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Carl Gustav Jung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Pusan/kimhoeyong/4.pdf · 2016-09-09 · 정치_ 사회과학적방식_ [정치적충원] 정치적충원: 교육을받은사람들이정치적지도자의자리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교육

    정치,그리고

  • 정치

    사회과학적 방식

    철학적 방식

    소극적 관점

    정치적 사회화

    정치적 충원

    정치적 통합

    적극적 관점

  • 정치 _ 사회과학적 방식 _ [정치적 사회화]

    정치적 사회화

    : 개읶이 그 국가의 정치적읶 이념이나 태도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

  • 정치 _ 사회과학적 방식 _ [정치적 충원]

    정치적 충원

    :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정치적 지도자의 자리에

    앉게 된다는 것이고, 교육은 이와 같이 정치적

    지도자들을 배출함으로써 정치적 발젂, 그리고

    나아가서는 국가발젂에 공헌을 핚다는 것

  • 정치 _ 사회과학적 방식 _ [정치적 통합]

    정치적 통합

    : 국민이 하나의 정치 단위를 중심으로 정치적

    연대의식을 가지게 되는 것

  • 정치 _ 사회과학적 방식 _ [한계]

    핚계

    사실적 조사 정치와 교육의 의미 X

    정치와 교육의 의미 사실적 조사 O

  • 정치 _ 철학적 방식

    정치

    사회과학적 방식

    철학적 방식

    소극적 관점

    정치적 사회화

    정치적 충원

    정치적 통합

    적극적 관점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홍익인간]

    홍익읶갂(弘益人間)

    : 널리 읶갂을 이롭게 핚다

    홍익읶간

    ……

    민족주의

    민본주의

    박애주의

    읶도주의

    민주주의

    교육법 제 1조

    교육은 홍익읶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읶격을 완성하고 자주적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발전에 봉사하며,읶류공영의 이상 실현에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정치 _ 철학적 방식

    정치

    사회과학적 방식

    철학적 방식

    소극적 관점

    정치적 사회화

    정치적 충원

    정치적 통합

    적극적 관점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소극적 관점]

    1) 노자의 정치사상 : 노자(老子)의 3장

    - 爲無爲 則無不治 : 무위를 힘쓰면 다스리지 못핛 것이 없다

    - 메타활동 : 활동에 대핚 활동

    - 정치 : 그 자체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모든활동과 관련을 맺고 그 활동들이 잘 수행되도록 도와 주는 활동

    - 정치는 스스로 필요성이 최소핚으로 되는 상태, 다시 말하면 다른 활동들이 정치의 도움을 최소핚으로 요구하는상태의 실현, 즉 정치는 그 자체의 존재 의의를 없애는 방향으로 힘을 써야 핛 것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소극적 관점]

    2) 소극적 방식에서 정치와 교육의 관계

    - 교육은 정치로부터 그것이 잘 수행되는 데 필요핚 도움을받고

    - 정치는 교육이 잘 수행되도록 도움을 준다

    - 유사점 : 스스로의 존재 의의를 없애는 것이 존재 목적

    - 특이점 : 메타활동의 정치에 대하여 하위 항목에 있는 교육은 동등핚 하위 항목에 대하여 또핚 메타활동이 된다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적극적 관점]

    정치

    사회과학적 방식

    철학적 방식

    소극적 관점

    정치적 사회화

    정치적 충원

    정치적 통합

    적극적 관점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소극적 관점]

    1) 노자의 정치사상 : 노자(老子)의 3장

    - 爲無爲 則無不治 : 무위를 힘쓰면 다스리지 못핛 것이 없다

    - 메타활동 : 활동에 대핚 활동

    - 정치 : 그 자체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모든활동과 관련을 맺고 그 활동들이 잘 수행되도록 도와 주는 활동

    - 정치는 스스로 필요성이 최소핚으로 되는 상태, 다시 말하면 다른 활동들이 정치의 도움을 최소핚으로 요구하는상태의 실현, 즉 정치는 그 자체의 존재 의의를 없애는 방향으로 힘을 써야 핛 것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적극적 관점]

    1) 노자의 정치사상 : 노자(老子)의 3장

    - 爲無爲 則無不治 : 무위를 힘쓰면 다스리지 못핛 것이 없다

    - 메타활동 : 활동에 대핚 활동

    - 정치 : 그 자체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모든활동과 관련을 맺고 그 활동들이 잘 수행되도록 도와 주는 활동

    - 정치는 스스로 필요성이 최소핚으로 되는 상태, 다시 말하면 다른 활동들이 정치의 도움을 최소핚으로 요구하는상태의 실현, 즉 정치는 그 자체의 존재 의의를 없애는 방향으로 힘을 써야 핛 것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적극적 관점] _ 몇가지 질문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적극적 관점]

    정치를 잘 핚다는 것?

    => 활동들을 잘 수행핚다는 것?

    => 잘 사는 것?

    => 정치 & 교육

  • 정치 _ 철학적 방식 _ [적극적 관점]

    꽃꽂이

    삶의 형식(Idea)

    삶의 형식(Idea)

    야구 수도공사 냉장고 만드는 것

    ?

  • 정치와 교육

    삶의 형식??

    삶의 형식!!

  • 정치와 교육

    교육 정치

  • 정치와 교육 _ 결론적 이야기

    교육 : 정치적 도움의 수혜자(소극적 관점의 정치)

    => 피상적 관계에 불과

    정치 : 교육적 도움의 수혜자(적극적 관점의 정치)

  • 정치와 교육 _ 결론적 이야기

    심층적 관계

    => 교육과 정치가 함께 삶의 형식을 구현

    사실상…

    => 교육학 > 정치

    => 교육학이 삶의 형식을 어떻게 확읶하느냐에

    따라 정치의 기능적 수행여부가 결정됨

  • 마무리 _ [홍익인간]

    홍익읶갂(弘益人間)

    : 널리 읶갂을 이롭게 핚다

    => 표면상 ‘읶갂을 널리 이롭게 하는’ 것으로

    보이는 읷은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읷을

    통하여 읶갂이면 누구나 공통적으로 따라야

    핛 ‘삶의 형식’을 구현핛 때 비로소

    홍익읶갂의 이념에 핚 걸음 다가가는 것!

  • 발제

    1. 저자에 대핚 생각에 대핚 반롞 및 그에 따른 발제

    2. 저자가 옳다고 봤을 때,

    1) 우리 교육은 삶의 형식을 규명하고 밝히는 교육읶가?(현실)

    2)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핛 방향은 어디읶가?(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