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1 45 1단계 무역 합의 달성, 비철 회복 이끌 것 SUMMARY 전기동 1단계 무역 합의 타결의 훈풍이 공급 부족 상황과 만나 가격 상승 이끌 것 알루미늄 자동차 시장 회복 및 알루미늄 생산 약화, 알루미늄 가격 지지할 것 니켈 스테인리스 시장 공급과잉 해소 및 인도네시아 니켈원광 수출중단의 영향으 로 니켈 가격 상승할 것 아연 아연 증산은 부담. 수요 회복은 아연 하락폭 제한할 것 2020년 1월 비철금속 전망 보고서 2019.12.26 ㈜코리아피디에스 [email protected] 문의 : 02-565-3337

비철 회복 이끌 것 · 2020. 7. 6. · 코리아pds 미중 무역 갈등 시나리오 리뷰 연간 전망 당시 코리아pds는 미중 무역 협상과 관련해 1) 해소,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 │ 45

    1단계 무역 합의 달성,

    비철 회복 이끌 것

    SUMMARY

    전기동

    1단계 무역 합의 타결의 훈풍이 공급 부족 상황과 만나 가격 상승 이끌 것

    알루미늄

    자동차 시장 회복 및 알루미늄 생산 약화, 알루미늄 가격 지지할 것

    니켈

    스테인리스 시장 공급과잉 해소 및 인도네시아 니켈원광 수출중단의 영향으

    로 니켈 가격 상승할 것

    아연

    아연 증산은 부담. 수요 회복은 아연 하락폭 제한할 것

    │2020년 1월 비철금속 전망 보고서

    2019.12.26

    ㈜코리아피디에스

    [email protected]

    문의 : 02-565-3337

    mailto:[email protected]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 │ 45

    목차

    SUMMARY ······································································· 1

    1. 전기동 ··········································································· 3

    1) 시황 요약 ····································································· 3

    2) 분석 ······································································ 4

    3) PDS 전망 요약 ······························································· 23

    2. 알루미늄 ········································································ 24

    1) 시황 요약 ···································································· 24

    2) 분석 ····································································· 25

    3) PDS 전망 요약 ······························································· 33

    3. 니켈 ············································································ 34

    1) 시황 요약 ···································································· 34

    2) 분석 ····································································· 35

    3) PDS 전망 요약 ······························································· 41

    4. 아연 ············································································ 42

    1) 시황 요약 ···································································· 42

    2) 분석 ····································································· 43

    3) PDS 전망 요약 ······························································· 45

    ※ Appendix – 국제 원자재 데이터 분석 보고서 비철금속/귀금속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 │ 45

    1. 전기동

    1) 시황 요약

    지난 1년 전기동 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자료: 코리아PDS

    1년 이상 계속 되었던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기

    대가 확산되며 12월 초부터 전기동 가격의 회복을 이끎. 12월 첫째 주에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이나 래리 커들로 미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등 주요 인사들이 무역 협상 진행 상황에 대해 발언하며 협상 타결에 대

    한 기대가 강해짐. 13일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1단계 무역 협상 타결이 발표됨.

    수급 측면에서 공급 부족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제련/정련 수수료

    (TC/RCs)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중국 주요 제련소들이 감

    산 논의에 들어가는 등, 구리광산 생산 부진의 영향이 제련 생산에 미치기 시작

    하고 있음. 골드만 삭스 등 복수 투자기관은 이러한 현상을 기반으로 전기동 시

    장의 회복 가능성에 주목하기 시작함.

    이러한 상승 요소를 반영하여 LME 전기동 3개월물 Official 가격은 12월 2일 이

    후 17거래일 만에 5.7% 상승하여 톤당 6,200달러 선을 돌파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 │ 45

    2) 분석

    ● 마침내 반등 맞이한 전기동 시장, 원동력은 1단계 무역 협상

    12월 2일 이후 전기동 시장은 강한 회복세를 나타냄. 특히 둘째 주인 9~13일

    LME 전기동 3개월물 평균 가격은 톤당 6,100.8달러로, 전 주에 비해 3.94% 상

    승하였음. 이는 하단 좌측의 주간 평균 가격 상승률 히스토그램에 나타낸 대로

    최근 52주 내 최대 수준의 가격 상승폭임.

    전기동 시장의 투기적 투자자들이 태세를 전환하면서 12월의 가격 회복을 이끎.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미결제약정동향보고서(COT)에 따르면 12월

    17일 전기동 시장의 투기적 포지션이 34주만에 순매수로 전환함.

    지난 52주 LME 전기동 3개월(o) 가격 추이 최근 52주 전기동 주간 평균 가격 전주 대비 상승률 분포도

    단위: 달러/톤

    단위: 주

    자료: LME, 코리아PDS

    NYMEX 전기동 투기적 포지션, 34주만에 순매수로 전환

    단위: 건

    자료: NYMEX, 코리아PDS

    5,400

    5,600

    5,800

    6,000

    6,200

    6,400

    6,600

    Jan-19 Apr-19 Jul-19 Oct-19

    0

    2

    4

    6

    8

    10

    12

    -3% -2% -1% 0% 1% 2% 3% 4%

    -80,000

    -60,000

    -40,000

    -20,000

    0

    20,000

    40,000

    Mar-19 May-19 Jul-19 Sep-19 Nov-19

    투기적 포지션,

    34주만에 순매수로 전환

    12월 둘째 주,

    전기동 가격 3.9% 상승...

    52주 내 최대 가격 상승폭 보여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5 │ 45

    이러한 빠른 가격 회복은 1단계 미중 무역 합의가 가까워지며 갈등 해결에 대한

    기대가 확산 되었기 때문임. 2018년 6월 이후 본격화된 관세 분쟁이 2019년 4분

    기 이후 완화 국면으로 전환함. 12월 초부터 1단계 무역 합의에 가까워졌다는 루

    머가 확산된 끝에 13일 실제로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며 전기동 가격은 톤당

    6,200달러 선까지 돌파함. 무역 갈등의 주요 사건들을 하단의 표로 정리하였음.

    미중 무역 갈등 주요 사건 타임라인

    날짜갈등

    격화/완화사건 상세

    2018년

    6월 15일격화

    트럼프 대통령, 총 50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선언

    2018년

    6월 19일격화 중국 정부, 5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 부과 선언

    2018년

    7월 6일격화 6월 발표된 관세 부과 실행 (500억 달러 중 340억 달러)

    2018년

    8월 23일격화 6월 발표된 관세 부과 실행 (500억 달러 중 160억 달러)

    2018년

    12월 1일완화 미중 정상, 90일 휴전 및 무역 협상 진행에 합의

    2019년

    5월 5일격화

    트럼프 대통령, 협상 진행 상황에 불만 나타내

    갑작스러운 관세 인상 발표

    2019년

    5월 10일격화 5일 발표된 관세 인상 실행 (2,000억 달러 규모)

    2019년

    6월 29일완화

    미중 정상, 오사카 G20 회의에서 무역 분쟁 휴전 발표

    7월 중 고위급 협상 재개에 합의

    2019년

    7월 29~31일완화

    중국에서 고위급 회담 재개

    5월 미중 관계 냉각 이후 처음으로 대면 협상이 이루어짐

    2019년

    8월 1일격화 트럼프 대통령, 3,000억 달러 규모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 선언

    2019년

    8월 23일격화

    중국 정부, 750억 달러 규모 수입품에 보복 관세 부과 선언

    트럼프 대통령 즉각 추가 보복 관세 부과 선언

    2019년

    9월 1일격화 미국과 중국, 각각 예고했던 관세 부과 실행

    2019년

    8월 5일격화

    위안/달러 환율 달러당 7위안 돌파

    트럼프 행정부, 중국 환율 조작국 지정

    2019년

    10월 11일완화 트럼프 대통령, 미중 양국이 1차 협상안(스몰딜)에 합의했다고 발표

    2019년

    11월 7일완화 중국 상무부, 미중 양국이 점진적 관세 철폐 원칙에 합의헀다고 발표

    2019년

    11월 8일격화 트럼프 대통령, 중국 상무부 발표를 부인

    2019년

    12월 4~6일완화 양국 정부 주요 인사, 협상 진행 상황에 대해 긍정적 발언

    2019년

    12월 13일완화 미국과 중국, 1단계 무역 협상에 합의

    2019년

    12월 19일완화 중국, 6개 미국산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

    2019년

    12월 23일완화 중국 정부, 약 850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

    1단계 무역 협상,

    전기동 가격 급등 요인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6 │ 45

    자료: 코리아PDS

    이러한 주간 평균 가격 급등은 단기적인 모멘텀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았음. 하단

    의 그래프를 통해 2010년 이후 LME 가격을 기준으로 52주 내 최대 가격 상승폭

    을 기록한 이후 전기동 시장의 변동 양상을 정리하였음.

    2016/11 첫째 주, 둘째 주, 주간 가격 상승률 3.4%, 10.2% (상승) 2011/10 둘째 주, 넷째 주, 주간 가격 상승률 5.7%, 7.0% (유지)

    단위: 달러/톤

    단위: 달러/톤

    자료: LME, 코리아PDS

    2015/10 넷째 주, 주간 가격 상승률 5.7% (상승) 2018/06 첫째 주, 주간 가격 상승률 4.2% (하락)

    단위: 달러/톤

    단위: 달러/톤

    자료: LME, 코리아PDS

    2015/02 첫째 주, 주간 가격 상승률 3.1% (상승)

    4,500

    4,900

    5,300

    5,700

    6,100

    Oct-16 Nov-16 Dec-166,800

    7,200

    7,600

    8,000

    Oct-11 Oct-11 Nov-11

    5,600

    6,000

    6,400

    6,800

    Mar-15 Mar-15 Apr-156,000

    6,400

    6,800

    7,200

    7,600

    May-18 Jun-18 Jul-18

    주간 평균가 급등 후

    모멘텀 이어가는 경우가 많아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7 │ 45

    단위: 달러/톤

    자료: LME, 코리아PDS

    위의 케이스를 살펴보면 2018년 단 한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급등 이후 전기동

    가격이 추가 상승하거나, 최소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지”

    로 분류된 2011년 10월의 경우도, 3개월 째인 2012년 1월 둘째 주에 5.7%의 상

    승률을 보이며 톤당 8,000달러 선을 돌파했음.

    즉, 2010년 이후 전기동 시장이 급등 이후 하락으로 전환한 경우는 2018년 6월

    케이스가 유일함.

    2018년 6월의 경우, 세계 최대의 구리광산인 칠레 Escondida의 노사 분규에 대

    한 우려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승 했으나, 직후 무역 갈등 이슈가 급격하게 악화

    되었음. 특히 6월 15일 실제 관세 부과가 시작되면서 전기동 가격에 강한 하락

    압력이 가해졌으며, 미 연준의 금리 인상 또한 하락을 부채질함.

    정리하면, 2018년 6월과 같은 수준으로 무역 협상 진행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하

    지 않는 이상, 전기동 시장이 하락 전환할 가능성은 낮음. 이러한 분석을 전제로

    다음 섹션에서는 전기동 시장 방향 전환의 핵심 요인인 미중 무역 갈등의 향후

    전개 시나리오를 재검토함.

    5,400

    5,800

    6,200

    Jan-15 Feb-15 Mar-15

    2018년 6월과 같은

    미중 관계 급랭 없이

    전기동 시장 하락 전환 가능성 낮아

    2018년 6월,

    공급 이슈에 상승한 전기동

    관세 부과 현실화에 급락

    2018년 6월,

    주간 평균가 급등 후

    하락으로 전환한 유일한 케이스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8 │ 45

    ● 코리아PDS 미중 무역 갈등 시나리오 리뷰

    연간 전망 당시 코리아PDS는 미중 무역 협상과 관련해 1) 해소, 2) 지속, 3) 악화

    될 것이라는 3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고, 이 가운데 ‘지속’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전망을 했음.

    해소 지속 악화

    - 12월 관세 부과 취소/보류

    - 1단계 기본 합의 서명

    - 상반기 내 관세 정상화

    - 12월 관세 부과 취소/보류

    - APEC 기점으로 협상 재개

    - 대화 지속에도 갈등 상황 유지

    - 미, 12월 관세 부과

    - 중, 농산물 구매 취소

    - 관세율 추가 인상 가능성 지속

    ‘지속’ 시나리오는 양국이 대화를 지속하나 무역 갈등의 최종 해소에는 이르지 못

    하는 시나리오임. 대화 지속을 위해 “해소” 시나리오와 마찬가지로 12월 15일

    부과하기로 한 추가 관세 인상은 취소 혹은 보류되나, 갈등 자체는 연중 이어지

    는 가운데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 가정했음.

    12월 하순 현재 미중 관계는 기존에 상정했던 ‘지속’ 시나리오의 상황보다 개선

    되었다 평가됨.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 합의를 이뤘다고 발표한 가운데 갈등

    이 유의미하게 완화됐음. 이와 함께 미국은 15일 예정되었던 추가 관세 부과를

    취소하고, 9월부터 부과됐던 1,2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5%의

    관세를 7.5%로 하향 조정함. 중국은 500억 달러 규모의 농산물 구매에 더해 지

    적 재산권 보호, 기술 이전 강요 포기, 금융 개방 등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짐.

    다만 이번 합의로 인해 미중 간의 갈등 상황이 해소 시나리오로 전환되었다고 판

    단하기는 시기상조임. 미중 갈등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1차 합의와 관련해 정확한

    합의문이 제시되지 않은 가운데 구체적인 합의 이행 방안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

    음. 미국 측이 이전에 부과했던 2,500억 달러에 대한 관세 25%를 철회하지 않았

    다는 점 또한 유의할 만함. 이에 더해 2015~17년 사이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평

    균 수입액이 240억 달러 수준임을 고려하면, 중국이 약속했다고 알려진 500억

    달러 규모의 농산물 수입은 비현실적인, 또는 과장된 수치라고 분석됨.

    따라서 이번 1단계 합의는 무역 협상 타결이 아닌 갈등 확산 방지의 의의가 강하

    다고 평가함. 현재 미중 관계는 경기 악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

    서 양국이 휴전에 합의한 결과라 해석됨. 이에 따라 12월의 갈등 완화에도 불구

    하고 지속 시나리오를 유지함.

    미중 관계는 휴전에 가까워

    지속 시나리오 유지

    미중 갈등 해소 길목에 들어섰다

    판단하기는 시기상조

    11월 중순에 비해

    미중 관계 유의미한 개선 보여

    2020년 내 무역 갈등 해소

    어렵다 판단하는 지속 시나리오 채택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9 │ 45

    ● 코리아PDS 전기동 모델 현황 리뷰

    미중 양국의 대화 지속 시나리오가 전망되는 가운데, 코리아PDS의 정량적 모델

    에 따르면 현재 전기동 시장이 추가적 상승 여력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코리아PDS는 전기동 시장에 대한 투기적 투자자들의 기대와 전체 경기 활성도를

    구분하기 위해 두 개의 정량적 모델을 사용함. WECP 모델(World Economy &

    Copper Production 모델)에 기반해 산출한 전기동 적정가는 투기적 투자자들의

    포지션을 반영하지 않으나, CNL 모델(Copper Net Long 모델)은 이를 포함시킴.

    지난 3분기까지 전기동 시장의 투기적 투자자들은 일반 투자자들보다 미중 무역

    갈등 악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음. 이에 따라 8월에는 WECP 모델

    기반 적정가와 CNL 모델 기반 적정가의 괴리가 톤당 600달러까지 벌어졌음.

    1단계 무역 협상 타결이 가까워지며 WECP 모델과 CNL 모델 적정가의 차이가

    급격하게 줄어들었음. 이는 12월 이전과는 달리 투기적 투자자들이 미중 무역 갈

    등 해결에 대한 기대를 되찾았음을 의미함. WECP 모델 적정가는 아직도 CNL

    모델 적정가를 150달러 이상 상회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심리

    가 크게 완화되어 미국 증시가 연일 최고점을 갱신하는 현황을 반영한 결과임.

    이에 더해 실제 전기동 가격이 39주만에 처음으로 정량적 모델 기반 적정가를 모

    두 하회하고 있는 상황은 추가적인 가격 상승 가능성을 보여준다 할 수 있음.

    정량적 모델, 전기동 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 보여

    단위: 달러/톤

    자료: LME, 코리아PDS

    5,000

    5,500

    6,000

    6,500

    7,000

    Mar-19 Apr-19 May-19 Jun-19 Jul-19 Aug-19 Sep-19 Oct-19 Nov-19

    LME 전기동 실제가 WECP 모델 기반 적정가 CNL 모델 기반 적정가

    전기동 시장,

    추가 상승 여력 남아

    WECP 모델과 CNL 모델의 차이,

    투기적 투자자 기대 드러내

    미중 관계 악화된 8월,

    정량적 모델 적정가 괴리 벌어져

    1단계 협상 타결 현실화 되며

    두 모델 기반 적정가 급등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0 │ 45

    ● 미국 금융시장, 기록적 회복세 보여

    미국 금융 시장의 회복세는 기록적인 수준이었음. 11월 이후 미 주식 시장은

    S&P 500 지수 기준 최고 기록을 총 18번 갱신함. 2012년 이후 미 증시에서 2개

    월 내 역대 최고 주가 지수가 18번 갱신된 것은 공동 4위에 해당하는 기록임(역

    대 1위는 2012년 1,2월. 최고 주가 22번 갱신).

    미국의 장단기 국채 수익률 차이 또한 확대됨. 일반적으로 장기 국채 수익률은

    단기 국채 수익률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나, 경기 불안이 확대될 수록 그 차

    이가 좁혀지거나 심지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함. 한 예로 지난 8월에는 미중 관

    계의 급랭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이러한 국채 수익률 역전 현상이 발생하였음.

    반면 11월 20일 이후 10년-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차이는 확대를 거듭하여

    0.3% 선에 근접함. 이는 무역 협상의 기대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던 지난 6월 이

    후 최초임.

    정리하면, 1단계 무역 협상 타결을 전후로 원자재 시장과 미국 금융 시장이 유의

    미한 회복세를 나타내었음. 미국 금융 시장은 일반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투자 수

    요가 회복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음. 코리아PDS의 정량적 모델은 이를 반영해 전

    기동 가격이 추가 상승할 수 있음을 보임. 코리아PDS는 개선된 현 상황과 남은

    불확실성을 모두 고려하여 미중 무역 갈등 “지속” 시나리오를 유지함.

    다음 섹션부터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 체력을 분석함.

    S&P 500 지수, 11월 이후 최고 기록 18번 갱신 미중 관세 분쟁 발발 후 장단기 미국 국채 수익률 차 추이

    단위: 달러/톤

    단위: %

    자료: S&P, LME, 코리아PDS

    3,050

    3,100

    3,150

    3,200

    3,250

    Nov-19 Dec-19-0.1

    0.0

    0.1

    0.2

    0.3

    0.4

    0.5

    Jun-18 Oct-18 Feb-19 Jun-19 Oct-19

    11월 이후 미 증시,

    18회 역대 최고 기록 갱신...

    2012년 이후 4위의 페이스

    미 장단기 국채 수익률 차,

    경기 불안이 확대될 수록 좁아져

    9월 후 장단기 국채 수익률 차 확대

    1단계 무역 협상 타결 후

    위험자산 투자 수요 회복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1 │ 45

    ● 미국 실물 경기, 건전성 유지

    2019년 미국 경제는 건전한 노동 시장과 개인 소비가 부진한 기업 투자 대신에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음.

    11월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폭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뛰어넘는 26만 6천 명을 기

    록하며 미국 노동 시장의 건전성을 드러냄. 시간당 임금 상승률이 3% 선을 유지

    하고 있는 점 또한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요소임. 이러한 노동 시장의 건전성에

    힘입어 미국의 소매매출은 3월 이후 9개월 연속 3% 이상 증가를 기록하고 있음.

    소비자 물가 측면에서는 11월 CPI 상승률이 올해 최고 기록인 2.04%를 기록했

    으나, PCE는 1.47% 상승에 그침. 이에 따라 급격한 인플레의 리스크는 제한적임.

    11월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 시장 예상 큰 폭으로 상회 미국 시간당 임금 전년동월 대비 상승률, 16개월 연속 3% 상회

    단위: 천 명

    단위: 명

    자료: 미 노동부, FRED, 코리아PDS

    미국 소매매출 증가율, 2019년 상승세 이어나가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 2% 내외

    단위: %

    단위: %

    자료: 미 상무부, 미 노동부, 코리아PDS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Jan-19 Mar-19 May-19 Jul-19 Sep-19 Nov-191

    2

    3

    4

    Jan-12 Mar-13 May-14 Jul-15 Sep-16 Nov-17 Jan-19

    0

    2

    4

    6

    8

    Jan-12 Mar-13 May-14 Jul-15 Sep-16 Nov-17 Jan-19-1

    0

    1

    2

    3

    4

    Jan-12 Jan-14 Jan-16 Jan-18

    미국 PCE Y-o-Y 미국 CPI Y-o-Y

    11월 비농업부문 고용,

    26만 6천 명 깜짝 증가

    물가 측면도 위험 요소 제한적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2 │ 45

    제조업 지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적표를 보임. 주요 미국 제조업 지표 중 하

    나인 ISM 제조업 지수와 IHS Markit 제조업 PMI의 괴리는 11월에도 유지됨.

    ISM 제조업 지수가 2009년 경제 위기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내는 반면, IHS

    Markit 제조업 PMI는 경기 판단 기준선인 50을 상회하고 있음.

    11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 지수와 뉴욕 제조업 지수는 또한 크게 개선되지 않

    았음. 양쪽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하지는 않고 있으나, 금융시장의 기세에는 미치

    지 못하는 수준임.

    반면 미국의 건설 경기는 회복세를 이어나가고 있음. 연준이 비둘기파적인 입장

    을 보이기 시작한 1월 이후 건설 관련 지표가 상승 전환함. 11월 건축허가 및 신

    규 주책 착공 건수 모두 전년동월 대비 10% 이상 성장함.

    ISM 제조업 지수와 IHS Markit 미국 제조업 PMI 필라델피아/뉴욕 연준 제조업 지수

    자료: ISM, IHS Markit, 각 지역 연준, 코리아PDS

    11월, 미국 주택 건설 회복세 이어나가 3분기 미국 GDP 성장률, 2.1%로 수정

    단위: %

    단위: %

    자료: 미 상무부, 미 노동부, 코리아PDS

    45

    50

    55

    60

    65

    Apr-16 Dec-16 Aug-17 Apr-18 Dec-18 Aug-19

    ISM 제조업 지수 Markit 제조업 PMI

    -20

    -10

    0

    10

    20

    30

    40

    50

    Jan-17 Jan-18 Jan-19

    필라델피아 제조업지수

    뉴욕 연준 제조업지수

    -15

    -10

    -5

    0

    5

    10

    15

    20

    Jan-18 Jul-18 Jan-19 Jul-19

    미국 건축허가 (Y-o-Y)

    미국 신규주택착공건수 (Y-o-Y)

    0

    1

    2

    3

    4

    2017

    1Q

    2017

    2Q

    2017

    3Q

    2017

    4Q

    2018

    1Q

    2018

    2Q

    2018

    3Q

    2018

    4Q

    2019

    1Q

    2019

    2Q

    2019

    3Q

    연준 제조업 지표 낮은 수준 유지

    두 주요 제조업 지표,

    상반된 진단 내려

    속보치 1.9%에서

    2.1%로 상향 수정

    미 건설경기 회복세 두드러져...

    관련 지표 10% 대 성장세 보여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3 │ 45

    이에 더해 11월 27일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이 기존의 1.9%에서 2.1%로 상

    향 수정되면서 미국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더해짐.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성장 둔화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률 2% 선을 지킨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 받음.

    이러한 가운데 미국 연준이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함. 연준

    은 10월까지 3회 연속 이어진 기준금리 인하가 경제 안정에 충분한 조치였다고

    평가함. 이러한 12월 기준금리 동결은 시장의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 결정이었음.

    이에 따라 전세계 적인 값싼 유동성 공급이라는 기조가 유지되었음. 시장은 1월

    FOMC에서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음.

    기준금리는 동결되었으나, 연준은 자산 규모 확대를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

    하고 있음. 파월 연준 의장은 10월 초 자산 규모 확대 재개가 경제 위기 시기의

    양적 완화(QE)와는 전혀 같지 않다고 주장하였으나, 시장은 이를 신뢰하지 않는

    모습임. 12월 18일 RBC(캐나다왕립은행)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과반수(59%)의 시

    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이미 새로운 QE에 나섰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남.

    종합하면, 미국 실물 경제는 활성화된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건전성을 보이고 있

    음. 특히 소비와 고용, 그리고 건설 측면에서 확연한 성장세를 나타냄. 제조업 지

    표가 비슷한 수준의 회복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점은 유의해야 하나, 연준이 유

    동성을 공급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기적인 경기 하강 리스크는 제한적임.

    다음 섹션은 중국 경제 상황 및 구리 수요를 분석함.

    주요 국가 기준금리 확대 반복한 연준 자산 규모, 연초 수준 상회

    단위: % 단위: %

    단위 십억 달러

    자료: FRB, ECB, 중국 인민은행, 코리아PDS

    0

    1

    2

    3

    4

    5

    6

    7

    0

    1

    2

    3

    Jan-10 Jan-12 Jan-14 Jan-16 Jan-18

    미국 기준금리 유로존 기준금리

    중국 기준금리(우)

    3,500

    3,600

    3,700

    3,800

    3,900

    4,000

    4,100

    4,200

    Jan-19 Mar-19 May-19 Jul-19 Sep-19 Nov-19

    미국 경기 건전성 유지

    연준은 경기 확장 도울 것

    연준, 12월 기준금리 동결

    1월도 동결 가능성 높아

    연준 자산 확대,

    실질적인 QE 재개

    3분기 미 GDP 성장률

    2.1%로 수정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4 │ 45

    ● 중국 경제 월간 데이터 선전, 3분기 성장률 하락과 엇갈려

    12월 발표된 중국의 주요 지표가 선전하면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됨.

    11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6.2%를 기록하며 10월 기록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함.

    산업생산 증가율은 7~10월까지 4개월 중 3개월 동안 5% 이하를 기록하며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었음. 11월의 6.2%는 이에 비해 상승한 기록임. 11월

    소매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8% 증가하여 5개월만에 7% 대의 증가율을 벗어남.

    고정자산투자는 증가율은 5.2%에 머물러 있으나, 이는 시장 전망치와 일치하는

    수준임.

    중국 고정자산투자 ytd Y-o-Y 중국 산업생산 Y-o-Y

    단위: %

    단위: %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중국 소매판매 Y-o-Y 중국 제조업 PMI

    단위: %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CFLP, Caixin, 코리아PDS

    0

    5

    10

    15

    20

    25

    Feb-12 Feb-14 Feb-16 Feb-180

    2

    4

    6

    8

    10

    12

    14

    Feb-12 Feb-14 Feb-16 Feb-18

    6

    8

    10

    12

    14

    16

    Mar-12 Mar-14 Mar-16 Mar-1848

    50

    52

    54

    Jan-17 Jan-18 Jan-19

    중국 CFLP 제조업 PMI 중국 Caixin 제조업 PMI

    월간 주요 중국 경제 지표 선전

    산업생산 증가율 6% 선 회복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5.2% 유지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5 │ 45

    중국 제조업 지표가 개선된 점 또한 중국 경기에 대한 불안을 완화시킴. 11월

    Caixin 제조업 PMI와 CFLP 제조업 PMI는 각각 51.8 50.2를 기록함. 두 제조업

    PMI가 동시에 경기 판단 기준선인 50을 상회한 것은 4월이 마지막 이었음.

    반면 부동산 시장은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음. 월별 부동산 투자액의 경우, 10월,

    11월 2개월 연속 10% 대를 하회한 8% 수준의 증가율을 보임. 70개 주요 도시

    부동산 가격 성장률은 무역 갈등이 악화된 5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11

    월에는 작년 8월 이후 최저치인 7.1%를 기록함.

    건설업 PMI를 통해 나타내는 것처럼 중국은 날씨의 영향으로 1월의 건설업이

    12월에 비해 부진한 경향이 있음. 올해는 춘절 연휴가 1월에 있는 만큼 연초 건

    설 경기는 더욱 위축될 전망임.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부동산 거품을 경계하는

    기조를 나타낸 만큼 부동산 경기가 단기간에 다시 활성화 할 가능성은 제한적임.

    연도별, 월별 중국 부동산 투자액 중국 70대 도시 주택 가격 상승률, 5월 이후 하락

    단위: 십억 위안

    단위: %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중국 CFLP 건설업 PMI 중국 특수목적채권 발행액

    단위: 십억 위안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1~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4 '15 '16

    '17 '18 '19

    0

    5

    10

    15

    Jan-16 Jan-17 Jan-18 Jan-19

    45

    50

    55

    60

    65

    '15 '16 '17 '18

    당해 12월 다음해 1월

    5,000

    5,500

    6,000

    6,500

    7,000

    7,500

    8,000

    8,500

    9,000

    9,500

    10,000

    Jun-18 Sep-18 Dec-18 Mar-19 Jun-19 Sep-19

    주요 도시 주택가격 상승률,

    15개월 내 최저치

    중국 제조업 PMI,

    경기 판단 기준선 상회

    날씨와 춘절 영향 받는 1월,

    건설 경기 반등하지 않을 것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6 │ 45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주택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는 전기동 수요 방

    어를 점치는 요인 중 하나임. 중국 지방 정부는 2018년 7월 이후 특수목적채권

    발행액을 두 배 가깝게 늘렸음. 9월 이후 증가세에는 제동이 걸렸으나, 인프라 투

    자 활성화에 대한 기대는 유지되고 있음.

    중국 내 주요 구리 소비 섹터인 전력망 투자액은 인프라 투자 확대의 영향을 보

    이기 시작함. 10월 현재 전력원(Power Source) 투자의 경우 2017, 2018년을 넘

    은 액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력망(Power Grid) 투자의 경우도 하반기 들어 증

    가로 전환하고 있음. 코리아PDS는 중국 정부가 인프라 투자 확대의 영향이 하반

    기에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으며, 전력망 투자액 데

    이터는 이러한 입장과 맥락을 같이함.

    중국 전력부문 전력원 고정자산 투자 중국 전력부문 전력망 고정자산 투자

    단위: 천 대 단위: %

    단위: 억 위안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중국 에어컨 생산 추이 2008년 11월 이후 중국의 통화정책

    단위: 천 대 단위: %

    단위: % 단위: %

    0

    2

    4

    6

    8

    10

    12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0

    2

    4

    6

    8

    1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15

    0

    15

    30

    45

    1,300

    1,800

    2,300

    2,800

    3,300

    Feb-17 Aug-17 Mar-18 Sep-18 Apr-19 Oct-19

    월간 에어컨 생산량 Y-o-Y

    12

    16

    20

    24

    3

    4

    5

    6

    7

    Nov-08 Nov-10 Nov-12 Nov-14 Nov-16 Nov-18

    중국 기준금리 대형 은행 지급준비율 (우)

    전력원, 전력망 고정자산 투자,

    인프라 투자 확대 영향 드러내

    부동산 시장 둔화에도

    인프라 투자 기대는 유지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7 │ 45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가전 최대의 구리 수요 섹터인 에어컨 생산량은 11월 들어 전년동월 대비 1.69%

    증가함. 5월 이후 에어컨 생산량 증가율이 하락세를 보인 끝에 7, 8월에는 전년동

    월 대비 감소하였으나, 이후 작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중국 경제와 전기동 수요 전반적으로 3분기에 비해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

    는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유동성 공급이 있음. 미중 무역 갈등 발발 이

    후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를 유지하면서도 지급 준비율은 반복해서 인하하며

    시장에 유동성을 확대해왔음. 9월 이후 대형은행의 지급준비율은 유지되고 있었

    으나,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전면적 및 선별적 지급준비율 인하를 연구해

    채택할 것이라고 언급함.

    그 외에도 중국 인민은행은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금리 인하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였음. 11월 18일에는 역RP 7일물 금리를 2.55%에서 2.50%로 인하하였는

    데, 이와 같은 금리 인하는 2015년 10월 이후 처음임. 이에 더해 인민은행은 17

    일 1,500억 위안 규모의 14일물 역RP 금리를 기존 2.7%에서 2.65%로 인하함.

    다만 7일물 금리는 기존의 2.5%를 유지함.

    4분기 들어 중국 경기 방어가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흔적이 코리아PDS가 산출한

    중국 전기동 소비량을 통해 드러남. 1~10월 중국 전기동 사용량은 전년동기 대비

    약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10월 소비량의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이 급작스럽

    게 9% 대로 반등하며 이러한 경향을 이끎. 다만 이것이 데이터의 일시적인 변덕

    인지 아니면 실질적인 경기 회복 신호인지 여부는 아직 판단할 수 없음

    2015년 이후 월간 중국 전기동 사용량 추정치와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

    단위: 천 톤 단위: %

    -40

    -30

    -20

    -10

    0

    10

    20

    3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Jan-15 Jul-16 Jan-18 Jul-19

    중국 전기동 사용량 추정치

    11월, 에어컨 생산량

    전년동월 대비 1.69% 증가

    10월 중국 전기동 소비량 반등

    경기 회복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시기상조

    리커창 총리, 지준율 인하 예고

    중국 정부, 역RP 금리 인하를 통

    단기 유동성 공급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8 │ 45

    자료: 코리아PDS

    ● 공급 측면 이슈

    2020년을 향하는 현재, 전세계 전기동 시장의 공급 부족 기조는 계속되고 있음.

    앞에서 살펴본 대로 경제와 수요 측면에서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생산 측면에서는 부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임.

    코리아PDS의 정량적 모델에 의하면 세계 정광 생산량 및 전기동 생산량 감소는

    약 4~6개월 후의 전기동 가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 따라서 12월까지 발표된

    데이터는 2020년 1분기 가격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세계 1위 구리 광산생산 국가인 칠레에서는 10월 생산량이 전년동월 대비 0.1%

    감소함. 칠레의 1~10월 구리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0.2% 감소하였는데, 이는

    연초 홍수 등 불가항력에 의한 측면이 강했음. Escondida 광산 등이 하반기 들어

    생산을 회복하며 상반기의 타격을 일부 만회함. 그러나 10월 시작된 30년 내 최

    대 규모의 반정부 시위가 12월 현재도 계속되고 있음. 이에 따라 추가적인 공급

    감소 리스크가 부각됨.

    칠레와 함께 남미의 주요 구리 생산국가인 페루는 9, 10월 연속으로 전년동월 대

    비 구리광산 생산량 감소를 기록함. 9월 말 페루 지역 농민들이 Las Bambas 구

    리광산 진입로를 재차 봉쇄하는 등, 공급 이슈가 발생한 여파라고 분석됨. Las

    Bambas는 구리 생산량 기준 페루 2위 구리 광산임. 12월 말에는 페루 정부가 아

    예 대체 진입로를 개척할 것이라 발표하는 등, Las Bambas를 둘러싼 분쟁이 페

    루의 고질적인 공급 이슈로 발전하였음.

    칠레 구리 정광 생산량 페루 구리 정광 생산량

    단위: 천 톤 단위: % 단위: 천 톤 단위: %

    공급량 변화, 가격에 영향 미치는 데

    4~6개월 걸려

    전기동 시장 공급 부족 기조 지속

    1~10월 칠레 구리광산 생산량,

    전년동기 대비 0.2% 감소...

    정치 소요에 추가 감소 리스크 있어

    페루 구리광산 생산량,

    2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감소...

    Las Bambas 봉쇄 영향 드러나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19 │ 45

    자료: Cochilco, 페루 에너지광산부, 코리아PDS

    잠비아 광산업의 부진은 계속되고 있음. 잠비아 정부가 광업 관련 세금을 대폭

    인상함에 따라 월간 구리 수출량이 12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감소함. 10월 잠

    비아의 구리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1.6% 감소하였음.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10월 구리 정광 수출량이 회복세를 보임. 이러한 변화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Grasberg 구리광산의 수출허가를 대폭 상향 조정한 결과임.

    세계 2위의 구리광산이던 Grasberg가 지하광산으로 전환하면서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그 영향으로 정광 수출 또한 급감하였음. 광산 운영 주체인

    Freeport McMoRan 측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노천채굴에서 지하채굴로 완전히

    이행하는 계획을 2019년 2분기에서 3분기 이후로 연기했고, 이에 따라 인도네시

    아 수출이 일시적으로 회복함.

    잠비아 구리 수출량, 전년대비 감소세 지속 10월 인도네시아 구리 정광 수출, 일시적으로 회복

    단위: 천 톤 단위: %

    단위: 천 톤

    자료: 잠비아 통계국, Bank Indonesia, 코리아PDS

    LME 전기동 재고량 급감 2012년 이후 전기동 정련 수수료(TC) 추이

    -40

    -30

    -20

    -10

    0

    10

    20

    30

    40

    360

    420

    480

    540

    600

    660

    Jan-17 Jul-17 Jan-18 Jul-18 Jan-19 Jul-19

    칠레 구리광산 생산량 Y-o-Y

    -15

    -10

    -5

    0

    5

    10

    15

    20

    150

    200

    250

    300

    350

    Jan-17 Jul-17 Jan-18 Jul-18 Jan-19 Jul-19

    페루 구리광산 생산량 Y-o-Y

    -60

    -40

    -20

    0

    20

    40

    60

    40

    60

    80

    100

    120

    140

    Jan-17 Jul-17 Jan-18 Jul-18 Jan-19 Jul-19

    잠비아 구리 수출량 Y-o-Y

    0

    50

    100

    150

    200

    250

    300

    Mar-17 Sep-17 Mar-18 Sep-18 Mar-19 Sep-19

    잠비아 구리 정광 수출량,

    12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감소

    10월 인도네시아 정광 수출,

    일시적으로 증가 전환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0 │ 45

    단위: 천 톤

    단위: 달러/톤

    자료: LME, 산업자료, 코리아PDS

    주요 생산 국가의 생산 부진이 진행되는 가운데, 2019년 3분기까지 전기동 시장

    의 공급 부족 기조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구리시장의 수급을 연구하는 국제

    NGO 기관인 International Copper Study Group(ICSG)의 데이터에 따르면 1~9

    월의 전기동 시장은 39만 톤의 공급 부족을 기록함. 이는 전년동기 대비 약 6만

    톤 확대된 규모임.

    전기동 재고량의 급감은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강해졌음을 나타냄. 2019년 1

    월부터 8월까지 증가하던 LME 전기동 재고량이 방향성을 전환하여 12월에는

    15만 톤 선까지 감소함.

    공급의 타이트함과 무역 갈등의 완화에 주목한 투자기관들이 전기동을 비롯한 비

    철금속 시장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기 시작함. 골드만삭스의 원자재 전문가

    Jeffrey Currie는 중국의 성장에 힘입어 2020년에 전기동 시장이 상승 전환할 것

    이라는 견해를 밝힘. 글로벌 투자 은행인 Jefferies는 낮은 거래소 재고량과 공급

    부족 상황, 그리고 수요 회복으로 인해 전기동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함.

    모건 스탠리, Bank of America 등 주요 투자은행들 또한 비슷한 견해를 밝힘.

    정광 공급 부족에 따른 제련/정련 수수료(TC/RCs)는 톤당 60달러 선을 하회하고

    있음. 낮은 TC가 제련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일부 구리

    제련기업들이 감산을 논의하기로 합의함. 이는 지속적인 광산생산 부진이 TC 하

    락을 통해 전기동 제련 생산에도 악영향을 미친 결과라 해석됨.

    정리하면, 공급 측면에서 가격 반등의 요소는 충분한 상황이었음. 이러한 배경에

    서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자 가격이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코리

    아PDS의 모델은 물론 외부 투자기관들도 가격 상승 포텐셜을 포착하고 있음.

    100

    150

    200

    250

    300

    350

    400

    Jan-17 Jan-18 Jan-19

    30

    60

    90

    120

    150

    Jan-12 Jan-14 Jan-16 Jan-18

    주요 투자기관,

    전기동 시장에 대한 인식 변경

    진행중인 공급 이슈에

    무역 갈등 완화 더해지며

    가격 상승 이끌어

    LME 재고량 급감

    2019년 전기동 공급 부족 기조,

    작년 대비 확대

    낮은 수준의 TC,

    제련소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중국 제련기업 감산 논의 시작해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1 │ 45

    다음 섹션에서는 유의미한 정치적 사건인 트럼프 탄핵과 브렉시트가 원자재 시장

    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여부를 분석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2 │ 45

    ● 트럼프 미 대통령 탄핵과 영국의 브렉시트

    미 하원은 18일 트럼프 대통령을 탄핵함.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역사

    상 탄핵 당한 세 번째 대통령이 되었음.

    탄핵이 역사적인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음. 탄핵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상원을 거쳐야 하는데, 현재 상원을 여당인 공화당이 장악하

    고 있기 때문임. 상원 통과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탄핵 되어야 한다는 초당적인

    공감대가 필요함. 그러나 현재 미국의 여론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며, 공화당

    지지층은 탄핵을 정치 공세로 해석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20명의 공화당 상

    원의원들이 지지층의 반대를 무릅쓰고 탄핵에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은 매우 낮음.

    따라서 탄핵 이슈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 전망함.

    영국에서는 12일 총선을 통해 보수당이 압승을 거둠. 이번 선거는 브렉시트 선거

    로 정의되었으며, 브렉시트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노동당이 참패를 당한 반면

    브렉시트를 완료할 해결사를 자처한 보수당은 단독 과반을 얻어냄. 이에 따라 보

    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브렉시트 협상 및 실행에 다시 나설 수 있게 됨. 의회 일

    정이 재개된 20일, 보수당은 즉각 브렉시트 관련 법안을 통과 시켰음.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더 이상의 연기는 없다며 조속한 브렉시트 통과를 천명

    하고 있음. 적극적인 브렉시트 지지자인 보리스 존슨 총리는 노딜(No-Deal), 또

    는 하드 브렉시트의 가능성을 내비치며 최대한 유리한 EU 탈퇴 조건을 얻어내려

    할 것이라고 분석됨. 따라서 브렉시트 기한인 1월 31이 가까워짐에 따라 원자재

    시장 및 금융 시장에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상승할 가능성이 충분함.

    찬반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트럼프 대통령 탄핵 설문조사 영국 조기 총선, 보수당 압승 (파란색이 보수당, 붉은 색이 노동당)

    단위: %

    자료: 복수 여론조사, BBC, 코리아PDS

    0

    10

    20

    30

    40

    50

    60

    12/6 12/8 12/10 12/12 12/14 12/16 12/18 12/20

    찬성 반대

    미 하원, 트럼프 대통령 탄핵 결의

    여당인 공화당, 상원 과반수 차지해

    탄핵의 실제 통과 가능성 낮아...

    시장 영향 제한적일 것

    12일 영국 총선, 보수당 압승...

    영국은 브렉시트 향해 다가서

    보리스 존슨 총리,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 내비치며

    협상 진행시킬 것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3 │ 45

    3) PDS 전망 요약

    (단위: 달러/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 합의에 이르렀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원자재 시장

    과 글로벌 금융 시장에 회복세가 나타남. 1월 협상안 서명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

    은 제한적인 상황으로,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 전환할 가능성은 낮음. 이러한 상황

    에서 주요 투자기관들이 비철금속 트레이딩 재개를 선언하는 등, 전기동 시장의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20거래일 연속 감소한 LME 전기동

    재고는 지속되고 있는 공급 이슈와 이에 근거한 가격 상승 기대를 나타내는 요소

    임. 유지되는 공급의 타이트함과 빠르게 진전된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협상

    을 반영하여 1월 전기동 가격의 상승을 전망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4 │ 45

    2. 알루미늄

    1) 시황 요약

    지난 1년 알루미늄 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자료: 코리아PDS

    2019년 1분기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던 알루미늄 가격은 중국의 자동차 판매 위

    축 지속, Rusal사의 제재 해제 이후 시장 공급증가 부담에 3월 이후 다시 하락세

    로 돌아섬. 미국 재무부가 1월 말 Rusal사에 대한 제재 해제를 결정한 이후

    Rusal사는 지금까지 시장에 내놓지 못한 알루미늄 판매를 늘림.

    한편, 중미 무역갈등 중단 가능성이 구체적으로 부상하면서 6월 중순부터 알루미

    늄 가격은 반등하기 시작함. 실제로 중국과 미국은 6월말 중미 무역갈등 휴전에

    합의함. 그러나. 휴전이 1개월만에 종료되면서 알루미늄 가격은 이후 등락을 거

    듭하기는 했으나 하락추세를 나타냄.

    그러나, 미국과 중국이 1차 무역협상에 합의하고 중국 자동차 시장의 회복이 가

    시화된 가운데 연말 알루미늄 가격은 상승함. 중국의 자동차 생산은 11월에 17

    개월만에 처음으로 전년동월의 생산량을 상회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5 │ 45

    2) 분석

    ● 정량적 모델 기반 상황 진단 및 하반기 가격 범위 산출

    코리아PDS가 사용하는 정량적 분석 도구 중 하나인 알루미늄 생산 원가 반영 모

    델(Aluminum Production Cost 모델, 이하 APC 모델)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시

    장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였음. 그 결과, 12월 알루미늄 가격 상승률은 APC 모델

    이 추산한 적정 가격 변동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APC 모델은 알루미늄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원자재 가격 및 통계 데이터를 중심

    으로 구성한 정량적 모델임. 한 예로 전력용 원료탄의 가격은 전력 소비가 생산

    원가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 산업의 성격을 반영하여 모델에 포함되어

    있음. 타 시장의 변동 및 경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알루미늄 가격의 이론적인 적

    정 가격 변동률을 계산함. 그렇게 얻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알루미늄 가격 등락이

    시장의 과민반응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망 보조 툴로 사용할 수 있음.

    무역 갈등이 격화된 2018년 6월 이후 월간 알루미늄 가격 전년동월 대비 적정

    변동률을 계산하여 실제 가격 변동률과 비교 분석한 결과는 아래 그래프와 같음.

    모델 분석 결과 9월 이후 알루미늄 시장은 상승 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외

    적인 요인에 의해 상승 동력이 억눌린 상태였다고 판단됨.

    LME 알루미늄 가격 전월 대비 변동률과 APC 모델에 의해 산출된 적정 변동률

    단위: %

    자료: LME, 코리아PDS

    -12

    -6

    0

    6

    12

    Jun-18 Sep-18 Dec-18 Mar-19 Jun-19 Sep-19 Dec-19

    실제 알루미늄 가격 변동률 모델 추산 적정 변동률

    12월 알루미늄 가격 상승률,

    APC 모델 추산 적정 변동률에

    미치지 못해

    APC 모델,

    오버슈팅, 언더슈팅 판별에 응용

    9월 이후 알루미늄 가격

    언더슈팅 경향 보여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6 │ 45

    APC 모델에 따르면 11월 알루미늄 가격은 시장의 상승 압력을 정확하게 반영하

    였음. 반면 12월의 상승폭은 모델 기반 적정가에 미치지 못함. 앞서 전기동 전망

    에서 언급한 대로 1단계 무역 협상 타결을 전후로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유의미하게 회복한 점을 감안하면 12월의 언더슈팅 경향은 더욱 뚜렷하게 드러

    남. 이는 알루미늄 가격 추가 상승 전망의 근거 중 하나임.

    다음 섹션부터 이러한 전제를 기반으로 생산비용 측면과 알루미늄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시장에 대해 분석함.

    12월 알루미늄 시장,

    위험자산 수요 회복을

    다 잡아내지 못해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7 │ 45

    ● 생산비용 분석

    알루미늄 생산 비용을 좌우하는 3대 요소는 전력요금(전력용 연료탄), 알루미나

    가격, 흑연전극 가격임. 이들의 최근까지 가격 흐름은 다음과 같음.

    전력용 연료탄 가격(호주 뉴캐슬) 추이 알루미나(중국 국내가) 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단위: 위안/톤

    자료: 코리아PDS

    중국 흑연전극(H.P. Dia 400) 가격 추이

    단위: 위안/톤

    자료: 코리아PDS

    반등하던 알루미나 가격은 11월 이후 다시 하락하고, 생산능력 과잉 부담에 흑연

    가격은 약세를 지속함. 한편, 알루미늄 생산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력비용과 직결된 전력용 연료탄 가격은 9월 이후 회복 흐름을 지속함. 알루미

    나 및 흑연전극 가격 약세에도 전력용 연료탄 가격이 8월 연중 저점을 기록한 이

    후 회복된 것은 생산비용 측면에서 알루미늄 가격을 지지할 것임.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Jan-18 Jul-18 Jan-19 Jul-192,300

    2,500

    2,700

    2,900

    3,100

    3,300

    3,500

    May-18 Nov-18 May-19 Nov-19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Sep-09 Sep-11 Sep-13 Sep-15 Sep-17 Sep-19

    알루미늄 생산 비용 3대 요소

    전력용 연료탄 가격은 회복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8 │ 45

    ● 수급 분석

    다음으로 알루미늄 수요 및 공급 측면을 살펴 보겠음. 경기변화에 둔감한 팩키지

    (ex. 캔, 호일) 수요를 제외할 경우 알루미늄 최대 수요 섹터는 자동차 및 부동산

    /건설/인프라임.

    우선 부동산 및 건설/인프라 지표는 견고한 모습임.

    연도별, 월별 중국 부동산 투자액

    단위: 십억 위안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중국의 부동산 투자 증가 속도는 최근 약화되었으나 증가 흐름은 최근까지 지속

    됨.

    건설/인프라 관련 중국의 알루미늄 수요는 중국 정부의 정책을 고려할 때 증가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

    침을 지난달에도 확인했음. 중국 리커창 총리가 주재하는 11월 국무원 상무회의

    는 인프라 투자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 인프라 사업 일부와 관련하여 투자액의 조

    건을 완화할 것을 결정함.

    국무원이 이번에 결정한 것은 사업주체의 부담을 줄여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형식임. 항만, 연안수송 프로젝트의 경우 자기자본 조건이 25%에서 20%로 하향

    조정됨. 한편, 철도, 도로, 환경시설 및 물류 관련 인프라 투자의 경우 자기자본

    조건이 최대 5%p 하향 조정됨. 이에 따라 정부가 지원하는 인프라 투자의 경우

    최대 50%의 자본을 부채를 통해 조달할 수 있게 되었음.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1,800,000

    1~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4 '15 '16 '17 '18 '19

    중국 부동산 투자 증가

    중국 정부 인프라 투자 확대 방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29 │ 45

    알루미늄 최대 수요 섹터인 자동차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나 회복의 신호

    도 나타남.

    다음은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 미국, 유럽의 자동차 판매 흐름임.

    중국 자동차 판매 증감률 유럽 자동차 판매 증감률

    단위: 만 대

    단위: 대

    자료: ACEA, CAAM, 코리아PDS

    미국 자동차 판매(연율 환산치) 증감률

    단위: 백만 대

    자료: BEA, 코리아PDS

    중국의 자동차 판매는 올해 11월까지 17개월 연속 전년동월의 판매량을 하회했

    으나, 감소율은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 자동차 생산은 11월에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동월을 상회함.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가 자동차 판매의

    병목현상을 유발하고 있으나 정부의 자동차 판매 촉진 방침을 고려할 때 중국의

    자동차 시장 회복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20.0%

    -15.0%

    -10.0%

    -5.0%

    0.0%

    5.0%

    10.0%

    15.0%

    0

    50

    100

    150

    200

    250

    300

    Jan-18 Jul-18 Jan-19 Jul-19

    판매 Y-o-Y

    -30.0%

    -20.0%

    -10.0%

    0.0%

    10.0%

    20.0%

    30.0%

    4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1,800,000

    2,000,000

    Jan-18 Jul-18 Jan-19 Jul-19

    판매 Y-o-Y

    -6.0%

    -4.0%

    -2.0%

    0.0%

    2.0%

    4.0%

    16.0

    16.5

    17.0

    17.5

    18.0

    18.5

    Jan-18 Jul-18 Jan-19 Jul-19

    판매 Y-o-Y

    중국 자동차 시장 회복 신호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0 │ 45

    유럽(EU)의 자동차 판매 증가는 지속됨. 유럽의 11월 신차 등록대수(승용차)는

    전년동월 대비 4.9% 증가한 1,175,959대로 3개월 연속 전년동월의 등록대수를

    상회함. 11월 영국을 제외한 주요 유럽 국가들의 자동차 판매는 모두 증가함. 독

    일의 11월 자동차 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9.7% 증가했으며, 스페인은 2.3%, 이탈

    리아는 2.2%, 프랑스는 0.7% 증가함.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테스트 기준인 WLTP의 시행으로 발생한 자동차 판매

    병목현상이 해소되면서 유럽의 자동차 판매가 회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당

    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미국의 경우 GM의 파업이 8월 이후 미국의 자동차 판매를 위축시켰음. 그러나,

    GM 파업이 종료된 것을 고려할 때 미국의 금리인하에 따른 자동차 구매관련 금

    융비용 하락에 힘입어 미국의 자동차 판매는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다음으로 알루미늄 공급 측면을 살펴보겠음. 아래 차트는 세계 알루미늄의 55%

    를 생산하는 중국과 이러한 중국을 제외한 세계의 알루미늄 생산 추이임.

    중국 알루미늄 생산 중국 밖 세계 알루미늄 생산

    단위: 천 톤

    단위: 천 톤

    자료: IAI, 코리아PDS

    위의 오른쪽 차트를 보면 중국 밖 알루미늄 생산은 회복되는 모습임. 2018년부터

    지속된 원재료 공급이슈 문제로 가동률이 50%로 제한되었던 브라질 Albras 알루

    미늄 플랜트가 2019년 하반기 이후 풀가동(full production)된 것이 중국 밖 세

    계의 알루미늄 생산 회복으로 이어지고 있음.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00

    2,200

    2,400

    2,600

    2,800

    3,000

    3,200

    3,400

    Jan-

    15

    May

    -15

    Sep-15

    Jan-

    16

    May

    -16

    Sep-16

    Jan-

    17

    May

    -17

    Sep-17

    Jan-

    18

    May

    -18

    Sep-18

    Jan-

    19

    May

    -19

    Sep-19

    생산 Y-o-Y

    -4.0%

    -3.0%

    -2.0%

    -1.0%

    0.0%

    1.0%

    2.0%

    3.0%

    4.0%

    5.0%

    6.0%

    1,900

    2,000

    2,100

    2,200

    2,300

    2,400

    2,500

    Jan-

    15

    May

    -15

    Sep-15

    Jan-

    16

    May

    -16

    Sep-16

    Jan-

    17

    May

    -17

    Sep-17

    Jan-

    18

    May

    -18

    Sep-18

    Jan-

    19

    May

    -19

    Sep-19

    생산 Y-o-Y

    견고한 유럽 자동차 판매

    미국 GM 파업 충격 지나갈 것

    브라질 알루미늄 생산 증가, 중국

    밖 알루미늄 생산 회복으로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1 │ 45

    그러나, 지난해 3월 트럼프 대통령의 알루미늄 추가 관세부과 이후 증가하던 미

    국의 알루미늄 생산이 제련기업 채산성 악화에 따라 최근 둔화되고 있는 것을 고

    려할 때 향후 중국 밖 알루미늄 생산 회복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임.

    미국 알루미늄 생산

    단위: 톤

    자료: AA, 코리아PDS

    미국 알루미늄 생산 기업의 채산성은 심각한 상황임. 미국 1위 알루미늄 생산기

    업인 Alcoa사의 경우 비용 축소를 위해 연금 삭감을 결정함. 이는 2008년 금융

    위기 상황에서도 Alcoa사가 실행하지 않은 선택지임.

    Alcoa사는 올해 12월 31일부터 일부 퇴직 직원에 대한 의료보험 제공을 중단하

    며 대신 총 1,500만 달러의 현금을 일시에 지급할 것을 결정함. 또한 2021년 1

    월 1일부터 6,000명 퇴직 직원에 대한 연금도 조정할 것을 결정함. 알루미늄 가

    격 하락에 따라 Alcoa사의 경영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이러한 결정의 배경

    임. Alcoa사는 올해 3분기까지 세 분기 연속 순손실을 기록했음. Alcoa사의 표본

    이 말해주는 미국 알루미늄 생산 기업의 경영상황 악화는 미국의 알루미늄 생산

    둔화를 지속시킬 것으로 보임.

    한편, Rio Tinto사가 내년 1분기에 뉴질랜드 알루미늄 제련소인 NZAS를 폐쇄할

    경우 중국 밖 알루미늄 생산은 더욱 벽에 부딪힐 것으로 예상됨. Rio Tinto사는

    지속적인 적자를 이유로 지난해 34만 톤의 알루미늄을 생산한 NZAS의 폐쇄를

    2020년 1분기까지 결정할 것이라고 10월 발표했음.

    -60.0%

    -40.0%

    -20.0%

    0.0%

    20.0%

    40.0%

    60.0%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Jan-15 Oct-15 Jul-16 Apr-17 Jan-18 Oct-18 Jul-19

    생산 Y-o-Y

    미국 알루미늄 생산 둔화

    Alcoa사 경영사정 악화

    Rio Tinto사 2020년 초 뉴질랜드

    제련소 폐쇄 검토 중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2 │ 45

    단기 공급이슈를 고려할 때 중국의 알루미늄 생산 위축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2019년 8월 중국 Hongqiao사의 알루미늄 플랜트가 홍수 피해를 입고 Xinfa

    Group의 알루미늄 플랜트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에 따른 생산 차질은 2020년 1

    분기 이후에 해소될 예정임.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세계 알루미늄 생산 약화 흐름은 단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임.

    세계 알루미늄 생산

    단위: 천 톤

    자료: IAI, 코리아PDS

    2019년 이후 세계 알루미늄 생산은 중국 밖 생산이 회복되고 있으나 그 폭이 제

    한적이고, 중국의 생산 감소가 지속되면서 최근까지도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이상의 알루미늄 수요 및 공급 분석을 종합해 볼 때 수급 펀더멘털은 알루미늄

    가격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됨.

    -5.0%

    0.0%

    5.0%

    10.0%

    15.0%

    20.0%

    4,000

    4,200

    4,400

    4,600

    4,800

    5,000

    5,200

    5,400

    5,600

    5,800

    Jan-15 Oct-15 Jul-16 Apr-17 Jan-18 Oct-18 Jul-19

    생산 Y-o-Y

    중국 알루미늄 생산 위축 지속될

    세계 알루미늄 생산 위축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3 │ 45

    3) PDS 전망 요약

    (단위: 달러/톤)

    중국의 건설/인프라 섹터가 견고하고 자동차 시장에서 회복 신호가 나타나고 있

    는 것은 알루미늄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임. 중국 밖 알루미늄 생산이 회복되고

    있으나, 중국의 알루미늄 생산 감소로 세계 알루미늄 생산 약화는 지속될 것임.

    수요회복 및 생산약화 펀더멘털에 따라 단기 알루미늄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

    상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4 │ 45

    3. 니켈

    1) 시황 요약

    지난 1년 니켈 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자료: 코리아PDS

    2019년 이후 상승세를 나타내던 니켈 가격은 중국 국내 스테인리스 가격이 하락

    세로 돌아서고, 중국과 미국의 무역갈등이 다시 불거지면서 4월 중순부터 하락세

    를 나타냄.

    6월말 G20 회의에서 중국과 미국이 무역갈등 휴전에 합의하고 이러한 합의가 불

    과 한 달 만에 무산되며 수요약화 우려가 부상했으나, 인도네시아가 니켈원광 조

    기 수출금지를 실제로 단행하면서 니켈 가격이 급등함. 인도네시아 정부는 9월 2

    일 정부 성명을 통해 공식적으로 니켈원광 수출금지가 2020년 1월로 앞당겨질

    것을 확인함.

    한편, 9월 2일 이후 니켈 가격은 중국 스테인리스 스틸 시장의 과잉공급에 따른

    니켈 수요 약화 및 중국 니켈선철(NPI) 생산 급증 부담에 하락함. 그러나, 인도네

    시아의 니켈원광 수출 금지가 임박하면서 12월 이후 니켈 가격은 반등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5 │ 45

    2) 분석

    ● 수급 분석

    니켈 수요 및 공급 측면을 살펴 보겠음.

    우선 니켈 최대 수요섹터인 스테인리스 스틸 시장의 공급과잉 문제가 해소되는

    모습임.

    중국 포산시 스테인리스 유통 재고

    단위: 만 톤

    자료: 코리아PDS

    중국의 스테인리스 생산 확대와 함께 11월 중순까지 증가하던 중국 스테인리스

    유통 재고(포산시)는 11월 이후 빠른 속도로 감소함.

    중국 스테인리스 생산

    단위: 만 톤

    자료: CSSC, 코리아PDS

    10.0

    15.0

    20.0

    25.0

    30.0

    35.0

    Jan-19 Apr-19 Jul-19 Oct-19

    -15.0%

    -10.0%

    -5.0%

    0.0%

    5.0%

    10.0%

    15.0%

    20.0%

    25.0%

    3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2015Q1 2015Q4 2016Q3 2017Q2 2018Q1 2018Q4 2019Q3

    생산 Y-o-Y

    중국 스테인리스 공급과잉 문제 해

    소 국면으로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6 │ 45

    2분기 이후 중국의 스테인리스 생산은 빠르게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중국 스테인

    리스 시장이 공급과잉 상황을 나타냄.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 생산 기업들이 생산

    조절에 들어갔고, 이는 9월 이후 니켈 수요 약화로 이어짐.

    스테인리스 시장의 공급과잉이 2019년 연말 해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

    데, 견고한 스테인리스 최종 수요를 고려할 때 스테인리스 생산은 2020년 이후

    다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이는 9월 이후 위축되었던 스테인리스 섹터의 니켈 수

    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임.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인프라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것과 중국의 부

    동산 투자가 견고한 것은 스테인리스 최종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음.

    연도별, 월별 중국 부동산 투자액

    단위: 십억 위안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중국의 부동산 투자 증가 속도는 최근 약화되었으나 증가 흐름은 최근까지 지속

    됨.

    건설/인프라 활동이 활발한 것은 관련 산업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중국 공

    정기계공업협회가 중국 국내 건설기계 메이커 25개를 서베이한 결과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굴삭기 판매는 전년동월 대비 21.7% 증가한 1만 9,316대를 기록함.

    이 가운데 국내 판매는 21.2% 증가한 1만 7,159대를 기록함. 2019년 1~9월 중

    국 시멘트 업계의 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5.3% 증가한 1,318억 2,000만 위안으

    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함.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1,800,000

    1~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14 '15 '16 '17 '18 '19

    3분기까지 중국 스테인리스 생산

    급증, 이후 생산조절로 돌아서

    2020년 이후 스테인리스 생산 증

    가, 니켈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

    건설/인프라 활동 활발: 굴삭기 판

    매 급증, 시멘트 업계 이익 개선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7 │ 45

    니켈의 신 수요 섹터로 부상한 전기차의 경우 유럽 시장은 견고하나 중국은 보조

    금 삭감의 충격이 지속되는 모습임.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 유럽 대체 에너지차 판매

    단위: 대

    단위: 대

    자료: ACEA, CAAM, 코리아PDS

    그러나,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방침을 고려할 때 중국의 전기차 생산 및

    판매는 2020년 이후 회복될 것으로 보임. 12월 3일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신에너지차(MEV) 산업발전 계획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신차판매에

    서 NEV가 차지하는 비율을 25% 전후까지 끌어올릴 예정임.

    한편, 니켈 공급 측면은 인도네시아의 정책의 충격을 강하게 받을 것으로 예상됨.

    인도네시아 니켈 원광 수출

    단위: 천 톤

    자료: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코리아PDS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11월12월

    2015 2016 2017 2018 2019

    0.0%

    10.0%

    20.0%

    30.0%

    40.0%

    50.0%

    60.0%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2015Q

    12015Q

    22015Q

    32015Q

    42016Q

    12016Q

    22016Q

    32016Q

    42017Q

    12017Q

    22017Q

    32017Q

    42018Q

    12018Q

    22018Q

    32018Q

    42019Q

    12019Q

    22019Q

    3

    판매량 Y-o-Y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0,000

    Sep-10

    Jan-

    11

    May

    -11

    Sep-11

    Jan-

    12

    May

    -12

    Sep-12

    Jan-

    13

    May

    -13

    Sep-13

    Jan-

    14

    May

    -14

    Sep-14

    Jan-

    15

    May

    -15

    Sep-15

    Jan-

    16

    May

    -16

    Sep-16

    Jan-

    17

    May

    -17

    Sep-17

    Jan-

    18

    May

    -18

    Sep-18

    Jan-

    19

    May

    -19

    Sep-19

    중국 전기차 생산/판매 회복될 것

    니켈 공급, 인도네시아 정책 충격

    받을 것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8 │ 45

    인도네시아는 2020년 1월 1일부터 니켈 원광 수출을 금지할 계획임. 이것이 실

    행에 옮겨질 경우 2014년 1월 1일의 사례처럼 2020년 이후 인도네시아의 니켈

    원광 수출은 제로가 될 것임.

    1월 1일 정책 시행을 앞두고 인도네시아의 정책이 변경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됨. 12월 12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

    는 니켈 원광 수출금지와 관련하여 정책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공식 언급하며 정

    책 실행 의지를 밝힘.

    세계무역기구(WTO)가 인도네시아의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낮아짐. 지난

    달 유럽연합(EU)은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정책과 관련하여 인도네시아를 세계무역

    기구(WTO)에 제소했음. 그러나, 12월 11일부터 WTO 분쟁해결 기구의 기능이

    사실상 정지되었음. WTO 상소기구는 7명의 위원으로 이루어지며 최소 3명이 있

    어야 재판을 할 수 있음. WTO의 결정에 불만을 품어 온 미국이 새로운 위원 임

    명을 거부한 결과 12월 11일부터 상소기구 위원이 1명 남게 되었음.

    한편, 일부 요인들은 인도네시아의 니켈 원광 수출금지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보

    임. 우선 중국 국내에 비축된 니켈 원광 재고가 존재함.

    중국 니켈 원광 항구재고

    단위: 천 톤

    자료: Mysteel, 코리아PDS

    중국의 12월 니켈 원광 주요 항구 재고는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함. 인도네

    시아의 수출 금지를 앞두고 중국에 비축된 니켈 원광 재고는 인도네시아 충격을

    완화할 것임.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2017년 6월 2018년 3월 2018년 12월 2019년 7월 2019년 10월

    2020년 1월 1일 이후 인도네시아

    니켈원광 수출 금지될 것

    인도네시아 정책변경 가능성 낮아

    인도네시아 충격 완화 요인

    중국 국내 니켈 원광 재고 증가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39 │ 45

    다음으로 타 니켈 광업 국가의 니켈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인도네시아 정책

    변화 영향을 완화시킬 것임.

    캐나다 니켈 광산생산 호주 니켈 광산생산

    단위: 톤

    단위: 천 톤

    자료: BREE, NRC, 코리아PDS

    캐나다 및 호주의 니켈 생산은 2019년 이후 회복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인도네시아의 충격을 완벽하게 상쇄시키지는 못할 것으

    로 예상됨. 우선 중국의 니켈 원광 재고는 최대 공급국가인 인도네시아의 수출이

    끊긴 이후 감소할 것임. 또한 인도네시아가 세계 니켈 원광의 4분의 1을 생산함

    을 고려할 때 타 국가들의 증산이 인도네시아의 수출 중단을 단기간 내에 보완하

    는 것은 불가능함. 따라서 심리적인 측면에서 시장 참가자들의 니켈 공급 불안은

    2020년 이후 심화될 것으로 보임.

    한편, 이러한 니켈 공급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변수도 부상하고 있음. Vale사의

    뉴칼레도니아 VNC 니켈광산이 내년 초에 가동이 중단될 가능성이 변수임. Vale

    사는 최근 VNC 사업을 포기할 뜻을 밝혔음.

    VNC는 2010년 생산을 시작한 니켈 광산으로 조업개시 이후 단 한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음. 올해 VNC의 생산비용은 니켈 톤당 20,000달러를 상회하며 채산성

    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임.

    -60.0%

    -40.0%

    -20.0%

    0.0%

    20.0%

    40.0%

    60.0%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Jan-

    15

    May-15

    Sep-15

    Jan-

    16

    May-16

    Sep-16

    Jan-

    17

    May-17

    Sep-17

    Jan-

    18

    May-18

    Sep-18

    Jan-

    19

    May-19

    Sep-19

    생산 Y-o-Y

    -25.0%

    -20.0%

    -15.0%

    -10.0%

    -5.0%

    0.0%

    5.0%

    10.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2015Q

    12015Q

    22015Q

    32015Q

    42016Q

    12016Q

    22016Q

    32016Q

    42017Q

    12017Q

    22017Q

    32017Q

    42018Q

    12018Q

    22018Q

    32018Q

    42019Q

    12019Q

    22019Q

    3

    생산 Y-o-Y

    타 국가 니켈생산 증가

    충격 완화요인 인도네시아 정책효

    과 완전히 상쇄하지 못할 것

    니켈 공급을 더 악화시킬 변수:

    VNC

    VNC 2019년 생산비용 20,000달

    러 상회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0 │ 45

    VNC 니켈 광산 생산 비용(C1 Cash Cost) 및 니켈 가격

    단위: 달러/톤

    자료: Vale, 코리아PDS

    VNC는 연간 니켈 생산능력이 60,000톤에 달하는 광산임. Vale사가 내년 초에

    VNC 매각을 성공하지 못할 경우 Vale사는 VNC를 폐쇄할 것으로 보임. 이 경우

    2020년 연초 니켈 시장의 수급 긴장은 더욱 심화될 것임.

    이상의 니켈 수요 및 공급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거래소 니켈 재고 회복 흐름은

    2020년 이후에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런던금속거래소(LME) 니켈 재고 상해기화교역소(SHFE) 니켈 재고

    단위: 톤

    단위: 톤

    자료: 코리아PDS

    런던금속거래소(LME) 및 상해기화교역소(SHFE) 니켈 재고는 2016년 이후 추세

    적으로는 감소하고 있으나 LME 니켈 재고는 12월 이후 빠르게 증가했으며,

    SHFE 니켈 재고는 2019년 하반기 이후 증가하고 있음.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2015Q1 2015Q4 2016Q3 2017Q2 2018Q1 2018Q4 2019Q3

    니켈 현물 평균 C1 Cash Cost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450,000

    500,000

    Jan-15 Jan-16 Jan-17 Jan-18 Jan-19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May-15 May-16 May-17 May-18 May-19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1 │ 45

    3) PDS 전망 요약

    (단위: 달러/톤, 가격 전망치 및 전망치 평가 자료는 별도의 서비스를 통해 제공)

    스테인리스의 최종 수요가 견고한 가운데 스테인리스 시장의 공급과잉 문제가 해

    소되고 있는 것은 니켈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임. 세계 최대 니켈 광산생산 국가

    인 인도네시아가 2020년 1월 1일부터 니켈 원광 수출 금지를 실시하는 것은 니

    켈 공급을 위축시킬 것임. 중국의 니켈 원광 재고비축 및 인도네시아 외 니켈 광

    업 국가의 증산도 인도네시아 충격을 완전히 상쇄시키지는 못할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수요 및 공급 요인에 따라 니켈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2 │ 45

    4. 아연

    1) 시황 요약

    지난 1년 아연 가격 추이

    단위: 달러/톤

    자료: 코리아PDS

    2019년 이후 연이은 공급이슈 및 타이트한 수급을 따라 3월 말까지 아연 가격은

    상승함. 세계 4위 아연 광산생산 국가인 호주에서 2월 홍수가 발생해 주요 아연

    수출항구를 연결하는 철도가 봉쇄되는 사건이 발생함. 또한 3월 유럽 최대 아연

    제련 기업인 Nyrstar의 부도 가능성이 부상한 것도 아연 가격을 지지함.

    그러나, 유럽 경기둔화 우려가 부상하고, 무역갈등 우려가 다시 불거지면서 4월

    부터 아연 가격은 하락함. 6월 말 G20 회의에서 중국과 미국이 무역갈등 휴전에

    합의하면서 아연 가격은 잠시 하락은 멈췄으나 휴전이 1개월만에 종료되면서 아

    연 가격은 이후 재차 하락함. 한편, 하반기 중국의 정련아연 생산 증가 속도가 빨

    라진 것도 아연 가격에 하락 압력을 가함.

    9월 중국과 미국이 다시 대화를 시작하고, 캐나다 Trail 아연 제련소 공급 이슈가

    8월말 발생한 가운데 9월 이후 아연 가격은 반등하는 모습을 보임. 10월 아연 제

    련소 공급 이슈가 나미비아 Skorpion 플랜트까지 확대된 것도 아연 가격을 지지

    함. 그러나, 아연 생산증가 부담에 11월 이후 아연 가격은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미중 1차 무역협상 합의도 아연 시장에는 제한적인 영향만을 미침.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3 │ 45

    2) 분석

    아연 광산 개발에 따라 세계 10대 아연 광산생산 국가 중 다수의 아연 광산생산

    능력이 2020년 증가할 것임.

    세계 10대 아연 광산생산 국가 생산능력 동향

    2018 년 2019 년 2020 년 19 년 대비 20 년 증감

    중국 4,320 4,400 4,526 2.9%

    페루 1,469 1,385 1,516 9.5%

    호주 1,112 1,279 1,410 10.2%

    인도 740 739 780 5.5%

    미국 865 833 798 -4.2%

    멕시코 637 686 699 1.9%

    볼리비아 550 535 527 -1.5%

    카자흐스탄 356 345 353 2.3%

    캐나다 286 310 328 5.8%

    스웨덴 234 239 236 -1.3%

    자료: 산업 자료, 코리아PDS

    세계 10대 아연 광산생산 국가 중 3개를 제외한 국가의 2020년 아연 광산생산

    능력이 증가하며 세계 아연 광산생산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세계 10위 국가는

    아니지만 포르투갈의 Neves Corvo 아연 광산생산 능력이 생산능력 확장 프로젝

    트 결과 2020년에 전년대비 35.1% 증가하는 것도 세계 아연 광산생산 증가에

    기여할 것임.

    세계 아연 광산생산 증감률 추이 (YoY) 세계 정련아연 생산 증감률 추이 (YoY)

    자료: BGS, ILZSG, 코리아PDS

    0.3%

    7.3%

    1.3%0.3%

    -2.0%

    -6.2%

    -0.4%

    1.7%2.2%

    -8.0%

    -6.0%

    -4.0%

    -2.0%

    0.0%

    2.0%

    4.0%

    6.0%

    8.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1~10

    1.3%

    -3.9%

    3.1%

    4.2%

    2.7%

    -0.5%-0.5%-0.4%

    2.1%

    -6.0%

    -4.0%

    -2.0%

    0.0%

    2.0%

    4.0%

    6.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1~10

    아연 광산개발 활발

  • 전망 보고서│2020년 1월 전망 2019.12.26

    44 │ 45

    아연 광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고려할 때 아연 광산생산 증가 흐름은

    2020년 연초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높은 아연 제련수수료(TC) 및 충분한 아연 정광 공급에 따른 정련아연 생산 회복

    흐름도 계속될 것으로 보임. 세계 최대 정련아연 생산 국가인 중국의 증산이 세

    계 정련아연 생산 증가를 이끌 것임.

    아연 제련 수수료 중국 정련아연 생산

    단위: 달러/톤

    단위: 천 톤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코리아PDS

    한편, 아연 최대 수요섹터인 자동차 산업에서 회복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아연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알루미늄 보고서 자동차 내용 참조할 것].

    미중 1차 무역협상이 합의된 것은 가전 섹터의 아연 수요를 회복시킬 것으로 예

    상됨. 중국 3대 가전인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생산은 11월에 모두 전년동월을

    상회했음.

    아연 공급 증가는 아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아연 가격의 전반적인 하락추

    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미중 무역협상 진전에 동반한 아연 수요 회

    복은 아연 가격의 하락폭을 제한할 것으로 보임.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Jan-15 Jan-16 Jan-17 Jan-18 Jan-1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