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What’s new? Our view 베트남 CGV 사이트수는 2014년 20개 2020년 55개로 증가 예정. 특히, 2014~17년 신규 출점수는 매년 8~9개 에 달할 것 2014년 베트남 CGV OPM 13% 달성. 베트남 CGV 매출 에서 고마진 비상영 매출(매점+광고+배급)이 차지하는 비 중이 40% 수준으로 높기 때문으로 추정 베트남 CGV가 2014년부터 공격적 출점 전략으로 전환한 것은 동사가 고속성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 향후, 중국 연결대상 상영관들이 흑자 전환할 경우, 베트남 을 중심으로 하는 동사의 동남아 성장스토리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될 것으로 기대 베트남 CGV, 2014년부터 공격적 출점 전략 전환 베트남 CGV는 2011년 메가스타 인수를 통해 베트시장 진입. 동사의 신규 출점수는 2011년 1개 2012년 2개 2013년 1개로 2011~13년 당시 상당히 적편이었음. 과거 메가스타가 적자기업이었던 관계로 인수 초기엔 사이트 수익성 안정화 작업에 주력할 필요가 있던 것으로 추정 동사는 2014년 9개의 신규 점포를 출점하면서 공격적 출점 전략으로 전환. 참고로, 동사의 2014년 OPM은 13% 기록. 동사의 매출에서 고마진 비상영 매출(매점+광고+배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되어 향후에도 두자릿수 OPM 유지는 무난할 것으로 판단 베트남 CGV의 사이트수는 2014년 20개 → 2020년 55개로 증가 예정. 특히, 2014~17년에는 매년 신규 출점이 8~9개에 달할 것. 이렇듯, 동사는 이제 베트남에서 고속성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보이 고 있는 상황. 향후, 동사는 베트남 2선도시로의 출점확대를 통해 주요 상권의 선점 및 M/S 확대를 모색할 것으예상. 동사는 각 도시별로 적합한 티켓가격 책정을 통해 관객 집객효과를 극대화시킬 것. 이로 인해, 베트남 CGV의 매출액은 2014년 5,100만달러 2020년 1.82억달러로 증가해 CAGR 23.6%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 베트남 CGV 사이트 탐방 베트남 CGV 사이트의 전체적인 인상은 한국 CGV와 유사한 느낌의 프리미엄 영관. ATP는 4달러 후반대로 다소 높았지만, 시간대별 탄력요금제를 시행하고 있고, 매주 수요일 마다 Happy Day 할인행사를 진행 중에 있음. 방문 사이트는 총 5개(흥붕, 이온셀라돈, 리버티 시티포인트, 투덕, 비보시티). 점포로 보면, 흥붕은 백화점이 들어선 고층 주상복합건물, 이온셀라돈과 비보시티는 대형 쇼핑몰, 리버티 시티포인트중심가 고급호텔에 각각 입점해 있었음 세련된 인테리어, 댜양한 매점 메뉴, 4DX 및 IMAX와 같은 프리미엄관의 보유 등은 베트남 내에서 CGV가 프리미 엄 브랜드의 포지션을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베트남 내에서의 가격저항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스크린 상업광고의 유치에 적극적이라는 점과 배급업을 겸하고 있다는 점은 동사의 수익성 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미디어/엔터 투자의견: BUY (M) 목표주가: 89,000원 (M) 주가 (04/17) 72,500원 자본금 106억원 시가총액 15,342억원 주당순자산 20,740원 부채비율 198.06% 총발행주식수 21,161,313주 60일 평균 거래대금 71억원 60일 평균 거래량 113,423주 52주 고 72,600원 52주 저 43,200원 외인지분율 16.47% 주요주주 CJ 외 1 인 39.04% 주가수익률 (%) 1개월 3개월 12개월 절대 22.1 22.3 46.8 상대 15.6 7.7 36.4 절대(달러환산) 27.1 21.5 40.7 0 20 40 60 80 100 120 140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13.4 13.10 14.4 14.10 15.4 CJ CGV KOSPI 대비 상대수익률(최근2년) (원) (%) Company Report 2015.04.20 Forecasts and valuations (K-IFRS 연결) (단위: 억원, 원, %, 배)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매출액 9,159 10,393 12,165 14,617 영업이익 515 521 807 1,117 지배주주귀속 순이익 127 167 478 694 증가율 -76.6 31.3 186.9 45.2 PER 79.2 63.6 32.1 22.1 PBR 2.7 2.8 3.5 3.0 EV/EBITDA 11.0 10.5 10.6 8.5 ROE 3.5 4.4 11.6 14.5 주: 영업이익=매출총이익-판관비 자료: 유안타증권 CJ CGV (079160) [호치민 탐방기] 2020년 베트남 사이트 55개로 증가 예정 분기실적 (억원) 1Q15E 전년동기대비 (%) 전분기대비 (%) 컨센서스 컨센서스대비 (%) 매출액 2,707 9.6 4.5 2,827 -4.3 영업이익 139 44.6 158.3 157 -11.4 세전계속사업이익 98 57.5 흑전 132 -25.6 순이익 72 92.6 흑전 87 -16.9 영업이익률(%) 5.1 +1.2 %pt +3.0 %pt 5.5 -0.4 %pt 순이익률(%) 2.7 +1.2 %pt 흑전 3.1 -0.4 %pt 자료: 유안타증권

150420 CJ CGV 베트남탐방기file.myasset.com/sitemanager/upload/2015/0420/081430/... · 2015-04-19 · cj cgv(079160) 2 베트남 호치민 탐방 (2015. 4. 16 ~ 4. 18) 당사는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What’s new? Our view

베트남 CGV 사이트수는 2014년 20개 → 2020년 55개로

증가 예정. 특히, 2014~17년 신규 출점수는 매년 8~9개

에 달할 것

2014년 베트남 CGV OPM 13% 달성. 베트남 CGV 매출

에서 고마진 비상영 매출(매점+광고+배급)이 차지하는 비

중이 40% 수준으로 높기 때문으로 추정

베트남 CGV가 2014년부터 공격적 출점 전략으로 전환한

것은 동사가 고속성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

향후, 중국 연결대상 상영관들이 흑자 전환할 경우, 베트남

을 중심으로 하는 동사의 동남아 성장스토리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게 될 것으로 기대

베트남 CGV, 2014년부터 공격적 출점 전략 전환 베트남 CGV는 2011년 메가스타 인수를 통해 베트남

시장 진입. 동사의 신규 출점수는 2011년 1개 → 2012년 2개 → 2013년 1개로 2011~13년 당시 상당히 적은

편이었음. 과거 메가스타가 적자기업이었던 관계로 인수 초기엔 사이트 수익성 안정화 작업에 주력할 필요가 있었

던 것으로 추정

동사는 2014년 9개의 신규 점포를 출점하면서 공격적 출점 전략으로 전환. 참고로, 동사의 2014년 OPM은 13%

기록. 동사의 매출에서 고마진 비상영 매출(매점+광고+배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되어 향후에도 두자릿수 OPM 유지는 무난할 것으로 판단

베트남 CGV의 사이트수는 2014년 20개 → 2020년 55개로 증가 예정. 특히, 2014~17년에는 매년 신규 출점이

8~9개에 달할 것. 이렇듯, 동사는 이제 베트남에서 고속성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보이

고 있는 상황. 향후, 동사는 베트남 2선도시로의 출점확대를 통해 주요 상권의 선점 및 M/S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 동사는 각 도시별로 적합한 티켓가격 책정을 통해 관객 집객효과를 극대화시킬 것. 이로 인해, 베트남 CGV의

매출액은 2014년 5,100만달러 → 2020년 1.82억달러로 증가해 CAGR 23.6%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

베트남 CGV 사이트 탐방 베트남 CGV 사이트의 전체적인 인상은 한국 CGV와 유사한 느낌의 프리미엄 영화

관. ATP는 4달러 후반대로 다소 높았지만, 시간대별 탄력요금제를 시행하고 있고, 매주 수요일 마다 Happy Day

할인행사를 진행 중에 있음. 방문 사이트는 총 5개(흥붕, 이온셀라돈, 리버티 시티포인트, 투덕, 비보시티). 점포별

로 보면, 흥붕은 백화점이 들어선 고층 주상복합건물, 이온셀라돈과 비보시티는 대형 쇼핑몰, 리버티 시티포인트는

중심가 고급호텔에 각각 입점해 있었음

세련된 인테리어, 댜양한 매점 메뉴, 4DX 및 IMAX와 같은 프리미엄관의 보유 등은 베트남 내에서 CGV가 프리미

엄 브랜드의 포지션을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베트남 내에서의 가격저항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스크린 상업광고의 유치에 적극적이라는 점과 배급업을 겸하고 있다는 점은 동사의 수익성 제고

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미디어/엔터

투자의견: BUY (M)

목표주가: 89,000원 (M)

주가 (04/17) 72,500원

자본금 106억원

시가총액 15,342억원

주당순자산 20,740원

부채비율 198.06%

총발행주식수 21,161,313주

60일 평균 거래대금 71억원

60일 평균 거래량 113,423주

52주 고 72,600원

52주 저 43,200원

외인지분율 16.47%

주요주주 CJ 외 1 인 39.04%

주가수익률 (%)

1개월 3개월 12개월

절대 22.1 22.3 46.8

상대 15.6 7.7 36.4

절대(달러환산) 27.1 21.5 40.7

0

20

40

60

80

100

120

140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13.4 13.10 14.4 14.10 15.4

CJ CGV

KOSPI 대비 상대수익률(최근2년)

(원) (%)

Company Report 2015.04.20

Forecasts and valuations (K-IFRS 연결) (단위: 억원, 원, %, 배)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매출액 9,159 10,393 12,165 14,617

영업이익 515 521 807 1,117

지배주주귀속 순이익 127 167 478 694

증가율 -76.6 31.3 186.9 45.2

PER 79.2 63.6 32.1 22.1

PBR 2.7 2.8 3.5 3.0

EV/EBITDA 11.0 10.5 10.6 8.5

ROE 3.5 4.4 11.6 14.5

주: 영업이익=매출총이익-판관비

자료: 유안타증권

CJ CGV (079160)

[호치민 탐방기] 2020년 베트남 사이트 55개로 증가 예정

분기실적

(억원)

1Q15E

전년동기대비

(%)

전분기대비

(%)

컨센서스

컨센서스대비

(%)

매출액 2,707 9.6 4.5 2,827 -4.3

영업이익 139 44.6 158.3 157 -11.4

세전계속사업이익 98 57.5 흑전 132 -25.6

순이익 72 92.6 흑전 87 -16.9

영업이익률(%) 5.1 +1.2 %pt +3.0 %pt 5.5 -0.4 %pt

순이익률(%) 2.7 +1.2 %pt 흑전 3.1 -0.4 %pt

자료: 유안타증권

CJ CGV (079160)

2

베트남 호치민 탐방 (2015. 4. 16 ~ 4. 18)

당사는 2015년 4월 16일부터 18일까지 베트남 CGV 법인과 베트남 호치민의 CGV 5개 사이트

(흥붕, 이온셀라돈, 리버티 시티포인트, 투덕, 비보시티), 롯데 1개 사이트(다이아몬드플라자), 갤럭

시 1개 사이트(떤빈)를 방문해 베트남 영화산업의 현황을 점검했다.

베트남 시장 개요

베트남의 1인당 GDP 는 2014년 추정치 기준으로 2,053달러로 낮은 편이다. 이 중에서, 수도 하노

이의 1인당 GDP 는 3,279달러로 베트남 평균 대비 60% 높으며, 최대 상업도시인 호치민의 1인당

GDP 는 5,131달러로 베트남 평균 대비 무려 2.5배나 높다.[그림1~2]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에 의하면, 베트남의 인구는 2013년 기준으로 8,971만명에

달한다. 이 중에서, 1선도시인 하노이와 호치민의 인구는 각각 694만명과 782만명이다. 전체 인구

에서 양대도시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6%에 달한다. 참고로, 2013년 베트남 도시화율은 33%이

다. 베트남 전체 도시에서 양대도시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실상 절반 수준에 달하는 것이

다.[그림3]

이렇듯, 베트남은 아직 소득 수준이 낮지만 인구가 많아 잠재적인 성장성이 매우 큰 시장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인구 구조도 2015년 기준으로 39세 이하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7%에 달해 한국(49%) 및 중국(54%)과 비교해 젊은층의 비중이 매우 높다. 젊은 인구가 많다는

점은 영화시장의 초기 발전단계에서 영화에 대한 관객의 수용도가 높고 시간이 흐를수록 영화시장

의 저변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림4~5]

[그림1] 베트남 1 인당 GDP 추이 (명목 기준) [그림2] 베트남 1 선도시의 1 인당 GDP 비교 (2014 년 명목 기준)

700

1,753

2,053

3,226

2005 2008 2011 2014 2017 2020

(달러)

2005~14E

CAGR 12.7%

2014~20E

CAGR 7.8%

2,053

3,279

5,131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달러)

주: 2005~12년은 확정치, 2013~20년은 IMF 추정치 기준

자료: IMF,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IMF, Ho Chi Minh City & Hanoi Statistical Office,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現 소득 수준은 낮지만

잠재 성장성이 높은 국가

→ 젊은 인구가 많아

영화시장의 저변확대에

유리

Company Report

3

[그림3] 베트남 지역별 인구 구성 (2013 년 기준)

북부인구: 1,151만명

홍강 삼각주인구: 2,044만명

북중부 및 중부해안인구: 1,936만명

중부고원인구: 546만명

동남부인구: 1,546만명

메콩강 삼각주인구: 1,748만명

하노이인구: 694만명

호치민인구: 782만명

전국인구 : 8,971만명

베트남 지역별 인구 인구(만명) 비중(%)

전국 8,971 100

지역 홍강삼각주 2,044 23

북부 1,151 13

북중부 및 중부해안 1,936 22

중부고원 546 6

동남부 1,546 17

메콩강 삼각주 1,748 19

주요 도시 하노이 694 8

호치민 782 9

자료: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그림4] 베트남 인구 구조 (2015 년 추정치 기준) [그림5] 각국 영화관람 연령층 비교 (2015 년 추정치 기준)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0-

4

5-

9

10-

14

15-

19

20-

24

25-

29

30-

34

35-

39

40-

44

45-

49

50-

54

55-

59

60-

64

65-

69

70-

74

75-

79

80-

84

85-

89

90-

94

95-

99

100+

(만명) 베트남의 29세 이하 인구비중은 51%,

39세이하 인구비중은 67% 로

젊은층의 연령비중이 매우 높은 편

24 27

17

33

0

10

20

30

40

50

60

14- 15~29 30~39 40+

한국

중국

베트남

(%)

베트남의 영화관람 연령층은

한국 및 중국 대비 두터운 편

자료: US Census,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US Census,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CJ CGV (079160)

4

베트남 박스오피스 시장과 CGV

베트남 박스오피스 시장은 2010년 260만달러 → 2014년 870만달러를 기록해 2010~14년

CAGR 35%의 고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다. 관객수는 2010년 710만명 → 2014년 2,100만명으로

급증했으며, ATP 는 2014년 기준으로 4.1달러를 기록 중에 있다.[그림6~8]

베트남 인구 1인당 영화관람편수는 2010년 0.08편 → 2014년 0.23편으로 3배 가량 상승했다. 하

지만, 베트남의 인구 1인당 영화관람편수는 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인구 백만명당 스크린

수도 0.3개에 불과해 스크린 인프라도 매우 부족한 편이다. 향후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공격적인

출점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는 영화관이 동 시장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그림9~11]

[그림6] 베트남 박스오피스 시장 추이 및 전망 [그림7] 베트남 영화관수 추이 및 전망

26 35 48 6087 106

131157

185213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0

50

100

150

200

250

2010 2012 2014 2016E 2018E

박스오피스(좌) 입장객수(우)

(백만달러) (백만명)

B/O CAGR 36% B/O CAGR 20%

15 17 2534

4961

7283 89 92

0

100

200

300

400

500

6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10 2012 2014 2016E 2018E

사이트(좌) 스크린(우)

(개) (개)

사이트 CAGR 34% 사이트 CAGR 13%

자료: CJ CGV 자료: CJ CGV

[그림8] 베트남 박스오피스 시장 ATP 추이 및 전망 [그림9] 베트남 인구 1 인당 영화관람편수 추이 및 전망

3.7 3.63.9 3.9

4.1 4.3 4.4 4.6 4.8 4.9

2010 2012 2014 2016E 2018E

(달러)

0.080.11

0.140.17

0.230.27

0.32

0.37

0.410.45

2010 2012 2014 2016E 2018E

(편)

2010~14

CAGR 30%

2014~19E

CAGR 14%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2014년 베트남 인구 1인당

영화관람편수 0.23편

(아시아 최저 수준)

Company Report

5

[그림10] 인구 백만명당 스크린수 비교 (2014 년 추정치 기준) [그림11] 인구 1 인당 관람편수 비교 (2014 년 추정치 기준)

4.43.9

3.02.5

1.81.4

0.90.6

0.3

(개)

평균 2.1개

4.13.7

2.22.0

1.3

0.7 0.60.4

0.2

(회)

평균 1.7회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베트남 영화관 산업에는 CGV 와 롯데 등의 외국계 사업자를 포함해 총 7개의 사업자들이 시장에

진입해있다. 총 사이트수는 2015년 2월 기준으로 54개이며, 사이트는 CGV 23개, 롯데 16개,

Galaxy 5개, Platinum 5개, BHD 3개, NCC 1개, Pegacine 1개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12]

베트남 CGV 는 2011년 메가스타 인수를 통해 베트남 시장에 진입했다. 동사의 신규 출점수는

2011년 1개 → 2012년 2개 → 2013년 1개로 인수 초창기 상당히 적은 편이었다. 메가스타는

CGV 인수 이전만 하더라도 자본잠식 중인 적자기업이었던 관계로, CGV 입장에선 인수 초기 사이

트 수익성 안정화 작업에 주력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베트남 CGV 는 2014년

들어 9개의 신규 점포를 출점하면서 공격적인 출점전략으로 전환한 상태이다. 동사는 2015년에만

해도 9개의 신규 출점을 계획 중에 있는데, 2015년 1월 호치민 지역에 3개의 점포를 출점했고,

2015년 4월 호치민 비보시티점을 출점해 현재 총 24개점을 보유 중에 있다. 동사는 2014년

OPM 13%를 달성하면서, 고속성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에 대해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베트남 CGV 는 2015년 2월 기준으로 사이트 M/S 43%, 스크린 M/S 47%의 베트남 1위 영화관

이다. 2위는 롯데로 사이트 M/S 30%, 스크린 M/S 23%를 기록 중에 있다. CGV 와 롯데의 출점전

략은 완전히 상이하다. CGV 는 쇼핑몰 중심의 고급화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사이트당 스크린수

는 7.2개로 주로 대형화된 점포들을 보유 중에 있다. 반면, 롯데는 주로 계열 유통사 점포에 동시에

입점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사이트당 스크린수는 5.4개로 적은 편이다.

베트남 상영시장에서 공격적인 출점전략을 펴고 있는 영화관은 CGV 가 유일한 상황이다. 동사는

향후 2선도시로의 출점확대를 통해 주요 상권의 선점 및 M/S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

트남 2선도시들은 성장성이 매우 높지만 소득수준이 상당히 낮다. 이로 인해, 동사는 각 도시별로

적합한 티켓가격 책정을 통해 관객 집객효과를 극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동사의 비상영

매출(매점+광고+배급) 비중은 40% 정도로 높은 편이다. 구체적으로, 베트남 CGV 는 고부가가치

매점 메뉴의 개발과 스크린 상업광고의 유치에 매우 적극적이다. 또한, 베트남 CGV 는 베트남에서

배급업을 겸하고 있다. 동사의 2014년 배급 M/S 는 무려 63%(박스오피스 매출액 기준)에 달한

다.[그림16] 현재, 베트남 CGV 는 할리우드 6대 스튜디오 가운데 워너브라더스와 소니를 제외한

4개 스튜디오의 영화를 독점 배급 중에 있다. 이렇듯, 동사는 고마진 비상영 매출비중이 높아 공격

적인 출점전략을 전개하더라도 높은 마진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1~13년 보수적 출점

(사이트 수익성 안정화)

→ 2014년 이후 공격적

출점 전환

(성장성+수익성 동시추구)

베트남 시장에서 공격적

출점전략을 펴는 영화관은

CGV 가 유일한 상황

CJ CGV (079160)

6

[그림12] 베트남 상영관, 사이트 M/S (2015 년 2 월 기준) [그림13] 베트남 상영관, 스크린 M/S (2015 년 2 월 기준)

CGV 23개

(43%)

Lotte 16개

(30%)

Galaxy 5개

(9%)

Platinum 5개

(9%)

BHD 3개

(6%)

NCC 1개

(2%)

Pegacine 1개

(2%)

CGV 150개

(47%)

Lotte 73개

(23%)

Galaxy 25개

(8%)

Platinum 34개

(11%)

BHD 18개

(6%)

NCC 10개

(3%)

Pegacine 6개

(2%)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그림14] 호치민 상영관, 사이트 M/S (2015 년 2 월 기준) [그림15] 호치민 상영관, 스크린 M/S (2015 년 2 월 기준)

CGV 9개

(41%)

Lotte 5개

(23%)

Galaxy 5개

(23%)

BHD 3개

(14%)

CGV 65개

(48%)

Lotte 27개

(20%)

Galaxy 25개

(19%)

BHD 18개

(13%)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그림16] 베트남 CGV, 배급시장 박스오피스 점유율 (2014 년 기준) [표1] 베트남 영화관 사업자별 실적 비교 (2014 년 기준)

46

63

54

37

배급편수 점유율 배급시장 B/O 점유율

기타

CGV

(%)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백만달러) OPM

CGV 50.8 6.7 13%

Lotte 19.5 1.3 7%

Platinum 9.0 0.2 2%

Galaxy 16.5 1.3 8%

BHD 6.4 0.6 9%

NCC 6.9 0.5 7%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Company Report

7

[그림17] 베트남 CGV, 사이트수 추이 및 전망 [그림18] 베트남 CGV, 매출액 추이 및 전망

7 8 10 11

20

29

37

4549

5255

2010 2012 2014 2016E 2018E 2020E

(개)

출점

가속화

22 2634

4251

75

97

132

149165

182

2010 2012 2014 2016E 2018E 2020E

(백만달러)

자료: CJ CGV 자료: CJ CGV

[그림19] 베트남 CGV, 사이트당 매출액 추이 및 전망 [그림20] 베트남 CGV, M/S 추이 및 전망 (사이트수 기준)

3.1 3.3 3.4

3.8

2.6 2.6 2.62.9 3.0 3.2 3.3

2010 2012 2014 2016E 2018E 2020E

(백만달러)출점

가속화사이트당

매출액 안정성장

47 47

40

32

41

4851

54 55 57

2010 2012 2014 2016E 2018E

(%) 공격절

출점 전환

보수적

출점

자료: CJ CGV 자료: CJ CGV

이번 베트남 탐방을 통해 확인한 투자포인트는 베트남 CGV 의 사이트수가 2014년 20개 → 2020

년 55개로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2014~17년에는 매년 신규 출점이 8~9개씩 이뤄지게

된다. 매출액은 2014년 5,100만달러 → 2020년 1.82억달러로 증가해 CAGR 23.6%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이트당 매출액은 2013년 3,800만달러 → 2014년 2,600만달러로 하락

했지만, 이후에는 사이트당 매출액이 최소 2014년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이트당

매출액이 유지될 경우, 두자릿수 OPM 은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CGV 는 보수적 출점으로 인해 M/S(사이트수 기준)가 2011년 47% → 2013년 32%로 하

락한 바 있지만, 2014년 공격적 출점전략으로 전환하면서 M/S 41% → 2015년 2월 43%로 도약

한 상황이다. 향후, 동사의 M/S 는 50%대로 상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베트남 CGV 는 2013~15년 중국의 연결대상 상영관 적자를 만회해주는 Cash-cow 의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CJ CGV 의 기업가치 도약의 핵심은 중국 연결대상 상영관의 흑자전환 여

부이지만, 중국 흑자전환 이후에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하는 동사의 동남아 성장 스토리도 투자자들

의 관심을 모으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트남 CGV 사이트 :

2014년 20개 → 2020년(e)

55개

CJ CGV (079160)

8

[그림21] 베트남 호치민 영화관 경쟁 구도

CGVGXY

CGV

Lotte

GXYCGV

CGVLotte

GXYCGV

CBDLotte

BHD

CGV Lotte

LotteCGV

GXY

호치민 업체별영화관 위치

CGV

GXY CGV

CGV

주: 호치민 탐방 사이트는 흥붕(5호점; 호치민 5지역), 이온셀라돈(12호점, 호치민 Tan Phu 지역), 리버티 시티포인트(22 호점, 호치민 1지역), 투덕(23호점, 호치민 Thu Duc 지역), 비보시티(24호점,

호치민 7지역). 비보시티는 2015년 4월 19일 개장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표2] 베트남 CGV 영화관 개요 (사이트 23 개, 스크린 150 개, 좌석 21,357 개 ; 2015 년 2 월 기준)

사이트명 도시 개장시점 스크린수 좌석수 사이트명 도시 개장시점 스크린수 좌석수

1 Vincom Center Ba Treiu Hanoi 2006-04 10 1,324 13 Can Tho Sense City Can Tho 2014-01 6 782

2 Thuy Duong Plaza Hai phong 2007-06 8 1,367 14 Lam Son Square Vung Tau 2014-06 5 679

3 Vinh Trung Plaza Da Nang 2008-07 6 869 15 Kim Cuc Plaza Quy Nhon 2014-08 3 374

4 Coop-mart Bien Hoa Dong Nai 2007-08 7 954 16 Binh Duong Square Binh Duong 2014-08 7 853

5 Hung Vuong Plaza HCMC 2007-08 9 1,424 17 Aeon Canary Binh Duong Binh Duong 2014-11 7 1,079

6 C.T Plaza HCMC 2008-12 7 876 18 Ho Guam Plaza Hanoi 2014-11 6 637

7 Paragon HCMC 2009-03 8 864 19 Big C Dong Nai D.Nai 2014-12 5 590

8 Mipec Topwers Hanoi 2012-01 7 1,153 20 Vincom HaLong HaLong 2014-12 5 837

9 Crescent Mall HCMC 2011-12 8 1,246 21 Thao Dien HCMC 2015-01 6 615

10 Pandora City HCMC 2012-12 8 1,175 22 Liberty Citypoint HCMC 2015-01 4 135

11 Marine Plaza Ha Long 2013-11 3 1,102 23 Khanh Gia Thu Duc HCMC 2015-01 7 1,354

12 Aeon Celadon HCMC 2014-01 8 1,068 24 Vivo City HCMC 2015-04 - -

주: 호치민 탐방 사이트는 흥붕(5호점; 호치민 5지역), 이온셀라돈(12호점, 호치민 Tan Phu 지역), 리버티 시티포인트(22 호점, 호치민 1지역), 투덕(23호점, 호치민 Thu Duc 지역), 비보시티(24호점,

호치민 7지역). 비보시티는 2015년 4월 19일 개장

자료: CJ CGV,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Company Report

9

베트남 CGV 사이트 탐방

베트남 CGV 사이트 탐방은 4월 16일 오후 4시반 흥붕(5호점; 8개 스크린) → 4월 17일 오전 11

시반 이온셀라돈(12호점; 8개 스크린), 오후 2시반 리버티 시티포인트(22호점; 4개 스크린), 오후

3시반 투덕(23호점; 7개 스크린) → 4월 18일 오전 9시 비보시티(24호점; 19일 개장 예정관) 순

으로 진행했다.

베트남 CGV 사이트의 전체적인 인상은 한국 CGV 와 유사한 느낌의 프리미엄 영화관이란 느낌이

었다. ATP 는 4달러 후반대로 다소 높았지만, 시간대별 탄력요금제를 시행하고 있고, 매주 수요일

마다 Happy Day 할인행사를 진행 중에 있다. 점포별로 보면, 흥붕은 백화점이 들어선 고층 주상복

합건물, 이온셀라돈과 비보시티는 대형 쇼핑몰, 리버티 시티포인트는 중심가 고급호텔에 각각 입점

해 있다. 1)흥붕에는 4DX 관이 입점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호치민에서 유일한 4DX 관이었다. 뚜레

주르도 입점해 있었다. 2)이온셀라돈에는 천장이 높은 현대적 인테리어가 특징적이었다. 영화관 밖

에는 대형 비디오게임 시설이 있었다. 3)리버티 시티포인트는 스크린수 4개의 소규모 영화관이지만,

고급 호텔 내부시설답게 프리미엄 이미지가 강렬했으며, 커플용 좌석들이 다수 눈에 띄었다. 4)투덕

은 대학가에 인접한 점포로 한국 CGV 에도 없는 복층식 인테리어가 특징적이었다. 프리미엄관은

없었지만, 젊은 연령대 관객들로 매우 혼잡했다. 5)비보시티는 4월 19일에 개장 예정인 점포로 당

사의 방문시점에는 개장 준비 중인 상황이었다. 동 점포는 호치민에서 두번째로 4DX 관이 들어서

는 점포였으며 IMAX 관까지 포함하고 있어 개장 이후 ATP 가 높게 형성될 것으로 보였다.

[그림22] CGV 흥븡사이트 입구 모습 [그림23] CGV 흥붕사이트 입장 손님 행렬

[그림24] CGV 흥븡사이트 매점 매뉴 [그림25] CGV 흥븡사이트 뚜레주르 점포

자료: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베트남 CGV 5개 사이트 탐방

→ 한국과 유사한 프리미엄

영화관

CJ CGV (079160)

10

[그림26] CGV 이온셀라돈점 전경 [그림27] CGV 이온셀라돈점 입구 모습

[그림28] CGV 이온셀라돈점 내부 인테리어 [그림29] CGV 이온셀라돈점 매점 인테리어

[그림30] CGV 이온셀라돈점 매점 판매 과자 [그림31] CGV 투덕사이트 매표소 모습

[그림32] CGV 투덕사이트 복층식 인테리어 모습 [그림33] CGV 비보시티점 전경

자료: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Company Report

11

롯데시네마 다이아몬드플라자점 (4월 16일 목요일 오후 4시 방문)

롯데시네마 다이아몬드플라자점은 롯데의 베트남 1호점으로 2008년 5월에 개관했다. 스크린수는

3개로 롯데 점포 중에서는 소규모 점포에 속한다. 동 점포는 호치민 1지역의 다이아몬드 백화점 내

에 입점하고 있어 최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인테리어는 다소 구식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동 점포가 롯데의 베트남 1호점이란 점에서 여타 롯데 점포들의 인테리어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점 메뉴는 콜라와 팝콘 중심의 콤보 메뉴 외에 특별한 것이 없었

다. 매점 메뉴는 여타 롯데 점포들도 동일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34] 다이아몬드 백화점 전경 [그림35] 롯데시네마 다이아몬드플라자점 상영작품

[그림36] 롯데시네마 다이아몬드플라자점 매표소 모습 [그림37] 롯데시네마 다이아몬드플라자점 매점 모습

자료: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경쟁사 사이트 탐방 (1) :

롯데 다이아몬드플라자점

CJ CGV (079160)

12

갤럭시시네마 떤빈점 (4월 17일 금요일 오전 10시반 방문)

갤럭시시네마 떤빈점은 갤럭시의 3호점으로 2010년 4월에 개관했다. 스크린수는 5개로 갤럭시시

네마의 평균 수준이다. 동 점포는 공항이 위치하고 있는 떤빈(Tan Binh) 지구에 위치하고 있다. 동

점포는 1개의 건물에 영화관 시설만 존재하는 Stand-alone 타입이다. 오전 시간대였던 관계로 관

객은 많지 않은 편이었으나, 입지조건이 좋아 Peak 시간대에 손님이 많다는 설명을 들었다. 매주

화요일에는 Happy Day 할인행사가 있다고 한다. 1개의 건물을 사용하는만큼 스크린도 각각의 층

에 위치하고 있었다. 매점 메뉴로는 콜라와 팝콘, 콜라와 핫도그 등의 콤보 메뉴가 있었고, 스낵과

아이스크림도 판매하고 있었다.

[그림38] 갤럭시시네마 떤빈점 전경 [그림39] 갤럭시시네마 떤빈점 티켓가격 안내판

[그림40] 갤럭시시네마 떤빈점 매표소 모습 [그림41] 갤럭시시네마 떤빈점 매점 모습

자료: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경쟁사 사이트 탐방 (2) :

갤럭시 떤빈점

Company Report

13

CJ CGV (079160) 추정재무제표 (K-IFRS 연결)

손익계산서 (단위: 억원) 재무상태표 (단위: 억원)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2017F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2017F매출액 9,159 10,393 12,165 14,617 16,852 유동자산 2,394 3,053 2,673 3,454 3,598

매출원가 4,481 5,269 5,963 7,052 7,941 현금및현금성자산 860 1,088 460 950 833

매출총이익 4,679 5,124 6,202 7,564 8,911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1,040 1,408 1,630 1,893 2,130

판관비 4,164 4,603 5,395 6,447 7,463 재고자산 118 111 134 161 186

영업이익 515 521 807 1,117 1,448 비유동자산 8,597 9,496 10,699 11,710 12,540

EBITDA 1,186 1,346 1,843 2,344 2,735 유형자산 5,077 5,882 6,960 7,818 8,592

영업외손익 -364 -175 -157 -173 -149 관계기업등 지분관련자산 350 694 933 1,171 1,289

외환관련손익 -5 -5 0 0 0 기타투자자산 994 790 790 790 790

이자손익 -171 -169 -200 -227 -212 자산총계 10,992 12,549 13,372 15,165 16,138

관계기업관련손익 11 44 43 54 63 유동부채 4,551 4,738 4,986 5,277 5,850

기타 -200 -45 0 0 0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763 2,253 2,393 2,578 3,04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151 346 650 944 1,299 단기차입금 528 586 694 800 905

법인세비용 30 185 195 283 390 유동성장기부채 1,611 960 960 960 960

계속사업순손익 121 160 455 661 909 비유동부채 2,655 3,899 3,899 4,599 4,099

중단사업순손익 0 0 0 0 0 장기차입금 776 1,331 1,331 1,331 1,331

당기순이익 121 160 455 661 909 사채 998 1,795 1,795 2,495 1,995

지배지분순이익 127 167 478 694 954 부채총계 7,205 8,637 8,885 9,876 9,950

포괄순이익 119 177 621 827 1,075 지배지분 3,722 3,819 4,389 5,175 6,055

지배지분포괄이익 125 182 651 866 1,126 자본금 106 106 106 106 106

자본잉여금 899 899 899 899 899

이익잉여금 2,784 2,846 3,250 3,870 4,750

비지배지분 64 93 97 114 133

자본총계 3,786 3,912 4,486 5,288 6,188

순차입금 2,957 3,446 4,182 4,497 4,221

총차입금 3,974 4,674 4,783 5,588 5,194

현금흐름표 (단위: 억원) Valuation 지표 (단위: 원, 배, %)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2017F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2017F

영업활동 현금흐름 615 1,395 1,262 1,631 2,243 EPS 607 787 2,258 3,280 4,510

당기순이익 121 160 455 661 909 BPS 17,591 18,048 20,740 24,454 28,614

감가상각비 557 638 922 1,142 1,226 EBITDAPS 5,678 6,359 8,709 11,076 12,925

외환손익 1 20 0 0 0 SPS 43,842 49,113 57,486 69,072 79,635

종속,관계기업관련손익 0 0 -43 -54 -63 DPS 350 350 350 350 350

자산부채의 증감 -547 79 -316 -330 -18 PER 79.2 63.6 32.1 22.1 16.1

기타현금흐름 483 498 244 212 189 PBR 2.7 2.8 3.5 3.0 2.5

투자활동 현금흐름 -2,076 -1,812 -2,067 -2,066 -2,066 EV/EBITDA 11.0 10.5 10.6 8.5 7.2

투자자산 -433 -331 -64 -64 -64 PSR 1.1 1.0 1.3 1.0 0.9

유형자산 증가 (CAPEX) -1,596 -1,458 -2,000 -2,000 -2,000

유형자산 감소 35 20 0 0 0 재무비율 (단위: 배, %)

기타현금흐름 -83 -43 -3 -3 -3 결산 (12월) 2013A 2014A 2015F 2016F 2017F

재무활동 현금흐름 490 586 36 733 -467 매출액 증가율 (%) 17.5 13.5 17.0 20.2 15.3

단기차입금 94 5 108 106 106 영업이익 증가율 (%) -6.6 1.1 54.9 38.4 29.6

사채 및 장기차입금 327 653 0 700 -500 지배순이익 증가율 (%) -76.6 31.3 186.9 45.2 37.5

자본 0 0 0 0 0 매출총이익률 (%) 51.1 49.3 51.0 51.8 52.9

현금배당 -72 -74 -74 -74 -74 영업이익률 (%) 5.6 5.0 6.6 7.6 8.6

기타현금흐름 142 3 2 1 1 지배순이익률 (%) 1.4 1.6 3.9 4.7 5.7

연결범위변동 등 기타 0 59 140 194 173 EBITDA 마진 (%) 13.0 12.9 15.1 16.0 16.2

현금의 증감 -972 228 -628 490 -118 ROIC 9.3 4.5 9.2 11.0 13.0

기초 현금 1,831 860 1,088 460 950 ROA 1.2 1.4 3.7 4.9 6.1

기말 현금 860 1,088 460 950 833 ROE 3.5 4.4 11.6 14.5 17.0

NOPLAT 515 521 807 1,117 1,448 부채비율 (%) 190.3 220.8 198.1 186.8 160.8

FCF -1,057 -314 -715 -322 283 순차입금/자기자본 (%) 79.4 90.2 95.3 86.9 69.7

영업이익/금융비용 (배) 2.3 2.6 3.7 4.4 6.1

주: 영업이익 산출 기준은 기존 k-GAAP과 동일. 즉,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만 차감

자료: 유안타증권

주: 1. EPS, BPS 및 PER, PBR은 지배주주 기준임

2. PER등 valuation 지표의 경우, 확정치는 연평균 주가 기준, 전망치는 현재주가 기준임

3. ROE,ROA의경우, 자본,자산 항목은 연초,연말 평균을 기준일로 함

CJ CGV (079160)

14

CJ CGV (079160) 투자등급 및 목표주가 추이

010,00020,00030,00040,00050,00060,00070,00080,00090,000

100,000

13.04 13.10 14.04 14.10 15.04

주가

목표주가

(원)(원) 날짜 투자의견 목표주가

2015-04-20 BUY 89,000

2015-04-08 BUY 89,000

2015-03-30 BUY 72,000

2015-03-02 BUY 72,000

2015-02-06 BUY 72,000

2015-01-28 BUY 72,000

2015-01-14 BUY 72,000

2015-01-08 BUY 72,000

2014-12-22 BUY 60,000

2014-11-20 BUY 60,000

자료: 유안타증권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타인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함. (작성자: 박성호)

당사는 자료공표일 현재 동 종목 발행주식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자료공표일 현재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당사는 동 자료를 전문투자자 및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동 자료의 금융투자분석사와 배우자는 자료공표일 현재 대상법인의 주식관련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종목 투자등급 (Guide Line): 투자기간 6~12개월, 절대수익률 기준 투자등급 4단계(Strong Buy, Buy, Hold, Sell)로 구분한다

Strong Buy: 30%이상 Buy: 10%이상, Hold: -10~10%, Sell: -10%이하로 구분

업종 투자등급 Guide Line: 투자기간 6~12개월, 시가총액 대비 업종 비중 기준의 투자등급 3단계(Overweight, Neutral, Underweight)로 구분

2014년 2월21일부터 당사 투자등급이 기존 3단계 + 2단계에서 4단계로 변경

본 자료는 투자자의 투자를 권유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금융투자분석사가 신뢰할만

하다고 판단되는 자료와 정보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것이지만, 당사와 금융투자분석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본 자료를 참고한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

은 전적으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당사는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행해진 일체의 투자행위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본 자료는

당사 투자자에게만 제공되는 자료로 당사의 동의 없이 본 자료를 무단으로 복제 전송 인용 배포하는 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