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8. 미군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지원 및 협력 강화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61 정책개요 미군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지원 및 협력 강화 - 일부 반환공여지 개발계획 수립 등 국가 주도로 개발 - 반환공여지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임기구분 임기내 임기외 사업주체 국가 경기도 신규여부 지속 신규 사업시기 단기 중기 장기 예산구분 예산 비예산 이행단계 일부추진 추진중 완료 현황 및 정책목표 현황 - 주한미군 재배치계획에 따라 반환된 공여구역을 지자체 주도로 개발 활용 가능한 공여지(22개소) 중 10개소*만 사업 착수, 12개소**는 개발답보로 미군주둔에 따른 피해에 대한 국가 지원정책 전환 필요 * 2개소(사업시행자 간 문제 등으로 지연), 8개소(정상추진) ** 6개소(파주4, 동두천1, 하남1) 미개발, 6개소(의정부3, 동두천3) 반환지연 정책목표 - 지자체 역량으로 개발이 곤란한 반환공여구역을 국가차원의 개발계획수립 등 선도적으로 개발 추진 - 반환공여지 등 국가지원 확대 및 민간투자 환경여건 조성을 위한 법률개정 향후 추진계획 국가주도 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미군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조속 추진 건의 - 기초자치단체 등 관계기관 공동건의 등 협조체계 구축반환공여지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발굴 및 건의 추진일정 세부 추진상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비고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국가주도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의 국가주도 개발 추진 건의 (중앙, 국회의원 등) 법률개정 등 제도개선 발굴 간담회 및 건의 (단위:억원) 소요예산액 연도별 예산액 비고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5,923.0 1,948.0 3,009.8 2,081.0 3,343 5,541.2 3,392.0 408.5 420.1 335.8 660 1567.6 45.2 45.2 시군비 5,707.8 959.5 809.0 270.2 965 2,704.1 6,778.0 580.0 1,735.5 1,475.0 1,718 1,269.5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 2020-01-29 · ** 6개소(파주4, 동두천1, 하남1) 미개발, 6개소(의정부3, 동두천3) 반환지연 정책목표-지자체 역량으로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 2020-01-29 · ** 6개소(파주4, 동두천1, 하남1) 미개발, 6개소(의정부3, 동두천3) 반환지연 정책목표-지자체 역량으로

38. 미군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지원 및 협력 강화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61정책개요ㆍ미군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지원 및 협력 강화

- 일부 반환공여지 개발계획 수립 등 국가 주도로 개발- 반환공여지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임기구분 임기내 임기외사업주체 국가 경기도신규여부 지속 신규사업시기 단기 중기 장기예산구분 예산 비예산이행단계 일부추진 추진중 완료현황 및 정책목표

● 현황

-

주한미군 재배치계획에 따라 반환된 공여구역을 지자체 주도로 개발활용 가능한 공여지(22개소) 중 10개소*만 사업 착수, 12개소**는 개발답보로 미군주둔에 따른 피해에 대한 국가 지원정책 전환 필요

* 2개소(사업시행자 간 문제 등으로 지연), 8개소(정상추진)** 6개소(파주4, 동두천1, 하남1) 미개발, 6개소(의정부3, 동두천3) 반환지연

● 정책목표- 지자체 역량으로 개발이 곤란한 반환공여구역을 국가차원의 개발계획수립 등 선도적으로 개발 추진- 반환공여지 등 국가지원 확대 및 민간투자 환경여건 조성을 위한 법률개정

향후 추진계획ㆍ국가주도 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의ㆍ미군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조속 추진 건의- 기초자치단체 등 관계기관 공동건의 등 협조체계 구축ㆍ반환공여지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발굴 및 건의

● 추진일정

세부 추진상황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비고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국가주도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의

국가주도 개발 추진 건의(중앙, 국회의원 등)

법률개정 등 제도개선 발굴 간담회 및 건의

(단위:억원)● 소요예산액

구 분 계연도별 예산액

비고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계 15,923.0 1,948.0 3,009.8 2,081.0 3,343 5,541.2

국 비 3,392.0 408.5 420.1 335.8 660 1567.6

도 비 45.2 45.2

시군비 5,707.8 959.5 809.0 270.2 965 2,704.1

기 타 6,778.0 580.0 1,735.5 1,475.0 1,718 1,269.5122

Page 2: 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추진 · 2020-01-29 · ** 6개소(파주4, 동두천1, 하남1) 미개발, 6개소(의정부3, 동두천3) 반환지연 정책목표-지자체 역량으로

공약달성 확인지표

확인지표 단위 목표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국가주도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의 회 1 1

국가주도 개발 추진 건의(중앙, 국회의원 등) 회 10 8 9 10

법률개정 등 제도개선 발굴 간담회 및 건의 건‧회 10 2 4 6 8 10

추진실적ㆍBH 균형발전비서관․정무수석, 중앙・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 및 혁신경제 장관회의 등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 조속 추진 건의(11회)

- 공여구역 조기반환 및 국가주도 개발의 공론화를 위한 업무협약 및 국회 토론회 개최, 촉구결의문 송부

업무협약 체결(‘19.7.29) 국회토론회 개최 (‘19.9.27.) 촉구결의문 중앙부처 송부(‘19.10.2)

- 행안부 반환공여구역 조기 활성화 방안 마련(국가주도 개발) 정책연구 착수(’19.11월)

-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 변경 승인(’19.10월, 행안부)

※ 변경내역 : 30건/2조5,585억원 → 29건/3조1,336억원(↓1건, ↑5,751억원)

ㆍ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간담회 등(3회)

ㆍ국가주도 개발 법령개정(1회) 및 추진건의(2회), 제도개선 건의(2회)

- 창업 및 사업장 신설하는 기업, 사업시행자 법인세 감면(조세특례제한법 개정,’18.12월)

※ 창업ㆍ신설사업장 3년 100% + 2년 50%, 사업시행자 3년 50% + 2년 25%

- 공여구역 반환 완료된 때 군사보호구역 해제(군사기지법 개정,’19.4월)

- 공여구역주변지역 시행하는 사업대상과 범위 확대(미군공여구역법 시행령 개정,’19.7월)

※ 행안부장관이 공여구역주변지역의 발전 및 활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사업

(’19. 12. 31. 기준)

확인지표 단위 실적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행률

국가주도개발 근거법령 개정안 건의 회 1 1 100%

국가주도 개발 추진 건의(중앙, 국회의원 등) 회 11 8 11 100%

법률개정 등 제도개선 발굴 간담회 및 건의 건‧회 5 3 5 50%

기대효과

ㆍ지자체 재정상황 악화 및 경기침체로 인해 개발이 안 되고 있는 미군 반환공여지의 조속한 개발 방안 마련으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ㆍ낙후된 주한미군 공여구여주변지역의 체계적인 개발로 지역경제 및 주민 복리증진 도모

균형발전담당관 임순택 8030-2610 공여지개발팀장 이우정 2621 담당자 윤 호 2622

12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