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입니다 - 1988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에이즈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감소시키고자 12월 1일을 '세계 에이즈의 날'로 지정하고 정확한 정보와 예방법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활동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이즈(AIDS)에 대해 알고 싶어요!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 HIV가 몸속에 침입하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파괴시켜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악성종양 등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는 HIV로 인해 인체의 면역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감염증과 종양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HIV는 ① 감염인과의 성관계 ②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았을 때 ③ 감염인이 사용한 주사기를 사용했을 때 ④ 감염된 여성의 임신과 출산, 모유 수유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4가지 중 가장 많이 감염되는 경로는 감염인과의 성관계로, 우리나라의 경우 99% 이상이 성관계로 감염됩니다. - HIV에 감염되면 초기에 특징적인 증상은 없으나 일부에서는 체중감소, 만성설사, 발열, 마른기침, 전신피로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 후 무증상기(평균 10년)를 지나게 되는데 아무런 증상이 없어 정상인과 똑같은 생활을 할 수 있지만 면역기능이 감소하고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감염력도 있습니다. 무증상기가 끝나고 질병이 진행 되면 피부염과 물집, 구강 및 식도염, 대상포진 등이 나타나고, 면역저하로 각종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모든 HIV 감염자가 에이즈(AIDS) 환자가 되는 건 아닙니다. 에이즈는 HIV 감염 이후 면역 기능이 떨어졌을 때 발병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는 감염 후 대부분 10년 내에 50% 이상이 에이즈 환자로 발병되며, 환자로 진전되어서도 치료하지 않을 경우는 거의 수년 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HIV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에이즈 환자인가요? - HIV에 감염되었다고 모두 에이즈 환자는 아닙니다. HIV 감염인이란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을 말하며 그 중 질병이 진행되어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되었거나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합니다. 에이즈 감염인과 음식을 함께 먹으면 HIV에 감염되나요? - 아니요, 음식을 같이 먹어도 감염되지 않습니다.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떠먹는 경우 감염인의 숟가락에 감염인의 침과 함께 바이러스가 묻어 나와 HIV 감염이 될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에이즈 검사가 왜 필요한가요? - 검사를 통해 조기에 감염사실을 확인하면 빠른 치료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에게 전파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언제 받는 것이 좋고,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 HIV가 몸에 들어오면 일반적으로 6~12주가 지나 항체가 생성되고, 항체가 형성돼야만 검사를 통해 감염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HIV 감염이 의심되는 일이 있었다면, 그 후 12주가 지나서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검사는 모든 병원과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보건소에서는 ‘무료익명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에이즈의 치료제가 있나요? - 현재는 탁월한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현재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치료제는 완치제는 아니지만 HIV의 증상을 억제하여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입니다.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 2019-11-15 ·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 2019-11-15 ·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입니다

- 1988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에이즈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감소시키고자 12월 1일을 '세계 에이즈의 날'로 지정하고 정확한 정보와

예방법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활동과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이즈(AIDS)에 대해 알고 싶어요!

-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 HIV가 몸속에 침입하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파괴시켜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악성종양 등이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는 HIV로 인해 인체의 면역력이 상당히 저하되어 감염증과 종양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HIV는 ① 감염인과의 성관계 ② 감염된 혈액을 수혈 받았을 때 ③ 감염인이 사용한 주사기를 사용했을 때 ④ 감염된 여성의 임신과

출산, 모유 수유를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4가지 중 가장 많이 감염되는 경로는 감염인과의 성관계로, 우리나라의 경우 99% 이상이

성관계로 감염됩니다.

- HIV에 감염되면 초기에 특징적인 증상은 없으나 일부에서는 체중감소, 만성설사, 발열, 마른기침, 전신피로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 후 무증상기(평균 10년)를 지나게 되는데 아무런 증상이 없어 정상인과 똑같은 생활을 할 수 있지만 면역기능이

감소하고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감염력도 있습니다. 무증상기가 끝나고 질병이 진행 되면 피부염과 물집, 구강 및 식도염,

대상포진 등이 나타나고, 면역저하로 각종 기회감염과 악성종양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모든 HIV 감염자가 에이즈(AIDS) 환자가 되는 건 아닙니다. 에이즈는 HIV 감염 이후 면역 기능이 떨어졌을 때 발병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는 감염 후 대부분 10년 내에 50% 이상이 에이즈 환자로 발병되며, 환자로 진전되어서도 치료하지 않을 경우는

거의 수년 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HIV에 감염된 사람은 모두 에이즈 환자인가요?

- HIV에 감염되었다고 모두 에이즈 환자는 아닙니다.

HIV 감염인이란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을 말하며 그 중 질병이 진행되어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되었거나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합니다.

에이즈 감염인과 음식을 함께 먹으면 HIV에 감염되나요?

- 아니요, 음식을 같이 먹어도 감염되지 않습니다.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떠먹는 경우 감염인의 숟가락에 감염인의 침과 함께 바이러스가 묻어 나와 HIV 감염이 될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에이즈 검사가 왜 필요한가요?

- 검사를 통해 조기에 감염사실을 확인하면 빠른 치료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에게 전파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검사는 언제 받는 것이 좋고,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 HIV가 몸에 들어오면 일반적으로 6~12주가 지나 항체가 생성되고, 항체가 형성돼야만 검사를 통해 감염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HIV 감염이 의심되는 일이 있었다면, 그 후 12주가 지나서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검사는 모든 병원과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보건소에서는 ‘무료익명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에이즈의 치료제가 있나요?

- 현재는 탁월한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현재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치료제는 완치제는 아니지만 HIV의 증상을 억제하여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입니다.

Page 2: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 2019-11-15 ·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그림3. 2001~2018년 HIV/AIDS 신규 감염인수(출처: 질병관리본부) 그림4. 내국인 연도별 연령별 HIV/AIDS 신규 감염인수(출처: 질병관리본부)

국외 에이즈(AIDS) 현황

- 2018년 HIV 신규 감염인수는 170만 명(140만 명~ 230만 명)으로 추정되며, 성인 감염인의 경우 2010년 180만 명(140만 명~

240만 명)에 비해 2018년 160만 명(120만 명~210만 명)으로 11.1% 감소하였습니다.

- 2018년 AIDS로 인하여 사망한 감염인은 77만 명(57만 명∼11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2004년에 비해 54.7% 감소하였고,

2010년에 비해 35.8% 감소한 수치입니다.

- 2018년에 생존한 HIV 감염인 수는 3,790만 명(3,270만 명~4,400만 명)으로 추정되며, 2010년에 비해 19.6% 증가하였습니다.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HIV 신규 감염인은 31만 명(27만 명~38만 명)으로, 2010년 이후 8.8% 감소하였으며, AIDS로 인하여

사망한 감염인은 20만 명(16만 명∼29만 명)으로 2010년 이후 25.9% 감소하였습니다.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1,081명

1,008명

1,013명

1,060명

1,018명

217명

768명

773명

153명

888명

868명

103명

101명

110명

134명

137명

182명

989명

327명

397명

533명

610명

680명

749명

740명

797명

60명

59명

54명

47명

85명

71명

64명

71명

88명

57명내국인

외국인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352명34.6%

232명21.5%

228명22.4%

240명22.6%

230명22.8%

236명23.9%

185명24.1%

183명23.7%

224명22.1%

220명24.8%

160명20.8%

150명19.4%

208명23.4%

264명30.4% 289명

28.5%344명31.8%

162명18.7%

360명34.0%

340명33.7%

336명34.0%

198명25.8%

208명26.9%

198명22.3%

202명23.3%

225명22.2%

210명19.4%

183명18.0%

193명18.2%

166명16.5%

171명17.3%

128명16.7%

123명15.9% 143명

16.1% 136명15.7%

160명15.8%

164명15.2%

136명13.4%

139명13.1%

149명14.8%

140명14.2%

42명4.1%

36명3.4%

19명1.9%34명

3.4%27명3.5%

28명3.6%

40명4.5%

32명3.7% 53명

5.2%

40명3.7%

59명7.7%

64명8.3% 60명

6.8%48명5.5% 40명

3.9%

66명6.1% 59명

5.8%

59명5.6%

62명6.2%

57명5.8%

11명1.4%

16명2.1%

19명2.1%

23명2.6%

22명2.2%

25명2.3%

18명1.8%

33명3.1%

27명2.7%

30명3.0%

연령대0~9세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이상

세계 에이즈의 날(World AIDS Day) 'Ending the HIV/AIDS Epidemic: Community by Community'

국내 에이즈(AIDS) 현황

- 1985년 HIV/AIDS가 처음 보고된 1985년부터 신고(1995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를 시작하여 1994년까지 HIV/AIDS 신규

감염인수가 연간 100명 미만으로 신고 되다가 2013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연간 1,000명 넘게 신고되고 있습니다.

- 2018년 HIV 신규 감염인수는 1,206명이었으며, 이 중 내국인이 989명으로 전체의 82%를 차지합니다.

- 2018년 내국인 HIV 신규 감염인 중 20대가 34.0%(33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가 23.9%(236명), 40대가 17.3%(171명)

순으로 20~40대가 전체의 75.2%를 차지합니다. 이 중 20대의 비율은 10년 전인 2009년 20.8%에 비해 13.2% 증가하였습니다.

- 성별로는 남성이 1,100명, 여성이 106명으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10.4:1 입니다.

[출처] 2019 HIV/AIDS 관리지침(2019. 질병관리본부), 2018 HIV/AIDS 신고 현황 연보(2019. 질병관리본부), UNAIDS, AIDSinfo

(http://www.unaids.org/)() (https:/(http://twitte(https://www.fac

Quick Links

Key Population Atlas (http://www.aidsinfoonline.org/kpatlas/)

Financial dashboard (http://hivfinancial.unaids.org/)

Laws and policies analytics (http://lawsandpolicies.unaids.org)

Indicators

Epidemic transition metrics

People living with HIV

New HIV Infections

AIDS-related deaths

Treatment cascade

Elimination of mother-to-child transmission

HIV Expenditure

TB and HIV

Map Data Sheet Graphs Compare Factsheets

Global Regional National Export Share

Trend of new HIV infections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0

1M

2M

3M

4M

5M

Change in new HIV infections since 2010

-16 %

Search

Source: UNAIDS 2019 estimates

Trend of AIDS-related deaths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0

0.5M

1M

1.5M

2M

2.5M

Change in AIDS-related deaths since 2010

-33 %

Source: UNAIDS 2019 estimates

Incidence:prevalence ratio

Incidence:mortality ratio

Laws and policies scorecard

그림1. 1990~2018년 세계 HIV 신규 감염인수 (출처:UNAIDS data 2018) 그림2. 1990~2018년 세계 AIDS로 인한 사망자수 (출처:UNAIDS data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