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1 Critiques of Medicalization 20041026발표자 : 김향자

Critiques of Medicalization - snu-dhpm.ac.kr™”요토픽리뷰.pdf · Medicalization ... Three type of medical social control (Conrad 1979) ... Peter Conrad(1992), Medicalizationand

  • Upload
    lythuan

  • View
    22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Critiques of Medicalization

2004년 10월 26일

발표자 : 김 향 자

2

Emergence of medicalization

3

Medicalization

비의학적인 문제가 의학적 문제로 정의되고치료되는 과정으로 보통 illnesses, disorder로 표현된다.

(Conrad, 1992)

4

Medicalization의 출현정신과 영역의 확장에 대한 비판에서 의료화의 개념 시작

(Szasz, 1963)1970년대, 사회과학문헌에 “medicalization”이라는 용어로 등장하기시작

- Pitts(1968), Freidson(1970), Zola(1972)

: medicalization과 medical social control에 대한 제시

낙인이나 사회적 반응 개념을 내포하는 사회구성주의에 기초- “to make medical” 에서 더 폭넓고 난해한 의미로 확장

- 1970년대 일탈 행위의 의료화에 대한 많은 문헌 출판

: Conrad(1975) 어린이의 과잉행동, Scull(1975) 정신질환, Pfohl(1973) 어린이 학대, Schneider(1978) 질병으로서의 알코올 중독

- 어떤 것이 의료화 되는 것을 단순히 기술하는 중립적 용어이기보다는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맥락에서 더 많이 쓰여짐

5

Context of Medicalization세속화로 인한 medicalization

많은 저자들은 의학을 지배적인 도덕적 이데올로기로서, 근대 사회의 사회 통제 제도로서 종교를 대체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많은 상태들이 종교적 죄에서 범죄로, 이후 질병

(sickness)로 대체되었다.

(예 : 불임, 신의 영역이었으나, 현재는 의학적 판단이 범위에 종속된다.)

6

Context of Medicalization

의료 전문직의 지위 변화

의료전문직의 조직과 구성은 의료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예> 소아과 의사에 대한 전망

질병을 가진 어린이의 감소 -> 어린이들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의학적접근을 하게 된다.-> “behavioral pediatrics”를 통해 의사들은 그들의

의료 영역을 확장하고, 주도권을 강화한다.

; Pawluch`s market hypothesis”

7

Medicalization에 대한 정의Zola(1983)

일상생활이 점점 더 의학적 지배와 영향력, 감시 아래로 들어가는 과정

Conrad(1975)

의학적 문제나 질환으로 행동을 정의하고, 그것에 대한 치료를제공하도록 의료 전문직에게 명령하거나 면허를 주는 것

의료화는 의학적 용어로 문제를 정의하고 의학적 언어로 문제를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의학적 틀을 적용하는 것이며, 치료또한 의학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어떤 문제를“medical term”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8

의료화의 세 단계(Cornwell, 1984)

개념적 단계

의학적 어휘가 문제를 지시하거나(“order”)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제도적 단계

조직이 전문화한 특정 문제에 대해서만 의학적으로 접근한다.

(legitimate medicalization)

상호작용 단계

의사-환자의 상호작용 부분에서 의료화가 일어난다. 의사가 의학적 진단으로 문제를 정의하거나 의학적 방식으로 사회적 문제를 치료한다. (illegitimate medicalization)

9

Thesis of illegitimate medicalization(Strong, 1979)

사회문제의 전문화

서비스 공급의 독점화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격을 통제하고, 이러한 업무를 판단하는 기준을

고객이 아닌 전문가가 결정

기존 문제의 재규정 및 새로운 문제의 발견을 통한 제국 구축

인간의 요구(need)와 고객 문제의 무한한 확장

전문직 자체의 무한한 확장

사회문제의 원인을 개인적인 용어로 인식(사회문제의 탈정치화)

사회문제를 의학적으로 공식화

질환의 효과적 예방은 중요한 사회 변화를 수반한다는 신념

개인은 의학에 탐닉하고 의존하게 됨

10

Medical social control사회 통제는 사회학의 중심적인 중요한 개념이다.

의학의 사회 통제적 측면은 Pasons (1951)에 의해 최초로 개

념화되었다.

-> 일탈로서의 질병과 의료와 사회통제기전으로서의 환자 역

할(sick role)

Conrad & Schneider(1980) : 가장 큰 사회통제력은 어떤 행위,

사람, 사물을 정의하는 권위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온다.

11

Three type of medical social control(Conrad 1979)

Medical ideology

사회적 이데올로기적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의학 이데올로기는 일차적으로의학 모델을 강요한다.

Collaboration

의사는 정보제공자로서, 문지기로서, 제도의 대리인으로서 기술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Technoloy사회통제 수단으로서의 의학 기술 : 약물, 수술, 유전학을 비롯한 기타screening

“Medical excusing”(Halleck 1971) : 학교 결석을 위한 의사의 기록

12

Add a fourthMedical surveillance (Foucault 1973)

특정 상태나 행동은 의학적 시각(medical gaze)을 통하여 인식되고, 의사들은 그러한 상태와 관련하여 모든 행동에 대해 합법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예 1> 출산 , 임신에 대한 의학적 감시는 태아기의 생활 양식, 불임, 산후 아기와의 상호관계에 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예 2> 여성의 PMS (premenstrual syndrome), 남성 성기능부전에 대한 penile implants, transsexualism에 대한 호르몬치료 및 외과적 치료, 유전자 검사 등

13

Degrees of Medicalization완전한 의료화 : 죽음, 출산

부분적인 의료화 : 마약중독, 폐경

최소한의 의료화 : sexual addiction, 배우자 학대

의료화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 아동 학대는 완전히 의료화되어 있는데, 배우자 학대나 구타는 거의 의료화되어 있지 않다.

의학적 범주는 어떻게 확장되는가?

-> ADD(attentional deficit disorder)의 진단 및 치료 대상자의폭발적 증가. 왜?

-> 알츠하이머, 알코올 중독의 의료화

14

Critiques of Medicalization

15

Critiques of medicalization

General critiques (Fox 1977, Strong 1979)

의료화 사례가 과장되어 왔으며, 의료화에는 상당한 제약이 있다.

Specific critique (Woolgar & Pawluch 1985, Bury 1986 )사례 연구의 개념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

사례에 기초가 되는 이론적 틀은 사회 구성주의(지식과 실재는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 의료화는 사회과정에 대한 새로운 지식 구성이다.

16

Medical imperialism? sociological imperialism??

(Strong 1979)Medical imperialism의학의 과잉 권력화 현상

Sociological imperialism사회학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의학의 성격을 부정적으로 고착화시키는 현상

Strong의 주된 비판은 의료 제국주의의 라이벌로서의 사회학자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의료제국주의 명제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다.

17

의학에 대한 왜곡(Strong, 1979)

사회학자들은 철지난 구닥다리 사례를 들어 의학을 공격한다.(예 : masturbation)

많은 비판들이 역사적, 인류학적 인식을 결여하고 있다. 어느영역이 어느날 갑자기 의료의 대상이 되는 것처럼 기술함으로써 역사적 과정을 외면한다.(예 : 출산)

의료제국을 구성하는 많은 학문분과들이 통일된 정신을 갖고있는 것처럼 여긴다. 즉, 의학의 한 파트에서 존재하는 논리를의학 전체의 문제로 확대 해석한다.

현대의학의 기술적 진보를 평가절하하며, 의학의 한계나 실패는 확대 해석한다.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의학 통제 능력을 잘못 가정하고 있다.

환자의 의학 의존도를 과대하게 기술한다.

18

생의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Mishler(1989) : 4가지 특성이 비판의 출발점. (일탈로서의 질환/ 특정병인론/질환의 보편

성/도덕적 가치중립성)

-> 환자들과 사회학자들은 단순한 신체적 원인과 단순한 치료를 기대하지만, 의학은 의료사

회학이 전통적으로 믿고 있는 것보다 더욱 더 전인적으로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Kelly &

Field)

McKeown(1976), McKinlay & McKinlay(1990)의 연구(전염병 감소에 대한 의학적 기여

평가 절하)를 무비판적으로 인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

만성질환 창궐에 따라 비정통적 치료법이 만연하는데, 의료사회학자의 의료에 대한 사고

방식은 변하지 않았다.

최근 생식 기술에 대해 Feminist들은 mother machine이라 하여 여성의 몸에 대한 통제라

고 비판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의 긍정적 역할에 대해서는 외면한다.

-> 아기를 갖고자 하는 사람들의 열망을 허위의식이나 pronatalist ideology라고 폄하한다.

19

의료제국주의의 제약 조건(Strong 1979)

재정적 제약

의학적 성공과 의학 실용주의 : 의사도 성취 지향적이기 때문에 의학

이 성과를 내지 못하는 분야에서는 탈의료화를 지향한다.

의료진입장벽 : 의사가 되기 어렵다는 사실 자체가 의학 확장에 장애

요인이 된다.

부르주아 자유주의 : 국가가 의사에게 부여하는 독점적 의료 시술권은

환자의 행동에 대한 어떠한 법적 강제력도 가지지 않는다. 의사가 어

떤 시술을 하려고 하더라도 환자는 그것을 수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20

Counter - criticism

21

Counter - criticism

Conrad & Schneider

Strong 자신이 사례를 선택적으로 사용했으며, 역사적 상황을 과도하게 단순화시켰다고 비판.

개념적 정의의 문제

medical imperialism : 지배에 대한 의도

medicalization : 의도가 배제된 기술적 용어

22

Corporate constraints의학에 대한 균형된 평가를 위해서는 국가가 전문직에 부과하는 한계에 주목해야 한다.

국가는 의학의 확장을 재정적으로 지원하지만, 그러한 지원은 동기화와 함께그 돈이 잘 쓰여지고 있는가에 대한 감시도 동시에 한다.

시장화된 국가는 의료의 구매자이면서 공급자가 되고 있다. 의사는 피고용자의신분이 되고 있다.

의료의 탈전문화 현상 : 의사의 단순작업화, 의학과 간호 경계선의 와해, 의료소송의 증가, 대체의학, 경영에의 예속

건강증진과 관련한 의료화 증가에 대한 일반의의 부정적인 태도 : 행동 변화의효과에 대한 양가감정, 환자 동기화의 문제 등

-> Viagra의 등장으로 발기부전 치료에서 행동요법은 없어지고 의학적 치료에집중하게 됨

23

의료에 대한 Strong의 관찰

의료 집단은 동질적 집단이 아니다.

의사의 일부는 ‘확장’에 관심이 있겠지만, 현재의 임상적,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환경에서 의학 전체가그럴 것이라고 가정하기는 어렵다.

의료화와 탈의료화는 양지향성 과정이다.

24

Post-modernity & medicine

탈근대사회에서 과학(의학)에 대한 대중의 태도

존경과 유보, 승인과 침묵, 열정과 반감이 혼재

여기서 risk가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전문적 기술의 한계가 부각된다.

전문성은 일상생활에서 행운이나 운명의 개념을 추방하였지만, 이제 전문가 시스템이 설명범위나 깊이에서 실패하면서 행운이나 운명이 대중에게 다시 진입하고 있다.

25

Lay-reskilling대중의 기술적 지식의 재 취득

일상 생활(육아, 섹스)에 적용.

건강 영역에서의 Lay Populace

전문가 지배는 축소되었지만, 기술적으로 집중적인 건강관리가 이루

어지고 있다 -> medicalization form of demedicalization

대중은 단순히 수동/능동, 의존/자율, 맹신/불신 양쪽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26

Extending gazeStrong의 비판의 핵심은 사회구성주의에 있다.

푸꼬의 입장에서 보면 정통적인 의료화 명제나 Strong의 비판 모두 제한적이다.

의료화는 물론 탈의료화도 역설적이게도 일상생활에서의 임상적 시각의 확대를 의미한다.

주체적 자아? 그러나 이들이 택하는 비의학적 주체적 건강관리 역시 신체에 대한 지속적

이고도 세밀한 감시에 근거하기 때문에 임상적 시각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어렵다.

현재의학이 만들어진 이후 신체를 bodies with organs로 보는 관점이 지배적으로 되었다.

의료화, 탈의료화와 상관없이 탈근대에서의 건강은 이러한 신체적 관점을 벗어나서 과학

적 규정을 벗어난 신체를 가정하고, 이러한 신체의 건강은 통상적 의미의 건강이 아닌

arche-health의 의미를 부여한다.

다양성과 차이가 인정되는 상황을 전제할 때, 남성적인 지배-소유관계가 아닌 여성적 관

용-신용관계인 선물(gift)로서의 care가 요구된다. 그리고 이것이 전문가적 지식, 권력에

대한 진정한 대안이 될 것이다.

27

ReferenceSimon J. Williams(2001), Sociological imperialism and the profession of medicine revisited : where are we now?,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vol. 23 No. 2, 135-158

P.M.Strong(1979), Sociological imperialism and the profession ofmedicin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13A, 199-215

Peter Conrad(1992), Medicalization and social control,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18, 209-232

Simon J. Williams(1996), The ‘limits’ of medicalization?:modern medicine and the lay populace in ‘late’ modernity,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42, No. 12, 1609-1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