipine DynaCirc 5 mg 5-10 mg / 1회

Lacidipine Vaxar 2, 4 mg 2-4 mg / 1회

Lercanidipine Zanidip 10 mg 5-20 mg / 1회

Manidipine Madipine 10, 20 mg 5-20 mg / 1회

Nicardipine Perdipine-SR 40 mg 40 mg / 1회

Nifedipine Adalat-Oros 30 mg 30-60 mg / 1회

Nilvadipine Nilvaldil 2, 4 mg 2-4 mg / 1회

Nisoldipine Nisoldin 5, 10 mg 5-10 mg / 1회a

Nitrendipine Baypress 10, 20 mg 10-40 mg / 1회

Diltiazem Herben/Dilteran 90, 180 mg 90-180 mg / 1회

Verapamil Isoptin 40, 80, 180, 240 mg 40-480 mg / 1회

성성분분명명 상상품품명명 제제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Alacepril Cetapril 25, 50 mg 25-75 mg / 1-2회 분복

Benazepril Cibacen 5, 10, 20 mg 5-20 mg / 1회

Captopril Capoten 25 mg 25-100 mg / 1-2회 분복

Cilazapril Inhibace 0.5, 2.5 mg 1.25-5 mg / 1회

Delapril Kedapril 15 mg 7.5-60 mg / 1회

Enalapril Lenipril 5, 10 mg 5-40 mg / 1회

Fosinopril Monopril 10, 20 mg 10-40 mg / 1회

Imidapril Tanatril 2.5, 5, 10 mg 2.5-10 mg / 1회

Lisinopril Zestril 10 mg 10-20 mg / 1회

Moexipril Univasc 7.5, 15 mg 7.5-15 mg / 1회

Perindopril Acertil 4 mg 4-8 mg / 1회

Quinapril Accupril 10 mg 10-20 mg / 1-2회 분복

Ramipril Tritace 2.5, 5 mg 2.5-10 mg / 1회

Temicapril Acecol 1, 2, 4 mg 1-4 mg / 1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49

2004년도 우리나라의 고혈압 진료지침

50 대한고혈압학회

성성분분명명 상상품품명명 제제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Candesartan Atacand 8, 16 mg 8-16 mg/ 1회

Eprosartan Tevetan 600 mg 600 mg/ 1회

Irbesartan Aprovel 150, 300 mg 150-300 mg/ 1회

Losartan Cozaar 50, 100 mg 50-100 mg/ 1회

Telmisartan Micardis / Pritor 40, 80 mg 40-80 mg/ 1회

Valsartan Diovan 80, 160 mg 80-160 mg / 1회

성성분분명명 상상품품명명 제제제제 11회회용용량량((mmgg)) // 횟횟수수

Bunazosin Detantol 1 mg 1-6 mg / 2-3회 분복

Doxazosin Cardura-XL 4 mg 4-8 mg / 1회

Prazosin Minipress 1, 2 mg 0.5-6 mg/ 2-3회 분복

Terazosin Hytrine 1, 2, 5 mg 1-10 mg / 1-2회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50

고혈압지침서 2005.2.2 1:49 PM 페이지 51

대 한 고 혈 압 학 회고혈압진료지침제정위원회

대 한 고 혈 압 학 회고혈압진료지침제정위원회

표지 2005.2.2 2:3 PM 페이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