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대한골대사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공동 연구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대한골대사학회국민건강보험공단 공동 연구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Page 2: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을 분석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8년 1월 부터 2013년 12월까지의 청구자료를 이용함

• 골다공증의 유병률 분석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 )의 자료를 이용함

• 2008년 성별, 연령별 인구를 기준으로 보정함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골밀도 측정기로 골밀도를 측정해서 T 점수가 -2.5 이하를 보이는 경우를 골다공증, -1.0 에서 -2.5를 보이는 경우 골감소증으로 진단함

• 골다공증 골절은 ICD-10 코드 및 부위별 의사 행위 청구자료를 확인하여 정의함

ICD-10 코드고관절 부위 (S72.0, S72.1)척추 부위 (S22.0, S22.1,S32.0, M48.4, M48.5)원위 요골 부위 (S52.5, S52.6)상완골 부위 (S42.2, S42.3)

• 50세 이상 에서 골다공증 유병률은 22.4%, 골감소증의 유병률은 47.9%• 여성에서는 10세 단위로 연령이 증가할 때마다 골다공증이 2배씩 증가하여 70세 이상 여성은 68.5%가 골다공증 환자•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이 2008년 이후 2013년까지 매년 4% 씩 증가함• 50대에는 손목골절이 주로 발생하고, 고령으로 갈수록 척추 및 고관절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이 고관절골절은 남성이 여성의 1.4배, 척추골절은 2.3배 임• 고관절 골절 후 일반인보다 사망률이 남자 12배, 여성은 11배로 증가• 골다공증 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률은 60% 정도임• 골다공증 환자의 약물 치료율 34% 이고 골절 발생 후에도 약물 치료율이 41% 에 불과함• 약물치료를 시작해도 1년 후 평균 24%만 투약을 지속하고 있음• 고관절 골절 발생시 총의료비는 평균 919만원으로 척추골절의 499.5만원의 2배에 달함

자료원

요약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의 진단기준

Page 3: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률 (50세 이상)

• 5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률은 22.4%, 골감소증의 유병률은 47.9% 로 성인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 환자, 2명 중 1명 골감소증•남자에서 골다공증 유병률은 여자의 1/5 이지만 골감소증은 비슷함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 자료에서 추출 우리나라 50대 이후 성인에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2008-2011), 질병관리본부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

여자

전체

남자

37.3

22.4 47.9 29.7

46.8 45.7

48.9 13.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7.5

22%골다공증

Page 4: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 자료에서 추출 우리나라 50대 이후 성인에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 유병률(2008-2011), 질병관리본부

여자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

남자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률 • 연령이 높을 수록 증가하여 70세 이상 여성은 68.5%가 골다공증 환자•10세 단위로 연령이 증가할 때마다 골다공증이 2배씩 증가

100100

8080

6060

4040

2020

0050-59 60-69 70

26

9.2

53.544.9

26.1

54.2

30

58.6

68.5

36.6

15.4

47.6

55.9

43

7.518

3.5 7050-59 60-69

1.5(%)(%)

(세)(세)

Page 5: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률 (50세 이상)

(단위: 인구 1만명당)

남자 여자 전체

250

200

150

100

50

02008

52

165 168201 192 204 207

53 60 60 62 64

140138130135115113

2009 2010 2011 2012 2013 (년)

•골다공증 골절 발생이 매년 4% 씩 증가함

자료는 2008-2013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2008년 성별, 연령별 인구를 기준으로 보정함

Page 6: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연령별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률• 8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골절 발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단위: 인구 1만명당)

50-59세 60-69세 70-79세 80-89세 90-99세

2008

41

225

406

433

99 97119 109 113 114

41

231

423

451

51

263

471

503

48

258

471

538

50

273

496

554

51

271

505

563

2009 2010 2011 2012 2013 (년)

600

500

300

200

100

400

0

자료는 2008-2013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 2008년 성별, 연령별 인구를 기준으로 보정함

Page 7: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부위에 따른 골절 발생 양상• 50대에는 손목골절이 주로 발생하고, 고연령으로 갈수록 척추 및 고관절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

여자남자

고관절 척추 손목 상박

00

100100

8080

6060

4040

2020

50-59

2.74.6

52.5

37.6

67.9

22

50-59 60-6960-69 70-7970-79 80 80 (세)(세)

(%)(%)

11.6

27.5

56.3

9.2

43.6

37.4

12.8

32.8

46.9

20.8

17.9

55.7

11.5

9.7

58.4

23.6

16

55.7

자료는 2013년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

9.8 7.5 5.6 4.1 4.74.65.37.3

Page 8: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고관절 골절 척추 골절

2025년 골다공증 골절 발생•향후 10년 고관절 골절과 척추골절의 추정 발생 건수가 1.4배 증가

남자 여자

40,000 140,000

35,000 120,000

30,000100,000

25,00080,000

20,000

60,00015,000

40,00010,000

20,0005,000

0 02016

9,58425,279

87,373

28,939

97,774

32,849

108,780

37,040

120,666

11,099

27,570

12,739

31,091

14,546

34,689

24,129

20162019 20192022 20222025 2025(년) (년)

(건) (건)

Page 9: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이 고관절골절은 남성이 여성의 1.4배, 척추골절은 2.3배•고관절 골절 시 일반인보다 사망률이 남자 12배, 여성은 11배로 증가

사망률 표준화사망비

0 0

25 14

2012

15

10

10

8

5

6

4

2

(%)

남자 여자 전체

고관절 고관절척추 척추상박 상박손목 손목

21 12

14 8

3 1

8 5

1517

11 11

6 8 5 5

2 2 1 1

6 6 4 4

자료는 2008-2012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표준화사망비 : 골절 발생군에서 관찰 된 사망률와 일반 인구에서 예상되는 사망률의 비

Page 10: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환자의 의료 이용률•골다공증 환자 10명 중 4명은 의료 서비스 이용을 안 하고 있음

의료 이용률 = [ (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골다공증 환자수)/ ( 전체 골다공증 환자수 ) ] x 100 (%)전체 골다공증 환자수 = [골밀도에 근거한 골다공증 유병율 (KNHANES 2008-2010)] x [해당연도 추정 인구] (n)자료는 2008-2012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

(명)

골다공증 추정인구 골다공증 의료이용

0

3,500,000

3,000,000

2,500,000

2,000,000

1,500,000

1,000,000

500,000

2008 2009 2010 (년)

59%

2,500,444

1,474,1441,740,230

1,906,691

3,136,984

55%

3,108,413

61%

60%

Page 11: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환자의 약물 치료율•여성 골다공증 환자 10명 중 7명, 남성 골다공증 환자 10명 중 8명은 치료 하지 않음

자료는 2010년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약물치료율 = [(bisphosphonate, SERM or calcitonin을 처방받은 환자 수 )/ (전체 골다공증 환자수)] x100 (%)

34%

0

20

100

80

40

60

(%)

전체남자 여자

16

36 34

Page 12: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치료 약제 처방양상•비스포스포네이트가 골다공증 치료 약제 중 90%를 차지

(단위: 10만명당)

2500

2000

1500

500

2009 2010 2011 2012

1000

0

Bisphosphonate SERM Calcitonin Alendronate Risedronate Ibandronate Zoledronate SERM Calcitonin

(년)

90%

5%5%

자료는 2012년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

Page 13: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절 발생 후 관리양상 •골절 발생 후 10명 중 5명이 골밀도 검사를 하고, 4명이 약물 치료를 받음•50대는 골절 발생 후 10명 중 1명만 치료받음

(%)

자료는 2010년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

골밀도검사율

약물치료율

골밀도추적검사율

(세)60-6950-59

80

0

10

20

30

40

50

60

70

70-79 80

골밀도 검사율 약물 치료율 골밀도추적검사율

54

41

25

23

49

36

25

67

52

34

65

51

24

14

9

41%치료율

Page 14: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치료 중단율•골다공증 치료 약물을 처음 시작 후 1년 안에 100명 중 66명이 치료를 중단함

(%)

자료는 2009-2011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약물 소지 비율(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관찰기간 중 골다공증 약물을 복용한 날의 %

(개월)

80

0

10

20

30

40

50

60

70

3 6 9 12 15 18 21 24

MPR 평균 중단군

70

45

39 28

57

66 67 69 7173

24 23 22 20 18

66%

Page 15: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골절 관련 의료비 •고관절 골절 발생시 척추골절의 두 배정도의 의료비가 발생함

1인당 의료비 (년)

총 의료비(천원)

고관절 척추 손목 상박

척추고관절 상박손목

0

10,000

6,000

8,000

2008

0 2,000 4,000 6,000 8,000

2009

2010

2011

4,000

2,000

4,995

9,190

4,309

2,868

3,6361,811 3821,623

1,801 3871,759

1,610 3551,241

1,518 3031,120

3,470

3,040

2,751

자료는 2008-2011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에서 추출함From Healthcare Cost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Korea: information from the NHIS Database, 2008-2011. J Bone Metab (2017)

(억원)

Page 16: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 이 자료는 2014년 3월 14일 체결한 대한골대사학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업무협약에 기반한 공동연구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 청구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였습니다 • 이 연구는 보건 복지부가 후원하는 한국 보건 산업 진흥원 (KHIDI)에서 주관하는 한국 보건 기술 연구 개발 사업 (번호: HI13C1522) 연구비로 이루어졌습니다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was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of Korea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Technology R&D Project through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grant number : HI13C1522)

Fact SheetTask Force Team

회장 류현모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이사장 변동원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역학이사 신찬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하영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사 김태영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위원 김세화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이영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장선미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정승열 국민건강보험공단

하용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Page 17: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 2017-10-20 · • This fact sheet was made by mutual cooperation and research between NHIS and KSBMR based on MOU • National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대한골대사학회 · 국민건강보험공단 공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