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경경경경경경 1. 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 경경 (1) 경경경 경경 경경 IT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경 IT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IT경경경 경경경경경 IT 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 IT 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경 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 21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 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 경경 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 경 경경, 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2) 경경경 경경 경 경경 1 IT 경경 경경경 경경 경 경경 2008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 경경 IT경경경 2009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경 경경 경경 1경경 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 2009경 IT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15% 경경) 경경경 경경경 2009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2010경 경경 IT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9.2%경 경경경경 18경 6,920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2011경 경경 IT경경경 4.1% 경경경경 19경 4,500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7% 경경경 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2010경경 경경경경 경경 PC(2.3%) 경 경경경/경경경(1.7%)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5.4%, 경경경 6.2%, 경경경경경6.3%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IT경경경 경경경 4.1%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 경경경 경경경 경경 2014경경경 경경경 5.2%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IT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2014경경경경 20%경 경 경경 21.3%경 경경 경경경경. IT경경경 경경경 2014경경경 경경 4.1%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 IT경경경 경경경 경경 경 경경경 경경경경 경경경경경경 2011경경경 경경경경 경 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경 경경경경 경경 IT 경경경경 경경경 SI경경경경경 IT 경경경경,경경 경경 경경경경 경경경 경경경 경경경경경. 1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연계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통산업에의 IT활용은 전통산업에 IT기술을 접목, 생산성 및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산업 전반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섬유, 전자, 건설, 금융, 의료, 유통

등 전통산업의 정보화를 촉진해 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IT 접목 핵심기술을 개발해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형태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 디지털콘텐츠산업 등 고부가가치의 신산업 영역을 창출해 무역흑자, 물가안정,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보기술산업은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의 선도산업으로서 아이디어와 창의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시대의 핵심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미 정보기술은 가전, 자동차, 물류, 바이오 등의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기술산업은 타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대한 근간으로서 제품 및 서비스의 고품질화, 고부가가치화, 제품의 효용성 및 사용성

증대 그리고 방대한 고객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제공 등을 통하여 오프라인 산업분야로의 글로벌

경쟁력을 배가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정보기술산업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유통 및 유지, 보수 등의 활동과 정보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스템의 기획, 개발 및 유지, 보수 등의 정보처리활동을 포함하며,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입 기조와 함께 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까지도 깊게 관여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현황 및 전망

① IT 산업 전반의 현황 및 전망

2008년부터 시작된 세계적 경제위기에 따라 국내 IT시장은 2009년도에 들어 침체기를

맞았으며(국내의 평균 매출 1천억 이상의 기업 및 기관의 2009년 IT 투자금액이 전년대비 15% 감소) 이러한 침체는 2009년 마이너스 성장의 부진을 보였다. 하지만 2010년 국내 IT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전년대비 9.2%의 성장률로 18조 6,920억원대 시장을 회복하였다. 2011년 국내 IT시장은 4.1% 성장률로 19조 4,500억원대 시장을 형성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프트웨어 영역이 7% 성장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010년큰

회복세를 보인 PC(2.3%) 및 프린터/복합기(1.7%)부문 성장률은 안정세를 보일 전망이다.부문별로 각각 네트워크 장비 부문이 5.4%, 서버가 6.2%, 스토리지가6.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IT서비스 부문은 4.1%의 성장이 기대된다.소프트웨어 & 솔루션 시장은 오는 2014년까지 연평균 5.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 IT

1

Page 2: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할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시장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특히 폭넓은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도에도 20%를 갓 넘은 21.3%에 그칠 것입니다.

IT서비스 시장은 2014년까지 평균 4.1%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입니다. IT서비스 시장은 최근

몇 년간의 호황세를 회복하기에는 2011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 신규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한 IT 운영관리 기반의 SI시장보다는 IT아웃소싱,운영 등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업종별로는 2011년까지는 통신과 미디어, 서비스 시장의 성장률이 다소 높겠지만 2012년

이후에는 공공과 금융 IT시장이 주목받을 것입니다.

                                                                                                             

[자료 : KRG]

(단위 : 10억원)

2

Page 3: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출처 : KRG 2011년]

3

Page 4: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② 소프트웨어 부문의 현황 및 전망

(a) SOX, HIPPA 등 법안 발효와 메일 아카이빙 시장의 급성장

메일 아카이빙은 기업 및 기관에서 송수신한 이메일을 압축하여 데이터 저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보존과 검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해외에서는 SOX(Sarbanse-Oxley), HIPPA(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법안 등이 발효되면서

상장회사, 관공서, 병원 등에 이메일을 포함한 전자문서의 보존이 의무화되어 수년 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해외 리서치 기관은 보고서를 통해 “2006년에 2억7백만 달러였던 전세계 메일 아카이빙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1년에는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습니다.(Magic Quadrant for E-mail Active Archiving , 2007)일본에서도 일본판 SOX인 J-SOX법안이 발효되어 메일아카이빙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전자문서 보관에 대한 법안이 점차 수립되고 있어 메일 아카이빙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기업 및 기관은 메일아카이빙을 통해 이메일로 주고받은 데이터 송수신을 모두 기록, 보관함으로써 기업 내부의 부정행위를 방지 및 추적할 수 있고, 이메일을 압축하여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함으로써 급증하는 이메일 및 첨부파일로 인한 하드웨어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전자문서 보관 의무법안 수립과 관계없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Page 5: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b)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글로벌 금융위기와 경제침체로 비용절감이 기업들의 최대 관심사가 되면서 SaaS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에 따르면 전 세계 SaaS 시장은 2012년까지 연평균 23.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CCC(Content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및 CRM 영역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에서도 SaaS 시범사업

추진과 관련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데,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과 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 방식에 대해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기업용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차지하는 시장은 2009년 75억달러, 2010년은 14.1% 급등한 8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2008년부터 이후

연평균 23.3%씩 성장하여 2012년 세계 SaaS 시장은 14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SaaS 시장 규모 추이>(단위: 억달러)

이처럼 SaaS 시장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기업들이 IT 부문에서의

비용 절감을 위해 꾸준하게 SaaS 모델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즉, 기존의

대규모 비용과 자원이 투입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보다는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도입할 수 있다는 SaaS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제위기로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도입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에 비하면

5

Page 6: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한편, 기업들의 SaaS 모델 도입 확산에 따라 Microsoft, Oracle, IBM, Google, Salesforce.com 등 SaaS 관련 IT 벤더들도 자사의 기존 제품을 SaaS 방식으로 전환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과 SaaS를 결합한 솔루션을 출시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Google과

Salesforce.com이 제휴를 확대하면서 SaaS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Microsoft가 모든 SW 제품에 대해 온라인 버전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c)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 빌려쓰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한다는

개념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향후 IT 업계를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변화시킬 차세대 핵심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트너, 삼성경제연구소, 정보통신산업진흥원등 국내외 리서치

기관들도 향후 IT업계를 이끌 메가트렌드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능은 완전한 가상화, 사용한 만큼의 비용, 장기적인 계약으로부터의 자유, 애플리케이션과 운영체제로부터의 독립,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치의 무료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능을 기반으로 IT 자원에 대한 비용, 확장성, 생산성,유지보수 등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IT 자원에 대한 선행 투자가 없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이며, 사용이 쉬우며

유지보수 관리가 거의 없습니다.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자원을 관리하고 소비하는 새로운 대안이며, IT 자원을 통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해외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2008년 160억달러에서 2012년 420억달러에 달하고 전체 IT 지출의 9%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IDC 2008) 가트너는 2009년 3월 보고서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2008년 464억달러에서 2009년 563억달러 등 연평균 26.5%씩

증가해 2013년에는 1,5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세계 최고의 온라인 서점 Amazon은 2002년 7월 Amazon Web Service를 발표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그 이후, EMC가 온라인 백업 서비스 Mozy를 발표하고,자회사 VM웨어 가상화 솔루션을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센터 운영체제(OS)로 육성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주독권을 쥐겠다는 전략도 발표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을

대중화시킨 Google이 Google Apps를 통해 전방위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또한, 최근 MS와 HP가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에 약 2.5억달러를 공동투자하는 등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기업들간 경쟁과 새로운 창조를 통해 더 나은 서비스 환경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고있습니다.

6

Page 7: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빠르게 확산되어가는 해외시장과는 달리 아직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정확한 시장규모를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삼성 SDS, KT, SKT등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범 적용하는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업계에 부는 높은 관심에 비해 대기업 내부 효율화 업무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여

시장 활성화는 아직 미약한 단계인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등 3개 부처가 공동으로 마련한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14년까지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을 2조 5천억원 규모로 키울 예정이며 약 6천억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국내IT산업 종사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본격적인 활성화 시점을 2014년 전후가 될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하지만 2011년 중 클라우드 관련예산 할당 및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43.7%에 달해 활성화 시점 이전에 사전 대비 움직임도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7

Page 8: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d) 공개소프트웨어의 확산

리눅스로 대표되는 공개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는 세계적으로 높은 성장세와

함께 입지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개소프트웨어 시장의 급격한 확대는 벤더에

대해 종속적이었던 상용소프트웨어에 비해 공개소프트웨어는 벤더에 대한 종속성에서 탈피할

수 있다는 점과, 라이센스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기 적용비용이 매우 낮거나 전혀 들지

않는 점, 그리고 유지보수 서비스 Subscription을 통해 총 소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기업들의 요구와 부합되어 나타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는 OS분야에서 RedHat과 우분투

등이,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MySQL(썬마이크로시스템즈), Postgres(EnterpriseDB) 등이, 미들웨어 분야에서 JBoss(RedHat) 등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국내 시장에

진출한 RedHat과 한글과컴퓨터의 아시아눅스, 다우기술을 통해 진출한 Postgres,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의 MySQL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용 응용 프로그램과 기본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한 전세계 공개소프트웨어 시장은 2006년 184억4,900만 달러에서 2011년에는 634억 4,200만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06년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은 전체 기업용 응용프로그램

시장에서 3%의 비중에 그치고 있지만, 2011년까지 연평균 43%의 높은 성장을 통해 16.2% 정도로 비중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리서치기관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서버보급대수에서 리눅스가 연평균

12.3%의 증가세를 보이며 운영체제(OS)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OS별 국내 서버시장 규모>(단위: 대)

OS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5-2010

CAGR(%)

NetWar 1,696 1,670 1,710 1,737 1,782 1,838 1

8

Page 9: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eWindows

57,542 66,974 71,834 74,680 80,738 88,318 8.9

Unix 11,763 12,498 13,055 14,918 15,921 17,871 8.7Linux 23,043 27,639 30,855 33,195 36,950 41,257 12.3Other 151 156 165 168 142 150 0Total 94,195 108,937 117,619 124,698 135,533 149,434

[출처: 2006.6 Korea Server 2006-2010 Forecast Update: 1Q 2006 Review]

올해 국내 공개소프트웨어 시장은 경기악화에 따른 IT시스템의 비용절감과 공개소프트웨어에

대한 효율성에 대한 시장의 이해 확산, 정부의 적극적인 공개소프트웨어 육성 정책이 지속됨에

따라 전년 보다 더욱 큰 시장확대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③ IT서비스 부문의 현황 및 전망

2010년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2009년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와 전반적인 경기호조와

투자마인드 회복으로 전년대비 2.44% 성장한 10조 1백억을 이루었습니다. 2011년 IT서비스

시장은 지난해 증폭 성장에 따른 여파와 세계경제 성장 둔화로 인한 수출 둔화등으로 2.38% 성장한 10조 2천5백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부문별로는 평균적으로 2.0% ~ 3.0%의

성장이 전망됩니다.

9

Page 10: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2. 회사의 현황

가.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1986 년 설립된 ㈜다우기술은 '새로운 정보문화의 창조'를 기치로 인간과 기업에게 풍요로운

정보 사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차별화 된 기술력과 솔루션으로 국내를 대표하는 IT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위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후발업체의 시장진입으로 인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업전문화와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통하여 제품차별화 및

수요자 만족도 극대화를 기본목표로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1992 년 체신부지정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고, 1993 년

과학기술처 VENTURE 기업상 및 1994 년 상공자원부 주최 멀티미디어 기술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 1996 년 중소기업은행으로부터 기술개발 시범기업으로, 정보통신부로부터 S/W사업자로 선정되었습니다. 1987 년 미국 Informix Software 사와 관계형 DataBase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하였고, 1992 년 보드제조부문의 주식회사 옴니테크를 흡수합병 하였으며, 1995년 Informix 제품의 제조, 생산권을 Informix Korea 에 양도하였습니다. 그리고 1998 년에는 미국의 GTE 사와 인터넷 디지털 인증기술제휴 계약을 체결 하였습니다.

10

Page 11: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2000 년 이후 다우기술은 세계 IT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SUN, Vignette, SeeBeyond, IBM 사

등과 제휴를 맺어 IT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02 년에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전문기업인 ㈜인큐브테크를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다우기술은 창사이래 연평균 60%이상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으나, 지난 2001 년에는

세계 경기의 급속한 침체와 이에 따른 IT 투자 감소로 매출액이 전년대비 57.5%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영업력 강화 노력과 기술 개발로 2002 년, 2003 년 2 년 연속

순이익 흑자를 실현하였으며 2004 년에는 전체 사업의 수익구조를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부분 중심으로 비중을 옮겨 고수익사업형태로 재구축함으로써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실현하였습니다.

2005 년 다우기술은 IBM 소프트웨어 총판사업과 애플리케이션통합(EAI), 기업포탈(EP), 컨텐츠관리시스템(CMS), 애플리케이션 성능관리(APM)사업 등의 호조로 지속적인 수익확대를

이뤄 냈으며, HR 아웃소싱 전문기업 사람인을 인수하여 G&G피플을(현 사람인 HR) 설립하였습니다.

2006 년에는 가상화 솔루션(VMware)과 서버기반컴퓨팅 솔루션(Citrix)을 성공적으로

국내시장에 안착시키며 신규솔루션에 대한 사업역량을 강화하였고, 관계사의 시스템 관리사업

확대와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점진적인 수익향상을 이뤄냈습니다.

2007 년에는 2006 년 말 RedHat 과 사업제휴를 체결한 공개소프트웨어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여 국내 시장 활성화를 주도했으며, 수익구조 다각화와 성장동력 창출을 이루어

냈습니다. 또한, 세계적인 SaaS(Software as a Service)분야 대표기업인 세일즈포스닷컴과

사업제휴를 통해 국내 SaaS 시장의 확산을 주도했으며, 한국형 SaaS 서비스 사업을 위한 사업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또한, 2004 년부터 추진된 국내 최초의 민간주도형 첨단 산업단지 조성사업인 죽전디지털밸리-디지포트(DIGIPORT)조성 사업은 모든 허가절차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개발과 분양에

착수하였으며, 단지 설립을 위한 시공사인 다우와키움건설을 인수하였습니다.

2008 년에는 계열사였던 ㈜유니텔네트웍스를 합병하여 인터넷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유니텔네트웍스의 인터넷 서비스 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SaaS 사업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사개발 SaaS 서비스인 ‘팀오피스’를 개시하였습니다.

2008 년 6월에는 국내 인터넷메세징 업계의 선두기업인 ㈜테라스테크놀로지를 인수합병하고

웹메일, 스팸메일차단, 메일아카이빙 솔루션을 자사 솔루션으로 편입하여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글로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기업인 엔터프라이즈 DB 사와 제휴하여

포스트그레스(Postgres) 솔루션을 국내 시장에 출시하였습니다.

11

Page 12: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2009 년에는 전자결제사업(PG)를 시작으로 2010 년 전자복권사업 사업까지 다우기술은

꾸준히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사업적 다각화를 통해 수익성 증대와 IT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분의 구분

① 기업용 솔루션

기업용 솔루션은 기업 내 업무환경을 e-Business 환경으로 전환시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솔루션입니다. 다우기술은 UMS(Unified Messaging System), Internet Fax, E-mail Archiving, Webmail 및 Anti Spam/Virus, SaaS, Open Source Software, Digital Archiving, 가상화, APM, EIP, EAI, Security 등 e-Business 관련 토탈 Solution 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UMS 와 Internet Fax 분야는 기존 유니텔네트웍스의 핵심사업으로 다우기술의

유니텔네트웍스 합병으로 시장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UMS 는 인터넷을 통해

문자메세지, 음성메세지, 멀티미디어메세지 등을 휴대폰에 전송하는 것으로, 카드/보험회사, 공공기관, 증권사 등의 고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Internet Fax 서비스는 팩시밀리의 구입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소호창업자 및 팩스발송량이 많은

해운회사, 해외지사 등에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E-mail Archiving 과 Webmail 및 Anti Spam/Virus 분야는 국내 대표적인 메세징

솔루션 전문기업인 테라스테크놀로지를 인수합병하고 우수한 기술력과 솔루션으로 정평된

테라스 웹메일 및 스팸차단 솔루션을 당사의 영업 및 마케팅 역량과 결합하여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E-mail Archiving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의 형성과 선점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SaaS 분야에서는 세계적인 SaaS 분야의 대표기업인 세일즈포스닷컴과 사업제휴를 체결하여

국내 시장의 SaaS 에 대한 이해 확산을 이루어 냈으며, 팀단위 업무관리 솔루션인 팀오피스를

개발하여 기업이 소프트웨어 도입 및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운영까지도 제공받을 수 있는

신개념의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개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글로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기업인 엔터프라이즈 DB 와

사업제휴를 체결하여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선두기업인 오라클과의 강력한 호환성을 바탕으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RedHat 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고

국내 공개소프트웨어 확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2

Page 13: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가상화 분야는 미국 VMware, Citrix 와 총판계약을 체결하고 기업의 서버자원의 효율성향상을

실현하는 솔루션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2008 년 부터는 서버 가상화 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가상화까지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APM 솔루션은 국내의 제니퍼소프트 사와 제휴를 맺고 영업을 진행 중이며, 또한 IBM SW 전제품에 대한 총판권을 갖고 기존의 Informix DBMS 뿐만 아니라 DB2, WebSphere, Tivoli, Lotus notes, Rational 등 전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② SI(System Integration)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은 사용자의 환경과 요구에 가장 적합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 컨설팅에서부터 시스템 설계, 개발, 통합, 구축, 관리, 교육, 유지보수를

전반적으로 수행하는 산업으로, 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경영 컨설팅, 정보시스템 컨설팅, 요구 분석, 시스템 설계, 설치, 운영, 유지보수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합니다.

다우기술은 지난 20 여 년간 축적된 IT 기술을 기반으로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핵심솔루션을

중심으로 한 System 통합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공공분야의 전자정부구축사업 및 금융, 제조, 통신 등의 분야에서 다수의 사업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③ 인터넷서비스

다우기술은 포털, 대량문자발송, 인터넷팩스, 전자결제(Payment Gateway), 안전거래(에스크로), 온라인쇼핑, e-러닝 서비스 등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우기술은

인터넷서비스 사업을 통해 B2B 사업뿐만 아니라 B2C 사업에 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SaaS 사업과 같이 기존의 솔루션 사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등 기존 사업과 인터넷 서비스

사업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점유율

다우기술은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솔루션을 기반으로 System 통합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SI 기업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다우기술이 주력으로 하고 있는 IBM SW, SUN Microsystems SW,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가상화, EIP 등을 중심으로 한 System 통합 사업에서는 업계에서 가장 큰 매출과

사업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3

Page 14: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다. 시장의 특성

국내 대형 SI 업체들은 대부분 대기업의 계열사로 그룹의 전산업무를 대행 처리하는 등 안정적인

영업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 SI 전체시장 중 약 30%에 달하는 부문을 3 개 주요 대형 SI 업체가 점유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기업 계열사인 대형 SI 업체와 차별화를 이루기 위해 전문솔루션분야에 대한

System Integration, Solution integration 사업에 주력하는 것이 전문솔루션을 보유한

업체의 주요한 생존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자금력과 안정적인 그룹사 매출 및 이익확보, 광범위한 인력풀을 형성하고 있는 대형 SI 업체들은 이러한 전문솔루션 보유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문분야의 SI 사업을 추진하는 경향이 늘고 있습니다.

다우기술은 EAI, EIP, SUN SW, IBM S/W, APM, 엑세스, 가상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등의

솔루션 사업 분야에서 독자적인 SI 사업을 추진함과 동시에 대형 SI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공공부문, 금융 및 대형기업의 IT 솔루션 구축사업에 전문적인 기술과 노하우를 발휘하며 솔루션

기반의 전문 IT 서비스업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해 나가고 있습니다.  라.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2011 다우기술이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업분야는 가상화, SaaS 솔루션(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프로세스,전자결제사업, 전자복권사업입니다.2009 년 사상 유례없던 경제위기를 겪은 후 IT 업계의 화두는 단연 비용절감입니다.국내외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들은 IT 시스템의 확대와 유지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가상화와 SaaS 솔루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가상화사업은 서버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기업들의 IT 비용을 절감해줍니다. 기업들의

서버에 대한 구입, 관리비용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고 기업의 IT 투자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해왔습니다. 다우기술은 VMware, Citrix 사와 국내 총판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기업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상화 사업은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IT 트렌드에 맞춰 서버 가상화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다우기술은

VMware, Citrix 를 통해 관련 시장에서의 수익성 향상에 힘을 쏟을 것입니다.

SaaS 솔루션은 상용 소프트웨어와 달리 서브스크립션이라는 가격체계를 띄고 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솔루션 도입을 위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이 무료이며, 사용한 기간에 따라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브스크립션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SaaS 솔루션에

대한 이해 부족과 보안에 대한 우려 때문에 관련 시장의 발전이 생각보다 늦어졌던 것이

14

Page 15: 경영참고사항‹¤우기술... · Web view경영참고사항 사업의 개요 업계의 현황 산업의 특성 최근 IT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IT산업과 전통산업간의

사실입니다. 다우기술은 세계적인 SaaS 기반 CRM 솔루션 업체인 세일즈포스닷컴

(Salesforce.com)과 총판계약을 맺고 국내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개발

솔루션인 팀오피스를 개발하여 SaaS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프로세스(www.smartprocess.co.kr)는 다우기술이 개발한 것으로써 ‘영업체계 및

고객지원시스템과 인사관리 시스템을 갖추기 힘든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의

솔루션이다

스마트프로세스는 중소기업에서 영업활동관리,고객지원관리,인사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며,솔루션 구축이 아닌,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형’서비스로, 도입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부담되는 중소기업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 서비스는 SaaS 서비스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세일즈포스닷컴에서 제공하는

포스닷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 국내기업에 맞게 우리 기술로 개발된 국내 첫 한국형

영업활동관리,고객지원관리,인사관리 서비스이며,세일즈포스닷컴의 전 세계 8 만여 개

고객사에서 검증된 선진적인 업무 프로세스 관리방식을 적용,국내기업도 선진화된 관리기법을

저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2010 년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 적용기업

30 개,사용자 200명을 확보했으며,2011 년에는 2000명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기업용 솔루션 시장에서 클라우드서비스 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며,이에

따라 다우기술도 기업용 클라우드서비스 분양의 리딩기업이 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사업분야에서는 휴대폰 및 ARS 를 통한 전제결제사업을 2009 년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발전해 온 전자결제사업은 건전한 재무구조와

서비스 능력이 서비스 제공업체의 필수 조건으로, 다우기술은 풍부한 자금력과 안정성, 인터넷서비스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게 결제서비스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앞으로

다우기술은 컨텐츠 중심의 시장에서 벗어나 실물 및 교육 등 차별화 시장을 집중 공략할

것입니다.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수익성을 향상 시킬 것입니다.

전자복권사업은 다우기술이 2010 년 추진한 사업입니다. 다우기술은 한국연합복권으로부터

전자복권 재수탁사업자로 선정되어 사업을 시작하게되었습니다. 다우기술은 전자복권 판매를

위한 판매시스템 구축 및 운영과 당첨금 지급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것이고 현재 기존 온라인

제휴사이트 및 다우기술이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 등을 활용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신규 복권상품을 다양화하고 전략적 B2B 제휴사를 확보하는 등의 마케팅을 강화함으로써 시장

선두로 자리매김 할 것이며,사업적 포트폴리오 및 흑자수익 창출을 위해 힘쓸것입니다.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