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주주주주주주주 주주주주주 주 주 주 주 UAE 주주주 주주주주주 주 주 주 주주주주주주주주 주주주주주 주 주 주 주주주 주주주 주주주주주 주 주 주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Upload
    major

  • View
    48

  • Download
    7

Embed Size (px)

DESCRIPTION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주리비아대사관 국토해양관 김 정 희 주 UAE 대사관 국토해양관 김 복 환 주쿠웨이트대사관 국토해양관 남 영 우 주터키 대사관 국토해양관 엄 정 희. 목 차. 1. 일반 개황 2. 국가 개요 1) 리비아 2) UAE 3) 쿠웨이트 4) 터키. 일반개황. LIBYA. 4. LiByA. 자유 리비아 ( 김정희 국토해양관 ). 1. 지난 10.23 해방선언 이후 국가재건 과정.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주리비아대사관 국토해양관 김 정 희주 UAE 대사관 국토해양관 김 복 환

주쿠웨이트대사관 국토해양관 남 영 우주터키 대사관 국토해양관 엄 정 희

Page 2: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1. 일반 개황

2. 국가 개요

1) 리비아

2) UAE

3) 쿠웨이트

4) 터키

Page 3: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리비아 UAE 쿠웨이트 터키

면적 175 만 ㎢( 한반도의 8 배 )

8.3 만 ㎢( 한반도의 0.38

배 )

1.78 만㎢ 77.9 만㎢ ( 한반도 3.5 배 )

인구 640 만 510 만 (IMF, 2010 년 )

356 만명 7,300 만명

GDP(1 인당GDP)

779 억불(12,100 불 )(’10)

3,019 억불(59,717 불 )(‘10)

1,455 억불(37,219 불 )

(’11e)

7,360 억불(10,079 불 )(‘10)

정부형태 미정 ( 대통령제 예상 )

대통령제 입헌왕정국( 사바국왕 )

대통령제 가미한 의원내각제

자원 등 기타

석유매장량 437 억배럴 ( 세계 8

위 )

석유매장량978 억배럴 ( 세계 6

위 )가스매장량

6 조 m3( 세계 7 위 )

석유매장량 1,015 배럴 (세계 4-5 위 )

석탄 , 갈탄 및 광물자원 풍부

석유 , 천연가스는 대부분 수입

Page 4: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LIBYALIBYA

4

Page 5: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10.23 해방선언 , 과도정부 구성 중

ㅇ 총리 ( 미국유학파 , 전기공학자 ) 선출 , 조만간 내각 발표

□ 시민사회에 만연한 총기를 회수 중

ㅇ 총기의 완전 회수는 극히 곤란할 것으로 전망

□ 사회 각 부문에서 친 카다피 인사 퇴출 요구

ㅇ 전력공사 , 석유공사 , 항공사 등 각 조직에서 친카다피 인사 퇴출 시위

1. 지난 10.23 해방선언 이후 국가재건 과정

신정부 수립 로드맵 (20 개월 )

① 해방선언 (10.23) 1 개월내 과도정부 구성

② 과도정부 구성 이후 8 개월내 제헌의회 구성

③ 제헌의회 구성 이후 12 개월내 대통령 선거 및 신정부 출범

Page 6: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6

□ 리비아 자산운용 현황 ㅇ 리비아 해외자산은 약 1,700 억불 ㅇ 국부펀드 (LIA) 는 649 억불 – 이중 현금이 295 억불 - 현금 사용을 위해서는 해외 동결자산 해제 필요 ㅇ 2011.11 현재 이론적으로 동결자산중 190 억불이 해제 - 실제 가용한 금액은 그 보다 훨씬 적다고 언급 (Jibril 전총리 ) □ 통상 활동 재개 ㅇ 최근 NTC 는 기존의 통관수수료 , 생산세 , 소비세 등을 폐지 일부 품목 제외한 모든 수입물품에 대해 관세율을 5% 이하로

제한 □ 석유 및 가스 생산 재개 ㅇ 2011.11 현재 일 50-60 만 베럴 수준까지 회복 – 완전 정상화에는 최소 1 년 이상 소요 예상

2. 경제 여건 및 동향

Page 7: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7

□ 전후 재건시장 전망 ㅇ 정부부문만 향후 5~6 년 동안 1,200 억불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 정치일정 등 감안시 본격적인 재건사업은 2013 년 이후에나 시작 가능

예상 재건시장 ( 건설 ) 참여에 대한 국제적인 경쟁구도 : 기존 중국 - 터키 -

한국 ( 빅 3), 러시아 , 이태리 등 체제에서 일부 변동 예상 * 진출기업 및 공사현황은 전년과 같은 22 개사 , 53 건 , 106 억불 규모

□ 기존 건설공사 재개ㅇ 자금조달 여력 및 예산 우선 순위 등 고려시 내년에도 대규모 사업예산

편성은 곤란 예상 – 매우 시급한 공사 , 공정상 비용대비 효과 큰 사업 위주 재개

ㅇ 신규 사업도 예외적인 공사외에는 내년도 발주 사례 드물 것으로 예상

3. 건설시장 여건 및 동향

Page 8: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1. 리비아 재건 지원

□ 단기 ‘경제적 이익’ 보다는 장기적 안목에서 리비아 국민의 마음을 추구ㅇ 리비아 과도정부의 우선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인도적 지원에 주력할 필요 - 수자원 지원단 파견 , 실종자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 지원 , 의료봉사 활동 등

□ 민관합동 재건지원방안 모색

예 ) 열린의사회에서 의료인력 파견 , 진출기업은 숙식 등 지원 , 대사관은 리비아 정부와 협의하여 여타 필요사항 지원 등 역할 분담

□ EDCF( 경제개발협력기금 ) 사업 발굴 및 추진ㅇ 정부차원의 효과적인 재건 지원을 위해서는 EDCF 사업 발굴 필요

□ 우리의 경제개발경험을 전수하는 지식공유프로그램 (KSP) 추진ㅇ 현재 리비아에 필요한 사업이며 , 향후 주제선정을 위해 협의 예정

□ 리비아 신도시 및 항만 건설을 위한 마스터플랜 (or 타당성 조사 ) 지원

4. 현안사항

Page 9: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2. 기존 공사재개

□ 「리비아 여행금지국 지정 」 조기 해제 추진

□ 내전으로 인한 진출기업들의 피해보상 , 미수금 지불 등 협의 지원

ㅇ 피해보상을 청구하기 위한 현장조사 등을 통해 증빙자료 및 서류 준비 필요

4. 현안사항

Page 10: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Page 11: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세계 6 위의 석유매장량 , 세계 7 위의 가스매장량을 보유한 자원부국 ㅇ 향후 100 년간 채굴 가능 , 다만 아부다비에 90% 이상 편중됨

□ 동서양을 잇는 지리적 이점 , 양호한 물류인프라 , 세제혜택 등으로 중계무역의 중심지

□ “ 아부다비 비젼 2030” 에 따라 탈석유시대를 대비한 경제다변화 추진

□ 중동국가들의 정치적 소요사태로 부터 자유로운 몇 안되는 국가중 하나

1. 경제여건 및 동향

Page 12: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최근 ’ 08 년 금융위기 , ’09 년 두바이 사태 , 유로존 베일아웃 등으로 아부다비 정부는 구조조정을 진행중

ㅇ 재정수입의 다변화 : 유료주차 등 준조세 도입 , 외자유치 , 국채발행 등

ㅇ 재정지출의 건전성 확보 : 각종 개발계획수정 , 모든 투자사업 재검토중

ㅇ 자국화 추진 : 자국인 고용확대 , 직업교육 강화 , 복지 및 참정권 강화 등

ㅇ 구조조정 추진 : 정부 및 공공기관의 구조조정 및 조직개편을 단행중

ㅇ 중동지역내 역량강화 : 리비아에 전투기 제공 , 바레인 사태 개입 등

1. 경제여건 및 동향

Page 13: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인프라 사업

ㅇ UAE 철도 1 단계 사업사 선정 (‘11.10) 및 2단계 사업 PQ 공고 ㅇ 메트로 건설 : 기본구상 , 타당성조사 이후 각료회의의 승인을 기다리는 상황 ㅇ 공항 : 아부다비 공항확장사업 중 터미널공사 본입찰 (6 개 컨소시엄 참여 )

ㅇ 고속도로 : 아부다비 - 두바이간 PQ 진행중 , 마프락 - 쿠웨이팟 발주예정

□ 석유 /가스부문

ㅇ 루웨이즈 : Carbon Black, Delayed Coker 사업 본입찰 진행중

ㅇ Chemaweyat : 루웨이즈 인근 대규모 화학단지로 1 단계 Tacamol 발주 내년 진행

ㅇ 해상유전 : Adma-Opco, Zadco 등 발주처에서 해상유전개발 지속 추진

2. 2011 년 주요사업 추진동향 : 투자사업 재검토로 프로젝트 발주 지연

Page 14: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발전사업

ㅇ 아부다비 수전력청의 타윌라 발전소 건설계획 지연 , 미르파 발전소 우선 발주 가능성 ㅇ 두바이 수전력청의 Hessian IWPP 발전소 ‘ 11.10 입찰 진행

□ 도시개발사업

ㅇ사디야트 섬의 3개 박물관 , 문화지구 개발사업 추진 지연 /보류

ㅇ 림섬개발사업 투자자 모집 어려움으로 개발지연

ㅇ 모하메드 빈 자이드 시티 사업추진 진행사항 없음

2. 2011 년 주요사업 추진동향 : 투자사업 재검토로 프로젝트 발주 지연

⇒ 주재국 정부투자사업 재조정으로 발주물량이 대폭 축소됨에 따라 연말까지 30 억불 수주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 (‘11.11말 현재 19.6 억불 )

Page 15: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12 년에는 ’ 11 년 고유가로 인한 재정수입증가 , 석유관련 사업 발주 ,

공항 및 인프라사업 등 발주진행으로 주재국내 발주량 증가예측

ㅇ 우리기업이 현재 수주활동중인 사업이 150 억불 이상으로 집계 ㅇ UAE 2 단계 철도사업 본공사 (27~41 억불 ), 아부다비 공항 미드필드 터미널 (68 억불 ), 케마위아트 타카몰 (10 억불 , 전체 150 억불 ), 해상유전 개발 (20

억불 수준 )

3. 2012 년 수주전망

Page 16: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UAE 에서 ‘11.10 월말 현재 우리기업의 누계 수주실적은 140 개사 ( 하청 77

개사 포함 ) 사가 221 건 , 591 억불임

ㅇ 점유율은 전세계 (4,533 억불 ) 의 약 13.0%, 중동 (2,781 억불 ) 의 약 21.3%

□ 시공중인 공사는 40 개사 ( 하청포함 110 개 ) 가 100 건 , 약 527.5 억불임

ㅇ 도급순위 상위 20 위 기업중 현대산업개발 , 동부등 제외한 16 개 기업이 진출

□ ‘10.9 월 현재 우리 건설인력은 총 1,100 명 수준

ㅇ ’ 09 년 ’ 10 년에 현대등 6 개 대기업이 수주한 사업을 수행하는데만 ’ 11 년 38백명 ,

’12 년 20백명 , ’13 년 9 백명 , ’14 년 10백명 등 총 8 천명이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4. 아국 기업 진출현황 및 건설인력 고용현황 및 전망

Page 17: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UAE 철도 2 단계사업 수주지원

ㅇ 27~41 억불 규모의 본공사 4개 공구에 대한 수주활동 전개

□ 아부다비 공항 터미널 수주지원

ㅇ 총사업비 68 억불중 미드필드 터미널에 대한 수주활동 전개 ( 현대 , 삼성 컨소시엄 참여 )

5. 현안사항

Page 18: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석유 /가스부문

ㅇ ADNOC 은 향후 2018 년까지 현재 일일 260 만 배럴의 석유 및 57 억 feet3의 가스생산량을 각각 350 만 배럴 (90 만 배럴 증산 ) 및 70 억 cf(13 억 cf 증산 ) 로 확대하려는 계획을 추진중

* ADNOC 은 2011 년 3/4 분기부터 2012 년말까지 220 억불의 계약을 체결할 계획

□ 아부다비 서부지역 개발

ㅇ UPC 는 아부다비 서부지역 개발을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중이며 2012 년 공개예정 ㅇ 총 사업비 660 억불이 투자될 예정이며 , 석유 /가스부문에 50%, 교통인프라 등

45%, 사회적 인프라에 나머지가 투입될 예정

6. 신규진출 가능분야

Page 19: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프로젝트 파이낸싱 강화

ㅇ 전력 /인프라 부문에서 민관합작사업 (PPP) 확대 추진될 예정으로 우리기업의 수주를 지원하기 위한 해외건설지원펀드 확충

□ PM 등 고부가가치 진출

ㅇ EPC 에서 중국등의 추격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기업의 PM 등 고부가가치 부문으로의 진출은 어려운 상황

ㅇ 정부차원의 절차개발 , 인력양성 , 핵심기술개발 등 R&D 지원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

7. 제안 및 건의

Page 20: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Page 21: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석유 의존형 취약한 경제구조 , 고유가 지속에 따라 우호적 투자 환경 조성 ㅇ GDP 의 92%, 재정수입의 94% 를 석유수출에 의존 ㅇ 2010/11 회계연도에만 예산 (582 억불 ) 의 33% 인 190 억불의 재정 흑자 발생 * 향후 원유가격이 배럴당 101~108 불 분포를 보이는 경우 270 억 KD~382 억불의 재정흑자 전망 (NBK). 11.24 일 OPEC 기준원유가는 배럴당 108 불 수준

□ 2010 년에 이어 2년째 국가개발계획에 따른 각종 프로젝트 추진 중 ㅇ “ 2010/2014 국가개발계획”에 따라 1,040 억불 규모의 개발프로젝트 추진 ㅇ 병원 , 대학교 , 주택건설 등과 함께 석유산업 고도화 등을 위한 NRP 및 CFP, 금융 및 무역 허브로의 육성을 위한 부비얀항 , 공항 제 2여객터미널 , 철도 및 메트로 등도 추진

□ 정부와 국회간 갈등 심화 , 시위 격화 등에 따라 프로젝트 추진 동력 분산 우려

1. 경제여건 및 동향

Page 22: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정부의 사업추진 결정지연 등에 따라 프로젝트 발주규모 감소 ㅇ 2011. 6 월말 NRP(New Refinery Project, 140 억불 추정 ) 및 CFP(Clean Fuel

Project, 170 억불 추정 ) 에 대한 최고석유위원회 (SPC, 위원장 - 총리 ) 의 승인이 있었으나 , 내각에서는 아직 추진결정을 하지 않고 있음 ㅇ 작년 10 월 아국 기업이 최저가 입찰한 Jaber 코즈웨이 (26 억불 규모 ) 의 계약도

지연

□ 메트로 , 철도 등 다양한 프로젝트 준비 중이나 추진시기 등 불확실성 상존 ㅇ ( 메트로 ) PTB 는 11 월 타당성 결과 발표 , 내년초 PQ, 내년말 사업자 선정추진

ㅇ ( 철도 ) ’11.8 월에야 16 개월 TA(Transaction Advisory) 용역 수행자 선정 ㅇ ( 교량 ) Jaber 코즈웨이 계약체결 지연으로 Doha 링크 (7 억불 예상 ) 추진도 지연 ㅇ ( 공항 ) 13백만명 규모의 제 2여객터미널 입찰 (30 억불 규모 ) 내년 진행 ㅇ ( 발전 및 담수 ) 1,500MW+102MIGD 의 북부아주르 발전소 입찰 연내 완료 전망

ㅇ ( 신도시 ) 인구 25,000 명 규모의 소도시를 비롯 , Al-Khiran city 등 BOT 로 추진

2. 2011 년 건설시장 동향

Page 23: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주재국에는 총 16 개 기업이 진출하여 총 24 개 현장 (104.7 억불 ) 운용 중 ㅇ 건설기업 ( 공사액 ) : 현대건설 (3,558), SK 건설 (725), GS 건설 (554), 대림산업 (900), 두산중 (1,093), 현대중 (2,590), 대우건설 , 삼성물산 , 한화건설 (414), 대한전선 (148),

LS 전선 (30.8), 삼성 SDS(450), 휴먼텍코리아 (3.5) * 단위 : 백만불 ㅇ 상사 등 : 대우인터내셔널 , STX㈜ , 휴먼텍코리아 , 동명기술공단 등

□ 한국인 근로자는 총 737 명으로 원도급 소속 407 명 및 하도급 소속 330 명 수준

□ 금년 중 아국 기업은 총 5 건 15.07 억불을 수주 – 작년의 1/3 수준

※ 2011 년 중 계약체결 공사 : 15.07 억불 ․ KNPC 소방설비 현대화 ( 한화건설 , 2.2 억불 , 11.3.14 계약 ) ․ KNPC Tank Farm(GS 건설 , 5.5 억불 , 2011.4.6 계약 ) ․ RIC A/C 공장 개조 ( 휴먼텍코리아 , 3.5백만불 , ’11.7.19 계약 ) ․ KOC Wara maintenance (GS 건설 , 5.45 억불 , ’11.9.15 계약 ) ․ MEW Az Zour 송수장 건설 (WDC II)(GS 건설 , 1.89 억불 , ’11.10.2 계약 )

3. 아국 기업 진출현황 및 건설인력 고용현황

Page 24: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프로젝트 수익성 확보

ㅇ‘저가수주’가 실제 손실로 연결되고 있어 , 적정가격 확보를 위한 대책 필요 * 저가수주는 아국 기업은 물론 , 유럽 및 중국 등 해외기업 등과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 또는 쿠 시장으로의 전략적 진출 목적일 것이나 , 실제 엄청난 규모의 프로젝트 손실로 연결되고 있어 우리 기업의 자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

ㅇ 신규 진출업체의 ‘ 수업료’ 최소화 노력 필요 * 주재국내 까다로운 프로젝트 수행환경 ( 로컬기업 , 주재국 정부 등의 업무행태 포함 ) 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스터디를 통해 수업료 최소화 노력이 필요

□ 민자사업 등 프로젝트 추진방식 변화 등을 고려한 참여 전략 마련 ㅇ 주재국내 민자사업의 본격 추진에 따라 기업간 협력이 불가피한 상황 ㅇ 아국 기업 , 외국 기업들과도 협력을 통해 민자사업 참여 방안 모색 필요

4. 현안사항

Page 25: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주재국내 프로젝트 추진여부 검토시 행정분야 리스크에 대한 충분한 고려

ㅇ 쿠웨이트는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한 행정절차 처리가 매우 까다로운 나라로서 ,

프로젝트 추진시 이와 관련된 문제발생 소지가 높으므로 심각한 리스크로 고려할 필요 * 행정절차 처리에 관한 한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 채택을 제안 드림

ㅇ 실제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는 한국인이 행정절차를 전담하여 관리할 것을 제안

□ 컨설팅 , 설계 , 감리 등 용역분야 진출 고려

ㅇ 신도시 , 공항 , 철도 등 한국이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서의 컨설팅 , 설계 ,

감리 등 용역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고용확대도 도모 ㅇ 용역이 발주되기를 기다리지 말고 , “ 용역사업 제안” 등을 통해 기회를 만들어가는 것도 유효한 방식

5. 제안 및 건의

Page 26: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Page 27: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일반적 동향

ㅇ ( 지리적 요충지 ) 아시아ㆍ유럽ㆍ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

ㅇ ( 영향력 증대 ) 중동 사태를 계기로 이 지역에서 정치ㆍ경제적 영향력 증대

ㅇ ( 정치적 안정 ) ‘02 년 집권한 여당이 ’ 11 년 3 연속 집권에 성공

□ 경제동향

ㅇ ( 경제성장 ) 유로존 재정위기에도 불구하고 ’ 10 년 8.9% 경제성장 , GDP

7,360 억불 ( 세계 17 위 ) 달성

ㅇ ( 신용등급 상향 ) 자국표시 국채등급 상승 (BB+→BBB-, S&P)

ㅇ ( 경상수지 적자 ) ’10 년 수출 1,139 억불 , 수입 1,855 억불 (716 억불 적자 )

ㅇ ( 대터키 교역 ) ’10 년 對韓 교역액 50.6 억불 ( 수출 47.6 억불 , 수입 3억불 )

1. 터키 여건 및 동향

Page 28: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전반적 동향 ㅇ 건설이 전체고용의 6.5%(150 만명 ) 차지 , 건설부분 성장이 GDP 성장을 초과 ㅇ ’ 02 신정부 수립이후 ’ 07 금융위기 시기를 제외하고 지속성장

□ 해외건설 동향

ㅇ (’10 년 실적 ) ’10 년 223 억불 수주 , 164 억불 자재수출 – 투르크메니스탄 (43 억불 ), 리비아 (25 억불 ), 이라크 (23 억불 ), 러시아 (18

억불 ), 오만 (17 억불 ), 이란 (11 억불 )

ㅇ ( 해외건설 누계 ) 92 개국 6,500 프로젝트에 2,050 억불 – 유라시아 (43.1%), 중동 (24.9%), 북아프리카 (18.8%)

ㅇ ( 주요공종 ) 도로 , 주택 , 상업시설 , 리조트 등 건축ㆍ토목 공종

2. 건설 동향

Page 29: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건설 부문 성장 >

Page 30: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30 < 해외건설 수주 및 자재수출 현황 >

Page 31: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31 < 해외건설 수주지역 분포>

Page 32: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대터키 투자현황 (1980∼2010)ㅇ 총 339 건 , 6.1 억불ㅇ 진출기업 총 45 개사 ( 현대자동차 , 삼성전자 , LG 전자 , 포스코 , SK 건설 ,

로템

3. 우리기업 진출현황

□ 북 마르마라 고속도로 건설ㅇ 연장 414km, 사업비 약 80 억불의 BOT 사업 , 보스포러스 제 3대교

건설포함 ㅇ 포스코 건설이 콜린 ( 터 ) 과 콘소시움 구성 , 입찰참여 ( 입찰마감 ’ 12.1)

준비중

□ 고속철도 차량수주ㅇ 우리의 유로템 진출 ( 현대로템+ 터키 철도청 )ㅇ 앙카라∼코냐 구간 (212㎞ ) 의 차량 입찰에 참여 , 차세대 고속철도 차량 (

동력 분산식 ) 공급 추진

4. 현안사항

Page 33: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Page 34: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제 3 국 건설 공동진출

ㅇ 중동의 정국 불안 리스크 대비 및 중앙아시아 등으로 지역 다변화 필요

⇒ 터키와의 건설협력 요구 (‘10.3 한 - 터간 해외건설협력 MOU 체결 )

※ ( 한국 ) 플랜트 중심 , 중동지역 위주 진출 ( 터키 ) 건축ㆍ토목 중심 , 중앙아시아ㆍ아프리카 위주 진출

※ ’11.11 제 1 회 한 - 터 제 3국 건설 공동진출 협력포럼 개최

□ 기타

ㅇ ( 해운협정 ) 제 3국 선박에 관한 내용 포함에 대한 이견으로 협상 지연

ㅇ ( 시놉원전 ) 우리와는 정부보증 문제로 협상결렬 , 일본과도 원전사고로 인해

협상 중단 (’11.4)

ㅇ (FTA) 한 -EU FTA 발효 (’11.7) 에 맞추어 추진하였으나 협상지연

4. 현안사항

Page 35: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철도

ㅇ 공화국 설립 100 주년인 2023 년을 목표로 고속철도망 구축 ( 약2,300km) 및 기존철도 개량 추진

□ 도로

ㅇ 공화국 설립 100 주년 기념 프로젝트로 국가 교통망 확충을 위한 12 개 신규 고속도로 사업 추진 ( 총연장 4,793km)

□ 에너지

ㅇ 풍력ㆍ지열 , 원자력 등 신재생에너지 건설 추진

ㅇ 에너지 허브로서 에너지 안보에 노력 ( 중동ㆍ중앙아시아 석유ㆍ천연가스를 유럽으로 송출 )

5. 신규진출 전략 및 발굴 가능분야

Page 36: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터키 고속철도 건설계획>

Page 37: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

□ 대통령을 비롯 우리의 고위인사 주재국 방문

ㅇ 대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하여는 고위층간의 논의 필요

□ 주재국내 해외건설협회 지사 설립

ㅇ 주재국 건설업체의 동향파악 , 중동 및 CIS 국가에 공동진출을 위하여 해외건설협회 지사를 이스탄불에 설치하고 건설 전문가 상주

□ 주재관에게 출장비 , 활동비 등 예산지원

ㅇ 경제중심지 ( 이스탄불 ), 행정수도 ( 앙카라 ) 의 분리로 출장 예산 제약

6. 제안 및 건의사항

Page 38: 주재국 동향 및 진출확대방안 ( 리비아 , UAE,  쿠웨이트 ,  터키 ) 2011.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