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4, pp. 51~67, 2012.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정 명 선 * < 요 약 > 본 연구는 애착과 용서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밀 관계경험척도(ECRS),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K-BEES), 용서특질척도(FTS)를 사용하여 성인애착, 공감 및 용서와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은 공감 및 용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공감은 용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둘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은 용서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 공감은 성인애착과 용서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 치료, 재활 영역에서 가지는 함의,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하였다. 핵심어 : 공감, 성인애착, 용서, 매개변수, 매개효과 *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of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ongbu Universityity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4, pp. 51~67, 2012.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정 명 선*

< 요 약 >

본 연구는 애착과 용서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밀

관계경험척도(ECRS),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K-BEES), 용서특질척도(FTS)를 사용하여

성인애착, 공감 및 용서와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은 공감 및

용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공감은 용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

계를 보였다. 둘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은 용서를 유의미하게 예측했으며 공감은

성인애착과 용서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

치료, 재활 영역에서 가지는 함의,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하였다.

핵심어 : 공감, 성인애착, 용서, 매개변수, 매개효과

*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전공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Professor of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ongbu Universityity

Page 2: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5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의 역동적이고 급격한 변화는 불안, 우울, 강박 등의 개인내적인 문제만을 초래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외적인 문제, 즉 이들의 관계하는 방식과 장면에서 다양한 갈등과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심리사회적 재활서비스의 요구가 확대

되고 있고 폭넓은 범위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및 실천방안 역시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문제에 이어진 병리적 접근보다는 강점과 잠재능력에 중점을 둔

인간 자생의 치유적 접근이 확대됨으로써 개인내외적 갈등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용서라

는 구인에 대한 연구가 떠오르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 즘 용서를 받기도 하고 하기도 하며 용서를 경험한다.

이처럼 일상생활 속에 가까이 존재하는 것이 용서이지만 이를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학자들마다 각기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예를 들면 용서척도를 개발하기도 한

Hargrave와 Sells(1997)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관계에 대한 사랑과 신뢰를 회복하려는

노력’이 용서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용서의 실생활 속에서의 쓰임새를 알아보고자 표준

국어대사전을 살펴본 결과, 용서란 ‘지은 죄나 잘못한 일에 대하여 꾸짖거나 벌하지 아니

하고 덮어 줌’으로 설명되어 있었다. 미국의 대표적 사전이라 할 수 있는 Merriam

Webster 사전에서는 용서(forgiveness)를 ‘용서하는 행위(the act of forgiving)’로 정의

하고 있어 동사형인 용서하다(forgive)를 찾아본 결과, 이는 ‘앙갚음하기 위한 요구나 분

노를 버리는 것(to give up resentment of or claim to requital for)’으로 제시되어 있

었다. 또한 용서를 상황특수적인 용서나 병리적 관점이 아닌 인간의 강점과 잠재력에 중

점을 둔 최근의 흐름에서 보자면, 어쨌든 용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성향이자 성격적 강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용서성향을 만들어 내거나 이끄는 요인을 탐색해 보자면, 용서가 필요한

상황이나 대상의 경우 그 특성과 강도가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에 용서라는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간의 심리적 요인에서 찾아볼 때 친화성, 애착, 정서적 안정성, 자존감 등을

언급할 수 있다(Enright & Fitzgibbons, 2000; Lawler-Row, Hyatt-Edwards, Wuensch,

& Karremans, 2011; Ross, Kendall, Matters, Wrobel, & Rye, 2004). 그중에서도 애

착은 자신과 가장 가까운 이와 형성하는 강력한 정서적 유대관계로 자신 및 타인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도 사회적 환경에 더욱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신명희 등, 2011), 더욱이 인간의 가장 최초의 시기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용서의 가

Page 3: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53

장 밑바탕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기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애착이 유아기에 미치

는 영향에서 끝나지 않고 성인기에도 적용된다는(Bowlby, 1969/1982) 면에서 그 중요

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며, 혹자는 애착과 용서를 평행적 관계로 볼 정도로 애착을

용서의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가정하고 있다(Burnette, Taylor, Worthington, &

Forsyth, 2007). 이를 반영하듯, 안정적으로 애착될수록 용서가 증가하며 안정적으로 애

착된 사람과 용서를 잘 하는 사람의 성향은 매우 유사하고(Burnette et al., 2007; Hall,

Fujikawa, Halcrow, Hill, & Delaney, 2009) 애착유형에 따라 용서성향이 달라진다는

용서에 있어 애착의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Lawler-Row et al., 2011; Martin, Vosvick,

& Riggs, 2012). 또한 애착으로 형성되는 내적 작동체계는 우리 주변의 세상과 우리 자

신에 관해 가지고 있는 표상으로 정서적 고통을 겪을 때 그것을 유발하는 동기나 자극을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틀로 사용되기 때문에 용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

로(윤진희, 2012; 전은숙, 홍혜영, 2012; Lawler-Row et al., 2011) 지적되고 있다. 그

러나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애착은 영유아기에 대부분 결정된다고 볼 수 있는

데, 극단적으로 생각한다면 안정적으로 애착되지 않았을 경우 우리는 이후의 많은 살아갈

날 동안 용서라는 경험을 하지 못하고 살아가게 된다. 평생 단 한 번도 용서라는 경험을

하지 못한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 것인가.

다시 말해, 이러한 매우 단순한 질문에서 애착과 용서가 이 둘의 단선적 관계로만 이어

지기보다는 이를 매개하는 어떠한 요인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애

착으로 인해 파생되는 결과이면서 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용서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요인

은 무엇인가. 애착은 발달 초기의 기본적인 신뢰와 관련되므로 전생애 동안 일관된 애착

유형의 연속성을 제공하여(Bretherton & Munholland, 2008) 수많은 사회적 관계에 영

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애착만큼이나 다양한 관계적 문제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친사회적 행동 및 동기를 유발하는 중재자 역할을 한다고 제시되고 있는

것이 공감이다(Hoffman, 1981). 공감은 애착의 결과이자 애착형성의 조건으로(조성호,

2004) 실제로 안정적으로 애착된 사람의 경우 공감이나 자기조절에서 뛰어나다고 제시되

고 있다(서지현, 2006; Macaskill, Maltby, & Day, 2002). 그리고 이는 용서를 잘하는

사람의 특성이기도 하며(McCullough, Fincham, Tsang, 2003; Webb, Call, Chickering,

Colburn, & Heilsler, 2006),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공감은 애착회피와는 부적 상관

성을, 용서와는 정적 상관성이 보고되기도 하였다(정명선, 2012).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애착과 용서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 역할의 유무

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용서는 불안, 우울 등의 개인내적 심리증상 감소와 대인간 문제행

동 완화에 효과를 보이면서(박종효, 2002; Enright & Fitzgibbons, 2000) 현재 심리사

회적 재활의 치료적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Page 4: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54

살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공감의 매개효과가 발견된다면 성인애착이 공감을 통하여

용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다 체계적인 발생학적 기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이러한 매개변인의 검증은 어떠한 효과가 어떻게 그리고 왜

나타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함으로써(Baron & Kenny, 1986) 용서에 이르도록 개입

할 수 있는 치료적 중재 및 정신건강을 위한 길을 모색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성인애착, 공감, 용서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특히 성인애착과 용서

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매개모형의 검증 전 성인애착,

공감, 용서의 상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가 공감에 의해 부분 또는

완전 매개되는 모형을 수립하여 공감의 매개효과의 유무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

인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 공감, 용서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는 어떠

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심리학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참여의 동의를 얻

어 실시된 검사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 300부를 배부하여 247부가 회수되었고,

그중 설문지 전체를 모두 같은 번호로 응답하는 것과 같이 의심되는 자료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자료, 누락된 항목이 있는 자료를 제외하고 208부의 자료를 중심으로 하였다. 이

들 연구 대상은 남자 99명(47.6%), 여자 109명(52.4%)의 총 208명이었으며, 평균연령

은 21.15세(SD=2.24), 연령의 범위는 18~34세에 분포하였다.

2. 연구 도구

Page 5: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55

1) 성인애착척도

Brennan, Clark와 Shaver(1998)가 소개한 ECRS(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를 바탕으로 문형춘(2007)이 타당화한 7점 평정식 36문항의 친밀관계경험척도를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각기 18문항씩의 성인애착의 두 차원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적 합치도는 애착불안 차원이 Cronbach의

α 계수 .89, 애착회피 차원이 Cronbach의 α 계수 .90, 전체척도의 내적합치도는 Cronbach

의 α 계수 .87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애착불안이 Cronbach

의 α 계수 .91, 애착회피가 Cronbach의 α 계수 .88, 전체척도는 Cronbach의 α 계수 .90

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접근하고 있으므로 성인애착의 각

차원을 주축요인추출의 베리멕스 직교회전 방식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애착불안과 애착회

피 모두 각각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성인애착의 각 차원은 이 세 가지 요인을

측정변인으로 사용하였다.

2) 공감척도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정명선(2012)이 Mehrabian(2000)의 균형정서공감척도(BEES)

를 토대로 타당화한 9점 평정식 27문항의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K-BEES: Korean-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는 공감을

삶의 태도이자 타인의 정서경험에 대한 대리경험으로 정의하고 만들어진 척도로 5개의 하

위척도(6문항의 정서적 개입, 6문항의 정서감염, 5문항의 낯선 타인의 감정이해, 5문항의

상상적 공감, 5문항의 공감적 관심)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점수가 높을수록 정서공감 수준

이 높은 것을 의미하는 이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Cronbach의 α 계수 .89, 3주 간격의 검

사-재검사 신뢰도(r)는 .93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내적 합치도는

Cronbach의 α 계수 .89로 나타났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척도의

하위척도에 따라 다섯 가지 요인을 공감의 측정변인으로 사용하였다.

3) 용서척도

용서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김지영과 권석만(2009)이 개발한 4점 평정식 10문항의 용

서특질척도(FTS: Forgiveness Trait Scale)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상황특수적인 용

서와는 구별되는 인간의 긍정적 성품이나 특질에 해당되는 용서를 측정하는 것으로 내적

합치도는 .86, 4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r)는 .78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

서 이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Cronbach의 α 계수 .85로 나타났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

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척도에 대해 주축요인추출의 베리멕스 직교회전 방식으로 요인분

Page 6: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56

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2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이 두 가지 요인을 용서의 측정변인

으로 사용하였다.

3. 자료 분석 및 연구모형

자료 분석은 SPSS(PASW)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

편차, 빈도분석 등의 기본적인 기술통계와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pearson 상관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 등의 통계방식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모수에 대한 추

정방식은 최대우도법을 선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p 값 확인을 위해서는 bootstrap을 이용

하여 95% 신뢰구간을 두었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비표준화계수와 표준

오차를 사용하여 직접 검증하는 방식인(Sobel, 1982) Sobel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위의 분석방식은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

보기 위해 설정된 것이므로,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가 공감에 의해 부분 또는 완전 매개

되는 두 가지의 모형 수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림 2-1>과 같은 모형1의 부분매개모형

과 <그림 2-2>와 같은 모형2의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그림 2-1> 모형1: 부분매개 <그림 2-2> 모형2: 완전매개

Ⅲ. 연구 결과

1.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접근하였으므로 전체 척도의 각 하위요

인을 측정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예측변인인 성인애착(애착불안과 애착

Page 7: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57

회피)을 중심으로 매개변인인 공감, 결과변인인 용서, 그리고 이러한 주요변인의 하위측정

변인을 포함하여 그에 해당되는 상관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표 3-1>에 제시하였다.

<표 3-1> 측정변인의 상관계수 및 평균과 표준편차

1-1 1-2 2 2-1 2-2 2-3 2-4 2-5 3 3-1 3-2

1-1 애착불안 -

1-2 애착회피 .26**

-

2 공감 -.34**

-.28**

-

2-1 정서적개입 -.17*

-.19**

.60**

-

2-2 정서감염 -.27**

-.23**

.68**

.25**

-

2-3 낯선타인

감정이해-.27

**-.16

*.69

** .23

**.39

**-

2-4 상상적공감 -.15*

-.13 .65**

.17**

.27**

.28**

-

2-5 공감적관심 -.27**

-.21**

.67**

.20**

.41**

.44**

.32**

-

3. 용서 -.33**

-.17*

.44**

.12 .41**

.38**

.24**

.34**

-

3-1 용서Ⅰ -.29**

-.13 .42**

.13 .42**

.31**

.24**

.35**

.91**

-

3-2 용서Ⅱ -.32**

-.18*

.36**

.09 .32**

.37**

.19**

.27**

.90**

.63**

-

평균 69.96 61.78 37.61 5.29 9.56 6.72 7.94 8.10 22.10 12.31 9.78

표준편차 17.20 14.20 23.00 8.12 6.33 6.88 8.09 5.73 5.33 3.06 2.84

**p< .01, *p< .05

<표 3-1>에서 전체척도인 주요변인 중심으로 살펴보면, 성인애착 중 애착불안(1-1)은

공감(2)과 r=-.34, 용서(3)와 r=-.33의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모두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인애착 중 애착회피(1-2)와 공감(2)의 상관

계수는 -.28로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애착회피

(1-2)와 용서(3)의 상관계수는 -.17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공감(2)과 용서(3)와의 상관계수는 .44로 유의수준 .01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공감의 매개효과

1) 애착불안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Page 8: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58

주요변인 간의 상관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애착불안, 공감, 용서의 모든 잠재변인 간 양방

향적 관계를 가정한 전체 측정모형(그림 3-1)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는 <표 3-2>와

같다.

<표 3-2> 측정모형의 적합도

CMIN/DF NFI CFI RMSEA

측정모형44.342

(df=32, p=.072)1.386 .928 .978 .043

<표 3-2>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의 값이 44.342, 자유도

가 32로, 여기서 p=.072 > α=0.05이므로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그

리고 를 df로 나눈 값인 CMIN/DF가 1.386으로 전반적 합치도의 기준으로 제시되는 3

보다 적은 값이어야 한다는(김계수, 2011) 기준을 만족하였고, 대표적인 상대적 적합도

지수인 NFI, CFI가 .928, .978, 대표적인 절대적 적합도 지수인 RMSEA가 .043으로, 매

우 양호한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적합도 지수의 기준을(Hair, Black, Babin, Anderson,

& Tatham, 2006) 충족하였다. 또한 모든 측정변인의 요인계수 역시 .001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여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신뢰롭게 측정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1> 참조).

<그림 3-1> 측정모형 <그림 3-2> 최종모형: 완전매개모형

Page 9: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59

측정모형이 적합하였으므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1의 부분매개모형과

모형2의 완전매개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표 3-3>에 제시하였다.

<표 3-3> 모형비교

모형 경로 표준화계수 C.R. p 값간접효과

표준화계수 p 값

모형1

: 부분매개

애착불안 → 공감 -.453 -3.334 .000**

공감 → 용서 .576 3.521 .000**

애착불안 → 용서 -.152 -1.670 .095

모형2

: 완전매개

애착불안 → 공감 -.485 -3.447 .000**

공감 → 용서 .667 3.858 .000**

애착불안 → 용서 ― ― ― -.324 .003**

**p < .01

<표 3-3>에서 볼 수 있듯이, 모형1의 부분매개모형은 애착불안에서 공감으로 가는 경

로(β=-.453, p< .01) 및 공감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β=.576, p< .01)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지만, 애착불안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β=-.152, p> .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애착불안, 공감, 용서의 세 변인이 동시에 투입되지만 애착불안에서 용서

로 가는 경로를 그리지 않은 완전매개모형을 분석하자 <표 3-3>의 모형2에서와 같이 애

착불안에서 공감으로 가는 경로(β=-.485, p< .01) 및 공감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β=.667, p< .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모형에서보다 오히려 β 값과 C.R

값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95% 신뢰구간 설정으로 bootstrap을 이용했을 때, 애착불안이

공감을 통해 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애착불안 → 용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β=-.324, p< .01).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부

분매개모형의 경우 -2.424(p< .05), 완전매개모형의 경우 -2.571(p< .01)로 두 모형

모두 공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Sobel test 결과 및 앞선 결과를 함께

결부시켜 볼 때 완전매개모형이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형2의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33, N=208)=47.017, p

=.054로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CMIN/DF가 1.425, 대표적인

합치도 지수 NFI=.924, CFI=.975, RMSEA=.045로 매우 양호하여 완전매개모형의 전

반적인 부합도가 적절하였다. 모형 적합성을 보다 엄격하게 살펴보기 위해 SRMR을 실시

한 결과는 .039로, SRMR 값이 .05 이하일 때 매우 우수한 적합도라는 기준에서(Byrne,

1998; Diamantopoulos & Siguaw, 2000) 볼 때에도 역시 매우 양호하였다. 따라서 <그

Page 10: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60

림 3-2>에는 최종모형으로 선택된 완전매개모형의 추정치들을 제시하였으며, 잠재변인에

대한 측정변인의 요인계수 및 잠재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공감은 애착불안과 용서 간의 관계에 있어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

로 판단할 수 있다.

2) 애착회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이번에는 애착회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먼

저 모든 잠재변인 간 양방향적 관계를 가정한 전체 측정모형(그림 3-3)의 적합도를 검증

하여 <표 3-4>에 제시하였다.

<표 3-4> 측정모형의 적합도

CMIN/DF NFI CFI RMSEA

측정모형32.214

(df=32, p=.456)1.007 .932 1.000 .006

<표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의 값이 32.214, 자유

도가 32로, 여기서 p=.456 > α=0.05이므로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또한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를 df로 나눈 값인 CMIN/DF가 1.007, 대표적인 합

치도 지수인 NFI, CFI, RMSEA가 차례대로 .932, 1.000, .006으로 모두 양호하여 측정

모형의 전체적인 부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측정변인의 요인계수가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신뢰롭게 측정해 주는 것으

로 나타났다(<그림 3-3> 참조).

<그림 3-3> 측정모형 <그림 3-4> 최종모형: 완전매개모형

Page 11: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61

측정모형이 적합하였으므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1의 부분매개와 모형

2의 완전매개를 비교하여 <표 3-5>에 제시하였다.

<표 3-5> 모형비교

모형 경로 표준화계수 C.R. p 값간접효과

표준화계수 p 값

모형1

: 부분매개

애착회피 → 공감 -.344 -2.825 .005**

공감 → 용서 .658 3.803 .000**

애착회피 → 용서 .045 .524 .600

모형2

: 완전매개

애착회피 → 공감 -.334 -2.810 .005**

공감 → 용서 .638 3.872 .000**

애착회피 → 용서 ― ― ― -.213 .011*

**p< .01, *p< .05

<표 3-5>의 모형1 부분매개는 애착회피에서 공감으로 가는 경로(β=-.344, p< .01)

및 공감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β=.658, p< .01)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애착회피에

서 용서로 가는 경로(β=.045, p> .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애착회피,

공감, 용서의 세 변인이 동시에 투입되지만 애착회피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를 그리지 않

은 완전매개모형을 분석하자 <표 3-5>의 모형2에서와 같이 애착회피에서 공감으로 가는

경로(β=-.334, p< .01) 및 공감에서 용서로 가는 경로(β=.638, p< .01)가 통계적으

로 유의했으며, 애착회피가 공감을 통해 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애착회피 → 용

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213, p< .05). 또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

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의 경우 -2.266(p< .05), 완전매개모형의

경우 -2.274(p< .05)로 공감의 매개효과가 거의 유사하게 두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으나, 앞선 결과와 종합해볼 때 완전매개모형이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2의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33, N=208)=32.485, p

=.493으로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CMIN/DF가 .984, 대표적인

합치도 지수인 NFI, CFI, RMSEA가 .931, 1.000, .000으로 매우 양호하여 완전매개모형

의 전반적인 부합도가 적절하였다. 모형 적합성을 보다 엄격하게 살펴보고자 SRMR을 실

시한 결과 역시 .039로 매우 양호하였다. 따라서 <그림 3-4>에는 최종모형인 완전매개모

형의 추정치들을 제시하였으며, 잠재변인에 대한 측정변인의 요인계수 및 잠재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공감은 애착회피와 용서 간의

관계에 있어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age 12: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62

Ⅳ. 논 의

최근 심리사회적 재활서비스의 방향은 병리적 관점과 치료적 접근을 포함하여 단순히

상한 곳을 고치는 취약성보다는 우리 안에 가진 최선의 것을 스스로 양성하고자 하는

(Seligman, 2000) 긍정적 관점과 예방적 접근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

한 최근의 흐름을 반영하여 정신건강의 동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용서에 관심을 두고, 특

히 성인애착, 공감, 용서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성인애착, 공감, 용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이

나 애착회피 모두 공감 및 용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공감은 용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애착불안이나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공감 수준이 낮고

애착불안이나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용서를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반면에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잘 용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인애착과

공감과의 관계는 공감에 있어 성인애착이 영향을 미치며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공감과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와(정경아, 김봉환, 2010; Trusty, Ng, & Watts,

2005) 일치하였다. 성인애착과 용서와의 관계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즉 불안정 애착이

용서성향과 관련된다는 선행연구를(전은숙, 홍혜영, 2012; Lawler-Row, Younger, Piferi,

& Jones, 2006) 지지하였으며, 공감과 용서와의 관계는 공감이 용서와 정적 상관을 보인

다는 다른 연구와(이지선, 이희경, 2011; 정명선, 2012) 일치하기도 했지만 용서프로그램

을 통해 공감 향상을 보고한 연구들을(김광수, 김경집, 2007; 최경임, 2011) 본 연구는

척도간의 직접적인 상관성으로 그 근거를 제공하였다.

더불어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이나 애착회피와 용서 사이의 부적 상관성이 유

의하다는 것은 매개될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힘을 실어주었다. 따라서 다음 단계

로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가 공감에 의해 부분매개되는지 또는 완전매개되는지를 모형검

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완전매

개모형이 더 적합하였으며, 성인애착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용서를 유의하게 예측하되

공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즉 공감이 성인

애착의 영향을 받아 용서에 관여하며 공감이 용서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경로가 있

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감의 매개효과는 용서에 있어 공감의 중요성을 시사할 뿐 아니라 용서과정에

대한 기전을 알려준다. 애착이라는 것은 생애 초기에 자신과 타인 혹은 세상에 대한 표상,

Page 13: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63

즉 내적 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이 형성됨으로써 일생동안 맺게 되는 다양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원형으로 작용하는데(Bowlby, 1980), 영유아기에 결정된 애착은

용서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결국 용서성향도 거의 변화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한다.

그러나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를 공감이 매개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비록 생애 초기에

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이후의 삶에서 공감에 개입함으로써 용서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변화와 발전성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의견은 Baron과

Kenny(1986)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있는데, 매개변인은 환경적 개입을 가능케 할 수 있

으므로 매개효과는 치료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히

변인 간 관계의 강도나 방향성만을 제시한 기존연구에서 벗어나 성인애착이 간접효과를

통해 용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인과성은 물론, 여기서 공감이 성인애착의 결과이

자 용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매개효과를 통해 교육 및 치료에 있어 많은 함의점을 내

포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의 삶의 질에 있어 세대 간 가족관계의 질이 중요하고 장애아동

부모의 경우 정보지원이나 도구지원 외에도 정서지원을 매우 중요시 여긴 점으로 볼 때

(권기덕, 2005; 서은정, 2005), 본 연구의 용서의 기전과 공감의 매개효과는 가족문제 및

자기갈등과 죄책감을 호소하는 장애인 가족을 위한 사회지원 프로그램으로서도 특수교육

및 재활분야에서 적용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첫째, 현재 매개효과나

인과성에 대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인간

의 속성을 단지 통계적 방식으로만 살펴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시작으로 모의환

경이나 개입을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나아가 종단적 연구가 부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변인은 우리가 정의한 구인이며, 특히 용서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연구영역

으로 다른 구인에 비해 연구의 양이 많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

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활용 시에 좀 더 다양한 측정변인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 셋째, 본 연구는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를 발견하였

으나 그 대상이 대학생으로 임의표집 되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연구의 일반화를 위

해 성인이라는 대상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 대상을 확대ㆍ포함하거나 교차분석

과 같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통계적 방식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Page 14: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64

참 고 문 헌

권기덕 (2005). 장애인의 가족관계의 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4(4), 1-21.

김계수 (2011).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김광수, 김경집 (2007).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용서수준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

연구, 8(3), 87-109.

김지영, 권석만 (2009). 용서특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239-261.

문형춘 (2007). 내담자 성인애착 특성에 따른 내담자 및 상담자의 내현적 대인반응과 회기성과.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종효 (2002). 공격적 피해를 위한 프로그램 효과 비교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서은정 (2005). 정서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지원 서비스 요구유형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

연구, 44(4), 45-78.

서지현 (2006).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과 반사회성 및 공감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박성은, 서은희, 원영실, 황은영 (2011).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윤진희 (2012). 기혼여성의 성인애착과 용서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선, 이희경 (2011). 부모-자녀 갈등과 공감이 용서 및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7, 199-223.

전은숙, 홍혜영 (2012). 성인애착과 용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3(3),

1159-1179.

정경아, 김봉환 (2010).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인간이해, 31(1), 89-104.

정명선 (2012). 한국판 균형정서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4), 1781-1797.

조성호 (2004). 공감의 이해. 학생생활상담, 22, 5-31.

최경임 (2011). 용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및 분노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owlby, J. (1969/1982).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2nd ed.). New York, NY:

Basic Books.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Loss, sadness and depression (Vol. 3). New York,

NY: Basic Books.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 (pp. 46-76). New York, NY: Guilford Press.

Page 15: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65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2008).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Elaborating a central construct in attachment theory.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2nd ed., pp. 102-130).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Burnette, J. L., Taylor, K. W., Worthington, E. L., & Forsyth, D. R. (2007). Attachment and

trait forgivingness: The mediating role of angry rum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585-1596.

Byrne, B. M. (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Diamantopoulos, A., & Siguaw, J. A. (2000). Introducing LISREL: A guide for the uninitiated.

London: Sage Publications.

Enright, R. D., & Fitzgibbons, R. P. (2000). Helping clients forgive: An empirical guide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Hall, T. W., Fujikawa, A., Halcrow, S. R., Hill, P. C., & Delaney, H. (2009). Attachment to God

and implicit spirituality: Clarifying correspondence and compensation models.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37, 227-244.

Hargrave, T. D., & Sells, J. N. (1997). The development of a forgiveness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3(1), 41-63.

Hoffman, M. L. (1981). Is altruism part of human n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 121-137.

Lawler-Row, K. A., Hyatt-Edwards, L., Wuensch, K. L., & Karremans, J. C. (2011). Forgiveness

and health: The role of attachment. Personal Relationships, 18(2), 170-183.

Lawler-Row, K. A., Younger, J. W., Piferi, R. L., & Jones, W. H. (2006). The role of adult

attachment style in forgiveness following an interpersonal offens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4(4), 493-502.

Macaskill, A., Maltby, J., & Day, L. (2002). Forgiveness of self and others and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 663-665.

Martin, L. A., Vosvick, M., & Riggs, S. A. (2012). Attachment, forgiveness, and physical health

quality of life in HIV + adults. AIDS Care, 24(11), 1333-1340.

McCullough, M. E., Fincham, F. D., & Tsang, J. (2003). Forgiveness, forbearance, and time: the

temporal unfolding of transgression-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540-557.

Mehrabian, A. (2000). Manual for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BEES). Monterey,

CA: Albert Mehrabian.

Page 16: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4호)66

Ross, S. R., Kendall, A. C., Matters, K. G., Wrobel, T. A., & Rye, M. S. (2004). A

personaligocial examination of self and other-forgiveness in the five factor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2(2), 207-214.

Seligman, M. E. P. (2000, October). Positive psychology: A progress report. Paper presented

at the Positive Psychology Summit 2000 in Washington, DC.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Trusty, J., Ng, Kok-Mun., & Watts, R. E. (2005). Model of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emotional empathy of counseling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3(1),

66-77.

Webb, M., Call, S., Chickering, S. A., Colburn, T. A., & Heilsler, D. (2006). Dispositional forgiveness

and adult attachment styl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4), 509-512.

Page 17: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3-%C1%A4%B8%ED%BC%B1(51-6… · 방정식 모형분석

성인애착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67

<Abstract>

Empath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Forgiveness

Chung, Myung Sun

Integrating theories of attachment and forgivenes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forgiveness. Adult attachment, empathy and forgiveness related

data was collected from among 208 undergraduate students, and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f mediation. The instruments were

included: (1)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ECRS), (2) Korean-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K-BEES), (3) Forgiveness Trait Scale(F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attachment avoidance)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forgiveness and empathy. Empath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forgiveness. The model for this study was entirely verified model fit by

CMIN/DF, NFI, CFI and RMSEA. Further, empathy turned out to have a perfect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forgivenes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erapy

and rehabilitation are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 Empathy, Adult attachment, Forgiveness, Mediator, Mediating effects

논문접수 : 2012. 10. 23 / 논문심사일 : 2012. 12. 12 / 게재승인 : 2012.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