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내부 보고서 보육교사 대상 인권교육 사후평가 분석 보고서 사단법인 국제아동인권센터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2년 서울시 보육교사 1100여명을 대상으로 국제아동인권센터에서 실시한 인권교육 결과보고서

Citation preview

Page 1: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InCRC 내부 보고서 2013. 1. 7.

보육교사 대상 인권교육

사후평가 분석 보고서

2012. 12.

사단법인 국제아동인권센터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Page 2: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 -

목 차

요약 ·············································································································································· 2

보육교사의 인권교육 사후평가 분석 결과 ·············································································· 4

제 1� 절.�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 교육 후 사후평가 ···················································· 5

제 2� 절.�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교육 후 사후평가 ·············································· 10

제 3� 절.� 결론 및 기대효과 ································································································ 16

국제아동인권센터 소개 ············································································································ 19

<표 목차>

표 1.� 2012년도 서울시 보육교사 인권교육 일정표 ········································································ 4

<그림 목차>

그림 1.� 보육교사 자격 급수 ················································································································ 5

그림 2.� 교사 경력 정도 ······················································································································· 5

그림 3.� 인권교육에 대한 선경험 ········································································································ 6

그림 4.� 인권교육의 필요성 ·················································································································· 7

그림 5.�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 ············································································································ 9

그림 6.� 보육교사 자격 급수 ············································································································· 10

그림 7.� 교사 경력 정도 ··················································································································· 10

그림 8.� 유아대상 인권교육의 필요성 ······························································································ 12

그림 9.�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권리’� 활용 여부 ····································· 13

그림 10.�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활용 형태 ············································································· 14

Page 3: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2 -

요 약

� 본 보고서는 유아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

고자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사후평가를 분석한 보고서임.

� (사)국제아동인권센터는 서울시와 국가인권위원회의 요청에 의해 2012년도

서울시 보육교사 1100여명 대상으로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와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로 인권교육을 실시함.

� 인권교육 사후평가는 인권교육을 받은 교사들 중 교육평가서에 응답한 약

990부를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보육교사들의 인권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욕구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보육교사 중 약 70%는 지금까지 인권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함.

- 보육교사 중 99.6%는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

- 보육교사 중 90%이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함.

- 보육교사들은 ‘서로가 존중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인권교육이 필요하

다고 그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함.

- 보육교사들의 94%는 아동인권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아보고 싶다고 응답함.

- 그러나 체계적 아동인권교육 부족하여 전문화된 인권교육 필요성 제시.

- 보육교사들의 약 85%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송달

쏭 권리,� 알 권리’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함.

- 누리과정 또는 표준 보육과정과의 연계로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활용

할 때 효과가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봄.

- 교육을 받은 후 교사들이 권리를 유아교육에 접목시킨다는 것은 어려웠는데,�

방향을 제시한 것 같다고 하여 효과적인 인권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평가함.

Page 4: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3 -

� 사단법인 국제아동인권센터는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을 둘러쌓고 있는 다양한

이해당사자(교사,� 부모 등)를 대상으로 인권존중문화를 구축하는 아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

� 국제아동인권센터의 유아교사 및 보육시설 원장을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은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세계인권선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교직원들의 글로벌 전문

성을 높여주고,� 부모님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유아,� 교사,�

원장,� 부모 등 유아를 둘러싼 모두가 존중 받는 문화가 형성되는 기반을 만들어

줌.

� 유아용 인권교육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는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고 흥미와 재미를 통하여 유아들에게 놀이의 형태로 인권을 풀어나감으로

써 인권을 문화로 체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

� 국제아동인권센터의 아동인권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사의 아동인권 역량을 향

상시키고 이는 우선 아동학대 예방 및 안전 의식을 향상할 수 있으며,� 넓게는

아동의 전인적 인성발달과 교사들이 유아를 대하는 태도,� 유아교육기관의 아동

권리 친화적 문화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Page 5: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4 -

보육교사의 인권교육 사후평가 분석 결과

� 사단법인 국제아동인권센터는 서울시와 국가인권위원회의 요청에 의해 2012

년도 서울시 보육교사 1100명 대상으로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와 “유아인권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로 [표 1]과 같이 인권교육 실시함.�

기관명 교육명 교육인원 교육기간

6개 기관 1,100명서 일 대보 육 교 사 교 육 원 1급승급 100명 12. 7/30(월) ~ 8/10(금)

덕 성 여 대보 육 교 사 교 육 원

1급승급

200명 12. 11/19(월) ~ 11/30(금)

서 울 여 대보 육 교 사 교 육 원200명 12. 11/5(월) ~ 11/16(금)

200명 12. 11/19(월) ~ 11/30(금)

명 진 전 문 대100명 12. 11/5(월) ~ 11/16(금)

100명 12. 11/26(월) ~ 12/7(금)

경 기 대보 육 교 사 교 육 원 직무교육 200명 12. 12/7(월) ~ 12/21(금)

[표 1] 2012년도 서울시 보육교사 인권교육 일정표

� 교육에 참가한 교사들 중 약 950명을 대상으로 교육 후 인권교육의 사전경

험,� 인식,� 인권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문항으로 사후 평가를 실시함.�

� 본 보고서는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와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인

권교육을 받은 보육교사들의 아동인권교육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둠.

Page 6: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5 -

제 1� 절.�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 교육 후 사후평가

�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는 인권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원칙,� 그리고 권리주체자와 의무이행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등을 주된 내용으로

실시함.

� 분석대상:� 총 527명의 보육교사(각� 문항의 결측치 제외 후 분석)

-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 교육을 받은 교사 중 본 평가에 참여한 교사는 총

527명

- 교사들의 자격급수는 2급이 504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경력은 3년 미

만이 170명,� 3년 이상 5년 미만이 246명,� 5년 이상 10년 미만이 82명,� 10

년 이상이 4명으로 나타났다.� 80%가� 넘는 대다수의 교사는 3년~5년 이상의

경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체감하는

인권교육의 필요성과 현실이 충분히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음.

그림 1 보육교사 자격 급수 (N=515) 그림 2 교사 경력 정도 (N=502)

Page 7: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6 -

인권교육에 대한 사전경험 유무

(문항 :� 이번 교육 이전에 인권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습니까?)

- 본 문항은 본 교육을 받기 이전에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는지에 대한

것으로 현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인권교육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

음.

- 문항에 응답한 교사의 약70%(303명)가� 인권교육과 관련된 사전경험이 없었

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교육의 선경험이 있는 교사는 158명으로 전체 응답

자의 34%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인권교육 선경험이 있었지만 대부분 유아교

육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아동학대예방교육 및 안전교육의 일환

으로 교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은 미흡한 것으

로 나타났다.� 교사가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교사의 권리와 아동의 권리에

대한 조화와 사례를 다루는 교육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3 인권교육에 대한 선경험 (N=461)

Page 8: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7 -

인권교육의 필요성

(문항 :� 교사들에게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어떤 점에서 필요합니까?)

- 본 문항은 일선교사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는 것

으로 교사들이 생각하고 원하는 인권교육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함.

- 99.6%에 달하는 교사들(471명)이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인권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4 인권교육의 필요성 (N=473)

- 하위 질문으로 인권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파악해 봄

(응답 109명).� 교사들의 답변은 아래와 같음.

Ÿ 교사로서 생활함에 있어 인권교육이 필요하다 생각

Ÿ 인권에 대해 바로 아는 것이 중요하단 것이 느껴져요.

Ÿ 인권에 대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에도 어디에서도 인권에 대

해 교육받을 기회가 없었기 때문 임.

Ÿ 반복해서 계속 들으면 자연스럽게 인권 실천이 될 것 같다.

Ÿ 나도 존중받아야 할 인격체이며 아동도 존중받아야 할 인격체임을 재차

확인

Ÿ 교육자로써 아이들에게 더 나은 교육의 질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

Page 9: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8 -

교육 효과성

(문항 :� 교육을 받은 후 변화된 생각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 본 문항은 금번에 (사)국제아동인권센터에서 실시한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

인권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했으며 교사들의 답변은 아래와 같음(응답교

사 78명).

Ÿ 서로서로 존중해주고 존중 받는 것은 교육으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권교육은 의무화로 배워나가야 한다고 생각이 든다.

Ÿ 인권이란 용어자체가 어렵다고 느껴져서 조금은 교육을 멀리하고자 했

는데 교육을 받고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인권은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

각했어요.

Ÿ 아동 개개인의 존엄성을 생각하며 교육해야겠다고 생각

Ÿ 나의 행동이나 말이 아동에게 권리를 침해할 수도 있었다고 생각되고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Ÿ 아동인권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갖고 권리의 주체임을 생활 속에서 묻

어나게 하기

Ÿ 아이들을 대할 때 농담처럼 했던 이야기들을 앞으로는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됨.

Ÿ 아동을 인권으로 대한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것은 저의 생각이었고 아동

입장에서 다시 생각하게 됨.

Ÿ 영아들의 다양성과 개별성을 생각하며 교육을 해야겠다는 생각

Ÿ 아동입장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됨.

Ÿ 무심코 지나쳤던 언어폭력도 이젠 고쳐야겠다고 생각함

Ÿ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아이들이 보다 건강하고 안정된 인격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Ÿ 아동학대를 발견하는데 민감성을 가지고 살펴보겠습니다.

Page 10: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9 -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

(문항 :� 오늘 교육 이외에 다향한 인권교육이 있다면 체계적으로 받아보고 싶습니까?)

-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 교육을 받은 보육교사 중 대다수인 94%의 교사

(355명)는 이후로 인권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아보고 싶다고 응답함.� 이는 본

교육을 통해 보육교사가 인권과 아동권리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되었으며,� 인권교육을 통해 보다 인권친화적 문화를 보육현장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을 알 수 있음.

- 일부 교사는 현재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인권교육과정이나 정보가 부

족한 안타까움을 토로함.�

그림 5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 (N=355)

Page 11: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0 -

제 2� 절.�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교육 후 사후평가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강의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용역으로 (사)국제아동

인권센터 연구진이 개발한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

를 교사들에게 시연함.

� 분석대상:� 총 436명의 보육교사 (각� 문항의 결측치 제외 후 분석)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교사 중 평가에 참여한 교사는 총

436명으로 교사들의 자격 급수는 보육교사 2급이 403명,� 1급 12명으로 2급

이 대다수를 차지함.

- 교사들의 경력은 3년 미만이 126명,� 3년 이상 5년 미만이 208명,� 5년 이상

10년 미만이 74명,� 10년 이상이 5명으로 나타났으며,� 본 설문에 참여한 교

사 중 80%가� 넘는 대다수가 3년~5년 이상의 경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

음.

그림 6 보육교사 자격 급수 (N=415) 그림 7 교사 경력 정도 (N=413)

Page 12: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1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느낌

(문항 :� 이번 교육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점은 무엇입니까?)

- 본 문항으로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인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와 유아 인

권교육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았는지에 알아보고자 했으며 교사들의 답변은

아래와 같음(응답교사 382명).

Ÿ 어려운 내용의 '권리'를 유아들에게 쉽게 알려줄 수 있다는 점

Ÿ 인권교육이 체계적으로 잘 진행이 되면 아이들의 마음에 충족감이 올

것 같다.

Ÿ 실현가능한 프로그램의 소개가 가장 인상적

Ÿ 유아들이 동화를 들으면 권리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

Ÿ 아동의 인권을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적용시킬 구체적 방법, 프로그램

이 있다는 점이 새로웠고 현장에서 꼭 실행에 옮겨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Ÿ 말로만 듣는 것 보다는 융판 자료를 통해 이야기를 들려주고, 연계활

동을 하니 아이들이 더 흥미를 가지고 좋아할 것 같다.

Ÿ 인권이란 우리 아동들의 교육과정 중에 가장 기초적인 것이므로 교육

과정과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Ÿ 동화이야기와 활동을 통해 어려운 권리를 은유적으로 아이들에게 알려

준다는 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Ÿ 인권존중문화가 형성되도록 제공해야 되고 보육교사의 환경이 제공 되

야 하는 것.

Page 13: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2 -

유아 대상 인권교육의 필요성

(문항 :� 교육을 받은 후 유아를 대상으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유아 대상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받은 보육교사 중 대다수 중

90%의 이상의 교사들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대답함.�

이중 48%의 교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45%

는 필요하다고 응답함.

- 이러한 응답으로 보아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8 유아대상 인권교육의 필요성 (N=435)

Page 14: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3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 활용 여부

(문항 :� 선생님의 교실에서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를 활용해 보시겠습니까?)

- 강의 내용 중 소개된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를

강사가 직접 시연하는 것을 보고 교사들은 자신이 근무하는 보육시설에서 직

접 활용하고 싶은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

- 본 질문에 답한 교사중 약 85%의 교사들이 ‘알송달쏭 권리,� 알 권리’를 현장

에서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이중 33%의 교사들(142명)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함.�

그림 9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권리’ 활용 여부 (N=432)

Page 15: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4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활용 형태

(문항 :� 유아용 인권교육프로그램을 어떤 형태로 활용하시겠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 본 문항은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송달쏭 권리,� 알 권리’를 현장에서 활

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묻는 것으로 교사들은 누리과정 또는 보육과정과의

연계를 가장 선호 한 것을 나타남.� 그 다음으로 특별활동 그리고 프로젝트 수

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응답함.�

- 기타 응답으로는 아래와 같은 답변들이 나왔다.

Ÿ 알쏭달쏭 알권리 프로그램 시간을 한주에 하루 day로 정해서

Ÿ 지금의 안전교육처럼 인권교육도 의무화시켜 매달 1회-2회 필수교육

으로 진행

Ÿ 범교육과정적 영역으로 활용

Ÿ 안전교육과 같이 일과 중에 하나의 활동으로

그림 10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 활용 형태 (N=436, 중복응답 가능)

Page 16: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5 -

교육 효과성

(문항 :� 교육을 받은 후 변화된 점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 본 문항은 금번에 실시한 “유아인권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해 보고자

했으며 교사들의 답변은 아래와 같음(응답교사 313명)

Ÿ 권리를 유아교육에 접목시킨다는 것은 어려웠는데, 방향을 제시한 것 같다

Ÿ 권리라는게 수업으로 가능하다는 것 알게 됨. 내 아이와 우리 반 아이들이 생

각나고 미안한 마음도 생기네요.

Ÿ 일상 속에서 늘 반복·지속적으로 인권교육이 실행되어야겠다!

Ÿ 인권교육의 필요성. 처음에는 어렵게만 생각되었는데 쉽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 같음.

Ÿ 누구나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고 인권을 보호받아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

Ÿ 영유아기 때 꼭 필요한 교육이다. 세대를 이끌어 갈 소중한 시기이기에

Ÿ 권리라는 것을 무겁게만, 어렵게만 느꼈지만 아이들에게도 쉽게 흥미롭게 권

리와 인권에 대해 다가가고 이해해줄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Ÿ 구립과 유치원 뿐 아니라 작은 어린이집도 함께 참여했으면 좋겠으나 교사만

의 노력으로 절대 부족, 운영하는 원장님의 의식개선이 먼저 필요할 듯함.

Ÿ 인권이라는 말이 사실은 친숙하지만 우리랑 거리가 먼 것 같았고 인권이 쉽게

다가오지 않고 뭔가 대단한 것부터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렇지 않고

작은 부분부터 하나하나 고쳐가고 우리의 일상생활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Ÿ 인권교육 실시 후 아동, 교사 모두가 존중하는 문화가 형성된다면 원래 보육

활동들이 정말로 행복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Ÿ 아동 인권 교육을 아이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됨.

Ÿ 아이들의 인권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고 아이들을 대할 때 나의

언행과 행동을 좀 더 신경 써야겠다.

Ÿ 영유아의 인권에 대해서 특별히 생각해 보지 않았지만 강의를 듣고 난 후 영

유아도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강의였다.

Ÿ 아동학대에 대해서만 교육을 많이 받아 학대위주로만 알고 있었는데 아동권리

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됨.

Page 17: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6 -

제 3� 절.� 결론 및 기대효과

� 결론

-� 2012년도 서울시 보육교사 승급교육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인

권과 아동권리의 이해”라는 주제로 인권교육을 실시한 후 교사들의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됨.

- 인권교육을 받으러 온 보육교사들 중 약 70%는 인권교육에 대한 사전경험이

없음.

- “인권과 아동권리의 이해”를 들은 교사들 중 99.6%는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들은 교사들의 90%� 이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함.

- 본 교육을 받은 후 교사들은 서로가 존중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인권교

육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함.�

- 평가에 참여한 교사들 중 94%는 체계적으로 아동인권교육을 받아보고 싶다

고 답하였으나,� 관련된 정보와 교육과정이 부족함을 토로함.

- 기존의 아동인권교육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형태(아동학대교육,� 성

범죄 예방교육,� 안전교육 등)로 실시되고 있으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아동인권교육이 필요함.

- 교사들은 본 교육을 통해 인권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라고 답하였

으며 아이들과 즐겁고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교육이라고

평가함.

Page 18: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7 -

-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강의를 들은 교사들의 약 85%는 유아를 대상

으로 하는 인권교육 프로그램 ‘알송달쏭 권리,� 알 권리’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함.

-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에 대하여 교사들은 어려운 내용의 '권리'를 유아들에

게 쉽게 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인상적이었다는 답함.

- 누리과정 또는 표준 보육과정과의 연계로 유아용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할

때 효과가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봄.

- 교육을 받은 후 교사들이 권리를 유아교육에 접목시킨다는 것은 어려웠는데,�

방향을 제시한 것 같다고 하여 효과적인 인권교육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

다고 평가함.

Page 19: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8 -

� 기대효과

- 아동과 교사들의 인권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교사-학생관계,� 부모와 자녀관

계,� 교실 내 학습 분위기,� 더 나아가 사회를 구성하는 많은 사람들을 존중하

는 태도를 형성한다고 선행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 사단법인 국제아동인권센터는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을 둘러쌓고 있는 다양한

이해당사자(교사,� 부모 등)를 대상으로 인권존중문화를 구축하는 아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모듈을 개발 중에 있다.

-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고 흥미와 재미를 통하여 놀이와 문화로써 아동

인권을 접하게 할 때 인권교육의 효과성이 높다.� 국제아동인권센터의 유아대

상 인권교육프로그램 ‘알쏭달쏭 권리,� 알 권리’는 이러한 체화된 인권을 유아

들에게 놀이로써 풀어나가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 국제아동인권센터의 아동인권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사의 아동인권 역량을 향상

시키고 이는 우선 아동학대 예방 및 안전 의식을 향상할 수 있으며,� 넓게는

아동의 전인적 인성발달과 교사들이 유아를 대하는 태도,� 유아교육기관의 아

동권리 친화적 문화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Page 20: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19 -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국제아동인권센터

w 가장 작은 자들을 위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유엔아동권리협약을 널리 알리고 교육합니다.

w 국제아동인권센터는 모든 아동이 그들의 권리, 존엄성, 진실성이 존중 받는 환경 속에서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여 보다 나은 세상에서 삶을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w 본 기관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준수함으로써 인류 보편적 가치를 따르고 글로벌 경험과 지식을 알리며 인권문화 형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유엔아동권리협약(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CRC) 은 전 세계 193개국이 비준한 국제인권조약으로 경제, 사회, 문화, 시민, 정치적 권리와 모든 아동을 보호하는 법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의 주요 활동 * InCRC의 모든 활동들은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아동인권에기반을 둔 접근을 기

반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w 인권교육 프로그램 활동

- 아동과 아동과 관련된 사람들을 위한 아동인권교육 프로그램 활동

- 특강/세미나, 캠프 실시

w 미디어 인권교육 활동

- 미디어를 통한 아동인권친화적 문화 형성 증진 활동

w 아동인권 전문가 양성

- 아동인권옹호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w 연구 활동

- 인권교육모듈 개발, 아동인권에 기반을 둔 접근(CRBA)관련 연구

w 국제협력 활동

- 아시아 지역 NGO대상 아동인권 역량 강화 프로그램

w 유엔아동권리협약 홍보, 이행 모니터링 사업

- 유엔아동권리협약 홍보물 제작, 아동인권 정책제언,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Page 21: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 20 -

Page 22: 보육교사 인권교육 평가보고서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 www.incrc.org | [email protected] | 02) 741-3132 )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International Child Rights Center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43 대일빌딩 1212호TEL 02-741-3131 | FAX 02-6455-3131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