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간 사 논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2015 02 월

울 원

간 과 간 공

이 효 진

Page 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지도 고 진 강

이 논 간 사 논 출함

2014 11 월

울 원

간 과 간 공

이 효 진

이효진 사 논 인 함

2014 12 월

원 장 (인)

부 원장 (인)

원 (인)

Page 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iii

생애말 자 간 란 죽 앞 자 그 가족 지지해주는 간

행 마지막 생 몇 시간 몇 일 동안 간 뿐만 아니라

미 는 료 지 않는 말 질 자 고통 경감 여 남 여생

동안 인간 존엄 과 높 삶 질 지 면 삶 마지막

간 평안 게 맞이 도 는 것이다(National Health Service,

2012). 료 내에 도 자실 생명 에 처 자를

여 복잡 료 첨단 자 감시 장 를 이용 여 진보

과 집 간 를 통해 질병 부 회복 고 소생 는 것

본 목 는 곳이지만, 편, 증도가 높 므 자실에

사망 20%에 이르고, 우리나라에 도 연간 3만여명이 자실에

임종 맞이 다(Angus et al. 2004; 허 , 2012).

이에 본 연구는 자실에 임종 는 자 존엄 과 편안함

증진시킬 있는 생애말 자 간 에 해 자실 간 사가 어떤

인식 고 있는지를 악 고자 다. 구체 는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

요인 장애요인 조사 고 이에 향 주는 특 인 고자

다.

본 연구는 횡단 연구 조사 법 사용 다. 연구

상자는 울 시내에 소재 일개 종합병원 8개 인 자실에

근 는 사망 자 간 경험이 있는 간 사 다. 자료

Page 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집 2014 9월 22일부 9월 30일 지 동 를 작 상자에

여 지를 부 고 회 며, 142부를 분 에 사용

다.

연구 도구는 Montagnini, Smith Balistrieri(2012) 생애말 자

간 역량 도구 Beckstrand Kirchhoff(2005)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도구를 ∙보 여 사용 다.

연구 결과는 다 과 같다.

1)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나이

양 상 계를 보 다. 간 역량 역별 살펴보면,

지식 역량 나이, 경 과 양 상 계를 보 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 자 간 사 자격 , 생애말

자 간 경험 에 라 통계 차이를 나타냈다.

, 행 역량 나이, 경 과 상 계를 나타내었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에 라 통계

차이를 보 다.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상자가 근 는 자실에 라 통계

차이가 있었다.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는

나이, 경 과 양 상 계를 보 며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에 라 통계 차이가 있었다.

3)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

는 양 상 계를 나타내었고, 생애말 자 간 역량

Page 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요소인 행 역량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

상 계를 나타내었다.

이상 결과를 토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를 그램 개 과 지지요인 강도는 높 나 도가

낮았 항목 강 는 구체 재 개 이 이루어 야 것이다.

편, 자실 간 사 장애에 인지를 고 해 장애요인들

극복 있는 안에 후속 연구가 요 겠다.

주요어: 생애말 자 간 , 간 역량, 지지요인, 장애요인

번: 2009-20474

Page 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iv

목 차

국 ∙∙∙∙∙∙∙∙∙∙∙∙∙∙∙∙∙∙∙∙∙∙∙∙∙∙∙∙∙∙∙∙∙∙∙∙∙∙∙∙∙∙∙∙∙∙∙∙∙∙∙∙∙∙∙∙∙∙∙∙∙∙∙∙∙∙∙∙∙∙∙∙∙∙∙∙∙∙∙∙∙∙∙∙∙∙∙∙∙∙∙∙∙∙∙∙∙∙∙∙∙∙∙∙∙∙∙∙∙∙∙∙∙∙∙∙∙∙∙∙∙∙∙∙∙∙∙∙∙∙∙∙∙∙∙∙∙∙∙∙∙∙∙∙∙∙∙∙∙ i

Ⅰ. ∙∙∙∙∙∙∙∙∙∙∙∙∙∙∙∙∙∙∙∙∙∙∙∙∙∙∙∙∙∙∙∙∙∙∙∙∙∙∙∙∙∙∙∙∙∙∙∙∙∙∙∙∙∙∙∙∙∙∙∙∙∙∙∙∙∙∙∙∙∙∙∙∙∙∙∙∙∙∙∙∙∙∙∙∙∙∙∙∙∙∙∙∙∙∙∙∙∙∙∙∙∙∙∙∙∙∙∙∙∙∙∙∙∙∙∙∙∙∙∙∙∙∙∙∙∙∙∙∙∙∙∙∙∙∙∙∙∙∙∙∙∙∙∙∙∙∙∙ 1

1. 연구 요 ∙∙∙∙∙∙∙∙∙∙∙∙∙∙∙∙∙∙∙∙∙∙∙∙∙∙∙∙∙∙∙∙∙∙∙∙∙∙∙∙∙∙∙∙∙∙∙∙∙∙∙∙∙∙∙∙∙∙∙∙∙∙∙∙∙∙∙∙∙∙∙∙∙∙∙∙∙∙∙∙∙∙∙∙∙∙∙∙∙∙∙∙∙∙∙∙∙∙∙∙∙∙∙∙∙∙∙∙∙∙∙∙∙∙∙ 1

2. 연구 목 ∙∙∙∙∙∙∙∙∙∙∙∙∙∙∙∙∙∙∙∙∙∙∙∙∙∙∙∙∙∙∙∙∙∙∙∙∙∙∙∙∙∙∙∙∙∙∙∙∙∙∙∙∙∙∙∙∙∙∙∙∙∙∙∙∙∙∙∙∙∙∙∙∙∙∙∙∙∙∙∙∙∙∙∙∙∙∙∙∙∙∙∙∙∙∙∙∙∙∙∙∙∙∙∙∙∙∙∙∙∙∙∙∙∙∙∙∙∙∙∙∙∙∙∙∙∙ 4

3. 용어 ∙∙∙∙∙∙∙∙∙∙∙∙∙∙∙∙∙∙∙∙∙∙∙∙∙∙∙∙∙∙∙∙∙∙∙∙∙∙∙∙∙∙∙∙∙∙∙∙∙∙∙∙∙∙∙∙∙∙∙∙∙∙∙∙∙∙∙∙∙∙∙∙∙∙∙∙∙∙∙∙∙∙∙∙∙∙∙∙∙∙∙∙∙∙∙∙∙∙∙∙∙∙∙∙∙∙∙∙∙∙∙∙∙∙∙∙∙∙∙∙∙∙∙∙∙∙ 5

Ⅱ. 헌 고찰 ∙∙∙∙∙∙∙∙∙∙∙∙∙∙∙∙∙∙∙∙∙∙∙∙∙∙∙∙∙∙∙∙∙∙∙∙∙∙∙∙∙∙∙∙∙∙∙∙∙∙∙∙∙∙∙∙∙∙∙∙∙∙∙∙∙∙∙∙∙∙∙∙∙∙∙∙∙∙∙∙∙∙∙∙∙∙∙∙∙∙∙∙∙∙∙∙∙∙∙∙∙∙∙∙∙∙∙∙∙∙∙∙∙∙∙∙∙∙∙∙∙∙∙∙∙∙∙∙∙∙ 7

1.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에 인식 ∙∙∙∙∙∙∙∙∙∙∙∙∙∙∙∙∙∙∙∙∙∙∙∙∙∙∙∙∙∙∙ 7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 10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 12

1)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 12

2)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 15

Ⅲ. 연구 법 ∙∙∙∙∙∙∙∙∙∙∙∙∙∙∙∙∙∙∙∙∙∙∙∙∙∙∙∙∙∙∙∙∙∙∙∙∙∙∙∙∙∙∙∙∙∙∙∙∙∙∙∙∙∙∙∙∙∙∙∙∙∙∙∙∙∙∙∙∙∙∙∙∙∙∙∙∙∙∙∙∙∙∙∙∙∙∙∙∙∙∙∙∙∙∙∙∙∙∙∙∙∙∙∙∙∙∙∙∙∙∙∙∙∙∙∙∙∙∙∙∙∙∙∙∙∙∙∙∙∙ 18

1. 연구 계 ∙∙∙∙∙∙∙∙∙∙∙∙∙∙∙∙∙∙∙∙∙∙∙∙∙∙∙∙∙∙∙∙∙∙∙∙∙∙∙∙∙∙∙∙∙∙∙∙∙∙∙∙∙∙∙∙∙∙∙∙∙∙∙∙∙∙∙∙∙∙∙∙∙∙∙∙∙∙∙∙∙∙∙∙∙∙∙∙∙∙∙∙∙∙∙∙∙∙∙∙∙∙∙∙∙∙∙∙∙∙∙∙∙∙∙∙∙∙∙∙∙∙ 18

2. 연구 상 ∙∙∙∙∙∙∙∙∙∙∙∙∙∙∙∙∙∙∙∙∙∙∙∙∙∙∙∙∙∙∙∙∙∙∙∙∙∙∙∙∙∙∙∙∙∙∙∙∙∙∙∙∙∙∙∙∙∙∙∙∙∙∙∙∙∙∙∙∙∙∙∙∙∙∙∙∙∙∙∙∙∙∙∙∙∙∙∙∙∙∙∙∙∙∙∙∙∙∙∙∙∙∙∙∙∙∙∙∙∙∙∙∙∙∙∙∙∙∙∙∙∙ 18

3. 연구 도구 ∙∙∙∙∙∙∙∙∙∙∙∙∙∙∙∙∙∙∙∙∙∙∙∙∙∙∙∙∙∙∙∙∙∙∙∙∙∙∙∙∙∙∙∙∙∙∙∙∙∙∙∙∙∙∙∙∙∙∙∙∙∙∙∙∙∙∙∙∙∙∙∙∙∙∙∙∙∙∙∙∙∙∙∙∙∙∙∙∙∙∙∙∙∙∙∙∙∙∙∙∙∙∙∙∙∙∙∙∙∙∙∙∙∙∙∙∙∙∙∙∙∙ 18

4. 도구 번역 ∙∙∙∙∙∙∙∙∙∙∙∙∙∙∙∙∙∙∙∙∙∙∙∙∙∙∙∙∙∙∙∙∙∙∙∙∙∙∙∙∙∙∙∙∙∙∙∙∙∙∙∙∙∙∙∙∙∙∙∙∙∙∙∙∙∙∙∙∙∙∙∙∙∙∙∙∙∙∙∙∙∙∙∙∙∙∙∙∙∙∙∙∙∙∙∙∙∙∙∙∙∙∙∙∙∙∙∙∙∙∙∙∙∙∙∙∙ 22

5. 자료 집 법 ∙∙∙∙∙∙∙∙∙∙∙∙∙∙∙∙∙∙∙∙∙∙∙∙∙∙∙∙∙∙∙∙∙∙∙∙∙∙∙∙∙∙∙∙∙∙∙∙∙∙∙∙∙∙∙∙∙∙∙∙∙∙∙∙∙∙∙∙∙∙∙∙∙∙∙∙∙∙∙∙∙∙∙∙∙∙∙∙∙∙∙∙∙∙∙∙∙∙∙∙∙∙∙∙∙∙∙∙∙∙ 23

Page 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v

6. 리 고 ∙∙∙∙∙∙∙∙∙∙∙∙∙∙∙∙∙∙∙∙∙∙∙∙∙∙∙∙∙∙∙∙∙∙∙∙∙∙∙∙∙∙∙∙∙∙∙∙∙∙∙∙∙∙∙∙∙∙∙∙∙∙∙∙∙∙∙∙∙∙∙∙∙∙∙∙∙∙∙∙∙∙∙∙∙∙∙∙∙∙∙∙∙∙∙∙∙∙∙∙∙∙∙∙∙∙∙∙∙∙ 23

7. 자료 분 법 ∙∙∙∙∙∙∙∙∙∙∙∙∙∙∙∙∙∙∙∙∙∙∙∙∙∙∙∙∙∙∙∙∙∙∙∙∙∙∙∙∙∙∙∙∙∙∙∙∙∙∙∙∙∙∙∙∙∙∙∙∙∙∙∙∙∙∙∙∙∙∙∙∙∙∙∙∙∙∙∙∙∙∙∙∙∙∙∙∙∙∙∙∙∙∙∙∙∙∙∙∙∙∙∙∙∙∙∙∙∙ 24

Ⅳ. 연구 결과 ∙∙∙∙∙∙∙∙∙∙∙∙∙∙∙∙∙∙∙∙∙∙∙∙∙∙∙∙∙∙∙∙∙∙∙∙∙∙∙∙∙∙∙∙∙∙∙∙∙∙∙∙∙∙∙∙∙∙∙∙∙∙∙∙∙∙∙∙∙∙∙∙∙∙∙∙∙∙∙∙∙∙∙∙∙∙∙∙∙∙∙∙∙∙∙∙∙∙∙∙∙∙∙∙∙∙∙∙∙∙∙∙∙∙∙∙∙∙∙∙∙∙∙∙∙∙∙∙∙∙ 25

1. 상자 일 특 ∙∙∙∙∙∙∙∙∙∙∙∙∙∙∙∙∙∙∙∙∙∙∙∙∙∙∙∙∙∙∙∙∙∙∙∙∙∙∙∙∙∙∙∙∙∙∙∙∙∙∙∙∙∙∙∙∙∙∙∙∙∙∙∙∙∙∙∙∙∙∙∙∙∙∙∙∙∙∙∙∙∙∙∙∙∙∙∙∙∙∙∙∙ 25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 28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 38

4.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간 상 계 ∙∙∙∙∙∙∙∙∙∙∙∙∙∙∙∙∙∙∙∙∙∙∙∙∙∙∙∙∙∙∙∙∙∙∙∙∙∙ 50

Ⅴ. 논 ∙∙∙∙∙∙∙∙∙∙∙∙∙∙∙∙∙∙∙∙∙∙∙∙∙∙∙∙∙∙∙∙∙∙∙∙∙∙∙∙∙∙∙∙∙∙∙∙∙∙∙∙∙∙∙∙∙∙∙∙∙∙∙∙∙∙∙∙∙∙∙∙∙∙∙∙∙∙∙∙∙∙∙∙∙∙∙∙∙∙∙∙∙∙∙∙∙∙∙∙∙∙∙∙∙∙∙∙∙∙∙∙∙∙∙∙∙∙∙∙∙∙∙∙∙∙∙∙∙∙ 53

Ⅵ. 결 언 ∙∙∙∙∙∙∙∙∙∙∙∙∙∙∙∙∙∙∙∙∙∙∙∙∙∙∙∙∙∙∙∙∙∙∙∙∙∙∙∙∙∙∙∙∙∙∙∙∙∙∙∙∙∙∙∙∙∙∙∙∙∙∙∙∙∙∙∙∙∙∙∙∙∙∙∙∙∙∙∙∙∙∙∙∙∙∙∙∙∙∙∙∙∙∙∙∙∙∙∙∙∙∙∙∙∙∙∙∙∙∙∙∙∙∙∙∙∙∙∙∙∙∙∙ 65

1. 결 ∙∙∙∙∙∙∙∙∙∙∙∙∙∙∙∙∙∙∙∙∙∙∙∙∙∙∙∙∙∙∙∙∙∙∙∙∙∙∙∙∙∙∙∙∙∙∙∙∙∙∙∙∙∙∙∙∙∙∙∙∙∙∙∙∙∙∙∙∙∙∙∙∙∙∙∙∙∙∙∙∙∙∙∙∙∙∙∙∙∙∙∙∙∙∙∙∙∙∙∙∙∙∙∙∙∙∙∙∙∙∙∙∙∙∙∙∙∙∙∙∙∙∙∙∙∙∙∙∙∙ 65

2. 언 ∙∙∙∙∙∙∙∙∙∙∙∙∙∙∙∙∙∙∙∙∙∙∙∙∙∙∙∙∙∙∙∙∙∙∙∙∙∙∙∙∙∙∙∙∙∙∙∙∙∙∙∙∙∙∙∙∙∙∙∙∙∙∙∙∙∙∙∙∙∙∙∙∙∙∙∙∙∙∙∙∙∙∙∙∙∙∙∙∙∙∙∙∙∙∙∙∙∙∙∙∙∙∙∙∙∙∙∙∙∙∙∙∙∙∙∙∙∙∙∙∙∙∙∙∙∙∙∙∙∙ 68

참고 헌 ∙∙∙∙∙∙∙∙∙∙∙∙∙∙∙∙∙∙∙∙∙∙∙∙∙∙∙∙∙∙∙∙∙∙∙∙∙∙∙∙∙∙∙∙∙∙∙∙∙∙∙∙∙∙∙∙∙∙∙∙∙∙∙∙∙∙∙∙∙∙∙∙∙∙∙∙∙∙∙∙∙∙∙∙∙∙∙∙∙∙∙∙∙∙∙∙∙∙∙∙∙∙∙∙∙∙∙∙∙∙∙∙∙∙∙∙∙∙∙∙∙∙∙∙∙∙∙∙∙∙ 69

부 ∙∙∙∙∙∙∙∙∙∙∙∙∙∙∙∙∙∙∙∙∙∙∙∙∙∙∙∙∙∙∙∙∙∙∙∙∙∙∙∙∙∙∙∙∙∙∙∙∙∙∙∙∙∙∙∙∙∙∙∙∙∙∙∙∙∙∙∙∙∙∙∙∙∙∙∙∙∙∙∙∙∙∙∙∙∙∙∙∙∙∙∙∙∙∙∙∙∙∙∙∙∙∙∙∙∙∙∙∙∙∙∙∙∙∙∙∙∙∙∙∙∙∙∙∙∙∙∙∙∙ 76

Abstract ∙∙∙∙∙∙∙∙∙∙∙∙∙∙∙∙∙∙∙∙∙∙∙∙∙∙∙∙∙∙∙∙∙∙∙∙∙∙∙∙∙∙∙∙∙∙∙∙∙∙∙∙∙∙∙∙∙∙∙∙∙∙∙∙∙∙∙∙∙∙∙∙∙∙∙∙∙∙∙∙∙∙∙∙∙∙∙∙∙∙∙∙∙∙∙∙∙∙∙∙∙∙∙∙∙∙∙∙∙∙∙∙∙∙∙∙∙∙∙∙∙∙∙∙∙∙∙ 103

Page 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vi

List of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26

Table 2. Self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 30

Table 3. Self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35

Table 4. Intensity, frequency and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PSBS) for supportive behaviors in end of life care ∙∙∙∙∙∙∙ 40

Table 5. Intensity, frequency and Perceived Intensity Scores(PIS)

for barriers in end of life care ∙∙∙∙∙∙∙∙∙∙∙∙∙∙∙∙∙∙∙∙∙∙∙∙∙∙∙∙∙∙∙∙∙∙∙∙∙∙∙∙∙∙∙∙∙∙∙∙∙∙∙∙∙∙∙∙∙∙∙∙∙∙∙∙∙∙∙∙∙∙∙∙∙∙∙∙∙∙∙∙∙∙∙∙∙∙∙ 45

Table 6.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 and Perceived

intensity scores for barrier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 49

Table 7. Correlations between critical nurses’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PSBS and PIS for barriers ∙∙∙∙∙∙∙∙∙∙∙∙∙∙∙∙∙∙∙∙∙∙∙∙∙∙∙∙∙∙∙∙∙∙∙∙∙∙∙∙∙∙∙∙∙∙∙∙∙ 52

Page 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 -

Ⅰ.

1. 연구 요

고 , 핵가족 , 병사 사고사 증가, 그리고 가 에 죽

통 인 식 변 에 해 차 많 사람들이 료

에 죽 맞이 고 있다( 상우, 2005). 통계청(2012) 자료에

면 우리 나라 사망자 약 27만여명 료 에 사망자가

약 19만여명 70%에 달 다.

이 듯 료 내에 죽 이 증가함 인해 료인 죽

맞이 는 과 통 고 리 는 권리를 갖게 었다(안명

& 민 , 2008). 근 우리 사회는 웰 에 웰다잉 심이

격 게 고 있 며 죽 를 죽 이 엇이냐가 아니라

죽 어떻게 아들이느냐 생각 게 었다(조계 , 2011).

료 내에 도 자실 생명 에 처 자를 여

복잡 료 첨단 자 감시 장 를 이용 여 진보

과 집 간 를 통해 질병 부 회복 고 소생 는 것 본

목 는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 고 자실 사망 높

편이며, 미국 경우 자실 사망 약 20% 이상 보고 고

있고(Angus et al. 2004), 우리 나라에 도 연간 3만여명이 자실

에 임종 맞이 다(허 , 2012).

자실에 사망 는 자 죽 부분 연명 료 단에

Page 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 -

뒤이어 생 거나, 질병 료 과 에 작스럽게 생 여 죽

과 이 매우 짧다는 특 가진다(Wunsch, Harrison, Harvey, &

Rowan, 2005). 라 자 가족들 자실 입실 인 에

처함과 함께 생사 에 자 료 결 에 직면해야 므

매우 높 스트 스를 가지게 고, 없는 짧 죽 과

인해 고통스러움에 처 게 며 이러 간에 자실

간 사들에게 특별 간 요구를 가지게 다(Stayt, 2007; Efstathiou

& Clifford, 2011).

생애말 자 간 란 죽 앞 자 그 가족 지지해주는 간

행 마지막 생 몇 시간 몇 일 동안 간 뿐만 아니라

미 는 료 지 않는 말 질 자 고통 경감 여 남 여생

동안 인간 존엄 과 높 삶 질 지 면 삶 마지막

간 평안 게 맞이 도 는 것이다(National Health Service,

2012). 복잡 고 다양 며 행 들 이루어진 자 간

생 는 생애말 자 간 는 자 가족들 간 요구 변

간 사들에 역 변 요구 인해 죽 맞는 자 가족뿐만

아니라 자실 간 사에게도 큰 스트 스원 작용 다. 자실

간 사들 자실 높 사망 인해 보다 번 게 죽

상황 맞이 게 는데, 자실 간 사 직 스트 스 가장

높 강도를 보인 항목이 직 간 했 자 죽 게 경우

다( & 강 희, 2007). , 자실 간 사들 소생

가능 이 없는 자에게 시에 료 단 사결 시행 지 않아

Page 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 -

극 인 연명 료를 지속 는 경우 가족들 요구에 해 자에게

미 없는 연명 료가 지속 는 경우 심 도 도 고뇌를

느끼게 다(Elpern, Covert, & Kleinpell, 2005).

자 존엄 죽 과 자실 간 사 질 높 간 공 해

생애말 자 간 는 요 역이나, 자실 증 자들

료 는데 목 고 있고, 고도 , 료 인 에

고 있어 생애말 자 간 에 심이 부족 다. 특히, 자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에 인 지식, 통증이나 고통

경감 간 , 연명 료 단 차 등에 지식이 부족 뿐만

아니라 통해 는 자 가족들 지지 간 에도 미 고

사소통에도 어 움 겪는다. 간 사는 다른 료인들과 달리 24시간

자 함께 있 므 편안 고 품 있는 죽 과 공

간 사 역량 매우 요 며, 라 ,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질 향상에 심과 노 이 요 다(Hamric & Blackhall,

2007).

자실 간 사들이 인식 고 있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조사 는 것 증 자

료 강조 인해 지 지 간과 어 자실에

웰다잉과,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에 역량 증진

재 자료 마 에 매우 핵심 인 요소라고 있다

(Friedenberg, Levy, Ross, & Evans, 2012). 그러나, 이에 국외

행 연구는 있 나 , 도 인 차이를 보이는 국내 료 경

Page 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 -

에 이루어진 행 연구는 거 없는 실 이며 특히, 질병 회복과

소생에 집 는 자실에 이루어진 연구는 찾아볼 없다.

라 본 연구에 는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조사 고 이에

향 주는 특 악 여 자실에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략 립 근거자료를 마 고자 다.

2. 연구 목

본 연구 목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악 고, 이에

향 주는 특 인 는 것이며 구체 인 목 는 다 과 같다.

1)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악 다.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장애

요인 강도 도를 악 다.

3)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자실 간 사 일 특 에 라

다.

4)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과 상 계를 악 다.

Page 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 -

3. 용어

1) 생애말 자

생애말 자란 죽 앞 자를 말 는 것 , 본 연구에 는

자실에 입실 여 질병 료 과 작스럽게 죽 맞거나

연명 료 단에 뒤이어 죽 맞게 는 마지막 생 몇 시간

몇 일 간 동안 자를 말 다(National Health Service, 2012).

2) 생애말 자 간 (End of life care)

생애말 자 간 란 죽 앞 자 그 가족 지지해주는 간

행 마지막 생 몇 시간 몇 일 동안 간 뿐만 아니라

미 는 료 지 않는 말 질 자 고통 경감 여 남 여생

동안 인간 존엄 과 높 삶 질 지 면 삶 마지막

간 평안 게 맞이 도 는 것이다. 이는 간 를 포함 는

개 이며 사 개 스 스, 간 등 상

사용 고 있다(National Health Service, 2012).

본 연구에 생애말 자 간 는 자실에 입실 상자 그

가족이 료 지 않는 질병 고통 부 편안 있도 통증

경감시키고 증상 시키며 신체 , 신 , 사회 ,

평안 도 는 인 , 체 간 행 를 말 다(노 자, ,

안 희, & 춘 , 1994).

Page 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 -

3)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역량이란 생애말 자 간 를 효과 행

여 요구 는 , 지식, 경험, 속 , 행 를 말 다(Royal College

of Nursing, 2002(as cited in Jina Kang et al., 2013)).

본 연구에 는 Montagnini, Smith Balistrieri(2012)가 개

자실 간 사가 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 도구를

이용 여 를 말 다.

4)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이란 생애말 자 간 를 공함에

있어 상 능 게 는 이나 행 등 조건이 는

요소를 말 다(Nelson et al., 2006).

본 연구에 는 Beckstrand Kirchhoff(2005)가 개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도구를 이용 여 를 말 다.

5)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이란 생애말 자 간 를 공함에

있어 충분 능 지 못 게 는 이나 행 등 조건이

는 요소를 말 다(Nelson et al., 2006).

본 연구에 는 Beckstrand Kirchhoff(2005)가 개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도구를 이용 여 를 말 다.

Page 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 -

Ⅱ. 헌 고찰

1.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에 인식

간 사 생애말 자 간 에 인식 생애말 자를 돌 에

있어 간 사들이 가지는 부 감 욕 미 며,

생애말 자 가족 체 건강과 삶 질 결 는 주요 요소이다

(지경애 & 주, 2005). 간 사들 죽 에 생각이 이냐,

부 이냐에 상 없이 가 인 에 질 인 생애말 자 간 를

공 해 노 는 것 간 사 인 항목 인식 고

있다. 특히, 죽 에 해 는 경 이 많 간 사일 죽 삶

자연스러운 과 아들이고, 고통스러운 상태 부 벗어날

있는 회이며 행복 사후 시작 인지했다(Dunn, Otten, &

Stephens, 2005).

간 사들이 생각 는 이상 인 죽 평 롭고, 편안 며, 존엄

해야 는 것이며,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공 통해 이를 실

있다고 여 다(Hopkinson, Hallett, & Luker, 2003). 특히,

자실 간 사는 생애말 자 간 를 공 는 것 매우 가 있고

복잡 일이며 상 실 이 요 요 역 아들 다.

그러나, 일부 자실 간 사들 료 소생 우 여 는

존 자실 여 생애말 자 간 에 큰 가 를 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 나타났다(Ranse, Yates & Coyer, 2012).

Page 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 -

생애말 자 간 공 시 자실 간 사들 자가 죽

는 동안 평안 를 원 고, 자 마지막 목도 는 가족들에게

좋 억 공해 주 원 다. 간 사들 자 곁에 가장 많

시간 보내는 사람이므 생애말 간 공 시 좌 감과 감

느끼거나, 생애말 료 처 를 단 게 본인들이 자를

죽게 다는 죄책감 느끼 도 고, 약 주입 시에도 특 약 이

자 고통 어주 도 지만 약 시키 도 에

갈등 느끼게 다. 그러나, 자실 간 사들 자가 이상 소생

가능 이 없다고 단 면 고통스러운 연명 료를 단 고, 생

마지막 가족들과 함께 평안 게 보내 생애말 자 간 를

공 는 것이 람직 다고 여 고 있어 자 편안 죽 요

게 생각 다(Espinosa, Young, Symes, Haile, & Walsh, 2010).

조명 (2010) 역시 죽 부 인 것이고 료인 실 라는 사

인식과 달리 자실 간 사는 죽 편안해야 다고 여 고, 소생

가능 이 없는 생애말 간에 시행 는 료를 가 게 생각 다고

했다.

자실 간 사들 자 죽 평 안 과 이라고

여 에 생애말 자 간 공 시 , 신체 평 를 공

고, 자 보 자 생애말 간 요구를 충족시 주는 것이 평 운

죽 맞이 있게 는 간 사 역 이라고 여 다. 자실

간 사가 인식 생애말 간에 가장 드러진 간 사 역

자 보 자 역 이다. 자 통증과 증상 게 조 함 써

Page 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 -

불 요 고통 부 보 고, 신체 간 를 통해 자 존엄

지 주고, 자가 자 죽 에 직면 지 않게 함 써 자가 죽

부 는 움, 놀람, 외 움 느끼지 않게 해주며, 자

존엄 지 주 사 인 공간 마 통해 보 자 역

행 게 다. 특히, 생애말 간 공 사 인 공간 공

다른 자들이 낯 죽 직면 게 는 것 부 도 보 있게

는 역 다(McCallum & McConigley, 2013).

편, 자실 간 사들 직 간 했 자 죽 게

경우 가장 높 간 직 스트 스를 느끼는 것 나타났다.

자실 생애말 자 간 는 자 가족들 간 요구 변

복잡 고 다양해진 직 들 인 간 사들 역 변 요구, 신 ,

면에 높 요구 인해 죽 맞는 자 가족뿐 아니라

자실 간 사에게도 큰 스트 스원 작용 이다( &

강 희, 2007). 우 , 경희 (2013) 연구에 도 임종간

스트 스 가 5 만 에 3.84 높 보여

생애말 자 간 어 움 보여주고 있다.

죽 과 죽 과 에 있는 자들 면 는 것 자실

간 사 없는 일이며 생애말 자 간 는 자실 간 사들

에게 요 과업이다(Shorter & Stayt, 2010). 이상 헌 고찰에

자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가 큰 스트 스를 가 는 업 이

지만 간 사 행해야 는 매우 요 간 요소 아

들이는 인식 가지고 있 알 있다.

Page 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 -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자실 료인들 근 지 자 생존과 료를 지식과

실 향상에만 집 고, 자실 생애말 자 간 는 간과 고

있 인지 여 자실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요

주장 다(Clarke et al., 2003). 이에 뒤 라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략 립 해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역량

악 는 연구가 행 시작했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에 인식과 생애말 자 간 행

도를 연구를 살펴보면, 인식 도가 행 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애말 자 간 에 인식 어느 도 립 어

있 나, 이를 행 는 역량 인식에 해 부족함 나타내는 것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를 여 원인 규명 고 분 는 작업이

요함 보여 다( 민 , 연, 상희, & 이태 , 2013).

편, 자실 간 사들이 자가 인식 고 있는 생애말 자 간

역량 평가 다른 연구에 는 역량 가 높

나타났다. 요인들 살펴보면 상자들 약 70%가 생애말 자

간 에 경험이 있었고, 생애말 자 간 경험과

생애말 자 간 역량 양 상 계를 나타내었다. 부 인 역량

평가 내용 보면, 경험 향 지식에 역량이 가장

Page 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1 -

높 것 나타났고, 행 역량 사소통, 간 연속 지에

역량이 특히 낮게 나타나 이 그램 개 이

요함 안했다(Montagnini et al., 2012).

그램 개 시 간 사들 요구도를 는 것

효과 인 해 매우 요 다. 자실 간 사들 특히,

고 , 리 단, 사소통에 지식 역량이 스스

부족 다고 인식 여 그램 개 이 요구 다. 생애말

자 간 스트 스는 생애말 자 간 에 가 부족 경우 생

에 통 역량 강 과 이 요 다. 뿐만 아니라

자 가족, 료인 사이 극 인 사 소통 통해 사 료

향 같 도 인 역량 갖추는 것도 요 다. 자실

간 사들 자 가족과 사소통뿐만 아니라 사 사

소통에도 어 움 느끼고 있는 것 나타나 재 략 요

보여 다(Crump, Schaffer, & Schulte, 2010).

우리 나라 보건 료인 생애말 자 간 역량 규명

델 이 조사 연구에 간 사들에게 요 생애말 자 간 역량

12가지 역 나타났다. 상 5 를 살펴보면 통증 조 , 증상

조 , 신사회 간 , 간 , 사 소통이었 며, 이러 생애말

자 간 역량 사 간 행과 에 자료를

공 있다(Jina Kang et al., 2013).

Page 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2 -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1)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자

가족 면에 살펴보면, 가족들이 자 평 롭고 존엄 죽

곁에 함께 는 것(Elena, Pascual, & Ricardo, 2013), 료 장 를

거 는 것뿐만 아니라 목욕, 간 , 구강 간 , 욕창 간 ,

진통 나 안 여 등과 같 안 증진 간 가 포함 편안

간 를 공 는 것 들 있다(Ranse et al., 2012). Beckstrand,

Callister Kirchhoff(2006)도 자가 느끼는 고통 소 해주

해 안 사용, 승압 , , 등 단 여 통증과

불편감 조 해 주는 것이 요 고, 생애말 간 에 자

지 존 , 소생 가능 이 없다고 단 극 료 조 종료,

료진과 효과 인 사소통 시행 는 것이 지지요인이라고

보고했다. 가족 경험 면에 지지요인 가족들에게 재 자

에게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보를 공 고 궁 것 질 게

여 답해주고 죽 에 경험 공해주는 것이 있다

(Ranse et al., 2012). 가족 구체 지지요인 억 상자,

자 리카락 에 담아주 , 자 손 핸드 린

만들어 주 등과 같 족 리 그램이 도움이 있다

(Hansen, Goodell, DeHaven, & Smith, 2009).

Page 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3 -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료인

역에 살펴보면, 자실 료인들 상 생애말 자 간

사소통 , 인 종 지지, 생애말 자 간

지속 이 지 있는 직원 근 가 지지요인이 있다

(Nelson, 2006). 생애말 자 통증과 증상 리해 주고 생애말

자 간 목 후에 해 자 가족과 주 사

소통 간 공, 신 인 증상 소 는 자를

간 해주는 신건강 간 사 공도 도움이 있다(Hansen

et al., 2009). Beckstrand 등(2006)도 생애말 자 간 를 담 는

구 고 에 뢰 여 자 가족들이 스를 게 는 것이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이 있고, 간 사를 상

생애말 자 간 에 이 요 며 목사, 간 가, 리

원회 원과 같 보조 인 지지 인 이 지지요인 요함

보고했다.

생애말 자가 품 있는 죽 맞이 도 해 는 사

간 사 그리고 자 가족들이 여 죽 과 리

사결 이 조 에 보다 원 히 이루어질 있도 는 것이 요 며

엇보다 생애말 자에게 료보다는 돌 심 간 를 공

있는 도 뒷 침 마 이 지지요인이 있다.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해 생애말 자 간 에 간 실

시 인간애 신뢰 계 구축 요 강조해야 며, 질 인 생애말

자 간 를 공 는 간 사들 역 모델 시 는 것

Page 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4 -

신규간 사들이 생애말 간 에 부담 이고 양질 간 공

간 사 본인 에도 도움이 도 있다. 생애말 상황에

간 사 자 히 지 는 것 업 량 조 함 써

간 를 공 는데 강 요인 작용 므 극 인 지원이

요 다(이명 , 200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병원

자실 면에 살펴보면, 생애말 자가 죽 맞이

자실에 자 죽 직면 지 않게 해 자 침상가에

가족들이 를 있는 시 들 구 고, 종 식 를

있는 조용 공간 마 과 같 자실 경 꾸는 것이 도움이

다(Beckstrand et al., 2006). Elena 등(2013)도 가족들이 자

평 롭고 존엄 죽 곁에 함께 해 울 있는 사 인

공간 마 과 자 죽 이후 곁에 조용히 같이 있 있는

충분 시간 갖게 해주는 것이 가장 요 지지요인이라고 다.

생애말 자 간 를 증진 해 는 가능 면 1인실 경 조 여

라이버시를 보 는 것뿐만 아니라 고 평 운 병실 경

조 해주는 것이 도움이 며 가족들 면회 시간 자 롭게 허용

해주는 것이 생애말 자 간 질 높일 있는 략이 있다.

1인실 경 조 자실 내 다른 자 가족들이 타인

죽 이라는 상황에 노출 는 것 일 있는 이 도 갖고 있다

(Ranse et al., 2012).

생애말 자 간 를 공 는 간 사를 자 과 상담 도를

Page 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5 -

마 여 간 사를 지지체계 구축과 함께 간 행 가들이

간 사들 어 움과 인식 고 이를 극복 있도 조

는 것도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요 다(이명 , 2003).

다른 생애말 자 간 질 감시 그램 자실에 용 는

것도 좋 재 안이 있다(Nelson, 2006).

2)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자

가족 면에 살펴보면, 자 가족들 연명 료란 용어

연명 료 용에 이해 부족 들 있다(Beckstrand &

Kirchhoff, 2005). 이는 생애말 자 품 있는 인간 죽 과 생애말

자 간 를 해 는 요소 작용 다. 미 연명 료 단

품 있는 인간 죽 해 통증 등 증상 리 함께 신체 ,

, 사회 , 돌 과 나 지속 는 것이지 죽 에 이르도

자를 는 것이 아니다( , 2009). 자실 료

효과나 후에 자나 가족들 실 인 , 부분

자들이 료과 에 참가 없는 것(Nelson et al., 2006), 언어

장애 인 사 소통 어 움, 사 료 향 부족(Friedenberg

et al., 2012) 등도 주요 장애요인이다. Aslakson 등(2012)

생애말 간 공 장애요인 자가 본인 료에 논 에

참여 없는 것, 료진들과 가족들 사소통이 충분 지 않 것,

료진과 가족들이 생애말 료에 해 논 는 것에 해 불편 게

Page 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6 -

여 는 것 보고해 생애말 자 간 에 있어 사 소통 요함

강조했다.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료인

면에 살펴보면, 생애말 자 간 에 사소통 부족,

생애말 자 간 를 공 료인들 시간 부족이 강도가 큰

요인 나타났다(Nelson et al., 2006). Friedenberg 등(2012)도

생애말 자 간 를 공 간 사 시간 부족, 생애말 자 간

공에 요 사소통 에 부재를 큰 장애요인

았다. 간 사들 죽 앞 자 , 심리 에 해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 것 나타났고, 자

·심리 에 시 해 요인 간 사

·심리 에 가 부족 것, 시간이 없는 것,

병실 경이 에 부 합 것이었다. 간 사들 생애말

자 · 심리 에 해 근 법, 내용,

시작 시 에 해 가장 어 움 느낀다(조계 & 균 ,

2010). 자 료에 여 는 여러 사 견이 일 는 않는 것과

료진이 가족들에게 헛 희망 주는 것도 생애말 자 간 장애

요인 작용 다(Beckstrand & Kirchhoff, 2005; Aslakson et al.,

2012).

료인간 효과 인 사소통 역시 생애말 자 간 질 향상에

해가 다. 자실 간 사들 스스 자에 해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생각 나, 사들 연명 료 단과 같 료 계획 립 시에

Page 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7 -

간 사 견 요청 지 않아 자실 간 사들 감, 좌 감

등 느끼게 다(Espinosa, et al., 2010). Festic, Wilson, Gajic,

Divertie Rabatin(2012)도 자실 간 사들 생애말 료 사

결 과 에 참여 지 못 다고 보고 여 사 간 사 사소통

개 재가 요함 강조했다.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병원

자실 면에 살펴보면, 자실 자를 면회 있는

공간 부족, 생애말 자를 간 스 부족 들

있다(Nelson et al., 2006). 자실에 사망 는 자 약 45%가

1인실 부족 인해 개 병실에 죽 맞이 고 있는데,

이러 경 생애말 자 그 가족들에게 사 인 공간 공 지

못해 질 인 생애말 자 간 행에 어 움이 있다(Fridh, Forsberg,

& Bergbom, 2007). Friedenberg 등(2012)도 간 스

부족 장애요인 았고, 간 연속 이 지 지 않는 근 양식

질 인 생애말 자 간 공에 해 요인 작용 는 것

나타났다.

Page 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8 -

Ⅲ. 연구 법

1. 연구 계

본 연구는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인 고, 이들 상

계를 살펴보고자 는 횡단 연구이다.

2. 연구 상

본 연구는 2,700병상 규모 울에 소재 일개 병원 8개

인 자실에 근 는 자실 간 사 사망 자 경험이

있는 간 사를 상 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 사용 도구는 간 사가 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 28 항,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24 항, 장애요인 29 항,

개 질 2 항, 일 특 11 항 구 어 있다. 상자

일 특 Beckstrand Kirchhoff(2005) 도구에 는 14 항

이었 나 우리나라 병원과 도 차이를 고 여 본 연구에 는 원

도구에 8 항만 택 고 나 지 3 항 변 계를 인

해 추가 다. 일 특 항 는 별, 나이, 간 사 경 ,

Page 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9 -

자실 근 경 ,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

종 , 자 간 사 자격 취득 여부, 재 근 장소를 원도구

에 택 고, 종 , 스 스/ 료에 경험 여부, 담당

는 자 3 항 추가 다. 원도구에 외 일 특

항 근 는 병원 태, 주당 근 시간, 자 간 사 경 ,

직 자 간 사 여부, 자 간 사 근 간, 근

는 자실 침상 6 항이다. , 차이를

여 원도구 개 질 그 사용 다.

1)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역량 Montagnini, Smith Balistrieri

(2012) 연구에 사용 도구를 사용 다. 연구에 앞 도구

개 자 Montagnini에게 이 일 통 여 도구 사용에 동 를

았다. 도구는 28 항 이루어 있고, 5 리커트 척도 ‘해당

없 ’ 0 , ‘ 그 지 않다’ 1 에 ‘매우 그 다’ 5

이루어 있다. 가 높 간 사들이 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이 높 것 미 다. 도구 신뢰도는 행연구에 도구

체 Cronbach’s α = .92 고, 생애말 자 간 역량

항목인 지식, 태도, 행 Cronbach’s α = .92, .72, .90이었다. 본

연구에 는 체 도구 Cronbach’s α = .896이었고, 항목인

지식, 태도, 행 Cronbach’s α는 각각 .939, .707, .826이었다.

Page 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0 -

2)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해 Beckstrand

Kirchhoff(2005)가 개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에 도구를 사용 다. 연구에 앞 도구 개 자

Beckstrand에게 이 일 통 여 도구 사용에 동 를 았다.

도구는 24 항 0 에 5 척도 구 어 있 며 각 항 강도

도를 다. 각 항 강도는‘ 지지요인이 아니다’

0 에 ‘극도 큰 지지요인이다’5 며 가 높

강도가 큰 지지요인임 미 다. 각 항 도는‘ 일어나지

않는다’ 0 에 ‘항상 일어난다’ 5 며 가 높

도가 큰 지지요인임 미 다. 지지행 (PSBS,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란 각 지지 항목 강도 도

곱 가 높 그 지지요인 항목 강 지지행

인식함 미 다.

도구 신뢰도는 행연구에 강도 도 Cronbach’s α가

각각 .86, .81 이었고, 본 연구에 는 .912, .849이었다. 본 연구에 는

원도구를 자 가족 역, 료인 역, 병원 자실 역

항목 구분 고, 강도 Cronbach’s α는 각각 .775,

.799, .874 이었고, 도 Cronbach’s α는 각각 .454, .780, .803

이었다. 본 연구에 지지행 Cronbach’s α는 체

도구가 .852, 항목 각각 .552, .805, .785이었다. 항

Page 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1 -

인해 료인 역 신뢰도가 다소 낮게 평가 었다.

3)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해 Beckstrand

Kirchhoff(2005)가 개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에 도구를 사용 다. 연구에 앞 도구 개 자

Beckstrand에게 이 일 통 여 도구 사용에 동 를 았다.

도구는 29 항 0 에 5 척도 구 어 있 며 각 항 강도

도를 다. 각 항 강도는‘ 장애요인이 아니다’

0 에 ‘극도 큰 장애요인이다’ 5 며 가

높 강도가 큰 장애요인임 미 다. 각 항 도는‘

일어나지 않는다’ 0 에 ‘항상 일어난다’ 5 며 가

높 도가 큰 장애요인임 미 다. 장애에

인지강도 (PIS, perceived intensity score for barriers)는 각

항목 강도 도 곱 , 가 높 그 장애요인

항목 강 장애요인 인식함 미 다.

도구 신뢰도는 행연구에 강도 도 Cronbach’s α는

각각 .89이었고, 본 연구에 는 .827, .840이었다. 본 연구에 는

원도구를 자 가족 역, 료인 역, 병원 자실 역

항목 구분 고, 강도 Cronbach’s α는 각각 .760, .583,

.702이었고, 도 Cronbach’s α는 각각 .770, .695, .755이었다.

Page 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2 -

본 연구에 장애에 인지강도 Cronbach’s α는

체 도구가 .867, 항목 각각 .793, .729, .778이었다.

4. 도구 번역

첫 번째 과 , 간 공자 어 국어에 능통 1인이

우리말 번역 고, 우리말 번역과 과 독립 간

공자 어 국어에 능통 다른 1인이 우리말 다시

번역 다. 역번역본과 원 간 차이가 있는 항에 해 일

지 번역과 복 다. 어 국어에 능통 3 간 사

1인이 도구 우리말 도구를 사용 여 답 고, 사이

일 도를 인 다(Burns & Grove, 2011).

Page 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3 -

5. 자료 집 법

본 연구 자료 집 울 소재 일개 병원 8개 인

자실에 근 는 간 사를 상 2014 9월 22일부 9월

30일 지 실시 었다.

연구자가 각 자실에 직 여 간 사에게 연구 목 과

자료 집 법 명 고 조를 구 후 간 사가 해당 병동

간 사에게 지를 포 여 거 후 연구자가 직 여

회 다. 지를 는데 소요 는 시간 15~20분 도 다.

6. 리 고

자료 집 에 울아산병원 임상연구심 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승인 고, 연구논 자료 집 뢰신청 를

간 부에 출 여 허락 았다.

자료 집 과 에 생 있는 연구 상자 리 침해를

막 해 자료 집 지에 연구 참여 동 를 첨부 여

개인 보 답 내용이 연구 목 이외 용도 사용 지 않

것임 약속 고 항 작 언 든지 답 철회 있

알 다. 동 를 작 상자에 여 자료를 집 며 집

자료는 보안이 지 는 곳에 장 고 사용 후 폐 다.

Page 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4 -

7. 자료 분 법

집 자료는 SPSS window 20 이용 여 분 다.

1) 상자 일 특 ,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장애요인 통계( 도, 분 , 평균,

편차, ) 분 다.

2) 상자 일 특 에 른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변 특 에 라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 고, 사후 검 Scheffé’s test를 사용 다.

3)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사용 여 분 다.

Page 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5 -

Ⅳ. 연구 결과

1. 상자 일 특

본 연구 상자는 자실 간 사 226명 사망 자

경험이 있는 간 사 지 226부 146부(64.6%)가 회 었다.

회 지 불 답 3부, 연구 상자 조건 만족

지 않는 1부를 외 고 142부(62.8%)를 종 분 에 사용

다. 상자 일 특 별 남자가 5명(3.5%), 여자가

137명(96.5%)이었 며, 연 평균 29.3 30 미만이 83명

(58.9%) 가장 많 분포를 보 다. 종 는 종 가 있는

경우가 64명(45.1%)이었고, 간 사 경 5 이상 10 미만이

42명(29.6%), 1 이상 3 미만이 39명(27.5%) 가장 많았다.

자실 경 5 이상 10 미만이 44명(31.0%), 1 이상 3

미만이 41명(28.9%) 가장 많 분포를 보 다. 재 지 생애말

간 를 공 사망 자 는 10명 이 인 경우가 60명(42.3%), 30명

과 는 경우가 42명(29.6%) 가장 많 분포를 보 고, 잘

모르겠다고 답 7명 결 처리 다. 사가 126명

(88.7%) 가장 많았고, 자 간 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11명(7.7%), 생애말 자 간 에 경험이 있는 경우가 41명

(28.9%)이었다. 근 담당 는 자 는 평균 2.9명 이었고,

근 부 는 외과계 자실이 42명(29.6%) 가장 많았다(Table 1).

Page 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6 -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42)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 SD

Gender Male 5 (3.5)

Female 137 (96.5)

Age(years) < 30 83 (58.9) 29.25±4.82

30~39 53 (37.3)

40~49 6 (4.2)

Religion Yes 64 (45.1)

No 78 (54.9)

Years as RNa < 1 20 (14.1) 5.47±4.92

≥ 1 and < 3 39 (27.5)

≥ 3 and < 5 17 (12.0)

≥ 5 and < 10 42 (29.6)

≥ 10 and < 15 17 (12.0)

≥ 15 7 (4.9)

Years in ICUb < 1 20 (14.1) 5.31±4.75

≥ 1 and < 3 41 (28.9)

≥ 3 and < 5 16 (11.3)

≥ 5 and < 10 44 (31.0)

≥ 10 and < 15 14 (9.9)

≥ 15 7 (4.9)

Dying patients ≤ 10 60 (42.3)

cared for 11~20 21 (14.8)

21~30 12 (8.5)

> 30 42 (29.6)

Highest degree Master’s 12 (8.5)

Bachelor’s 126 (88.7)

Associate’s 4 (2.8)

CCRNc Yes 11 (7.7)

No 131 (92.3)

End of life care Yes 41 (28.9)

education No 101 (71.1)

Number of < 3 95 (66.9) 2.89±.61

patients per shift ≥ 3 47 (33.1)

Unit MICUd 27 (19.0)

CCUe 24 (16.9)

Page 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7 -

NRICUf 9 (6.3)

SICUg 42 (29.6)

CSICUh 26 (18.3)

NSICUi 14 (9.9) aRN : registered nurse, bICU : intensive care unit

cCCRN : critical care registered nurse, dMICU : medical intensive care unit

eCCU : cardiac intensive care unit, fNRICU : neurology intensive care unit

gSICU :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hCSICU : cardiovascular surgery intensive care unit

iNSICU :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ge 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8 -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1) 생애말 자 간 역량

본 연구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 5 만

평균 3.09±0.45 이었다. 요소인 지식 역량이 평균 2.99±0.64 ,

태도 역량이 3.01±0.61 , 행 역량이 3.56±0.60 나타났다.

지식 역량과 행 역량 항별 특 분 여 살펴보면, 지식

역량 증상 리에 항 평균 3.01±0.68 , 사결 에

항 평균 2.97±0.77 , , 지지에 항 평균

2.95±0.72 보 다. 행 역량 사결 에 항 평균

2.97±0.75 , 사소통에 항 평균 3.45±0.59 , 간

연속 에 항 평균 3.18±0.74 , 간 사를

지지에 항 2.47±0.90 보 다.

각 항별 살펴보면, 지식 역량에 항 에 ‘나는

생애말 자 통증 조 약 재를 시행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가 평균 3.13±0.86 가장 높았고, ‘나는

생애말 자 그 가족들 요구를 인 는 일에 해 가 잘

어 있다’가 평균 2.85±0.85 가장 낮 를 보 다. 태도

역량에 항 에 는 ‘나는 생애말 료 사 결 해 사,

간 사, 자실 원들이 는 것이 요 다고 느낀다.’가 평균

4.20±0.85 가장 높았고, ‘나는 생애말 자 생명 지 장 를

지 는 과 이 편안 게 여겨진다.’가 평균 2.43±0.91 가장

Page 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29 -

낮 를 보 다. 행 역량에 항에 는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료 자 가족들 만나 자

상태를 명 고 질 에 답 다.’가 평균 3.89±0.75 가장

높았 며,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자를 간

생 있는 개인 고통 감당 있도 직원에 충분

지원이 있다.’가 평균 2.47±0.90 가장 낮 를 나타내었다

(Table 2).

Page 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0 -

Table 2. Self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N=142)

Item Mean± SD

Knowledge 2.99±0.64

Symptom management 3.01±0.68

Treat pain in the dying patient with pharmacological

measures(e.g., opioids, anticonvulsants, antidepressants). 3.13±0.86

Treat pain in the dying patient with nonpharmacological

measures (e.g., heat, cold, massage, relaxation

techniques).

3.01±0.83

Treat respiratory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dyspnea and cough). 3.11±0.85

Treat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 nausea, vomiting, constipation, and bowel

obstruction).

2.99±0.85

Treat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 delirium, seizures, anxiety, and restlessness). 2.98±0.85

Withdraw life support in the dying patient. 2.87±0.84

Decision making 2.97±0.77

Discuss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 and families. 2.88±0.86

Discuss code status with patients and families. 3.07±0.83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2.95±0.72

Identify the emotion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3.08±0.83

Identify the cultur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2.85±0.77

Page 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1 -

Provide grief and bereavement support to patients and

families at end of life. 3.04±0.78

Identify the spiritu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2.85±0.85

Attitude 3.01±0.61

Comfortable discussing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 and families. 2.71±0.83

Comfortable discussing code status with patients and

families. 2.74±0.99

Comfortable withdrawing life support in the dying patient. 2.43±0.91

It is important for physicians, nurses, and other ICU team

members to collaborate in end-of-life decision making. 4.20±0.85

ICU staff would benefit by commemorating the death of

patients in the ICU. 2.96±0.94

Behavior 3.56±0.60

Decision making 2.97±0.75

I initiate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families

when they are admitted with no documentation of

advance care plans.

2.92±0.92

I use the patient’s advance directive when developing

goals for end-of-life care. 3.02±0.98

Communication 3.45±0.59

Code status is discussed with patients/families in a

timely fashion when the patient’s clinical status

deteriorates.

3.65±0.89

Page 4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2 -

Withdrawal of life support is discussed with

patients/families in a timely fashion when the patient’s

clinical status deteriorates.

3.63±0.90

Clear and consistent information is provided by team

members to patients/families making decisions regarding

end-of-life care.

3.40±0.85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are addressed before

meeting with the patient and/or family. 3.46±0.83

Team members meet with the patient and/or family on a

regular basis to review the patient’s status and to

answer questions.

3.89±0.75

Palliative care experts are consulted in a timely manner

for end of life issues. 3.13±1.03

Continuity of care 3.18±0.74

We prepare patients and families for changes of

clinicians(attending physicians, residents, medical

students, nurses, etc.).

3.20±0.91

Continuity of care for the patient/family at end of life is

observed when nursing assignments are made. 3.15±0.90

Emotional support for staff 2.47±0.90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staff to handle the

personal distress that may arise when caring for patients

at end of life.

2.47±0.90

Total mean 3.09±0.45

Page 4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3 -

2) 상자 일 특 에 른 생애말 자 간 역량

상자가 지각 생애말 자 간 역량 상자 나이

양 상 계가 있었다(r = .178, p = .034). 자실별 살펴보면

외과계 자실이 평균 3.20 가장 높았고, 부외과 자실이

2.89 가장 낮았 나 통계 차이는 없었다.

생애말 자 간 역량 요소인 지식 역량, 태도 역량 행

역량 나 어 살펴보면 다 과 같다. 지식 역량 나이(r = .378,

p < .001), 간 사 경 (r = .327, p < .001), 자실 간 사 경

(r = .303, p < .001)과 양 상 계가 있었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10명 이 인 경우가 평균

2.73 , 11~20명인 경우가 평균 3.14 , 21~30명인 경우가 평균이

3.06 30명 과인 경우 평균이 3.29 통계

차이가 있었다(F = 7.552, p < .001). Scheffé 사후 검증에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30명 과인 집단이 10명

이 인 집단보다 통계 게 지식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

지식 역량 자 간 사 자격이 있는 경우가 평균 3.40 , 없는

경우가 평균 2.95 통계 게 차이가 있었고(t = 2.268,

p = .025), 생애말 자 간 에 경험이 있는 경우가 평균

3.16 , 경험이 없는 경우가 평균 2.97 통계

차이가 있었다(t = 2.111, p = .037).

행 역량 나이(r = -.179, p = .033), 간 사 경 (r = -.228,

p = .006), 자실 간 사 경 (r = -.238, p = .004)과

Page 4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4 -

상 계가 있었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10명 이 인 경우 평균 3.73 , 11~20명인 경우 평균 3.60 ,

21~30명인 경우 평균 3.42 , 30명 과인 경우 평균 3.39

통계 차이가 있었다(F = 3.082, p = .030). Scheffé 사후

검증에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30명

과인 집단이 10명 이 인 집단보다 통계 게 행 역량이

낮게 나타났다(Table 3).

Page 4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5 -

Table 3. Self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42)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End-of-life-care

competencies

End-of-life-care competencies

Knowledge Attitude Behavior

Mean±SD t/F/r

(p) Mean±SD

t/F/r

(p) Mean±SD

t/F/r

(p) Mean±SD

t/F/r

(p)

Gender Male 5 3.30±0.54 1.076

(.284)

3.23±0.74 .876

(.383)

3.12±0.78 .407

(.684)

3.80±0.70 .916

(.361) Female 137 3.07±0.47 2.98±0.64 3.00±0.61 3.55±0.60

Age(years)

142 .178

*

(.034)

.378**

(<.001)

.146

(.083)

-.179*

(.033)

Religion Yes 64 3.13±0.44 1.133

(.259)

3.05±0.66 .418

(.261)

3.12±0.61 1.876

(.063)

3.55±0.58 .894

(.956) No 78 3.05±0.46 2.93±0.62 2.92±0.61 3.56±0.62

Years as RNa

142

.116

(.169)

.327**

(<.001)

.117

(.167)

-.228**

(.006)

Years in ICUb

142

.092

(.274)

.303**

(<.001)

.098

(.248)

-.238**

(.004)

Number of assigned

Patients per shift

< 3 95 3.08±0.45 -.199

(.842)

2.99±0.65 .194

(.847)

2.98±0.64 -.961

(.339)

3.55±0.61 -.262

(.794) ≥ 3 47 3.90±0.40 2.97±0.63 3.08±0.55 3.58±0.59

Dying patients ≤ 10 60 3.01±0.37

1.514

(.214)

2.73±0.59

7.552**

(<.001)

2.87±0.55

2.384

(.072)

3.73±0.54

3.082*

(.030)

cared for 11~20 21 3.21±0.32 3.14±0.46 3.23±0.46 3.60±0.49

21~30 12 3.07±0.68 3.06±0.76 3.03±0.78 3.42±0.72

> 30 42 3.17±0.53 3.29±0.64 3.12±0.70 3.39±0.65

Highest degree Master’s 12 3.16±0.33

.224

(.799)

3.19±0.55

.642

(.528)

3.05±0.47

1.170

(.313)

3.49±0.41

.079

(.924) Bachelor’s 126 3.08±0.47 2.97±0.66 3.02±0.63 3.56±0.62

Associate’s 4 3.00±0.24 2.96±0.28 2.55±0.57 3.58±0.46

Page 4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6 -

CCRNc Yes 11 3.26±0.46 1.301

(.195)

3.40±0.72 2.268*

(.025)

3.25±0.63 1.381

(.170)

3.43±0.54 -.695

(.488) No 131 3.07±0.45 2.95±0.62 2.99±0.61 3.57±0.61

End of life care Yes 41 3.16±0.45 1.204

(.231)

3.16±0.68 2.111*

(.037)

3.13±0.58 1.452

(.149)

3.49±0.56 -.913

(.363) education No 101 3.05±0.45 2.91±0.61 2.96±0.62 3.59±0.62

Unit MICUd 27 3.09±0.41

1.596

(.165)

3.08±0.59

.714

(.614)

2.98±0.69

1.675

(.145)

3.46±0.68

1.322

(.258)

CCUe 24 3.09±0.87 2.94±0.58 3.11±0.47 3.59±0.54

NRICUf 9 3.05±0.33 2.95±0.65 2.93±0.26 3.52±0.33

SICUg 42 3.20±0.41 3.06±0.66 3.13±0.63 3.72±0.58

CSICUh 26 2.89±0.44 2.80±0.68 2.73±0.57 3.37±0.54

NSICUi 14 3.14±0.70 3.04±0.73 3.11±0.79 3.59±0.80

Total mean 3.09±0.45 3.09±0.45 3.01±0.61 3.56±0.60

**p < .01, *p < .05

aRN : registered nurse, bICU : intensive care unit, cCCRN : critical care registered nurse

dMICU : medical intensive care unit, eCCU : cardiac intensive care unit, fNRICU : neurology intensive care unit

gSICU :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hCSICU : cardiovascular surgery intensive care unit

iNSICU :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ge 4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7 -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1)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상자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는 25 만 평균

9.43±2.23 이었다. 요소별 살펴보면 자 가족 역

평균 10.07±3.64 , 료인 역 평균 9.40±2.59 , 병원

자실 역 9.11±2.60 나타났다.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를 각 항별 살펴보면

‘ 자가 사망 후 담당 간 사가 자리를 울 다른 간 사들이

나 지 자들 담당해주는 것’이 평균 12.83±5.10 가장

높았고, ‘ 자가 사망 후 사가 가족들 직 만나는 것’이 평균

11.92±5.33 번째 높았 며, ‘가족들이 나 지 가족

구 원 해 사소통 주보 자 1인 지 는 것’이 평균

11.36±10.94 번째 높 를 보 다.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강도는 ‘가족 구 원들이 평 롭고

존엄 임종 장면 맞이 는 것’이 평균 3.86±0.72 가장

높았고, ‘ 자가 사망 후 담당 간 사가 자리를 울 다른

간 사들이 나 지 자들 담당해주는 것’이 평균 3.85±0.74

번째 높았 며, ‘가족들이 해 지 않고 애도 있는 공간이

마 자실 경’이 평균 3.85±0.69 번째 높

Page 4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8 -

를 보 다.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도는 ‘ 자가 사망 후 담당

간 사가 자리를 울 다른 간 사들이 나 지 자들 담당해주는

것’이 평균 3.27±0.90 가장 높았고, ‘ 자가 사망 후 사가

가족들 직 만나는 것’이 평균 3.18±1.13 번째 높

를 보 며, ‘가족들이 자실에 퇴실 에 모든

작업 마 리 는 것’이 평균 3.12±0.89 번째 높

나타났다(Table 4).

Page 4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39 -

Table 4. Intensity, Frequency and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PSBS) for supportive behaviors in end

of life care

(N=142)

Supportive behaviors

Intensity Frequency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PSBS)

Mean±SD Rank Mean±SD Rank Mean±SD Rank

Patient/Family 3.56±0.57 2.78±0.89 10.07±3.64

Family members having a peaceful and dignified

bedside scene. 3.86±0.72 1 2.75±0.80 10 10.56±3.72 6

Family members show gratitude to nurse for care

provided to patient who has died. 3.72±0.70 6 2.70±0.81 13 10.09±3.83 11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 is dying. 3.67±0.70 11 3.08±0.67 5 11.35±3.36 4

Family designating one family member as contact

person for the rest of the family. 3.64±0.83 14 3.09±2.67 4 11.36±10.94 3

Family physically helping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 2.92±0.94 24 2.26±1.92 18 6.88±6.39 22

ICU health provider 3.46±0.48 2.65±0.54 9.40±2.59

Nurse drawing on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critical illness or death of a family member. 3.24±0.92 20 2.70±0.87 `12 8.98±4.23 16

Nurses offer words of support to each other. 3.63±0.74 15 2.87±0.87 7 10.56±4.25 7

Page 4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0 -

Nurse having enough time to prepare the family

for patient’s death. 3.70±0.67 7 2.70±0.78 11 9.99±3.46 12

Nurses scheduled so that patient receives

continuity of care. 3.18±0.94 22 2.09±1.07 22 6.78±4.22 23

Nurses offer supportive physical touch to each

other. 3.48±0.86 17 2.85±0.92 8 10.18±4.50 10

Physicians meet in person with the family after the

patient’s death. 3.68±0.67 9 3.18±1.13 2 11.92±5.33 2

Nurses having a supportive person outside of the

work setting to listen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3.73±0.78 5 2.64±0.99 15 9.94±4.67 13

Physicians putting hope in tangible terms for

family. 3.12±0.94 23 2.52±0.86 16 8.21±4.08 18

Physicians agreeing about direction of patient care. 3.68±0.72 8 2.77±0.82 9 10.27±3.90 9

Nurse talking with patient about his or he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dying. 3.20±0.81 21 2.18±1.04 20 7.13±4.12 21

Hospital/ICU 3.63±0.55 2.51±0.62 9.11±2.60

Family members having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the patient after his/her death. 3.78±0.68 4 2.90±0.91 6 10.99±4.13 5

Families being taught how to act around dying

patient. 3.64±0.74 13 2.17±0.92 21 7.85±3.77 19

Families having unlimited access to the dying

patient. 3.50±0.84 16 2.67±0.99 14 9.35±4.21 14

Page 5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1 -

Unit designed so family has a place to grieve in

private. 3.85±0.69 3 2.20±1.07 19 8.30±4.19 17

Staff compiles all paper work to be signed by the

family before they leave the unit. 3.29±0.81 19 3.12±0.89 3 10.32±4.05 8

Letting the social worker or religious leader take

primary care of the grieving family. 3.68±0.65 10 2.48±0.95 17 9.06±3.89 15

Nurses take care of patients while affected nurse

“gets away” for a moment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3.85±0.74 2 3.27±0.90 1 12.83±5.10 1

Having unlicensed personnel available to help care

for dying patient. 3.41±0.98 18 1.73±1.23 24 5.91±4.92 24

Ethics committee constantly involved in the unit,

so they are involved from the beginning should

an ethical situation arise later.

3.65±0.78 12 2.08±1.09 23 7.42±4.22 20

Total mean 3.55±0.45 2.61±0.52 9.43±2.23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PSBS)= mean for intensity multiplied by mean for frequency

Page 5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2 -

2)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상자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 perceived intensity score for barriers)는 25 만 평균

10.39±2.34 이었다. 요소인 자 가족 역 장애요인

가 평균 10.64±2.58 , 료인 역 장애요인 가 평균

10.80±2.84 , 병원 자실 역 장애요인 가

9.49±3.04 나타났다.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를 각 항별

살펴보면 ‘간 사가 다른 업 인해 자 가족들과 같이 있

없는 것’이 평균 14.40±5.72 가장 높았고, ‘간 사가 연명

료에 양질 생애말 간 를 공 없다는 것’이 평균

14.40±5.72 번째 높았 며,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이 평균 13.85±4.99 번째 높 를

보 다.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강도는 ‘간 사가 연명 료에

양질 생애말 간 를 공 없다는 것’이 평균

3.74±0.77 가장 높았고, ‘ 자가 고통스럽고 불편함에도

불구 고 자 료가 지속 는 것’이 평균 3.73±0.73

번째 높았 며,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이

평균 3.72±0.86 번째 높 를 보 다.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도는 ‘간 사가 다른 업 인해

자 가족들과 계속 같이 있 없는 것’이 평균 3.82±0.94

Page 5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3 -

가장 높았고, ‘간 사가 연명 료에 양질 생애말

간 를 공 없다는 것’이 평균 3.68±0.94 번째

높 를 보 며,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이 평균 3.65±0.72 번째 높게 나타났다(Table 5).

Page 5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4 -

Table 5. Intensity, Frequency and Perceived Intensity Scores(PIS) for barriers in end of life care

(N=142)

Barriers

Intensity Frequency Perceived intensity

scores(PIS) for barriers

Mean±SD Rank Mean±SD Rank Mean±SD Rank

Patient/Family 3.32±0.46 3.14±0.46 10.64±2.58

Family continually calls nurse for update rather

than the designated contact person. 3.32±0.73 16 3.38±0.74 9 11.37±4.15 9

Family not understanding the term“life-saving

measures” and its implications. 3.18±0.75 20 3.26±0.72 13 10.61±4.02 12

Families not accepting poor patient prognosis. 3.60±0.82 5 3.51±0.68 6 12.82±4.44 6

Family requesting life-saving measures contrary

to patient’s wishes. 3.38±0.79 13 2.94±0.80 20 10.06±4.15 17

Patient’s treatments continue, although painful or

uncomfortable. 3.73±0.73 2 3.41±0.80 7 13.03±4.85 4

Family fighting about life support. 3.40±0.77 11 3.04±0.74 18 10.51±3.90 15

Family legal action is a threat, thus patient

Intensive care continues despite poor prognosis. 3.51±0.82 7 2.77±0.89 22 10.05±4.49 18

Patient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3.23±0.81 17 2.85±0.83 21 9.45±4.23 19

Families grieving in culturally diverse ways. 2.54±0.84 28 3.10±0.79 17 7.89±3.53 26

Page 5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5 -

ICU health provider 3.33±0.47 3.15±0.55 10.80±2.84.

Physicians differing in opinion about care of a

patient. 3.13±0.64 23 2.53±0.84 26 8.04±3.48 24

Physicians evasive and avoid family. 3.48±0.85 8 2.64±0.93 23 9.41±4.51 20

Physicians won’t allow patient to die from the

disease process. 3.06±0.92 24 2.15±0.98 29 6.74±3.94 29

Physicians overly optimistic to family about the

patient surviving. 3.46±0.79 9 2.54±1.02 25 8.97±4.49 22

Nurse not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patient to

learn of his/her wishes regarding treatment due to

sedation or depressed neurological status.

3.37±0.81 14 3.32±1.02 10 11.69±5.64 8

Nurse too busy offering life-saving measures to

provide quality end-of-life care. 3.74±0.77 1 3.68±0.94 2 14.23±5.83 2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3.72±0.86 3 3.65±0.72 3 13.85±4.99 3

Nurse having to deal with distraught family while

still caring for patient. 3.40±0.83 12 3.56±0.74 4 12.40±4.83 7

Nurse called away from patient and family to

perform other duties. 3.67±0.80 4 3.82±0.94 1 14.40±5.72 1

Nurse’s opinion about patient’s care not valued. 3.37±0.65 15 3.32±2.65 11 11.24±8.45 10

Nurse knowing poor prognosis before family. 2.39±2.82 29 3.40±0.92 8 8.09±8.80 23

Nurse not trained regarding family grieving and

quality end-of-life care. 3.19±0.79 18 3.20±0.81 14 10.52±4.50 14

Page 5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6 -

Hospital/ICU 3.15±0.49 2.91±0.77 9.49±3.04

Family members not having private place to grieve

at patient’s bedside. 3.54±0.82 6 3.55±1.00 5 12.99±5.90 5

Family not with the patient when he/she is dying. 3.43±0.80 10 3.04±1.06 19 10.69±5.18 11

Family visiting hours too liberal. 2.89±0.78 27 3.15±3.47 15 9.13±6.049 21

Family grieving time limited to accommodate new

admissions. 3.18±0.78 21 3.11±0.86 16 10.13±4.51 16

Unavailability of ethics board or committee to

review difficult patient cases. 2.95±0.83 25 2.60±0.87 24 7.92±3.87 25

Family not having a support person.

eg, social worker or religious leader 2.91±0.78 26 2.33±0.93 27 7.09±3.94 28

Family visiting hours too restrictive. 3.14±0.76 22 3.27±0.93 12 10.54±4.64 13

Continuing to provide advanced treatments to

dying patients because of financial benefits to

hospital.

3.18±0.98 19 2.20±1.11 28 7.44±4.60 27

Total Mean 3.28±0.39 2.91±0.77 10.39±2.34

Perceived intensity scores for barriers(PIS) = mean for intensity multiplied by mean for frequency

Page 5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7 -

3) 상자 특 에 른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장애요인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근 는 자실별 통계 차이를 보 고(F = 3.245,

p = .008), Scheffé 사후 검증에 신경계 자실이 내과계 자실

보다 통계 게 지지행 (PSBS)가 높게 나타났다. 별,

연 별, 종 별, 간 사 경 별, 자실 간 사 경 별, 담당 는

자 별,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별, 별,

자 간 사 자격 별, 생애말 자 간 경험 별

통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는 나이(r = .240, p = .004), 간 사 경 (r = .307 p < .001),

자실 경 (r = .312, p < .001)과 통계 양 상

계를 보 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F = 3.289, p = .023), 자 간 사 자격증 (F = 4.363,

p < .001)에 라 통계 차이를 보 다. Scheffé 사후

검증에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30명

과인 집단이 10명 이 인 집단보다 통계 게 장애에

인지강도 (PIS)가 높게 나타났다(Table 6).

Page 5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8 -

Table 6.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 and Perceived intensity scores for barrier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42)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PSBS)

Perceived intensity score(PIS)

for barriers

Mean±SD t/F/r

(p) Mean±SD

t/F/r

(p)

Gender Male 5 9.58±1.93 .152

(.879)

8.24±2.82 -2.117

(.036) Female 137 9.42±2.25 10.47±2.30

Age(years)

142 .029

(.734)

.240**

(.004)

Religion Yes 64 9.64±1.86 .332

(.741)

10.48±2.39 .423

(.673) No 78 9.41±2.26 10.31±2.31

Years as RNa 142 .017

(.844)

.307**

(< .001)

Years in ICUb

142 .016

(.850)

.312**

(< .001)

Number of assigned < 3 95 9.23±2.24 -1.489

(.139)

3.05±0.45 -1.139

(.257) patients per shift ≥ 3 47 9.82±2.17 3.15±0.44

≤ 10 60 9.83±2.11

1.646

(.182)

9.81±2.38

3.289*

(.023)

Dying patients 11~20 21 8.70±2.22 10.21±2.38

cared for 21~30 12 8.91±2.52 10.68±2.38

> 30 42 9.30±2.32 11.26±2.40

Page 5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49 -

Highest degree Master’s 12 9.22±1.41 .756

(.471)

11.05±2.89 1.041

(.356) Bachelor’s 126 9.49±2.28 10.36±2.31

Associate’s 4 8.15±2.52 9.16±0.93

CCRNc Yes 11 9.64±1.86 .332

(.741)

13.17±2.40 4.363**

(< .001) No 131 9.41±2.26 10.15±2.19

End of life care Yes 41 9.52±2.30 .305

(.761)

10.58±2.00 .617

(.538) education No 101 9.39±2.21 10.31±2.47

Unit MICUd 27 8.38±1.68

3.245**

(.008)

9.72±2.03

1.272

(.279)

CCUe 24 10.11±2.07 10.92±2.12

NRICUf 9 10.32±1.53 10.91±2.61

SICUg 42 10.02±2.38 10.09±2.26

CSICUh 26 8.84±2.15 10.98±2.68

NSICUi 14 9.00±2.58 10.21±2.54

Total mean 9.43±2.23 10.39±2.34

**p < .01, *p < .05

aRN : registered nurse, bICU : intensive care unit, cCCRN : critical care registered nurse

dMICU : medical intensive care unit, eCCU : cardiac intensive care unit, fNRICU : neurology intensive care unit

gSICU :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hCSICU : cardiovascular surgery intensive care unit

iNSICU :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Page 5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0 -

4 . 자실 간 사 생애 말 자 간 역량 과

생 애말 자 간 지 지요 인, 장애 요인 간

상 계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

요 인 과 계 에 상 자 가 인 식 생 애 말 자 간 역 량

(r = .369, p < .001)과 생애말 자 간 역량 가지 요소인

지식 역량(r = .190, p = .024), 태도 역량(r = .236, p = .005), 행

역량(r = .413, p < .001)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

양 상 계를 나타내었다.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장애

요인과 계에 상자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

요소인 행 역량(r = -.258, p = .002)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 상 계를 보 다(Table 7).

Page 6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1 -

Table 7. Cor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nurses’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PSBS and PIS for

barriers

Factor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Knowledge Attitude Behavior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PSBS)

Perceived

intensity

score(PIS)

for barrier

r

(p)

r

(p)

r

(p)

r

(p)

r

(p)

r

(p)

EOL care

competencies 1

Knowledge .827**

(< .001) 1

Attitude .723**

(< .001)

.526**

(< .001) 1

Behavior .674**

(< .001)

.190

(.023)

.336**

(< .001) 1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PSBS)

.369**

(< .001)

.190*

(.024)

.236**

(.005)

.413**

(< .001) 1

Perceived intensity

score(PIS)for barrier

-.131

(.121)

.011

(.896)

-.044

(.604)

-.258**

(.002)

.103

(.222) 1

**p < .01, * p < .05

Page 6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2 -

Ⅴ. 논

본 연구는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도를 악 고, 이들간 상

계를 인 해 행 었다.

1.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본 연구에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5

만 에 평균 3.09 (지식 역량 2.99 , 태도 역량 3.01 , 행 역량

3.56 ) , 자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역량 보통 도

평가 고 있어 Montagnini 등(2012)에 행연구 평균

3.7 에 해 그 이 높지 않 것 나타나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 향상이 임 알 있다. 항목

살펴보면 지식 역량 가 가장 낮 데, 이는 Montagnini 등(2012)

연구에 자실 간 사가 지각 지식 역량 가 가장 높았 것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 지식 역량 가 가장 낮게 나타난 이 는

상자 생애말 자 간 도 차이에 인 것 생각

있다. 행 연구에 상자 70%가 생애말 자 간 경험이

있는 면에, 본 연구에 는 상자 28.9%만이 생애말 자 간

경험이 있는 것 나타났다. 생애말 자 간 경험이

Page 6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3 -

있는 상자가 통계 게 지식 역량 가 높 것 나타나,

지식 역량 향상 해 자실 간 사를 상 는 계속 에

생애말 자 간 에 시사 이 크다. 라 병원내 직

이나 보 태 지속 공 는 생애말 자 간 이

요 겠다.

본 연구에 경험 이외에 지식 역량 가 행 역량

보다 낮게 나타난 다른 이 는 상자 경 이 낮고, 지식 역량과

행 역량 항목과 평가 주체가 일 지 않는 도구 특 에

인했 것 생각 다. 지식 역량 경 과 통계 양

상 계를 보 는데, Montagnini 등(2012) 연구에 참여 상자

평균 경 이 14.91 인 것에 해 본 연구 상자 평균 경

5.47 낮았다. , 지식 역량 증상 리, 사결 , ·

지지에 범주를 평가 고, 행 역량 사결 , 사소통, 간

연속 , 간 사를 지지에 범주를 평가 는 항

구 어 있어 도구 특 상 지식 역량과 행 역량 사이에 직 인 향

계를 갖고 있지 않았다. 역량 주체에 있어 지식 역량 개인

역량 평가 는 항 구 어 있는 것에 해 행 역량 상자가

속해 있는 조직 역량 평가 는 항 구 어 있어 경 이 낮

상자들이 개인 역량보다는 역량 높게 평가 여 지식 역량보다

행 역량 가 높게 나타난 것 해 있다.

본 연구 결과 자실 간 사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역량

Page 6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4 -

나이 양 상 계가 있고, 항목 에 지식 역량 나이,

간 사 경 , 자실 간 사 경 과 양 상 계가 있는

것 나타났다.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많 통계 게 생애말 자 간 지식 역량 가 높았다.

라 이명 (2003)이 보고 것처럼 질 인 생애말 자 간 를 공 는

간 사들 역 모델 시함 써 실 양질 간 를

공 도 노 는 것이 요 겠다.

항목 행 역량 나이, 경 , 자실 경 ,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가 많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행

역량 평가 항이 상자가 근 는 자실 역량 포함 고 있어

경험이 많 인 시각 본인 근 경 평가 고, 질 인

생애말 자 간 에 인식이 높아 가 낮게 나타난 것

여겨진다. 이는 임상경 이 많아지고 책임간 사 이상 직 에 있는

간 사가 생애말 자 간 시 스트 스가 높아 고(우 등, 2012),

임상경 이 증가 생애말 자 간 스트 스가 높아 다는 보고 결과

(이향 , 이연 , , & 미, 2007) 사 맥락 이루고 있다.

항별 살펴보면 지식 역량에 생애말 자 그 가족들 요구

인, 요구를 인 는 일에 역량 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실 간 사가 생애말 자 가족들과 함께 죽 과 에 해 함께

논 는 사소통 이 생애말 자 간 공 시 가장 부족 역량

나타났고(White et al., 2001), 인 면과 사소통에 항목에

Page 6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5 -

자실 간 사들 요구도가 높았 것(Crump et al., 2010)과

사 결과를 보여 그램 개 시 특히 강 가 요 항목임

알 있다.

태도 역량에 있어 는 ‘나는 생애말 자 생명 지 장 를 지 는

과 이 편안 게 여겨진다’가 가장 낮 를 보 다. Espinosa 등

(2010) 연구에 간 사들 료 처 를 단 게 본인들이

자를 죽게 다는 죄책감 느낀다고 보고 결과 마찬가지 본

연구에 도 상자들이 생명 지 장 를 지 는 것과 여 심

스트 스를 경험 는 것 생각 다.

행 역량에 가장 가 낮 항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자를 간 생 있는 개인 고통 감당 있도

직원에 충분 지원이 있다’ 나타났다. 과 강 희(2007)

연구에 직 간 했 자 죽 게 경우가 간 직

스트 스에 가장 높 를 보 고, Halcomb, Daly, Jackson과

Davidson(2004) 연구 Ranse 등(2012) 연구에 도 자실

간 사들 자실에 생애말 자 간 를 공함에 있어 ,

지지가 부족 다고 보고 여 본 연구 결과 사 결과를 보인다.

라 자실에 생애말 자 간 를 공 간 사들이 경험 는

자 죽 인 고통 조 상담과 지지체계가

요함 알 있다.

Page 6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6 -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행 연구보다 낮게 나타난 자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역량 향상시키 해 생애말 자 간 에

이 요 며, 특히 역량이 취약 게 나타난 생애말 자

가족들 , 면 요구를 인 는 법과 사소통 에

내용 욱 강 해야 것이다. 자실 간 사들이 겪는

고통 해결해 주 병원 자실 차원 지지체계가

요구 며 이명 (2003)이 시 것처럼 자실 간 사들이 신

스트 스를 극복 있도 자 과 상담 도 마 , Cosgrove,

Nesbitt Bartley(2006)가 안 것과 같이 생애말 자 간 공

효과 인 법 시 동료들 지지, 스트 스 감소 등 효과를 얻

있는 생애말 자 간 사 보고 등과 같 략 이용 있겠다.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1)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본 연구에 자실 간 사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요소 병원 자실 역에 가장 낮 를

나타냈다. 이는 생애말 자 간 질 향상시키 해 지지 체계,

자실 경 변 에 강 가 가장 요 것 해 있겠다.

Page 6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7 -

가 높 다 가지 항 살펴보면, ‘ 자가 사망

후 담당 간 사가 자리를 울 다른 간 사들이 나 지 자들

담당해주는 것’, ‘ 자가 사망 후 사가 가족들 직 만나는 것’,

‘가족들이 나 지 가족 구 원 해 사소통 주보 자 1인

지 는 것’, ‘가족 구 원들이 자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 아들이는

것’, ‘가족들이 자가 사망 후에 자 함께 있는 충분

시간 갖는 것’ 나타났다. 그러나,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과는

다르게 지지행 (PSBS)가 높 항이 강도, 도가 슷 게 높게

나타나지 않 알 있다. 즉, 자실 간 사들이 지지 강도가 크다고

인식 는 ‘가족 구 원들이 평 롭고 존엄 임종 장면 맞이 는 것’,

‘가족들이 해 지 않고 애도 있는 공간이 마 자실

경’ 생 도가 낮아 지지행 (PSBS)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Elena 등(2013)이 생애말 자 간 큰 지지요인이 가족들이 자

평 롭고 존엄 죽 곁에 함께 는 것이고, 그 게 해

사 인 공간 마 이 요 다고 연구 결과 일 다. 라 지지

행 (PSBS)가 높 항목들 재 자실 간 사들에게 지지요인이

는 항목이라 평가 있고, 앞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략 립 시에는 지지 강도는 높 나, 도가 낮 항들에

강 가 요 것 생각 다.

같 도구를 사용 Beckstrand Kirchhoff(2005) 연구에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가 높 다 가지 항

Page 6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8 -

살펴보면, ‘가족들이 자가 사망 후에 자 함께 있는

충분 시간 갖는 것’, ‘가족 구 원들이 평 롭고 존엄 임종 장면

맞이 는 것’, ‘가족들이 죽어가는 자 곁에 어떻게 행동해야 는지를

우는 것’, ‘가족 구 원들이 사후 간 를 공 는 간 사에게 고마운

마 는 것’, ‘ 자 료 향에 해 여 는 여러 사들

견이 일 는 것’ 나타났고, Crump 등(2010) 연구 결과도 이

사했다. 본 연구에 는 간 업 량 분담이 가장 큰 지지 요인

나타나, 생애말 간에 간 사 자 당 탄 조 는

책이 마 어야 겠다. 본 연구에 ‘가족 구 원들이 평 롭고

존엄 임종 장면 맞이 는 것’ 가장 요 다고 생각 지만 생

도가 낮아 지지강도 가 낮게 나타나, 우리나라 자실에 도

가족들이 자 평 롭고 존엄 죽 함께 있도 시간 ,

공간 인 가 이루어 야 것 생각 다.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자실별 차이를

보 는데, 신경계 자실 가 가장 높았고, 내과계 자실 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자실별 간 사 나이, 경 , 경험 ,

자 간 사 자격증 , 담당 는 자 등 통계

차이가 없어 이외 다른 다양 특 에 향 는 것 여겨지므

지지행 (PSBS)가 높 자실 특 분 여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략 립에 참고 있 것이다.

Page 6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59 -

2)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본 연구에 자실 간 사가 인식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는 요소 료인 역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에 인지강도 (PIS)가 높 다 가지 항

살펴보면, ‘간 사가 다른 업 인해 자 가족들과 같이 있

없는 것’, ‘간 사가 연명 료에 양질 생애말 간 를 공

없다는 것’,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 ‘ 자가

고통스럽고 불편함에도 불구 고 자 료가 지속 는 것’, ‘가족들이

자 에 애도 사 인 공간 공 지 못 는 것’ 나타났다.

항들 장애에 인지강도 (PIS) 계산에 사용 강도 도

도 높 를 보이고 있어 생애말 자 간 강 장애 요인이라고

인식 는 항 도도 높 알 있다. 이 가지 항이 모

간 사 업 항 나타나 업 량 과 이 큰 장애 요인임

시사 며, 개 질 에 ‘생애말 자를 간 자가 사망 고 나면

항상 신 입실 를 해야 다는 부담감에 생애말 자 간 에

집 없다’라는 답 보면 자실 간 사들 생애말 자 간

공 시 업 량 가 큰 부담 느끼고 있 알 있다. 이는

이명 (2003), 민 등(2012) 연구 여 볼 생애말 자

간 에 장애 요인 시간 부족 과 업 를 언 결과

일 다. 라 생애말 간에 집 는 업 를 분산 해 업

도 자 증도를 고 여 간 사 자 탄

Page 6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0 -

조 는 략 사용함 써 업 량 부담 일 있 것 생각

다.

편, 행 연구 결과들과는 달리 자가 고통스럽고 불편함에도

불구 고 자 료가 지속 는 것이 번째 높 장애요인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 연구에 인 차이에 인 것

여겨진다. 가족 시 는 국사회에 료 사결 보

공 사는 ‘가족’에게 해야 다고 생각 며( 애란, 소향 , &

채명 , 2014), 1 사 결 자 역시 자 가 그 이 일 높고, 그

에 도 장남 사 결 권 이 높다. 이는 국 가부장 인 통과

장남 사상에 인 다(강 구, 이상진, & 조경 , 2000). 우리

사회 특 사 료 향 가 아직 없어 료 사 결

과 에 자 견이 충분히 지 못 다( 신미, 우, , &

고 진, 2012). 라 료인들 생애말 사결 해 자

가족과 욱 극 사소통 해야 겠고, 사 료 향 등이

있는 료 변 도 요 겠다.

같 도구를 사용 여 연구 Beckstrand Kirchhoff(2005)

연구에 가장 높 를 보인 다 가지 항 ‘주보 자

이외 가족들이 자 상태를 해 지속 간 사에게 는

것’, ‘연명 료란 용어 연명 료 용에 보 자들 이해가

부족 것’, ‘ 자 료에 여 는 여러 사들 견이 일 지 않는

것’, ‘ 사가 가족들에게 애매 게 답변 거나 가족들 는 것’,

Page 7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1 -

‘간 사가 연명 료에 양질 생애말 간 를 공 없다는

것’ 나타났다. 본 연구에 간 사 업 량과 부분이 높

를 차지 고 있는 것과는 조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는 미국보다

상 간 사 자 이 높 국내 자실 경에 생애말

자 간 를 해 충분 시간 애 없 가장 큰 장애요인

인식 것 여겨진다.

같 도구를 사용 여 연구를 진행 Crump 등(2010) 연구에 도

‘주보 자 이외 가족들이 자 상태를 해 지속

간 사에게 는 것’, ‘연명 료란 용어 연명 료 용에

보 자들 이해가 부족 것’이 가장 강도가 높 항 나타났고,

다 강도가 높 항들이‘가족들이 자 에 애도 사 인

공간 공 지 못 는 것’,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 가족들이 자 나 후를 아들이지 않는 것’ 나타났다.

자뿐만 아니라 생애말에 놓여 있는 자 가족들 돌보아야 는 것에

부담감, 자실 사 인 애도 공간 부족함이 생애말 자 간

큰 장애 요인 작용 고 있는 것 본 연구 결과 사 다.

종 사 동 단체나 사회복지사 등과 연계를 통해 생애말 자 가족

요구를 충족시키는 안 해야 것이고, 책 개

병상이 많 우리 나라 자실 경 차 사 인 공간이 보 는

1인실 태 꿔 나가는 것뿐만 아니라 임종 후 일 시간 가족들이

애도 있는 시간 공 요가 있겠다.

Page 7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2 -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는 나이, 간 사

경 , 자실 경 과 통계 양 상 계를 보 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자 간 사 자격

통계 차이를 보 다. 즉 나이, 경 , 생애말 자 간

경험이 많 , 자 간 사 자격이 있는 경우가 장애에

인지강도 (PIS)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생애말 자 간 경험이

많아질 욱 이고 폭 시각 생애말 자 간 에 임 게

므 장애요인 강도를 높게 평가 게 고, 경험에 여

장애요인 도도 자주 생 다고 인식해 인지강도 (PIS)가

높아진 것 해 있겠다.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과

상 계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 양 상 계를 보 고, 가지

요소인 지식 역량, 태도 역량, 행 역량 모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 양 상 계를 보 다. 즉, 생애말 자

간 역량이 높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가 높

것 나타났다.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Page 7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3 -

장애요인과 상 계를 살펴본 행 연구가 없어 결과를 는

없지만, 역량 강 는 지지요인 강 이어 생애말 자 간 질이

향상 것 있겠다. 특히, 본 연구에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 인지강도 (PIS)는 평균 10.39 , 지지행 (PSBS)는 평균

9.43 나타나 지지행 (PSBS)를 향상 시키 략이

요 것 단 는데, 이는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양 상

계가 있 므 역량 강 를 략 립이 욱 강조 는 결과이다.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는 상 계가 나타나지

않았 나, 생애말 자 간 역량 요소인 행 역량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 상 계를 보 다.

즉, 생애말 자 간 행 역량이 높 장애에 인지강도

(PIS)가 낮게 나타났는데, 행 역량 나이, 경 , 자실 경 ,

재 지 생애말 간 를 공 사망 자 가 많 가 낮게

나타났 역량 요소이다. 꾸어 말 면 경험이 간 사들이 인지 는

장애에 인지강도 (PIS)가 낮 것 알 있는데, 이는 경험이

많 간 사들이 생애말 자 간 질에 고민 많이 게 므

행 역량과 장애에 인지강도 를 평가 것

단 다.

Page 7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4 -

4. 연구

본 연구는 울 일개 종합병원 자실에 근 는 간 사들

상 조사 므 일 에 어 움이 있다. 병원에 라

자실 리 경, 간 사들 근 경이 다를 있 므 추후

이를 보 여 다 병원 포함 여 연구 범 를 히는 연구가

요 다.

그러나 이러 에도 불구 고 본 연구는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 도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악 고, 이에 향 미 는 상자 특 과 계를 악 여

자실에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간 재

자료를 공 다는데 가 있다. 이는 자 가족 면에

자실에 존엄 죽 맞이 있게 는 데 미가 있 며

자실 간 사 면에 는 연구 실 장 통해 질 높 간

공과 실 도모 있 것 사료 다.

Page 7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5 -

Ⅴ. 결 언

1. 결

본 연구는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 도를 악 고, 이들 간

상 계를 인 해 조사 법 사용 횡단 연구이다.

연구 상 울 시내에 소재 일개 병원 사망 자 간 경험이

있는 인 자실 간 사 이며, 2014 9월 22일부 9월 30일 지

자료 집 시행 다. 연구 도구는 Montagnini, Smith Balistrieri

(2012) 자실 생애말 자 간 역량 도구 Beckstrand

Kirchhoff(2005) 자실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에

도구를 번역 여 사용 다. 집 자료는 연구

목 에 라 SPSS 그램 이용 여 통계( 도, 분 , 평균,

편차, ),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사용 여 분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 과 같다.

1)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 평균

3.09±0.45 나이 양 상 계를 보 다. 요소 생애말

자 간 지식 역량이 평균 2.99±0.64 가장 낮 것

Page 7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6 -

나타났 며 나이, 경 과 양 상 계를 보 고,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 자 간 사 자격 , 생애말 자간

경험 에 라 통계 차이를 나타냈다.

2)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평균 9.43±2.23 나타났고, 상자가 근 는

자실에 라 통계 차이가 있었다.

3)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인지강도 (PIS) 는 평균 10.39±2.34 나타났고, 나이, 경 과

양 상 계를 보 며 재 지 생애말 자 간 를 공 사망

자 에 라 통계 차이가 있었다.

4)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는

양 상 계를 나타내었고, 생애말 자 간 역량 요소인

행 역량 생애말 자 간 장애에 지지강도 (PIS)

상 계를 나타내었다.

이상 본 연구 결과 자실 간 사는 생애말 자 간 역량 보통

도 인식 고 있었고, 요소 지식 역량이 보통 보다

낮게 나타났다.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에 는 지지행

Page 7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7 -

(PSBS)가 장애에 인지강도 (PIS) 보다 낮게 나타났고,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이 높 생애말 자 간

지지행 (PSBS)가 높게 나타났다.

라 ,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지지요인 강도 도를

향상시키는 략이 요 것이다.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를

략 지식 역량 강 를 자실 간 사들 요구에 맞는

생애말 자 간 그램 개 용이 요 겠고, 지지요인

강도는 높 나 도가 낮았 항목 강 는 간 리자, 병원 차원

구체 재 개 이 요구 다. 이러 략들이 자실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가 생애말 간 경험 는 자 가족에게는

존엄 죽 과 경험 게 고, 자실 간 사는 질 높

간 공 통해 가 자 심 가지게 있 것

다.

Page 7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8 -

2. 언

이상 연구 결과를 탕 다 과 같이 언 고자 다.

1) 일 를 해 연구 상자 연구 병원 여 조사 는 복

연구가 요 겠다.

2)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 강

요구도에 연구가 요 겠다.

3)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강 고

장애요인 극복 있는 재 연구가 요 겠다.

Page 7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69 -

참고 헌

강 구, 이상진, & 조경 . (2000). 충고에 퇴원 특 과 퇴원

결 요인에 연구. J Korean Neurosurg Soc, 29, 1620.

상우. (2005). 죽 사회 . 부산 출 부.

신미, 우, , & 고 진. (2012). 국 사 료 향 구 요

건: 료인 심 . J Korean Acad Nurs, 42(4), 486-495.

노 자, , 안 희, & 춘 . (1994). 스 스 죽 ; 스 스 개요.

울: 사.

애란, 소향 , & 채명 . (2014). 임상 사결 과 생명 료 리에

자, 가족, 간 사 사 인지도. 종양간 회지, 14(1), 23-31.

, & 강 희. (2007). 자실 간 사 직 스트 스 처에

연구. 간 회지, 37(5), 811.

민 , 연, 상희, & 이태 . (2013). 임종 다 도 부 간 사 죽

에 태도 처 도 생애 말 자 간 계- 실,

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 사를 심 . Korean J Hosp Palliat

Care Vol, 16(2), 108-117.

안명 , & 민 . (2008). 사 동 에 사, 간 사 자 인식과

경험. 임상간 연구, 14(2), 59-70.

우 , 경희, & . (2013). 간 사 죽 불안과 임종간 스트 스

임종간 행. Korean J Hosp Palliat Care Vol, 16(1), 33-41.

Page 7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0 -

이명 . (2003). 임종 자를 돌보는 병원간 사 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53-561.

이향 , 이연 , , & 미. (2007). 암병동 간 사 일 병동 간

사 임종간 에 스트 스 처 법 연구. 종양간

회지, 7(1), 26-35.

조계 . (2011). 국 인 품 있는 죽 도구 개 평가. J

Korean Acad Nurs, 41(3), 313-324.

조계 , & 균 . (2010). 간 사 사 임종 료 도 에 향

미 는 요인. 국 료 리 회지, 13(4), 305-320.

조명 . (2010). 자실 간 사 임종간 경험: 시공간 탐구. 질 연구,

11(2), 80-93.

지경애, & 주. (2005). 간 사 스 스 태도에 향 미 는 요인.

신간 회지, 14(3), 285-291.

통계청. (2012). 사망원인 통계( 국편) 사망장소별 사망자 .

허 . (2012). 연명 료 단 법 가 시 이 . 동아일보 2012

12월 3일.

Angus, D. C., Barnato, A. E., Linde-Zwirble, W. T., Weissfeld, L. A.,

Watson, R. S., Rickert, T., . . . Group, R. W. J. F. I. E.-O.-L. P.

(2004). Use of intensive care at the end of life in the United

States: An epidemiologic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32(3),

638-643.

Page 8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1 -

Aslakson, Rebecca A., Wyskiel, Rhonda, Thornton, Imani, Copley,

Christina, Shaffer, Dauryne, Zyra, Marylou, . . . Pronovost, Peter

J. (2012). Nurse-Perceived Barriers to Effective

Communication Regarding Prognosis and Optimal End-of-Life

Care for Surgical ICU Patients: A Qualitative Exploration.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5(8), 910-915.

Beckstrand, R. L., & Kirchhoff, K. T. (2005). Providing end-of-life

care to patients: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4(5),

395-403.

Burns, N., & Grove, S.K. (2011).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 Utilization. Philadelphia: Saunders.

Clarke, E. B., Curtis, J. R., Luce, J. M., Levy, M., Danis, M., Nelson,

J., . . . Members, R. W. J. F. C. C. E.-O.-L. P. W. (2003).

Quality indicators for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31(9), 2255-2262.

Cosgrove, J., Nesbitt, I., & Bartley, C. (2006). Palliative care on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Anaesthesia & Critical Care, 17(5),

283-288.

Crump, S. K., Schaffer, M. A., & Schulte, E. (2010).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supports, and knowledge

Page 8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2 -

needed in providing quality end-of-life car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9(6), 297-306.

Dunn, K. S., Otten, C., & Stephens, E. (2005). Nursing experience and

the care of dying patients. Paper presented at the Oncology

Nursing Forum.

Efstathiou, Nikolaos, & Clifford, Collette. (2011). The critical care

nurse's role in End-of-Life care: issues and challenges.

Nursing in Critical Care, 16(3), 116-123.

Elena, Pascual, Cristina, & Ricardo Becerro, Vallejo. (2013). Obstacles

and Helpful Behavior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to Dyi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32(2), 99-106.

Elpern, E. H., Covert, B., & Kleinpell, R. (2005). Moral distress of staff

nurse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4(6), 523-530.

Espinosa, L., Young, A., Symes, L., Haile, B., & Walsh, T. (2010). ICU

nurses' experiences in providing terminal care.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33(3), 273-281.

Festic, Emir, Wilson, Michael E, Gajic, Ognjen, Divertie, Gavin D, &

Rabatin, Jeffrey T. (2012). Perspectives of physicians and

nurses regarding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ge 8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3 -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27(1), 45-54.

Fridh, I., Forsberg, A., & Bergbom, I. (2007). Family pres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time of a patient’s death in an ICU.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1(4), 395-401.

Friedenberg, Allison S., Levy, Mitchell M., Ross, Susan, & Evans, Laura

E. (2012). Barriers to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Perceptions Vary by Level of Training, Discipline, and

Institution.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5(4), 404-411.

Halcomb, E., Daly, J., Jackson, D., & Davidson, P. (2004). An insight

into Australian nurses’ experience of withdrawal/withholding of

treatment in the ICU.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4),

214-222.

Hamric, Ann B, & Blackhall, Leslie J. (2007). Nurse-physician

perspectives on the care of dyi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Collaboration, moral distress, and ethical climate*. Critical care

medicine, 35(2), 422-429.

Hansen, Lissi, Goodell, Teresa T, DeHaven, Josi, & Smith, MaryDenise.

(2009). Nurses ’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fter

multiple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3), 263-271.

Hopkinson, J. B., Hallett, C. E., & Luker, K. A. (2003). Caring for dying

Page 8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4 -

people in hospit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4(5), 525-533.

Kang, J., Kim, Y., Yoo, Y. S., Choi, J. Y., Koh, S. J., Jho, H. J., . . . Kim,

W. C. (2013). Developing competencies for multidisciplinary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in Korea. Supportive

Care in Cancer, 21(10), 2707-2717.

McCallum, Amanda, & McConigley, Ruth. (2013). Nurses' perceptions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an open critical care unit: a

descriptive explorat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9(1), 25-30.

Mnontagnini, Smith, & Balistrieri. (2012). Assesment of self perceived

end-of-life care competencies of intensive care unit providers.

Jounal of palliative medicine, 15(1), 29-36.

National Health Service(2012). End of life care. May 1st, 2013,

http://www.nhs.uk/Planners/end-of-life-care/Pages/what-is-

end-of-life-care.aspx

Nelson, J. E. (2006). Identifying and overcoming the barriers to high-

quality palliativ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34(11), S324-331.

Nelson, Judith E., Angus, Derek C., Weissfeld, Lisa A., Puntillo,

Kathleen A., Danis, Marion, Deal, David, . . . Project, for the

Critical Care Peer Workgroup of the Promoting Excellence in

Page 8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5 -

End-of-Life Care. (2006). End-of-life care for the critically ill:

A national intensive care unit survey *. Critical Care Medicine,

34(10), 2547-2553.

Ranse, Kristen, Yates, Patsy, & Coyer, Fiona. (2012).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setting: A descriptive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of nurses' beliefs and practices. Australian

Critical Care, 25(1), 4-12.

Shorter, Melanie, & Stayt, Louise Caroline. (2010). Critical care nurses’

experiences of grief in an adult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159-167.

Stayt, Louise Caroline. (2007). Nurses’ experiences of caring for

families with relative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6), 623-630.

White, K. R., Coyne, P. J., & Patel, U. B. (2001). Are Nurses

Adequately Prepared for End‐of‐Life Car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3(2), 147-151.

Wunsch, Hannah, Harrison, David A, Harvey, Sheila, & Rowan, Kathryn.

(2005). End-of-life decisions: a cohort study of the withdrawal

of all active treatment in intensive care units in the United

Kingdom. Intensive care medicine, 31(6), 823-831.

Page 8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6 -

부 1. 지

<연구 명 동 >

안 십니 ?

는 울 간 사과 에 있는 간 사 자실 간 사가 인식 는

생애말 자 간 역량과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 장애요인에 연구를 진행

고 있습니다.

본 지는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 자실에 입실 상자가 료

지 않는 질병 고통 부 편안 있도 통증 경감시키고 증상 시키며

신체 , 신 , 사회 , 평안 도 는 인 , 체 간 행 )역량과 생

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장애요인 악 고자 작 것입니다. 각 항 읽고

귀 께 자실에 근 면 느낀 해당 는 곳에 시해 주시 라며 에

소요 는 시간 10~15분 입니다. 본 연구 결과는 앞 자실에 생애말 자

간 질 향상 자료가 것입니다.

본 지에 작 신 내용 명 써 이 보장 며, 연구 목

만 사용 것임 약속드립니다. 항 작 원 실 는 언 든지 답 철

회 있습니다. 귀 소 시간 내어주심에 진심 감사드립니다.

지도 : 고진강 ( 울 간 )

연 구 자 : 이효진 ( 울 간 )

임상연구에 참여 는 동안 임상연구 참여자 복지 권리에 질 이 있는 경

우 는 연구 직 지 않 군가 상담 원 는 경우에 아래 번

연락 시 랍니다.

험자보 02-3010-7161 울아산병원 임상연구심 원회 02-3010-7166

2014 9 월 22 일 연구자 이효진 (인)

<연구 참여 동 >

본 연구 목 이해 며, 이 자 참여에 동 합니다.

2014 월 일 동 자 (인)

Page 8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7 -

< 지>

자실 간 사 생애말 자 간 역량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과 장애요인

Ⅰ. 일 보

1. 별 : 남( ) 여 ( )

2. 나이 : ( )

3. 종 : 없 ( ) 독 ( ) 천주 ( ) 불 ( ) 타

( )

4. 간 사 경 : ( ) ( )개월

5. ICU 경 : ( ) ( )개월

6. 담당 는 자 : ( )명

7. 근 고 있는 ICU: ( )

8. 재 지 임종 간 를 공 사망 자 :

30명 과 ( ) 21-30명 ( ) 11-20명 ( ) 10명 이 ( )

타 ( )

9. 종 : 사 ( ) 사 ( ) 사 ( ) 사 ( )

10. 자 간 사 자격 취득 : ( ) 아니 ( )

11. 스 스/ 료에 경험 : ( ) 아니 ( )

Page 8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8 -

Ⅱ. 자가 인지 생애말 자 간 역량

“나는 … 가 어있다.”

매우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보통이

다 그 다

매우

그 다

해당

1. 나는 생애말 자 통증 조 약 재를 시행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 마약 진통 , 항 간 ,

항우울 등).

2. 나는 생애말 자 통증 조 약 재를

시행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 요법, 냉요법,

맛사지, 이 요법 등).

3. 나는 생애말 자 증상 재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 곤란, 침).

4. 나는 생애말 자 소 증상 재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 심, 구토, 변 , 장폐색 등).

5. 나는 생애말 자 신경/ 신 증상 재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 망, 간질, 불안, 안 부 등).

6. 나는 자 가족과 앞 일어날 료 결 들

포함 사 계획( : 사 료지시 ) 논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7. 나는 자 가족과 드 상태(심 지 는 폐 능부 시

있는 처 를 미리 지 해 놓 것: DNR, full code 등)를 논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Page 8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79 -

8. 나는 생애말 자 생명 지 장 를 지 는 것에 해 가

잘 어 있다.

9. 나는 생애말 자 그 가족들 요구를 인 는 일에

해 가 잘 어 있다.

10. 나는 생애말 자 그 가족들 요구를 인 는 일에

해 가 잘 어 있다.

11. 나는 생애말 간에 자 그 가족들에게 슬 과 이별

과 공 는 일에 해 가 잘 어 있다.

12. 나는 생애말 자 그 가족들 요구를 인 는 일에 해

가 잘 어 있다.

“나는 ..라고 느낀다.”

매우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보통

이다 그 다

매우

그 다

해당

13 나는 자 가족과 앞 일어날 료 결 들

포함 사 계획( : 사 료지시 )에 해 논 는 것이

편안 게 여겨진다.

14. 나는 자 가족과 드 상태(심 지 는 폐 능부 시

있는 처 를 미리 지 해 놓 것: DNR, full code 등)에 해

논 는 것이 편안 게 여겨진다.

15. 나는 생애말 자 생명 지 장 를 지 는 과 이 편안 게

여겨진다.

16. 나는 생애말 료 사 결 해 사, 간 사, 자실

원들이 는 것이 요 다고 느낀다.

Page 8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0 -

17. 자실에 자 죽 추도해 있다는 것 자실

근 자 택일 있다고 느낀다.

“ 자실에 …”

매우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보통

이다 그 다

매우

그 다

해당

18.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앞 일어날 료

결 들 포함 ) 사 계획에 이 없는 자가 입실 면,

( 자 가족과 함께) 사 계획 시작 다.

19.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료 계획 립

자 사 료지시 를 다.

20.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자 임상 상태가 악

드 상태(심 지 는 폐 능부 시 있는 처 를 미리

지 해 놓 것: DNR, full code 등)에 해 자 가족과

시에 논 를 시행 다.

21.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자 임상 상태가 악

연명 료 단에 해 자 가족과 시에 논 를 시행 다.

22.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료에 사결

보가 자실 원에 해 자 가족에게 명 고

지속 공 다.

23.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료진간 견 차이는 자

가족들 만나 에 료진 사이에 논 다.

24.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료 자 가족들

만나 자 상태를 명 고 질 에 답 다.

Page 9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1 -

25.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사안에 해 시에

료 가에게 뢰 다.

26.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료진이 는 것에 해 자

가족들 미리 시킨다. (주 , 공 , 간 사 등)

27.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담당 간 사 이 이루어질

자 가족들 생애말 간 연속 이 지 도 다.

28. 내가 일 는 자실에 는 생애말 자를 간 생

있는 개인 고통 감당 있도 직원에 충분 지원이

있다.

Page 9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2 -

Ⅲ. 생애말 자 간 지지 요인

지지 요인

지지요인이라고 생각 십니 ?

(강도)

이러 일이 얼마나 자주 일어납니 ?

( 도)

지지

요인이

아니다

지지

요인이

아니다

지지

요인이

아닌

편이

지지

요인인

편이다

지지

요인

이다.

극도 큰

지지

요인

이다

일어

나지

않는다

일어

나지

않는다

일어

나지

않는

편이다

일어

나는

편이다

일어

난다

항상

일어

난다

자/

가족

1. 가족 구 원들이 평 롭고 존엄 임종

장면 맞이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 가족 구 원들이 사후 간 를 는

간 사에게 고마운 마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3. 가족 구 원들이 자가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 아들이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4. 가족들이 나 지 가족 구 원

해 사소통 주보 자 1인 지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5. 가족이 죽어가는 자 간 에 리

직 참여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료인

6. 간 사가 본인 가족이 독 병에

걸 거나 사망했 경험 회상해

보는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7. 간 사들이 에게 지지 말

해주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9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3 -

료인

8. 간 사가 자 죽 에 해 가족들

시킬 있는 충분 시간 갖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9. 자간 지속 지 있도

간 사 스 짜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0. 간 사들이 에게 지지 인 신체

( : 어깨 토닥이 ) 공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1. 자 사망 후 사가 가족들 직

만나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2. 자 사망 후, 간 사가 자신이 일

는 곳이 아닌 외부에 자신 이야 를

들어 있는 지지자가 있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3. 사가 가족들에게 분명 용어

희망 주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4. 자 료 향에 해 여 는 여

러 사들 견이 일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5. 간 사가 자 함께 죽 에

감 이나 생각에 해 이야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병원/

16. 가족들이 자가 사망 후에

자 함께 있는 충분 시간

갖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7. 가족들이 죽어가는 자 곁에 어떻

게 행동해야 는 지를 우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9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4 -

병원/

18. 가족들이 죽어가는 자 없이

마 껏 만날 있도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9. 가족들이 해 지 않고 애도

있는 공간이 마 자실 경.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0. 가족들이 자실에 퇴실

에 모든 작업 마 리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1. 슬퍼 는 가족에 해 사회복지사나

종 지도자가 직 인 보살 공

도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2. 자가 사망 후 담당 간 사가

자리를 울 다른 간 사들이 나

지 자들 담당해 주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3. 사후 돌 공 해 이용

가능 다른 직원( 료인이 아닌 일

인)이 있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4. 리 원회가 자실에 지속

여 여 나 에 리 상황이 생

라도 즉시 해결 있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 상 내용 이외에 자실에 생애말 자 간 지지요인이라고 생각 는 내용이 있 시면 강도 도를 포함 여 자 롭

게 해주 요.

Page 9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5 -

Ⅳ. 생애말 자 간 장애 요인

장애 요인

장애요인이라고 생각 십니 ?

(강도)

이러 일이 얼마나 자주 일어납니 ?

( 도)

장애

요인이

아니다

장애

요인이

아니다

장애

요인이

아닌

편이

장애

요인

이다

장애

요인

이다

극도

장애

요인

이다

일어

나지

않는다

일어

나지

않는다

일어

나지

않는

편이다

일어

나는

편이다

일어

난다

항상

일어

난다

자/

가족

1. 주보 자 이외 여러 가족들이 자

상태를 해 지속 간 사

에게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 연명 료란 용어 연명 료 용에

보 자들 이해가 부족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3. 가족들이 자 나 후를 아들

이지 않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4. 가족들이 자 뜻과 연명

료를 요청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5. 자가 고통스럽고 불편함에도 불구

고 자 료가 지속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6. 가족들이 소생 시행에 해 견

충돌이 있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7. 가족들 법 이 작용

해불량 후에도 불구 고 집 료

를 계속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8. 자들이 통 거나 감소시키 어

운 통증 가지고 있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9. 가족들이 슬 는 법이

다양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9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6 -

료인

10. 자 료에 여 는 여러 사들

견이 일 지 않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1. 사가 가족들에게 애매 게 답변

거나 가족들 는.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2. 사가 자 질병 과 인

사망 용납 지 않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② ③ ④ ⑤ ⑤

13. 사가 자 생존가능 에 해 가

족들에게 지나 게 낙 명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② ③ ④ ⑤ ⑤

14. 간 사가 자 진 상태

신경 상태 에 료에

본인 램 인 사

소통 자 없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5. 간 사가 연명 료에 양

질 임종간 를 공 없다는 것 .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6. 간 사가 가 난 가족들도 돌 야

다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7. 간 사가 여 히 자를 간 는

에도 애통해 는 가족들 돌 야

다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8. 간 사가 다른 업 인해 자

가족들과 계속 같이 있 없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9. 자 어( 료/간 )에 간 사

견이 존 지 못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9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7 -

료인

20. 간 사가 가족들보다 나 후

에 해 아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1. 간 사가 질 높 생애 말 간

자가족들 슬 에 해 지 못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

22. 가족들이 자 에 애도 사

인 공간 공 지 못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3. 자가 사망 가족들이 곁에 있

지 못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4. 가족들 면회시간이 자 운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5. 신 입실 조 해 가족들 애

도 시간이 인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6. 어 운 자 사 를 검토

리 원회 이용이 어 운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7. 가족들이 사회복지사나 종 지도자

같 지지자 도움 없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8. 가족들 면회 시간이 매우 인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9. 병원 이익 에 죽어가는 자에

게 첨단 연명 료를 계속 공 는 것.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9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8 -

* 상 내용 이외에 자실에 생애말 자 간 장애요인이라고 생각 는 내용이 있 시면 강도 도를 포함 여 자 롭

게 해주 요.

Page 9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89 -

부 2-1. 연구도구 사용 허락 (1)

Page 9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0 -

부 2-2. 연구도구 사용 허락 (2)

Page 10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1 -

부 3. 원 도구

Ⅰ. Demographics Characteristic

1. Sex : Male/Female

2. Age : ( ) years

3. Years as registered nurse : ( ) years

4. Years in ICU : ( ) years

5. Hours worked per week : ( ) hours

6. No. of beds in unit : ( ) beds

7. Dying patients cared for : >30 ( ) 21-30( )

11-20( ) ≤10( ) Other( )

8. Highest degree : Diploma( ) Associate’s( )

Bachelor’s( ) Master’s( ) Doctoral( )

9. Ever CCRN : Yes( ) No( )

10. Currently CCRN : Yes( ) No( )

11. Years as CCRN : ( ) years

12. Practice area : ICU/CCUs( ) CV/shock-trauma-neuro ( )

13. ICUs : Medical( ) surgical ( ) Other( )

14. Hospital type : Nonprofit, community( )

University medical centers( )

For-profit, community( ) Other( )

Page 10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2 -

Ⅱ. Self-perceived end-of-life-care competencies

I am well prepared to: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Not

Applicable

1. Treat pain in the dying patient with pharmacological measures

(e.g., opiods, anticonvulsants, antidepressants).

2. Treat pain in the dying patient with nonpharmacological

measures (e.g., heat, cold, massage, relaxation techniques)

3. Treat respiratory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dyspnea and cough).

4. Treat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 nausea, vomiting, constipation, and bowel obstruction).

5. Treat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the dying patient

(e.g., delirium, seizures, anxiety, and restlessness).

6. Discuss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 and families.

7. Discuss code status with patients and families.

8. Withdraw life support in the dying patient.

9. Identify the emotion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0. Identify the cultur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1. Provide grief and bereavement support to patients and families

at end of life.

12. Identify the spiritual needs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age 10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3 -

I feel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Not

Applicable

13. Comfortable discussing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 and

families.

14. Comfortable discussing code status with patients and families.

15. Comfortable withdrawing life support in the dying patient.

16. It is important for physicians, nurses, and other ICU team

members to collaborate in end-of-life decision making.

17. ICU staff would benefit by commemorating the death of patients

in the ICU.

In the ICU: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Not

Applicable

18. I initiate advance care planning with patients/families when they

are admitted with no documentation of advance care plans.

19. I use the patient’s advance directive when developing goals

for end-of-life care.

20. Code status is discussed with patients/families in a timely

fashion when the patient’s clinical status deteriorates.

21. Withdrawal of life support is discussed with patients/families

in a timely fashion when the patient’s clinical status

deteriorates.

22. Clear and consistent information is provided by team members

to patients/families making decisions regarding end-of-life care.

Page 10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4 -

In the ICU: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Not

Applicable

23.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are addressed before

meeting with the patient and/or family.

24. Team members meet with the patient and/or family on a regular

basis to review the patient’s status and to answer questions.

25. Palliative care experts are consulted in a timely manner for

end-of-life issues.

26. We prepare patients and families for changes of clinicians

(attending physicians, residents, medical students, nurses, etc.).

27. Continuity of care for the patient/family at end of life is

observed when nursing assignments are made.

28.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staff to handle the personal

distress that may arise when caring for patients at end of life.

Page 10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5 -

Ⅲ. Intensity, Frequency for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care

Intensity, Frequency for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care

Supportive behaviors

Intensity Frequency

0 not

an

obstacle

1 2 3 4

5 extremely

large

obstacle

0 never

occurs 1 2 3 4

5 always

occurs

1. Family members having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the patient

after his/her death.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 Family members having a peaceful

and dignified bedside scen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3. Families being taught how to act

around dying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4. Family members show gratitude to

nurse for care provided to patient

who has died.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5. Physicians agreeing about direction

of patient car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6.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

is dying.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7. Families having unlimited access to

the dying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0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6 -

8. Nurse drawing on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critical illness or

death of a family member.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9. Family designating one family

member as contact person for the

rest of the family.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0. Nurses offer words of support to

each other.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1. Nurse having enough time to

prepare the family for patient’s

death.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2. Nurses scheduled so that patient

receives continuity of car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3. Unit designed so family has a place

to grieve in privat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4. Staff compiles all paper work to be

signed by the family before they

leave the uni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5. Nurses offer supportive physical

touch to each other.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6. Physicians meet in person with the

family after the patient’s death.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7. Nurses having a supportive person

outside of the work setting to listen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0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7 -

25. Please describe any missing helpful behaviors in detail. Indicate how large each help is and how frequently it occurs?

-

-

18. Physicians putting hope in tangible

terms for family.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9. Letting the social worker or

religious leader take primary care

of the grieving family.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0. Nurse talking with patient about his

or he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dying.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1. Nurses take care of patients while

affected nurse“gets away” for a

moment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2. Family physically helping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3. Having unlicensed personnel

available to to help care for

dying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4. Ethics committee constantly

involved in the unit, so they are

involved from the beginning should

an ethical situation arise later.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0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8 -

Ⅳ. Intensity, Frequency for obstacles in end-of-life-care

Intensity, Frequency for obstacles in end-of-life-care

Obstacles

Intensity Frequency

0 Not

an

obstacle

1 2 3 4

5 extremel

y

large

obstacle

0 never

occurs 1 2 3 4

5 always

occurs

1. Family continually calls nurse

for update rather than the

designated contact person.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 Family not understanding the

term“life-saving measures”

and its implication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3. Physicians differing in opinion

about care of a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4. Physicians evasive and avoid

Family.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5. Nurse too busy offering life-

saving measures to provide

quality end-of-life car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6. Families not accepting poor

patient prognosi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0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99 -

7.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8. Nurse having to deal with

distraught family while still

caring for patien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9. Nurse not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patient to

learn of his/her wishes

regarding treatment due to

sedation or depressed

neurological statu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0. Physicians won’t allow

patient to die from the disease

proces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1. Family requesting life-

saving measures contrary to

patient’s wishe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2. Physicians overly optimistic

to family about the patient

surviving.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3. Nurse called away from

patient and family to perform

other dutie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4. Patient’s treatments

continue, although painful or

uncomfortabl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0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0 -

15. Family fighting about life

support.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6. Nurse’s opinion about

patient’s care not valued.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7. Nurse knowing poor

prognosis before family.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8. Family members not having

private place to grieve at

patient’s bedsid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19. Family legal action is a

threat, thus patient intensive

care continues despite poor

prognosi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0. Patient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1. Family not with the patient

when he/she is dying.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2. Nurse not trained regarding

family grieving and quality

end- of-life car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3. Families grieving in culturally

diverse way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1 -

30. Please describe any missing obstacles in detail. Indicate how large each obstacle is and how frequently it occurs?

-

-

24. Family visiting hours too

liberal.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5. Family grieving time limited

to accommodate new

admission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6. Unavailability of ethics board

or committee to review

difficult patient cases.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7. Family not having a support

person eg, social worker or

religious leader.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8. Family visiting hours too

restrictive.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29. Continuing to provide

advanced treatments to dying

patients because of financial

benefits to hospital.

○0 ① ② ③ ④ ⑤ ○0 ① ② ③ ④ ⑤

Page 1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2 -

Abstract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supportive behaviors and barriers

Lee, Hyoji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oh, Chin-Kang, PhD, RN

End of life care is support for people who are approaching death

in the final hours or days of their lives, but more broadly care of all

those with a terminal condition that has become advanced,

progressive and incurable. It helps them to relieve pain and to

maintain high quality of life, human dignity as for rest of their lives.

It also includes support for their family or carers.

Intensive care units are designed to car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using complex medical devices and the highly technical

patient monitoring system. Seriously ill patients are admitted to

Page 1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3 -

intensive care unit to take advantage of advanced technology and

intensive nursing care with a primary emphasis on recovery and

surviving. Despite advances in technology and medicine that support

and prolong life, many patients deteriorate and fail to survive.

Mortality rates in intensive care units stand at approximately 20%,

in Korea, 30,000 people die in intensive care units per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about end of life care that can enhance the

dignity and comfort of the patients who died in intensive care unit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done to measure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intensity and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pportive behaviors and barriers

providing end of 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o identify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 that influences them.

This study is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used survey

method. Th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data were collected after receiving written consent from 142 critical

care nurses who had cared for dying patients in an adult intensive

care uni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2, 2014 to

September 30, 2014.

The instruments used for conducting the current study were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for critical care nurses(Montagnini,

Page 1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4 -

Smith & Balistrieri, 2012), supportive behaviors and barriers for

end of life care(Beckstrand & Kirchhoff, 2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age. The level of competency for knowledge perceived by critical

care nurse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years in

practice,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dying patients

cared for, critical care nurse certification, having previous end of

life care education. The level of end of life care competency for

behavior perceived by critical care nurse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years in practice,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dying patients cared for.

2)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 scores in end of life care by type of

intensive care unit who were employed.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intensity scores for barriers in end of life ca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years in practice,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dying patients cared for.

3) Correlation analyses concluded that end of life care

competency were affirmatively interrelated with supportive

behavior scores in end of life care perceived by critical care nurses.

Page 1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6/1/000000025184.pdf · 2019-11-14 ·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 of Nursing, 2002(as cited

- 105 -

The level of end of life care competency for behavior perceived by

critical care nurse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intensity scores for barriers in end of life

care.

In conclusion, developing end of life care education program for

critical care nurses and developing specific intervention to enhance

the items that was high intensity but low frequency can lead to

improve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 repetitive study is

suggested with large population and different setting for improving

generalizability. Furthermore, subsequent studies on ways to

overcome the barriers providing end of life care are needed.

Keywords: end of life care, competency, supportive behavior,

barrier

Student number: 2009-20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