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트트트트트트 : 트트트트트트 트트트트트트 박박박 박박 박박박 박박박박박박 박박박 박박박박박박박박 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 TEDxPalgong 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 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 ( 박 ) 박박박박박박박박박박 ( 박 ) [email protected] www.hanpark.net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트리플헬릭스 :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

박한우 교수

영남대 언론정보학과영남대 사이버감성연구소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TEDxPalgong대구경북소셜미디어포럼

네델란드왕립아카데미 ( 전 )옥스퍼드인터넷연구소 ( 전 )

[email protected]

Page 2: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he Origins of the Triple Helix Model

The Triple Helix thesis emerged from a confluence be-tween Etzkowitz’ longer-term interest in the study of uni-versity-industry relations (e.g., Etzkowitz, 2002) and Leydesdorff’s interest in an evolutionary model that can generate a next-order hyper-cycle—or in terms of the TH, an overlay of communications (cf. Leydesdorff, 1995).

After Etzkowitz’ (1994) participation in a workshop and a proceedings volume, the metaphor of a Triple Helix emerged in discussions about organizing a follow-up conference under this title in Amsterdam in January 1996 (Etzkowitz & Leydesdorff, 1995).

Page 3: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Page 4: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숫자적으로 소수인 중앙 / 지방정부가 영향력에서는 막강한 관계

대학 - 기업이 연대하여 영향력을 지니면 중앙 / 지방 정부가이들을 따라오는 관계가 형성 가능

산학협력의 지식기반 혁신 및 네트워크 역동성- ‘ 최소한’ 3 개 기관들 사이의 사회관계망이 관건

Page 5: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Page 6: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Page 7: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 체인형’ 산학협력에서 ‘융합형’ 산학협력으로

• 기존 산학협력의 문제점

선형 (linear) 접근방식 외생 요인에 대한 지나친 의존 파급 효과에 대한 단순한 전제

디지털 이전 산업 사회에 적합‘ 자발적’ 이 아닌 ‘강제된’ 협력개별적 , 국지적 , 정태적 모델

Page 8: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Little Box GloCalization

Networked Indi-vidualism

Page 9: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M.Castells (2009), 커뮤니케이션 파워 1) Networking power( 네트워킹 파워 ): 누가 그리고 무엇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하는 힘 . ‘Mass self-communication’, 개인의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뉴미디어를 사용함 .

2) Network power( 네트워크 파워 ):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의 힘 . Mass self-communication 에서 포맷의 다양성은 규칙이며 이는 메시지 전파를 증폭시킴 .

3) Networked power( 네트워크된 파워 ):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노드(node) 에 대해 특정 노드가 가지는 힘 . 이는 네트워크를 소유 또는 운영하는 조직 내에서의 관리 , 아젠다 세팅 , 편집 , 그리고 의사 결정하는 힘을 뜻함

4) Network-making power( 네트워크 메이킹 파워 ): 멀티미디어 또는 전통적인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네트워크가 소유자와 통제자에 의해 형성되고 프로그램되도록 하는 능력

Page 10: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Patents as event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Triple He-lix interactions. (Source: Leydesdorff, 2010, at p. 370.

산학협력은 사회적 시스템의 ( 제도적 ) 행위자들 간

복잡한 관계 세트의 결과

Patents

Wealth generation; industry

Novelty production;science & technology

Legislative control;government

Page 11: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 자유방임형 모델

• 인적 자원 , 혁신 , 지식 교환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적 영향을 이끌어 내는 내생 요인의 부족

• (1) 경제 교환 관계 , (2) 새로운 것의 조직화된 생산 , (3) 규범적 통제 메커니즘이라는 세 개의 하부 역학 (subdynamics) 은 적절한 인터페이스에서 운영되어야 함

기존 산학관 협력 모델의 문제점

Page 12: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H from a traditional community perspec-tive- “Laissez-faire” model, independently op-erated

Page 13: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Page 14: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트리플헬릭스는 기존의 산학 ( 관 ) 협력이 아니다 !

Triple-Helix: 정 부 , 기 업 , 대 학 의 협 동 관 계 를 통 한 삼중나선구조  - 각 개체의 속성보다 시스템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에 바탕하여 사회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하는 네트워크 접근방법

Page 15: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 Trickle-down effect’ 에서 ‘ transdisciplinarily’

Innovation

TechnoPark,

Cluster

Page 16: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Endogenous VS Exogenous

• TH 는 endogenous 요인강조• 혁신은 시스템 내부에서 !• human capital, innovation, knowledge trans-

fer• positive externalities • spillover effects• institutional collaborations among UIG

• endogenous is when the infection originates within the body and exogenous means the in-fection originates outside of the body

Page 17: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riple-Helix Network- 특정 부분만 자극하면 시스템역동성 발생 ?

그림 : 전민영 (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학생 )

Page 18: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 TH 접근 방식은 산학 관계 또는 정부 - 대학 협력의 중요성을 부인한다 ?

•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 • TH 는 분명 더블 - 헬릭스 제도의 영향을

받지만 , 우리는 세 행위자의 상호작용을 관찰함으로써 흥미로운 숨겨진 결과 이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공통적인 오해

Page 19: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2 차원에서 상호 정보 :

Tij = Hi + Hj – Hij

Tij ≥ 03 차원에서 상호 정보 :

TUIG = HU + HI + HG – HUI – HIG – HUG + HUIG

TUIG 는 잠재적으로 마이너스 마이너스 엔트로피는 네트워크 수준의 상호 관계의 결과가 될 수 있음 . 이 설정은 불확실성을 감소시킴 .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Page 20: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Page 21: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UIG 가 언제나 필요한가 ? 아니다 !

• TH 의 목적은 한 쌍의 행위자들 간의 상호 관계를 관련된 ( 중요한 ) 타자 ( 들 ) 를 고려해 살펴 보는 것 !

• 세 명의 행위자들이 권고 되지만 각 행위자가 자신의 업무 수행을 개선하고 , 타자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 또는 타자의 혁신의 또 다른 원천이 된다면 , 그보다 많은 수의 n- 헬릭스 (helix) 도 언제나 가능함 .

Page 22: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한국의 현재 : 글로벌 산학융합- SCI 논문의 대학 , 기업 , 정부 , 외국 공저관계

R2 = 0.9482

R2 = 0.9749

0

100

200

300

40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T i

n m

bit

s

T(ui)

T(ug)

T(ig)

T(uf)

T(gf)

T(if)

Page 23: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트리플 헬릭스 및 쿼드레플 헬릭스 관계 지수

R2 = 0.9254

-200

-100

0

100

200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T i

n m

bit

s T(uigf)

T(uig)

T(uif)

T(ugf)

T(igf)

Page 24: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H 행위자와 분석 단위

• ( 개인 , 단체 , 기관 , 도시 , 지방 , 국가 등 ) 모든 사회적 행위자들이 나선형으로 일어나는 창의성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TH 혁신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

• 나는 (L. Leydesdorff 와 함께 협력하고 있는 )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과학자로서 , 어떻게 ( 정보공유의 측면에서 ) 의미의 사회학적 관념이 제도적 agent 사이에서 교환되는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

Page 25: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Page 26: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H 지표 : 커뮤니케이션 관점 • TH 혁신은 커뮤니케이션 컨텐츠가 전송되는 ( 정보 -

공유 행위 ) 세 가지 KCI 공간에서 주로 일어남 .

• 지식 공간 (Knowledge space):

사이언토메트릭스 (Scientometrics)

• 융합 공간 (Convergence space):

테크노메트릭스 (Technometrics)

• 혁신 공간 (Innovation space): 웹보메트릭스(Webometrics)

Page 27: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LivingTogetehr is TH? No!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The Triple Felix Model by Alistair G.B. Simpson (Dalhousie University, Canada)

Page 28: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riple Helix Innovation: An Insti-tutional Units Framework

• The Triple Helix Innov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by academia (A), government (G), and industry (I) playing fully integrated and overlapping roles.

• This process typically begins with the formation of a social mission, which may arise in any sector but is often champi-oned by government. Once the social mission is established, AGI institutional units are drawn into collaborative funding, R&D,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es.

• Under such collaborative arrangements, it is not surprising that academia, government, and industry may fund R&D to achieve a social mission. Similarly, all three institutional units may perform the R&D. To a lesser extent, academia and gov-ernment may commercialize new knowledge, technology, or products and services—a pursuit traditionally reserved for in-dustry.

Page 29: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riple Helix Innovation: A Functional Framework

• Instead of characterizing triple helix innovation as institutional units collaborating to perform func-tions, it is reasonable to forego institutional unit considerations and to focus on the functional framework.

• Therefore, triple helix innovation may be fully de-lineated by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1) Funding (facilitative); (2) research and develop-ment (R&D, discovery); and (3) commercialization (diffusion).

• It is noteworthy that this functional framework fa-cilitates the recognition of other institutional unit types (e.g., nonprofit organizations and house-holds) as possible participants in the triple helix innovation process.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

Page 30: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트리플 헬릭스 혁신 기능 프레임워크

사회적 미션의 형성

R&D

프로젝트의 자금조달과

선택

새로운 지식 ,

기술 , 제품 창조를 위한 기초 및 응용

R&D

새로운 지식 ,

기술 , 제품의 상업화 및

보급

파급(Spillover

)

AGI AGI AGI

Page 31: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The Triple Helix 2 in Mode 2

• Internal transformation within each helix: e.g.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 University R&D plays a role as an ‘entrepreneurial mediator’

Page 32: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 To the extent to which university incubators can make a tie with en-trepreneurs depends on govern-mental linking program

Incubator

Entrepreneur

Government

Funding (facilitative) (De)Regulating

commercialization (diffusion)

5/29/2011

Page 33: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트리플헬릭스 모델에서 대학 , 기업 , 정부의 역할 변화

From Relation Building To Functional Replacement - 상호정보교환을 통한 관계강화에서 상대방 기능의 흡수 및 대체로 전환

1 단계 : 각 기관 내부의 연결 과정 필요

2 단계 : 다양한 유형의 인적 , 자원 , 정보 통합 및 진화적 변화의 인식

4 단계 : 표면적으로는 물리적 공간에서 새로운 융합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 하이퍼 / 메타 조직이 발생함

3 단계 : 각 기관 내부에서 다른 기관과 연결되는 단계 . 중요한 것은 연결 고리는 개인이 아닌 ‘공간’에서 발생

Page 34: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Silicon Valley’s innovation ecosystem- CONNECT in San Diego

http://www.triplehelixassociation.org/wp-content/uploads/2012/01/helice-vol1-no1-january2012.pdf

Page 35: 트리플헬릭스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10_july2012)

Discussion issues

Configurations may constrain the further TH developments at national system level by generating more uncertainty than can be managed by three TH actors

- L. Leydesdorff

아시아 학연산 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