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 1 - 국내외 내비게이션 시장 및 업체 동향 전황수* 내비게이션(Navigation System)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도로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내비게이션은 단순히 길안내를 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삶의 여유를 주는 문화 도구로도 각광받고 있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은 전기, 전자, GPS, 통신, 자동 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이 융합됨으로써 구현이 가능한 분야이고, 모든 국민이 이용자가 되는 광범위한 시 장을 형성할 수 있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 발전은 국내 자동차 및 전자부품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 I. 서 론 내비게이션(Navigation System)은 현재 위치로 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도로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내비게이션은 위성항법시스템의 전 파를 받아 현재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수신기(GPS 안 테나), 도로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지도, 도로와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안내하는 소프트웨어, 경로 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정보 단말 및 저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내비게 이션은 단순히 길안내를 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삶의 여유를 주는 문화 도구로도 각광받고 있다. 앞으로 내비게이션은 음악, 동영상, DMB 등 엔 터테인먼트와 정보 서비스, 유비쿼터스 통신 기능까 지 더해져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 * ETRI 사업화전략연구팀/책임연구원 I. II. 시장 동향 III. 국내업체 동향 IV. 해외업체 동향 V. 결 론 / / / / / /

국내외 내비게이션 시장 및 업체 동향kidbs.itfind.or.kr/WZIN/jugidong/1324/file26204-132401.pdf · 포커스 - 3 - 전체 am 단말기 시장의 80~90%를 점유하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포커스

- 1 -

국내외 내비게이션 시장 및 업체 동향

전황수*

내비게이션(Navigation System)은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도로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내비게이션은 단순히 길안내를 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삶의 여유를 주는 문화 도구로도 각광받고 있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은 전기, 전자, GPS, 통신, 자동

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이 융합됨으로써 구현이 가능한 분야이고, 모든 국민이 이용자가 되는 광범위한 시

장을 형성할 수 있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 발전은 국내 자동차 및 전자부품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

I. 서 론

내비게이션(Navigation System)은 현재 위치로

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도로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내비게이션은 위성항법시스템의 전

파를 받아 현재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수신기(GPS안

테나), 도로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지도,

도로와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안내하는 소프트웨어, 경로 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정보 단말 및 저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내비게

이션은 단순히 길안내를 해주는 도구가 아니라 삶의

여유를 주는 문화 도구로도 각광받고 있다.

앞으로 내비게이션은 음악, 동영상, DMB 등 엔

터테인먼트와 정보 서비스, 유비쿼터스 통신 기능까

지 더해져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

목 차

* ETRI 사업화전략연구팀/책임연구원

I. 서 론

II. 시장 동향

III. 국내업체 동향

IV. 해외업체 동향

V. 결 론

포포포///커커커///스스스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2 -

다. 또 인터넷 정보 서비스와 자동차 정보 서비스, PC, DMB, PDA, 휴대폰 등과 연계되어 각종

생활정보 확인도 가능해지고,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어 있어 차량 안에서 집안의 여러 기

기들을 제어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차량안전과 보안, 날씨, 위치, 증권 등의 생활정보 서

비스와 교통정보 서비스 등 각종정보를 연계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창출될 것으로 전망

된다.

IT기술과 자동차 산업이 융합하는 길목에서 접점 역할을 하는 내비게이션은 장차 휴대폰 산

업과도 맞먹는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업계가

고속 성장을 기록하자 참여업체가 급증하여 국내 내비게이션 업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

발업체를 모두 포함해 80~100 개로 추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기업들도 잇따라 내비게이션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장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기술력과 지도의 정확성, 디자인의 세련미, 소비자 편의성을 지닌 제품의 제조 능력 등

축적한 기술력이 승패를 좌우한다[1].

본 고에서는 고도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내비게이션의 국내 및 세계 시장 전망, 국내외 내비게

이션 전문업체들의 제품 현황을 살펴보고, 결론에서는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I. 시장 동향

1. 국내 시장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은 2004 년 20 만 대, 2005 년 80 만 대, 2006 년 120 만 대를 거쳐

2007 년에는 150 만 대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2005 년 국내 등록차량대수가 1,500 만 대임

을 감안할 때, 90% 가량의 차량이 여전히 잠재 고객으로 남아 있다[2].

2006년 내비게이션 단말기 시장은 약 5,000억 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100여개 회사가

단말기를 판매 중이지만, 팅크웨어, LG 상사, 파인디지털, 현대오토넷, 카포인트, 디지털큐브가

<표 1> 국내 내비게이션의 AM 시장 규모 (단위: 만 대)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매경이코노미 20 80 120 150 - - 매출대수

데이코D&S - 70 115 137 168 199

데이코D&S - 120 227 347 481 629 누적보유대수

한국투자증권 152.4 293.6 508.4 804.8

<자료>: 각 사 홈페이지, 데이코D&S, 2006.

● 포커스

- 3 -

전체 AM 단말기 시장의 80~90%를 점유하고 있다. 2005년 BM 단말기 판매량은 3.3만 대 규

모로 전체 시장의 5% 미만에 불과하다. 2006년 전자지도 및 소프트웨어 시장은 400억 원 규

모로, 만도맵앤소프트와 팅크웨어가 전체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2006 년의 시장 견인 요인은 DMB 수신이 가능한 7 인치 단말의 출시 및 On-line 유통(인

터넷쇼핑몰, 홈쇼핑)의 판매 비중 확대에 기인한다. 특히 2005년 이후 지상파DMB(T-DMB)가

내비게이션 시장의 화두로 대두되면서 T-DMB 기능을 제공하는 7 인치 모델의 단말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2006년에는 PMP 단말에 내비게이션, T-DMB, MP3 기능을 탑재한 컨버

전스 제품이 30만 대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면서 향후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2007

년에도 T-DMB 의 영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TPEG 의 채택

여부가 단말기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2007 년 1 분기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규모는 약 40 만∼45 만 대를 형성한 것으로 추

정되어 올해 국내 내비게이션 전체 시장규모는 200만 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3].

내비게이션 및 TPEG 시장은 고품질, 중저가 제품들의 지속적인 출시와 무료이거나 낮은 서

비스 요금을 무기로 고성장이 예상된다. SK(주)에 따르면 DMB TPEG 단말기 판매규모는 2007

년 33만 6천 대에서 2010년 120만 8천 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 및 내비게이션 보급 전망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자동차 등록대수(천 대) 14,743 15,127 15,640 16,326 17,329 18,050 18,736

신규 사용자(천 명) 360 600 971 1,224 1,386 1,624 1,874

전체 가용시장대비 비중(%) 2.4 4.0 6.0 7.5 8.0 9.0 10.0

교체수요(천 대) - - 36 132 361 629 789

국내 내비게이션 판매대수(천 대) 360 600 971 1,356 1,747 2,253 2,663

누적 내비게이션 판매량(천 대) 360 960 1,931 3,240 4,825 6,651 8,777

내비게이션 보급률(%) 2.4 6.3 12.3 19.8 27.8 36.8 46.8

<자료>: 팅크웨어,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006. 9.

<표 3> 내비게이션 및 TPEG 단말기 시장 전망 (단위: 천 대)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내비게이션 누적 보급대수 2,270 3,470 4,810 6,290 7,880

DMB TPEG 단말기 판매 규모 - 336 643 937 1,208

<자료>: 데이코D&S, “2006 내비게이션시스템 실태와 전망,” 2006. 6, p.76 / TPEG 판매는 SK(주) 예측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4 -

2. 해외 시장

내비게이션 시장은 국가들의 사회문화적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시장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일본 시장은 내비게이션, 교통 정보, 진보된 POI, 엔터테인먼트 용도의 시장 특성을 가지며, 미

국 시장은 단말 판매보다는 응급구조, 안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심으

로 시장이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 유럽 시장은 내비게이션 및 교통정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높고,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TRG(Telematics Research Group)에 의하면 2005년 주요 시장의 내비게이션 판매 규모는

미국 120만 대(텔레매틱스 300만 대), 일본 270만 대(텔레매틱스 170만 대), 유럽 360만 대

(텔레매틱스 87만 대)로 추정된다. 주요 업체들로는 미국의 Garmin(57%), 영국의 TomTom(21%),

대만의 Mitac(12%)이 90%의 점유율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4].

TRG는 2005년 세계 내비게이션 판매대수가 1,670만 대에 달하고 2011년에는 1억 3,020

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차량장착용 내비게이션은 2005년 850만 대에서 2011년

2,020만 대로 증가하고, 휴대용 내비게이션은 2005년 817만 대에서 2011년 1억 990만 대

로 급증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인 iSuppli 에 따르면 세계 차량용 내비게이션(BM 및 AM 제품 포함) 단말 시

장은 2006년 1,980만 6,000대에서 2007년 2,789만 4,000대로 40.8% 증가하고, 5년 뒤인

2012년에는 6,507만 2,000대로 2006년보다 3배 이상 커질 전망이다[5].

2006 년 9 월 Morgan Stanley 에 따르면 GPS 장착 내비게이션은 2005 년 1,654 만 대,

2007 년 6,403 만 대, 2010 년 2 억 6,497 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의 GPS

<표 4>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 SWOT 분석

장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 국내 내비게이션 업체들의 기술력 우수 - 맵소프트웨어 및 컨텐츠 개발력 우수 - 텔레매틱스 서비스와 비교시 단말기 가격, 서비스 이용

비용 등이 매우 저렴 - early adaptor적인 소비자 성향

-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비해 양방향통신 서비스 수준이 매우 낮음

- 교통정보 관련 인프라 취약 - 차량장착용 제품 가격의 상대적 고가화로 인해 BM시장

활성화에 제약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차량 보유대수 1,500 만 대 돌파에 따른 잠재적 수요가 매우 큼

- 2004년 이후 저가제품의 지속적 출시로 인해 소비자들이 관심이 증대

- DMB의 등장으로 신규 수요 확대 - 새로운 수익원으로 참여업체의 증가 - 지속적 성장형의 시장 수요 예상

- 텔레매틱스 시장의 활성화시 내비게이션 단말기 시장의 위축이 가능

- 컨버전스 제품의 내비게이션 이외 용도에 대한 운전중 사용에 대한 법적규제로 인해 수요억제 가능성 존재

- 저가제품의 경쟁적 출시과정에서 나타난 품질저하로 인해 초기 고객들의 불만 상존

<자료>: 데이코 D&S, “2006 내비게이션 실태와 전망,” 2006. 6, p.71.

● 포커스

- 5 -

내비게이션 보급률은 2005년 2.03%, 2007년 7.3%, 2010년 27.1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6].

III. 국내업체 동향

국내 시장은 팅크웨어, LG상사, 파인디지털, 현대오토넷, 카포인트, 디지털큐브가 전체 단말

기 시장의 80~90%를 점유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내비게이션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

함에 따라 삼성전자, LG 전자 등 대기업이 내비게이션 시장에 뛰어들고, 새롭게 내비게이션 제

품을 들고 나오는 중소업체들도 급증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에 내비게이션

기능이 내장되는 사례가 늘고, 내비게이터가 텔레매틱스 서비스와 연동되면서 자동차용 서버로

발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중점 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 급성장과 함께 2006 년 삼성전자, LG 전자 등 대기업까지 제치고 내

수 판매 1위를 차지했던 팅크웨어가 2007년 들어 1위 자리에서 밀려나고, 현대오토넷과 파인

디지털 등이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 팅크웨어가 경쟁사에 비해 판매율이 떨어지는 것

<표 5> 세계 자동차 내비게이션의 보급전망(2005~2010년) (단위: 천 대)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CAGR

Global New Auto Sales 62,025 64,131 66,580 68,481 70,353 72,319

Total New Autos with GPS(OEM) 6,340 9,833 15,313 23,611 36,406 56,135 55%

% of New Auto with GPS 10.2% 15.3% 23.0% 34.5% 51.7% 77.6%

Growth 187% 55% 56% 54% 54% 54%

OEM Installed base with GPS 10,686 19,184 32,098 51,697 81,641 127,570

Average Global Car in use 814,636 845,129 876,680 909,123 942,155 975,804

% of OEM penetration with GPS 1.31% 2.27% 3.66% 5.69% 8.67% 13.07%

Average Global Car in use 814,636 845,129 876,680 909,123 942,155 975,804

Total New Aftermarket Sales 4,883 10,406 18,351 28,545 41,415 57,906 64%

% New Aftermarket Sales with GPS 0.60% 1.23% 2.09% 3.14% 4.40% 5.93%

Growth 522% 113% 76% 56% 45% 40%

Aftermarket Instal1ed base with GPS 5,855 15,529 31,939 56,491 90,844 137,395

% of Aftermarket penetration with GPS 0.72% 1.84% 3.64% 6.21% 9.64% 14.08%

Total GPS Automotive units 11,244 20,239 33,663 52,156 77,820 114,041 59%

Growth 275% 80% 66% 55% 49% 47%

Total GPS Installed base 16,541 34,713 64,037 108,188 172,485 264,966

% of Total GPS Automotive penetration 2.03% 4.11% 7.30% 11.90% 18.31% 27.15%

<자료>: Morgan Stanley Research, Credit Suisse, 2006. 9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6 -

은 시장에서 DMB 내비게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격대가 30만∼40만 원대로 낮아졌

지만, 팅크웨어 제품은 고가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경쟁사의 제품이 가격 대비 성

능면에서 팅크웨어 고가 제품에 비해 크게 처지지 않는 등 품질 비교우위가 사라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밖에 저가 제품 위주로 판매하는 업체들이 2006년부터 우후죽순 생기면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원인 가운데 하나다[7].

삼성전자와 LG 전자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춘 내비게이션을 출시했지만 국내 내비게이션

전문업체 장벽을 뚫지 못하고 고전을 겪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지상파 DMB, 멀티미디

어로 무장한 내비게이션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각 가격비교 사이트 및 대형쇼핑몰 인기제품에서

는 찾아볼 수 없다. 삼성전자는 2007년 2월 ‘STT-D370’을 출시했으며, LG전자도 2007년 2

월 ‘PM81-N1,’ 5 월 ‘NC-100’을 각각 출시한 바 있다. 이렇게 삼성전자, LG 전자 등 대기업

제품들이 내비게이션 시장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는 것은 기존 제품에 비해 가격이 높게 책정되

어 있고, 국내 고객들의 취향을 잘 읽지 못한 것이 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국내 사용자들은 LCD

화면이 큰 제품을 선호해 현재 내비게이션 전문업체들은 7 인치 와이드 LCD 를 장착한 제품을

주력으로 출시하는데 반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7인치에서 5인치 LCD 내비게이션만을 내

놓고 있다. 가격도 내비게이션 전문업체 제품이 30만 원대 초반에 형성된 데 반해 대기업 제품

은 40만 원대로 10만 원 가량 높게 형성되어 있다. 대기업 내비게이션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화면이 더 작지만 가격은 더 주어야 하는 셈이다. 내비게이션 시장은 일반 가전제품과 달리 고

객들이 전문업체 선호도가 무척 높은 것이 특징으로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전문업체를 대기업이

따라잡기 쉽지 않으며, 최근 PMP 업체들까지 내비게이션 시장에 뛰어드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

고 있기 때문에 대기업 제품이 인정받기는 더욱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8].

한편,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이 중견기업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데, 이는 가격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된 중소기업들의 구조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난립하고 있는 업체들이 정리될 전망이다[9].

최근 들어 국내 내비게이션 시장 경쟁이 치열지면서 내비게이션 가격이 계속 인하되고 있다.

2006년까지만 해도 실제 판매가격이 30만∼40만 원 대 제품이 주종을 이루었지만, 2007년에

들어와서 20만 원 대 제품이 늘었고, 온라인 쇼핑몰에는 7인치 DMB내비게이션 제품이 10만

원 대 제품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의 심각한 저가 출혈 경쟁으로 사업을 접거나 폐업하

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2007 년 상반기 국내 내비게이션 판매 규모는 전년 동기(약 40 만 대) 대비 100% 늘어난

80만 대를 넘어섰고, 연말까지 180만 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0].

● 포커스

- 7 -

최신 제품군에는 단순한 지도 안내부터 동영상이나 MP3 음악, DMB,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부가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또 내비게이션 업체들이 통신사, 방송사와 손을 잡고 컨텐츠 확장 경

쟁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PMP, MP3 플레이어, DMB 단말 기능이 하나로 통합되는 휴대 정보기기

컨버전스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제품간 경계가 무너져 소비자 선택 폭이 늘어났지만 쓰임

새와 용도 고민을 하지 않으면 기능의 낭비라는 또 다른 고민을 낳고 있다. 4가지 기능을 모두

소화하는 컨버전스 단말기 개발과 출시 경쟁을 펼치면서 동일 시장을 놓고 무한 경쟁을 전개하

고 있다. 지상파 DMB 기준은 물론 기존 SD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 방식 대신 20∼30GB짜리

미니 하드디스크를 탑재한 PMP 겸용 내비게이션 제품까지 출시되고 있는데, 컨버전스 단말기

들은 MP3 플레이어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삼성전자, LG 전자 등 대기업을 비롯해 PMP

전문업체들도 4가지 기능을 모두 지닌 복합단말기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11].

TU미디어는 2006년 9월 초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교통ㆍ여행자 정보

전송 규격) 서비스를 위한 방송센터 구축을 완료하고, 단말기 업체인 하이온콥과의 개발도 순조

롭게 진행되어 10월에 TPEG 교통정보 서비스 시험방송을 실시하고, 2007년 2월부터 서비스

를 시작하였다.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은 SK주식회사가 담당하며 방송센터 구축 완료 후 연동시

험을 시작하였다. TPEG 서비스 내용으로는 △실시간 교통정보 △주변지역 정보 △안전운전 도

<표 6> DMB 내비게이션 주요 제품

업체명(모델명) LCD크기 전자지도 PIP NIP 뚜벅이 기능 FM트랜스미터 TPEG 가격(원)

삼성전자(STT-D370) 3.7인치 리얼3D맵 X X O O O 569,500

LG전자(LAN-SD460) 4.1인치 아아나비 X X O X X 387,840

파인디지털 (Fine-M720DB)

7인치 파인맵 O O X O O 226,500

팅크웨어 (아이나비STAR)

4.3인치 아이나비 X X O X X 670,080

디지털큐브

(아이스테이션T7) 7인치 맵피 O O X X X 498,000

카포인트 (엑스로드Z5000)

7인치 맵피 O O X O X 424,340

현대오토넷

(폰터스HNA-7031) 7인치 지니 O X X X O 430,000

MITAC(Mi oC810) 4.3인치 맵피 X X O X X 284,050

유경테크놀로지스

(villiv P2 DMB Navi) 4.3인치 아이나비 X X O X X 579,000

하이온콥(하이온 듀오) 7인치 토마토 O X X O O 599,000

<자료>: 디지털타임스, 2007. 3. 28.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8 -

우미 △주요도로 소통정보 등이다[12].

한편, 2006년 8월 현대오토넷은 세계 최초로 지상파DMB 수신기에 TPEG을 적용하여, 실시

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다이내믹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였다. 현대자동

차가 제공하는 실시간 교통ㆍ여행 정보를 KBS의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을 통해 현대오토넷

의 수신기로 수신하여, 다이내믹 내비게이션을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막히는 길을 우회하는 최

적의 경로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현재 지상파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주요 도로 및 전국 고속

도로의 구간별 소통상황을 운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픽으로 제공한다.

또 2006 년 11 월 KBS DMB 가 최초로 TPEG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지상파 DMB 3

개 방송사는 2007년 4월 중 서비스를 예정하고 있다. 위성 DMB의 경우 TU 미디어가 2007

년 3월부터 TPEG 서비스를 개시하였다[13].

IV. 해외업체 동향

해외의 주요 내비게이션 기기 생산업체로는 Garmin, TomTom, Mitac, Trimble, SiRF Technology,

Holdings Inc., Aisin AW, Pioneer, Xanavi, Alpine 등이 있다. 또 벤츠, BMW GM, 혼다 등 세계

적인 자동차업체들은 경로안내뿐만 아니라 동적경로안내(DRGS) 내비게이션에 이르기까지 첨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14].

한편, 내비게이션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통신사업자와 인터넷업체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

다. 구글과 야후 같은 검색 포털은 위치정보 애플리케이션을 주요 서비스로 선정하고 컨텐츠 보

<표 7> 실시간교통정보(TPEG) 제공 내비게이션

제품명 특 징 TPEG제공 가 격

아이나비G1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메모리2G YTN DMB 549,000원

파인디지털M720DB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충전지 내장, 1G YTN DMB 219,300원

프리넥스 비타스-7000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PIP, 노래방, 2G MBC-SK 499,000원

하이온콥 듀오 7인치 스크린, 지상파ㆍ위성DMB, PIP, 2G TU미디어 545,090원

현대텔레매틱스 TtoolT10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충전지 내장, PIP, 2G KBS DMB 398,000원

노바일렉트로닉스 K9D스마트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1G MBC-SK 215,000원

아이스테이션T-43 NAVI TPEG

4.3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예약녹화, 탈작식 충전지, 20G

KBS DMB 479,080원

현대오토넷HNA-7031 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PIP, 2G KBS DMB 419,000원

삼성전자STT-D370 3.7인치 스크린, 지상파DMB, FM송신, 1G KBS DMB 489,000원

주) 2007년 5월 27일 가격 기준. 실제 판매가격은 다를 수 있음

<자료>: 에누리닷컴(www.enuri.com)

● 포커스

- 9 -

강에 나섰다. 이들은 자세한 사용자 위치정보가 결국 세분화된 온라인 광고를 위한 필수 요건으

로 판단해 유선뿐 아니라 무선에서도 적극적으로 시장을 노크하고 있다. 이미 구글은 보다폰과

손잡고 차별화된 위치정보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하였다. 또 카내비게이션 업체들도 모바일

서비스를 자사 제품에 추가하며 경쟁에 가세하고 있다[15].

휴대폰업계도 내비게이션 부문에 진출하고 있다. 세계 최대 휴대폰업체인 노키아는 2007년

4 월부터 내비게이션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 ‘N95’를 950 달러에 판매하기 시작하였고, 타 휴

대폰 업체들도 이 같은 움직임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노키아는 2006년 독일 업체 게이트

5 를 인수하며 내비게이션 시장에 뛰어들었고, 2007 년 2 월 ‘노키아 맵스’라는 무료 지도 서비

스를 선보였다. 노키아는 앞으로도 GPS 칩을 장착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을 다

양하게 선보일 계획이다. 노키아의 참여는 내비게이션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고, 내비게이션에

대한 외부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휴대폰 업체가 내비게이션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이를 통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

다. 노키아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인터넷 업체들처럼 광고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캐널리스는 2007년 내비게이션 제품 시장은 2006년의 약 3분의 2 규모로 성장할 것으

로 전망하였고, 버그인사이트는 미국과 유럽 시장의 휴대폰 기반 내비게이션 제품 출하대수가

오는 2009년에는 2006년보다 12배 늘어난 1,200만 대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16].

1. 미국업체

Garmin은 1991년에 설립되어 GSP 내비게이션 기기 중심으로 성장하였고, 2006년까지 약

<표 8> 자동차 제조의 내비게이션 및 텔레매틱스 기술ㆍ서비스 개발 동향

구분 BMW 벤츠 피아트 혼다 GM 르노

경로안내 ●● ●● ● ●● ● ●

교통정보 ●● ●● ● ●● ● ●●

동적 내비게이션 ●● ●● ● ●● ●

SOS/노변도움 ●● ●● ●● ● ●● ●●

모바일인터넷 ● ● ●● ●●

음성기술 ●● ●● ●● ●●

모바일 오피스/PDA ● ● ●●

CD 오디오 ●● ●● ●● ●● ●●

디지털라디오 ● ● ● ●● ●

DVD&Video ● ●● ●

주) ●: 중점개발, ●●: 개발중

<자료>: Strategic Analytics in Vehicle Telematics and Adultmedia, 2001/교통개발연구원, 2003.12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10 -

1,400만 대의 제품을 판매했으며, 2005년에는 약 300만 대 가량의 내비게이션 제품을 판매하

였다.

Horizon은 미국 제1위 내비게이션 생산업체로 Big 3(GM, Ford, Chrysler) 및 유럽의 자동

차업체에 내비게이션을 납품하고 있다.

휴렛패커드(HP)는 세계 유수의 컴퓨터 및 프린터, 주변기기 생산업체로 PC, 서버, Storage,

프린터, Fax, 내비게이션, 복사기, 스캐너 등의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고 있다. iPAQ hw6515, iPAQ

rx1955 등 대표적 내비게이션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17].

GPS 전문업체인 글로벌로케이트는 브로드컴에 피인수되어 휴대형 내비게이션과 휴대폰 시

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라이벌인 서프테크놀로지도 내비게이션용 반도

체 칩 개발 업체인 센트럴리티커뮤니케이션을 인수키로 합의하였다[18].

센트럴리티커뮤니케이션은 그래픽ㆍ멀티미디어 부문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업체이다. 서

프테크놀로지는 센트럴리티 인수로 GPSㆍDSPㆍ그래픽ㆍ멀티미디어 기능이 통합된 내비게이

션 플랫폼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서프테크놀로지는 급성장 중인 휴대형 내비게이션 시장에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19].

한편, 미국에서 휴대폰을 통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일반화하면서 기존의 전문 내비게이션 기기에 도전하려는 휴대폰 기반 내

비게이션 솔루션 업체들의 서비스 개발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전문 내비게이션 기기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나 플래시메모리 카드에 도로 정보를 내장하여 서비스하는데 비해 휴

대폰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이동통신 사업자와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문

에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전문 내비게이션 기기에 비해 저렴

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내비게이션 기기의 판매가는 최소 200 달러인데

비해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월 10달러 정도에 이용이 가능하다. 버라이즌의 ‘VZ 내비게

이터’ 같은 일부 서비스는 하루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20].

2. 일본업체

Alpine 은 일본 유수의 내비게이션 제조업체로 DRGS(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내비게이션 NVEN 872을 출시하였다. Pioneer는 도요타, 닛산 등 차업체에게 OEM 방식으로

카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으며, 내비게이션 시장에서 30%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SONY 는 세계적인 음향, TV, 게임기 제조업체로 내비게이션을 생산하고 있는데, DRGS 기능

‘onav-u,’ HDD 내비게이션 XYZ시리즈를 출시하였다. Kenwood는 세계적인 음향장치 및 내비

● 포커스

- 11 -

게이션 제조업체로 DRGS 기능의 DVD NV-D8732T, HDZ-2519 iS 모델을 출시하였다.

JVC 는 마쓰시타전기 계열로 DRGS 기능 KD-NX901, KV-PX9B 를 출시하였다. SANYO

는 일본의 종합가전 및 내비게이션 생산업체로 HDD 오디오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내비게이션

NV-HD550를 출시하였다. NEC는 일본의 컴퓨터 및 종합전자회사로 KDDI와 공동으로 2004

년 10월 휴대전화로 지하상가나 옥내에서 길잡이를 해주는 3차원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하

였다. Aisin AW는 도요타 등 11개 국내외 자동차업체에 OEM으로 단말기를 공급하고 있는데

2004년 7만 1천 대의 내비게이션을 판매하였다. Clarion은 일본의 오디오/비주얼, 카내비게이

션, 차탑재기 제조사로 DRGS 기능의 MAX960XD 모델을 출시하였다.

3. 유럽 및 대만업체

TomTom 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내비게이션 전문업체로 2005 년 총 매출액은 6 억 1,400

만 달러를 기록했고, All-in-one 내비게이션, PDA 내비게이션, Mobile 내비게이션 등이 대표적

인 모델이다. Becker는 세계 유수의 Infotainment 시스템 업체로 본사는 독일에 위치하고 있으며,

DRGS 기능 내비게이션 Bec-Indian 7922 를 출시하였다. Blaupunkt 는 네덜란드에 소재한 세계

유수의 Infotainment 시스템 업체로 DRGS 기능 내비게이션 Bec-Indian 7922를 출시하였다.

Mio Technology(대만)는 세계 각지에서 PDA, 내비게이션, PMP, DMB 등을 생산하고 있으

며, 2005 년 대만 시장 1 위, 세계 시장 3 위를 기록하였다. 한국 시장에서는 기존에 LG 상사에

위탁 판매하던 방식에서 직판체제로 전환하였다. 미오테크놀로지코리아는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

메뉴와 목적지를 음성명령으로 사용할 수 있는 7 인치 DMB 내비게이션 ‘미오 C517’을 출시하

였다. 주행 중에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안전을 위협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메

뉴 명령어나 목적지 등을 간편하게 음성명령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음성인식률이 아직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음성으로 목적지를 말하면 비슷한 목적지 리스트가 화면에 뜨도록 설

계되어 있다[21].

V. 결 론

내비게이션은 국내에서 2000 년대 초반에 뒤늦게 도입되었으나 저렴한 가격과 편의성 등으

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내비게이션은 주 5일제 근무제 도입에 따른 레저문화 활성화, 기능

의 편리성(정확한 길 안내, 음식점 및 유명 관광지 찾기, TV보기, 영화와 음악 재생 등), 20~30

만 원대의 저렴한 가격, 새로운 제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 TV 홈쇼핑과 온라인쇼

주간기술동향 통권 1324호 2007. 11. 28. ●

- 12 -

핑몰 등 한국형 유통체제 등에 힘입어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내비게이션 관련 업체는 기본적인 GPS기능을 갖춘 동영상 재생 및 MP3 Player 기능

등의 컨버전스화된 다양한 제품들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IT기기의 컨버전스화 경향은 내비게

이션 기기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 그 경향은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컨버전스화

됨에 따라 내비게이션 고유의 기능이나 DMB 나 PMP 와 같은 기기의 고유의 기능이 완벽하지

않으며 소비자의 수요 경향 자체도 바뀌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관련 업체들은 초저가ㆍ초소형 단

순 내비게이션 기능 기기를 시장에 제공하여 시장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면서 많은 기능이 통합

된 기기 성능을 높여 시장의 다각화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22].

카 내비게이션 산업은 전기, 전자, GPS, 통신,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이 융합됨으로써

구현이 가능한 분야이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

해서는 센서, 단말기, 응용 서비스, 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산업이 균등하게 발전되어야 한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은 기술적 측면 이외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들 수 있는데 모든 국민이 이용자가

되는 광범위한 시장을 형성시킬 수 있는 분야이다. 우리의 국민수준이 선진국에 진입하면서 자

동차가 기본적인 이동수단을 벗어나 편리성과 안전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술의 고

도화와 상용화가 일건에 달성될 수 없어 향후에 개발할 카 내비게이션 분야의 발전 가능성이 매

우 크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적인 측면에서 카 내비게이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자금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 국내의 경우 카 내비게이션 산업과 관련하여 초기 시장을 형성시킨 것은

도로교통 안내로, 국내업체에서는 교통정보 수집 및 가공을 실시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과 관련 기술을 성공적으로 상용화시키기 위해서는 복합산업 분

야간의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카 내비게이션 산업 발전은 국내 자동차 및 전자부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참 고 문 헌>

[1] “2006 내비게이션 실태와 전망,” 데이코 D&S, 2006. 6. p.30.

[2] “Navigation 단말기 시장 동향,” EIC, 2006. 4, p.18.

[3] 디지털타임스, 2007. 5. 9.

[4] Telematics Research Group, 2006.

[5] 디지털타임스, 2007. 6. 21.

[6] Strategic Analytics, 2006. 12.

● 포커스

- 13 -

[7] 디지털타임스, 2007. 5. 9.

[8] 디지털타임스, 2007. 6. 11.

[9] 전자신문, 2007. 6. 15.

[10] 디지털타임스, 2007. 6. 29.

[11] 디지털타임스, 2007. 3. 28.

[12] “TPEG 서비스 개요 및 한국 서비스 동향,” EIC, 2007. 3, pp.1-2.

[13] 디지털타임스, 2007. 3. 22.

[14] “Navigation 단말기 시장 동향,” EIC, 2006. 4, p.14.

[15] 전자신문, 2007. 5. 28.

[16] 전자신문, 2007. 5. 4.

[17] “내비게이션 단말기 시장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2006. 4., www.eic.re.kr

[18] 전자신문, 2007. 6. 15.

[19] 전자신문, 2007. 6. 26.

[20] 디지털타임스, 2007. 5. 25.

[21] 디지털타임스, 2007. 6. 13.

[22] “Navigation 단말기 시장 동향,” EIC, 2006.4, p.23.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A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