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J Korean Neurosurg Soc/ Volume 28/ September, 1999 1312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81312-1315, 1999 수모세포종의 Isochromosome 1 7q 예후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병리학교실 ** 남도현·왕규창·김승기·지제근 ** ·김연미 ** ·조병규 = Abstract = MedulloblastomaDoes the Isochromosome 17q Influence on the Long Term Survival? Do-Hyun Nam, M.D., Kyu-Chang Wang, M.D., Seung-Ki Kim, M.D., Je G Chi, M.D.,** Youn-Mi Kim, M.D.,** Byung-Kyu Cho,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jective:An isochromosome for the long arm of 17, i (17q), is the most frequent chromosomal abnormality in medulloblastoma, occurring in 30-60% of cases by karyotype analysis and this abnormality has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cases with a shorter survival time by some authors. Moleculogenetic analysis for i(17q) was performed to identify its influence on the long term survival. Patient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17 children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favorable and poor outco- me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the i (17q) on the long term survival. Eight children with favorable outcome are in disease-free status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e:52-87 months, median:66 months). The other nine children with poor outcome died of disease progression or recurrence and their median survival time was 13 months (range: 1-28 months).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i (17q) in 17 children. Results:The i (17q) was detected in nine of 17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ositive rates of i (17q)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The i (17q) was detected by FISH in 53% of medulloblastoma patients. Presence of the i(17q) was not a prognostic factor on the long term survival. KEY WORDS :Medulloblastoma·Isochromosome 17q·Prognosis. 수모세포종은 소아 연령기 환자의 후두개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으로 최근 수술적 치료, 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의 발전으로 5년 생존율이 약 60∼70%까지 향상되었다. 하지만 사선 치료가 불가피한 현재의 치료 법 때문에, 특히 소아환자에서, 지능의 저하, 호르몬 결핍, 골 발육의 지연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나타낸다. 이제껏 많은 연구에서 재발의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게 비교적 장기적 후 유증이 적은 치료법을 사용하고, 반대로 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는 가능한 모든 치료를 하기 위한 연구를 지 속해 왔다 5)7)11)12)15)20)21)23) . 그러나 임상적 소견만으로는 재 발 및 예후의 판단이 힘들어, 그 예후에 따라 사선 조사량 을 줄여보려는 시도들도 현재까지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 이다 5)7)11)12)15)20)21)23) . 과거 본 교실에서 경험한 70예의 수 모세포종 환자의 임상 양상과 예후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도 임상적 양상, 단순한 병리학적 검사, 치료 법만으로는 그 예후나 재발 여부를 판단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았다 16) . 따 라서 어떤 환자에게 비교적 장기적 후유증이 적은 치료 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어려움을, 발전된 분자유전학적 연구기 법을 통해 극복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 나 아직까지도 이러한 법에는 신선한 조직이나, 종양 세 포주 등이 요구되어 연구 법상 많은 환자에서, 장기간 관 찰하여 그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 O *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병원 ’ 96년도 일반연구비(04-96-011)와 ’ 97 년도 학술진흥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 JKNS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 JKNS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8/September, 1999 1312

KISEP Clinical Research J Korean Neurosurg Soc 28::::1312-1315, 1999

수모세포종의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병리학교실**

남도현·왕규창·김승기·지제근**·김연미**·조병규 = Abstract =

Medulloblastoma::::Does the Isochromosome 17q Influence on the Long Term Survival?

Do-Hyun Nam, M.D., Kyu-Chang Wang, M.D., Seung-Ki Kim, M.D., Je G Chi, M.D.,** Youn-Mi Kim, M.D.,** Byung-Kyu Cho,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nd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jective:An isochromosome for the long arm of 17, i(17q), is the most frequent chromosomal abnormality in medulloblastoma, occurring in 30-60% of cases by karyotype analysis and this abnormality has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cases with a shorter survival time by some authors. Moleculogenetic analysis for i(17q) was

performed to identify its influence on the long term survival.

Patients and Methods:The authors reviewed 17 children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favorable and poor outco-me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the i(17q) on the long term survival. Eight children with favorable outcome are in

disease-free status during the follow-up period (range:52-87 months, median:66 months). The other nine children

with poor outcome died of disease progression or recurrence and their median survival time was 13 months (range:

1-28 months).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i(17q) in 17 children.

Results:The i(17q) was detected in nine of 17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ositive rates of i(17q)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The i(17q) was detected by FISH in 53% of medulloblastoma patients. Presence of the i(17q) was not a prognostic factor on the long term survival. KEY WORDS:Medulloblastoma·Isochromosome 17q·Prognosis.

서 론

수모세포종은 소아 연령기 환자의 후두개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으로 최근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의 발전으로 5년 생존율이 약 60∼70%까지

향상되었다. 하지만 방사선 치료가 불가피한 현재의 치료방

법 때문에, 특히 소아환자에서, 지능의 저하, 호르몬 결핍,

골 발육의 지연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나타낸다. 이제껏 많은

연구에서 재발의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게 비교적 장기적 후

유증이 적은 치료법을 사용하고, 반대로 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는 가능한 모든 치료를 하기 위한 연구를 지

속해 왔다5)7)11)12)15)20)21)23). 그러나 임상적 소견만으로는 재

발 및 예후의 판단이 힘들어, 그 예후에 따라 방사선 조사량

을 줄여보려는 시도들도 현재까지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

이다5)7)11)12)15)20)21)23). 과거 본 교실에서 경험한 70예의 수

모세포종 환자의 임상 양상과 예후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도

임상적 양상, 단순한 병리학적 검사, 치료방법만으로는 그

예후나 재발 여부를 판단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았다16). 따

라서 어떤 환자에게 비교적 장기적 후유증이 적은 치료방법

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어려움을, 발전된 분자유전학적 연구기

법을 통해 극복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

나 아직까지도 이러한 방법에는 신선한 조직이나, 종양 세

포주 등이 요구되어 연구 방법상 많은 환자에서, 장기간 관

찰하여 그 예후를 예측하는 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연

OOOO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병원 ’96년도 일반연구비(04-96-011)와 ’97

년도 학술진흥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Page 2: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 JKNS

남도현 · 왕규창 · 김승기 · 지제근 · 김연미 · 조병규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8/September, 1999 1313

구는 장기간 관찰해 온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제한

요소가 적으면서도 효과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예후에 영향

을 미치는 분자생물학적인 지표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

로서 파라핀 포매조직의 이용이 가능하고 수모세포종에서

흔히 발견되며 유전물질 소실과 관련된 isochromosome

17q(i(17q))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87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조

직학적으로 수모세포종이 확진되었고 파라핀 포매조직을 통

해 연구가 가능하였던 소아 환자 17예중 3년 이내 사망한

예와 장기간(50개월 이상) 생존하고 있는 예를 나누어 이들

을 대상으로 i(17q)의 관찰여부와 예후와의 관계를 조사하

였다.

2. 연구 방법

수모세포종에서 흔히 발견되는 i(17q)의 존재여부를 알기

위하여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방법을 이

용하였다. 파라핀 포매 블록으로부터 4μm 두께의 조직 절편

을 얻어 유리슬라이드(Dako, Glostrup, Denmark) 위에 얹

어 탈파라핀 및 세수 과정을 거친후 70% ethanol에서 고정

하였다. 이 슬라이드를 proteinase K(0.1mg/mL)로 처리

하여 37℃ 항온수조에서 10분간, 4% paraformaldehyde

용액에서 4℃, 20분간 처리하고, 37℃에서 3분간 65%

formamide/2X standard sodium citrate(SSC)로 denature

시킨 뒤 말렸다. 이후 76℃에서 5분간 denature한 biotin-

ylated chromosome 17 alpha satellite DNA(D17Z1)

probe를 곧바로 영하 20℃ PBS(phosphate buffered sa-

line)에 2∼3초 넣어 annealing을 방지한 뒤, 슬라이드 당

2ng의 probe DNA, 10% dextran sulfate와 2X SSC를 섞

은 용액 10μL를 슬라이드에 가하고 18×18mm 크기의

glass coverslip을 덮었다. 그리고 37℃ humidified chamber

에 밤새 놔둔 뒤 45℃, 50% formamide/2X SSC에서 5분

간 세번 세척하였다. Hybrid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FlTC-

avidin 을 37℃에서 30분간 슬라이드에 가하고 핵의 형상

을 보기 위하여 propidium iodide(1μg/mL)로 counterstain

하였다. 슬라이드 당 200∼300개 정도의 핵에서 fluore-

scent microscope로 FITC signal을 봄으로써 i(17q)를 핵

내에 duplicated fluorescent spot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과가 각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

하여 i(17q)의 발생 여부를 Fisher’s Exact test로 검증하

였다. p<0.05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

생존 환자군은 모두 8명으로 4세에서 15세(평균 9.9세)

환자였으며 1997년 2월을 기준으로 모두 생존한 환자였으

며, 생존 기간의 중앙치는 66(52∼85)개월이었다. 사망환

자군은 9명으로 1세에서 13세(평균 6.3세)로 중앙 생존 기

간은 16(1∼27)개월이었다.

2. Isochromosome 17q

총 17예에서 면역형광 현미경을 통해 i(17q)를 관찰한

결과 모두 9예에서(53%) 발견할 수 있었다(Fig. 1). 장기

간 생존한 환자군 8명 중 4명에서 발견되었으며 예후가 나

빴던 환자군 9명 중 5명에서 발견되어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Table 1).

고 찰

I(17q)는 수모세포종 환자의 40% 가량에서 보이는 가장

Table 1.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n the me-dullo-blastomas. The incidence of isochromosome 17q was 53%(9/17).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ositive rates of i(17q) between favorable and poor outcome groups

Group Isochromosome 17q(+)

Isochromosome 17q(-) Total

Favorable outcome 4 4 8 Poor outcome 5 4 9

Fig. 1. Fluoresent microscopic study of the chromosome 17q.White arrows indicate the isochromosome 17q whichappears as a duplicated fluorescent spot. The nucleiare counterstained by propidium iodide(1000×).

Page 3: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 JKNS

수모세포종의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8/September, 1999 1314

흔한 염색체 이상으로, 있는 경우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

다. 상염색체 17의 단완부(17p)에 위치한 종양억제 유전인

자인 p53(17p13.1) 유전자의 결손 내지는 변이가 수모세

포종 환자의 10% 미만에서 발견되므로 많은 연구자들은 수모

세포종뿐만 아니라 유방암이나 자궁내막암에서도 흔히 관찰

되는 염색체 이상‘i(17q)’에서 결손이 예측되는 17p 원위

부(17p13.3)에 새로운 종양 억제 인자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

고 있다1-4)14)22). McDonald 등은 restriction fragmen-

tlength polymorphism analysis를 통하여 chromosome

17p의 이상과 예후와의 관계를 평가하였는데, 임상적으로

위험군에 속하지 않으나 chromosome 17p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임상적으로 위험군에 있지만 17p의 이상이 없는 경

우 보다 예후가 나쁘다고 보고하여 종양의 분자생물학적 특

성의 변화가 예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17).

실제로 17p가 결손된 세포주에 결손된 부위의 염색체를 주

었을 때 성장이 둔화된다든가, 염색체 이상이 종양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 등은 이들의 주장에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chronic myelocytic leukemia와 acute lym-

phoblastic leukemia에서도 i(17q)가 발견되는 경우 종양

의 진행이 빠르고 치료성적이 저조하다고 보고되어 임상적

의미가 있다18)19). 그러나 실제로는 수모세포종에서 17p의

이상이 보고된 증례수보다 훨씬 많은 예에서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Vagner-Capodano 등이 동일한 종양조직에

서 FISH를 통해 세포의 interphase 때 검사한 것과 배양 후

metaphase 때 검사한 결과의 비교로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시행한 연구 결과는 metaphase에서는 4명 중 한 명에서만

보이던 i(17q)가 FISH를 이용하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

든 예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이다22). 더욱이 아직 17p에 위치한

종양억제 인자에 대한 확립된 정설도 없는 실정이다3)8)9)10)23).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가장 흔한 염색체 이상이 질병과 밀접

한 관계가 있음을 알기 위하여 염색체 17번의 alpha sate-

llite DNA(D17Z1) probe를 이용해 i(17q)의 존재를 FISH

로 interphase에서 확인하여 수모세포종 환자의 53%에서

i(17q)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예후와는 어떠한 상관

관계도 없었다. 이는 실험 방법이 전향적 방법(prospective

study)이 아닌 이유로 조직의 고정까지의 시간과 상태를 알

수 없어 염색의 조건이 조직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으

로 해석된다.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 FISH를 이용하여 i(17q)

를 확인하면 조직학적 특성과 연관시킬 수 있어 종양의 생물

학적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6)13)21)

있는 반면 조직의 결체 조직 정도에 따른 세포막 용해정도

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염색 정도의 차이를 극복하는데 많

은 노력이 투자되어야하고, 재현성 혹은 i(17q) 존재 세포에

대한 정량적인 검색에 신빙성을 둘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향후 수모세포종의 발생기전연구는 (1) 정상세포로의 분화

과정에서 일부 성장인자나 수용체의 과다 생성이나 암유전자

의 발현으로 세포주기에 영향을 주어 특정 세포의 증식으로

나타나거나, (2) 정상 신경계의 발달 및 분화과정에 일시적

으로 필요한 세포의 증식 이후 자연 소멸되어야할 세포가 소

멸되지 않고 계속 증식하는 경우, (3) 종양억제 인자의 결손이

나 변이로 인한 세포의 증식 등으로 나누어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많은 환자에서, 최근 종양의 생성과 관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bcl-2, c-erbB-2 암유전자의 발

현 및 apoptosis, p53의 발현과 세포증식능력정도와 장기적

예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수모세포종에서 i(17q)의 발생 빈도는 53%로 수모 세포

종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예후와는 관계가

없었다. 향후 수모세포종의 예후와 관련하여 c-erbB-2 on-

cogene, bcl-2, apoptosis, p53의 발현과 세포증식능력등

이 장기간 추적한 환자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논문접수일:1999년 2월 10일 • 심사완료일:1999년 4월 23일 • 교신저자:조 병 규

110-744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번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전화:02) 760-2350, 전송:02) 744-8459

References

1) Adesina AM, Nalbantoglu J, Cavenee WK:p53 gene mutation and mdm2 gene amplification are uncommon in medullobla-stoma. Cancer Res 54:5649-5651, 1994

2) Cox D, Yuncken C, Spriggs AI:Minute chromatin bodies in malignant tumors in childhood. Lancet 2:55-58, 1965

3) Biegel JA, Burk CD, Barr FG, et al:Evidence for a 17p tumor related locus distinct from p53 in pediatric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 Cancer Res 52:3391-3395, 1992

4) Bigner SH, Mark J, Friedman HS, et al:Structural chromo-somal abnormalities in human medulloblastoma. Cancer Genet Cytogenet 30:91-101, 1988

5) Bouffet E, Bernard JL, Frappaz D, et al:M4 protocol for cere-bellar medulloblastoma:supratentorial radiotherapy may not be avoided.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4:79-85, 1992

6) Brothman AR, Watson MJ, Zhu XL, et al:Evaluation of 20

Page 4: Isochromosome 17q와 예후에 관한 연구 - JKNS

남도현 · 왕규창 · 김승기 · 지제근 · 김연미 · 조병규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8/September, 1999 1315

archival prostate tumor specimens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FISH). Cancer Genet Cytogenet 75:40-44, 1994

7) Caputy AJ, McCullough DC, Manz HJ, et al:A review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medulloblastoma. The im-portance of cell differentiation. J Neurosurg 66:80-87, 1987

8) Chen P, Ellmore N, Weissman BE:Functional evidence for a second tumor suppressor gene on human chromosome 17. Mol Cell Biol 14:534-542, 1994

9) Cogen PH, Daneshvar L, Metzger AK, et al:Involvement of multiple chromosome 17p loci in medulloblastoma tumorig-nesis. Am J Hum Genet 50:584-589, 1992

10) Cornelis RS, van Vliet M, Vos CB:Evidence for a gene on 17p13.3, distal to TP53, as a target for allele loss in breast tu-ors without p53 mutations. Cancer Res 54:4200-4206, 1994

11) Deutsch M:Medulloblastoma:staging and treatment outco-m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4:1103-1107, 1988

12) Gentet JC, Bouffet E, Doz F, et al:Preirradiation chemoth-erapy including“eight drugs in 1 day” regimen and high-dose methotrexate in childhood medulloblastoma:results of the M7 French Cooperative Study. J Neurosurg 82:608-614, 1995

13) Gomyo Y, Andachi H, Nagao K, et al:Interphase cytogen-etics of gastric carcinoma: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pplied to cells obtained from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Pathol Int 45(3):227-232, 1995

14) Griffin CA, Hawkins AL, Packer RJ, et al:Chromosomal ab-normalities in pediatric brain tumors. Cancer Res 48:175-180, 1988

15) Halberg FE, Wara WM, Fippin LF, et al:Low-dose radiation therapy for medulloblast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651-654, 1991

16) Lee JI, Wang KC, Ji JG, et al:Immunohistochmical study of medulloblastomas and cerebr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 J Korean Neurosurg Soc 24:857-863, 1995

17) McDonald JD, Daneshvar L, Willert JR, et al:Physical map-ing of chromosome 17p13.3 in the region of a putative tumor suppressor gene important in medulloblastoma. Genomics 23:229-232, 1994

18) Misawa S, Taniwaki M, Abe T, et al:Monocentric and di-centric structure of an isochromosome for the long arm of chromosome 17, I(17), in blast crisis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Acta Haematol Jpn 50:902-905, 1987

19) Pui CH, Raimondi SC, Williams DL:Isochromosome 17q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an adverse cytog-enetic feature in association with hyperploidy? Leukemia 2:222-225, 1988

20) Schofield DE, Yunis EJ, Geyer JR, et al:DNA content and other prognostic features in childhood medulloblastoma. Can-cer 69:1307-1314, 1992

21) Sure U, Berghorn WJ, Bertalanffy H, et al:Staging, scoring and grading of medulloblastoma:a postoperative prognosis predicting system based on the cases of a single institute. Acta Neurochir Wien 132:59-65, 1995

22) Vagner-Capodano AM, Zattara-Cannoni H:Detection of i (17q) chromosome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with interphase nuclei in medulloblastoma. Cancer Genet Cytogenet 78:1-6, 1994

23) Wara WM, Le QT, Sneed PK, et al:Pattern of recurrence of medulloblastoma after low-dose craniospinal radi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0:551-556,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