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홍 성 희 * 임 소 영 ** 김 미 정 ***

 · 2014-08-25 · 1 ×& &)* 0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 2014-08-25 · 1 ×& &)* 0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1호 , 123 - 147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홍 성 희* ․ 임 소 영** ․ 김 미 정***

요 약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이 무엇인지에 관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알아봄으로써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

집의 개원에 따른 어려움을 경감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실행을 가로막는 닫힌 교육 공간, 안전과 효율성만 내세우는 사업장의 권위주의적 태도, 진짜

놀이보다 학습만 강요하는 부모의 일방적 요구,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들어 가야하는 운영관리

체계 등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생태유아교육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생태유아교육 실천에 있어 지적되어 온 문제점인 생

태유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부족과 생태유아교육 내 어린이집 지원체계의 미비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더욱 활발한 학문적 연구와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 교사 연수 및 일반

학부모에 대한 홍보와 운동을 통해 생태유아교육을 널리 알리고 확산해야 할 뿐 아니라, 실

제적으로는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직장어린이집 요구에 따른 지원체계 및 지원내

용을 마련하여 생태유아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현해나가야 할 것이다.

주제어 직장어린이집(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생태보육과정(eco-early childhood educare program)

개원(opening procedure)

어려움(difficulties)

※ 논문 접수 : 2011. 10. 31 / 수정본 접수 : 2011. 11. 30 / 게재 승인 : 2011. 12. 12.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교사

*** 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 센터장(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 2014-08-25 · 1 ×& &)* 0

1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정부는 영유아 보육 목적과 보육 목표를 달성하고자 국가 수준의 보육과정인 표준보

육과정을 정하여 어린이집에서 운영해야 할 보편적 보육내용을 제시(보건복지부, 2010)하였

으며, 지난 5월에는 만5세 공통과정인 5세 누리과정 의 도입과 시행을 발표하였다(육아정책

연구소, 2011a). 5세 누리과정 은 우리나라 만 5세 유아들이라면 유치원이든 어린이집이든

어떤 유아교육기관에서든지 국가에서 정한 공통과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저출산 극복 및 여성경제활동의 활성화, 나아가 인재양성이라는 국가의 미래

성장과제가 보육문제 해결에 달려있다고 보고 있는 정부에서 보육과정을 유아교육과정과 일

원화하는 방향으로 표준적으로 정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보육의 질적인 문제에 개입하려는 의

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국가 수준의 교육·보육과정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사회적·정치적·기능적인 관점보다는 미래사회의 변화 주체인 사람들이 지녀야 할 근원

적인 가치관을 분명히 포함해야 한다(문미옥, 2007).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교육·보육과정은

21세기 급속한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으로의 질적인 전환의 양상

(Toffler, 2006)을 따라가지 못하고, 근대적 패러다임을 기저로 한 전통적 교육과정의 한계를

그대로 지녔다는 지적(서영희, 2008; 손원영, 2001)을 받고 있다. 이에 최근에 여러 가지 대안

적 교육·보육과정 이론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유아교육프로그램이 교

육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신세니, 박선미, 조희숙, 2011). 그러한 대안적 움직임의 하나인 생

태보육과정은 어린이집에서 실행되는 보육과정으로서의 생태유아교육과정을 표현하는 용어

(서영희, 2008)로써, 현재 보육과정이 기계적, 구조적, 기능적 전수 중심이라는 비판 아래 기

존 유아교육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려는 새로운 실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보육과정은 생명 중심, 공동체 중심, 몸·마음·영혼을 살리자는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이

념을 지향하는데, 생태유아교육은 모든 생명 가치와 그 실현을 존중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다

른 생명과 조화를 이루면서 아이의 자연성을 실현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생태론적 세계관’으로, ‘아동 중심 교육’에서 ‘생명 중심 교육’으로, ‘개인 중심 교

육’에서 ‘공동체 중심 교육’으로, ‘이성 중심 교육’에서 ‘전인 교육’으로의 유아교육의 패러다임

의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임재택, 2003). 이렇게 볼 때,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이념을

실행하는 생태보육과정은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자연친화적 보육과정이고, 생명의 원리에 따

Page 3: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25

라 아이들을 돌보고 모시고 살리자는 보육과정이며, 산업문명의 근대적 교육 패러다임이 내재

된 기존 보육과정과는 질적으로 상이한 가치관을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과정으로 볼 수 있다.

1990년대부터 유아교육계 내부의 자체적인 노력으로 시작되어 생명 중심 세계관을 유아교

육에 접목하여 이론화, 실천화하려는 생태유아교육(조순영, 2008)은 최근 들어 지구의 생태적

위기와 각박한 인공적 환경, 지식 위주의 교육에서 오는 영유아의 심각한 정서문제로 인해

어느 때보다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은 산책, 텃밭 가

꾸기 등의 자연친화 프로그램을 기존 보육과정 내에 일부 포함하여 운영하거나 아니면 아예

기존 보육과정 대신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생태적 어린이집이 꾸준히 늘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어린이집 가운데는 업주가 자사의 근

로자를 위해 설치·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이 포함되어 있다. 장시간 복잡한 도심 속 공간에서

하루 종일 생활하고 있는 영유아를 위하여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직장어린이집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이다(직장보육시설지원센터, 2010).

직장어린이집은 ‘사업주가 자사 근로자를 위하여 설치․운영하는 어린이집(보건복지부,

2011)’으로 여성 고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서비스인 동시에 영유아에게 양질의 보호와 교육

을 국가와 기업이 공동 분담하는 공동(公同) 보육 서비스 제도이다. 그간 정부에서는 1987년

고용평등법 제정 당시 ‘직장탁아제’를 도입한 이래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을 위한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여(김수경, 서문희, 이유경, 2006), 1991년 전국 19개 사업장에서

설치․운영되기 시작한 직장어린이집은 현재 전국에 404개소(근로복지공단, 2011)에 이르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는 상시 여성근로자 300인 이상 또는 근로자 500인 이상 직장에 대하여

직장어린이집 설치를 의무화(영유아보육법시행령 20조 1항, 1992)하고, 정부의 지원이 확대됨

에 따라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직장어린이집은 보육에 대한 사전 경험이나 이해가 전혀 없는 사업주가 설치․운

영의 주체이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으로써 적절한 어린이집 설치와 운영 과정과는 동떨어진

많은 실수와 어려움을 경험한다. 여기에다 직장어린이집은 여타 다른 어린이집들과 동일하게

보육 전반에 관하여는 보건복지부의 지침을 따라야 하며, 동시에 직장어린이집의 지원 및 지

도감독의 주관부처인 고용노동부의 지침까지 따라야 하는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특성을 지닌

다. 그러므로 직장어린이집의 설치,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은 광범위하고 복잡한 문제를

포괄하며(황정숙, 2000), 보육관련 이론은 물론이고 현행 법규 및 운영주체․지역사회․학부

모의 특성 등 여러 가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발생 한다. 이에 차미영,

손원경(2010)의 연구에 따르면, 위탁운영 직장어린이집 원장은 사업장 담당자들의 어린이집

의 특성 및 개원 절차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운영 방향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어

Page 4:  · 2014-08-25 · 1 ×& &)* 0

1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려움, 직원인 학부모의 집단적 요구 조절에 따른 어려움, 복잡한 행정체계에 따른 어려움, 사

업장의 특성에 따른 어린이집의 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어

린이집 보육교사의 생활문화를 살펴본 송경섭(2006)의 연구에 의하면, 직장보육교사의 대표

적 스트레스 중 하나는 다른 어린이집과는 다른 장시간 근무 시간, 보육 외 상당 부분을 차지

하는 과도한 행정업무, 교실 시설 및 설비 개보수, 인테리어까지 업무 영역이 매우 넓고 다양

하다는 것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그런데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 기존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 간에는 가히 ‘혁명’이라

칭할 만큼(Kuhn, 2002) 기존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교육목표와 내용 및 방법이 실행된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인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것은 어린이집 설치부

터 운영의 모든 측면에 있어 새로운 원리와 내용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인

직장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에 더하여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직장어린이집은 생

태적 패러다임에 기반 하여 기존 일반 직장어린이집과는 또 다른 근본적인 갈등과 충돌, 한

계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생태유아교육 전문가가 주체로 설치․운영 되는 일반 생태어린이

집의 원장과 교사의 어려움과는 다를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인 생태유아교육의 실현을 위한 주체인 교사에 주목하여 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밝힌 연구(김은주, 권미량, 2005; 임재택, 2003), 또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권미량, 2005)를 통해 생태유아교사에 대한 이론적 기초는 밝혀졌지만, 패러다임의 충돌을

교육현장에서 직접 겪고 이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생태유아교사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논의(박지인, 2005; 서영희, 김은주, 2011; 한남주, 2011)는 최근에야 시작되었으며, 여전히 부

족한 형편이다. 또한 최근 반 생태적인 환경인 복잡한 도심에서 장시간 생활하고, 성공지상주

의, 부모이기주의, 권위주의적 조직문화가 가장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는 직장어린이집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기관이 점점 더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를

지원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개원을 준비하고 운영하였던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 및 개원

초기 운영과정에서 생태보육과정 운영에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림의 교육을 실천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

교사가 개원 및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해결의 과정

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생태보육과정을 실시하는 직장어린이집 현장의 생

생한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중요성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

가서는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의 개원에 따른 어려움을 경감시키고 보다 효

Page 5: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27

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부산시에 소재한 A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 5명, 경상남도 양산시에 소

재한 B직장어린이집 원장 1명과 보육교사 3명이다. A직장어린이집은 설치 사업장 근로자의

양육지원을 목적으로 2008년 2월에 설치되었으며, B직장어린이집은 여성근로자 인력확보와

육아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2010년 9월 설치되었다.

시설구분 성명 직책 나이 경력

A직장어린이집

C 주임교사 32세 5년 3개월

D 보육교사 29세 3년 3개월

E 보육교사 29세 3년 9개월

F 보육교사 27세 4년 3개월

G 보육교사 25세 3년 3개월

B직장어린이집

H 원장 44세 12년 10개월

I 주임교사 34세 5년 3개월

J 보육교사 29세 4년 6개월

K 보육교사 24세 5개월

<표 1> 연구 참여자 정보

두 기관 모두 직장어린이집 설치 공사는 사업장에서 주체로 진행되었으며 공사 완료 후 생

태유아교육을 실시․지원하는 P대학교에서 위탁하여 운영 중이며, 12개의 생태유아교육프로

그램(바깥놀이, 산책, 텃밭 가꾸기, 노인․아동 상호작용, 세시풍속, 명상, 절제․절약, 먹을거

리, 도시․농촌 교류, 손끝놀이, 몸짓놀이, 생태미술)을 실시하고 있어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을 운영하는 기관으로의 특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선정하였다. 운영 중 변경된 A직장어

린이집의 원장을 제외하고, 개원준비 기간부터 근무해 온 보육교사와 원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정보는 표 1과 같다.

Page 6:  · 2014-08-25 · 1 ×& &)* 0

1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2.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의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

다. 이 방법은 연구주제의 변인이 깊이 묻혀 있거나 변인들을 통제하기 힘든 성인학습자 연

구에 적합한 방법이다(Merriam, Caffarella, 1999).

먼저, 연구 참여자들에게 전화로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연구 참여의 동의과정을 거

친 후 질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1년 3월 2일(수)부터 2011년 6월

10일(금)까지 원장 1명과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교사실에서 집단면담 2회, 개

별면담 A B시설 각각 2회씩 총 6회를 실시하였다. 면담시간은 집단면담의 경우 5월 30일(B

기관), 5월 31일(A기관) 오후4시부터 6시까지 2시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개별면담의 경우엔

각 시설 원장 및 보육교사의 스케줄에 맞추어 A기관은 4월 27일과 6월 10일, B기관은 3월 2

일과 5월 30일에 걸쳐 주로 오후 낮잠시간과 오후 7시 이후에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연구 참여자 개개인이 생각하는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

려움과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노력에 관한 것을 중심으로 사전에 질문준거를 작성하였

으며 그 내용은 표 2와 같다.

면담은 연구자가 직접 수행하였으며, 연구자는 상호작용적 면담을 진행하면서 적극적인 경

청자세로 개인적 선입견이나 견해, 추정하는 등의 판단을 차단하는 ‘epoche’(Katz, 1987;

Patton, 2002) 과정 속에서 그 현상을 외적인 개입 없이 순수하고 개방적 사고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면담은 연구 문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원장과 보육교사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

하고자 개방적 질문과 반구조화된 질문(semi-unstructured interview)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심층면담을 수행한 연구자들과 약간의 안면이 있었기 때문에 라포(rapport)형

성과 감정이입에 도움이 되었으며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었다. 처음에는 주로 교사들과의 라

포 형성을 위한 시간을 가졌으며, 이후에는 본격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연구 참여자

의 동의를 얻어 모든 내용은 MP3를 이용하여 녹취하였다. 심층면접 이후에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화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연구자가 노트에 기록해두었다.

Page 7: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29

<표 2> 면담의 주요내용

면 담 준 거 내 용

일반현황

설치․운영 현황어린이집 설치 및 운영 현황, 생태보육과정 운영 현황

개원준비 및 위탁운영 과정

종사자

근무 및 역할

근무시점, 이전 어린이집에서의 근무 경험

개원준비 과정과 초기의 역할(교사, 원장)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물리적 환경 시설 환경, 교재교구 준비도 및 활용도

인적 환경사업주의 생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태도, 지원

이용근로자(부모)의 생태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태도

교사 자신(내부)직장어린이집에 대한 사전지식 습득 등의 사전 준비

생태보육과정에 대한 지식습득 및 경험 유무

운영 및

지원체계

생태유아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적합한 보육과정 구성 및 운영

예산확보, 운영시간, 관련 기관 지원 등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노력

시설 환경 및 교재교구 등에 대한 개선 노력

사업주(담당자) 및 부모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

생태보육과정 실행을 위한 노력

기타

3. 자료 분석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자료수집과 분석은 전통적인 연구방법과는 달리 직선적인 선후

관계로 이루어지는 분리된 과정이 아니라 순환적인 과정을 밟으므로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

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조용환, 1999).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면담 시

MP3에 녹음한 파일, 전화면담 시 메모한 노트를 컴퓨터 파일에 입력하여 텍스트로 옮긴 전

사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연구자는 전사본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였고, 첫 번째 단계에서 명확하게 어려

운 점을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에 크게 동그라미 표시로 가려내고, 그 면담 내용 안에서 주제

를 찾아내어 가장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는 문장에 줄을 긋고 그 주제를 요약할 수 있는 적절

한 제목을 붙이면서 예비 범주 작업을 실시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분석될 주제 영역을 범

주화하면서 그 분류항목들을 발전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때 ‘Cut-and-paste’ 방법을

사용하여 가위로 전사지를 관련성 있는 유사한 내용끼리 오려서 분류하고, 제목으로 사용될

적합한 범주를 만들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주제범주를 수정․보완하여 최종 분

석하였다.

Page 8:  · 2014-08-25 · 1 ×& &)* 0

1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자료 분석과정에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몇 가지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자료원에 대한 삼각측정(Data triangulation)으로, 연구 자료를 집단 면담과 개별 면

담 자료, 전화면담으로 다양하게 수집하여 연구에 대한 이해를 보다 정확하게 하고자 하였다.

둘째, 참조자료의 사용으로, 연구자가 직접 수집한 녹취 자료, 연구자 노트를 활용하여 지나

간 기억과 인간의 오감이 가질 수 있는 주관성을 극소화(김영천, 2006)시켰다. 셋째, 연구 참

여자에 의한 연구결과의 평가 작업(Member Check)으로,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에 대해서 연

구 참여자에게 보여주어 연구 참여자의 확인 작업을 끊임없이 거치는(Lincoln & Guba, 1985)

노력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넷째, 연구자간 삼각측정(investigator triangulation)

(Mathison, 1988)으로, 본 연구의 공동 연구자들은 두 사람 이상의 연구자가 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보다 더 신뢰적인 자료 해석이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외부 감사(audit)를 통해

본 연구와 관련이 없는 유아교육 전공자 2인에게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과 결과에 대해 검토

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4개의 범주명을 확정하였다.

Ⅲ. 개원초기 직장어린이집에서의 생태보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생태보육과정 실

행을 가로막는 닫힌 교육 공간, 안전과 효율성만 내세우는 사업장의 권위주의적 태도, 진짜

놀이보다 학습만 강요하는 부모의 일방적 요구,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들어 가야하는 운영관리

체계 등으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생태보육과정 실행을 가로막는 닫힌 교육 공간

각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교육공간은 어떤 교육철학을 내포하고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

삶과 교육의 밀접성, 인간관계의 질(수직성: 수평성), 안과 밖의 유기적 소통, 자연 친화력, 경

계의 개방성, 자유로운 표현력 등이 공간이 반영하는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이부미, 2008).

유아교육공간은 아이라는 생명을 잘 키우는데 관련된 모든 것, 즉 가정, 학교, 사회, 자연, 우

주 등 천지간의 만인, 만물, 만사, 만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는데, 이는 아이의 본

성과 생명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공간이 되어야 하며, 아이들은 물론 교사, 동식물, 심지어

Page 9: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31

흙과 공기, 물도 함께 사는 공간이어야 한다. 즉, 유아교육공간은 아이들의 생명이 꽃피는 생

기(生氣) 가득한 살림집이어야 한다는 것이 생태유아교육의 관점이다(임재택, 2008).

본 연구에 참여한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사업주에 의한 생태유아교육의 철학

과 운영에 적합한 공간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진행된 시공으로, 새로 설치한 시설임에도

끊임없이 개․보수를 해야 했고, 불필요한 공간,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반생태적 환경

으로 인해 불편함과 생태유아교육 운영의 어려움을 느꼈던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개·보수

예산이 부족하거나 사업장의 여러 가지 이유들로 변경할 수 없는 시설에서는 아이들의 건강

과 안전이 위협받고 불편하더라도 감수해야 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A어린이집의 환기가

어려운 창문, 낮은 채광, B어린이집의 실외놀이터 우레탄바닥, 잔디밭 조성 등의 사례가 있었

다. 이는 반생태적인 도시 공간의 축소판인 유아교육기관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이다.

어린이집 설치 공사가 끝났을 때, 가장 당황스러웠던 것이 아이들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어린

이집 벽을 아이들의 키 높이 보다 훨씬 높게 만들어 놓은 거였어요....(중략). 건물 공사는 위탁

전(00대학교와의 위탁체결 전)에 진행 한 거여서 우리가 왔을 땐 이미 공사가 끝난 후라서 변경

할 수 없었어요. 그나마 지속적인 건의로 창문 높이를 조금 내려 주시더라구요. 그나마 채광이

라도 확보할 수 있었죠.....(중략). 창문 공사와 울타리 철거 공사에 시간이 제법 많이 걸렸어요.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D, 집단면담)

안전상의 문제로 위로 조금만 열리는 창문을 설치해서 환기가 잘 안돼요. 어린이집을 설계할

때부터 아이들의 특성이나 어린이집의 적절한 교육 환경에 대해 아는 사람이 하였다면 이런 문

제는 생기지 않을 일이었죠. 더군다나 생태유아교육을 하는 어린이집에서는 무엇보다 햇빛, 바

람 등 자연과의 소통과 만남을 더 중요시 하는데 말입니다. 건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나중에 운

영할 대학(위탁기관)에서 개입을 하고 도움을 주었어야 했어요.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C, 집단면담)

어린이집에 처음 왔을 때 우레탄으로 전부 바닥이 깔린 실외 놀이터를 보고 깜짝 놀랬죠. 요

즘 뉴스에서 많이 보도 되고 있는데, 우레탄이 얼마나 아이들 건강문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지 모르나봐요. 보기에 깔끔하고 아이들이 다치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만.... 정말 반생태적인 대표적인 환경이라 생각되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교사 I, 집단면담)

아이들은 바깥놀이와 산책을 통해 자연을 직접 체험하게 되며, 텃밭을 일구고 채소를 길러

봄으로써 계절과 날씨의 변화, 식물의 생장, 수확에 대한 기쁨, 자연을 사랑하게 되고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을 이해하게 된다(임재택, 2009). 따라서 아이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을 살리는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흙, 모래, 풀, 꽃 등이 있는 바깥놀이터와 산책로, 텃밭 등

이 필요하다. 교육은 끊임없는 사람됨의 과정으로 교육이란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인간이

겪는 생활 세계적인 체험과 무관할 수 없는데, 학습 공간이 어린이들이 직접적인 직관과 지

Page 10:  · 2014-08-25 · 1 ×& &)* 0

1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각을 통해 마주볼 수 있는 삶의 장소나 생활 공간이 되지 못할 때, 거기에 정작 어린이가 존

재하지 않을 수 있다(이부미, 1999). 본 연구 참여 기관은 이러한 필수적인 공간 조건이 마련

되지 않아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 또는 공단지역

에 위치한 사업장 인근 또는 사업장 내에 정해진 장소에 설치되는 대다수 직장어린이집의 경

우, 바깥놀이 공간, 산책로, 텃밭을 확보하기 어렵고 대부분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설계, 시공

된 어린이집 내에서만 생활하도록 닫힌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연구 참여 어린이집 또한

어린이집 설치시는 이 같은 환경 조건이었지만 개원 후 끊임없이 사업주(담당자)를 설득하거나

원 자체의 비용과 노력으로 옥상 정자, 수영장, 화단, 텃밭을 만드는 작업을 어렵게 진행하였다.

어린이집 개원 후에 바깥놀이를 위해, 옥상 정자, 수영장, 화단을 만드는 공사를 했어요. 개원

하고 생태보육과정 실행을 위해서라도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공간이라고 생각하여 끊임없이 사

업장에 요구했거든요. 어린이집을 잘 지어 놓았다고 생각하는 사업장을 설득하는 작업은 너무

힘든 과정이에요. 처음 어린이집 건물을 지을 때 함께 했으면 더 효율적이었을 텐데요.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D, 집단면담)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아야 하는 바깥놀이터에 흙 대신 조경을 위해서인지 필요 없는 잔디

밭이 조성되어 있었지요. 그래서 모든 선생님들이 잔디를 뽑고, 흙을 고르고 구석에는 텃밭으로

바꾸어야 했어요. 몸도 힘들지만 마음이 힘들었는데... 다행히 텃밭을 일구는데 몇몇 학부모들이

도와주웠답니다. 어떤 분은 좋은 흙을 가져다 주시기도 했고, 어떤 분들은 함께 잔디를 뽑고 흙

을 고르는 작업을 도와주셨지요. (2011년 3월 2일, B어린이집 교사 J, 개인면담)

생태프로그램의 핵심은 산책인데, 사실 주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자연물을 찾을 수가 없어

요. 빌딩과 도로만 있는 황량한 곳이다 보니 아이들이 편하게 쉴만한 나무그늘 하나 찾기가 힘

들어서 한여름에는 산책활동이 어려웠어요. 사업장 주변이 새로 만들어진 지역이다 보니 자연

환경도 인공적으로 꾸며 놓은 것이고, 그나마 심어놓은 나무들도 많이 자라지 않았구요. 그냥

사람이 보기 좋은 자연환경일 뿐이지 아이들이 산책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원장, 집단면담)

최근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적절한 유아교육기관의 공간은 어떠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의(육아정책연구소, 2011)에서 ‘장소성(Sprit of place)’이라는 개념이 소개되었는

데, 장소성이 있는 곳은 ‘감각을 확장하여 사랑스럽고, 창조적이고 인간적인 것과 교류하면서

기억할 수 있게 하는 장소(Olds, 2001)’라고 하였다. Olds(2001)에 의해 그러한 장소성이 있는

곳의 공통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강, 언덕, 나무, 꽃밭 등 자연과 관련되고 감각적으로 풍부한

실외공간이었으며, 실내공간은 사회적인 여건 탓에 일찍부터 가정에서의 경험을 하지 못하는

영유아를 위해 ‘집’과 같은 환경을 구성하여야 한다고 제기되었다. 이러한 공간 논의는 ‘집과

같이 편안한 환경’, ‘생태의 순환을 경험하는 환경’, ‘인공적인 놀잇감을 지양하는 환경’, ‘아이

들이 만들어 가는 환경’(하정연, 2004)으로 전환하자는 생태유아교육에서의 공간 개념과 일맥

Page 11: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33

상통하고 있다. 그러나 영유아보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설치 및 설비 기준은 여

전히 교육의 효율성과 통제를 강조하는 근대적 공간 패러다임을 따르고 있으며, 직장어린이

집의 설치는 이러한 기준에 따라 향후 보육과정이나 운영에 대한 협의나 논의과정 없이 사업

주에 의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바로 이러한 설치과정에서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직

장어린이집 공간은 철저히 반생태적이고 닫힌 공간의 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직장어린이

집의 공간적 특성은 유아교육기관의 설치에 나타나는 근대성을 극복하고 나아가 단순한 물

리적 환경이 아닌 살림집, 생활공간으로써 자유롭게 자연과 안과 밖이 소통하고 넘나들 수

있는 열린 공간과는 상반되는 장소가 되어 생태보육과정의 실행에 크나큰 어려움으로 드러

나고 있었다.

2. 안전과 효율성만 내세우는 사업장의 권위주의적 태도

직장어린이집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철학이나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

는 사업장(담당자)에게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특성을 이해시키고, 신뢰를 얻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사업장(담당자)에게 자신들의 전공과는 무관한 보육에 대해 이해시키기도 어렵

지만 근본적으로 기존의 가치관과 다를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의 기본관점, 교육내용 및 방법

까지 이해시키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임재택(2005)은 “양계닭처럼 시설 내에 갇혀서 부모나 교사의 감독 하에 자연․놀이․아이

다움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밖의 공간, 즉 자연으로 나아가는 것이 생태유아교

육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데 원장과 교사는 사업장이 바깥놀이, 산책, 텃밭 가꾸기 등 생태보

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기 보다는 안전에 대한 지나친 걱정으로 못하도

록 막거나, 사업장과의 힘든 설득의 과정이 있어야만 진행할 수 있는데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안전을 강조하는 사업장의 태도는 초․중․고등학교와 같이 대부분 학교 건물 안에서 이루

어지는 일반적인 교육의 이미지와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며, 안전사고의 책임으

로부터 벗어나기 위함이라 볼 수 있다.

사업장의 이미지와 학부모인 자사 근로자의 만족도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직장어린이집 특

성상 사업장(담당자)은 영유아의 안전과 비용 대비 효율성을 내세우며, 어린이집과 상호 협

력하기 보다는 권위적으로 지시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영유아의 안전을 위한 기본적인 환

경 마련과 생태보육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행정 및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원장과

교사의 담당자를 설득하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Page 12:  · 2014-08-25 · 1 ×& &)* 0

1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사업장 담당자가 어린이집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없는 상황에서 생태유아교육의 특성까지

이해 시켜야 하니까 너무 힘들어요.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이 교실 밖의 자연을 통해서 보고,

느끼며 자라도록 하는 것인데, 담당자는 왜 아이들과 매일 산책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오히려 안

전문제 등을 이야기 하며 자제했으면 하더라구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원장, 집단면담)

모래놀이터를 설치하기 위해 사업장에 끊임없이 요구하고 담당자와 싸워야 했어요. 모래놀이

터는 도심 속에서 흙과 함께 놀 기회를 가지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공간이고,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환경인데....담당자는 이해를 못하더라구요. 오히려 사

업장에서는 관리가 힘들고 더럽다며 무조건 안 된다고 했어요. 그래서 결국은 작게나마 모래놀

이터가 아니라 나무판자 안에 모래장을 설치할 수 밖에 없었어요. 그리고 같은 과정으로 힘들

게 설득해서 물놀이를 위한 수도시설도 만들었구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원장, 개인면담)

상시 여성근로자 300인 이상 또는 근로자 50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에 대하여 직

장어린이집 설치를 의무화(영유아보육법 제20조 1항)하고 있으며, 매년 직장어린이집 지원확

대 정책에 따라 설치가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사업장에서는 자사 근로자를 위하여 영유

아에게 양질의 보호와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로서의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보다는, 구색

갖추기에 급급한 상황이다. 사실 직장어린이집은 다른 어린이집과 달리 설치․운영 주체가

보육과 관련하여 교육철학이나 전문적인 지식, 사전 경험이 전혀 없는 사업장이라는 점에서

보육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효율성을 극대화한 경영관리에 익숙

한 사업장의 입장에서는 어린이집 운영관리를 기업식의 경제 논리와 고객 만족만을 운영자

인 원장에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에게 스트레스가

된다.

교육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어떻게 구색을 갖추어볼까 하는 것 같아

요. 처음 위탁기관을 선정할 때도 그랬고. 자기 자녀가 다닌다고 생각한다면 어린이집과 관련된

일을 그런 식으로 처리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봤지요.

(2011년 3월 2일, B어린이집 교사I, 개인면담)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지원은 제대로 안 해주면서 매스컴 보도나 홍보에 열과 성을 다하는

것을 보고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교사K, 개인면담)

부모들은 시간 연장 보육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해

서는 추가 교사 채용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데, 사업장 담당자는 보육정원도 충족 안 된 상황에

서 무슨 추가 교사가 필요하냐며, 있는 교사 활용하라는 식의 이야기를 한답니다. 보육 정원이

충족 안 되는 건, 반 편성을 고려하지 않은 보육시설 설치 때문인데 말이죠. 도대체 지금 있는

교사들이 어떻게 하라는 건지...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교사 J, 집단면담)

이와 같이 직장어린이집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에서 원장과 보육교사는 특히 사업장(담당

Page 13: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35

자)과의 상호신뢰 및 이해가 어려움의 정도를 좌우하는 핵심요소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는

차미영, 손원경(2010) 연구에서 지적하였듯이 사업장(담당자)에 따라 어린이집 지원규정에 대

한 해석이 달라지고 그에 따른 지원 사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직장어린이집의 피상적

인 인간관계는 사업장(담당자)이 원장과 보육교사를 마치 하급직원으로 대하는 상하 조직적

관계(이윤미, 박선영, 2010)로 나타나며, 어린이집의 요구를 존중하고 들어주기 보다는 일방

적으로 무시하는 경우가 나타나 상호존중과 공동의 책임의식을 기반 한 공동 설치·운영의 주

체들에게서 갈등과 충돌의 신뢰 없는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진짜 놀이보다 학습만 강요하는 부모의 일방적 요구

직장어린이집의 학부모들은 일반적으로 어린이집의 교육철학이나 프로그램 내용, 보육환

경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선택하여 이용하는 학부모의 경우와 달리, 근무시간, 금전적 혜택

등의 이유로 사업장에서 설치한 직장어린이집에 대한 충분한 정보 없이 선택하는 경우가 많

다. 또한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학부모인 근로자의 육아지원 요구를 들어주기 위해 자신의 사

업장에서 설치한 어린이집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학부모의 요구를 직접

적으로 어린이집에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부모의 요구는 때로는 어린이집의

보육철학이나 전체적인 보육과정 운영에 위배되거나 방해되기도 하는 데 본 연구에 참여한

직장어린이집의 경우도 같은 양상이 드러났다. 직장어린이집의 학부모는 모두 한 직장에 근

무하는 동료직원으로 유대감이 강해 잠재적인 집단적 힘을 가지고 있고(홍은경, 백영숙, 김성

숙, 2007), 직장어린이집의 교직원을 자신들의 복지를 위해 채용된 사람이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어, 집단민원이나 사업장 담당자, 노조를 통해 요구사항을 전달한다. 부모들의 요구사항이

사업장 담당자, 운영위원회, 노조 등을 통해 전달되면 원장과 교사에게는 큰 압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태유아교육의 가치관을 이해하거나 동조하지 않은 학부모의 압

력에 맞서 생태유아교육의 철학 및 운영방향을 고수해 나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직장어린이집에서는 특히 부모들이 다양한 특별활동을 일방적으로 요구

하거나 생태보육과정에 대한 조정을 요구하여 원장과 교사로 하여금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들은 아이를 낳고 기르고 가르치는 것이 자연의 순리와 사

람의 도리를 완전히 벗어난 위기상황에 놓여있으며, 아이들 또한 몸 마음 영혼이 심각한 위

기를 맞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부모들이 아이들을 가두어 더욱 획일적이고 분절적

으로 아이들을 교육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놀이․아이다움을 찾아주어 신명나는 아이로 키우는데 주력하고

Page 14:  · 2014-08-25 · 1 ×& &)* 0

1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있는 원장과 교사는 자신의 교육관과 현실 속에서 갈등하며 힘과 열정을 잃기 쉽다.

개원 초기 1년은 학부모와의 갈등과 충돌의 시기였던 것 같아요. 개원하고 상반기에 설득해

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생각했는데 하반기에 또 같은 이유로 항의를 하셨어요. 영어, 발레

등 다양한 특별활동을 해달라는 것이었죠.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D, 집단면담)

영어교육을 시켜 달라, 바깥놀이를 줄여 달라 등 생태보육과정 운영과 맞지 않는 학부모의 요

구가 계속 되었어요. 한번은 부모교육 때, 부모님들끼리 미리 의견을 맞추셔서는 단체로 항의

하시더라구요. 다행히 생태보육과정을 지지하는 다른 학부모의 설득으로 잘 넘어갔지만........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B, 집단면담)

처음에는 우리 아이는 산책을 데리고 나가지 말아달라고 이야기하는 부모님들도 종종 있어서

당황스러웠어요. 산책 갈 때만 다른 반으로 가게 하면 안 되냐고 하시기도 하고, 어떤 분은 언

제 산책 가냐고 물어보시기도 했죠. 그 시간 피해서 등원하려구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교사D, 개인면담)

그러나 이와 같은 학부모의 생태보육과정에 대한 반대적 입장은 생태보육과정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이해시키고, 실천을 통해 아이들이 변해가는 모습으로 증명하려는 원장

과 교사들의 지속적 노력으로 점차 변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

장어린이집에 보내는 부모라고 해서 모두 생태적 소양을 충분히 지니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생태유아교육기관 부모도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존재임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부모와의 소통

이 필요하다. 생태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은 생태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충분히 이해하

고 공감하면서, 모든 아이들이 자연과 하나가 되고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몸과 마

음과 영혼이 건강하고 행복한 신명나는 아이로 키우는 생태적 소양의 부모 자질을 함양하는

일련의 활동들이다(임재택, 2005). 본 연구에서의 각 직장어린이집에서는 이러한 학부모와의

잦은 충돌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위탁기관인 대학과 협력하여 정기적으로 부모교육과 생

태보육과정에 대한 설명회를 실시하였으며, 가정으로 자료집을 배포하고, 집단 및 개별면담

을 실시하는 등 힘든 노력의 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과정의 성과는 아래와 같이 시간

이 지남에 따라 학부모들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믿음과 지지를 보내는 든든한 후원자로 변

해가는 사례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부모님들이 생태유아교육을 이해하고 믿게 되는 건, 자료나 교육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아이

들의 변화인 것 같아요. 아이들이 재밌어하고, 집에 안 가려고 하고, 더 놀고 싶은데 엄마가 왔

다며 우는 아이, 종일제인데도 더 놀고 싶어 하고, 어린이집에 있으려고 하거든요...(중략). 주말

에 가족끼리 등산하고 오셔서는 아이가 나보다 더 잘 걷고 피곤해 하지 않는다며 뿌듯해 하시

고, 어린이집에 다닌 후로 감기를 잘 하지 않는다며 좋아하시더라구요. 첫째 아이의 변화를 보

고 둘째아이를 보내는 경우도 많아요. (2011년 4월 27일, A어린이집 교사E, 개인면담)

Page 15: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37

저는 생태보육과정에 가장 불만이 많고, 학습을 특히 강조했던 ○○엄마를 매일 등·하원 시간

에 잡고 면담을 하면서 왜 생태유아교육을 해야 하는지, 왜 좋은지, 특히 아이들이 얼마나 행복

한지를 이야기해주었지요. 또 하루 일과를 상세하게 페이지를 넘기면서까지 일일연락장에 적어

서 보내주었습니다. 그게 효과가 있어서 인지...(중략). 처음에는 서로 언성을 높이고 얼굴을 붉

히면서 싸움도 많이 했는데 지금은 이해도 많이 해주고 오히려 사업장에서 저희를 힘들게 하면

앞장서서 해결해주시는 가장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어요.

(2011년 5월 30일, B어린이집 교사K, 개인면담)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교사들은 한편으로는 직장 내에 어린이집이 위치하고 있어서 학부모

의 간섭을 많이 받으며(유현정, 2003), 좀처럼 가까워지기 힘들고 자기 아이만 먼저 생각하는

부모의 태도를 이기적이라고 느끼고 있으며, 자신들을 무시한다고 여기기도 한다(송경섭,

2006).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직장어린이집이 직장이라는 생활공동체를 함께 함으로써 자

신의 육아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수 있다는 신뢰와 유대감 형성의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기도 한다(권미량, 천혜영, 2006). 이러한 직장어린이집에서의 학부모와의 관계성에서의

상반된 특성으로 인해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원장과 교사들은 어려움을 느끼는 동시에

학부모를 생태유아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 함께하기 위한 끊임없는 소통에 대한 노력의 과

정이 있었다.

4.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들어 가야하는 운영관리 체계

본 연구의 면담에서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는 여느 다른 어린이집 보다 복잡하고

생소한 직장어린이집 운영체계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더군다나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

장어린이집 사례, 관련 정보가 없고, 필요한 실제적인 지원이 없어 적지 않은 혼란과 어려움

을 경험하였다고 한다. 특히 직장어린이집 원장은 개원 전부터 채용되어 인가 및 정부지원금

신청, 각종 신고 및 보고, 환경구성, 원아모집 등 개원을 위한 전반적인 준비뿐만 아니라 생태

보육과정을 실시하기 위한 실제적인 준비 과정이 필요했지만 직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나 지원체계가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았다고 토로했다. 현재 직장어린이집 설치와 운영에

대한 정보와 지원이 일반적인 보육과정 운영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내재

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어린이집 운영관리 체제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나

타났다.

처음엔 어린이집 공간만 있고, 개원을 준비하라는데 어떤 걸 먼저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했어

요. 어린이집에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기본서류, 구청에서 확인하는 예산서류, 안점점검 서류...

서식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많았어요. 더군다나 생태보육과정 운영에 필요로 하는 자료나 서

Page 16:  · 2014-08-25 · 1 ×& &)* 0

1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식을 찾으면 정보도 많지 않았구요. 그냥 아는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얻어오고...(중략). 11월까지

는(개원 후 3개월) 매일 11시에 퇴근 할 수 있었어요. 생태유아교육을 하는 어린이집 개원을 위

한 매뉴얼이 있었으면 좋겠더라구요. (2011년 6월 10일, B어린이집 원장H, 개인면담)

어린이집 설치와 개원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해주는 곳이 없는 것 같아요.

물론 지원센터들에서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많이 부족한 것 같아요. 사실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도 잘 몰랐거든요. 설치와 개원에 관한 기본적인 과정 안내나 자료, 서식 등은 관련기관

들에서 도움을 받고, 생태와 관련된 일지나 계획안, 자료 등은 생태어린이집에서 도움을 받았어

요. 제 생각엔 위탁기관인 학교에서 개원에 필요한 매뉴얼을 충분히 지원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

요. (2011년 5월 31일, A어린이집 교사C, 개인면담)

본 연구 참여 기관의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직장어린이집에서 생태보육

과정을 전면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준비 및 실행과정에 참여한 사람들로서 심리적인 압박과

부담이 더 컸을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직장어린이

집 설치·운영 지원체계 및 내용은 아직까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모든 과정을 스스로 도움 없

이 만들어 가야하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러한 지원체계의 부족은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

한 직장어린이집의 설치·운영의 확대를 가로막는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직장어린이집의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드러나는 비효율성, 분절성, 비체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같은 노력은 위의 면담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생태유아교육을 확산하려는 대학

과 지원기관에서의 직장어린이집을 위한 개원 및 운영관리 매뉴얼 개발과 적극적이고 체계

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

려움에 대하여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원장과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해결의 과정을 탐색하고, 나아가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의 개원에

따른 어려움을 경감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생태보육

과정 실행을 가로막는 닫힌 교육 공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아이들은 두 발로 땅을 딛고 머리로 하늘을 이고, 천지자연과 서로 감응하면서 자라야 한

Page 17: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39

다(임재택, 2010).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공간은 영유아보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설치 및 설비 기준이 갖는 근대성을 극복하고 나아가 단순한 물리적 환경이 아닌 생기 넘치

는 살림집, 자연과 함께 하는 생활공간에서의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러한 생태보육과정 운영에 있어 필요로 하는 공간적 특성을 사전에 반영하지 못한 잘못된 직

장어린이집 설치 방법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공간의 교

육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한 볼노프(Bollnow)는 공간의 두 측면, 즉 집의 내적인 안전한

영역과 자유로운 공간, 넓은 세계 등 더 큰 영역을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상대적인 짝으로

파악했고 이 둘이 함께 할 때에만 완전한 인간의 삶일 전개된다고 하였다(이부미, 2008). 이

처럼 생태유아교육의 공간은 아이들에게 집과 같은 편안함을 주고, 자연으로 나가 보다 넓은

세계로의 돌진을 동시에 이끄는 살림집이 되어야 한다.

교육공간에 대한 근대적 관점은 직장어린이집 설치 시 바깥놀이터에 대한 초기 관심과 투

자를 방해하여, 개원 초기 추가 공사를 진행하거나, 최소한의 실내 환경 구성만 이루어지게

하여 생태보육과정을 실행하려는 원장과 교사들로 하여금 장소적 한계를 경험하게 하게 하

였다.

대부분의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은 선(先) 건축공사, 후(後) 교육활동으로 분리하여, 설

치는 사업주 또는 사업장 담당자가 진행하고, 운영은 원장을 채용하거나 위탁운영기관을 선

정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참여 직장어린이집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운영되었는

데, 이와 같은 단절된 방식으로는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영유아의 건강

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어린이집의 설치와 운영의 진정한 의미는 아이들의 행복한 삶과 배움

이 살아 움직이는 하나의 유기적인 공간을 만들고 생기를 불어넣는 연속적인 과정이므로 설

치 계획부터 보육과정 운영 특성을 반영하여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낭비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직장어린이집 특성상 사업장 인근 또는 사업장 내 정해진 장소에 설치

되는 경우, 바깥놀이 공간, 산책로, 텃밭을 확보하는 일이 쉽지 않지만, 적어도 생태보육과정

을 운영하려는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태유아교육을 제대로 펼칠

수 있도록 대안적 교육 공간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직장어린이집은 반생태적 닫힌 공간 구성을 위주로 하는 현대 건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태건축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보다 자연을 닮은 생태적인 공

간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지원체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안전과 효

율성만 내세우는 사업장의 권위주의적 태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앞서 지적 한 바와 같이, 안전을 강조하는 사업장의 태도는 초․중․고등학교와 같이 대부

Page 18:  · 2014-08-25 · 1 ×& &)* 0

1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분 학교 건물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교육의 이미지와 인식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며, 안전사고의 책임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함이라 볼 수 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창의

성 있는 아이로 키우자는데 동의하면서 위험하다는 것은 전부 배제하고 철저히 관리된 환경

에서 보호하자는 주장은 완전히 모순되는 것이다. 유리가 깨지면 위험하다는 것도 모르고 자

라는 아이는 자기 관리 능력을 체득할 수 없다. 아이들은 과보호 환경 속에서 살아있는 긴장

감, 스스로 뭔가를 궁리해서 타개하려고 하는 창조력이 키워질 수 없다. 따라서 사업장은 양

질의 보호와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로서 아이의 과보호 세계에 가두는 가정과 사회 시스템이

아이들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안전과 비용 대 효율성만을 내세울 것이 아니

라, 인간 본연의 생명력을 믿고 제 뜻대로 뭔가를 펼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과 시간이 아이

들에게 보장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질적으로 우수한 직장어린이집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업주 또는 사업장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보육철학이나 어린이집의 특성, 직장어린이집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사전 교육이 필

요하며, 직장어린이집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 대한 사업장 담당자들의 이해가 바탕이

되었을 때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할 수 있다(차미영, 손원경, 2010). 따라서 사업장의 지원과

협력을 바탕으로 생태보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담당자를 대상으로

생태유아교육 및 생태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는 차미영, 손

원경(2010)이 지적한 바와 같이, 사업장 보육업무 담당자의 사전교육 의무제도 등을 만들어

서 사전 이해 부족에서 비롯되는 어려움을 경감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직장어린이집에서 설치자인 사업장과 운영자인 원장 및 보육교사들은 양질의 보호와 교육

을 이끌어가는 공동주체로서 서로 간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관계가 구축되어

야 한다. 직장어린이집은 설치자인 사업장이 보육과 관련하여 교육철학이나 전문적인 지식,

사전 경험이 전혀 없어 보육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하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자본 논리에

익숙한 사업장의 입장에서는 내재된 패러다임이 유사한 기존 보육과정을 지지하거나 교육적

특성을 무시하고 어린이집 운영을 기업식의 경제 논리와 고객만족만을 운영자인 원장에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업장의 관점은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려는 원장과 보육교사

의 가치관과 대치되는 것으로 개원 초기 성공적인 개원 준비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에

심각한 갈등과 충돌을 일으킬 소지가 많다. 따라서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와 함께 이들을 지원할 체계를 통하여 사업장의 생태

보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이끌어내고 이러한 공동 논의와 협력 과정 속에서 점차 공고

해지는 공동체적 관계를 형성하여 참여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얻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진짜 놀이

Page 19: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41

보다 학습만 강요하는 부모의 일방적 요구’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에 들어와 직장을 다니는 맞벌이 부모일수록 부모들은 조기교육에 전심전력을 다하며,

특히 직장어린이집 부모들은 자신들이 늦은 귀가로 실시하지 못하는 다양한 특별활동을 어

린이집에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 유아교육이 어린 아이들을 보다 일찍, 보다

많이, 보다 빨리 가르치려는 것으로 자리하면서 아이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이 병든 ‘불량품’

을 양산하는 불량산업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 유아

교육 문제를 제대로 풀려면 ‘아이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본성과 행복한 삶’에 대한 근본적

인 성찰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생태유아교육에서 교육공동체의 일원인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클수록

원장과 보육교사는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 몰입하고 최선을 다하기 힘들다. 직장어린

이집 부모들의 독특성으로 인한 관계의 어려움은 원장과 보육교사들에게 직무에 대한 불만

족을 야기하고(송경섭, 2006; 유현정, 2003; 홍은경 외 2007), 결국 원장과 보육교사의 질 높은

보육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학습보다는 자연 속에서 마음대로 뛰어노는 진

짜 놀이를 강조하는 생태유아교육 입장은 학습만을 강조하는 학부모의 입장과는 대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사업장에서는 직장어린이집 초기 계획단

계나 위탁운영의 선정단계에서부터 생태유아교육의 철학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충분한 안내

및 동의 과정을 선행하여 적어도 개원 후 생태보육 철학과 그 실천 방향으로 인한 부모와의

충돌은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에서는 생

태유아교육이 서로 다른 구성원들이 공동체를 형성해가고 서로의 가치관을 생태적으로 변화

해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함을 인식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참

여 직장어린이집은 개원 후, 위탁기관인 대학과 협력하여 부모교육․설명회를 실시하였으며,

정기적으로 자료집을 배포하고, 집단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명절과 절기에 따른 세시잔치,

사람공동체 생명공동체를 지향하는 행사를 운영하였다. 희망적이게도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

에 따라 부모님들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믿음과 지지를 보내는 든든한 후원자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생태유아교육이 보다 활성화되는 데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생태유아교육 관점에서 부모의 역할은 천지부모(天地父母)의 이치를 따르는 것으로, 아이

를 잉태하고 낳고 기르고 가르치는 것은 천지와 부모가 함께 해야 하고, 자연과 사람이 함께

해야 한다는 이치를 깨달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한다는 것(임재택, 2005)이며, 생태적 관점

에서 본 부모참여의 의미는 아이살림과 생명살림의 유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생태적 소양

을 지닌 생태적 부모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부모와 교사의 공동 노력 방안이라 할 수 있

다(이주영, 2011). 따라서 원장과 교사는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더 빨리, 더 많이, 더 일찍’을

Page 20:  · 2014-08-25 · 1 ×& &)* 0

1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요구하지 않고 잃어버린 자연 놀이 아이다움을 되찾아주어 몸 마음 영혼이 건강한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부모들과의 소통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원장과 교사는 부

모가 자식을 정성스럽게 교육하도록 돕고, 부모로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부모의 삶과 괴리되

지 않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개원초기 생태유아교육 운영과정에서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들어가야 하는 운영관리 체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직장어린이집의 생태보육과정 운영과정에서 드러나는 비체계적이고 비효율적인 운영

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매뉴얼과 산․학․관 협력 모형 개발이 요

구된다. 현실적으로 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기회가 없는 사업장이 자생적으로 교육철학

을 이해하고, 이를 어린이집 설치․운영에 적절하게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선행 연구

들(김미정, 최혜진, 2011; 김온기, 2006; 노동부, 2008; 이기숙, 박은혜, 김희진, 2003; 임선희,

정선영, 최원, 2003; 차미영, 손원경, 2010; 황순옥, 2007)은 어린이집 주체가 직장이라는 한계

성과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과의 협력 또는 정부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통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직장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운영에서 드러나는 비전문

성, 분절성, 비체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생태유아교육을 하는 직장어린이집을 위해 생태유아교육의 발상지인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공동체 등 생태유아교육 지원기관의 적극적이

고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요구된다. 대학은 생태유아교육의 운영관리 경험, 프로그램의 전문

성, 우수한 연구 인력을 활용하여 직장어린이집을 지원해주는 담당자(담당부서)를 배치하여,

적극적이고 실제적인 지원과 조력을 통해 생태유아교육 직장어린이집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듯 직장어린이집 내 생태유아교육의 확산을 위해 모델을 제시하고, 지

원체계를 마련해주는 것은 생태유아교육의 과제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들은 개원 및 개원초기 생태보육과

정 운영과정에서 생태보육과정 실행을 가로막는 닫힌 교육 공간, 안전과 효율성만 내세우는

사업장의 권위주의적 태도, 진짜 놀이보다 학습만 강요하는 부모의 일방적 요구, 도움 없이

스스로 만들어 가야하는 운영체계 등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생태유아교육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생태유아교육 실천에 있

어 지적되어 온 문제점인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부족과 생태유아교육 내 어린이

집 지원체계의 미비 등이 고스란히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의 원장과 보육교

사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생태유아교육은 더욱 활발한 학문적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 교사 연수 및 일반 학부모에 대한 홍보와 운동을 통해 생태유아교

Page 21: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43

육을 널리 알리고 확산해야 할 뿐 아니라, 실제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생태보육과정을 운영하

고자 하는 직장어린이집 요구에 따라 지원체계 및 지원내용을 마련하여 생태유아교육을 체

계적으로 실현해나가야 할 것이다.

Page 22:  · 2014-08-25 · 1 ×& &)* 0

1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참고문헌

권미량(2005).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미량, 천혜영(2006). 직장보육시설의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취업모의 삶을 중

심으로. 아동학회지, 27(1), 31-44.

김미정, 최혜진(2011). 직장보육시설 대학위탁 현황 및 위탁운영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11-434.

김수경, 서문희, 이유경(2006). 직장보육시설의 규제도 순응 제고 및 운영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김온기(2006). 직장보육시설 운영의 질적 개선을 위한 제언. 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시설지원

센터 2006년도 직장보육시설 설치․운영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pp.111-139.

김은주, 권미량(2005). 공동육아와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체계 및 운영원리. 유아교육논총,

14(1), 35-64.

문미옥(2007). 한국유아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7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의미. 한국생

태유아교육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7-52. 6월 23일. 부산: 부산대학

교 본관 대강당.

박지인(2005).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이야기. 부산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가족정책실 보

육정책과.

(2010).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0-71호.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가족정

책실 보육정책과.

서영희(2008). 표준보육과정과 생태보육과정의 운영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서영희, 김은주(2011). 만5세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과정 운영 연구. 생태유아연구, 10(2),

103-129.

손원영(2001). 재개념주의자들의 교육과정 개념. 현대와 신학, 26(1), 476-500.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세니, 박선미, 조희숙(2011). 생태유아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서 겪는 경력교사의 경험에 관

Page 23: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45

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27-58.

유현정(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육아정책연구소(2011a). 5세 누리과정 제정(안) 공청회. 공청회 자료집. 8월 12일. 서울: 외

교안보연구원 강당.

(2011b). 영유아가 건강한 성장·발달하는 공간을 위한 육아지원공간은 어떠해

야 하는가?. 2011년 제2차 육아선진화포럼 자료집. 10월 18일. 서울: 사회복지공동모

금회 강당.

이기숙, 박은혜, 김희진(2003). 직장보육시설 활성화 방안. 이화교육충서 교육과학연구소,

2003-06.

이부미(2008). 아이들의 삶과 배움의 공간. 교실이 전부인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8년

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 35-58. 11월 22일.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종합 문화관.

이윤미, 박선영(2010).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부모 관계의 특질. 유

아교육학 논집, 14(1), 69-91.

임선희, 정선영, 최원(2003). 직장보육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C대학의 경우. 교육 발전논

집, 24(1), 29-64.

임재택(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2008). 유아교육 공간, 비움과 채움의 길을 찾아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9-34. 11월 22일.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종합 문화관.

조순영(2008). 한국 전통 태교의 교육생태학적 이해. 한국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조용환(1999).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보문고.

직장보육시설지원센터(2010). 직장보육시설 설치·운영 현황조사 결과.

차미영, 손원경(2010).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17-37.

하정연(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일과운영과 환경구성에 관한 실천 사례연구. 유아교

육연구, 24(3), 95-118.

한남주(2011).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생태유아교육연

구, 10(1). 31-49.

홍은경, 백영숙, 김성숙(2007).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유아교

육학논집, 11(4), 55-76.

Page 24:  · 2014-08-25 · 1 ×& &)* 0

1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황순옥(2007). 한국직장보육시설과 외국직장보육시설의 지원체계에 대하 비교분석. 배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정숙(2000). 유치원 설림과 개원 준비 과정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2), 97-123.

Katz, L. (1987). The Experience of personal Chan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College, The Union Institute, Cincinnati, OH.

Kuhn, T. S.(2002). 과학혁명의 구조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김명자 역).

서울: 까치. (원저 1962 출판).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Mathison, S. (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 13-17.

Merriam, S. B. & Caffarella, R. S.(1999). Learning in Adulthood.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Olds, A. (2001). Child Care Design Guide. MD: McGraw-Hill Companies.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Sage

Publications, Inc.

Toffler, A. & Toffler, H.(2006). 부의 미래[Revolution Weath]. (김종웅 역). 서울: 청림출판

사(원저 2006 출판).

Page 25:  · 2014-08-25 · 1 ×& &)* 0

직장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가 개원초기 생태보육과정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147

Abstract

Difficulties for Principals and Teachers

in providing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Sung-Hee Hong, So-Young Im, Mi-Jeong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fficulties faced by principals and teachers in the

early stages of applying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t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ways to improve efficiency and support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Nine teachers in a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a

qualitative study. During this study, several in-depth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below.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had a hard time for

the following reason: 1)the closed educational space interrupted the activities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re Program, 2)the founder of the center's unilateral concern for the safety and

efficiency, 3)parental demands for learning rather than play, and 4)the difficulty of establishing

an operating system for the Eco-Early Childhood Educar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