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Analyst 김민정/ 2122-9180/ [email protected] 1. 주간 Issue & Comment 인터넷/게임 - 2020년 IPO 예정인 주요 기술 업체는 Airbnb, DoorDash, Postmates로 소비자 중심의 기술업체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가가 이루어질 전 - 숙박 공유 플랫폼인 Airbnb는 최근 310억달러의 기업가치평가로 자금을 조달했으며, 2019년 상반기에 적자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2018년 에 흑자로 전환하며 재무 실적도 양호한 상황 - 반면, 음식배달 서비스 업체인 DoorDash와 Postmates는 무료 및 할인 혜택 제공으로 매출액은 고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이익 창출 잠재 력에 대해서는 불안감이 존재 - DoorDash의 2019년 손실규모는 4.5억 달러로 추정되어 큰 폭의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이며, 경쟁사인 그랩허브의 2019년 연간 주가 수 익률은 -36.7%로 기업가치평가는 성장 잠재력보다 수익 창출이 우선시 될 것으로 예상 - 기술과 보조금 기반의 성장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상장된 스타트업들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악화된 만큼 구독형 수익모 델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의 주가는 양호한 상황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공모가 대비 주가수익률은 각각 +89.0%, +39.9%, +46.7%를 기록 - 2020년에 상장 예정인 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은 Asana, HashiCorp이며,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기업용 메신저, 협업 도구 등의 B2B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듯 - 12월 한달간 주요 게임별 글로벌 평균 일매출액은 '리니지M' 12억원 (-57.8% MoM), 'L2R' 7억원 (-12.5% MoM), '검은사막 모바일' 8 억원 (+76.8% MoM), '뮤오리진2' 1억원 (-9.6% MoM), '서머너즈워' 10억원 (+26.7% MoM) 기록 미디어/광고 - 4Q19 국내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3.8% 증가, 2019년 연간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5.5% 증가하며 국내 영화관 시장이 성숙화된 것을 감안하면 양호한 성장세를 보임 - 4Q19 중국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국경절 연휴에 힘입어 YoY +32.1% 증가, 하지만 2019년 연간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4.8% 성장에 그쳐 빠르게 성숙화된 모습을 보임 - 내년 초 아마존의 '프라임 비디오'와 애플의 '애플TV플러스'가 한국에 출시될 예정으로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의 사업 기회가 더욱 다양해질 전망 2. 일정 점검 일정 내용 01월 0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비자프라이버시법(CCPA, California's Consumer Privacy Act) 발효 01/02~04일 펄어비스의 '섀도우 아레나' 2차 CBT 01월 02일 룽투코리아의 모바일 MMORPG '블레스 이터널' 사전예약 시작 01월 06일 SBS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2' 첫방영 01월 08일 영화 '스타워즈: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개봉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2020년 주목해야할 기술업체 IPO 트렌드 2020.01.03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Analyst 김민정/ 2122-9180/ [email protected]

1. 주간 Issue & Comment

인터넷/게임 - 2020년 IPO 예정인 주요 기술 업체는 Airbnb, DoorDash, Postmates로 소비자 중심의 기술업체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가가 이루어질 전

- 숙박 공유 플랫폼인 Airbnb는 최근 310억달러의 기업가치평가로 자금을 조달했으며, 2019년 상반기에 적자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2018년

에 흑자로 전환하며 재무 실적도 양호한 상황

- 반면, 음식배달 서비스 업체인 DoorDash와 Postmates는 무료 및 할인 혜택 제공으로 매출액은 고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이익 창출 잠재

력에 대해서는 불안감이 존재

- DoorDash의 2019년 손실규모는 4.5억 달러로 추정되어 큰 폭의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이며, 경쟁사인 그랩허브의 2019년 연간 주가 수

익률은 -36.7%로 기업가치평가는 성장 잠재력보다 수익 창출이 우선시 될 것으로 예상

- 기술과 보조금 기반의 성장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상장된 스타트업들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악화된 만큼 구독형 수익모

델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의 주가는 양호한 상황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공모가 대비 주가수익률은 각각 +89.0%, +39.9%,

+46.7%를 기록

- 2020년에 상장 예정인 미국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은 Asana, HashiCorp이며,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기업용 메신저, 협업 도구

등의 B2B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듯

- 12월 한달간 주요 게임별 글로벌 평균 일매출액은 '리니지M' 12억원 (-57.8% MoM), 'L2R' 7억원 (-12.5% MoM), '검은사막 모바일' 8

억원 (+76.8% MoM), '뮤오리진2' 1억원 (-9.6% MoM), '서머너즈워' 10억원 (+26.7% MoM) 기록

미디어/광고 - 4Q19 국내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3.8% 증가, 2019년 연간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5.5% 증가하며 국내 영화관 시장이 성숙화된

것을 감안하면 양호한 성장세를 보임

- 4Q19 중국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국경절 연휴에 힘입어 YoY +32.1% 증가, 하지만 2019년 연간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YoY +4.8% 성장에

그쳐 빠르게 성숙화된 모습을 보임

- 내년 초 아마존의 '프라임 비디오'와 애플의 '애플TV플러스'가 한국에 출시될 예정으로 국내 콘텐츠 제작사들의 사업 기회가 더욱 다양해질

전망

2. 일정 점검

일정 내용

01월 0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비자프라이버시법(CCPA, California's Consumer Privacy Act) 발효

01/02~04일 펄어비스의 '섀도우 아레나' 2차 CBT

01월 02일 룽투코리아의 모바일 MMORPG '블레스 이터널' 사전예약 시작

01월 06일 SBS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2' 첫방영

01월 08일 영화 '스타워즈: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개봉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2020년 주목해야할 기술업체 IPO 트렌드

2020.01.03

Page 2: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2

3. News Highlights

인터넷/게임

제목 내용 출처

웅진코웨이 품은 넷마블…

스마트홈 사업 뛰어든다

- 지난 두 달간 웅진코웨이의 노무 이슈로 인해 지지부진했던 넷마블의 웅진코웨이 인수 협상은

당초 제시한 금액보다 낮은 수준인 1조7400억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함 https://bit.ly/36caOly

- 넷마블은 웅진코웨이 인수를 통해 '구독경제' 시장에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웅진코웨이가 사

업을 전개하고 있는 렌털모델은 I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성장잠재력을 갖고 있음

“이모 여기요~” 사라진다…

식당서도 앱 주문 확산

- 오프라인 식당에서 손님과 종업원이 얼굴을 맞대지 않는 비대면 주문이 확산되는 중으로, 네

이버는 지난해 QR코드로 메뉴를 불러와 주문한 뒤 네이버페이로 결제하는 ‘테이블 주문’ 서비

스를 출시 https://bit.ly/2Qz6UfS - 지난 7월 NHN페이코의 ‘페이코 오더’ 서비스가 출시된 후 전국 1000여 곳의 식당과 카페에

서 해당 서비스가 도입됐으며, 한국사이버결제의 POS 서비스와 연결된다는 점이 강점

게임계의 '넷플릭스'…

다운로드ㆍ저장 필요없는

'클라우드 게임' 뜬다

- KT가 지난달부터 시작한 ‘5G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의 무료 체험 가입자가 1만 명을 돌파했

으며, KT는 올 3월에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 https://bit.ly/2MFRkxT

-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도 5G 핵심 콘텐츠의 하나로 클라우드 게임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클라우드 게임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최근에는 페이스북도 경쟁에 참여함

인터넷 업계도 'AI 인사이드'…

‘네이버 클로바’ vs ‘카카오i’

- 네이버는 사용자에 따라 상품을 추천하는 ‘Ai템즈’를 쇼핑에 적용하여 상품 클릭 수가 65%

늘었으며, AI가 전화문의를 응대하는 ‘Ai콜’과 동화책을 읽어주는 ‘클로바 램프’를 올해 출시할

예정 https://bit.ly/39zFEa2 - 카카오 AI 기술의 집약체인 카카오i는 카카오맵, 카카오내비·택시 등 자체 서비스에 적용되는

한편 최근 자동차, 주택 사업 관련 B2B에서 다양한 기업과 제휴를 맺고 영향력 확대 중

2020년에도 '추억' 담은 모바일

MMORPG 봇물…

새로운 성공 나올까

- 넥슨은 2020년에 자사 PC 온라인 게임인 ‘바람의나라’, ‘마비노기’, ‘테일즈위버’ 등의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을 선보일 예정 https://bit.ly/2MK98Is

- 엔씨소프트는 올해 ‘아이온’과 ‘블레이드앤소울’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4종 ‘아이온2’, ‘블

레이드앤소울2’, ‘블레이드앤소울M’, ‘블레이드앤소울S’를 출시할 계획

새해 토스·네이버·카카오 3파전

…IT發 금융 대격돌

- 토스는 올 상반기 중 LG유플러스가 분할하는 PG 사업부문 인수를 마무리하고, 하반기부터

LG유플러스의 8만여 가맹점을 기반으로 본격 영업에 나설 계획 https://bit.ly/2sEJmyk

- 올해에는 카카오페이의 바로투자증권 인수 작업도 가시화될 것으로 관측되며, 올해 카카오뱅

크의 IPO를 추진하고 내년에는 카카오페이의 상장을 추진할 계획

대형 M&A부터 中 판호 기대감

까지…다시 뛰는 게임업계

- 지난해 '지스타'에서 넷마블은 MMORPG가 아닌 융합 장르 게임으로 '매직: 마나스트라이크'

와 'A3: 스틸 얼라이브'를 선보임 https://bit.ly/39ykFEa

- 중국 정부는 한국 게임에 판호를 내주지 않고 있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상반기

한국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에 판호 발급 재개에 대한 기대감 형성 중

미디어/광고

2020 이통산업, '5G 강화'

'방송 새판짜기' 'OTT 생존경쟁'

- 지난달 과기정통부가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간 합병과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를 조건

부 승인한 것처럼 통신사 중심의 유료방송 시장 재편은 올해도 이어질 전망 https://bit.ly/2MLQZtA

- SK텔레콤이 추가로 케이블TV를 M&A할 가능성도 있으며, 합산규제 논란에 발목이 잡힌 KT

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케이블TV M&A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음

멜론 1위 아성 주춤...

이통사·포털, 음원 시장 점유율

확대 총력전

- 지난 11월 기준 멜론의 MAU는 410만 명, 국내 시장 점유율은 39.9%로 여전히 1위를 차지

했으나, 전년대비 실사용자 수가 9만명 감소하면서 점유율은 5.3% 하락폭 기록 https://bit.ly/2thhlN3

- 지니뮤직은 지난 10월 엠넷닷컴과 서비스 통합으로 CJ ENM의 영상 콘텐츠와 실감형 콘텐츠

를 제공하며 멜론과 차별화를 통해 선두자리를 추격 중

"SKT의 힘"…토종OTT 웨이브,

두달만에 넷플릭스 제쳤다

- 웨이브는 11월말 기준 순 이용자 315만명을 기록했고, 넷플릭스는 205만명을 기록했으나,

넷플릭스의 경우 모두 유료가입자인 반면 웨이브는 약 14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보유 중

https://bit.ly/39tC2Gk - 국내 영상 사업자들과 적극적인 콘텐츠 협업을 통한 현지화 전략으로 넷플릭스는 국내 시장에

안착했으며, 웨이브는 후발주자로서 무한도전 등 '킬러 콘텐츠'를 내세워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리는 중

프로듀스 이익 내놓겠다는

CJ ENM, 실적 '주의보'?

- 검찰 조사 결과 '프로듀스X101'의 안준영PD 등은 최종 데뷔조를 사전에 정해놓고 이에 맞춰

득표수를 조작하는 등 1~4 전 시즌에 걸쳐 투표에 개입했던 것으로 밝혀짐 https://bit.ly/37uzTbH

- 이에 CJ ENM은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 보상을 위해 프로그램과 가수들의 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과 향후 발생되는 이익을 합쳐 약 300억원 규모의 기금 및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

네이버, 유료 오디오북

21만명 들었다

- 네이버가 2018년에 출시한 유료 오디오북 서비스는 현재 이용자가 월 2만3000명, 누적 이

용자수는 21만명을 기록하며 1년 만에 국내 1위 오디오북 서비스로 자리매김함 https://bit.ly/39vO6a9

- 네이버 오디오클립은 현재 60여개 출판사와 손잡고 1만여종의 오디오북 콘텐츠를 제공 중으

로, 올해에는 구독 모델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에 오디오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

디즈니가 장악한 韓극장가…

내년도 '빅매치' 예고

- 2019년에 역대 최초로 한 해 동안 1000만 돌파 영화가 5편이 탄생한 가운데 3편은 디즈니

가 배급을 맡은 영화로, 디즈니는 작년 기준 국내 관객 점유율 1위를 기록 https://bit.ly/36fA5LO

- 올해에도 ‘스타워즈', 동명 애니메이션의 실사판 ‘뮬란’, 마블의 '블랙위도우' 솔로 무비 등 기

대작들의 개봉이 예정되어 있어서 디즈니와 국내 배급사 간 경쟁은 치열할 전망

Page 3: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3

4. 국내외 Peers Valuation

1) 주요 인터넷/게임 업체 Valuation

업종 업체명 통화 종가 시가총액

(백만 USD)

절대수익률(%) PER(배) 수급

(순매수, 십억원)

1W 1M 3M YTD FY19 FY20 기관 외국인

국내

KOSPI

KRW

2,175 1,215,558 (1.0) 4.0 7.1 (1.0) 11.6 9.6 - -

KOSDAQ 674 207,872 3.5 6.4 8.1 0.6 - - - -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287 32,740 1.3 1.1 0.8 0.3 20.7 17.9 (22.1) (16.8)

인터넷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47 25,567 0.1 (0.9) (1.2) (0.6) 19.7 17.2 (9.7) (0.8)

게임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4,060 30,519 0.4 5.8 2.5 (0.6) 21.8 15.2 (7.2) (1.8)

인터넷/소프트웨어

NAVER

KRW

182,500 25,958 1.1 6.1 16.2 (2.1) 59.9 37.6 (6.4) 3.7

카카오 152,500 11,346 3.0 (2.9) 12.5 (0.7) 72.6 40.1 3.9 26.4

인터파크 5,090 146 1.2 (1.4) (2.3) 1.4 18.3 15.3 (0.0) 0.1

포스코 ICT 5,210 684 (1.1) 4.3 4.5 (1.5) 17.7 13.9 1.1 0.1

더존비즈온 80,700 2,067 1.9 12.4 22.8 (0.4) 48.4 40.3 1.0 6.3

한글과컴퓨터 10,150 214 0.5 2.4 0.0 1.5 10.8 8.3 (0.1) (0.3)

KG이니시스 16,850 406 5.8 4.0 9.4 (0.9) - - (0.5) 1.3

NHN한국사이버결제 21,850 433 (1.9) 12.3 5.0 (1.6) 17.1 14.9 (0.4) 5.3

KG모빌리언스 6,120 158 0.4 2.7 (4.1) (0.2) - - (0.0) 0.1

카페 24 51,200 417 (0.4) 4.9 (17.9) 0.0 53.5 33.0 1.7 1.7

다날 3,180 170 2.6 1.9 (3.5) 0.5 - - (0.1) 0.5

게임

넷마블

KRW

90,300 6,682 (0.1) 1.8 (2.3) (2.3) 37.5 27.8 (4.1) 2.5

엔씨소프트 541,000 10,250 0.7 11.5 6.1 0.0 26.6 15.5 (0.0) 0.0

펄어비스 182,400 2,050 (3.2) (3.2) (11.2) (1.5) 15.9 11.6 0.3 (1.7)

NHN엔터테인먼트 65,900 1,113 2.3 (2.5) 4.8 (1.3) 21.3 15.2 1.3 (0.7)

컴투스 104,500 1,160 (2.9) 4.3 10.2 (2.8) 10.4 9.6 0.3 (1.5)

게임빌 29,700 169 0.2 (3.3) (2.0) (1.8) 12.8 7.7 0.2 (0.7)

더블유게임즈 49,800 785 3.2 4.2 (10.8) (0.1) 7.8 6.9 2.0 (1.4)

웹젠 15,900 485 (2.2) 1.3 (14.1) (2.5) 12.2 9.3 1.4 (0.6)

위메이드 29,600 429 0.0 (1.3) (1.3) (0.2) 154.8 32.8 (0.0) (0.5)

네오위즈 16,950 321 3.0 3.7 4.3 0.0 12.3 9.8 1.3 (0.2)

조이시티 8,180 83 2.0 (0.1) (2.0) 1.4 - - 0.0 0.0

룽투코리아 5,140 113 4.3 (8.4) (8.9) 1.8 - - 0.0 0.8

해외

인터넷/소프트웨어

Alphabet US 1,369 943,481 (0.4) 6.2 16.2 2.2 25.8 22.7 - -

Facebook US 210 598,239 0.1 5.0 20.1 2.2 23.5 20.6 - -

Amazon US 1,898 941,028 3.3 6.5 10.8 2.7 58.9 48.7 - -

Alibaba US 220 589,582 (1.0) 12.0 32.6 3.6 30.0 25.0 - -

HK 210 578,559 (0.2) 9.0 n/a 1.4 29.4 24.5 - -

Tencent HK 382 468,913 1.5 15.5 17.6 1.8 34.5 28.7 - -

Baidu CH 138 47,893 (1.6) 17.7 34.7 9.4 24.7 19.8 - -

Gree JN - - (1.6) (4.5) 1.2 0.0 30.2 29.1 - -

IQIYI US 23 16,700 (0.3) 17.7 46.1 8.8 - - - -

SHOPIFY US 408 47,278 (0.5) 23.3 31.4 2.6 2371.0 474.7 - -

LINE JP - - 1.7 4.3 34.1 0.0 - - - -

PayPal US 111 130,042 (0.5) 4.3 11.0 2.4 36.2 31.8 - -

SQUARE US 64 27,427 (2.2) (4.6) 6.2 2.0 81.7 66.6 - -

게임

Activision Blizzard US 59 45,058 1.0 8.2 12.2 (1.3) 26.6 23.4 - -

Electronic Arts US 107 31,341 (1.0) 6.9 13.9 (0.2) 23.0 22.0 - -

Netease CH 329 42,061 1.9 5.9 27.8 7.2 20.9 20.2 - -

Take Two Interactive Software US 122 13,837 (1.2) 1.1 2.0 (0.3) 25.7 25.4 - -

Nexon JN - - (2.1) (2.8) 9.8 0.0 12.3 14.7 - -

Zynga US 6 5,817 (3.3) (0.5) 7.3 0.5 21.6 23.0 - -

Sega JN - - 0.5 0.5 2.7 0.0 19.8 15.2 - -

Nintendo JN - - 1.6 (0.9) 8.6 0.0 23.8 19.8 - -

Page 4: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4

2) 주요 미디어/광고 업체 Valuation

업종 업체명 통화 종가 시가총액

(백만 USD)

절대수익률(%) PER(배) 수급

(순매수, 십억원)

1W 1M 3M YTD FY18 FY19 기관 외국인

국내

KOSPI

KRW

2,175 1,215,558 (1.0) 4.0 7.1 (1.0) 11.6 9.6 - -

KOSDAQ 674 207,872 3.5 6.4 8.1 0.6 - - - -

미디어 1,165 96,196 1.2 3.7 8.7 (1.2) 32.7 22.5 (22.3) (5.6)

광고 3,854 5,472 (3.3) 0.1 0.4 (2.1) 17.8 15.3 (3.3) (0.5)

방송과엔터테인먼트 174 14,252 2.8 0.5 4.0 0.5 26.5 18.1 6.4 1.7

방송 콘텐츠

CJ ENM

KRW

155,600 2,945 (1.6) 0.7 (3.8) (2.5) 15.5 13.2 11.6 (8.2)

스튜디오드래곤 81,100 1,966 3.4 4.9 17.4 0.2 58.8 37.6 6.4 3.5

SBS 21,400 337 7.3 21.6 14.7 2.9 20.4 14.4 1.5 (0.0)

SBS미디어홀딩스 2,070 250 1.0 4.8 (3.7) 1.2 - - 0.3 0.3

SBS콘텐츠허브 5,590 104 4.9 7.5 (8.8) 3.5 - - (0.1) 0.1

제이콘텐트리 39,250 488 7.2 (1.9) 18.0 1.8 24.6 18.2 0.5 2.7

IHQ 1,775 224 3.5 5.7 (4.1) 1.7 - 21.1 0.7 (0.1)

영화

CJ CGV

KRW

34,400 628 1.8 (6.3) 3.8 (0.4) - 116.7 (1.1) (0.5)

쇼박스 3,945 213 7.8 12.9 23.3 1.7 - - 0.2 1.7

NEW 4,210 101 11.1 (4.9) 5.6 6.0 - 23.3 0.2 0.4

광고 제일기획

KRW 23,300 2,313 (6.2) (1.9) (5.7) (3.1) 18.3 16.1 (2.6) (0.8)

이노션 70,000 1,208 (0.1) 6.4 7.4 (1.3) 18.4 14.4 (1.7) 2.4

유료방송

CJ헬로

KRW

6,030 403 0.5 (1.0) (1.1) (0.3) - - (0.0) 0.1

스카이라이프 8,730 360 (2.7) 0.2 (3.2) 0.1 7.7 7.6 (0.2) (0.1)

현대 HCN 3,410 332 (0.6) (3.7) (6.7) 0.0 9.5 9.7 0.2 0.2

SK텔레콤 234,000 16,306 (4.3) (3.5) (0.4) (1.7) 16.4 11.9 (53.0) 8.0

KT 26,700 6,017 (2.6) (0.9) (1.5) (1.1) 10.4 9.0 (0.0) (8.9)

LG유플러스 13,850 5,219 (3.5) 1.8 2.6 (2.5) 14.0 12.2 (13.6) 4.2

해외

방송 콘텐츠

Disney US 148 267,115 (0.5) (1.6) 14.8 2.5 27.0 24.5 - -

Netflix US 330 144,540 (2.9) 6.4 23.0 1.9 81.9 53.7 - -

CBS US - - n/a n/a n/a n/a - - - -

Discovery US 32 21,770 (0.9) (1.6) 21.9 (1.6) 9.0 8.6 - -

Huace Film and TV CH 8 2,007 6.8 27.8 20.6 7.6 47.1 28.1 - -

Huayi Brothers Media CH 5 1,886 (3.1) 7.5 (0.4) 1.7 50.1 20.8 - -

Huya US 20 4,383 1.5 (2.8) (13.1) 11.5 44.5 26.2 - -

영화

Cindemark US 34 3,991 (0.4) (0.6) (11.0) 0.6 15.9 14.7 - -

IMAX CA 21 1,256 (3.4) (3.8) (5.7) 0.3 18.9 16.9 - -

China Flim CH 16 4,297 6.2 13.0 3.8 5.3 24.4 21.3 - -

Shanghai Flim CH 15 811 2.4 8.7 (20.3) 4.3 26.9 22.9 - -

광고

WPP GB 1069 17,647 (0.2) 8.4 8.7 0.2 10.8 11.1 - -

Omnicom US 80 17,390 0.2 0.6 3.5 (1.4) 13.3 12.7 - -

Publicis FR 41 10,925 (2.2) 3.9 (6.6) 0.8 8.4 8.2 - -

Dentsu JN - - 1.2 (5.7) 1.6 0.0 39.1 17.8 - -

유료방송

Comcast US 45 206,399 1.0 4.0 3.0 0.9 14.9 13.8 - -

Dish Network US 36 18,686 (1.0) 6.2 9.0 0.7 14.2 17.8 - -

AT&T US 39 283,872 0.3 4.1 4.8 (0.6) 10.9 10.8 - -

Verizon US 61 252,490 0.2 1.8 3.6 (0.6) 12.7 12.3 - -

Sprint US 5 21,438 (1.0) (9.1) (12.7) 0.2 - - - -

자료: Quantiwise, Bloomberg, 하이투자증권

Page 5: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5

5. 주요 Charts

표1. 국내 모바일 게임 주간 매출액 순위 (구글 기준, 목요일 기준)

순위 11월 4주차 12월 1주차 12월 2주차 12월 3주차 12월 4주차

1 리니지M(-) 리니지2M(▲3) 리니지2M(-) 리니지2M(-) 리니지2M(-)

2 라이즈 오브 킹덤즈(▲1) 리니지M(▽1) 리니지M(-) 리니지M(-) 리니지M(-)

3 V4(▽1) V4(-) V4(-) V4(-) 라이즈 오브 킹덤즈(▲1)

4 리니지2M

(11월 27일 출시) 라이즈 오브 킹덤즈(▽2) 라이즈 오브 킹덤즈(-) 라이즈 오브 킹덤즈(-) 기적의 검(▲1)

5 기적의 검(▽1)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4) 기적의 검(▲1) 기적의 검(-) V4(▽2)

6 리니지2레볼루션(▲1) 기적의 검(▽1)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1)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7 엑소스 히어로즈

(11월 21일 출시) 리니지2레볼루션(▽1) 리니지2레볼루션(-)

페이트/그랜드

오더(▲11) 브롤스타즈(▲6)

8 달빛조각사(-) 피망 포커:

카지노 로얄(▲8) 엑소스 히어로즈(▲1) 리니지2레볼루션(▽1) 리니지2레볼루션(-)

9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3) 엑소스 히어로즈(▽2) 클래시 오브 클랜(▲11) 에오스 레드(▲4) 검은사막 모바일(▲3)

10 에오스 레드(▽1)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28) 라플라스M(▲9)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14) 라플라스M(▲6)

자료: App Annie,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그림1. 주요 게임 주간 글로벌 매출액 추이 그림2. 리니지M, L2R, 검은사막M의 주간 국내 매출액추이

자료: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주: 매출액은 추정치

자료: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주: 매출액은 추정치

0

10000

20000

30000

40000

17.02 17.08 18.02 18.08 19.02 19.08

리니지 M

리니지2 레볼루션

서머너즈워

Marvel Contest of Champions

(천달러)

0

10000

20000

30000

40000

17.02 17.08 18.02 18.08 19.02 19.08

리니지M 리니지 2 레볼루션

검은사막M

(천달러)

Page 6: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6

그림3. 주요 게임 주간 국내 매출액 추이 그림4. 퍼블리셔별 주간 모바일게임 매출액 추이

자료: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주: 매출액은 추정치

자료: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주: 매출액은 추정치

그림5. 주요 PC 웹사이트 쿼리수 그림6. 주간 모바일(App+Web) UV 추이

자료: 코리안클릭,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코리안클릭,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그림7. 주간 모바일(App+Web) PV 추이 그림8. 주간 카카오 모바일의 주요 서비스 총 실행횟수

자료: 코리안클릭,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코리안클릭,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0

1,000

2,000

3,000

4,000

5,000

17.02 17.08 18.02 18.08 19.02 19.08

모두의마블 오버히트

세븐나이츠 열혈강호M

프렌즈마블 테라M

(천달러)

0

10,000

20,000

30,000

40,000

17.02 17.08 18.02 18.08 19.02 19.08

넷마블 엔씨소프트

컴투스 펄어비스

(천달러)

0

50

100

150

200

250

0

200

400

600

800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백만) (백만) 네이버(좌) 다음(우)

구글(우) bing(우)

zum(우)

0

10

20

30

40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백만) 네이버 google.com

다음 카카오

유튜브 인스타그램

0

100

200

300

400

500

600

0

500

1,000

1,500

2,000

2,500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백만) (백만) 네이버(좌) 카카오(우)

유튜브(우) 네이트(우)

구글(우) 페이스북(우)

0

10,000

20,000

30,000

40,000

0

50

100

150

200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천회) (백만회)

카카오스토리(좌) 카카오페이지(좌)

카카오T(우) 카카오뱅크(우)

Page 7: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7

그림9. 주간 모바일 OTT 사용시간 추이 그림10. 월간 KAI 지수

자료: 코리안클릭,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KOBACO,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그림11. 월간 시청률 점유율 추이 그림12. 월간 한국 박스오피스 추이 (매출액 기준)

자료: CJ ENM,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영진위,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그림13. 월간 중국 박스오피스 추이 (매출액 기준) 그림14. 월간 스카이라이프 가입자 추이

자료: CBO,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스카이라이프, KT,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0

100

200

300

400

500

60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백만분)

(백만분)

Youtube(좌) 아프리카TV(우)

네이버TV(우) 트위치(우)

V라이브(우) 웨이브(우)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4.10 15.10 16.10 17.10 18.10 19.10

전체 지상파TV

CATV 디지털

0.0

10.0

20.0

30.0

40.0

50.0

60.0

14.01 15.01 16.01 17.01 18.01 19.01 20.01

(%) 지상파 시청률 점유율

CATV 시청률 점유율

종편 시청률 점유율

-40

-20

0

20

40

60

0

50

100

150

200

250

300

14.01 15.01 16.01 17.01 18.01 19.01 20.01

(%) (십억원)

10억

매출액(좌) YoY(우)

-50

0

50

100

150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 (백만위안) 매출액(좌) YoY(우)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5.09 16.09 17.09 18.09 19.09

(천명) 방송 UHD

위성전용 OTS

Page 8: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8

그림15. 원/달러 환율 추이 그림16. 원/100엔 환율 추이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그림17. 원/위안 환율 추이 그림18. 원/터키리라 환율 추이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자료: Quantiwise, 하이투자증권 리서치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5.10 16.10 17.10 18.10 19.10

(원) 원/달러(종가)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5.10 16.10 17.10 18.10 19.10

(원) 원/일본엔(100엔)

140

150

160

170

180

190

200

15.10 16.10 17.10 18.10 19.10

(원) 원/위안(종가)

100

200

300

400

500

15.10 16.10 17.10 18.10 19.10

(원) 원/터키리라

Page 9: 하이투자증권20200103f - MKfile.mk.co.kr/imss/write/20200103105336__00.pdf · 2020-01-03 · - 지난해 상장한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Zoom Video, Datadog, Crowdstrike의

인터넷/게임/미디어 Weekly

HI Research 9

Compliance notice

당 보고서 공표일 기준으로 해당 기업과 관련하여,

▶ 회사는 해당 종목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금융투자분석사와 그 배우자는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 보고서는 기관투자가 및 제 3자에게 E-mail등을 통하여 사전에 배포된 사실이 없습니다.

▶ 회사는 6개월간 해당 기업의 유가증권 발행과 관련 주관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당 보고서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 김민정 )

본 분석자료는 투자자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이며, 따라서, 본 자료에 의한 투자자의 투자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작성자 및 당사의 허가 없이 전재, 복사 또는 대여될 수 없습니다. 무단전재 등으로 인한 분쟁발생시 법적 책임이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1. 종목추천 투자등급 (추천일 기준 종가대비 3등급)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추천일 종가대비 해당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 Buy(매 수):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 Hold(보유): 추천일 종가대비 -15% ~ 15% 내외 등락

- Sell(매도): 추천일 종가대비 -15%이상

2. 산업추천 투자등급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임)

- Overweight(비중확대), - Neutral (중립), - Underweight (비중축소)

하이투자증권 투자비율 등급 공시 2019-12-31 기준

구분 매수 중립(보유) 매도

투자의견 비율(%) 90.5% 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