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2014-06-03 1 목재 보존처리법 - 제 6 장 - □ 목재 내부로의 약제의 침투 • 목재: 다공질이나 난주입성 재료 • 목재의 구조, 처리 약제의 성질, 처리 조건 등에 따라 복합적으로 진행 • 약제의 침투 기구 - 벽공벽의 미세공극: 유동(bulk flow, mass flow) - 벽공벽과 세포벽에 임시로 형성되는 모세관: 확산(diffusion) • 약제 침투량 - 유동 > 확산 - 벽공벽의 상태가 중요

목재 존처리법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nam/Leejong... · 2016-09-09 · 2) 치수조정, 전 절삭(precutting), 전 천공(preboring) 반드시 약제 처리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14-06-03

    1

    목재 보존처리법 - 제 6 장 -

    □ 목재 내부로의 약제의 침투

    • 목재: 다공질이나 난주입성 재료

    • 목재의 구조, 처리 약제의 성질, 처리 조건 등에 따라 복합적으로 진행

    • 약제의 침투 기구

    - 벽공벽의 미세공극: 유동(bulk flow, mass flow)

    - 벽공벽과 세포벽에 임시로 형성되는 모세관: 확산(diffusion)

    • 약제 침투량

    - 유동 > 확산

    - 벽공벽의 상태가 중요

  • 2014-06-03

    2

    유연벽공과 벽공벽

    제1절 목재 내 약제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목재의 성질 • 목재의 침투성은 동일 수종일지라도 산지, 생장의 良否에 따라

    차이가 발생

    가. 목재 수종

    1) 침엽수재의 침투 통로

    ▫ 침엽수재 구성 세포: 90% 이상 가도관

    ▫ 약제 침투의 대부분은 가도관을 통해 이루어짐

    가) 섬유방향(수축방향)

    ◦ 가도관의 유연벽공대: 유동에 의한 주요 침투 통로

    ◦ 축방향 유세포, 수직수지구: 유동에 의한 침투 미미

    - 세포내강: 유세포 물질, 수지 등이 충전

  • 2014-06-03

    3

    Resin canal 3-D image of bordered pit

    나) 방사방향

    ◦ 방사조직: 유동에 의한 주요 침투 통로

    ◦ 방사조직의 구성: 방사유세포 + 방사가도관

    (일부 수종: 방사유세포로만 구성)

    ◦ 침투 통로 역할: 방사가도관 > 방사유세포

    - 방사유세포로 침투된 약제: 반연벽공대에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모세관을 통해 확산, 이동

    * 반연벽공대(가도관+유세포): 토루스, 마르고 無, 미세공극 無

    - 방사가도관으로 침투된 약제: 유연벽공대를 통해 인접 가도관으로

    용이하게 유동

    * 유연벽공대(가도관+가도관): 토루스, 마르고 有, 미세공극 有

  • 2014-06-03

    4

    침엽수재의 방사조직

    소나무의 방사조직 (방사가도관 + 방사유세포)

    소나무의 분야벽공

  • 2014-06-03

    5

    다) 접선방향

    ◦ 가도관의 유연벽공대: 유동에 의한 주요 침투 통로

    ◦ 유연벽공의 분포: 가도관의 방사벽에 집중

    - 가도관 간의 측면 유동: 주로 접선방향

    - 방사방향으로의 유동은 극히 제한

    가도관 유연벽공의 분포

    2) 활엽수재의 침투 통로

    ▫ 주요 침투 통로: 도관

    - 세포내강이 넓고 천공판에 의해 상하 연결

    ▫ 약제의 침투(이동)

    - 미세 공극을 통한 유동: 섬유방향(도관요소와 도관요소 간) 이동

    - 일시적인 모세관을 통한 확산: 구성 세포 간 벽공벽을 통한 이동

    * 벽공벽: 미세공극 無(토루스와 마르고 無)

    • 유연벽공대: 도관+도관, 도관+목섬유, 목섬유+목섬유, 도관+가도관

    • 반연벽공대: 도관, 목섬유, 가도관+유세포(축방향, 방사)

    • 단벽공대: 유세포+유세포

  • 2014-06-03

    6

    활엽수 수종 별 도관상호간 벽공벽의 미세공극

  • 2014-06-03

    7

    도관의 벽공

    나. 공극율

    ◦ 목재 내 약제의 최대 침투량: 목재 공극율에 좌우

    ◦ 실제 약제 침투량: 공극율의 약 70~80%

    공극율(Vs) = [1 - SGs (0.65+ MC (%)

    )]x100 100

    SGs : 주어진 함수율에서 목재의 비중

    기건비중 0.4, MC 17%인 목재

    ◦ 공극율: 67.2%

    ◦ 산술적 약제 침투량: 672 L/m3

    ◦ 실제 약제 침투량: (672 x 0.7~0.8) L/m3

  • 2014-06-03

    8

    다. 변재와 심재

    ◦ 약제 침투성: 변재 > 심재

    ◦ 심재부

    - 벽공벽의 미세공극: 심재물질로 충전

    - 침엽수: 벽공의 폐색(閉塞)

    - 활엽수: 타일로시스 생성

    ◦ 변재부

    - 미세공극 충전되지 않음

    - 침엽수: 건조에 의해 폐색된 벽공 → 가압에 의해 열림(가역적)

    - 활엽수: 타일로시스 無

    벽공의 폐색

  • 2014-06-03

    9

    도관 내 타일로시스

    타일로시스의 형성

  • 2014-06-03

    10

    라. 조재와 만재

    1) 침엽수

    ◦ 약제 침투성: 만재 > 조재

    - 만재 가도관: 세포벽, 벽공벽 厚, 건조에 대한 저항력 大,

    벽공 폐색율이 小

    2) 활엽수

    ◦ 약제 침투성

    - 환공재: 조재 > 만재

    * 조재에 대형 관공 분포

    - 산공재: 큰 차이 無

    마. 목재 함수율

    ◦ 섬유포화점 이하

    - 함수율 증가 → 목재 공극율 감소 → 침투성 감소

    ◦ 최대의 약제 침투성을 달성할 수 있는 최적 함수율

    - 수종, 심재율, 목재의 크기에 따라 상이

    미국 솔송나무

    * 약제 침투량: 함수율 9% = 18% > 28%

    Sitka spruce, CCA 처리

    * 소형 시편: 변재 - 함수율 28%에서 침투량 최대

    심재 – 함수율 47%에서 침투량 최대

    * 심변재 함유 실대재: 함수율 17~86%까지 침투량 변화 無

    ☞ 약제 침투성에 미치는 인자: 함수율 < 투과성과 관련있는 목재의 구조

  • 2014-06-03

    11

    미국솔송나무(Tsuga heterophylla, Western hemlock)

    Sitka spruce(Picea sitchensis)

  • 2014-06-03

    12

    2. 약제의 성질

    가. 약제의 점도

    ◦ 약제의 목재 내 유동율: 약제의 점도와 반비례 관계

    크레오소오트유

    * 점도 8cp → 침투 깊이 6.5mm, * 점도 4cp → 침투 깊이 9.1mm

    ◦ 유상, 유용성 약제에서 큰 영향을 받음

    나. 약제의 표면 장력

    ◦ 표면장력 大 → 모세관 상승력 증가

    ◦ 약제의 표면장력 大 → 목재 내 침투 깊이 大

    ◦ 약제 표면처리 – 도포, 분무, 침지법

    - 약제의 표면장력 小 → 목재 표면에 대한 습윤성 大 → 목재 적심이 大

    * 계면활성제 사용, 침투 깊이 개선효과는 無

    1. 약제 침투 촉진을 위한 전처리

    가. 기계적 가공

    1) 박피

    ▫ 변재부: 약제 침투가 용이

    - 원목 박피 시에 변재부가 과도하게 제거되지 않도록 주의

    2) 치수조정, 전 절삭(precutting), 전 천공(preboring)

    ▫ 반드시 약제 처리 전에 가공

    ▫ 약제처리 후에 가공하게 되면

    - 약제 침투 부위 제거, 무처리 부위 노출로 보존처리 효과 상실

    제2절 목재의 보존처리

  • 2014-06-03

    13

    방부처리 후 절단에 의한 약제 미침투부의 노출

    방부처리 후 천공에 의해 내부 부후가 진행된 철도 침목

    3) 할렬 방지 처리

    ▫ 건조 시 횡단면의 할렬 방지(방사방향 할렬)

    ▫ 방지법

    - 생재 원목, 대단면재(철도 침목)의 횡단면에 O, C, S자형의 링 박기

    - 철사 묶기

  • 2014-06-03

    14

    4) 자상처리(自傷處理, Incising)

    ▫ 난주입성 수종의 약제 침투성 개선 처리법

    ▫ 재 표면에 상처(칼집)를 내어 약제의 침투깊이, 침투량 증가와 함께

    약제의 균일한 침투 달성 – 깊고 균일한 약제 처리층(방부층) 형성

    ▫ 自傷의 방향과 개수

    • 방향: 섬유방향에 약간 경사지게 처리(섬유의 횡단면 노출 증가)

    • 개수: 약제 침투성에 따라 조정

    - 약간 양호: 2천~3천 개/m2

    - 곤란: 4천~5천 개/m2

    - 매우 곤란: 7천~8천 개/m2

    ▫ 자상처리 도구

    • 칼날(일반적), 침상, 레이저, 고수압 분사 등

    ▫ 자상처리와 강도 감소

    • 두께 4cm 이하 판재: 자상 밀도(수)가 높고 깊으면 발생

    • 두께 10cm 이상 각재: 강도 저하 발생 無

    • 강도 저하는 10% 이내로 조절: 자상형태, 깊이, 밀도 등을 조절

  • 2014-06-03

    15

    나. 건조

    ▫ 약제 처리 전 건조의 필요성

    • 공극율 증가 → 약제 침투량 증가

    ▫ 약제 종류 별 목재 침투성과 건조 정도

    • 유상, 유용성 약제: 세포벽 침투 없이 세포내강 벽만 피복

    - 건조: 세포내강의 자유수 제거

    • 수용성 약제: 세포벽 내부로 확산, 침투

    - 건조: 자유수, 결합수 모두 제거

    1) 천연건조

    ▫ 일반적인 건조법

    ▫ 목표 함수율: 평균 30% 전후

    ▫ 기간: 최저 1개월 ~ 최고 6개월

  • 2014-06-03

    16

    1) 인공건조

    ▫ 약제처리를 위한 인공건조

    • 약제 침투 깊이까지만 건조

    가) Steaming and vacuum 법

    ▫ 처리 공정: 주약관 내 목재 투입 → 증기 투입 → 증기 투입 정지

    → 감압 → 증발 수분 응축 탈수

    • 증기: 압력 1kg/cm3, 온도 118℃

    - 투입 시간: 2시간 이상(목재 내부 온도 상승)

    • 감압: 감압도 600mmHg

    - 감압 시간: 2시간(목재 내부로부터 수분 증발)

    • 1회 탈수 량: 50~70kg/m3

    • 함수율 30% 이하까지 건조: 4~6회 반복

    나) Boulton법(Boiling and vacuum 법)

    ▫ 건조와 동시에 약제 주입처리법

    ▫ 1879년 영국의 Boulton 개발

    ▫ 처리 약제: 크레오소오트유, 유용성 약제

    • 철도 침목, 전주용 원목: 크레오소오트유 처리

    ▫ 특징: 표면 할렬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강도 감소 동반

    ▫ 처리 공정

    • 주약관 내 목재 투입 → 크레오소오트유 투입(주약관 1/2까지)

    → 가열(100℃, 소정시간) → 감압(600mmHg, 20~40시간) →

    목재 중의 수분 탈수, 제거 → 가압 → 목재 내 크레오소오트유 주입

  • 2014-06-03

    17

    2. 약제 처리 방법

    • 상압 처리법

    - 도포법, 분무법, 침지법, 온냉욕법, 확산법

    • 가압 처리법

    - 충세포법, 공세포법, 반공세포법

    • 처리법과 목재 함수율 조건

    - 확산법: 생재 함수율

    - 기타 처리법: 기건 함수율

    가 온냉욕법(溫冷浴法)

    ▫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약제를 침투시킬 수 있는 침지법의 일종

    ▫ 처리 공정

    • 약액 중에 목재 침지 → 약액 가열(①) → 약액 냉각(②) → 목재 회수

    • ① 과정

    - 목재 가열 → 목재 내 공기 팽윤, 압력 상승 → 기포상태로 외부로 탈출

    • ② 과정

    - 목재 냉각 → 목재 내 잔존 공기 냉각, 수축 → 목재 내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발생 → 압력 차에 의해 목재 내로 약액 흡수

    ▫ 냉각 방법 및 시간

    • 급냉법: 냉각 시간 = 가열 시간 + 1시간

    • 방냉법: 냉각 시간 = 가열 시간 + 20시간

  • 2014-06-03

    18

    ▫ 처리 온도

    • 가열: 수용성-80℃, 크레오소오트유-110℃ 전후

    • 냉각: 수용성-실온, 크레오소오트유-35~50℃(저온: 점도 상승)

    ▫ 처리 공정 별 약액의 흡수

    • 가열 공정: 총 흡수량의 1/3

    • 냉각 공정: 총 흡수량의 2/3

    ▫ 약액 흡수량

    • 방냉법 > 급냉법

    나. 확산법

    ▫ 특수 시설 및 장치 불필요, 현장처리 가능

    ▫ 다른 처리법과 다른 점

    • 목재 함수율: 고 함수율일 수록 유리

    • 처리 가능 약제: 수용성 약제

    ▫ 처리 원리: 확산 현상을 이용

    • 용액 중의 용질의 이동(약제 유효성분): 고농도 부위 → 저농도 부위

    • 확산 속도: 약제의 농도 구배에 비례

    ▫ 처리 공정

    • 고함수율 목재 → 고농도(20~30%) 약액 도포 → 밀착, 잔적 → 횡단면에

    고농도 약액 추가 도포 → 완전 피복(건조방지) → 방치(1주 ~ 수 주일)

    ▫ 처리 목재 중의 약제의 분포

    • 재 표면과 내부 간에 약제 유효성분의 농도 차 발생

  • 2014-06-03

    19

    다. 가압주입법

    ▫ 다른 처리법에 비하여 효과적, 능률적

    • 약제의 침투 깊이가 깊고

    • 균일한 침투 가능

    • 약제 흡수량 조절 가능

    ▫ 대규모 처리 시설이 필요

    1) 충세포법(充細胞法, Full-cell process)

    ▫ 1838, 영국, John Bethell 개발 – Bethell법

    ▫ 가압처리법의 표준 공정 – 가장 많이 사용

    ▫ 수용성 약제의 처리법

    ▫ 목적: 목재의 세포 공극에 다량의 약액 주입, 충만

    ▫ 처리 공정

    • 주약관 내 목재 투입 → 전배기(600mmHg, 15~60분)

    → 약액 투입(충만) → 가압(9~14kg/cm3) → 가압 정지

    → 약액 회수 → 후배기

  • 2014-06-03

    20

    Full-cell process

    2) 공세포법(空細胞法, Empty-cell process)

    ▫ 1902, 독일, Rűping 개발 - Rűping 법

    ▫ 처리 약제: 크레오소오트유

    ▫ 목적: 약액의 침투는 깊게, 침투량은 적게

    • 세포벽: 약액으로 피복

    • 세포내강: 빈 공간

    ☞ 이유: 세포 내강에 충만된 크레오소오트유는 완전 건조되지 않음

    → 처리 목재 사용 중 기온 상승 → 크레오소오트유 외부로

    삼출(渗出) → 토양 오염

  • 2014-06-03

    21

    ▫ 처리 공정

    • 주약관 내 목재 투입 → 공기 압입 → 약액 투입 → 가압

    → 가압 정지 → 약액 회수 → 후배기

    3) 반공세포법(半空細胞法, Semi-empty-cell process)

    ▫ 1906, 미국, Lowery개발 – Lowery 법

    ▫ 공세포법과 거의 동일

    ▫ 약액 흡수량: 반공세포법 > 공세포법

    ▫ 처리 공정

    • 주약관 내 목재 투입 → 약액 투입 → 가압 → 가압 정지

    → 약액 회수 → 후배기

  • 2014-06-03

    22

    라. 기타 처리법

    ▫ 교차 가압·감압법, 진공 주입법, 교호 가압법,

    고압 파동법, 저압 처리법 등

    한학기 동안 수고 많이 했습니다. 즐겁고 보람있는

    여름 방학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