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 Past & Present 2013 -E. P. Thompson /김유정 x 2013 autumn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 Past & Present 2013 -E. P. Thompson /김유정 x 2013 autumn

Page 2: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E. P. Thompson

YOOJUNG, KIM

2013 Autumn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Page 3: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Introduction

Contents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Discussion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4. 시간규율의 내면화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

Page 4: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4

Author

✦ E.P. Thompson(1924-1993)

✦ British Historian, writer, socialist etc.

✦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1963)

✦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1967)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 ‘시간 규율’이라는 고전적인 개념

✦ 일상생활의 통치성 문제

✦ ‘시계’라는 테크놀로지의 사회적 수용

✦ 시간에 대한 인식의 구체화 과정

1. Introduction 2. Contents 3. Discussion

Page 5: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개인적으로는

✦ ‘미디어 연구자’로서 알아두면 좋을 배경지식✦ 모바일 디바이스가 시간 규율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염두에 두고 보면 좋을듯

!✦ 나중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을 통한 생활패턴 변화와 관련된 연구의 관련 이론을 적용할 수 있겠다.✦ 특히 멀티플 유즈가 구성하는 시간의 심화라는 측면에서 시간 규율 약화를 이야기할 수 있겠다.

!✦ 한글번역이 되지 않았다(!)✦ 인간의 자연스러운 노동패턴은 벼락치기+왕창놀기이다 아싸✦ 시간을 아끼며 살아야겠다

1. Introduction 2. Contents 3. Discussion

Page 6: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4. 시간규율의 내면화

�6

✦ 원시사회의 시간측정법이자 농업사회, 마을, 가내공업사회에 적합한 시간개념

✦ 노동주기/집안일 등 익숙한 과정과 관련: 노동 간 관계가 일상적 시계

✦ 노동 상황과 자연 리듬 관계의 특성에 따른 시간 인식

✦ 수산업/해양관련업 마을: 조수에 관한 시간이 사회적 시간을 결정

✦ 농촌 마을: 새벽부터 땅거미가 질때까지의 시간이 노동리듬을 결정

✦ 작업지향적 시간의 특성

✦ 자본주의 사회의 시간규율적 노동에 비해 인간중심적

✦ 작업지향적 시간의식이 보편화된 사회: 노동과 일상적 삶이 구별되지 않음

✦ 시계에 익숙한 사람들은 이러한 노동 태도를 낭비적이고 느긋한 것으로 인식

누에족

작업지향적 시간(task-oriented time)

난디족

소 시계(cattle clock), 목장 일 한 판

쌀밥 짓는 시간(30분), 메뚜기 튀기는 시간(찰나의 시간)

17세기 칠레 화산이 두 번 폭발한 정도의 시간(주기도문 외우는 시간), 달걀 완성 시간(아베마리아 완창 시간)

크로스강 원주민 옥수수가 완전히 쪄지지 않은 시간(15분)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7: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4. 시간규율의 내면화

�7

✦ 작업날짜와 시간의 불규칙함

✦ 정확하고 일관적인 시간계획(time-budget) 불필요: 노동력 예측 불가

✦ 주중 노동시간의 불규칙한 순환 속에 있음

✦혼합된 직업 존재

✦ 콘월 지방의 주석광부: 정어리 낚시 겸업

✦ 북부의 납광부: 소규모 자작 겸업

✦ 마을 숙련공들: 건축, 마차배달, 연결작업 등

불규칙한 노동패턴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1782년 12월 24일: 11시까지 2야드의 천을 짰다. 석탄 더미를 쌓아올리고, 부엌의 지붕과 벽을 쓸고, 밤 10시까지 퇴비더미를 쌓

았다.

1783년 1월 18일: 송아지 축사를 마련하고, 오솔길 옆에 자라는 나무 세 그루를 베어 존 블라그로프에 팔았다.

1783년 1월 21일: 2와 3/4야드를 짰고, 소가 송아지를 낳았는데 보살펴줘야 한다.

- 18세기 농부 겸 직조공의 일기

Page 8: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8

✦ 한바탕 일을 하고, 한바탕 게을러지는 것의 반복을 반영

✦ 거의 모든 업종에서 성 월요일 풍습 묘사

✦ 나폴레옹 전쟁 중에도 굳건히 지켜졌음

✦ 영국에서는 19세기까지 복잡한 사회경제적 이유로 영속화

성 월요일 풍습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당신은 월요일을 일요일의 형제로 알고 있어요. 화요일도 마찬가지죠. 수요일은 교회에 가서 기도를 해야해요. 목요일은 절반은 휴

일이지요. 금요일에 실을 잣기에는 너무 늦어요. 토요일에는 다시 절반만 일하지요.

-1693년의 노래

자신의 노동생활을 통제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노동패턴은 한바탕 일을 하고 게을러지는 것의 반복이었다. 이 패턴은 오늘날

자영업자 - 예술가, 작가, 소작농 그리고 특히 학생들 - 사이에서 지속된다. 이러한 패턴은 ‘자연스러운’ 인간의 노동리듬일지 모른

다. 전통에 따라 월요일 혹은 화요일에는 “시간은 충분해, 시간은 충분해”라는 구호 아래 천천히 돌아간다. 목요일과 금요일에는 “이

미 늦었어, 이미 늦었어”로 바뀌게 된다. 아침에 한 시간쯤 더 누워있고 싶은 유혹이, 촛불을 켜고 저녁까지 일하게 하는 것이다.

도기공들은 작업의 결과를 예측해서 계산하는 법이 없이, 마치 어린아이들처럼 살았다 (…) 언제나 그 주의 마지막 날들이 존재했

고, 그러므로 이 날들 동안에 주 초의 태만으로 인한 손실을 보장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다.

- Old Potter(1903)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9: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9

시계의 보급 및 확대

시계제조업의 발달

✦ 정확성 증진에 대한 노력

✦ 링컨셔의 존 해리슨의 해양 크로노미터의 정확성(1730)

✦ 뉴타운 시계 제작자 존 티보(1810): 2년 동안 1초도 변함없는 시계

✦소형시계 제작의 중요성 급부상

✦ 18세기 초반 이후 소형시계 보급의 확산

✦ 시계에 대한 과세가 경기침체에 영향을 끼침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진리에 더 가까워진 시계를 가져왔다. 수개월이 흘러도 1초 이상은 변동이 없다. 나는 이 시계가 1년 동안

2초에서 3초 정도밖에 변함이 없는 정도의 정확성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 - John Harrison

14세기

교회시계, 공공시계 등장

15세기

영국 교구들의 교회시계 마련

17-19세기

가정용 시계의 확대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0: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10

✦ 시계 소유의 의미: 사치품

✦ 완성도 높은 시계는 고가에 판매

✦ 18세기 중반까지 상류층, 장인들, 상인들의 전유물

✦ 계급적 상징을 위한 고의적 강조: 복잡한 디자인, 금속에 대한 선호

!✦ 시계에 대한 과세

✦ 1797-1798년: 모든 시계에 세금을 부과하려는 피트 수상의 정책

✦ 은/금속시계(2실링), 금시계(6온스 10실링), 시계(5실링)

✦ 경기 침체와 강한 반발로 2년만에 폐지

시계의 사회적 의미 변화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만약에 수상이 당신의 돈을 가져간다면 - 왜 당신의 바지가 남아있는 거죠?

그리고 당신의 셔츠가 펄럭이겠죠 - 만약 수상이 당신의 바지를 가져간다면 말이에요.

그리고 당신의 피부가 남겠죠 - 당신의 셔츠를 가져가버렸다면요.

그리고 당신의 맨발이 남겠죠 - 당신의 신발이 그 다음이라면요.

그리고 나면, 세금에 신경 쓰지 마세요!

- A Loyal Song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1: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11

✦ 시계 소유의 의미 변화: 신용 상징 및 편의품으로의 전환

✦ 시계의 보편적 확산

✦ 값싼 소형시계의 유통: 소매치기, 교환원, 전당포 주인, 선술집 등

✦ 노동자의 부정기적 소득이 시계를 구입하는 데 소진

✦ 집단 할부구매를 위한 시계 클럽(Clock and Watch Club)의 형성

✦ 유용성과 더불어 위신(prestige) 부여

✦ 시계의 일반적 보급 시기 = 산업혁명이 노동의 동시화를 요구하던 순간

✦ 1790년대 시계 보급의 일반적 확대

✦ 산업적 삶의 새로운 리듬을 규율

시계의 사회적 의미 변화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이건 회중시계인데요. 이걸 처음 살 때는 5파운드가 들었는데, 스무번 이상을 전당잡혔어요. 전부 합쳐서 40파운드 이상일거예요.

이건 동료같은 수호천사죠. 당신이 돈에 쪼들릴 때, 좋은 도구인거죠”

- 19세기 초 런던내기(Cockeny) 노동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오랫동안 시계없이 살 수 있는 맨체스터 직공은 없을 거예요 (…) 이들 방직공 집에서 가장 흔한

물품은 당연히 바쁘게 움직이는 추가 달린 작은 네덜란드식 시계겠죠.”

- 19세기 초 맨체스터 기자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2: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4. 시간규율의 내면화

�12

산업적 영역에서의 시간규율

규칙 103번: 나는 감독관들이 모여 노동시간을 계산하고 명령을 내리는 회의를 구상해왔다. 이 회의에서 오전 5시에서 오후 8시,

또는 오전 7시에서 오후 10시까지가 노동시간으로 공표되었다. 이중 1시간 30분은 아침과 점심식사 등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13

시간 30분이 순수한 근무시간이 될 것이다 (…) 선술집, 맥주집, 커피하우스, 아침식사, 저녁식사, 놀이, 잠, 노래부르기, 신문읽기,

말다툼, 싸움, 논쟁 등 나의 사업과 무관한 모든 빈둥댐을 제하고 계산되어야 한다.

!나는 회계사무원들이 부정직하게 가장 빨리 가는 시계로 시간을 계산해주고, 작업장에서 나갈 시간보다 일찍 벨을 울려주고 있다

는 것을 보고받았다. 그리고 쉬는 시간에는 시계가 매우 느리게 가며, 돌아와야 할 시간이 지나서야 벨이 울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시계보관인 이외에는 시계를 바꿔놓을 수 없도록 명령했다.

- 존 크로울리의 <법령집>

✦ 노동착취의 수단으로서의 시간측정

✦ 시간 감독의 정당성 강화

✦ 노동의 분 단위 분절화

✦ ‘시간을 아는 것’, 시계 자체가 권력화

여름에 우리는 어두워져 사물을 분간할 수 없을 때까지 일을 했고, 일을 마친 시간이 언제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공장주와 그의 아

들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시계를 가지고있지 않았고, 우리는 시간을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시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긴 했는데

(…) 그 시계는 공장주가 빼앗아 보관했다. 사람들에게 작업이 끝날 시간을 알려주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 1857년 브레이드의 노동자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3: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13

규율의 내면화 맥락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시간을, 그 짧은 시간을, 한번밖에 없는 시간을 허비하고 게으름 피우는 자는 제정신인가? 심장이 얼마나 두껍게 만들어졌길래? 시간은

그들의 영혼을 영원히 구원하라고 신이 그들에게 부여하신 것이다.

- 박스터의 <기독교 지도서>

따뜻한 시트 안에 푹 누워 있으면, 살은 데쳐지면서(따뜻해지고, 풀이 죽는 것처럼) 부드럽고 무기력해진다. 그 사이에 신경은 느슨해진다.

- 존 웨슬리 <일찍 일어날 의무와 그것의 좋은점>

✦ 산업자본주의와 청교도적 윤리의 결합

✦ 인간의 유한성 강조: 영혼을 구하기 위해 신이 부여한 것이 시간

✦ 시간관리의 중요성 강조: 시간=화폐

✦종교집단, 학교를 통한 시간규율 세대를 양육

✦ 시간의 중요성을 가르침 받은 세대: 수동적, 종속적

✦ 노동시간 단축 획득한 세대

✦초과수당의 획득을 모색하는 세대(시간 = 화폐)

말없는 살인자, 게으름이여, 더이상 나의 정신을 가두지마라. 게으름, 그리고 너 흉악한 수면이여, 더이상 시간을 낭비하게 하지 마라.

- 한나 모어 <일찍 일어나기>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4: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5. 내면화된 시간규율의 미래4. 시간규율의 내면화

�14

시간규율의 미래

✦여가 시간의 증대: 목적없는 시간을 경험하게 될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논의

✦ 청교도적 시간관 유지: 추가 여가시간의 사용, 여가산업에 의한 시간 착취의 문제

✦ 청교도적 시간관 완화: 잃어버린 생활의 기술을 다시 학습, 일과 생활 사이 장벽 허물기에 대한 문제

시간규율을 변화시키는 요인

✦환경의 변화: 새로운 노동습관 형성/교리약화

✦ 문화적 차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의 시간의식

1. 인간의 노동패턴과 시간관

그들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시간이 하루에 몇 시간씩 있다. 그런데 정신적 소양이 없는 이들이 이 소중한 시간을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 줄

아는가? (…) 그들은 상당부분의 시간을 그냥 죽이고 있다. 한 시간, 혹은 그 이상을 벤치에 앉거나 언덕배기 방죽에 누워 아무 생각없이

공허하게 지낸다. 그렇지 않으면, 끼리끼리 모여 익살을 떨 기회를 찾고 있다.

- 존 포스터 <대중적 무지라는 악에 대한 에세이>

2. 노동패턴의 불규칙성 3. 시계의 보급 및 확대

Page 15: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Time, Work 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15

여가패턴의 동시화?

시간 규율의 강화? 완화?

✦ 노동시간 동시화와 함께, TV 미디어는 여가패턴의 동시화를 이끌어왔다. 일상적으로 매일 9-18시까지

일하고 돌아와서 9시 뉴스를 보고 10시 드라마를 보는 일상이 바로 노동/여가생활의 동시화. 여가시

간에 모바일 미디어만 잡고 있는 점을 보면, TV를 대체해서 그대로 여가패턴 동시화를 이끌어 가고 있

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어떤 측면에서 보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미디어를 접하면서 여가를 즐

기니까 동시화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는 것도 같다. 모바일 미디어의 사용은 이러한 여가패턴의 동시화

를 완화시켰다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오히려 강화했다고 생각하는지?

✦최근 모바일 미디어는 틈새 시간에 침투하여 멀티태스킹을 유발하고 집중을 방해함과 동시에 스마트

워크 환경 구축, 업무공간의 재택으로의 확장 등을 가능케하고 있다. 그렇다면 모바일 미디어는 시간

규율을 강화하는 것인가, 약화시키는 것인가?

1. Introduction 2. Contents 3.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