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제권제호 3 2 ISSN 1976 109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지는고령자남자에비해여성작업자의유병율이더, 높고근골격계손상과관련된유사질병을가지고있, 는경우힘자세휴식패턴등의작업습관이부적절,,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제 권 제 호3 2

    ISSN 1976 1090-

    고령자 ․ 치매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ume.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 목 차/ /

    농촌에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손상 위험도에 작업환경 컨설팅의 효과

    이정원 원지은,

    1

    작업치료실 내원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

    김형선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김지연, , , ,

    11

    치매노인에 대한 치료 접근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박경영

    23

    지역사회 거주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

    윤정애 조영남,

    33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근거중심 가정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 사례연구( )

    황윤정 정원미,

    45

    파킨슨병 치매에 대한 고찰

    이채우

    59

    치매 환자의 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수희 유진영 박수정 양영애, , ,

    73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서론.Ⅰ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농촌인구 고령화 및 농촌 여

    성의 농작업에 따른 각종질환을 예방함은 물론 농업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농작업 환

    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사업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경기도농업기술원 특히 여주군은 농촌인( , 2009). ,

    구의 구성비가 높아 건강관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며이정원 우리나라는 년에 비해( , 2006), 1994

    년에는 농업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한 반면2001 19.8%

    에 세 이상 노인이 만 명에서 만 명으로 오히60 91 106

    려 증가되는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다이수진(

    등, 2007).

    농업은 세계적으로 광업 건설업과 함께 대 위험, 3

    산업으로 분류가 되고 있으며 최근 농작업이 기계화, ,

    시스템화을 통하여 노동력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중. ․소규모 시설화훼 및 채소작

    업의 경우 불가피한 인력이 소요되는 비율이 높아 농

    업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요인을 많이 안고 있는

    작업환경으로 인한 근골격계 손상 문제 및 농작업 능

    률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

    은 장시간의 단(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농촌에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손상 위험도에 작업환경 컨설팅의 효과

    이정원 원지은*, **

    여주대학 작업치료과*

    여주군농업기술센터**

    목적본 연구는 농작업에 있어서 작업환경 컨설팅에 따른 운반용 편이장비도입 및 개선이 작업관련성 근

    골격계 손상 위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채소 농작업에 종사하는 명이었으며 남자 명 여자 명이었고 평균 연령은10 , 4 , 6 , 60.3

    세 이었다 농작업에 대한 작업환경 컨설팅을 통하여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운반용 편이장비를.

    도입 및 개선을 실시하였다 편이장비 도입 전과 도입개선 후에 농작업자의 작업자세 분석. (OWAS,

    압축력 측정 피로자각증상 및 피로 호소율을 평가하였다 컨설팅의 효과는REBA, JSI), , . SPSS ver.

    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검정으로 분석하였다12.0 t .

    연구결과

    채소 농작업자들의 운반 농작업 자세는 높은 위험수준에서 낮은 위험 수준으로 각각 개선이 되었

    다 채소 농작업에서 운반용 편이장비 도입 전과 도입개선 후에 는 점에서 점 는. OWAS 3 1 , REBA 8

    점에서 점 는 점에서 점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압축력 측정 결과 운반용 편이장비의2 , JSI 6.75 2.50 .

    적재함이 수평을 이루는데 필요한 근육의 힘이 감소하였다 농작업자의 신체피로 호소율은32.1% .

    전체 평균 감소하였다 또한 피로자각 증상 호소율은 전체평균 감소하였다24% (p

  • 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순반복 작업 부자연스러운 자세 과도한 힘 불충분한, , ,

    휴식 진동 등에 근로자들이 노출되면 근육 혈관 신, , ,

    경 등에 손상이 누적되어 목 어깨 팔 팔꿈치 손이, , , ,

    나 손목 허리 다리 등에 통증과 감각이상을 호소하, ,

    는 것을 말한다(Putz, 1994).

    근골격계 손상의 주요 발생 요인은 작업자 관련 요

    인 작업관련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이 있다 농작업에, , .

    있어 작업자 관련 요인에는 신체적 적응 능력이 떨어

    지는 고령자 남자에 비해 여성 작업자의 유병율이 더,

    높고 근골격계 손상과 관련된 유사질병을 가지고 있,

    는 경우 힘 자세 휴식패턴 등의 작업습관이 부적절, , ,

    한 경우 작업경력이 많은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 ,

    지 않는 경우 등이다 작업 관련 요인으로는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요구하는 작업 무리한 힘을 요구하는 작,

    업 반복적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작업 작업, ,

    수행 중 팔이나 팔꿈치 손바닥 등이 날카로운 면과,

    접촉되는 작업 추운 환경에서 일하는 작업 등이다, .

    사회경제적 요인으로는 직업 만족도가 낮은 경우 촉,

    박한 작업일정 등 업무적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이다.

    세 가지 요인 중 작업자 관련 요인은 관리나 통제가

    어려운 요인이다 따라서 근골격계 손상의 예방은 주.

    로 작업관련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개선에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김명준 등( , 2008).

    또한 작업자의 노령화는 노화로 인해 감퇴되는 전

    정계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등의 감각들에 대한 민, ,

    감도가 감소되며이정원 등 이정( , 2006; Corso, 1971),

    원과 김현숙 에 의하면 세 이후부터 근력이 상(1998) 45

    실되기 때문에 세에는 총근력의 를 상실하기65 25%

    때문에 편이장비 도입에 의한 농작업 환경 개선의 필

    요성은 더욱 절실하다이정원( , 2009).

    인간공학 분야의 연구는 주로 힘 부적절한 자세 등,

    의 요인이 작업 부하 혹은 근골격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정량화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작업 자.

    세와 관련한 작업 부하를 정량적인 평가도구로

    OWAS(Karhu et al., 1977), RULA(McAtamney &

    와Corlett, 1993), REBA(Hignett & McAtamney, 2000)

    같은 자세 분류체계 들이(posture classification scheme)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자세 스트레스의 평가,

    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가한 힘 반복 지속, ,

    시간 등은 많이 부족하게 반영되어 있다. OWAS,

    등의 방법에는 외부 부하의 크기가RULA, REBA ,

    와 에는 지속시간이 반영되어 있으나 그RULA REBA

    구간이 커 실제 작업장에서 일어나는 부하의 크기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와 는 주관적인 불편에 힘 자세Carey Gallwey(2002) , ,

    반복이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으며 등 은 자세가 불편 수, Bousenna (1982)

    준과 자세 지속 가능 시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과 은 손목 자세와 반복 수준에 따른Lin Radwin(1998)

    불편을 측정하였다 농작업 현장에서는 작업의 특성.

    상 허리 손목과 팔 무릎을 사용하는 자세가 많아 근, ,

    골격계 손상의 위험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나 작업치료 분야에서 농작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

    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작업 인력의 노.

    령화 여성화로 인한 농작업성 질환이나 손상의 심각,

    성을 감소시키는 작업치료적 중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채소 농작업자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컨설팅을 통하여 도입하고 개선한 편이장비가

    근골격계 손상의 위험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그리고 압축력을 측정하여 알아보OWAS, REBA, JSI,

    는 것이었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 및 기간1.

    연구대상자는 시설 채소 농사를 주 작업으로 하고

    있는 여주군 흥천면 소재 상대리새마을회 채소 농11

    가 중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명이었다 남자가10 . 4

    명이었고 여자 명이었으며 연령은 세부터 세로6 , 45 76

    평균 세이었다60.5 .

    연구기간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2009 3 30 2009 5 29

    까지 이었으며 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상대리 일원에,

    서 실시하였다.

    연구절차2.

    여주군 농업기술센터와 협조하여 농작업 편이장비

    지원사업에 참여할 새마을회를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 3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통하여 어떤 작목

    에 어떤 편이장비 도입이 필요한지 현장조사를 하였

    으며 새마을회의 의견을 고려한 장비선정 및 시범사,

    용을 하고 장비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개선

    된 장비를 최종 농가에 보급하였다 근골격계 손상 위.

    험도 평가 및 압축력 측정은 동력 운반용 편이장비

    도입 전과 후에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도구3.

    근골격계 손상 위험도 평가1)

    (1)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OWAS)

    등 이 철강업에서 작업자들의 부적Karhu (1977)

    절한 작업자세를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해 개발

    된 대표적인 작업자세 평가방법이다 본 연구에.

    서는 운반용 편이장비 도입 전과 도입 및 개선

    후에 대표적인 작업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신체,

    부위별로 정의된 자세기준에 따라 자세를 기록

    해 분석표를 이용해 점수를 산출하였다.

    는(2)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Hignett

    와 가 개발하였으며 근골격계의Mcatamney(1998) ,

    직업성 상지질환 관련 위험인자에 대한 개인 작

    업자의 신체에 대한 부담정도와 위해인자에 노

    출정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

    저 평가를 위한 작업이나 자세를 선택하기 위해

    작업자의 작업을 몇 번의 반복 횟수동안 관찰을

    한 후에 작업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행해지는 자

    세나 작업 부하가 가장 많이 걸리는 자세를 선택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할 때 한 번에 작업자의.

    오른쪽이나 왼쪽 중 한쪽만을 평가하고 다음에,

    다른 쪽을 평가한다 작업평가를 위하여 사진촬.

    영을 하였으며 평가 용지를 이용하여 단, REBA

    계적으로 항목들을 기록하고 점수를 산출하였다.

    (3) 는 와 에 의Job Strain Index(JSI) Moor Garg(1995)

    해 개발되었다 생리학 생체역학 상지질환에 대. , ,

    한 병리학을 기초로 한 정량적 평가방법이다 상.

    지가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이 되는 위험 요인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있는지 유무를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지에 대한 정량적 평.

    가기법으로 근육사용 힘 근육사용 기간 빈도, , ,

    자세 작업속도 하루 작업시간 등 개의 위험요, , 6

    소를 평가하여 이를 곱한 값으로 상지질환의 위

    험성을 평가하였다 가능한 한 신체의 많은 부분.

    에 대해 각 단계별 연속작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촬영하며 팔과 손의 동작을 근접 촬영하였다, .

    압축력 측정2)

    운반용 편이장비의 적재함을 수평으로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근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AXIS force

    액시스센시티브 한국를 사용하였다gauge(AFG-50, , ) .

    단위까지 측정하였으며 회 측정한 평균값을0.1 , 3㎏

    측정치로 정하였다.

    농작업 환경개선4.

    운반구 손잡이1)

    손잡이는 짧고 미끄러우며 굵기가 가늘어 안정적,

    인 잡기에 어려움이 있고 의식적으로 파악력을 증가

    시켜 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개선은.

    손잡이를 안정적인 잡기를 위해서 손잡이 길이를, 9.5

    에서 로 늘리고 손잡이 굵기는 지름 에12 , 3.0㎝ ㎝ ㎝

    서 로 크게 하였다 또한 미끄러짐 방지 및 완충3.5 .㎝

    작용을 위하여 펀치형 브러시 디자인으로 개선하였다

    그림( 1).

    운반구 바퀴축의 부착위치 개선2)

    운반구를 이동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고 적재함을

    수평으로 유지할 때 운반구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 쪽

    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무겁고 근육에 많은 수축력

    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개선은 적재함을 수평으.

    로 유지 하는데 필요한 근육의 수축력 요구도를 감소

    시키기 위해서 바퀴축이 적재함 끝으로부터 위, 24 ㎝

    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위치로 옮겨 부착하29 ㎝

    였다그림( 2).

    운반구의 손잡이 높이 개선3)

    운반구의 손잡이를 잡으려면 손잡이 높이가 낮아,

    허리를 지나치게 굽혀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개선은.

    지나친 허리 굽힘을 예방하기 위해서 지면으로부터

    손잡이 높이를 로부터 로 높였다그림45 65 ( 3).㎝ ㎝

  • 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운반구 적재물 미끄러짐 개선4)

    운반구에 적재물을 싣고 다닐 경우에 미끄러져 낙

    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개선은 적재함에 적재물의 낙.

    하를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러짐 방지 턱 구조물을 부

    착하였다그림( 4).

    운반구 발받침대 높이 개선5)

    운반구의 발받침대 높이가 낮아 적재함이 경사지는

    관계로 적재물의 안정적인 적재 및 신체적으로 불편

    한 작업자세를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개선은 지면으.

    로부터 적재함까지의 발받침대 높이를 로부터38 ㎝

    로 높였다그림43 ( 5).㎝

    그림 손잡이 길이 및 디자인 개선 전좌 후우 사진1. ( ), ( ) .

    그림 운반구 바퀴축 부착위치 개선 전좌 후우 사진2. ( ), ( ) .

    그림 운반구 손잡이 높이 개선 전좌 후우 사진3. ( ), ( ) .

  • OWAS

    활동점수조치단계

    도입전 3 재설계가 필요한 작업

    도입후 1 관망의 작업

    표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1. ․후 작업자세OWAS

    비교

    5

    분석방법5.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ver.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기술통계량은 평균12.0 . ,

    표준편차 백분율을 구하였다 편이장비 도입 전, . ․후의

    신체피로 호소율 및 피로자각증상 호소율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학t- .

    적 유의수준 α 로 정하였다=0.05 .

    연구결과.Ⅲ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1. ․후 작업자세 분석

    작업자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농작업OWAS ,

    장비 도입 전에 활동점수 에서 도입 후에 활동점수3 1

    점으로 감소하였다표( 1).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2. ․후 상지 위험수준

    신체부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농작업REBA ,

    장비 도입 전 ․후에 점수는 점이 감소하였고 점A 4 , B

    수는 점이 감소되었다 점수는 점이 감소되3 . REBA 6

    었다표( 2).

    그림 운반구 적재함의 발받침대 높이 개선 전좌 후우 사진5. ( ), ( ) .

    그림 운반구 적재함의 적재물 낙하 방지턱 구조물 부착 전좌 후우 사진4. ( ), ( ) .

  • 점수SI 위험수준

    도입전 6.75상지질환 발전 가능성

    있음

    도입후 2.50위험여부가 불확실한

    수준임

    표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3. ․후 Job Strain

    비교Index

    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3. ․후 신체부담 분석

    상지 신체부담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농작업 장,

    비 도입 전보다 도입 후에 점이 감소하였다표4.25 ( 2).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4. ․후 신체피로

    호소율

    편이장비 도입 전에 비해 도입 후에 신체피로 호소

    율이 허리는 평균 무릎은 평균 팔은 평균14%, 22%,

    순으로 많이 감소하였으며 모두 통계학적으로36% ,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표( 4).

    편이장비 도입에 따른 피로자각증상5.

    호소율 변화

    편이장비 도입 전에 비해 도입 후에 피로자각증상

    호소율이 심리성은 평균 신경성은 평균 신23%, 28%,

    체성은 평균 순으로 많이 감소하였으며 모두 통32% ,

    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표( 5).

    점수A 점수B 환산점수 행동점수 점수REBA 위험수준

    도입전 6 4 7 1 8 위험수준이 높음

    도입후 2 1 1 1 2 위험이 낮음

    표 농작업 운반구 도입 전2. ․후 상지 위험수준 비교REBA

    피로호소 부위도입 전

    M(SD)

    도입 후

    M(SD)

    평균 차

    M(SD)값t- p

    허리 93(8.23) 79(5.67) 14(6.99) 6.332 0.000*

    팔 97(4.83) 61(5.67) 36(8.43) 13.500 0.000*

    무릎 60(4.71) 38(4.22) 22(4.22) 16.409 0.000*

    *P

  • 7

    적재함이 수평을 이루는데 필요한 압축력6.

    변화

    운반구의 적재함 끝을 눌러서 적재함이 수평으로

    들어 올리는데 필요한 힘을 압축 측량계로 측정한 결

    과 운반구의 개선 전에는 이었고 손잡이 높이24.2 , ,㎏

    발 받침대 높이 그리고 바퀴 축 부착위치를 개선한,

    후에는 으로 감소하였다16.5 32.1% .㎏

    고찰.Ⅳ

    우리나라의 근골격계 질환자의 수는 전체 직업병에

    서는 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10 30%∼

    어 선진국의 비율보다 낮게 차지하는 것으, 40 60%∼

    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 손상의 심각성과 그,

    실상이 제대로 밝혀지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이수(

    진 등, 2007).

    안전성과 효율성 생산성을 겸비한 동력운반차 하, ,

    우스천정수레 등 편이장비를 여점 개발 농가에1,200 ,

    직접 보급함으로써 반복작업과 과중한 중량물 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육체적 고통과 장해를 획기적으로 개

    선하고 있다경기도 농업기술원( , 2009).

    근골격계 손상 위험도 평가에 사용된 는 특OWAS

    별한 기구 없이 관찰만으로 작업자세를 분석하는 방

    법으로 장비를 이용한 분석 방법에 비해 현장에서의

    적용성이 좋고 배우기 쉬운 장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

    고 있다 반면에 작업자세를 너무 단순화했기 때문에. ,

    세밀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으며 분석 결과도 작업자,

    세 특성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만 가능하다 작업자세.

    를 개 작업수준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이4

    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는 분석자가 작업자세를 관찰해 코드로 기록OWAS

    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허리 팔 다리 세 신체, , ,

    부위의 작업자세를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물의.

    하중 및 힘도 고려하고 있다 이 기준에 의하여 작업.

    자세를 모두 가지로 나누었고 여기에 힘 조건 가84 , 3

    지를 고려하면 모두 개의 조합이 나온다 평가는252 . 1

    점은 근골격계에 특별한 해를 끼치지 않음 점은 약, 2

    간의 해를 끼침 점은 직접적인 해를 끼침 점은 매, 3 , 4

    우 심각한 해를 끼침이다 작업의 특성상 작업 자세가.

    자주 바뀌는 작업의 경우에는 초 이내 지속시간5 10 ,∼

    이 긴 경우에는 초 이상 측정 간격을 설정하는 것10

    이 좋다 그리고 작업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측정 간격.

    을 짧게 해서 데이터 수를 늘리는 것이 좋으며 작업,

    시간이 긴 경우에는 측정 간격을 늘려서 데이터 규모

    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에서는 특징.

    적인 자세를 사진을 촬영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비

    디오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

    다고 사료된다 이수진 은 오이따기 작업 점. (2009a) 4 ,

    비닐멀팅 작업은 점 모종정식 작업 점 오이운반3 , 3 ,

    작업 점 농약살포 작업 점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2 , 1 .

    구 결과를 보면 편이장비 도입 전에 근골격계에 직접,

    적인 해를 끼치는 활동점수 점에서 운반구 도입 후에3

    는 특별한 해를 끼치지 않는 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재1 ,

    설계가 필요한 작업자세에서 관망해도 좋은 수준으로

    작업자세에 의한 근골격계 손상 위험이 감소하였다.

    는 신체부위별로 와 그룹으로 나누어 작REBA A B

    업자세 근육 힘에 대한 평가를 하며 점 사이의, , , 1 15∼

    총점으로 나타내어지며 점은 무시해도 좋은 위, 1 3∼

    험수준이고 점은 중간수준의 위험도로 조치가, 4 7∼

    필요하며 점은 높은 수준의 위험도로 곧 조치를, 8 10∼

    해야 되며 점은 매우 높은 수준의 위험도로 지, 11 15∼

    금 즉시 조치가 필요하다(Hignett & McAtamney,

    에 의한 작업자세 평가는 먼저 평가를 위2000). REBA

    한 작업이나 자세를 선택하기 위해 작업자의 작업을

    몇 번의 반복 횟수동안 관찰을 한 후에 작업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행해지는 자세나 작업 부하가 가장 많

    이 걸리는 자세를 선택하여 평가한다 토마토 작목에.

    서 퇴비살포 작업은 점 순치기 작업 점 손수레운7 , 3 ,

    반 작업 점이라고 하였다이수진 본 연구13 ( , 2009b).

    결과를 보면 편이장비 도입 전에 곧 조치가 필요한,

    높은 수준의 위험도인 점에서 운반구 도입 후에는8

    낮은 수준의 위험도인 점으로 감소하여 작업자세로2

    인한 손상 위험이 크게 감소하였다.

    는 상지의 근골격계 손상 위험 요인들이 작업자JSI

    에게 노출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를 구별하는데

    사용하는 평가도구이다 평가기준이 점 이하는 안전. 3

    함 점은 상지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 있음 점, 5 7 , 7∼

    이상은 매우 위험함이다 본 연구(Moore & Garg, 1995).

  • 8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결과를 보면 편이장비 도입 전에는 매우 높은 위험도,

    인 점이었고 도입 후에는 점이 감소한 점10.18 , 6.80 3.38

    이었으며 이는 위험 여부가 불명확한 수준이다.

    작업자세가 편이장비 활용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작업 안전성에서도 작업자세가 개선됨으로써 근골격

    계 통증 호소율이 정도 줄어들었다경기도농업기40% (

    술원 등 은 중소규모 시계조립 사업, 2009). Jang (2000)

    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손상에 대한 자각증상 호소율

    은 어깨 손과 손목 라고 보고하였다30.1%, 31.3% .

    등 은 은행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Yim (1997)

    근골격계 손상 자각증상 호소율이 어깨 손목43.9%,

    손가락 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16.5%, 8.8% .

    신체 피로자각증상 호소율이 허리 팔 무릎93%, 97%,

    이었다 이와 같이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근골격60% .

    계 손상에 대한 자각증상의 유병률이 다른 것은 해당

    작업자세와 지속시간 신체부하 등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과 는 중량물취급. Buckle Devereux

    작업자세 진동 과 함께 반복(force), (posture), (vibration)

    성 또한 상지의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요인으(repetition)

    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작업자세.

    의 인간공학적인 분석 도구는 와 이었다OWAS REBA .

    는 정적인 작업 자세를 기본으로 평가하기 때문REBA

    에 작업의 반복성에 대한 평가에는 제한점이 있다

    과 은 작업 중(KOSHA, 2005). Keyserling Chaffin(1986)

    딱딱한 면이나 기계와 접촉하는 부위 도구 손잡이 등,

    이 인체의 작은 부분에 힘을 집중시켜서 높고 국소적

    인 압력을 가하게 되어 건과 건초에 기계적인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 는 인. Gallagher(2005)

    간공학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수공구를 사용할 때 작

    업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등 은, Werner (2005)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부적절한 자세가 유지될 때 수

    근관 증후군 등의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

    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동운반용 편이.

    장비를 개서하여 채소 농작업자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신체피로 호소율은 허리 팔 무릎 각14%, 36%, 38%

    각 감소하였다 또한 피로자각증상 호소율에서도 신.

    경성 심리성 신체성 각각 감소하였다28%, 23%, 32%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어 성

    별에 따른 비교를 하지 못했으며 일부 농작업에 대해,

    서만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의 손상 위험도를 분석하였

    기 때문에 모든 채소 농작업에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큰 집단을 대상으로 모든 작

    업의 단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신체피로 및 자각,

    증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결론.Ⅴ

    본 연구는 비트 치커리 부추 가지 상추 등의 채, , , ,

    소 농작업에 종사하는 명을 대상으로 농작업 현장10

    조사를 바탕으로 동력 운반용 편이장비를 선정하였으

    며 인체공학적 근골격계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하,

    여 손잡이를 높게 손잡이는 길게 그리고 미끄럽지 않,

    은 디자인 바퀴축 고정 위치 변경 적재물 낙하방지, ,

    턱 구조물 부착 등의 개선을 하였다 운반장비 도입전.

    과 후에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손상의 위험도 및 신체

    피로 호소율 그리고 피로자각증상 호소율을 조사하여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컨설팅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손상 위험도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자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OWAS ,

    농작업 장비 도입 전에 활동점수 에서 도입 후에 활3

    동점수 점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부담에 대한1 . ,

    분석 결과를 보면 농작업 장비 도입 전보다 후REBA ,

    에 점이 감소되었다 셋째 신체부담에 대한 분석 결6 . ,

    과를 보면 농작업 장비 도입 전보다 도입 후에, 4.25

    점이 감소하였다 넷째 편이장비 도입 전에 비해 도. ,

    입 후에 신체피로 호소율이 허리는 평균 무릎은14%,

    평균 팔은 평균 순으로 많이 감소하였으며22%, 36% ,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p

  • 9

    는 으로 감소하였다16.5 32.1%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면 컨설팅에 의한 작업환,

    경 개선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손상의 위험을 감소

    시킴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이수진 송재철 김인아, , . (2007). 농업인의 건강 및 농

    작업 안전 진단 관리 컨설팅 최종보고서 안전보건:

    실태조사. 서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업의학교:

    실.

    이수진 이천시 대월면 부필리오이. (2009a). ( ). In: 안전

    하고 건강한 농작업 환경개선 사업 보고서. 경기도

    농업기술원 수원 경기도농업기술원. : .

    이수진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시설채소. (2009b). ( ). In:

    안전하고 건강한 농작업 환경개선 사업 보고서. 경

    기도농업기술원 수원 경기도농업기술원. : .

    이정원. (2009). 년도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2009

    지원사업 컨설팅 최종보고서. 여주 여주대학: .

    이정원 여주지역 노인의 전완 골밀도 특성. (2006). .

    여주대학논문집, 12(2), 219-224.

    이정원 김현숙 노화에 따른 근육 기능의 변, . (1998).

    화에 관한 연구. 여주대학논문집, 6(2), 139-149.

    이정원 정원미 이향숙 이성아 장문영, , , , . (2006). 노인

    작업치료학 서울 도서출판 한미의학(pp. 45-68). : .

    경기도농업기술원. (2009). 안전하고 건강한 농작업 환

    경개선 사업 보고서. 수원 경기도농업기술원: .

    김경란 농업인의 건강실태와 근골격계 작업부. (2008).

    담에 관한 연구.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농업인의 건강수준 및 직

    업성 질환의 측정 표준화.

    명준표 이향기 김형렬 정혜선 정은희 남은웅 등, , , , , .

    환경미화원의 작업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2008).

    상 특성과 상지의 인간공학적 평가. 대한산업의학

    회지, 20(2), 93-103.

    Boussenna, M., Corlett, E. N., & Pheasant, S. T. (1982).

    Therelation between discomfort and postural loading at

    the joints. Ergonomics, 25(4), 315-322.

    Buckle, P., & Devereux, J. (1999).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neck and upper limb mesculoskeletal

    disorders.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Bilbao. Spain. pp. 1-93.

    Carey, E. J., & Gallwey, T. J. (2002). Effects of wrist

    posture, pace and exertion on discomfor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9, 85-94.

    Corso, J. F. (1971). Sensory processes and age effects in

    normal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26, 90-105.

    Gallagher, S. (2005). Physical limitations and muscu-

    loskeletal complaints associated with work in unusual

    or restricted postures: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afety Reserch, 36(1), 51-61.

    Hignett, S., & McAtamney, L. (2000).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pplied Ergonomics, 31(2), 201-205.

    Jang, E. C., Kim, H. J., Kwon, Y. J., Park, S. B., Lee,

    S. J., & Song, J. C. (2000). The prevalence of cumu-

    lative trauma disorders of upper extremities among

    watch assembly workers in some small-scaled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2(4), 457-72.

    Karhu, O., Kansi. P., & Kuorinka, I. (1977).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ied Ergonomics, 8(4), 199-201.

    Keyserling, W. M.., & Chaffin, D. B. (1986).

    Occupational ergonomics methods to evaluate physical

    stress on the job.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7,

    77-104.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2005). Ergonomic analysis for risk factor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KOSHA education guideline No.2005-23-50. (Korean)

    (translated by Myong JP)

    Lin, M. L., & Radwin, R. G. (1998), Agreement be-

    tween afrequency-weighted filter for continuous bio-

    mechanical measurements of repetitive wrist flexion

    against a load and published psychophysical data.

    Ergonomics, 41(4), 459-475.

    McAtamney, K., & Corlett, E. N. (1993). RULA: A sur-

    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2), 91-99.

  • 1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Moore, J. S., & Garg, A. (1995). The Strain Index: A

    Proposed Method to Analyze Jobs for Risk of Distal

    Upper Extremity Disorders.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56, 443-458.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1993).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NIOSH Report No. PB 93-188-456.

    Putz, A. V. (1994). Recognizing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Taylor & Francis Inc., Bristol, pp. 1-31.

    Werner, R. A., Franzblau, A., Gell, N., Hartigan, A. G.,

    Ebersole, M., & Armstrong, T. J. (2005). Incid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automobile assembly

    workers and assessment of risk facto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7(10),

    1044-1050.

    Yim, S. H., Lee, Y. G., Cho, J. J., Son, J. I., & Song,

    J. C. (1997). Symptom preval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ated factors among

    bank workers by visual display terminal us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9(1),

    85-98.

    Abstract

    Effect of Consulting the Work Environment on Risk Levels for Work-related

    Muscuoloskeletal Injuries in a Rural Area

    Lee, Jeong-Weon, Ph.D., P.T., O.T.*, Won, Ji-E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Yeoju-Gun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sulting of work environment on reducing risk

    levels for work-related muscuoloskeletal injuries in farm worker through improvement in ad-

    justment of transport equipment in rural.

    Method : The study subjects were comprised of 10 vegetable workers(mean age=60.3±10.5, male=4, fe-

    male=6). It was improvement in accommodation of transport equipment in the handle height

    & length and design, foot height, location of wheel axis, slide protector. Pretest and posttest

    supply transport equipment changes on risk levels for work-related muscuoloskeletal injuries

    were measured using a working posture (OWAS, REBA, JSI) and a compression force (digital

    force gauge) as well as physical fatigue and a subjective symptom.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Result : After supply transport equipment, decreased meaningful score from OWAS 2 point, REBA 5

    point, and JSI 4.25 point; decreased compression force 32.1%. The physical fatigue and a

    subjective symptom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osttest after consulting of work environ-

    ment(p

  • 서론.Ⅰ

    뇌혈관 질환 은 뇌혈관 출혈(cerebrovascular disease)

    이나 허혈 과 같은 병리학적 변화로(bleeding) (ischemia)

    부터 초래되는 뇌 부위의 일시적영구적 손상 상태를/

    말하며 임상에서는 뇌졸중 이나 뇌혈관 사고, (stroke)

    라 불린다김종만(cerebrovascular accident, CVA) ( ,

    뇌졸중의 특징적인 증상과 징후는 침범되는 중1999).

    추신경계의 부위에 따라 다양하며 의식 운동조절 감, , ,

    각지각 시각 및 언어기능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김유철 등 뇌졸중 후 환자의 약 는( , 1992). 15 20%∼

    사망하고 만이 완전 회복되며 나머지 는10% 70 75%∼

    뇌의 침범영역에 따라 만성적인 기능장애를 갖게 된

    다국립재활원 환자는 이로 인해 생활양식의( , 1997).

    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

    겪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만성장애를 갖게 되는 뇌졸.

    중 환자들은 기능저하를 최소화하고 독립적 수행을,

    최대화하여 집 가족 사회로 성공적으로 복귀하고 의, , ,

    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활치료

    를 받게 된다 이러한 궁극적인 재활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재활치료를 병행 실

    시하고 초기 급성기 치료가 끝나는 즉시 포괄적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박창(

    일과 문재호, 2007).

    작업치료실 내원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

    김형선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김지연, *, **, ***, ***

    한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대불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실에 내원하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재활

    에 관여하는 작업치료사들에게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개 기관의 점 이상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2008 6 7 8 1 17 MMSE-K 24

    문지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여 총 부를 최종적으(BDI, , SS-QOL) 123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직종이었고 재활동기가(P

  • 1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뇌졸중 환자가 당면하는 심리적 문제로써 가장 많

    은 증상은 우울이며 발생 빈도는 로 보고되26 60%∼

    고 있다박상욱 등 이러한 뇌졸중 후 우울은( , 1999).

    회복과 재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부정적인 정서로 인한 고통이 심할 경우 회

    복과 재활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으며우경미( , 1998),

    삶의 질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과 김현철 등 은 우울증이 뇌졸중 환King(1996) (2002)

    자의 전체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인자라

    고 주장하였다.

    또한 뇌졸중 후 불완전 회복을 보이는 는70 75%∼

    기능장애를 최소화하여 가능한 한 독립적으로 일상생

    활을 하며 사회적 역할을 되찾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재활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런 재활치료는 지속.

    적이고 장기적 노력이 요구되므로 환자의 재활에 대

    한 의지나 동기가 없이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

    다 따라서 재활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손복심 김진호 와( , 2005). (1997)

    은 재활에 대한 동기가 없다면 비록 신Anderson(1990)

    경학적 회복이 충분할 지라도 기능의 회복을 얻을 수

    없다고 했으며 오정희 는 장애인 자신들이 능력(1985)

    의 한계를 이해하고 장애를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동

    기가 재활의 성패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했다.

    특히 뇌졸중과 같은 중도장애인들은 사회에 복귀하여

    새롭게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과 욕구가 매우 크기 때

    문에 장기간의 재활치료 효과는 본인의 재활동기에

    달려있다권은희( , 2003).

    지금까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하여 국내외·

    에서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있었지만 환자들의 신체

    적인 요인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인 요인까지 종합적·

    으로 고려한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백태선 편성범 등 정(Osberg et al., 1998; , 1998; , 1999;

    미정 유영열과 안창식 조성미 오덕원과, 2000; , 2009; ,

    김선엽, 2009; Niemi et al.,1988; Granger et al., 1989;

    Yoon, 1997).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이나 복지관 작업치료실에

    내원하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종합

    적으로 파악하여 보건분야 종사자들에게 뇌졸중 환자

    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 및 기간1.

    본 연구대상은 년 월 일에서 년 월 일2008 6 7 2008 8 1

    사이 서울 경기 인천 소재 개 종합병원 개 재활, , 14 , 2

    전문병원 개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치료중인 뇌졸, 1

    중 환자 명을 유의표집하여 구성하였으며 구체적123

    선정기준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받았으며 현재 재,

    활치료를 받고 있는 자 둘째 설문지를 이해하고 응, ,

    답할 수 있을 정도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셋째 인, ,

    지 수준이 Mini-Mental State Exam(Korea) [MMSE-K]

    점 이상인 자 넷째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를 동의24 , ,

    한 자이다.

    측정도구 및 방법2.

    우울 측정도구1)

    뇌졸중 환자의 우울정도를 측정한 평가도구는 1961

    년 이 개발한 를Beck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한홍무 등이 한국어로 표준화한 척도로써 뇌졸중 환

    자가 응답 가능하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총 문항 수, .

    는 개이며 항목점수는 점에서 점으로 구성되21 ‘0 ’ ‘3 ’

    었다한홍무 등 점수범위는 점이며 총점( , 1986). 0 63∼

    점 이상은 우울상태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21

    우울정도가 심한 것이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정상집.

    단에서는 Cronbach's α 이었으며 우울증 집단에= .886 ,

    서는 Cronbach's α 였다 본 연구에서는= .942 .

    Cronbach's α 였다한홍무 등= .892 ( , 1986).

    재활동기 측정도구2)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

    구에서는 뇌병변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혜숙이 년 개발한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를2001

    본 연구자가 뇌졸중환자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개 문항 점 척도로. 27 , 4

    구성되어 있고 자기결정 정도에 따라 개의 동기유- 5

    형이 포함된 다차원적 도구이다 과제지향적 동기 문. (8

    항 변화지향적 동기 문항 의무적 동기 문항 외), (7 ), (4 ),

    부적 동기 문항 무동기 문항로 구성되었으며 점(4 ), (4 ) ,

  • 13

    수가 높을수록 재활동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

    뢰도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 명을 대상으441

    로 한 연구에서 Cronbach's α 이었으며 본 연구에= .86

    서는 Cronbach's α 이었다한혜숙= .869 ( , 2001).

    삶의 질 측정도구3)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

    서 등이 개발한 뇌졸중특이 삶의 질 척도Linda -

    를 문정인 등(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

    이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을 사용하였다, SS-QOL

    문정인 본 도구는 뇌졸중(Linda et al., 1999, , 2003).

    환자를 위해 개발한 척도로서 개 영역에너지 가12 ( ,

    족 언어능력 움직임 기분 성격 자조활동 사회역할, , , , , , ,

    사고력 상지기능 시력 일 항목 점 척도로 구성, , , ), 49 , 5

    되어 있고 측정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 원래 연구에서는. SS-QOL

    Cronbach's α 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신뢰도가.73≧

    Cronbach's α 이었다문정인 본 연구에서는= .80 ( , 2003).

    Cronbach's α 이었다= .956 .

    자료 처리3.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프로그램을SPSS Win 12.0

    이용하였다 측정도구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α값

    을 이용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 분석 방법을 사용

    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

    른 우울 재활동기 삶의 질의 차이는, , t-test, ANOVA,

    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Scheffe test α

    로 하였다=0.05 .

    연구결과.Ⅲ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1.

    본 연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성별 분포를 보면 전체 명의 설문 조사( 1). 123

    대상자 중에서 남자가 명 으로 여자 명85 (69.1%) 38

    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대가 명 으(30.9%) . 50 42 (34.1%)

    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 세 이상이 명70 9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교육수준별(7.3%) .

    분포를 보면 대졸과 고졸이 각각 명 으로 가47 (38.2%)

    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에 무학은 명 으로1 (0.8%)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결혼 상태별 분포에서.

    기혼이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95 (77.2%)

    면에 이혼은 명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6 (4.9%)

    였다 동거인별 분포를 보면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산.

    다가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76 (61.8%)

    기타는 명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였14 (11.4%)

    다 주 간병인별 분포를 보면 배우자가 명 으. 50 (40.7%)

    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에 친척은 명1 (0.8%)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직업유무에 따른 분포를 보면 명 은 없다80 (65.0%) ,

    명 은 있다고 나타났다 직종별 분포를 보면43 (35.0%) .

    서비스업이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12 (27.9%)

    한 반면에 농축수산업은 명 으로 가장 낮은 분· · 1 (2.3%)

    포를 차지하였다 월수입별 분포를 보면 만원. 100 ∼

    만원 미만이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200 31 (25.2%)

    지한 반면에 만원 이상이 명 으로 가장 낮400 18 (14.6%)

    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주 치료비 부담자별 분포에서.

    는 본인이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하54 (43.9%)

    였고 형제 자매는 명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1 (0.8%)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발병기간별 분포를 보면 개월 이상이24

    명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에46 (37.4%) 18

    개월 미만이 명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24 10 (8.1%)∼

    지하였다 발병횟수별 분포를 보면 번이 명. 1 115

    으로 번의 명 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93.5%) 2 8 (6.5%)

    였다 마비부위별 분포를 보면 오른쪽이 명. 64 (52.0%)

    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한 반면에 양쪽은 명5

    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동반질환별(4.1%) .

    분포를 보면 있다가 명 으로 없다 명67 (54.5%) 56

    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45.5%) .

  • 구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성별남자 85 69.1

    여자 38 30.9

    연령

    세 미만40 21 17.1

    51.69 11.7

    세 미만40 50∼ 29 23.6

    세 미만50 60∼ 42 34.1

    세 미만60 70∼ 22 17.9

    세 이상70 9 7.3

    교육수준

    무학 1 0.8

    초졸 10 8.1

    중졸 13 10.6

    고졸 47 38.2

    대졸 47 38.2

    대학원졸 5 4.1

    결혼상태

    미혼 14 11.4

    기혼 95 77.2

    사별 8 6.5

    이혼 6 4.9

    동거인

    혼자 산다 15 12.2

    배우자와 둘이 산다 18 14.6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산다 76 61.8

    기타 14 11.4

    주 간병인

    배우자 50 40.7

    자녀 9 7.3

    형제 자매, 4 3.3

    부모님 10 8.1

    전문 간병인 25 20.3

    친척 1 0.8

    간병인 없음 21 17.1

    기타 3 2.4

    직업유무있다 43 35.0

    없다 80 65.0

    직종

    (N=43)

    전문직 10 23.2

    관리직 공무원 및 임직원 및 일반 사무직( ) 9 21.0

    농 ․축 ․수산업 1 2.3

    생산직 및 단순 노무직 7 16.3

    서비스업 12 27.9

    기타 4 9.3

    월수입

    만원 미만100 20 16.3

    295.33 193.85

    만원 만원 미만100 200∼ 31 25.2

    만원 만원 미만200 300∼ 28 22.8

    만원 만원 미만300 400∼ 26 21.1

    만원 이상400 18 14.6

    주 치료비

    부담자

    본인 54 43.9

    배우자 36 23.3

    자녀 12 9.8

    부모 7 5.7

    형제 자매, 1 0.8

    기타 13 10.6

    발병기간

    개월 미만6 32 26.0

    15.419개월미만6 12∼

    13.016개월미만12 18∼

    8.110개월미만18 24∼

    37.446개월 이상24

    발병횟수번1 115 93.5

    번2 8 6.5

    마비부위

    왼쪽 54 43.9

    오른쪽 64 52.0

    양쪽 5 4.1

    동반 질환있다 67 54.5

    없다 56 45.5

    표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1. (N=123)

    1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 15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2.

    심리적 특성의 차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 대한 분

    석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성별에 있어서 남자가( 2).

    여자보다 우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은 대가 가장 높은. 50

    우울점수를 나타냈고 세 미만이 가장 낮은 점수를40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수준에.

    따른 분류에서는 초졸이 우울에 대한 정도가 가장 높

    았고 대학원졸이 가장 낮았으나 이러한 결과도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 상태에 따라 살펴보면.

    사별한 경우의 우울 점수가 가장 높았고 이혼한 경우

    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 또한 배우자 자녀 모두와 함께 사는 경. ,

    우에 우울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혼자 사는 경우에 우

    울정도가 가장 낮았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결과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간병인.

    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문 간병인의 도움을 받을 때

    가장 우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무에 따른 분류에서는 직업이 없을 때가 있

    을 때보다 더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직종에 따라서는 농. ․축 ․수산업과

    생산직 및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대상자들이 높은

    우울감을 가졌으며 전문직이 가장 낮은 우울감을 가

    졌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다(P

  •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 유의도

    성별남자 85 13.28 10.18

    .024 .981여자 38 13.24 8.97

    연령

    세 미만40 21 10.48 7.32

    .670 .614

    세 미만40 50∼ 29 12.86 10.12

    세 미만50 60∼ 42 14.71 9.44

    세 미만60 70∼ 22 13.55 11.36

    세 이상70 9 13.67 11.81

    교육수준

    무학 1 15.00 .

    2.026 .080

    초졸 10 20.20 11.45

    중졸 13 14.46 11.26

    고졸 47 14.11 9.37

    대졸 47 11.28 9.22

    대학원졸 5 6.80 4.97

    결혼상태

    미혼 14 13.22 10.65

    .329 .804기혼 95 13.26 9.78

    사별 8 15.62 10.43

    이혼 6 10.33 8.55

    혼자 산다 15 11.47 10.74

    .232 .874동거인배우자와 둘이 산다 18 13.33 10.47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산다 76 13.71 9.81

    기타 14 12.71 8.42

    주 간병인

    배우자 50 12.6 8.39

    1.897 .076

    자녀 9 21.67 8.85

    형제 자매, 4 15.50 5.57

    부모님 10 14.10 7.55

    전문 간병인 25 11.20 10.88

    친척 1 12.00 .

    간병인 없음 21 11.43 10.38

    기타 3 24.00 19.98

    직업유무있다 43 12.56 9.30

    -.589 .557없다 80 13.65 10.08

    직종

    (N=43)

    전문직 10 6.90 6.19

    2.894 .026*

    관리직 공무원 및 임직원 및 일반 사무직( ) 9 10.44 9.88

    농 ․축 ․수산업 1 22.00 .

    생산직 및 단순 노무직 7 21.57 10.91

    서비스업 12 12.83 7.90

    기타 4 12.50 5.20

    월수입

    만원 미만100 20 11.78 8.52

    1.637 .169

    만원 만원 미만100 200∼ 31 15.78 10.10

    만원 만원 미만200 300∼ 28 11.46 8.40

    만원 만원 미만300 400∼ 26 12.96 8.96

    만원 이상400 18 9.72 8.33

    주 치료비

    부담자

    본인 54 11.11 9.66

    2.124 .056

    배우자 36 15.25 9.35

    자녀 12 20.25 10.47

    부모 7 12.57 7.25

    형제 자매, 1 4.00 .

    기타 13 11.85 9.25

    발병기간

    개월 미만6 32 11.22 11.17

    1.003 .409

    개월 미만6 12∼ 19 12.47 7.99

    개월 미만12 18∼ 16 15.00 8.46

    개월 미만18 24∼ 10 17.60 8.49

    개월 이상24 46 13.48 10.07

    발병횟수번1 115 12.94 9.22

    -1.420 .158번2 8 17.10 16.02

    마비부위

    왼쪽 54 12.81 9.53

    .501 .607오른쪽 64 13.33 10.01

    양쪽 5 17.40 10.71

    동반질환있다 67 14.70 10.99

    1.793 .075없다 56 11.55 7.88

    *P

  •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 유의도

    성별남자 85 3.54 .40

    -1.763 .080여자 38 3.67 .38

    연령

    세 미만40 21 3.51 .35

    .474 .755

    세 미만40 50∼ 29 3.57 .43

    세 미만50 60∼ 42 3.61 .39

    세 미만60 70∼ 22 3.59 .34

    세 이상70 9 3.71 .44

    교육수준

    무학 1 3.66 .

    .412 .840

    초졸 10 3.71 .44

    중졸 13 3.64 .41

    고졸 47 3.59 .39

    대졸 47 3.53 .38

    대학원졸 5 3.60 .27

    결혼상태

    미혼 14 3.49 .41

    .864 .462기혼 95 3.58 .39

    .343.768사별

    .443.586이혼

    혼자 산다 15 3.60 .45

    .060 .981동거인배우자와 둘이 산다 18 3.59 .44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산다 76 3.59 .37

    기타 14 3.54 .36

    주 간병인

    배우자 50 3.54 .36

    1.791 .096

    자녀 9 3.72 .21

    형제 자매, 4 3.73 .25

    부모님 10 3.68 .44

    전문 간병인 25 3.68 .34

    친척 1 4.20 .

    간병인 없음 21 3.41 .48

    기타 3 3.68 .38

    직업유무있다 43 3.62 .34

    .584 .446없다 80 3.56 .41

    직종

    (N=43)

    전문직 10 3.58 .33

    .748 .593

    관리직 공무원 및 임직원 및 일반 사무직( ) 9 3.53 .45

    농 ․축 ․수산업 1 3.65 .

    생산직 및 단순 노무직 7 3.62 .30

    서비스업 12 3.77 .26

    기타 4 3.47 .40

    월수입

    만원 미만100 20 3.60 .40

    1.592 .181

    만원 만원 미만100 200∼ 31 3.63 .45

    만원 만원 미만200 300∼ 28 3.45 .33

    만원 만원 미만300 400∼ 26 3.57 .36

    만원 이상400 18 3.72 .32

    주 치료비

    부담자

    본인 54 3.55 .41

    .806 .548

    배우자 36 3.59 .36

    자녀 12 3.63 .36

    부모 7 3.44 .42

    형제 자매, 1 3.57 .

    기타 13 3.75 .36

    발병기간

    개월 미만6 32 3.66 .36

    2.808 .029*

    개월 미만6 12∼ 19 3.62 .36

    개월 미만12 18∼ 16 3.68 .36

    개월 미만18 24∼ 10 3.72 .24

    개월 이상24 46 3.46 .43

    발병횟수번1 115 3.60 .38

    2.064 .041*번2 8 3.32 .40

    마비부위

    왼쪽 54 3.66 .37

    2.664 .074오른쪽 64 3.54 .39

    양쪽 5 3.34 .40

    동반질환있다 67 3.58 .42

    .025 .874없다 56 3.59 .35

    *P

  • 구분 빈도 평균 표준편차 t/F 유의도

    성별남자 85 3.30 .72

    .111 .912여자 38 3.29 .57

    연령

    세 미만40 21 3.66 .54

    2.148 .079

    세 미만40 50∼ 29 3.32 .65

    세 미만50 60∼ 42 3.18 .68

    세 미만60 70∼ 22 3.16 .78

    세 이상70 9 3.30 .77

    교육수준

    무학 1 2.81 .

    3.098 .012*

    초졸 10 2.88 .541

    중졸 13 3.01 .50

    고졸 47 3.28 .67

    대졸 47 3.43 .67

    대학원졸 5 4.02 .74

    결혼상태

    미혼 14 3.54 .52

    1.127 .341기혼 95 3.30 .69

    사별 8 3.13 .80

    이혼 6 3.00 .60

    혼자 산다 15 3.51 .62

    .593 .621동거인배우자와 둘이 산다 18 3.28 .69

    배우자와 자녀와 함께 산다 76 3.26 .70

    기타 14 3.32 .63

    주 간병인

    배우자 50 3.22 .70

    1.528 .165

    자녀 9 3.16 .54

    형제 자매, 4 2.98 .52

    부모님 10 3.46 .55

    전문 간병인 25 3.25 .59

    친척 1 2.16 .

    간병인 없음 21 3.62 .68

    기타 3 3.50 1.31

    직업유무있다 43 3.31 .76

    .013 .910없다 80 3.29 .63

    직종

    (N=43)

    전문직 10 3.77 .81

    1.606 .183

    관리직 공무원 및 임직원 및 일반 사무직( ) 9 3.44 .87

    농 ․축 ․수산업 1 2.31 .

    생산직 및 단순 노무직 7 3.07 .80

    서비스업 12 3.10 .56

    기타 4 3.14 .44

    월수입

    만원 미만100 20 3.03 .52

    4.104 .004**

    만원 만원 미만100 200∼ 31 3.05 .70

    만원 만원 미만200 300∼ 28 3.35 .65

    만원 만원 미만300 400∼ 26 3.55 .65

    만원 이상400 18 3.61 .65

    주 치료비

    부담자

    본인 54 3.41 .77

    1.205 .311

    배우자 36 3.23 .54

    자녀 12 3.01 .49

    부모 7 3.58 .63

    형제 자매, 1 3.10 .

    기타 13 3.16 .72

    발병기간

    개월 미만6 32 3.48 .66

    .829 .509

    개월 미만6 12∼ 19 3.38 .64

    개월 미만12 18∼ 16 3.14 .81

    개월 미만18 24∼ 10 3.30 .56

    개월 이상24 46 3.20 .67

    발병횟수번1 115 3.32 .69

    1.054 .294번2 8 3.06 .48

    마비부위

    왼쪽 54 3.36 .58

    .466 .628오른쪽 64 3.26 .76

    양쪽 5 3.14 .55

    동반질환있다 67 3.29 .64

    .019 .891없다 56 3.31 .72

    *p

  • 19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3)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다음과 같다표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는( 4).

    남자가 여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세 미만 집단이 가장 높은 삶의40

    질을 세 미만 집단이 가장 낮은 삶의 질을 보, 60 70∼

    였다 하지만 위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

    교육수준별로 살펴보면 대학원졸업자의 삶의 질이 가

    장 높았으며 무학자들의 삶의 질이 가장 낮았고 통계

    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결혼 상태에 따른 분류(p

  • 20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들은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안정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발병횟수에 따른 재활동기의 차이에서는 한번 뇌졸

    중이 발병한 사람 보다 두 번 발병한 사람(3.60) (3.32)

    의 재활동기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처.

    음 뇌졸중을 앓고 나서 다양한 약물과 재활치료를 통

    해 어느 정도 신체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다시 한 번

    똑같은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선행연구에서 김지영 이 배우자가 있을 경우(2003)

    재활동기가 유의미하게 높다고 하였으며 권삼숙

    은 월수입에 따라 재활동기가 달라진다고 했지(2001)

    만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동.

    엽 의 연구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재활동기가(2005)

    낮아진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졸과 대학원졸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동엽 의 연구결과와 같(2005)

    은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직업이 있는 경우. ,

    양측마비보다 편마비일 때 재활동기가 유의미하게 높

    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직업이 없는 경우(3.56)

    보다 있는 경우 에 재활동기가 높았으며 양측마(3.62)

    비 보다 왼쪽 편마비 와 오른쪽 편마비(3.34) (3.66) (3.54)

    의 경우에 재활동기가 높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의.

    직업의 유무 마비부위에 따른 재활동기의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온 항목은 교육수준

    과 월수입 이었다 교육수준에 따른 삶의(p

  • 21

    참고문헌

    국립재활원(1997). 년도 지역사회재활 교육자료97 1.

    서울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

    박창일 문재호, . (2007). 재활의학. 서울 한미의학: .

    권삼숙. (2001). 뇌졸중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대구, , .

    권은희. (2003).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및 가족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

    김유철 장순자 박미연 박지운 뇌졸중 환자, , , . (1992).

    의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대한재활의학회지,

    16(4), 443-451.

    김종만. (1999).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서울 정:

    담.

    김지영. (2003). 뇌혈관 장애인과 척수 장애인의 우울

    및 스트레스에 따른 재활동기 비교.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

    김진호 한태륜, . (1997).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

    김현철 김세주 최낙경 김영신 이병철 이만홍, , , , , .

    뇌졸중 후 삶의 질에 관한 추적연구(2002). . 신경정

    신의학회지, 41(4), 681-692.

    김효명. (2005).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우,

    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 .

    문정인. (2003). SS-QOL 척도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 ,

    학교 대구, .

    박상욱 장기언 이희숙 박동식 뇌졸중 환자, , , . (1999).

    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인지기능 불안 스트, ,

    레스 우울정도의 관련성, . 대한재활의학회지, 23(1),

    1-8.

    백태선. (1998).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세에서 세까지30 65 .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

    교 서울, .

    손복심. (2005). 재가 뇌졸중노인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림대학,

    교 춘천, .

    오정희. (1985). 재활의학. 서울 대학서림: .

    우경미. (1998). 비치볼 놀이가 뇌졸중환자의 우울 무,

    력감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에 미치는, ,

    효과. 석사학위 논문 고신대학교 부산, , .

    유영열 안창식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 . (2009).

    동기와 삶의 질 관계의 연구의 재활동기 관련요인

    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2), 1-16.

    이동엽. (2005).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양대학교 대전, . .

    임선옥. (2002).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 .

    정미정. (2000).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정도와 삶

    의 질.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 .

    조성미 오덕원 김선엽 부모의 보고에 의한, , . (2009).

    강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적 기능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1), 29-37.

    최선애 박시운 최유남 장순자 만성 뇌졸중, , , . (2004).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뇌졸중

    학회, 6(2), 156-161.

    편성범 김상한 한명수 권희규 이항재 뇌졸, , , , . (1999).

    중 후 편마비 환자의 삶의 질. 대한재활의학회지,

    23(2), 233-239.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현 윤도준 정근재, , , , , .

    의 한국판 표준화(1986). Beck Depression Inventory

    연구정상집단을 중심으로- -. 신경정신의학회지,

    25(3), 487-500.

    한혜숙. (2001).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개발. 박

    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 .

    홍여신 서문자 김금순 김인자 조남옥 최희정 정성, , , , , ,

    희 김은만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 . (1998). . 재활간호

    학회지, 1(1), 111-123.

    Anderson, T. P. (1990).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In F. J. Kettke & J. F. Lehmann

    (Eds.), Krusen's handb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

    habilitation (4th ed. pp. 656-768). Philadelphia: W.B.

    Sauder's company.

    Astrom, M., Adolfsson, R. & Asplund, K. (1993). Maj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three year longitudinal

    study. Stroke, 24, 976-982.

    Granger, C. V., Hamilton, B. B., Gresham, G. E., &

    Kramer, A. A. (1989). The stroke rehabilitation out-

    come: Part . Relative merits of the total Barthel inⅡ -

  • 22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dex score and a four-item score in predicting patient

    outcome. Arch Phys Med Rehabil, 70(2), 100-103.

    King, R. B. (1996).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27, 1467-1472.

    Linda, S. W., Morris, W., Lisa, E. H., Daniel, O. C., &

    Jose, B. (1999). Development of a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Stroke, 30, 1362-1369.

    Niemi, M., Laaksonen, R., Kotila, M., & Waltimo, O.

    (1988). Quality of life 4 years after stroke, Stroke, 19,

    1101-1107.

    Osberg, J. S., DeJong, G., Haley, S. M., Seward, M. L.,

    McGinnis, G. E., & Germaine, J. (1998). Predicting

    long-term outcome among post-rehabilitation stroke

    patient. Am J Phys Med Rehabil, 67, 94-103.

    Yoon, H. (1997).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Korea aged stroke patients. Int J Aging Hum Dev,

    44(3), 167-181.

    Abstract

    The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Stroke Patients

    Kim, Hyung-Sun, M.A., O.T., Yu, Jae-Ho*, M.S., P.T., Jung, Jin-Hwa**, M.S., O.T.,

    Woo, Hee-Soon***, M.A., O.T., Kim, Ji-Youn***, M.Ed., O.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bul University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ong University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Stroke

    Patients and thereby, provide clinical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or staffs

    helping the stroke patients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social welfare.

    Method :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or 123 stroke patients who obtained 24 points of MMSE-K

    and above: some of them were being hospitalized or treated as outpatients at 17 rehabilitation

    centers. In order to measure stroke patients'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qual-

    ity of life, the researcher used BDI and SS-QOL respectively.

    Result : The item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har-

    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e stroke patients was the kinds of occupa-

    tion(P

  • 서론.Ⅰ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세 이상 고65

    령인구가 전체인구의 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10.3%

    였으며 앞으로 년에는 로 고령사회가 예상, 2018 14.3%

    되고 년에 노인인구가 로 증가하여 초 고령2026 20.8%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통계청 노인( , 2005).

    인구 증가와 더불어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환

    자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

    우 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치매환자가 전체2005 65

    세 이상 노인의 약 를 차지하고 있고 세 이상노8% 80

    인이 치매노인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때 앞으

    로 연령증가에 따라 치매 발병 비율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

    아닌 질병 등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되거나 파괴

    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

    고도정신기능이 감퇴하는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복

    합적인 임상증후군을 말한다민성길 등 또한( , 2007). ,

    의 진단기준에 의하면 치매는 직업적 일이나DSM-IV ‘

    통상의 사회활동 또는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장애가

    있을 정도의 인지기능 및 지적능력의 감소상태를 의’

    미하고 국제질병분류 판 에 따르면 치, 10 (WHO, 1992)

    매란 보통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환에서 생긴 증

    후군이며 이로 인해 기억력 사고력 이해 계산 학습, , , , ,

    능력 언어 및 판단력을 포함한 고도의 대뇌피질 기능,

    의 다발성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치매의 주요증상은 인지장애 기능적 장애 문제행, ,

    동 등이며 이러한 문제는 일상생활의 문제를 초래하

    게 되어 주변 사람들의 간병 또는 간호가 절실히 요

    구된다 그러나(Schulz et al., 1995; Youn et al., 1999).

    치매가 발병한 노인이 있는 가족에게는 사회적 활동

    의 제한 노인부양자 관계의 부정적인 변화 가족관, - ,

    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인 스트레스 재정적 부담과, ,

    경제활동의 제약 부양자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가족이,

    치매노인에 대한 치료 접근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박경영

    경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목적본 연구는 치매 증상에 따라 치료적 접근법을 분류하고 각 치료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근거있,

    는 치료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치료적 접근법에 대하여 온라인 검색법을 이용하여 치매로 검색된 연구논문 중 치매 와 인지재‘ ’ ‘

    활 인지훈련 인지치료 회상치료 신체활동 이라는 검색어를 각각 첨부하여 검색을 하였으며’, ‘ ’, ‘ ’, ‘ ’, ‘ ’ ,

    년부터 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대상으로 개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게재1999 2009 29 .

    현황과 연구설계와 통계방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 치매환자의 치료적 접근법은 다양하고 효과적이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논문은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치료효과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치매 노인 작업치료 메타분석, , ,

    교신저자 박경영 접수일 년 월 일 개재승인일 년 월 일: ([email protected]) : 2009 10 23 : 2009 11 8∥ ∥

  • 24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전체적으로 겪는 어려움으로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권중돈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을( , 1994).

    경감시키기 위하여 정부의 복지정책으로 년에 노2008

    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였으나 치매노인이 증

    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의료비의 과다지출

    로 의료보험의 재정 적자가 예상되어 이를 줄이기 위

    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적정한 의료비 지출로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

    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근거중심의 임상활동

    을 선택하여 제공하도록 하는(Evidence-based practice)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근거중심의 임상활동.

    은 현행 최선의 근거를 신중(Evidence-based practice) “

    하고 명백하고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 으로 정의할, , ”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체계적(Sackett et al., 1996),

    인 연구로부터 얻어진 최신의 근거를 임상에 적용하

    는 것이 진정한 환자중심의 의료서비스가 된다는 것

    이다 근거중심의 임상활동을 위해(Egan et al., 1998).

    서는 다양한 치료접근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자

    료의 종합이 필수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에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종합하여 통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메타분석이 이뤄지고 있으며 김춘배,

    의 연구에 따르면 메타분석을 통한 연구논문들(2002)

    이 크게 증가하여 http://www.ncbi.nlm. nih.gov/

    의 에서 년부터 년까지 총PubMed Medline 1989 2001

    여편이 발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보건의료8,600 ,

    분야에서 급증하였다고 언급하였다.

    치매에 대한 치료적 접근법은 증상에 따라 매우 다

    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주로 인지치료 컴퓨터를, ,

    이용한 인지치료 회상치료 신체활동 프로그램 일상, , ,

    생활 훈련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스노즐렌 등이 있다, ( ) .

    이 중에 치매환자에 대한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에 대

    한 한상우와 이재신 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치매(2008)

    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접근법에 관한 고찰은 이뤄지

    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증상에 따라.

    각 치료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근거있는 치료방법

    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

    로 치매에 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Ⅱ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1.

    치매의 주요증상인 인지장애 일상생활능력 저하, ,

    이상행동 신체기능 저하의 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4

    영역별 치료적 접근법에 대하여 차적으로 온라인 검1

    색법을 이용하였다 국내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을 통해 검색하였고 국문 검색어는 치매와(KERIS) ,

    인지재활 인지훈련 인지치료 기억 훈련 회상치료, , , , ,

    일상생활 행동치료 신체활동이었다, , .

    논문 선정기준 및 분류2.

    문헌의 선정 및 제외기준1)

    차적으로 치매로 검색된 연구논문 중 치매와 인1 ‘ ’ ‘

    지재활 인지훈련 인지치료 회상치료 신체활’, ‘ ’, ‘ ’, ‘ ’, ‘

    동이라는 검색어를 각각 첨부하여 차 검색을 하였으’ 2

    며 년부터 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대상으, 1999 2009

    로 선정하였다 이 논문들을 숙독하여 약물과 같은 다.

    른 치료법을 함께 적용한 논문과 치매 이외의 다른 질

    환이 중복된 연구대상자가 포함된 논문은 분석에서 제

    외하였다 문헌 선정시 연구설계 연구 대상자수 연령. , , ,

    치료법 치매분류 등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

    연구주제

    치매 치료접근법에 관한 효과

    문헌검색

    국내 학술지 검색(KERIS)

    선정 제외 기준에 따라 분류/

    각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질적 메타분석

    연구설계 치료방법 치료기간 통계분석 조사- , , ,

    그림 질적 메타분석을 위한 연구과정1.

  • 저자 연도( ) 연구설계대상자수명( )

    치매분류연령세( )

    중재방법 치료결과

    정원미 등(2008)

    단일군전후실험설계

    14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2주 집단인지재활8주 회 분( 2 , 80 )

    치료 후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향상됨

    오병훈 등(2003)

    단일군전후실험설계

    15 조기노인성치매 72컴퓨터인지재활 총 회8(REHACOM)

    주의력과 기억력 향상을 보임

    윤영지(2008)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30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8음악치료 총 회12악기연주( )

    악기연주를 통해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임

    김정순(1997)

    단일군전후실험설계

    9 - -인지자극훈련주 회 분 주( 3 , 30~40 , 8 )

    개념기억 일과기억 일MMSE-K, , ,생기억 언어생성에서 향상을 보임,

    김영숙(1999)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52 - -작업치료주 회 회( 3 , 30 )

    작업치료로 인지기능이 향상되었음

    장우심(2008)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60 - 79집단인정치료주 회 회( 2 , 12 )

    인지 일상생활의 향상을 보이고,우울이 감소하였음

    양혜경(2006)

    단일군전후실험설계

    14 경증치매노인 -음악치료레크리에이션주 회 분 회( 1 , 60 , 16 )

    지남력 기억력이해 및 판단 인, , ,지능력 향상

    윤숙영 등(2002)

    단일군전후실험설계

    6 - 76원예치료주 회 분 회( 1 , 60 , 12 )

    명중 명이 결과 향상6 4 MMSE-K을 보임

    윤숙영 등(2002)

    단일군전후실험설계

    7 - 78원예치료주 회 분 회( 1 , 60 , 14 )

    꽃장식 후 인지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식물기르기는 감소됨

    정원미(2007)

    단일군전후실험설계

    31 경증치매노인 -집단작업치료주 회 분 회( 1 , 60 , 12 )

    인지기능의 향상을 보임

    김정기 등(2008)

    단일군전후실험설계

    6 경증치매노인 70~77소그룹신체활동주 회 분 회( 3 , 40 , 12 )

    인지기능 삶의 질에 향상을 보임,

    황인담 박준식,(2008)

    단일군전후실험설계

    24 - 69~90독서치료주 회 분 회( 1 , 60 , 24 )

    인지기능 우울증에 향상을 보임,

    최애나 류기관,(2007)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20 - 60~90집단음악치료주 회 분 회( 3 , 50 , 15 )

    인지기능의 변화는 없었으나 삶의질이 향상되고 정신행동증상 우,울은 감소하였음

    이윤정 김신미,(2003)

    단일군반복측정연구

    26 - 71신체활동주 회 분 주( 6 , 60 , 3 )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준 향상됨,

    윤영옥 김동연,(2006)

    단일군전후실험설계

    6 - -집단미술치료분 회(50 , 25 )

    문제행동이 감소됨

    장우심 제석봉,(2008)

    실험 통제집단전후-실험설계

    44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7집단회상치료와 집단인정치료 주 회 분 회( 2 , 50 , 8 )

    인지기능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인정치료는 회상치료보다 삶의 질은향상되고 우울은 감소하였음

    단정와 이재모,(2006)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20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세60이상

    집단미술요법주 회 분 회( 2 , 60 , 20 )

    인지기능 의사소통에 향상을 보,임

    장우심 이재모,(2006)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24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9집단회상요법주 회 분 회( 1 , 60 , 8 )

    사회행동 우울감소가 나타남,

    이은희 이정화,(2005)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18 경증치매노인 -몬테소리주 회 분 회( 2 , 60 , 20 )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대인관계, ,향상 우울감소, ,

    김정순 정정심,(2005)

    비동등성대조군전후설계

    33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8민속놀이프로그램

    인지기능 일상생활능력향상 되었,고 문제행동은 감소했음,

    엄상용 곽이섭,(2004)

    실험 통제집단전후-실험설계

    30 - 60~95규칙적인 운동 개월(12 ,주 회 분2 3 , 30 60 )∼ ∼

    인지기능이 향상됨

    박정숙 이현지, ,김미은(2003)

    단일군전후실험설계

    7알쯔하이머병과혈관성 치매

    75 원예요법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으나 우울과 인지기능은 변화없었음

    김경애 하양숙,(1998)

    비동등성대조군전후시차설계

    29 - 79인정요법주 회 분 주( 5 , 30~40 , 2 )

    행동 및 정서기능 향상됨

    진복수 전미연,(2000)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16 - 74집단회상요법주 회 분 주( 1 , 60 , 6 )

    자기존중감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우울이 감소함,

    김남초 유양숙, ,한숙원(2000)

    비동등성대조군전후시차설계

    26 - 70시청각자극과 회상요법주 회 분 주( 5 , 60 , 4 )

    인지기능 행동반응이 향상되었으,나 일상생활에는 변화없음

    김영숙(2000)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20 - -회상치료법회(40 )

    인지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보임,

    김영숙 도복늠,(2007)

    실험 통제집단-사전 사후검사-

    41 -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주 회 분 주( 2 , 60 , 8 )

    인지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우,울이 감소함

    최외선(2007)

    단일군전후실험설계

    7 경증치매노인 -집단미술치료주 회 분 회( 2 3 , 60 , 25 )∼

    인지 행동 및 태동에 긍정적인,영향을 주고 우울이 감소함,

    이성호 등(2007)

    단일군전후실험설계

    3 알쯔하이머병 - 회상프로그램 언어이해력에 향상을 보임

    표 치매환자의 치료접근법에 관한 논문요약1.

    25

  • 26 고령자 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 권 제 호· / 3 / 2

    치료접근법에 따른 분류2)

    인지재활 인지훈련 인지치료를 인지재활 치료‘ ’, ‘ ’, ‘ ’

    접근법으로 분류하였고 회상치료 신체활동에 관, ‘ ’, ‘ ’

    한 논문은 따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Ⅲ

    치료접근법에 따른 논문 게재 현황1.

    국내논문 중 한국학술정보서비스 를 통해(KERIS)

    치매를 검색하였을 때 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 1,398

    이 중 차로 인지재활 인지훈련 인지치료 을 검2 ‘ ’, ‘ ’, ‘ ’,

    색하였을 때 중복 논문과 치매에 대한 약물 혹은 호

    르몬 요법 수술 인지 평가 임상특성에 관한 논문을, , ,

    제외하면 총 논문 편수는 개이다표29 ( 1).

    2. 연구설계와 통계방법에 따른 논문 게재 현황

    조사된 개 연구논문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설29

    계는 단일군 전 ․후 실험설계이며 통계방법으로는 대,

    응 검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표t ( 2).

    치매에 대한 치료접근법 유형3.

    인지재활1)

    정원미 등 에 의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은(2008) ROM

    댄스 현실인식 훈련 기억력 훈련 시간차 회상훈련, , , ,

    목적있는 수예 및 공작활동이 포함되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과제에 필요한 기능을 증진시

    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정원미 는 집단. , (2007)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 감각지각활동 신체활동 인- , ,

    지활동 사회성 활동 등을 통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이 나타났다고 언급하였다.

    오병훈 등 의 연구에서는 컴퓨터 인지재활 소(2003)

    프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주의력과 기억

    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으며 현재 작업치료분야,

    에서 치매환자뿐 아니라 뇌손상 환자 인지손상 환자,

    에게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연구설계 통계방법 논문 수

    단일군 전후실험설계

    Frequency 1

    Paired t test 10

    Wilcoxon Signed ranks test 3

    총 합 14

    실험 통제집단 사전 사후검사- -

    또는Paired ( independent) t test 9

    Mann-Whiteny U test 1

    Wilcoxon Signed ranks test 1

    Two way ANOVA 1

    총 합 12

    단일군 반복측정연구 Repeated measure ANOVA 1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

    ANCOVA 1

    Paired t test 1

    Repeated measure ANOVA 1

    총 합 3

    표 연구설계와 통계방법에 따른 논문 게재 현황1. 단위 편( : )

  • 27

    김정순 이 적용한 인지자극 훈련프로그램은(1997)

    개념기억 일과기억 일생기억 이라는 세가지 유형의, ,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등, Quayhagen (1995)

    이 개발한 인지기술치료 훈련 프로그램과 와Bird

    이 개발한 기억훈련 프로그램을 참조로Luszez(1993)

    하여 개발한 것이다.

    작업치료2)

    작업치료는 목적있는 활동 또는 의미있는 활동을

    통해 개인속한 환경 속에서 적절히 대처하고 적응하

    며 살아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작업치.

    료사는 인지재활치료는 최종적으로 일상생활수행 능

    력뿐 아니라 사회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신체활동,

    인지재활 기억훈련 현실 인식치료와 같은 다양한 치, ,

    료기법들을 치료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회상요법3)

    회상요법은 노년들로 하여금 노인들이 경험한 과거

    사건들 중 긍정적이고 유쾌한 경험을 기억해내어 다

    른 노인들과 이야기를 통해 이러한 기억을 공유함으

    로써 여러 가지 심리적 변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은 과(Fry, 1983). ,

    거경험을 토대로 자아정체감을 확보하는 것이며 회상

    하는 내용을 공감해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상호작용

    이 있을 때 더욱 회상의 효과가 나타난다(Lewis,

    1973).

    음악치료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