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응급실 내원 영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및 부모교육자료 개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아동간호 전공

응급실 내원 영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및 · 응급실 내원 영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및 부모교육자료 개발 본 연구는 응급실 내원 빈도가 가장

  • Upload
    others

  • View
    9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응 실 내원 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부모교육자료 개발

연세 학교 간호 학원

아동간호 공

김 정

응 실 내원 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부모교육자료 개발

지도 유 일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7월 일

연세 학교 간호 학원

아동간호 공

김 정

김 정의 석사 학 논문을 인 함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심사 원 인

연세 학교 간호 학원

2011년 7월 일

감사의

아동 응 리에 비 을 가지고 시작한 학원 과정이 어느덧 2년 반의 시간이

흘러 이 게 결실을 맺을 수 있음에 감사를 드립니다. 학업과 임상 실습, 병원교

근무를 병행하는 동안 많은 분들의 배려와 도움이 있었기에 지치지 않고 잘 견

딜 수 있었습니다.

리하게 논문의 방향을 잡아주시고 부족한 을 채워주신 유일 교수님, 논문

마무리까지 따뜻하고 세심하게 도와주신 이혜정 교수님, 임상실무 장에 개발 도

구의 용을 가능 해주시고 지원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정희정 교수님께 머

리 숙여 깊은 감사의 말 을 올립니다.

바쁜 응 센터 업무 에도 학업을 가능 해주신 김인자 간호부장님, 변 순

장님께 감사드리며, 근무배려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주신 홍나숙 수선생님,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을 때 항상 등 같이 가야할 방향을 제시 해 주신 하 옥

선생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함께 울고 웃으며 힘들 때마다 동행해주고 사

랑해 우리 응 센터 식구들 이름을 다 나열 할 수 없지만 무도 감사한 마음

을 지면으로 나마 하는 바입니다.

IRB부터 논문 마무리까지 신경써주시고 지원해 주신 간호행정실 박 희 수선생

님, 통계분석을 지원해 주신 정책연구 지혜진 선생님, 학원 과정동안 서로 의

지하며 힘주신 이임정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국내 유일 아동 문간호사 교

육기 학원 동기 미문, 문진, 정언니, 미화언니 고맙습니다.

항상 새벽기도로 지원해 주신 엄마, 지칠 때면 힘내라고 든든하게 응원해 주신

아빠, 바쁜 나를 해 여러모로 도와 동생, 우리 가족 무도 사랑하고 소

합니다.

제가 지 이곳에 서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주님이 세워주셨기에

가능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7월

김 정 올림

- i -

차 례

차례․․․․․․․․․․․․․․․․․․․․․․․․․․․․․․․․․․․․․․․․․․․․․․․․․․․․․․․․․․․․․․․․․․․․․․․․․․․․․․․․․․․․․․․․․․․․․․․․․․․․․․․․․․․․․․․․․․․․․․․․․․․․․․․․․․․․․․․․․․․․․․․․․․․․․․․․․․․․․․․․․․․․․․․․․․․․․․․․․․․․․․․․․․․․․․․․․․․․․ ⅰ

표 차례․․․․․․․․․․․․․․․․․․․․․․․․․․․․․․․․․․․․․․․․․․․․․․․․․․․․․․․․․․․․․․․․․․․․․․․․․․․․․․․․․․․․․․․․․․․․․․․․․․․․․․․․․․․․․․․․․․․․․․․․․․․․․․․․․․․․․․․․․․․․․․․․․․․․․․․․․․․․․․․․․․․․․․․․․․․․․․․․․․․․․․․․․․․․․ ⅲ

그림차례․․․․․․․․․․․․․․․․․․․․․․․․․․․․․․․․․․․․․․․․․․․․․․․․․․․․․․․․․․․․․․․․․․․․․․․․․․․․․․․․․․․․․․․․․․․․․․․․․․․․․․․․․․․․․․․․․․․․․․․․․․․․․․․․․․․․․․․․․․․․․․․․․․․․․․․․․․․․․․․․․․․․․․․․․․․․․․․․․․․․․․․․․․ ⅲ

부록차례․․․․․․․․․․․․․․․․․․․․․․․․․․․․․․․․․․․․․․․․․․․․․․․․․․․․․․․․․․․․․․․․․․․․․․․․․․․․․․․․․․․․․․․․․․․․․․․․․․․․․․․․․․․․․․․․․․․․․․․․․․․․․․․․․․․․․․․․․․․․․․․․․․․․․․․․․․․․․․․․․․․․․․․․․․․․․․․․․․․․․․․․․․ ⅲ

국문요약․․․․․․․․․․․․․․․․․․․․․․․․․․․․․․․․․․․․․․․․․․․․․․․․․․․․․․․․․․․․․․․․․․․․․․․․․․․․․․․․․․․․․․․․․․․․․․․․․․․․․․․․․․․․․․․․․․․․․․․․․․․․․․․․․․․․․․․․․․․․․․․․․․․․․․․․․․․․․․․․․․․․․․․․․․․․․․․․․․․․․․․․․․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 ․․․․․․․․․․․․․․․․․․․․․․․․․․․․․․․․․․․․․․․․․․․․․․․․․․․․․․․․․․․․․․․․․․․․․․․․․․․․․․․․․․․․․․․․․․․․․․․․․․․․․․․․․․․․․․․․․․․․․․․․․․․․․․․․․․․․․․․․․․․․․․․․․․․․․․․․․․․․․․․․․․․․ 3

Ⅱ. 문헌고찰․․․․․․․․․․․․․․․․․․․․․․․․․․․․․․․․․․․․․․․․․․․․․․․․․․․․․․․․․․․․․․․․․․․․․․․․․․․․․․․․․․․․․․․․․․․․․․․․․․․․․․․․․․․․․․․․․․․․․․․․․․․․․․․․․․․․․․․․․․․․․․․․․․․․․․․․․․․․․․․․․․․․․․․․․․․․․․․ 4

1. 응 실 내원 아동 보호자의 특성과 진료만족도․․․․․․․․․․․․․․․․․․․․․․․․․․․․․․․․․․․․․․․․․․․․․․․․․․․․․․․․․․․․․․ 4

2. 응 실 내원 발열 아동 리․․․․․․․․․․․․․․․․․․․․․․․․․․․․․․․․․․․․․․․․․․․․․․․․․․․․․․․․․․․․․․․․․․․․․․․․․․․․․․․․․․․․․․․․․․․․․․․․․․․․․․․․․․․․․․․․․․․․․․․․․․․ 7

1) 내원 아동부모의 발열 인식 교육 필요성 ․․․․․․․․․․․․․․․․․․․․․․․․․․․․․․․․․․․․․․․․․․․․․․․․․․․․․․․․․․․․․․․․․․․․․․․․․ 7

2) 발열 아동 관리 및 교육 ․․․․․․․․․․․․․․․․․․․․․․․․․․․․․․․․․․․․․․․․․․․․․․․․․․․․․․․․․․․․․․․․․․․․․․․․․․․․․․․․․․․․․․․․․․․․․․․․․․․․․․․․․․․․․․․․․․․․․․․․․․․․․ 8

3. 발열 선별도구 개발의 기 자료․․․․․․․․․․․․․․․․․․․․․․․․․․․․․․․․․․․․․․․․․․․․․․․․․․․․․․․․․․․․․․․․․․․․․․․․․․․․․․․․․․․․․․․․․․․․․․․․․․․․․․․․․․․․․․․․ 10

1) 아동 발열의 정의와 기 ․․․․․․․․․․․․․․․․․․․․․․․․․․․․․․․․․․․․․․․․․․․․․․․․․․․․․․․․․․․․․․․․․․․․․․․․․․․․․․․․․․․․․․․․․․․․․․․․․․․․․․․․․․․․․․․․․․․․․․․․․․․․․ 10

2) 발열 고 험군 사정․․․․․․․․․․․․․․․․․․․․․․․․․․․․․․․․․․․․․․․․․․․․․․․․․․․․․․․․․․․․․․․․․․․․․․․․․․․․․․․․․․․․․․․․․․․․․․․․․․․․․․․․․․․․․․․․․․․․․․․․․․․․․․․․․․․․․․․․․․․․ 11

Ⅲ. 연구방법․․․․․․․․․․․․․․․․․․․․․․․․․․․․․․․․․․․․․․․․․․․․․․․․․․․․․․․․․․․․․․․․․․․․․․․․․․․․․․․․․․․․․․․․․․․․․․․․․․․․․․․․․․․․․․․․․․․․․․․․․․․․․․․․․․․․․․․․․․․․․․․․․․․․․․․․․․․․․․․․․․․․․․․․․․․․․․․ 13

1. 응 실 내원 발열 아동 선별도구 개발․․․․․․․․․․․․․․․․․․․․․․․․․․․․․․․․․․․․․․․․․․․․․․․․․․․․․․․․․․․․․․․․․․․․․․․․․․․․․․․․․․․․․․․․․․․․․․ 13

2. 발열 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개발․․․․․․․․․․․․․․․․․․․․․․․․․․․․․․․․․․․․․․․․․․․․․․․․․․․․․․․․․․․․․․․․․․․․․․․․․․․․․․․․․․․․․․․․․․․․․․․․․․․․․․․ 15

- ii -

Ⅳ. 연구결과 ․․․․․․․․․․․․․․․․․․․․․․․․․․․․․․․․․․․․․․․․․․․․․․․․․․․․․․․․․․․․․․․․․․․․․․․․․․․․․․․․․․․․․․․․․․․․․․․․․․․․․․․․․․․․․․․․․․․․․․․․․․․․․․․․․․․․․․․․․․․․․․․․․․․․․․․․․․․․․․․․․․․․․․․․․․․․ 17

1. 발열 선별도구의 개발 ․․․․․․․․․․․․․․․․․․․․․․․․․․․․․․․․․․․․․․․․․․․․․․․․․․․․․․․․․․․․․․․․․․․․․․․․․․․․․․․․․․․․․․․․․․․․․․․․․․․․․․․․․․․․․․․․․․․․․․․․․․․․․․․․․․․․ 17

1) 발열 선별 도구 내용․․․․․․․․․․․․․․․․․․․․․․․․․․․․․․․․․․․․․․․․․․․․․․․․․․․․․․․․․․․․․․․․․․․․․․․․․․․․․․․․․․․․․․․․․․․․․․․․․․․․․․․․․․․․․․․․․․․․․․․․․․․․․․․․․․․․․․․․․ 17

2) 발열 선별 도구의 타당도․․․․․․․․․․․․․․․․․․․․․․․․․․․․․․․․․․․․․․․․․․․․․․․․․․․․․․․․․․․․․․․․․․․․․․․․․․․․․․․․․․․․․․․․․․․․․․․․․․․․․․․․․․․․․․․․․․․․․․․․․․․․․․ 33

3) 발열 선별 도구의 용 일치도 ․․․․․․․․․․․․․․․․․․․․․․․․․․․․․․․․․․․․․․․․․․․․․․․․․․․․․․․․․․․․․․․․․․․․․․․․․․․․․․․․․․․․․․․․․․․․․․․․․․․․․․․․․․․․ 34

2. 발열 아동 리 부모 교육 자료의 제공 평가 ․․․․․․․․․․․․․․․․․․․․․․․․․․․․․․․․․․․․․․․․․․․․․․․․․․․․․․․․․․․․․․․․․ 35

Ⅴ. 논의․․․․․․․․․․․․․․․․․․․․․․․․․․․․․․․․․․․․․․․․․․․․․․․․․․․․․․․․․․․․․․․․․․․․․․․․․․․․․․․․․․․․․․․․․․․․․․․․․․․․․․․․․․․․․․․․․․․․․․․․․․․․․․․․․․․․․․․․․․․․․․․․․․․․․․․․․․․․․․․․․․․․․․․․․․․․․․․․․․․․․․․․․․ 39

1. 응 실 내원 유아기 아동 발열 선별도구․․․․․․․․․․․․․․․․․․․․․․․․․․․․․․․․․․․․․․․․․․․․․․․․․․․․․․․․․․․․․․․․․․․․․․․․․․․․․․․․․․ 39

2. 발열 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 40

3. 연구의 제한 ․․․․․․․․․․․․․․․․․․․․․․․․․․․․․․․․․․․․․․․․․․․․․․․․․․․․․․․․․․․․․․․․․․․․․․․․․․․․․․․․․․․․․․․․․․․․․․․․․․․․․․․․․․․․․․․․․․․․․․․․․․․․․․․․․․․․․․․․․․․․․․․․․․․․․․․․․․․ 40

Ⅵ. 결론 제언 ․․․․․․․․․․․․․․․․․․․․․․․․․․․․․․․․․․․․․․․․․․․․․․․․․․․․․․․․․․․․․․․․․․․․․․․․․․․․․․․․․․․․․․․․․․․․․․․․․․․․․․․․․․․․․․․․․․․․․․․․․․․․․․․․․․․․․․․․․․․․․․․․․․․․․․․․․․․․․․․․․ 41

참고문헌․․․․․․․․․․․․․․․․․․․․․․․․․․․․․․․․․․․․․․․․․․․․․․․․․․․․․․․․․․․․․․․․․․․․․․․․․․․․․․․․․․․․․․․․․․․․․․․․․․․․․․․․․․․․․․․․․․․․․․․․․․․․․․․․․․․․․․․․․․․․․․․․․․․․․․․․․․․․․․․․․․․․․․․․․․․․․․․․․․․․․․․․․․ 43

부록1. 발열 아동교육 부모교육자료 설문지 ․․․․․․․․․․․․․․․․․․․․․․․․․․․․․․․․․․․․․․․․․․․․․․․․․․․․․․․․․․․․․․․․․․․․․․․․․․․․․․․․․․․․․․․․․ 48

부록2. 발열아동관리 부모교육자료 ․․․․․․․․․․․․․․․․․․․․․․․․․․․․․․․․․․․․․․․․․․․․․․․․․․․․․․․․․․․․․․․․․․․․․․․․․․․․․․․․․․․․․․․․․․․․․․․․․․․․․․․․․․․․․․․․ 52

부록3.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심사결과 통보서 ․․․․․․․․․․․․․․․․․․․․․․․․․․․․․․․․․․․․․․․․․․․․․․․․․․․․․․․․․․․․․․․․․․․․․․․․․․․․․․․․․․․․․․ 53

문 록 ․․․․․․․․․․․․․․․․․․․․․․․․․․․․․․․․․․․․․․․․․․․․․․․․․․․․․․․․․․․․․․․․․․․․․․․․․․․․․․․․․․․․․․․․․․․․․․․․․․․․․․․․․․․․․․․․․․․․․․․․․․․․․․․․․․․․․․․․․․․․․․․․․․․․․․․․․․․․․․․․․․․․․․․․․․․․․․․․․․․․․․․ 54

- iii -

표 차례

표 1. 발열 아동의 증세균감염 험도 확인 도구 ․․․․․․․․․․․․․․․․․․․․․․․․․․․․․․․․․․․․․․․․․․․․․․․․․․․․․․․․․․․․․․․․․․․․․․․ 12

표 2. 발열 아동 증도 분류 선별 기 ․․․․․․․․․․․․․․․․․․․․․․․․․․․․․․․․․․․․․․․․․․․․․․․․․․․․․․․․․․․․․․․․․․․․․․․․․․․․․․․․․․․․․․․․․․․ 18

표 3. 발열 선별도구의 타당도 ․․․․․․․․․․․․․․․․․․․․․․․․․․․․․․․․․․․․․․․․․․․․․․․․․․․․․․․․․․․․․․․․․․․․․․․․․․․․․․․․․․․․․․․․․․․․․․․․․․․․․․․․․․․․․․․․․․․․․․․․․․․․․․ 33

표 4. 발열 선별도구의 평가자 간의 일치도․․․․․․․․․․․․․․․․․․․․․․․․․․․․․․․․․․․․․․․․․․․․․․․․․․․․․․․․․․․․․․․․․․․․․․․․․․․․․․․․․․․․․․․․․․․․․․․ 34

표 5. 응답자의 일반 특성 ․․․․․․․․․․․․․․․․․․․․․․․․․․․․․․․․․․․․․․․․․․․․․․․․․․․․․․․․․․․․․․․․․․․․․․․․․․․․․․․․․․․․․․․․․․․․․․․․․․․․․․․․․․․․․․․․․․․․․․․․․․․․․․․․․․․․ 35

표 6. 응 실 내원 사유 ․․․․․․․․․․․․․․․․․․․․․․․․․․․․․․․․․․․․․․․․․․․․․․․․․․․․․․․․․․․․․․․․․․․․․․․․․․․․․․․․․․․․․․․․․․․․․․․․․․․․․․․․․․․․․․․․․․․․․․․․․․․․․․․․․․․․․․․․․․․․․․․ 36

표 7. 열 리 교육 경험․․․․․․․․․․․․․․․․․․․․․․․․․․․․․․․․․․․․․․․․․․․․․․․․․․․․․․․․․․․․․․․․․․․․․․․․․․․․․․․․․․․․․․․․․․․․․․․․․․․․․․․․․․․․․․․․․․․․․․․․․․․․․․․․․․․․․․․․․․․․․․․․․․ 37

표 8. 발열 리 교육 자료에 한 만족도․․․․․․․․․․․․․․․․․․․․․․․․․․․․․․․․․․․․․․․․․․․․․․․․․․․․․․․․․․․․․․․․․․․․․․․․․․․․․․․․․․․․․․․․․․․․․․․․․ 38

그림 차례

그림 1.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3개월~5세 아동 발열 선별도구 안․․․․․․․․․․ 31

그림 2.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5세 이하 아동 발열 선별도구․․․․․․․․․․․․․․․․ 32

부록 차례

부록 1.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설문지․․․․․․․․․․․․․․․․․․․․․․․․․․․․․․․․․․․․․․․․․․․․․․․․․․․․․․․․․․․․․․․․․․․․․․․․․․․․․․․․․․․․․․․․․․․․ 48

부록 2. 발열 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 52

부록 3. 임상시험심사 원회 심사결과 통보서 ․․․․․․․․․․․․․․․․․․․․․․․․․․․․․․․․․․․․․․․․․․․․․․․․․․․․․․․․․․․․․․․․․․․․․․․․․․․․․․․․․․․․․․ 53

- iv -

국문 요약

응 실 내원 유아의 발열 선별도구 부모교육자료 개발

본 연구는 응 실 내원 빈도가 가장 높은 유아기 아동의 발열을 국내 응 의

료 환경에 합한 증도 분류와 선별기 을 확인하여 발열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발열 선별도구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된 아동 보호자를 한 발열아

동 리 부모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방법론 연구이다.

발열 아동의 증도 분류 선별기 에 한 국내외 문헌과 기존 분류 기 을

확인하여 국내 의료 환경에 합한 발열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문가집단의 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 다. 문가 타당도가 검증된

발열 선별도구의 용 일치도는 K시에 소재한 일 병원의 소아 응 실 담당 의료

인 2인이 2010년 6월2부터 6월12까지 응 센터에 내원한 발열아동을 상으로

용하여 평가하 으며 SAS version 9.2 (SAS institute, Cary, NC)의 weighted

kappa analysis를 통해 분석하 다.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는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ntervention), 평가(Evaluation)의 단계를 거쳐 리 릿으로 제작 하 다. 개발

된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의 실행 평가는 발열 선별도구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되어 퇴원하는 아동의 보호자를 상으로 부모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일반 인 사항, 발열에 한 사항, 교육자료에 한 사항 등 총 13문항으로 구성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부모교육자료의 이해도와 유용성, 내원에 미치는

향을 평가하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헌고찰과 기존 발열 선별도구를 분석하여 개발된 5세 이하 유아기 발열

아동에 한 선별도구에 한 문가 타당도는 0.985 다.

- v -

2. 발열선별도구의 용 일치도 평가는 weighted kappa 값 0.6970 (95% 신뢰구

간 : 0.4493~0.9446)으로 평가자간 일치도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3. 부모교육자료에 한 이해도는 체 39명 29명(74.36%)이 ‘그 다’고 응답

하 으며, 유용성은 25명(64.10%)이 ‘그 다’라고 답하 으며, 이해도와 유용성

은 통계 으로 유의하 으며, 26명(66.67%)이 부모교육자료로 비 응 발열로

인한 응 실 내원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하 다.

본 연구는 응 실에 내원하는 아동의 주된 이유인 발열에 한 선별도구와 부모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임상 실무 장에 용함으로 타당도와 용가능성을 평가

하 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선별도구와 교육자료를 사용하므로

소아응 진료의 질 향상, 응 실 내원 아동 보호자의 만족도 증진, 응 실의

효율 인 리를 도모할 수 있다고 믿는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선별도구와 교

육자료 개발 실무 용 과정의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은 본 연구가 간호 실무

의 발 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핵심이 되는 말 : 발열 선별도구, 부모교육자료, 응 실간호, 유아발열

- 1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인들은 질환 리 시 최상의 그리고 가장 안 한 방법을 제공하여야 하며

그를 해서는 과학 근거에 바탕을 둘 필요가 있다. 표 화된 진료 지침은 병원

의 체류시간 감소, 진료의 질을 유지 는 개선 할 수 있으며, 환자와 가족, 의료

진, 학생에 한 교육 수단이 될 수도 있다. 한 진료 지침 주호소를 리하

는 로토콜은 의료진의 만족도와 자율성을 증진 시킬 수 있으며, c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해 간호를 수행한 결과 직무스트 스와 직무만족도가

시행하기 보다 스트 스가 고 만족도가 높아졌다(Ethridge, P. 1987). 주호소를

리하는 로토콜 개발은 진료의 질을 개선하고 정 인 비용-효과 인 결과를

도모한다. 응 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의 응 상태를 단하는 데에는 성인의 경

우와 같은 과정을 따르지만, 응 상황에 처한 아동의 요구는 성인과 다르기 때문

에 다르게 리되어야 한다(Thomas, 2002). 2009년 1월부터 12월 까지 진료정보망

구축에 따른 응 실 내원환자 통계에 따르면 응 환자 소아환자의 수는 94만

명 (24.6%)에 달하고 있으나, 국 권역, 지역 응 의료센터(총128개소) 소아청

소년 담 인력이 없는 기 이 52%나 되어, 응 실 이용자 만족도 하에 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 다(보건복지부, 2010). 그 안으로 2010년 '응 의료에

한 법률' 개정 법률안은 소아환자에게 합한 의료 환경의 조성을 한 노력의 일

환으로 응 의료기 은 소아응 환자를 한 응 실과 성인응 환자를 한 응

실을 따로 설치ㆍ운 하도록 하 지만 일정규모 이하의 응 의료 기 에 해서

는 외로 하고 있어 실 으로 소아응 환자의 진료에는 크게 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응 의료에 한 법률안 제 31조의2에 제2항, 제3항 신설). 이러한 국

내의 소아응 의료 실에서 소아환자가 응 실을 찾는 주된 이유인 발열을 리

하는 선별도구는 소아 청소년 담 의료 인력이 없는 의료기 의료인의 직무스

- 2 -

트 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것이며 표 화된 진료 흐름으로 불필

요한 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므로 진료비용의 효율성을 가지고 올 수 있다.

응 실에 내원하는 소아환자는 재실환자로서 많은 비 을 차지하지만 비 응 인

경우가 많고, 응 진료에 한 이해가 부족한 환아 보호자들에게 상황을 이해시키

고, 조를 구해야 하는 등 성인환자에 비해 근의 어려움이 있다(Commitee on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2007). 곽병곤과 장 호(2006)는 소아 응 실을 내원한

환아를 분석한 결과 19.9%가 발열로 내원하 으며, 발열로 내원한 환아 약 1/4

에 해당하는 26.4%만이 응 치료 는 입원치료를 요하는 질환이었음을 보고하면

서 부모들이 발열에 한 두려움으로 과도하게 응 실을 내원함을 보고하 다. 김

신정, 문선 과 박은옥(2001)은 응 실을 찾은 소아환자의 부분이 응 실에서 치

료와 간호를 받지 않아도 될 수 의 소아환자가 응 실을 방문하 다고 보고하

으며, 효과 인 응 실 운 을 해서는 비 응 소아환자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귀가시킴으로써 신 증도가 높은 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

다. 발열 선별도구는 신속한 진료를 가능 함으로 응 실 이용 시 주된 불만 사

항인 응 실내 진료 기 시간을 감소시켜 진료의 만족도 하를 방할 수 있다.

한 비 응 소아환자의 응 실 체류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응 실 과 화가 해

소될 것이며, 과학 근거를 기반으로 한 표 화된 진료를 제공함에 따라 진료의

질이 향상 될 것이라는 기 효과가 있다.

비 응 발열로 인한 소아환자들의 불필요한 응 실 내원을 방하기 해서는

부모들이 발열에 해 불필요한 두려움을 없애고 하게 처하려면 발열에

한 올바른 인식과 지식이 있어야 하고 발열 발열 리에 한 교육이 필요하다

(Karwowska et, al., 2002). Paul등(2007)은 의료인들이 최신의 과학 근거를 부모

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표 화된 교육 자료나 발열 리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 실 내원 빈도가 높은 발열을 주호소로

하는 유아기 아동을 상으로 국내 응 의료 환경에 합한 발열 증도 분류

와 선별기 을 확인하여 발열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발열 선별도구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된 아동 보호자의 이해를 돕고 불안을 감소시켜, 비 응 발

열로 인한 불필요한 응 실 내원을 방하기 해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를

- 3 -

개발함으로 소아응 진료의 질 향상, 응 실 내원 아동 보호자의 만족도 증진,

응 실의 효율 인 리를 도모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열을 주 호소로 응 실에 내원하는 유아기아동에 한 발열 선별도구

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발열 선별 도구를 통해 비 응 으로 분류된 발열아동을 상으로

사용할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를 개발한다.

- 4 -

II. 문헌고찰

1. 응 실 내원 아동 보호자의 특성과 진료만족도

응 실 과 화 방을 한 기 연구(2007)에 따르면 응 환자 체 발생건수

소아 응 환자는 25%이며, 이 경증 응 환자가 80-90%를 차지한다고 하 다.

김 혜, 이화자, 조석주(1999)는 응 실을 찾은 환아 에 비 응 환아의 비율이

과반수를 넘은 것은 응 실에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될 수 의 환아가 응 실을

내원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 으며, 정구 , 신 섭, 김호성, 이승주(1994)는 응

실에 내원한 소아환자의 약 50%는 응 실에서 치료가 필요 없는 비응 군으로

단되었으며, 이 90%이상에서 단순 투약 후나 아무처치 없이 귀가하여 회복되

었다고 하 다. 김신정, 문선 (1999)은 응 환아의 발달 연령에 따른 체 인

비율은 유아기가 35%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 다고 하 으며, 고열이 있을

경우 부모는 아동의 상태에 해 비정상 인 공포를 가지게 되어 응 실을 방문

하기 된다고 하 다. 곽병곤과 장 호(2006)는 소아응 실에 내원한 8,881명

19.9%인 1,764명이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하 으며, 연령별 분포는 12~23

개월 연령군이 1,565명(17.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11개월 연령군이 1,121

명(12.6%), 2세 연령군이 1,018명(11.5%)이라고 보고하 다. 혜진(2007)도 소아환

자의 응 실 방문 실태를 분석하기 한 연구에서 연령별로 내원한 소아의 평균

연령(표 편차)은 3.97세로, 아기인 1세~3세군이 51.3%로 가장 많은 비 을 차지

하고 다음으로 4-6세군이 22.5%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하 으며, 발열을 주

호소로 내원한 소아가 체소아 환자의 24.3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다고

하 다. 김 혜, 이내 , 하재 (2010)은 권역응 센터를 방문한 아동은 발달기별로

아가 체 41.1%로 가장 많았고, 발열이 20.6%로 가장 빈번한 주호소라고 하

으며, 유재욱과 이 화(2010) 한 2년간 응 실에 내원한 소아청소년 환자 수는

14,065명 1~3세 미만이 3,959명(28.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5세미만

- 5 -

이 2,549명(18.1%)이었고, 증상․질환별로는 발열이 1,836명(13.1%)으로 가장 많았

다고 하 다.

결론 으로 응 실에 내원하는 소아환자의 가장 많은 비 을 차지하는 주 호소

는 발열이고, 발달단계별 분포에 따른 내원아동의 연령은 , 유아기가 가장 많았

다. 한 발열은 아동이 응 의료기 을 방문하는 주된 원인이나 응 실의 내원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아, 응 실 과 화를 래하는 잠재 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아 환자는 발달단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자신의 증상에 한 표 능

력이 부족하여 응 실에 동반하는 가족 는 보호자에게 거의 부분을 의존하는

데, ‘응 ’이라는 상황은 소아환자를 동반하는 가족 는 보호자에게도 불안이나

스트 스 원으로 작용한다(안효덕, 1987). Oberlander 등(1993)은 소아 응 실의 이

용은 증가하나 3/4은 비 응 인 문제를 치료하기 해 방문하 으며 방문하게

된 이유는 질병 따른 증상의 심각성에 한 걱정 때문으로, 부모들은 경미한 질병

의 증상에 한 임상 요성을 과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 다. 김 혜 등

(1999)은 응 실 내원 소아환자는 환자의 증도를 평가하여 응 실에 내원하기

보다는 응 의료체계에 한 이해가 부족하여 응 실에 내원하지 않아도 될 수

의 환아가 내원하 다고 하 으며, 김 주 등(1998)은 소아환자는 부모가 생각하는

바와 응 상태에 한 객 인 지표가 의료진의 소견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로 인한 소아환자의 처치지연 기는 응 상황에서 소란의 원인이 되

고, 가족에게 더 큰 불만을 가져다주며 스트 스를 가 시키게 되고, 복잡한 주변

환경은 여러 가지 감정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 다. Frieman(1992)은 응 실

은 과 화가 무 심해 환자의 38%는 침상에서 12시간 이상 기다린다고 보고했으

며, 평균 기 시간은 6.4시간이라도 보고하며 장시간의 진료 기는 의료이용과

련된 불만을 높아지게 한다고 하 다. 국내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 국민 응

의료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응 실 이용 시 주된 불만사항은 응 실내 진료

기시간으로 분석되었고, 김성배 등(1992)은 응 실에서의 진료 기 시간의 지연

은 환자에게 강한 감을 다고 하 으며, 윤성자(1996)의 연구에서도 진료 소

요시간이 짧을수록 진료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박인숙 등(2002)은 소아환자의

- 6 -

부모가 인지한 스트 스 요인은 검사로 인해 환아가 고통스러울 것에 해서, 담

당 의사를 쉽게 만날 수 없는 것에 해서, 환아에게 하다고 생각되는 처치를

즉각 으로 해주지 않는 것에 해서, 환아의 치료가 지연되는 것에 해서 순으

로 나타났다고 하 다. 응 실에서 비 응 군으로 분류된 발열 소아환자는 진료

기를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증, 상해 환자들의 불필요한 장면의 목격은 응

실에 내원한 소아환자의 공포 는 정신 충격을 가 시키며, 문정미(2002)는 소

아가 응 실에 내원하는 경우, 일상생활을 떠나서 병원이라는 새롭고 낮선 환경에

서 치료과정을 통해 많은 자극에 노출되므로, 질병으로 인한 고통 뿐 아니라, 공

포, 불안, 분노 등과 같은 정서 인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고 하 다. 소아 발열로

인한 부모의 불안정도가 높은 상황에서 일 되지 않고 신속한 진료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진료의 만족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 소아 응 환자의 진료만족도를

높이기 한 소아응 실 분리운 , 소아과 담 공의와 소아과 담 간호사의

소아 응 진료실 상주, 소아응 실 분리 운 등의 노력과 응 실 과 화를 해소

하고자 비 응 환자를 분류하기 한 기 을 용하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표

화된 발열 선별기 과 발열 선별기 용의 일반화가 요구된다.

- 7 -

2. 응 실 내원 발열아동 리

1) 내원아동 부모의 발열 인식 교육 필요성

Schmitt(1980)는 부모들이 발열에 한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도

한 두려움, 불안, 는 걱정을 하는 발열공포(fever Phobia)가 있어 필요 이상으로

공격 인 처치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 다. 곽병곤, 장 호(2006)는 부모들

은 아동의 발열 시 매우 당황스러워하고 질병의 증도와 연결 시켜 막연한 두려

움을 가지며, 이로 인해 약간의 체온 상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병원 외래 는

응 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 으며, 부모들의 발열에 한 두려움은

결국은 불필요한 보건의료이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요하다고 하

다. Kuenizi와 Fenton(1975)은 환자 가족은 병원문을 들어서면서부터 불안을 경험

하게 되는데 이는 병원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며, 병원의 치료환

경이나 곁에 환자가 있는 것에 해서, 환자 상태나 진단, 치료과정에 한 불

확실성 때문에 불안을 느낀다고 하 다. 따라서 부모들이 발열에 해 불필요한

두려움을 없애고 하게 처하려면 발열에 한 올바른 인식과 지식이 있어야

하고 발열 발열 리에 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Karwowska et, al.,

2002). 실제로 아동의 부모에게 과학 인 근거를 기반으로 열 리에 한 교육을

실시하면 부모의 발열에 한 태도는 정 으로 변화하게 되고, 발열 리에 한

지식이 증가하고, 아동의 발열에 한 불안, 의료기 의 방문과 해열제 사용의 빈

도가 어드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ker, Monroe, king, Sorrentino, & Glaeser,

2009). 정용선 등(2010)은 부모들이 발열 발열 리에 해서 잘 알고 있다면 발

열 리를 잘 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해 확신을 가지게 될 것이며 그러한

확신은 결국 발열 발열 리에 한 부모의 과도한 두려움을 여 불필요한

의료이용의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하 다. 박인숙 과 이남형(2002)은 응 의료센

터에 내원한 환아 부모의 스트 스 연구에서 기 상황에 있는 부모의 감정을 이

해하고 부모들이 궁 해 하는 사항에 해 들어주며 환자에 한 당한 정보제

시, 치료 차에 한 설명과 단 의 정책에 해 정보를 제공해 으로써 가

- 8 -

족의 불안 스트 스를 감소시키고 기에 바람직하게 처 할 수 있도록 도움

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 다.

2) 발열아동 리 교육

응 실에 방문하는 소아환자는 짧은 시간동안 체류하면서 일반 으로 ‘비교

요하지 않은 상황’으로 내원한다. Piskosz(2007)는 응 실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가족을 돌보는 데에는 간호사의 역할이 크다고 지 하 다. 발열아동의 부모를

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많은 부모들이 발열 발열 리에 한 지식수 은 낮았

고, 발열에 한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으며, 발열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해에 해 불필요하게 과다한 공포가 있었다. 한 미열이나 등도의 발열에서

도 일상 으로 해열제를 사용한다든지 잠자는 아동을 깨워서 해열제를 투여하는

등의 부 한 발열 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rocetti et al. 2009).

Crocetti, Moghbeli와 Serwint (2001)는 30년 과 비교하여 부모들의 열에 한

편견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아동과 부모와 함께 일을 하는 간호사들이

부모들의 발열에 한 편견을 없애고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한 발열 리를

하는데 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 다. 정용선 등(2010)은 아동발열 리에

한 부모의 인식, 지식과 자기효능감에 한 연구에서 Schemitt(1980)와 Crocetti

등(2001)이 주장한 발열공포가 연구 상 부모들에게 상당히 존재하고 있었으며, 부

모들의 발열공포를 이기 해 발열 발열 리에 한 부모용 교육 로그램의

개발 평가가 요구된다고 하 다. Paul등(2007)도 의료인들이 최신의 과학 근

거를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표 화된 교육 자료나 발열 리 지침을 마련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 다. 응 의료기 의 간호사는 아동에 한 사정기술이나

연령과 발달단계에 따른 증상과 징후를 주의 깊게 찰 할 수 있어야 하며

(Hohenhaus et al., 2008), 한 Bjorvell(1991)은 응 실 도착 시 환자에게 주어지

는 정보가 응 실 간호에 정 인 향을 미친다고 하 다. 이도 (2010)은 정보

제공은 간호사의 독자 이자 문 인 요한 기능이라고 하 으며, 김 혜 등

(2010)은 특히 응 의료기 에서 아동을 돌보는 아동간호사는 교육을 통해 발열에

한 부모들의 두려움을 완화시켜 한 발열 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실

- 9 -

질 인 처치의 과정에서 아동과 가족에게 정보와 지지를 제공하고, 퇴원 시에

도 증상이나 질환에 한 교육을 시행하는 등 극 인 역할로 부모와의 력

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하 다.

결론 으로 응 실에 아동을 담당하는 의료인은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

하는 아동을 하게 선별하는 기 과 능력을 가지고 아동발열을 리하여야 하

며, 내원 아동과 보호자의 진료 만족도와 원활한 진료 흐름을 해 유용하고 정확

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응 실에서 주치

의는 가시 인 자료 없이 말과 메모로 일방 인 질환 상태에 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어 만족도가 낮으며, 응 실은 환자 보호자에게 시간 , 공간 , 상

황 으로 충분한 교육을 제공할 수 없는 환경이다. 최근 다양한 간호정보제공 방

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임연호(2006)는 구조 인 방법이 비구조 인 방법보다 훨씬

효과 이며, 간호정보제공은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의 수 에 맞는 내용

을 여러 가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해 제공하는 것이 효과 이라고 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리 릿이 간호정보를 제

공하는 교육매체로 응 실 환경에 하다고 단하 다.

- 10 -

3. 발열 선별 도구 개발의 기 자료

1) 아동 발열의 정의와 기

열은 면역자극에 한 정상 응반응으로, 일 변동(daily variation)을 넘어서

체온이 증가한 것(NICE, 2007; Thompson, 2005)으로 기 보다 상승된 상태로

38℃(100℉)이상의 체온으로 정의한다. 체온은 시상하부의 자동온도조 기 에 의

해 조 되며, 이 기 은 말 에 치한 수용체로부터 정보를 받아, 체온의 변화가

발생할 때 수용체들은 자동온도조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여, 기 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해 체온을 증가 는 감소시키게 된다. 하지만, 감염 시 발열 물질이

신체의 정상 기 을 증가시키게 되고, 로스타 란딘에 의해 조정과정이 증가

되어 진다. 결과 으로, 시상하부는 심체온이 새로운 기 에 도달할 때 까지

열 생산을 증가시킨다. 아동에게 열은 바이러스가 주요원인이고, 비교 기간이

짧고 제한된 결과를 가진다. 열이 박테리아에 의한 것이라면 내독소가 생산되어

염증과정을 활성화시키며 열을 발생시킨다. 한 열은 특이성과 비 특이성 면역을

모두 발달시키고, 감염으로부터 회복과 생존을 돕는 기능을 한다(하 수, 1996). 소

아의 체온은 성인보다 덜 안정되어 있고 0.25~0.5℃ 정도 더 높다. 열의 정상범

는 주장하는 문가들에 따라 다양하게 나 어지고 있다. 한 측정하는 체온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직장체온의 경우는 38℃(100.4℉)이상, 구강체온의 경우는

37.8℃(100℉) 이상, 액와 체온의 경우는 37.2℃(99℉)이상 일 때 열이 있다고 하며,

38~38.5℃는 미열이라고 하고 40℃이상일 때를 고열이라고 한다 (Potter & Perr,

1997). 발열은 부신수질에 의해 아드 날린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맥박수, 호흡수, 사율 그리고 근육의 긴장도를 증가 시킨다. 당 분해 작용을 자

극하여 세포내로 화학 반응 속도가 증가하고 이 부산물이 열을 생산한다. 한

말 의 수축을 자극하여 열 보존에 요한 역할을 하도록 한다(Totapally,

2005). 발열은 면역과정을 증진시키고 감염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켜 다. 일반

으로 발열은 보호 인 항상성기 (protective homeostatic mechanism)으로 받아들

여진다(Broom, 2007). 항체나 백 구는 고온에서 더 작용을 잘한다. 따라서 40℃미

- 11 -

만의 발열은 이로운 효과를 가진다(Totapally, 2005). 37.5℃와 40℃사이의 체온은

사율을 증가시킨다. 체온이 1℃ 증가할 때마다 사율은 10% 증가되고, 빠른

사율에 의해 생성된 보다 높은 체온이 임 구의 변형을 자극하고 호 구의 자동

운동성이 증가하여 식균작용이 보다 효과 으로 되며, 인터페론 생성에 향을

다. 이로 인해 면역에 한 효율성은 증가하고, 직 으로 향을 미친다(Broom,

2007).

2) 발열 고 험군 사정

3개월 미만의 아에서는 모체로부터 받은 면역체로 인해 고열은 드물다. 그러

나 3개월 미만의 아에서 체온이 38℃이상인 경우에는 패 증이나 심각한 감염

을 배제 할 수 없으며 3개월 미만의 아들이 3개월 이상의 소아보다 심각한 감

염을 지날 험이 21.5배나 높게 추산되므로 (Pantell et al, 1980), 열의 원인을 모

르는 상태의 소아의 경우에는 배양검사를 하고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1~3개월 된 열이 있는 환아의 략 10%정도가 심각한 세균성 감염을 가지

고 있다. 이 연령은 험군을 확인하는 도구인 Rochester criteria를 이용하여 분

류함으로써 이들 의 일부를 외래 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Lopez et al,

1997) (표 1).

3개월 이상의 유아들은 비슷하지만 좀 더 걸 엄격한 비 침습 치료의 상으

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은 열이 나는 경우의 50%가 바이러스성으로 분류되며

30%가 이염이다(홍창의, 1993). 패 증에 한 험이 거나 체온이 39℃(102.

2℉)이하이고 독성에 한 특징이 없으면 아이의 열이 2~3일 계속되거나 상태가

격히 나빠질 경우에는 부모나 보호자가 재 내원한다는 동의를 받고 귀가시켜

증 요법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Lopez et al, 1997).

부분의 발열은 자기 한정 이고 많은 아동이 39℃정도의 열을 잘 견디지만,

심각한 질환이 증상 일 수 도 있으므로 정확한 사정을 통해 리하여야 한다. 발

열아동의 사정은 체온측정 뿐 아니라 신체검진, 건강력을 통해 이루어진다(Walsh

et al., 2005). 발열은 특성상 보통 성이지만, 발열의 원인이 되는 질병 는 발열

의 과정, 기간에 한 완 한 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아동에게 있어서는

- 12 -

Rochester criteria

# 건강해보이고 독성증후가 없다.

# 이 에 건강했는지의 여부

• 만삭출산

• 산 항생제 치료의 유무

• 설명되지 않은 고빌리루빈 증의 병력의 유무

• 최근 항생제 치료의 유무

• 출산 때를 제외하고 입원력이 없고 산모보다 입원 기간이 길지 않았다.

• 만성 인 질환이 없다.

# 피부, 연조직, , , 는 귀의 감염이 없다.

# 검사결과

• 말 백 구 수치 : 5000 - 15,000㎣

• Total band count : 1,500㎣

• 요검사 : 백 구 ≤ 10 (per high - power field(X40))

• 변검사 : 백 구 ≤ 5 (per high - power field(X40)): 설사 동반 할때만

매우 복잡한 건강문제와 련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고열을 가진 모든 아동은

철 한 신체 검진이 필요하다. 체온측정은 물론 심박동수, 호흡수 그리고 모세

충 시간도 사정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비정상 인 심박동수 는 모세 충

시간의 연장이 있으면 압을 체크하여야 한다(NICE, 2007).

표 1. 발열 아동의 증세균감염의 험도 확인 도구

성일순 외(1999), 임상간호연구5(1). p.83

- 13 -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 유아기 아동의 증도 발열

선별기 을 개발하고, 개발된 발열 선별 기 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된 아동

의 응 실 재 내원 방을 한 발열 리 부모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방법론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본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응 실 내원 발열 아동 선별 도구 개발

발열 아동의 증도 분류 선별기 에 한 국내외 문헌과 기존 분류 기 을

확인하여 국내 의료 환경에 합한 발열 선별 도구를 개발한다.

문헌은 Medline, CINAHL, InterScience, Science Direct, KoreaMed, KISS의 데이

터베이스에서 1991년부터 2010년도 사이에 출 된 논문과 임상실무가이드라인을

검색하 으며, Level of Evidence and Grades of Recommendation 기 B, level

2이상의 논문을 검색하 다. 검색논문은 어와 한 로 작성된 양 연구, 응 실

내원아동의 발열에 한 것으로 하 다. 상자는 , 유아로 제한하 으며, 검색

어는 발열(fever), 발열 리(fever management), 발열 분류(fever triage), 응 아동

(Emergency child), 소아발열기 (pediatric fever guideline), 부모교육(parent

education)으로 하 다. 문헌 고찰한 내용을 Summery table하여 분석한다.

개발된 발열 선별 도구는 소아과 문의 1인, 응 의학과 문의 1인, 임상실무

경력 10년 이상의 아동 문 간호사 1인, 응 문 간호사 1인, 아동간호 공 교

수 1인으로 구성된 문가집단의 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한다. 문가 타당도가 검증된 발열 선별 도구의 용의 일치도는 임의로 선

정된 응 실 담당 소아과 공의 1인과 응 실 소아담당 간호사 1인이 2010년 6

월2부터 6월12까지, K시에 소재한 일 병원 임상시험심사 원회의 승인을 받아 일

병원 응 센터에 내원한 발열아동을 상으로 진행하 다. 응 실 아동 담 의료

- 14 -

인 2인은 응 센터 소아구역에 발열을 주호소로 내원한 , 유아기 아동에 하여

증도 분류를 시행하도록 하되 서로의 결과를 모르도록 하 고, 그 결과를 가지

고 4*4의 평가자간 일치도 매트릭스를 작성하 다. 평가자간의 일치도는 SAS

version 9.2 (SAS institute, Cary, NC)의 weighted kappa analysis를 통해 측정하

다.

- 15 -

2. 발열아동 리 부모 교육 자료 개발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는 Seels와 Richey(1994)가 제시한 분석(Analysis), 설

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ntervention), 평가(Evaluation)의 단계를 거

쳐 제작하 다.

1) 분석

발열아동 리에 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을 통해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하는 아동 보호자에게 나타나는 문제를 분석하 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발열

발열 리에 한 많은 편견과 정보의 혼란이 있음을 보고하 고(Walsh et

al..2006), 정용선 등(2010)의 연구에서는 발열 아동의 부모들이 체온이 질병의 심각

성과 련이 있는 것으로 잘못알고 있었고 발열의 이로운 이나 40℃ 이하의 열

은 아동에게 해롭지 않을 수도 있다는 에 해서는 거의 모르고 있었다고 보고

하 다. 한 부모들을 상으로 발열 발열 리 교육을 제공 할 때 발열의 이로

운 효과에 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고 강조하여야 할 것이라고 제언하 다. 이상

의 선행 연구와 문헌, 을 통해 확인한 내용을 기 로 교육자료 개발을 기획하 다.

2) 설계

본 교육 자료의 목표는 비응 발열로 인한 아동의 보호자가 발열에 해 이해

하고 한 발열 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비응 발열로 인한 불필요한 응 실

내원을 방하기 함이다. 교육 자료의 제목은 ‘아기 열 리 어떻게 해야 하죠?’

로 정하 다. 발열이라는 단어가 의학 인 용어로 보호자들의 이해가 어려운 을

감안하여 열이라는 단어를 사용하 으며, 분석 단계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

육 자료의 내용을 발열의 정의와 범 , 발열에 따른 증상 리 해열제 투여 방

법, 응 실에 내원해야 하는 증상에 해 설명하 다. 발열 선별 도구를 이용하여

비응 발열로 분류된 발열 아동의 보호자들의 퇴원 시 쉽고 간략하게 정보를 제

공할 수 있도록 교육매체로 리 릿을 선정하 다.

- 16 -

3) 개발

문헌고찰과 Murtagh가 술하고 이정권이 번역한 질환별 환자 교육 자료집

(2006), 병원간호사외 홈페이지에 제공된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 어 소아응

처치등 기존의 발열 교육 자료를 기 로 하여 교육 자료를 구성하 으며, 이 교육

자료의 내용을 소아과 문의 1인, 응 의학과 문의 1인, 임상실무경력 10년 이

상의 아동 문 간호사 1인, 응 문 간호사 1인, 아동간호 공 교수1인으로 구

성된 문가집단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수정, 보완하 다.

리 릿은 Microsoft publisher 문서로 제작 하 으며, A4 크기로 앞, 뒤 3등분

하여 총 6면에 구성하 다. 바깥쪽은 표지와 응 실 내원 발열과 발열에 따른 진

료에 한 일러스트로 구성하 고, 안쪽 3면에는 발열의 정의와 리방법, 해열제

의 투약방법을 수록하 다.

4) 실행 평가

개발된 발열아동 리 부모 교육 자료의 실행 평가는 K시에 소재한 일 병원

응 센터 소아구역을 발열을 주호소로 방문한 , 유아기 아동 개발된 발열 선

별 도구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되어 퇴원하는 아동의 보호자를 상으로 하

다. 연구의 목 과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아동의 보호자

40명을 상으로 발열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Queensland 학의 연구 (Walsh,

Edwards, & Fraser, 2008)이 개발한 부모발열 리 도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육 자료의 난이도와 성을 평가를 실시하 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 인 사항, 발열에 한 사항, 발열 교육 자료에 한 사항

등 총 13문항으로 구성하 다. 설문의 분석 통계는 SAS version 9.2 (SAS

institute, Cary, NC)을 이용하 다.

- 17 -

Ⅳ. 연구 결과

1. 발열 선별도구의 개발

1) 발열 선별도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하는 아동 고 험군인 3개월

미만의 아와 응 실 내원빈도가 가장 높은 연령인 3개월~5세 유아기 아동의

발열 증도 선별도구를 논문과 임상실무가이드라인을 검색하여 총 24 종류를

조사하 으며 그 Baraff guideline을 기 로 review한 복된 8종류의 선별도구

를 제외한 16종류의 발열 아동 선별도구를 Summery table of literature review로

정리하 다 (표 2).

- 1

8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Bar

aff

gu

idel

ine

(Alg

ori

thm

fo

r

th

e

man

agem

ent

o

f

a p

rev

iou

sly

hea

lth

y c

hil

d

wit

h f

ever

wit

ho

ut

a

so

urc

e)

Bar

aff,

Lar

ry J

.

An

nal

s o

f

Em

erg

ency

Med

icin

e,

36(6

)

2000

, 60

2-61

4.

출생

~ 2

8일

29일

~90

3개월

~ 3

6개월

0~90

일:3

8℃

이상

3~36

개월

:39℃

이상

48시

간 지

속 시

Ace

tam

ino

ph

en

15㎎

/k

g 4

시간

간격

Ibu

pro

fen

10㎎

/k

g 6

시간

간격

Ch

ild

ap

pea

rs

to

xic

ity기

소변

검사

미생

물 배

양 검

권고

S.

pn

eum

on

ia

vac

cin

e 종

유무

,

액,

소변

배양

검사

, A

NC

따른

항생

제 사

권고

SaO₂

95%

미만

,

호흡

부,

빈맥

,

청진

음에

따른

Ch

est

X-r

ay 권

표 2

. 발

열 아

증도

선별

- 1

9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Tel

eph

on

e

Nu

rsin

g P

ract

ice

Ad

min

istr

atio

n

and

Pra

ctic

e

Sta

nd

ard

s.

Am

eric

an

Aca

dem

y o

f

Am

bu

lato

ry C

are

Nu

rsin

g (

AA

AC

N)

3개

월 미

만과

이상

으로

분류

고험

38.3℃

(3개

월 미

만)

그 이

상의

연령

40.

6℃

24시

간 이

상 다

증상

없이

고열

지속

Ace

tam

ino

ph

en

10~

15㎎

/k

g

4~6시

간 간

Ib

up

rofe

n

10㎎

/k

g 6

~8시

간격

미온

수 목

욕 제

발진

, 경

련,

호흡

부,

경추

강직

, 의

식변

화,

탈수

, 구

강섭

어려

움,

통증

사정

재분

류시

제시

(40.

6℃이

상,

좋아

보일

때,

발진

, 호

흡부

,

경련

, 두

통,

경추

강직

, 탈

수,

다른

증상

의 발

생 과

변화

시)

Nu

rsin

g

man

agem

ent

of

the

ped

iatr

ic

pat

ien

t w

ith

a

fev

er

Jho

n D

emp

sey

Ho

spit

al-D

epar

tme

nt

of

nu

rsin

g

3개월

미만

과 그

이상

으로

분류

10

5℉(4

0.6℃

)

Ace

tam

ino

ph

en

10~

15㎎

/k

g 4

기간

간격

미온

수 목

욕 제

통증

, 의

식정

도,

호흡

기계

, 탈

수 등

련증

상 사

알러

지,

투약

력,

과거

력,

체 사

의사

의 처

방 시

IV

flu

ids와

lab

1시간

간격

으로

퇴원

시 까

체온

측정

표 2

. 계

- 2

0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Can

adia

n E

D

Tri

age

& A

cute

Sca

le(C

TA

S)

Can

adia

n

Ass

oci

atio

n o

f

Em

erg

ency

Ph

ysi

cian

s(C

AE

P),

Nat

ion

al

Em

erg

ency

Aff

ilia

tio

n o

f

Can

ada(

NE

NA

)

3개월

미만

과 그

이상

으로

분류

38℃

이상

처치

없음

심하

게 아

않거

나 증

상이

없는

발열

Lev

el I

I, I

II

역에

fev

er역

포함

ES

I L

evel

1:

ped

iatr

ic f

ever

crit

eria

Am

eric

an c

oll

age

of

Em

erg

ency

Ph

ysi

cian

s(A

CE

P)/

Em

erg

ency

Nu

rses

Ass

oci

atio

n(E

NA

)

28일

미만

28일

~3개

3~36

개월

로 분

3개월

미만

: 10

0.4℉

(38.

0℃)

3개월

이상

: 10

2.2℉

(39.

0℃)

투약

치 기

없음

vit

al

sin

gs

lev

el 5

2

8미만

,

28~

3개월

lev

el2로

3~36

개월

은 l

evel

3로 분

표 2

. 계

- 2

1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Man

ua

l o

f

ped

iatr

ic

ther

apeu

tics

: F

ever

Dep

artm

ent

of

Med

icin

e,

Ch

ild

ren

's

Ho

spit

al M

edic

al

Cen

ter,

Bo

sto

n

신생

6개월

이상

연령

유아

정상

체온

98.6℉

보다

1.5℉

범 상

승 시

직장

:97.

2-10

0.4℉

구강

:96

.5-9

9.2℉

액와

:일

반으

1~2℉

낮게

측정

103℉

이상

일 때

해열

미온

목욕

제시

tox

ic a

pp

eari

ng

맥박

, 호

흡수

발진

, 상

출,

림비

, 상

, 하

호흡

기와

복부

복합

인 염

지속

인,

간헐

인,

악화

되거

재발

되는

으로

발열

양상

분류

CB

C,

Uri

nal

ysi

s,

ES

R,

ches

t

X-r

ay의

Lab

ora

tory

tes

t

Flo

wch

art

for

chil

d<

5 y

ears

old

wit

h f

ever

NS

W D

epar

tmen

t

of

Hea

lth

<5세

미만

액와

체온

>

38℃

Res

usc

itat

ion의

필요

유무

3개월

미만

, 독

징후

, 감

염 시

입원

, 원

인검

사,

항생

치료

용권

To

xic

ity

: A

BC

D

기제

표 2

. 계

- 2

2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Th

e m

anag

emen

t

of

fev

er i

n y

ou

ng

chil

d w

ith

acu

te

resp

irat

ory

infe

ctio

ns

in

dev

elo

pin

g

cou

ntr

ies

Wo

rld

Hea

lth

Org

aniz

atio

n

Gen

eva

신생

2개월

미만

2개월

~ 5

세 연

39℃

(rec

tal)이

par

acet

amo

l

10~

15m

g/

Kg

6ho

url

y

수액

보조

미온

수 목

권하

지 않

명확

한 발

열원

없을

박테

리아

감염

(pn

eum

on

ia,

oti

tis

med

ia,

stre

pto

cocc

al

ph

ary

ng

itis

,

men

ing

itis

, se

psi

s)

시 항

생제

치료

산소

치료

권고

hig

ht

fev

er

(ab

ov

e 42℃

)시

feb

rile

co

nv

uls

ion

가능

성 제

Pra

ctic

e p

atie

nt

asse

ssm

ent

:Ped

iatr

ic f

ever

No

rth

Cen

tral

Co

nn

ecti

cut

EM

S

Co

un

cil

>6

mo

nth

s10

1.5℉

(38.

5℃)

4시간

이내

Ace

tam

ino

ph

en

복용

유무

에 따

AA

P 1

5㎎/

kg

PO

지속

인 사

정과

약물

의 반

응에

따른

처지

구토

시에

sup

po

sito

ries

acet

amin

op

hen

것을

권고

표 2

. 계

- 2

3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Fev

eris

h i

lln

ess

in

chil

dre

n :

asse

ssm

ent

and

init

ial

man

agem

ent

in

chil

dre

n y

ou

ng

er

than

5y

ear

Nat

ion

al I

nst

itu

te

for

Hea

lth

an

d

Cli

nic

al

Ex

cell

ence

(NIC

E)

4주미

4주 이

상~

5세

0~3개

월T≥

38℃

3~6개

월T≥

39℃

Gre

en(l

ow

ris

k),

Yel

low

(in

term

edia

t

e ri

sk),

Red

(hig

h

risk

)로 분

Co

lor,

Act

ivit

y,

Res

pir

ato

ry,

Hy

dra

tio

n,

Oth

er의

에서

증상

사정

신호

등체

계를

통한

사정

아동

간호

사와

비문

간호

사의

asse

ssm

ent

too

l의

차이

를 둠

Ped

iatr

ic f

ever

3-36

mo

nth

s:

Rec

om

men

dat

ion

s

for

Ev

alu

atio

n

FH

(Fra

ser

hea

lth

)

Pat

ien

t S

afet

y

Rev

iew

Co

mm

itte

e

3~36

개월

To

xic

>38

No

n t

ox

ic

T38

-39.

4℃ w

ith

hig

h-r

isk

fa

cto

r o

r

T>

39.4℃

No

n t

ox

ic

T38

-39.

4℃ N

o

hig

h-r

isk

fac

tor

WB

C>

1500

0

Neu

tro

ph

il>

10,0

00,

일 때

Cef

tria

xo

n

50㎎

/k

g/

do

se권

V/

S,

Fo

cuse

d

exam

inat

ion

, 4주

이내

HIB

pn

eum

oco

ccu

s

vac

cin

e여부

, T

ox

ic

app

eara

nce

사정

CB

C,

UA

, B

loo

d

cult

ure

, C

XR

권고

Yal

e O

bse

rvat

ion

Sca

le을

이용

하여

tox

icit

y 분

표 2

. 계

- 2

4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Fev

er

Man

agem

ent

for

Ch

ild

ren

Qu

een

slan

d

Un

iver

sity

(Th

e

Au

stra

lian

Jo

urn

al

of

Ph

arm

acy

89:

pp

. 66

-69.

)

3mo

nth

s ~

5yea

rs39

.0°C

이상

par

acet

amo

l

15㎎

/k

g

ibu

pro

fen

3~12

개월

5-10㎎

/k

g

un

der

30k

g o

f

40㎎

/k

g/

day

; o

ver

30k

g 1

.2g

/d

ay

아보

이거

창백

할 때

,

기면

상태

, 무

기력

,

열성

경련

작스

럽고

심한

두통

, 경

추부

강직

이나

빛을

피할

불규

칙인

발진

호흡

탈수

증세

나 먹

못할

열이

5일

동안

지속

될 때

해열

제 복

용 후

48시

간 이

계속

으로

열이

지속

될 때

진료

권고

표 2

. 계

- 2

5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Wel

l ap

pea

rin

g

infa

nt

wh

o i

s

feb

rile

wit

h a

tem

per

atu

re

Ch

ild

ren

’s

Hea

lth

care

of

Atl

anta

Fev

er P

ath

way

0-28

29-6

0일

2-6개

6-24

개월

0~2

개월

:38℃

(rec

tal)

2~6개

:39℃

(rec

tal)

6-24

개월

:39.

5℃(r

ecta

l)

HIB

& P

CV

종여

24시

간 이

내에

UR

I증상

이 없

발열

일 경

우 U

A

검사

WB

C >

20,

000

o

AN

C >

10,

000/

Cef

tria

xo

ne

50

㎎/

kg

/d

ay

면역

결핍

,만성

질환

으로

항생

제 치

받았

을 때

경련

이 있

을 때

48시

간 이

내에

방종

했을

상출

,

바이

러스

감염

질환

박테

리아

감염

질환

원인

없는

발열

지속

Wel

l d

efin

ed v

iral

illn

ess,

Sp

ecif

ic

bac

teri

al i

lln

ess,

Wel

l d

efin

ed

bac

teri

al

infe

ctio

ns에

따른

제 증

상 제

남아

는 1

세,

여아

는2세

미만

으로

성별

따른

연력

기을

제시

표 2

. 계

- 2

6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Ev

alu

atio

n

Gu

idel

ine

for

ped

iatr

ic f

ever

Sh

and

s

Jack

son

vil

le

Ped

iatr

ic

Em

erg

ency

Dep

artm

ent

0-28

2-36

개월

0-28

: 10

0.4℉

(38℃

)

2-24

개월

: 10

2.2℉

(39℃

)

>24

개월

: 10

2.2℉

(39℃

)

독성

징후

(기면

,

좋지

않은

순환

징후

, 빈

호흡

,

과호

흡,

청색

증)증

상 시

패증

검사

범 항

생제

사용

WB

C>

15,0

00 이

시만

배양

검사

와 항

생제

사용

Cli

nic

al

asse

ssm

ent

Lab

Wo

rk u

p

Ch

est

X-r

ay

Pn

eum

oco

ccal

Vac

cin

e의 3

이상

유무

따른

wo

rk u

p

여부

변화

표 2

. 계

- 2

7 -

도구

명 개

발처

연령

분류

발열

시간

처치

검진

비고

Ev

iden

ce b

ased

clin

ical

pra

ctic

e

gu

idel

ine

for

fev

er

of

un

cert

ain

sou

rce

in c

hil

dre

n

2 to

36

mo

nth

of

age

Cin

cin

nat

i

Ch

ild

ren

's

Ho

spit

al M

edic

al

Cen

ter

출생

시~

2개월

2-36

개월

39℃

~≥

40℃

항생

제의

사용

CC

HM

C

gu

idel

ine에

따름

감염

원인

유무

의심

질환

에 따

검사

분류

Vir

al,

UT

I,

Bac

tere

mia

, S

BI

op

tio

n에

따른

검사

진행

후의

항생

제 사

용과

Fo

llo

w-u

p

응실

에 내

원한

소아

발열

환자

Cli

nic

al p

ath

way

삼성

서울

병원

3개월

만과

3개월

이상

으로

분류

3개월

미만

:38℃

3개월

이상

:39℃

부모

불안

,아

이가

힘들

어하

AA

P

15㎎

/k

g q

4h

,

IBU

10㎎

/k

g q

6h

투약

증상

치료

동반

증상

에 따

투약

Ph

ysi

cal

Ex

am,

His

tory

Ta

kin

g,

TP

R C

hec

k

감염

원 유

무에

따른

사정

, 치

료,

투약

, 간

호재

,

교육

의 결

과를

확인

표 2

. 계

- 28 -

고찰된 발열선별 도구의 연령 기 은 부분이 출생 시부터 3개월을 고 험군

으로 분류하 으며, 발열 기 은 38℃~39℃ 다. 투약 기 으로는 해열제와 항생

제 기 을 제시하 는데 해열제는 Acetaminophen과 Ibuprofen, paracetamol의 체

별 투여 용량과 투약간격을 제시하 으며, 항생제는 액검사 결과에 따른

ceftriaxone의 투여를 제시하고 있었다. 열을 떨어뜨리기 한 물리 인 처치로는

미온수 스폰지 목욕(Trpid sponge bath)을 Telephone Nursing Practice

Administration and Practice Standards(AAACN), Nursing management of the

pediatric patient with a fever, Manual of pediatric therapeutics: Fever(Jhon

Dempsey Hospital-Department of nursing), Manual of pediatric therapeutics:

Fever(Department of Medicine,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Boston) 선

별 기 에서는 정 으로 제시하 으나, The management of fever in young

child with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 developing countries(WHO)의 선별 기

에서는 그와 반 로 권장하지 않았다. 미온수 목욕을 할 때는 옷을 다 벗기고

수건을 미지근한 물로 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셔서 손끝, 발끝부터 시작하여

팔, 다리, 머리, 겨드랑이, 사타구니까지 온 몸 구석구석을 열이 떨어질 때까지 약

간 문지르는 느낌으로 닦아 다. 열은 노출 부 만큼 잘 발산이 되므로 가능한 많

이 노출시켜야 하며, 몸에 물이 어느 정도 있어야 기화열을 이용하여 마사지하는

사이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빼앗아 가는 것이므로 몸에 물이 묻어 있어야 한다.

피부표면을 통해 열을 증발시키는 방법이므로 젖은 수건으로 몸을 감싸 다든지

덮어두지 않아야 하며, 물속에 아이를 담구지 말아야 한다. 알코올은 피부 는

폐를 통해 흡수 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으며, 얼음물이나 찬물은 떨림을 유발

하여 오히려 열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Alves et al., 2008). 해

열제와 더불어 미온수 목욕을 하는 것이 해열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재도

리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연구결과는 해열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그 효과

에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떨림, 소름끼침, 울음, 그리고 불편감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NICE, 2007).

발열 아동을 선별하기 한 사정 검진으로는 Toxic appears를 기 으로 하

는데, Flowchart for child<5 years old with fever (NSW Department of Health),

- 29 -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 assessment and initial management in children

younger than 5year (NICE), Pediatric fever 3-36months: Recommendations for

Evaluation (FH Patient Safety Review Committee)에서는 구체 으로 Toxicity의

기 을 제시하 다.

NSW 발열 선별 도구에서는 Toxicity를 ABCD로 구분하여 A는 각성(arousal),

명료한(alertness)상태 나 활동량 감소(activity decreased), B는 호흡부 (breathing

difficult: 빈호흡, 호흡노력 증가), C는 순환장애 (poor colour: pale, mottled/

poor circulation: 차가운 말 , 모세 충 시간의 지연)나 울음(Cry), D는 수분

소실(decreased fluid intake)이나 소변량 감소(decreased urine output)를 사정하도

록 제시하 으며, NICE 발열 선별 도구에서는 color, activity, respiratory,

hydration, other를 신호등 체계화 하여 Green(low risk), Yellow(intermediate

risk), Red(high risk)로 분류 할 수 있도록 하여 심각한 질병의 험성을 사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 다.

FH 발열 선별도구에서는 Yale Observation Scale을 이용하여 Toxicity를 사정하

는데 Yale Observation Scale은 6가지 범주인 Quality of Cry, Reaction of

crying to parent stimulation (comforting, holding), State variation (the transition

from sleeping to wakefulness and wakefulness to sleeping), Color, Hydration,

Response to social overture (smiling and alerting)을 1 (Normal), 3(Moderate

Impairment), 5(Sever Impairmrnt)로 구분하여 사정하도록 하 다. 그밖에도 사정

도구에 방 종 종여부를 통해 고 험군을 구분한 발열 선별도구(Children’s

Healthcare of Atlanta Fever Pathway)와 의심질환에 따른 검사 분류를 한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fever of uncertain source in

children 2 to 36 month of age: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특징 인 발열선별도구도 있었다.

본 연구자는 16종류의 발열선별 도구 응 과 비응 발열을 선별할 수 있는

증상을 포함한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fever of uncertain

source in children 2 to 36 month of age: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cer)와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 assessment and initial

- 30 -

management in children younger than 5year (NICE)의 발열 선별 기 신호

등체계가 타당하다고 단하여 번역하고 다른 문헌과 고찰하여, 고 험 군인 3개

월 미만의 아를 제외한 3개월~5세의 유아기 응 실 내원 발열아동 선별도구

안을 그림 1과 같이 제작하 다.

개발된 3개월~5세의 유아기 응 실 내원 발열아동 선별도구 안은 K시에 소

재한 일 병원의 소아과 문의와 공의 컨퍼런스를 통해 응 실 용 성

내용을 평가하 다. 그 결과 고 험군으로 분류하여 제외시킨 3개월 미만의 아

도 선별도구에 포함되어야 도구의 효용성이 높아진다는 의견과 신호등 체계의 시

각 인 효과를 더 부각 시키자는 의견을 수렴하여 그림2.의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5세 이하 아동발열 선별 도구가 최종 개발되었다.

- 31 -

그림 1.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3개월에서 5세 아동 발열 선별도구 안

(>38℃)

- 32 -

그림 2.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한 5세 이하 아동 발열 선별도구 (>38℃)

- 33 -

항목 수 CVI

Airway& Appearance 5 1

Work of Breathing 5 1

Circulation&skin 5 1

색 5 1

활동성 5 1

호흡 5 1

탈수 5 1

기타 5 1

발열원인유무 5 1

해열제 투약 후 반응 5 1

양육자의 간호능력 4 0.8

바이러스감염(influenza, RSV, enterovirus, HSV) 5 1

박테리아감염

(세균성폐렴,요로감염,세균성뇌수막염,세균성 장염)5 1

기타감염(가와사키등 기타 질환) 5 1

average 0.98571

2) 발열 선별 도구의 타당도

개발된 발열 선별도구의 타당도는 소아과 문의 1인, 응 의학과 문의 1인,

임상실무경력 10년 이상의 아동 문 간호사 1인, 응 문 간호사 1인, 아동간

호 공 교수1인으로 구성된 문가집단의 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통해

검증하 다. 발열 선별도구의 각 항목의 내용을 1=not relevant, 2=somewhat

relevant, 3=quite relevant, 4=hight relevant 으로 수화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

여 타당도를 검증하 으며 0.985의 높은 합의율을 보 다. 결과는 표3과 같다.

표3. 발열 선별도구의 타당도 결과 (n=5)

- 34 -

아동 간호사총합

1 2 3 4

소아과 공의

1 0 0 0 0 0

2 0 8 2 0 10

3 0 2 87 0 89

4 0 1 0 0 1

총합 0 11 89 0 100

3) 발열 선별도구 용 일치도

발열선별도구의 용 일치도는 응 실 담당 소아과 공의 1인과 응 실 소아담

당 간호사 1인이 2010년 6월 2부터 6월 12까지 K시에 소재한 일 병원 응 센터

소아구역에 발열을 주호소로 내원한 5세 이하 , 유아기 아동 100명에 하여,

개발된 5세 이하 유아기 아동 발열 선별도구를 이용하여 증도 분류를 시행하

도록 하되 서로의 결과를 모르도록 하 고, 그 결과를 가지고 4*4의 평가자간 일

치도 매트릭스를 작성하 다. 평가자간의 일치도는 SAS version 9.2 (SAS

institute, Cary, NC)를 통해 weighted kappa 값을 측정하 고 결과는 표4와 같다.

표4. 발열선별도구의 평가자간의 일치도 (n=100)

Weighted kappa =0.6970(95% CI : 0.4493~0.9446 )

Weighted kappa 값은 Cohen’s simple kappa 값과 유사하게 0(완 불일치)에서

1(완 일치)까지의 값이 나오나, 이 되는 등 의 일치하지 않는 정도를 교정하

여 등 간의 차이가 클수록 weighted kappa 값이 떨어지게 된다. 측정된

weighted kappa 값은 0.80 이상은 매우 우수(excellent), 0.60에서 0.79 사이는 우수

(good), 0.59 이하는 보통(fair)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weighted kappa 값은

0.6970(95% 신뢰구간 : 0.4493~0.9446)으로 평가자간 일치도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 35 -

특성 구분 빈도 백분율(%)

응답자의성별남 13 33.33

여 26 66.67

연령20-30대 32 82.05

40대 7 17.95

학력

고졸 12 30.77

대졸 24 61.54

대학원졸 3 7.69

주 양육자

모 31 79.49

조모 7 17.95

위탁모 1 2.56

내원아동의 성별남 20 51.28

여 19 48.72

내원 아동의 서열

1명 중 첫째 26 66.67

2명중 첫째 6 15.38

2명 중 둘째 6 15.38

3명 중 셋째 1 2.56

2. 발열 아동 리 부모 교육 자료의 제공 평가

K시에 소재한 일 병원 응 센터 소아구역을 발열을 주호소로 방문한 5세 이하

의 유아기 아동 개발된 발열 선별 도구에 의해 비 응 발열로 분류되어 퇴

원하는 아동의 보호자를 상으로 하 으며, 연구의 목 과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

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40명을 상으로 발열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구조화

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육 자료의 난이도와 성을 평가를 실시하 다. 제

40명 무응답 1부를 탈락시키고 39명의 응답을 통계하 다. 체 응답자는 원

이 아동의 부모 고, 연령비율은 20-30 가 82.05%, 40 가 17.95% 고, 남녀의 비

율은 남자는 33.33%, 여자는 66.67% 으며, 최종학력 고졸이상이 30.77%, 졸이

61.54%, 학원 졸업 7.69%로 집계되었다. 응답자의 48.72%가 직업이 있었으며,

51.28%가 주로 아동을 돌보는 사람이었고, 가정에서 주로 아동을 돌보는 사람은

어머니가 79.49%, 할머니가 17.95%, 탁모가 2.56%로 나타났다(표 5).

표 5. 응답자의 일반 특성 (n=39)

- 36 -

내용 빈도 백분율(%)

조치를 취했는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아서 24 34.78

외래 진료를 볼 수 없어서 10 14.49

빠른 진료를 원해서 3 4.35

다니던 병원에 갈 수 없어서 4 5.80

약 처방을 받기 해서 2 2.90

동네 의원에서 진료하 으나 호 이 없어서 11 15.94

다른 증상(구토, 설사, 기침, 호흡 곤란 등)이심해져서 9 13.04

수액을 맞기 해서 1 1.45

액검사나 X-ray 검사를 하기 해서 5 7.25

응 실에 내원한 이유로는 ‘열을 떨어뜨리기 해 조치를 취했는데도 열이 떨어

지지 않아서’(34,7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동네 의원에서 진료하 으나 호

이 없어서’(15.94%), ‘외래 진료를 볼 수 없어서’(14.49%), ‘열나는 증상 외에 다

른 증상(구토, 설사, 기침, 호흡 곤란 등)이 심해져서’(13.04%), ‘ 액검사나 X-ray

검사를 하기 해서’(7.25%)‘, ‘다니던 병원에 갈 수 없어서’(5.80%), ‘빠른 진료를

원해서’(4.35%), 약 처방을 받기 해서(2.90%), ‘수액을 맞기 해서’(1.45%) 순으

로 나타났다. 응답자 과거에 응 실에 내원한 횟수에 한 질문에는 내원한

이 없다가 28.21%, 1회 17.95%, 2회 10.26%, 3회 15.38%, 5회 15.83%, 6회 7.69%,

7회 2.56%, 12회 2.56%로 평균 2.56회(표 편차=2.67) 내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6).

표 6. 응 실 내원 사유

열이 난다고 인지하는 발열 온도는 37.5℃가 2.56%, 38.0℃가 58.97%, 38.5℃가

5.13%, 39.0℃가 25.64%, 39.5℃가 2.56%, 40.0℃ 5.13% 으며, 응 실에 내원하는

발열 온도는 38.0℃가 33.33%, 38.5℃가 7.69%, 39.0℃가 41.03%, 39.5℃가 2.56%,

40.0℃가 15.38%로 나타났다.

열 리 방법으로는 ‘아기가 열이 나면 항상 해열제를 사용 한다’(74.36%) ‘아기가

열이 나면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76.92%) ‘아기가 열이 나면 옷을 벗겨 놓는

- 37 -

질문 구분 빈도 백분율(%)

열 리 교육 경험 있다 16 41.03

없다 23 58.97

교육을 경험한 곳 병원 9 23.08

인터넷 2 5.13

책 는 잡지 3 7.69

경험 2 5.13

다’(79.49%) ‘아기가 열이 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10.26%), ‘열을

떨어뜨리는 것 보다 아기가 편안해 하는 것이 더 요하다’(20.51%), 아기가 열이

나면 소아과 진료(외래, 의원)를 본다(87.18%), ‘아기가 열이 나면 즉시 응 실로

간다’(15.38%)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발열교육에 한 내용으로는 과거에 열 리 교육을 받은 이 있냐는 질문에

58.97%가 없다고 응답하 으며, 발열 리교육을 받은 이 있다고 응답한 41.03%

23.08%는 병원에서, 책이나 잡지 7.69%, 인터넷 5.13%, 경험 5.13%으로 교육받

은 곳이 조사되었다(표 7).

표 7. 열 리 교육 경험

제공된 발열 교육 자료에 한 만족도는 내용의 이해도를 측정하기 한 ‘내용

은 이해하기 쉽다’의 문항과 교육 자료의 유용성을 측정하기 한 ‘열 리에 자신

감이 생겼다’의 문항, 비 응 발열로 인한 응 실 내원 방을 한 교육 자료의

효과를 측정하기 한 ‘응 실에 오는 횟수를 일 수 있을 것이다’라는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4 척도로 나 어 측정하 고, 통계분석결과 이해도와 유용성의

상 계수가 0.3976으로 통계 으로 유의하므로 이해도와 유용성이 통계 으로 유

의한 양의 상 계가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표 8).

- 38 -

질문 구분 빈도 백분율(%)

내용은 이해하기 쉽다

(이해도)

매우 그 다 8 20.51

그 다 29 74.36

그 지 않다 2 5.13

매우 그 지 않다 0 0.00

열 리에 자신감이 생겼다

(유용성)

매우 그 다 1 2.56

그 다 25 64.10

그 지 않다 13 33.33

매우 그 지 않다 0 0.00

응 실 내원 횟수를 일

수 있을 것이다 (내원률)

매우 그 다 2 5.13

그 다 26 66.67

그 지 않다 11 28.21

매우 그 지 않다 0 0.00

표 8. 발열 리 교육 자료에 한 만족도

제공된 발열 교육 자료의 내용외의 추가 인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 등도 조사

하 는데 열성경련, 고열로 인한 합병증의 종류, 해열패치의 효과성, 타이 놀시럽

과 부르펜 시럽의 교 사용의 효과성에 한 추가 인 내용에 한 요구가 있었

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개인면담 이나 동 상 교육을 원하는 요구도 조사되었다.

- 39 -

Ⅴ. 논의

1. 응 실 내원 유아기 아동 발열 선별도구

주호소를 리하는 로토콜은 과학 이고 표 화된 질환 리로 진료의 질을 유

지하게 할 뿐 아니라 체류시간의 감소로 인한 만족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처방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등 비용 효과 인 장 이 있다. 의료진의 입장에서 응 실

유아기 아동 발열 선별도구는 소아 청소년 담 의료 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국내

응 의료 환경에서 아동 응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인의 직무스트 스를 감소시키

고, 비 응 발열로 인한 응 실 과 화를 해소 할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이며, 내

원 아동과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신속한 진료의 진행으로 인한 진료 만족도가 높

아지며, 불필요한 검사로 인한 의료비용을 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 할 수 있

다. 국내 응 의료기 내원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 아동을 상으로

한 연구는 혜진(2007)의 연구가 유일하나 응 실 이용실태에 한 조사연구로

아동의 특성을 매우 제한 으로 언 했고, 소아 응 진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

거나 분류하는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가 의미있다 하겠다. 김 혜 등(2010)은 지

역응 의료기 의 아동간호 재 분석 연구에서 응 실 내원 아동의 주호소를

리하는 로토콜을 개발하고 용해야 함을 제언하 다. 본 연구는 응 실에 내원

하는 아동의 주된 이유인 발열에 한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임상 실무 장에

용함으로 그 가능성과 효용성을 평가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개발된

유아기 아동의 발열 선별도구가 국내 응 의료 환경에서 표 화 될 수 있도록 다

양한 의료기 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선별도구를 임상실무에 용하여 보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40 -

2.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혜진(2007)은 발열로 내원한 소아환자의 부모에게 열을 조 하는 방법을 교육

하는 것이 소아 응 실에 필요한 요한 간호활동이라고 하 다. 응 실 간호사들

은 바쁜 업무로 인해 건강교육의 요한 기회를 놓치고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응 실에 내원하는 발열아동의 보호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고 국내 응 의

료 환경에서 효과 으로 교육 가능한 매체를 선정, 개발하여 임상실무 장에

용하고 교육 상자들의 평가를 받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한 임상 실무에 필요

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은 본 연구가 간호 실

무의 발 에 기여하 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교육을 시행한 후 응 의료기 재방

문 비율에 교육이 미치는 효과에 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응

의료 환경에서 내원 아동의 보호자들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충족시킬 시청각 인

교육 자료의 개발 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연구의 제한

본 연구의 상자는 K시에 소재한 일 병원 응 센터 소아구역에 발열을 주호소

로 내원한 5세 이하 유아기 아동을 상으로 한 조사이므로 체 발열 주호소

응 실 내원 아동을 표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선별도구를 용하는데 있어

해당 의료기 의 응 진료 과정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용할 수 있는지의 확인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 발열 선별도구의 일반화를 해 다른 소아응 센터에

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 41 -

Ⅵ. 결론 제언

본 연구는 발열을 주호소로 응 실에 내원하는 5세 이하 유아기 아동의 발열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부모 발열 교육 자료를 개발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1. 범 한 문헌고찰과 기존 발열 선별 도구를 분석하여 국내 소아 응 의료 환

경에 하게 개발된 5세 이하 유아기 발열 아동에 한 선별도구에 한

문가 타당도는 0.985로 높은 합의율을 나타내었다.

2. 발열 선별도구의 용 일치도 평가는 weighted kappa 값 0.6970 (95% 신뢰구

간 : 0.4493~0.9446)으로 평가자간 일치도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3. 발열로 응 실에 내원하는 유아기 아동의 보호자는 38.0℃(58.97%)를 열이

있다고 응답하 으며, 39.0℃(41.03%) 일 때 응 실에 내원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응 실 내원 사유로는 ‘열을 떨어뜨리기 해 조치를 취했는데도 열이 떨

어지지 않아서’(34,78%)라는 문항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4. 발열 리 방법으로는 해열제를 사용(74.356%), 미온수 마사지(76.92%), 옷을

벗겨 놓는다(79.49%)로 나타났으며, 열이 났을 때 소아과 진료(외래, 의원)를 본

다고 응답한 비율이 87.18%이었으나, 즉시 응 실로 간다의 비율이 15.38%, 내

원사유로서 동네 의원에서 진료하 으나 호 이 없어서 응 실에 내원한다는

비율이 15.94%, 외래 진료를 볼 수 없어서의 비율이 14.49%로 응답한 결과를

보아 비 응 발열로 인한 응 실 과 화를 상할 수 있다.

5. 부모교육자료에 한 이해도는 체 39명 29명(74.36%)이 ‘그 다’고 응답하

으며, 유용성은 25명(64.10%)이 ‘그 다’라고 답하 으며, 이해도와 유용성의

상 계수가 0.3976으로 통계 으로 유의하 으며, 26명(66.67%)이 부모교육자료

로 비 응 발열로 인한 응 실 내원 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 다.

- 42 -

본 연구결과를 토 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5세 이하 유아기 발열아동 선별 도구를 다양한 의

료기 에서 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발열 선별도구를 표 화하는 연구를 제

언한다.

둘째, 발열 선별 도구를 이용하여 비응 발열로 분류된 발열 아동의 보호자들

의 퇴원 시 발열 리 부모 교육 자료를 용 받은 후 교육의 효과와 교육 후 비

응 발열로 인해 응 실에 재 내원 하는 비율이 감소되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43 -

참고문헌

곽병곤, 장 호 (2006). 소아응 실에 내원한 발열 환아의 연구 분석. 한소아과학

회지, 49(8). 839-844

김 주 등 (1998), 응 간호. 서울: 문사. 535-536

김성배, 장석 , 이한식 (1992). 응 실 난동환자에 한 연구. 한응 의학회지,

3(2), 67-72

김신정, 문선 (1999). 응 실 방문 환아에 한 임상 고찰. 아동간호학회지,

5(1), 97-106

김신정, 문선 , 박은옥 (2001). 응 실 방문환자의 증도. 아동간호학회지, 7(2),

191-202

김 혜, 이화자, 조석주 (1999). 일 종합병원 응 실 내원아동의 Triage 발달단

계별 통계 고찰. 아동간호학회지, 5(2), 136-150

김 혜, 권 숙, 남혜경, 오상은, 이 은, 이지원, 임화숙, 정향미, 조언숙, 주 옥

(2006).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문사. 207-211

김 혜, 이내 , 하재 (2010). 지역응 의료기 의 아동간호 재 분석. 아동간호학

회지, 16(4), 277-286

문선 , 김신정 (2000). 응 실 방문 환아 간호에 한 만족도. 아동간호학회지,

6(1), 5-17

문정미 (2002). 침습 처치에 한 교육 로그램이 환아 어머니의 지지행 와 아

동의 동통반응에 미치는 효과. 아주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박인숙, 이남형 (2002). 응 의료센터에 내워한 환아 부모의 스트 스. 아동간호학

회지, 8(3), 260-271

보건복지부 (2010). 차세 응 의료기 모델 개발 보 계획안.

성일순, 구희경, 박상희, 박 선, 하은화, 송형곤 (1999). 응 실에 내원한 소아발열

환자의 Clinical Pathway 개발. 임상간호연구, 5(1), 67-103

- 44 -

안효덕 (1987). 응 실 환자가족의 상태불안과 불안요소에 한 연구. 연세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 논문.

유재욱, 이 화 (2010). 일개 종합병원 응 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에

한 임상 분석. 한소아과학회지, 53(3). 314-322

윤성자 (1996). 일부종합병원 응 의료서비스에 한 만족도 조사. 카톨릭 학교

산업보건 학원 석사학 논문.

이정권 (2006). 질환별 환자 교육 자료집. 한의학서 . 218

임연호 (2006). 간호정보제공이 당일 수술환자에 불안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

과. 북 학교 석사학 논문.

해진 (2007). 일 학병원 응 의료센터의 소아환자 실태분석. 연세 학교 석사

학 논문.

정구 , 신 섭, 김호성, 이승주 (1994). 응 실에 내원한 소아환자 증도 분류를

통해 응 실 과 화 해소가 가능한가?. 한응 의학회지, 5(2), 347-355

정용선, 김진선 (2010). 아동의 발열과 발열 리: 문헌고찰. 아동간호학회지, 16(1),

30-40

정용선, 오 이, 김진선 (2010). 아동발열 리에 한 부모의 인식, 지식과 자기효

능감에 과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16(4), 324-333

정용선, 이용화, 박기원, 이자형 (2008). 아동발열에 한 부모의 인식 처방

법. 부모 자녀 건강학회지, 11(2), 105-115

하 수, 이자형 (1994). 아동간호학. 서울: 수문사.

홍창의 (1993). 소아과학. 서울 : 학교과서.

Alves, J. G., Almeida, N. D., & Almeida, C. D. (2008). Tepid sponging pulse

dipyrone versus dipyrone alone for reducing body temperature in febril

children. Sao Paulo Medical Journal, 126, 107-111

Access to optimal emergency Care for children. Pediatrics, 119(1), 161-164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2004). Telephone triage

nursing: pediatric fever protocols.

form http://www.nursing.arizona.edu/Library/Greenberg_ME.pdf

- 45 -

Baraff, Larry J. Management of fever without source in infant and

children (2000).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36(6), 602-614

Broom, M. (2007). Physiology og fever. Pediatric Nursing, 19(6), 40-44

Baker, M. D., Monroe, K., W., King, W., D., Sorrentino, A., & Glaeser, P., W.

(2009). effectiveness of fever education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ediatric emergency Care, 25, 565-568

Bjorvell, H. (1991). patients' perception of the health care received in an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7). 734-738

Children's Healthcare of Atlanta (2005). Fever Pathway. >6-24 Months of Age.

form http://www.pediatrics.emory.edu/pem/public/documents/5569.pdf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Fever of Uncertain Source in children 2 to 36 month of age.

(2000) from http://csssl.asp.visard.ca/GEIDEFile/cinFever2_36.pdf

Crocetti, M., Moghbeli, N., & Serwint, J. (2001). Fever phobia revisited: have

parental misconception about fever changed in 20 year. Pediatrics, 107(6),

1241-1246

Crocetti, M., Sabath, B., Cranmer, L., Guber, S., & Dooley, D. (2009).

Knowledge and management of fever amang Latinoparents. Clinical

Pediatrics, 48, 183-189

David W. Warren, Anna Jarvis, Louise LeBlance, Jocelyn Gravel (2008).

Revisions to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Paediatric Guidelines

(PaedCTAS). CAEP UPDATE. MISE À JOUR DE L’'ACMU, 10(3), 224-232

Edward, H., Walsh, A., Courtney, M.., Monaghan, S., Wilson, J., & young, J.

(2007). Promoting evidence-based childhood fever management through a

peer education programm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966-1979

Ethridge, P. (1987). As I see it-nursing centers make nursing care accessible.

American nurse, 19(1), 5-10

- 46 -

Fraser Health Catastrophic case report (2008). Pediatric fever. from

http://physicians.fraserhealth.ca/media

Frieman, E. (1992). Emergency department on the brink of crisis. Hospitals. 20.

26-30

Gilboy N., Tanabe P., Travers DA (2005).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 changes to ESI level 1 and pediatric fever criteria.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1(4), 357-362

John W. Graef, M. D., Thomas E. Cone, Jr., M. D. (1997) Manual of pediatric

therapeutics: Department of Medicine, Children's Hospiata Medical Center, Boston.

Philadelphia. Lippincottt-Raven Purblishers

Joseph A. Lopez, Kimberly J. Mcmillin, Evelyn A. Tobias-Merrill, William M.

chop Jr. (1997). Management fever in infant and toddlers. Postgraduate

Medicine, 101(2), 421-252

Karwowska, A., Nijssen-Jordan, C., Jhonson, D., & Davies, H., D. (2002).

Parental and health care provider understanding of childhood fever: A

canadian perspective.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Care, 4, 394-400

Kuenizi, S. M., Fenton, M. V. (1975). Crisis intervention in acute care are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75(5), 830-834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7).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Assessment and initial management in chilren younger than 5 year of

age. London: RCOG Press. Retrieved January 10, 2009, from

http://www.nice.org.uk/nicemedia/pdf/CG47Guidance

North central connecticut EMS council (2007). Regioal EMS Guideline: Pediatric

fever. from http://www.ems1.com/data/protocols

NSW Department of health 2010. Infants and children: Acute Management of

Fever, second edition. 11-oct-2010. from http://www.health.nsw.gov.au

Oberlander, T. F., Pless, I. B., Dougherty, G. E. (1993). Advice seeking and

appropriate use of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American Journal of

- 47 -

Disease of Children. 147(8). 863-867

Patricia A. Potter, Anne Griffin Perry (1997). Fundamentals of nursing 4th edition.

Mosbey. 698

Paul, F., Jones, M. C., Hendry, C., & Adair, P. M. (2007). The quality of

written information for parent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a febrile

convul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2308-2322

Robert H. Pantell, Michael Naber, Rebecca lamar, James K. Dias (1980). Fever

in the first six month of life. Clinical pediatric, 19. 77

Schmitt, B. D. (1980). Fever phobia: Misconception of parents about fevers.

American Journal of Disease of children, 134, 176-181

Seels, B & Richey, R. (1994). Instruction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Thomas, D. O. (2002). Special consideration for pediatric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ency nursing, 37(1), 145-159

Totapally, B. R. (2005). Fever, fever phobia and hyperthermia: What

pediatricians need to know. International Pediaterics, 20, 95-103

Walsh, A. M., & Edwards, H. E. (2006). Management of Childhood fever by

parents: Literature review. Jounal of Advanced Nursing. 54, 217-227

- 48 -

안녕하십니까?

는 연세 학교 간호 학원에서 아동 문 간호를 공하고, 본원 응 실에

서 근무하고 있는 학원생입니다.

본 설문지는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 자료 개발을 해 응 실에 발열을 주

호소로 내원한 , 유아기 아동 보호자들의 발열 리 방법, 발열 교육 자료와

련된 기 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성되었습니다.

본 설문지는 일반 인 사항, 발열에 한 사항, 발열 교육 자료에 한 사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성에는 5~1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여러분께서는 자율 으로 본 설문지에 응하실 수 있으며, 원하지 않으시면 언

제든지 단하실 수 있습니다. 응답하신 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바쁘신 이지만 성실한 답변 부탁

드리며, 응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1년 6월

연세 학교 간호 학원 아동 공 김 정 드림

문의사항 :

본 설문지와 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에는 아래의 주소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E-mail : [email protected]

부록 1. 발열 아동 리 부모 교육자료 설문지

설문지

- 49 -

1. 응 실에 내원한 이유는? (복수 선택 가능)

① 열을 떨어뜨리기 해 조치를 취했는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아서

② 외래 진료를 볼 수 없어서

③ 빠른 진료를 원해서

④ 다니던 병원에 갈 수 없어서

⑤ 약 처방을 받기 해서

⑥ 동네 의원에서 진료하 으나 호 이 없어서

⑦ 열나는 증상 외에 다른 증상(구토, 설사, 기침, 호흡 곤란 등)이 심해져서

⑧ 수액을 맞기 해서

⑨ 액검사나 X-ray 검사를 하기 해서

⑩ 기타 ( )

2. 과거에 아기가 열이 있을 때 응 실에 내원한 은?

(회)

3. 과거에 아기 열 리 교육을 받은 이 있다.

: 아니오:

있다면 아기 열 리 교육을 받은 곳은 어디입니까?

① 교육을 받은 이 없다.

②병원에서 의료인으로부터

③인터넷이나 어 을 통해

④책 는 잡지를 통해

⑤경험 으로(어머니나 친척, 친구, 이웃들의 경험)

⑥육아 련 모임이나 문화센터를 통해

⑦텔 비 는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⑧기타( )

- 50 -

질 문 네 아니오

아기가 열이 나면 항상 해열제를 사용한다.

아기가 열이 나면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아기가 열이 나면 옷을 벗겨 놓는다.

아기가 열이 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열을 떨어뜨리는 것 보다 아기가 편안해 하는 것이 더 요하다.

아기가 열이 나면 소아과 진료(외래, 의원)를 본다.

아기가 열이 나면 즉시 응 실로 간다.

질 문 매우

그 다. 그 다

그 지

않다.

매우

그 지

않다.

열 리 교육 자료의 내용은 이해하

기 쉽다.

열 리 교육 자료를 읽은 후 열 리

에 자신감이 생겼다.

열 리 교육 자료는 아기의 열로 인

해 응 실에 오는 횟수를 일 수

있을 것이다.

4. 다음은 열 리에 한 질문입니다.

4-1. 아기가 몇 도 (℃)일 때 고열이 난다고 하십니까? ℃(도)

4-2. 아기가 몇 도 (℃)일 때 병원 는 응 실에 내원 하십니까? ℃(도)

4-3. 다음 열 리 방법 해당 되는 부분에 √표 하세요.

5. 오늘 제공받은 열 리 교육 자료에 한 질문입니다.

* 귀하가 생각하는 발열 교육 자료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내용 방법에 해

자유롭게 어주십시오. ( : 동 상교육, 보다 문 인지식, 기타 등등...)

- 51 -

*다음은 일반 사항에 한 것입니다.

1. 응답자의 연령은?

□20 미만 □20-30 □40 □50 □60 □60 이상

2. 응답자의 성별은?

□남 □여

3. 직업은?

□유 □무

4. 최종 학력은?

□ 졸 □ 졸 □고졸 □ 졸 □ 학원졸 □기타( )

5. 응답자는 가정에서 주로 아동을 돌보는 사랍 입니까?

□ □아니오

아니라면 가정에서 주로 아동을 돌보는 사람은 구입니까?

6. 응답자와 아동과 계는?

□부모 □조부모 □친척 □ 탁 양육자 □기타

7. 내원한 아동의 생년월일은? 20 년 월 성별은? □남 □여

8. 내원한 아동은 몇 번째 자녀? 명 째

- 52 -

부록 2. 발열아동 리 부모교육자료

- 53 -

부록 3. 임상시험심사 원회 심사결과 통보서

- 54 -

<Abstract>

Development of Fever Triage Tool for Children under Five

in the Emergency Room and a Parent Teaching Material

Kim, Hyun Jung

Department of Child Health Care

Graduate School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fever triage tool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year visiting emergency room and develop parent

teaching brochure for parent of children with non-emergency fever.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as analyzed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and

screening criteria of fever to develop a fever triage tool suitable for emergency

room care, and the validity of the tool was verified by a group of experts by

utilizing CVI. The initial tool then was tested for clinical applicability and

inter-rater consistancy. A weighted kappa analysis proved that it was consistant.

Parent education materials for the management of feverish children were

produced in 5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ntervention and

evaluation. It provides explanation on the definition and management of fever

and the use of fever remedy. The parent education materials were provided to

the parents of the children who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being

classified as having a non-emergency on the fever triage tool.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ir opinions related to

the teaching material.

- 55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ts highly agreed that the tool was valid (0.985).

2. As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fever triage tool, the weighted kappa value of

it was 0.6970 (95% confidence interval: 0.4493-0.9446), which means the

applicability of the tool.

3. A majority of parents report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education

materials and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usefulnes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two. Almost 2/3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parent education materials would help them to figure out when they should

go to the emergency room.

This study developed a triage tool of fever, one of the major causes of

children's visit to the emergency room. And produced a parent education

material and evaluated the validity, applic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tool and

educational material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developing parent education materials on care for feverish

children, the parents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fever and better

management. Ultimately to reduce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with fever

as a major symptom and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pediatric emergency

care the satisfaction less anxiety form emergency room visitors and their

parents.

Key words : fever triage tool, parent education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