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3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가스정책연구실 서정규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신규 공급과 기존 설비의 안정적 가동으로 세계 LNG 교역량은 전년 대비 약 1.9% 증가하여, 2011년 수준을 회복함. 2014년 들어, 동북아 수요 둔화와 신규 LNG 프로젝트의 공급 확대로 구매자에게 유 리한 수급상황이 조성되고 있음. 그리고 2014년 4/4분기의 현물 유가 하락은 2015년 2/4분기부터 기존 LNG 장기계약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전망임. 2015년 이후에는 호주와 미국으로부터의 신규 공급이 점차 늘어나게 됨에 따라 당분 간 국제 LNG 시장은 공급과잉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됨. 특히, 호주와 미국산 LNG 중 상당량이 미계약물량으로, 이들 물량이 현물시장으로 유 입되어 동북아 LNG 현물가격을 안정시킬 가능성이 높음. 현물 가격 하락은 지역 간 가격 연계성을 높이고, 지역별 수입 비중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유가 하락에 따른 유가연동 가격결정방식 선호는 유가 연동의 지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유가 반영비율, S-곡선 등에 대한 재논의가 예상됨. 유가 하락 및 LNG 현물가격 약세는 중장기 신규 프로젝트의 추진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 신규수요 창출을 위한 공급사업자들의 노력을 촉구할 것으로 보임. 1. 머리말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판매자가 우위를 점하는 시장이었던 국제 LNG 시장의 수급상황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음. - 국제 LNG 수급상황의 중요한 척도라 할 수 있는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이 겨울철(12) 도착도 기준으로 US$10/MMbtu 이하로 하락함. 이는 지 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가까이 하락한 것임.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은 Platts JKM month-ahead 가격으로, 1월 소비지 도 착 기준 가격은 11월 16일12월 14일 중의 일간 가격의 평균치임. 1) LNG 현물가격의 약세는 2/4분기 이후 발생한 공급과잉이 원인임. 지난겨울 따뜻한 기온으로 인한 재고량 증가, 주요 소비국의 수요 증가세 둔화, 기존 설 비의 안정적 공급과 예상 밖의 신규 공급량 증가 등이 공급과잉을 유발함. 특히, 유럽과 동북아 지역의 온난한 겨울철 기온과 한국의 원전 및 석탄발전 가동률 증가가 LNG 수요 감소를 주도하는 가운데, 가뭄으로 인한 브라질의 수입 증가와 현물가격 하락으로 인한 일부 소비국의 잉여물량 흡수로 인해 전 1) www.platts.com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이 겨울철(1∼2) 도착도 기준으로 US$10/MMbtu 이하로 하락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가까이 하락한 것임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3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3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가스정책연구실 서정규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 신규 공급과 기존 설비의 안정적 가동으로 세계 LNG 교역량은 전년 대비 약 1.9%

증가하여, 2011년 수준을 회복함.

▶ 2014년 들어, 동북아 수요 둔화와 신규 LNG 프로젝트의 공급 확대로 구매자에게 유

리한 수급상황이 조성되고 있음. 그리고 2014년 4/4분기의 현물 유가 하락은 2015년

2/4분기부터 기존 LNG 장기계약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전망임.

▶ 2015년 이후에는 호주와 미국으로부터의 신규 공급이 점차 늘어나게 됨에 따라 당분

간 국제 LNG 시장은 공급과잉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됨.

▶ 특히, 호주와 미국산 LNG 중 상당량이 미계약물량으로, 이들 물량이 현물시장으로 유

입되어 동북아 LNG 현물가격을 안정시킬 가능성이 높음. 현물 가격 하락은 지역 간

가격 연계성을 높이고, 지역별 수입 비중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 유가 하락에 따른 유가연동 가격결정방식 선호는 유가 연동의 지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유가 반영비율, S-곡선 등에 대한 재논의가 예상됨.

▶ 유가 하락 및 LNG 현물가격 약세는 중장기 신규 프로젝트의 추진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 신규수요 창출을 위한 공급사업자들의 노력을 촉구할 것으로 보임.

1. 머리말

ㅇ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판매자가 우위를 점하는 시장이었던 국제 LNG 시장의 수급상황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음.

- 국제 LNG 수급상황의 중요한 척도라 할 수 있는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이

겨울철(1월∼2월) 도착도 기준으로 US$10/MMbtu 이하로 하락함. 이는 지

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가까이 하락한 것임.

※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은 Platts JKM month-ahead 가격으로, 1월 소비지 도

착 기준 가격은 11월 16일∼12월 14일 중의 일간 가격의 평균치임.1)

ㅇ LNG 현물가격의 약세는 2/4분기 이후 발생한 공급과잉이 원인임. 지난겨울

따뜻한 기온으로 인한 재고량 증가, 주요 소비국의 수요 증가세 둔화, 기존 설

비의 안정적 공급과 예상 밖의 신규 공급량 증가 등이 공급과잉을 유발함.

ㅇ 특히, 유럽과 동북아 지역의 온난한 겨울철 기온과 한국의 원전 및 석탄발전

가동률 증가가 LNG 수요 감소를 주도하는 가운데, 가뭄으로 인한 브라질의

수입 증가와 현물가격 하락으로 인한 일부 소비국의 잉여물량 흡수로 인해 전

1) www.platts.com

“동아시아 LNG 현물가격이 겨울철(1월∼2월) 도착도 기준으로 US$10/MMbtu 이하로 하락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가까이 하락한 것임”

Page 2: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체 교역량은 전년 대비 1.85% 증가함.

ㅇ 현물가격 약세, 자국 가스수요 증가 등으로 일부 생산국이 공급량을 축소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PNG LNG의 가동(2014년 5월), 나이지리아 등 기존 프로젝

트들의 가동률 상승에 따라 세계 LNG 생산량이 2011년 수준을 회복함.

- PNG LNG는 2014년 5월에 최초 선적이 이루어진 이후, 5개월 만에 2개의

트레인(train)이 완전 가동에 들어가는 예상 밖의 공급을 실현함.

※ PNG LNG는 2개 트레인(생산용량 각각 345만 톤/년)으로 구성된 LNG 프로젝

트로 엑슨모빌이 운영사업자이며 33.2%의 지분을 보유함.

ㅇ 겨울철임에도 불구하고 현물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그간 신규 물량이 부족했던

시장에 2015년부터 신규 프로젝트, 특히 호주와 미국의 프로젝트들이 연차적

으로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국제 LNG 시장이 구매자에게 유리한 방향으

로 전개될 수 있는 수급 상황이 조성되고 있음.

- 아·태지역에서 건설 중인 LNG 액화 용량 중 15% 내외가 아직 수요처를 확

보하지 못한 상황임. 또한, 매매계약이 체결된 미국산 LNG의 약 70%는 도

착지가 사전에 정해지지 않은 물량임. 이들 물량 중 일부는 현물시장으로 유

입되어 가격경쟁을 부추기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

ㅇ 수급상황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의 유가 하락은 아시아 LNG 구매자들에게 긍

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제 LNG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

이 될 수도 있음.

- 유가 하락은 신규 프로젝트 추진을 불확실하게 할 수 있음. 즉, 유가 하락으

로 인해 유가 연동 가격 결정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장기계약의 가격이 하락

함. 이는 구매자들에게 프로젝트의 가격 인하를 기대하게 함. 이에 따라 신규

프로젝트는 수익률 하락 위험에 직면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가격 약세에 따

른 에너지부문의 전반적인 투자 축소의 희생양이 될 수도 있음.

ㅇ 한편, 유가 하락으로 인해 기존 혹은 신규 LNG 수입 가격의 결정방식에 대한

검토가 새롭게 제기될 수 있음.

ㅇ 본 고에서는 최근의 국제 LNG 시장 동향에 대한 분석과 함께 향후 국제 시황

의 전개 방향과 주요 이슈들을 살펴봄.

2. 2014년 LNG 수급

□ LNG 수요부문 동향

ㅇ 전체 LNG 수입의 66% 정도를 차지하는 동북아지역의 수요는 정체된 반면,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지역과 중남미지역이 세계 LNG 수요 증가를 주도함.

- 2014년 중에 일본의 원전 재가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발전 및 산업부

“최근의 유가 하락은 아시아 LNG 구매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제 LNG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도 있음”

Page 3: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5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5

문의 수요 증가에 따라 일본의 LNG 수입이 증가함.

- 한국에서는 겨울철 재고량 증가, 발전부문(기저발전인 원전과 석탄발전 가동

률 증가)의 가스 수요가 감소함. 이에 따라 LNG 수입량이 전년 대비 300만

톤 정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 예상과 달리 중국의 LNG 수입은 7.8% 증가하는 데 그쳐, 전년도 증가율

25.3%에 비해 증가율이 대폭 낮아짐. 이는 낮은 경제성장률, 환경정책의 변

화, 높은 도매단계 가격, 수력발전의 전력공급 증가, 공급 인프라의 제약 등

에 따른 것임.

※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발전부문의 연료를 석탄에서 가스로 대체하는데 소요

되는 고정비와 및 운영비를 고려하여 중국 정부는 단기적으로 석탄발전의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 적용을 먼저 시행토록 함.

- 불안한 경제사정으로 인해 태국의 수입 수요가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인도

를 포함한 동남아 수요가 소폭 증가함. 현물가격의 약세에 따라 인도의 LNG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수입터미널의 제약으로 증가 폭은 제한됨.

ㅇ 가스수요 증가와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제약 등으로 멕시코 서부지역의 수입

수요가 증가함2). 온난한 기온과 수입 터미널 용량 제약으로 아르헨티나 등의

LNG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브라질은 동부지역의 가뭄으로 인한 수력발전

제약에 대응한 발전용 LNG 수입이 증가함.

ㅇ 다른 지역에 비해 수요 증가율이 높은 중동지역에서는 쿠웨이트가 수요 증가

를 주도하고 있음. 2013년 수입이 감소한 쿠웨이트는 현물가격이 낮아짐에 따

라 수입량을 늘림.

ㅇ 유럽은 온난한 기온, 경기침체, 석탄, 신재생 발전 비중의 증가 등에 따라 LNG 수요가 감소함. 2014년 LNG 순수입량이 2011년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짐.

- 불안정한 원전 가동에도 불구하고, 온난한 기온으로 벨기에의 LNG 수요는

감소하였으며, 이탈리아는 기온 영향 이외에 경기침체, 신재생에너지 발전

증가로 수요가 감소함. 프랑스도 경기침체, 높은 겨울철 기온, 낮은 가스발전

비중 등으로 가스 수요가 감소함.

- 스페인은 경기침체, 기온 영향, 신재생에너지 및 석탄 발전 증가 등으로 수요

가 감소함. 그리고 안정적인 파이프라인 가스 수입 등을 배경으로 약 310만

톤의 LNG를 재수출함. 이에 따라 LNG 순수입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음.

- 영국은 잉여 LNG 물량의 유입으로 인해 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터키는 전

력수요의 증가와 가뭄에 따른 수력발전의 제약으로 LNG 수입이 증가함.

ㅇ 동북아지역의 수요 정체에도 불구하고, 신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세계 LNG 수입에서 아·태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으로 늘어 75% 수준에 근접함. 영

2) 자국 내 생산 및 미국으로부터의 PNG 수입 등으로 LNG 수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본의 기업들이 2020년 이후에 기존의 수입 터미널을 액화시설로 전환하는 사업을 제안함.

“전체 LNG 수입의 66% 정도를 차지하는 동북아지역의 수요는 정체된 반면,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지역과 중남미지역이 세계 LNG 수요 증가를 주도함”

Page 4: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국의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요 정체, 재선적 등으로 유럽지역의 수입 비

중은 1%p 정도 낮아짐.

ㅇ 2014년에는 6개 신규 터미널의 완공과 1개의 시설 확장이 이루어져 세계

LNG 수입 터미널의 용량이 약 2,300만 톤/년 늘어남.

- 신규 터미널 중 2건은 FSRU 시설임. 특히, 리투아니아는 세계적으로 7번째

로 FSRU(17만㎥급)를 가동함에 따라 LNG 수입국은 30개국으로 늘어남.

지역 2004년 2011년 2013년 2014년증감

’04∼’14년 ’11∼’14년

동북아지역 84.74 139.51 159.77 161.23 6.6% 4.9%

인도 1.90 12.74 13.32 14.59 22.6% 4.6%

동남아 - 0.72 5.45 6.68 - 109.9%

중동 - 3.61 3.3 4.23 - 5.4%

유럽 28.43 65.60 34.54 32.89 1.5% -20.5%

북중미 13.44 12.01 9.74 9.71 -3.2% -6.8%

남미 0.09 7.34 13.02 14.14 64.9% 24.4%

합계 128.59 241.52 239.14 243.57 6.6% 0.3%

자료 : IHS Energy, 순 수입기준 수입량임.

< 2004년∼2014년 지역별 LNG 수입 >(단위 : 백만톤)

□ 신규 용량 증가와 기존 설비의 가동률 증가

ㅇ 2014년 세계 LNG 공급량은 약 2억 4,4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85% 증가하

였으며, 이에 따라 2011년 공급량을 약간 웃도는 정도로 회복됨.

- 세계 LNG 생산량 증가는 PNG LNG의 공급 개시에 힘입은 바가 큼. PNG LNG는 5월 선적을 시작한 이래 5개월 만에 완전 가동에 들어갔으며, 연간

공급량이 350만 톤이었음.

- 10월부터 시작된 신규 플랜트(Arzew(GL3Z), 용량 470만 톤/년)의 가동과

함께 이탈리아로의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 감소에 따른 기존 플랜트의 높은

가동률로 2014년 알제리의 LNG 공급량이 증가함.

- 안정적인 가스공급에 힘입어 나이지리아의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2007년

생산 개시 후, 기술적인 문제로 가동률이 낮았던 노르웨이 Snøhvit 플랜트는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설계용량에 근접한 수준까지 생산을 늘림.

- 대부분 장기계약에 따라 생산된 LNG를 공급하는 말레이시아와 호주는 꾸준

히 높은 가동률을 보인 반면, 매장량이 제한된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와 방대

한 액화 용량을 보유한 카타르는 현물가격 하락에 대응하여 생산량을 줄임.

- 앙골라 LNG는 가스 누출 문제로 4월에 플랜트 가동을 중단하였으며 보수작

업으로 2015년 말 이후에 가동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됨.

- 이집트는 국내 가스 수요 증가에 따라 LNG 수출 플랜트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며, 이스라엘 해상가스전 혹은 BP가 개발을 추진하는 해상 가스전으

“2014년 세계 LNG 공급량은 약 2억 4,4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85%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1년 공급량을 약간 웃도는 정도로 회복됨”

Page 5: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7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7

로부터의 가스 공급이 가능해질 때까지 생산 재개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자료 : IHS Energy

< 2013년∼2014년 국가별 LNG 생산 증감 >

ㅇ Wood Mackenzie의 자료로는 2014년 말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LNG 플랜트의 총용량은 약 2억 4,490만 톤/년임.

- 최근의 주요 전문기관들이 제시하고 있는 LNG 수요전망(연평균 수요 증가

율 4%∼5%)을 전제로 할 때, 수급상황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향후 15년간 1억 9,500만 톤/년 정도의 액화 용량이 추가로 확보되어야 함.

- 이는 매년 1,500만 톤/년 정도의 용량을 제공하는 신규 플랜트 건설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필요함. 결국, 수급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신규로 매년 2∼3개의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ㅇ 2014년 초에 약 1억 940만 톤/년에 달하는 신규 혹은 확장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최종 투자를 결정함.

- 최종 투자 결정이 이루어진 프로젝트는 미국의 3개 프로젝트(Cameron LNG T1∼T3, Freeport LNG T1∼T2, Cove Point)와 말레이시아의 FLNG2(용량

150만 톤/년)임.

자료 : Wood Mackenzie

< 연도별 최종 투자 결정 프로젝트 용량 추이 >

“매년 1,500만 톤/년 정도의 용량을 제공하는 신규 플랜트 건설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필요하며, 이는 수급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신규로 매년 2∼3개의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Page 6: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 교역 동향

ㅇ PNG LNG의 빠른 공급 실현과 기존 시설들의 가동률 회복 등으로 2014년의

LNG 교역량은 2011년 수준을 회복함.

- 최대 수입지역인 동북아지역의 수요정체와 신규 공급물량의 유입으로 국제

LNG 교역시장은 공급과잉 상황으로 변모함. 2/4 분기 이후 잉여물량들의 일

부가 영국으로 유입됨.

- 지역 내 수요 감소를 배경으로 스페인 등 유럽의 5개국은 2014년에 약 600만 톤의 LNG를 재수출함. 그러나 하반기에 들어 동북아 LNG 현물가격의

하락으로 재수출지역이 유럽, 중동, 남미 등지로 바뀌고 있음.

자료 : IHS Energy

< 2013년∼2014년 국가별 LNG 수입 증감 >

ㅇ 2014년에 체결된 장기계약들은 북미지역과 야말 프로젝트의 장기계약 이외에

는 대부분 포트폴리오 사업자의 장기계약임.

- 미국의 신규 장기계약은 Corpus Christi의 FOB 계약과 Freeport LNG와

Cameron LNG의 설비이용권을 가진 사업자의 매매계약임. 과거와 비교하면

계약물량 규모가 소량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야말 LNG의 SPA 이외에 캐나다에서 Woodfibre가 추진하는 210만 톤/년

규모의 프로젝트가 100만 톤/년을 25년간 중국(Guangzhou Gas Group)에

수출하는 계약(HOA)을 체결함.

ㅇ 한편으로 신규 LNG 공급물량을 많이 확보한 인도의 Gail, 중국의 Sinopec, 일본의 일부 구매자들은 북미, 호주 등지의 프로젝트와 계약한 물량 혹은 시설이

용 계약 용량의 일부를 매각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 가격 동향

ㅇ 아·태지역의 천연가스(LNG) 장기계약가격은 여전히 원유가격에 연동되어 결정

“최대 수입지역인 동북아지역의 수요정체와 신규 공급물량의 유입으로 국제 LNG 교역시장은 공급과잉 상황으로 변모함”

Page 7: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9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9

되는 반면 유럽지역의 장기계약가격은 시장가격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함.

- 유럽은 2010년 하반기 이후 현물가격과 수입계약가격 간의 연동성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음. 최근 장기계약물량의 50% 이상이 시장가격에 연동되는 방식

으로 변화하였으며3), 유가연동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재협상을 통해 가

격이 낮아져 현물가격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ㅇ 2014년 4/4분기의 원유가격 하락으로 유가 연동의 장기계약 LNG 가격이 큰

폭으로 낮아질 전망임.

- 동북아지역의 유가 연동 장기계약 가격은 현물 원유가격(FOB 기준)과 4∼6개월 정도의 시차가 있음. 따라서 동북아지역의 LNG 수입가격은 1/4분기 말

혹은 2/4분기 초부터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

※ 두바이 현물원유가격과 일본 평균 수입원유가격은 개략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

차가 있음. 또한, 동북아 수입 LNG 가격은 일본 평균 수입원유가격에 연동되는

데, 전월, 3개월 전, 직전 3개월 평균 등 과거의 수입원유가격에 연동됨.

주: 좌측 그래프는 모두 실적자료임. 우측 그래프에서 2015년 이후의 두바이유 가격 추정치는 IHS Energy의 전망치(2015년 1월)를 적용함. 우측 그래프에서 2015년 이후의 일본 월평균 LNG 수입가격 추정치는 4개월 전의 일본 월평균 원유 수입가격(JCC)을 적용하여 추정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EIA, BWA, IEEJ, IHS Energy

< 지역별 천연가스 가격 추이 및 유가 연동 시차 >

- 한편으로 2/4분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한 현물 LNG 가격은 이미 평균 수입가

격 하락에 반영됨. 그러나 2/4분기 이후 동북아지역은 가스 비수기로 전체

수입에서 현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 편임. 이에 따라 현물가격 하락이 평

균 도입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미미한 편이었음.

- 반면, 여름철 발전용 수요가 많은 대만, 남미 등은 현물가격 하락의 혜택을

누림. 하반기에도 현물가격이 계속 하락함에 겨울철 현물수요가 발생하는 한

국 등 동북아지역에서도 현물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가 인하 효과가 발생함.

3) IGU(2014)

“2014년 4/4분기의 원유가격 하락으로 유가 연동의 장기계약 LNG 가격이 큰 폭으로 낮아질 전망임”

Page 8: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ㅇ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빠듯해진 국제 LNG 수급 상황이 동북아와 유럽지

역의 수요정체와 신규 공급물량의 증가로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4분기

부터 현물가격이 급락함.

- 지난 10년간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수급상황에 따라

기간별로 확연히 구분되는 국제 LNG 현물가격의 등락을 경험함.

・ ∼2008년 공급부족 시기: ① 공급 여력이 축소되는 시점(유연 물량의 부

족)으로 일본 원전사고로 추가 수입수요 발생, ② 사할린 II 프로젝트 가

동 2009년으로 연기, ③ NLNG(나이지리아) T6 원료조달 차질, ④

Snøhvit 플랜트 고장, ⑤ Arzew 플랜트 불가항력 선언, ⑥ 유가 상승으

로 가스 선호, ⑦ 인도, 스페인과 일본 간의 물량 경쟁 등으로 2008년∼

2009년 겨울철 현물가격이 US$20/MMbtu 이상으로 급등함.

・ 2009년∼2010년 공급과잉 시기: 2009년에는 ① 금융위기로 가스수요 감

소, ② 신규 공급 확대 등으로 현물가격이 US$5/MMbtu 이하로 폭락함.

2009년 하반기부터 동북아의 수요 증가로 유럽 허브가격(영국 NBP)에

US$3.0/MMbtu 웃돈이 붙는 수준에서 동북아의 현물가격이 형성됨.

※ 러시아, 카타르 등 신규 프로젝트 가동으로 2008년 대비 2010년 LNG 공급이

29% 증가함. 2009년 초, 동북아 수요 감소로 호주산 LNG가 프랑스로 공급됨.

주: NBP(영국), HH(미국 헨리허브) front month futures price, 동북아 계약가격은

일본의 월 평균 LNG 수입가격

자료 : 에너지경제연구원, Thomson Reuters, IEEJ

< 2009년∼2015년 1월 현물가격 추이 >

・ 2011년∼2013년 공급부족 시기: 카타르, 예맨, 페루 등의 생산 용량 증

가와 미국의 수출물량 감소에 따라 상당한 유연 물량이 존재함. 그러나

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일본 추가 수입 수요 발생이 공급 부족

현상 유발함. ② 2012년∼2013년 중 신규물량 부족한 상황에서 말레이

시아(기술 문제), 예맨(테러 문제), 이집트(국내 수요증가), 인도네시아,

“지난 10년간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수급상황에 따라 기간별로 확연히 구분되는 국제 LNG 현물가격의 등락을 경험함”

Page 9: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11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11

알제리(가스 부족), 나이지리아(기술 및 조세문제), 노르웨이(기술 문제)

등의 공급물량 축소, ③ 2011년 Pluto 공급 지연, ④ 2013년 앙골라

LNG 신규 공급 차질, ⑤ 수요의 계절성, ⑥ 고유가로 인한 가스 선호,

⑦ 남미와 동북아 간의 물량 경쟁 등으로 현물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계절별로 크게 등락하는 현상을 보임. 한편, 공급물

량 부족과 침체한 유럽의 LNG 수요를 배경으로 한 대륙 간 교역을 늘렸

으며, 이에 따라 수송선 용선료가 대폭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함.

- 2014년 2/4분기 이후는 ① 신규 공급 확대, ② 기존 설비의 안정적 공급, ③경기 불안 및 온난한 기온에 따른 수요 정체, ④ 유가 하락, ⑤ 수송선 용량

의 여유 등으로 외견상 구매자에게 유리한 시장 상황이 전개되고 있음. 이에

따라 동북아지역의 현물가격이 큰 폭으로 낮아짐. 유럽의 허브가격과 동북아

현물가격 간의 격차가 거의 사라진 상황임.

□ 수송선 시장 동향

ㅇ 2014년 신규 선박 건조 주문이 대폭 늘어남. 2011년의 57척보다 많은 총 67척(야말 LNG의 쇄빙선 10척 포함)의 선박 건조 주문이 이루어짐.

-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현물 혹은 단기 용선료가 급등함에 따라 투기적인

주문이 많았던 2011년과 달리, 2014년에는 미국, 호주 등의 방대한 공급량을

배경으로 하는 교역지점이 정해진 선박 건조 주문이 대부분임.

ㅇ 2011/2012년에 주문한 선박의 인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2014년 용선료가 하락

함. 2011/12년에 건조 주문이 이루어진 선박의 상당수가 특정 사용처를 확보

하지 못한 것들임.

- 2014년 초부터 37척의 선박이 신규로 가동에 들어감. 수송선 용량의 증가가

LNG 생산량 증가를 능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물 용선료가 대폭 하락하

는 추세를 보임. 그리고 호주와 미국산 LNG 공급이 개시되는 시점까지는 잉

여 용량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됨.

자료 : Wood Mackenzie

< 연도별 LNG 수송선 건조 및 단기 용선료 추이 >

“수송선 용량의 증가가 LNG 생산량 증가를 능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물 용선료가 대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Page 10: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3. 향후 수급상황과 주요 변수

□ LNG 공급 여력의 증가

ㅇ IHS Energy의 자료로는 2020년 이전에 완공될 예정으로 건설 중인 플랜트의

총 용량은 약 1억 3,200만 톤/년으로 추정됨.

- 2014년에 PNG LNG, GL3Z(알제리) 등 신규 프로젝트의 추진으로 액화용

량이 1,000만 톤/년 정도 증가한 것을 고려할 때, 2015년∼2020년 중에는

액화 용량이 연평균 약 2,000만 톤/년씩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10개의 프로젝트(4,410만 톤/년)와 호주의 5개 프로

젝트(6,180만 톤/년)가 전체 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임.

-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로 야말 프로젝트가 2020년 이후로 완공 시점이 연

기될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미국과 호주의 비중은 90%를 웃돎.

ㅇ 호주와 미국산 LNG 공급의 증가에 따라 현물 거래 시장의 규모가 더욱 확대

될 것으로 보임.

- 호주에서 공급될 물량 중에 약 85%는 도착지가 지정된 유가 연동 가격 결정

방식을 채택한 장기계약에 종속됨. 따라서 약 1,000만 톤/년이 유연 물량으

로서 현물 혹은 단기거래 물량으로 아·태지역으로 유입될 것으로 보임.

- 2016년부터는 미국의 신규 공급물량이 시장에 유입됨. 전체 공급 예상 물량

중 약 30%만 도착지가 지정된 장기 계약 물량임. 미국산 LNG의 공급 개시

에 따라 국제 LNG 현물시장의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ㅇ 2008년∼2013년 중 경험한 사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가동에 장애

가 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기존 프로젝트의 생산이 제약될 수 있음. 이에

따라 수급상황이 불안정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음.

- 원료조달 문제(알제리, 트리니다드 토바고), 자국 수요 증가 문제(이집트), 신규 가스전 개발 필요(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기술문제로 가동

지연(앙골라) 등으로 기존 프로젝트들의 플랜트 가동률이 하락할 수 있음.

※ 호주의 탄층가스-LNG 플랜트 가동률도 원료가스의 원활한 공급을 전제로 함.

ㅇ 또한, 수요의 정체, 액화설비 투자비 증가와 함께 4/4분기의 유가 하락은 신규

LNG 프로젝트의 개발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

- 유연 물량의 증가에 따른 경쟁심화와 유가 하락으로 판매가격이 낮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투자를 가능하게 할 수요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음. 이는 결국 신규 프로젝트, 특히, 비전통적인 자원이나 생산방식, 기반시설이

부족한 신규 프로젝트들의 추진을 어렵게 할 수 있음.

※ IHS Energy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기존의 예정된 가동 시점과 대비해 모잠비

“2016년부터는 미국의 신규 공급물량이 시장에 유입되며, 미국산 LNG의 공급 개시에 따라 국제 LNG 현물시장의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Page 11: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13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13

크 6년, 탄자니아 4년, 동러시아 6년, 서호주 해상 6∼9년, 캐나다 5∼8년 정

도 사업이 지연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됨.

□ 지역별 수요 변화

ㅇ IHS Energy 등 전문기관들은 2014년∼2020년 중에 세계 LNG 수입 수요는 연

평균 약 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 기간에는 유럽지역의 수요가 점

차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저유가와 낮은 현물가격이 수요 증가에 도움을 줄 것

으로 전망됨.

- 중단기적으로 세계적인 LNG 생산 용량의 확대에 따른 과잉공급이 신규 수

요를 창출하는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은 편임.

ㅇ 향후 LNG 수요 증가는 아·태지역의 수요, 특히 중국, 인도, 동남아 지역 등 신규

수입국의 수요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 원전 재가동으로 일본의 발전용 천연가스 수요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

만, 산업용 수요 증가에 따라 감소 폭이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음. 한국과 대만

도 원전(혹은 석탄발전) 비중의 증가로 수요가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지금까지 중국의 천연가스 수요는 전체 소비의 46%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

용 수요가 주도함. 2014년에는 구조적인 변화보다는 경제성장률 둔화, 환경

정책, 수력발전 증가 등 외생적인 요인에 의해 수요 증가가 둔화됨.

- 2020년까지는 중국의 LNG 수요가 많이 증가하리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

임. 그러나 러시아산 PNG 도입이 본격화되고 자국산 가스 생산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0년 이후에는 LNG 수요 증가가 정체될 것으로 예상

※ Wood Mackenzie와 IHS Energy는 2020년까지 중국의 LNG 수요가 2014년

대비 3∼3.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그러나 2020년∼2025년 중에는

LNG 수요가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최근 Sinopec은 장기계약물량 처분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제삼자에 매각하려는

움직임을 보임(인사이트 제14-45호(2014.12.13.일자) 참조).

- 2020년까지 LNG 연평균 수요 증가율이 25%를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

아지역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이 LNG 수입 증가를 주도할 것으

로 보임. 유가 하락과 아·태지역 LNG 현물가격의 하락은 인도의 LNG 수입

을 늘리는 데 일조를 할 가능성이 있음.

ㅇ 천연가스 가격의 하락에 따라 주요 LNG 수입국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주요 수입국인 터키는 석탄, 원전, 수력 등에 대한 비중 확대 정책에 따라 LNG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

며,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 신규 수입국의 수요가 터키의 감소분을 대체할 것

으로 추정됨.

ㅇ 중남미지역은 지역 내 가스조달의 증가로 신규 수입국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향후 LNG 수요 증가는 아·태지역의 수요, 특히 중국, 인도, 동남아 지역 등 신규 수입국의 수요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

Page 12: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현안 분석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수요는 2014년 수준에서 많이 늘어나지 않으리라고 추정됨. 그러나 고온, 가뭄

등과 같은 외부 여건에 따라 수요가 가변적인 특징이 있어 북반구의 동절기

LNG 현물거래가격을 교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

ㅇ 중동지역은 자체 생산의 부족에 대응하여 LNG 수입터미널을 확충하고 있어

수입 잠재력이 큰 편임. 그리고 바레인, 요르단 등의 시장진입도 수입 수요를

늘리는데 한몫을 할 것으로 보임.

□ 교역부문

ㅇ 2011년∼2014년 중에는 중동과 대서양지역의 유연 물량이 수요가 증가하는

아·태지역으로 유입됨에 따라 아·태지역의 수입 비중이 약 13%p 증가함. 그러

나 동북아지역의 수요 증가 둔화로 2020년까지는 연간 수요 증가보다 많은

LNG가 공급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LNG 시장은 구매자에 유리한 상

황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은 편임.

- 신규로 유입된 유연 물량들은 계약이 종료되는 기존 프로젝트들의 추가 공급

가능한 물량과 경쟁할 가능성도 있음.

- 그러나 실제 형성되는 현물가격은 수요국의 계절별 기상상태, 기존 액화 플

랜트 가동 상황, 신규 액화 플랜트의 가동 연기, 경제성장, 생산국의 정정불

안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등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음4).

ㅇ 에너지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환경에서 지역 시장간 상호 연계가 강화될 수

있음. 특히, 중단기적으로 동북아지역의 현물가격과 유럽의 허브 가격 간의 격차

가 축소됨에 따라 잉여 LNG 물량이 유럽으로 유입될 수 있음.

- 유럽의 발전부문 수요에 의해 좌우되는 유럽의 허브 가격이 동북아 LNG 가격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ㅇ LNG 시장 내에 유연 물량이 증가하게 되면, 현물 및 단기 교역시장의 규모가

확대되어 저유가임에도 불구하고 현물가격이 장기 계약가격을 밑돌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됨. 이는 잉여 저장설비나 발전설비를 갖춘 시장이 저렴한 LNG를

구매할 기회를 제공함.

- 일본, 한국, 대만 등의 수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가격에 민감한 유럽, 중국, 인도 동남아 등의 시장이 수요를 주도할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이들 시

장의 수요와 현물시장 가격이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보임.

ㅇ 한편으로 구매자에게 유리한 시장환경이 조성되면, 구매자들은 선택의 범위가

넓어짐. 이에 따라 가격뿐만 아니라 가격 외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도 달라질

4) 2015년 들어 일부 생산시설의 가동이 중단되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됨. Reuters에 따르면, 2015년 1월 23일, 예멘 정부가 국내 정치 불안을 이유로 계약상의 불가항력 조항을 적용하였다가 1월 30일 철회함.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공급량이 축소되기도 함. 그리고 1월 27일에는 노르웨이의 Snøhvit LNG가 가스누출로 가동이 중단됨. 그러나 시황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임.

“동북아지역의 수요 증가 둔화로 2020년까지는 연간 수요 증가보다 많은 LNG가 공급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LNG 시장은 구매자에 유리한 상황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은 편임”

Page 13: 국제 LNG 시황 및 주요 이슈 · 2020. 8. 13. · 최종 투자 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4건의 프로젝트(총 용량 3,000만 톤/년)만이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현안 분석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8호 2013.3.1 15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5호 2015.2.6 15

것으로 예상됨.

- 유가 및 현물가격 하락으로 LNG 계약가격 결정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음. 원유가격 하락으로 인해 동북아 구매자들이 헨리 허브 가격에 연동

하는 가격 결정방식을 계속해서 선호할지는 유가 하락세의 지속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임. 한편으로 유가 하락에 따라 유가연동방식에 대한 논의

에서 S-곡선의 설정과 관련된 사항도 중요한 논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임.

- 저유가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LNG 가격은 아·태지역 계약가격 결정에 있어

하나의 잣대가 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유가연동 LNG 가격과 대비해 경쟁

력이 낮아질 수도 있지만 유연한 계약조건은 여전히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시장의 변화로 구매자들은 추가적인 위험요소(비전통기술, 경험 부족 사업자

의 회피 등)를 최소화하거나 설비임차방식의 구매 등을 지양할 가능성이 높

음. 또한, 시장 상황의 변화에 대응하여 유연한 구매(도착지, TOP, 소량 구매

등의 계약조건이 유연한 구매)를 선호할 수도 있음.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관련 각 호

日本エネルギー経済硏究所, ‘2014年LNG業界重大トピックス’, 2015.1GIIGNL, The LNG Industry in 2014, 2015 IGU, Wholesale Gas Price Survey 2014 Edition: a global review of price

formation mechanisms 2005-2013. 2014IHS Energy, “Goodbye to Four Years of Status Quo”, IHS Energy Market

Briefing, 2014.12__________, “The Costs of Flexible LNG Supply in a Loose Market”, 2014.12__________, “The Impacts of Low Oil Prices on LNG: A case of collateral

damage”, 2015.1__________, “Global LNG Market Outlook – Q4:2014 Update: The Sudden

End to a Tight market”, 2015.1__________, “2014 Trends in the Global LNG Trade”, 2015.1LNG Business Review, “LNG in 2014 – the year in review”, Vol. 8, Issue 1,

2015.1 ___________________, “Facing market realities: what will become of projects

struggling to take FIS?”, Vol. 8, Issue 1, 2015.1 ___________________, “Outlook for spot prices and market fundamentals in

Asia”, Vol. 8, Issue 1, 2015.1 Wood Mackenzie, “The LNG Industry in 2014”, 2014.1______________, “Asian LNG pricing and low oil prices”, 2014.12______________, “Global LNG long-term outlook Q4 2014”, 2014.12.______________, “Global Gas & LNG: 5 things to look for in 2015”, 20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