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1 11.13 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3가지 이유 피구(Pigou)의 자산효과 : 소비자가 자산이 증 가한 것으로 생각해서, 소비재 수요를 늘리게 된다. 물가가 하락하면 소비자는 자신의 자산(의 실질가 치)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해서 지출을 늘리게 된다. 소비자의 지출증가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량이 증 가함을 뜻한다. 11.14 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 우하향하는 3가지 이유 케인즈(Keynes)의 이자율효과 : 물가가 하락할 수록, 가계가 그들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돈의 양은 더 적 어지고 이자가 붙은 자산을 구입한다. 물가수준 하락은 이자율을 떨어뜨려, 투자재에 한 지출을 늘리게 하고 따라서 재화와 서비스의 수 요량을 증대시킨다.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

11.13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3가지 이유

• 피구(Pigou)의 자산효과 : 소비자가 자산이 증

가한 것으로 생각해서, 소비재 수요를 늘리게

된다.

– 물가가 하락하면 소비자는 자신의 자산(의 실질가치)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해서 지출을 늘리게 된다.

– 소비자의 지출증가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량이 증가함을 뜻한다.

11.14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 우하향하는 3가지 이유

• 케인즈(Keynes)의 이자율효과 : 물가가 하락할

수록, 가계가 그들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돈의 양은 더 적

어지고 이자가 붙은 자산을 구입한다.

– 물가수준 하락은 이자율을 떨어뜨려, 투자재에 대

한 지출을 늘리게 하고 따라서 재화와 서비스의 수

요량을 증대시킨다.

Page 2: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2

11.15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 우하향하는 3가지 이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 환율효과 : 한국의 물가가 하락할 때, 외국인들은 한국의

재화를 더 많이 사고 한국인들은 외국제품을 더

적게 사게 된다.

– 한국의 물가가 하락하면 이자율이 떨어지고 실질환

율이 상승해서, 한국의 순수출을 촉진하고 그 결과

재화와 서비스 구매량이 증가한다.

11.16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

Page 3: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3

11.17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총수요곡선의 이동은 물가수준 외에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때문에 발생한다 :

1. 소비지출의 변동 (세금인하, 주식시장 호황).

2. 투자지출의 변화 (경기전망, 이자율변화).

3. 정부 구입의 변동 (국방비 증가, 고속도로 건설)

4. 순수출의 변동 (해외경기 호황, 자국화폐의 가치하락)

11.18경제학개론

총수요곡선의 이동

총생산량

물가수준

총수요 ADAD

총공급

Page 4: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4

11.19경제학개론

장기총공급곡선

• 총공급곤선은 물가와 총공급량간의 관계는 분석기간이 단기냐

장기냐에 따라 달라진다.

• 장기에서 공급되는 총생산량은 그 나라 경제의 자원부존량, 기

술수준, 정부 제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물가수준은 장기의 경

우 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장기총공급곡선은 완전고용산출량에서 물가수준에 대해 수직

이다.

– 완전고용산출량 = 잠재산출량 = 자연산출량

• 자연실업률 수준에 있을 때의 산출량

11.20경제학개론

장기총공급곡선

Page 5: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5

11.21경제학개론

장기총공급곡선의 이동

• 시간이 지나면서, 장기총공급을 결정하는 요인

이 변화하면 장기총공급곡선이 이동한다.

– 제 4강에서 살펴보았던 노동, 자본, 자연자원, 기술

지식, 법제도적 환경 등등

– 잠재적 산출량을 줄이는 사건은 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 한 나라 경제의 잠재적 산출량을 증대시키는 어떤

변화는 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11.22경제학개론

장기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Page 6: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6

11.23경제학개론

단기총공급곡선

• 단기적으로, 한 나라 경제에서 전반적인 물가수

준의 상승은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증

대시키고, 물가수준의 하락은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11.24경제학개론

단기총공급곡선

Page 7: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7

11.25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

• 단기총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우상향하는 것에

대해서는 3가지 설명이 있다.

– 임금경직성 이론

– 가격경직성 이론

– 착각이론

11.26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의 우상향 - 임금경직성

• 임금경직성 이론 : 예상하지 않은 물가수준의

상승은 실질임금의 일시적 감소를 가져와서, 고

용과 생산을 촉진한다.

– 단기적으로 명목임금은 조정되는 데에 시간이 걸리

거나 경직적이다. 따라서 물가수준이 하락할 때 고

용과 생산의 수익성이 떨어져, 기업은 생산을 줄이

게 된다.

• 명목임금이 (장기)계약에 의해 이루어짐

Page 8: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8

11.27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의 우상향 - 가격경직성

• 가격경직성 이론 : 예상하지 않은 물가수준의

상승시에, 즉각적으로 가격이 상승하지 않는 상

품은 일시적으로 저가격상태가 되어 그 상품에

대한 지출과 생산을 촉진한다.

– 몇몇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경제여건 변화에 상

당히 느리게 반응한다.

• 가격 조정에 따른 비용, 즉 메뉴비용(Menu Costs)을 생

각하자.

11.28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의 우상향 - 착각이론

• 착각이론 : 개별 기업이 예상하지 않은 전반적

인 물가상승에 따른 가격 상승을 수요증가에 관

한 신호로 생각해서 생산을 늘리는 결정을 하게

된다

– 전반적인 물가수준의 변화는 개별 생산자가 자신이

생산하는 상품의 시장만 가격변화가 일어난 것(상

대가격의 변화)으로 잠시 착각하게 한다.

Page 9: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9

11.29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에 대한 이론의 공통점

• 앞의 세 가지 이론에 따르면 단기총공급은 다음과 같은수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산출물의 공급량 = 자연산출량 + a(실제물가수준 – 예상물가수준)

a: 예상하지 못한 물가수준의 변동에 대한 산출량의 민감도

• 물가수준이 사람들이 예상한 수준에서 벗어나면 몇 가지 원인으로 즉각적인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산출량도 장기자연산출량에서 벗어난다.

• 장기적으로는 실제물가수준=예상물가수준, 따라서 장기총공급곡선은 수직선

11.30경제학개론

단기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물가수준 외에 총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때문에 발생한다 :– 생산요소가격의 변화 (예: 원자재 가격의 상승)

• 요소가격의 상승은 단기총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 예상물가수준의 변동• 예상물가수준이 상승하면 단기총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 장기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원인들도• 노동, 자본, 자연자원, 기술지식, 법제도적 환경 등

– 예: 부담스런 조세와 반생산적인 규제가 생산비용을 높이고 기업의 생산을 위축시킬 수 있다.

Page 10: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0

11.31경제학개론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총산출량

물가수준

총수요

총공급

ASAS

11.32경제학개론

장기균형

• 균형산출량과 균형가격수준은 총수요곡선과 장기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형성된다.

• 산출량은 그 자연산출량 수준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단기 총공급곡선은 장기 총공급곡선과 총수요곡선의 교차점을 지난다.

Page 11: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1

11.33경제학개론

장기균형

11.34경제학개론

경기침체의 원인

• 한 나라 경제가 침체하는 두 가지 원인은 :

– 총수요의 감소

– 총공급의 감소

•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의 이동이 한 나라 경제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총산출량에변동을 초래한다.

Page 12: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2

11.35경제학개론

경기침체의 원인 : 총수요의 감소

• 총지출함수에서 한 가지 이상 구성요소의 감소

는 총수요곡선를 왼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 산출량이 자연산출량 이하로 떨어지게 한다

– 실업이율 상승한다

11.36경제학개론

총수요의 감소

총산출량

물가수준총공급

총수요

QE

PE

Page 13: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3

11.37경제학개론

QE

PE

총수요의 감소

총공급물가수준

총산출량

총수요

11.38경제학개론

QE

PE

총수요의 감소

총공급물가수준

총산출량

총수요

Page 14: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4

11.39경제학개론

총수요의 감소와 총수요 확대정책

• 이러한 경기침체에 대응해서 총수요 확대정책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정부지출을 확대하거나 세금을 감면한다.

– 통화량을 증가시키거나 이자율을 떨어뜨린다.

• 장기적으로는 총수요 확대정책이 없다해도 경기침체는 해결될

수 있다.– 단기적으로 산출량이 장기적 수준을 벗어난 것은 총수요 감소에 따른 불균형의

해소 과정에서 임금, 가격, 사람들의 판단이 충분히 조정되지 못했기 때문임

– 장기적으로 사람들의 예상물가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단기총공급곡선이 우측으

로 이동하게되고 다시 장기산출량 수준으로 회복될 때까지 이러한 조정이 지속

– 장기적으로는 총수요곡선의 이동의 효과가 전적으로 물가수준에 반영이 되고

산출량에는 영향을 주시 못함

11.40경제학개론

총수요의 감소와 균형의 회복

Page 15: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5

11.41경제학개론

총수요의 감소

•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단기적으로 재화와 서

비스의 산출량이 변함

• 장기적으로는 물가에는 영향을 주나 산출량에

는 영향을 주지 못함

11.42경제학개론

경기침체의 원인 : 총공급의 감소

• 단기총공급의 감소는 완전고용 이하의 총

수요곡선을 따라 새로운 균형이 생기게 한

다.– 자연산출량 이하의 총산출량으로 하락

– 실업의 증가

Page 16: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6

11.43경제학개론

QE

PE

총수요

총산출량

물가수준총공급

총공급의 감소

11.44경제학개론

총공급의 감소

QE

PE

총수요

총산출량

물가수준총공급

Page 17: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7

11.45경제학개론

QE

PE

총수요

총산출량

물가수준총공급

총공급의 감소

11.46경제학개론

총공급의 감소

• 총공급곡선이 이동하면 단기적으로 재화와 서

비스의 산출량이 변함

• 총공급곡선의 감소로 인한 경기침체의 경우 정

책담당자들은 총수요를 조절함으로써 경기침체

와 인플레이션을 동시에 해소할 수 없다.

Page 18: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8

11.47경제학개론

• 한 나라 경제에서 총공급 감소가 발생하면 가격

수준은 상승하고 산출량은 떨어진다. 이것을 스

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 한다.

총공급의 감소

11.48경제학개론

총공급의 감소

• 단기적으로 총공급이 장기적 수준을 벗어난 것

이 임금, 가격, 사람들의 판단이 충분히 조정되

지 못했기 때문이라면,

– 장기적으로 사람들의 임금, 가격, 사람들의 판단이

충분히 조정됨에 따라 단기총공급곡선은 다시 원래

의 위치로 복귀됨

• 이러한 스태그 플레이션에 대응한 정부의

대응 정책은 어려움이 있다– 실업률을 줄이기위한 총수요 확대정책은 인플레를

악화시킨다.

Page 19: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19

11.49경제학개론

총공급의 감소에 대응한 총수요 확대 정책

11.50경제학개론

사례연구 1: 대공황과 2차 대전

Page 20: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20

11.51경제학개론

대공황: 총수요곡선의 이동

• 총수요의 감소: 왜?

– 통화량의 감소: 1928-33년 사이 미국의 통화량은28% 감소. 이는 통화승수의 하락으로 야기되었음.

– 자산가치의 하락(주식가격의 폭락) 금융시장의 혼란: 소비와 투자의 위축

• 총수요확대정책(루즈벨트의 뉴딜 정책)으로 경제침체 회복.

11.52경제학개론

사례연구 2: 유가 파동

3.60.83.90.14.8OECD

4.33.75.10.79.6일본

2.70.93.40.74.7유럽

4.0-0.14.1-0.84.0미국

1982-89

1979-82

1975-79

1973-75

1960-73

연평균성장률 (%); 자료: OECD

Page 21: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21

11.53경제학개론

유가파동: 총공급곡선의 이동

• 중동산유국들이 1970년 대 중반 석유수출기구(OPEC)결성. 이는 생산감축을 통한 가격상승을 의도한 것임.

• 1973-75년 유가는 2배로 상승. 또한 1978-81 유가가 다시 2배 이상 상승.

• 이는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의 동시적 발생으로 이어졌음.

11.54경제학개론

사례연구 3: 아시아의 외환위기

자료: www.economics.unimelb.edu.au/subject_pages/ 2003/semester2/316-681/sept1.ppt

Page 22: 총수요곡선이우하향하는3가지이유 - bizfree.krecon22.hosting.paran.com/prin2/econ2_11_2.pdf2 11.15 총수요곡선우하향하는3가지이유경제학개론 • 먼델-플레밍(Mundell-Fleming)의환율효과:

22

11.55경제학개론

외환위기: 총수요/공급곡선에 영향

• 외환위기의 총수요곡선에의 영향– 자산가치의 하락: 소비와 투자의 감소

– 불확실성의 증가: 소비와 투자의 감소

– 자본유출의 증가: 환율상승으로 순수출의 증가

– 이자율상승: 투자의 감소

• 외환위기의 총공급곡선에의 영향– 환율상승으로 원자재, 중간재 수입품의 가격 상승

11.56경제학개론

침체기간 중 정책결정자의 조치

• 총수요 혹은 총공급의 감소에 직면한 정책결정자는 다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다른 경제 주체들이 경제 환경의 변화를 인지하여가격과 임금을 조정할 것이라고 간주하여 아무런조치도 취하지 않음.

–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을 이용하여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조치를 취함 (다음 장에서 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