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Educational Technology Ewha Womans Univ.

교육공학 학습저널

  • Upload
    seoge14

  • View
    400

  • Download
    4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교육공학 학습저널

Educational Technology

Ewha Womans Univ.

Page 2: 교육공학 학습저널

Educational Technology 발행인 서은지 발행일 2013년 6월 20일

Educational Technology 발행인 서은지 발행일 2013년 6월 20일

Page 3: 교육공학 학습저널

I N D E X

교육공학 개요 02

학습촉진 : 학습자 이해 11

학습촉진 : 학습자와의 소통 14

학습촉진 : 학습과 학습이론 18

수행향상 22

창출 : 교수설계이론 23

창출 : 교수설계전략 27

활용과 관리 32

자원과 과정 33

교육공학의 미래 34

Page 4: 교육공학 학습저널
Page 5: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육공학 개요

Page 6: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육공학의 어원

Education; Education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중 bring up(기

르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 ‘educare’ 에서 유래

되었다. 고대에는 잠재력을 끌어내어 발휘하다

(educere)와 안내하다(ducere)라는 의미를 가지

고 있었으나, 현대에는 개인이 사회에서 가치

있는 능력과 태도 및 행동을 개발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뜻하는 말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Technology; Technology는 그리스어에서 기술, 기교 또는

기법을 뜻하는 ’techne‘ 로부터 유래된 단어

이다. 고대에는 기예(art), 공예(craft), 기술

(skill)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대

에는 과학적이고 조직적인 지식을 실제 과제

해결을 위해 체계적으로 적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03

Page 7: 교육공학 학습저널

Comenius ‘교육공학의 조상‘이라고 불리고 있는 코메

니우스는 교육에 있어 개인 흥미, 난이도, 학

습의 순서를 고려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감

각적 경험을 강조하여, 1657년에는 그림을

삽입한 최초의 언어교과서인 ‘세계도회‘ 를

제작한 바 있다.

Pestalozzi 스위스의 교육자인 페스탈로치는 자연주의

교육론을 바탕으로 교육이론을 내세웠다.

교수방법의 심리학화를 주장하였으며, 자발

성과 자기활동에 의한 직관주의 프로그램

을 강조하여 실험학교를 설립했다.

Fröbel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유아교육을 중시하여 세계 최

초로 유치원을 설립하였다. 또한 상징적

지식을 강조하는 교수자료를 강조함에

따라 ‘가베‘ 를 창시하였다.

교육공학의 토대 감각적 실학주의

• • 04

Page 8: 교육공학 학습저널

시각교육 Visual Education 1923년, 교육공학 첫 공식기구인 미국

의 시각교육국(DVI) 중심으로 시작되었

다. 시각교육은 언어 중심의 교육방법에

서 탈피하여, 구체적인 학습 경험을 제

공할 수 있는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를 통해 학습자의 흥

미를 유발하고 학습활동을 자극하여 효

과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시각자료를 단지 교사의

보조물로 간주하고, 독자적인 교수방법

의 개발이 부족했다는 한계가 있다.

시청각교육 Audiovisual Education 시청각교육은 1930년 말부터 축음기가

보급되고, 유성영화가 출현하는 등 음향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시작되었다. 1947

년, 교육에 청각적인 요소가 통합되면서

시각교육국은 시청각교육국(DAVI)으로

개칭되었다. 시청각교육은 시청각매체

를 활용하여 구체적 경험을 강조하고,

학습의 효과를 높였다. 대표 모형으로는

Hoban의 시각교재 분류와 Dale의 경험

의 원추 모형 등이 있다.

시청각통신 Audiovisual Communication 2차 세계대전 이후 교육은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여겨졌다. 또

한 교수 학습 과정을 하나의 체제로

보았다. 이에 따라 시청각교육국은 커

뮤니케이션 모형과 체제 모형에 관한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대표 모형으로

는 Berlo의 SMCR, 시청각통신과 교

육통신 관계모형(AECT) 등이 있다.

05

Page 9: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수공학 Instructional Education 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달로 인해 교육과

정에서도 과학기술을 도입하게 되면서,

시청각교육국은 1970년 교육통신공학

회(AECT)로 개칭하였다. 교수공학은 ‘과

정‘ 에 초점을 두고 통신, 체제, 학습이

론 등을 통합적 개념으로 인식하였다.

행동과학이론과 학습이론을 활발히 연

구하여 교육공학의 발전에 기여한 바 있

다. 대표 이론으로는 Skinner의 행동주

의 학습이론, 프로그램 학습과 teaching

machine 개발 등이 있다.

교육공학 Educational Technology 1994년 ‘교수공학‘의 정의에 의해 주요 관

심사는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에 있

었다. 교수공학은 목적적이고 통제적인

학습 상황을 다루었지만, 교육공학은 인

간 학습의 모든 국면을 포함한 문제를 다

루고 총체적인 접근과 해결방안을 도출한

다는 것이 특징이다. 2008년도 최신의 정

의에서 교수공학은 ‘교육공학‘ 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교육공학은 학습에 초점을 두고 지식습득은 물론 수행향상을 도모하며, 이를 위해 자원을 창출, 활용, 관리하고 현장에서의 실천은 분야에서 수립한 윤리강령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06

Page 10: 교육공학 학습저널

Skill

Knowledge

Attitude

The Abilities You have

07

Page 11: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육공학에 관한 최초 공식 정의가 내려졌다. 1977년, AECT는 시청각통신을 ‘학습과정을 통제하는 메시지의 설계와 활용에 주로 관여하는 교육이론과 실천의 한 분야’라고 공식적인 정의를 인정했다.

시청각통신을 대체하여 교육공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교육공학의 정의는, ‘광범위한 학습자원의 체계적인 검증, 개발, 조직 및 활용과 이 과정들의 관리를 통해 인간 학습의 촉진에 관여하는 분야’였다.

이 시기에는 교수공학과 교육공학이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교수공학은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그리고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써 정의되었다.

현재 최신의 정의에 따르면, 교육공학이란 적절한 과학기술적인 과정과 자원을 창출하고, 활용하고,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하고 윤리적으로 실천하는 학문이다.

정 의

의 역

1963 1972

1994 2008

08

Page 12: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 육 공 학 의

토 대 의 변 화

09

Page 13: 교육공학 학습저널

1900-1950

교수의 과학화와 공학화

John Dewey 듀이는 대표적인 실용주의 철학자

로써, 경험주의적 논리를 바탕으로

교육이론을 펼쳤다. 그는 지식의

기계적 전달을 지양하고 경험의,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였다. 또한 교육을 학습자와

환경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창출되

는 것으로 여겼다.

Maria Montessori 몬테소리는 감각적 변별을 위한

감각교육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교구를 통해 아동의 감각과 식별

능력을 훈련·발달시킬 것을 강

조했으며, 풍부한 교재 도구를

활용했다. 또한 개별학습자의 인

격을 존중하고 특성과 자율성을

고려하는 눈높이 교육을 펼쳤다.

Edward Lee Thorndike 손다이크는 교육학자이자 심리학자로써,

여러 과학적 학습이론을 정립하였다. 그

는 인간의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연결로

이루어진다는 연합주의를 정립하였으며,

연습의 법칙, 효과의 법칙, 준비의 법칙으

로 이루어진 ‘학습의 법칙’을 주장하였다.

10

Page 14: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습촉진 :학습자이해

11

Page 15: 교육공학 학습저널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

생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인지적 특성은 일반적 특성과 특

정 선수 학습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 특성에는 일반 적성, 발

달^읽기^Visual Literacy 수준,

일반 세계 지식 등이 포함된다.

학습자의 정서적 특성은 흥미,

동기, 과목이나 학습에 대한 태

도, 불안감 수준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중재의 지각, 학문

적 자아 개념도 여기에 포함된다.

학습자의 생리적 특성은 감각 지

각, 일반적인 건강 상태 그리고

학습자의 나이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회적 특성에는 동료간 관계, 권위

에 대한 느낌, 협동이나 경쟁의 경향,

역할 모델 등이 있다. 또한 사회·경

제적 배경이나 인종·국가 배경도

포함된다.

12

Page 16: 교육공학 학습저널

Howard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 다 중 지 능

음악 Musical 신체 -운동 Bodily-Kinesthetic 논리 -수학 Logical-Mathematical 언어 Linguistic 공간 Spatial 대인관계 Interpersonal 자기성찰 Intrapersonal 자연탐구 Naturalistic

13

Page 17: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습촉진 :학습자와의 소통

14

Page 18: 교육공학 학습저널

Communication MODEL

의사소통; 교환의 과정 &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 설득, 정보 제공, 교수, 오락의 기능을 함.

1 Lasswell의 모형공식 1948년 발표된 이 공식은, 커뮤니케이션을 메시지

전달 과정으로 이해했다. 각 질문 항목에 따라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의미보다는 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이 공식은 후에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2 Shannon & Weaver의 수학적 모형 1949년, 첫 번째 매스커뮤니케이션 모형으로 발

표되었다. 이 모형에서는 물리적 잡음, 메시지 해

석에 방해가 되는 문화나 편견 등을 의미하는

‘Noise’의 개념이 처음으로 소개되었는데, 이 개

념은 행동주의나 언어주의 학자들에게 많이 이용

되었다.

15

Page 19: 교육공학 학습저널

1954년 발표된 유일한 순환모형으로써, 송신자

와 수신자의 입장이 수시로 바뀐다. 그리고 순

환적 모형에서 해독화 단계는 무의식적으로, 순

식간에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4 Berlo의 SMCR 모형 SMCR모형은 오감을 교육공학이 이론과 실제에 가장 잘 반영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교수-학습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그러

나 피드백이 포함되지 않아 소통의 역동성이 부재한다는 한계가

있다.

5 Westley & Maclean의 모형

이 모형은 개인커뮤니케이션과 매스커뮤니케이션

모두에 적용 가능한 모형이다. 대상, 메시지, 정보

원, 수신자, 피드백의 요소가 포함되는데 이 중 피

드백 과정을 중시한다. 또한 과정에서 통제자나 의

견 제안자의 개념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16

3 Osgood & Schramm의

순환적 모형

Page 20: 교육공학 학습저널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사회

현재 우리 사회는 SNS 등을

통해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

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은 사

이버공간, 가상현실, 증강현실

그리고 가상 공동체라는 개념

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사

회에서는 미디어의 기능이 중

요시되므로 우리는

를 길러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17

Page 21: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습촉진

: 학습과

학습이론

18

Page 22: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 습

학습자의 경험과 세상과의 상호작용의 결과

Permanent & Enduring Change

학습에 대한 관점은 계속 변해왔다. 과거에는 메시지와 통

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현재는 학습 과정에 보다

중점을 둔다. 이에 대해 학습이론과 교수이론이 있는데, 학

습이론은 학습자의 학습 과정의 속성에 대한 체계적 견해인

반면, 교수이론은 교수자에게 효과적 교수방법의 전략을 제

시하는 지식체계이다. 또한 교수이론은 처방적^규범적이

며, 학습이론은 이에 비해 서술적이고 간접적이다.

19

Page 23: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습이란 관찰 가능한 인간의 행동 변화이다!

객관주의는 지식이 학습자와 별개로 존재하며, 절대적인 진리가 있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행동주의, 인지주의가 있다.

객관주의 구성주의는, 지식이란 학습자가 구성하는 것이며 진리를 맥락적이라고 본다.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자가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성주의

행 동 주 의

행동주의는 교육공학의 성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행동주의는 학생들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결과를 이끌어내도록 교수를 설계할 것을 지향했다. 행동주의에 따르면 학생이 학습에 성공적이 이었을 때는 긍정

적 강화를 주어야 하며, 요구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동일^유사한 수업을 반복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 대표적 이론에는 Skinner의 의 강화이론, Thorndike의 연합주의,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등이 있다. 특히 Skinner는 그의 이론에서 조작적 조건화에 의한 강화 이론을 제시하였

는데, 이는 조작적 행동의 결과에 수반하는 강화자극에 의해 행동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에 기반한다. 강화 이론의 주요 변인에는 자극, 반응, 강화가 있다. 강화이론을 비롯한 행동주의 이론은 학습성취를 격려하는 환경의 준비, 자가학습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교수설계자에게 지침을 제공한다. 그러나 고등정신 학습, 성인학습자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스키너 상자 Skinner’s Box

20

Page 24: 교육공학 학습저널

학습이란 경험으로부터 구성된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인 지 주 의

학습이란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의 지식이 변화하는 과정이다!

구 성 주 의

정보처리 이론은, 학습을 다양한 정신과정을 통해 정보를 연속적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본다. 이 이론은 기존의 피드백 개념을 교정적 정보까지 제공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이와 같이 인지주의 이론은 새로운 지식이나 기능을 학습하는데 있어 사전지식의 역할을 강조한다.

인지주의에서는 학습자가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자료를 연결시킴으로써 지식을 창출하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수업설계 시 지식의 구조^형태를 고려하고, 선행조직자를 활용하여 학생들을 도와야 한다. 대표적으로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이 있는데, 그는 인간이 경험을 통해 지식을 축적함에 따라 경험, 신념, 가치들이 인지구조의 한 단위인 ‘스키마’를 창출한다고 주장한다.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함으로써 학습이 생성된다고 본다. 또한 지

▲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지식이란 사회적 맥락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은 실제 상황에서 습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구성주의의 대표적 이론인 Vygotsky의 의 사회문화적 발달이론에 따르면, 아

동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으므

므로 그들의 정신능력은 사회에서 상호작용하며 발달한다 또한, 근접발달영역에서는 교사가 아동에게 제공하는 도움을 뜻하는 ‘비계’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구성주의에서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실제 과제를 제공해주는 교수 전략을 제시한다. 이를 적용한 처방에는 상황 인지, 문제기반학습, 협력학습 등이 있으며, 지식수준이 높은 학습자나 높은 수준의 과제에 적용할 수 있다.

▲ 정보처리이론 Information Processing

21

Page 25: 교육공학 학습저널

수 행 향 상

수행향상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먼저 수행은 새롭게 습득한 능력을 사용^적용하는 학습자의 능력이란 뜻이다. 그리고 향상은 효과성의 측면에서는 질 좋은 산출물을 이끌어내는 것, 효율성의 측면에서는 최소의 의 시간^비용^노력으로 얻은 결과를 뜻한다. 교육공학에서는 수행향상을 교육적으로 바라 라보며 개별 학습자, 교사/설계자, 조직 모두의 수행향상을 추구한다. 개별 학습자의 수행향상을 위해서 다중지능, 목표의 영역과 수준, 학습과 훈련 전이 등의 측면 등을 고려한다. 또한 교육공학은, 체제적 접근을 통해 교사와 설계자의 수행을 향상시킨다. 체제적 교수설계를 통해, 수업 시간을 줄이고 비용 수익적 수업을 펼

펼침으로써 수행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인간적인 수업을 창출해내기 위해서는 매력적으로, 그리고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는 수업을 펼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직의 수행향상은 효율성과 효과

추가될 수 있는데, 이는 산출량을 투입량으로 나눈 것이다. 효율성과 효과성은 ‘Technology’를 통해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테크놀로지를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의 학구적 학습모형에서 학생의 학습에 가장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수업/교수, 노력 그리고 적성이다. 따라서 이 세 요인을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이다. 야호.

를 증진시킴으로써 이끌어낼 수 있다 . 여기에는 경우에 따라 생산성의 요소도 ㅇ;

22

Page 26: 교육공학 학습저널

창출 : 교수설계이론

23

Page 27: 교육공학 학습저널

24

Page 28: 교육공학 학습저널

대표적

Gagne & Briggs의 포괄적 교수설계이론

포괄적 교수설계이론에 따르면 학습의 범주는 언어정보, 지적기능, 인지전략, 태도, 운

동기능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가네는 내적 인지과정을 촉진하는 외적 조건을 9가지의

교수사태로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습 단계에 따라 반응이 일어나기 전까지 주의 획득,

목표 제시, 선수학습능력 재생, 자극자료 제시, 학습안내의 제공, 수행유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행유도로 인해 학습자의 반응이 일어나면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수행평

가, 파지와 전이를 통해 학습을 강화하고 일반화를 하도록 이끈다.

• 발견×개념 발견×절차 발견×원리

• 활용×개념 활용×절차 활용×원리

기억×사실 기억×개념 기억×절차 기억×원리

Merrill의 CDT / First Principles 이론

수 행 수

내 용 유 형

CDT 이론은 인지영역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미시적 교수설계이론이다. 또한 First

Principles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유형은 ‘Real-world Task’이다. 이 이론에서의 학

습의 종류는 Information About, Part of / Kinds of, How to, What Happens로써

CDT와 통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tegration Activation

Application Demonstration

Real-world Task

25

Page 29: 교육공학 학습저널

Reigulth의 정교화이론

거시적 모델인 정교화 이론은 아이디어를 어떻게 연결하

고 계열화하는가에 대한 교수전략이다. 정수(epitome)라

고 하는 교수의 전체적인 윤곽에서 시작하여, 점차 구체적

인 내용으로 정교화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교화이

론은 교수내용의 선정, 계열화, 종합화, 요약화에 대한 처

방을 주요 내용으로 삼는다.

Keller는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유지시키는 요소를

Attention(주의집중), Relevance(관련성), Confidence(자신감),

Satisfaction(만족감)의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했다. ARCS 이

론은 이처럼 동기를 결정지을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

함으로써 교수설계 모형들과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체제

적 과정을 보여준다.

Keller의 ARCS 이론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설계이론

구성주의 이론에서는 ‘교수설계’ 대신 ‘학습환경 설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는 보다 학습자를 중심으로 설계를 하기 때문이다. 학습환경설계이론에 따르면,

학습환경을 설계할 때 문제/프로젝트, 관련 사례, 정보 자원, 인지 도구, 대화/협력

도구, 사회적/맥락적 지원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학습환경을 정교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을 제시한다.

26

교수설계이론

Page 30: 교육공학 학습저널

창출 :교수설계전략

27

Page 31: 교육공학 학습저널

01 분석

교수설계 과정에서는 요구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먼저

요구분석은, 수행 차이의 근본 원인과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프로그램

의 목적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분석은 학습자의 인지적^생리적^정서적

^사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분석은 이용 가능한 자원과 제

약사항을 미리 분석하여 교수설계의 산출물이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활동인데, 이는

학습환경, 수행환경, 개발환경의 범위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용분석은 교육

과정, 과제, 학습목표의 분석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학습목표는 Audience(학습자),

Behavior(행동), Condition(조건), Degree(정도)의 ‘ABCD Rule’을 따라 구성되어 있다.

28

Page 32: 교육공학 학습저널

02 메시지설계

메시지 설계는 교수-학습 상황

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보 처

리를 돕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

동이다. 이와 관련해 게슈탈트

법칙은 우리가 형태를 지각하

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법칙

에는 근접성^유사성^폐쇄성^

계속성^공동운명^간결성^대

칭의 법칙이 있다. 또한 메시지

를 설계할 때는 Proximity(근접

성), Align(정렬), Repetition(반

복), Contrast(대조)의 원리를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좋

다.

03 방법&활동

교수방법을 선정할 때는 학습

내용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교육과정의 제반 특성, 관련

기관·조직의 기대를 고려하

여 선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주요 교수 방법에는 강의형,

토론형, 개인 독자적 학습, 협

동학습, 문제해결,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법 등의 방법이 있

다. 교수설계전략 중 활동에

해당하는 ‘Learning Activities’

는 thinking, drawing, writing,

doing로 나누어져 있다.

29

Page 33: 교육공학 학습저널

04 매체 교수매체란 교수-학습에서 교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수신자)와 교수자(송신자)

간에 사용되는 모든 매개수단을 의

미한다. 우리는 교수매체를 통해

학습경험과 학습효과를 증진할 수

있다. 교수매체이론에는 Hoban의

시각교재분류, Dale의 경험의 원추

등이 있다. 교수매체는 인쇄, 시청

각, 통합, 컴퓨터 기저 테크놀로지

로 나눌 수 있다. 교수매체활용모

형의 대표로는 ASSURE 모형을 들

수 있다.

30

Page 34: 교육공학 학습저널

New Media!

31

Page 35: 교육공학 학습저널

활용(Using)이란 교수자료와 교수체제의 사용 및 실행을 의미한다. 활용은 교수방법

과 자료 선정, 자료 평가, 유용성 테스트, 계획과 실행, 확산으로 나눌 수 있다. 관리

(Managing)은 교육공학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써, 미리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람, 과정, 물리적 기반 시설, 재원 등을 조화롭게 이끌어 가는 것이다. 효율적인 관

리능력은 교육공학자가 업무를 완수하는데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교육공학에서

의 관리활동은 프로젝트관리, 자원관리, 인사관리, 프로그램관리로 나뉜다.

활용과 관리 32

Page 36: 교육공학 학습저널

자원과 과정

과정은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일련의 행동, 절차, 혹

은 기능을 의미하는데, 교

육공학에서는 특별히 과정

을 학습촉진과 수행향상을

위한 방법이라 정의한다.

교육은 하나의 과정으로 간

주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학

습 과정은 테크놀로지를 통

해 촉진될 수 있다.

Resource

Process

자원은 학습자의 학습과 수

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

구, 자료, 장치, 환경, 사람

을 통틀어 칭하는 것이다.

교육공학자는 적합성, 효과

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원을 선택해야 한

다. 또한 설계^활용에 의해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학습

자를 도와야 한다.

33

Page 37: 교육공학 학습저널

교 육 공 학 의

미 래

34

최근 지식기반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평생교육을 통한 고등인력 양성이나 지식

근로자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은 학습자가 지식 창출 능력을 가질 수 있

도록, 혹은 학습자가 지식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환경이나 도구를 제공하

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접근기회와 상호작용

기회, 정보 활용 형태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 교육 정보화

과제를 통해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재의 변화에 이

어, 미래 사회에는 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 융통성과 창의

성 그리고 복합적인 업무처리 능력이 필요하다. 교육공학은 현재의 교육적, 방법

론적 등의 변화를 수용하고 미래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Page 38: 교육공학 학습저널

펴낸이의 말 이 책자를 제작하면서, 교육공학에 대해 제대로 자리 잡혀 있지 않던 생각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그것이 어떠한 학문인지 좀더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Page 39: 교육공학 학습저널
Page 40: 교육공학 학습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