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2010년 업무계획 보고 2010년 업 무 계 획 2010. 1. 21. ‘녹색기술 청색마을 함께하는 농촌진흥’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2010년 업무계획 보고

2010년 업 무 계 획

2010. 1. 21.

‘녹색기술 청색마을 함께하는 농촌진흥’

Page 2: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Page 3: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목 차

Ⅰ. 2010년 중점 추진방향 ··········································· 1

Ⅱ. 주요 추진과제 ·························································· 2

1. 미래준비 농업녹색기술 개발 ·········································· 3

2.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기술 개발 ······························ 10

3. 품목별 경쟁력 제고기술 개발 ······································ 16

4. 농촌 활력화를 위한 현장중심 기술보급 ···················· 26

5. 글로벌 농업기술협력 강화를 통한 국격제고 ············ 35

Ⅲ. 재정 조기집행 및 청년 일자리 창출 ················ 39

[ 참고사항 ] ················································································ 40

1. 농촌진흥청 일반현황 ·································································· 41

2. 2009년 주요업무 추진성과 ······················································· 46

3. 2009년 외부기관 평가 결과 ····················································· 48

Page 4: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 -

Ⅰ. 2010년 중점 추진방향

Page 5: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 -

Ⅱ. 주요 추진과제

1. 미래준비 농업

녹색기술 개발

생물자원 소재산업화기술 개발

농업생명공학 실용화 첨단 융복합기술 개발

기후변화 응기술 개발

유 자원 활용 종자산업 육성 지원

2.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기술 개발

농식품 안 리기술 개발

자원순환형 친환경․유기농업기술 확산

농업용 자재 농작업 안 리

3. 품목별 경쟁력 제고

기술 개발

생산비 감기술 개발

수 안정 기반기술 개발

밭작물 자 률 제고 경쟁력 강화

원 ․특용작물 경쟁력 강화

고품질 안 축산물 개발

4. 농촌 활력화를 위한

현장중심 기술보급

경 비 감을 한 신기술 보 확

지역단 특화사업 추진으로 농 경제 활성화

경쟁력 강화를 한 농업 문인력 육성

농업인 경 마 활성화 지원

푸른농 희망찾기 운동 확산

5. 글로벌 농업기술협력

강화를 통한 국격제고

개도국과의 농업기술 력 확

국제기 ․국가간 트 십 강화

한식세계화기술 개발 식문화

Page 6: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 -

1 미래준비 농업녹색기술 개발

Page 7: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 -

1 생물자원 소재산업화기술 개발

◇ 농축생물자원의 식의약소재화 기반구축 부가가치 증

◦ 약용작물, 곤충 등으로부터 기능성 소재 개발 : (~’09)10종 → (’12) 15

◦ 바이오신약 생산 가축(2종), 장기이식용 돼지(1종) 생산(’12까지)

◦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 (‘09) 2종 → (’12) 5 → (’15) 10

☞ 동식물자원에서 기능성 물질․신소재 개발 등 연구범 확

곤충자원 활용 신소재 개발

□ 의약용 신소재 개발을 통한 양잠산업 활성화

○ 실크단백질을 이용한 의료용 신소재 개발 (한림 의료원 공동)

* 인공고막(고막재생율 37% 향상), 인공 등 인공보형물 80종

* 기능성 양잠산물을 이용한 생체막(뇌경막) 인공시멘트 개발

○ 인간 조 진 단백질 생산을 한 신기능성 에 개발

□ 곤충자원 활용, 고부가 가치창출 소재산업 육성

○ 코 리신 등 고기능성 항생 펩타이드 용 범 확

* 세포분화 진 단백질 발 기능 검증 : 2종

○ 곤충자원 소재를 활용한 환경정화 등 신 소득사업 창출

* 수익유형별 동애등에 투입 모델 개발 : 사료용 등 3종

□ 양 산물 다양화 고부가 식의약소재 개발

○ 양 산물 이용 고부가 신소재 개발 : 독함유 화장품 등 2종

○ 독을 이용한 인체 골 경피흡수용 패취제 개발 : 특허 4건

Page 8: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5 -

동물유래 신소재 개발

□ 바이오신약 생산용 형질 환 동물 개발 신약 분리정제

○ 기능성 화장품원료 생산 형질 환젖소 생산 : (‘12)1종

○ 사람의 항산화유 자(hSOD-3)발 형질 환 닭 증식: (‘09)4수→(’10)15

□ 축산 부산물 활용 기능성 신소재 개발

○ 돼지 가죽 콜라겐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 칼슘흡수 증진제, 기능성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천연 착제 등

○ 돼지 태반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 항산화물질(노화방지), 항염증 물질, 호르몬, 성장인자 등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 농식품 자원의 기능성 탐색 산업화 소재 개발

○ 쓴메 등 잡곡류를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 개발

- 쓴메 (Ⅰ형당뇨), 흑찰거 배아미(알코올치료), 토종콩(Ⅱ형당뇨)

○ 농식품 자원, 부산물의 생리활성 물질 탐색 고부가 소재화

- 왕겨, 겨 등 도정부산물과 양조부산물을 이용한 미백 보습제 등

□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능성원료 등록 지원

○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등록 후 수출 추진 : 년 100만$ 이상

- 피부면역개선 “아토 리”, 사증후군개선 “항노화 양바” 등

○ 우리 농산물의 건강기능 원료 등록 지원 : 마늘, 인삼 등 4건

※ 국내산 농산물의 양기능성 정보 국가 리망 구축 (‘10~’12)

*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식품 양․기능성정보 웹서비스’ (http://koreanfood.rda.go.kr)

Page 9: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6 -

2 농업생명공학 실용화 및 첨단 융복합기술 개발

가 농업생명공학 실용화

◇ 농업생명공학 기술 이용 고부가 신지식 산업 육성 지원

◦ 세계 GM작물 시장규모 : 75(‘08) → 150억 달러(’10)

☞ BT 이용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 생산 신소재 개발

□ GM작물 실용화를 한 안 성 평가 강화

○ 농진청 개발 해충 항성 Bt 벼 안 성 승인심사 최 신청 추진

○ 국내 GMO 안 리 체계 강화 : GMO가이드라인 2종 작성

□ 형질 환 작물 실용화 진 기술개발 강화

○ 기능성물질 함유, 가공 성 개량, 맞춤형 GM작물 개발

- 비타민A, 항암물질 함유, 루테닌 유 자 이용가공 성 개량 등

* 자체 개발 유 자 GM작물에 한 지식재산권 확보연구 강화

○ 고부가 의료용 물질 생산 신개념 GM작물 실용화 진

- 의료용단백질 생산 벼 개발 : 용해단백질(t-PA) 발 ․분리정제

□ 기능성 물질 바이오장기 생산용 형질 환 동물 개발 추진

○ 국내 최 성(超急性) 면역거부억제 무균 돼지(Xeno) 특성 분석

○ 사람 면역 련 유 자 발 다 형질 환 미니돼지 생산

- 세포성 면역거부반응 억제 유 자 액응고 억제 유 자 확보

○ 항산화유 자 (hSOD-3) 형질 환 닭 후 증식 계란단백질 분리정제

Page 10: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7 -

나 첨단분야 융복합기술 개발

◇ 농작업의 자동화 등 지식기반 농업 생산시스템 구축

◦ 농작업 무인화․자동화 기술수 : ( 재)세계 20 → (‘17)6

☞ IT, BT, NT 등 첨단기술 융․복합기술개발로 신성장 동력 창출

□ 원격탐사(RS)․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 이용 토양특성 작황 평가

○ 토양 특성 물리화학성 추정기법 : 토양물리성 등 모형 2종

○ 성 상 이더 산란특성 이용 벼 작황 추정 : 작황모형 2종

□ IT GPS 기술기반 지속가능한 친환경농업 구

○ 농 환경자원 공간정보 DB 구축 : 6종

- 농경지 토양 이화학성, 농업용수 수질, 토양미생물 등

○ 치정보기술(GPS)를 이용한 농업환경정보 인터넷 서비스 기반 구축

- 토양 자지도 기반 시간․공간 농업환경변동 정보 지도 제공

□ 첨단기술 응용 농식품 맛 해물질 신속 정기술 개발

○ 고추 가공식품 매운맛 등 화기술 : 고춧가루, 핫소스 등

○ 나노바이오센서 등 이용 농식품 해물질 검출기술 : 3종

- 식 독균, 식물생장조 제, 카드늄 납 등

□ 농작업 자동화․로 화 시스템 개발

○ 친환경 벼농사용 제 로 : 주행오차 10㎝이내

○ 승용이앙기 자동화를 한 자제어 시스템 : 식부제어 등

○ IT기술 이용 젖소 생애 개체별 정 양 리기술

◇ 식물 주년 안 생산을 한 수직형 식물공장 자동화시스템 설치(’10)

▪규모 : 바닥면 50m2,, 높이 10m

▪인공 원(LED) 원격감시 환경제어시스템 개발

Page 1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8 -

3 기후변화 대응기술 개발

◇ 농업부문 기후변화 응 기 기반 기술 개발

◦ 2007년 농업부문 온실가스 발생량 : 18.4백만 CO2톤1)

☞ 국가 BAU 비 30% 감축목표 설정에 따른 농업부문 응 략 수립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감기술 개발

○ Tier 22)수 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발생량 산정

- 재배면 , 양분 리, 축종별 사육두수, 분뇨처리 등

○ 농기술별 온실가스 감축 기술개발

- 밭작물의 온실가스 감 기술 : 고추, 콩 등 시비 리

- 축산부분 온실가스 감기술 : 반추가축 사료첨가물, 분뇨처리

○ 농산물과 농자재의 국가 탄소배출 원단 산정 : 무, 비료 등 30종

□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친환경 리 기술 개발

○ 병해충 조기경보 체계(Control Tower) 구축사업 추진(‘10~’14)

- 온난화에 다른 작물의 생산 환경 병해충 변화 측

○ 빗물을 활용한 농업용 수자원 생물자원 증진 기술 개발

- 농업생태복원 물자 율 향상 기술 개발 : 둠벙조성 등

□ 기후변화에 응한 기술 신소득 작물 개발

○ 작물별 재배지 변동평가 기상재해 응 기술 개발

- 신소득 아열 작물 개발 재배한계지 재설정 : 망고 등 10종

○ 온난화 응 품종 개발 : 고온등숙 양호 벼, 착색 리 불필요 사과 등

○ 가축 안정생산 기술 개발 : 고온 온 스트 스 경감기술

1) 2007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발생량 (6억2천만 CO2톤)의 2.9% 해당량

2) Tier 1 : IPCC가 제시하는 기본 배출계수, Tier2 : 우리나라의 농업특성을 반 한 배출계수

Page 12: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9 -

4 유전자원을 활용한 종자산업 육성 지원

◇ 유 자원 수집․활용 극 화로 종자산업 미래성장 동력 창출

◦ 농업유 자원 확보(‘09) 272천 , 세계6 ⇒('17) 376, 세계5 자원부국 실

☞ 식량 : 고품질·기능성, 원 : 수출 심(로열티 응), 축산 : 한국형 종축개량

□ 유 자원 다양성 확보 활용도 제고를 통한 종자강국 실

○ 수요자 심의 유 자원 다양성 확보 증식·평가

- 자원수집 : 유 자원 리기 , 국제기구(AVRDC 등) KOPIA 사업연계 등

- 이용형질 특성평가 강화 : ('09)15% → ('10)18 → ('17)80 이상

○ 수집 유 자원을 활용한 신품종 개발 : 2,477품종(‘09년까지)

- 유 자원 분양 : 총 12,257 (식물 8,265 , 미생물 3,992 )

□ 유 자원을 활용한 신수요 품종개발 국가 랜드 제고

○ 수출 상국의 경쟁력 우 수출 용품종 육성

- 동남아 국가 : 무, 배추 등 채소류, 일본·화란 : 국화, 장미 등 화훼류

- 국외 품종출원 : (‘09) 4개국 61품종 → (’10) 5개국 70품종

○ 국제 력 강화를 통한 ‘동북아지역 유 자원 허 ’ 구축

- 국제유 자원 력훈련, 복보존소, 한반도 원산자원 반환 등

□ 육종산업 활성화를 한 품종개발 인 라 구축

○ 민간종자업체 애로 해결을 한 ‘육종기술지원센터’ 기술지원 강화

- DNA 분자표지개발, 병해충 생물검정 교육, 최신기술정보 등

○ 유 자원의 정보제공 분양 원스톱(one-stop) 서비스 체계 구축

○ 국내 재래가축 자원을 활용한 한국형 종축개량체계 구축

- 한우 암소개량센터 운 : 우량 수정란 생산․공 : 5,000개/년

- 국내 재래가축 품종 등록제 도입 : 닭, 오리 등 가 류 등

- 동물 기세포사업단 구성 : 기세포 표지인자 발굴 형질 환기술 개발

Page 13: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0 -

2.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기술 개발

Page 14: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1 -

1 농식품 안전관리기술 개발

◇ 사 방시스템 지속 확 로 선진국 수 의 농식품 안 성 확보

◦ GAP・HACCP 생산비 확 지원 : (‘09) 3%, 60% → (‘10) 5, 70

☞ 안 농축산물 생산 리체계 구축 기 설정

□ 안 농축산물 생산을 한 기술 지원

○ GAP 농산물 생산・공 확 농업인 교육 강화

- 인증 상 확 : (‘09) 105품목 → (‘10) 품목

- GAP 실천을 한 농업 장 기술교육 : (‘09)31,487농가 → (‘10)40,000

○ HACCP 용 확 를 해 가축의 사양 리 기 설정

- 항생제 사용 감축 정 사육기 개선

- 한우 HACCP 시험농장 기술컨설 지원 확

□ 농식품 유해물질 안 리기 설정 확

○ 소면 작물 등 농약 안 사용기 설정 확 : (‘09) 832 품목 → (‘10) 900

○ 납, 카드뮴 등 속 안 리기 설정 확

- (‘06) , 옥수수 등 10품목 → (‘10) 오이, 포도 등 채소․과실류 21품목

○ 곰팡이 독소의 안 리 품목 확 : 아 라톡신(Aflatoxin) 등 4종

□ 농식품 안 성 확보를 한 유해물질 안 리체계 구축

○ 작물군별 유해물질의 주기 모니터링 실시 : 농약, 속 등

- ('10) 과실류 → ('11) 벼 → ('12) 엽채류 → ('13) 과채류

※ ‘05년 이후 35,270건 분석결과 잔류허용기 미만으로 안

○ 농식품 생산․수확후 처리단계의 생 리기술 개발

- 다종의 식 독균 신속 동시검출기술 개발 :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등

- 곰팡이독소 분해용 우수 천연물 미생물 탐색․선발 : 5종

○ 국 도원․센터간 유해물질 잔류분석평가 네트워크 구축 확

Page 15: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2 -

2 자원 순환형 친환경․유기농업기술 확산

◇ 유기농업기술 가축분뇨 자원화 등 자원순환형 농업기술 개발

◦ 친환경 농산물 재배 : (‘00)2,448 농가 → (’04)28,951 → (‘08)172,553

☞ 자원 순환형 투입 친환경 유기농업 기술 확산

□ 농업환경 변동조사 실시(친환경농업육성법 근거)

○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 상 4년 주기 실시(‘10 과수원)

○ 농경지 속 오염도 평가 책기술 : 취약농경지 200

□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기술 조기 정착

○ 액비 제조시설(SCB) 보 확 : (’09) 200개소 → (’10) 210

○ 축산과 경종을 연계한 자원 순환형 농법 실증 : 북 익산

- 작부유형 : 동계 (사료작물 청보리 등) + 하계 (식량작물 벼) → 퇴비 환원

□ 지역․농가 착형 친환경농업 기술개발 장 용

○ 민간실천 친환경농업 모니터링 애로기술 지원

- 토양, 양분 리, 병해충, 잡 발생량, 경 분석

- 유기농기술 장활용 평가 : 생육 진 미생물 유기농자재 등(화천)

○ 바닷물 활용 친환경 농산물 생산 안 사용 기 설정

- 작물별 살포방법 : 정 살포농도, 살포시기 횟수 등(3개소)

□ 농가 애로기술 해결을 한 유기농업 기술개발

○ 농약농산물 인증제도 폐지 비 과수의 유기생산기술 개발

- 과수농가 장 용 유기재배기술 개발 : 사과, 배 등

○ 유기 농축산물 생산 확산을 한 지침서 발간․보

- 농작물 : 토마토, 사과 등 4종, 축산물 : 한우 등 5종

Page 16: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3 -

3 농업용 자재 및 농작업 안전관리

가 농약 안전관리 강화

◇ 농약 오남용 리 강화 부정불량 제품의 유통 방지

◦ 미등록농약 사용, 제 제 피해 : 69건(’05~’09, 농진청)

◦ 오남용에 따른 부 합 농산물 폐기 : 407건(‘08년, 농 원)

☞ 농약 안 리 강화 제도개선으로 농업인 등 피해 방

□ 고독성 농약 등 안 성 리 강화

○ 고독성 12종(산림․검역용 3종 제외)은 재평가 통해 등록취소 (~11)

* 고독성 : 디디 이피, 이피엔 등 15종 *산림용 : 포스팜 * 검역용 : 인화늄 등 2종

○ 음독자살 우려 농약(그라목손)은 법개정 후 등록취소 추진

○ 유통 농약의 재평가를 통해 해성 명 농약 등록취소

- EU, 미국에서 사용 지한 농약 158종 재평가 완료 (~‘10.6)

○ 소면 재배 작물의 안 성 확보를 한 농약 직권등록 확

* 직권등록 확 : (‘09) 56작물 467건 → (’10) 57작물 520건

□ 농약 안 성 강화를 한 제도개선 추진

○ 시험연구기 리체계 확립으로 등록시험성 서 신뢰도 제고

* 시험연구기 지정 황 : 농약 177기 , 비료 84기

○ “농약외품” 제도 도입으로 농약용 유사 자재 엄격 리

* 농약외품 : 농약처리 지, 유인제 기피제 트랩, 농약발생기기 등

○ 농약 리법 개정을 통한 안 리 제도 강화

- 불법농약 취 , 매자에 한 벌칙 강화 : 15백만원 → 30

- 농약 안 사고 방지를 하여 청소년․인터넷 매 지 등

Page 17: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4 -

나 비료․친환경농자재 안전관리 강화 ]

◇ 친환경 농자재 생산업체 공시제품의 품질 리 강화

◦ 유기비료 생산업체수 : (‘01) 715업체 → (‘05) 1,518 → (‘08) 1,942

◦ 목록공시 제품 황 : (’07) 70종 → (’09) 954종

☞ 농자재 련 제도 개선을 통하여 양질의 농자재 공

□ 비료 유해성분등 안 리 강화

○ 비료 리법령 면개정

- 원료수불 장 비치 규정, 안 기 신설 등

- 공정규격 설정 평가기 , 등록기 , 시험기 과 방법 마련

○ 정부지원 비료 품질등 기 설정 지원비료별 등 지정

- 품질등 기 정지침에 따라 정부지원비료 3등 으로 구분

○ 부정․불량 비료에 한 검 강화 유해성분 리기 강화

- 부정․불량 농자재 신고센터 운 품질검사 강화

- 유통비료의 안 성 실태조사 유해물질별 기 설정 (‘10~’11)

□ 친환경 유기농자재 사후 리 강화

○ 유기농자재의 안 성 품질 등에 해 사후 리 실시

- 공시기간(2년) 만료 자재에 한 재평가(522종) 유통 검강화

* 유기농자재 목록공시 황 : (‘07) 70종 → (’09) 954종

○ 친환경유기농자재 인증제 시행을 한 세부기 마련

- 해성 미생물․생화학 자재 등에 한 안 성 검토기 설정

* OECD 주요국가의 유기농자재 검토기 조사 (‘10년, 50백만원)

- 품질인증 신청 차, 표시방법, 공시 품질인증 기 의 지정기

등 인증제 운 에 한 세부기 마련

Page 18: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5 -

다 농작업 및 농업재해 대책기술 개발 ]

◇ 농작업 안 사고 방 농업재해 경감기술 개발

◦경운기 100 당 사고 : (‘08) 1건, 농업시설 피해 : (’06) 3천억/년

☞ 안 하고 쾌 한 농작업 환경 조성 경제 손실 감

□ 농약의 만성 독 등 해성 평가체계 구축

○ 농약살포 작업자 노출량 산정모델 개발 : 유럽모델(EU-POEM) 벤치마킹

○ 분자생물학 Omics 기법을 이용한 농작업자 만성질환 연구

- 노환 유해물질 노출에 의한 만성질환 발병 메카니즘 구명

□ 농업기계 안 사고 농작업 재해 방기술 개발 보

○ 농업기계 안 성 향상 농작업 환경개선 기술 개발

- 농기계 안 장치 농작업 보호장비 : 6종(트랙터 블랙박스 등)

- 농기계 안 이용 교육자료 : 시청각자료, 리 릿, 지침서 등

○ 농작업 안 편이장비 지원사업 확

- 농작업 안 모델 시범마을 육성 : (‘09) 45개소 → (‘10) 55

- 농작업 편이장비 지원사업 : (‘09) 278개소 → (‘10) 413

□ 농업시설 농경지 재해경감을 한 기반기술 개발

○ 폭설, 태풍 등에 의한 원 특작시설 피해경감 기술

- 과수방풍벽 등 7종 개발, 내재해 규격(농식품부 고시) 개정(안) 마련

○ 농경지 재해경감을 한 기반기술 개발

- 유채 재배지 염․습해 농경지 사면 침식·퇴 방지기술

○ 물 부족 비 시설하우스 빗물이용기술 개발

- 하우스 빗물 자동 집수, 여과 장시스템 장시험 : 1개소

Page 19: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6 -

3. 품목별 경쟁력 제고기술 개발

Page 20: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7 -

1 생산비 절감기술 개발

가 농업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신재생에 지 농업에 지 이용효율 향상을 통한 시설원

경 비(냉난방) 감

◦ 시설재배 가온면 : 13천ha(총 온실면 의 24%)

☞ 탈석유 에 지 자립형 청정농업 기반기술 개발

□ 신재생에 지 이용 온실난방 건조기술 개발 장실증

○ 펠릿 지하공기 이용 온실난방시스템 장실증 : 2개소(제주)

- 펠릿(10만kcal) : 감귤온실(1,000㎡), 지하공기(3만kcal) : 국화온실(400㎡)

○ 수자원 이용 온실난방시스템 개발(수자원공사 공동)

- 리카 재배시설 용 장실증 (20a, 경남 진주)

○ 농림부산물 등 폐자원의 에 지 환 활용기술(왕겨, 폐열)

- 왕겨 건조시스템(RPC용 20톤, 농가용 5톤) : 벼 건조비용 50% 감

- 화력발 소 폐열이용 : 단 온실단지 활용 가능성 검토 등

□ 농업에 지 이용효율 향상기술 개발

○ 농업시설 에 지 진단 장컨설 기술 : 열손실 30% 감

- 시설유형별 에 지 손실요인 구명 컨설 시스템 구축

○ 농업기계 경제 운 에코드라이빙 시스템 구축

- 트랙터 작업부하 최 화 운 : 에 지 CO2 10% 감

□ 차세 선도형 녹색에 지 기술 개발

○ LED의 농업 활용 기술 장실증연구 : 11작물, 15지역, 20개소

- 시설재배 작물의 조재배기술(국화 등 4작물), 보 재배기술(장미 등 4) 등

○ 바이오에 지 작물 선발 안정생산 재배기술

- 작물 선발(억새, 단수수, 볏짚 등) 유채 시범재배(978ha)

○ 축산분뇨 이용 미생물 연료 지 : 분뇨처리, 기생산 효과 구명

Page 2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8 -

나 사료비 절감기술 개발

◇ 품종개발 규모 생산단지 조성 확 로 조사료 자 률 향상

◦ 조사료 재배 확 : ('08) 193천ha → ('12) 370

☞ 단 채종단지 조성을 통한 양질 조사료 재배 조기 확

□ 조사료 최 생산을 한 연 생산체계 구축 장실증

○ 맥종간 정 품종배치로 수확 기간 확 : 10 → 50일

- 청보리 10일(5월 하) → 다양한 맥종 확 50일(4월하~6월상)

* 작부체계에 알맞은 사료작물 확 보 : ('09) 2작물 → ('10) 4

○ 논, 간척지를 이용한 동․하계 조사료 연 생산 체계 장실증

- 혼 재배( 종 맥종간), 사료맥류+사료용 옥수수, 총체벼

□ 사료작물 종자 생산·보 확 사일리지 가공기술 개발

○ 사료용옥수수 우량품종 종자 보 확 ( 평옥 등) : ('09) 48톤 → ('10) 87

* 보 종 생산이 안되는 품종은 지자체 민간에 통상실시 확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종자생산 체계확립 장실증 : 장흥 등 2개소

○ 사일리지 옥수수 수확·조제 방법 생력화기술 실용화

- 수확 : 하베스터 1조식 → 4조식, 조제 : 트 치형 → 원형곤포

□ 자원순환 친환경 조사료 생산기술 개발

○ 가축분뇨 이용 화학비료 체 친환경 생산기술 개발 장 실증

- 동계(사료맥류)+하계(사료용옥수수) 연계 종별 액비 시용시기, 시용량 등

○ 지력유지를 한 볏짚 환원 시 조사료 종 시비방법 구명

□ 사일리지 유통 활성화를 한 신속한 품질 평가

○ 품질평가방법 개선 : 분석시간 3~4일 → 5분

○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수분 pH 간이 측정기술 확립

- 생산 장에서 수분, pH 측정이 용이한 휴 용 측정기 개발

Page 22: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19 -

다 화학비료․농약 대체기술 개발

◇ 환경 보 안 농산물 생산을 한 화학비료․농약 체기술 개발

◦ 맞춤형비료 공 계획 : (‘08) 10%→ (’10) 70→ (’11이후) 80이상

◦ 작물보호제 천 산업화 : (‘09) 24종→ (’12) 44→ (’17) 60

□ ‘흙토람’을 이용한 맞춤형비료사업의 기술 지원

○ 농가 필지별 토양분석에 의한 작물별 시비처방

- 맞춤형비료 비종 설계 : (’09) 논-들녘 심 → (’10) 밭-주산지 심

○ 토양비옥도를 고려한 맞춤형 시비 리로 화학비료 감축

- 화학비료 감축 목표 : (‘09) 17.0% → (’12) 22.5 → (’17) 24.7

□ 녹비작물 미생물을 이용한 화학비료 체 기술

○ 녹비작물 이용기술 보 확 : 충남 산 등 10개소

- 국내육성 헤어리베치 ‘보라’ 보 종자 생산 : 7개소 60ha

* 국산품종 재배로 종자수입 4.5천톤, 비료 16천톤 체(‘12)

○ 지자체활용 미생물제 효능 검증 장 실용화

- 미생물제 효능검증 : (‘09)30종 → (’10)50, 기술지원 : 오이, 배추(화천)

□ 화학농약 체 기술 개발 장 연구 강화

○ 천연물질을 이용한 농작물 병해충 잡 방제 기술 개발

- 식물면역 활성 물질, 곤충 생리억제 물질 페로몬 등

○ 토착천 탐색 이용기술 개발, 생물 방제 농가 실증

- 토착천 가루이, 진딧물 등 4종/ 장실증 딸기, 오이 등 7작물

○ 농업용 미생물자재 개발

- 병해 방제용 유용미생물 개발(특허 10종, 산업화 2종)

- 곤충 병원성 미생물 이용, 친환경 살충제 살포법 실용화(2종 선발)

Page 23: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0 -

2 쌀 수급안정 기반기술 개발

◇ 새로운 수요 창출 벼 체작목 개발로 수 안정

◦ 가공용 소비 : ('08) 27만t(생산량 비 6%) → ('12) 47(10%)

☞ 용도별 맞춤형 생산, 가공기술 개발 벼 체작물 재배기술 개발

□ 소비 확 를 한 맞춤형 생산 기술지원

○ 밥맛이 우수한 최고품질 벼 품종개발 : (‘09) 7품종 → (‘10) 10 → (‘12) 12

○ 건강증진 의약보조용 기능성 특수미 품종개발

- 어린이용(고칼슘), 뇌졸 방( 스베라트롤) 등

○ 가공용 원료곡 생산을 한 시범단지 조성 기술지원

- 양조용 설갱벼(충주 등 5개소), 국수용(상주), 가루용(익산 등)

□ 부가가치 증 를 한 가공기술 제품개발

○ 식용․비식용 용도별 가공 성 검정 산업체 기술이

- Rice paper용, 통 한과용, 화장품 소재용, 생분해 농자재 등

○ 산업체 등 장과 연계한 가공제품 개발

- 양조(국순당), 무균포장밥(CJ), 리믹스( 선제분, 강동오 익) 등

○ 용도별 최 가루 제조기술 개발 : 분쇄방법, 입도 등

□ 벼 체작물 안정생산기술 개발

○ 생산 조정을 한 작부체계 개발

- 곡실용 : + 콩, + 옥수수 작부체계

- 사료용 : 청보리, 총체 + 청 용 ·곡실용 옥수수 등

○ 논 이용 벼 체작물 개발 : 내습성 콩, 옥수수, 잡곡 등

□ 수출 활성화를 한 지원기술 개발

○ 수출국 소비시장 선호도 분석 : 미국, 호주, 동, 동유럽 등

- 미질(밥맛 기호성, 외 특성, 완 미율), 가격 포장규격 등

○ 수출지원 : 단지조성(김제 등), 종자공 (보람찬 등 3품종) 등

Page 24: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1 -

3 밭작물 자급률 제고 및 경쟁력 강화

◇ 콩, 등 밭작물 자 률 제고 경쟁력 강화

◦식용콩 자 률 제고 : ('08) 28% → ('12) 43

◦국산 (식용) 자 률 향상 : ('08) 0.4% → ('10) 1.5 → ('12) 2.5

☞ 용도별 콩 품질 고 화 우리 안정생산기술 개발로 소비 확

□ 용도별 콩 품종 안정생산기술 개발

○ 통식품 용도별 가공 성 특수 기능성 콩 개발

- 발효용(된장, 청국장), 비발효용(두부, 두유, 콩나물), 건강 기능성(아토피환자용 등)

○ 고품질 원료콩 생산기술 권역별 명품화단지 조성 : 3개소

- 북부, 남부(장류 두부, 서리태), 서남해안(콩나물, 특수용)

○ 논 콩 재배 확 안정생산을 한 기술 개발

- (품종) 내습성, 기계화 응성, (재배) 습해경감, 기계수확, 장

* 논 콩 안정생산 품질 고 화 농가 장실증 : 괴산, 10ha

□ 국산 소비 확 를 한 생산․이용기술 개발

○ 용도별 합품종 선발 조숙 내재해성 육성․보

- 재배면 확 를 한 성숙기 단축 : ( 재) 6월상순 → ('12) 5월하순

- 용도별(면용, 빵용) 랜드 재배단지 확 : (’09)2 → (’10) 4 → (’11) 6개소

○ 생산비 감을 한 규모 생력기계화 단지 조성 : 익산, 100ha, 강

○ 국산 신수요 창출을 한 가공․이용 기술 개발

- 최고품질 이용 ‘참들락’ 리믹스 주정․장류 등

□ 서류 안정생산 기반구축 산업화 연구

○ 감자 신수요 창출을 한 용도별 품종 고품질 생산기술 개발

- 칩 가공용, 컬러감자, 2기작 감자, 주요 생리장해 경감기술 등

○ 고구마 산업 활성화를 한 실용화기술 개발 보

- 맞춤형 품종 육성(컬러고구마 등), 바이러스 무병묘 농가실증(익산 등 5개소)

Page 25: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2 -

4 원예․특용작물 경쟁력 강화

가 로열티 대응 품종 육성 및 수출 지원기술 개발

◇ 로열티․시장개방 응, 원 작물 품질고 화 수출 확

◦ 로열티 감(추정) : (‘06) 4.4억원 → (’09) 33.5 → (‘12) 86.6

◦ 신선농산물 수출 : (‘09) 6.2억불 → (’10) 8.6 → (’12) 13.5

☞ 수출 상 국 지 환경조건 요구에 맞는 품종개발, 품질개선

□ 로열티 부담이 큰 작목에 한 품종 육성

○ (딸 기) 병 항성 수출 용 : (‘09) 3종 → (’10) 5

○ (참다래) 제스 리와 경쟁 가능 : (‘09) 0종 → (’10) 3

○ (화 훼) 국제 기호성의 고품질 : (‘09) 39종 → (’10) 42

○ (버 섯) 수출․내수용 양송이, 팽이 : (‘09) 8종 → (’10) 10

□ 장 심의 연구 력 강화로 국산품종 조기 보

○ 로열티 연구사업단 심의 분야별 문가 력체계 구축

- 장연구 강화를 통한 농가 장 애로기술 조기발굴․개선

○ 신품종 보 조기확 를 한 묘 공 체계 구축

- 품종 시범포 운 : 70개소(딸기 40, 화훼 30)

- 신품종 재배 매뉴얼 개발․보 주산지 장 컨설 강화

* 국산품종 보 (’10) : 딸기 60%, 장미 18, 국화 15, 참다래 10 , 버섯 35

□ 수출확 를 한 장 애로해결 신 시장 개척

○ 주요 수출용 원 작물 경쟁력 향상을 한 장애로 해결

- 리카 고온기 착과율 향상 30%, 여름딸기 상품성 향상 60%

○ 수출 과실 품질 향상 문제 병해충 방제․검역 응

- 수출국별 농약안 사용기 설정, 수출농가 농약사용 교육 등

○ 수출 신시장의 소비 패턴, 망 등 동향 악 : 인도 등

Page 26: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3 -

나 안전성 향상 및 품질 고급화

◇ 편리성, 기능성, 안 성 심의 소비 트 드 변화 응

◦ 신선편이식품 시장 규모 증가 : (‘07) 1조원 → (’12) 2

☞ 국내외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친환경 고품질 생산기술 개발

□ (채소) 딸기, 토마토 등의 장성․안 성 증진기술 개발

○ 수확 후 부패억제․선도연장으로 유통 손실률 경감

* 딸기 훈증처리 : 부패과율 20% → 10, 상품성 25% 향상

○ 화학농약 체 생물방제 실용화 : 토착천 3종, 천연화합물 등

□ (과수) 소비 확 를 한 우량품종 육성 최고품질 생산체계 구축

○ 신수요 창출 신품종 개발 : 소과종 사과 등 6품목 9품종

○ 최고품질 과실「탑 루트」생산기술 보 : 6과종 92개소 2,001ha

* 고품질 과실 생산을 한 수체 리기술(수형, 시비 등)

□ (화훼) 수출용 화훼 품종의 상품성 향상 유통 개선

○ 국산 신품종 품질 향상 : 품종별 정 배양액, 기형화 경감 등

○ 규격품 생산 수송성 향상 기술 : 난, 장미, 나리, 국화 등

* (장미) 화 상품률 향상 : 50% → 60, 화수명 연장 : 10일 → 12

□ (인삼․약용) 유기재배 연작장해 경감기술 정착

○ 약용작물 GAP 생산체계 확립 : (‘09) 32작물 → (’12) 50

○ 인삼 유기재배 토양병 생물 방제 : 유기물 자원, 미생물 등

* 잔류농약 검출률 : 7% → 3, 농약사용량 : 30% 감

○ 신선편이 상품화 기술 개발로 약용작물 시장 확 : (‘07) 9% → (’12) 12

- 약용작물 편이식품 상품화 : 1종(샐러드) → 3종(샐러드, 나물, 임)

□ (버섯) 소비자 요구에 부응한 품종, 재배법 상품화 기술 개발

○ 버섯의 환경친화 재배를 한 유용미생물 균주 선발 : 5종

○ 버섯 함유 유용성분의 생리활성 검정 소재화 : 지 등 50균주

Page 27: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4 -

5 고품질 안전 축산물 개발

◇ FTA 체결, 사료비 에 지 비용 등에 따른 축산물 경쟁력 확보

◦ 생산비 감, 품질 고 화 안 성 제고 기술 개발

☞ 비육기간 단축, 에 지 감 유 자 마커 활용 차별화

□ (한우) 고 육 생산기술 둔갑 방지로 유통 투명화

○ 개량, 번식, 사양, 유통 등 종합기술 개발보 으로 명품한우 생산

- 한우 사육기간 단축으로 사료비 생산비 감

○ 암․수소 동시개량체계 구축을 통한 국가단 한우개량

- 선발강도 강화 해 당 검정 두수 확 : (‘09) 400두 → (‘10) 500

○ 유 자 분석기법 활용 한우/수입우 별용 이동형 진단시스템 보

- 별률 99% 이상, 진단시간 단축 : 3일 → 3시간

○ 한우 유 체 완 해독 육질 조기진단을 한 유 자 량 발굴

□ (젖소) FTA 체결 응 낙농산업 피해 최소화를 한 종합기술 개발

○ 경제수명 연장 기능성 우유 개발로 신수요 창출

- 젖소 경제수명 연장 : 2.4산(국내) → 2.8(미국, 유럽 수 )

- 어린이 아토피 개선 장․노년층 동맥경화 방 우유 생산

○ 번식효율 개선 생체정보활용 질병 리에 의한 생산비 감

- 자체 개발 “무인 발정 알림이” 보 발정 발견율 증 : 50% → 84.6

○ 육우고기의 품질고 화 생산비 감기술 개발

- 육질 개선 물질 탐색 농산부산물 사료화 : 육질 2등 이상 45.7% → 50

□ (돼지) 돼지 생산성 향상 돈육 품질 품질고 화 기술 개발

○ 선진국 수 의 돼지 생산성 향상 : ('09) 14두(MSY) → (‘10) 18

- 핵심기술 : 소모성질병 방, 돈사시설개선, 산자수 증 등

* MSY : 모돈 두당 년간 비육돈 출하두수

Page 28: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5 -

○ 「축진듀록」과「축진돈」을 교잡한 차세 실용돼지 개발

- 합성돈(F2) : 근내지방함량 3.6% → 3.8, 일당증체량 30% 증(450g → 600)

○ 육질 등지방 두께 조기 진단을 한 표지인자 개발 장 용

○ 돼지 삼겹살 규격증 품질고 화 정 출하 체 설정

□ (가 ) 국산종계 산업화 에 지 투입 양계기술 개발

○ ‘우리맛닭’ 후속 토종닭 토종오리 종자 개발 보

- 유정란 생산용닭, 삼계탕 용닭, 취미․부업 양계용닭 등

- 토종오리 1호 종자 개발 육용오리 생산지침서 발간

○ 도체품질 향상 수출용 형육계 생산기술 정립

- 도체율 개선 비정상 도체 최소화로 생산비 20% 이상 감

○ 지열, LED를 활용한 에 지 투입형 녹색 양계기술 개발

- 지열이용 계사 냉․난방 기술 장실증 LED 등 로그램 완성

□ (축산물안 ) 유해요소의 신속 진단기술 개발

○ 유해 미생물의 정 동시진단 정량분석

- 식 독 유발 바이러스 동시진단 유 자 칩

○ 축산물 생산, 공정단계별 유해 미생물 제어기술 개발

- 박테리오신 생산균을 활용한 단계별 유해 미생물 제어

□ (무항생제) 사료첨가용 항생제 체제 개발

○ 국내외에서 개발된 항생제 체제의 효과 검정 : 15종

- 미생물제, 식물추출물, 면역증강제, 유기산제 등

○ 항생제 체성이 우수한 신규물질 개발 실용화기술 확립

- 항균․항산화성 물질, 미생물, 효소제 등 3종

Page 29: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6 -

4. 농촌 활력화를 위한

현장중심 기술보급

Page 30: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7 -

1 경영비 절감을 위한 신기술 보급 확대

◇ 개발기술의 신속 보 으로 농 장의 경쟁력 강화

◦ 고품질 안 농축산물 생산 로젝트 확 : (’09) 3종 → (’10) 5

◦ 새로운 사업 발굴 보 확 : (’09) 42종 192억원 → (’10) 56, 265

□ 농업에 지 비용 감을 한 농가 시범사업 추진

○ 기후변화 응 환경보 을 한 에 지 감기술 확산

- LED, 고체연료 이용 등 핵심기술 보 : 95개소 46억원

○ 농산물 생산비 감을 한 생력화 기술보

- 하이베드 이용, 시설채소 생력화, 조사료 생산 등 : 116개소 39억원

○ 화학비료 사용량 감축 정책 지원을 한 맞춤형비료 이용기술 보

- 기 시비량 수 정착 : 논 → 추가시비 지, 밭 → 량시비 유도

□ 최고품질 농축산물 생산기술 로젝트 추진

○ 최고품질 과실 생산단지의 규모화로 경 개선

* 최고품질 : 34개단지 2,000ha, 최고품질 과실 : 6과종 92개소 2,001ha

○ 잡곡단지 규모화 생산․가공․유통 일원화로 생산비 감

- 기능성 웰빙잡곡 생산 기반구축을 한 잡곡단지 육성 : 12개소 1,200ha

○ 최고품질 신선과채류 생산기술 확산 품질 리 : 10개소 50ha

○ 농산부산물 발효사료 이용 우리맛닭 생산으로 생산비 감 : 5개소

□ 신기술보 시범사업 추진체계 개선

○ 장기술수요 신속 반 을 한 일몰제 운 신규사업 발굴

* 일몰제 : 3년이상 사업⇒재평가, 5년이상 사업⇒완료, 신규사업 지원 등

○ 장 심의 신기술 과제 발굴의 다양화 : 학, 농업인, 지도기 등

Page 3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8 -

2 지역단위 특화사업 추진으로 농촌경제 활성화

가 지역농업 특성화사업 추진

◇ 시군 주력품목에 기술․교육․ 산을 집 지원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 연구개발기술 조기 실용화를 진하여 돈버는 농업 실

◦ 매년 신규사업 30개소 도입, 연간 농업소득 10% 증 목표

□ 특화 품목 주산지 심의 패키지 기술 보

○ 시군별「선택과 집 , 경쟁체제 도입」등 사업방식 환

- (’09) 51시군, 102억원 → (‘10) 83(기존 50, 신규 33), 189

* 사업비 차등(2~7억원), 연구비 지원 : ('09) 53과제 41억원 → ('10) 85, 60

□ 앙과 지방의 역할 분담을 통한 특성화사업 조기정착 진

○ 앙 : 특성화 문인력 양성, 문컨설 력단 지원(240명 내외) 등

* 연구기 의 On-Farm Research와 연계 수행 장 컨설 강화

○ 도 기술원 :「특화작목시험장」과 연계, 장지원 네트워크 구축

- 경 컨설 등을 한 「지역 략작목 산학연 력단」운 (63개소)

○ 시군 : 산학 연이 참여하는「지역 의체」구성 운

□ 특성화사업의 체계 성과 리

○ 사업실 진단 경 분석 심의 평가모델 구축

- 연구+지도+경 이 결합된 입체 인 진단ㆍ평가 의회 운

- 특성화사업 ․후 경 실태 분석 사업성과 측정

○ 평가지표에 의한 객 평가 강화 : * 기술보 성과, 지역경제 기여도 등

○ 유형별 우수사업 센터 인센티 제공 : 포상, 사업비 등

지역농업 특성화사업 성과 (농가소득 15.6%증가)

◇ 농식품 개발 : 농산물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3배 증가

◇ 한우명품화 : 한우 육질 1등 출 율 63% → 73 증가

Page 32: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29 -

나 농촌자원의 부가가치 증진 및 소득활동 지원

◇ 소규모 식품가공농가 창업지원 시스템 구축

◦ 시군센터를 농산물가공종합센터로 육성 : 4개소 20억원

◇ 농 체험마을의 품질향상을 한 사후 리 강화

◦ 유형별 마을인증제(10월), 마을리더교육(5월), 운 수 별 체계 리

□ 농업인 소규모 창업 지원 확 : (‘06~’09) 100개소 → (‘10) 18 (18억원)

○ 농 여성, 식품가공 → 농업인, 농 자원으로 확 ( 상․품목확 )

○ 품질 향상 식품 생 시스템 신규 설치 지원 : 11개소 5억원

○ 향토음식 자원화『농가맛집』조성 : (‘07~’09) 35개소 → (‘10) 15 (15억원)

* 사업 상별(신규, 기존) 맞춤형 교육 추진(3, 9월) 장 컨설 (5~6월) 지원

□ 시군센터를 농업인 농산물 가공기술 담기 으로 육성

○ 농산물 가공교육장 설치 확 : 105개소('10 : 11개소, 11억원)

○ 가공기술 표 화(25개소 10억원),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설치(4개소 20억원)

- 생산제품 품질향상을 한 기술이 , 자립경 , 창업보육까지 지원

* 가공기술(제품개발, 품질 리), 경 기술(세무, 회계, 마 ), 식품 생(제도, HACCP)

□ 농 체험마을의 경쟁력 강화 컨텐츠 활성화 기술 지원(170개소)

○ 시군별 농 체험 지역네트워크 구축 : (‘06~’09) 42개소 → (‘10) 20 (20억원)

○ 지역별 특화된 체험상품 개발 보 : (‘09) 20개소→ (‘10) 20 (4억원)

* 체험마을의 유형별 특색화 추진 : 통지킴이․우리맛․가양주체험․자연생태마을 등

○ 교과과정과 연계한 농 교육농장 조성 : (‘06~’09) 176농장 → (‘10) 64 (16억원)

* 수 별, 단계별 농장교사 양성 : 매년 기 ․심화 연수과정(4~5월, 9회 200명)

Page 33: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0 -

다 쾌적한 녹색 농촌 공간 조성 및 활용 기반 확충

◇ 농 어메니티자원 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농 어메니티자원 발굴 웹서비스 : (’10) 21천마을 → (’12) 32

☞ 어메니티자원 활용, 그린로드 인 라 구 기술 농 개발

□ 농 어메니티자원 발굴 정보서비스

○ 농 어메니티자원 발굴․조사 : 150읍면 4,000마을

○ 농 어메니티자원 DB구축 웹서비스 : 50,718건(‘09 발굴)

□ 주요 하천 유역 그린로드 네트워크 구축 수변공간 조성기술 개발

○ 어메니티자원 발굴을 통한 수변공간계획 지원체계 구축 : 4지역

○ 농 어메니티 테마연계형 강변 그린로드 네트워크 구축 : 15개소

○ 주요 강 유역의 녹색문화체험지구 조성 모델 개발 : 2유형

○ 수생태계 조성을 한 빗물이용 소하천 복원 기술 개발 : 3종

○ 물리 , 생태 측면의 수변공간 활성화 계획 지표 개발 : 2종

□ 농 마을 어메니티 장 용 기술 개발

○ 경 유형에 따른 경 계획 경 맵 구축․활용 : 산군

○ 주민 참여형 농 마을 어메니티 설계 모니터링 : 4개소

□ 농 자원과 농특산물을 연계한 농 소득모델 개발

○ 지역 자원과 농특산물을 활용한 마을축제 개발 : 창포축제 등 3종

○ 통지식보유자 농 해설사 육성 매뉴얼 개발 : 1종

○ 농가민박 객 매뉴얼 품질평가 지표 장 용 : 3개 군

○ 농 유무형 자원 활용 농어 신문화공간조성 략 개발 : 6지역

Page 34: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1 -

라 농촌현장 애로 해소

◇ 장애로 규제 개선, 복합기술민원 해결로「 장 심 고객만족」실천

◦ 녹색기술 장지원단 운 확 : (’09) 171회 → (’10) 200

◇ 국민신문고 등 민원처리 만족도 제고 * 목표 : 앙부처 1

□「녹색기술 장지원단」운 강화로 장문제 신속 해결

○ 찾아가는 서비스 실천 기술민원의 90% 이상을 장에서 해결

○ 장에서 조사․분석이 가능한「바로처리 차량」운

○ 농 장지원 문가 구성 : 20명

* 소속 연구기 문가의 장출동 업무부담 경감 : 34% → 20%

○ 상시출동이 가능하도록 분야별 문가 인력풀 활용 : 117명

□ 직원 참여「 장애로 한마음 로젝트」실천 ⇒ 농업․

농 장 애로해결 ‘2인 1과제’ 추진

○ 장연구, 기술지원시 장의 애로사항을 제도개선 과제화

□ 고객지원센터의 효율 운

○「청장의 농 장 목소리 청취 화」운 : 매주 목요일 17시

○「고객지원 콜 센터」운 으로 온․오 라인 민원 바로처리

- 민원처리 통합 콜 시스템 운 : 1544-8572(일어서서 바로처리)

○ 민원처리결과 DB 구축 인터넷「농업기술정보」 리 강화

□ 신속한 응과 사후 리를 통한 고객 만족도 제고

○ 농 장 모니터 원 활용 장 애로사항 신속 악 : 161명

○ 장민원의 신속한 해결 사후 리 강화

- 정 분석 서면통보 200건, 장지원 후 확인방문 피드백 등

Page 35: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2 -

3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업전문인력 육성

◇ 농업인 실용교육과 귀농․귀 인 상 기 기술교육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인력 양성

◦ 새해농업인실용교육(34만명), 농업인 학(105개소), 귀농교육(300명)

□ 농업인의 경 규모와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문기술교육

○ ( 업농) 문농업인은 품목별 장기교육(농업인 학)

○ ( 소농) 일반농업인은 핵심기술 단기교육(새해 농업인 실용교육)

○ (자 ․부업농) 생계농업인은 농 생활 기술교육(당면 농 기술교육)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은 최근 개발된 핵심기술 보 에

○ 연간 농설계에 필요한 품목별 문기술과 농정시책(1~2월, 34만명)

* 구제역 발생에 따라 국 축산교육 연기, 리지역(7개 시군)은 모든 교육 연기

□ 장기 농업인교육과정 확 단계별 맞춤형 교육 실시

○ 농업인 학을 장기 교육과정으로 운 : ('10) 105개소(6개월~1년)

- 지역별 특화품목에 한 생산․경 ․가공․마 일 교육

○ 농업인교육과 시범사업 참여 연계 제도화로 효율성 향상

- 농업인의 교육 참여를 통해 사업능력 배양 후 시범사업 수행

□ 도시민의 귀농․귀 을 한 맞춤형 교육 컨설 지원

○ 농 진흥청 귀농․귀 홈페이지 서비스(www2.rda.go.kr/go2nong)

○ 수도권 직장인을 한 야간 귀농교육(4기, 200명, 5일간, 서울역사)

* 슬로건 :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인생 2막 귀농열차에 탑승하세요!”

○ 제 군인 귀농교육(75명, 2주)과 농업창업심화교육(25명, 9주)

○ 신규 귀농인의 농정착을 한 생활 응 기술 교육(40개소)

Page 36: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3 -

4 농업인 경영 마케팅 활성화 지원

◇ 농업․농 발 을 선도할 우수농업경 모델 개발 확산

◦ 농업비즈니스 모델 농가 1,000명, 사이버농업 리더 3,000명 육성 (‘12까지)

☞ 비즈니스모델개발 과정 멘토링 로그램 사업 확 로 조기 달성

□ 우수 농업경 체 성공모델 확산

○ 농업비즈니스 성공모델 국 확산 : (’09) 1개소 39명 → (’10) 9개소 200명

○ 우수 농업경 체 발굴․확산 : (’10) 200명(’06~’09, 2,227명)

○ 소득 1억원 목표 경 모델개발 보 : 복합경 , 문경 등

○ “최고가 농산물” 우수요인 조사 → 농업인제공 : 2010년까지 100품목

□ e-비즈니스 활성화로 농업인 소득향상 지원

* 홈페이지 구축 + 통합사이트 홍보 + e비즈니스역량교육 + 네트워크 지원 (패키지 방식)

○ 농업인 수 별 ‘e-비즈니스 멘토링 로그램’ 확 : (’09) 15개소 → (’10) 23

○ 농업인 홈페이지 개발지원 : 80개소(’01~’09, 840개소) → 하이팜으로 통합 홍보

○ 제5회 한국사이버농업인 진 회 지원 : 농업인 등 1,500명 (’10.7, 문경)

□ 맞춤형 경 개선을 한 품목별 경 진단․처방

○ 경 진단․처방 DB화 : 연 5,000호 → 농가의 자발 경 진단 신 유도

* 경 진단표, 수익성 간이 진단표, 마 간이 진단표 추가 개발 등

○ 규모 경 체 회계 리 지원 : 로그램보 , 경 진단, 장컨설

□ 기술․품종․농식품의 세계화 비즈니스와 지역경제 활성화

○ “세계 1등 농식품 만들기 로젝트” 추진 : 단감, 유자 등 해외 비즈니스 모델

○ 개발 품종․기술의 지역경제 활성화 사례 수집․분석․확산

* 경제 효과/스토리의 시리즈 홍보 : “신기술 신품종이 지역을 바꾼다”

□ 농가 경 비 획기 감 지원

○ 품목별 경 비구조분석(3월), 기술 응방향, 우수 감사례발굴(6월)

○ 품목별 밸류체인분석으로 가치창출․비용 감 요소발굴 : 등 10품목

Page 37: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4 -

5 푸른농촌 희망찾기 운동 확산

◇ 3 실천과제(깨끗한 농 환경 조성, 안 농산물 생산, 농업인 자립

역량 강화)의 2단계 확산을 통한 농업․농 의 선진화 진

◦ 장 지원사업과 연계, 농업인교육, 우수사례, 릴 이 기고 등

□ 농 진흥사업과 연계된 실천과제 추진으로 운동의 실행력 확보

○ ‘1과 3마을’ 자매결연 마을에 한 ‘1村 1技’ 사업 지원 : 276마을

- On-Farm사업, 산․학․연 력사업단, 시니어자문단 연계 컨설 등

* 시범마을 1과 3마을 체계 정비로 효율 운 (1~2월), 선도지도자 교육(5월)

○ 마을 여건에 맞는 자율 인 세부실천과제 발굴 지원 유사

추진과제 심으로 마을 네트워크 구축

* 깨끗한 농 (축산환경, 농 어메니티 등), 안 농산물( ․과수 등 품목별 사업)

자매결연 시범마을 ‘1 1기’ 지원 우수사례

◇ 식량원 기획조정과(9. 26) : 강원 횡성 수리 마을 농산물 직거래 일손돕기

- 고구마 수확 농산물 직거래 구매, 환경정화, 농기술 책자 우리 지원

◇ 농과원 통한식과(9. 30) : 경북 청송 참소슬마을 기술지원

- 청송 심씨 종가음식의 상품화 기술지원 농 일손돕기 지원 등

□ 민간자율 의체 구성을 통해 범국민 실천운동으로 확산

○ 농업인교육 사업과 연계한 홍보 확 : 34만명, 입간 ․스티커 등

○ 의식선진화 실천을 한 학습단체 회원 교육 * 보조 활용 13억원

○ 신문, 방송, 포털, 홍보물 등을 활용한 의식 공유 확산(연 )

* 농업인단체장 등 오피니언 리더를 활용한 릴 이 기고는 지속 추진

※ 운동의 성과 평가 우수사례 확산을 한 성과보고 회(12월)

Page 38: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5 -

5. 글로벌 농업기술협력 강화를

통한 국격제고

Page 39: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6 -

1 개도국과의 농업기술협력 확대

◇ 맞춤형 농업기술공여 확 로 호혜 인 력체계 구축

◦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 : (’09) 6국 → (’12) 30, 기술훈련 : (~‘09) 3,464명 → (~’12) 4,300

☞ 농업생산성 향상 시범농장 운 , 청 지훈련, 자원공동개발

□「아시아 농식품기술 력 이니셔티 (AFACI)」본격 운

○ 빈곤타 를 한 농업생산성 향상 기술지원 로젝트 추진

* 국가별, 권역별 범아시아 로젝트(15과제), 청연수, 워크 개최(10월)등

○ 아 리카 ‘MVP’(새천년마을개발사업)와 차별화된 아시아형 사업 추진

- 마을단 농업 생산성 제고를 한 시범사업 추진

* MVP : 유엔 선진국 주도, 아 리카 10개국 80개 마을의 빈곤퇴치 사업

○ 실시간 기술지원 정보교류를 한 “아시아 농업정보센터” 구축

* 연구조직, 농업통계, 개발기술 등 정보공유 문가 네트워크 구축(7월 개통)

□ 개도국 농업생산성 향상을 한 맞춤형 농업기술공여 확

○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 설치 확 : ('09) 6개국 → (’10) 10

- 자원 개발형 시범농장과 맞춤형 기술 보 으로 한국형 지원모델 확립

* 베트남(바이오에 지), 미얀마(콩), 우즈벡(사료), 냐(감자), 라과이(특작) 등

○ 외국인 기술 훈련 확 : (’09까지) 116개국 3,464명 → (’10) 220명

○ 국내 선도 농가 농산업체 해외진출 기반 조성 (10개국)

- 산학연 공동 해외농업개발 시스템 구축 농업인 진출 기술지원

□ 로벌 청년리더 양성을 한 해외인턴 견 : ('09) 65명 → (’10) 120

○ 농업연구인턴(국제연구기 , 24명) 해외농업인턴(해외농업개발센터, 96명)

* 인턴 수료후 취업으로 연계(’09 : 국제미작연구소, 종근당 연구원 등 5명)

Page 40: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7 -

2 국제기관․국가간 파트너십 강화

◇ 첨단 녹색 농업기술 도입 로벌 이슈 선제 응

◦ 상주연구원 견 : (’09) 10개소 → (’12) 12, 공동연구 : (‘09) 27과제→ (’12) 50

☞ 국제․국가기 과 략 력, 농업쟁 응, 공동연구, 국제회의 유치

□ 국제미작연구소(IRRI) 등 국제농업연구기 기구와 력 강화

○ 한-아세안 경 로젝트 추진 (고온 항성 벼품종 개발, 6국 참여)

○ 기후환경변화, 생물다양성 등 국제 농업쟁 응을 통한 정책지원

○ IRRI 개소 50주년 기념심포지엄, 특별과제(아시아 자 률 향상) 추진

□ 녹색기술강국 자원부국과의 략 트 십 강화

○ 농업기술분야 권역별 농진청 해외 력연구센터 역할 강화

- 미국(생명공학), 화란(수출농업), 라질(바이오에 지), 일본(농식품 안 성)

○ 국외상주연구원 견 확 : (‘09) 10국 10명 →(10) 11, 11

○ 뉴질랜드, 노르웨이와 농업기술 력 확 (MOU 체결 사업추진)

○ 녹색기술 개발을 한 국제공동연구 확 : (‘09) 27과제 → (’10) 33

□ 국제농업공동 안에 응한 국제회의 개최 네트 크 강화

○ 네덜란드 와게닝 와의 공동심포지엄 기획회의 (5월)

○ 아․태식량비료기술센터(FFTC) 공동 국제워크 (6월)

○ 아․태농업연구기 의회(APAARI) 총회 (10월)

* 세계 Biodiversity의 해 선포 농업연구 방향제시, 아시아 벼 연구 의회 연계 개최

○「녹색기술국외자문단(1,721명)」을 활용한 첨단기술 정보수집 강화

* 국외상주연구원 국제 문 원 연찬회(2월), 녹색기술 국외자문단 청 심포지엄(6월)

Page 4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8 -

3 한식세계화기술 개발 및 식문화 전파

◇ 한식의 우수성 구명과 명품화로 한국 식문화 확산

◦ 외국인용 한식 조리법 개발 : (‘09) 1 종 → (’10) 3 → (’11) 6

☞ 한식의 세계화로 농식품 수출 국가 랜드 가치 제고

□ 한식 세계화를 한 건강 우수성 구명

○ 국가간 식단‧ 양상태 평가로 한수 우수성 입증

- 미국, 네덜란드와 식단 비교 만성질환 연 성 임상 실험 수행

○ WIPO와 연계로 통향토음식의 국제 권리확보 기반 마련

- 특허청과 MOU 체결, 정보의 문화 제도․법규 분석 등

○ 식문화 권역별 맞춤형 한식 조리법 개발 : 일본, 국, 랑스 등

□ 통‧발효식품의 품질 과학화 상품성 향상 기술개발

○ 우리 술 품질 다양화 고 화

- 우리 술 발굴 복원 : 벽향주(碧香酒)주, 석탄주(惜呑酒) 등 2종

- 소비자 맞춤형 막걸리 양조기술 개발 : 인삼‧칼라 막걸리 등 2종

- 지역별 통 발효주로부터 맛과 향이 우수한 균주 발굴 : 25균주

○ 토종 발효균주를 활용한 통장류 개발 : 별미장, 된장 등 2종

○ 천일염의 생리활성 구명 고부가가치 다용도 제품 개발

□ 세계 식문화 정보 수집 자료의 문화로 한식의 확산

○ 해외 농업기술센터 (KOPIA) 활용 식문화 교류 정보수집

- 식재료, 통음식, 식습 , 식생활 사회문화 특성 등

○「향토음식용어사 」 문화 추진으로 한식 확산 홍보 강화

Page 42: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39 -

Ⅲ. 재정 조기집행 및 청년 일자리 창출

- 재정 조기집행을 통한 일자리 8,035개 마련 -

□ 상반기 경기 부양을 한 재정 조기집행 추진

○ 상 사업비 7,672억원의 56%인 4,266억원을 상반기에 집행

○ 보조 , 출연 , 시설비, 자산취득비 등 실 집행이 용이한

비목 심으로 1분기에 33% 집행

▪집행상황 검을 한「 산집행 특별 검회의」운 (월2회)

* 농 장지원단을 통해 집행 장 애로요인 개선, 자 집행상황 검

▪지방비 매칭사업에 한 국비 우선 집행 등 조기집행 독려(시군센터)

▪긴 입찰제도, 선 지 확 등 조기집행 진조치 최 활용

□ ’10년 8,035개의 일자리 마련 ⇒ 사업 장에 실질 도움 제공

○ 농업 문기술분야 인재양성 고학력 청년 일자리 : 534개

- 로벌 청년리더 양성을 한 해외인턴 : 120개

- 생명산업분야 미래 문인력 이공계 인턴 : 310개

- 농업과학분야 인재양성을 한 박사후 연구원 : 104개

○ 농업 R&D 추진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 7,335개

- 농 진흥청 소속연구기 계약직 연구원 : 4,615개

* 시험연구 행정업무보조, 과제참여 단기근로자 등

- 농업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을 통한 사업별 고용 : 2,620개

* 농 진흥청과 산․학․ ․연 력연구 수행 학원생 등 연구보조원

- 국농경지 토양검정 DB구축사업 인력 : 100개

* 농진청 토양DB ‘흙토람’에 연계되어 농가 활용에 직 도움

○ 농가경제 등 농 장에 실제로 도움을 주는 분야 : 166개

- 농 여성 창업 농 체험 활동 지원 : 90개

- 농산물 소득조사 지원 등 : 76개

Page 43: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0 -

참 고 사 항

Page 44: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1 -

1 농촌진흥청 일반현황

가 연 혁

1962. 4 농 진흥청 발족(2국 11기 )

1994. 12

1996. 2

1997. 1

농업기술연구소, 농업유 공학연구소,

농약연구소 농림부의 농자재 품질 리기능을

통합 농업과학기술원 신설

한국농업 문학교 신설

도 농 진흥원 시군농 지도소 연구·지도직

지방직화

1998. 2

2002. 3

수의과학연구소를 농림부로 이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신설

2004. 1

2007. 3

2007. 6

3개 작물시험장을 작물과학원으로 통합

한국농업 문학교를 한국농업 학으로 승격

작물과학원에 인삼약 연구소 신설

난지농업연구소에 감귤시험장 신설

축산연구소를 축산과학원으로 개편

2008. 10 기능․ 과 심의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원 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한국농업 학

으로 조직개편 (9소속기 → 5)

2009. 9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설립

2009. 10 한국농업 학 농식품부 이

Page 45: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2 -

나 임 무

◇ 농업과학기술의 개발․보 교육

◇ 농식품산업 경쟁력 제고 농업인 복지․농 활력 증진

실국․기 정원 주 요 임 무

합 계 1,843

<본 청> 344 (청․차장실 9명 포함)

기 획 조 정 53정책수립조정, 산편성, 변화 리, 조직, 법령정비, 성과평가, 농업기술정보화, 미래 략

연 구 정 책 국 72 연구개발사업 기획‧운 리, 농자재등록 품질 리

농 지 원 국 78 농 지도사업 기획지원, 기술․농 생활자원 보 , 인력육성

기 술 력 국 59 국제 력, 농업경 기술개발, 농업 문인력 교육, 해외농업개발

변 인 13 주요정책에 한 국민 홍보, 정책발표에 한 리핑 지원

감 사 담 당 12 공직기강, 농 진흥청 산하단체 감사, 진정 비 조사․처리

운 지 원 과 48 보안, 민원, 인, 인사, 여, 산집행, 국유재산 리

<소속기 > 1,499

국립농업과학원 508

농업환경․농 자원․생물자원․농산물안 성 연구농업용 에 지 생산자동화 연구개발농업 유용유 자개발․안 성 연구 농업유 자원 이용 리한식세계화, 통식품 산업화 등의 연구개발

국립식량과학원 349식량작물․사료작물․녹비작물․바이오에 지작물의 품종개량, 재배법개선, 생산환경 연구개발 기술지원

국립원 특작과학원 323채소․과수․화훼, 인삼․약 에 한 연구개발 기술지원

국립축산과학원 319가축·가 , 축산물안 성, 축산시설․환경연구개발 기술지원

Page 46: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3 -

다 조 직 : 1 3국 21과(담당 ․ ), 4소속기

청 장

차 장

국 립 농 업 과 학 원

국 립 식 량 과 학 원

◈ 국립원 특작과학원

◈ 국 립 축 산 과 학 원

◈ 책임운 기

라 정 원

(단 : 명)

구 분 계고 공무원단

연구직 지도직행정․농업․

산 등기능직

계 1,843 21 1,178 88 217 339

본청(1 3국) 344 5 112 71 109 47

소 속 기 (4) 1,499 16 1,066 17 108 292

Page 47: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4 -

마 예 산

□ 2010년도 세출 산 규모는 9,130억원으로 2009년 산

(6,333억원) 비 2,797억원(44.2%) 증가

○ 그 순수사업비는 5,271억원으로 2009년 산(4,566억원)

비 15.4% 증가(705억원)

○ 공공기 지방이 을 한 토지매입 공사비 2,482억원 반

(단 : 억원)

구 분‘09 산

(A)

‘10 산

(B)

증 감

(B-A) %

합 계 6,333 9,130 2,797 44.2

□ 순수사업비 4,566 5,271 705 15.4

◦연구개발 3,272 3,727 455 13.9

◦기술보 1,121 1,384 263 23.5

◦정보화 173 160 △13 △7.5

□ 기본경비 187 183 △4 △2.1

□ 인 건 비 1,283 1,194 △89 △6.9

□ 공공기 이 297 2,482 2,185 735.7

○ 일반회계 4,866 5,393 527 10.8

○ 농특회계 374 386 12 3.2

○ 특회계 796 869 73 9.2

○ 특회계 297 2,482 2,185 735.7

Page 48: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5 -

주요사업별 내역

(단 : 억원)

사 업 명'09 산

(A)

'10 산

(B)

증 감

(B-A) %

합 계 4,863 7,753 2,890 59.4

1. 농업 장 실용화기술 개발 보 1,899 2,093 194 10.2

2.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한

첨단 농업기술 개발1,217 1,313 96 7.9

3. 한식 세계화 지원 농식품

안 리337 400 63 18.7

4. 지역농업 특성화 농 활력

증진 1,113 1,144 31 2.8

5.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운 - 177 177 순증

6. 농업생명연구단지 조성 등 297 2,626 2,329 784.2

Page 49: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6 -

2 2009년 주요업무 추진성과

가 성 과

□ 미래성장동력 창출 생활공감형 농업녹색기술 개발

○ 생물자원의 소재산업화 첨단분야 융복합에 역

* 실크단백질 이용 인공고막, 장기이식용 형질 환 돼지(지노), 채소 목로 등

○ 농업 장 실용화 농식품안 리기술 개발

* 우유품질분석기, 한우 별진단기술, 가축분뇨악취제거장치, 다이어트용감귤 등

○ 소비 진을 한 가공용 기능성 품종 보

* 포장밥용(주안벼), 통주용(설갱벼), 발아 미용(큰 벼), 임산부용(철분강화, 고아미4호)

○ 기후온난화 응, 신소득작물 재배법 개발 * 망고, 아티 크 등 13종

□ 미래 비․역량 강화 토 구축

○ 농 진흥청 녹색성장 5개년 추진계획 수립(6분야 20개 세부과제)

*「제1회 생활공감 녹색기술 」개최(4.30~5.2) : 국민생활공감형 녹색기술 발굴 확산

○ 자립형 복지농 실 을 한「푸른농 희망찾기 운동」 개

* 시범마을 육성(276마을), 농업인 실천 결의(94천명)

□ 기술 ․제도 분야를 망라한 농업인 장애로 해소 추진

○ 이동식 농업종합병원「녹색기술 장지원단」운 (3.17출범)

* 분야별 최고 문가를 으로 구성, 복합기술민원 장해결(171건 처리)

○ 농업․농 장 규제개 과제 발굴, 개선 추진(65과제)

* 농 장의 농업인 의견을 직 수렴, 과제개선을 해 유 기 력

□ 개도국 농업기술공여 확 등 국가 랜드 가치 제고

○ 한국 주도 최 의 다자간 농업기술 력 의체인「아시아

농식품기술 력 이니셔티 (AFACI)」출범(11.3, 12개국)

* AFACI(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Page 50: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7 -

○ 개도국 지맞춤형 농업기술지원을 한「해외농업기술개발

센터」신설 운 (6개국)

* 지 농업자원 공동개발 시범사업을 통한 기술지원․교육

○ 국제유 자원 력훈련센터 개소 한반도 원산 토종자원 반환

* 반환실 (4,422 ) : (’09)독일901 (’08)일본1,546, 러시아296 (’07) 미국1,679

□ 성과 극 화를 한「기능․조직 선진화」기틀 마련

○ 미래를 비하고 장․수요자에 실익을 주는 조직으로 개편

* 농식품자원부, 바이오에 지․온난화 응연구센터 등 설치

○ 연구 어젠다체계, 지역특성화사업체계 도입 등 목표 지향

사업체계 구축

* 일하는 방식 개편 : 열린연구․ 장연구․실용연구․미래연구 지향

○ 개발기술의 실용화 진기반 구축을 한「농업기술실용화재단」설립

□ 경제 기 극복과제 추진

○ 일자리 창출 : 11,501명 고용(’08채용 고용유지 8,002, ’09신규 3,499)

○ 취약계층지원 자율모 운동 :「푸른농 희망찾기 성 」(446백만원)

◇ 정부기 평가에서 23개 분야 최우수․우수기 으로 선정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選」에 2년(’08,’09) 연속 7건씩 선정

나 반 성

○ 생산비 감, 품질향상 등 장농업인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연구개발․보 성과가 미흡

○ 가공기술, 돌발병해충 조기방제 등 환경변화를 반 한

기술 개발이 부진

○ 부정․불량 농자재로 인한 농업인 피해 방지 리체계가 미흡

○ 환경 보 소비자의 고품질․안 농식품 수요에 부응한

자원 순환형 친환경 유기농업기술 개발․확산이 미흡

Page 51: 2010년 업 무 계 획 - rda.go.krrda.go.kr/download_file/2010_plan.pdf · 농업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기술 개발 Tier 22)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계수개발

- 48 -

3 2009년 외부기관 평가결과

구 분 평가분야 주 부처 평가결과 비 고

계 4개 분야 - 23건 -

정부업무

(6)

정부업무 평가운 국무총리실매우 우수

(국무총리 포상) ’09. 7

정부업무 특정평가(정책 리역량) 〃 우 수(국무총리 포상) ’09. 8

정부업무 특정평가(녹색성장) 〃 우 수( 통령 표창) ’09. 12

정부업무 성과 리 평가 〃 우 수 ’09. 12

책임운 기 평가 행정안 부우 수

(행안부장 표창) ’09. 7

성별 향 평가 여성부우 수

(국무총리 표창) ’09. 7

기 역량

(7)

정책홍보 문화체육 부우 수

(국무총리 표창) ’09. 2

앙부처 우수제안 행정안 부 국민제안2, 공무원2 ’09. 9

공무원 교육훈련 기 평가 〃 우 수(행안부장 표창) ’09. 11

정부인사 운 사례 〃 최우수상 ’09. 12

정보기술아키텍처(EA) 〃 최우수기 ’09. 12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서비스 데이터 품질평가 교육과학기술부 최우수기 ’09. 12

교육 력 우수기 앙공무원교육원 우수기 ’09. 12

연구․지도

성 과

(6)

국가연구개발 반세기 성과 Top 10 선정(통일벼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우 수 ’09. 7

과학기술 100 연구성과 〃 7 성과 선정 ’09. 11

지역 신사업 평가 S등 (산학 력) 국가균형발 원회 최 우 수 ’09. 6

감사원 감사 우수사례(지열펌 개발) 감사원 삼청 상 ’09. 8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테마마을) 농림수산식품부 우 수 ’09. 5

농 마을 가꾸기 경진 회 〃 상1 우수상2 ’09. 11

고객 리

(4)

국민 민원만족도 국무총리실 우 수 ’09. 3

공공기 청렴도 국민권익 원회 우수기 ’09. 12

국민신문고 운 실 평가 〃 우수기 ’09. 9

국민신문고 민원처리 〃 우수기 ’0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