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김 희 규* 1) 조 흥 순** 요 약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적합한 조직의 개념으로 학교를 유기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개 념이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다 . 학습조직은 전통적인 조직으로는 새로운 환경변화 에 대처할 수 있는 학습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 아울러 지식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학교교육의 기본 철학 및 방법론에 일대 변혁을 가하는 교육 개혁안이 학습조직이 추구하는 아이디어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교육 패러다임 에 대한 대안으로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이론을 고찰한다 . 아울러 교단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인들을 관련 문헌을 통해 추출하고, 나아가 학습조직 관점 에서의 학교교육의 방향 모색과 학습조직화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주제어학습, 학습조직, 학교교육, 학교변화 * 신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 Upload
    vanthuy

  • View
    21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김 희 규*1)

조 흥 순**

▣ 요 약 ▣

시 변화와 요구에 합한 조직의 개념으로 학교를 유기체 인 에서 바라보는 개

념이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다. 학습조직은 통 인 조직으로는 새로운 환경변화

에 처할 수 있는 학습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아울러 지식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학교교육의 기본 철학 방법론에 일 변 을 가하는 교육 개 안이

학습조직이 추구하는 아이디어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한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교육 패러다임

에 한 안으로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이론을 고찰한다. 아울러 교단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인들을 련 문헌을 통해 추출하고, 나아가 학습조직

에서의 학교교육의 방향 모색과 학습조직화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 을 제시하 다.

【주제어】학습, 학습조직, 학교교육, 학교변화

* 신라 학교 교육학과 교수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Page 2: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24 人力開發硏究 10(1)

Ⅰ. 서 론

지식 정보화 사회로 진 되면서 학교교육은 시키고 받는 타율 인 교육에서 학생 개개인

의 잠재력을 길러주는 자율 인 학습 패러다임으로의 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학교의 궁극 인 목 은 학생 심의 학습활동이라는 본질 인 개념에 근하고 있다

(Hoy & Miskel, 2001). 학생 심의 교육활동을 개하기 해서는 학교조직의 제도 개선과

구성원들의 역할변화에 따른 교사의 문성 개발을 주요 과제로 지 할 수 있다. 최근 교사의

문성을 신장하기 해서 학교를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 는 “조직학습

(Organization Learning)”으로 환하고자 하는 연구에 해 심이 높아지고 있다(이석열,

2007).

학습조직은 시 변화와 요구에 합한 조직의 개념으로 학교를 유기체 인 에서 바

라보는 개념으로, 기존의 통 인 조직으로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처할 수 있는 학습 능력

이 결여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학습조직에 한 기본 발상은 평생 동안 배워야 한다

는 철학을 조직의 상으로 구체화시킨 략으로써 조직의 구성원들이 지속 인 학습활동을

개하고, 그러한 학습을 하도록 조직 여건을 구비하여, 알고 있는 것을 실천으로 행하는 과정

을 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학습조직은 새로운 변화에 응하기 해 개인, 집단

조직차원에서 학습방법을 서로 공유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조직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조직은 외부 환경의 속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공성에서 오는 보수 인 측면

과 변화에 한 인식 부족으로 여타 조직에 비해 여 히 보호조직으로 남아있다. 더구나 부

분의 교육과정은 국가수 의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정형화된 교수방법을 따라 교육활동이 개

되기에 학생들은 교사가 제시한 진도 계획에 따라 배우고 익히는 타율 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구나 우리의 학교조직이 폐쇄성이 높다는 을 감안한다면 외부 환경과의 상호 교류

를 통한 이해 과정이 필요하다. 학습과정에서는 학교 내외에 걸친 다양한 정보 교류의 과정을

진행시켜 감으로써 학교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갈 수 있다는 의미에서 ‘학습하는 교사조직’

으로 악하는 것이 요하다(이윤식 외, 2007). 학교조직의 학습 역량을 제고시키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학습이 진되어야 한다. 학교조직도 일상 인 업무 수행과정에서 동료

교사들과 워크를 이루거나 는 비공식 으로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연스럽

게 이루어지는 학습을 발하고 학습 결과를 교사 체가 공유할 수 있는 구조와 풍토를 갖춘

학습조직으로 환되어야 할 것이다(김 화 외, 2006).

사실 학교조직은 개인 조직 차원에서 학습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어 진다. 이러

한 시각은 교육 개 의 변화 과정 속에서 제기된 수많은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학교를

Page 3: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25

학습조직으로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학습조직은 학습을 통한 조직변화의 응

방안으로 기업조직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교에서는 학습조직에

한 개념을 용하는 탐색 연구에서 벗어나는 있는 수 에 있다.

지 까지 학교조직에 용되어 온 변화모형은 부분 외부의 변화세력에 의한 하향 변화

략을 채택함으로써 조직 내의 변화수용자가 변화에 한 극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데 특징

이 있다(Sarason, 1995). 이러한 상은 학교 구성원의 참여와 공감 형성에 부정 인 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하여 Margaret(1994)는 학교조직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문제 양상을

총체 으로 재조명할 것을 제안하 다. 한 학습조직에 한 이론의 구축에 결정 인 역할을

한 Senge(1990)는 부분의 조직들이 환경의 변화에 단기 이며 근시안 으로 문제해결에

근하고 있다고 지 하고 있다.

더구나 학교는 어떤 목 과 과업을 수행하기 해 조직 구조의 틀을 갖고 목 을 달성하기

한 기술을 동원하는 조직 구성원인 사람들의 조직이다. 즉 학교조직의 구성요인, 즉 구조,

기술, 사람, 과업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효과는 극 화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조직 리 문헌에

의하면 학습조직이 갖는 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조직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통합 인

분석의 틀을 체계 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한 기존의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한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교육 패러다임에 한 안으로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의 이론 배경을

살펴본다. 아울러 교단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인들을 추출하여 학교에서 학습조

직을 구축하기 한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Ⅱ.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다가오는 미래사회는 새로운 지식과 능력을 가진 사람을 필요로 한다. 이에 일선 학교에서

는 기존의 교사 심의 타율 인 학습활동에서 학생의 자기주도 인 학습능력을 강화 한 다양

한 교육활동을 개해 오고 있다. 하지만 통 으로 학교교육을 지배해왔던 패러다임은 제한

된 틀 내에서 어디서, 가, 무엇을 지도하는지의 세 가지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학교라는 제도화된 장소를 심으로 개되는 학교교육이다. 학교교육에서 우선

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는 학교라는 개념이다. 우리는 흔히 가르치는 일은 학교만의 유물로

생각해 왔다. 특히 정보화의 진 으로 학교 이외에도 인터넷 등 다양한 지식과 정보의 원천이

존재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오직 학교

교육을 통해서만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Page 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26 人力開發硏究 10(1)

둘째는 교사 심의 시키고 받는 타율 인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이다. 교사의 질

수 은 학교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 인 요체이며 잘 가르쳐야 잘 배울 수 있다는 학교

의 교육 이미지를 구 하는 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셋째는 교과서 심의 주입식교육의 학교교육이다. 교재는 교사가 달하고자 하는 교육내

용을 학습자로 하여 교사의 강의내용을 이해하지 못해도 심리 안을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해왔다. 즉 지식의 습득 자체에 을 맞추기 보다는 새롭고 가치로운 지식을 창

출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박성익, 2005). 다가오는 미래사회의 학교교육에서는 창

의 문제 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정보 분석과 활용 능력 뿐만 아니라, 서로 동

하고 지속 인 학습과 생성을 추구하는 인간을 필요로 한다(곽병선 외, 2002). 이에 기존에 시

행되어온 학교교육은 미래사회에 새로운 모습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2006년 OEDC 산하기구인 교육연구 신센타(Center of Educatior Research and Innovation)

에서 측한 미래 학교교육에 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즉, 미래학교의 가능한 유형을

‘ 체제의 유지’ ‘학교 재구조화’ ‘학교 약화’ ‘학교 풍괴’의 네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특

징들을 ‘ 료제 유지’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사회센타로서의 학교’ ‘시장화 모형’ ‘학습자 네

트워크’ ‘학교제도 붕괴’라는 여섯 가지로 제시하 다.

구체 으로 미래사회는 지식기반사회의 심화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인구변동 가족

계, 노동시장 변화 등으로 학교 역시 커다란 도 에 직면할 것으로 측하고 있다. 미래의 학

교는 시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바 어 간다는 것이다. 교육 수요자, 즉 학생과 학부모

는 자유롭게 자신의 취향과 능력에 맞는 교육을 선택할 수 있으며 획일 인 규제가 아니라 평

가와 인증이 그 선택을 돕게 된다. 교육에도 기업가 정신이 들어와 교육산업을 이끌어 가며

많은 신이 이루어지지만 불평등과 격차가 심화될 우려를 제기하 다.

다음 시나리오는 정보통신기술의 비약 인 발 과 네티즌의 확산으로 학교가 다층 학습 네

트워크로 흡수된다는 것이다. 요한 학습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홈 스쿨링’이 일반화

되고 교육은 학교를 떠나 ‘개인화’가 이루어진다. 학교는 다른 기 과 별 차이를 갖지 않게 되

며 교사와 제자 구분도 불분명해지는 ‘크로스 보더’의 미래로 변할 것이다. 한 사회통합센터

로 변화하는 학교는 지식 수기 이라는 고유 역할보다는 지역 공동체의 가치와 규범을 지키는

사회센터로 변화된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느냐 보다는 지역 주민들에게 시민의

식을 키우고 서로를 돕도록 사회통합의 심역할을 하는 쪽으로 학교가 변하게 될 것이다.

학습조직으로 재탄생 하는 학교에서는 실험과 다양성 그리고 신의 문화 속에서 학교가 강

력한 학습조직으로 재창조될 것이라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범 하게 활용되고 지식경

이 면에 두되면서 학교는 고등교육조직과 연계된다. 한 새로운 교육학과 학습과학이

두되면서 교육의 지평이 방향 평행학습으로 확 된다. 교사는 물론 각종 당사자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학습하는 조직으로 변화를 시도한다(김희규, 2006).

Page 5: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27

<표 1> 미래 학교교육의 시나리오

미래학교 유형 특 징

▪ 체제 유지(Status quo) ▪시나리오 1: 료제 체제유지

▪학교의 재구조화(Re-schooling)▪시나리오 2: 핵심 인 사회센터로서의 학교

▪시나리오 3: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학교의 약화(De-schooling)▪시나리오 4: 시장모델의 확

▪시나리오 5: 학습자의 네트워크

▪학교제도 붕괴(System meltdown) ▪시나리오 6: 학교제도 붕괴

출처: CERI(2006). The Starter pack:: Futures thinking in action. OECD.

따라서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학교교육은 첫째, 교수 목표 내용에 신을 두어야 할 것이

다. 즉, 학교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주어진 교과서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탈피해

야 한다. 무한 의 지식 정보의 장고인 인터넷이 활용되고, 지식의 폭발 인 팽창과 지식의

수명 주기가 매우 짧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무엇보다도 창의 인 문제 해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에 한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어가고 있다(박성익, 2005).

둘째, 학교교육은 학생들 각자의 다양한 성과 능력을 개발시켜 주는 곳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격변상황에서도 원하는 안을 선택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춰주는

교육이 미래교육이다. 지식기반사회의 교수학습의 핵심은 기존의 발상에 구애받지 않고 상상

력을 풍부하게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창조 인 지식인을 양성하려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학교행정가 자신이 먼

창조 지식인이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을 보면 부분 학교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

자들이 창조 인 지식인의 특징을 제 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넷째, 개인 성취로부터 공동체 성취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 동안 우리의 학교교육은 획

일성과 통제에 기반한 교육체제 운 으로 한 서기 풍토가 지배 이었다. 다양한 체제들의

특징 인 발 을 통해 공동선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개인의 발 과 사회의 발 을 유인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학교에서의 학습은 부분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차원보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장하는 데 역 을 두고 있다. 학생들은 학습에 한 내재 동기, 입학과

동시에 학습 결과에 따른 서열화와 획일화된 교육과정 운 으로 창의 인 교육활동이 이루어

지지 못한다. 학습은 단지 한자의 어원처럼 ‘배우고 익히는 것’이 단지 지식의 축 을 한 의

미보다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응하기 하여 끊임없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여 능력을 개발

하는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김희규, 2007).

Page 6: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28 人力開發硏究 10(1)

Ⅲ. 안 에서의 학습조직

기존의 타율 인 교육으로 인하여 학교교육에 한 패러다임 환이 요구되는 시 에 학습

조직이론은 시스템 사고를 철학 배경으로 21세기 교육 화와 비 을 제시할 것으로 기

된다. 이러한 에서 볼 때 기존의 학교교육에 한 안 이론으로 등장한 학습조직을 새

로운 방향에서 근하고자 한다.

1. 학습조직의 도입 배경

학습조직 등장의 시 배경은 정보화 사회의 도래, 외부환경의 격한 변화, 조직 경

략의 미래지향 인 환,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요약될 수 있다. 학습조직이란 개념이 부상하

게 된 것은 1980년 기업의 TQM(Total Quality Management)조류와 맥을 같이하 다. TQM

의 등장은 소비자의 요구하는 에서 조직을 재정의하고 조직의 을 조직 내의 상뿐만

아니라, 고객과 시장으로 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다소 안정 이고 확실한 조직에서 불

안정한 시장과 유동성 있는 고객으로 심을 환시키게 되었는데, 이런 상황 맥락과 그것

에 한 처방안으로 등장한 생산 리이론들이 학습조직이라는 아이디어를 낳게 하 다

(Woolis & Finger, 1994). 그리고 조직을 평형상태가 아니라 지속 으로 변해 가는 역동 과

정으로서 이해하려는 조직론 학 의 논의도 학습조직 등장의 요한 배경이 될 수 있다.

학습조직의 논의가 교육분야에 일차 으로 심을 갖게 된 측면은 크게 두 가지로 나 어볼

수 있다. 하나는 학습조직의 구축원리와 방식을 학교조직에 용하고자 하는 흐름이고, 다른

하나는 기업교육에서 주로 다루어온 인 자원개발(HRD)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하고 그

것에 걸맞는 학습에 주안 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이론 인 심을 실제 용하는 문제

에 을 두었다.

학습조직의 구축원리와 방법을 학교조직에 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비교 많이 보인다. 이

러한 연구물을 살펴보면, 학교조직에 드러나는 료 경직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개 의

일환으로 학습조직의 원리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Fullan, 1995; Conzemius, 1996; 이군 ,

1997; 고기순 외, 2003; 김희규, 2004; 김한분, 2007; 이석열, 2007). 한 교육개 의 핵심 당

사자라 할 수 있는 학교장의 역할과 계를 새롭게 규정하고 이해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해

학습조직에서 제시되고 있는 리더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Issacson, 1992; Shield & Newton,

1994; 김 화, 2005). 그 외에 이러한 논의의 기본 심사와 연구 을 그 로 유지하면서, 다

른 공공조직에 용한 연구들도 있다(Shelley, 1993; Worrell, 1995; 김 환외, 2005; 배득종,

2007).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습조직의 개념과 실체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그 구축방안도 추상

Page 7: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29

인 수 에 머물러 있어, 학습조직이 갖는 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학습조직에 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2. 학습조직의 개념 특징

學習에 한 한자의 어원을 보면 ‘學’자는 문턱에 선 아이를 나타내는 상징 에 ‘지식을 쌓

는 것’으로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習’자는 ‘계속 연습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기 해 둥지를

떠나기 해 날개 짓 하는 어린 새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학습이란 ‘배우고’ ‘계속 익힌다’

는 의미가 하나되어 ‘자기완성에 통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학습은 구성원 개개인의 행

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며, 이러한 개별학습 행 가 조직의 략 목표와 연 되어 조직 내

에 확산․공유되면서 그 해당 행 능력의 유발이 더 이상 특정 개인에게만 국한되지 않을 때

(공간 확 ) 조직의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학습조직의 선구자인 피터 셍게(Peter Senge)는 학습조직에 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

하고 있다. Senge(1990)는 학습조직이란 ‘구성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

록 지속 으로 역량을 확 시키고, 새롭고 포용력 있는 사고능력을 함양하며, 집 된 열의가

자유롭게 설정되고, 학습방법을 서로 공유하면서 지속 으로 배우는 조직’이라고 정의하 다.

Garvin(1993)은 좀더 실천 인 면을 강조하면서 학습조직이란 ‘지식을 창조․획득․ 이하

고, 조직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반 하도록 조직의 행동을 조 하는데 능숙한 조직’으로 정

의하 다. Marquardt (1994)는 학습조직을 성공과 련하여 설명하면서 학습조직을 강력하고

집합 으로 학습하며 기업의 성공을 해 지식을 보다 잘 수집하고 리하여 이용할 수 있도

록 지속 으로 변화하는 조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학습조직이란 인간이 가진 특성보다는 조직이 가진 특성, 즉 교육이라는 목

과 교원의 사기, 그리고 지역사회와 국가와의 계를 고려하여 학습조직에 한 개념을 궁극

으로는 ‘지속 인 成長 기능 상태’로 보며 이런 궁극 기능을 구체 으로 환경의 응, 조

직의 개선, 그리고 지식의 공유로 정의한다. 지속 으로 성장하는 조직, 즉 학습조직을 구체화

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조직이란 학습을 통한 조직 구성원의 행동변화를 진시키기

고 학습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조직의 구조와 시스템을 조성하며, 조직의 학습과정을 통해 지

식을 생성하고 축 하여, 조직의 목 달성을 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역

동 인 조직이다.

학습조직에 한 개념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지만, 학습조직은 환경과 조직의 계에

을 주며, 새로운 미래에 응하기 해 개인학습은 물론 집단 조직수 에서의 학습을 통

해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하는 체제를 갖고 있다. 앞서 살펴본 학습조직의 정의에 의하면 학습

조직에 련된 공통 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Page 8: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30 人力開發硏究 10(1)

첫째, 학습조직의 기본 철학은 인간 존 을 통한 조직의 목표 달성에 있다. 학습조직은 인간

의 잠재 가능성을 인정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과 시각을 화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이것을 조직 장에서 실천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종의 인간을 시하는 경

신 략이다. Marquardt와 Reynolds(1994)에 의하면 학습조직은 조직이 지향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그것을 실행할 능력을 발 시키며 구체 인 조직활동의 성과를 통하여 조직

과 구성원 학습자의 만족을 지향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하 다.

둘째, 학습조직은 조직 구성원들이 능력을 증 하고 그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특징을 지니

고 있다. Mark, Louis와 Printy(2000)는 학습조직이 되기 해서는 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의 에서 교사들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참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 강조하 다. 조직 구성원들에 권한을 부여하고 자발 으로 주인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

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습조직은 실을 이해하고 실의 변화 방법을 탐구하는 조직으로서 성공과 실패,

장 과 단 , 당면 문제의 실을 정확히 지각하고 한 비 을 설정하고 실의 변화를 추

구해야 한다. Morris(1996)는 학습조직의 특징으로 재의 치와 미래의 방향에 한 명확한

비 제시를 들고 있다. 조직의 체 인 비 과 목표 가치를 제시하고 공유하는 것은 조

직 구성원들에게 학습력을 신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학습조직은 공식 이거나 정규 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훈련보다는 비공식 이거나

비정규 으로 이루어지는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 인 학습활동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Silins(2002)는 구성원의 행동 특성의 한 분야인 신뢰와 력 분 기, 험 감수, 비 목

표의 공유, 문성 신장을 한 노력을 하나의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학교에서 교원의 문

성 신장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직연수는 기존에 고정화된 틀 속에서 자발 인

참여보다는 규정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부분이다.

다섯째, 학습조직의 구축에 리더의 역할은 매우 요한 사항이다. 과거의 료제 형태에서

강조되어 온 리더십의 유형으로는 자발 인 참여를 유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학습조직이 구

축되려면, 외부 자극과 환경 변화에 반응하거나 응하는 학습도 필요하지만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 자발 으로 자기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학습하게 만드는 분 기 조성도 리더의 역할이

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리더는 지속 인 학습모델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구성원의 학습을 강

화하고 진시켜야 한다.

여섯째, 학습조직은 결과의 성격보다는 진행의 과정으로 본다. 과정을 시하는 학습조직의

특징 의사소통은 요한 기능을 한다. 학교조직은 조직의 특성상 교과 학년간 는 개

인간 의사소통이 단 되어 있다. 학습조직의 구조 특성은 상호 교류성, 유연성, 그리고 긴

한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조직은 모든 경계선을 개방시키고 정보의 흐름을 최 화하는 개방

인 의사소통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거의 부분의 조직은 빈약한 의사소통 체계로 인

Page 9: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31

해 생동 인 학습이 불가능하다.

일곱째, 학습 환경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인 라, 학습 인 라, 정신 인 라를 구축해야

하듯이 학교조직에서도 지식 기반사회에 응할 수 있는 환경의 기본 틀을 갖추어야 한다. 따

라서 Morris(1996)는 네트워킹(개인 이고 기술에 의해 지원되는)은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며

신속한 학습을 개할 수 있다. 학습조직의 정보와 정보 시스템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게나 그것을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나 정확하고 시기 하며 사용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여덟째, 학습조직은 지식의 창출, 공유 활용이 뛰어난 조직으로 조직 내부의 상황과 외부환

경을 선험 혹은 경험 으로 지각하고 당면한 문제 해결을 하여 지식을 창출하여 련된 사람

들과 집단이 공유하며 효과 으로 활용하는데 뛰어난 조직이다(Marquardt & Reynolds, 1994).

아홉째, 학습조직은 가시 으로 나타나는 단기 인 효과보다는 장기 인 측면에서 조직 구

성원 체의 학습력 신장을 통한 조직의 경쟁력 확보에 더 심을 갖는다. 학습조직은 장기

인 측면에서 조직의 역량을 향상, 구축하기 하여 생산 이고 창조 인 조직을 만들어 가는

경 신기법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학습조직을 운 하기 한 필수 인 조건은 조직의 수평화, 즉 수평 구조이다. 여

타 조직에서 조직을 수평화하여 제를 운 하는 것도 궁극 으로는 학습조직을 운 하기

한 것이다. 모든 구성원들은 유연한 조직 구조 속에서 의 성과와 개인의 업 에 따라 우

를 받는다. 바로 이러한 조직 운 의 원리는 기업체와 학교와는 별 차이가 없다. 학습조직은

조직 내에서 창조 인 변화능력을 확 하고 심화하는 학습을 유발하고 진하며 효율 으로

문제 해결을 이끌어 나가는 조직이다. 한 탈 료제를 지향하는 조직으로서 실질 인 합리성

과 민주 인 조직 리 략을 강조함과 동시에 조직을 하나의 살아있는 유연한 유기체로 보고

있다(Marquardt & Reynolds, 1994).

<표 2> 통조직과 학습조직

구 분 통 조직 학습조직

공유 비 효과성, 효율성 탁월성, 조직변화

리더십 유형 통제자 진자

작업집단 시 지

략 안내 지도(road map) 학습 지도(learning map)

구조 계층 구조 역동 네트워크

스텝 지식인(people who know) 학습인(people who learn)

기술

측정체계

응 학습

재정보고

생성 학습

균형 잡힌 득 표

자료: Hutt(1995), The learning organization some reflections on organizational renewal.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16(8), 19.

Page 10: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32 人力開發硏究 10(1)

Hitt(1995)는 통 조직과 학습조직의 비교를 통해 학습조직의 특징을 <표 2>와 같이 제

시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조직이 료제 조직에서 성과 주의 조직으로, 나아가 학습조직으로

발 한다고 지 하 다. Birker(1998)는 통 인 료조직과 학습조직을 Senge의 5가지 원리

를 용하여 구분하 는데, 학습조직의 개념을 임기응변의 해결책이 아닌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이 제되었다. 학교의 교원조직은 문성이나 문교과를 심으로 학년 교과

심의 제를 발 시키고, 수평조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교내에서 운 되고 있는 교과 연구회

나 기타 자발 으로 운 되고 있는 조직도 진 으로 학습 조직화하는 략을 수립하여 실천

할 필요가 있다.

3. 학습조직의 구성요소

학습조직에 한 정의가 다양하듯이 일반조직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조직에 한 선행연

구를 토 로 학습조직 구축에 필요한 구성요인들을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Senge(1990)는 학습조직을 통제에 입각한 조직 운 을 하는 통 인 료 조직과 근본

으로 다르게 구 해 주는 것이 바로 몇 가지 기본 인 원리에 능숙해 지는 것이라고 하면서

자아완성(Personal Mastery), 사고모형(Mental Model), 비 공유(Shared Vision), 학습(Team

Learning),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의 5가지 원칙을 제시하 다. 이러한 원리들은 유기

인 계 속에서 조직의 효과를 극 화할 수 있다고 하 다. 개인학습에 비롯되는 자아완성

의 이론 배경은 동기이론과 권한 임, 자아 효능감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사고모형

은 략 사고와 인지 이론 등이 심이 되고 있다. 집단학습에 기 를 두고 있는 비 의 공

유는 조직 행동론의 리더십 역과 기업문화의 연구에서, 학습은 집단역학에서의 문제해결

과정과 의사소통을 심으로 하고 있다. 끝으로 학습조직의 핵심인 시스템 사고의 이론 배

경은 시스템 역학에서 비롯되었다(손태원, 1996).

Tobin(1993)은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한 5가지 원리와 5가지 기반을 구체 인 수 에서 제

시하 다. 학습조직의 원리로 모든 조직원은 학습자이며, 조직원 상호간에 학습활동이 개며,

학습은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지속 으로 개된다. 한 학습활동은 소비가 아니

라 미래를 한 투자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하 다.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한 기반으로 뚜렷

한 리더십, 기능 문맹의 극복, 기능 편 함의 극복, 간 리자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한 Huber(1991)는 학습조직의 과정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습득에서 활용에 이

르기까지 정보경 에 강조 을 두고 학습조직을 설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학습조직의 구성

요소는 ① 지식획득, ② 정보분배, ③ 정보해석, 그리고 ④ 조직차원의 기억 등 4단계로 구분

하고 있다.

Page 11: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33

이론가 학습조직 구성요소

Senge (1990) ① 체제 사고 ② 문 소양 ③ 정신 모델 ④ 공유 비

⑤ 학습

Huber (1991) ① 지식의 획득 ② 정보의 ③ 정보의 해석 ④ 조직의 기억

Tobin (1993) ① 가시 리더십 ② 기능 문맹의 극복 ③ 기능 편 성 극복

④ 효과 인 학습 구성 ⑤ 진자로서의 리자

Marquardt &

Reynolds (1994)

① 한 구조 ② 기업 학습문화 ③ 권한 임 ④ 환경 분석

⑤ 학습 기술 ⑥ 지식 창출과 이 ⑦ 품질 ⑧ 학습 략

⑨ 지원 분 기 ⑩ 비 의 공유 ⑪ 워크와 네트워킹

Nevis, Dibella &

Gould (1995)

① 찰력 ② 업무성과 격차 ③ 측정에 한 심 ④ 실험 정신

⑤ 개방 분 기 ⑥ 지속 인 교육 ⑦ 운 의 다양성

⑧ 다수의 주창자 ⑨ 참여 리더십 ⑩ 시스템

ASTD(Gephart,

Marsick, Buren &

Spiro)(1996)

① 비 과 략 ② 리더십과 리 ③ 문화 ④ 구조

⑤ 변화 리 ⑥ 시스템과 로세스 ⑦ 의사소통‧정보‧지식시스템

⑧ 테크놀러지 ⑨ 업무성과 리․지원시스템

Gephart, Marsick,

Buren & Spiro(1996) ① 리더십과 리 ② 의사소통과 지식 시스템 ③ 문화 ④ 구조

Arthur Anderson

Co. & APQC(1996) ① 리더십 ② 기술 ③ 문화 ④ 측정

Redding (1997) ① 비 과 략 ② 리더십과 리 ③ 문화 ④ 구조

⑤ 의사소통․정보․지식시스템 ⑥ 업무성과 리 ⑦ 기술

Marquardt (1997) ① 학습 차원 ② 조직 차원 ③ 사람 차원 ④ 지식 리 차원

⑤ 기술 차원

Draft(1997) ① 비 과 문화 ② 권한 임 ③ 수평 조직 구조

④ 개방 조직 리 ⑤새로운 경력 리제도

Yang, Watkins,

Marsic(2004)

① 지속 학습기회 ② 화와 탐구 진 ③ 력과 학습

④ 학습공유 공유시스템 창출 ⑤ 권한 임 ⑥ 환경 연계 ⑦ 리더십

김 환(2003) ① 리자 리더십 ② 학습문화 ③ 가치

④ 행태 변화 ⑤ 참여 조직 구조 ⑥인 자원 개발

<표 3> 일반조직에서의 학습조직 구성요소

Page 12: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34 人力開發硏究 10(1)

Marquardt(1997)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시한 이론을 체계화하여 학습조직의 구축 요인을

학습, 조직, 지식, 기술, 사람으로 설정하고 학습조직 요인과 략을 악할 수 있는 기본 인

거를 제시하고 있다. 학교 조직의 틀 내에서 보면 학습은 가장 기본 인 변수이며 조직구조,

지식, 기술, 사람은 략변수로 간주하 기 때문에 학습조직의 근방법은 구조 근, 기술

근, 행태 근의 세 방향에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조직의 구조 특성으로는 권한 임, 의사소통, 의사 결정 등의 문제를 포함하며,

Marquardt와 Reynolds(1995)는 구조 요인은 조직 내에서 발행하는 학습활동을 진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 다.

둘째, 기술은 과업을 수행하기 한 방법으로 해당되는 것으로 정보인 라, 학습, 수업기

술 등과 련된 것으로, Pedler(1991)는 학습활동을 해서는 변화 략을 수립하고 정보 채

의 구축을 강조하 다.

셋째, 조직 구성원은 인간의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조직의 변화를 이루려는 방법으로 리더

십, 보상체계, 체제 사고, 참여와 헌신, 능력개발 등을 시하고 있다.

Redding(1997)은 학습조직의 측정단계를 제1단계 학습조직의 평가목 규명, 제2단계 학습

조직의 평가도입 방법의 선택, 제3단계 학습조직의 평가시행과 결과분석, 제4단계 학습조직의

실천 략의 개발, 제5단계 학습조직의 실 실행안 설계, 제6단계 학습조직의 실 실행

안 시행으로 구분하 으며, 한 학습조직의 실 실행안을 학습의 수 과 조직의 시스템 2

가지로 구분하 다. 그리고 학습의 수 에는 개인학습, 학습, 조직학습 등 3가지의 실행요인

을 제시하 으며, 조직 시스템은 비 과 략, 리더십과 경 리, 문화, 구조, 의사소통․정

보․지식 시스템, 성과 리, 기술 등 7가지의 실행요인을 제시하 다.

Draft(1997)는 학습조직 구성요인으로 비 과 문화, 권한 임, 수평 조직 구조, 개방 조

직 리, 새로운 경력 리제도 등을 제시하 다. 한 김 환(2003)은 리자 리더십, 학습문화,

가치 , 행태 변화, 참여 조직 구조, 인 자원 개발이 학습조직을 구축하는데 요한 요인임

을 밝히고 있다. Yang, Watkins, 그리고 Marsic(2004)은 학습조직 구성요소로 지속 학습기회,

화와 탐구 진, 력과 학습, 학습 공유 공유 시스템 창출, 권한 임, 환경연계, 리

더십을 강조하 다. 구체 으로 배득종(2007)은 정부기 들의 학습조직화와 산 감과의

계에서 학습조직의 구성요소들을 기회의 제공, 화와 탐구를 권장하는 조직 문화, 학습과

동학습의 권장, 학습을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는 체계, 비 공유와 권한 임, 조직의 바깥

사회 환경과의 연계, 략 리더십 제공 등을 들고 있다.

지 까지 제시한 연구들은 일반조직을 상으로 학습조직이 되기 한 구성요소들을 논의하

다. 일반조직에서 다루어진 학습조직에 한 개념을 학교조직에 여과없이 도입하기에는 교

육 목 과 특수성에 비추어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한 이지만 학교조직을 상으로

학습조직의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표 4>와 같다.

Page 13: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35

연 구 자 학습조직 구성요소

Leithwood & Aitken(1995)

① 임무와 목표 ② 문화

③ 구조와 조직 ④ 리더십

⑤ 정보 수집 ⑥ 의사결정

⑦ 규칙과 규정 ⑧ 지역사회와의 계

Leithwood, Leonard &

Sharratt (1998)

① 변형 리더십 ② 비

③ 문화 ④ 구조

⑤ 략 ⑥ 정책 자원

Devos, Broeck &

Vanderheyden (1998)

① 비 형성 ② 리

③ 의사결정 공유 ④ 권한 임

⑤ 변화에 한 기술 용

Marks, Louis (1999)

① 구조 ② 헌신과 력 활동

③ 지식과 기술 ④ 리더십

⑤ 피드백과 책무성

김희규(2004)

① 신념체계 ② 권한 부여

③ 비 공유 ④ 문성 개발

⑤ 체제 사고 ⑥ 리더십

⑦ 조직 구조 ⑧의사소통

⑨ 정보 시스템 ⑩ 지식창출

⑪ 지식 공유 ⑫지식 장

⑬ 지식활용

김 화, 김경화(2006)

① 목 과 비 의 명료화와 공감 형성

② 지도력의 공유와 교사 참여

③ 실험정신을 발하는 문화

④ 지식의 이 ⑤ 워크와 동

이석열(2007)

① 학교문화 ② 리더십

③ 의사소통 ④ 학습

⑤ 수평 구조

<표 4> 학교조직에서의 학습조직 구성요소

Leithwood외(1998)는 학습하는 학교조직에 해 실증 으로 탐구한 연구로서 학교에서 학습

조직을 진시키는 요건을 규명하 다. 조직학습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① 학습을 한

자극, ② 학교외 요건, ③ 학교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 다. 한 조직학습의 결과로 개

인 , 집단 이해, 기술, 헌신, 조직학습에 따른 교육실천을 고찰하 다. 조직학습에 향을

미치는 학교외 요인으로는 지역 교육청, 교육부, 지역사회 등이며, 학교내 요인은 비 , 문화,

구조, 략, 정책과 자원 등을 제시하 다.

Mark와 Louis(1999)는 조직학습을 한 학교의 역량과 교사에게 권한의 부여를 요시하

Page 1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36 人力開發硏究 10(1)

다. 그는 조직학습을 한 학교 역량의 하 요인으로 ① 지원 인 학교구조, ② 진 인 리더

십, ③ 헌신에 한 공유와 동 인 활동, ④ 지식과 기술의 유입, ⑤ 피드백과 책무성의 확

보 등을 제시하 다. 한 각 하 요인을 조작 으로 정의하고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교사 권

한의 하 요인들과 학교의 학습 역량 각 하 요인들과의 계를 분석하 다.

Silins외 (2003)는 학교조직이 학습조직에 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학습이 학생의 교육에

미치는 향에 한 일련의 종합 인 연구를 수행하 다. 이 가운데 학교가 학습조직에 되기

해서는 교사의 리더십과 학생의 참여도를 강조하 다. 그는 학교 상황변인으로 학생의 사회

경제 지 와 학교 규모를 선정하 다. 개변인으로 자원, 리더, 직원의 유형, 리더십의 만족

도, 지역사회의 심, 교사의 리더십, 조직학습과 교사의 업무를 선정하 으며, 결과변인으로

학생의 참여와 여를 선정하 다. 이 가운데 학습조직을 진시키는 요인으로는 ① 력

풍토, ② 신과 험 감수 문화, ③ 학교 실제의 개선, ④ 문성 개발을 들고 있다.

김희규(2004)는 학교조직에서 학습조직에 한 측정변인을 구성원 행동 특성, 조직의 시스

템, 학습의 실천 과정으로 구분하 다. 세부 하 변인으로 구성원 행동 특성은 구성원의 신념

체계, 권한 부여, 비 공유, 문성 개발, 체제 사고 등 5가지로 체계화하 으며, 조직의 시

스템은 리더십, 조직 구조, 의사소통, 정보 시스템 등 4가지로, 학습의 실천과정은 지식 창출,

지식 공유, 지식 장, 지식 활용 등 4가지로 제시하 다.

한 김 화․김경화(2006)는 학교의 학습조직수 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향

분석에서 학교의 학습조직 요인으로 목 과 비 의 명료화와 공감 형성, 지도력의 공유와

교사 참여, 실험정신을 발하는 문화, 지식의 이 능력, 워크와 동 등을 들고 있다. 한

이석열(2007)은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진하는 요인으로 학교문화, 리더십, 의사소통 뿐만 아니

라 학습이나 수평 조직 구조가 요하다고 지 하 다. 여기서 학습문화, 리더십, 의사소

통, 수평 구조를 형성해서 학습조직으로 변화시키는 기제는 바로 학습으로 하 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보면 학습조직도 사회체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학습조직

이론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체제 사고는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사회 체제 은

조직을 구성하는 것은 인간이며, 이러한 조직 구성원들의 상호작용과 활동 자체가 조직의 행

이며 조직행 자체가 조직의 기능으로 본다. 일반 으로 학교수 에서 조직 변화가 효과

으로 일어나기 해서는 조직의 구조, 기술, 구성원의 행동, 과업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련성

을 가지고 역동 인 변화과정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 이다.

본 연구에서도 Marquardt (1997)의 연구를 발 시켜 학습조직의 구성요소를 사람, 구조, 기

술, 과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을 구체 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

의 행동특성 요소는 학습을 진하거나 활성화시키는 개인차원의 요소들로서 비 추구, 체제

사고, 창의 사고, 능력 개발, 자기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구조는 권한, 역할, 업무

의 흐름, 의사소통 등의 문제를 포함한다. 셋째, 기술은 문제해결을 해 사용되는 과학

Page 15: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37

리 경 등으로 기술이 변화는 조직의 구조와 과정을 변화시키는 요인이기도 한다. 끝으로 과

업을 수행하기 한 하 요인으로는 직원개발, 학습풍토, 지원체제 등을 들 수 있다. 학습은

학교에서 가장 요한 과업으로써 수업의 질 향상과 연계되며 이러한 과업을 수행하기 해서

구조, 기술, 사람이 필요하다. 우선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해서는 목표달성을 한 실질 인

변화와 조직의 목표가 무엇이며, 조직의 목표를 어떻게 달성해야 하며, 조직의 구조는 어떻게

설계해야하는지를 이해하기 하여 사람이 필요하다.

Ⅳ. 학습조직 에서의 학교교육의 구축 방향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을 사회체제로 보고 이러한 요소들을 학습조직의 구성요소로 보았

다. 학자들이 주장하는 이론들을 분석․종합하면 학습조직의 구성요소는 ①인간 차원, ② 구조

차원, ③기술 차원, ④과업 차원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을 구체 으로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학습조직의 핵심요인으로 우선 학습리더의 지도성, 구성들의 자기개발, 리더와 구

성원간의 신뢰를 강조하는 인간 차원, 끊임없이 학습활동을 개하는 학습문화, 유연한 조직

구조,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권한 임 등 구조 차원, 학습을 지원하는 정보인 라,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는 역량, 다양한 정보공유체제 등 기술 차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학부모와의 력

계, 체제 사고, 화와 토론을 통해 비 을 공유하여 수업의 질 향상과 연계되는 과업 차원

등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인간 근은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 변화를 통해 조직의 신을 도모하고자 한다.

즉 구성원들의 동기, 의식, 태도 등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을 창의 으로 개발할

수 있고 조직 구조도 변화할 수 있다. 이 게 함으로써 조직의 과업수행 수 도 높이고 개인

의 성장과 자아실 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학교조직이 가장 심을 가져야 할 분야가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변화라 할 수 있다. 학교조직의 구조와 그 과정상의 문제 개선도 요

하지만, 교육은 교사와 학생이라는 조직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 결과로써 나타나게 마련이므

로 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것은 교사의 행동이다. 조직의 변화를 구성원들의 행동변화를 통해

근하려는 행태 근법을 조직 개발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조직 구성원의 행동, 가치 , 신

념의 변화뿐만 아니라 집단행동, 조직체 행동, 그리고 조직문화에 이르기까지 여러 수 에서

변화를 가져오도록 만드는 장기 인 변화 략이며 과정이다. 이 근은 참여를 통해 지도자

가 의도한 성과를 얻어내는 방법으로서 변화에 항할 때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참여를 강

조하기도 한다. 즉, 자발 인 참여와 헌신, 능력 개발과 성장이 학교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

단 학교의 지역 연계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해서는 학교운 원회 개선과 집단․조직

학습을 한 동료장학 활성화 력 조직 구조형성을 한 분산 지도성 연구를 강조할

Page 16: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38 人力開發硏究 10(1)

필요가 있다. Sergiovanni(2007)는 교장의 지도력을 궁극 인 가치에 심을 가진 교환 지도

력(transactional leadership)에서 미래지향 이며 이타 이며 가치와 신념을 지닌 변 지도

력(transformational leadership)으로 환된다고 하 다. 이를 해서는 교육행정가들이 료

행태에서 벗어나 비 제시를 통해 교사들의 태도, 가치에 변화가 올 수 있도록 변환 지도

력을 발휘해야 하며, 한 권한 임(empowerment)을 통한 교사들의 동료 계를 기 로, 교육

의 가치, 의미, 목 을 공유하는 학교공동체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Jazzar, M., & Algozzine, B,

2007).

따라서 구성원 차원에서의 학습조직 구성요소는 조직의 목 과 과업을 명료화하여 구성원들

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하다. 한 목 과 과업에 해 구성원들간에

공감 를 형성시켜 구성원들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학습이 방향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특

히 교사의 문성 향상을 해서는 교단을 학습조직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조 근에서 보면, 학교 구조의 변화는 앙의 리 통제에서 분권화

(decentralization)로의 이양이 세계 인 경향이다. 서구에서는 학교단 자율경 책임제가 채

택되어 학교 단 에서 인사. 재정 등 실질 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구조 개 이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권한 이양은 교사와 학생에게 이어져 교사 자율권 확 (teacher

empowerment), 학생 자율권 강화(student empowerment)로 나타나고 있다(Beck, 1995). 이것

은 교육기능의 독 체제에서 공유체제로 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의사결정의 주도권이

기 심, 행정가 심에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집단으로 차 참여자의 범 가 확

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민주 인 의사결정은 참여 의사결정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공유 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으로 되어야 할 것

이다.

한 일상 인 업무수행 과정에서 동료교사들과 워크를 이루거나 는 비공식 으로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학습을 발하고 학습 결과를 교사 체가 공유할 수

있는 구조와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김 화, 2005). 조직 내부에서 학습이 발생하기 해서는 명

령통제 심의 수직 조직구조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율성을 최 한 보장되는 수평 조직

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계 이고 획일화된 조직 구조에서 탈피하여 일의 의미(meaning)

와 가치(value)를 부여하고, 자발 ․헌신 으로 참여하는 체제 구축이 요하다.

따라서 단 학교는 다양한 이론 에서 교육체제의 가치․학습․배려 공동체 구축 연구

에 매진해야 한다. 한 학습 인지 과학 시각에서 학생의 학업성취 제고를 한 교수․

학습 방법 개발과 교육시설․환경 구축에도 교육 심을 기울여야 한다. 단 학교의 지역

연계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해서는 집단․조직학습을 한 동료장학 활성화 력 조

직 구조형성을 한 분산 지도성 연구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박선형, 2006). 거시 으로 학교

와 교육청과의 계를 상호의존 계로 재설정하고, 교육청의 역할도 지원 방향으로 새롭

Page 17: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39

게 규정해야 할 것이다. 교육행정가들은 학교변화의 동반자로서 교사와 학부모들을 의사결정

에 극 으로 참여시키고, 계형성도 료 인 수직 계에서 문 인 수평 계로 조정되어

야 할 것이다.

셋째, 기술 근에서 시 심사는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 등의 IT의 출 으로 교육조

직의 계성과 지도력에 커다란 환 을 마련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교육자원을 효율 으로

활용하고 세계화․개방화의 조류에 힘입어 다양한 정보의 교환으로 상호의존 인 계를 형성

하는 지구 시 에는 공유-조장주의 패러다임이 개될 것이다. 개방체제의 입장에서는 개인

에서 지구 공동체까지 다 수 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학교형태가 공존하며 동시에

하나의 상징 인 교육행정 모델로 통합되어가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이에 정보공학의 활용은

교육의 역기능에도 불구하고 학습은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양한 매체로 이루어진 자료를 제공

함으로써 학습을 능동 이게 하고 창의성을 길러 과 동시에 기존의 교과과정과 일반 교수-학

습 과정에 분산․통합하여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학습 개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

이다.

성공 인 학습조직이 되려면 개개 구성원들이 소유한 정보나 지식을 조직차원에서 습득하고

이를 다른 구성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장하고 배분해야 할 것이다. 이를 해서는

정보 인 라가 구축되어 선행되어야 한다.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고 창출- -보 하는

과정에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해야 하며, 이는 조직의 업무 효과를 제고시키고 각종 자료와 정

보 지식을 필요한 사람에게 시에 공 을 가능하게 한다. 한 다양한 소 트웨어를 활용

하면 조직 구성원들의 집단 력활동을 강화시켜주고 다양한 이나 견해를 공유할 수 있

게 해 주어서 조직의 분 기를 개방화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만큼 정보 기술의 활용은 조직의

학습에 지 한 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넷째, 과업 근에서 업무는 체 으로 수업, 장학, 리, 행정지원 사, 학생을 한 특

수 사로 나 어 볼 수 있다. 학교교육에서 가장 요한 과업은 수업으로 나머지는 수업을 지

원해 주어 학습 성취를 극 화하기 한 하나의 수단이다. 행정업무가 수업의 보조 수단이지

만 한 수업에 한 리, 수업의 효율성을 극 화하기 한 직․간 인 지원체제로 볼 수

있다. 과업수행에 한 은 반 으로 규제주의에서 조장주의로 변해가고 상황이다. 즉 법

규에 근거한 상 자의 지시, 명령의 차원이 아니라 교육 주체자들(교사, 학부모, 학생)을 해

요구, 가치, 희망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면으로 바 고 있다. 이것은 단편 이고

분석 인 차원에서 총체 이고 종합 인 형태로 과업이 이동하고 있다.

교사의 역할 측면에서는 학습사회로의 진화는 교육과정 참여자의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요

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발 은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에 큰 향을 것으로 기된다. 시키

고 받는 타율 인 학습형태에서 탈피하여 교사는 지식습득과정에서 정보를 제공하며, 우선

으로 학습자를 책임감 있고 자율 인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자극하고, 지원하고, 고무하는 조

Page 18: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40 人力開發硏究 10(1)

언자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한 별 학습에서 학습을 조직하고 지원하며, 학습자간, 교

사와 학생간, 교사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개자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학교가 변화의 핵심부서로서 부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진시키는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자신의 문 성장을 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문직 종사자로서 자신의 문성을 신장시키는 일은 교사의

일차 인 책무가 아닐 수 없다. 나아가 학생에 한 깊은 인간 심과 배려는 교육성립의

기본 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타율 인 교육으로 인하여 학교교육에 한 패러다임이 환이 요구되는 시 에 학

습조직이론은 시스템 사고를 철학 배경으로 21세기 교육 화와 비 을 제시할 것으로 기

된다. 이러한 에서 볼 때 학습조직은 기존의 학교교육에 한 안 이론으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해 것이다.

Ⅵ. 결 론

오늘날 학교가 감당해야 할 과제는 창의성과 개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 응하고 그

사회를 발 시킬 수 있는 인간을 기르는 일이다. 사회 환경이 학습사회로 진 되면서 타율

인 통 인 패러다임에서 자율 학습 패러다임이 요구되어진다. 구성원들이 업무 활동과

함께 학습활동을 체질화시킬 수 있는 사람, 구조, 기술 과업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조직의 효과성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한 기존 패러다임의 환에 따라 학교교육의 이상형이라 불리는 학

습조직이론을 안 에서 조명해 보는데 있다. 오늘날 학교조직은 행정 리 체제라는 고

조직 개념에 탈피하지 못한 채 과거의 행태를 답습하고 있는 것이 실이다. 하지만 시

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교실 수업과 교직원의 학습을 통한 통합 인 환경체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외부의 환경변화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학습조직은 과거의 경 신 기법처럼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 없다. 왜냐하면 학습은 곧 삶이요, 일 자체이기 때문이다.

학습조직에 한 학교교육의 시사 은 인간의 학습능력과 학습자발성을 신뢰하고 존 하며,

주체 학습활동을 정당화하는 학습주의 철학을 복권시키자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주의는 인

간을 교육받아야 할 교육 상으로 보다는 스스로의 학습능력과 학습자발성을 지니고 있는 학

습 상으로 이해한다. 더구나 삶과 착된 비공식 학습활동이 일어나기 한 필요조건에 불

과하므로 학교교육의 성과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제공하는 노력보다는 학습활동을 어떻게

진시킬 것인지에 한 노력에 따라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학습주의는 학교교육을 학습

자 스스로 수행하는 학습 패러다임으로서의 환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Page 19: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41

학교조직에서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해서는 일상 인 례에서 문 인 학습공동체의 변

화가 요구될 것이다. 유연한 학습조직의 구축을 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에게 의식 환을 요구

하며, 나아가 교직원 상호간에 신뢰를 필요로 한다. 더구나 학교의 핵심 리더인 학교장의 지도

성이 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기에 학교장은 학교 교육의 공통된 목표와 비 설정에 교사들을

극 참여시켜 학습조직 문화를 창출하는 데 익일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학교장의 변화 진

행동은 교사의 효능감에 직 으로 향을 미치므로 기존의 행정이나 리면 보다 수업을 지

원하는 지도성에 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에 교장은 교사의 수업지원과 권한부여, 직연

수를 통한 문성 개발에 비 을 두어야 할 것이다. 한 통제자나 감독자보다는 코치로서 교

사 체가 효과 인 학습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여건을 조성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가정과 지역사회의 각종 기 과 유기 인 력 하에 학교가 심 인 센타 구실을 하

면서 지역사회의 인 자원을 활용하는 공동체로서의 학교를 의미한다. 성숙된 학습조직을 만

들기 해서는 교육활동의 핵심주체인 교사의 사회․심리학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의 문성 신장 차원에서는 공식 인 직연수보다는 비공식 인 동료장학과 학습을 통

해 학습결과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교단을 학습조직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를 해서

는 과거지향 료 형태에서 교단교육을 지원해 주는 심체제로 환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는 개방체제로의 환으로 자율학습, 개별화 학습의 형태를 지향하여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제반 교육자원을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조언하는 기능을 한다. 나

아가 교육에 한 본질을 인식하여 학교행정가 주의 의사결정권이 교사․학생․학부모들에

게 이양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교체제는 개방화․세계화의 조류에 의해 많이 논의되고

있는 장기 이면서 실행 가능성이 있는 바람직한 학교형태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습조직이 학습사회의 축소 이라면 학습활동을 학교교육 이외의 부가 인 활동으로

생각하는 풍토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 공식 인 학교교육이 차 어들면서 삶의 장에서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시기에 하는 교육정보나 지식을 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시교육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기존의 교육방법이나 형태를 바꾸기에

앞서 고정 념에 한 생각을 바꿔야 한다. 교육형태 방법은 어디까지나 목 달성을 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교육조직 측면에서 학교는 교육부문의 학습조직화가 추진되면서 변 의 핵심조직으

로 정면에 부각될 필요가 있다. 자신의 공과목만을 학생을 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교사

집단을 인식돼 왔던 학교는 지식을 달기 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발상은 버려야 한다. 장기

으로 학교조직은 삶의 장과 긴 한 의사소통의 채 을 통해 보다 장감 있는 학습용 소

트를 제공하고 학습장의 학습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

색하는 학습 컨설 으로 그 역할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Page 20: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42 人力開發硏究 10(1)

참 고 문 헌

고기순(2003). “홀리스틱 학습조직을 통한 학습 사례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제7권 제2호.

pp. 1-21.

곽병선 외(2002). 21세기 교육인 자원개발의 방향과 원칙 설정에 한 연구. 교육인 자원정책

원회.

김 화 외(2005).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등학교의 조직학습 진 요인에 한 다층분석-.”

교육사회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05-128.

김 화 외(2006). “ 등학교에서의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향에 한 계 선형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23.

김 환 외 (2005). “경찰작용 효율화를 한 경찰 학습조직의 체계화에 한 연구.” 법학연구,

제20집. pp. 601-619.

김한분(2007). “ 등학교 교육문화 형태, 학습조직 수 그리고 조직효과성간의 계.” 국민

교육논총, 제26집 제2호. pp.267-300

김희규(2007). 학교조직과 학습조직.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김희규(2004).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용에 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1

호. pp.67-87.

박 량(1996).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박선형(2006). 교원의 문성 개발을 한 인지과학 연구: 쟁 , 이론 기제 개발실천 과

제. 교육행정학연구 제23권 제2호. pp.91-116.

박성익(2005). “홀리스틱 교육패러다임과 학교교육 신.”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추계학술 회

논문집. pp.3-16.

박수연(2001). “미래의 학교지도자가 가져야 할 가치 .” 교육행정학연구 제19권 제4호.

배득종(2007). “정부기 들의 학습조직화 정도와 그것이 산 감에 미친 향.” 한국사회와 행

정연구 제18권 제3호. pp. 19-40.

이군 (1997). “학습조직이론의 교육조직에의 용에 한 탐색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제15권

제3호. 554-582.

이석열(2007). “교사의 학습 활동 분석과 학습조직의 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

호. pp.95-115.

이윤식 외(2007). 교직과 교사. 서울: 학지사.

주삼환(2003). 교육행정 교육경 . 서울: 학지사.

Anderson, B. L (1993). The stages of systemic change. Educational Leadership, 51(1),14-17.

Argyris, C. (1991). Teaching smart people how to learn. Harvard Business Review, 69(3),

pp.99-109.

Page 21: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 143

Argyris, C., & Schon, D. A. (1978). Organizational learning: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Readinog, MA: Addison-Wesley.

Beck, L. G(1995). School-Based Management as School Reform. Corwin Press.

Burrel, G., and Morgan(1980). G. Sociological Paradigm and Organizational Analysis. London:

H.E.B.

Garvin, David A.(1993).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pp.79-91.

Huber. G. P. (1991). Organization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 Science, 2, 88-115.

Hoy, W. K., & Miskel, C. G (2001).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th ed.). New York: McGaw-Hill, Inc.

Isaacson, N., & Bamburg, J. (1992). Can schools become learning organizations? Educational

Leadership, 50(3), 42-44.

Jazzar, M., & Algozzine, B.(2007). Keys to Successful 21st Century: Educational Leadership.

Pearson Education, Inc.

Marquardt, M.T.(1996). Buil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McGraw-Hill

Mayer, R. E.(1998). Models for understandi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 43-64.

Leithwood, K., & Aitken,R.(2000). Making Schools Smarter. California: Corwin Presss, Inc.

O'Neil,J. (1995). On schools as learning organizations: A conversation with Peter Senge.

Educational Leadership, 52(7), 20-23.

Sarason, S. B.(1995). Somer reactions to what we have learned. Phi Delta Kappan, 77(1),

84-85.

Senge, P. M.(1990a).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urrency Doubleday.

Senge,P.M.(1990b). 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 :The leader's new work: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s. Sloan, Management Review: Reprint Series, 32(1).

Senge, P.M.(2000), A fifth discipline: schools that learn New York: Currency Doubleday.

Sergiovanni, T,J. (1992). Moral leadership: Getting to the heart of school improve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Sergiovanni, T. J. (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Marsick, V. J. & Watkins, K. E. (2004). The leaning organization: an integrative vision for

HRD [Electronic vers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terly, 5(4), 353-360.

Page 22: 학교에서의 학습조직화 구축 방향 탐색20%B1%E8%C8%F1%B1%D4-%C1%B6… · 人力開發硏究 The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8, Vol.10, No.1, pp.123-144

144 人力開發硏究 10(1)

Abstract

Inquiring the Direction for building on learning organization in school

Kim, Hee-Kyu (Silla University)

Jo, Heung-Soon (KFTA)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building on learning organization by an

alternative plan of existing paradigm to the school settings.

For 21st century, school organizations need to acquire new information, process it,

make it a new knowledge creatively, shared it with all faculty within the school, further

to apply it to their real job settings promptly.

Accordingly learning organization is a system that creates new values, which is

focused on changes. also it is holds a learning models in common in every dimension.

The individual enterprise try to cope with a change in economic circumstance, but public

organization does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varying scholars'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s of the four core factors to build

the learning organization: structure, technology, person, task.

The findings noted that the initial object of change in education is not students, the

classroom, or the system; it is the attitudes and conceptions of educators themselves. this

remind that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things; it is a people situation

Not just administrator, parents, community but also the groups of people that most

influence on learning in school- the educators and learners.

[Key Word]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School Education, Schoo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