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http://jsms.sch.ac.kr 61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추진우 1 , 장안수 1 , 염석천 1 , 공민규 1 , 남재형 1 , 한지수 1 , 여소정 1 , 박춘식 1 , 고은석 2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1 내과, 2 병리과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with an Increased Size and Chest Discomfort on 10 Years’ Follow-up Jin-Woo Choo 1 , An-Soo Jang 1 , Seok-Chun Yeum 1 , Min-Gyu Kong 1 , Jae-Hyung Nam 1 , Ji-Soo Han 1 , So-Jung Yeo 1 , Choon-Sik Park 1 , Eun-Seok Koh 2 Departments of 1 Internal Medicine and 2 Path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cheon, Korea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is a relatively rare neoplasm of the lung with polymorphic histologic features of 2 unifying cel- lular components including surface cuboidal cells and interstitial round cell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typically occurs in middle aged women with asymptomatic, peripheral, solitary, well-circumscribed lesions. Although it is pathologically benign, it re- veals size growing and chest symptom. We here report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in a 72-year-old woman. She presented chest discomfort. A chest radiography and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growing size from 3.2× 3.1 cm to 6.0× 5.3 cm in left upper lung during 10 years’ follow-up period. Surgical resection of lung revealed a distinct constellation of find- ings including 2 epithelial cell types, surface cells, and round cells, which form 4 architectural patterns, papillary, sclerotic, solid, and hemorrhagic. She was diagnosed a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and chest discomfort disappeared. Keyword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Lung diseases; Follow-up studies 서론 경화성 혈관종은 양성 폐종양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1956LiebowHubbell [1] 의하여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면역형광 화학염색과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 상피세포에서 기원[2] 하는 양으로 알려져 있다. 경화성 혈관종은 중년 여성에 흔하고, 대부분 환자에서 특별한 증상 없지만 객혈이나 만성 기침을 호소하는 우도 있다. 드물게 종격동 림프절 전이[3] 다발성 산재[4] 있는 경우가 있으며 외과적 절제술이 필요할 있다. 경화성 혈관종은 크기가 0.3 cm에서 8 cm크기가 다양하고, 대개 단독으로 생기 지만 다발성으로 발생할 있고 폐를 침범하는 사례도 있다. 료는 크기가 크거나 종격동 림프절 전이 다발성 산재 수술적 절제술이 시행된다. 저자들은 10 년간 추적 관찰 동안 크기가 증가 하고 흉부 불편감 증상을 보인 양성 폐결절을 폐의 쐐기 절제술로 제거하고, 조직검사에서 경화성 혈관종으로 진단한 1 예를 문헌 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환자: 72, 여자 주소: 흉부 불편감 과거력 및 현병력: 환자는 내원 1 개월 발생한 좌측 흉부의 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10 기침, 가래 증상으로 개인 병원 흉부 단순촬영에서 직경 4.2 cm (Fig. 1), 흉부 전산화단층촬 영에서 3.2 × 3.1 cm결절 병변이 좌상엽에 관찰되었다. 결절은 경계가 분명하고 원형 소견이었다(Fig. 2). 좌상엽 병변에서 경피적 세침흡인검사를 하였고 악성종양세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관 내시경에서도 기관지 병변은 없었다. 양성종양으로 판단하여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 June 2012 pISSN: 2233-4289 I eISSN: 2233-4297 CASE REPORT Correspondence to: An-Soo J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70 Jomaru-ro, Wonmi-gu, Bucheon 420-767, Korea Tel: +82-32-621-5143, Fax: +82-32-621-5018,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Feb. 21, 2012 / Accepted after revision: Jun. 13, 2012 © 2012 Soonchunhyang Medical Research Institut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http://jsms.sch.ac.kr 61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추진우1, 장안수1, 염석천1, 공민규1, 남재형1, 한지수1, 여소정1, 박춘식1, 고은석2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1내과, 2병리과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with an Increased Size and Chest Discomfort on 10 Years’ Follow-upJin-Woo Choo1, An-Soo Jang1, Seok-Chun Yeum1, Min-Gyu Kong1, Jae-Hyung Nam1, Ji-Soo Han1, So-Jung Yeo1, Choon-Sik Park1, Eun-Seok Koh2

Departments of 1Internal Medicine and 2Path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cheon, Korea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is a relatively rare neoplasm of the lung with polymorphic histologic features of 2 unifying cel-lular components including surface cuboidal cells and interstitial round cell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typically occurs in middle aged women with asymptomatic, peripheral, solitary, well-circumscribed lesions. Although it is pathologically benign, it re-veals size growing and chest symptom. We here report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in a 72-year-old woman. She presented chest discomfort. A chest radiography and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growing size from 3.2× 3.1 cm to 6.0× 5.3 cm in left upper lung during 10 years’ follow-up period. Surgical resection of lung revealed a distinct constellation of find-ings including 2 epithelial cell types, surface cells, and round cells, which form 4 architectural patterns, papillary, sclerotic, solid, and hemorrhagic. She was diagnosed a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and chest discomfort disappeared.

Keywords: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Lung diseases; Follow-up studies

서 론

경화성 혈관종은 양성 폐종양 중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1956년 Liebow와 Hubbell [1]에 의하여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면역형광

화학염색과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 상피세포에서 기원[2]하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경화성 혈관종은 중년 여성에 흔하고, 대부분 환자에서 특별한 증상 없지만 객혈이나 만성 기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 종격동 림프절 전이[3] 및 다발성 산재[4]가 있는 경우가 있으며 외과적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경화성 혈관종은 크기가 0.3 cm에서 8 cm로 크기가 다양하고, 대개 단독으로 생기

지만 다발성으로 발생할 수 있고 양 폐를 침범하는 사례도 있다. 치료는 크기가 크거나 종격동 림프절 전이 및 다발성 산재 시 수술적 절제술이 시행된다. 저자들은 10년간 추적 관찰 동안 크기가 증가하고 흉부 불편감 증상을 보인 양성 폐결절을 폐의 쐐기 절제술로

제거하고, 조직검사에서 경화성 혈관종으로 진단한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 72세, 여자

주소: 흉부 불편감

과거력 및 현병력: 환자는 내원 1개월 전 발생한 좌측 흉부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10년 전 기침, 가래 증상으로 개인병원 흉부 단순촬영에서 직경 4.2 cm (Fig. 1), 흉부 전산화단층촬

영에서 3.2×3.1 cm의 결절 병변이 좌상엽에 관찰되었다. 결절은 경계가 분명하고 원형 소견이었다(Fig. 2). 좌상엽 병변에서 경피적 세침흡인검사를 하였고 악성종양세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관

지 내시경에서도 기관지 내 병변은 없었다. 양성종양으로 판단하여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 June 2012 pISSN: 2233-4289 I eISSN: 2233-4297

CASE REPORT

Correspondence to:  An-Soo Jang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70 Jomaru-ro, Wonmi-gu, Bucheon 420-767, KoreaTel: +82-32-621-5143, Fax: +82-32-621-5018, E-mail: [email protected]:  Feb. 21, 2012 / Accepted after revision:  Jun. 13, 2012

© 2012 Soonchunhyang Medical Research Institute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Page 2: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Choo JW, et al. •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62 http://jsms.sch.ac.kr

Fig. 1. Chest radiography shows a round shape nodule of maximal 4.2 cm diameter in left upper lobe (A) and a nodule of maximal 6.3 cm diameter on 10 years’ follow-up (B).

A B

Fig. 2. Chest computed tomography shows a well demarcated circular shape 3.2× 3.1 cm nodule in left upper lobe (A) and a well-circumscribed round shape hetero-geneously enhanced 6.0× 5.3 cm nodule in left upper lobe on 10 years’ follow-up (B).

A B

주기적으로 경과 관찰을 권고하였다. 개인의원에서 경과 관찰 중 불편감 없이 지내오다가 내원 1개월 전 흉부 불편감이 발생하여 개인의원에서 시행한 흉부 단순촬영에서 기존의 좌상엽 병변의 크기

가 증가하여 조직검사 등의 검사를 위해 입원하였다.

가족력: 특이 사항 없었다.사회력: 비흡연자이고 음주력은 없었다.진찰 소견: 내원 당시 혈압 118/78 mmHg, 맥박수 72회/분, 호흡

수 18회/분, 체온 36.8°C였고 신체검사에서 전신상태는 양호하였

Page 3: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폐의 경화성 혈관종 1예 • 추진우 외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 http://jsms.sch.ac.kr 63

Fig. 3. Gross findings show a well-circumscribed, gray tannish solid mass with extensive areas of hemorrhage and cystic degeneration.

Fig. 4. Surgical lung biopsy shows a distinct constellation of findings including 2 epithelial cell types, surface cells and round cells, which form 4 architectural patterns, papillary, sclerotic, solid and hemorrhagic. Low magnification shows solid sheet and papillary patterns with areas of hemorrhage (H&E, × 40).

고, 흉부 청진에서 좌상부의 호흡음이 감소되어 있었다.검사 소견: 일반혈액검사는 백혈구 6,400/mm3 (호중구 52.4%,

림프구 36.1%, 단핵구 8.8%), 혈색소 12.0 g/dL, 혈소판 243,000/mm3

이었다. 혈청 생화학검사는 총 단백질/알부민 6.9/4.0 g/dL, aspar-tate aminotransferase/alanine aminotransferase 22/13 IU/L, 총 빌리루빈 0.68 mg/dL,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18.7/1.0 mg/dL, Na/K/Cl 143/3.3/105 mmol/L이었다. 종양표지자검사에서 car-cinoembryonic antigen 3.33 ng/mL, Cyfra 21-1 2.2 ng/mL로 정상 범위였으며, 소변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폐기능 검사: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은 2.34 L이고 정상 예측치의 95%,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은 1.93 L, 112%, FEV1/FVC는 83%이었다.

방사선 소견: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존의 좌상엽 병변이 4.2 cm에

서 6.3 cm로 증가되어 되었다(Fig. 1).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상엽 병변이 3.2×3.1 cm에서 6.0×5.3 cm로 크기가 증가되었으며 병변은 경계가 분명한 원형이고 이질성으로 조영 증강되는 소견을 보였다(Fig. 2).

기관지 내시경 소견: 기관지 내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폐조직 소견: 육안 소견에서 폐상엽에서 쐐기 절제된 종괴는 난

원형으로, 크기는 6.0×5.5×3.5 cm였으며, 종괴의 절단면은 황갈

색을 띄는 고형성 종괴로 광범위한 출혈과 낭성변화 소견을 보였다

(Fig. 3). 광학현미경에서 종양세포는 주로 판상의 고형성 또는 유두상 배열을 하였고 광범위한 부위에서 출혈이 동반되었으며 고형

성 판상의 일부에서 초자양 교원섬유의 경화 소견도 관찰되었다

(Fig. 4). 종양세포는 두 가지 종류로 원형의 기질세포와 입방형 표면세포로 구성되어 있었고,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종양세포는 ep-ithelial membraine antigen (EMA), thyroid transcription factor-1 (TTF-1), Vimentin에 양성으로 발현되었고 CK5/6, CK7, CD34 등에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Fig. 5).

임상경과: 병변은 흉강경하 쐐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8일째 퇴원하였으며, 외래에서 2달째 외래에서 별 문제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고 찰

경화성 혈관종은 중년 여성(5 :1)에서 호발하며[5], 대부분 무증

상이지만 만성 기침이나 객혈[6]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드문 경우에서 림프절 전이 소견을 보이지만 예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방사선검사에서는 변연부에 명확한 경계를 가지는 단일한 둥근 병변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8]. 병리육

안 소견에서는 경계가 명확한 종괴이며 대부분이 폐실질에 있지만 드물게는 기관지 내, 흉막 내에 위치하기도 한다. 크기는 0.3 cm에

서 8 cm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9,10].조직학적 소견에서는 특징적으로 2개의 상피세포와 4개의 특징

적인 조직구조를 가진다. 조직을 구성하는 상피세포는 표면세포와 원형세포이며 그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으나 면역형광염색

법과 전자현미경 소견을 통해서 현재는 제2형 허파꽈리세포에서 기원하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2,5].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4개의 구조는 유두상, 경화성, 고형성, 출혈성이며 95%에서 3가지의 구조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9].진단은 세침흡인검사에서 특징적인 세포 소견을 보이거나[11] 개

cm

Page 4: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Choo JW, et al. • A Case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64 http://jsms.sch.ac.kr

Fig. 5. (A) Surgical lung biopsy shows papillary pattern (H&E,  × 100), (B) solid pattern (H&E,  × 100), (C) hemorrhagic pattern (H&E,  × 100), (D) round stromal cells and cu boidal surface cells (H&E, × 400), (E) membranous staining of round and surface cells by epithelial membraine antigen (EMA, × 200), (F) and expresses nuclear stain-ing by TTF-1 (TTF-1, × 200).

C D

E F

A B

흉술로 조직을 채취하여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과 면역형광화학

적인 방법에 의해 TTF-1, EMA에 양성인 경우 진단이 가능하다

[12,13]. 병리학적으로 특징적인 구조를 확인해야 진단이 가능하므

로 세포의 일부만 확인 가능한 경피적 세침흡인이나 동결절편검사

Page 5: 10년간 경과 관찰 후 크기가 증가한 경화성 혈관종 1예 - SCHjsms.sch.ac.kr/upload/pdf/SMS_18_1_61_65.pdf · 2012. 7. 17. ·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폐의 경화성 혈관종 1예 • 추진우 외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8(1):61-65 http://jsms.sch.ac.kr 65

를 통해서는 진단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경화성 혈관종은 수술적 절제를 통해 치료하며 추가적인 처치는

필요하지 않는다. 추적 관찰에서 재발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아직

까지 사망 환자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예후는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국내 보고에서는 경화성 혈관종이 다발성 결절 형태, 조직 소견

일부에서 유두상 선암종 또는 선암종 부분을 포함한 경우, 국소 림프절 전이, 흉막에서 기원하여 유경종 형태로 자란 경우 등이 보고

되었다[4].기존의 경화성 혈관종 증례들은 진단 즉시 수술을 시행하고 조

직검사에서 진단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증례는 경피적 세침흡입술을 시행하고 양성으로 생각되어 추적 관찰하다가 10년 뒤에 흉부 불쾌감 증상이 생기고, 크기가 커져, 절제 수술 후 진단한 증례이다. 본 증례는 경화성 혈관종이 10년간 추적 관찰하였음에

도 원격 전이가 없었고 악성화하지 않았으며 증식속도 또한 비교적 느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Liebow AA, Hubbell DS. Sclerosing hemangioma (histiocytoma, xantho-ma) of the lung. Cancer 1956;9:53-75.

2. Yousem SA, Wick MR, Singh G, Katyal SL, Manivel JC, Mills SE, et al. So-called sclerosing hemangiomas of lung: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supporting a respiratory epithelial origin. Am J Surg Pathol 1988;12:582-90.

3. Tanaka I, Inoue M, Matsui Y, Oritsu S, Akiyama O, Takemura T, et al. A

case of pneumocytoma (so-called sclerosing hemangioma) with lymph node metastasis. Jpn J Clin Oncol 1986;16:77-86.

4. Kim GY, Kim J, Choi YS, Kim HJ, Ahn G, Han J. Sixteen cases of scleros-ing hemangioma of the lung including unusual presentations. J Korean Med Sci 2004;19:352-8.

5. Devouassoux-Shisheboran M, Hayashi T, Linnoila RI, Koss MN, Travis WD.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100 cases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with immunohistochemical studies: TTF-1 is expressed in both round and surface cells, suggesting an origin from primitive respiratory epithelium. Am J Surg Pathol 2000;24:906-16.

6. Ng WL, Ma L. Is sclerosing hemangioma of lung an alveolar mixed tu-mour? Pathology 1983;15:205-11.

7. Iyoda A, Hiroshima K, Shiba M, Haga Y, Moriya Y, Sekine Y, et al.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Ann Tho-rac Surg 2004;78:1928-31.

8. Chung MJ, Lee KS, Han J, Sung YM, Chong S, Kwon OJ.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presenting as solitary pulmonary nodule: dynamic CT findings and histopathologic comparisons. AJR Am J Roentgenol 2006;187:430-7.

9. Keylock JB, Galvin JR, Franks TJ. Sclerosing hemangioma of the lung. Arch Pathol Lab Med 2009;133:820-5.

10. Wani Y, Notohara K, Tsukayama C, Okumura N. Sclerosing hemangioma with florid endobronchial and endobronchiolar growth. Virchows Arch 2007;450:221-3.

11. Chow LT, Chow WH, Tsui WM, Chan SK. Fine needle aspiration cytodi-agnosis of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Acta Cytol 1995;39:609-11.

12. Chan AC, Chan JK. Pulmonary sclerosing hemangioma consistently ex-presses thyroid transcription factor-1 (TTF-1): a new clue to its histogen-esis. Am J Surg Pathol 2000;24:1531-6.

13. Kalhor N, Staerkel GA, Moran CA. So-called sclerosing hemangioma of lung: current concept. Ann Diagn Pathol 2010;14: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