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이동이 전임연구원 Ⅰ. 국내 철강산업 개요 Ⅱ. 국내외 철강산업의 현황 및 전망 Ⅲ.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과 트렌드 변화 Ⅳ.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및 대응방안 철강산업은 필수 기초 철강소재를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다양한 수요산업에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이며 내수 의존도가 높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이 있다 국내외 철강산업은 년대 중반 이후 구조적 성장정체 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적으로도 코로나 확산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업황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과잉설비 폐쇄 사업다각화 등 사업구조 재편과 대형화 원가절감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대응하고 있다 국내 철강산업 역시 경기 침체 및 전방산업 부진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에 따른 매출감소 및 수익성 저하 수출애로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국내 철강업계는 글로벌 공급과잉과 중국 철강산업의 부상 등에 따른 내수 및 수출경쟁 심화 환경규제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다양한 위협과 부담요인에 노출되고 있으며 제조업 스마트화 등 철강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트렌드 변화에 대한 대응 역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철강업계는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화 혁신적 친환경 신기술 개발 적용 최근 트렌드에 발맞춘 고기능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경제 발전에 중요한 철강 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 부분인 철강 가공 유통업체들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철강 생태계 강건화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2 | 산은조사월보

한국무역협회(2019), “한·미·중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 비교”

한국벤처캐피탈협회(2020),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한국벤처투자(201<), “벤처기업을 위한 벤처캐피탈 투자계약서 해설서”

한국지식재산연구원(2019), “지식재산이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LG경제연구원(2002), “세계적 벤처위기 진단”

VentureIn(2020), “벤처기업현황 자료”

[영영문문자자료료]

CBInsights(2020), “Global Unicorn Club”

(2020), “�he 2019 Global CVC Report”

(2020), “Ho7 Covid#19 Could Impact Startup Funding”

I,M(201:), “Industry Report – Billion dollar Startups: do unicorns like patents?”

OECD(2007), “High#�ro7th enterprises and gaOelles#preliminary and summary

sensitivity analysis”

OECD Stat : SDBS Business Demography Indicators (ISIC Rev 4)

Startup Genome(2019), “Startup Ecosystem Report 2019”

(2020), “Startup Ecosystem Report 2020”

(2020), “�he Impact of COVID#19 on Global Startup Ecosystems”

SVB Financial Group(2020), “M2 2020 Financial Highlights”

William Mann(201:), “Creditor rights and innovation: Evidence from patent

collateral”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이동이 전임연구원([email protected])

Ⅰ. 국내 철강산업 개요

Ⅱ. 국내외 철강산업의 현황 및 전망

Ⅲ.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과 트렌드 변화

Ⅳ.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및 대응방안

철강산업은 필수 기초 철강소재를 생산하여 자동차·조선·건설 등 다양한

수요산업에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이며, 내수 의존도가 높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이 있다.

국내외 철강산업은 ’10년대 중반 이후 구조적 성장정체 국면이 지속되는

가운데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적으로도 코로나19 확산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업황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과잉설비 폐쇄, 사업다각화 등 사업구조 재편과 대형화,

원가절감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대응하고 있다. 국내 철강산업 역시 경기

침체 및 전방산업 부진,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에 따른 매출감소 및 수익성

저하, 수출애로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국내 철강업계는 글로벌 공급과잉과 중국 철강산업의 부상 등에 따른

내수 및 수출경쟁 심화, 환경규제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다양한 위협과

부담요인에 노출되고 있으며, 제조업 스마트화 등 철강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트렌드 변화에 대한 대응 역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철강업계는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화, 혁신적 친환경 신기술 개발·적용, 최근 트렌드에 발맞춘 고기능·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경제 발전에

중요한 철강 Supply Chain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

부분인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철강 생태계 강건화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Page 2: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4 | 산은조사월보

Ⅰ. 국내 철강산업 개요

1. 철강산업의 구조

❑ 철강산업은 다양한 수요산업에 필수적인 기초 철강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

기간산업

❍ 철광석, 철스크랩 등을 원료로 판재류(열연·냉연강판, 후판 등), 봉·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1〉 철강제품 계통도

❑ 철강산업의 원료는 제조방식(고로, 전기로)에 따라 철광석 및 원료탄과 철스크랩

(고철)으로 구분

❍ 고로에 투입되는 철광석과 원료탄은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호주, 러시아, 브라질 등에서 수입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5

❍ 전기로에 투입되는 철스크랩은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79.6%)되고 있으며,

나머지(��.8%)는 수입으로 충당(?19년 기준)

〈표 1〉 제조방식별 원료 수입국 순위(’19년 기준)(단위 : %)

제조방식 원료 1위 2위 3위 4위

고로철광석 호주 (72.6) 브라질 (��.�) 남아공 (6.7) 캐나다 (4.7)

원료탄 호주 (��.�) 러시아 (2�.�) 캐나다 (��.7) 미국 (9.0)

전기로 철!"# 인도 (��.�) 중국 (�(.�) 일본 (�2.�) 대만 (11.2)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제조방식은 고로 방식과 전기로 방식으로 구분

❍ 고로 방식은 철광석과 코크스1)를 원료로 선철(銑鐵)을 생산하며, 불순물 함량이

낮은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음

- 다만, 대규모 설비투자비가 소요될 뿐 아니라, 대기오염물질(황산화물, 이산화

탄소, 먼지 등)을 배출하는 등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단점

❍ 전기로 방식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철스크랩을 용융함으로써 철강을 생산

하며, 설비투자비 규모가 작고 제조 소요시간이 짧아 수요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나, 전력소모량이 많고 제조원가가 높음

❑ 주요 철강제품으로는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형강 등이 있음

❍ 열연강판은 반제품인 슬라브를 고온에서 압연하여 생산하며, 자동차·건설자재

및 냉연강판·강관 등의 소재로 사용

❍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상온에서 압연하여 생산하며, 두께가 얇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전기전자 제품의 자재 및 아연·주석·크롬 등의 도금강판

소재로 사용

1) 코크스(��"))는 원료탄을 1,����1,3��℃의 고온으로 건류하여 얻는 고탄소의 고체물질

Page 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4 | 산은조사월보

Ⅰ. 국내 철강산업 개요

1. 철강산업의 구조

❑ 철강산업은 다양한 수요산업에 필수적인 기초 철강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

기간산업

❍ 철광석, 철스크랩 등을 원료로 판재류(열연·냉연강판, 후판 등), 봉·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1〉 철강제품 계통도

❑ 철강산업의 원료는 제조방식(고로, 전기로)에 따라 철광석 및 원료탄과 철스크랩

(고철)으로 구분

❍ 고로에 투입되는 철광석과 원료탄은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호주, 러시아, 브라질 등에서 수입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5

❍ 전기로에 투입되는 철스크랩은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79.6%)되고 있으며,

나머지(��.8%)는 수입으로 충당(?19년 기준)

〈표 1〉 제조방식별 원료 수입국 순위(’19년 기준)(단위 : %)

제조방식 원료 1위 2위 3위 4위

고로철광석 호주 (72.6) 브라질 (��.�) 남아공 (6.7) 캐나다 (4.7)

원료탄 호주 (��.�) 러시아 (2�.�) 캐나다 (��.7) 미국 (9.0)

전기로 철!"# 인도 (��.�) 중국 (�(.�) 일본 (�2.�) 대만 (11.2)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제조방식은 고로 방식과 전기로 방식으로 구분

❍ 고로 방식은 철광석과 코크스1)를 원료로 선철(銑鐵)을 생산하며, 불순물 함량이

낮은 청정강을 제조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음

- 다만, 대규모 설비투자비가 소요될 뿐 아니라, 대기오염물질(황산화물, 이산화

탄소, 먼지 등)을 배출하는 등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단점

❍ 전기로 방식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철스크랩을 용융함으로써 철강을 생산

하며, 설비투자비 규모가 작고 제조 소요시간이 짧아 수요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나, 전력소모량이 많고 제조원가가 높음

❑ 주요 철강제품으로는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형강 등이 있음

❍ 열연강판은 반제품인 슬라브를 고온에서 압연하여 생산하며, 자동차·건설자재

및 냉연강판·강관 등의 소재로 사용

❍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상온에서 압연하여 생산하며, 두께가 얇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전기전자 제품의 자재 및 아연·주석·크롬 등의 도금강판

소재로 사용

1) 코크스(��"))는 원료탄을 1,����1,3��℃의 고온으로 건류하여 얻는 고탄소의 고체물질

Page 4: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6 | 산은조사월보

❍ 후판은 슬라브를 압연하여 생산된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강판으로, 주로

선박·교량 등의 소재로 사용

❍ 철근은 반제품인 빌렛을 가열·압연하여 가공한 콘크리트 보강용의 가늘고 긴

철강재로서, 주로 토목·건축 구조용으로 사용

❍ 형강은 반제품인 빌렛(소형형강)과 블룸(중대형형강)을 가열·압연한 후 H, I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한 제품으로, 공장·건물·교량 등의 기초공사용 소재로

사용되며, H형강의 수요가 가장 많음

〈표 2〉 국내 철강재 주요 제품(’18년 기준)(단위 : 천톤, %)

제 품 생산량 용 도

열연강판 14,366 (19.1) 자동차·건설자재, 냉연강판·강관 등 소재

냉연강판 7,396 (9.8)

자동차·전기전자 제품 자재, 아연·주석·크롬 등 도금강판

소재

후판 8,912 (11.8) 선박·교량, 각종 산업기계 등 소재

철근 1�,621 (14.1) 토목·건N 구조용 소재

형강 4,784 (6.4) 공장·건T·교량 등 기초공사용 소재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2. 철강산업의 특징

❑ 철강산업은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하며 규모의

경제가 크고 내수 의존도가 높은 특성이 있음

❍ 초기에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며, 초기 투자 이후에도 설비 개보수 등을

위한 경상적 투자와 함께, 철강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주기적인 생산

능력 확대 투자가 필요

- 이로 인해 신규 업체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진입장벽이 높으며, 소수

업체의 독과점 등 시장집중도가 큰 특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7

❍ 대규모 생산설비 운용의 특성상 생산규모와 원가수준이 연동되는 규모의 경제

효과가 높음

❍ 내수 비중이 높고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며, 경기변동에 민감

- 철강재는 부피와 중량이 매우 큰 관계로 보관·운반 등이 원활하지 않아

수출보다는 내수 중심의 수급구조를 가지고 있음

- 또한, 철강산업의 전방산업은 자동차·조선·건설·전기전자·기계 산업 등이며

후방산업은 원료·에너지·건설·물류 산업 등으로, 철강산업은 다양한 전·후방

산업의 중간다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특성

- 철강산업의 전방산업은 경기민감도가 높은 산업이며 철강재 수요는 전방산업의

경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철강산업 역시 경기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음

〈표 3〉 국내 철강재 출하의 산업별 비중(’18년 기준)(단위 : %)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조� 일반기계 기타

31.5 29.0 17.5 5.4 5.1 4.0 7.5

자료 : 한국철강협회

Ⅱ. 국내외 철강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글로벌 철강산업 동향

❑ 글로벌 철강산업의 저성장 기조 지속

❍ ’10년대 중반 이후 수요 증가세 부진과 개도국 설비확장에 따른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철강산업은 구조적 성장정체 국면에 진입

- 중국경제 고성장 효과(China Effect) 소멸에 따른 수요둔화 가운데, 선진국

및 중국의 설비감축에도 개도국(중국 제외)들의 공격적인 설비확장 영향으로

공급과잉 및 낮은 가동률 수준 지속

· ’15∼’1�년 중 글로벌 철강 초과생산능력 규모는 연평균 6.2억톤에 달하며,

평균 가동률(�생산량/생산능력)은 73.5% 수준에 불과

Page 5: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6 | 산은조사월보

❍ 후판은 슬라브를 압연하여 생산된 두께 6mm 이상의 두꺼운 강판으로, 주로

선박·교량 등의 소재로 사용

❍ 철근은 반제품인 빌렛을 가열·압연하여 가공한 콘크리트 보강용의 가늘고 긴

철강재로서, 주로 토목·건축 구조용으로 사용

❍ 형강은 반제품인 빌렛(소형형강)과 블룸(중대형형강)을 가열·압연한 후 H, I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한 제품으로, 공장·건물·교량 등의 기초공사용 소재로

사용되며, H형강의 수요가 가장 많음

〈표 2〉 국내 철강재 주요 제품(’18년 기준)(단위 : 천톤, %)

제 품 생산량 용 도

열연강판 14,366 (19.1) 자동차·건설자재, 냉연강판·강관 등 소재

냉연강판 7,396 (9.8)

자동차·전기전자 제품 자재, 아연·주석·크롬 등 도금강판

소재

후판 8,912 (11.8) 선박·교량, 각종 산업기계 등 소재

철근 1�,621 (14.1) 토목·건N 구조용 소재

형강 4,784 (6.4) 공장·건T·교량 등 기초공사용 소재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2. 철강산업의 특징

❑ 철강산업은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하며 규모의

경제가 크고 내수 의존도가 높은 특성이 있음

❍ 초기에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며, 초기 투자 이후에도 설비 개보수 등을

위한 경상적 투자와 함께, 철강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주기적인 생산

능력 확대 투자가 필요

- 이로 인해 신규 업체의 진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워 진입장벽이 높으며, 소수

업체의 독과점 등 시장집중도가 큰 특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7

❍ 대규모 생산설비 운용의 특성상 생산규모와 원가수준이 연동되는 규모의 경제

효과가 높음

❍ 내수 비중이 높고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며, 경기변동에 민감

- 철강재는 부피와 중량이 매우 큰 관계로 보관·운반 등이 원활하지 않아

수출보다는 내수 중심의 수급구조를 가지고 있음

- 또한, 철강산업의 전방산업은 자동차·조선·건설·전기전자·기계 산업 등이며

후방산업은 원료·에너지·건설·물류 산업 등으로, 철강산업은 다양한 전·후방

산업의 중간다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특성

- 철강산업의 전방산업은 경기민감도가 높은 산업이며 철강재 수요는 전방산업의

경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철강산업 역시 경기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음

〈표 3〉 국내 철강재 출하의 산업별 비중(’18년 기준)(단위 : %)

건설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 조� 일반기계 기타

31.5 29.0 17.5 5.4 5.1 4.0 7.5

자료 : 한국철강협회

Ⅱ. 국내외 철강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글로벌 철강산업 동향

❑ 글로벌 철강산업의 저성장 기조 지속

❍ ’10년대 중반 이후 수요 증가세 부진과 개도국 설비확장에 따른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철강산업은 구조적 성장정체 국면에 진입

- 중국경제 고성장 효과(China Effect) 소멸에 따른 수요둔화 가운데, 선진국

및 중국의 설비감축에도 개도국(중국 제외)들의 공격적인 설비확장 영향으로

공급과잉 및 낮은 가동률 수준 지속

· ’15∼’1�년 중 글로벌 철강 초과생산능력 규모는 연평균 6.2억톤에 달하며,

평균 가동률(�생산량/생산능력)은 73.5% 수준에 불과

Page 6: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8 | 산은조사월보

〈그림 2〉 글로벌 철강수요 및 생산능력 〈그림 3〉 글로벌 철강생산 및 가동률

(백만톤)(백만톤) (%)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철강 설비투자 증가세는 점차 둔화

-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은 전 세계적인 철강설비 감축 추진에 따른 ’15년 이후의

감소세에서 벗어나 ’19년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과잉이 여전히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경기 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수요부진 등의 영향으로

’��년을 정점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

- 아시아·중동·아프리카 등 개도국(중국 제외)들이 생산능력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북미 등 선진국의 생산능력 증가 규모는 소폭에 그치고 있음

〈그림 4〉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 증가 규모 〈그림 5〉 주요 지역별 철강 생산능력 증가 규모

자료 : OECD 주 : 선진국은 유럽 및 NAFTA임자료 : OECD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9

❍ 한편, 여전히 아시아·중동 등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철강설비 증설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글로벌 철강산업의 불안요인이 될 가능성 상존

〈표 4〉 지역별 신규 철강설비 증설계획(단위 : 천톤)

국 가 ’20년 ’2�년 ’22년 미 정 소 계

아프리카 1,650 - - 1,650 3,300

아�아 18,450 5,925 6,300 82,600 113,275

CIS 1,870 - - - 1,870

유럽 3,500 205 - 1,000 4,705

Latin America 1,250 - - 200 1,450

중동 16,500 1,650 7,400 2,850 28,400

NAFTA 3,264 3,993 1,938 - 9,195

합 계 46,484 11,773 15,638 88,300 162,195

자료 : OECD

❑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철강산업의 저성장 기조에 대응하여 사업 구조조정 및

대형화 등 추진

❍ 철강업체들은 과잉설비 폐쇄 등 사업구조의 재편을 통해 철강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에 대응

〈표 5〉 ’19년 중 주요 철강설비 폐쇄 업체 및 생산능력 감축 규모 현황(단위 : 천톤)

국 가 철강업체 생산능력 감축 규모

중국

Pangang Chengdu Vanadium 379

Jiangxin Iron and Steel 2,700

Saint-xoyain Pize 1,200

Qinhuangdao Shou|in Metal materials 3,450

South�est Stainless Steel 900

Tiangao Nic�el 1,100

미국

A� Steel 2,500

Bayou Steel 620

Commercial Metals Comzany 500

캐나다 Hamilton Szecialty Bar 362

자료 : OECD

Page 7: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58 | 산은조사월보

〈그림 2〉 글로벌 철강수요 및 생산능력 〈그림 3〉 글로벌 철강생산 및 가동률

(백만톤)(백만톤) (%)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철강 설비투자 증가세는 점차 둔화

-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은 전 세계적인 철강설비 감축 추진에 따른 ’15년 이후의

감소세에서 벗어나 ’19년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급과잉이 여전히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경기 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수요부진 등의 영향으로

’��년을 정점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

- 아시아·중동·아프리카 등 개도국(중국 제외)들이 생산능력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북미 등 선진국의 생산능력 증가 규모는 소폭에 그치고 있음

〈그림 4〉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 증가 규모 〈그림 5〉 주요 지역별 철강 생산능력 증가 규모

자료 : OECD 주 : 선진국은 유럽 및 NAFTA임자료 : OECD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59

❍ 한편, 여전히 아시아·중동 등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철강설비 증설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글로벌 철강산업의 불안요인이 될 가능성 상존

〈표 4〉 지역별 신규 철강설비 증설계획(단위 : 천톤)

국 가 ’20년 ’2�년 ’22년 미 정 소 계

아프리카 1,650 - - 1,650 3,300

아�아 18,450 5,925 6,300 82,600 113,275

CIS 1,870 - - - 1,870

유럽 3,500 205 - 1,000 4,705

Latin America 1,250 - - 200 1,450

중동 16,500 1,650 7,400 2,850 28,400

NAFTA 3,264 3,993 1,938 - 9,195

합 계 46,484 11,773 15,638 88,300 162,195

자료 : OECD

❑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철강산업의 저성장 기조에 대응하여 사업 구조조정 및

대형화 등 추진

❍ 철강업체들은 과잉설비 폐쇄 등 사업구조의 재편을 통해 철강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에 대응

〈표 5〉 ’19년 중 주요 철강설비 폐쇄 업체 및 생산능력 감축 규모 현황(단위 : 천톤)

국 가 철강업체 생산능력 감축 규모

중국

Pangang Chengdu Vanadium 379

Jiangxin Iron and Steel 2,700

Saint-xoyain Pize 1,200

Qinhuangdao Shou|in Metal materials 3,450

South�est Stainless Steel 900

Tiangao Nic�el 1,100

미국

A� Steel 2,500

Bayou Steel 620

Commercial Metals Comzany 500

캐나다 Hamilton Szecialty Bar 362

자료 : OECD

Page 8: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0 | 산은조사월보

❍ 또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형화 추진

-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대형화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지속적

으로 확대

· 전세계 조강생산량 중 글로벌 상위 5개 철강업체 비중 : (’10) 16.5% → (’1�) 1�.�%

〈표 6〉 글로벌 상위 5개 철강업체 조강생산량 및 순위 변화(단위 : 천톤)

’10년 ’19년순위 업체 국가 생산량 순위 업체 국가 생산량1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98.2 1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97.3

2 바오우스틸 중국 37.0 2 바오우그룹 중국 95.5

3 포스코 한국 35.4 3 일본제철 일본 51.7

4 일본제철 일본 35.0 4 HBIS 그룹 중국 4�.�

5 JFE 일본 31.1 5 포스코 한국 43.1

자료 : 세계철강협회

❍ 이 밖에도, 사업다각화, 원가경쟁력 확보 등 질적 성장전략 추진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 도모

〈표 7〉 주요 글로벌 철강업체 경쟁력 강화 전략

구 분 주요 내용

바오우그룹

(중국)

❍ 사업다각화 및 질적 성장전략 추구 - 신소재, 현대무역물류, 공업서비스, 산업금융 등 非철강사업 육성 - Catch-up에서 Leading으로의 전략방향 선회 * 스마트제조 및 AI 글로벌 표준 선도, 친환경 저탄소 공정기술 및 제품

연구개발 강화 등

일본제철

(일본)

❍ 수익구조 개선 - 생산 안정성 확보, 영업력 강화, 적정마진 확보 등 - 생산설비 트러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된 생산 추구 - 현재 보유중인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으로 영업력 강화 - 고객과의 소통 강화 노력 지속으로 적정마진 확보 등

JFE

(일본)

❍ 원가경쟁력 및 생산성 제고 - 환경친화형 생산 프로세스 지속개발, 고부가가치 제품생산 확대 - AI, IoT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프로젝트 팀 신설 등 조직역량 강화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 원료공급 및 경제성 확보를 통한 원가경쟁력 추구 - 보유제철소 인근 광산 투자로 철광석 안정적 공급(운송비용 최소화) - 호주 외 미국, 카자흐스탄에서 고품위탄 광산 개발 등

자료 : “2019년 한·중·일 주요 철강사 전략 방향”(포스코경영연구원, 2019.1월) 및 “주요 대형 철강사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 Multi Focusing 연원료 전략 추진”(포스코경영연구원, 2019.2월) 등의 내용을 재구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1

2. 국내 철강산업 생태계 현황 및 특징

❑ 국내 철강산업은 생산공정별로 다양한 업체들이 활동하며 산업 생태계를 구성

❍ 철강제품 생산 과정은 크게 상(上)공정과 하(下)공정으로 구분2)되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공정은 소수 대기업이 과점하고 있는 가운데, 제품별로

세분화되어 있는 하공정에는 다수의 업체가 영업 중

〈그림 6〉 철강산업 Supply Chain

상상공공정정

하하공공정정

2) 제선(철광석을 원료로 고로에서 선철 생산)과 제강(선철(고로) ·철스크랩(전기로)을 원료로 슬래브, 블룸, 빌렛 등 중간재 생산)공정이 상공정에 해당하며, 생산된 중간재의 압연을 통한 철강제품 생산공정이 하공정에 해당

Page 9: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0 | 산은조사월보

❍ 또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형화 추진

- 글로벌 철강업체들은 대형화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지속적

으로 확대

· 전세계 조강생산량 중 글로벌 상위 5개 철강업체 비중 : (’10) 16.5% → (’1�) 1�.�%

〈표 6〉 글로벌 상위 5개 철강업체 조강생산량 및 순위 변화(단위 : 천톤)

’10년 ’19년순위 업체 국가 생산량 순위 업체 국가 생산량1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98.2 1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97.3

2 바오우스틸 중국 37.0 2 바오우그룹 중국 95.5

3 포스코 한국 35.4 3 일본제철 일본 51.7

4 일본제철 일본 35.0 4 HBIS 그룹 중국 4�.�

5 JFE 일본 31.1 5 포스코 한국 43.1

자료 : 세계철강협회

❍ 이 밖에도, 사업다각화, 원가경쟁력 확보 등 질적 성장전략 추진 등을 통한

경쟁력 강화 도모

〈표 7〉 주요 글로벌 철강업체 경쟁력 강화 전략

구 분 주요 내용

바오우그룹

(중국)

❍ 사업다각화 및 질적 성장전략 추구 - 신소재, 현대무역물류, 공업서비스, 산업금융 등 非철강사업 육성 - Catch-up에서 Leading으로의 전략방향 선회 * 스마트제조 및 AI 글로벌 표준 선도, 친환경 저탄소 공정기술 및 제품

연구개발 강화 등

일본제철

(일본)

❍ 수익구조 개선 - 생산 안정성 확보, 영업력 강화, 적정마진 확보 등 - 생산설비 트러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된 생산 추구 - 현재 보유중인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으로 영업력 강화 - 고객과의 소통 강화 노력 지속으로 적정마진 확보 등

JFE

(일본)

❍ 원가경쟁력 및 생산성 제고 - 환경친화형 생산 프로세스 지속개발, 고부가가치 제품생산 확대 - AI, IoT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프로젝트 팀 신설 등 조직역량 강화

아르셀로미탈

(룩셈부르크)

❍ 원료공급 및 경제성 확보를 통한 원가경쟁력 추구 - 보유제철소 인근 광산 투자로 철광석 안정적 공급(운송비용 최소화) - 호주 외 미국, 카자흐스탄에서 고품위탄 광산 개발 등

자료 : “2019년 한·중·일 주요 철강사 전략 방향”(포스코경영연구원, 2019.1월) 및 “주요 대형 철강사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 Multi Focusing 연원료 전략 추진”(포스코경영연구원, 2019.2월) 등의 내용을 재구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1

2. 국내 철강산업 생태계 현황 및 특징

❑ 국내 철강산업은 생산공정별로 다양한 업체들이 활동하며 산업 생태계를 구성

❍ 철강제품 생산 과정은 크게 상(上)공정과 하(下)공정으로 구분2)되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공정은 소수 대기업이 과점하고 있는 가운데, 제품별로

세분화되어 있는 하공정에는 다수의 업체가 영업 중

〈그림 6〉 철강산업 Supply Chain

상상공공정정

하하공공정정

2) 제선(철광석을 원료로 고로에서 선철 생산)과 제강(선철(고로) ·철스크랩(전기로)을 원료로 슬래브, 블룸, 빌렛 등 중간재 생산)공정이 상공정에 해당하며, 생산된 중간재의 압연을 통한 철강제품 생산공정이 하공정에 해당

Page 10: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2 | 산은조사월보

❑ 국내 철강산업은 내수비중이 크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이 있으며, 수출은

비교적 여러 국가로 다변화되어 있음

❍ ’19년 기준 철강재 총수요 (84백만톤) 가운데 내수는 53백만톤으로 약 64%의

비중을 차지

- 총수요의 약 88%가 국내 생산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수입 철강재 비중은

10% 수준에 그치고 있음

〈표 8〉 국내 철강재 수급 추이

(단위 : 천톤, %)

구 분 ’17년 ’18년 ’19년

철강재 계 87,982 (100.0) 84,150 (100.0) 83,605 (100.0)

수 요내 수 56,314 (64.0) 53,710 (63.8) 53,226 (63.7)

수 출 31,668 (36.0) 30,440 (36.2) 30,379 (36.3)

공 급생 산 77,073 (87.6) 75,211 (89.4) 73,561 (88.0)

수 입 10,909 (12.4) 8,939 (10.6) 10,044 (12.0)

주 : 내수+수출=생산+수입, 수입은 반제품 제외이며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국내 철강산업은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방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18년

기준 3개 산업에 대한 철강재 출하 비중 : 78.0%), 이들 산업은 경기민감도가

높은 산업이므로, 국내 철강산업 역시 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음

❍ 철강재 수출은 여러 국가로 다변화되어 있으나, 강관제품의 경우 미국에 편중

- 철강재 수출대상국은 중국, 일본, 인도, 미국, 멕시코 등 여러 국가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 다만, 강관제품의 경우 전체 수출 가운데 對美수출이 43.8%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미국에 편중되는 경향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3

〈표 9〉 철강재 수출대상국 순위(’19년 기준)(단위 : %)

구 분 1위 2위 3위 4위 5위

철강재 계 중국 (13.5) 일본 (1.�) 인도 (1�.�) 미국 (�.3) 멕시코 (�.�)

판 재 류 중국 (15.3) 일본 (1.5) 인도 (11.5) 멕시코 (�.�) 태국 (�.1)

봉형강류 베트남 (1�.1) 일본 (�.�) 말레이 (�.) 대만 (�.�) 캐나다 (�.)

강 관 미국 (�3.�) 일본 (�.�) 캐나다 (�.5) UAE (3.5) 베트남 (3.5)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국내 철강산업 동향

❍ 국내 철강산업은 ’10년대 들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10년대 후반부터는

글로벌 철강산업의 부진 가운데 전반적인 정체 상태에 진입

- ’0<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경제의 고성장에 힘입은 철강수요 증가 등으로 ’10년대

초반부터 꾸준한 성장세 시현

- ’1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에 따른 ‘China Effect’ 소멸 등으로

수요와 생산이 모두 정체국면에 진입하며 성장세 둔화

〈그림 7〉 국내 철강수요 추이 〈그림 8〉 국내 철강생산 추이

자료 : 한국철강협회 자료 : 한국철강협회

Page 11: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2 | 산은조사월보

❑ 국내 철강산업은 내수비중이 크고 경기변동에 민감한 특성이 있으며, 수출은

비교적 여러 국가로 다변화되어 있음

❍ ’19년 기준 철강재 총수요 (84백만톤) 가운데 내수는 53백만톤으로 약 64%의

비중을 차지

- 총수요의 약 88%가 국내 생산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수입 철강재 비중은

10% 수준에 그치고 있음

〈표 8〉 국내 철강재 수급 추이

(단위 : 천톤, %)

구 분 ’17년 ’18년 ’19년

철강재 계 87,982 (100.0) 84,150 (100.0) 83,605 (100.0)

수 요내 수 56,314 (64.0) 53,710 (63.8) 53,226 (63.7)

수 출 31,668 (36.0) 30,440 (36.2) 30,379 (36.3)

공 급생 산 77,073 (87.6) 75,211 (89.4) 73,561 (88.0)

수 입 10,909 (12.4) 8,939 (10.6) 10,044 (12.0)

주 : 내수+수출=생산+수입, 수입은 반제품 제외이며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국내 철강산업은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방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18년

기준 3개 산업에 대한 철강재 출하 비중 : 78.0%), 이들 산업은 경기민감도가

높은 산업이므로, 국내 철강산업 역시 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음

❍ 철강재 수출은 여러 국가로 다변화되어 있으나, 강관제품의 경우 미국에 편중

- 철강재 수출대상국은 중국, 일본, 인도, 미국, 멕시코 등 여러 국가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 다만, 강관제품의 경우 전체 수출 가운데 對美수출이 43.8%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미국에 편중되는 경향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3

〈표 9〉 철강재 수출대상국 순위(’19년 기준)(단위 : %)

구 분 1위 2위 3위 4위 5위

철강재 계 중국 (13.5) 일본 (1.�) 인도 (1�.�) 미국 (�.3) 멕시코 (�.�)

판 재 류 중국 (15.3) 일본 (1.5) 인도 (11.5) 멕시코 (�.�) 태국 (�.1)

봉형강류 베트남 (1�.1) 일본 (�.�) 말레이 (�.) 대만 (�.�) 캐나다 (�.)

강 관 미국 (�3.�) 일본 (�.�) 캐나다 (�.5) UAE (3.5) 베트남 (3.5)

주 : ( ) 안은 비중자료 : 한국철강협회

❑ 국내 철강산업 동향

❍ 국내 철강산업은 ’10년대 들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10년대 후반부터는

글로벌 철강산업의 부진 가운데 전반적인 정체 상태에 진입

- ’0<년 금융위기 이후 중국경제의 고성장에 힘입은 철강수요 증가 등으로 ’10년대

초반부터 꾸준한 성장세 시현

- ’1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에 따른 ‘China Effect’ 소멸 등으로

수요와 생산이 모두 정체국면에 진입하며 성장세 둔화

〈그림 7〉 국내 철강수요 추이 〈그림 8〉 국내 철강생산 추이

자료 : 한국철강협회 자료 : 한국철강협회

Page 12: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4 | 산은조사월보

❍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및 수출 감소, 전방산업 부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수익성 저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출타격 등 철강

업계의 어려움 가중

- ’20년 상반기 철강재의 내수 및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8.7% 및 7.6% 감소

- 자동차, 조선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수익성 저하

· ’20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9.8%, 조선업체 수주실적은

68.6%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업체들의 매출

및 영업실적 악화

- 미국 등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수출 애로 심화

· 對한국 철강·금속제품 수입규제 건수 지속 증가(조사 중인 건수 포함)

: (’19.10월) 96건→ (’20.1월) 98건→ (’20.8월) 98건→ (’20.8월) 109건

〈표 10〉 철강제품 수요 증감 현황(단위 : 천톤, %)

구 분내 수 수 출

’19上 ’20上 증감률 ’19上 ’20上 증감률철강재 계 27,514 25,119 △8.7 15,186 14,��� △7.6

판 재 류 14,482 1�,�62 △9.8 11,9�1 1�,9�8 △8.6봉형강류 9,�2� 8,671 △7.� 1,5�6 1,415 △7.9강 관 1,675 1,589 △5.1 912 8�7 △11.5기 타 2,��7 1,797 △11.8 8�7 9�� 11.9

주 : 수요 = 내수 + 수출이며,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자료 : 한국철강협회

〈그림 9〉 포스코 분기별 실적 추이 〈그림 10〉 현대제철 분기별 실적 추이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5

3. 향후 철강산업 전망

❑ (단기) 글로벌 철강수요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20년 중 큰 폭으로 위축된 후,

’21년 들어 점차 회복될 전망

❍ ’20년 중 글로벌 철강수요는 ’1�년 대비 6.4% 감소한 16.5억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 선진국 및 개도국(중국 제외) 철강수요 감소로 큰 폭의 수요위축이 예상되나,

중국의 경제 정상화 및 경기부양책 등에 따른 중국 철강수요 증가에 힘입어

위축세는 다소 상쇄될 전망

- ’20년 2/4분기가 철강경기의 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년 하반기부터는

각국의 봉쇄조치 해제 및 경제 정상화 등으로 철강수요의 완만한 반등 예상

❍ ’21년 중 글로벌 철강수요는 1�.2억톤으로 ’20년 대비 3.8% 증가 전망

- 코로나1� 진정에 따른 선진국(�.8%)과 인도(15.0%) 등 주요 개도국 수요증가에

힘입어 철강수요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다만, 높은 실업률과 소비심리 저하, 재정악화 등 코로나1�의 부정적 영향이

여전히 존재함에 따라, 수요회복에도 불구하고 ’21년 중 철강수요는 ’1�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전망(’1�년 대비 △2.8%)

〈그림 11〉 글로벌 철강수요 증가율 전망 〈표 11〉 주요국별 철강수요 증가율 전망

(%)(전년대비, %)

구 분 ’19년 ’20년(F) ’21년(F)

선진국

미국 △2.1 △22.9 5.7일본 △3.4 △19.1 6.8독일 △12.0 △20.0 12.0한국 △0.9 △12.7 5.9

개도국

중국 8.5 1.0 0.0인도 4.9 △18.0 15.0

러시아 5.0 △10.0 6.5터키 △15.4 3.0 9.3

자료 : 세계철강협회 자료 : 세계철강협회

❑ (장기) 향후 글로벌 철강산업은 철강수요 정체와 공급과잉 지속 등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저성장 기조가 이어질 전망

Page 1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4 | 산은조사월보

❍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및 수출 감소, 전방산업 부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수익성 저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출타격 등 철강

업계의 어려움 가중

- ’20년 상반기 철강재의 내수 및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8.7% 및 7.6% 감소

- 자동차, 조선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수익성 저하

· ’20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9.8%, 조선업체 수주실적은

68.6%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업체들의 매출

및 영업실적 악화

- 미국 등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수출 애로 심화

· 對한국 철강·금속제품 수입규제 건수 지속 증가(조사 중인 건수 포함)

: (’19.10월) 96건→ (’20.1월) 98건→ (’20.8월) 98건→ (’20.8월) 109건

〈표 10〉 철강제품 수요 증감 현황(단위 : 천톤, %)

구 분내 수 수 출

’19上 ’20上 증감률 ’19上 ’20上 증감률철강재 계 27,514 25,119 △8.7 15,186 14,��� △7.6

판 재 류 14,482 1�,�62 △9.8 11,9�1 1�,9�8 △8.6봉형강류 9,�2� 8,671 △7.� 1,5�6 1,415 △7.9강 관 1,675 1,589 △5.1 912 8�7 △11.5기 타 2,��7 1,797 △11.8 8�7 9�� 11.9

주 : 수요 = 내수 + 수출이며,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자료 : 한국철강협회

〈그림 9〉 포스코 분기별 실적 추이 〈그림 10〉 현대제철 분기별 실적 추이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5

3. 향후 철강산업 전망

❑ (단기) 글로벌 철강수요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20년 중 큰 폭으로 위축된 후,

’21년 들어 점차 회복될 전망

❍ ’20년 중 글로벌 철강수요는 ’1�년 대비 6.4% 감소한 16.5억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 선진국 및 개도국(중국 제외) 철강수요 감소로 큰 폭의 수요위축이 예상되나,

중국의 경제 정상화 및 경기부양책 등에 따른 중국 철강수요 증가에 힘입어

위축세는 다소 상쇄될 전망

- ’20년 2/4분기가 철강경기의 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년 하반기부터는

각국의 봉쇄조치 해제 및 경제 정상화 등으로 철강수요의 완만한 반등 예상

❍ ’21년 중 글로벌 철강수요는 1�.2억톤으로 ’20년 대비 3.8% 증가 전망

- 코로나1� 진정에 따른 선진국(�.8%)과 인도(15.0%) 등 주요 개도국 수요증가에

힘입어 철강수요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다만, 높은 실업률과 소비심리 저하, 재정악화 등 코로나1�의 부정적 영향이

여전히 존재함에 따라, 수요회복에도 불구하고 ’21년 중 철강수요는 ’1�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전망(’1�년 대비 △2.8%)

〈그림 11〉 글로벌 철강수요 증가율 전망 〈표 11〉 주요국별 철강수요 증가율 전망

(%)(전년대비, %)

구 분 ’19년 ’20년(F) ’21년(F)

선진국

미국 △2.1 △22.9 5.7일본 △3.4 △19.1 6.8독일 △12.0 △20.0 12.0한국 △0.9 △12.7 5.9

개도국

중국 8.5 1.0 0.0인도 4.9 △18.0 15.0

러시아 5.0 △10.0 6.5터키 △15.4 3.0 9.3

자료 : 세계철강협회 자료 : 세계철강협회

❑ (장기) 향후 글로벌 철강산업은 철강수요 정체와 공급과잉 지속 등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저성장 기조가 이어질 전망

Page 14: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6 | 산은조사월보

❍ 선진국 철강수요 부진과 경제발전단계 고도화에 따른 개도국 철강수요 증가세

둔화 가운데, 글로벌 공급과잉도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강산업의 성장정체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향후 20년(’20~’40년)간 글로벌 철강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0.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

〈그림 12〉 글로벌 철강수요 장기 전망

기타

인도

중국

C IS

미국,캐나다,E U,일본

(‘20∼’40)

0.8%(‘14∼’19)

1.8%(‘08∼’13)

3.9%(‘01∼’07)

7.3%

(백만톤)

주 : 증가율은 연평균 증가율(CAGR)자료 : 세계철강협회

Ⅲ.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과 트렌드 변화

1.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

❑ 개도국 설비증설에 따른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 ’10년대 들어 중국경제 고성장 효과 소멸에 따른 철강경기 확장국면 종료로

글로벌 철강업계는 전반적인 설비과잉 문제에 직면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7

- ’10년대 중반 이후 철강수요 증가세가 정체된 가운데, 아시아·중동 등 개도국

신증설에 따른 생산능력 증가로 철강산업의 공급과잉 지속

- ’�0년대 들어서도 개도국을 중심으로 상당한 규모의 신증설 투자가 계획되어

있어, 향후 철강산업의 공급과잉 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그림 13> 글로벌 철강산업 과잉설비 규모 추이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에 따른 내수시장 경쟁 격화

❍ 글로벌 철강수요 감소 및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

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이 점차 확대

- 코로나19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중국내 철강재고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수입이 증가

- 또한, M&A 및 설비합리화 등 일본 철강업계의 꾸준한 사업 구조조정에

힘입어 가격경쟁력을 회복한 일본산 철강재의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

- 코로나19에 따른 내수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와 같은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 증가로 내수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및 국내 업체들의 수익성 저하

우려

Page 15: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6 | 산은조사월보

❍ 선진국 철강수요 부진과 경제발전단계 고도화에 따른 개도국 철강수요 증가세

둔화 가운데, 글로벌 공급과잉도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철강산업의 성장정체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향후 20년(’20~’40년)간 글로벌 철강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0.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

〈그림 12〉 글로벌 철강수요 장기 전망

기타

인도

중국

C IS

미국,캐나다,E U,일본

(‘20∼’40)

0.8%(‘14∼’19)

1.8%(‘08∼’13)

3.9%(‘01∼’07)

7.3%

(백만톤)

주 : 증가율은 연평균 증가율(CAGR)자료 : 세계철강협회

Ⅲ.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과 트렌드 변화

1. 국내 철강산업의 위협요인

❑ 개도국 설비증설에 따른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 ’10년대 들어 중국경제 고성장 효과 소멸에 따른 철강경기 확장국면 종료로

글로벌 철강업계는 전반적인 설비과잉 문제에 직면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7

- ’10년대 중반 이후 철강수요 증가세가 정체된 가운데, 아시아·중동 등 개도국

신증설에 따른 생산능력 증가로 철강산업의 공급과잉 지속

- ’�0년대 들어서도 개도국을 중심으로 상당한 규모의 신증설 투자가 계획되어

있어, 향후 철강산업의 공급과잉 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그림 13> 글로벌 철강산업 과잉설비 규모 추이

자료 : OECD, 세계철강협회

❑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에 따른 내수시장 경쟁 격화

❍ 글로벌 철강수요 감소 및 공급과잉 등의 영향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

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이 점차 확대

- 코로나19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중국내 철강재고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수입이 증가

- 또한, M&A 및 설비합리화 등 일본 철강업계의 꾸준한 사업 구조조정에

힘입어 가격경쟁력을 회복한 일본산 철강재의 수입도 증가하는 추세

- 코로나19에 따른 내수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와 같은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 증가로 내수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및 국내 업체들의 수익성 저하

우려

Page 16: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8 | 산은조사월보

<그림 14> 연도별 중국 철강 유통재고 규모 <그림 15> 중국·일본산 철강재 수입의 내수대비 비중 추이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원 주 : 전체 내수 가운데 중국산 및 일본산 수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중국의 철강산업 고도화, 환경규제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에 따른 위협 및

철강업계 부담 증가

❍ 중국 철강산업의 고도화 진전으로 인해 국내 업계의 수출에 대한 위협이 점차

증대

-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질적성장 및 고도화 정책 추진에 힘입어 중국산 철강재의

기술 및 품질경쟁력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수출시장에서 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위협요인으로 작용

<표 12> 한국 대비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변화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기술경쟁력’16년 ’21년 ’16년 ’21년 ’16년 ’21년

110 105 95 98 95 98

주 : 산업연구원 업종 전문가 평가로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100으로 놓았을 때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수준을 의미

자료 : 산업연구원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9

〈표 13〉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질적성장·고도화 정책 개요

구 분 중점사업 내용

철강산업 조정 및

업그레이드 규획

(’16~’20년)

공급과잉 해소 및 레버리지 축소 생산설비 증설 억제, 낙후된 생산설비 퇴출

철강산업 구조조정 지역별·권역별 구조조정

자주혁신능력 제고 고급기술 확보, 국가급 산업혁신 플랫폼 구축

철강 유효공급 수준 제고 철강재 품질 제고, 브랜드 구축 강화

스마트 제조 발전 제조공정 정보화, 스마트 제조 추진

친환경 녹색제조 추진 녹색제조기술 보급, 친환경 철강재 소비 촉진

기업 합병 및 재편 선두기업 중심으로 합병 및 재편

대외개방 심화 철강산업 국제화 수준 제고

철광자원 수급능력 강화 철광자원 시장가격 메커니즘 구축, 철광자원 탐사사업 추진

공평한 경쟁환경 조성 설정 자율감독 체계를 구축하여, 철강업계의 자율적 법규 준수를 유도

자료 : “「13.5 규획」 기간 철강산업 발전 방향 및 평가”(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2017.1월)의 내용을 재구성

❍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추세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무역규제 증가 등도

국내 철강업계에 부담이 될 전망

-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15년 파리협정 채택에 따라 모든 협약당사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해야 하며,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을 위해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2019.10월) 수립

- 동 계획에 따르면, 국내 산업계는 ’30년까지 전 산업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481백만톤)의 80% 수준(382.4백만톤)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해야 하는 바,

전 산업 배출량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철강업계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가중될 전망

·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년 99.9백만톤에서 ’30년 153.9백만톤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전 산업 배출량 대비 비중도 ’1�년 25.4%에서 ’30년

32.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

Page 17: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68 | 산은조사월보

<그림 14> 연도별 중국 철강 유통재고 규모 <그림 15> 중국·일본산 철강재 수입의 내수대비 비중 추이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원 주 : 전체 내수 가운데 중국산 및 일본산 수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중국의 철강산업 고도화, 환경규제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에 따른 위협 및

철강업계 부담 증가

❍ 중국 철강산업의 고도화 진전으로 인해 국내 업계의 수출에 대한 위협이 점차

증대

-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질적성장 및 고도화 정책 추진에 힘입어 중국산 철강재의

기술 및 품질경쟁력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수출시장에서 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위협요인으로 작용

<표 12> 한국 대비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변화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기술경쟁력’16년 ’21년 ’16년 ’21년 ’16년 ’21년

110 105 95 98 95 98

주 : 산업연구원 업종 전문가 평가로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100으로 놓았을 때 중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수준을 의미

자료 : 산업연구원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69

〈표 13〉 중국 정부의 철강산업 질적성장·고도화 정책 개요

구 분 중점사업 내용

철강산업 조정 및

업그레이드 규획

(’16~’20년)

공급과잉 해소 및 레버리지 축소 생산설비 증설 억제, 낙후된 생산설비 퇴출

철강산업 구조조정 지역별·권역별 구조조정

자주혁신능력 제고 고급기술 확보, 국가급 산업혁신 플랫폼 구축

철강 유효공급 수준 제고 철강재 품질 제고, 브랜드 구축 강화

스마트 제조 발전 제조공정 정보화, 스마트 제조 추진

친환경 녹색제조 추진 녹색제조기술 보급, 친환경 철강재 소비 촉진

기업 합병 및 재편 선두기업 중심으로 합병 및 재편

대외개방 심화 철강산업 국제화 수준 제고

철광자원 수급능력 강화 철광자원 시장가격 메커니즘 구축, 철광자원 탐사사업 추진

공평한 경쟁환경 조성 설정 자율감독 체계를 구축하여, 철강업계의 자율적 법규 준수를 유도

자료 : “「13.5 규획」 기간 철강산업 발전 방향 및 평가”(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2017.1월)의 내용을 재구성

❍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추세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무역규제 증가 등도

국내 철강업계에 부담이 될 전망

-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15년 파리협정 채택에 따라 모든 협약당사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해야 하며,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을 위해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2019.10월) 수립

- 동 계획에 따르면, 국내 산업계는 ’30년까지 전 산업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481백만톤)의 80% 수준(382.4백만톤)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해야 하는 바,

전 산업 배출량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철강업계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가중될 전망

·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년 99.9백만톤에서 ’30년 153.9백만톤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전 산업 배출량 대비 비중도 ’1�년 25.4%에서 ’30년

32.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

Page 18: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0 | 산은조사월보

〈표 14〉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감축목표(단위 : 백만톤, %)

배출량 (’17년) 배출�* (’+�년)

목표배출량 (’+�

년)

감축량 (’+�년)

전 산업 392.5 481.0 382.4 △98.6

철강업 99.9 (25.5) 153.9 (32.0) - -주 : ( )는 전 산업 배출량 대비 비중자료 :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19.10.23일)

- 또한, 글로벌 공급과잉 및 업황부진 등에 따른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각국의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점도 국내 철강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

· ’20.8월 현재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20개국 109건(조사 중인 건수 포함)의

수입규제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의

48%에 달하는 높은 비중을 차지

〈표 15〉 對한국 철강/금속제품 수입규제 현황 (’20.8월 현재)

구 분 미국 캐나다 태국 인도 기타 계

반덤핑 21 (4) 11 (1) 5 (3) 6 (3) 25 (5) 68 (16)상계관세 7 (1) 1 - - - 8 (1)세이프가드 - - - - 11 (5) 11 (5)

합계 28 (5) 12 (1) 5 (3) 6 (3) 36 (10) 87 (22)주 : ( )는 조사 중인 건수자료 : 수입규제 통상지원센터

2. 철강산업의 주요 트렌드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제조업 전반의 스마트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외

철강업계에도 스마트팩토리(I@art Factory) 도입 등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트렌드 확산

- 스마트팩토리는 제조업 스마트화 트렌드의 대표적 사례로서, 제조공정 전반의

ICT 기술 적용을 통한 비용절감 및 품질 고도화, 철저한 납기관리 등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생산 시스템을 의미

-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및 AI를 활용한 분석·예측에

의한 자동 공정제어 등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으로 비용절감

및 효율성 제고 등 생산성의 획기적 개선 가능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1

· Goldman Sachs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해 공장 1개당 평균

10�1:D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특히 전자, 기계, 자동차, 금속, 화학 등의

업종에서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3)

〈표 16〉 해외 주요국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전략

국 가 내 용

독일인더스트리 4.0을 통해 ICT융합 생산공정 고도화와 CPS(사이버물리 시스템)를 결합한 신개념 생산체계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추진

중국바오우강철을 중심으로 新일체양익주) 전략을 통해 스마트제조와 전자상거래를 결합한 ‘원스톱 철강유통 시스템’을 추진

일본 철강협회 내 계측공학연구회를 중심으로 차세대 센싱 개발 및 공정 모델링 기초를 연구주 : 일체양익(一體兩翼)이란 철강을 본체로 하고 ‘스마트 제조’와 ‘플랫폼 서비스’의 양 날개를

달아 도약을 꾀한다는 의미자료 : 스틸데일리

〈참고 1〉 중국 바오우강철의 스마트화 추진 사례

❑ ’16.12월 바오산철강과 우한철강이 합병하여 바오우강철이 탄생하였으며, ’17.3월 상장사 출범 후 新일체양익 전략 추진

❍ ’17.3월 철강, 금융, 서비스, 부동산의 4대 사업부문으로 재편 후, 스마트사업

추진 본격화바오우강철 4대 사업부문

❍ 스마트사업 추진 배경

- 전국에 분산된 4대 생산기지(상해, 무한, 남경, 담강)의 통합 및 동일 기준

관리를 위해 원격제어시스템을 활용한 통합운영체제 구축 필요

- 시장지배력 확대를 위해 판매역량의 획기적 개선 필요

- 중국의 대표적인 국유 철강사로서 통합 개혁의 성공모델 창출 필요성 등

3) “스마트팩토리 기술 및 산업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6월

Page 19: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0 | 산은조사월보

〈표 14〉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감축목표(단위 : 백만톤, %)

배출량 (’17년) 배출�* (’+�년)

목표배출량 (’+�

년)

감축량 (’+�년)

전 산업 392.5 481.0 382.4 △98.6

철강업 99.9 (25.5) 153.9 (32.0) - -주 : ( )는 전 산업 배출량 대비 비중자료 :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19.10.23일)

- 또한, 글로벌 공급과잉 및 업황부진 등에 따른 자국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각국의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점도 국내 철강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

· ’20.8월 현재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20개국 109건(조사 중인 건수 포함)의

수입규제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의

48%에 달하는 높은 비중을 차지

〈표 15〉 對한국 철강/금속제품 수입규제 현황 (’20.8월 현재)

구 분 미국 캐나다 태국 인도 기타 계

반덤핑 21 (4) 11 (1) 5 (3) 6 (3) 25 (5) 68 (16)상계관세 7 (1) 1 - - - 8 (1)세이프가드 - - - - 11 (5) 11 (5)

합계 28 (5) 12 (1) 5 (3) 6 (3) 36 (10) 87 (22)주 : ( )는 조사 중인 건수자료 : 수입규제 통상지원센터

2. 철강산업의 주요 트렌드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른 제조업 전반의 스마트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외

철강업계에도 스마트팩토리(I@art Factory) 도입 등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트렌드 확산

- 스마트팩토리는 제조업 스마트화 트렌드의 대표적 사례로서, 제조공정 전반의

ICT 기술 적용을 통한 비용절감 및 품질 고도화, 철저한 납기관리 등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생산 시스템을 의미

-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및 AI를 활용한 분석·예측에

의한 자동 공정제어 등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으로 비용절감

및 효율성 제고 등 생산성의 획기적 개선 가능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1

· Goldman Sachs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해 공장 1개당 평균

10�1:D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특히 전자, 기계, 자동차, 금속, 화학 등의

업종에서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3)

〈표 16〉 해외 주요국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전략

국 가 내 용

독일인더스트리 4.0을 통해 ICT융합 생산공정 고도화와 CPS(사이버물리 시스템)를 결합한 신개념 생산체계를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추진

중국바오우강철을 중심으로 新일체양익주) 전략을 통해 스마트제조와 전자상거래를 결합한 ‘원스톱 철강유통 시스템’을 추진

일본 철강협회 내 계측공학연구회를 중심으로 차세대 센싱 개발 및 공정 모델링 기초를 연구주 : 일체양익(一體兩翼)이란 철강을 본체로 하고 ‘스마트 제조’와 ‘플랫폼 서비스’의 양 날개를

달아 도약을 꾀한다는 의미자료 : 스틸데일리

〈참고 1〉 중국 바오우강철의 스마트화 추진 사례

❑ ’16.12월 바오산철강과 우한철강이 합병하여 바오우강철이 탄생하였으며, ’17.3월 상장사 출범 후 新일체양익 전략 추진

❍ ’17.3월 철강, 금융, 서비스, 부동산의 4대 사업부문으로 재편 후, 스마트사업

추진 본격화바오우강철 4대 사업부문

❍ 스마트사업 추진 배경

- 전국에 분산된 4대 생산기지(상해, 무한, 남경, 담강)의 통합 및 동일 기준

관리를 위해 원격제어시스템을 활용한 통합운영체제 구축 필요

- 시장지배력 확대를 위해 판매역량의 획기적 개선 필요

- 중국의 대표적인 국유 철강사로서 통합 개혁의 성공모델 창출 필요성 등

3) “스마트팩토리 기술 및 산업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6월

Page 20: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2 | 산은조사월보

❍ 스마트 사업 추진 현황

- ’15년말부터 독일 지멘스社 등과 함께 ‘철강산업 4.0’ 스마트 제조 모델 개발

- 바오우강철의 스마트팩토리 인프라는 CPS(Cyber Physical System) 플랫폼을

통해 가상연결망과 IoT를 상호 투사하는 시스템으로서, CPS는 IoT, 원격제어,

스마트최적화, 가상제조의 4개 부분으로 구성

- 스마트팩토리는 실시간 수집 데이터를 IoT를 통해 현장에 즉각 반영함으로써

실시간 공정 최적화를 지원하며, 스마트설비는 원격제어, 무선진단, 스마트 점검

등으로 고장 예측모델을 운영하여 예측가능한 스마트제조 시스템 운영을 목표

- ’1�.�월 열연공장 스마트화를 완료하고, 그룹 내 다른 공장에 스마트화 성과의 적용확대

❍ 또한, ‘철강 Value ChaiP의 단계마다 편리, 신속,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는 목표로 기존 사업과 IT기술을 결합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원스톱 철강유통 시스템’ 구축

- 인터넷, 클라우드, IoT,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과 금융, ICT, 가공·유통 등 비철강

사업의 결합을 통해, 물류·창고 및 가공·배송, 기술, 구매대행, 금융중개, 지불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야운상(歐冶雲商)’ 개발·운영

- ‘구야운상’ 플랫폼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의 세부 특성을 파악하여

매칭하고, 고객의 구매 패턴 분석을 통해 제품 구매 및 필요 신용제공

조건·기술 등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등 개별화·정교화된 서비스 제공

바오우강철의 서비스 플랫폼 ‘구야운상’ 개요

자료 : “중국 철강산업도 스마트로 혁신한다”(포스코경영연구원, 2018.2월)의 내용을 재구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3

❑ 신규 기능성 철강제품 수요 증가

❍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따른 고강도·경량 소재, 극한

환경에 적합한 특수강 등 고기능 첨단 철강소재의 필요성 증대

- (자동차) 친환경·안전성 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화에 따른 자동차 연비

향상 및 친환경차 개발, 교통사고로부터의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한 가공성 높은

초고강도 경량강재에 대한 수요 확대

<그림 16> 자동차 강판 개발 방향 <그림 17> 초고강도강 수요 전망

자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원

- (조선)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LNG 저장·운반 및 LNG 추진 선박 수요 증가로,

극저온 등의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저온 특성의 고망간강 등

새로운 기능성 철강소재에 대한 요구 증가

- (건설) 지진 등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진동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진 특성을 보유한 철근·형강 등 고급 건설용

강재에 대한 수요 증가

〈표 17〉 수요산업별 요구 특성을 반영한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동향

구 분 건설 자동차 조선

개발 방향 내진설계 경량화 친환경

요구 특성 에너지 흡수 고강도 저온 특성, 고인장강도

적용 제품 내진용 철근, 형강 등 초고강도 강판 등 저장탱크용 고망간강 등

자료 : 산업은행

Page 21: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2 | 산은조사월보

❍ 스마트 사업 추진 현황

- ’15년말부터 독일 지멘스社 등과 함께 ‘철강산업 4.0’ 스마트 제조 모델 개발

- 바오우강철의 스마트팩토리 인프라는 CPS(Cyber Physical System) 플랫폼을

통해 가상연결망과 IoT를 상호 투사하는 시스템으로서, CPS는 IoT, 원격제어,

스마트최적화, 가상제조의 4개 부분으로 구성

- 스마트팩토리는 실시간 수집 데이터를 IoT를 통해 현장에 즉각 반영함으로써

실시간 공정 최적화를 지원하며, 스마트설비는 원격제어, 무선진단, 스마트 점검

등으로 고장 예측모델을 운영하여 예측가능한 스마트제조 시스템 운영을 목표

- ’1�.�월 열연공장 스마트화를 완료하고, 그룹 내 다른 공장에 스마트화 성과의 적용확대

❍ 또한, ‘철강 Value ChaiP의 단계마다 편리, 신속,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는 목표로 기존 사업과 IT기술을 결합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원스톱 철강유통 시스템’ 구축

- 인터넷, 클라우드, IoT,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과 금융, ICT, 가공·유통 등 비철강

사업의 결합을 통해, 물류·창고 및 가공·배송, 기술, 구매대행, 금융중개, 지불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야운상(歐冶雲商)’ 개발·운영

- ‘구야운상’ 플랫폼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의 세부 특성을 파악하여

매칭하고, 고객의 구매 패턴 분석을 통해 제품 구매 및 필요 신용제공

조건·기술 등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등 개별화·정교화된 서비스 제공

바오우강철의 서비스 플랫폼 ‘구야운상’ 개요

자료 : “중국 철강산업도 스마트로 혁신한다”(포스코경영연구원, 2018.2월)의 내용을 재구성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3

❑ 신규 기능성 철강제품 수요 증가

❍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따른 고강도·경량 소재, 극한

환경에 적합한 특수강 등 고기능 첨단 철강소재의 필요성 증대

- (자동차) 친환경·안전성 이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화에 따른 자동차 연비

향상 및 친환경차 개발, 교통사고로부터의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한 가공성 높은

초고강도 경량강재에 대한 수요 확대

<그림 16> 자동차 강판 개발 방향 <그림 17> 초고강도강 수요 전망

자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원

- (조선)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LNG 저장·운반 및 LNG 추진 선박 수요 증가로,

극저온 등의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저온 특성의 고망간강 등

새로운 기능성 철강소재에 대한 요구 증가

- (건설) 지진 등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진동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진 특성을 보유한 철근·형강 등 고급 건설용

강재에 대한 수요 증가

〈표 17〉 수요산업별 요구 특성을 반영한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동향

구 분 건설 자동차 조선

개발 방향 내진설계 경량화 친환경

요구 특성 에너지 흡수 고강도 저온 특성, 고인장강도

적용 제품 내진용 철근, 형강 등 초고강도 강판 등 저장탱크용 고망간강 등

자료 : 산업은행

Page 22: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4 | 산은조사월보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항균기능 등 새로운 기능성 철강소재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경계심리 강화로 건축용 강재, 가전용 강판 등 실생활과

밀접한 철강제품과 관련하여, 항균성 코팅 제품 등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기능성 제품에 대한 요구 확대

Ⅳ.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및 대응방안

❑ 4차 산업혁명 확산, 환경규제 강화, 중국 등 신흥 제조강국 부상 등 글로벌

경쟁환경 급변으로 인해, 국내 철강산업의 지속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필요

❍ 기존의 범용제품 위주 생산과 규모의 경제 등에 의존한 성장전략은 한계에

봉착

- 혁신을 통한 질적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 증대

1.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및 친환경화

❍ 철강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화 추진

- 인공지능(AI), IoT, 5G 등 IT 신기술의 제조공정 접목으로 공정 전반의 자동화

및 정밀제어 등을 통한 ‘스마트 제조’ 추진 필요

- 제선·제강 및 제품 생산 등 일부 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 등 국내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추진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해외 유수 철강업체들의

수준에 비해서는 미흡한 실정

❍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대응한 친환경화 추진

- ’15년 파리협정 채택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과 등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추세 가운데, 오염물질 배출 규모가 큰 철강산업에 대한 친환경화 요구

증대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5

-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설비투자 등 국내 철강업계의 친환경화 노력에도

불구, 규제 수준의 지속적인 강화로 신기술 개발 등 보다 근본적인 대응이

요구

❑ 생산품목의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 수요산업의 요구에 대응한 고기능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한 제품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

- 친환경화, 안전·위생 강화 등 최근의 트렌드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함으로써, 국내 업계의 경쟁력과 수익성을 제고하고 시장지위를

강화할 필요

❑ 철강산업의 취약점 보완을 통한 강건한 철강 생태계 조성

❍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철강 Supply Chain의 안정성

강화 및 철강 생태계의 강건화를 도모할 필요

- 철강산업은 다양한 주력산업에 필수적인 철강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기간

산업으로, 철강 생태계의 강건화를 통한 철강 Supply Chain의 안정적 유지는

국가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

-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생태계 강건화를 위해서는, 철강업계 내의 취약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발굴·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

2. 철강업계 대응방안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를 통한 생산성·효율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

❍ 제조공정 전반에 걸친 ‘스마트 제조’ 도입을 통한 공정 효율성·정밀성 향상,

생산량 증대 및 품질 개선, 비용절감 등을 통한 경쟁력 제고 추진

- 선진국 및 중국 등 해외 주요 기업의 스마트화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과 함께,

혁신기술·모델의 도입과 개선을 통해 국내 업계의 실정에 적합한 새로운

스마트화 모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노력을 강화

Page 2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4 | 산은조사월보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항균기능 등 새로운 기능성 철강소재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경계심리 강화로 건축용 강재, 가전용 강판 등 실생활과

밀접한 철강제품과 관련하여, 항균성 코팅 제품 등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기능성 제품에 대한 요구 확대

Ⅳ.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및 대응방안

❑ 4차 산업혁명 확산, 환경규제 강화, 중국 등 신흥 제조강국 부상 등 글로벌

경쟁환경 급변으로 인해, 국내 철강산업의 지속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필요

❍ 기존의 범용제품 위주 생산과 규모의 경제 등에 의존한 성장전략은 한계에

봉착

- 혁신을 통한 질적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 증대

1. 국내 철강산업의 과제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및 친환경화

❍ 철강 제조공정 전반의 스마트화 추진

- 인공지능(AI), IoT, 5G 등 IT 신기술의 제조공정 접목으로 공정 전반의 자동화

및 정밀제어 등을 통한 ‘스마트 제조’ 추진 필요

- 제선·제강 및 제품 생산 등 일부 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 등 국내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추진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해외 유수 철강업체들의

수준에 비해서는 미흡한 실정

❍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대응한 친환경화 추진

- ’15년 파리협정 채택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과 등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추세 가운데, 오염물질 배출 규모가 큰 철강산업에 대한 친환경화 요구

증대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5

-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설비투자 등 국내 철강업계의 친환경화 노력에도

불구, 규제 수준의 지속적인 강화로 신기술 개발 등 보다 근본적인 대응이

요구

❑ 생산품목의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 수요산업의 요구에 대응한 고기능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한 제품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

- 친환경화, 안전·위생 강화 등 최근의 트렌드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함으로써, 국내 업계의 경쟁력과 수익성을 제고하고 시장지위를

강화할 필요

❑ 철강산업의 취약점 보완을 통한 강건한 철강 생태계 조성

❍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철강 Supply Chain의 안정성

강화 및 철강 생태계의 강건화를 도모할 필요

- 철강산업은 다양한 주력산업에 필수적인 철강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기간

산업으로, 철강 생태계의 강건화를 통한 철강 Supply Chain의 안정적 유지는

국가경제 발전에 매우 중요

-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생태계 강건화를 위해서는, 철강업계 내의 취약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발굴·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

2. 철강업계 대응방안

❑ 제조공정의 스마트화를 통한 생산성·효율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

❍ 제조공정 전반에 걸친 ‘스마트 제조’ 도입을 통한 공정 효율성·정밀성 향상,

생산량 증대 및 품질 개선, 비용절감 등을 통한 경쟁력 제고 추진

- 선진국 및 중국 등 해외 주요 기업의 스마트화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과 함께,

혁신기술·모델의 도입과 개선을 통해 국내 업계의 실정에 적합한 새로운

스마트화 모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노력을 강화

Page 24: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6 | 산은조사월보

❍ 또한, 향후 제조와 판매·유통의 연계 등 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스마트화를

확대함으로써, 철강산업의 혁신을 도모하고 질적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을 구축

〈표 18〉 국내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추진 사례

업 체 주요 내용 기대 효과

포스코

❍ 아연도금 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공정 효율성 제고

- 아연 도금량 편차 감소 (7g/m2 → 0.5g/m2)

❍ 고로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생산량 증가 및 생산비용 절감

- 선철 생산량 증가 (5,340톤 → 5,580톤) - 생산비용 절감(연간 600억원)

현대

제철

❍ 강판 생산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품질 향상 추진

- 기존 대비 강판 강도 및 가공성 40% 향상

동국

제-

❍ H형강, 컬러강판 생산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생산공정의 효율성 및 정밀성 향상

- 원자재 가공의 정확성 및 정밀도 제고

자료 : 각 사 웹사이트, 철강금속신문

❑ 온실가스 감축, 부산물 재활용 등 혁신적 친환경 신기술 개발과 적용을 통한

친환경화 요구 대응

❍ 수소환원제철 공법 등 온실가스의 획기적 저감이 가능한 친환경 제철기술 개발 추진

- (수소환원제철 기술) 기존 제선공정에 사용되던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하여 선철을

생산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기존 대비 15% 수준까지 저감이 가능한

친환경 제철 기술

〈그림 18〉 기존 공법과 수소환원제철 공법 비교

기기존존 공공법법

수수소소환환원원제제철철 공공법법

자료 :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안)”, 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16.9.30일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7

❍ 슬래그4) 등 철강제조 부산물을 제철원료로 재투입하거나, 시멘트 등 타 산업

원료로의 재활용 확대 등을 위한 노력 강화

- 슬래그는 제철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시멘트, 건설 골재, 기타 농업 및 임업

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그림 19〉 슬래그의 분류 〈그림 20〉 철강 슬래그의 구분

자료 : 한국철강협회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친환경, 안전·위생 등 최근 트렌드에 발맞춘 다양한 고기능·고부가가치 철강

소재 개발

❍ 친환경 트렌드의 대두로 친환경 자동차·선박 등의 시장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고강도·경량화 소재, 극저온 특성 소재, 금속분리판·전기강판 용도의 특수

기능성 소재 등 고기능·고부가가치 철강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

- 또한, 지진·화재 등 재해 방지를 위한 내진기능 소재, 난연·불연성 소재 등

고급 건설용 강재에 대한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이 밖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위생 및 감염 예방 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화로,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철강소재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할 전망

❍ 이와 같은 최근의 트렌드에 발맞춘 신규 기능성 제품 중심의 생산품목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는, 기존 범용제품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국내 철강업계의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익성과 시장지위를 강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

- 또한, 이는 글로벌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과 시장경쟁 격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국내 업계가 당면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

4) 슬래그(slag)란 철강공정에서 부생가스 등과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의 하나로서, 전체 부산물 발생량의 90% 가량을 차지

Page 25: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6 | 산은조사월보

❍ 또한, 향후 제조와 판매·유통의 연계 등 Supply Chain 전반에 걸쳐 스마트화를

확대함으로써, 철강산업의 혁신을 도모하고 질적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을 구축

〈표 18〉 국내 철강업계의 스마트화 추진 사례

업 체 주요 내용 기대 효과

포스코

❍ 아연도금 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공정 효율성 제고

- 아연 도금량 편차 감소 (7g/m2 → 0.5g/m2)

❍ 고로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생산량 증가 및 생산비용 절감

- 선철 생산량 증가 (5,340톤 → 5,580톤) - 생산비용 절감(연간 600억원)

현대

제철

❍ 강판 생산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품질 향상 추진

- 기존 대비 강판 강도 및 가공성 40% 향상

동국

제-

❍ H형강, 컬러강판 생산공정에 대한 인공지능 시스템 도입을 통한 생산공정의 효율성 및 정밀성 향상

- 원자재 가공의 정확성 및 정밀도 제고

자료 : 각 사 웹사이트, 철강금속신문

❑ 온실가스 감축, 부산물 재활용 등 혁신적 친환경 신기술 개발과 적용을 통한

친환경화 요구 대응

❍ 수소환원제철 공법 등 온실가스의 획기적 저감이 가능한 친환경 제철기술 개발 추진

- (수소환원제철 기술) 기존 제선공정에 사용되던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하여 선철을

생산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기존 대비 15% 수준까지 저감이 가능한

친환경 제철 기술

〈그림 18〉 기존 공법과 수소환원제철 공법 비교

기기존존 공공법법

수수소소환환원원제제철철 공공법법

자료 :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안)”, 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16.9.30일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7

❍ 슬래그4) 등 철강제조 부산물을 제철원료로 재투입하거나, 시멘트 등 타 산업

원료로의 재활용 확대 등을 위한 노력 강화

- 슬래그는 제철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시멘트, 건설 골재, 기타 농업 및 임업

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그림 19〉 슬래그의 분류 〈그림 20〉 철강 슬래그의 구분

자료 : 한국철강협회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친환경, 안전·위생 등 최근 트렌드에 발맞춘 다양한 고기능·고부가가치 철강

소재 개발

❍ 친환경 트렌드의 대두로 친환경 자동차·선박 등의 시장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고강도·경량화 소재, 극저온 특성 소재, 금속분리판·전기강판 용도의 특수

기능성 소재 등 고기능·고부가가치 철강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

- 또한, 지진·화재 등 재해 방지를 위한 내진기능 소재, 난연·불연성 소재 등

고급 건설용 강재에 대한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이 밖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위생 및 감염 예방 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강화로,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갖춘 철강소재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할 전망

❍ 이와 같은 최근의 트렌드에 발맞춘 신규 기능성 제품 중심의 생산품목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화는, 기존 범용제품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국내 철강업계의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익성과 시장지위를 강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

- 또한, 이는 글로벌 수요정체 및 공급과잉과 시장경쟁 격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국내 업계가 당면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

4) 슬래그(slag)란 철강공정에서 부생가스 등과 함께 생성되는 부산물의 하나로서, 전체 부산물 발생량의 90% 가량을 차지

Page 26: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8 | 산은조사월보

〈참고 2〉 국내 철강업계의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동향

❑ 최근 국내 철강업계는 고객 맞춤형 신규수요 창출 및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

등을 위해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 노력 강화

❍ (포스코) 고강도, 극저온인성 등 특성을 부여한 ‘고망간강’ 개발

❍ (현대제철) 지진 충격을 흡수하는 내진용 철강재 ‘F CORE’ 개발

❍ (동국제강) 표면 경도, 내후성(耐朽性)을 향상시킨 컬러강판 ‘슈퍼 RMP’ 개발

❍ (��동신)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불연 프린트 강판

‘PR�5P�,#5O5N’ 개발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사례

구분

고망간강

건축용 강재

슈퍼 RMP

PRINPIA-NO

NF

일반 강재 H CORE

용도 이송용 강관,

LNG탱크 등

형강, 철근 등 건축자재 및 후판, 강관 건축외장재 등 건축외장재 등

주 : 건축용 강재 그림은 지진 발생시 일반 강재와 H CORE의 형태 변화를 비교한 그림자료 : 각 사 홈페이지, 철강금속신문

❑ 이 밖에도, 동국제강이 ’18년 개발한 항균 컬러강판 ‘럭스틸 바이오’는 식품·

반도체공장 등에 적용 가능하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적용범위 확대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관련 제품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동국제강 ‘럭스틸 바이오’

구분

적용부문 에이프로젠㈜ 오송 공장 음료용 쇼케이스

주 : 에이프로젠㈜는 바이오의약품 개발업체로서, 동사 오송공장은 배양실, 정제실 등 바닥을 제외한 전체 내장재에 ‘럭스틸 바이오’가 적용되었음

자료 : 철강금속신문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9

❑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 부분인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의 수익성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한 철강 생태계 강건화 추진

❍ 철강업계 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Supply Chain의 하단에 위치한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이라고 할 수 있음

- Supply Chain의 상단을 구성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우수한 경쟁력과

시장지위를 보유한 우량기업들임

- 반면, Supply Chain의 하단에 위치한 가공·유통업체들은 대부분 영세 중소

기업들로서, 이들은 제조업체들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철강재 가공 및 유통,

재고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

· 이들은 다수 업체 난립 및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부진하며,

수급변동 등 외부환경 변화에 취약

· ’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매출부진 및 수익성 저하

등으로 다수의 가공·유통업체들이 부도처리된 바 있음

〈표 19〉 국내 철강 가공·유통업체 경영실적(’19년 기준)(단위 : 10억원, %)

구 분 매출액 영업이익영업이익률 순이익률

’18년 ’19년 ’18년 ’19년

가공·

유통업체

냉연

(43개)

7,966 (△3.5) 142 (16.3) 1.5 1.8 0.8 0.8

철근·형강

(개)

2,454 (△2.1) 27 (△38.7) 1.8 1.1 1.3 0.6

STS

(�(개)

2,053 (6.8) 60 (34.8) 2.3 2.9 1.8 4.6

열연

(�개)

2,052 (1.3) 12 (△45.1) 1.1 0.6 0.6 0.2

특수강봉강

(�개)

1,370 (0.6) 43 (△20.9) 4.0 3.1 1.3 2.4

강관

(�개)

532 (4.0) 9 (△21.0) 2.1 1.7 1.5 1.0

합계

(129개)

16,427 (△1.0) 293 (△1.7) 1.8 1.8 1.0 1.3

주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자료 : 철강금속신문

Page 27: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78 | 산은조사월보

〈참고 2〉 국내 철강업계의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동향

❑ 최근 국내 철강업계는 고객 맞춤형 신규수요 창출 및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

등을 위해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 노력 강화

❍ (포스코) 고강도, 극저온인성 등 특성을 부여한 ‘고망간강’ 개발

❍ (현대제철) 지진 충격을 흡수하는 내진용 철강재 ‘F CORE’ 개발

❍ (동국제강) 표면 경도, 내후성(耐朽性)을 향상시킨 컬러강판 ‘슈퍼 RMP’ 개발

❍ (��동신)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불연 프린트 강판

‘PR�5P�,#5O5N’ 개발

기능성 철강제품 개발 사례

구분

고망간강

건축용 강재

슈퍼 RMP

PRINPIA-NO

NF

일반 강재 H CORE

용도 이송용 강관,

LNG탱크 등

형강, 철근 등 건축자재 및 후판, 강관 건축외장재 등 건축외장재 등

주 : 건축용 강재 그림은 지진 발생시 일반 강재와 H CORE의 형태 변화를 비교한 그림자료 : 각 사 홈페이지, 철강금속신문

❑ 이 밖에도, 동국제강이 ’18년 개발한 항균 컬러강판 ‘럭스틸 바이오’는 식품·

반도체공장 등에 적용 가능하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적용범위 확대 가능성이

높아 국내외 관련 제품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동국제강 ‘럭스틸 바이오’

구분

적용부문 에이프로젠㈜ 오송 공장 음료용 쇼케이스

주 : 에이프로젠㈜는 바이오의약품 개발업체로서, 동사 오송공장은 배양실, 정제실 등 바닥을 제외한 전체 내장재에 ‘럭스틸 바이오’가 적용되었음

자료 : 철강금속신문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79

❑ 국내 철강산업의 취약 부분인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의 수익성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한 철강 생태계 강건화 추진

❍ 철강업계 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Supply Chain의 하단에 위치한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이라고 할 수 있음

- Supply Chain의 상단을 구성하고 있는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우수한 경쟁력과

시장지위를 보유한 우량기업들임

- 반면, Supply Chain의 하단에 위치한 가공·유통업체들은 대부분 영세 중소

기업들로서, 이들은 제조업체들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철강재 가공 및 유통,

재고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

· 이들은 다수 업체 난립 및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부진하며,

수급변동 등 외부환경 변화에 취약

· ’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외부환경 악화에 따른 매출부진 및 수익성 저하

등으로 다수의 가공·유통업체들이 부도처리된 바 있음

〈표 19〉 국내 철강 가공·유통업체 경영실적(’19년 기준)(단위 : 10억원, %)

구 분 매출액 영업이익영업이익률 순이익률

’18년 ’19년 ’18년 ’19년

가공·

유통업체

냉연

(43개)

7,966 (△3.5) 142 (16.3) 1.5 1.8 0.8 0.8

철근·형강

(개)

2,454 (△2.1) 27 (△38.7) 1.8 1.1 1.3 0.6

STS

(�(개)

2,053 (6.8) 60 (34.8) 2.3 2.9 1.8 4.6

열연

(�개)

2,052 (1.3) 12 (△45.1) 1.1 0.6 0.6 0.2

특수강봉강

(�개)

1,370 (0.6) 43 (△20.9) 4.0 3.1 1.3 2.4

강관

(�개)

532 (4.0) 9 (△21.0) 2.1 1.7 1.5 1.0

합계

(129개)

16,427 (△1.0) 293 (△1.7) 1.8 1.8 1.0 1.3

주 : ( )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자료 : 철강금속신문

Page 28: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0 | 산은조사월보

❍ 통합 및 대형화 등 업계 자율적 구조재편과 영업망 강화 등을 통한 경영효율성

향상 및 대외협상력 제고 등으로 철강 가공·유통업계 전반의 수익성과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

- 국내 철강거래는 직거래 비중이 80% 수준에 달하며, 가공·유통업체를 경유하는

물량은 20% 내외에 그치고 있음

- 이에따라 다수의 가공·유통업체들이 소규모 유통물량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이들은 설비과잉과 가격협상력 열위 등으로 경영효율성이 낮고

수익성이 부진

〈그림 21〉 국내 철강재 유통 구조 〈표 20〉 거래유형별 철강재 출하 비중(단위 : %)

구 분 ’15년 ’16년 ’17년 ’18년

직거래

수출용 35.9 34.8 34.2 33.0

내수용(차공정투입)

11.7 12.1 12.3 12.7

내수용(최종 제품)

31.8 30.5 30.4 31.6

유통업체 20.6 22.6 23.1 22.7

자료 : 스틸마켓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업체간 통합·대형화, 영업망 강화 등을 통한 효율성 제고 및 협상력 강화 추진

-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우수한 업체 중심으로 자율적인 통합 및 대형화를

유도함으로써, 업계 전반의 비용절감 및 과잉설비 조정, 영업 네트워크 확대·

강화 등을 추진하고 제조업체들에 대한 협상력을 제고

- 이를 통해 가공·유통업체들의 설비 효율성 및 가동률 향상, 비용절감 및

수익성 개선, 안정적 물량 확보 및 가격경쟁 완화 등을 도모함으로써 이들의

체질 강화 및 경쟁력 제고 추진

- 최근 일본 철강상사들의 계열 코일센터5) 통합·재편 사례는 국내 가공·유통

업체들의 구조재편 추진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음

5) 코일센터(C�-+ Center)란 철강재의 가공 및 재고 보관을 통해 철강재 제조업체와 수요업체간의 납기 차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업체들을 의미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1

〈참고 3〉 일본 철강상사들의 코일센터 통합·재편 사례

❑ 최근 일본 주요 철강상사들은 자사의 코일센터들을 통합하여 대형화

❍ 일본의 철강수요 침체에 따른 과당경쟁 및 수익성 저하 지속으로 코일센터

들의 경영압박 심화

❍ 주요 철강상사들의 대표적인 코일센터들이 통합의 중심이 되었으며, 지역적

보완 필요성 및 각자의 강점 활용을 위한 경쟁 철강상사간 합작 사례도 등장

❑ 주요 철강상사들의 코일센터 통합·재편

❍ 이토추마루베니 철강(Marubeni-Itochu Steel, MISI)

- 베니추코일센터 홀딩스 : ’18년 4월 큐슈, 간사이, 간토, 도호쿠 등 4개 지역

코일센터를 지주회사 체제로 통합

- MI 반세이 스테인리스 : ’11년 반세이강기와 MI Stainle)) Center 통합

❍ 메탈원(Metal One)

- 이스즈 그룹 : 일본 최대의 코일센터로 ’10년 스즈야스와 통합하여 메탈원

서비스센터 홀딩스에 편입. ’1�년 8개사 10개 거점 코일센터를 간토, 츄오,

토카이 3사로 통합

- 하마마쓰 강판가공 : ’1�년 스미토모금속 계열 코일센터 웨어하우스 공업과 통합

❍ 스미토모 상사(Su@ito@o Cor0oration)

- 서밋스틸 : ’1�년 타니모토철강과 스미쇼강판가공을 통합하여 출범. ’1�년

훗카이도 셰링을 자회사화

- KS서밋스틸 : ’18년 신코상사 주식 3�D 인수

❍ 일철물산(Ni00on Steel Trading)

- NSM 코일센터 : ’11.10월 일철상사코일센터, 오사카강판공업, 미쓰이물산

코일센터 통합으로 출범. ’1�.4월 SSC 기타간토 합병

Page 29: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0 | 산은조사월보

❍ 통합 및 대형화 등 업계 자율적 구조재편과 영업망 강화 등을 통한 경영효율성

향상 및 대외협상력 제고 등으로 철강 가공·유통업계 전반의 수익성과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

- 국내 철강거래는 직거래 비중이 80% 수준에 달하며, 가공·유통업체를 경유하는

물량은 20% 내외에 그치고 있음

- 이에따라 다수의 가공·유통업체들이 소규모 유통물량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이들은 설비과잉과 가격협상력 열위 등으로 경영효율성이 낮고

수익성이 부진

〈그림 21〉 국내 철강재 유통 구조 〈표 20〉 거래유형별 철강재 출하 비중(단위 : %)

구 분 ’15년 ’16년 ’17년 ’18년

직거래

수출용 35.9 34.8 34.2 33.0

내수용(차공정투입)

11.7 12.1 12.3 12.7

내수용(최종 제품)

31.8 30.5 30.4 31.6

유통업체 20.6 22.6 23.1 22.7

자료 : 스틸마켓 자료 : 한국철강협회

❍ 업체간 통합·대형화, 영업망 강화 등을 통한 효율성 제고 및 협상력 강화 추진

-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우수한 업체 중심으로 자율적인 통합 및 대형화를

유도함으로써, 업계 전반의 비용절감 및 과잉설비 조정, 영업 네트워크 확대·

강화 등을 추진하고 제조업체들에 대한 협상력을 제고

- 이를 통해 가공·유통업체들의 설비 효율성 및 가동률 향상, 비용절감 및

수익성 개선, 안정적 물량 확보 및 가격경쟁 완화 등을 도모함으로써 이들의

체질 강화 및 경쟁력 제고 추진

- 최근 일본 철강상사들의 계열 코일센터5) 통합·재편 사례는 국내 가공·유통

업체들의 구조재편 추진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음

5) 코일센터(C�-+ Center)란 철강재의 가공 및 재고 보관을 통해 철강재 제조업체와 수요업체간의 납기 차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업체들을 의미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1

〈참고 3〉 일본 철강상사들의 코일센터 통합·재편 사례

❑ 최근 일본 주요 철강상사들은 자사의 코일센터들을 통합하여 대형화

❍ 일본의 철강수요 침체에 따른 과당경쟁 및 수익성 저하 지속으로 코일센터

들의 경영압박 심화

❍ 주요 철강상사들의 대표적인 코일센터들이 통합의 중심이 되었으며, 지역적

보완 필요성 및 각자의 강점 활용을 위한 경쟁 철강상사간 합작 사례도 등장

❑ 주요 철강상사들의 코일센터 통합·재편

❍ 이토추마루베니 철강(Marubeni-Itochu Steel, MISI)

- 베니추코일센터 홀딩스 : ’18년 4월 큐슈, 간사이, 간토, 도호쿠 등 4개 지역

코일센터를 지주회사 체제로 통합

- MI 반세이 스테인리스 : ’11년 반세이강기와 MI Stainle)) Center 통합

❍ 메탈원(Metal One)

- 이스즈 그룹 : 일본 최대의 코일센터로 ’10년 스즈야스와 통합하여 메탈원

서비스센터 홀딩스에 편입. ’1�년 8개사 10개 거점 코일센터를 간토, 츄오,

토카이 3사로 통합

- 하마마쓰 강판가공 : ’1�년 스미토모금속 계열 코일센터 웨어하우스 공업과 통합

❍ 스미토모 상사(Su@ito@o Cor0oration)

- 서밋스틸 : ’1�년 타니모토철강과 스미쇼강판가공을 통합하여 출범. ’1�년

훗카이도 셰링을 자회사화

- KS서밋스틸 : ’18년 신코상사 주식 3�D 인수

❍ 일철물산(Ni00on Steel Trading)

- NSM 코일센터 : ’11.10월 일철상사코일센터, 오사카강판공업, 미쓰이물산

코일센터 통합으로 출범. ’1�.4월 SSC 기타간토 합병

Page 30: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2 | 산은조사월보

일본 주요 철강상사 코일센터 통합·재편 사례

자료 : “일본 철강상사 : 통합과 재편의 역사”(포스코경영연구원, ’19.12월)의 내용을 재구성

❍ 철강업계와 금융기관들은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의 구조재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업적·금융적 측면에서 지원

- 가공·유통업체들의 구조재편에 앞서, 먼저 이들의 생존기반 확보 및 원활한

경영활동 지속을 위한 업계 차원의 지원이 필요

· 제조업체들은 지나친 공급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가공·유통업체들의 적정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가격 수준에서 철강재를 공급

· 또한, 충분한 대금납입 기간 설정 등을 통해 가공·유통업체들이 자금난을

겪지 않도록 지원

- 또한, 철강업계는 가공·유통업체들의 자율적 구조재편 유도를 위한 환경 조성에

노력

· 철강거래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직거래 비중을 낮추고 가공·유통

업체들의 거래참여 활성화 및 가공·유통거래 비중 확대

· 이를 통해 치열한 가격경쟁을 완화하고 품질·서비스 등에서 경쟁력있는 업체의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이들이 구조재편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

- 금융기관들은 적정한 수익성과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한 가공·유통업체들에

대해 인수금융 및 운영자금 등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이들 업체가 중심이

된 구조재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3

참고문헌

[국국문문자자료료]

관계부처 합동(2016),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안)”

_____________(2019),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김동수(2017), “중국의 철강산업”, 산업연구원

김정원(2020), “순환형 사회 구축의 핵심 열쇠 철강 슬래그”, 제46권 제5호 통권 535호 철

강보, 한국철강협회

대우증권(2011), “2011 업종별 계통도”

동국제강, www.dongkuk.com

DK동신, www.dkdongshin.co.kr

문병기·강성은(2020), “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한국무역협회

박경서·서정헌·최정희·박지섭(2016), “글로벌 공급과잉기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발전방안”,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광주전남본부

박상우(2015), “일본 철강산업의 구조개혁 성과와 시사점”, 한국은행 포항본부

박찬욱(2020), “코로나19 영향과 세계 철강업계 대응전략”, 포스코경영연구원

스틸데일리, st""ldaily.co.kr

스틸마켓, www."st""lmark"t.co.kr

송일윤(2016), “철강산업(It""l Industry)”, 한국신용정보원

심상형(2018), “중국 철강산업도 스마트로 혁신한다”, 포스코경영연구원

양한수(2017), “「13.5 규획」기간 철강산업 발전 방향 및 평가”, Vol.20 No.2,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북경사무소 브리핑

우정헌·정이선(2019),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모색”, 포스코경영연구원

이동이(2020), “국내 철강산업 동향과 코로나19의 영향”, 주간 KDB리포트 제876호, 산업

은행 KDB미래전략연구소

이민근(2016), “일본 고로업계 재편 바람, 어디까지 불까?”, 포스코경영연구원

이민우(2020), “코로나19가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 재료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슈리포트, 재료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재윤·유이선·김한흰·오인하(2018), “대기오염 문제의 국내경제 영향 및 시사점”, 산업연

Page 31: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2 | 산은조사월보

일본 주요 철강상사 코일센터 통합·재편 사례

자료 : “일본 철강상사 : 통합과 재편의 역사”(포스코경영연구원, ’19.12월)의 내용을 재구성

❍ 철강업계와 금융기관들은 철강 가공·유통업체들의 구조재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업적·금융적 측면에서 지원

- 가공·유통업체들의 구조재편에 앞서, 먼저 이들의 생존기반 확보 및 원활한

경영활동 지속을 위한 업계 차원의 지원이 필요

· 제조업체들은 지나친 공급가격 인상을 지양하고, 가공·유통업체들의 적정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가격 수준에서 철강재를 공급

· 또한, 충분한 대금납입 기간 설정 등을 통해 가공·유통업체들이 자금난을

겪지 않도록 지원

- 또한, 철강업계는 가공·유통업체들의 자율적 구조재편 유도를 위한 환경 조성에

노력

· 철강거래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직거래 비중을 낮추고 가공·유통

업체들의 거래참여 활성화 및 가공·유통거래 비중 확대

· 이를 통해 치열한 가격경쟁을 완화하고 품질·서비스 등에서 경쟁력있는 업체의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이들이 구조재편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

- 금융기관들은 적정한 수익성과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한 가공·유통업체들에

대해 인수금융 및 운영자금 등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이들 업체가 중심이

된 구조재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3

참고문헌

[국국문문자자료료]

관계부처 합동(2016),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안)”

_____________(2019),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fss.or.kr

김동수(2017), “중국의 철강산업”, 산업연구원

김정원(2020), “순환형 사회 구축의 핵심 열쇠 철강 슬래그”, 제46권 제5호 통권 535호 철

강보, 한국철강협회

대우증권(2011), “2011 업종별 계통도”

동국제강, www.dongkuk.com

DK동신, www.dkdongshin.co.kr

문병기·강성은(2020), “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한국무역협회

박경서·서정헌·최정희·박지섭(2016), “글로벌 공급과잉기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발전방안”,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광주전남본부

박상우(2015), “일본 철강산업의 구조개혁 성과와 시사점”, 한국은행 포항본부

박찬욱(2020), “코로나19 영향과 세계 철강업계 대응전략”, 포스코경영연구원

스틸데일리, st""ldaily.co.kr

스틸마켓, www."st""lmark"t.co.kr

송일윤(2016), “철강산업(It""l Industry)”, 한국신용정보원

심상형(2018), “중국 철강산업도 스마트로 혁신한다”, 포스코경영연구원

양한수(2017), “「13.5 규획」기간 철강산업 발전 방향 및 평가”, Vol.20 No.2,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북경사무소 브리핑

우정헌·정이선(2019),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모색”, 포스코경영연구원

이동이(2020), “국내 철강산업 동향과 코로나19의 영향”, 주간 KDB리포트 제876호, 산업

은행 KDB미래전략연구소

이민근(2016), “일본 고로업계 재편 바람, 어디까지 불까?”, 포스코경영연구원

이민우(2020), “코로나19가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 재료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슈리포트, 재료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재윤·유이선·김한흰·오인하(2018), “대기오염 문제의 국내경제 영향 및 시사점”, 산업연

Page 32: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4 | 산은조사월보

구원

이재윤(2019), “환경규제와 철강산업”, 산업연구원

이지현·최형욱·안경아(2019),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9백만 톤, 전년 대비 2.4% 증

가”, 환경부 보도자료

이진우(201:), “중국산 철강제품이 힘 못 쓰는 일본 철강시장의 특성과 시사점”, 포스코경

영연구원

이진우·이만용(2019), “2019년 한·중·일 주요 철강사 전략 방향”, 포스코경영연구원

임정성·이민근·심상형(2018), “글로벌 철강사의 사업다각화 추진 사례와 교훈”, 포스코경

영연구원

장윤종(2019), “철강산업의 미래와 대응”, 포스코경영연구원

장진영·엄이슬·임두빈(2018), “자동차 경량화 트렌드의 중심이동, 소재의 경량화”, 삼정

KPMG 경제연구원

재윤(2019), “2019년 철강 산업경쟁력조사”, 산업연구원

조문제(2018), “日本 상사의 해외 코일센터 운영 특징 및 시사점”, 포스코경영연구원

조철·박광순·정은미·서동혁·김종기·박훈·이경숙·이준·홍성인·남장근·주대영·김양팽·이자연

(201�), “중국의 산업구조고도화가 한국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산업

연구원

조철·조은교·박가영(2019),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산업연구원

조항(2019), “일본 철강상사 : 통합과 재편의 역사”, 포스코경영연구원

조혜지·김용균(2018), “스마트팩토리 기술 및 산업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철강금속신문, snmnews.com

추지미·사동철·공문기(2019), “2020년 세계 철강수요 전망”, 포스코경영연구원

포스코, www.posco.com

하태원(2018), “자동차용 강판 개발 동향 및 전망”, 주간 KD� 리포트, 주간 KD�리포트

제781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______(2019), “국내 철강산업의 신기술 적용 사례 및 시사점”, 주간 KD�리포트 제839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______(2019), “수요산업 요구에 부응한 철강소재 개발동향”, 주간 KD�리포트 제8::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한국무역협회 수입규제 통상지원센터, antidumping.kita.net

한국철강협회 SteelData, steeldata.kosa.o�.k�

한국철강협회 조사분석실(2019), “2018년 철강재 출하구조”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5

허진석(2019), “주요 대형 철강사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 Multi Focusing 연원료 전략 추

진”, 포스코경영연구원

현대제철, www.hyundai-steel.com

홍승민(201:), “철강산업의 스마트팩토리 사례”, 포스코ICT 컨설팅 그룹, 포스코

ICT

홍정완(2020), “對韓 수입규제 분기별동향”, 한국무역협회

[영영문문자자료료]

OECD, “World Steel in Figures”, 각 연호

OECD, “LATEST DEVELOPMENTS IN STEELMA�IN! CAPACITY”, 2020년

World Steel Association, “Short Range Outloo�”, 각 연호

World Steel Association, “!LO�AL FOR4M ON STEEL EXCESS CAPACITY”,

CFAIR?S REPORT, 2019년

Page 33: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 MK · 2020. 9. 1. · 봉 형강류 강관 등 철강제품을 생산하여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에 공급 〈그림

이슈분석

84 | 산은조사월보

구원

이재윤(2019), “환경규제와 철강산업”, 산업연구원

이지현·최형욱·안경아(2019),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 7억 9백만 톤, 전년 대비 2.4% 증

가”, 환경부 보도자료

이진우(201:), “중국산 철강제품이 힘 못 쓰는 일본 철강시장의 특성과 시사점”, 포스코경

영연구원

이진우·이만용(2019), “2019년 한·중·일 주요 철강사 전략 방향”, 포스코경영연구원

임정성·이민근·심상형(2018), “글로벌 철강사의 사업다각화 추진 사례와 교훈”, 포스코경

영연구원

장윤종(2019), “철강산업의 미래와 대응”, 포스코경영연구원

장진영·엄이슬·임두빈(2018), “자동차 경량화 트렌드의 중심이동, 소재의 경량화”, 삼정

KPMG 경제연구원

재윤(2019), “2019년 철강 산업경쟁력조사”, 산업연구원

조문제(2018), “日本 상사의 해외 코일센터 운영 특징 및 시사점”, 포스코경영연구원

조철·박광순·정은미·서동혁·김종기·박훈·이경숙·이준·홍성인·남장근·주대영·김양팽·이자연

(201�), “중국의 산업구조고도화가 한국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산업

연구원

조철·조은교·박가영(2019),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산업연구원

조항(2019), “일본 철강상사 : 통합과 재편의 역사”, 포스코경영연구원

조혜지·김용균(2018), “스마트팩토리 기술 및 산업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철강금속신문, snmnews.com

추지미·사동철·공문기(2019), “2020년 세계 철강수요 전망”, 포스코경영연구원

포스코, www.posco.com

하태원(2018), “자동차용 강판 개발 동향 및 전망”, 주간 KD� 리포트, 주간 KD�리포트

제781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______(2019), “국내 철강산업의 신기술 적용 사례 및 시사점”, 주간 KD�리포트 제839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______(2019), “수요산업 요구에 부응한 철강소재 개발동향”, 주간 KD�리포트 제8::호,

산업은행 KD�미래전략연구소

한국무역협회 수입규제 통상지원센터, antidumping.kita.net

한국철강협회 SteelData, steeldata.kosa.o�.k�

한국철강협회 조사분석실(2019), “2018년 철강재 출하구조”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2020. 8 제777호 85

허진석(2019), “주요 대형 철강사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 Multi Focusing 연원료 전략 추

진”, 포스코경영연구원

현대제철, www.hyundai-steel.com

홍승민(201:), “철강산업의 스마트팩토리 사례”, 포스코ICT 컨설팅 그룹, 포스코

ICT

홍정완(2020), “對韓 수입규제 분기별동향”, 한국무역협회

[영영문문자자료료]

OECD, “World Steel in Figures”, 각 연호

OECD, “LATEST DEVELOPMENTS IN STEELMA�IN! CAPACITY”, 2020년

World Steel Association, “Short Range Outloo�”, 각 연호

World Steel Association, “!LO�AL FOR4M ON STEEL EXCESS CAPACITY”,

CFAIR?S REPORT,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