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3 pp. 349 - 357, 1 988 Journal 01 Korean Radiol ogical Society, 24 (3) 349-357 , 1988 - Iopromide , Ioxitalamate - - Abstract - Cinical Trial of Non-ionic Contrast Media -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etween Non-ionic Iopromide (Ultravist@ ) and Ionic Contrast Media - Ghi Jai Lee, M.D. , Seung Hyup Kim, M .D., Jae Hyung Park, M.D. , Kee Hyun Chang, M.D. Man Chung Han , M.D. , Chu.Wan Kim, M.D. Department of Co l! 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Non.ionic con trast media, ioprom ide (Ultravist@) was compared with (Telebr ix@ ) and/or iox- aglate (He xab ri x@ ) for efficacy and saf ety in 203 patien ts undergoing ca rdiac angiography, neurovascular angiography, peripheral and v isce ral angiography and intravenous pyelography. In all patients , adverse sym p- toms and signs including heat sense, pain, nausea, vomiting, et c. we re checked during and after the injection In addition, EKG and LV pressure were monitored during the ca rdiac angiography. And also CBC, UA, BUN and creatinine we re checked before and 24 hours after the cardiac angiography. Ser ious adverse effect did not occur in any case. Minor effects, such as nausea and abdominal pain, we re less freq uently caused by non-ionic contrast media than by ionic contrast media, especialy in card iac angiography and intravenous pyelograph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onic and non-ionic contrast media in regard to electrophsiologic parameters such as EKG and L V pressure. In case of intravenous pyelography, nonionic contrast media seemed to be superior to ionic cont rast media in image quality It is sugges t ed that, in spite of higher cost, non-ionic contrast med ia be needed for the safety and image quality, particularly in those patients at high risk 01 advers e effects by ionic cont rast media. 1. metrizamide Iopromid e( Ul travi st<!ll, Schering , West - 349 -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大합IU、t綠뽑쟁용품 第 24 썰 짜 3 從 pp.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Iopromide, Ioxitalamate 및 Ioxaglate를 이 용하여 -

서울내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이 기 재·김 승협·박재형·장기 현·한만청·김 주완

- Abstract -

Cinical Trial of Non-ionic Contrast Media -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etween Non-ionic Iopromide (Ultravist@)

and Ionic Contrast Media -

Ghi Jai Lee, M .D., Seung Hyup Kim, M .D., Jae Hyung Park, M.D., Kee Hyun Chang, M .D.

Man Chung Han, M.D., Chu.Wan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κ Co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Non.ionic contrast media, ioprom ide (Ultravist@) was compared w ith i ox때amate (Telebrix@) and/or iox­

aglate (Hexab rix@) fo r efficacy and safety in 203 patien ts undergoing cardiac angiography, neurovascular

angiography, peripheral and visceral angiography and intravenous pyelography. In all patients, adverse sym p­

toms and signs including heat sense, pain, nausea, vomiting, etc. were checked during and after the injection

In addition, EKG and LV pressure were monitored during the cardiac angiography. And also CBC, UA, BUN

and creatinine were checked before and 24 ho urs after the cardiac angiography.

Serious adverse effect did not occur in any case. Minor effects, such as nausea and abdominal pain, were

less frequently caused by non-ionic contrast media than by ionic contrast media, especialy in card iac angiography

and intraveno us pyelograph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onic and non-ionic contrast media

in regard to electrophsiologic parameters such as EKG and L V pressure. In case of intravenous pyelography,

nonionic contrast media seemed to be superior to ionic contrast med ia in image quality

It is suggested that, in spite of higher cost, non-ion ic contrast media be needed for the safety and image

qual ity, particularly in those patients at high risk 01 adverse effects by ionic contrast media.

1. 서 론

종래 사용되던 이온성 죠영제보다 통증, 오섬 , 구토

및 과만성 반응 둥의 부작용이 석은 저삼투질 농도의

• 본 논문은 1 987년도 한국 쉐 링 (Schering ) 의 연구비 보 조로 이루어졌음.

이 논운은 1 988년 3월 28일에 접 수하여 1988년 4월 7일 에 채택되었음.

바이온성 조영제에 대한 연구가 1 972년 metrizamide

를 시작으로 촬발히 진챙되어 왔고, 각종 이온성 및

비이온성 조영제에 대한 입상적 실험석 연구가 다양하

게 이루어져 왔마.

저자들은 최근 개말된저상투질 농도의 비이온성 조

영제 인 Iopromide( Ultravi st<!ll, Schering , West

Germany ) 의 부작용의 종류, 출현, 벤도, 조영 효파

둥의 임상석 효용성을 펑가하기 위해서 기타 이온성

- 349 -

Page 2: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 第 24 卷 第 3 號 1988 -

조영제를 같이 사용하여 좌성실 조영술, 복부, 사지

및 신경혈판조영숨그러고경정액 신우조영술을시행

하여 부작용의 종류, 출현 빈도 등과 조영 대 조도 둥을

비 교 분석 하여 문헌 고철파 함께 보고하는 바이 다.

ll. 대상 및 방법

1987년 2월 17일부터 4월 22일까지 약 2개월간 서울

대학교영원 진단방사선과에서 좌싱실 조영술, 복부

및 사지혈판 조영술, 신경혈관 조영솔 그러고 경정액

신우조영술을 시행한 203영의 환자에 대해서 검사 중

혹은 직후 부작용, 동통파 열감(heat sense ) , 검사 직

전파 비교한 검사후 1분파 5분에서의 혈압 및 액박수

으l 변화그러고 조영대조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A

며 좌섭실 조영술의 경우 추가로 검사 후 1분파 5분에

서의 섬전도와 좌싱실내앙의 변화, 검사 후 24시간에

서의 B UN , creatinine을 포함한 혈액학적 검사와 뇨

검사의 변화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총 203영 중 남자

가 111영 여자가 92명이었으며, 펑균 연령은 46세였

다.

사용된 조영 제 는 바 이 온성 조영 제 로 Iopro mide

(Ul travist 300ilìl 혹은 370ilìl , Schering, West Gennany,

이 후 Ultravist 300, Ultravist 370이 라 표기 함)을 사

용하였고 이온성 조영제로는 Meglumine ioxitalamate

(Telebrix 30ilìl , Guerbet , France, 이후 Telebrix 3。

이 라 표기 함 ) 와 Sodium and meglumine ioxitala­

mate(Telebrix 30 ilìl , Guerbet , France , 이 후 Telebrix

38이라 표기함)였으며 신경 혈판 조영술의 경우는

Sodium and meglumine ioxaglate(Hexabrix 320@ ,

Guerbet , France , 이 후 Hexabrix 320이 라 표기 함)를

추가 사용하였마.

각 검 사 부문별 환자의 수와 사용된 조영 제 는 Table

1파 같으며, 신경혈판 조영술의 경우는 한 환자에 대

해 두 가지의 조영제를 좌우측에 각각 사용하였마.

검사 중 혹은 검사 후에 발생한 부작용은 미리 작성

된 목록에 의사가 기재하였으며, 동통파 열감은 ver­

bal rating scale을 사용하여 환자에 의 해 전혀 호소되

지 않은 경 우를 Grade 0으로, 옷참을 정 도를 Grade 5

로 하여 그 정도를 환자로 하여금 판단하게 하여 그

score를 기 록하였다. 혈앙파 맥 박수는 의 사 또는 간호

원이 측정하였A며, 조영대조도는 후에 2영의 땅사선

과 전문의에 의해 사용된 조영제를 모르는 상태에서

정상 및 벙변 부위를쉽게 진단할수 있도록뛰어난측

영상태를 보여준 경우를 Grade 4(excellent)로, 진단

에 도움을 줄수 없을 정도의 나쁜 조영상태를 보여준

경우를 Grade 1 ( bad )로 하여 판단, 기록하였으며, 경

정액 신우조영술의 경우는 불투명도(opacifi cation )와

충만상태 ( filling)로 쿠분하여, 불투명도에서는 앞서

의 조영 대 조도 판단 기 준을 적 용하여 good , adequate ,

poor 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충만상태에서는 신우

신배나 요판이 완천히 조영제로 충만되었을 혜를

good으로, 약 2/3정 도가 찬 경 우를 adequate로, 단

지 약 1/3 정도만 찬 경우를 poor로 정하여 판단 기

록하였 다. 통계 의 유의 성 검 정 은 student t-test로 하였

Table 1. Various Contras t Media lncluded in Each Study and Number of Patients

Study Contrast medium used

Left ventriculography Ul travist 370

Telebrix 38

N euroangiography' Ultravist 300/ Telebrix 30

Ultravist 300/Hexabrix 320

Visceral & peripheral " Ultravist 370/ Ul travist 300

angiography Telebrix 38/ Telebrix 30

IVP Ul travist 300

Telebrix 30

Total

• Right carotid angiography I Left carotid angiography or vice versa .. Aortography I Selective angiography

- 350 -

No. of patients

30

33

20

20

25

25

25

25

203

Page 3: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이기재 외 : 매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지 였으며 좌싱 실 조영 술의 경 우 Telebrix를 준 환자에

서 Ultravi st를 준 환자에 서 보다 약간 정 도가 더 하였

으나(P< 0.0 1)역시 다른 부문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차이 가 없었다 ( P >0.05)(Table 4) .

과 Ill. 결

다.

3. 혈압과 맥박수

검사 후 1분과 5분에 측정하여 검사 전파 비교펀 혈

앙파 액 박수의 변화는 Table 5에 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문별로 일치된 결과를 얻지 옷했고 또한 통계학적으

로도 의미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였다.

4. 심전도와 화심실내압

좌성실 조영술에서 Lead n 로 측정한 싱천도 변화

는 P R , RR , QRS i nterval파 QRS peak 등을 측정 하

였는데 싱방성 세옹(atrial fi bri ll ation ) 이 있는 환자는

마 러 대 상에서 제외하였었고, 1분과 5분에 Ul travist

를사용한환자에 서 1영이 심땅성 세동의 소견을보인

외에는 검사천 후로 특기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

다. 좌심설 내압의 변화는 L VEDP( L eft ventircular

end-diastolic pressure) 와 dP/dt를 측정 하였 는데

Telebrix를 준 환자 그룹에서 1분파 5분에 각각 40% ,

32%로 약간 상승된 LVEDP의 소견을 보였으며 (P

< 0.01 ) , Ultravi st를 준 환자 그룹에 서 는 약간 상승되

었으나 통계학석으로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었다(P>

1 부자요 I -, <::>

부작용의 경우, 신경혈판 조영술 파정에서는 Ul tra­

V l st나 Hexabrix 혹은 Te leb rix를 사용한 환자 중 한

사람도호소한사랑이 없었고, 복부및 사지혈판조영

술에서는 Ultravist를 주입한 25명의 환자 중 1명이 상

복부 불쾌 감, 다른 1영 이 오한강을 호소하였고 T eleb­

nx를 주입한 25영의 환자에서 1영이 오심을 호소하는

정도로 경마하였으냐, 좌심살 조영술과 경정맥 신우

조영 술의 경 우 Telebrix를 준 환자에 서 각각 9명

(27%) , 11명 (44%)으로 Ultravist를 준 환자에서의 5

명(1 7%) , 3영(12%)에 비해 훨씬 많았고그중에서도

오심 이 가장 많았다(Table 2) .

2. 동통과 열감

동통의 경우그정도는경미하여 Grade 0, 1이 대부

분이 었으며 신경 혈관 조영 숭의 경 우 Telebrix를 준 환

자에 서 Ultrav i st를 준 환차에 서 보다 약간 경 도가 더 하

였으나(P< 0.01 ) 마른 부문에서는 각 그룹간에 통계

학석무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0.05) (Table 3) .

열 강의 경우는 그 분포가 다양하여 Grade 0에 서 4까

Number and Nature of the Side Effects Table 2.

IVP

UV 300 T30 (n = 25) (n=25)

Visceral & Peripheral a뻐n땅glO。앵grap미hy

UV 370 T 38 or 300 or 30 (n=25) (n=25)

Neuroangiograpny Left ventriculography Side effect

UV 300 Hexa 320 T 30 (n=40) (n=20) (n=20)

T 38 (n=33)

UV370 (n=30)

”b

nu

nu

nU

1i

nv

이/“ nU

nU

nU

1i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1i

1i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nU

δU nU

nU

nU

nU

nU

nU

nU

nU

nU

껴t

1i

1i

nU

nU

nU

nU

1i

nU

nu

--

이ι 1i

nU

Nausea

Vomiting

Headache

Urticaria

Dizziness

Chilling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Dyspnea

Arrhythmia

l

l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11

Note: UV-Ultravist , Hexa-Hexabrix , T-Telebrix

3 2 0 0

- 351-

0 9 5 Total

Page 4: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大韓放射線흉흉學會註 : 第 24 卷 第 3 號 1988 -

Table 3. Subjective Evaluations 01 Pain During or Shortly afte r the S tudy

Degree of pain(number 01 patients) Overall Study Contrast Grade 0 1 2 3 4 5 mean P value

meidum (none) (unbearable) score

• Left ventriculography UV 370 30 0 0 0 0 0 0

T 38 33 NS

0 0 0 0 0 0

• UV 300 0 14 4 2 0 0 1.40

T 30 8 7 3 l 0 1.75 P< 0.01

Neuroangiography UV 300 0 17 3 0 0 0 1.15

Hexa 320 0 16 3 0 0 1.35 P >0.05

Visceral & Peripheral UV 300 or 370 20 4 l 0 0 0 0.24

angiography T 30 or 38 24 0 0 0 0 0.12 P >005

IVP UV 300 23 0 l 0 0 1.04

T 30 24 0 0 0 0 0.96 P >005

• In case 01 lelt ventriculography, the patients who were evaluated lor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given Valium orally , the remainder were given Valium and Demerol intramuscularly

Note: UV-Ultravist , Hexa-Hexabrix , T-Telebrix NS: not significant

Table 4. Subjective Evaluations 01 Heat Sense During or Shortly after the Study

Degree 01 pain(number of patients) Overall Study Contrast Grade 0 1 2 3 4 5 mean P value

meidum (none) (unbearable) score

• L eft ventriculography UV 370 3 7 16 3 0 2.57 T 38 0 0 4 24 5 0 3.03

P < 001

UV 300 0 5 8 6 0 2.1 5 T 30 1 2 8 6 3 0 2.40

P >005 N euroangiography

UV 300 0 1 15 2 2 0 2.25 Hexa 320 0 5 4 10 0 2.35

P >0.05

Visceral & P eripheral UV 300 or 370 2 4 8 10 0 2.1 6 angiography T 30 or 38 7 0 8 7 3 0 1.96

P >005

UV 300 20 4 0 0 0 1.1 2 IVP P >0.05

T 30 17 6 0 0 1.28

• In case 01 left ventriculography , the patients who were evaluated lor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given Valium orally , the remainder were given Valium and Demerol intramuscularly

Note: UV-Ultravis t. Hexa-Hexabrix. T-Telebrix

0.05 ). dP/dt의 변화에서는 두 그룹에서 모두 동계학

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판찰할 수 없었마(p >005) .

이 성전도 변화와 좌심실내압의 변화는 이후 좌싱실

조영 술만을 다른 논문에 서 좀더 자세 허 언급하고자 한

다.

5. 소변과 혈액학적 검사

좌성실 조영술에서 시행한 헤모달로빈치나 백혈우

수, 그러고 BUN , creatimine 등의 혈액학석 검사와

뇨검사는 좌싱실 초영술 후 24시간(대개는 검사 마음

- 352-

Page 5: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이기재 외 : 바이 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Table 5. Changes of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fter Injection of Contrast Media(mean :t standard

error)

Left ventriculography N euroangiography Factor

UV 370 T 38 P value UV 300 Hexa 320 T 30 P value

Blood Pressure(mmHg)

1 minute after study NP NP -4.5 土 12.6 -08 :t 116 - 65 :t l L7 P >0.05

5 minutes after study -1.3:t 13.1 -2.6 :t 124 P >0.05 -46 :t 14.8 -2:t 10.5 -103 :t 132 P >005

Heart Rate (bpm)

1 minute after study 0.4:t 8.1 4.2 :t 8.8 P >0.05 3.5 :l:: 6.6 24 :l:: 6.8 7 1:!: 9.7 P >005

5 minutes after study -1.1:t 7.1 -10 :l:: 8.4 P >005 4 :l:: 8.1 16 :l:: 5.6 4.8 :l:: 105 P >005

r、actorVisceral & Peripheral angiography IVP

UV 300 or 370 T 30 or T 38 P value UV 300 T 30 P value

Blood Pressure(mmHg)

1 minute after study -2.8 :l:: 156 -2.8 :l:: 102 P >0.05 -12 :l:: 87 34士 64 P >0.05

5 minutes after study -74 :l:: 16.4 -4.0 土 104 P >0.05 - 2.8士 8.2 O土 7.5 P >0.05

Heart Rate (bpm)

1 minute after study -0.2 :l:: 12.4 32 :l:: 7.1 P >0.05 0.5 :t4.3 29 :t37 P >0.05

5 minutes after study -OS :l:: 114 10土 9.7 P >0.05 -06 :t59 02 :t 61 P >0.05

Note ‘ NP-not performed UV-Ul travist , Hexa-Hexabrix , T-Telebrix

Table 6. Diagnostic Quality of Angiographic Films

Film quality levels(number of patients) Overall Study

Left ventriculography

N euroangiography

Visceral & P eripheral

angiography

Contrast meidum

UV 370

T 38

UV 300

T 30

UV 300

Hexa 320

UV 300 or 370

T 30 or 38

Grade 1 (bad)

l

0

0

0

0

0

Not우 UV-Ul travist , Hexa-Hexabrix, T-Telebrix

날 아침 )에 시행되어 검사 전파 바교되었는데 각 그룹

에서 혈액학상의 변화나 신장에 마치는 영향의 지표라

할 단백 뇨냐 BUN , creatinine치 의 뚜렷 한 상승은 관

창할 수 없었다.

6. 조영대조도

좌섬실 조영술, 신경혈판 조영술 그러고 복부 및 사

2 3 4 mean P value (fair) (good) (excellent) score

13 13 2.50 P >005 14 18 2.61

13 0 2.93 P >0.05

0 13 0 2.86 1 15 0 2.94 l 12 3 3.13

P >0.05

19 5 2.28 P >0.05

18 5 0 2.17

지혈판 조영슐에서 비교된 각 그룹간의 조영 대조도는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판찰할 수 없었으나(P ) 0.05 ) , 경정맥 신우조영

술의 경우 불투영도에서 5분과 15분에서 신실질의 불

투명 도는 Telebrix를 준 환자 그룹에 서 냐았으냐 신우

신배 나 요판의 불투명 도는 5분, 1 5분, 그러 고 25분에

서 Ultravist를 준 환자 그룹에 서 더 냐은 조영 도를 보

- 353-

Page 6: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大韓放射線훌훌學會誌 : 第 24 卷 第 3 號 1988 -

Table 7. Assessment of the Opacification at 5,15 anò 25 Minutes in IVP(%)

Grade Parenchyme

UV 300 T 30

Good 0 0

5 mins Adequate 26 55

Poor 74 45

Good 0 4

15 mins Adequate 19 52

Poor 81 44

Good 0 0

25 mins Adequate 5 13

Poor 95 87

Note: UV-Ultravis t. Hexa-Hexabrix. T-Telebrix

여 주었으며 (P< 0.01) (Table 7) , 충만 상태에서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였다(P )0.05)

(Table 8).

N. 고 찰

조영제가생체에 주는 영향은크게 나누어 고삼투질

농도와 화학적 해독성에 의해서 1) 천신적 영향, 2)

신장에 대한 영향, 3) , 성장에 대한 영향, 4) 혈판계

에 내한 영향으로 냐누어 생각할 수 있다1 , 2 ) 고삼투

질 농도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키 위해 개발된 Ultra­

V1st는 독일의 Schering에서 개발한 바이온성 조영제

로 그 화학척 구조는 Figure 1과 같으며 , 300

mgIlm e 의 농도에 서 상투질농도가 610 milliosmo­

lality로서 혈액 상투질농도(300 milliosmolality)에

비 하연 약 2배 가량 되 며 Hexabrix (560 milliosmo­

lality)보다는 약간 높지만 통상 사용되어지는 Tele­

brix (1658 . milliosmolality )에 비하연 약 1/3 정도이

다.

천신적 영 향에서 동통과 열감은 요오드 함량, 삼투

질 농도, Na+ 농도 둥에 의해서 좌우되는데 특히 삼

투질 농도와 판계가 갚4며 말단 혈판 주업시에 더 심

한 것」즈로 알려져 있마12 ) 이러한 동통파 열감을 줄이

기 위해서는 전신 마취나 조영제와 마취제와의 혼합

사용, 검사 전 투약 둥의 방엽이 있으나 근본적인 문

제는 상투질 농도가 적은 조영제를 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3, 4 ) 본 연구에서는 동통의 경우에서는 신

Pelvocalyceal Ureter

UV 300 T 30 UV 300 T 30

21 0 26 0 74 75 48 45 5 25 26 55

48 13 47 0 48 65 43 78

4 22 10 22

33 0 29 0 48 52 38 57 19 48 33 43

Table 8, Assessmen t of the Opacification at 15 and

25 Minutes in IVP(%)

Grade Pelvocalyceal Ureter

UV 300 T 30 UV 300 T 30

15 mins Good 24 29 24 27

Adequate 67 68 48 49

Poor 9 3 28 24

25 mins Good 14 20 0 5

Adequate 53 58 48 52

Poor 33 22 52 43

Note: UV-Ultravis t. Hexa-Hexabrix. T-Telebrix

경혈판 조영숭에서 그러고 열강의 경우에서는 좌섬실

조영 술에 서 Telebrix가 Ultravist보마 정 도가 약간 더

한 통계석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동통과 열강

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영제의 주업 속도, 주

입된 조영제 의 종 양, 주입 한 위치 동을 같게 한 본 연

쿠에서 그러한 결과는 조영제의 상투질 농도의 차이에

서 온 것이라 생각된마.

오싱 구로 둥의 부작용은 조영제를 정액 주업할 얘

가 동맥 주업할 때보다 심하며 바이온성 조영제 주업

시가 이온성 조영제 시보마 척은 것A로 보고 되어 있

다1 , 3 )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좌성실 조영술과 경정액

신우조영 슐에 서 Telebrix를 사용한 환자에 서 Ul tra­

vlst를 사용한 환자보다 더 많은 부작용이 호소되 었고

이러한차이는정액ξ로조영제를주입한경정액 신우

- 354 -

Page 7: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 第 24 卷 第 3 號 1988 -

% 뻐J혔겨잃 없 혔혔L뻐 10xaglate (Hexabri빼

때 썩녕

I

1opromide (Ultravis빼

C()(쩌

Iγ/\‘y1

CH30에ι、ν/CO뻐CH2CH2에 I

10xitalamate (Telebri뼈

Fig. 1. Chemical S tructures of Contrast Agents Studied

조영술에서 더 뚜렷하였마. 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판찰할 수 없었마.

혈압파 맥 박수의 변화에 도 주로 삼투질 농도가 관계

하며, 좌성실이나 말단 혈판에서 조영제 주업 시에 혈

장의 양을증가시켜 반사적으로 혈압을 감소시키며 맥

박수를 증가시키는 것무로 되어 있마.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으로 보통 30초 이내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이며

1분 이내에 사라지거나 혹은 2분까지도 지속할 수 있

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비이온성 조영제의 경우 변화

가 나타냐는 시간도 빠르며 그 변화의 정도도 적고지

속 시 간도 짧은 것A로 되어 있마3.4 , 5 , 6 , 7) 그러나 저

자들의 경우에는 검사 후 1분파 5분에 측정하였기 해

문에 1분 이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고 1분과

5분에서는 각 그룹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마있는 변화

를 판찰할 수 없었으므로 1분 이후로 지속되어지는 혈

압과 맥 박수에 대 한 영 향은 Ultravis t나 Telebrix에 서

거의 없는 것으로 생 각된다.

심전도와 좌성실내압의 변화는 주로 고삼투질 농도

와 과다 Na+ 이온 퉁이 관여하는데 , 이러한 변화는

판상동액 조영슐에서 잘 관찰할 수 있다. 심전도 변화

는 동물 실험에서 10초 정도에 QT internal 이나 RR

interval이 증가하고 QRS interval은 증가하거 나 변화

가 없을 수 있다고 보고되어지고3 , 8 ) 이러한 변화도 바

이온성 조영제에서 더 적다고 한다9, 10) 그러 나 저자

들의 경우, 검사후 l분파 5분에 측정하였기 얘운에 1

분 이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고 1분과 5분에

좌심실내압은 관상동맥 조영솔에서 조영제가 직접

좌잖실 싱근에 작용하여 좌싱실의 수축력을 떨어뜨림

으록 LVEDP를 증가시 키 고 dP/dt를 감소시 키 는데

주로 20초 이내에 얼어나며 1분 이전에 사라지는 것으

로되어 있고, 좌성 실 조영술의 경우에도 경 미한 변화

내지는 거의 변화가 없거냐 약간의 LVEDP의 상승을

판찰할 수도 있마고 하며 이러한 좌싱실내앙의 변화

역시 바이온성 조영제의 경우가 더 적게 냐타난다고

한다3, 8) 저자들의 경우 검사 후 1분과 5분에 측정하

였으므로 1분 이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고

Telebrix를 사용한 환자에 서 1분파 5분에 약간 상승된

LVEDP의 결과로 보아 Telebrix가 Ultravist에 비해

심근에 마치는 영향이 좀더 지속적으로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뻔파 혈액학적 변화는 저자마다 다양하게 보고되

어지고 있는데 헤모글로벤 치의 강소2) 백 혈쿠의 증

가6 ) 소변내 creatinine치의 감소2 ) 그외 단백뇨나 신

장손상의 지표라할효소의 소변내 증가웅의 변화를

보고하고 있는데 2, 3 , 4) 일반석으로 신장의 손상은 가역

석인 반응이며 심한 경우 급성 신부천증까지 초래할

수 있고 당뇨병 , 만성 심부천증, 마발성 골수종 둥이

유딸인자로 되어있다13) 저자들의 경우에는 검사

전, 후의 소변파 혈액학적 변화에서 Ultravistvt Tela­

brix를 사용한 환자에 서 특기 할만한 이 상변화를 관찰

- 355-

Page 8: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이기재 외 :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할 수 없었마.

조영 대 조도는 요요드 농도에 의해 좌우되 는데 사용

되어진조영제의 요오드농도의 차이가거의 없으으로

혈관 조영숭의 경우 조영 제 간에 차이가 뚜렷하게 있

을수없으냐경정맥 신우조영술에서는상투질 농도로

인한 불투명도와 충만 상태의 차이를 판찰할 수 있다

3) 즉 이온성 조영제의 경우 바이온성 조영제에 비해

상투질 농도가 크므로 좀 더 많은 양의 수분을 동안하

여 신장으로 빠짐으로 신우 신배 냐 요판의 충만 상태

가 더 낫고 신설절의 불투명도가 더 나을 수 있으나 결

정액 신우 조영술에서 진단에 가장 도움을 주는 신우

신배와 요판의 불투영도에서 옐어지므로 전체적안 조

영도의 질은 비。l 온성 조영제가 낫다고 보고되어 있으

며 3 ) 본 연구에서도 이와 일치하는 결파를 얻을 수 있

었다.

V. 결 론

바 이 온성 조영 제 인 Ultravist와 이 온성 조영 제 인

Telebrix와 Hexabrix를 사용하여 81 교한 심혈판 조영

술, 복부, 사지 및 신경혈판 초영술 그러고 경정액 신

우조영울에서 마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마.

1. 검사 중 심 각한 부작용은 한 례도 발생하지 않았

마.

2. 경미한전신적 부작용은좌성실 조영술파경정액

신우조영 술에 서 Telebrix를 사용한 환자 그룹에 서

Ultravis t를 사용한 환자 그룹에 비 해 더 많이 호소되

었으며 (P<O.O l) 그중에서도 오심이 가장 많았다.

3. 동통은 신경 혈판 조영 술에 서 Telebrix를 준 환자

그룹에 서 Ultravis t를 준 환자 그룹에 비 해 약간 정 도

가 더하였으냐(p < 0.01) 다른 부운에서는 차이가 없

었마(p< 005).

4. 열 강의 경 우는 좌심 실 조영 울에 서 Telebrix를 준

환자 그룹에 서 Ultrav i st릎 준 환자 그룹에 비해 약간

정도가 더 하였으나(P< 0.01), 마릎 부문에서는 차이

가 없었다.

5. 혈앙파 맥박수, 섭전도와 좌성실내앙의 변화 그

러고 소변 및 혈액학적 변화에서는 Telebrix를 준 환

자 그룹에서 좌심실 조영술 후 1분파 5분에서

LVEDP가 약간 상승된 외에는 ( P<O.O l) 특기할만한

변화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마(P< 0.05) .

6. 조영 대조도에서 혈판 조영술에서는 뚜렷한 차이

를 발견할 수 없었A나 경정 액 신우조영술에서 Ul tra.

Vl s t를 사용한 경 우에 Telebrix을 사용한 경 우보다 더

우수한 조영도를 얻었마(P<O.O l ) .

7. 따라서 저삼투질 농도의 조영제가 고가임에도 불

구하고위험성이 많은환자에서는 앞A로 더욱선호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REFERENCES

1. Bettmann MA: Angiographic contrast agents; con ­

ventional and new media compared. AjR

139:787-794, 1982

2. Wolf K] , Steidle B , Skutta T , et al: Iopromide;

c1inical experience with a new non-ionic contrast

medium. A cta Radiol 24:55-61, 1983

3. Taenzer V, Zeitler E : Contrast media in urography,

angiography and computerized tomography. 1st ed

p67-155, Georg Thieme Verlag, New York , 1983

4. Almen T: Development of non-ionic contrast media

Invest Radiol 20:52-9, 1985

5. Ci uffo AA , Fuchs RM , Guzman RA , et al: Benefits

of nonionic contrast in coronary angiography. In

vest Radiol 19:5197-202. 1984

6. Bettmann MA , Bourdilton PD , Barry WH , et al

Contrast agents for cardiac angiography; effects of

a nonionic agent vs. a standard ionic agent. Radio­

logy 153:583-587, 1984

7. Delius W, Erikson U: Effect of contras t medium on

blood f10w and blood press ure in lower extremities

AjR 107:869-876, 1969

8. Newman TJ: Evaluation of iopamidol in peripheral

arteriography and coronay arteriography with le ft

ventriculography. Invest Radiol 19:5181-186, 1984

9. Dawson P ‘ Chemotoxicity of contrast media and

c1inical adverse effect; A review. Invest radiol

20.'584-91. 1985

10. Pfister RC , Hutter AM , Newhouse ]H , et al: Con­

trast-medium induced electrocardiographic abnor

malities. AjR 140:149-153, 1983

11. Cruz C, Hricak H, Samhouri F , et al: Contrast

media for angiography; effect on renal function

Radiology 158:109-112. 1986

12. Higgins CB: Overview of cardiovascular effects of

contrast media. In vest Radiol 19:5187-190. 1984

- 356-

Page 9: 비이온성 및 이온성 조영제의 임상석 비교연구* - KoreaMed · 2016-12-29 · 349 - 357, 1988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3) 349-357, 1988 비이온성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 第 24 卷 第 3 號 1988 -

13. Mare K, Violante M , F ischer HW: P ulmonary ede- ionic solutions. Invest Radiol 15:362-370, 1980

ma following high intravenous doses of ionic con- 15. Morris TW , Francis M, Fischer HW: A comparison

trast media. Invest R adiol 1:188-191 , 1984 of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to carotid injections

14. Newell JD , Higgins CB , Kelley MJ , et a l: The of ionic and nonionic contrast media. Invest Radiol

in f1 uence of hyperosmolality on left ventricular 14:217-223, 1979

contractile state; disparate effects of nonionic and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