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 대대대대대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2007. 5. 2 빈빈 빈 빈빈빈빈빈 빈빈빈빈 빈빈

2007. 5. 2

  • Upload
    bell

  • View
    39

  • Download
    4

Embed Size (px)

DESCRIPTION

2007. 5. 2.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상대적빈곤율. 10.6. 10.5. 11.2. 11.1. 9.7. 9.6. 9.3. 10.8. 10.6. 9.4. 9.1. 8.9. 8.7. 절대적빈곤율. 7.6. 6.5. 5.2. 6.5. 5.0. 6.1. 4.8. 6.1. 5.7. 빈곤율의 추이 ( 도시근로자가구 기준 ). 절대빈곤율은 ’ 03 년 6.1% 에서 ’ 06 년 5.7%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07. 5. 2

1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2007. 5. 2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Page 2: 2007. 5. 2

2

※ 절대빈곤 : 각년도 최저생계비 기준 ,상대빈곤 : 중위소득 50% 기준※ 가처분소득기준

3

11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13

5

7

9

4.85.0

8.99.4

7.66.5 5.2

6.1 6.1 6.55.7

절대적빈곤율8.7

상대적빈곤율

10.611.211.1

10.69.3

9.1

10.59.6 9.7

10.8

도시근로자가구 빈곤율 추이

• 절대빈곤율은 ’ 03 년 6.1% 에서 ’ 06 년 5.7%

• 상대빈곤율은 ’ 03 년 10.6% 에서 ’ 06 년 10.8%

빈곤율의 추이 ( 도시근로자가구 기준 )

Page 3: 2007. 5. 2

3

절대적 빈곤율 :’03 년 11.1% 에서 ’ 06 년 11.2%

상대적 빈곤율 :’03 년 14.6% 에서 ’ 06 년 14.8%

전국가구 빈곤율 추이

’05’04’03 ’06

15

17

9

11

13

11.110.8

11.711.2

절대적빈곤율

14.6

상대적빈곤율

14.8

15.215.0

※ 절대빈곤 : 각년도 최저생계비 기준 ,상대빈곤 : 중위소득 50% 기준※ 가처분소득기준

빈곤율의 추이 ( 전국가구 기준 )

Page 4: 2007. 5. 2

4

OECD 는 가처분소득 기준 사용

전국가구 ( 무직 , 자영자포함 ) 는 도시근로자가구보다 지니계수 높음

지니계수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지니계수 추이

전국가구( 통계청 , 총소득 )0.341

0.3440.348

0.351

( 가처분소득 ) 0.324 0.324 0.325 0.325

도시근로자가구( 시장소득 )

0.3040.298 0.298

0.304 0.3040.303

0.283 ( 가처분소득 )

0.278

0.297

0.289 0.2910.294 0.293 0.290

0.336 0.3380.341

0.344전국가구

( 시장소득 )

- 도시근로자가구는 ’ 05 년 이후 소폭 개선

Page 5: 2007. 5. 2

5

소득 5 분위 배율 추이

소득분배는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악화

전국가구 ( 자영업포함 ) 는 도시근로자가구보다 더 열악- 도시근로자가구는 ’05 년 이후 소폭 완화 경향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소득 5 분위 배율

6.13 6.17 6.19 6.26( 가처분소득 )

도시근로자가구( 시장소득 )

4.34

4.884.65

4.865.09 5.11 5.03

( 가처분소득 )4.20

4.704.44

4.654.79 4.75

4.63

7.237.35

7.56 7.64전국가구

( 통계청 , 총소득 )

6.967.16 7.19

7.51

전국가구( 시장소득 )

OECD 는 가처분소득 기준 사용

전국가구 ( 무직 , 자영자포함 ) 는 도시근로자가구보다 소득분위배율 높음 - 도시근로자가구는 ’ 05 년 이후 소폭 개선

Page 6: 2007. 5. 2

6

개선효과 (%)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6.0

4.0

2.0

0.0

2.4

’06

지니계수

0.28

0.30

0.32

0.34

’98 ’99 ’00 ’01 ’02 ’03 ’04 ’05 ’06’96 ’97

가처분소득

시장소득

소득분배 개선효과 (1) : 지니계수 개선 지니계수 개선효과는 증가 추세

전국가구는 ’ 03 년 3.6% 에서 ’ 06 년 5.5% 도시근로자가구는 ’ 03 년 2.4% 에서 ’ 06 년 4.2%

전국가구 5.5 4.7

4.2

3.6

도시근로자 가구

4.23.6

3.0

2.42.93.0

2.72.4

1.8 2.2

시장소득 지니계수와 가처분소득 지니계수의 차이는 공적이전소득 , 직접세 , 사회보장세 등 정부정책의 효과

도시근로자 가구0.290

0.2930.291

전국가구

0.324 0.325

Page 7: 2007. 5. 2

7

소득분배 개선효과 (2) : 5 분위배율 개선

소득 5 분위배율 개선효과 (%)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4

5

6

7

8

가처분소득

시장소득

0’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16

12

8

4

16.7

11.9 13.9 13.9

전국가구

8.0

7.1

5.84.34.54.6

3.83.7

2.42.9

3.2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 5 분위 배율 개선효과도 증가 추세 전국가구는 ’ 03 년 11.9% 에서 ’ 06 년 16.7% 도시근로자가구는 ’ 03 년 4.3% 에서 ’ 06 년 8.0%

4.634.754.65

도시근로자 가구

전국가구

6.13 6.26

시장소득 지니계수와 가처분소득 지니계수의 차이는 공적이전소득 , 직접세 , 사회보장세 등 정부정책의 효과

Page 8: 2007. 5. 2

8

사회투자의 확대 < 통합 재정 기준 >

8

13

18

23

28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

14.3

경제

18.4

28.7

17.7

27.5

19.9

사회27.9

20.2

22.2

18.3

17.1

교육15.0 15.0 14.5

국방

18.2

11.511.411.2

25.5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노태우정부

(’93~’94 년 )

사회지출이 국방지출 초과(‘04 년 )

사회지출이 경제지출 초과

재정구조 변화 : 사회지출 우위 구조로 전환

Page 9: 2007. 5. 2

9

10.0

15.0

20.0

25.0

30.0

35.0

’85 ’95 ’00 ’01 ’02 ’03

5.0

0

공공

사회

지출

(GD

P %

)

스웨덴

독일

OECD

일본

미국

’05

외국의 추세

OECD 국가 공공사회지출은 ’ 00 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

29.7

32.5

28.8 29.330.4

31.3

27.327.026.326.326.6

23.6

20.720.319.719.419.9

17.6 17.717.516.816.1

13.9

11.2

12.9

15.4

14.6 15.216.0 16.2

Page 10: 2007. 5. 2

10

공공사회지출 (GDP, %)

0

5

10

15

20

25

30

35

40

5.0 10.0 15.0 20.0 25.0 30.0 35.0

지니

계수

개선

효과

(%)

※OECD: 2000 년 , 가처분소득 기준

사회지출과 지니계수 개선효과

호주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독일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영국

미국

스웨덴

OECD

한국‘05

사회지출수준이 높은 나라가 소득분배 개선효과도 우수

2020 년

2030 년

Page 11: 2007. 5. 2

11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