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 221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2, Vol.29, No.3, pp.221246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역할기대 분석 Analysis on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School Health Teacher안 장 자(영남이공대학교)* 김 병 주(영남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과 역 할기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교사 교직과정을 설치한 8개 전문대학의 교직 이수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직과정 이수동기에 대한 인식은 직업안정성,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 우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고, 교직관에 대한 인식은 전문직관, 성직관, 노동직관 순 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건강관리, 보건교육, 보건실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 상담, 학교환경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시대변화와 교육 및 사회의 요구에 따라 많이 변화하고 있 으므로 보건교사 및 교직과정이수 학생들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의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진로결정 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역할, 보건교사의 직무, 역할기대 * 주저자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2.07.31). 심사(12.09.25). 수정완료(12.09.28)

221 - NFLINT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2015. 1. 28. · - 221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2, Vol.29, No.3, pp.221~246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221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2, Vol.29, No.3, pp.221~246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Analysis on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School Health Teacher1)

    안 장 자(영남이공대학교)*

    김 병 주(영남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과 역

    할기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교사 교직과정을 설치한 8개 전문대학의 교직

    이수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직과정 이수동기에 대한 인식은 직업안정성,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 우발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고, 교직관에 대한 인식은 전문직관, 성직관, 노동직관 순

    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건강관리, 보건교육, 보건실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 상담, 학교환경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시대변화와 교육 및 사회의 요구에 따라 많이 변화하고 있

    으므로 보건교사 및 교직과정이수 학생들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의 교직이수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진로결정

    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보건교사, 보건교사의 역할, 보건교사의 직무, 역할기대

    * 주저자 :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2.07.31). 심사(12.09.25). 수정완료(12.09.28)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22 -

    Ⅰ. 서 론

    최근 대학진학과 진로의 방향을 자신의 적성보다는 취업가능성에 큰 무게를 두고 의사

    결정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취업율이 높은 간호학과에 대한 선

    호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간호학과의 경우에는 간호사 뿐만 아니라 교직과정을 이수하

    여 보건교사가 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기 때문에 입학경쟁률이 더욱 높다.

    대부분의 간호학과 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이미 졸업 후 간호사가 되겠다

    는 직업적 결정을 한 상태로 입학하게 된다. 하지만, 취업률이 비교적 높다는 특성 때문에

    자신의 진로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과 평가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로를 선택하기 쉽다(김명

    아, 2004). 간호학과 학생들은 입학 후에도 전공 및 임상실습, 과중한 수업시간 등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개개인의 삶과 인생에 연계된 진로지도를 하기 어렵다. 간호학과에서의 진

    로지도는 병원이나 산업체 및 기관의 설명회를 열거나 해당기관의 간호사 채용정보를 전

    달해 주는 정도의 취업지도가 대부분인 실정이다(조희 외, 2006).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의 교양 선택과목에 ‘보건’이 추가 되어 보건교

    사가 연간 17시간의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보건교사의 역할이 보건실 내에서

    의 의료적 처치와 건강 상담 위주의 역할에서 교육자로서의 역할로 확대된 것이다. 따라서

    보건교사에게는 이러한 사회 변화에 맞추어, 단순히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수업기술과 학생지도 능력에 기반을 둔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요구되고 있

    다. 결론적으로 일반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교직과정 대상자로 선발

    된 간호대학생들에게도 재학 중 바람직한 교사상과 교직관의 형성이 필수적 요소로 떠오

    르고 있다(박정주, 2003).

    따라서 전문대학 간호학과 교직 이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직 및 보건교사에 대한 인

    식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의 내용은 간호학과 학생들의 교직

    과정 이수에 대한 동기 및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직에 대한 이미지, 학생들이 보건교사에

    기대하는 역할이라는 세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는 교직과정 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 기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직과정 이수 간호대학생

    이 보건교사를 하려고 하는 동기, 교직과정 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로서의 교직에 대

    한 인식, 교직과정 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반 간호대학생이 아닌, 교직과정 대상자로 선발된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23 -

    하였다. 비록 간호사가 되기로 결정한 상태로 입학하였지만, 교직과정 대상자로 선발되어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졸업 후 보건교사로서 활동하게 된다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즉

    보건교사는 학교교육과정 속에서 보건을 담당해야 함은 물론, 교사로서의 자질 및 능력을

    보다 충분히 갖추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보건교사의 법적 근거 및 자격 조건

    초ㆍ중등교육법 제21조 교원의 자격 2항의 별표2에 규정된 자격으로 대학ㆍ산업대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증을 가진 자와 전

    문대학의 간호과 졸업자로서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증을 가진

    자(국가법령정보센터, 2010)를 보건교사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보건교사를 처음으로 제도화한 1953년 공포된 교육공무원법에는 보건교사

    의 자격기준을 초등학교 양호교사만으로 규정하였고, 자격검정의 응시자격은 3년 이상의

    초등학교 교육경험을 가진 자였으며 그 검정 정도는 간호고등기술학교 졸업 정도로 하였

    다. 1956년에는 문교부 장관에 의한 양호교사 자격증 발행이 이루어져 졌고, 1961년에는 양

    호교사가 고용직에서 교사직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박정주, 2003).

    2002년부터 대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

    허증을 가진 자로 양호교사 2급의 자격기준을 강화하였으며, 양호교사의 역할이 질병치료

    에서 예방으로 확대됨에 따라 2003년 양호교사에서 보건교사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보건교

    사의 역할도 상당히 변화하였다(최정분, 2011).

    2. 보건교사의 역할

    학교보건사업은 학생 및 교직원 더 나아가 가족 및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이들과 보건의

    료 전문가가 참여하여 건강관리(보건봉사), 보건교육 및 상담, 그리고 환경관리를 제공함으

    로써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 수준을 향상시킴

    으로서 안녕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포괄적 건강사업을 의미한다. 보건교사는 이러한 학교

    보건사업의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이다.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24 -

    따라서 학교 보건교사는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환경위생관리 등을 담당

    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학생들에게 성교육, 질병 예방교육 등의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학부모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 등을 포함하고 있다(박영숙, 학교교

    육개발원, 2008). 또한 보건교사는 학교에 상근하는 유일한 보건전문가로서 학교 내의 보건

    과 관련된 제반문제를 평가하고 보건교육과 건강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보건의 중요한

    역할자이다(교육법전, 2009).

    3. 보건교사의 직무

    학교보건교사의 직무는 학교보건법 시행령 24조 4항에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주

    요 내용은 (1)학교 보건계획의 수립, (2)학교 환경위생의 유지관리 및 개선, (3)학생 및 교직

    원에 대한 건강진단 실시의 준비와 실시협조, (4)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5)학

    생 및 교직원의 건강관찰과 학교의사의 건강상담ㆍ건강평가 등의 실시 협조, (6)신체 허약

    학생에 대한 보건지도, (7)보건지도를 위한 학생가정의 방문, (8)교사의 보건교육에 관한 협

    조와 필요시의 보건교육, (9)보건실의 시설ㆍ설비 및 약품 등의 관리, (10)보건교육 자료의

    수집ㆍ관리, (11)학생건강기록부의 관리, (12)다음의 의료행위(간호사면허 가진 자에 한함)

    (가)외상 등 흔히 볼 수 있는 환자의 치료, (나)응급을 요하는 자에 대한 응급처치, (다)부상

    과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처치, (라)건강진단결과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지도 및 관

    리, 그 밖에 (가)~(라)까지의 의료행위에 따르는 의약품 투여(박영숙, 학교교육개발원,

    2008), 학교의 보건관리(개정 2010. 12. 개정, 학교보건법 시행령23조 4항)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특히, 2008. 3. 21. 개정된 학교보건법 9조(학생의 보건관리)에 의하면 학교의 장은 학생

    의 신체발달 및 체력증진, 질병의 치료와 예방, 음주ㆍ흡연과 약물 오용(誤用)ㆍ남용(濫用)

    의 예방, 성교육 등을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한다고 되어 있고,

    2008. 2. 29.에 개정된 같은 법 제9조의 2(보건교육)에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초·중등교육

    법」 제2조에 따라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이 경우 실시 시간, 도서 등 그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한다

    고 되어 있다.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25 -

    4. 역할 기대

    역할기대란 집단이나 조직, 또는 다른 개인이 그에게 어떤 역할을 수행해줄 것을 기대하

    는 것으로 기대와 역할은 의존적이며, 이 두 개념을 뒷받침하는 공통된 기반을 ‘기대’라고

    한다. 즉, 어떠한 지위를 차지한 특정인이 그 지위에 부여되는 일반적인 기대에 따라서

    수행하는 행동을 역할이라고 한다면, 역할에 관련성이 있는 특정인에게 바라는 기대를 역

    할기대라고 말할 수 있다. Sarbin(1954)은 역할기대의 지각정도는 개인마다 동일하지 않고

    연령, 성별, 사회계층, 직업, 성격에 따라 다르다고 볼 수 있으며, 정확한 역할지각을 하는

    사람일수록 적응성이 높고 개인의 역할을 정확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5. 선행연구 분석

    간호학과에서의 진로 탐색 및 진로지도에 대한 관심부족에 기인하여 관련 선행연구도

    활발한 편이 아니다. 2005년 이후 살펴 보면, 간호대생의 직업인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김

    분한 외, 2005), 4년제 간호대생의 자기 효능감과 간호수기능력과의 관계(유문숙 외, 2006),

    간호대생의 전공과 진로에 대한 인식조사(방경숙 외, 2009), 진로정체감과 임상수행능력간

    의 관계(최은희, 2009), 간호대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문인오 외, 2010) 등 간호학과 학생들의 직업인성이나 태도 및 성격 등이 전부이다.

    특히 간호학과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학생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해도 과언이 아

    닐 정도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보건교사 양성 교직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8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교직과정 이수학생이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50부이며, 141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4%이

    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6부를 제외하고 총 135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한 응답자들 중 여학생은 125명(92.6%), 남학생은 10명(7.4%)이며, 2학

    년은 57명(42.2%), 3학년은 78명(57.8%)이다. 연령별로는 23세 이하 86명(63.7%), 24세 이상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26 -

    배경변인  응답자수 비율

    성별남 10 7.4

    여 125 92.6

    학년2학년 57 42.2

    3학년 78 57.8

    연령23세 이하 86 63.7

    24세 이상 49 36.3

    입학형태

    수시일반전형 32 23.7

    수시특별전형 19 14.1

    정시 52 38.5

    정원 외 32 23.7

    입학 전 진로결정

    보건교사 고려 45 33.3

    보건교사 미고려 90 66.7

    교직과정이수 후 직업선택

    보건교사 32 23.7

    간호사 84 62.2

    보건직공무원 14 10.4

    산업 간호사 2 1.5

    기타 3 2.2

    동시취업 시 직업선택

    보건교사 97 71.9

    대학(종합)병원간호사 38 28.1

    전체 135 100.0

    49명(36.3%) 이며, 정원 입학(32명, 23.7%)과 대학 졸업 후 간호학과에 재입학하는 사례 등

    으로 고연령층(24세 이상 49명)이 비교적 높은 분포(36.3%)를 나타냈다.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3가

    지 설문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입학 전 보건교사로 진로를 선택하고 입학한 학

    생은 45명(33.3%)으로 입학 후 진로를 선택한 학생 90명(66.7%)의 1/3 수준에 불과하였다.

    둘째, 교직과정이수 후 선택하려고 하는 직업은 보건교사 32명(23.7%), 간호사 84명(62.2),

    보건직공무원 14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교사와 대학(종합)병원 간호사에 동

    시 취업할 경우 선호도에서는 보건교사가 97명(71.9%)으로 대학(종합)병원 간호사 38명

    (28.1%)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최종 분석 대상의 배경변인별 특성은 다음의 과

    같다.

    배경변인별 특성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27 -

    2.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교직과정 이수동기, 교직관, 보건교사의 역할에 관한 척도로 구성된 설문

    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은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응답자의 반응이 긍정

    일수록 높은 점수에 표기하도록 하였다.

    가. 교직과정 이수 동기

    교직과정 이수동기 관련 선행연구(양윤종 외, 1993; Huberman, 1993)를 검토하여 교직과

    정 이수동기를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 우발적 동기, 직업안정성 등 5가지

    하위변인으로 분류하고 각각 3개씩 총 15개 문항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전문가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거쳤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α값은 0.787로 나타났다.

    하위 변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s α

    교직적성 3 1, 6, 11 .750

    사회적 존경 3 2, 7, 12 .581

    자아실현 가능성 3 3, 8, 13 .709

    우발적 동기 3 4, 9, 14 .545

    직업 안정성 3 5, 10, 15 .556

    계 15 .787

    교직과정이수동기의 신뢰도 분석

    나. 교직관

    교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는 Halpin과 Croft(1962)의 교직관 설문지를 한국의 실정에 맞

    게 번안한 이일행(1993)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직관의 조사 항목은 하위

    변인을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으로 분류하고, 하위변인당 5개씩 총 15개 문항으로 설

    문지를 작성하였다. 전문가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거쳤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Cronbach α

    값은 0.775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들의 Cronbach α값은 성직관 0.612, 노동직관 0.549, 전문

    직관 0.709로 나타났다.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28 -

    하위 변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s α

    성직관 5 1, 4, 7, 10, 13 .612

    노동직관 5 2, 5, 8, 11, 14 .549

    전문직관 5 3, 6, 9, 12, 15 .709

    계 15 .775

    교직관의 신뢰도 분석

    다. 보건교사의 역할

    보건교사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는 박영숙(2008)의 보건교사 직무수행기준과 학교보

    건법 시행령 제23조에 명시된 보건교사 직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건강관리, 상담, 보건교육, 학교환경관리, 보건실 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 등 5가지 하위

    변인으로 분류하고, 하위변인당 4개씩 총 20개 문항으로 작성하였다. 설문지 작성후 전문가

    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거쳤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Cronbach α값은 0.930로 나타났다. 하

    위변인들의 Cronbach α값은 건강관리 0.776, 상담 0.731, 보건교육 0.789, 학교환경관리

    0.778, 보건실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 0.826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문항수 문항번호 Cronbach's α

    건강관리 4 1, 6, 11, 16 .776

    상 담 4 2, 7, 12, 17 .731

    보건교육 4 3, 8, 13, 18 .789

    학교환경관리 4 4, 9, 14, 19 .778

    보건실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 4 5, 10, 15, 20 .826

    계 20 .930

    보건교사 역할의 신뢰도 분석

    라. 다중응답을 통한 중요도 조사

    본 연구에서는 Likert 방식의 5단계 평정척도 외 교직과정이수동기, 교직관, 보건교사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문항 세 가지를 선택하는 설문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Likert 방

    식의 5단계 평정척도 결과와 비교하였다.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29 -

    마. 면접 조사

    설문지외에 조사대상자인 간호대학생의 내면적인 요인을 도출할 수 있는 면접조사를 함

    께 실시하였다. 면접 대상자는 교직을 진로로 결정한 8명의 간호학과 학생이다. 면접은 통

    계자료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1시간씩 실시하였다. 면접인과 면접자

    간에 래포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은 없었으며, 평소수업시간에도 교직이수자들의 진로에 대

    한 상담을 계속하였기 때문에 면접을 통하여 심층적인 자료를 얻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3. 분석 방법

    가. 설문지 검증을 위한 안면타당도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1차 설문지는 교육학과 교수 2인과 간호학과 교수 2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사를 받았다. 표현이 모호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은 수정하였고 일부 문항

    을 추가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나. 본 조사

    본 연구의 설문지는 2012년 4월 3일부터 2012년 4월 10일 사이에 8개 전문대학 간호학

    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에게 배포하였다. 그리고 2012년 4월 17일부터 5월 10

    일까지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다. 자료의 처리

    수집된 자료는 Cronbach a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교직과정이수동기, 교

    직관,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

    을 실시하였고, 항목별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직이수동기,

    교직관, 보건교사 역할의 인식에 대한 배경변인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배경변인을 독

    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30 -

    Ⅳ. 분석 결과

    1. 교직과정 이수동기에 대한 인식

    교직과정 이수동기 전체에 대한 하위영역별 인식의 응답결과는 다음 과 같다.

    직업 안정성 대한 인식이 4.14(5점 만점, 중간점 3점, 이하 동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우

    발적 동기에 대한 인식이 3.47로 가장 낮았다. 교직적성(3.72)과 사회적 존경(3.72)도 상대적

    으로 높았다.

    하위변인 N M SD

    교직적성 135 3.72 .654

    사회적 존경 135 3.72 .596

    자아실현 가능성 132 3.68 .687

    우발적 동기 135 3.47 .598

    직업 안정성 135 4.14 .603

    계 135 3.75 .630

    교직과정 이수동기에 대한 인식

    교직과정 이수동기 중 하위 영역별 인식에 대한 응답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와 같다. 먼저 교직적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3.72로 중간보다 다소 높은 인식을 나타냈

    다. 이러한 응답 결과는 학년과 입학형태에 따라 p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31 -

    배경변인  N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자아실현 가능성

    우발적 동기 직업안정성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학년2학년 57 3.58 .571

    -2.055*3.60 .606

    -1.9123.61 .714

    -1.0003.43 .632

    -.7014.09 .555

    -.7763학년 78 3.82 .696 3.80 .579 3.73 .666 3.50 .573 4.18 .637

    연령23세이하 86 3.76 .662

    .9693.74 .580

    .7253.73 .700

    1.0953.46 .601

    -.3024.15 .580

    .16624세이상 49 3.65 .640 3.67 .627 3.59 .660 3.49 .597 4.13 .648

    입학형태

    수시(a) 51 3.78 .638

    3.818*b>c

    3.70 .619

    .384

    3.73 .655

    2.207

    3.51 .612

    .201

    4.25 .557

    1.619정시(b) 52 3.83 .645 3.77 .635 3.76 .759 3.44 .659 4.12 .653

    정원 외(c) 32 3.45 .637 3.66 .497 3.46 .573 3.46 .469 4.01 .577

    입학 전

    진로결정

    보건교사 고려 45 3.62 .601

    -1.212

    3.56 .507

    -2.137*

    3.56 .632

    -1.465

    3.59 .582

    1.605

    4.10 .623

    -.503보건교사 미 고려 90 3.77 .677 3.79 .625 3.74 .709 3.41 .600 4.16 .596

    교직이수후 직업선택

    보건교사 32 3.71 .615

    -.043

    3.65 .471

    -.765

    3.68 .675

    -.036

    3.54 .687

    .745

    4.05 .556

    -1.143간호사 84 3.71 .683 3.74 .617 3.68 .702 3.45 .568 4.19 .615

    동시취업시 직업선택

    보건교사 97 3.65 .653

    -1.981

    3.71 .592

    -.146

    3.66 .661

    -.458

    3.49 .574

    .691

    4.11 .616

    -.947대학(종합)병원간호사

    38 3.89 .630 3.73 .614 3.72 .756 3.41 .660 4.22 .571

    전 체 135 3.72 .654 3.72 .596 3.68 .687 3.47 .598 4.14 .603

    교직과정 이수동기의 하위영역별 인식

    *p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32 -

    2. 교직관에 대한 인식

    교직관 전체에 대한 하위영역별 인식의 응답결과는 과 같다.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이 4.20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노동직관에 대한 인식이 3.59로 가장 낮았다.

    하위변인 N M SD

    성직관 135 3.81 .487

    노동직관 135 3.59 .542

    전문직관 134 4.20 .457

    계 135 3.87 .500

    교직관에 대한 인식

    교직관의 하위 영역별 인식에 대한 응답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와 같다.

    먼저 성직관에 대한 응답결과는 3.81로 중간보다 다소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

    의 결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경변인  N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

    M SD t/F M SD t/F M SD t/F

    학 년2학년 57 3.80 .445

    -.3123.64 .492

    .8794.19 .439

    -.3383학년 78 3.82 .518 3.56 .577 4.21 .472

    연 령23세 이하 86 3.82 .485

    .1403.53 .527

    -1.6914.22 .446

    .49924세 이상 49 3.80 .494 3.70 .558 4.18 .477

    입학형태

    수 시 51 3.80 .401

    1.502

    3.70 .476

    1.741

    4.20 .441

    .013정 시 52 3.89 .538 3.51 .545 4.20 .461

    정원 외 32 3.71 .516 3.56 .621 4.21 .487

    입학 전 진로결정

    보건교사 고려 45 3.73 .437

    -1.406

    3.69 .480

    1.510

    4.13 .384

    -1.313보건교사 미 고려

    90 3.85 .507 3.54 .567 4.24 .487

    교직이수 후 직업선택

    보건교사 32 3.76 .459-.838

    3.65 .468.778

    4.23 .452.163

    간호사 84 3.84 .493 3.56 .552 4.22 .424

    동시취업 시 직업선택

    보건교사 97 3.83 .482

    .726

    3.61 .557

    .695

    4.22 .456

    .778대학(종합)병원간호사

    38 3.76 .500 3.54 .507 4.15 .461

    전 체 135 3.81 .487 3.59 .542 4.20 .457

    교직관의 하위영역별 인식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33 -

    교직관에 대한 인식 중 노동직관에 대한 응답결과는 응답결과 3.59로 중간보다 다소 높

    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의 결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

    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문직관에 대한 응답결과는 4.20로 매우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의 결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

    았다.

    3.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보건교사 역할 전체에 대한 하위변인별 인식의 응답결과는 와 같다. 응답결과

    건강관리(4.26), 보건교육(4.23), 보건실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4.21)가 특히 높게 나타났

    고, 학교환경관리에 대한 인식이 3.70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N M SD

    건강관리 134 4.26 .460

    상 담 135 3.97 .537

    보건교육 135 4.23 .489

    학교환경관리 135 3.70 .608

    보건실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 134 4.21 .506

    계 135 4.07 .630

    보건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보건교사 역할의 하위 영역별 인식에 대한 응답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 같다. 먼저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4.26로 매우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의 결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

    았다.

    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3.97로 중간보다 다소 높았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보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4.23로 매우 높

    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의 결과는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

    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학교환경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3.70으로 중간보다 다

    소 높았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보건실 운영 및 지역사회 연

    계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4.21로 매우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응답의 결과는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34 -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경변인  N건강관리 상담 보건교육 학교 환경관리

    보건실운영 지역사회연계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M SD t/F

    학년2학년 56 4.33 .472

    1.3053.97 .600

    -.0544.30 .518

    1.3233.79 .611

    1.5424.28 .528

    1.4183학년 78 4.22 .449 3.97 .489 4.19 .464 3.63 .600 4.16 .485

    연령23세이하 86 4.22 .464

    -1.6913.91 .550

    -1.8034.19 .502 -1.49

    6

    3.66 .618-1.091

    4.18 .529-.879

    24세이상 48 4.35 .443 4.08 .498 4.32 .459 3.78 .587 4.26 .461

    입학형태

    수시 51 4.25 .437

    2.796

    4.01 .570

    .427

    4.22 .447

    1.711

    3.74 .617

    .209

    4.25 .479

    2.163정시 52 4.19 .487 3.92 .530 4.17 .537 3.66 .592 4.10 .547

    정원 외 31 4.43 .419 4.00 .500 4.37 .458 3.71 .632 4.32 .455

    입학 전

    진로결정

    보건교사 고려

    44 4.27 .465

    .037

    3.98 .582

    .170

    4.30 .470

    1.121

    3.76 .686

    .750

    4.25 .503

    .667보건교사 미 고려

    90 4.26 .460 3.97 .515 4.20 .497 3.67 .567 4.19 .509

    교직이수후 직업선택

    보건교사 32 4.30 .448.774

    3.97 .452.143

    4.30 .457.972

    3.80 .5631.385

    4.24 .537.430

    간호사 83 4.23 .479 3.95 .584 4.21 .505 3.63 .604 4.20 .503

    동시취업시 직업선택

    보건교사 96 4.30 .477

    1.388

    3.98 .543

    .336

    4.26 .498

    1.123

    3.70 .632

    -.126

    4.25 .508

    1.597대학(종합)병원간호사

    38 4.18 .406 3.95 .527 4.16 .463 3.71 .547 4.10 .488

    전 체 134 4.26 .460 3.97 .537 4.23 .489 3.70 .608 4.21 .506

    보건교사 역할의 하위영역별 인식

    4. 다중응답을 통한 중요도 조사

    가. 교직과정 이수동기의 중요성

    가장 중요한 교직과정 이수동기에 대한 설문의 다중응답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 과 같다. “정년 및 안정적인 신분이 보장되는 직업이다”에 대한 응답이 5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다른 직종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업이

    다”(39.3%), “자기 발전이나 취미생활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많다”(35.6%), “1학년 학

    업성적이 우수해서 선택하였다”(3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직과정 이수동기에서 정년

    및 안정적인 신분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것은 교원정책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35 -

    교직과정이수동기 내용 N %

    1. 정년 및 안정적인 신분이 보장되는 직업이다. 76 56.3

    2. 다른 직종에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업이다. 53 39.3

    3. 자기 발전이나 취미생활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많다. 48 35.6

    4. 1학년 학업성적이 우수해서 선택하였다. 47 34.8

    5.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는 것이 즐겁다 32 23.7

    가장 중요한 교직과정 이수동기

    나. 교직관에 대한 선호도

    가장 선호하는 교직관에 대한 설문의 다중응답결과에 대한 요약은 과 같다.

    “교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자기계발에 힘써야 한다”는 응답이 55.6%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교사는 가르치는 기술뿐만 아니라 전공분야의

    지식수준도 높아야 한다”(54.1%), “교직은 사명감, 긍지, 보람, 소명의식을 필요로 한

    다”(39.2%)의 순이었다.

    교직관 내용 N %

    1. 교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자기계발에 힘써야한다. 75 55.6

    2. 교사는 가르치는 기술뿐만 아니라 전공분야의 지식수준도 높아야한다. 73 54.1

    3. 교직은 사명감, 긍지, 보람, 소명의식을 필요로 한다. 53 39.2

    4. 학생을 가르치고 보수를 받는 것은 당연하고 떳떳한 것이며, 받은 보수만큼 일하는 것은 상식적이다. 31 23.0

    5. 교직은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활동을 하는 직업이다. 30 22.2

    가장 선호하는 교직관

    다.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가장 중요한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설문의 다중응답결과에 대한 요약은 와

    같다. “학생의 건강을 관리한다”는 응답이 5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

    로 “학생의 건강검진을 위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43.7%), “예방관리 사업(전염병 예방관

    리 등)을 실시한다”(28.9%)의 순이었다.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36 -

    보건교사의 역할 내용 N %

    1. 학생의 건강을 관리한다. 68 50.4

    2. 학생의 건강검진을 위한 보건교육을 실시한다. 59 43.7

    3. 예방관리 사업(전염병 예방관리 등)을 실시한다. 39 28.9

    4. 학생의 개인상담을 실시한다. 37 27.4

    5. 보건실을 운영한다. 37 27.4

    가장 중요한 보건교사의 역할

    5. 회귀 분석

    회귀분석을 하기에 앞서 교직이수동기, 교직관과 보건교사의 역할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과 같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교직이수동기와 교직관 사이에는 p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37 -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계수 표준화된

    베타값t 유의 확률

    공선성통계량

    통계량B 표준오차 공차 VIF

    교직적성

    상수 3.560 .126   28.320 .000     R2=.094

    수정된 R2=.059F=2.672p=.025

    Durbin-Watson=2.105

    더미학년 -.211 .113 -.160 -1.862 .065 .952 1.050

    더미수시 .355 .144 .264 2.468 .015 .615 1.626

    더미정시 .374 .143 .279 2.622 .010 .619 1.614

    더미진로결정 -.142 .137 -.103 -1.041 .300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74 .149 .048 .498 .619 .747 1.339

    사회적 존경

    상수 3.779 1.909   32.291 .000    R2=.061

    수정된 R2=.023F=1.517p=.189

    Durbin-Watson=1.909

    더미학년 -.158 .105 -.131 -1.495 .137 .952 1.050

    더미수시 .067 .134 .054 .498 .619 .615 1.626

    더미정시 .109 .133 .089 .818 .415 .619 1.614

    더미진로결정 -.209 .127 -.166 -1.642 .103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25 .138 .018 .182 .856 .747 1.339

    자아실현가능성

    상수 3.531 .135   26.180 .000    R2=.061

    수정된 R2=.023F=1.630p=.157

    Durbin-Watson=1.650

    더미학년 -.081 .123 -.059 -.662 .509 .946 1.057

    더미수시 .303 .156 .213 1.944 .054 .621 1.611

    더미정시 .302 .152 .215 1.978 .050 .628 1.591

    더미진로결정 -.242 .149 -.168 -1.622 .107 .697 1.435

    더미직업선택 .144 .164 .089 .878 .381 .725 1.378

    우발적 동기

    상수 3.445 .119   28.987 .000    R2=.030

    수정된 R2=-.008F=.788p=.560

    Durbin-Watson=1.872

    더미학년 -.114 .107 -.094 -1.060 .291 .952 1.050

    더미수시 .047 .136 .038 .345 .731 .615 1.626

    더미정시 -.024 .135 -.020 -.178 .859 .619 1.614

    더미진로결정 .196 .129 .155 1.514 .132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07 .140 -.005 -.048 .962 .747 1.339

    직업안정성

    상수 4.075 .120   34.060 .000    R2=.036

    수정된 R2=-.002F=.950p=.451

    Durbin-Watson=2.005

    더미학년 -.092 .108 -.075 -.850 .397 .952 1.050

    더미수시 .240 .137 .194 1.758 .081 .615 1.626

    더미정시 .103 .136 .083 .759 .449 .619 1.614

    더미진로결정 -.002 .130 -.001 -.014 .989 .719 1.391

    더미직업선택 -.106 .141 -.075 -.746 .457 .747 1.339

    주: 더미변수 기준값 더미학년=2학년, 더미수시=수시입학, 더미정시=정시입학, 더미진로결정=보건교사 고려, 더미직업선택=교직이수후 보건교사선택

    교직이수동기에 대한 배경변인별 회귀분석결과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38 -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계수 표준화된

    베타값t 유의 확률

    공선성통계량

    통계량B 표준오차 공차 VIF

    성직관

    상수 3.746 .096   38.833 .000    

    R2=.036수정된 R2=-.001F=.976p=.435

    Durbin-Watson=1.810

    더미학년 -.001 .087 -.001 -.013 .990 .952 1.050

    더미수시 .097 .110 .097 .877 .382 .615 1.626

    더미정시 .185 .109 .186 1.695 .092 .619 1.614

    더미진로결정 -.118 .105 -.115 -1.130 .261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09 .114 -.008 -.079 .937 .747 1.339

    노동직관

    상수 3.502 .107   32.659 .000    

    R2=.042수정된 R2=.005

    F=1.129p=.349

    Durbin-Watson=1.959

    더미학년 .048 .097 .044 .494 .622 .952 1.050

    더미수시 .129 .123 .116 1.057 .293 .615 1.626

    더미정시 -.053 .122 -.048 -.437 .663 .619 1.614

    더미진로결정

    .123 .117 .107 1.054 .294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13 .127 .010 .099 .921 .747 1.339

    전문직관

    상수 4.232 .091   46.434 .000    

    R2=.024수정된 R2=-.014F=.638p=.671

    Durbin-Watson=2.005

    더미학년 .001 .082 .001 .011 .991 .954 1.048

    더미수시 -.002 .104 -.002 -.018 .985 .618 1.619

    더미정시 -.013 .104 -.014 -.125 .901 .622 1.607

    더미진로결정 -.168 .099 -.174 -1.695 .092 .721 1.386

    더미직업선택 .131 .108 .123 1.214 .227 .748 1.337

    주: 더미변수 기준값 더미학년=2학년, 더미수시=수시입학, 더미정시=정시입학, 더미진로결정=보건교사 고려, 더미직업선택=교직이수후 보건교사선택

    교직관에 대한 배경변인별 회귀분석결과

    나. 교직관에 대한 회귀분석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배경변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교직관의 하위

    변인들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와 같다. 교직관의 하

    위변인인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독립변수에 따라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39 -

    종속변수

    독립변수

    비표준화계수 표준화된

    베타값t 유의 확률

    공선성통계량

    통계량

    B 표준오차

    공차 VIF

    건강관리

    상수 4.378 .091   48.250 .000    

    R2=..058수정된 R2=.021

    F=1.568p=.174

    Durbin-Watson=1.623

    더미학년 .114 .081 .123 1.398 .165 .957 1.045

    더미수시 -.185 .104 -.196 -1.775 .078 .602 1.661

    더미정시 -.238 .103 -.254 -2.308 .023 .610 1.639

    더미진로결정 -.046 .099 -.047 -.459 .647 .711 1.406

    더미직업선택 .071 .107 .066 .664 .508 .736 1.358

    상담

    상수 4.002 .108   37.067 .000    

    R2=.007수정된 R2=-.032F=.176p=.971

    Durbin-Watson=1.721

    더미학년 -.014 .097 -.013 -.146 .884 .952 1.050

    더미수시 .009 .123 .008 .073 .942 .615 1.626

    더미정시 -.082 .122 -.075 -.669 .505 .619 1.614

    더미진로결정 .021 .117 .019 .180 .858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13 .128 -.010 -.103 .918 .747 1.339

    보건교육

    상수 4.294 .096   44.544 .000    

    R2=.046수정된 R2=.009

    F=1.255p=.287

    Durbin-Watson=1.539

    더미학년 .102 .087 .103 1.171 .244 .952 1.050

    더미수시 -.159 .110 -.159 -1.446 .151 .615 1.626

    더미정시 -.196 .109 -.196 -1.797 .075 .619 1.614

    더미진로결정 .055 .105 .053 .525 .601 .719 1.391

    더미직업선택 .060 .114 .052 .525 .601 .747 1.339

    보건교사 역할에 대한 배경변인별 회귀분석결과

    다. 보건교사 역할에 대한 회귀분석

    보건교사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배경변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보건교

    사 역할의 하위변인들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과 같

    다. 건강관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p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40 -

    학교환경관리

    상수 3.615 .121   29.904 .000    R2=.029수정된 R2=-.009F=.772p=.572

    Durbin-Watson=1.632

    더미학년 .159 .109 .130 1.458 .147 .952 1.050

    더미수시 .020 .138 .016 .146 .884 .615 1.626

    더미정시 -.049 .137 -.039 -.357 .722 .619 1.614

    더미진로결정 -.017 .131 -.013 -.126 .900 .719 1.391

    더미직업선택 .145 .143 .102 1.017 .311 .747 1.339

    보건실운영실무 및 지역사회연계

    상수 4.260 .100   42.672 .000    

    R2=.036수정된 R2=-.002F=.950p=.451

    Durbin-Watson=2.005

    더미학년 .113 .090 .111 1.259 .210 .952 1.050

    더미수시 -.079 .114 -.076 -.691 .491 .617 1.620

    더미정시 -.217 .113 -.210 -1.917 .058 .622 1.607

    더미진로결정 .020 .108 .019 .186 .853 .721 1.388

    더미직업선택 .033 .118 .028 .280 .780 .748 1.336

    주: 더미변수 기준값 더미학년=2학년, 더미수시=수시입학, 더미정시=정시입학, 더미진로결정=보건교사 고려, 더미직업선택=교직이수후 보건교사선택

    6. 면접 조사

    면접조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확인이 어려운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면접결과 비

    록 간호사가 되겠다는 직업적 결정을 한 후 대학에 입학했지만, 어떠한 요인으로 교직을

    선택했던 간에 선택한 것에 대해서 만족하고 교직으로 진출하려는 욕구가 강하였다. 또한

    지금 당장은 다른 학과에 비해 전공이수과목이 많고 임상실습의 과중한 부담, 졸업 전 국

    사고시의 합격여부가 간호사 자격취득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것

    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8명 중 7명은 어떠한 장벽이 있더라도

    임상경험을 쌓은 후 노력하여 임용고사를 통해 교직으로 진출하려는 것을 심층면접을 통

    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직을 위한 진로준비과정의 어려움을 면담한 결과, 교과지

    도의 경험 부족이 타 전공 교직과정이수자들 보다 훨씬 부족하고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보건실을 떠나 교실수업에의 두려움이 있다고 진술하였다. 또한 정보부족, 임용고시 준비

    를 학원에 의존하는 어려움 등을 호소하였다.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41 -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교직과정이수자로 선발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직과정 이수동기, 교직관

    및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간호대학생의 교육을 위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보건교사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

    루어지고 있지만,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보건교사가 아닌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재학생들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본 연구는 관련연구 및 교육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이 클 것으로 판단된

    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이수동기에 대한 인식은 직업안정성이 4.14로 가장 높고, 교직적성(3.72), 사회

    적 존경(3.72), 자아실현가능성(3.68), 우발적 동기(3.47)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중응답을 통한 중요도 조사에서도 직업안

    정성은 3항목 모두 1~3위로 나타났으며, 우발적 동기가 4위, 교직적성이 5~6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직을 이수하는 동기는 보건교사가 정년보장 및 경제적 안정, 근무시간과 방학 등

    으로 타 직장보다 시간적인 여유가 많다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며, 교사를 통한 자아실현

    과 교직에 대한 적성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관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일반 교직이수 대상자(초등학교, 중ㆍ고등학교)

    에 대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직관이 4.20으로 가장 높았고, 성직관

    3.81, 노동직관 3.59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다중응답을 통한 중요도 조사에서는 전문직관이 1위, 2위, 5위로 나타났고,

    성직관이 3위, 노동직관이 4위로 나타났다. 일반 교직대상자들과 마찬가지로 보건교사가 되

    고자 하는 교직이수대상자들도 교직은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활동을 하는 직업으로 전문적

    인 지식과 소양을 갖추고 자기계발에 힘써야 한다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명감과 긍지, 보람과 소명의식뿐만 아니라 사랑과 봉사의식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건강관리가 4.26으로 가장 높고, 보건교육(4.23), 보

    건실운영 및 지역사회 연계(4.21), 상담(3.97), 학교환경관리(3.70)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

    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중응답을 통한 중요도 조사에

    서는 건강관리가 1위, 보건교육 2위, 예방관리 3위, 상담 4위, 보건실운영 및 지역사회연계

    5위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조사의 대상자들은 학생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전염병 등의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42 -

    예방관리 사업, 학생들 개인상담, 성교육 실시 등을 보건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직원 및 학부모의 건강관리 및 상담과 학교 내외 환경관

    리 등은 대부분 보건교사의 역할에서 보통이하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직이수동기 및 교직관과 보건교사 역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직이수

    동기와 교직관과의 사이에는 p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43 -

    준비를 학원에 의존하는 어려움 등을 호소하였다. 면접을 통하여 교직과정이수학생들의 어

    려움과 보건교사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보완

    과 진로지도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보건교사에게 기대되는 역할이

    시대변화와 교육 및 사회의 요구에 따라 많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보건교사 및 교직과정이

    수 학생들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가장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 및 청소년의 흡연, 음주, 우울증 및 자살

    율 증가, 성문제, 비만 등의 건강문제를 학교보건교육과정과 교실상황에서 보건교사를 통

    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적극 대처할 수 있다면,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건강관리 방법을 배움

    으로써 건강에 대한 권리의식이 강화되는 것은 물론, 스스로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부분

    을 습관화함으로써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나아가 건강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사례를 표집 해 대학 간, 지역 간 차이를 함께 고려하여 교

    직이수자들의 보건교사 진로준비 과정에 대한 연구를 심층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44 -

    ▣ 참 고 문 헌 ▣

    교육과학기술부(2010). 학교보건, 급식 기본방향. 서울: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10). 학교보건법 시행령. 법제처: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 서울:교육과학기술부.

    교육법전편찬회(2009). 교육법전. 서울:교학사.

    권진옥․오진아(2011). 보건교사 교육실습생이 인지하는 보건교사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한국간호교

    육학회지, 17(1). 36-43.

    김병찬(2003). 사범대생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57-83.

    김병찬(2003). 일반대학 학생들의 교직과정이수동기 및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

    구, 20(2). 23-53.

    김명아․임지영․김숙영․김은정․이종은․고유경(2004).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

    신간호학회지, 13(4). 383-391.

    김분한․김윤숙(2005). 간호대학생의 직업인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대한간호과학회, 35(3). 503-513.

    김숙영․정선이․황청일(2011). 국내간호대학과 간호전문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 분석연구. 대한간

    호학회지, 4(1) 101-109.

    김이경․한만길․박영숙․홍영란(2005). 교원의 직무수행실태분석 및 기준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이경․한신일(2006).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희망 동기에 대한 요인분석(수학교육을 중심으로). 한

    국교육, 33(2). 51-73.

    김충기(1998). 생활지도․상담․진로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김충기(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김현경(2006). 한국 보건교사 양성과 임용제도의 분석적 연구. 교육연구, 26(5). 132-135

    대한교육연합회(1983). 교원의 교직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교육연합회.

    문인오․이경완(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1). 83-91.

    박영숙(2008). 교육서비스업 인력의 양성체제 적합성 제고 방안연구. 비교수전문직 교사 인력을 중심

    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박정숙․전 명․김현숙․손행비․강정희․유수정․권미정․김지수(2009). 간호대학생의 전공 및 진

    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1). 22-31.

    박정주(2003).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효정․조효제․이충란․박윤주․김효원(2008). 학교보건 발전을 위한 직무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신정철․송경오․정지선(2007). 초. 중등 신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 및 그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 34(2). 51-72.

    양윤종․조남근(1998). 교원양성배경, 교직선택동기와 직무수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연구,

    4(2). 1-16.

  • 교직과정이수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역할기대 분석

    - 245 -

    유문숙․손연정․유일영․홍성경(2006). 4년제 간호대생의 자기효능감과 간호수기 능력과의 관계. 기

    본간호학회지, 13(3). 343-350.

    이일행(1993). 초등학교교사의 교직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현림(2000). 교육심리, 진로지도.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정귀순․안숙희․정은순(2003).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보건교사의 역할기대와 역할 수행. 한국학교보

    건학회지, 16(2). 125-134.

    정우현(1977). 교사론. 서울: 배영사.

    조 희․이규영(2006).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지, 20(2). 163-173.

    최은희(2009).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1). 15-21.

    최정분(2011). 보건교사의 직무수행 평가도구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숙경(2005).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신 교사론. 서울: 학지사.

    행정안전부(2008).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08-148. 부칙3호(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대한민국 정부 관보

    제16833호.

    Huberman, M.(1993). The lives of teacher. New York: Columbia Teachers College Press.

    Halpin, A. W. and Croft, D. B.(1963).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Sarbin, T. R.(1954). Role Theory. in G. Lindzy(ed.),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ambridge,

    Mass: Addison-Wesley.

    Sarbin, T, R. & Allen, V. L.(1977).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ambridge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46 -

    ABSTRACT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School

    Health Teacher

    Ahn, Jang-Ja (Yeungnam College of Sci. and Tech.)

    Kim, Byoung-Joo (Yeungnam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school health teach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 motive of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role expectation of school health

    teacher. The subjects of survey were 135students in 8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tive indicates occupational stability, teaching professional aptitude,

    social esteem, self-realizability, and accidental motives. Secondly, for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 it concerns occupational view of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view of

    sacredness, and occupational view of labor. Lastly, the role expectation showed health

    management, health education, operating health center, local community-related performance,

    counseling, and management on school environment.

    As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ree main factors stated above,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e and role expectation, or the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but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t a level of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