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도가 어떠한 매 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의 행복척도를 번안한 권석만 척도를 교사효능감은 이분려 의 도구를 직무만족도는 조성연 김하 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각 변 인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내적행복 외적행복의 순으로 직무만족도는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 부모 교사와의 관계의 순으로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높 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중 요하게 고려해야함과 동시에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이해하는데 시사 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주제어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 매개효과 논문 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이 논문은 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기금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 며직무만족도와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2호 , 157 - 180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황 해 익**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도가 어떠한 매

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사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Argyle(2001/2005)의 행복척도를

번안한 권석만(2008) 척도를, 교사효능감은 이분려(1998)의 도구를, 직무만족도는 조성연(2004), 김하

니(2012)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의 각 변

인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내적행복, 외적행복의 순으로, 직무만족도는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 부모-교사와의 관계의 순으로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높

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중

요하게 고려해야함과 동시에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이해하는데 시사

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주제어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

직무만족도(job satisfaction)

행복감(happiness)

매개효과(mediating effect)

※ 논문 접수 : 2013. 04. 30 / 수정본 접수 : 2013. 06. 12 / 게재 승인 : 2013. 06. 17* 이 논문은 2012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기금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email protected])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Ⅰ. 서 론

최근 들어 잘 먹고 잘 사는 것, 웰빙,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양적 성장만을 강조했던 결과 중심에서 벗어나 삶의 가

치에 대해 되돌아보고 삶의 질을 향상하려는 노력을 중요시 하는 사람들의 인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행복의 지속가능성을 사회 전반에 걸쳐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한 OECD에서는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서 지속적인 행복을 찾을 수 있도

록 ‘국민행동지수’를 경제지표의 영역에 포함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박종일, 박찬웅, 서효

정, 염유식, 2010; 이기범, 2009; 이내찬, 2012), 학교교육과정에서도 개인과 공동체의 강점에

주목하고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행복개념이 도입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자 노력하고 있다(박명희, 2012).

특히,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에서 실시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행복지수에 대한 국제

비교연구에 따르면, 학업성취와 교육을 통한 고용창출과 관련된 ‘교육’관련 영역이 높게 나

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와 개인적 행복을 포함한 ‘주관적 행복’영역은 최하위수준으로 나타났

다(박종일 외, 2010; UNICEF, 2006). 이는 삶에 대한 성찰 및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교사,

부모, 및 사회적 지원망 조성의 필요성을 부각시켰으며, 유아들에게 가장 중요한 교육환경

인 유아교사는 과연 행복한지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통하여 유아교육현장의 행복감을 높

이는 계기를 마련해야함을 제시하였다.

행복은 유아들의 참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유아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지향점이다. 행복은 유전적 요소가 50%, 환경적 조건이 10% 정도 작용하는데, 나머지 40%

는 행복한 삶을 살고자 하는 개인적 노력 여부에 따라 행복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Hoggard, 2005/2006; Lyubomirsky, 2008/2012; Seligman, 2004/2009) 긍정적인 마음 상태

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렇듯

인간은 누구나 긍정적 성취, 몰입, 의미, 긍정적 관계, 성취에 대한 플로리시(Flourish)를 증

가시킴으로써 행복이 충만한 웰빙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eligman, 2011).

행복이 충만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활용하

여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한다(Seligman, 2004/2009). 행복한 사

람은 자기애,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올바른 인성과 더불어, 자신이 하고 있는 일

에 대한 자발적 참여도가 높다(Hoggard, 2005/2006). 또한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대상에

지적 몰입도가 높게 나타나며(Csikszentmihalyi, 1990/2004) 긍정적 정서를 통하여 슬픔, 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59

련 등의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Ben-Shahar, 2007), 타인과 좋은 대인관계를 가지며

(Diener & Seligman, 2002; Fredrickson, 2002) 낙천적이고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경향성이 높다(김하니, 2012).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뿐만 아니라 직무

에 대한 높은 만족감 및 헌신의 경향성이 높게 나타난다(Borysenko, 2008/2009; Lopez &

Snyder, 2008). 이렇듯 행복은 인간을 둘러써 내․외적 요인 및 대인관계, 직무 등 삶의 전

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 생애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행복감의 긍정적 영향력을 유아교사에게 적용시켜보면, 행복감이 높은 교사는 유아교사

직을 수행하는 동안 높은 만족도를 가지며 교사가 유아의 교육활동 과정에 미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정도와 정적인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

정의 근거를 긍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직무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살펴보면, 매일 자신의 강

점을 확인하고 자기통제력을 바탕으로 도전의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직장 내에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경우 직업적 웰빙 정도가 높아져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된다(Rath & Harter, 2010/2011). 게다가 직업적 웰빙 정도가 높은 사람은 강점을 정기

적으로 활용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할 뿐 만 아니라 자신의 역할에 대

한 확고한 신념을 가진다(Csikszentmihalyi, 1990/2004). 이러한 결과는 행복감이 높은 사람

은 직무만족도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삶을 살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행복감(Lyubomirsky, 2008/2012)이 유아교사의 삶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교육의 질적 수준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직무

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직무만족도는 직무 자체나 직무수행결과로

인해 야기되는 긍정, 중립, 부정의 정서 상태를 말하며 직무수행과정과 결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의미한다(손은주, 박영태, 2012; 임성택, 2001).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교수효능

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김연아, 김경은, 2012; 채영란, 2009), 수행하고 있는 과제에 높

은 몰입정도를 보이므로 이직의도와 스트레스정도가 낮은 경향성이 있다(강혜경, 2001; 서

은희, 2002). 또 다른 변인인 교사효능감은 교수 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행동을 실행하고

조직하는 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긍정적 신념으로(Tschannen, Woolfolk & Hoy, 1998) 유

아교사가 유아의 수행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의미한다(Ashton, 1984).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업성취도, 교수몰입 정도가 높으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도전적이고 목표 지향적이며(김현지, 나동진, 2006; 임성택, 2001; Ashton, 1984) 의사결정참

여와 긍정적 학습환경에 있어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

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점자, 김형모,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보고되었으며(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2008),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성희, 박영신, 2007; 이

정현, 안효진, 2012; 채영란, 2009).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란혜, 2006; 김순천, 2010; 김연아, 김경은, 2012; 손은주, 박영태, 2012; 이점자, 김형모,

2012)에 근거해 볼 때, 유아교사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대한

두 변인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자기정체감과 소속감을 통한 관계망을 인식하는 통로로 작용하며(Argyle,

2001/2005) 직업만족은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므로(권석만, 2011) 직무만

족도와 행복감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경민, 최정윤, 2009). 또한 행복감은

일상적인 삶의 질적 수준을 높이며 보람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요소이므로 직업에서의

성취,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며(Diener & Seligman, 2002), 유치원 교사의 낙관적인 성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다(황해익, 최혜진, 김미진, 2012). 게다

가 낙관성이 행복과 가장 관련성을 지니는 요인이라는 것에 비추어 볼 때(권석만, 2008),

행복감이 높은 교사가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교사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데

(곽희경, 2011; 배성희, 2009), 이러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행복감이 높은 유아교사는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최근까지 이루어진 행복에 관한 연구는 청소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행복정도를 살펴본

연구(박종일 외, 2010; 이기범, 2009), 행복교육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연구(홍은숙,

2012)가 이루어졌으며,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진 행복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관

련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서현주, 2006; 이경민, 최윤정, 2009; 조경서, 남기원,

2011)가 주로 수행되었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

의 특성을 살펴보면, 행복감을 종속변인으로 두고 교사관련 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력을 알아보는 연구(김하니, 2012; 정민정, 김유진, 2009)가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행복의 수동적 측면에 초점이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행복감은

타인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긍정적 정서를 공유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에

주목하여(Seligman, 2011) 행복감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유아교사의 심리사회적 측면에 영

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는 연구(곽희경, 2011; 배성희, 2009; 이경애, 2010)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행복감이 삶에 미치는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관점

을 반영하여 행복감이 교사의 삶에 미치는 적극적인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61

며,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또한 서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행복은 우연적 요

소가 아닌 삶 전체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삶의 목적과 기능을 충실히 개인이 수행할 때 증

진될 수 있다(홍은숙, 2012). 이를 유아교사에게 적용해보면, 행복감이 높은 유아교사는 자

신의 직업적인 목적을 분명하게 설정할 때 자신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을 것이

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이다. 즉, 직무만족도

는 행복과 일정한 관련을 가지고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

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행복감이 교사의 삶에 미치는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행복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도 변인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는 동시에 유아교사의

행복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며

직무만족도가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증진하는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

해 줄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으며 가설적 모형을 그

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정도 및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행복감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그림 1]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적 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과 어린이집 교사 4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으며, 총 355부가 회수되어 미응답이 많

은 2부를 제외한 353부(88.3%)를 최종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제시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N=353)

구분 내용 사례수 %

기관유형 유치원 184 52.1

어린이집 169 47.9

연령 25세 이하 91 25.8

25~29세 118 33.4

30~34세 69 19.5

35~39세 37 10.5

40세 이상 38 10.7

학력 전문대졸 157 44.5

대학교졸 163 46.1

대학원졸 33 9.4

경력 1년 미만 84 23.8

1년 이상~3년 미만 89 25.2

3년 이상~5년 미만 62 17.6

5년 이상~7년 미만 42 11.9

7년 이상 76 21.5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연구대상의 개인적 배경을 살펴보면, 우선 기관유형은 유치원

184명(52.1%), 어린이집 169명(47.9%)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령은 25~29세가 118

명(33.4%)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학력은 대학교졸이 163명(46.1%), 전문대졸 157명

(44.5%), 대학원졸 33명(9.4%)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 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89명

(25.2%), 1년 미만이 84명(23.8%), 7년 이상이 76명(21.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1) 유아교사의 행복감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으로 영역이

구성된 Argyle(2001/2005)의 행복척도를 번안한 권석만(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63

도는 외적행복 10문항, 내적행복 6문항, 자기조절행복 5문항으로 총 3영역 21문항으로 구성

되며 문항구성은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

수록 행복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외적행복은 “다른 사람들에게 따뜻한 감정을 느낀

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재미있는 일을 자주 경험한다” 등 나를 둘러싼 외부적 요인

에 대한 행복감을 의미하며 내적행복은 “나는 행복하다”, “나는 내 인생의 많은 부분에서

만족한다” 등 자신의 인생과 미래에 대한 만족도, 긍정적 정서와 같은 내부적 요인에 대한

행복감을 의미한다. 자기조절행복은 “나는 내 시간을 잘 관리하고 있다” 등 내적통제력에

기반을 두고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행복감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문항내용, 문항 수 및 신뢰도는 다음 표 2와 같다.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α)

외적행복 10 .83

내적행복 6 .87

자기조절행복 5 .75

행복 총합 21 .86

<표 2> 행복감 검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분려(1998)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가 수정․보

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사가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

하는 일반적 효능감 12문항, 교사로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감에 해당하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13문항의 총 2개 영역으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에 대해 ‘전

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문항내용, 문항 수 및 신뢰도는 다음 표 3과 같다.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α)일반적 교사효능감 12 .69

개인적 교사효능감 13 .78

전 체 25 .80

<표 3> 교사효능감 검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3)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를 바탕으로 조성

연(2004), 김하니(2012)의 척도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용어를 수

정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 오역의 우려가 있는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척도는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원장과의 관계 8문항, 근무환경 및 시설 9문항, 유아교사로서

의 직무수행 9문항, 부모-교사와의 관계 3문항, 동료교사와의 관계 4문항, 지지자원 및 복

지 7문항으로 구성되며 문항구성은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5점 척

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문항내용, 문항 수 및

신뢰도는 다음 표 4와 같다.

하위요인 문항 수 신뢰도(α)

원장과의 관계 8 .91

근무환경 및 시설 9 .77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 9 .77

부모-교사와의 관계 3 .63

동료교사와의 관계 4 .79

지지자원 및 복지 7 .66

직무만족도 총합 40 .92

<표 4> 직무만족도 검사도구의 하위요인별 문항 수 및 신뢰도

3. 연구절차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관한 국내․외 학자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

구 자료를 수집한 뒤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 조사도구의 타당

성, 문제점 및 소요시간 등을 파악하였다. 예비조사는 유아교사 10명에게 실시하여 애매한

문항이나 잘 이해되지 않는 문항, 내용의 의미전달이 적절하지 못한 문항을 선별한 뒤 이

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내용 및 용어를 수정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3인에게 적절성을

검토 받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2년 9월

1일부터 2012년 10월 8일까지 5주간 유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설문지에 대해 충실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연구목

적을 설명하고 연구협조에 동의한 기관에 한하여 설문지를 우편을 통하여 배포하였으며 반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65

송봉투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4. 자료처리

본 연구는 Window용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

고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는 어떠한지

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각 변인의 상관관

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변수의

추가와 제거를 적절히 조합하여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인 단계선택법(황해익, 송연숙, 최혜

진, 손원경, 2008)을 통하여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유아교사

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회귀분석 절차에 따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표준화 계수 및 비표준화 계수 간의 표준오차를 활용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Sobel, 1982).

Ⅲ. 연구결과

1.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인식 정도 및 상관관계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인식 정도 및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관관계의 범위

는 .114에서 .894로 모든 변인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복감 총합과 교사효능감 총합(r=.292, p<.001), 행복감 총합과 직무만족도 총합

(r=.544, p<.001), 교수효능감 총합과 직무만족도 총합(r=.431, p<.001)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제 변인간의 상관관계

가 있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행복감 총합 평균은 3.57(SD=.50)으로, 유아교사는

외적행복(M=3.75, SD=.51), 내적행복(M=3.70, SD=.58), 자기조절행복(M=3.26, SD=.61)의 순

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상의 행복감에 대한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잠재변인

측정변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행복감

1. 외적행복 1

2. 내적행복 .692*** 1

3. 자기조절행복 .692*** .673*** 1

4. 행복감 총합 .883*** .889*** .894*** 1

교사효능감

5. 일반적 교수효능감 .205*** .204*** .139*** .204*** 1

6. 개인적 교수효능감 .238*** .253*** .212*** .263*** .298*** 1

7. 교수효능감 총합 .275*** .286*** .221*** .292*** .771*** .838*** 1

직무만족도

8. 원장과의 관계 .336*** .355*** .275*** .371*** .276*** .217*** .302*** 1

9. 근무환경 및 시설 .317*** .325*** .303*** .354*** .215*** .342*** .352*** .513*** 1

10.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 .379*** .444*** .441*** .476*** .298*** .449*** .470*** .536*** .526*** 1

11. 부모-교사와의 관계 .325*** .360*** .236*** .343*** .198*** .268*** .292*** .218*** .406*** .309*** 1

12. 동료교사와의 관계 .500*** .374*** .349*** .453*** .182** .261*** .279*** .457*** .453*** .397*** .434*** 1

13. 지지자원 및 복지 .313*** .300*** .316*** .348*** .140** .114* .156** .464*** .459*** .469*** .198*** .383*** 1

14. 직무만족도 총합 .512*** .502*** .442*** .544*** .310*** .381*** .431*** .773*** .774*** .752*** .587*** .722*** .682*** 1

M 3.75 3.70 3.26 3.57 3.38 3.40 3.39 3.43 3.51 3.08 3.45 3.68 3.07 3.37

SD .51 .58 .61 .50 .37 .43 .32 .72 .53 .55 .56 .55 .52 .41

<표 5>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상관계수, 평균, 표준편차 (N=353)

*p<.05, **p<.01, ***p<.001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67

사효능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체 인식정도는 3.39(SD=.32)로, 일반적 교사효능감(SD=.37)보

다 개인적 교사효능감(M=3.40, SD=.43)에 대한 인식정도가 .2정도로 높게 인식되었다. 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 전체평균은 3.37(SD=.41)로, 하위영역별에서는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M=3.68, SD=.55) 지지자원 및 복지(M=3.07, SD=.52)관련 만

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1) 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으로 구분되는데, 각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속변수 측정치 오차들 간의 상호영향력을 나타내

는 Durbin-Watson 값에 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urbin-Watson값은 1.97로, 정

상분포곡선을 의미하는 기준값이 2에 근접하므로 잔차에 대한 상관이 낮음을 의미하는 가

정을 충족하게 되며(황해익 외, 2008) 이는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 표 6과 같

다.

<표 6> 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N=353)

독립변수 B β t R2

R2변화량 F

상수 2.67

.09 17.96***내적행복 .10 .18 2.58* .08

외적행복 .09 .15 2.11* .01

*p<.05, ***p<.001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감 하위요인을 살펴본 표 6의 결과에 따르

면, 내적행복, 외적행복의 순으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진입되었다.

내적행복과 외적행복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9%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내적행복은 8%를 설명하며, 여기에 외적행복이 추가되었을 경우 1%가 증가하여 총 9%

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값은 17.96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있어서 자신의 인생과 미래에 대한 만족도, 긍정적 정서와 같은 내부적 요인에 의해 야기

되는 내적행복이 외적행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각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입력방법을 통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독립변인과 오차 간에 상관이 없는지에

대한 독립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Durbin-Watson

은 1.91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N=353)

독립변수 B β t R2

R2변화량 F

상수 2.32

.24 56.81***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 .25 .42 8.61*** .22

부모-교사와의 관계 .09 .16 3.32** .02

**p<.01, ***p<.001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의 결과를 나타낸 표 7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은 유아교사의 직무수행, 부모-교사와의 관계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진입되어 2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값은 56.81

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직무만족도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설명력은 유아교사로서

의 직무수행, 부모-교사와의 관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독립변인인 행복감과 종속변인인 교사효능감 사이에 제 3의 변수인 직무만족

도가 매개되는 가설모형을 설정한 뒤,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 가정된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Baron & Kenny, 1986; Zhao,

Lynch & Chen, 2010).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3가지 단계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져야하는데, 각 단계에 따른 증명과정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69

을 살펴보면 아래 표 8과 같다.

<표 8>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N=353)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2

F

1 직무만족도 행복감 .44 .04 .54 12.15*** .296 147.52***

2 교사효능감 행복감 .19 .03 .29 5.72*** .085 32.72***

3 교사효능감행복감 .05 .03 .08 1.42

.191 41.23***직무만족도 .30 .03 .39 6.75***

***p<.001

첫 번째 단계는 독립변인이 가정된 매개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이다. 본 연구 결과, 독립변인인 행복감이 매개변인인 직무만족도를 29%정도 설명하였

으며, 이러한 회귀모형은 F값은 147.52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적합한

회귀모형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첫

번째 단계의 기본 가정을 만족한다.

두 번째 단계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이다. 연

구결과에 따르면 독립변인인 행복감은 종속변인인 교사효능감은 8%정도의 설명력을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값은 32.72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회귀모

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행복감이라는 독립변인이 교사효능감의 종속변인을 유의

미하게 예언한다는 두 번째 단계의 기본 가정을 충족한다.

세 번째 단계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을 동시에 유의하게 예언해야하며, 두

번째 단계에서 나타난 독립변인의 효과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다. 즉, 독립변인인 행복감과 매개변인인 직무만족도를 동시에 투입하여 종속변인인 교사효

능감의 예언정도를 살펴 본 결과에 따르면, 독립변인인 행복감과 매개변인인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인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영향력이 19%로, 두 번째 단계에서 행복감이 교사효능

감을 8% 설명하는 것에 비하여 세 번째 단계의 설명력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F=41.23,

p<.001). 이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종속변인을 예언하고 있으며 행복감과 직무만

족도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정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단계에서 나타난 독립변인의 효과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는지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세 번째 단계에서 나타난 행복감의 표준화계수(β)는 .08로, 두 번째 단계에

서 나타난 행복감의 표준화계수(β=.29)보다 그 값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독립변인의 효과가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유의하게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매개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 남은 독립변인의 효과가 ‘0’

에 가까울수록 매개효과는 크며, ‘0’이 되면 완전한 매개효과를 지닌다(Kenny & Judd,

1984).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인 사이에 매개변인이 개입된 상태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상태로 변하면 완전매개가 되는데(우종필, 2012), 본 연구에서는

세 번째 단계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게 드러남에 따라(t=1.42,

p>.05) 직무만족도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위에 제시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1)를 실

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경로를 나타내면 그림 2와 같다.

독립변인: 행복감 매개변인: 직무만족도

종속변인: 교사효능감

B(Sb)

A(Sa)

a: A경로의 비표준화계수b: B경로의 비표준화계수

Sa: a의 표준오차

Sb: b의 표준오차

[그림 2] Sobel test를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경로

Sobel test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매개변인의 영향력을 간명하게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Sobel, 1982),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 A의 비표준화계수와 매개변

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 B의 비표준화계수 간의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Z통계치를 산

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7.89(p<.001)로 직무만

족도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

였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이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교사로서의 신념을 높이기 위

한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연구

에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http://danielsoper.com/statcalc3/calc.aspx?id=31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71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행복감에 대한 전체 평균과 하위요인별 평균은 ‘보통이다’(3점)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 평균을 살펴보면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

복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한 연구(김하니, 2012;

정민정, 김유진, 2009)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곽희경, 2011;

이경애, 2010; 황해익 외, 2012)와 비슷한 결과이다. 특히, 교사들이 행복감을 느끼는 유형으

로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으로 나타났는데, 유아교사들은 자신을 둘러싼 외부적

인 환경의 요인에 의해 행복감을 느끼는 정도가 교사로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력

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긍정심리학에서

는 자신이 통제소재를 발휘하며 느끼는 내적인 만족감이 행복한 삶의 영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권석만, 2008; Seligman, 2004/2009)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외부적인 환경에서 행복을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통제소재를 발휘하여 내적

으로 느끼는 만족감, 내적인 만족감을 통한 행복감 증진에 가중치를 부여해야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효능감을 살펴보면,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일반적 교사효능감 보

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을 살펴본 김하니(2012) 및 행복수

준에 따른 교사효능감을 살펴본 배성희(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일반적 교사효능감 보다 높게 나타난 연구(이성희, 박영신, 2007)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사효능감 모두 보통 이상의 인식정도를 보이고 있

으며, 각 영역별 차이는 .05 정도로 교육이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신념정도와

교사가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의 차이를 유발한 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후속연구를 통한 규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유아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동료교사와

의 관계, 근무환경 및 시설, 부모-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

타났다. 유아교사 관련 만족도에서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원장 관련 관계에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김하니, 2012)와는 일치하나 이성희와 박영신(2007)은 근무환경과 보수승

진관련 만족도가 높게 보고되었으며, 배성희(2009)의 연구에서는 행정체계, 사회인식, 근무

환경에 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인간관계관련 직무만족도는 낮게 보고되었다. 이

렇게 직무만족도에 따른 각 하위요인별 차이가 나타난 원인으로, 연구대상의 표집과정에서

발생한 지역적 편중성 및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따른 균등한 표집에 이루어지지

않아 하위요인별 차이가 발생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직무만족도는 교사를 둘러싼

내외적 환경 및 관계적 측면에 영향을 받음을 고려할 때(정민정, 김유진, 2009) 추후 관련

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모든 하위

요인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행복감이 높으

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높

으면 행복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게 나타난

연구(곽희경, 2011; 이경민, 최정윤, 2009; Myers, 1991)를 지지하며, 행복이 일반적 교사효

능감과는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있으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는 부적관계를 나타낸 연구(서

현주, 2006; 이경애, 2010)와는 상반된 결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행복감이 높은 사람은 내

적 통제소재를 발휘하는 과정에 있어 행동의 긍정적인 결과를 자신에게 귀인을 하는 경향

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Csikszentmihalyi, 1990/2004; Lyubomirsky, 2008/2012). 하지만

동양권의 문화에서의 귀인 경향성은 “유아의 노력”, “부모와 유아교육기관의 상호 협력적

관심”등 관계나 집단 지향적인 경향성을 가지므로(Seligman, 2004/2009) 이러한 특성이 반

영되어 상반된 결과가 보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결과는 행복감과 교

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상관이 높다는 연구 배성희(2009)와 일치하며,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정적 상관이 있다는 연구(강란혜, 2006; 김순천, 2010; 김연아, 김경은, 2012; 박영

태 외, 2008; 손은주, 박영태, 2012; 이성희, 박영신, 2007; 이점자, 김형모, 2012; 이정현, 안

효진, 2012; 채영란, 2009),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진된다는 연구(이경

애, 2010; 정민정, 김유진, 2009)와 맥을 같이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수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행동을 실행하고 조직함에 있어 유아교사가 긍정적 신념

을 형성할 때(Tschannen, Woolfolk & Hoy, 1998)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직무영역에 긍정적

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효능감은 교수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행동 및 조직의 운

영, 민주적인 조직 문화와 협력적 조직체계의 구성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므로(이분려, 1998;

이영애, 2010; 채영란, 2009) 교사의 개인 및 조직적 특성을 반영하여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 교육과정 및 직무연수에 교사효능감

을 높이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내용을 포함함으로써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내적행복과 외적행복이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는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행복보다는 내적행복과 외적행복이 높

은 교사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교사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

사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곽희경, 2011). 특히 내적행복과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73

외적행복 중 내적행복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른 사람과의 관

계에 대해서 행복을 느끼는 외적행복보다는 자신이 행복에 대해 통제할 수 있고 앞으로 자

신의 삶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내적행복이 높게 인식될 때 교사효능감이 높게 인식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교사 자신의 행복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내적행복은 교사로서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감에 해당하는 개인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개인변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반적 효능감은 다른 사

람과의 관계를 생각하는 외적행복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외적행복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행복이 유아교사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중요

한 교사효능감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의 행복

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도의 하위요인 중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과 부모-교사와의 관계가 교사효능감에 대해 유

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과 부모-교사와의 관

계에 대해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 교

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유아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가

장 영향력의 높다는 연구결과(박영태 외, 2008)와 일치하며, 교사효능감에 대해 인간관계와

근무환경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채영란, 2009)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교사가 근무환경 및 시설, 지지자원의 복지 등 자신의 통제 하에 이루어지

지 않는 외적인 환경에 대해서 직무만족도를 느끼기 보다는 자신의 통제와 노력에 의해 바

뀔 수 있는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는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에 선행연구와 상

반된 결과가 야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아교사가 기관 내에서 자신이 맡은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해 직무를 수행하고,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 때 교사효능감이 높게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교사로서의 직

무수행은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개인 변인임을 볼 때, 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이나 교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인 지원마련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수 및 장학, 원장

및 동료교사와 지지적이고 긴밀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부모와의 관계적 어려움이 직

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홍석영, 2012), 원만하고 협력적인

부모와의 관계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높은 직무만족도는 교사효능감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위해서 부모와 협력적 관계 증진, 갈등해결방법 등에 대한 교사교육을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

하면, 직무만족도는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행복

감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도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

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행복감이 관련성을 있음

을 보고한 이경애(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즉, 유아교사가 만족감을 느끼고 강렬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행복감이 높을수록(Hoggard, 2005/2008), 교육적 가치에 대한 확신

및 유아에게 교사 스스로가 미칠 수 있는 내적인 신념인 교사효능감이 강화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매개변인으로 직무만족도가 작용할 경우(이분려, 1998; 이

정현, 안효진, 2012)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열정을 가지고 헌신하며 현재하고 있는 업무에

몰입하는 경향성이 높아지게 되므로(Csikszentmihalyi, 1990/2004) 이러한 경향성으로 인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증진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유아교사가 직무와 직무수행결과

에 대해 부정적 정서 상태를 가질 경우, 삶을 바라보는 보편적인 기쁨, 희열, 환희, 사랑과 같

은 긍정적 감정상태의 영속성이 보장되지 못하므로(황해익 외, 2012; Lyubomirsky, 2008/2012;

Seligman, 2004/2009), 이는 교사효능감을 매개효과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사들은 교사직을 수행하면서 매순간 행복을 느끼고 교사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하

여 긍정적인 신념을 갖는다(곽희영, 2011). 하지만 내․외부적인 조건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통제력을 가지거나 직무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가질 경우, 유아교사들의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신념을 강화할 수 있다(Csikszentmihalyi, 1990/2004). 배성희(2006)와 이경애(2010)

의 연구에서도 직무만족도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지제도의 마련 및 고용

의 안정성을 추구, 교사의 처우개선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 및 부모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직무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만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과 공동체의 강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

는 교육문화가 유아교육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

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심도있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이

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이외의 다른 변인

을 선정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직무만족도,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각 하위

요인의 상호의존성과 동시적 인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75

질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공정성을 고려하여 한국정서에 맞게 타당화

한 행복감 관련 척도를 선정하지 못하였으므로 개인, 집단, 관계적 특성을 유아교사의 행복

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국문화의 특수성(emic)과 문화적 보편성(etic)을 고려한 타당화된

행복감 관련 척도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평

가척도를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대해 측정하였는데, 보다

심도있는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심층면담 등의 질적 방법을 통한 추후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참고문헌

강란혜(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

연구, 25(1), 71-88.

강혜경(200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천시

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희경(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창지사.

김순천(2010). 방과후 아동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방

과후아동지도연구, 7(2), 1-16.

김연아, 김경은(2012).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인간발달연구, 19(1), 105-121.

김하니(2012).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지, 나동진(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

원학회지, 2(2), 111-128.

박명희(2012).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

회지, 24(2), 117-132.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200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열린유아

교육학회, 5, 429-451.

박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과 국제비교. 한국

사회학, 44(4), 121-154.

배성희(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

구, 22, 25-44.

서은희(200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현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은주, 박영태(2012). 교사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233-25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77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이경민,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이경애(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

행능력, 이직의도률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기범(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청소년의 행복. 한국청소년연구, 20(1), 365-392.

이내찬(2012).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2(2), 5-24.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성희, 박영신(200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

구, 12(1), 31-50.

이점자, 김형모(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

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01-120.

이정현, 안효진(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33(4), 129-141.

임성택(2001). 교사의 직무몰입도 결정요인의 구조분석. 교육심리연구, 15(4), 441-462.

정민정, 김유진(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조경서, 남기원(2011).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4), 161-178.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6, 23-44.

채영란(2009).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

교육연구, 8(3), 115-135.

홍석영(2012).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1(2), 271-281.

홍은숙(2012). 행복한 학교를 위한 교육적 성찰. 도덕교육연구, 24(3), 241-265.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2008). 영유아 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

황해익, 최혜진, 김미진(2012).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13(2), 167-192.

Argyle, M.(2005). 행복심리학. (김동기 역). 서울: 학지사. (원본발간일은 2001년).

Ashton, P. L.(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1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9-35.

Baron, G. J.,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rch: Conceptual strat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en-Shahar, T.(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ment.

NY: McGraw-Hill.

Borysenko, J.(2009).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비밀. (안진희 역). 서울: 이마고. (원저

2008년).

Csikszentmihalyi, M.(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

림. (원저 1990년).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Diener, E., & Seligman, M.(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Reports, 13, 81-84.

Fredrickson, B. L.(2002). Positive emotions. In C. R. Syn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Bulletin, 125, 276-302.

Hoggard, L.(2006). 행복.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저 2005년).

Lopez, S. J., & Snyder, C. R.(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yubomirsky, S.(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저

2008년).

Meyer, J. P., & Allen, N. J.(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 61-89.

Rath, T., & Harter, J.(2011). 웰빙 파인더. (성기홍 역). 서울: 위너스북. (원저 2010년).

Seligman, M.(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

저 2004년).

_____________(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Sobel, M. E.(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ed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essey-Bass.

Tschannen, M. M., Woolfolk H., A., & Hoy, W. K.(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179

UNICEF(2006). Comparing Child Well-being in OECD Countries: Concepts and

Methods.

Zhao, X., Lynch, J., & Chen, Q.(2010).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2), 197-206.

1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Hae-Ik Hw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appiness and their efficacy as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One was a

happiness inventory consisting of 3 domains and 21 items, the second was a teacher efficacy

inventory consisting of two domains and 25 items, and the third was a job satisfaction

inventory consisting of six domains and 40 items. After a full mediation model of job

satisfaction and a partial mediation model of the same were set up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analysis of covariance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models. As a resul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We

hope that this study’s findings will shed light on how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promoted and how their job satisfaction can be underst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