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서울 라 11267 www.kemc.co.kr 2015 03 VOL. 478 Power Tech •154kV 가스절연개폐장치 원격진단시스템 구축 •다중 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주요정책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실시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경영개선 건강진단 도입 경영정보 •마케팅, 사물 인터넷 주목하기 시작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서울 라 11267

www.kemc.co.kr

2015 03VOL. 478

Power Tech •154kV 가스절연개폐장치 원격진단시스템 구축

• 다중 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주요정책•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실시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경영개선 건강진단 도입

경영정보•마케팅, 사물 인터넷 주목하기 시작

Page 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Page 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전기정보 | 2015년 1월호 13

2015 03

등록일자 | 1976년 3월 18일

인 쇄 일 | 2015. 3. 5

발 행 일 | 2015. 3. 10

발 행 인 | 이 재 광

발 행 처 |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주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el. (031)724-6100(代)

Fax. (031)704-8337

홈페이지 | www.kemc.co.kr

인 쇄 처 | 우성사 (031)908-6226

본지는 한국간행물 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Electric Information

Contents14 KEMC News(조합 소식)

Power Tech18 154kV 가스절연개폐장치 원격진단시스템 구축

22 다중 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

26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경영정보 30 마케팅, 사물 인터넷 주목하기 시작

주요정책36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실시

39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경영개선 건강진단 도입

Spotlight41 온실가스 배출권 670만KAU, 예비분에서 추가적 할당

배터리상식42 배터리 궁금증 TOP10

법률상식 47 금전채권에 대한 강제집행

48 News Brief중소기업, 제품·공정 개선사업에 262억원 지원

에너지절감 기술정보를 한 곳에

R&D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 이용료 ‘최대 70% 지원’

도로명주소 실시간 전환·활용으로 물류비용 절감 기대

올해 중소기업의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5000억 원 상당 구매

해외진출 종합핸드북 발간

산업부,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신청 받아

정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건강보호 지원

BEMS 에너지 데이터 분석센터 개소

52 해외뉴스필요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부유식 풍력터빈

원자력 미래를 위한 로드맵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정책

새로운 태양광/태양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에너지 솔루션의 일본 시장 현황

지난해 44%의 성장률을 보여준 전세계 풍력발전 산업

2015년 청정 에너지 수요가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

파력발전단지의 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

Health 63 일상생활에 큰 불편 오십견 “통증 초기 체계적이고 꾸준한 관절 운동이 중요”

64 편집후기

Page 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2015년 제53차 정기총회 개최

우리조합은 2015.02.24(화) 조합회관 대강당에서 제53

차 정기총회를 열어 올해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안)을 확

정하였습니다. 올해 예산으로 29억1800만원을 책정되었

습니다. 또한 공동사업 확대와 기술인력 양성, 실용기술

개발, 수출기반 확충,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주요 사업계획

으로 정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올해 말로 기간이 만료되

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의 내년도 재지정을 위해 배전

반과 변압기 등 중기간 경쟁물품지정 신청(안)을 원안대

로 통과했습니다. 또 지난해 4월 태양광발전장치가 중기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됨에 따라 조합 정관 제9조 조합원

의 자격에 ‘태양광발전장치 제조업’을 추가하고 조합원 제

명 규정을 완화해 ‘조합회비가 출자금 이상 미납한 조합원

을 총회의 의결을 거쳐 제명’하는 것으로 일부 정관을 개

정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소액수의계약 연간 추천횟수 및

계약한도를 8회, 2억원으로 각각 설정하였습니다. 이재

광 이사장은 “올해로 저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오는 3

원 19일 임시총회에서 새 이사장을 선임하게 된다”며 “새

이사장이 우리 전기조합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을 기대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또 “2013년 이후 흑자기조를 정착

시킨 우리 조합은 세계전기공업을 선도하는 비전과 조합

원을 위한 조합, 자생력 있는 조합이라는 목표 아래 공동

사업 확대, 기술인력 양성, 실용기술개발, 수출기반 확충,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며 “올해도

한전 변압기 단가계약과 조달청 배전반 MAS 계약, 우수

조달공동상표의 수주 금액 상한 등 주요 사업이 계획대로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임시총회 개최 알림

제 24대 이사장 선임을 위한 임시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

최함을 알려드립니다.

- 아 래 -

가. 일 시 : 2015년 3월 19일 (목) 15:00~

나. 장 소 : JW메리어트호텔 5층 그랜드볼룸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76)

다. 주요안건 : 제24대 이사장 선거

2015년도 중소기업계 세법개정 건의사항 의견 수렴

정부에서는 매년 조세감면제도 검토를 통해 비과세 감면

제도를 정비하고 새로운 조세제도를 수립·시행 하는 등

세제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중앙회에서

는 중소기업의 세 부담 완화를 위한 2015년도 중소기업계

세법개정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의견이 있

는 경우 세액감면, 세액공제 등 일몰도래하는 조세지원제

도가 있으니 해당하는 분류의 혜택을 확인하고 건의해 주

시기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조합 홈페이지 공문시행란(전

협조(사업) 제138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적격조합 사후관리 및 태양광발전장치 적격조합 신청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적격조합 사후 관리를

위해 품목별 직접생산 증명을 보유한 조합원사의 공공기

관 납품실적 등 관련서류를 3월 초 중앙회에 제출할 예정

Kemc

News

14 www.kemc.co.kr

Page 5: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입니다. 또 태양광발전장치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입찰과

소액수의계약 등 수익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적격조합 신

청과, 각각 4월과 10월에 적격조합이 끝나는 배전반과 충

전장치의 적격조합 재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조합원

사께서는 앞으로도 공공기관에 원활한 수주활동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업무에 적극 협조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기업범위 기준 변경 관련 추진경과

중앙회에서는 조합 및 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중기청에 전

기·전자 제조분야를 200억으로 상향시켜줄 것을 건의하였

으나 중기업 수를 확대하기 위해 중기청에서는 “120억 그 이

상은 사실상 어렵다”며 관련 부처와 상호 협의를 해보겠다

는 의견을 표명하였습니다. 정부와 국회 등 관련기관과 지

속적인 협의를 통해 120억원 보다 높은 기준이 나올 수 있도

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조합 홈페이지 내 조합원사 제품 홍보 안내

다양한 기능을 가진 조합 홈페이지가 1월초 개통되어 조

합원사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조합원사 관련 주요 업무

정보는 홈페이지 우측의 “빠른메뉴”로, 일반적인 정보는

홈페이지 좌측의 “메인메뉴”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습니

다. 특별히 신설된 ‘조합원사 제품소개’는 좌측의 메인메뉴

(기업정보 → 제품정보)에 조합원사가 생산하는 제품을 국

문, 영문으로 무료로 홍보해 드리고 있으며 제품 카탈로그

탑재도 가능합니다. 현재 5개사가 제품을 등록하여 홍보

중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홍보를 원하시는 조합원사께

서는 조합 담당자(전석현 031-724-6112, webmaster@

kemc.co.kr)에게 문의하여 주시고 배너광고는 기존 연간

6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대폭 할인하였으니 많이 이용하

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4년 하반기 회비 납부 안내

2014년 하반기 조합회비를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 : 300,000원

•대 기 업 : 720,000원

•납부계좌 : 중소기업은행 076-002690-01-014

예금주 :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 2012년과 2013년, 2014년 상반기 회비를 미납하신

조합원은 함께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알아두면 유용한 생활 상식

• 생활 속에서 찾은 방향제 및 탈취제 아이템

[녹차] 녹차를 마시고 난 후 잘 말린

녹차 티백을 스타킹이나 망사 주머니

에 넣어 예쁘게 포장한 뒤 냉장고 속

에나 신발장 안, 그밖에 퀴퀴한 냄새

가 밴 곳에 두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숯] 숯을 그릇에 적당량 담아 거실

은 물론 화장실, 현관, 냉장고 속에

넣어두자. 분무기로 물을 뿌려 그늘

에 두면 가습 효과도 있다.

[오렌지껍질] 오렌지 껍질이나 레몬

껍질. 오렌지 껍질이나 레몬 껍질은

담배 냄새뿐 아니라 생선을 구웠을

때 나는 비린내도 효과적으로 제거하

는데, 방향이 되는 범위가 넓지 않아

작게 잘라 집안 곳곳에 조금씩 두어

야 효과가 있다. 프라이팬에 오렌지

껍질을 태워 향을 좀 더 강하게 피울

수 있는 방법도 좋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15

Page 6: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피앤씨테크(주) 조광식 대표이사 빙모상(02/06(금))

• 한양전기공업(주) 김창규 대표이사 모친상(02/25(수))

동호회 동향

• 골프회는 2015.03.12(목) 기존 용인프라자C.C에서 신원

C.C로 변경하여 모임을 갖기로 하였으니, 착오 없으시

기 바랍니다. (신원 C.C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이원로 225, 031-8020-9411~3)

• 산악회는 2015.03.21(토)에 관악산 장군봉 산행 예정

으로 서울대입구역에서 10시에 출발합니다. 조합원사

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신규가입 조합원

Kemc

News

16 www.kemc.co.kr

업체명 대표자 주생산품 소재지 가입일

(주)이레이티에스이권호(정성환)

수배전반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노하길395번길 17 2015. 02. 10

탈퇴 조합원

업체명 대표자 주생산품 가입일 탈퇴일

성화종합전기(주) 김종선 수배전반 1991. 02. 19 2015. 02. 10

대영(주) 나병옥 수배전반 1991. 11. 26 2015. 02. 10

Page 7: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2월 이사장, 전무이사 참여 행사

주 최 행사일 내 용

전기조합 02/24(화) 제53차 정기총회

대한전기협회 02/06(금) 2015년도 제1차 이사회

디지털출력복사업조합 02/06(금) 원스톱디지털인쇄전시회

한국전기산업진흥회 02/10(화) 정기총회

중소기업중앙회 사랑나눔재단 02/10(화) 제6차 정기이사회

한국전력기기사업조합 02/10(화) 정기총회

중소기업중앙회02/11(수) 제18차 정기이사회

02/27(금) 정기총회

한국계량계측기기조합 02/12(목) 정기총회

한국조명조합 02/13(금) 정기총회

한국전기공사협회 02/25(수) 정기총회

한국전기기술인협회 02/26(목) 정기총회

한국계측제어조합 02/26(목) 정기총회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17

Page 8: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1. 서론

전력 수요의 급증으로 전력계통은 대용량, 초고압화 되고

있으며, 부지선정,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공기 또는

유류 절연형 설비에서 가스 절연형 설비로 변화되어 가고 있

다. 그리고 전자화배전반을 설치하여 원격에서 수변전설비

의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정전사고는 인명, 재산피해 등 사회, 경제적으로 심각

한 파급효과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전력설비의 안정화, 신

뢰도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정전사고로 인

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방감시 시스템의 도입이 필

요하다. 예방감시 시스템은 인원 및 장비를 정기적 투입하

였던 기존 TBM(Time Base Maintenance) 방식에서 측정

Parameter Trend 관리를 통한 위험수준을 예측, 예방하는

CBM(Condition Base Maintance) 방식으로의 변화가 필요

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스절연개폐장치 및 유입변압기의

예방진단 기법 및 측정 Parameter Trend 관리를 통한 위험

수준을 예측, 예방할 수 있는 원격진단 방안을 제시하여 전

력설비 안정적 운영에 기어코자 한다.

2. 본론

2.1 개 요

2.1.1 수변전설비 고장현황

변전설비 고장현황을 보면 그림 1에서 MTR, GCB, DS,

LS, GIS 순으로 고장빈도가 많았다. 주변압기가 42%를 점

유하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기별 고장내용

은 표 1과 같다.

Power Tech Ⅰ

154kV 가스절연개폐장치원격진단시스템 구축

노상천*, 이 경, 안재후, 장성욱(한국수자원공사)

18 www.kemc.co.kr

[그림 1] 변전기기별 고장분포

Page 9: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2.1.2 수변전설비 원격진단시스템

154kV 가스절연개폐장치와 유입변압기로 구성된 수변전

설비의 원격진단설비는 표 2와 같으며, 그림 2와 같이 구성

한다.

2.2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부분방전 진단

2.1.1 가스절연개폐장치(GIS) 고장 Mechanism

대부분의 GIS는 사고 전에 많은 징후를 나타낸다. 완전방

전 이전에 부분방전 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사고 전

에 UHF 대역의 신호를 미리 검출하여 운영자에게 알리는

것이 주 목적이다. GIS 고장 Mechanism은 그림 3과 같다.

부분방전은 도체부 돌기 결함, 외함부 돌기결함, 유도전성

입자 결함, 전기적 부유전극 결함, 스페이서 결함 시 발생하

며, 부분방전 발생유형은 그림 4와 같다.

2.1.2 부분방전(Partial D5isCharte) 검출

부분방전 시 발생하는 전자파 신호를 검출하여 결함의 존

재유무를 인지한다. 설비구성은 그림 5와 같다.

최근 전력계통은 대형화, 복합화 되고 있는 반면, 제어설비의 발전으로 무인화 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설비 사고예방을

위하여 전력설비의 원격감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전력설비 안정적 운영을 위한 154kV 가스절연개폐

장치(GIS) 부분방전(PD) 및 유입변압기 유중가스분석의 원격진단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2] 154kV 수변전설비 원격진단설비 구축

[그림 3] GIS 고장 Mechanism

[표 2] 154kV 수변전설비 원격진단설비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19

구 분 진단설비

가스절연개폐장치 PD진단, 차단기동작특성, 피뢰기 누설전류, 가스밀도

변압기 유중가스분석

[표 1] 변전기기별 고장내역

주변압기 GCB 피뢰기

절연이상 절연이상 절연이상

OLTC 이상 접점접촉불량 파손

접촉불량 및 오동작 조작기구 이상 과열소손

온도상승 및 누유 유압계통 이상 -

Page 10: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2.1.3 부분방전(PD) 센서

부분방전 센서의 종류 및 특징은 표 3과 같다

2.1.4 GIS 부분방전(PD) 원격감시

GIS의 부분방전 시 발생하는 전자파 신호를 PD 센서에서

검출하여 PD DAU 판넬로 신호가 전송된다. PD DAU 판

넬과 HMI 광케이블에 의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며, 운영자

는 감시모니터를 통해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감시

시스템 구성은 그림 6과 같으며, PD분석 Software의 Data

Process는 그림 7과 같다.

2.3 유입변압기 유중가스분석

2.3.1 유중가스분석 원리

변압기나 OLTC 등 유입기기의 내부에 이상현상(즉 절

연파괴현상, 국부과열 등)이 생기면 반드시 열 발생을 수

반함으로써 이 발열원에 접촉한 절연유, 절연지, 프레스

보드, 백크라이트등의 절연재료가 열의 영향을 받아 분해

하여 CO, H2, CH4, C2H2 등의 탄화수소가스를 발생하여

이 대부분의 가스들은 절연유에 용해된다. 유중 변압기내

의 분해가스를 검출하여 변압기 내부이상의 유무의 판정,

내부이상 양상의 진단(과열, 아크, 코로나에 의한 것) 및

이상진전속도, 운전계속의 가부판단 등을 할 수 있다. 고

장원인에 따른 특징가스 및 가스판정기준은 표 4, 표 5와

같다.

2.3.2 유중가스분석장치의 설치

유중 변압기 내의 분해가스(CO, H2, CH4 , C2H2)를 실시

간으로 검출하여 연속적으로 샘플링측정 및 데이터를 DC4

∼20mA로 변환하여 원격에서 감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다. 원격감시 시스템 구성은 그림 8과 같다.

Power Tech Ⅰ

20 www.kemc.co.kr

[그림 4] 부분방전 발생유형

[그림 5] 부분방전 검출장치 구성

[그림 6] 부분방전(PD) 감시시스템 구성

[표 3] 부분방전 센서의 종류 및 특징

구분 내장형 세미내장 외장형

설치위치 Hand Hole Cover CT Cover Spacer

센서타입 Spiral Type Spiral Type Folded dlpole

센서수량 1 ∼ 2개/Bay 1 ∼ 2개/Bay 5m마다 1개

신뢰성 가장우수 우수 낮음

경제성 고가 중가 고가

특징

·수신감도 우수·외부 노이즈에 강함·기설 GIS에 설치 어려움

·기설 GIS에 설치 용이·내장형에 준한 센서감도 취득·내장형에 비해 유지보수 용이

·수신감도 낮음(내장형 1/10)·외부 노이즈에 취약·센서취부 용이·센서수량 증가

Page 1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3. 결론

전력계통의 대형화, 초고압화, 무인화 등으로 전력계통의

사고예방을 위하여 Trend 관리를 통한 위험수준을 예측, 예

방하는 원격감시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54kV 가

스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 및 유입변압기의 절연유 유중

가스분석 원격감시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비 현

대화에 맞춰 지속적인 원격감시시스템 구축방안을 연구하

여 전력설비의 신뢰성을 높여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

할 수 있다. Kemc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21

[1] 임태영, “가스절연개폐장치(GIS) 고장예방을 위한 진단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13년

참고문헌

[그림 7] PD분석 Software의 Data Process [그림 8] 절연유 유중가스분석 감시시스템

[표 4] 고장원인에 따른 특징가스

고장원인 특징가스

절연유의 과열 에탄(C2H6), 메탄(CH4), 에틸렌(C2H4)

고체절연물의 과열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유중 ARC 아세틸렌(C2H2), 수소(H2), 에틸렌(C2H4), 메탄(CH4)

유중 코로나 수소(H2), 아세틸렌(C2H2), 에틸렌(C2H4), 메탄(CH4)

구분 정상[ppm] 요주의[ppm] 이상[ppm] 위험[ppm]

200kV이하 345kV이상 200kV이하 345kV이상 200kV이하 345kV이상 200kV이하 345kV이상

H2 400미만 400이상 800초과 1,200초과

CO 400미만 350미만 400이상 350이상 700초과 600초과 1,000초과 800초과

C2H2 25미만 20미만 25이상 20이상 80초과 60초과 150초과 120초과

CH4 250미만 250이상 750초과 1,000초과

[표 5] 가스판정기준

Page 1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1. 서론

근접 자기장을 이용하는 무선전력전송에는 자기 결합을 증

가시키기 위해 멀티루프 코일을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멀티루프 코일의 자

기 인덕턴스(self-inductance) 계산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멀티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을 위해 많은 연구가 이

루어졌다. 참고문헌 [3]에서는 사각 단면의 도선으로 촘촘하

게 감겨진 멀티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을 위한 근사

식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4]에서는 사각 단면의 촘촘하게

감겨진 코일에 대해 정확한 해석적 해를 제시하였다. 참고문

헌 [5]에서는 thin-wall 코일과 디스크 코일에 대해 각 각 해

석적 해와 수치 해석적 해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지금까지

제시된 자기 인덕턴스 계산은 루프 사이의 간격이 좁은 코일

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는 도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루프 사이의 간격을 넓힌 형태

의 멀티루프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6]. 따라서 무

선전력전송 용 코일 설계를 위해 루프 사이 간격이 넓은 코

일의 인덕턴스 계산이 필요하다. 또한, 사각 단면뿐만 아니

라 다양한 단면 구조에 대한 해석 또한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임의의 단면 구조를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

의 자기 인덕턴스의 계산 방법을 제시한다.

Power Tech Ⅱ 다중 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

김진욱, 손현창*, 김도현, 김관호, 박영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 & 한국전기연구원 *삼성전자)

22 www.kemc.co.kr

[그림 1] (a) 임의의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 (b) 그림 1(a)의 단면

Page 1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2. 본론

그림 1(a)는 임의의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을 나

타낸 것이다. 이 코일은 Nc 개의 루프를 가진다. 코일의 안

쪽 반지름은 Rin, 외곽 반지름은 Rout이다. 각 루프 사이의 간

격은 p이다. 그림 1(b)는 그림 1(a)의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를 구하기 위해 각 단면을 N개의 미소 원형 단면으로 나눈

것이다.

2.1 자기 인덕턴스 계산

코일에 저장되는 자기 에너지는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코일의 자기 에너지는 그림 1(b)와 같이 코일 단면을 미소

단면을 분할한 뒤 분할된 각 미소 단면의 루프의 자기 에너

지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원형 루프

사이의 자기 에너지를 구하기 위해 자기 벡터 포텐셜을 다

음과 같이 먼저 구하였다 [8].

여기서 K와 E는 제 1차와 2차 완전타원적분을 의미한다

[9]. 또한, z1과 z2는 각 루프의 z 방향 위치를 나타낸다. 식 (2)

를 통해 두 원형 루프 사이의 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

산된다.

따라서 식 (4)로부터 멀티루프 코일의 전체 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자기 에너지 U는 분할된 루프 스스로가 가지는 자기

에너지 U1와 루프들 사이의 상호 자기 에너지 U2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인덕턴스는 식 (1)의 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임의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은 코일

의 단면을 미소 원형 단면으로 분할한 뒤 분할된 각 미소 루프의 자기 에너지를 계산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

법은 기존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법과 비교하였다. 턴수와 루프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 사각 단면 멀티루프 코일을 제

작하였다. 측정을 통하여 제안한 계산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한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23

(7)

(6)

(1)

(2)

(3)

(4)

(5)

Page 1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이 때, 동일한 루프 사이의 자기 에너지 계산에서 발생하는

특이점은 Grover의 자기 인덕턴스 식을 통해 해결하였다 [10].

2.2 계산 결과의 검증

그림 2는 사각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 루프의 단면을 나타

낸 것이다. W와 H는 각 각 단면의 너비와 높이를 의미한다.

참고문헌 [4]에서는 코일의 shape factor α와 β를 다음과 같

이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루프 사이의 간격이 촘촘한 코일

의 자기 인덕턴스를 계산하였다.

참고문헌 [4]의 계산법과 제안한 계산법을 비교하기 위해

구리 테이프를 이용해 그림 3과 같은 원형 멀티루프 코일

을 제작하였다. 이 때, Rin은 3 cm, Rout은 5 cm, H는 0.05

mm이다. 따라서 shape factor α=1.67, β=0.00083이다.

W가 0.8 mm, 1.4 mm, 2.0 mm일 때 턴 수가 2에서 5턴

인 경우에 대해 각 각 제작하여, shape factor가 동일한 경

우 감겨진 간격, 턴 수 등에 의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그림 4는 참고문헌 [4]의 계산법과 제안한 계산법을 사용

하여 원형 멀티루프 코일의 정규화한 자기 인덕턴스 계산값

과 측정값을 비교한 것이다. 점선은 참고문헌 [4]의 결과를

이용하여 구한 값이다. 실선은 계산 결과이고, 각 점들은 측

정값이다. 자기 인덕턴스는 GWInstek 8110G LCR 미터를

사용하여 100kHz에서 측정하여 얻었다. 계산결과와 측정

결과가 거의 일치하였다. W가 클수록 정규화한 자기 인덕턴

스가 더 작고, Nc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하지만 참고문

헌 [4]의 결과는 shape factor가 동일하기 때문에 Nc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내·외경 반지름이 고정된 상태에서 턴 수가

많고, W가 클수록 참고문헌 [4]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

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4]의 결과는 루프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3. 결론

임의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

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모양의

Power Tech Ⅱ

24 www.kemc.co.kr

[그림 2] 사각 단면을 갖는 원형 멀티루프 코일

[그림 3] 제작한 원형 멀티루프 코일

[그림 4] 참고문헌 [4]의 계산법과 제안한 계산법의 정규화한 자기 인덕턴스 비교.

Page 15: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단면을 갖는 원형 루프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계산에도 적

용이 가능하다. 제안한 계산법은 기존의 계산법과 비교해

측정 결과와 더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은 무선

전력전송용 멀티루프 공진 코일의 설계를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mc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25

[1] A. Kurs, A. Karalis, R. Moffatt, J. D. Joannopoulos, P. Fisher, and M. Soliacic, “Wireless power transfer via strongly coupled magnetic resonance,”

Science, vol. 317, pp. 83-86, 2007.

[2] A. P. Sample, D. T. Meyer, and J. R. Smith,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and range adaption of magnetically coupled resonator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8. no.2, pp. 544-554, Feb. 2011.

[3] H. A. Wheeler, “Simple inductance formulas for radio coils,” Proc. IRE, vol. 16, no. 10, Oct. 1928.

[4] D. Yu, and K. S. Han, “Self-inductance of air-core circular coils with rectangular cross sectio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23, no. 6, Nov.

1987.

[5] S. Babic, and C. Akyel, “Improvement in calculation of the self- and mutual inductance of thin-wall solenoids and disk coils,”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36, no. 4, July 2000.

[6] G. S. Smith, “Proximity effect in systems of parallel conductors,”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43, no. 5, pp. 2196?2203, 1972.

[7] D. K. Cheng, Field and Wave Electromagnetics (2nd Ed.). Addison Wesley, pp.277-279, 1989.

[8] J. D. Jackson,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 Wiley, p. 232, 1998.

[9] R. H. Good, “Elliptic integrals, the forgotten functions,” European Journal of Physics, vol. 22, pp. 119-126, 2001.

[10] F. W. Grover, Inductance Calculations. New York: Dover, p. 143, 1964.

참고문헌

Page 16: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1. 서론

전력은 원자력과 화력,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하여 대 도

시를 중심으로 소비하여 왔다. 경제발전에 따라 화석연료

의 소비 증가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켰으며 2011년 일

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가 지진 쓰나미에 의해 붕괴되

면서 안정성 문제가 제기 되자 신재생 발전원의 확충과 전

력소비의 지능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신재생

발전원과 전력소비의 최적화를 기존 도시의 건물에 적용하

는 것은 기술적, 경제적 한계로 투자가 적기에 추진되지 못

하였다. 정부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발전설비의 증설보다

는 수요관리 중심으로 정책 전환하여 효율적인 전력 자원

의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기존 도시기반

에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의 구축과 건물의 전력소비방법을

지능화하여 피크저감과 전력사용량을 감축할 수 있는 방안

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신재생

발전원[1]과 전력저장장치, 스마트 배전반과, 콘센트 그리고

조명을 비롯해 전기자동차 충전까지 하나로 통합하여 모

니터링하고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개발

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별, 건물단위로 전력의

생산과 소비를 통합하여 운전하면 전 도시로의 확대가 가

능하며 단계별로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

시하고자 한다.

2. 스마트그리드 추진 현황

2.1 스마트그리드의 구성과 실증단지

스마트그리드는 송배전망 지능화와 신재생발전, 전기차

충전, 스마트 홈 그리고 지능형서비스로 구분된다. 한국전

력은 2009년 12월부터 제주시 행원지역에서 5개 스마트그

리드 분야 기술실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스마

트그리드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확산사업의 기초를 다졌다.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는 제주에서 바람이 가장 센 지

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신재생발전원과 계통을 연계시

키고 6,000호 고객의 수요관리 방안에 대한 실사용 환경

에서의 성과를 검증하였으며 성과는 아래와 같다. 정부는

제주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보급 사업을 2013년부터 추진

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전국 단위의 확산사업을 준비

중에 있다.

3.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개발 및 적용 사례

3.1 개발경위

전국 단위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

되어 기업중심의 사업 확산이 어려운 실정이고 사업지연

Power Tech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황우현*, 최태일*, 양충호*, 서정일**, 홍준희*** (한국전력공사*, 애니게이트** 가천대***)

26 www.kemc.co.kr

Page 17: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시에는 제주 실증단지에 참여했던 연구진과 기술이 사장

될 우려와 세계 시장에서의 주도적 역할 상실을 우려하여

2012년 12월부터 착수하였다. 이 사업은 제주 가파도 마이

크로그리드[2]를 기반으로 하여 시행착오방지와 기술의 안

정성을 확보하였고 제주 실증단지에서 사용한 제품의 활

용, 융·복합 기술과 실 건물에 적용 그리고 중소기업만으

로 추진과 투자대비 수익성 확보 등 5가지 원칙을 적용하

였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구리남양주지사를 사업대상지

로 선정하고 세부계획수립, 설계, 입찰과 자재구입, 그리

고 6개 중소기업이 참여하여 착공 2개월 만인 지난 1월에

준공하였다.

3.2 구성과 기능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은 신재생발전원, 전력저장장치

(ESS), 스마트콘센트, 스마트조명, 전기차 충전기 등 인터

페이스 장치와 연계된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전력의 공

급과 소비를 지능화시켜 운전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전

력의 생산과 소비, 운영분야의 14개 주요 구성 장치중 10

가지를 2013년에 구현하였다. 2014년 2단계 사업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시의 건물을 대상으로 동력이나 조명용 전력을 공급할 경우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

하여 최적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오랜 과제였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심화와 원유가 상승 그리고 일본 후쿠시

마 원전사고까지 겹쳐 화력과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송배전설비의 추가 구축도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서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단위로 소요 전력의 일부를 생산하면서 지능적 소비가 가능

한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개발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크의 저감

과 사용량의 감축 그리고 신산업육성이라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향후 스마트시티 구축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27

[그림 1] 스마트그리드 구성도

[그림 2]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배치도

[표 1] 스마트그리드 실증성과

구분 목표 실적

기술 상용화 현장시험 21 66

제품(시작품) 12 12

특허 출원(등록) 7(4) 7(4)

논문 학술/논문지 11 11

사업화 모델 31 31

Page 18: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소형 풍력과 스마트 가전, 지능형 공조설비, 배전자동화시

스템과 연계 예정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BAS, ESS, PV, EV 등 통합 상태 모니

터링, 성과분석, 수요예측과 전력재판매, 수요반응, 전기

자동차의 가상발전 응동과 ESS 출력안정화, 고장 등을 포

함한 통계분석 기능을 반영하였다.

3.3 장치별 시공사례 및 주요 응용프로그램

이 시스템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구리남

양주지사 건물을 대상으로 1년간에 걸쳐 융·복합 기술 적

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구성장치별 투자예산의 적

합성과 중소기업의 기술보유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운영시

스템의 소프트웨어 기능의 확장성도 검증하였다. 특히 지

붕에 설치하는 태양광은 30m/s의 풍속에도 견디고 옥상의

방수층을 손상하지 않도록 설계하여 시공하였다.

ESS는 옥상의 창고에 설치하여 리튬배터리의 불안정성

에 대비하면서 인산철 제품의 적용으로 안정성과 충·방전

수명도 고려하였다. PCS는 제품의 생산이 초기인 점 때문

에 상용화된 제품을 확보하기 어려웠으나 해외로 수출하고

있는 기업의 30kVA를 구입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사업에

연계된 장치의 지능화운전을 위해 개발된 주요 응용프로그

램은 아래 화면과 같다.

각 층의 배전반에는 고리형 CT를 분기 회로와 종합회로

에 설치하여 각각의 사용량을 파악하고 필요시 원격으로

콘센트와 조명을 컨트롤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운영시스

템은 시스템의 구성, 운영 및 통계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만

들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관리의 효율성도 향상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 량 감시는 사옥 주차장에 2대의 완속 충전

장치와 운영시스템을 연계하여 원격으로 상태 값을 취득할

수 있으며 2단계 사업 추진시 V2G 기술을 상용화 할 예정이

다. 또한 신재생발전원을 이용한 전력의 생산과 저장, 심야에

Power Tech

28 www.kemc.co.kr

[그림 3] 옥상 태양광 설비 기초 및 골재 시공

[그림 5] 층별 전력소비량

[그림 4]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 운영 시스템

[그림 6] 배전반 회로별 전력소비량

Page 19: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ESS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여 주간 피크시간에 공급하는 기

술을 시각화하였다. 특히 동절기와 하절기에 신재생발전원

과 ESS를 활용한 냉난방시스템의 원격 연동운전은 피크 저

감효과의 구현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4. 향후 계획

이 시스템은 한국전력공사의 전 사옥을 대상으로 추진

할 계획이며 2014년에는 계약용량 300kW이상 전국 29개

지역의 본부와 사업소를 대상으로 설치한다. 이 사업모델

은 체험교육형, 연구개발형 및 수요조절형의 3가지를 설치

하여 인재육성과 연구개발 그리고 전력계통운영의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2015년에는 90개 사업소를

대상으로 시공할 예정이며 향후 2년간 총 262억 원을 투

자하여 지능형 수요관리와 전력계통 운영의 지능화 기반

조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특히 이 사업을 통해 총 3MW의

태양광과 9MWh의 전력저장장치를 설치하여 피크 4MW,

전력사용량 10GWh 절감과 노동생산성 5% 향상을 전망

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동반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5. 스마트그리드 시티 구축 방안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이용한 스마트그리드 시티의

구축은 먼저 가정이나 빌딩, 공장을 대상으로 계약전력의

일부분을 신재생발전원으로 생산하면서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전제품이나 조명기기를 스마트콘센트 등을 이

용하여 연계한다. 두 번째는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과 주

요 건물, 학교, 관공서 등을 대상으로 신재생발전원을 설치

하고 소비제품을 지능화시킨 뒤 상호 연계 운영하게 되면

지역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타운을 구축할 수 있다. 세 번째

는 스마트그리드 타운을 그룹으로 상호 연계시키면 스마트

시티로 확대 발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스마트 시티가 구

축되면 시티 전체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전력망도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과 소비가 지능적으로

운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면 도시는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기존 보다 훨

씬 안전하고 생활이 편리해지며 에너지 낭비가 없어 이산

화탄소의 배출을 최소화 시키게 됨에 따라 지구온난화 방

지에도 기여하게 된다. 결국 스마트 시티의 재 그룹화를 통

해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를 완성하게 되어 전국적인 전

력공급체계의 선진화 시스템을 갖추게 될 수 있다.

6. 결론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존의 화석연료 중

심의 발전과 전력공급 체계를 신재생발전원과 전력저장장

치, 지능형 전력소비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할 수 있는 방

안을 구현하였다. 스마트그리드 스테이션을 기반으로 한

전력망 지능화가 구축되면 전력소비와 생산이 최적화되어

불필요한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원의

전력망 연계가 쉽고, 전력저장장치를 이용한 수요관리도

활성화할 수 있어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운영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mc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29

[1] 김규호, 이상봉,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내 분산전원

최적운영”, 전기학회 추계학술대회, p288, 2009

[2] Hwang Woohyun, Lee Jung ho, Case Study of Renewable-only

Smart Grid system for a Korea Island”, IEEE ISGT, 2014

참고문헌

[그림 7] 구성장치별 전력공급 및 소비 시각화

[그림 8] 스마트그리드 구성도

1단계

스마트 홈

가전, 신재생EV, AMI 등

2단계

스마트 타운

스마트 홈+ 지역전력망

3단계

스마트 시티

스마트 타운+ 지역전력망

4단계

스마트 국가

스마트 시티+ 지역전력망

⇨ ⇨ ⇨

Page 20: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경영

정보

30 www.kemc.co.kr

마케팅, 사물 인터넷 주목하기 시작

24살 김알뜰 양은 저렴한 자동차 보험을 알아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보험사는 알뜰 씨에게

나이가 어리고 보험 가입 경력이 없다는 이유로 150만원이 넘는 보험료를 매겼다. 결국 보험료

를 절약하려는 알뜰 양은 P 보험사의 UBI(Usage-based Insurance) 프로그램에 가입했다. P 보

험사는 자동차 진단 포트에 꽂는 소형 기기를 보내줬다. 알뜰 양은 2개월 가량 그 기기를 꽂고

운전했다. 이 기기는 알뜰 양의 주행 습관(주행 거리, 운전 시간대, 급제동)을 측정해서 보험사

로 실시간으로 전송했다. 알뜰 양의 데이터를 받은 보험사는 알뜰 양의 사고 발생 확률이 낮다

고 판단해 보험료를 40만원 할인해주었다.

사물 인터넷(Internet-of-Things) 기술을 가격 책정에 활용하고 있는 사례이다. 이처럼 사

물에 센서와 같은 지능을 부여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 인터넷이 마케

팅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언뜻 상관없어 보이는 사물 인터넷과 마케팅이 만난 것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경영학 교수인 아이라 칼브(Ira Kalb) 교수는 앞으로 사물 인터

넷이 마케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사물 인터넷을 통해 마케터들이 고객

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좀더 효과적으로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

다. 또한 사물 인터넷이 가격 책정뿐만 아니라 유통 관리, 상품 기획, 커뮤니케이션 등 광범

위한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마케팅 실무자들 또한 영국 일간지 가디언을 통해 사물 인터넷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

다.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진행하던 퍼스널 마케팅이 사물 인터넷을

통해 한 단계 진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 구체적으로 어떤 마케팅 방안이 새롭게 부상

하고 확산될 지 전망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확산 가능성에 대해서는 많은 마케터들이 공감

하고 있다.

최근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마케팅이 등장하고 있다. 기업들은 사물 인터넷으로 확보한 오프라인 상의 고객 행동 및 맥락 정보를 토대로 고객별 맞춤

화된 가격, 쇼핑 경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사물 인터넷을 통해 퍼스널 마케팅이 한 단계 더 진화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LG경제연구원

Page 2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사물 인터넷, 마케팅에서 왜 주목하고 있나?

마케팅은 초기 매스 마케팅에서 세그먼트 마케팅을 거쳐

퍼스널 마케팅으로 진화 중이다. 고객들을 좀 더 세분화하

고 고객 특성에 맞는 가치를 전달하려 하고 있다. ‘30대 여

성’ 대상 마케팅이 아닌 세상에 단 하나뿐인 ‘당신’을 위한 마

케팅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자신의

니즈에 최적화된 제품과 경험을 얻게 되고, 기업은 매력적

인 제안 덕에 더 많은 고객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마케팅은 CRM/DBM 마케팅, 소셜 마케팅 등 다양한 기법

으로 퍼스널 마케팅을 시도해왔다. 이를 위해 고객별 정보

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정확한 광고, 판촉 등을 진행

하려고 노력해왔다. 하지만 기업이 확보할 수 있는 고객 정

보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맞춤화된 제안을 빠르게 설계

하고 전달할 방법도 부족했다.

사물 인터넷은 개별 고객에 대한 정보 확보와 맞춤화된 제

안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사물 인

터넷을 적용할 경우 오프라인 상의 고객 행동 및 맥락에 대

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다. ‘사물’에 부착된 센서

가 오프라인 상의 고객 행동, 위치 등을 파악하고, 인터넷을

통해 기업 또는 고객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사물에 정보

를 실시간으로 전송해준다. 오프라인 상의 실시간 고객 행

동 및 맥락 정보는 고객의 구매 시점이나 고객 조사 등 기존

고객 접점에서는 획득하기 어려운 정보였다(표). 이렇게 확

보된 정보는 고객에게 맞춤화된 광고/판촉, 가격 등을 설계

하고 제안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의 기존 CRM 마케팅에서는 고객의 연

령/차량 등 기본 정보를 토대로 사고 확률을 예측했다. 활

용 가능한 정보가 가입 시 받는 기본 정보 밖에 없었기 때

문이다. 동일한 연령/차량을 가진 고객들의 과거 사고 데이

터를 기반으로 해당 세그먼트의 사고 위험을 예측했다. 이

렇게 할 경우 개인이 안전한 운전 습관을 가지고 있어도 사

고율이 높은 세그먼트에 속한다면 높은 보험료를 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물 인터넷을 적용할 경우 고객의 운전 습관

(급제동 주기, 장거리 운전 여부)과 맥락(새벽 운전 등) 정보

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객의 사고 확률을 좀 더 정

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고객의 운전 습관을 측정하고 데이

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센서, 센서에서 보험사로 데이터

를 옮겨주는 통신,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서 가입자의 위

험 수준을 판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 등 사물 인터넷 관

련 요소 기술 덕분에 실현 가능한 방식이다.

사물 인터넷 관련 기술이 최근에 등장한 것은 아니다.

M2M, RFID 등의 이름으로 존재해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서야 마케팅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는 이유는 관련 요

소 기술들이 마케팅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빠르게 무르익

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디어나 시험 수준에 머물렀던 기술

이 상용화 수준으로 발전하고, 비용 또한 수용 가능한 수준

으로 접근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의 핵심 요소인 센서의 경

우 더 많은 영역을, 더 정확하고, 더 적은 에너지로 센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빠르게 발전 중이다. 센서 가격도 미국 반

도체산업협회(SIA)에 의하면 10년 전 개당 평균 1.3달러에

서 현재 0.6달러로 저렴해졌다. 센서가 확보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통신 역시 진화 중이다. 와이파이 커버리지가 넓

어지고, 1 기가비트(Gbps) 단위의 인터넷 비용이 10년 전 대

비 약 1/40 정도로 줄어들었다. 방대한 정보를 해석해 맞춤

화된 가치 제안으로 연결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 능력도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확산으로 사물 인터

넷을 원격 조정하거나 Hub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점도 빼놓

을 수 없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31

[표] 채널별 확보 가능한 고객 정보

고객 정보 확보 채널

고객 행동 및 맥락 데이터

온라인 오프라인

오프라인상품 구매

X·구매 관련 정보에 국한·사후 정보

온라인상품 구매

· 온라인 검색/주문에 대한 방대한 정보

·과정 상의 실시간 정보

사후서비스

X·서비스 관련 정보에 국한·사후 정보

고객조사

· 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뢰성 이슈 존재

·사후 정보

사물인터넷 활용

X·방대한 고객 행동 + 맥락·과정 상의 실시간 정보

Page 2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사물 인터넷, 마케팅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

● ‘행동’ 기반 가격 설정

사물 인터넷을 활용해 개별 가입자 행동 기반으로 가격

을 산정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보험 업계에서

UBI(Usage-based-Insurance) 도입 움직임이 활발하다.

자동차 보험의 경우 연령/차량 등 세그먼트 기반 보험료 책

정에서 개인 행동 기반 보험료 책정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

세계 80개 이상의 보험사가 UBI 자동차 보험 프로그램을 운

영 중이다. 그 중 선도자는 2011년부터 UBI를 본격 도입한

미국의 프로그레시브 보험사다. 스냅샷이라는 소형 기기를

이용해 피보험자의 운전 습관을 측정/전송하고, 이를 기반으

로 보험료를 최대 30%까지 할인해준다. 자동차의 속도, 운전

거리, 운전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센싱해서 전송해주는 ‘똑똑

한 사물’ 스냅샷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가격 정책이다.

프로그레시브는 해당 프로그램을 2013년까지 누적 2백만

건 이상 판매했으며, 여기서 창출된 보험료는 2013년 전체

보험료의 10% 이상을 차지했다. 스냅샷 프로그램은 안전한

운전 습관을 가진 사람에게는 할인을 해 주지만 그렇지 못한

운전자에게 할증을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개별 스냅샷 가입

자가 기여하는 이익은 낮다. 하지만 이를 통해 더 많은 고객

을 확보하고 더 오랫동안 고객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

합적으로 보험사에 이득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스냅

샷을 통해 할인을 받은 고객은 스냅샷 비가입자 대비 19%

이상 오래 보험을 유지했다.

UBI는 자동차 보험 외 영역으로도 확산 중이다. 자동차 보

험사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가입자의 운전 습관을 파악

한 것처럼 건강보험사는 가입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있다.

미국 건강보험사 휴마나(Humana), 시그나(Cigna)는 핏빗

(Fitbit)과 같은 운동량 측정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기 시작

했다. 가입자가 기기를 착용하고 운동 목표량을 달성할 경우

보상을 주는 방식이다. 건강보험사는 가입자에게 건강한 생

활 습관을 유도해 보험금 지급 규모를 줄일 수 있고, 가입자

는 보험료 감면 등의 보상을 받는 이점이 있다. 현재는 보상

으로 호텔 숙박권, 카메라 구입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를 적립해주는 경우가 많다. 아직 보험료를 직접 할인해주지

는 않지만 향후 그렇게 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기업의 임

직원 대상 웰니스 프로그램은 이미 운동량 목표를 달성한 직

원에게 자기 부담 건강보험료를 할인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의 에너지 기업 BP(British Petroleum)는 2014년 ‘BP

Million Step Challenge’라는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핏빗을 착용하고 1백만 걸음을 걸을 때마다 250포인트를 받

고 최대 1000포인트까지 적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직

원들은 이 포인트를 자기 부담 건강보험료를 낮추는 데 사용

할 수 있다.

● 고객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는 유통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시스코는 사물 인터넷의 유망 영역으

로 제조, 공공 다음으로 유통을 꼽았다. SCM(Supply Chain

Management) 및 물류를 효율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

통 관련 고객 경험을 대폭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쇼핑은 번거로운 일일 수 있다. 소비자

들은 어떤 물건을 사야 할 지 기억하고, 매장을 방문해 물건

을 고르고, 긴 줄을 서서 결제를 하는 일련의 과정을 줄이고

싶을 것이다. 유통업체들은 소비자들의 편리한 쇼핑을 위해

사물 인터넷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미국 온라인 유통업체 아마존은 대쉬(Dash)라는 사물 인

터넷 기기를 활용해 쇼핑 리스트를 기억하는 불편함을 해소

하고 있다. 아마존은 대쉬를 온라인 신선식품 배달 서비스인

경영

정보

32 www.kemc.co.kr

프로그레시브는 스냅샷으로 운전 습관을 측정하고, 그에 맞춰 보험료를 할인해 준다.

Page 2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아마존 프레시 가입자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가입자는

막대 모양의 작은 기기에 대고 필요한 물건 이름을 말하거

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Wifi를 통해 사용

자의 아마존 계정으로 연계되어 가입자는 노트북/태블릿으

로 쇼핑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 버튼을 누르기만 하

면 다음 날 아침 신선한 식료품이 집으로 배송된다. 대쉬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이나 바코드 정보를 Wifi를 통해 아마

존 계정으로 전송만 해주는 낮은 수준의 사물 인터넷 서비

스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들이 사람의 조작

없이도 상호 간에 정보를 처리하는 수준은 아니라는 의미이

다. 대쉬와 같은 수준의 사물 인터넷으로도 사용자가 충분

히 가치를 느낄 수 있을 지 두고 볼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사물 인터넷의 진화로 세탁기가 세제가 바닥나고 있다는 정

보를 센싱해 주인의 아마존 쇼핑 리스트에 자동으로 세제를

포함시키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매장 내 쇼핑을 돕기 위해 사물 인

터넷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애플의 아이비콘과 같은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인식하고 위치에 맞는

정보를 푸시 알림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비콘과 스마트폰이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공유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근처 매장의 할인 쿠폰, 해당 매장

으로 가는 길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오프라인 쇼핑은 온라인 쇼핑 대비 물건을 찾거나 할인 쿠

폰을 챙기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사물 인터넷

을 활용한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러한 과정을 좀더 편

리하게 만들 수 있다. 중국의 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이러

한 목적으로 이미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를 도입하기 시작

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 하다. 중국 인타이(銀泰) 백화점은

온라인 유통업체 알리바바와 손을 잡고 매장 경험을 개선하

려 노력하고 있다. 항저우 시의 한 쇼핑몰에 실내 측위 장비

를 400개 이상 설치했다. 이 기기를 통해 매장에 들어온 고

객을 감지하고, 고객의 스마트폰에 세일 정보를 보내준다.

그리고 고객이 특정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매장으로 가는

길을 안내해준다.

결제 과정 또한 사물 인터넷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보인

다. 글로벌 패션 브랜드 자라는 제품에 RFID 칩을 부착하

기 시작했다. 비싼 비용 때문에 수용 속도가 낮았던 RFID에

대해 최근 미국 메이시스(Macy’s) 백화점, 영국 패션 브랜

드 막스앤스펜서(Marks & Spencer) 등도 수용 계획을 밝혔

다. 현재는 RFID를 재고 관리를 효율화하는 데 주로 활용하

지만 향후 다량의 구매 물품을 빠르게 인식해 결제를 간소

화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하다. 바코드의 경우 점원이 일일

이 바코드 리더기를 바코드에 대야 제품/가격 정보를 확인

하고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RFID 칩은 저장된 정

보를 무선 주파수를 통해 RFID 스캐너로 보내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구매 물품을 확인하고 결제 처리할 수 있게 해준

다. 또한 고객이 매장에 들어가 지갑을 꺼내지 않고도 결제

를 할 수 있는 페이팔 비콘(Paypal Beacon)과 같은 사물 인

터넷 기술들도 카페 등에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페이팔 앱

을 설치한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면, 페이팔 비콘은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해당 매장의 메뉴와 할인 쿠폰을 보내준다.

고객은 앱 상에서 메뉴 선택, 주문,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해

결할 수 있다.

● ‘당신과 상황에 딱 맞는’ 커뮤니케이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보여준 미래의 쇼핑 시나리

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영화에서 톰 크루즈가 갭 매장

에 들어 섰을 때 3D 홀로그램이 톰 크루즈를 반긴다. “안녕

하세요. 야카모토 씨, 갭에 다시 오신 걸 환영합니다. 여기

준비된 다양한 탱크탑 어떠세요?” 동공 인식으로 손님을 인

식하고 방문 이력과 선호 취향에 맞춰 손님을 대응한다. 이

와 유사한 사물 인터넷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우선, 사물 인터넷으로 소비자의 맥락만 간단하게 감지해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시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33

“ 사물 인터넷을 활용해 개인의 운전/건강 습관을 파악하고,

이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보험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고객의 노력을 최소화하는 유통은 향후 사물 인터넷이

적극 활용될 유망 영역으로 꼽힌다.”

Page 2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코는 2014년 5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물 인터넷을 홍보

했다. 사물 인터넷을 소개할 시스코 라이브 행사를 홍보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국제 공항 근처에 ‘연결된 빌보드’를 설치

했다. 이 빌보드는 차량의 속도에 맞춰 차가 느리게 달릴 때

는 긴 메시지, 빠르게 달릴 때는 짧은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타겟이 메시지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맥락에 따라 메시지

길이를 조절한 것이다. 시스코는 실시간 교통량, 지도 등 다

양한 API와 통신을 활용해 해당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었다.

사물 인터넷을 통해 단순 맥락을 넘어 개인 특성까지 인지

해 맞춤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 기업들도 있다. 영국

유통업체 테스코는 캐나다의 450개 주유소 슈퍼마켓에 ‘스

마트 광고판’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광고판은

방문 고객의 눈을 스캔해 나이, 성별을 인식하고, 시간, 구

매 아이템까지 고려해 맞춤화된 광고 컨텐츠를 내보낸다고

한다. 예를 들어 30대 여성이 들어올 경우 여성 용품과 잡지

에 대한 추천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중국 인

타이 백화점 또한 바이두와 협업해 온라인과 같이 고객별 맞

춤 프로모션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2015년 초

에 일부 매장 직원에게 구글 글래스와 유사한 바이두 아이

(Baidu Eye)를 착용하게 할 계획이라고 한다. 안면 인식을

통해 소비자 위치 파악 및 추적을 하고, 이미지 인식을 통해

소비자가 관심을 보인 제품/브랜드를 파악하고, 빅데이터

분석으로 고객에 맞는 제품을 추천할 예정이다.

사물 인터넷 마케팅, 빠른 확산 가능할까?

사물 인터넷의 마케팅 적용은 아직 초기로 향후 확산 속도

를 속단하기는 이르다. 과거에도 QR코드, 증강현실 등 새로

운 기술이 마케팅에 접목되기 시작할 때 많은 기대를 받았지

만 이후 성과는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의 확산 속도는 고객 가치, 고

객 비용, 기업 운영 비용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적은

고객 비용 및 기업 비용으로 큰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빠른 확산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사물 인터넷 마케팅으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가

치가 확연하게 커야 빠른 확산이 가능하다. 고객들의 반응이

좋아야 기업의 사물 인터넷 마케팅에 대한 투자도 의미가 있

기 때문이다. 프로그레시브의 UBI는 보험료 할인이라는 확

실한 고객 가치가 있기 때문에 성과를 보고 있는 것이다. 빅

데이터 특성 상 더 많은 고객의 운전 습관 데이터가 쌓일수

록 사고 위험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

으로 보험사가 안전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보험료 할

인 폭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반면, 아마존 대쉬

의 경우 일부 고객은 쓸모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스마

트폰으로도 쇼핑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고 반복 구매가 많은

생활용품 특성 상 기존 구매 이력을 보고 재구매 여부만 선

택하면 되기 때문이다. 새롭다는 이유만으로 고객이 수용하

지는 않는다. 사물 인터넷을 통해 고객에게 ‘더 적합하고 편

리한’ 제안을 할 수 있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사물 인터넷

경영

정보

34 www.kemc.co.kr

시스코는 사물 인터넷을 옥외 빌보드에 적용해 자동차가 빨리 달릴수록 짧은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Page 25: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물 인터넷 적용으로 고객이 부담해야 하는 추가 비

용이 크지 않아야 한다. 금전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소요 시

간/노력, 심리적 비용 등도 적어야 한다. 특히 고객들은 자

신의 정보를 자세히 수집하는 사물 인터넷에 대해 사생활 침

해를 우려할 수 있다. 테스코가 스마트 광고판 설치 계획을

공개했을 때 여론은 거부감을 드러냈다. 스마트 광고판이 사

생활을 감시하는 빅 브라더(Big Brother) 같기 때문이다. 컨

설팅 회사 딜로이트의 2014년 조사에 의하면 자동차 보험료

를 할인해주더라도 운전 습관 정보를 공유하지 않겠다는 사

람이 47%에 달했다(<그림> 참조). 사생활 침해 이슈에 대해

서 섬세한 접근을 하는 기업만이 고객의 마음을 얻을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시스코와 같이 고객 개별 정보가 아닌 맥

락(차량 속도) 정보만을 활용하거나, 프로그레시브와 같이

민감하지 않은 정보만을 일시적으로 수집하는 방안을 고민

해 볼 수 있다.

고객이 해당 마케팅으로 인해 별도로 시간/노력을 기울이

고 불편을 겪어야 한다면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과

거 QR코드/증강현실를 활용한 마케팅의 경우 고객에게 별

도의 앱을 설치하고 작동시켜야 하는 부담을 안겨줬다. 최근

마케팅 업계는 비콘을 활용해 고객의 스마트폰에 주변 상점

에 대한 광고 및 할인 정보를 보내는 기법에 큰 관심을 보이

고 있다. 상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마케팅으로 볼 수 있겠

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여러 상점의 정보가 스마트폰에 쉴새

없이 뜬다면 스팸 문자처럼 느껴져 무시하게 될 수도 있다.

셋째, 기업의 사물 인터넷 도입 비용이 크지 않아야 한다.

RFID의 확산이 느렸던 주요 이유는 RFID의 높은 비용 때문

이었다. 기업의 도입 비용은 사물 인터넷을 통해 고객 정보

를 얻는 비용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최적화된 제품/컨텐츠를

구현하는 비용까지 포함한다. 앞서 소개한 UBI나 비콘 등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것도 비용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단말 기

기나 통신 비용은 낮아졌다. 뿐만 아니라 고객에 맞춰 보험

료를 조정하거나 적당한 쿠폰을 발급해주는 데에 드는 운영

비용 또한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니다.

향후 사물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 전문가들의 기대처럼

빠른 속도로 마케팅을 한 단계 진화시킬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Kemc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35

개인 정보 공유에 대해 소비자들 소극적

“사물 인터넷 마케팅의 확산 속도는고객 가치 및 비용, 기업 운영 비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Page 26: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주요

정책

36 www.kemc.co.kr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 실시

정부는 최근 강화되는 기술무역장벽(TBT)에 대응하고,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총 164.6억원 규모로 해외규격인증획득 지

원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출여건을 갖추고도 해외정보 및 전문 인력 부족으로 수출대상국에서 요구하는 해외 규격인증을 획득하

지 못한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인증획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기술력있는 중소기업의 수출 인프라를 구

축하고 기술무역장벽 극복을 위한 2015년 해외규격인증획

득 지원사업 시행계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외인증은 수출 통관의 필수 조건일 뿐만 아니라, 해외

바이어들에게 품질보증의 징표로 여겨지는 수단으로 올

해에는 일반 241개(’14:218개) 규격인증과 소요비용 3천

만원 이상의 고부가가치 규격인증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

여 실시한다. 일반규격인증은 80억원 규모에서 약 1,400

업체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며, 소요비용 3천만원 이상

인 고부가가치 인증은 60억원 규모로 작년 대비 2배 확대

(’14:32.6억원)하여 200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증액으로 수요대비 신청이 많아 작년에 조기 마감

했던 고부가가치 인증분야에서 기업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인증갱신도 지원대상에 포함하며, 차

등지원의 기준을 종전 수출액 기준에서 매출액 기준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1회에 한해 기존에 받은 인증

제품도 갱신시기가 도래한 경우 지원신청이 가능하며, 전

년도 기준 매출액 30억원 이하 기업은 인증획득비용의

70%, 30억원 초과 기업은 50%까지 지원한다. 또한 한

중 FTA를 계기로 중국진출의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중국

인증을 신청하는 경우 가점을 부여하고 기능성 화장품·

의료기기 등에 획득하는 CFDA(Chin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인증의 지

원한도를 기존 1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상향 조정하였

다. 또 24.6억원 규모로 중국인증 전용지원프로그램을 신

설하였다,

인증지원의 상시지원을 위해 격월로 신청접수가 이루어

지며, 기존에 획득한 규격인증도 신청일 기준 1년내로 획

득한 경우에는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지원분야 금액 지원업체수(안)

일반규격인증- 사업운영지침의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대상 제품인증 분야- 규격·품목별지원금액 상이,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

80억원 1,400

고부가가치인증- 인증획득소요비용(컨설팅비용 제외)이 3천만원 이상인 제품인증-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

60억원 200

※ 분야별 금액·지원업체수는 사업집행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음

Page 27: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37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방법

신청업체는 중소기업수출지원센터(http://www.

exportcenter.go.kr)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수출지원

사업 바로가기] →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 또는 [고

부가가치 해외인증] → [인증신청] → [해외인증신청] 메뉴

에서 신청서를 작성 등록, 신청서를 출력하여 대표자 날인

후 접수일까지 첨부서류와 함께 본점이 위치한 소재지의

관할 지방중소기업청에 제출하면 된다.

■ 가점부여 (10점)

- 지방소재(서울, 경기, 인천 제외)기업 (3점)

- 해외규격인증 교육 이수업체 (최대3점)- KTL, KTR

및 지방중기청 시행교육(2014, 2015년 교육실적)

- 기타 혁신형기업(Inno-Biz, 벤처, 경영 등), 중국인증

건당 2점 (최대4점)

■ 플러스 가점부여 (6점)

- 경영혁신 마일리지 사용(500마일리지 당 1점) (최대 2점)

- 환변동보험 가입기업 (2점)

-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사업 선정기업 (2점)

■ 문의처

■ 추진절차

사업 공고(중소기업청)

출연금지급, 사후관리(관리기관)

신청·접수(온라인 입력)

완료확인(관리기관)

평가(지방중기청)

규격인증획득, 완료보고(참여기업)

지원대상 확정(전문가위원회)

협약체결(관리기관↔참여기업)

<사업진행일>

구분 1차 사업 2차 사업 3차 사업 4차 사업 5차 사업

신청·접수 2. 9 ~ 2. 28 4. 1 ~ 4. 30 6. 1 ~ 6. 30 8. 1 ~ 8. 31 10. 1 ~ 10. 31

평가·선정 3. 1 ~ 3. 20 5. 1 ~ 5. 20 7. 1 ~ 7. 20 9. 1 ~ 9. 20 11. 1 ~ 11. 20

협약체결 3. 21 ~ 3. 31 5. 21 ~ 5. 31 7. 21 ~ 7. 31 9. 21 ~ 9. 30 11. 21 ~ 11. 30

* 지원 차수는 지원 수요에 따라 예산 소진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 ⇨ ⇨

⇦⇦⇦

담당기관 전화

관리기관

일반규격인증

한국산업기술시험원(해외규격인증지원센터)

02-860-1312∼3

고부가가치인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중소기업수출인증사업단)

02-507-8123∼6

사업총괄 중소기업청(해외시장과) 042-481-4355

Page 28: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주요

정책

38 www.kemc.co.kr

<평가 및 증빙서류 관련 문의 : 본점 소재지 관할 지방청>

지방청명 전화번호 FAX 주 소

서울지방청 02)2110-6330 02)2110-0663 (427-700) 경기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1동 105호

부산·울산청 051)601-5161 051)341-0364 (612-704) 부산 해운대구 APEC로 30 BEXCO 제2전시관 3층 371호

대구·경북청 053)659-2245 053)626-8771 (704-833) 대구 달서구 성서4차 첨단로 122-11

광주·전남청 062)360-9193 062)366-9671 (502-723) 광주광역시 서구 경열로 17번길 12

경기지방청 031)201-6945 031)201-6949 (443-761)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반달로 87

인천지방청 032)450-1132 032)818-8364 (405-849) 인천 남동구 은봉로 82

대전·충남청 042)865-6152 042)865-6159 (305-343) 대전 유성구 가정북로 104

강원지방청 033)260-1672 033)260-1679 (200-944) 강원 춘천시 안마산로 262

충북지방청 043)230-5374 043)235-2494 (363-883)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중심상업2로 48

전북지방청 063)210-6482 063)210-6489 (560-860)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77

경남지방청 055)268-2542 055)262-5012 (641-060)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이대로 532번길 50

제주 수출지원센터 064)753-8757 064)753-8759 (690-732)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삼로 473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2층

Page 29: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건실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경영개선 건강진단 도입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39

주요

정책

정부는 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영위기를 예

방하고 기업경영 전반에 관한 애로사항 해결을 통하여 중소

기업의 기초 체질을 강화하고, 위기관리 역량을 높여 생존율

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을 운영할 계

획이다.

중소기업청은 2015년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운영계획

을 확정하고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

금 등과 함께 중소기업 건강관리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은 사람이 건강진단을 통해 병을

예방하고 체질개선을 하듯이, 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상의 경

영위기를 예방하고 기업경영 전반에 관한 애로사항을 해결

하기 위해 2012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금년에는 45억원을 투입하여 총 5,350개사를 지원에 대한

건강진단을 통해, 기업특성에 맞는 내실있는 진단 및 맞춤형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금년부터는 경영개선

건강진단을 도입하여 정책금융기관(중진공, 신·기보)의 기

존 관리기업을 대상으로 성장정체, 위기관리 역량 저하 등으

로 일시적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 사전적·

예방적 경영개선을 통한 기업부실 예방에 중점을 둘 예정이

다.(연중 수시 신청접수)

한편 금년에도 구조적 경영애로 기업에 대해 구조개선 건

강진단을 연중 수시 신청접수를 받아 실시한다. 아울러 올해

에는 건강관리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진단기간을 단축하고,

높은 양질의 진단보고서가 제공된다.

과거의 복잡한 진단절차를 「①신청(기업)→②진단(진단기

관)→③진단보고서 및 정책정보 제공(진단기관→기업」으로

단순화하여, 진단기간을 단축하고 행정부담을 완화하였다.

그간 정보제공 기능이 중소기업 지원사업 중 41개 사업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금년부터는 진단전

문가가 전체 지원사업을 확인하여 필요한 정보를 진단보고

서를 통해 기업에 제공한다.

올해 건강관리시스템은 3월부터 10월까지 운영되고, 건강

기업건강 진단

•위기관리역량진단•기업경영전반 분석 (기술·경영전문가)

•종합진단표 작성•성장로드맵·처방전 작성 (진단기관)

•자금, 보증, R&D, 마케팅,•공정혁신, 정보화, 사업전환 등 (지원기관)

진단 보고서 작성 맞춤형 정보제공

◆ 종합병원식 건강검진 체계와 같이, 기업경영 전반에 대한 맞춤형 정보제공 방식의 『문제해결型 시스템』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이란?

Page 30: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관리를 희망하는 기업은 매

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기간

에 관할 소재지의 진단기관

에 자금(중진공 지역지(본)

부 : 온라인 신청), 보증(신

보 영업점, 기보 지점), 기타

중소기업 지원사업(지방중

기청)을 신청할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중소기업 건강관리는 ‘12년

이후 적은 비용과 신속한 진

단으로 기업애로 해소에 기

여하였고, 특히 금년에 도

입하는 경영개선 건강진단

은 경영부실 징후의 조기 발

견과 예방에 큰 효과가 있어

많은 중소기업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Kemc

주요

정책

40 www.kemc.co.kr

<중소기업 건강관리시스템 체계도>

<진단신청 대상 업종> 진단비용은 30만원/1MD 원칙

① 진단완료일로부터 1년이 경과하지 않은 기업. 단, 대표자 변경 등 진단기업의 중대한

변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

② 진단기관에서 진단 신청·접수가 거절된 기업으로 6개월이 경과되지 아니한 기업. 단,

그 거절 사유가 해소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

③ 휴·폐업중인 기업

④ 세금을 체납중인 기업. 단, 세금분납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 기업,

회생인가 받은 기업 및 중진공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법인기업은 제외함

⑤ 전국은행연합회의 “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라 연체, 대위변제·대지급, 부도, 관련인,

금융질서문란, 화의·법정관리·기업회생신청·청산절차 등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기업. 단, 회생인가 받은 기업, 중진공 등으로부터 재창업자금을 지원 받은 법인기업은

제외함

⑥ 임직원의 자금횡령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기업

⑦ 진단 신청일 현재, 창업 후 5년 이상인 기업 중 다음에 해당하는 기업. 단, 진단기관의

장이 해당기업의 건강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

가. 2년 연속 매출액이 50%이상 감소한 기업

나. 2년 연속 적자기업 중 자기자본 전액 잠식 기업

다. 최근 3개월 이내 연체일수 45일 이상 또는 연체일수 10일 이상이 4회 이상인 기업

진단신청 대상 업종(표준산업분류번호) 2MD 3MD 4MD

•제조업(C)·광업(B)·운수업(H)•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J)•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N)•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하수처리, 폐기물 처리 및 환경복원업(E)• 건설업(F) 中 산업플랜트 건설업(41225) · 조경 건설업(41226) · 폐기물처리 및 오염방지시설

건설업(41224) · 배관 및 냉난방공사업(42201) · 건물용 기계장비 설치 공사업(42202) · 방음 및 내화 공사업(42203) · 소방시설 공사업(42204)

5인미만

5인 이상

~

50인 미만

50인이상

구분 수행방법 비고

사업공고 •언론,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공고 공동운영기관

신청·접수•진단기관 상담·신청 * 진단기관 : 지방청, 중진공 지역본부, 신보 영업점 등, 기보 지점

기업 → 진단기관

진단 실시 •전문가 배정 및 진단 실시(최대 4MD 이내) 진단기관(전문가)

진단완료•진단완료 및 진단보고서 작성•진단보고서 검토·보완

전문가진단기관

맞춤형 안내 •진단결과 프리젠테이션(PT) 및 진단보고서를 기업에 송부 진단기관 → 기업

<기업건강 진단신청 제한 기업>

Page 3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41

온실가스 배출권 670만KAU, 예비분에서 추가적 할당

환경부는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대상업체 중 243개 업체

가 신청한 배출권 할당에 대한 이의내용과 신청자료를 검토

한 결과, 40개 업체의 이의를 수용하여 정부가 보유한 예비

분에서 배출권 670만KAU를 추가적으로 할당하고, 76개 업

체에 대해서는 배출권 추가할당, 할당취소, 이행연도별 조정

등 후속절차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이번 이의신청은 산업계·학계·연구계 민간전문가로 구

성된 공동작업반의 검토결과를 토대로 처리되었는데, 할당

량 산정과정에서 일부 소규모 배출시설이 누락된 경우나 당

초 제출된 증빙자료를 재검토한 결과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에 이의를 수용(24만KAU)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도

시행 초기임을 감안하여, 업체가 할당 신청시에는 증빙자료

를 불충분하게 제시하여 할당량을 적게 받거나 받지 못하였

지만, 이의신청시 추가적인 보완자료를 제출한 경우까지 포

괄적으로 검토하여 타당한 경우는 수용(646만KAU)하였다.

또한, 업체들이 법령에 별도의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사항

에 대해 이의신청을 한 경우도 있었는데, 당초 사전할당을

신청하지 않았던 시설에 대해 이의신청을 통해 할당을 요청

하거나, 중복할당에 따른 할당취소 또는 이미 할당받은 배출

권의 이행연도별 조정을 요구한 사항 등으로서, 업체들에게

관련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고, 그에 따른 후속조치를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한편, 신청된 이의 내용 중에는 업종별 할당량 확대, 업체

별 할당량 산정방식 변경 등 법규나 국가계획의 수정이 필요

한 사항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산업계,

시민단체 등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할당량 산

정방식 보완 등 필요한 부분에 대해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Kemc

<업종별 할당 증가량>

업종이의신청 업체 수

이의수용 업체 수

제1차 계획기간 합계

발전에너지 34 5 5,680,558

수도 2 1 46,509

음식료품 10 2 14,254

폐기물 21 8 141,692

석유화학 57 4 82,495

섬유 8 - 0

건물 16 6 133,280

통신 5 5 7,288

철강 7 - -

비철금속 18 - -

제지 15 - -

목재 - - -

반도체 9 2 355,596

디스플레이 2 1 110

전기전자 7 2 137,208

기계 2 - -

자동차 6 1 6,248

조선 4 1 8,300

정유 2 - -

시멘트 9 1 66,839

광업 - - -

유리요업 5 1 18,925

항공 4 - -

합계 243 40 6,699,302

Spotlig

ht

Page 3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배터

리상

배터리 궁금증 TOP10한국전기연구원은 배터리에 관한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효과적인 배터리 활용을 위한 가이드팁 마련을 위해 지난해 배터리 궁금증 질문

달기 온라인 이벤트를 실시하였습니다. 본고에서는 배터리에 관련한 많은 질문 중에서 가장 많이 나온 10가지를 선정해 소개합니다.

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Q1 추운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배터리가 빨리 닳아지나요?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배터

리의 전반적인 화학반응이 느려집니다. 리튬

이온은 전해질과 양극 및 음극에서 움직이는

데,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지 내부 리튬이온

의 이동속도가 저하하여 전지의 내부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집니다.

또한 전기량도 충분히 방전하지 못하는 원인

이 됩니다. 에너지는 전기량과 전압의 곱인

데, 전반적으로 에너지가 줄어들고 결국 겨

울철에 배터리가 빨리 닳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철 배터리를 온도가 낮은 외

부에 보관하기 보다는 평소에 주머니에 넣

거나 케이스, 헝겊으로 덮어서 따뜻하게 보

관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추위로

인해 이미 방전된 배터리의 경우라도 사용

하지 못한 전기량은 내부에 잠재적으로 사

용 가능한 형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배터리

의 온도를 높인다면 다시 남아있는 에너지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따뜻한 장소

에 두자마자 배터리가 바로 잘 작동하는 것

은 아니겠죠? 표면은 따뜻할 지라도 내부

는 아직 차갑기 때문에 배터리를 약 30분

정도 충분히 예열을

한 후 사용하는 것

이 좋습니다.

Q2 배터리는 왜 시간이 지나면 성능이 떨어지나요?

배터리의 구조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가루

(분말) 형태로 존재하고 있고, 이것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제로 붙여놓은 모양으로 존재합니다.

배터리를 뜯어보면 가루 형태로 되어 있고 이러

한 가루를 접착제로 붙여놓은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충/방전을 계속하게 되면 가루로 된 화

학물질의 일부가 조금씩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

결국 떨어져 나간만큼 전자를 줄 수 없어 용량

이 떨어지고 수명도 줄어들죠. 그 결과 저항도

증가하고 배터리가 낼 수 있는 전압도 감소하게

됩니다. 에너지는 전기량X전압으로 결정되는

데, 전압이 감소하게 되니 배터리가 힘을 낼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수명도 점차 짧아지게 되

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감안할 때, 배터리의 성능은 좋

은 화학물질의 사용과, 이러한 화학물질이 잘

떨어지지 않게 도와주는 좋은 결합제의 역할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42 www.kemc.co.kr

Page 3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Q3배터리 잔량을 0% 완전 방전한 다음 충전하는 것이 좋나요?

예전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900MHz

무선전화기나 면도기에는 일명 ‘니카드전

지’가 사용됐습니다. 이 전지는 사용 패턴

을 기억해 충전된 만큼만 소비하는 ‘메모리

이펙트(Mem-ory Effect)’를 가지고 있어

서 완전히 전지를 0%로 방전한 후 충전하

는 것이 더 좋았죠. 하지만 요즘 일상생활

에서 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 디지털카메

라, 노트북 등 주요 제품에 쓰이는 배터리

는 모두 리튬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습니

다. 리튬이차전지의 경우에는 니카드전지

의 메모리이펙트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

에 완전 방전한 다음 사용하면 수명이 짧아

집니다. 리튬이차전지에는 정상 작동 범위

가 있는데, 하한 전압 이하로 유지되면 전

지의 구성 재료가 부식되어 제 기능을 못하

게 됩니다. 즉 완전 방전하게 되면 내부에

서 전자를 주고받는 ‘집전체’라는 구성회로

의 손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

고 배터리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자기

기의 경우, 0%가 아니더라도 늘 충전기에

꽂아놓는 것이 좋으며, 이미 방전된 상태라

면 즉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4 배터리 수명이 끝나면 잠깐이라도 살릴 방도가 있나요?

배터리가 방전이 된 경우에도 배터리 내부에 잔존

하는 에너지가 늘 일부 남아있게 됩니다. 잔존 에너

지량은 배터리의 성능과 사용 특성에 따라서 다른데,

보통 시간을 두면 배터리 내부의 잔존에너지가 저절

로 평형에 도달하여 일부 양을 사용할 수는 있습니

다. 특히 냉장고 등 저온에 넣어두면 평형에 도달하

는 동안의 자기방전 저항이 감소하여 조금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배터리가

되살아나는 현상은, 항간에 떠도는 방법과는 별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터리가 평형에 도달해 자연스

럽게 일부 충전되는 결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일시적인 현상이며,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누리기는 힘듭니다. 특히 장

기간 오래 사용한 배터리의 경우에는 이미 에너지

저장 능력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수명이 끝난 경우 내부저항이 증가한 경우이므로 시

간이 지난다고 할지라도 다시 사용하기는 힘듭니다.

여기서 잠깐! 항간에 떠도는 소문 하나를 더 확인

해볼까요? 휴대전화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어떤 번

호에 전화를 걸면 급속 충전된다는 소문, 들어보셨

나요? 하지만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닙니다. 과학은 자

연스러움입니다. 잠깐 배터리가 살아났다면 그것은

심리적인 부분이지 실제로 충전된 것은 아니니 믿지

마세요!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43

Page 3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배터

리상

Q5 제한된 시간에서 스마트폰 배터리를 빨리 충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통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사

용되는 리튬이차전지는 300회 충전 이후부

터는 내부저항이 빠르게 증가하고 이로 인해

화학 반응과 충전 속도가 늦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온도를 높이면 이러한 화학반응의

속도가 빨라지고 배터리의 내부저항도 감

소하게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통상

10도의 온도 증가로, 반응속도가 약 두 배

로 빨라지고, 20도와 30도로 올리면 각각

4배와 8배로 빨라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따뜻한 곳에서 휴대전화를 충전하면 보다

빨리 충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예로는 전

기장판위에 스마트폰을 두고 충전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따뜻한 전기장판 위에 스마트

폰을 충전하게 되면 보다 빨리 충전할 수 있

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온도가

60도 이상 넘어가면 배터리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전기장판도 저

온 단계에서 충전해야 좋지, 높은 단계로

올라가면 부품 자체에 손상이 가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과유불급! 뭐든지 적당하면 좋지만, 지나

치면 해가 된답니다. 배터리에게도 적당한

따뜻함은 힘을 주지만, 너무 뜨거워지면 배

터리 내부 물질이 온도를 견디지 못해 손상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Q6 건전지에 누액이 나오는 이유를 알고 있나요?

정상적인 배터리 사용에서는 누액이 나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배터리 양이

다른 제품들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 먼저 완전히

방전된 배터리에 역전압이 걸리게 되고 용량이

적은 쪽의 전지는 과방전이 됩니다. 이로 인해

발열이나 전해액의 전기 분해가 일어나 가스 발

생에 의해 전지가 팽창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

황이 계속되다 보면 배터리 껍질 재질의 아연이

녹는 부식이 발생하여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결국

이 누액은 기기의 단자까지 부식시켜 고장을 일

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디지털도어록의 경우 잔량이 다른 배터

리를 섞어서 사용하다보니 누액이 발생하고 기

기까지 고장이 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똑같은 새 배터리의 경우라도, 제조사

가 다르면 제조과정과 상황에 따라 배터리의 성

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누액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량이 동일한 같은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반건전지(일차전지)를 충전할

경우에도 누액이 발생합니다. 일차 전지에는 충

전이 불가능한 물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전

하게 되면 팽창, 누액은 물론 발화까지 일으킬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44 www.kemc.co.kr

Page 35: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Q7 스마트폰 충전이 100% 완료될 경우 계속 꽂아 두는 것이 좋나요?

휴대전화는 100% 충전됐다는 초록색 불

이 나온 상태라도, 계속 꽂아 두면 더 충전

이 됩니다! 충전율은 전압을 재어 표시해주

는데, 배터리 안에 무수히 많은 리튬이온이

있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연결해서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표면은 충전된 상태라고 볼

수 있어도 내부까지 완전히 충전됐다고는

말할 수 없는 거죠. 따라서 초록색 불이 들

어와도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

문에 계속 꽂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내부까지 충분히 충전을 다하기 위

해서는 적어도 2시간 이상 꽂아 두어야 합

니다. 그 이유는 전지 안 리튬이온의 농도

편차가 심해서 전압이 충분히 확산할 때까

지 기다려야하기 때문이죠. 특히 1년 이상

지난 배터리는 성능이 더 떨어지기 때문에

이유로 반드시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더 많

이 충전할 수 있습니다.

Q8 코드를 꽂은 채로 노트북을 사용하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드나요?

노트북에 전원을 꽂는다는 것은 외부에서 전기량을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이 전기량이 100

이라면 사용하면서 충전할 경우 70은 충전기로 가고,

나머지30은 노트북을 작동하는데 쓰이는거죠. 따라

서 충전 속도가 느려질 뿐이지 배터리 자체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코드를 꽂는다는 것은 외부 파워를 이용해 노

트북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터리는 놀고 있는

상태가 된답니다. 이는 배터리에게 휴식을 주는 것이

기 때문에 더 좋은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노트북뿐

만 아니라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는 기기(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 모두 이러한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코드를 꽂으면서 사용해도 배터리 수명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45

Page 36: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배터

리상

Q9 전원을 끄거나 비행기모드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면 더 빨리 충전이 되나요?

휴대전화는 통신과 디스플레이에 많은 에

너지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충전하면서 스

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 전력을 통신, 휴대

전화의 작동, 배터리의 충전에 나누어서 사

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즉 힘이 분산되는

것이죠.

하지만 비행기 모드의 경우 통신에 소요되

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

가 충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

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행기 모드에서는 보

다 빠른 충전이 가능한 것이구요. 물론 전원

을 끄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 자체가 없기 때

문에 충전 속도가 더 빨라지겠죠?

또 하나의 팁!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화질

을 낮추거나,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뒤 충전하면 보다 빨리 충전을 할 수

가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10 리모컨, 시계에 사용되는 건전지(일차전지)부터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까지, 우리는 수없이 많은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배터리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어떤 사람들은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 쓴 배터리는 어떻게 처리될까요? 재활용이 가능한지, 또 가능하다면 어디에서 관리하는지. 배터리의 사후처리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전국의 주택 등의 주거 및 상업 시설에는 배터

리 분리수거함이 있습니다. 사용한 배터리의 분

리수거(2008년부터 분리수거대상품목)는 (사)

한국전지재활용협회(http://www.kbra.net)에

서 하고 있습니다.

일반 건전지(일차전지)는 지역별 처리업체에

서 불연성 쓰레기로 안전하게 처리되고 있고 충

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자동차에 이용되는 연축

전지는 회수 후 재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 쓴 배터리는 반드시 분리수거 해서 재활용

박스에 넣어야 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배터리의 플러스극

(+)과 마이너스극(-)을 테이프로 막아줘야 한

다는 것입니다. 배터리의 잔량이 조금이라도 남

아있을 경우, 접촉하면 합선되고 발열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 이 주의사항은 일,이차전지 모

두 해당하기 때문에 반드시 명심하세요!

46 www.kemc.co.kr

Page 37: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Q. 종합건설업체 甲의 대표이사 乙은 甲 회사의 채권

자인 丙이 甲회사에 대하여 공사대금 청구소송을

제기하자, 丙의 채권 추심이나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하여 제

3의 회사 丁에게 공사를 하도급한 사실이 없음에도 마치 5

억원에 하도급한 것처럼 꾸며 甲회사 명의의 약속어음을 발

행하고 이를 공증하였습니다. 이후 丁은 허위로 乙로부터 발

행받은 甲회사 명의의 위 약속어음에 의하여 작성된 집행증

서에 터 잡아 A지방자치단체에 대한 甲의 공사대금채권 5억

원에 관하여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 丙은 집행채

권자인 丁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요?

A. 위 사안과 같이 권리 취득의사가 없이 허위의 의사

표시에 기하여 발행한 약속어음 공정증서에 터 잡

아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은 경우에 관하여 판례는 “채

무자 또는 그 대리인의 유효한 작성촉탁과 집행인낙의 의사

표시에 터 잡아 작성된 공정증서를 집행권원으로 하는 금전

채권에 대한 강제집행절차에서, 비록 그 공정증서에 표시된

청구권의 기초가 되는 법률행위에 무효사유가 있다고 하더

라도 그 강제집행절차가 청구이의의 소 등을 통하여 적법하

게 취소·정지되지 아니한 채 계속 진행되어 채권압류 및 전

부명령이 적법하게 확정되었다면, 그 강제집행절차가 반사

회적 법률행위의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

이 없는 한, 단지 이러한 법률행위의 무효사유를 내세워 확

정된 전부명령에 따라 전부채권자에게 피전부채권이 이전되

는 효력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고, 다만 위와 같이 전부명령

이 확정된 후 그 집행권원인 집행증서의 기초가 된 법률행위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무효사유가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

는 그 무효 부분에 관하여는 집행채권자가 부당이득을 한 셈

이 되므로, 그 집행채권자는 집행채무자에게, 위 전부명령에

따라 전부받은 채권 중 실제로 추심한 금전 부분에 관하여는

그 상당액을 반환하여야 하고, 추심하지 아니한 나머지 부분

에 관하여는 그 채권 자체를 양도하는 방법에 의하여 반환하

여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2005. 4. 15. 선고 2004

다70024 판결).

한편, 판례는 이러한 집행채무자의 채권자가 그 집행채권

자를 상대로 위 부당이득금 반환채권을 대위행사하는 경우

집행채무자에게 그 반환의무를 이행하도록 청구할 수도 있

지만, 직접 대위채권자에게 이행하도록 청구할 수도 있다고

하였는데(대법원 1962. 1. 11. 선고 4294민상195 판결), 이와

같이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는 채권자에게 변제수령의 권한

을 인정하더라도 그것이 채권자 평등의 원칙에 어긋난다거

나 제3채무자를 이중 변제의 위험에 빠뜨리게 하는 것이라

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 사안에서 丁은 무효인 약속어음 발행행위에 의

하여 작성된 집행증서에 터 잡아 공사대금채권에 관하여 채

권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아 그것이 적법하게 확정된 것이므

로 법률상 원인 없이 공사대금채권 5억원을 취득하였다고

판단되며, 丁은 무자력자인 甲회사를 대위한 甲회사의 채권

자 丙에게 위 전부채권 중 실제로 추심하지 아니한 부분에

관하여는 그 채권 자체를 양도하여 반환하고, 실제로 추심한

부분에 관하여는 추심한 금원 상당액을 반환하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Kemc

금전채권에 대한 강제집행 출처 : 대한법률구조공단

법률

상식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47

Page 38: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중소기업, 제품·공정 개선사업에 262억원 지원

중소기업청에서는 “2015년도 제품·공정개선 기술개

발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에는 R&D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제품·공정개선분야 지원을 위해 총

262억원의 기술개발 자금이 지원된다.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사업은 기업환경이 어려운 소

기업을 위한 단기·소액의 제품·공정개선 지원사업으

로, 과제당 최대 9개월동안 5천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제품·공정개선이 필요한 중소기업이라면 사업신청이

가능하나, 공정개선과제는 공장등록증 또는 직접생산확

인증명서 보유기업에 한정된다.

특히, 금년부터 사업 신청자격을 50인미만 소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확대하고, 건강진단 연계제도 폐지 및 오

프라인 신청을 온라인 신청으로 변경하는 등 신청절차를

간소화 하여 중소기업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였다고 밝

혔다.

신청기업 중에서는 상시근로자 수가 적은 소기업을 우

대하며, 사업화 및 수익창출이 용이한 “공통 공정기술

(요소기술)과 반보(Half-step)기술” 과제를 중시하고,

단계별 코칭 실시로 기획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우선, 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가점이 부여되고, 현장평

가 및 대면평가 시 시장분석이나 기업의 지속성장에 대

한 기여도 등의 사업화 관련 평가지표의 배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R&D 지원사업 신청 경험이 적은 중소기업을 위

해 5개 지방중소기업청에 전문가 1인이 상주하며 일대

일 전문상담을 시범 실시한다. 사전 예약제로 실시되며

개발과제에 대한 목표설정, 추진절차 및 사업비 구성 등

사업계획서 작성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상담하게

된다.

본 사업은 금년에 3회(2·5·8월)에 걸쳐 사업 신청·

접수를 받아 지원할 계획이며, 지방중소기업청의 현장·

대면평가를 거쳐 심의조정위원회에서 최종 지원과제를

선정한다. ❖

에너지절감 기술정보를 한 곳에

에너지관리공단은 기업의 에너지절감 활동에 필

요한 기술정보를 통합 서비스하는 ‛에너지·온실가

스 기술정보 플랫폼 서비스(EG-TIPS, Energy GHG

Technology Information Platform Service)’(tips.

kemco.or.kr)를 오픈하였다고 밝혔다.

에너지·온실가스 기술정보 플랫폼 서비스(EG-TIPS)

는 기업이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감축 투자 사업을 추

진하는데 필요한 국내·외 기술정보를 통합·분석·정

보화하여 고객과 쌍방향 소통하는 지식서비스로, 에너지

다소비 업종별, 설비시스템별 에너지절감 방법 및 적용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기능과 에너지절감효과가

투명하게 입증된 우수절감기술을 발굴·등록하여 소비

자가 믿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으

로 구성되었다.

이번에 플랫폼에 공유되는 주요 내용은 에너지진단(3

만7천여건) 및 절감사례 DB, 에너지다소비업종(시멘트,

철강,제지) 및 설비시스템(보일러,냉동,압축공기) 절감

기술정보, 고효율인증제품에 대한 사업화 지원 등의 내

용이며, 최근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절감

량 산출을 위한 측정 및 검증(M&V) 가이드라인을 제시

하여, 우수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에너지절감효과를 객관

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콘텐츠도 제공된다.

에너지관리공단은 이번에 개발된 EG-TIPS 틀에 고품

질 콘텐츠를 확충하고,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보완하여

명실상부한 플랫폼 서비스 기능을 구현할 계획이며, 에

너지다소비 업종 및 설비시스템으로 기술정보 범위를 확

대하여 다양한 에너지절약사업 DB와 연계하고 검증된

우수절감기술을 발굴할 예정이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에너지·온실가스 기술정보

플랫폼이 에너지절감기술 노하우를 축적하고 공유하는

지식허브 역할을 담당하면서, 궁극적으로 국내 에너지서

비스산업 육성과 민간자금에 의한 에너지절약투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

News Brief

48 www.kemc.co.kr

Page 39: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R&D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 이용료 ‘최대 70% 지원’

고가의 첨단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의 연

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15년 연구장비

공동활용사업”이 본격 시행된다.

중소기업청에서는 170개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보유

한 1만여대의 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에서

이용할 경우 장비이용 바우처(쿠폰)를 통해 장비이용료

의 60~70%까지 3천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해줄 계획이

라고 밝혔다.

특히, 금년에는 연구장비뿐만 아니라, 디자인, 설계,

모델링 등의 소프트웨어 등록을 적극 확대하여 중소기업

에 제공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에 필요한 장비를 지원받

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전문기관(산학연협회)에 참여기업

신청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후 바우처를 구매하여 지

정된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장비를 사용하면 된다.

연구장비 공동활용사업은 중소기업의 장비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국가 R&D재원이 투입된 대학·연구기관 등의

연구장비를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7년

부터 시행하고 있다.

특히, 금년에는 참여기업의 바우처 보유기간을 90일에

서 60일로 단축하여 가수요를 방지하고, 주관기관 신청

자격을 연구개발서비스업으로 확대하여 중소기업의 장

비이용 선택 폭을 대폭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전년도 실적 상위 20%이상의 주관기관 현장평가

를 의무화하고, 점검시 전문가 동행, 견적서 표준화, 장

비사용일지 첨부 의무화 등을 실시하여 주관기관의 부정

사례를 사전 방지할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 또는 홈페이지

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도로명주소 실시간 전환·활용으로 물류비용 절감 기대

앞으로 소상공인·중소기업의 고객DB나 동창회·

동호회의 주소록 등 지번 주소는 도로명주소 홈페이지

(www.juso.go.kr)에서 쉽고 빠르게 도로명주소로 전환

할 수 있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도로명주소 활용 촉진을 통한 물류비용

절감 등을 위해 소규모 단체 대상 도로명주소 실시간 무

료 전환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동창회 및 동호회 회원의 주소를 전환하려면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에서 본인확인 절차를 반드시 거쳐

야 했고, 주소전환 결과도 즉시 확인할 수 없는 등 불편

함이 있었다. 또한 텍스트파일 형태의 주소만 전환되고,

행정구역명을 정확히 입력하지 않은 경우, 주소전환이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는 그간 주소전환에 어려움을 겪

고 있는 중소기업이나 동창회 등 소규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텍스트, 엑셀 등 다양한 형태의 주소파일을 본

인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한 주소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

류주소 수정 기능을 제공해 주소전환율을 높이고 주소전

환 서비스의 실효성을 제고했다. ❖

올해 중소기업의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5000억 원 상당 구매

조달청은 올해 ‛5,000억 원 상당을 신규 구매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올해 구매하는 품목은 비철금속, 희소금속이며, 가장

구매 비중이 높은 품목은 구리로 전체의 44.4%를 차지

한다.

조달청은 해외의존도가 높은 원자재를 구매하여 물자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방출하는 비축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중소기업은 비

축물자를 간편하게 공급받음으로써 원자재 구매에 필요

한 조직 및 인력감축이 가능하고, 조달청의 방출가격은

국내 비철금속 유통가격의 기준가격 역할을 수행하여 과

도한 유통프리미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조달청은 올해(2월 23일 기준) 구리, 알루미늄 등 원자

재 559억 원 상당을 중소기업에게 방출했다.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49

Page 40: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News Brief

지순구 국제물자국장은 “올해는 상반기에 국제원자재시

장 가격이 약세가 지속되다가 하반기에 회복세를 보일 것

으로 예상된다”면서“조달청은 가격 하락 시기를 포착하면

서 재고를 확대하여 중소기업들의 안정적인 조업을 지원

을 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

해외진출 종합핸드북 발간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

고, 길라잡이가 될 지원정보 책자가 발간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각 부처와 해외진출 유관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해외진출 지원사업 정보를 종합·정리하여

‘한손에 쏙! 한눈에 쏙! 해외진출 종합핸드북’을 처음 발간

해 산업계에 제공하기로 했다.

그간 중소기업은 자유무역협정(이하 FTA)에 따른 시장

확대, 신시장 개척 필요 등 해외진출 수요가 많았음에도

지원제도에 관한 정보를 몰라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관

련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

여 왔다. 이에 올해 1월 해외진출 성과확산 협의회 발족시

해외진출 종합핸드북의 발간을 금년 상반기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하고, 산업부와 코트라(KOTRA)를 중심

으로 실무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발간된 핸드북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무역보험공사 등 총 17개 부처, 23개 기관이 운영 중인 지

원사업 109개를 종합함으로써 ‘해외진출 르네상스 실현’을

위한 지원책을 한 데 모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원사업을 총 10개 분야로 분류하여 지원사업의 대상

및 내용, 문의처 등 관련 정보를 수록하였으며 기업인들이

언제든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손에 들어오는 작

은 수첩 크기(8.5cm×16.5cm)의 핸드북으로 제작했다.

핸드북은 이달부터 주요 경제단체 및 업종별 단체 등을

통해 해외진출 관심기업에 배부할 계획이다. 금년 상반기

중에는 핸드북에 수록된 사업별 QR코드를 모바일 페이지

와 연결하여 사업별 상세 내용도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핸드북의 발간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정보

부족에 따른 해외진출 애로를 해소하고 주요 성공사례를

산업계에 공유·확산함으로써 후속 성과창출을 촉진할 것

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성공적인 해외진출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

하여 사례 및 시사점, 노하우 등을 담은 해외진출 성공사

례집도 금년 상반기 중 별도 발간하여 해외진출 성과의 공

유와 확산을 촉진하기로 했다. ❖

산업부,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신청 받아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20일까지 2015년도 ‘뿌리산업 특

화단지’ 지정 신청을 받는다. 특히 특화단지의 고도화·첨

단화를 촉진하기 위해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의

정부 지원 비율을 기존 10%에서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강화되는 환경기준 및 전력 등 에너지비용의

상승에 따른 뿌리기업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뿌리기업들

의 집적화를 통한 고도화·첨단화를 유도하기 위해, ‘13년

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 사업’을 시행해 왔다.

이러한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을 통해서, 특화단지

내 입주 뿌리기업들의 생산성 향상, 환경오염 저감, 작업

환경 개선 등 다양한 성과가 나왔다. 올해 총 10개 내외의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하기로 했다. 그리고 특화단지로

지정된 단지(기존에 특화단지로 지정된 단지 포함)는 공동

활용시설 구축을 위한 지원 사업에 참여가 가능하다. ❖

정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건강보호 지원

화학물질, 소음, 분진 등에 노출되는 소규모사업장의 작

업환경측정과 근로자 특수건강진단을 위한 비용을 정부에

서 지원한다.

안전보건공단은 1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 등 산업보건 취

약계층을 대상으로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을 위

한 비용 지원에 나선다. 지원내용은 10인미만 사업장의 사

50 www.kemc.co.kr

Page 4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업주가 ‘작업환경측정’ 비용 지원을 신청해 이를 실시하

면, 최대 40만원 한도 내에서 측정비용의 70%를 지원한

다. 나머지 30%는 사업주가 부담한다. 신규 측정사업장

의 경우에는 최대 100만원 한도 내에서 측정비용 전액을

지원받는다.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할 경

우에는 1차 및 2차 검진을 완료하면, 비용 전액을 지원

받는다. 화학물질이나 소음, 분진작업에 종사하는 건설

현장 일용직 근로자도 ‘특수건강진단’ 비용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안전보건공단은 신청 사업장 중 대상 사업장을 선정하

고, 사업장 및 근로자가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

을 실시하면, 측정과 검진을 실시한 기관이 공단에 비용

을 청구하고, 공단이 적정성 심사 후 실시기관에 해당 비

용을 지불한다.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은 화학

물질, 소음, 분진작업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관련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사업장은 정기적으

로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10인미만 사업장은 산업재해에 취약한 작업환경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보건관리 여력이 부족

하기 때문에 사업주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근로자의 직

업병 예방을 위해 ‘작업환경측정’과 ‘특수건강진단’ 비용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신청은 사업주가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www.kosha.

or.kr)의 ‘공지사항’을 참고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 ‘작업환경측정’ 비용을 지원받은 사업장

은 모두 8,721개 사업장이었으며, ‘특수건강진단’ 비용은

70,363명의 근로자가 지원을 받았다. ❖

BEMS 에너지 데이터 분석센터 개소

국토교통부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건물에너지관리시

스템(BEMS) 설치 건물의 에너지 및 운영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는 BEMS 에너지 데이터 분석센터 개소식을 개

최했다고 밝혔다.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BEMS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은 건물 내 에너지 사용기기(조

명,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콘센트 등)에 센서 및 계측

장비를 설치하고 통신망으로 연계하여, 에너지원별(전

력·가스·연료 등)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

고, 수집된 에너지사용 정보를 최적화 분석 S/W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자동제어하는 시스템이다.

BEMS 에너지 데이터 분석센터는 BEMS 설치건물의 에

너지절감 분석 업무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예산을 지원했

다. 에너지관리공단 내에 200㎡ 규모로 구축되었으며,

전담 전문가가 상주한다.

분석센터는 BEMS가 설치된 10개 건물의 에너지데이

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문가의 분석을 통해 개별

건물별로 에너지절감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중소규모

건물에 대한 BEMS 관리대행 등 새로운 ICT 사업 모델

의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금번 센터 개설로 외국 기업에

의존하던 BEMS 데이터 분석을 국산화하는 계기가 마련

되는 등 국내 건물 에너지관리 분야의 성장에 선도적 역

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BEMS 보급 활성화를 위해 관련 연

구개발(R&D)을 추진하고 공공기관 등에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며, BEMS 설치 통일기준을 마련하고 표준모델을

시범 구축할 예정이다. ❖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51

Page 4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필요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부유식 풍력터빈

Altaeros Energies사는 새로운 종류의 풍력터빈을 개

발하였다. 이 풍력터빈의 특징은 풍선처럼 하늘에 떠 있

다는 것이다. 터빈의 개발자이자 회사 CEO인 Ben Glass

는 풍력터빈을 공중에 떠있게 하기 위해 풍선이나 비행

선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대부분

의 풍력터빈 제조사들은 보다 많은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150미터 이상의 거대한 터빈을 경쟁하듯이 건설하

고 있다. Altaeros사가 개발한 BAT(Buoyant Airborne

Turbine)의 경우에는 600미터의 상공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고도에서 풍속은 더 높아지고 5~8배의 전력밀도를 얻

을 수 있다. 따라서 BAT는 타워에 고정되는 기존의 터빈

방식과 비교했을 때 두 배의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

BAT에 있어 중요한 기술은 새로운 공기역학 설계, 특

별히 제작된 복합소재 및 혁신적인 제어 시스템이다. 헬

륨을 이용하여 부풀려지는 쉘(Shell)은 바람이 풍력터

빈을 통과하도록 경로를 만든다. 쉘은 스스로 안정화되

며, 양력을 만든다. 그리고 다수의 고강도 안전선은 BAT

설비를 고정시키고, 하나의 안전선은 전도성을 갖고 있

어 생산되는 전기를 이동식 지상국으로 이송할 수 있다.

BAT의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은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제어 시스템은 최적의 전기

생산을 위해 자동적으로 고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첫 번째

BAT 모델은 크기가 약 15X15 미터에 달하며, 컨테이너

로 수송되기 때문에 설치와 관련된 크레인이나 기초 공

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농촌이나 비그리드(Off-grid)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전

기를 얻기 위해서는 디젤 발전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디

젤연료는 이들 지역으로 운송하기에 높은 비용이 필요하

고, 디젤 발전기 설치비, 유지비 및 관리비 또한 높은 수

준이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한 고객들은 일반적으로

kWh당 30센트의 전기비를 더 지불하고 있다. BAT는 이

러한 커뮤니티 및 산업에 경제적인 풍력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첫 번째 BAT 모델은 소규모 지

역사회나 십여 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할

예정이다.

에너지 생산량 증가와 24시간 이내에 설치할 수 있다

는 장점을 결합한 BAT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들이 필요로 하는 시간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향

후 Altaeros사는 전기그리드에 접속이 불가능한 긴급상

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BAT 설비를 전략적으

로 활용하기를 바라고 있다. BAT는 다른 계류기구처럼

풍력터빈 기능에 통신, 인터넷, 센서 장비를 탑재하여 관

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탑재화물은

BAT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원자력 미래를 위한 로드맵

52 www.kemc.co.kr

Page 4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원자력은 지구 온난화를 2ºC로 제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고 밝힌 OECD 산하 기관이 이

목표 달성을 위해 원자력에 필요한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 작성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OECD 원자력

국(NEA)이 참여했으며 2010년 판을 갱신한 것이다. 이 기

술 로드맵은 향후 에너지 수요의 17%인 930GWe를 공급하

기 위해 원자력을 4번째 에너지원으로 선정했다. 2050년까

지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원자력은 현

재의 13% 수준인 377GWe에서 증가하여 지구 온난화 방지

를 위한 탄소 배출 감소에 기여하게 된다. 이 시나리오가 앞

으로 어떤 일이 발생할 것인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

하지만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정책 변화 및 산업

적 절차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분석의 토대가 될 수는 있다.

2050년까지 930GWe의 발전량을 달성하기 위해서 매년

12GWe의 신규 원자력 발전용량이 추가되어야 하지만 현재

까지는 이 수준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마리아 반데르 호

븐(Maria van der Hoeven) IEA 회장이 말했다. 이 목표 달

성을 위해서는 먼저, 현재 원자력발전소를 기술적으로 가능

한 범위에서 계속 가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각국 정

부가 원자력발전소의 장기 운전에 따른 가치를 완전히 이해

하고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연구 개발을 지원하는 조치를 취

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일부 전기 시장의 경우, 원자력을 장기

간 운전하는 것이 저렴한 가스는 물론이고 신재생 에너지원

을 위한 보조금 지급 등으로 인해 손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 운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퇴역하는 발전소를 교체할 수 있도록 신규 원자로를 건설

하고 장기 운전에 필요한 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분

명한 정책이 요구된다고 보고서는 18%의 전기를 최대 저탄

소 벌전원인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는 OECD 국가에 있어서

는 더욱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신규 원자로 건설에 관

한 전망에서 각국 정부는 분명한 약속 및 장기 전략을 제공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각국 정부는 대규모 자본집약적이며

장기적인 부하전원 개발에 필요한 가격의 투명성과 안정적

인 정책을 보장해야 한다. 이 정책들은 모든 저탄소 에너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분야를 지원해야 한다. 이 로드맵은 또

한 정부가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행동을 취해야 할

것도 촉구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이나 공유할 수 있는 심지층

처분 시설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원자력 산업계의 자체적인 핵심 과제는 기반시설을 적시에

예산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이것은 3세대 설계를 최적화하여

시공 능력을 개선하고 비용을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한 운전과 후쿠시마 사고에 대응하는 안전성 향

상 설비를 추가하는 양면에서 세계원자력발전사업자협회

(WANO)를 통한 협력이 중요하고 국제 공급망의 통합과 규

정 및 기준을 조화시키기 위해 WNA의 원자력 설계 평가 및

인허가(Cooperation in Reactor Design Evaluation and

Licensing, Cordel) 실무 그룹을 통한 협력을 지속해야 한

다. 원자력을 도입하는 국가가 자국의 기업을 통해 원자로를

공급하려는 의도와 표준화된 발전소 및 표준화된 국제 공급

망을 사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국제적인 장점 사이에서 벌

어지는 갈등을 잘 관리해야 한다.

이 외에도 각국 정부의 장기 원자력발전 전략의 일부로 미

래의 원자력 기술을 다루는 것은 물론이고 개발, 연구, 인허

가를 장려하는 조치도 있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소형 모듈

라 원자로(SMR)가 원자력 시장을 확장시키주는 것뿐만 아

니라 공기질 향상을 위해 석탄 화력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각국 정부는 SMR 프로토타입 개발을 가

속화하기 위한 산업계와 협력을 강화하고 각 설계당 약 5기

SMR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출범하여 모듈라 설계 및 공장

조립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IEA는 장기적으로 4세대 원자로 및 핵연료주기 설계를

통해 2030~40년 기간에 설치할 수 있는 준비가 있어야 한

다는 점을 희망사항으로 제시했다. ❖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정책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관련된 캘리포니아 주의 기존 정책

및 제안된 정책의 영향을 예측한 새로운 모델은 캘리포니아

주가 2020년 목표를 충족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 2030년까

지 보다 더 큰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할 수 있지만, 캘리포니

아 주가 2050년 기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

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캘리포니아 주는 AB 32(CALIFORNIA GLOBAL WARMING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53

Page 4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SOLUTIONS ACT, 2006년) 하에서 캘리포니아 주의 2020

년 감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030년 기간 수

준의 최소 40% 아래로 감축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라

고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 산하 로

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소속의 Jeffery Greenblatt는 밝혔다.

CARB(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의 후원으로

수행된 Greenblatt의 연구는 캘리포니아 주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통합적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든 상

응하는 정책에 대하여 포괄적인 모형화를 처음으로 시도

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정책의 결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온실가스 감축의 시나리오를 개발함으로써 캘리포니아

주에서 진행 중인 정책 논의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

도하고 있다. 시나리오 분석은 실제적 정책 및 제안된 정

책의 조합이 최대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초래하는 결과

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또 이 연구는 개

별 정책의 감축 영향을 정량화했다.

캘리포니아 주의 AB 32 법규는 2020년까지 캘리

포니아 주의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수준인 431

MtCO2e/year로 감축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부가적

으로 California Executive Order S-3-05는 2050

년까지 캘리포니아 주의 온실가스 배출을 이러한 수준

의 80% 이하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다른 주 법규는 수송, 전기 및 연료 등과 같은 특정 영

역을 제어한다.

CALGAPS(California LBNL GHG Analysis of

Policies Spreadsheet)라고 명명하는 Greenblatt의 새

로운 모델은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이 317~415

MtCO2e/year의 범위를 나타낼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준은 아직까지 AB 32 목표 미만으로 기존 주

정책이 캘리포니아 주가 자체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

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그는 밝혔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는 211~428 MtCO2e/year 범위

를 가질 것으로 동 모델은 예측했다. 비록 모든 모형화된

정책이 수행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온실가스의 배출은

1990년 수준 아래 40%까지 억제되는데 충분할 것이라

고 Greenblatt는 밝혔다. 비록 CALGAPS가 2030년 이

후 배치될 수 있는 정책을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는 없다고 하더라도, 향후 몇 년에 걸쳐 수행될 기존 및

가능한 정책의 지속적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2050

년까지 배출을 고려했다.

그런 이유로, Greenblatt가 모형화한 모든 시나리오

는 2050년까지 캘리포니아 주의 80% 감축 목표에 부족

하다. 그러나 정책의 다양한 결합은 2℃ 이하로 지구 온

난화를 유지하기 위한 유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의한 공표와 일치하는 2050년까지 캘리포니

아 주의 누적 배출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남아있게 해줄

것이다. 부가적인 분석과 정책 입안이 2050년 목표를 충

족해야만 할 필요가 있는 한편, Greenblatt의 연구는 지

구 기후 안정 목표를 지향하는 연구에 단기 조치의 가능

성과 중요성을 조명했다.

* CALGAPS 모델에서 49개의 정책

CALGAPS는 2010년부터 2050년까지 캘리포니아 주

의 GHG와 기준 오염물질을 시뮬레이션하는 에너지 모

델이다. 이 모델은 에너지 소비에서 역사적 동향과 미래

동향, GHG 연료 강도, 에너지를 제외한 GHG 배출 및

다른 정책 결합 하에서 캘리포니아 주가 얼마나 많은 온

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계산하기 위한 정책 기반의 추정

등을 사용했다. 모델은 49개의 개별 정책을 통합했다.

승인된 정책은 법률적 강제성을 가지며, 경량 자동차에

서 효율성 개선을 강제하는 AB 1493, Title 24와 같은 건

물 에너지 효율성 표준 및 2020년까지 33%의 재생 가능

한 전기 생산을 강제하는 재생 에너지 포트폴리오 표준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등이 수행될 예정

이다. 또 수질 오염 방지법과 같은 연방 정책은 주의 온

실가스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두 번째 유형인 승인되지 않은 정책의 경우에는, 세부

적인 수행 계획 또는 확고한 재정 지원이 결여될 수 있지

만, 새로운 효율적이며 제로 순 에너지 건축 목표, 고속

철도 시스템의 구축 및 개선된 자동차 효율성에서 지속

적인 진전과 바이오연료 사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관에 의한 이니셔티브 등과 같은 계획이 제안됐다.

세 번째 유형인 가능한 정책과 기술은 승인 및 비승인

54 www.kemc.co.kr

Page 45: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유형에서 정책 이니셔티브를 확대하는 몇 가지를 포함한 보

다 더 추측에 근거한 변화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책은 보다

더 적극적인 자동차 효율성 개선, 건물 전화, 더 높은 RPS

목표 및 확장된 탄소 격리 활동 등을 포함한다.

연구의 가장 중요한 결과 중 하나는 각각의 개별 정책의

GHG 영향이 처음으로 정량화됐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정

책 입안자들이 다른 시나리오에서 정책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고 트레이드-오프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

새로운 태양광/태양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집광형 태양광발전(CPV)

시스템은 태양광의 일부분만을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의

대부분은 폐열로서 잃어버리게 된다. 이 폐열은 일반 CPV/

열 시스템(CPV/Thermal System)에서 활용될 수 있지만 폐

열의 낮은 온도로 인해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극히 한

정되어 있다.

이에 화베이 전력대학의 Xu Chao 교수와 연구진은 새로운

CPV/집광형태양열발전(Concentrating Solar Power, CSP)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발생하는 폐열은

유기랭킹사이클과 같이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

산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폐열을 이용하여 과열 냉

매 증기를 생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시스템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 대해 Science

Bulletin 2015 No.4 저널에 발표하였다.

최근 CPV는 태양에너지를 수확하는데 있어 집광기가 없는

태양광발전 설비 대비 우수한 경제성과 효율적인 에너지 수

확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전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그

러나 CPV 시스템은 태양에너지의 대부분이 열로 변환하고

태양전지 모듈 온도는 100도를 넘지 않는 범위에 한정하기

때문에 과잉의 저급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막대한 양

의 열을 완전히 활용하기 위해서 CPV/T 하이브리드 시스템

(CPV/T Hybrid System)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 CPV/T에서 폐열은 난방, 흡수냉각 등을 위

해 냉매를 더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활용되고 있으며,

CPV/T 시스템의 적용분야는 전력 및 열 사이의 수요 부조

화와 복잡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인해 많은 제한을 받아

왔다. 즉 CPV 모듈에는 비교적 균일하면서 높은 국부집중도

를 가진 집광기가 생산하는 에너지유속밀도의 핵심 부분만

이 활용되었으며, 낮은 집중도를 가진 지엽적인 복사는 보통

버려지게 되었다.

연구진은 태양전지에서 버려지는 열과 지엽적 저농도 복사

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새로운 CPV/CSP 하이

브리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CPV 모듈, 후

면의 증발식 냉각 서브시스템, CPV 모듈을 둘러싼 태양열리

시버, ORC로 구성된다. 고농도 복사의 핵심 부분은 직접 전

기를 생산하고, 냉매는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흡수

한 후 포화증기가 된다. 이 포화증기는 리시버 튜브로 보내

어지고 지엽적 태양복사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된 후

ORC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복합발전 기능을 갖고 있어

시장에서 열병합 발전으로 제약을 받는 일반 CPV/T가 가

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Chao Xu 교수는 하이브

리드 시스템을 위한 정상상태 물리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에너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온 과열 수증기

를 얻는데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지엽적 저농도 복사 에너

지가 상당량이 있으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전체 태

양광-전기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전체효율은 일반 CPV 시스템에서 28.4%, 하이

브리드 시스템에서는 최대 44%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연구진이 제안하는 CPV/CSP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고효율 태양발전과 관련한 실현가능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

로 기대된다. ❖

에너지 솔루션의 일본 시장 현황

● BAS (빌딩 자동화 시스템)

건물의 변전 설비/방재 설비/열원 설비/에어컨/전기/위

생/급 배수 설비/보안 시설에 대해 운전 상황 모니터링 및

제어, 에너지 사용량 측정 및 관리 등을 통합적으로 하는 시

스템이다. 로컬형과 클라우드형으로 나뉜다. 2014년도 시장

은 2013년 대비 1.4% 증가한 445억 엔이 전망된다. 로컬 서

버에서 구축하고 건물 내에서 완결하는 로컬형이 시장의 대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55

Page 46: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부분을 차지한다. 버블기에 건설된 시설의 시스템 업데

이트 및 재건축 수요에 힘입어 2013년도부터 2014년도

에 걸쳐 정부와 지자체 등 공공시설의 갱신 안건이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중소 규모 빌딩용에서 엘리베이터 및 설

비 시설 감시 네트워크를 활용한 외부 서버를 사용하는

클라우드형도 2013년 대비 58.8% 증가하고 있다. 2020

년 도쿄 올림픽을 향한 지역의 재개발 사업, 역이나 공항

등의 인프라 관계, 숙박 레저 시설 등의 건축 수요가 확

대하되 건축 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

는 교체 수요가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폭적

인 확대에는 이르지 않고 2020년도 시장은 2013년 대비

6.4% 증가한 467억 엔이 예측된다.

● BEMS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건물에 설치된 설비·기기의 운전 데이터/에너지 사용

량 데이터를 축적·분석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절감을 도

모하는 빌딩 및 매장용 시스템으로 자동 제어형과 수동

제어형으로 나뉜다.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디맨드 컨

트롤러를 중심으로 시장은 확대하고 2012년에는 BEMS

사업에 의해 자동 제어형의 수요가 증가했다.

2013년도에는 2012년도 대비 18.5% 증가한 154억 엔을

기록했으며, 60%가 수동 제어형이다. 다 점포 체인 등의

물건 판매 소매점이나 음식점 등 중소 규모 오피스 빌딩

등을 대상으로 한 BEMS가 많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초기

비용의 저가격화가 진행되었다. 2014 년도는 BEMS 사업

의 종료에 따라 2013년 대비 10.4% 감소한 138억 엔이 전

망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확대가 예측된다.

2016년 이후의 전력 자유화를 계기로 ESP가 제공하는

종합 에너지 서비스에서 고효율 공기와 세트 도입에 따

른 최적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2018년 이후 DR 서

비스와 동적 가격 정책 등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 의

한 도입 건수의 증가도 기대된다. 2020년도 시장은 2013

년 대비 7.1% 증가한 165억 엔이 예측된다.

● FEMS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FEMS는 공장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설

비 및 생산용 기계 및 장비(산업용 오븐/클린룸/성형 기

계 등)의 운전 데이터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축적, 분

석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절감하는 시스템이다.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전국적인 전력 수급 불안과 전력 사

용 제한 도입이 진행되었다.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 따라

운용 개선에 의한 절전 대책과 보조 사업을 활용한 조명

이나 공조 열원 기기 업데이트, 에너지 절약에 관한 포괄

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ESCO 전력 조달처의 변경이나

부분 공급의 활용 등을 진행하면서 주요 라인의 가시화

요구 등 안정적인 수요가 예상된다. 대기업 자동차 메이

커와 기계 제조사 등에서는 “기업 전체의 에너지 가시화”

에서 “생산 공정의 개선”, “에너지 조달의 다양화”까지를

수행하고 지속적인 시스템 투자, 단계적인 컨설팅과 시

스템 확장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시스템의 초기 비용의

감소로 중소 공장용 간이 시스템을 제안하는 SI 업체와

지방의 중소 소프트웨어 하우스도 대두되고 있으며, 소

규모 설비 개수 및 운영 개선에 맞춘 시스템 구축의 수요

도 증가하고 있다. 2014년도 시장은 2013년 대비 3.3%

증가한 31억 엔이 전망된다. 앞으로는 라인 단위의 가시

화에 추가 사업소 단위와 기업 단위에서의 에너지 비용

절감 및 유틸리티 설비의 최적 운용에 대한 토탈 솔루션

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도에는 2013년도 대비

30.0% 증가한 39억 엔이 예측된다.

● ESP

ESP는 에너지 공급 설비의 최적 운용, 전기, 가스, 열

등의 에너지를 종합적으로 고객에게 공급하는 업체이

다. ESP의 부담으로 고객의 부지 내에 에너지 공급 시설

을 설치 운영 관리하고 고객은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서

비스 비용을 지불한다. 고객 측면에서 에너지 공급 시설

의 운영 관리에 관한 인건비가 불필요하고, 또한 에너지

전문가에 의한 설비의 에너지 절약과 고효율 운전이 가

능하다. 2013년도 시점에서는 ESP의 80% 이상을 현장

에너지 서비스 사업자가 차지한다. ESP 사업은 현재 폐

열을 이용하여 전력과 열을 공급하는 열병합에 의한 서

비스가 중심이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BCP 목적에 의

한 자가 발전 요구와 열병합의 보급 촉진을 도모 보조

금 정책을 받아 수도권을 중심으로 안건이 증가하고 있

다. 2014년도 시장은 2013년 대비 10.5% 증가한 1,908

억 엔이 예측된다. 2015년 이후에도 확대가 예측되지만,

56 www.kemc.co.kr

Page 47: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57

전기와 열 소비가 많은 수요가의 도입률은 높고 수요는 일

순했다는 견해도 있다. 향후 열병합는 갱신 수요가 중심이

되기 위해 각 ESP는 열병합발전을 축으로 PPS + 가스 시

스템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한 기존 자사 관내에서의

고객 개척이 중심이었지만, 에너지 자유화가 각 사업자의

관외 수요 개척에 힘입어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경쟁이 진행된다. 시장의 확대로 2020년도에는

2013년도 대비 47.4% 증가한 2,545억 엔이 예측된다. ❖

지난해 44%의 성장률을 보여준 전세계 풍력발전 산업

세계풍력협회(Global Wind Energy Council, GWEC)가

발표한 새로운 수치에 따르면 지난 2014년 풍력산업은 51

GW이상의 신규 설비용량을 도입하여 2013년 대비 44%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GWEC는

이제 풍력산업이 지난 몇 년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회복기

에 접어들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지난 2014년에 도입된 신

규 풍력에너지 설비용량은 51,477GW였으며, 이를 통해 연

말 전세계 누적 설비용량은 369,553GW로 증가하였다. 이

렇게 과거 기록을 갱신하는 풍력산업의 성장세에 대해 산업

관계자들은 반가워하고 있다.

GWEC의 Steve Sawyer는 “풍력발전은 전세계적으로 빠

르게 증가하고 있는 시장속에서 그리드에 신규 발전용량을

추가할 수 있는 가장 경쟁력 있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또

한 그는 “풍력에너지는 입증된 신뢰성과 경쟁력을 바탕으

로 빠르게 성숙해지고 있는 기술이다. 이제 낮은 가격뿐만

아니라 풍력발전의 가격 안정성은 유틸리티사, 민자발전업

자, 화석연료 가격의 심한 변동에 대한 대비책을 검토하고

있는 회사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옵션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 덧붙였다.

이미 예상한 듯한 결과 속에서 중국은 전세계 풍력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4년 23GW이상의 신규풍력발전

설비용량을 확보하여 새로운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전세계

시장의 45%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은 26,161 MW

규모의 아시아 시장에서도 엄청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중

국에 이어 인도는 2.3GW의 용량을 추가하며 아시아에서 두

번째 위치를 차지하였다. 유럽풍력에너지협회에서 제시한

결과를 보면 유럽 풍력에너지 산업은 지난해 12.8GW의 신

규용량을 추가하여 2013년 대비 3.8%라는 미미한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여기에는 독일 5,279MW, 영국 1,736MW 등의

신규용량 도입이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은 남미 지역 신규설비용량인 3,749MW 중

2,472MW를 차지하여 이 분야를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북미 지역에서 미국은 4,854MW의 용량을 추가하여 다

소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캐나다는 1,871MW라는 새

로운 기록을 세웠으며, 멕시코는 522MW의 신규용량을 추

가하여 건전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호주는 567MW

의 신규용량을 추가하였다. 이는 호주 정부가 재생가능 에너

지를 축소하고자 꾸준히 노력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직 산

업이 건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관련하여 Sawyer

는 “풍력발전산업은 기후변화, 공해, 에너지 안보, 가격 안

정성에 대한 중요 해결방법이자 신규 산업 및 고용을 위한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Page 48: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58 www.kemc.co.kr

2015년 청정 에너지 수요가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

신재생 에너지와 연료 보조금 합리화, 경제 정책 변화로

휘발유 가격에 민감한 관련 사업들에 변화가 일어나고,

현 상태를 계속 이어가려는 많은 산업들에도 영향을 미치

고 있다.

- 2015년 유가 전망

당장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정책에 변화의 움직임이 없

어 2015년에는 일시적으로 유가가 $40 달러 수준의 또는 그

이상으로 낮아질 수가 있다. 시장 공급 과잉으로 경제 성장

을 자극시켜 대다수의 세계 경제국들은 낮은 유가로 혜택을

볼 것이다. 실제로 중국이 주요 수요국으로 2015-2016년간

석유 수요가 하루 100만 배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유가 하락이 이어진다면 몇몇 산

업들과 국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프로스

트 앤 설리번 에너지 & 환경 산업부의 라비 크리쉬나수와

미(Ravi Krishnaswamy) 부사장은 “2년 이상 장기간 동안

유가가 배럴 당 75$에 밑돈다면 4분의 1 이상의 심층수 프

로젝트들은 실효성이 없어진다. 뿐만 아니라 저장된 원유

에 따라, 정유사들의 재고 평가액 손실이 단기적으로 높아

질 것이다.”라고 전했다.

- 아시아 지역의 낮은 LNG 가격이 전력 시장 가스 활용도를 높혀

유가하락으로 인해 LNG 가격도 더 낮아질 것이다. 전반

적인 O&G(석유&가스) 투자가 불확실해지면서 원자력 에

너지 부활하고 석탄에 높은 관심이 나타날 것이지만, 최근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2020년 일본에서는 LNG

가격이 MMBtu (Million Metric British Thermal Unit)당

12달러에 당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LNG 가격 하락이 LNG 기반의 전력 프로젝트 수요를 높

힐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은 가스 기반의 전력생산으로

바꾸면서 환경 오염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가스 가격 하락하면서 생산 비용 역시 많이

절감되지 않는 이상 호주나 동아프리카 지역의 일부 LNG

생산 프로젝트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 2015 여전히 건재할 태양광 시장

유가 급락은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에는 별 영

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중국과 일본, 인도 중심의 수요

에 힘입어 태양광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여전히 큰 시

장이다 하지만 중국의 분산형 PV와 일본의 유틸리티 규모

의 태양광 프로젝트 등 태양광 시장내에 특정 부문에는 차

질이 생길 수 있다.

2015년 말 아시아 개발도상국들 중심으로 태양광 용량

붐이 일면서 패널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

다. 이에 처음 6년간은 선도업체들의 생산 용량이 증가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

2015년에도 제조사들간의 M&A를 통해 시장 통합이 계

속 이뤄질 것이다. 시장업체들간의 경쟁 우위는 제품 혁신

과 차별화가 바탕이 될 것이다.

- 2015 전력 설비에 있어 자산 교체 및 스마트 배전이 주요

투자 부문으로 부상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도시화로 아시아 태평양 전력 소

비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2015년 아시아 태평양 송

배전(T&D) 분야에 대한 투자가 9%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일본의 그리드 구조조정과 호주의 그리드 민영화

가 전력 설비의 주요 투자 분야가 될 것이다.

라비 부사장은 송배전 장비 분야에서도 M&A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국적 대형 제조사들은 현지에 실존하

면서 현지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경쟁 우위를 다질

수 있도록 현지 기업 확보에 나설 것이다.”라고 전했다.

- 2015 전력 시장 규제완화가 에너지 저장 개발에 자극이 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s)들

이 송배전 설비 인프라로 속하기 위해 각자 자신만의 방식

을 찾고 있다. 일본이나 호주 등 많은 국가들의 전력 시장

규제 완화가 이런 추세를 더욱 부추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통합 유틸리티 규모의 ESS 솔루션 개발과

테스트를 앞으로도 계속 진행할 것이다. 현재 이들의 핵심

중점은 세계 수출을 위한 효율적인 ESS 에코시스템 구축

에 있다. 산업들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안정

적인 ESS 개발 단계를 밟으려면 인센티브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ESS에 대한 즉각적인 기회들은 한국과 일본,

Page 49: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59

싱가폴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장기적인 시장

투자와 기회들은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국이나 인도에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지역 스

마트 에너지는 첨단 미터링 인프라와 배급 그리드 관리를

통한 디지털 기술 활용을 통해 진화하고 지능형 통합 T&D

시스템 구축으로 수요에 대응하게 된다. ❖

파력발전단지의 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

CorPower Ocean의 새로운 파력에너지 시스템은 KTH

연구진이 개발에 참여한 기어박스(Gearbox)를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경쟁 중인 다른 기술과 비교했을 때 톤당 5배

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비용은 1/3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너지 생산량은 일반 파력

발전 시스템과 비교할 때 3~4배 높다.

CorPower Ocean은 이러한 기술적 혁신을 통해 MIT

Building Global Innovators Demo Day에서 100,000유

로의 지원금을 확보하였다. 재생가능 에너지 중 파력에너

지 분야는 높은 발전 비용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

는 분야는 아니었다.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를 설치하기 위

해서는 많은 양의 강철과 콘크리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익

성 있는 사업이 되기 어려웠다. 또한 파력발전과 관련한 다

른 현실적 문제도 있다. 파도는 높이와 시간이 매우 다양하

기 때문에 전체 파랑 스펙트럼에 걸쳐 기능을 발휘할 수 있

는 변환 시스템을 제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점 흡수식 시스템으로 알려진 CorPower의 변환장치

는 파도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부표와 부표의 움직임

을 전기로 변환하는 드라이브트레인으로 구성되어 있

다. CorPower의 시스템은 스웨덴 심장병 전문의인 Stig

Lundback의 특허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들은 특허 중

심장 펌핑 및 제어 기능과 관련한 내용에서 영감을 얻었

다. CEO인 Patrik Moller는 CorPower 파력에너지 변환

설비가 전체 파랑 스펙트럼에 걸쳐 관리가 가능하다고 밝

혔다. 소규모 부이가 파도에 공명하면서 움직이는 위상 조

절은 지난 1970년대부터 노르웨이 토론헤임에서 수행되었

던 연구 내용이다. 그리고 CorPower 프로젝트는 노르웨

이과학기술대학 연구진과 긴밀한 협업을 실시하고 있다.

1:3의 스케일로 포르투갈과 프랑스에서 무사히 테스트를

마친 이 시스템은 대규모 테스트를 위해 최근 KTH 기계설

계공학과에 도입되었다. Moller는 “다른 파력발전 시스템

과 달리 이 시스템은 독특한 드라이브트레인을 활용하여

부표 및 도래파 간의 시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고 말

한다. 그는 “우리는 파도가 얼마나 길거나 높은가에 관계

없이 최적의 방법으로 파고점과 파랑골 사이에서 부표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설

명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에는 협력을 통해 특별하게 설계

된 랙과 피니언 기어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다.

Moller는 시스템에 사용된 캐스케이드 기어가 선형적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회전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이라

말한다. 이번 개발에 있어 새로운 점은 과부하 및 빠른 속

도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이다. Moller는 “기어

기술과 관련하여 KTH와의 협력은 지난 2년간의 신속한

개발에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앞으로도 기어 및 윤활작용

과 관련한 보다 많은 협력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고 밝혔다.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표는 소형이면서 경량이며,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일반적인 대서양 환경에

서 직경 8미터의 부표는 250~300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100개의 부표로 구성된 새로운 파력단지는 25~30

MW를 생산할 수 있다. CorPower는 2015년에 다국적 유

틸리티 회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1:2 규모의 파일럿 설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

사물 인터넷 성공의 핵심 요소 두 가지

2015년 3월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가트너 인증 & 접

근 관리 서밋 2015에서 전문가들은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Page 50: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의 성공을 위한 가장 큰 핵심적인 부분이 인증(아이덴티)

과 접근성에 관한 부분이라고 제시한다. 이와 같은 인증과

접근성에 관하여 관리를 하는 것이 사물 인터넷 성공의 가

장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인증

과 접근관리(IAM; identity & access management)에 관

한 부분들은 사물 인터넷이 기업에 제공하는 복합적인 부

분들을 다루는데 있어서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고 가트너 관계자들은 언급한다.

IAM 관련 리더들은 여러 디바이스와 관련 서비스들이

보다 다양해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사이버보안과 IAM

에 있어서 기존의 접근방식을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IT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다른 부분들에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포지셔닝을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

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시급한 문제로 대

두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사물 인터넷의 성장은 디지털 비즈니스의 IAM 리더들이 단

일 프레임워크 내에서 사람, 서비스, 사물이라는 실체에 대

한 속성을 정의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들을 요

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형태의 네트

워크화된 디바이스들을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으로 도입하는

것과 더불어 프로세싱, 분석, 스토리지, 커뮤니케이션에 있

어서 보다 혁신적인 접근을 거두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의 사용자 중심의 IAM 시스템은 IAM 리더들에게

보다 광범위하면서 통합된 관점을 제공하는 디바이스와

사물에 대하여 충분한 수용을 이루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

하고 있다고 가트너 그룹의 관계자는 언급한다. 사물에 대

한 일종의 인증은 IAM 시스템 참여자에 대하여 새로운 분

류법을 요구하고, 해당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소프트

웨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호작

용할 수 있는 동일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실체로

서 정의되도록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에 대한 인증은 이와 같은 실체를

구성하는 대상이 무엇이든지간에 모든 실체를 인증하고 포

괄하는 부분에 있어서 새로운 확장적인 모습들이 될 수 있

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와 같은 인증은 디바이

스와 사용자,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디바이스와 애플

리케이션/서비스, 인간과 애플리케이션/서비스간의 상호작

용 형태로서의 일련의 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해당 디바이스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에는 IAM 시

스템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사물 인

터넷에 대한 인증은 사물 인터넷을 위한 단일 시스템 관점

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른 기존 매

니지먼트 시스템을 도출하여야 한다. IT 자산 관리와 소

프트웨어 자산 관리 시스템이 모든 형태의 소프트웨어 자

산과 기존의 관리된 IT 시스템으로 간주되게 할 수 있고

IDoT는 ITAM의 기능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IAM 아키텍처

내에 통합되거나 일련의 속성 스토어로서 ITAM에 연결되

기도 한다.

기존의 아이덴티 데이터와 정책에 대한 계획적인 부분들

은 IAM 리더들과 기술 서비스 공급자에게 이들 간의 동적

인 관계를 고려하지 못하는 정적인 접근으로 이끄는 문제

점을 가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동적 관리에 대한

개념은 미래 IAM 솔루션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사실, 이와 같은 관계에 대한 개념은 IDoT에 있

어서 IAM에 대한 아이덴티의 개념으로서 중요하기 때문

에, IDoT를 기업 내 IAM을 위한 새로운 책임을 부여하는

부분으로 간주되도록 만들게 된다.

IAM은 IDoT 관계와 상호작용에 있어서 유일한 기능 공

급자로 작용하지 않는다. IAM에 대한 개념이 수십 년간

기업 내에서 작용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고, 이

와 같은 역할 수행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여겨진다.

IAM 제품과 서비스 공급자들은 궁극적으로 IAM이 엔터

프라이즈의 니즈에 기반을 두고 IDoT에 있어서 특정 역할

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IAM 솔루션 공급자들의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메가솔라 다음 전력원으로 지열과 소수력 증가

일본 쿠마모토에서는 연안부를 중심으로 메가솔라가 지

속적으로 운전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아소산 주변 지역에

서는 지열 및 수력을 활용한 발전설비의 건설계획이 활발

해졌다. 기후의 영향을 받는 태양광 및 풍력발전 도입량이

제한되고 있는 가운데 안정된 전력원으로서 지열과 소수

력발전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60 www.kemc.co.kr

Page 51: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일본 규슈의 활화산인 아소산에서 북으로 약 30km 일

대에 온천마을이 있다. 풍부한 온천수를 자랑하는 온천마

을로 지역 주민 26명이 지열발전을 목적으로 합동회사를

2011년에 설립하여 발전소 건설계획을 추진하였다. 이 지

열발전소가 바로 완성될 예정이다. 도입한 발전설비의 능

력은 2MW로 3월 중에 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지열발전

설비 이용률은 표준으로 70% 높고, 태양광 및 풍력과 비

례하여 안정된 전력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2MW의 발

전설비로 연간 상정 발전량은 1,200만 kWh가 되며, 일반

가정 3,400세대분의 사용량에 해당한다.

온천마을이 있는 아소 오구니마치의 총 세대수는 약

3,000세대로 그것을 상회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추

가로 발전에 이용한 후 열수를 인근 여관 및 숙박시설에

공급하기 위해 발전소로부터 지역 내에 배관을 매설한다.

전력과 열을 자급자족하는 지역 주도의 재생가능 에너지

사업이다.

지역의 활성화를 목표로 ‘지열과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농임업 타운’을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 이외에 지열발

전의 도입계획이 지역 내 2개소에서 추진되고 있다. 사실

약 30년 전에 전원개발(J-POWER)이 이 지역에 20MW

의 지열발전소의 건설을 계획한 적이 있다. 당시에는 온

천의 고갈을 우려하는 지역주민의 반대에 의해 중지되었

다. 최근에 이르러 소규모 지열발전 사업이 추진되게 되

어 지역을 지원하는 에너지원으로서 이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쿠마모토현의 재생가능 에너지는 연안부의 풍부한 일사

량을 활용한 태양광발전이 선행되었다. 계속해서 지열 및

수력, 바이오매스의 도입 프로젝트가 현 내의 각지에 확

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열과 소수력은 고정가격매입

제도의 인정설비 규모가 전국에서 제2위로 올라섰다. 쿠

마모토현은 농업의 산출액도 전국에서 5번째 규모를 나타

내고 있으며, 현내의 전역에 농업용수가 흐르고 있다 지

열과 같은 자급자족형 재생가능에너지를 확대할 목적으

로 현이 추진하는 소수력발전의 10년 계획이 2014년부터

시작되고 있다.

산간부를 중심으로 12개소의 후보지를 선정하여 발전량

및 사업량 등을 계산하였다. 발전능력이 가장 큰 장소에서

는 140kW를 상정할 수 있는 반면에, 10kW 이하의 소규모

후보지도 몇 군데 있다. 그 중 수익성이 있는 장소부터 개

발을 추진할 예정으로 농림수산성의 보조금 등을 활용하

면서 발전설비를 도입할 방침이다.

현의 10년 계획보다 이전에 지역주도의 소수력발전 프

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아소산의 남측에 있는 남아소지

역의 농업용수로에서 발전능력이 198kW의 설비를 도입

할 계획이 있다. 2014년 1월에 고정가격매입제도의 인정

도 취득하였지만, 큐슈전력의 송전능력이 부족하여 접속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2014년 9월에 큐슈전력이 발단이 되어 전국으로 확대한

‘접속보류’ 문제가 이미 쿠마모토현 내의 산간부에서는 시

작되었다. 결국 발전사업자가 공사비의 일부를 부담하는

형태로 큐슈전력이 3년간에 걸쳐 송전선을 증강하게 되었

다. 재생가능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것이 송전전력의 부

족으로 연기된 것은 우려할 상황이다. 한편 공업지대가 있

는 연안부에서는 메가솔라가 계속 운전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 1년간 발전능력이 20MW를 넘는 대규모 발전소가 2

개소에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첫 번째는 남부의 아시기

타마치(芦北町)에서 2014년 4월에 가동한 21.5MW의 메가

솔라이다.

이전에 목장이 있었던 33만 평방미터의 부지에 건설한

것으로 토지의 구획 및 경사를 남겨 둔 상태로 태양광 패

널을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 연간 발전량은 2,300만 kWh

로 예상되며, 일반가정 6,400세대분의 사용량에 해당한

다. 아시기타마치의 총 세대수(약 7,500세대)의 85%에 해

당하는 규모이다.

두 번째인 메가솔라는 북부 아라오시(荒尾市)에서 2015

년 2월 1일에 발전을 개시하였다. 일본의 산업을 지지해

온 미이케탄광이었던 지역에서 석탄에서 코크스를 만드는

공장 부지에 건설하였다. 아리아케해에 면한 28만 평방미

터의 평탄한 토지에 발전능력이 22.4MW인 설비를 전개

하였다.

연간 예상발전량은 2,200만 kWh로 6,000세대분의 전력

을 공급할 수 있다. 아라오시의 총 세대수는 약 2만 2,200

세대로 그 중 1/4을 담당할 수 있는 규모이다. 폐쇄된 탄광

및 목장이 지역의 새로운 전력원으로서 재생한다. 재해에

강한 분산형 에너지공급시스템이 쿠마모토현 내에서 지속

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61

Page 52: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해외

뉴스

풍력으로 움직이는 화물선

선박을 더욱 환경효율적으로 만들려면, 대체 연료를 통

한 운전이 가능해야 한다. 노르웨이 공학자는 최근, 이

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고안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LNG)와 풍력으로 움직이는 Vindskip은 지속가능한 해상

운송을 위한 하이브리드 화물 선박이다.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언제든지 사용

가능한 풍력의 최적 사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세계 무역 교역량의 90% 가량은 국제 해상 운송을 통

해 이뤄지며, 중유 선박 운전은 환경 오염에 상당 부분 기

여하게 된다. 국제해사기구에서는 해상 운송에 의한 환경

영향을 줄이고자, 2020년부터 특정 지역에서는 선박 연료

의 황 함량을 최대 0.1%로 규제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황

함량이 낮은 고품질 연료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유보다

고가이다. 선박 회사에서는 배출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동시에, 연료 비용을 줄여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연료 사용량, 오염물질 배출량, 벙커 지출비용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노르웨이 공학자 Terje Lade 박사

는 Vindskip을 바탕으로 한 중유 비사용 선박 형태를 설

계하였다. 그 대신 풍력을 이용하여 선박 추진력을 얻어내

고자 하였다. 본 기술의 핵심은 날개 모양의 돛으로 선체

를 대신하는 것이다. 공해상에서, Vindskip은 자유롭게 부

는 바람(free-blowing wind)을 통해 매우 에너지 효율적

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이 잔잔한(low-wind) 통항

중의 공해 상에서 일정한 속력으로 선박을 조종하기 위해

서, LNG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추진장

치를 추가로 장착하였다. 중유를 대신하는 연료로 풍력과

LNG를 통합함으로써, 평균 선박 연료 소모량의 단 60%

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또한 80%가량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기후 경로 모듈을 통한 최적 코스 결정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 이용 가능한 풍력을 가능한 최

대한도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적 항해 경로를 계산

하기 위해서,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는 Vindskip에

대한 맞춤형 기후 경로 모듈을 개발하였다. 기후 데이터

를 바탕으로, 새로운 선박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바람 활용

을 위한 최적 각도를 가진 경로를 계산하는 운항 알고리즘

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선박 설계의 최대 효과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Laura Walther 박사는 “기후 경로 모듈을

통해, 연료 소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적 경로를 계

산할 수 있다. 연료 비용 절감으로 인해, 벙커 지출이 선박

산업의 전체 비용 중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복잡한 계

산을 위해, 공기역학 및 유체역학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상

서비스로부터 전송 받은 날씨 예보(풍속, 파고 등)와 같은

다양한 매개 변수를 적용하였다”고 설명하였다.

Vindskip선박은 전통적인 동력 선박만큼 빠른 최대

18~19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다. 매우 낮은 연료 소모량

으로 인해, 최악의 조건에서도 Vindskip은 액화천연가스

사용을 별도의 추가 공급 없이 70일간 유지 가능하다. 이

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연료 경제 및 배출 제어 도전 과제

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다. Vindskip은 풍동 시험 또한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다. 연구진은 추가적으로 기후 경

로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기후 경로 모듈을 장착할 수 있

는 Vindskip과 관련 있는 선박 형태는 자동차나 트럭 운

송 선박, 대형 연락선, 컨테이너 선박, LNG 운송선 등이

있다. Terje Lade 박사는, 우선적으로 해양 연구 모델 탱

크 내에서 다양한 시험을 통과한 후, 빠르면 2019년부터

Vindskip의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출처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62 www.kemc.co.kr

Page 53: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오십견의 정의>

오십견은 흔히 동결견이라고도 말하는데, 어깨 관절의 움

직임에 제한을 동반한 통증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의학적으

로는 유착성 견관절염(adhesive capsulitis)이라 명칭한다.

<증상>

6개월 이상 기간 동안 심한 통증을 시작으로 점진적인 어

깨 관절 범위 제한이 일어난다. 세수 할 때나 머리 감고 말

릴 때도 통증 때문에 어깨를 들 수가 없으며 셔츠 단추를 쉽

게 끼우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밤에 통증이 심하며 돌아눕기만 해도 통증이 수반되기 때

문에 수면장애가 발생한다. 특히 50대, 중년 연령대에 아무

원인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무리한 운동 또는 가사일, 국소

적 충격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당뇨나 갑상선

질환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1-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나 회복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회복 후에도 부분적

인 관절 운동 제한이 남을 수 있고 극심한 통증 때문에 삶의

질이 저하 될 수 있다. 여성에게서 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어깨의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한다.

<치료방법>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써 수동적 스트레칭(passive

stretching exercise)과 온열 치료, 약물치료가 해당될 수

있다. 통증과 관절 범위 제한이 심할 경우 초음파 유도하 관

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가 효과적이며 이외에도 수압

을 이용한 관절낭 팽창주사가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장 중요

한 것은 환자 본인의 신장운동이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규칙

적인 운동을 통해 빠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관리요령>

15% 정도의 환자는 한쪽 발병이후 5년 내 반대 측에서 발

생 하게 되므로 병력 과거력이 있고 증상이 시작되는 것 같

으면 바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을 추천한다. 오십견 치료 후

에도 재발이 되지 않도록 재활의학과 의사와 상담하여 집이

나 직장에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어깨 스트레칭을 교육

받고 실행하도록 한다. Kemc

일상생활에 큰 불편 오십견, “통증 초기 체계적이고 꾸준한 관절 운동이 중요”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기정보 | 2015년 3월호 63

Health

Page 54: VOL. 478 2015…„_3월_전기정보.pdf ·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t.(031) 724-6100(代) 등록일자 1976년 3월 18일·등록번호

64 www.kemc.co.kr 64 www.kemc.co.kr

전기정보지는 국내 유일의 전기공업계의 전문지로서 500여 조합원과 유관기관 및 독자

여러분에 의해 만들어지는 여러분의 기술정보지입니다.

저희 편집인 일동은 본지의 내용을 항상 알차게 꾸미기 위해 최선을 다하여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눈과 귀를 열고 원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늘 새롭고 보다 발전된 정보지로

서 여러분의 곁에 있고자 하오니 깊은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시기 바라며 아울러 적극적인

기고를 기다립니다.

| 원고의 구분•전기공업계의 발전방향 및 건의 •기술동향 및 해설•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소개 •현장에서 체험한 기술 경험•독자 여러분의 생활과 관련된 수필, 문예물(시, 꽁트) 등

| 형태 및 분량•제한 없음

| 원고 마감•매월 25일까지

| 보내실 곳•우 463-83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38(야탑동 191)

| 편집 및 광고 문의•스마트앤컴퍼니(주) Tel.02-841-0017, Fax.02-841-0584

는 독자 여러분의 원고를 기다립니다.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64 www.kem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