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2008-5-1 1 초 점 정보통신정책 제 20 권 8호 통권 438호 모바일 인터넷전화 발전추세, 시장동인 및 시사점 주임연구원 * 1) 소비자의 고부가의 통신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니즈 변화와 VoIP 및 광대역 무선인터넷 접 속서비스 기술의 발전 및 단말기 진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도입이 시장에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정의 및 특성, 분류 및 실제 제공형태, 기술적 근거 및 한계사항 완화가능성을 검토 및 갱신하였으며, 또한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보급 요인을 도입 유인, 가능 요소 및 이슈들로 분류하여 살펴 봄으로써 모바일 인터넷전화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자료 정리 결과, 모바일 인터넷전화를 제 공하기 위한 환경요인 및 기술적 기반 등은 현재 성숙되어가고 있으며, 향후 소비자들은 비록 음성품질과 제공 지역에서는 한계를 가지지만 보다 저렴하게 이동성을 갖춘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모 바일 인터넷전화의 도입을 위해서는 아직도 단말기의 원활한 수급 문제 및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불만을 어떻게 해 결하는가,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어떻게 제도화 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중장기적인 차원에 서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보급 요인들의 변화 또는 회피 가능성은 낮아 보이며, 결국 모바일 인터넷전화의 도입은 언젠가는 이루어지게 될 이슈로 판단된다. 모바일 인터넷전화 서비스는 기존 이동전화 시장을 대체하기만 하는 서비스에 그치기보다는 오히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음성 서비스 시장에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로 파악되며, 통신시장의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의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서비스로 판단된다. 향후 규제체계 마련시 경쟁 활성화 등 측면을 고려하고, 중장기 통신규제체계 개편 방향 및 융합서비스 규제체계 마련의 큰 틀에서 규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모바일 인터넷전화 특징 1. 정의 및 특성 2. 주요 형태 . 기술발전 동향 1. 모바일 인터넷전화 망 구성 2. 기술발전 동향 및 한계사항 완화 가능성 . 시장 동인 및 발전가능성 1. 도입 유인 2. 모바일 인터넷전화 도입 가능요소 3. 도입시 이슈 . Ⅰ. 서 VoIP 서비스는 음성을 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음성서비스를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연락처: * 통신방송정책연구실 (02) 570 4122, [email protected]

모바일 인터넷전화 발전추세, 시장동인 및 시사점 · 모바일 인터넷전화 발전추세, 시장동인 및 시사점 2008-5-1 5 가. 기술적 구현 방식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08-5-1 1

정보통신정책 제 20 권 8호 통권 438호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주임연구원 이 은 곤* 1)

소비자의 고부가의 통신서비스를 보다 렴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니즈 변화와 VoIP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 기술의 발 단말기 진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이 시장에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화의 정의 특성, 분류 실제 제공형태, 기술 근거 한계사항 완화가능성을

검토 갱신하 으며, 한 모바일 인터넷 화의 보 요인을 도입 유인, 가능 요소 이슈들로 분류하여 살펴

으로써 모바일 인터넷 화와 련된 기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 다. 자료 정리 결과, 모바일 인터넷 화를 제

공하기 한 환경요인 기술 기반 등은 재 성숙되어가고 있으며, 향후 소비자들은 비록 음성품질과 제공

지역에서는 한계를 가지지만 보다 렴하게 이동성을 갖춘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모

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을 해서는 아직도 단말기의 원활한 수 문제 이동통신사업자들의 불만을 어떻게 해

결하는가,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어떻게 제도화 할 것인가의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장기 인 차원에

서 모바일 인터넷 화의 보 요인들의 변화 는 회피 가능성은 낮아 보이며, 결국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은

언젠가는 이루어지게 될 이슈로 단된다.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기존 이동 화 시장을 체하기만 하는

서비스에 그치기보다는 오히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음성 서비스 시장에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로 악되며, 통신시장의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의 측면에도 향을 미칠 수 있

는 서비스로 단된다. 향후 규제체계 마련시 경쟁 활성화 등 측면을 고려하고, 장기 통신규제체계 개편 방향

융합서비스 규제체계 마련의 큰 틀에서 규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 차

Ⅰ. 서 론Ⅱ. 모바일 인터넷 화 특징1. 정의 특성2. 주요 형태

Ⅲ. 기술발 동향1. 모바일 인터넷 화 망 구성

2. 기술발 동향 한계사항 완화 가능성Ⅳ. 시장 동인 발 가능성1. 도입 유인2. 모바일 인터넷 화 도입 가능요소3. 도입시 이슈

Ⅴ. 결 론

Ⅰ. 서 론

VoIP 서비스는 음성을 데이터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음성서비스를 구 한다는 측면에서

연락처: * 통신방송정책연구실 (02) 570-4122, [email protected]

2 정보통신정책

태생 으로 이동성의 구 이 용이하다. 즉 특정 장소의 고속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

넷 화 단말기를 다른 장소의 고속인터넷망에 연결하여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

에 고정 인터넷 화라 할지라도 제한 으로나마 이동성을 구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덧

붙여 최근 해외 각국에서는 역 무선데이터 서비스 기술 VoIP 기술의 발 과 유무선

통합추세의 진 에 따라 차 VoIP를 이용하여 마치 이동 화처럼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고

자 하는 시도가 잇달아 이루어지고 있다. WiFi와 WiBro를 포함한 WiMax계열, HSDPA/

HSUPA의 WCDMA 기술 등 역 무선데이터 송 서비스 기술의 발 은 이동성을 구

하기 한 기존 제한사항이었던 무선망에서의 역폭을 크게 증가시켰다. 한 음성압축 기

술의 발 등 VoIP 련 기술의 발 은 차 인터넷 화의 음성품질, 안정성을 제고하고 있

다. 융합서비스 진화 추세에 부응하여 해외 주요 사업자들의 경우 FMS로 표되는 유무선

통합서비스 제공을 해 인 라 구축, 시범서비스 도입 등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처

럼 모바일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한 기술 제한 사항이 여러 부문에서 상당수 해소되

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모바일 VoIP 서비스는 유무선, 음성데이터 통합서비스의 표 인 서

비스로 기존 유무선 통신사업자(Telco) 뿐만 아니라 포털 등 정보서비스 제공사업자

Skype 등 인터넷 화 사업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심을 집 시키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화의 특성, 이행 배경 주요 비즈니스 모델, 해외 주요 사업

자의 사업모델과 동향 향후 정책 시사 에 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모바일 인터넷 화 특징

1. 정의 특성

키피디어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VoIP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음성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가능 하는 핵심 기

술 요소로는 UMA(Unlicenced Mobile Access Generic Access Network)와 SIP를 꼽을

수 있다. UMA는 VoIP 호가 GSM 등 이동통신 백본망에서도 소통될 수 있도록 하며, SIP

는상당수의 기존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는 호 제어 로토콜로서 이제는 이동 단

말기에서도 구 이 가능하도록 발 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화의 특성으로는 경제성, 이동성 통화품질 하를 꼽을 수 있다.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사실상 가입자간 무료로 통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등 기존 이동

화에 비해 보다 렴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인터넷 화는 기존 이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3

동 화 는 PSTN 화와는 달리 유선 인터넷 화와 마찬가지로 패킷 기반인 데이터 네트

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기존 서킷 기반인 이동 화에 비해 비교 렴한 요

으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미 해외 일부 모바일 인터넷 화 사업자의 경우에는 가

입자간 무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가입자간 무료 서비스 제공의 의미는 모바

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해 기존 무선 데이터서비스 이용요 이외에 추가 인

요 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무선 데이터서비스 이용요 은 별도로 지 되어야 한다. 그

러나, 국내외 많은 사업자들의 고속인터넷 서비스 는 무선 인터넷서비스 요 이 사실상

정액요 인 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부담부분 한 상당히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인터넷 화는 기존 PSTN 는 유선 인터넷 화 등 유선기반 서비스에 비해 이동

화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이동 에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역 무선데이터 속 서비스 기술의 발 에 의해 이용자들은 단말기와 무선 엑세스 단에서 원

활한 데이터 통신이 용이하게 되었다. 한 VoIP 기술의 발 으로 인해 음성 등을 데이터의

형태로 송수신하는 기술은 이미 격하게 발 하여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무

선 속을 통해 이용자들이 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음성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기존 PSTN, 인터넷 화 이동 화 서비스에

비해 낮은 통화품질을 나타내게 될 망이다. 인터넷 화는 패킷 망을 이용한 음성통신 기술

이라는 특성상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수신하기 때문에 서킷 기반 서비스에 비해 음성

품질, 음성 지연 착신 성공률에 있어 아직까지는 열 에 있는 상황이었다. 2004년 이후 최

근까지 국내외 많은 사업자들이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러한 기술 한계사항들

은 상당 부분 보완되어 오고 있다. 최근 망 고도화 등으로 보다 높은 품질의 음성서비스 제공

을 한 이용 가능한 역폭이 상 으로 커짐에 따라 사업자들은 차 기존 음성품질은 상

으로 열악하지만 데이터 송 효율이 높았던 G.723.1 코덱에서 역폭은 상 으로 더

욱 많이 요구되지만 음성 품질이 개선된 G.726, G.729, G.711 등의 코덱을 이용하는 등 음성

품질 제고를 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상 인터넷 화 서비스의 품질이 기존 PSTN

기반 서비스에 버 가게 진화하고 있다고 단된다. 모바일 인터넷 화는 이러한 인터넷 화

로서의 품질 특성 이외에도 가입자 단에서 무선 엑세스와 단말기로 방을 구성하기 때문에 무

선 서비스로서의 통화품질 유지라는 숙제 한 안고 있다. 무선망에서의 음성품질은 무선 기

술의 특성상 유선망에서의 음성 품질에 비해 떨어지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한, 기존 서킷

기반의 무선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 음성 서비스에 한해서

는 서킷 방식의 이 을 고려하여 기존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을 감안하면, 무선망을 통해

패킷 방식의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 으로 기존 이동 화 서비스에 비해서도 음

4 정보통신정책

성품질이 하되게 될 망이다.

결론 으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기존 이동 화에 비해 렴한 이용요 과 약간

낮은 음성품질을 나타내는 이동통신서비스로서 자리매김 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국내 여타

통신서비스의 특성과 모바일 인터넷 화의 특성을 도식화한 것이다.

[그림 1] 모바일 인터넷 화의 특성

* 통화료는 3분 단 임

자료: KISDI(2008)

2. 주요 형태

모바일 인터넷 화는 기술 으로 기존 IP 기반의 유선 인터넷 화의 특성과 더불어, 단말

기와 무선엑세스단의 무선기술과 목시킨 서비스라는 특성 때문에 유선과 무선의 융합서비

스로서의 특징을 고루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키피디어 OVUM(2005) 등 선행연구에

서는 기술 제공방식 측면 비즈니스 구 가능성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를 구분하

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방식은 다분히 서비스 제공자의 측면만을 고려한 측면이 있다.

여타 통신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인터넷 화 한 도입 활성화의 성패는 결국 소비

자의 몫으로 귀결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기술 측면과 비즈니스 구 가능성 측

면을 언 한 후 주로 소비자 이용방법 측면에서 인터넷 화를 다양하게 분류하고자 한다.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5

가. 기술 구 방식에 따른 분류

키피디어(2008)는 기술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

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이동 단말기를 데이터 네트워크의 호를 제어하는 SIP의 단순한 단말기(Client)로 삼고 데이

터 네트워크를 메시지를 주고받는 백본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호를

주고받는(RTP; Real Time Protocol) 형태이다. 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빠른 속도의 IP

기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단 과 동시에 SIP등 범용 VoIP 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EVDO rev. A, HSDPA, WiFi, WiMAX 등 다양

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 이 존재한다. 두 번째 방법은 데이터 네트워크

에서 소 트스 치를 SIP와 RTP가 이동망의 SS71) 인 라에 근하기 한 게이트웨이인

것처럼 활용하는 방안으로서 이 방법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는 GSM 는 CDMA 계열 등

의 기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SIP 응용 서버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SIP

기반의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례로 Tango Network, Outsmart, NewStep,

Bridgeport 등의 사업자들이 이러한 형태의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두 가지 기술방식을 이용하여 실제 구 방식은 (1) WiFi를 이용한 인터넷 화, (2) Wi-

Max를 이용한 인터넷 화, (3) WiFi와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간 융합을 통한 인터넷 화,

(4) 이동망의 메쉬(mesh)를 활용한 인터넷 화의 4가지 형태를 띄고 있다.2) 우선 WiFi를

이용한 인터넷 화의 경우 기본 으로 이 에는 기업 기반 응용 서비스로 용되었던 서비스

로서 재는 일반 소비자 시장으로 빠른 속도로 확 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들은 재 기술

시범서비스를 진행 이며, 2007년 에 상용화된 서비스가 출시될 것으로 기 를 모은 바

있다. WiMax를 활용한 인터넷 화의 경우 WiMax 기술 시장 자체가 아직까지는 인 라

설비구축 단계인 기 시장으로서 커버리지가 아직까지는 넓지 않고 이용요 이 상 으로

비싸기 때문에 아직까지 활발한 상용화 노력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향후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가 WiMax 시장을 성장시킬 수 있는 핵심서비스 하나로 계속 인 심을 가질 필요

1) SS7은 PSTN 데이터 트래픽의 혼잡에 해 무선이나 유선 디지털 역 네트워크로 부담을

옮기는 방편으로, ITU에 의해 정의된 통신 로토콜로서, 고속 패킷스 칭과, SSP(Service

Switching Point)를 사용한 역외 신호처리, STP(Signal Transfer Point), SCP(Service Control

Point) 등을 사용하는 것이 특색이다. SS7 네트웍과 로토콜은 (1) 통화설정, 리, 해제, (2)

PCS, 무선 로 , 그리고 무선 가입자 인증 등과 같은 이동 화 서비스, (3) 유선 화 번호이동성

(LNP; local number portability), (4) 수신자 부담 화 서비스, 통화 달, 송화자 화번호 표

시, 삼자 통화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해 사용된다.

2) Mindbranch, 2007 재인용. Juniper Research, 2007. 3. 7, ‘VoIP 무선 명 견인차로서의 역할’

6 정보통신정책

가 있다. 마지막으로 WiFi와 이동통신서비스간 융합을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화 서비스의

경우 재 기술은 존재하지만 듀얼모드 단말기 보 등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범 하게 통용되지 않고 있다. 무선망의 메쉬를 이용한 인터넷 화 서비스의 경우 WiFi 기

술의 발 과 로 가능성으로 인해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기술 개발

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나.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의 분류

컨설 기 Ovum(2005) 김민정(2005)은 시장에서의 서비스 실 가능성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의 형태를 1) 반이 방식 인터넷 화, 2) 이동 화 망연동 인터넷 화, 3)

셀룰러 망이용 인터넷 화 세 가지 형태로 나 어 제시하 다.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신규 통신서비스인 만큼 이용 시장에서 서비스의 실 가능성은 련 기술의 발 정도

지원 망의 고도화 정도와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차세 망에서 완벽히 인터넷 화가 구 되

기 까지는 련 단말기 개발, 지원망 고도화 이동 화 망과의 연동이 필수 이다. 2006

년 이후 국내에서 WiBro HSDPA 서비스가 본격 으로 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아직까

지는 음성통화는 기존의 이동 화 망을, 데이터 통신은 역 무선데이터 속 서비스를 이

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OVUM이 제시하는 모바일 인터넷 화 진화의 2단계인 상황으로

볼 수 있다. 향후 단말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백본 역이 진화단계 5단계에 이르면

차세 망을 이용한 음성통화가 가능할 것이며, 이 시기가 되면 모바일 인터넷 화가 이동

[그림 2] 모바일 인터넷 화의 세 가지 형태

Pote

ntia

l to

thre

aten

mob

ile o

pera

ters

’voi

ce re

venu

es

Earliest estimated availability in the mass market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Half-duplexVoIP

Half-duplexVoIP

Cellular by-pass VoIP

Cellular by-pass VoIP

VoIP overcellular

VoIP overcellular

자료: Ovum(2005), 김민정(2005)를 재인용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7

화 사업자에게 본격 인 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단된다. 본 장에서는 Ovum이 제시한

세 가지 형태의 인터넷 화 서비스와 함께 각각의 형태가 이동 화 사업자에게 미치는 향

을 알아볼 것이다.

[그림 3] 단말기 진화단계

1단계

WibroHSDPA

이동전화 이동전화 이동전화 VoIP

DMB IP-TV

단일단말 복합단말 복합단말 복합단말 단일단말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WibroHSDPA

WibroHSDPA

WibroHSDPA

WibroHSDPA

IP-TV

자료: 지성태(2005) 김민정(2005)를 재구성

1) 반이 방식(Half-duplex) 인터넷 화

반이 방식의 인터넷 화는 마치 재의 음성메일과 유사한 형태로, 기존의 이동 화와 같

이 동시에 송신을 하면서 수신을 할 수 있는 이 방식(Full-duplex)과는 다르게 과거의

워키토키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만 송이 가능하도록 구 된 통신 방식이다. 반 이 방식의

한 로는 미국의 사업자인 넥스텔이 사용하 던 PTT(Push-to-Talk)가 가 될 수 있다.

반이 방식에서는 두 사람이 동시에 이야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한 사람이 말하는 동안 다

른 사람은 들을 수만 있다.

이러한 기술 한계로 인해 반 이 식 인터넷 화가 이동 화 서비스를 완 히 체할 수

는 없어 보인다. 만약 PTT 요 이 PTT 서비스의 불편함과 낮은 품질을 커버할 만큼 충분

히 차이가 난다면 통 인 음성서비스 신에 PTT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이동 음성 서비스를 사용하는 데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므로 이

러한 체 규모는 제한 일 수밖에 없다.

이처럼 발 된 시장에서는 PTT의 이동 화 음성서비스에 한 체효과는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PTT가 SMS의 잠정 인 체재라는 이다. PTT는 버튼만

르면 바로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SMS와 같이 키보드로 타이핑하는 것보다 훨씬 쉽고 빠

8 정보통신정책

르며, 멀티 스 한 가능하다. 따라서 PTT는 SMS를 많이 이용하는 학생부터 건설,

업, 운송 등의 단체 가입자까지 다양한 수요자 층이 존재한다.

[그림 4] 반이 방식 모바일 인터넷 화

자료: Ovum(2005) 김민정(2005)를 재구성

하지만 PTT가 시장에서 활성화되기 해서는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의 조가 필수

이다. 이동 화 사업자는 PTT 요 을 SMS와 비슷하게 책정함으로써 서비스 확산을 지

할 수도 있으며, 고기능, 고품질로 복잡하게 상품을 구성하여 시장에서 성공을 지 할 수도

있다. 따라서 PTT는 이동 화 사업자에게 종속 인 서비스로 볼 수 있으며 이동 화 매출에

심각한 손해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상된다.

2) 이동 화 망연동 인터넷 화

BcN 추진에 따라 통신망이 All-IP망으로 완벽히 진화하기 까지는 기존의 이동 화 망

과 데이터 망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인터넷 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화 망과 연동된 인

터넷 화 서비스는 무선엑세스 포인트(AP)가 구비된 내 는 핫스팟지역에서 단말기와

무선엑세스 포인트 까지는 무선으로 구 하며, 무선엑세스 포인트 이후 백본 역은 기존의

유선 인터넷 화와 마찬가지로 유선인 라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다. 만약 무선엑세스 포인

트에 속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서킷 기반의 이동 화 망과의 연동을 통해 핸드오버가 가능

하며 이동 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마치 재 KT에서 제공하고 있는 원폰 서비스

와 유사한 형태로 이해가 가능하다. 김민정 등은 다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발 추세를 감안하

여 이동 화 망연동 인터넷 화 서비스를 홈존 인터넷 화와 핫스팟 인터넷 화 두 가지 서

비스로 분류한 바 있다.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9

[그림 5] 셀룰러 망을 우회한 모바일 인터넷 화

자료: Ovum(2005) 김민정(2005)를 재구성

A. 홈존 인터넷 화

홈존 인터넷 화는 집 안에서는 고속인터넷에 연결된 인터넷 화 망을 통해서, 그리고

집 밖에서는 기존의 이동 화 망을 통해서 음성통화를 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두 종류의 망 사이의 이음새 없는 핸드오 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

무선 통합 단말기를 사용하여 집에서는 유선 화 요 으로, 밖에서는 이동 화 요 으로 서

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홈존에 한 심이 증가하면서 유선 이동 화 사업자들이 홈존 인터넷 화와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를 시장에 소개해왔다. 독일의 이동 화 사업자인 O2는 2001년부터 ‘Genion’

이라는 서비스를 개시하고 해당 단말기로 집에서 화할 경우 유선 화 수 의 요 으로 통

화를 제공하고 있으며, 독일의 보다폰은 고객이 집에서 화할 경우 W-CDMA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여 통화할 수 있는 ‘ZuHauser’ 서비스를 유선 화 수 의 요 으로 제

공하고 있다. 유선 화 사업자 한 집 안의 통화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집 밖의 통화

는 이동 화 망을 이용하는 FMC 서비스를 개시하 다. BT가 2005년 6월에 선보인 ‘Fusion’

이 그 인데 이는 집 안에서는 유선 네트워크의 속 과 모토롤라 UMA 가능 단말기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집 밖에서는 보다폰의 이동 화 망으로 로 하여 서비스를 제

공한다. 이동 화 사업자들의 경우 FMC 서비스는 기존의 이동 화 망을 이용하고 요 만

차별 으로 부과하고 있기 때문에 유선사업자의 FMC가 보다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10 정보통신정책

FMC 상이 가시화되면서 통신사업자들은 홈존 인터넷 화 서비스를 한 단말기 개발

망 고도화를 비 에 있다. 2004년 11월 NTT도코모가 기업시장을 상으로 W-CDMA

셀룰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듀얼모드 WiFi 단말기(NEC N900iL)를 출시하 으며, 2005년

7월에는 FT가 MS와 공동으로 소비자 시장에 WiFi/GSM 단말기를 개발할 계획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홈존 인터넷 화는 이동 화 사용을 일정부분 체하기 때문에 이동 화 사업자의 음성수

익을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여타 홈존 인터넷 화 사업자와 요 경쟁을 해야 하는

험이 발생할 것이다. 한, 소비자 시장에서 스카이 와 같은 소 트웨어 사업자들의 향

력이 증가하여 이동 화 사업자에게 요인으로 등장할 것이다.

하지만 이동 화 사업자들은 홈존 인터넷 화를 지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상된다. 첫째, 홈존 인터넷 화 활성화에

있어 WiFi/셀룰러 듀얼모드 단말기는 간과할 수 없는 요한 요인으로 이동 화 사업자들은

시장 용 듀얼모드 단말기를 개발하지 못하도록 단말기 제조사에게 압력을 행사할 수 있

다. 이동 화 단말기 제조사들도 시장에 단말기를 보 하는 데에 있어 이동 화 사업자들에

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화 사업자 수익을 잠식할 수 있는 홈존 인터넷 화에 해서

신 하게 근할 것이다. 둘째, 이동 화 사업자들은 잠재 험이 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업체에게 무선재 매(wholesale airtime)를 하지 않을 수 있다. 규제기 한 이동 화 사

업자에게 큰 손해가 되는 MVNOs를 강요하지 못할 것이며, 이동 화 사업자가 무선재 매

여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이 자사에 도움이 되는 경우에만 MVNOs를 허

용할 것이다.

B. 핫스팟 인터넷 화

핫스팟 인터넷 화는 홈존 인터넷 화와 비슷하게 핫스팟 지역에서는 무선인터넷 망을 이

용하고 그 지역을 벗어나면 이동 화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되어 이음새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이다. 재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에 한 심이 고조되는 추세에 따라 카페,

호텔로비, 공항 라운지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고속인터넷에 속할 수 있는 WiFi 핫스팟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WiFi 핫스팟을 이용해서 랩탑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사용

자가 늘어나면서 스카이 와 같은 소 트웨어를 이용한 화통화도 증가 추세에 있다. 최근

국의 핫스팟 사업자인 로드리치는 스카이 와 정을 맺고 스카이 가입자들이 고속

인터넷 핫스팟 지역에서 무료로 속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90년 허치슨 텔 콤의 ‘Rabbit’이라고 불리던 서비스가 있었으나 리 보 되지 못

한 채 곧 사라졌다. 이는 인터넷 화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 역에서 Rabbit 단말기로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11

화를 할 수 없었다는 에서 핫스팟 인터넷 화라고 정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 후 국

의 커피 텔 콤은 선불카드를 구입하여 커피 텔 콤 핫스팟 지역에서 렴한 요 으로 통화

할 수 있는 핫스팟 인터넷 화의 정의와 매우 가까운 성격의 서비스를 개시하 다. 하지만 핫

스팟 지역과 역 지역 사이에 이음새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지 못했고 사용자가 직 수

동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서비스의 한계로 작용하 다. 사용자들은 차

특정 핫스팟 지역에서 속이 가능할지에 해서 혼란을 느끼게 되었고 결국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하고 본국으로 들어오는 여행자들을 한 서비스로 락하 다.

우리나라 이동 화 사업자의 경우 특정 지역에서 음성통화를 렴한 요 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역할인 요 제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핫스팟 인터넷 화가 활성화되기 해서는 이

러한 기존의 음성 서비스보다 요 경쟁력이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다른 망을 사용하는 두 지

역 간에 이음새 없는 핸드오버가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문제 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

서 핫스팟 인터넷 화 서비스는 향후 몇 년 동안은 이동 화 사업자의 음성 매출에 심각한

향을 것 같지는 않다고 단되고 있다.

3) 셀룰러 망이용 인터넷 화

LTE에 따라 재 이동 화 사업자들은 상통화 등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

하기 해 데이터 망에 한 투자를 활발히 벌여 나가고 있다. 한, 보다 장기 인 차원에서

통신망 구조를 고도화하기 해 이미 주요국들 사이에서는 BcN이 본격 으로 추진되고 있

으며, 이에 따라 IP기반 서비스에 한 심 한 과거에 비해 더욱 증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동통신 망의 경우 IP망으로 환함으로써 기존에 한정된 주 수 자원을 이용하여 음성서

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음성을 데이터 변환 등을 통해 효과 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3)

하지만 셀룰러 망을 이용한 인터넷 화 서비스는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는 등 본격

인 서비스가 제공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상된다. 한 망의 업그 이드는

차 으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오랜 시간 동안 음성 화 서비스는 업그 이드 된 3G와 표

3) 다만, 무선엑세스 부분에서 기존의 서킷망이 패킷망으로 진화할 것인가에 한 부분은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킷망의 특성상 비록 자원 유율 부분이나 이에 따른 비용문제가

단 으로 제기되기도 하지만, 반면 음성품질이나 끊김없는 서비스 제공 등의 측면에서 장 한

부각되기 때문이다. 앞서 모바일 인터넷 화의 특성부분에서 제기된 무선망을 통해 패킷 방식의

음성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 으로 기존 이동 화 서비스에 비해서도 음성품질이 하되

게 될 것으로 망한 부분을 참고할 만하다. 다만 OVUM(2005) 등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인터

넷 화 서비스 모델 부문은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모든 셀룰러 망이 IP기반망으로 이행되었

다고 가정한 이후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12 정보통신정책

3G, 2G 사이에 변환이 가능해야 하며 단말기 체 사이클과도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과도기

를 거칠 것으로 상된다.

[그림 6] 셀룰러 망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화

자료: Ovum(2005) 김민정(2005)를 재구성

그 다면 향후에 셀룰러 망을 이용한 3자 셀룰러 인터넷 화 서비스가 등장할 경우 이는

이동 화 사업자에게 어떠한 향을 미칠 수 있을까? CDMA 사업자의 경우는 향후 2년 정

도, GSM 사업자의 경우는 조 더 오랜 시간 동안은 용되지 않겠지만, 렴한 요 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높은 ARPU를 발생시키는 이동사업자의 고객 군을 체

해갈 것이라고 상된다. 하지만 단기 으로는 이동 화 사업자가 이와 같은 요인을 조

정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동 화 사업자들은 3G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인터넷 화 트래픽을 간단히 차단할 수 있으며, 3자 셀룰러 인터넷 화 서비스 사업자에게

이동 화 네트워크 망 속을 거부할 수도 있다. 망 속이 거부되면 3자 셀룰러 인터넷 화

사업자의 고객은 무선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 정상 으로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없다. 따라서 재 매 사업자들은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이동

화 사업자에게 의존 일 수밖에 없다. 한 장기 으로 이동 화 음성 화 요 MVNOs

가격, 홈존 FMC 요 하락 압박과 유무선 속료 로 요 의 규제가 계속될 것으로

상되기 때문에 셀룰러 망을 이용한 인터넷 화 서비스가 보편 인 서비스가 될 때까지는

기존의 음성 화 서비스에 한 모바일 인터넷 화의 가격이 은 크지 않을 것으로 상된다.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13

다. 소비자 이용방법 측면에서의 분류

소비자 이용방법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스마트 폰 등 지

능화된 단말기를 활용하여 소 트 폰 형태로 모바일 인터넷 화를 구 하는 방법과 이동 화

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크게 두 가지로서 구분

된다. 스마트 폰 등 지능화된 단말기를 활용하여 소 트 폰 형태로 모바일 인터넷 화를 구

하는 방법과 이동 화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모두

단말기와 무선 엑세스 단에서는 역 무선데이터 속 서비스 기술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는 동일하나, 스마트 폰 등 지능화된 단말기를 활용하여 소 트 폰 형태로 모바일 인터넷 화

를 구 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유선 인터넷 화의 발신 용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이용요 측

면에서는 렴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번호부여 보다나은 통화품질 확보 등 서비스

의 질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핫스팟 존과 같이 무선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단 이 존재한다. 이동 화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

용하여 인터넷 화 서비스를 구 하는 방식의 경우 이동 화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앞서 소

트 폰 형태로 모바일 인터넷 화를 구 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이용요 이 상 으로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를 들어 WiFi를 활용한

인터넷 화 서비스의 경우 WiFi Access Point가 존재하는 커버리지 내에서는 사실상 무료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EVDO rev. A 는 HSDPA 등 역 무선인터넷 속 서

비스를 이용하는 VoIP의 경우 빠른 송속도와 원활한 이동 기지국간 핸드오 를 이용하여

보다 나은 통화품질의 음성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WiFi 기반의 모바일 인터넷 화보다

는 요 이 높다는 단 이 있다.

Ⅲ. 기술발 동향

1. 모바일 인터넷 화 망 구성

재 WCDMA계열, CDMA 2000 1x EVDO 등 기존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는 음성 송은 회선교환(Circuit)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데이터 네

트워크의 경우에는 MBMS, IMS 등을 통해 패킷교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원화된 방식으

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음성서비스의 경우 특히 무선구간에서 음성품질 유지 송비용

등에 있어 아직까지는 상 으로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시 재구성하는 경우보다 통제

가 쉽다는 장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선교환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인

14 정보통신정책

터넷 화 기술발 추세에 따라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한 기술 으로는 가능하게 되었다.

[그림 7] 이동통신서비스 망 구성도

자료: 한지형(2008), KT(2008) 재구성

이러한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말기와 무선엑세스 포인트 단

까지의 무선구간에서 음성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수신함과 동시에 무선엑세스 단 이후의 백

본 역에서는 IP기반 망을 이용하여 음성과 데이터 상을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림 8] 모바일 인터넷 화 망 구성도

자료: 한지형(2008), KT(2008) 재구성

2. 기술발 동향 한계사항 완화 가능성

가. VoIP 기술 발

유선 인터넷 화의 활성화 안정화, 사업자들의 극 인 진출에 힘입어 최근 인터넷

화 련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화의 통화품질 원활한 호 소통을

한 기술의 측면에서 이러한 기술발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기존 부분의 인터넷 화 서

비스 제공 사업자들의 경우 데이터 망에 한 부하 제공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상 으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15

로 데이터 트래픽은 지만 음성품질이 좋지 않았던 G.723.1 코덱을 이용한 바 있으나, 최근

소비자들의 통화품질에 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차 G. 711, G. 726. G.729 등 보다 통

화품질이 양호한 코덱을 이용하는 추세이다. 인터넷 화의 호를 제어하기 한 호 제어 로

토콜의 경우 기존 H.323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SIP, MGCP, Megaco 등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이 자사의 망 구조 서비스 제공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에 유리한

다양한 로토콜이 이용되고 있다. 단말 QoS의 측면에서도 Jitter Buffer, Echo Cancella-

tion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Qos의 측면에서도 MPLS, DiffServ 등 기술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존 PSTN 기반 화서비스에 비해 열악하 던 인터

넷 화의 음성품질 한 향상 는 안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용자들의 불만 사항

한 상당부분 개선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VoIP 기술의 발 은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 환경 무선엑세스단 이후 백본 역에서의 서비스 개선 환경을 호 시킬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나.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 기술 발

이러한 백본 역의 기술발 추세와 더불어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

기 해서는 단말기와 무선엑세스 포인트간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무선기술의 발 이 뒷받침

됨으로써 이동성, 송속도, 커버리지가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동성은 보행뿐만 아니라

차량, 기차와 같은 빠른 송수단으로 이동 에도 이음새 없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송속도는 빠른 데이터 송속도를 구 하는 것으로 이것이 확보되어야만 음성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다. 커버리지는 서비스 범 를 의미하는 것으

로 특정지역으로 이동하 을 때에도 자동으로 로 이 이루어짐으로써 끊김 없는 서비스가 제

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의 이동 화 서비스는 이동성, 커버리지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데이터 송속도가 매우 낮아 한정 인 서비스만이 가능했으며, 무선랜 서비스는 빠른 데이

터 송속도를 제공하지만 이동성 커버리지가 제한 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역 무선인터넷 속 서비스는 이동 화 무선랜 각각의 한계를 보완한 것으로, 차 모

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한 보다 합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WiBro와 HSDPA

가 한 가 될 것이다. 이동성은 WiBro가 최 60Km/h, HSDPA가 최 250Km/h 이동시

서비스가 가능하여 이동성 측면에서는 이동통신 기반의 HSDPA가 WiBro 보다 우수하다.

반면 데이터 송속도는 WiBro가 최 24Mbps, HSDPA가 최 12Mbps로 기존의 무선랜

을 기반으로 한 WiBro가 더욱 우수하다. 하지만 커버리지의 경우 HSDPA는 국망 서비스

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궁극 으로 국이 서비스 상인 반면, WiBro는 재까지는 도시

16 정보통신정책

를 상으로 한 서비스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구 하기 해서는 더욱 넓은 커버리

지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표 1> 모바일 VoIP 구 을 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장단 비교

구분 무선랜 이동 화 WiBro HSDPA DMB

장-빠른 송

속도(1Mbps)

-이동성

(250Km/h)

- 국망서비스

-빠른 송속도

(최 24Mbps)

-고속 이동성

(250Km/h)

- 국망서비스

-고속 이동성

(최 200Km/h)

- 국망서비스

-이동성(정지

는 보행 시)

-커버리지

(약 100M)

- 송속도

(100kbps)

-이동성(60Km/h)

-커버리지

(약 1Km)

-음성데이터

송의 한계

- 송속도

(최 12Mbps)-단방향 서비스

자료: 김민정(2005)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 기술의 발 추세(LTE)를 고려할 때, 2008년 이후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도입을 한 기술개발이 본격화 될 것으로 기 된다. 이미 BT, Skype,

Hutchison 3 등 해외 주요 사업자의 사례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도입 움직임이

차 가시화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VoIP 기술 역 무선데이터 속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련 기술 개발 단말기 련 기술이 본격 으로 연구되

[그림 9] 모바일 인터넷 화 기술발 로드맵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17

고 있다. 역 무선데이터 속서비스 기술은 무선 구간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의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기술로서 향후 WiMax, EV-DO rev. B, HSUPA 등이 본격화 될 경우 서비

스 제공의 한계사항이 상당부분 완화될 것으로 기 된다.

Ⅳ. 시장동인 발 가능성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의 유인으로는 크게 이동성 확보 융합서비스 제공에 한 기

와 그러면서도 보다 렴한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 변화와 통신시장 포화로

인해 신규 수익원 발굴 기존 시장 방어가 실한 통신사업자들의 시장 참여 필요성이 제

[그림 10] 모바일 VoIP 서비스 보 요인

18 정보통신정책

기될 수 있다. 이에 해 모바일 인터넷 화 련 기술발 추세와 BcN 등 망고도화 추세에

따라 기술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가능성이 크게 늘었을 뿐만 아니라, 이

에 따라 단말기 개발 보 , 보안 긴 통신/정 시 통화 등 기존 VoIP 기술의 한계 극

복 가능성이 시장에 모바일 인터넷 화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망된다. 이

에 해 통신시장에서는 결국 각 사업자의 특성 략 선택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거나, 자사의 유선통신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유선통신사업자와 이미 상통화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부가서비스 개발 노력을 지속

하고 있는 무선통신사업자 통신사업을 신규 수익원으로 발굴하고자 하는 정보서비스 제공

사업자 등 다양한 사업자들이 나름 로 시장 서비스 포지셔닝을 결정지을 것으로 생각되

며 시장 내 사업자간 경쟁이 융합서비스 시장에서도 본격화될 것으로 단된다. 다만, 정책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의 유/무선 융합서비스로의 특성으로 인해 해당 서비스를 어떠

한 방식으로 정의하고 제도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와의 계를 어떻게 정비할 것인가의 문

제가 숙제로 남아있다고 단된다.

1. 도입 유인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모바일 인터넷 화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유인으로는 이동성 확보

융합서비스 제공에 한 기 와 반면에 보다 렴한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

변화와 통신시장 포화로 인해 신규 수익원 발굴 기존 시장 방어가 실한 후발 통신사업

자들의 시장 참여 가능성이 도출된다.

소비자의 이동성 융합서비스에 한 니즈 변화와 련하여 이동 화 가입자 수는 PCS

3사의 시장 진입 이후 이동사업자들의 단말기 보조 지 , 요 경쟁 등으로 크게 증가하여

1999년 9월에는 이미 유선 화 가입자 수를 추월하 으며, 2007년말 4,350만명으로 년

비 8.2% 증가하는 등 소비자의 이동성을 갖춘 통신수단에 한 니즈는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이다. 더불어 이동 화시장은 2000년 이후 가입자 포화로 인해 성장률이 차 낮아져 5% 이

하의 낮은 가입자 증가율을 보여왔으나, 2007년에 WCDMA의 본격 인 국 서비스 개시에

이은 사업자간 경쟁 가입자 유치에 힘입어 매출액 비 6.8%, 가입자 비 8.2% 성장4)하

는 등 소비자의 융합서비스에 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보다 렴한 통신서비스에 한 소

비자 니즈와 련하여서는 한국은행의 ‘2007년 가계최종소비지출(실질기 )'에 따르면 체

가계에서 통신비 지출은 28조 5,857억원으로 2006년에 비해 7.7% 늘어났으며 지출비 도

4) 수연 등, 2008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19

2006년의 7.2%에서 7.4%로 높아졌다. 이것은 임차료 수도 열비 16.2%, 식료품 비주

류음료품 13.1%, 교통비 10.1%, 오락/문화비 8.1% 등에 이어 55)로서 가계 지출 통신

비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렴하면서도 이동성을 갖춘 융

합서비스에 한 소비자의 니즈는 증가하고 있다.

한, 통신시장 포화로 인해 유/무선 통신사업자들을 막론하고 신규 수익원 창출이 시 한

상황이며 이는 후발 통신사업자의 경우 더욱 실하게 나타난다. 앞서 이동 화 시장에서의

융합서비스에 한 진출 노력과 더불어 유선통신서비스 사업자들 한 융합서비스 제공을

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재 유선 화 시장은 2007년 재 매출액은 년 비

4.4% 감소한 6조 7,676억원으로 2004년 이래 연평균 2.84% 감소하고 있으며 2007년 동기

가입자수 한 0.0% 성장하는 등 사실상 유선통신서비스 시장의 성장세는 고속인터넷과

용회선 서비스 등 IP 기반 서비스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 고속인터넷

시장에서도 기존 주요 사업자인 KT, 하나로텔 콤 등 사업자의 시장 유율은 감하고 있는

가운데 후발사업자인 LG 워콤 방송사업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서 기존 유선통신서비스 사업자들은 기존 시장 방어와 더불어 신규 수익원 창출을 한 노력

을 보다 구체화시켜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시장방어를 해 1) 시내 화와 고속인터넷

최근 방송서비스 등과의 결합서비스를 제공 등을 통해 가입자 확 를 꾀하고,6) 2) 정액요

제 도입 시내․외 단일요 제 도입7) 등 가격인하를 벌임으로써 가능한 기존 시장 방어

는 안정 인 연착륙을 기 하고 있다. 한편, 방송통신 원회는 통신요 인하 방안의 일부

로 WiBro를 활용한 음성서비스에 한 검토를 진행할 것을 밝히는 등8) 융합서비스에 한

5) http://www.cbs.co.kr, 2008. 4. 23

6) 하나로텔 콤, LG데이콤 등 후발 시내 화 사업자들은 자사의 화서비스와 고속인터넷, IPTV

등을 결합하여 이용할 경우 요 을 20%정도 할인하고 있으며 하나로텔 콤의 경우 2007년 4/4

분기 재 화서비스, 고속인터넷과 하나TV서비스 매출액 증가를 통해 성장세 지속, LG데이

콤은 2007년 6월 가입자간 무료로 화서비스를 제공하는 ‘My070' 인터넷 화 서비스를 출시하

면서 기존 유선 화 가입자를 극 으로 환유치

7) 정액형 유선 화 요 제 출시: KT는 인터넷 화로 잠식당하고 있는 기업용 화시장을 겨냥하

여 정액형 유선 화 요 제 ‘마이스타일’을 출시하 으며, LG데이콤은 유선 화 부문의 수익성

악화 KT의 선택형 정액요 제에 해 응하여 시내․외 화 국제 화를 묶은 정액요

제를 출시

시내 화-시외 화 단일요 제 도입: 시내 3사는 2007년 10월부터 시내․외 구간 요 차를 없

애는 신 추가 인 요 을 부담하여 3분 39원에 시내․외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내

화-시외 화 단일요 제를 도입

8) 디지털 타임즈, 2008. 1. 14

20 정보통신정책

심을 지속 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2. 모바일 인터넷 화 도입 가능요소

앞서 기술발 동향 한계사항 완화 가능성 부분에서 언 하 던 것처럼 인터넷 화 기

술 발 과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 기술 발 추세에 따라 이미 모바일 인터넷 화 서

비스를 제공하기 한 기술 환경은 성숙9)되어 가고 있다고 단된다. 한 BcN 추진

망고도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 도입시 음성품질을 결정지을 수 있는 역폭 확보

의 문제 한 장기 으로 한계사항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인터넷 화의 확산을 한 다른 요인으로 단말기 공 이 원활하여야 함을 들 수

있다.10) 단말기는 소비자단에서 서비스의 실제 이용 가능성을 늘려 다는 차원에서 서비스 활

성화의 요 요인이다. 단말기의 원활한 보 은 WiFi 폰 등 단말기의 지능화 차세 무선

인터넷 망과 기존 망과의 연동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자들이 이용하여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단말기 진화의 차원뿐만 아니라, 단말기 교체주기를 고려한

한 시기에 시장에 충분한 양을 공 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해 이미 노키아, 삼성 자

등 다양한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모바일 인터넷 화가 가능한 스마트 폰을 출시하거나 출시할

정으로 조사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단말기들이 시범 인 형태로 출시되는 상황이며 향후

모바일 인터넷 화를 활성화하기 해서는 스마트폰, 듀얼모드 단말기들이 활발히 출시되어

야 한다. 그러나, 단말기 제조 사업자들이 모바일 인터넷 화용 단말기를 양산하고 이를 시장

에 충분히 제공하기 해서는 사실상 단말기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동통신사

업자의 묵인 는 호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모바일 인터넷 화 사업자들은 단말

기 제조사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사업자와의 력을 통해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존 VoIP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지의 여부가 검토될 수 있다. 모바일 인터

넷 화 한 인터넷 화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안 긴 통신/정 시 통화와 같은 인터

넷 화 기술의 한계 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얼마나 해결하는지의 여

부 한 인터넷 화의 보 에 향을 미칠 망이다.

9) ‘WiBro에서의 음성지원은 규제정책 이슈만 해결되면 당장에라도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수 ’.

삼성 자, 디지털타임즈 재인용 2008. 1. 14

10) 김민정, 2005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21

[그림 11] 모바일 인터넷 화 단말기 출시 황 출시된 단말기의

WiFi 단말기 듀얼모드 단말기

개별방식 SIP 기반 기출시 단말기 출시 정 단말기

-Avaya 3606, 3616,

3626 IP Wireless

Telephones

-Cisco Wireless IP

Phone 7920(Cisco

SCCP)

-Nortel WLAN

Handsets 2210, 2211

-SpectraLink NetLink

-Symbol Netvision

-Azatel AZA-WIP

-Clipcomm CWP-100

WiFi IP Phone

-IPWare IP Phone

WS, IP Phone WT

-Net-2Com

SIP-Wi600 Wireless

IP Phone

-Net2Phone Voiceline

XJ100

-Pulver Innovations

WISIP Phone

-Samsung

WIP-6050M

-SENAO SI-7800H

WiFi SIP Phone

-TECOM IP2050

-UTStarcom F-1000

-ZyXel Prestige

2000W VoIP WiFi

Phone

-NEC N900iL 폰

-Motorola MPx

-Nokia 9500

Communicator

-HTC Universal

(PDA)

-Fujitsu V70(PDA)

-Samsung

SCH-i730(PDA)

-BenQ P50 Pocket PC

Phone

-Chi Mei UCP-100

-UTStarcom

-Cisco

-Philips

-Newgen

-Palm

-i-mate PDA2K

-Kyocera

자료: 김민정(2005)

사진: 노키아 N800 삼성 자의 스마트폰인 울트라메시징(SCH-M620)

22 정보통신정책

3. 도입시 이슈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은

유선 무선통신사업자를 망라하여 통신시장에 향을 미치게 된다는 측면에서 각 사업자들

의 행보가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BT 등과 같은 유선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 자사의 유선통신

서비스와 모바일 인터넷 화를 결합한 융합서비스를 출시하는 경우 자사의 유선 화 부문의

무선 체를 더욱 염려하여야 한다는 부정 인 요소와 더불어 고속인터넷 등 IP 기반서비

스간 결합을 통해 보다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실상 소비자 입장에서 무선통신

서비스에 진입할 수 있다는 장 을 가지고 있다. 이동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 장기 인

에서 네트워크의 IP화에 응한다는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를 검토해 볼 수는 있으나,

직 으로 모바일 인터넷 화의 수요가 기존 이동 화 수요와 체되는 계로 단되는 경

우에는 시장 참여 활성화에는 미온 인 입장을 보일 수 있다. 특히 이동 화사업자들과 이

동 화 단말기 제조업체와의 계를 고려할 때 이동 화 사업자들의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

스에 한 태도는 단말기 보 에 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인터넷 화가 도입되는

경우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구 등 정보서비

스 제공 사업자들은 기존 고수입 등과 더불어 신규 통신서비스에 진출함으로써 자사의 수

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할 것이다. 다만 의 세 가지 경우 모두 통신시장에서

의 경쟁이 격화된다는 효과는 동일하며, 통신기술의 발 IP화를 장기 인 추세로 단할

때 각 사업자의 도입여부, 도입시기 방법 등과 같은 략 선택 여부가 모바일 인터넷

화의 활성화에 향을 미치게 될 망이다.

한, 모바일 인터넷 화의 경우 역 무선인터넷 속기술을 활용하면서 재 제공

인 이동 화와 매우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 서비스에 한 정의 규제측면에

서의 자리매김이 향후 모바일 인터넷 화의 활성화에 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사

한 사례로서 여타 융합서비스의 제도화에 시사 을 제공할 것으로 단된다.

Ⅴ. 결 론

소비자의 보다 고부가의 통신서비스를 보다 렴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니즈 변화와 VoIP

역 무선인터넷 속서비스 기술의 발 단말기 진화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이 시장에서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인터넷 화의 정의 특

성, 분류 실제 제공형태, 기술 근거 한계사항 완화가능성을 검토 갱신하 으며,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23

한 모바일 인터넷 화의 보 요인을 도입 유인, 가능 요소 이슈들로 분류하여 살펴 으

로써 모바일 인터넷 화와 련된 기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 다. 자료 정리 결과, 모바일

인터넷 화를 제공하기 한 환경요인 기술 기반 등은 재 성숙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

며, 향후 소비자들은 비록 품질은 기존 서비스에 비해 떨어지고 서비스 이용지역에 한계를 가

질 수는 있지만 보다 렴하게 이동성을 갖춘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반

면에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을 해서는 아직도 단말기의 원활한 수 문제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불만을 어떻게 해결하는가,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어떻게 제도화 할 것인

가의 문제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 인 차원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의 보 요인들의 변화 는 회

피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이며, 결국 소비자의 니즈변화, 통신망의 All-IP화 역화 추

세, IP 기반 기술 개발 추세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 화의 도입은 언젠가는 이루어지게 될 이

슈로 단된다. 이미 해외 사례의 경우 BT 등 유선통신사업자, Hutchison 3 등 무선통신사

업자, Skype 등 인터넷 화 사업자 구 등 정보서비스 제공사업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

업자들이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Skype와

같은 사업자들은 국내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인터넷 화 도입과 련

된 이슈들이 차 으로 제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특성의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신규 융합서비스로서 기존 통신서비

스들에 추가된 수익원 창출 요소라는 측면과 더불어 기존 제공 인 서비스에 한 체재

는 보완재로서 자리매김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심을 늦출 수 없는 서비스이다. 기존

PSTN 기반 유선 화서비스를 벤치마킹하되 서비스 제공 이후 서비스를 보다 풍부하게 진

화시켜나가고 있는 유선 인터넷 화와 마찬가지로, 재까지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서비

스의 기술 기반이 되었던 기존 인터넷 화 서비스 이동 화 서비스를 참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IP 기반 서비스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이용요 , 통화품질 등 차원에서 기존

이동 화서비스와는 약간 다른 형태의 서비스로 진화하게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 향후

에는 IP 기반 서비스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여타 IP 기반서비스와의 결합 다양한 부가서비

스 확 등이 용이하다는 차원에서 기존 통신서비스가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 등이 가능해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는 장담할 수는 없

으나, 마치 유선 인터넷 화의 활성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된 신규 융합

서비스로 자리매김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차원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

는 기존 이동 화 시장을 체하기만 하는 서비스에 그치기보다는 오히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음성 서비스 시장을 보다 풍부하게 하는 서비스로 악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24 정보통신정책

사업자 경쟁상황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IP 기반망을 이용하는 다양한

사업자들이 자사 나름 로의 다양한 사업 모델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통신서비스 시장의 서비스 제공 사업자수를 확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

해 통신시장의 경쟁을 활성화시키고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의 측면에도 향을 미칠 수 있는

서비스로 단된다.

제도화의 측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는 신규 융합서비스 한 가지의 서비스 사례

로서 규제체계 마련 사례가 여타 융합서비스의 제도화에 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규

제방안 마련이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모바일 인터넷 화 련 서비스

제공계획이 구체화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업자가 무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모바

일 인터넷 화 련 제도화의 세부 이고 구체 인 논의가 본격화되지는 않고 있다. 향후 규

제체계 마련시에는 기존 규제체계에 모바일 인터넷 화 서비스를 용시키는데 그치기보다

는 통신시장에 미치는 경쟁활성화 요인 등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장기 통신규제체계

개편 방향 융합서비스 규제체계 마련의 큰 틀에서 규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신규 서비스의 발 가능성을 과소평가하 던 기조례11)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김민정, 2005, ‘모바일 VoIP 진화와 시사 ’, 정보통신정책 제18권 4호, 정보통신정책연

구원, 2005.

[2] 박민수 외, 2008., ‘2008 통신서비스 시장 황과 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 3

[3] 하 욱 외, 2006. 4., ‘Wireless/Mobile VoIP 동향 규제이슈’, 자통신동향분석 제

11) 기조례(Red flag act): 1864년 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선포하 던 세계 첫 자동차 법으로

국 내 모든 자동차는 운 사, 화부 외의 붉은 깃발을 들고 55m 방에서 차와 같은 속도로

달려가면서 행인이나 가옥에 자동차가 온다고 깃발을 흔들며 소리쳐야 하며, 시내에서는 시속

3Km, 시외에서는 시속 6Km로 속도를 제한하고 2톤 단 로 세 을 물고 시경계나 주경계를

넘을 때는 도로세를 내야만 했다. 한 밤에는 촛불이나 가스 등을 달고 운행하게 하 으며,

당시의 교통수단이었던 객마차와 기차에 비해 세 한 10배 이상이었다. 당시 최고 시속

40km를 달리는 자동차의 속도를 6km로 제한하는 등 꽃이 피기 시작한 국의 자동차산업은

이 법에 묶여 서서히 빛을 잃어 유럽 륙과 미국에서 휘발유 자동차가 꽃을 피우던 1900년

까지 동면에 빠지게 된다. 동 조항 등은 1896년 11월 4일 속도제한 규정 등이 삭제되면서 사실

상 폐지되게 된다(자료: 네이버, http://www.naver.com).

모바일 인터넷 화 발 추세, 시장동인 시사

2008-5-1 25

21권 제2호, 자통신연구원, 2006. 4

[4] John Delaney, 2005. ‘Mobile VoIP - the impact on consumer mobile voice re-

venues', OVUM. 2005.

[5] Julien Grivolas. 2005. ‘Mobile VoIP - Techincal Overview', OVUM. 2005.

[6] . 2005. ‘WiMax market opportunities', OVUM. 2005.

[7] Juniper research, 2007. ‘VoIP-무선 명 견인차로서의 역할’, Mindbranch, 2007. 3. 7

[8] KISDI(2008. 3) 내부자료

[9] 디지털타임즈 각호, http://www.dt.co.kr

[10] 키피디어, http://en.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