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19, Vol. 25, No. 1 448 조현정 1,2 , 김선형 2 , 정재인 2 , 조강희 2 , 조승현 1,2 , 천선정 3 , 오성근 1 , 한종인 3 , 윤형철 2,† 1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 한국과학기술원 ([email protected] ) 질소산화물 (NO x )은 초미세먼지 생성의 2차 원인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다 양한 DeNO x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은 가장 널리 사용되 고 있는 기술로서, 제거 효율이 높지만 고가의 활성 촉매와 암모니아 또는 요소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Fe-EDTA와 같은 킬레이트 기반 수용액을 이용한 NO 흡수 제거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NO는 수용액에 낮은 용해도를 가지지만, 킬레이트 화합물 을 포함할 경우 흡수량과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킬레이트 화합물과 NO 사이의 반응 평형 상수 및 속도 상수를 측정하 여 큰 흡수 용량 및 빠른 흡수 속도를 가지는 킬레이트 화합물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혐기 조 건에서 킬레이트 수용액을 합성하여 500 ppm NO가 포함된 혼합 가스를 연속적으로 주입하 며 제거된 NO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 결과는 추후 다양한 킬레이트 화합물 의 평형 상수 및 속도 상수를 측정하여 항산화력과 높은 NO 흡수 선택성 및 속도를 가진 최적 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찾는 기초 연구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ÞG X GYWX` - cheric.orgT he or i e s and A ppl i c at i ons of C he m . E ng., 2019, Vol . 25, N o. 1 448 ÏÓGÓÄGà½NG½ G Y\ÞG X³GYWX` Z 9ò¿G¬äýG ùGE SGò ¿çG ¢G àGe³GJ¢G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ÞG X GYWX` - cheric.orgT he or i e s and A ppl i c at i ons of C he m . E ng., 2019, Vol . 25, N o. 1 448 ÏÓGÓÄGà½NG½ G Y\ÞG X³GYWX` Z 9ò¿G¬äýG ùGE SGò ¿çG ¢G àGe³GJ¢G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19, Vol. 25, No. 1 448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25권 제1호 2019년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킬레이트 화합물의 흡수 반응 평형 상수 및 속도 상수 측정

조현정1,2, 김선형2, 정재인2, 조강희2, 조승현1,2, 천선정3,

오성근1, 한종인3, 윤형철2,†

1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2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한국과학기술원

([email protected]†)

질소산화물 (NOx)은 초미세먼지 생성의 2차 원인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다

양한 DeNOx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은 가장 널리 사용되

고 있는 기술로서, 제거 효율이 높지만 고가의 활성 촉매와 암모니아 또는 요소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Fe-EDTA와 같은 킬레이트 기반 수용액을 이용한 NO

흡수 제거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NO는 수용액에 낮은 용해도를 가지지만, 킬레이트 화합물

을 포함할 경우 흡수량과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킬레이트 화합물과 NO 사이의 반응 평형 상수 및 속도 상수를 측정하

여 큰 흡수 용량 및 빠른 흡수 속도를 가지는 킬레이트 화합물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혐기 조

건에서 킬레이트 수용액을 합성하여 500 ppm NO가 포함된 혼합 가스를 연속적으로 주입하

며 제거된 NO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 결과는 추후 다양한 킬레이트 화합물

의 평형 상수 및 속도 상수를 측정하여 항산화력과 높은 NO 흡수 선택성 및 속도를 가진 최적

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찾는 기초 연구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