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 요 약 > 본 연구는 좌측 편측무시 환자에게 안대로 우측 눈을 가린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하였을 때 균형, 시지각 기능과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출혈 및 뇌경색으로 뇌졸중이란 진단을 받은 환자로 발병이 6개월 이상 경과하고 연구목적에 동의한 좌측 편마비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기간은 2008년 4월 28일부 터 2008년 6월 5일까지 6주간 주 5회 30분씩 시행하였다. 실험군(n=13)은 우측에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하였으며, 대조군(n=12)은 우측에 안대 착용 후 체중부하 훈련을 시행하였다. 실험 전후 평가는 균형 검사, 시지각 검사와 선 이등분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균형 검사의 집단간 비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시지각 검사인 MVPT-V 의 집단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 한 향상이 있었다. 편측무시 검사인 선 이등분 검사의 비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 를 보였고, 전후 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편측무시의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편 측무시 환자에게 눈을 가린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균형, 시지각 기능의 회복과 편측 무시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 눈 가리기, 선 이등분 검사, 시각적 피드백 훈련, 시지각 검사, 편측무시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3, pp. 217~237, 2008.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after the Eye Patching Method to Stroke Patients with the Unilateral Neglect 이 동 진 * ᆞ 이 완 희 ** Lee, Dong Jin ᆞ Lee, Wan Hee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과 강사(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myook University ** 삼육학교 물리치료과 교수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myook University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요 약 >

본 연구는 좌측 편측무시 환자에게 안대로 우측 눈을 가린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하였을 때 균형, 시지각 기능과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출혈 및 뇌경색으로 뇌졸중이란 진단을 받은 환자로 발병이 6개월 이상 경과하고 연구목적에 동의한 좌측 편마비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기간은 2008년 4월 28일부터 2008년 6월 5일까지 6주간 주 5회 30분씩 시행하였다. 실험군(n=13)은 우측에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하였으며, 대조군(n=12)은 우측에 안대 착용 후 체중부하 훈련을 시행하였다. 실험 전후 평가는 균형 검사, 시지각 검사와 선 이등분 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균형 검사의 집단간 비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시지각 검사인 MVPT-V의 집단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편측무시 검사인 선 이등분 검사의 비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후 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편측무시의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편측무시 환자에게 눈을 가린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균형, 시지각 기능의 회복과 편측무시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 눈 가리기, 선 이등분 검사, 시각적 피드백 훈련, 시지각 검사, 편측무시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7, No. 3, pp. 217~237, 2008.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after the Eye

Patching Method to Stroke Patients with the Unilateral Neglect

이 동 진* ᆞ 이 완 희**

Lee, Dong Jin ᆞ Lee, Wan Hee

* 삼육대학교 물리치료과 강사(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myook University

** 삼육학교 물리치료과 교수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myook University

Page 2: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18 -

Ⅰ. 서 론뇌졸중은 뇌의 허혈성, 또는 출혈성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질환으로 뇌졸중

환자의 약 60 ~ 80%는 보행장애, 손가락장애, 언어장애, 감각장애, 지각ᆞ인지장

애 등을 동반하며, 지각장애는 신체상과 신체구성의 곤란, 공간관계의 문제, 실인

증, 실행증을 초래하여 심각한 기능장애의 원인이 되고 있다(정한영 등, 1999).

대표적인 지각장애로 편측무시(unilateral neglect)를 예로 들 수 있다. 편측무시

는 전체 뇌졸중 환자의 40% 이상에서 보여 지며(Paolucci 등, 2001), 대뇌반구

의 반대 측에 주어지는 자극에 대한 반응이나 판단에 대한 무능력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Menon-Nair 등, 2007). 공간 집중력은 우뇌반구에서 일차적으로 담당

하기 때문에 좌뇌반구 손상보다 우뇌반구 손상을 통한 좌측 편마비일 경우 편측

무시가 더 심각하고 치료기간이 길어진다(Halligan & Marshall, 1994; Posner

& Peterson, 1990). 우뇌반구 손상 후 공간의 무시로 인해 비대칭적으로 선을

이분하거나 무시된 쪽의 그림을 인식하지 못하고, 식사 시 환측에 있는 음식을

인지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Deusen, 1988). 또한 심한 공간 지각

장애가 있는 환자는 보행과 의자차 이동시 환측에 있는 사물에 대해 무관심해지

고 거리 판단 능력에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전중선 등, 1997).

시지각은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망막에서 얻은 기초 자료를 인지개념

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시각정보를 중추신경계에서 통합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과

정으로, 동안운동 조절, 시야, 시각집중과 시각탐색으로 발전하여 형상인식, 시

각기억을 거쳐 상위수준인 시각인지가 완성되며 서로 상호협력 한다(Warren,

2001). 뇌졸중 환자에게 시지각 장애를 동반한 편측무시 현상은 균형과 기능회

복 여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장기연, 1996).

Siev 등(1986)은 지각장애 중 공간관계를 시지각으로 보았으며 여기에는 전

경배경, 모양불변성, 공간에서의 위치, 공간관계, 깊이와 거리지각으로 나누어

뇌졸중의 기능회복 정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라고 하였다. Robertson

(1989)도 편측무시와 주의력의 저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

서 편측 무시환자 치료가 쉽지 않다고 하였다.

Neistsdt(1990)는 환자의 시지각 기능을 최대화 하기위해 특정한 과제를 반

복적으로 연습하여 문제의 원인보다 증상을 치료하는 보상적 접근법(compen

­satory approach)과 뇌의 가소성에 근거한 지각 기술훈련법인 교정적 접근법

(remedial approach)을 제시하였다. 교정적 접근방법의 일환으로 편측무시 측에

불빛을 주거나 비손상측 눈을 가리는 방법 등 시각적 정보입력을 조정하는 방법

Page 3: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19 -

이 연구되었고 유의한 수준의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Rorsman, Magnusson,

& Johanson, 1999; Smania 등, 1997).

Pizzamiglio 등(1992)도 시공간 추적훈련(visuo-spatial scanning training)

에서 편측무시에 효과를 보고하였고, Butter와 Kirch(1992)는 편측무시가 있는

환자의 눈을 가리고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준 결과 효과적인 편측무시의 감소를

보였다고 하여서 시각적 자극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rai 등(1997)도 양쪽

눈의 뇌손상 동측 부분을 가리는 안경을 사용하여 10명의 환자에게 선 이등분

검사, 알버트 검사, 정육면체 그림모방검사를 시행한 결과 그 효과를 확인하였

고, Frassinetti 등(2002)은 프리즘을 이용한 치료로 편측 공간무시가 호전되었

음을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도 공명자와 유은영(2002)은 편측무시 환자에게 눈

가리기 방법을 통한 개별실험 연구로 기초선 A기간에서 3회 측정, 치료단계 B

기간에는 안대 착용 후 6회 측정, 다시 안대를 제거하는 A기간에서 4회 측정을

통한 ABA 방법으로 단기적 집중력을 향상시켜 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조절하

는 능력을 발달시켜 선 이등분 검사와 알버트 검사에서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

였다.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고전적 물리치료인 체중부하 훈련 방법의 대안으로 시

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하지에 체중부하를 주는 방법으로 뇌졸중 환자에게 신체

의 움직임과 공간 관계를 파악하여 균형 및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환자의 집중과 반복적 학습이 가능

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Dault 등, 2003). 또한 기존의 체중부하 방법은 객관

적으로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어려운데 비하여 시각적 피드백 장비를 통한 훈련

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고 하였다(De Haart, 2004). 국내에서도

김재현(2007)이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훈련으로 편측무시가 있는 환자의 균

형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숫자 변환 및 공간에 대한 위치 파악 및 집

중력 훈련을 반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시각적 프로그램은 시지각

및 편측무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대부분의 연구가 균형, 보행 속도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

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안대로 눈을 가린 후 시각적

피드백 자극을 주는 과제를 이용하여 균형과 편측무시 및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age 4: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0 -

Ⅱ. 연구 방법1. 연구 대상 및 기간

본 연구 대상자는 S 종합병원의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에 입원 중인

환자로 연구 목적과 내용을 이해하고 자발적인 실험 참여에 동의한 자, 전산화

단층촬영 후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 뇌졸중 발병이 6개월 이상 경과하여 자연

회복의 가능성이 떨어지는 자, 독립적으로 서기가 가능한 자, 백내장, 녹내장 등

안과 질환으로 인한 시력 상실이 없는 환자,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에서 20점

이상으로 의사소통과 이해가 가능한 자, 선 이등분 검사 시 중앙에서 벗어난 길

이가 6.3mm 이상인 경우로 편측 무시로 진단된 좌측 편마비 환자 25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8년 4월 28일부터 6월 5일까지 6주간 실시하였다.

2. 실험 설계본 연구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로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정은 편측무시가 있고 시지각에 장애가 있

는 환자를 의무기록지로 선별한 후 단순 무작위법에 의하여 분류하였다. 실험

대상자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실험에 동의한 환자에게 진행되었다. 실험군(n=

13)과 대조군(n=12)은 사전에 균형 검사, 시지각 검사와 선 이등분 검사를 하

였으며 사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중재 방법으로 편측무시에 효과를 보인 공명자와 유은영(2002)의 방법을 응

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안대로 우측 눈을 가린 상태에서 훈련을 시행하였

다. 대조군은 안대를 착용하고 선 자세에서 물리치료사에 의한 환측 하지에 체

중부하 훈련을 6주 동안 주 5회 매회 30분씩 시행하였다. 체중부하 훈련은 치

료사의 지도하에 환측 하지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하지의 체중을 유도하는 훈

련을 통하여 균형, 보행 및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많이 이용되어지는 고전적 물

리치료이다(Laufer, 2003). 실험군은 Sihvonen, Sipila와 Era(2004)의 연구에

서 4주 동안 주 2회 매회 30분의 시각적 피드백 훈련으로 균형 향상을 보인 방

법을 응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대를 착용한 후 선 자세에서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사과 수집하기와 벽돌 깨기 방법을 이용하여 6주간 주 5회 매회 30분씩

실시하였다.

Page 5: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21 -

3. 연구 도구 및 측정방법1) 시각적 피드백 훈련 도구

시각적 피드백 훈련은 Balance Trainer(medica Medizintechnik GmbH,

Hochdorf, Germany, 2000) 장비를 사용하였다. 이 장비는 균형 능력이 손실된

뇌졸중 환자, 편측무시 환자, 하지마비 환자 등에게 선 자세에서 하지의 체중 부

하 연습과 다양한 시청각적 효과를 통하여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반

후방과 마비측 슬관절 앞에 받침대로 고정이 가능하여 신체의 바른 정열이 가능

하고, 상지를 안정시킬 수 있는 판이 있어 편하게 지지가 가능하며, 양쪽을 지지

하는 기둥의 하방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전후,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여 체

중 부하훈련이 가능하며 컴퓨터에 내장된 시각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쉽게 훈련을 할 수 있는 장비이다(Matjacić, Johannesen, & Sinkjaer, 2000).

본 연구에서 시각적 훈련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내장된 여러 가지 방법 중에

사과 수집하기, 벽돌 깨기로 연습하였다. 사과 수집하기는 선 자세에서 화면 안

에 있는 사과라는 가상의 목표지점에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하지의 체중을 이

동해야 한다. 또한 사과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고 사과의 숫자, 크기 및 거리 조

절이 가능하다. 벽돌 깨기는 벽돌이 모니터 상에 정면 위쪽과 좌우 측면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우측에 안대를 착용한 후에 편

안히 균형 훈련 장비에 선 자세에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환자가

힘들어 할 경우는 즉시 쉬게 하였다.

한 명의 물리치료사로 하여금 장비의 조작과 갑자기 발생하는 위험에 대비하

게 하였다.

2) Standing balance의 평가균형 측정은 Good balance system(Metitur Ltd, Jyväskylä, Finland,

1993)으로 하였으며, 균형의 동적, 정적 평가가 가능하고 훈련할 수 있는 장비

로 노인과 뇌졸중 환자 등에게 균형을 측정하는 장비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

고 있다(Sihvonen 등, 2004). 이 장비의 힘 판(force platform)은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800×800×800mm), 3-채널의 직류 증폭에 연결되어 압력중심

점에서 X축과 Y축으로 움직인 동선 거리(mm)의 총 면적에 평균속도를 측정하

여 mm2/s 단위로 환산한 결과 값으로 균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정적 균형 측정은 발을 편하게 하고 30초 동안 눈을 뜨고(eyes

open, EO)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고 한 명의 물리치료사가 만약에 발생할

Page 6: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2 -

수 있는 낙상 위험에 대비하였다. 피검사자에게 사전에 연습을 통하여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켰다.

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Vertical format (MVPT-V)시지각력 평가 도구인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Vertical

format(MVPT-V)는 시각 장애와 성인 뇌손상과 관련되어 기능을 측정하기 위

해 만들어졌다. 운동능력을 포함하지 않는 검사도구로 쓰기가 불가능한 운동 기

능 손상 환자에게도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높은 신뢰도(r=.93)와 타

당도(p=.001)를 보이는 표준화된 도구이고 다른 검사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되

는 유용한 검사도구이다(Mercier 등, 1997). MVPT-V는 총 36문항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예제와 같은 그림을 찾는 시각적 구별(visual discrimination,

VD), 숨어 있는 그림을 찾는 전경배경 구분(figure-ground, FG), 그림을 보여

준 후 예제 중 본 그림을 찾는 시각적 기억(visual memory, VM), 선들을 연결

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시각 완성(visual closure, VC), 그림들 중 다른 하나를

찾는 공간관계(spatial relation, SR)의 총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 문

항 당 1점씩으로 환자의 시지각 연령을 알 수 있도록 되어있다(Katherine 등,

2006).

본 연구에서는 36 문항의 총 점수를 치료 전과 후에 작업치료사가 측정하였다.

4) 선 이등분 검사(Line Bisection Test)선 나누기 검사는 편측무시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 검사는 다양한 길

이의 20개의 선들이 21.5cm×28cm 규격의 용지에 중앙, 왼쪽, 오른쪽에 각각

6개씩 배열되어 있다. 검사방법으로 검사용지를 대상자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연필을 이용하여 각 선의 중앙점을 표시한다. 점수는 각 선의 실제 중앙점과 대

상자가 표시한 중앙점 사이의 거리를 mm단위로 측정하고, 그 값들을 더하여 선

의 개수로 나누어 구한다. 중앙에서 벗어난 길이가 6.3mm 미만인 경우에는 정

상, 6.3mm 이상인 경우에는 경한 편측무시, 12.5mm 이상인 경우에는 심한 편

측무시로 판정한다(Schenkenberg & Brodford, 1980). 선 이등분 검사는 편

측무시 검사에 쓰이는 도구로 검사자간 신뢰도(r=0.82)가 높은 도구이다(Zoltan,

1996).

본 연구에서도 위 측정 방법에 따라 편측무시를 판정하였으며 치료 전과 후에

작업치료사가 측정하였다.

Page 7: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23 -

<표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비교

변수 실험군(n=13) 대조군(n=12) t p

연령(세) 59.54(8.90)a 56.67(6.13) .932 .361

신장(cm) 159.54(8.57) 158.92(7.60) .191 .850

체중(kg) 62.85(9.68) 65.17(11.68) -.543 .593

a평균(표준편차)

4. 분석 방법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대상자

의 일반적, 질병적 특성의 동질성은 Student t-test와 Pearson χ2 을 이용하였

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

를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비교는 ANCOVA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실험군에서 평균 59.54(8.90)세 이었고, 대조군에서 평

균 56.67(6.13)세 이었다. 신장은 실험군에서 159.54(8.57)cm이었고, 대조군

에서 158.92(7.60)cm이었다. 체중은 실험군에서 62.85(9.68)kg이었고, 대조

군에서 65.17(11.68)kg이었다. 연령, 신장, 체중은 집단 간 차이가 없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1>.

2. 연구대상자의 질병적 특성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실험군에서 남자가 6명(46.2%), 여자가 7명(53.8%)이

었고, 대조군에서 남자가 5명(41.7%), 여자가 7명(58.3%)이었다. 병명은 실험

군에서 뇌출혈이 9명(69.2%), 뇌경색이 4명(30.8%)이었고, 대조군에서 뇌출혈

Page 8: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4 -

<표 3-2> 연구 대상자의 질병적 특성과 동질성 비교 명(%)

변수 구분 실험군(n=13) 대조군(n=12) χ2 p

성별남 6(46.2) 5(41.7)

.051 1.000여 7(53.8) 7(58.3)

병명뇌출혈 9(69.2) 6(50.0)

.962 .327뇌경색 4(30.8) 6(50.0)

감각 손상정상 6(46.2) 3(25.0)

.321 .571약한 손상 7(53.8) 9(75.0)

발병 시기7 ~ 12개월 6(46.2) 3(25.0)

1.212 .27113개월 이상 7(53.8) 9(75.0)

MMSE-K20 ~ 24점 6(46.2) 8(66.7)

.427 .51325점 이상 7(53.8) 4(33.3)

Brunnström

단계

Ⅳ단계 5(38.5) 5(41.7)

.561 .755Ⅴ단계 6(46.2) 4(33.3)

Ⅵ단계 2(15.4) 3(25.0)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MMSE-K :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

이 6명(50%), 뇌경색이 6명(50%)이었다. 감각 손상은 실험군에서 정상이 6명

(46.2%), 약한 손상이 7명(53.8%)이었고, 대조군에서 정상이 3명(25%), 약한

손상이 9명(75%)이었다. 발병 시기는 실험군에서 7 ~ 12개월까지가 6명

(46.2%), 13개월 이상이 7명(53.8%)이었고, 대조군에서 7 ~ 12개월까지가 3

명(25%), 13개월 이상이 9명(75%)이었다. 한국형 정신상태약식검사(MMSE-

K)는 실험군에서 20 ~ 24점까지가 6명(46.2%), 25점 이상이 7명(53.8%)이었

고, 대조군에서 20 ~ 24점까지가 8명(66.7%), 25점 이상이 4명(33.3%)이었

다. Brunnström 단계는 실험군에서 Ⅳ단계가 5명(38.5%), Ⅴ단계가 6명

(46.2%), Ⅵ단계가 2명(15.4%)이었고, 대조군에서 Ⅳ단계가 5명(41.7%), Ⅴ

단계가 4명(33.3%), Ⅵ단계가 3명(25%)으로 각 변수는 집단 간에 동질한 것

으로 나타났다<표 3-2>.

Page 9: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25 -

<표 3-3> 서기 균형의 집단 내 전후 비교 단위(mm2/s)

집단 시기 평균(표준편차) t p

실험군(n=12)

전 54.10(16.21)4.437 .001

후 40.09(10.98)

대조군(n=10)

전 57.02(8.04)4.616 .001

후 45.97(10.13)

<표 3-4> 서기 균형의 집단 간 비교

소스 제Ⅲ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수정모형 1314.039a 2 657.020 9.828 .001

절편 214.141 1 214.141 3.203 .087

사전 공변량 1098.144 1 1098.144 16.426 .001

집단 115.248 1 115.248 1.724 .203

오차 1470.759 22 66.853

합계 48812.210 25

수정합계 2784.798 24

a공분산분석

3. 서기 균형의 비교30초 동안 선 자세에서 동요 면적의 집단 내 전후 비교와 집단 간에 공분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3>, <표 3-4>.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군

(t=4.437, p=.001)과 대조군(t=4.616, p=.001) 모두 실험 전후 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균형 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공분산 분석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724, p=.203). 이러한 결과는 균

형의 향상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 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Page 10: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6 -

<표 3-5> 시지각 능력의 집단 내 전후 비교 단위(점)

집단 시기 평균(표준편차) t p

실험군(n=13)

전 22.85(3.81)-5.234 .000

후 28.23(3.83)

대조군(n=12)

전 21.33(3.10)-4.204 .001

후 23.67(3.53)

<표 3-6> 서기 균형의 집단 간 비교

소스 제Ⅲ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수정모형 263.518a 2 131.759 16.154 .000

절편 63.246 1 63.246 7.754 .011

사전 공변량 133.532 1 133.532 16.371 .001

집단 73.389 1 73.389 8.998 .007

오차 179.442 22 8.516

합계 17395.000 25

수정합계 442.960 24

a공분산분석

4. 시지각 점수의 비교각 집단의 시지각 점수의 집단 내 전후 비교와 집단 간 공분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5>, <표 3-6>. MVPT-V 점수의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군

(t=-5.234, p=.000)과 대조군(t=-4.204, p=.001)은 실험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시지각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공분산 분석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8.998, p=.007). 이러한 결과는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이 체중부하 훈련을 한 대조군에 비해

시지각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Page 11: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27 -

<표 3-7> 편측무시 향상의 집단 내 전후 비교 단위(mm)

집단 시기 평균(표준편차) t p

실험군(n=12)

전 20.33(3.47)5.856 .000

후 14.89(4.25)

대조군(n=10)

전 22.05(3.79)4.320 .001

후 18.35(2.95)

<표 3-8> 편측무시 향상의 집단 간 비교

소스 제Ⅲ유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수정모형 360.923a 2 180.461 28.732 .000

절편 1.600 1 1.600 .255 .619

사전 공변량 174.015 1 174.015 27.706 .000

집단 102.238 1 102.238 16.278 .001

오차 138.177 22 6.281

합계 8166.203 25

수정합계 499.099 24

a공분산분석

5. 선 이등분 검사의 비교본 연구에서 선 이등분 검사의 집단 내 전후 비교와 공분산 분석의 결과는 다

음과 같다<표 3-7>, <표 3-8>. 실험군(t=5.856, p=.000)과 대조군(t=

4.320, p=.001) 모두 실험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선 이등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 분석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6.278, p=.001).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이 체중 부하 훈련을 한 대조군보다 편측무시의 감

소정도가 우세함을 알 수 있다.

Page 12: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8 -

Ⅳ. 고 찰뇌손상으로 기인하는 편측무시 현상은 균형의 손상 및 시지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Gorden 등, 1985). 현재 임상에서 간

편하게 쓰이고 있는 편측무시 검사로 선 이등분 검사, 알버트 검사, 시계그리기

검사 등이 있다. 박소연과 유은영(2002)은 96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뇌졸

중 환자에게 많이 사용하는 시지각 평가도구를 조사한 결과 MVPT(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가 56.3%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다른 검사들이 시지각의 세부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표준화가 되

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MVPT-V는 MVPT와 문항은 같으나 MVPT가 수평적

형태로 질문문항이 구성되어 있는 반면 MVPT-V는 수직적 형태로 되어 있어

편측무시 환자의 시지각 능력 평가에 적절하다. 편측무시 환자는 균형의 손실도

동반하기 때문에 De Haart(2004)는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통한 균형 연습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시각적 피드백 훈련 후에 편측무

시 정도나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본 사례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Arai 등(1997)이 안대 착용 후 편측무시에 효과를 본 사례를 근거로

편측무시 환자에게 체중부하 훈련을 시행한 대조군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시

행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균형, 시지각 능력 및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해 보았다.

균형 측정은 집단내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은 54.10mm2/s에서 40.09mm2/s

로 동요 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조군도 57.02mm2/s에서 45.97mm2/s

로 유의한 동요 면적의 감소가 보였다. 그러나 사전 측정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

산 분석은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볼 때 체중부하 훈련과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치료에 따른 차이 없이 균형향상에 모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Dault 등(2003)은 뇌졸중 환자에게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통하여 균형과 기능에

향상을 보였다고 하였고, Littbrand 등(2006)도 기능적 체중 부하 훈련이 균형

의 향상은 물론 일상생활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Walker 등(2000)

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기본적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만 시행한 대조군과 추가

로 시각적 피드백 훈련군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구두적 자극을 통

한 체중부하 훈련군의 비교에서 모두 균형 및 보행의 향상은 보이지만 측정시기

에 따라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서 자연적 회복기가 지난 만성기에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 회복이 지난 6개월 이상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균형 측정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아

Page 13: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29 -

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환자의 발병

시기별로 나누어 다양한 균형 측정도구로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시지각 측정 도구인 MVPT-V로 측정한 집단내 전후 비교는 실험군은 22.85

점에서 28.23점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대조군도 21.33점에서 23.67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사전 시지각 점수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 분석에

서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자극을 준 시각

적 피드백 훈련이 고전적인 체중부하 훈련만 시행한 대조군보다 더 효과적이었

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각적 피드백 훈련 프로그램은 벽돌이 모니터의 위쪽, 좌

측, 우측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편측무시 방향으로 유도하여 훈련할 수 있고, 사

과가 모니터 주위에서 원형으로 배치되어 사과 크기와 수 조절이 가능하여 시각

적 기억 및 시각 완성 항목 등의 향상으로 시지각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리

라 사료된다.

정복희(2004)는 6개월 이내에 발병한 뇌졸중 환자 47명에게 Table Top 시

각적 치료도구를 이용한 연구에서 6주 동안 주 5회 30분간 치료 후에 시지각

평가도구인 MVPT에서 항목별로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고 하였다. 특히, 시각적

구별(VD)은 4.88점에서 6.13점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시각적 기억(VM)

은 4.0점에서 5.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총 점수(RS)도 20.38점에서

24.38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서 시각적 자극은 시지각에 큰 영향을 주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Weinberg 등(1997)도 우측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 25명의 시각추적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과 32명의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시

행한 대조군에서 편측 공간무시의 호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하여서 시각

적 피드백을 병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지각의 향상을 보인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향후 본 연구의 시지각 점수의 항목 별로 비교가 이루어진다면 시지각 향상의

원인을 더 근본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편측무시에 대한 선 이등분 검사에서 실험군은 실험 전 20.33mm

에서 실험 후 14.89mm로 26%의 편측무시의 향상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실

험 전 22.05mm에서 18.35mm으로 16%의 향상이 있었다. 사전 편측무시에 대

한 선 이등분 검사를 공변량으로 하여 측정한 공분산 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체중부하 훈련만을 실시한 대

조군보다 효과가 더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우측의 자극감소를 통한 편측무시의 향상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제안되어졌

다. Chedru, Leblanc과 Lhermitte(1973)는 편측무시 반대편에 시각적 자극을

줄여줌으로써 시각운동의 불균형을 교정해 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Mark,

Page 14: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30 -

Kooistra와 Heilman(1988)은 건측 시야의 자극감소 방법을 통하여 환측 시야

에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집중시킴으로써 편측무시의 감소가 있었다고 하였다.

Hjaltason과 Tegmer(1992)도 어두운 방과 빛이 있는 일반 방에서 발광다이오

드를 사용하여 알버트 검사 후에 어두운 방에서 편측 공간 무시의 향상이 있었

다고 하였으며, Robertson 등(1995)은 전반적인 주의력의 저하가 편측 공간무

시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고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환자에서

과제 수행 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공간무시와 주의력 결핍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Robertson 등(1997)의 연구에서도 반

복적인 자기 지시훈련을 통해 주의력과 편측 공간무시가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

고, Julkunen 등(2003)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 후에 편측 공간무시

가 호전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벽돌 깨기,

사과 수집하기 등으로 흥미를 유발을 일으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반복 학습

이 가능하여 단순한 체중부하 훈련보다 시지각 및 편측무시의 향상과 집중력 증

가에도 효과적이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집중력에 관한 검사를 통하여 상관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공명자와 유은영(2002)의 연구

에서도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안대를 착용 후 6회 측정, 안대를 제

거하고 4회 측정을 통해 선 나누기 검사 결과 평균 16.3mm에서 10.3mm으로

37%의 오류가 감소되었다고 하였고, 김은주(2003)도 눈을 가리지 않은 방법에

비해 오른쪽 눈을 완전히 가린 안경을 착용하는 방법과 양쪽 눈의 반을 가린 안

경을 착용하는 방법에서 7명 중 4명이 편측무시의 감소를 보였다고 하여서 본

연구 방법과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

시에 효과적인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

대만 착용하여도 편측무시에 효과적이지만 집중적 시각적 과제를 통한 피드백

훈련을 병행하였을 경우에 균형의 향상뿐만이 아니라 편측무시와 시지각의 향상

에 더 우세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실험 기간이 짧고 대상자가 많지 않아 결과를 일반화시키

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향후 이러한 제한점을 보강하여 다양한 시각적 피드백

훈련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뇌졸중 환자의 균형 향상은 물론이고 시지각 기능

과 편측무시 향상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Page 15: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31 -

Ⅴ. 결 론본 연구는 편측무시가 있는 좌측 편마비환자에게 안대를 착용하고 시각적 피

드백 훈련을 시행 한 후에 균형, 편측무시와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실시되어졌다. S병원에서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 25명을 대상으

로 2008년 4월 28일부터 6월 5일까지 6주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었다.

균형 향상의 측면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이 모두 향상되었고 집단 간 비교에

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시지각 검사와 편측무시 검사에서 실험군이 대조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기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대착용

후 체중 부하 훈련도 결과에 좋은 영향을 주지만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피드백

훈련은 시지각과 편측무시에 훨씬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참 고 문 헌공명자, 유은영 (2002). 뇌졸중환자의 편측무시를 위한 눈가리기 방법의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1), 55-62.

김은주 (2003).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서 편측 무시에 대한 시야 기리기 방법의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2), 101-112.

김재현 (2007). 시각적 되먹임 균형훈련이 편측무시와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박소연, 유은영 (2002). 한국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

치료학회지, 10(2), 99-108.

장기연 (1996). 뇌졸중 환자의 감각 및 지각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능력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4, 35-44

전중선, 전세일, 이윤경, 진미령, 이병희 (1997). 뇌졸중 환자에서 시지각 장애

와 뇌병변 부위와의 상관관계. 대한재활의학회지, 21, 253-258.

정복희 (2004). 뇌졸중환자에서 시지각 치료와 기능회복과의 상관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신대학교.

정한영, 김성아, 나정호, 하충건, 박현선, 김은영 (1999). 뇌졸중 환자의 입원

재활치료에 대한 장애평가. 대한뇌졸중학회지, 1(2), 220-224.

Page 16: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32 -

Arai, T., Ohi, H., Sasaki, H., Nobuto, H., & Tanaka, K. (1997). Hemispatial

sunglasses: Effect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 Arch Phys Med

Rehabil, 78(2), 230-232.

Butter, C. M., & Kirsch, N. (1992). Combined and separate effects of

eye patching and visual stimulation on unilateral neglect following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73, 1133-1139.

Chedru, F., Leblanc, M., & Lhermitte, F. (1973). Visual searching in

normal and brain-damaged subjects(contribution to the study of

unilateral inattention). Cortex, 9, 94-111.

Dault, M. C., de Haart, M., Geurts, A. C., Arts, I. M., & Nienhuis, B.

(2003) Effects of visual center of pressure feedback on postural

control in young and elderly healthy adults and stroke patients.

Hum Mov Sci, 22(3), 221-236

De Haart, M., Geurt, A. C., Huidekoper, S. C., & Fasotti, L. (2004).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5(6), 886-895.

Deusen, J. V. (1988). Unilateral neglect: Suggestion for research by

occupational therapists. Am J Occup Ther, 42, 441-432.

Frassinetti, F., Angeli, V., Meneghello, F., Avanzi, S., & Ladavas, E.

(2002). Long-lasting amelioration of visuospatial neglect by prism

adaptation. Brain, 125, 608-625.

Gordon, W. A., Hibbard, M. R., Eqelko, S., Diller, L., Shaver, M. S., &

Liebermal, A. (1985). Perceptual remediation in patients with right

brain damage: a comprehensive program. Arch Phys Med Rehabil,

6, 353-359.

Halligan, P. W., & Marshall, J. C. (1994). Toward a principled

explanation of unilateral neglect. Cogn Neuropsychol, 11, 167-206.

Hjaltason, H., Tegner, R. (1992). Darkness improves line bisection in

unilateral spatial neglect. Cortex, 28, 353-358.

Julkunen, L., Tenovuo, O., Jaaskelainen, S., & Hamalainen, H. (2003).

Rehabilitation of chronic post-stroke visual field defect with

computer-assisted training: a clinical and neurophysiological study.

Restor Neurol Neurosci, 21, 19-28.

Page 17: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33 -

Katherine, S., Jeffrey, J., Laura, Z., Norine, F., & Robert, T. (2006).

Evidence-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Canadian Stroke Network, 9, 27-29.

Laufer, Y. (2003). The effect of walking aids on balance and weight-bear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in various stance positions. Phys

Ther, 83(2), 112-122.

Littbrand, H., Rosendahl, E., Lindelof, N., Ludin-Olsson, L., Gustafson, Y.,

& Nyberg, L. (2006). A high-intensity functional weight-bearing

exercise program for older people depend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with focus on cognitive function. Phys Ther, 86(4),

489-498.

Mark, V. W., Kooistra, C. A., & Heilman, K. M. (1988). Hemispatial neglect

affected by non-neglected stimuli. Neurology, 38(8), 1207-1211.

Matjacić, Z., Johannesen, I. L., & Sinkjaer, T. (2000). A multi-purpose

rehabilitation frame: a novel apparatus for balance training during

standing of neurologically impaired individuals. J Rehabil Res Dev,

37(6), 681-691.

Menon-Nair A., Korner-Bitensky N., & Ogourtsova T. (2007). Occupational

Therapists’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in Canada. Stroke, 38(9),

2556-2562.

Mercier, L., Hebert, R., Colarusso, R., & Hammill, D. (1997).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Manual. Califoni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Neistadt, M. E. (1990). A critical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for perceptual deficits in adult with brain injury. Am J Occup Ther,

44(4), 299-304.

Paolucci, S., Antonucci, G., Grasso, G., & Pizzamiglio, L. (2001). The role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in rehabilitation of right brain-damaged

ischemic strike patients: a matched comparison. Arch Phys Med

Rehabil, 82(6), 734-749.

Pizzamiglio, L., Antonucci, C., Montenero, P., Razzano, C., & Zoccolotti,

P. (1992). Cognitive rehabilitation of the hemineglect disorder in

Page 18: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34 -

chronic patients with unilateral right brain damage. J Clin Exp

Neuropsychol, 14(6), 901-923.

Posner, M. I., & Peterson, S. E. (1990).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Ann Rev Neurosci, 13, 25-42.

Robertson, I. (1989). Anomalies in the laterality of omissions in

unilateral left visual neglect: implications for an attentional for an

attentional theory of neglect. Neuropsychologia, 27(2), 157-165.

Robertson, I. H., Mnaly, T., Beschin, N., Daini, R., Haeske-Dewick, H.,

Homberg, V., Jehkonen, M., Pizzamiglio, G., Shiel, A., & Weber,

E., (1997). Auditory sustained attention is a maker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35(12), 1527-1532.

Robertson, I. H., Tegner, R., Tham, K., Lo, A., & Nimmo-Smith, I. (1995).

Sustained attention training for unilateral neglect: theoretical and

rehabilitation implications. J Clin Exp Neuropsychol, 17(3), 416-430.

Rorsman, I., Magnusson, M., & Johanson, B. B. (1999). Reduction of

visuo-spatial neglect with vestibular galvanic stimulation. Scand J

Rehabil Med, 31(2), 117-124.

Sihvonen, S. E., Sipila, S., & Era, P. A. (2004). Changes in postural

balance in frail elderly women during a 4-week visual feedback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erontology, 50(2), 87-95.

Smania, N., Bazoli, F., Piva, D., & Guidetti, G. (1997). Visuomotor

imagery and rehabilitation of neglect. Arch Phys Med Rehabil,

78(4), 430-436.

Schenberg, T., & Brodford, D. C. (1980). Line bisection and unilateral

visual neglect in patients with neurologic impairment. Neurology,

30(5), 509-517.

Siev, E., Freishtat, B., & Zoltan, B. (1986). Perception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adult stroke patient, New Jersey: Slack, 51-58.

Walker, C., Brouwer, B. J., & Culham, E. G. (2000). Use of Visual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80(9),

886-895.

Warren, M. (2001).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deficit. In: Pedretti

LW,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St Louis, Mosby.

Page 19: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35 -

Weinberg, J., Diller, L., Gordon, W. A., Gerstman, L. J., Lieberman, A.,

Lakin, P., Hodges, G., & Ezrachi, O. (1977). Visual scanning

training effect on reading-related tasks in acquired right brain

damage. Arch Phys Med Rehabil, 58(11), 479-486.

Zoltan, B. (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a manual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neurologically impaired adult. 3rd

ed. New Jersey: Slack.

Page 20: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36 -

<Abstract>

The Effects of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after the Eye

Patching Method to Stroke Patients with the Unilateral Neglect

Lee, Dong Jin ㆍ Lee, Wan He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 visual feedback training

after the eye patching method on the non-neglected side would lead to

less unilateral neglect and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used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were 25 left hemiplegic patients who showed the feature of

unilateral neglect.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xperimental

group(n=13) and control group(n=12).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visual feedback training & eye patching.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weight bearing training & eye

patching.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articipated in exercise

classes 30 minutes per day five times a week for 6 weeks. It’s effect

was evaluated by the standing balance, MVPT-V, line bisection test.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Ver. 1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COV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anding balance,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to pre and post 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MVPT-V, line bisection tes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to pre and post 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effective in reducing

unilateral neglect syndrome. Future study considered need to be more

the study relative to variable visual feedback training to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Page 21: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1-%C0%CC%B5...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안대 착용 후 시각적 피드백 훈련이 편측무시 환자의 균형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 237 -

논문접수 : 2008. 7. 30 / 수정본 접수 : 2008. 9. 04 / 게재 승인 : 2008. 9. 17

Key Words : eye patching, line bisection, MVPT-V, unilateral neglect, visual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