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사업보고서2013-08-02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심창섭 외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심창섭 외

Page 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연구진

연구책임자 심창섭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참여연구원 노태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홍지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산학연정 연구자문위원

조공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이정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지석 (주한영국대사관 기후변화담당관)

백승화 (한국국제협력단 과장)

신민수 (한양대학교 교수)

ⓒ 20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인 이병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우편번호) 122-706

전화 02)380-7777 팩스 02)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13년 12월 26일

발행 2013년 12월 31일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978-89-8464-758-9 93530

Page 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서 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1993년 설립 이후 다수의 국제환경 협력 사업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립 20주년을 맞는 KEI는 국제환경 협력 및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한국의 대표기관으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는 그동안의 성과와 함께 국제협력 분야의 발전을 위해 보완하고 새롭게 필요한 것들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거에 수행했던 국제환경 협력 사업 및 연구들을 수집하여 그동안 KEI의

국제환경 협력 사업의 성격과 성과, 그리고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향후 KEI가

수행한 국제환경 협력에 대한 지식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과거의 보고서

등을 데이터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연구자 개개인의 역량과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선행 국제협력 과제 내용을 공유하고 신규 국제협력 과제 발굴과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지식플랫폼의 구축 방안도 논의하였다.

기관 차원에서 국제협력을 발전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제협력 사업이 기관의

주요 사업 방향으로 추진되어 이를 위한 기관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런

기관의 지원을 위해서는 국제협력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관 구성원들의 논의와

동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의견들을 종합하여 앞으로 수준 높은 국제환경 협력 사업의 장기적 플랜을 수립하고

적극적인 추진을 기대해 본다.

2013년 12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이 병 욱

Page 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Page 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국문 요약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KEI)은 현재까지 약 200여 건에 달하는 다양한 분야의

국제환경 협력 사업 및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국제환경 협력 성과를

분석하고, 세계 수준의 국제환경 협력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기관 차원에

서 필요하고 시급한 사안들을 제안하였다. 먼저 수탁과제 형식의 국제협력 사업은 보고서

및 성과에 대한 정보 관리가 미흡하였기 때문에 수탁과제 형식의 국제환경 협력 사업과

관련된 자료를 포함하여 기관이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관련되어 이미 수행된 과제에서 도출된 주요 내용과 관련 정보들을 데이터베이

스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연구자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후속 연구 및 사업의 효과적

창출과 수준 높은 국제환경 협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 고유의 지식 플랫폼의 추진이

필요하다.

더욱 발전된 국제협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 구성원 의견수렴 결과, 아시아 개도국

지역 이외의 국제기구 및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국제환경 협력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국제환경 협력 연구 사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연구비

및 인사 관련 규정의 개선 등 기관 차원의 실질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징적, 전시적인 성격의 국제환경 협력을 벗어나 보다 국제적 수준의 연구와 사업

을 전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별 연구자의 노력과 함께 이를 뒷받침할 기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방증하다. 이와 관련된 세부 방안에 대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곧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서 기관 시스템을 개선하여 향후 KEI가 환경 분야의

국제환경 협력에 관한 다양한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국제환경 협력, 지식 플랫폼, KEI

Page 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Page 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차 례∣제1장·서 론···········································································································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

제2장·KEI 국제환경협력 현황··········································································· 13

1. 개요 ············································································································· 13

2. 유형별 성과 ································································································ 19

제3장·지식 플랫폼의 구축················································································ 35

1. 지식 플랫폼의 필요성 ················································································ 35

2. KEI 국제사업 결과의 메타데이터화 예 ··················································· 37

3. 발전된 지식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향 ···················································· 38

제4장·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의견수렴 및 제언············································ 54

1. 설문조사 배경 ···························································································· 54

2. 설문조사 결과 ···························································································· 54

제5장·결언··········································································································· 68

참고문헌·················································································································· 71

부록························································································································· 73

부록 1. 설문지 문항····························································································· 73

Page 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부록 2. GSC 비포함 설문결과 분석·································································· 77

Abstract ················································································································· 83

Page 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표 차 례∣<표 1-1> 3국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사업 목록 ···································· 11

<표 2-1> 해외초청연수사업 참여 국가 ························································ 20

<표 2-2> KEI에서 수행한 KOICA 해외초청연수 국제협력사업 ··············· 20

<표 2-3> KOICA 해외초청연수 종합성과 ··················································· 21

<표 2-4>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 종합성과 ········································· 22

<표 2-5> NISD 참여기관 목록 ···································································· 24

<표 2-6> KOICA 개발원조 프로젝트사업 종합성과 ··································· 27

<표 2-7> KEI에서 수행한 개발원조 프로젝트 국제협력사업 ····················· 28

<표 2-8> 환경부 국제사업 및 연구 종합성과 ············································· 32

<표 2-9> 2004~2013년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워크샵 리스트 ····· 32

<표 2-10> 국제기구(World Bank) 공동사업 종합성과 ······························ 34

<표 2-11> 세계은행 공동사업 추진 실적 ····················································· 34

<표 3-1> 메타데이터 정의 ············································································ 39

<표 3-2> 메타데이터 표준화 기구 및 표준 ················································ 39

<표 3-3> 기관코드/사업분류 유형코드 ························································ 45

<표 3-4> 연구유형별 유형코드 ···································································· 45

<표 3-5> 메타데이터 테이블 정의서 ··························································· 47

<표 3-6> 메타데이터 주요 항목 ·································································· 50

<표 3-7> 연구유형 1 항목의 정의 ······························································· 51

<표 3-8> 연구유형 2 항목의 정의 ······························································· 51

<표 3-9> 단계별 주요 추진내용 ·································································· 53

<표 4-1> 설문조사 실시 결과 ······································································ 54

<표 4-2> 설문내용 결과분석 ········································································ 63

Page 1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표 4-3> 설문결과 분석 주요 내용 ····························································· 66

Page 1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그림차례∣<그림 1-1> IPCC 구성 조직 ··········································································· 5

<그림 1-2> 기후변화협약 체계 ······································································· 6

<그림 1-3> UNEP 국가분포 ·········································································· 7

<그림 1-4> APAN 네트워크 구조 ································································· 9

<그림 1-5> TEMM 구성 조직 ······································································ 11

<그림 2-1> KEI 국제협력사업의 분류 ························································· 14

<그림 2-2> KEI 국제협력사업의 공개비율 ················································· 14

<그림 2-3> KEI 국제협력사업의 다년도 과제 비율 ··································· 14

<그림 2-4> KEI가 기수행한 연도별 연구 실적 ·········································· 15

<그림 2-5> 국제협력 연구 발주처 비율 ······················································ 16

<그림 2-6> 국제협력 연구 유형별 분류 ······················································ 18

<그림 2-7> 국제협력 연구 국가분포 비율 ··················································· 18

<그림 2-8> NISD 홈페이지 화면 ································································ 24

<그림 2-9> 베트남 녹색성장 마스터플랜(VGGS) 개요 ······························ 30

<그림 3-1> 국제협력 연구보고서 예시 ························································ 35

<그림 3-2> KEI 국제사업 메타데이터 DB구축 결과 ································· 37

<그림 3-3> 지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KMS 홈페이지 ······························· 41

<그림 3-4> 국회도서관 도서 검색 화면 ····················································· 42

<그림 3-5> E-Book 조회 화면 ·································································· 43

<그림 3-6> 분류코드 체계 ··········································································· 44

<그림 3-7> Decoding table of ISO 3166-1 alpha-2 codes ··············· 46

<그림 3-8> 메타데이터 DB 구축 프로세스 ················································ 49

<그림 3-9>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발전방향 ····································· 52

Page 1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그림 4-1> KEI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설문지 문항 ································· 55

<그림 4-2> 1번 설문조사 결과 ···································································· 56

<그림 4-3> 2번 설문조사 결과 ···································································· 56

<그림 4-4> 3번 설문조사 결과 ···································································· 57

<그림 4-5> 4번 설문조사 결과 ···································································· 57

<그림 4-6> 5번 설문조사 결과 ···································································· 58

<그림 4-7> 6번 설문조사 결과 ···································································· 58

<그림 4-8> 7번 설문조사 결과 ···································································· 59

<그림 4-9> 8번 설문조사 결과 ···································································· 59

<그림 4-10> 9번 설문조사 결과 ·································································· 60

<그림 4-11> 10번 설문조사 결과 ································································· 61

Page 1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1

∣제1장 ․ 서 론 ∣1. 연구의 목적

2013년 개원 20주년을 맞이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그동안 다양한 환경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환경 분야의 정책 및 영향평가와 관련하여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능력배양 사업,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수행한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 및 개발 조사사업, 환경부가 추진한 국제사업 지원과 기관 차원에서 추진

한 국제환경 협력 사업 등을 통하여, 아시아 지역과 세계 각지의 환경협력을 수행하였고,

국제기구 관련 연구 및 이와 관련된 정부지원 활동도 함께 수행하였다. 이러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KEI는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국제환경 협력 사업과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외 파트너와 함께 국제환경 문제에 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 등 다국적 협의와 소통이 더욱 강조되는 21세기의 환경정책과 연구의 흐름에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환경 분야에 대한 기관 및 연구자의 전문성과 나아가서

국가의 이미지와 국익을 제고하는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관의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관 차원에서 수행된 국제환경 협력

사업의 성격과 그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이런 경험과 노하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

여 국제환경 협력의 기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기관 차원의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KEI가 수행했던 국제환경 협력 사업의 특징 분석

(2) 선행 국제환경 협력 사업과 연구의 내용에 대한 지식정보의 효율적 활용방안 제시

(3) 국제환경 협력 사업의 확대 발전을 위한 기관 구성원의 설문조사 및 제언

이는 국제환경 협력에 대한 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제고하기 위해 기관 차원에서 필요

한 조치를 제언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기관의 관련된 제도적 개선과 맞물려 국제협력

사업에 대해 전략적이고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age 1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가. 환경연구의 국제성

환경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지구환경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즉 대기, 토지, 산림,

연안, 해양, 하천, 지하수 등은 때로는 국지적인 문제로 한정되지 않고, 국경을 넘어 다국

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기오염의 월경성 문제 혹은 현재 온실가

스에 기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United Nations, UN) 차원의 노력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국제 환경이슈는 다만 그 자체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제환경

문제로 인한 다양한 파급효과로 이차적인 국제적 이슈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적

식량 수급의 문제든지(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환경변화에 의한

질병의 확산(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혹은 재난에 대한 공조(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UNISDR) 등이 대표적 사례

이다. 이는 정치, 경제, 사회적 이슈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현대사회에서 환경 문제는

점점 다국적이고 다학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국제적인 논의와 연구 및 사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1993년 설립 이후 국내의 다양한 환경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정책을 정부에 제안하고 지속 가능한 국가발전을 위해 공헌해 왔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는 개도국의 기후변화 정책의 수립과 이행을 전파하는 데에 활용되어

왔으며 기후변화 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등 환경 분야 국제협상에서 정부 대표단을 지원하는 등 국제적 환경 수요에

적극 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활발해지는 세계 환경협력 수요의 증가에 대비하고, 지난

기관 차원의 국제협력 사업 증진을 위한 논의를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기관 차원에서 국제환경 협력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는

보다 합리적인 연구 성과의 관리 및 중요 지식정보의 체계적 관리 방안, 그리고 내부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실시하여 기관의 제도적 지원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Page 1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3

따라서 그동안 연구자의 역량과 경험에 의존하는 국제협력의 수준을 벗어나 다양한 기관

의 연구진들이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관 경쟁력을 한 차원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제2장에서는 그동안 수행되어 온 KEI 국제환경 협력에 대한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

으며, 제3장에서는 누적되고 있는 많은 연구 및 사업성과에 대한 중요한 지식 정보를

정보화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다. 제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향후 기관 차원의 국제환경 협력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내부 구성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통하여 KEI의 국제환경 협력 증진을 위한 시스템 개선을 제안하고

자 한다.

Page 1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나. 국제협력의 수요

1) 국제기구의 예

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패널(IPCC)1)은 인간 활동으로 기인한 기후변화 전망 및 원인

규명,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과 대응전략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1988년 유엔 산하기관인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에

의해 설립되었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며, 전 세계에서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전문가들의 네트워크(197개 회원국)이다.

IPCC의 조직은 의장, 사무국장, 세 개의 WG(Working Group) 및 TF(Tast Force)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1 참조). WGⅠ은 기후변화의 물리과학에 대한 포괄적 평가, WG

Ⅱ는 기후변화의 영향, 적응 및 취약성, WGⅢ은 기후변화의 완화로 구분되며, 각 실무그

룹 보고서는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문(Summary for Policymakers, SPM)과 기술요

약서(Technical Summary, TS)를 포함한다. TF는 온실가스의 국제적인 인벤토리 구축

과 배출 및 흡수원의 국가적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까지 네 차례에

걸쳐 평가보고서(1990년, 1995년, 2001년, 2007년)가 발간되었으며, 2013~2014년에 5차

평가보고서(AR5)를 발표할 예정이다. IPCC에서 발간되는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과 교토의정서 등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정부간 기후변화 협상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IPCC는 그동안의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1) 홈페이지: http://www.ipcc.ch/index.htm

Page 1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5

자료: http://www.ipcc.ch/index.htm.

<그림 1-1> IPCC 구성 조직

나)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생물다양성협약(CBD)2)은 1992년 리우환경회의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정상회의

(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에서 생물

종 감소 및 생태계 파괴의 가속화에 따른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1993년 12월에

채택되었다. CBD의 3대 목표는 (1) 생물다양성 보전과 (2)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지속 가능한 이용 및 (3) 생물유전자원 관련 이익의 공평한 공유를 하는 것이다.

이 협약을 위하여 우리나라도 15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였으며, 유럽연합을 포함한

193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2010년 제10차 CBD 당사국 총회를 위하여 당사국 정부 대표

와 관련 국제기구 및 이해관계자들이 일본 나고야에 모인 자리에서 생물자원을 활용하며

생기는 이익을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 회의에서 생물 유전

자원을 이용하는 국가의 경우 해당 국가에 사전 통보 및 승인을 받아야 하며 발생하는

이익에 대해서 공유해야 한다는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가 채택되었다.

2) 홈페이지: http://www.cbd.int

Page 1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3)

기후변화협약은 1992년 지구 환경보전을 위하여 실시한 리우회의에서 채택되었다.

이 협약을 위하여 192개국이 가입했고(부속서 Ⅰ국가, 부속서 Ⅱ국가, 비부속서Ⅰ국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온실가스의 인위적 방출을 규제하기 위해 1994년부터 발효되

었다. 기본원칙은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되 온실가스 배출의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은

저감의무를 지니면서 차별화된 책임을 갖는다.

부속서 Ⅰ국가는 선진국 41개국(1992년 당시 OECD 국가) 및 12개국의 경제전환국가

가 포함되며, 의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과 국가보고서 제출 및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해야 한다. 부속서 Ⅱ국가는 선진국(OECD 국가)이며, 의무적으로 개도국에 경제적

지원 및 기술이전 지원을 해야 한다. 1992년 당시 우리나라는 OECD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부속 국가Ⅰ에 속해 있다. 비부속 국가Ⅰ은 개발도상국이 속하며, 온실

가스 저감 의무는 없지만 온실가스 국가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만 한다.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홈페이지(http://www.kemco.or.kr/).

<그림 1-2> 기후변화협약 체계

3) 홈페이지: http://www.unfccc.int/

Page 1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7

라) 국제연합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4)

UNEP은 유엔 조직 내의 지속 가능한 환경 활동을 위하여 환경문제에 관한 국제협력

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구환경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세계 정상들은 ‘유엔인간환

경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를 스웨덴 스톡홀름

에서 개최하였고, 환경문제를 다루기 위한 유엔 전문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데 합의하여

1972년 케냐 나이로비에 UNEP를 설립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빈 협약과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있다. UNEP의 개발협력 주제(Cross Cutting)로는 기후변화, 재난 및 갈등, 생태계 관리,

글로벌 환경협력, 독성 및 유해물질 관리와 자원효율성 활동이 있다. 이외에도 환경관리

를 위한 제도적 강화 및 국내외 환경 감시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UENP에서는 Rio+20회의에 따라 지속 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Green Economic

및 Post-2015 환경 활동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

자료: UNEP 홈페이지(http://www.unep.org).

<그림 1-3> UNEP 국가분포

4) 홈페이지: http://www.unep.org

Page 2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2) 동아시아 지역의 환경협력 수요

가) 아시아․태평양 적응 네트워크(Asia-Pacific Adaptation Network,

APAN)5)

UNFCCC의 제28차 SBSTA 총회에서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지역 센터 및 네트워크”와 “기후변화의 영향, 취약성, 적응을 위한 기존의 네트

워크 강화 및 새로운 네트워크의 구축” 등이 결의되었다. 2008년 UNEP이 다른 주요

국제기구 IGES, AIT-UNEP, RRCAP, ADB(Asian Development Bank), SIDA6)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및 APN과 함께 ‘글

로벌 적응 네트워크’를 수립하였고, 2009년 10월 Global Adaptation

Network(GAN) 아시아․태평양 적응 네트워크(아․태 적응 네트워크)가 설립되었다.

APAN 구조는 중심에 AIT와 RRCAP 및 IGES이 지역 허브(Regional Hub)를 이루

고, 다섯 개의 하위 소지역(Sub-regional)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소지

역은 중앙아시아,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태평양으로 나뉜다. 또한 세 가지

주요 주제(Tree Thematic Nodes, TNs)에는 물(Global Water Partnership, GWP),

산(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ICIMOD) 및 농업

(Southeast Asia Regional Centre for Graduate Study and Research in Agriculture)

으로 각각의 주제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4 참조).

5) 홈페이지: http://www.asiapacificadapt.net

6) IGES: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AIT-UNEP: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UNEP

RRCAP: Regional Resource Centre for Asia-Pacific

SIDA: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Page 2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9

자료: Sawhney(2012).

<그림 1-4> APAN 네트워크 구조

Page 2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1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나)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ripartite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TEMM)7)

3개국(한국, 중국, 일본)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 사업은 동북아지역 환경문제에

대한 최고위급 논의의 장으로서, 지구환경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환경산업

및 기술 분야에서 상호 협력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1999년부터 매년 3개국이 교대로

개최하고 있다.

동북아 환경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하여 아홉 개의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주제는 <표 1-1>에 정리하였다. (1) 중국의 사막화 방지 및 황사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서부 생태복원 사업 (2) 호소수질 개선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3) 환경산업

및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를 위한 환경기술 세미나를 국제전시회 등과 연계하여 매년

개최하고 있다. (4) 3국의 환경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동체 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5) 민간분야 간 협력사업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운영기관: 국립환경연구원,

www.temm.org) (6) 장거리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 측정/모델링에 대한 공동 조사사업

이 진행 중이다. (7) 동아시아 산성강하물 관련 정보 공유 및 국가간 협력 증진을 위한

산성강하물측정망과 (8) 환경오염 모니터링 기술자 및 전문가의 교육과 자료 분석 및

(9) TEMM 협력사업 추진 현황, 공동발표문 등 관련 자료와 데이터 등을 소개하는

홈페이지 운영을 실시하고 있다(PRCEE8), IGES, KEI, 2008).

7) 홈페이지: http://www.temm.org

8) PRCEE: Policy Research Center for Environment and Economy of 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of China

Page 2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1장 ․ 서론 ∣ 11

자료: TEMM 홈페이지(http://www.temm.org/).

<그림 1-5> TEMM 구성 조직

사업명

1. 중국서부 생태복원 사업

2. 호소수질개선 사업

3. 환경산업라운드 테이블 개최

4. 3국 공동환경 교육

5. 환경교육네트워크 (TEEN)

6.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조사사업(LTP)

7. 산성강하물측정망(EANET)

8. 동북아 환경데이터센터(NEACEDT)

9. TEMM 공동홈페이지

<표 1-1> 3국 환경장관회의(TEMM) 협력사업 목록

자료: TEMM 홈페이지(http://www.temm.org/).

Page 2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1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다. KEI 차원의 국제협력 관련 TF 활동(조공장 외, 2010)

2010년 KEI에서는 국제협력 관련 TF팀을 구성하여 2010년까지 수행한 주요 국제협

력 연구실적을 정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업유형별로 장단점 등의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과 제언사항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기간은 6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사업유형은

여섯 가지(KOICA 해외초청연수 5건, KEI 일반사업 2건, KOICA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 3건, 세계은행 공동사업 5건, 환경부 국제사업 및 연구 6건, ODA 개발조사 사업

1건)로 구분하였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사업유형별로 총괄 연구실적을 정리하고 성과

분석을 하여 향후 KEI 국제협력 추진방안에 대한 원장님 제언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국제협력 추진방안의 내용은 KEI 국제협력 활동목적 및 추진전략, 사업유형별 개선방안,

KEI의 신규 분야 및 주체별 역할에 대하여 제언하였다(조공장 외, 2010).

Page 2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13

∣제2장 ․ KEI 국제환경 협력 현황 ∣1. 개요

KEI는 1993년 한국환경기술개발원으로 출범하여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으로 개편되었다. 지난 20년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대기․수질․폐기물 등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국제협력

사업에도 매진하여 관련 분야의 역량을 키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EI에서 수행했던 총 197개의 국제협력 사업을 선정하여 국제협력현

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수탁과제의 경우 발주처의 계약조건에 따라서 대부분

대외비, 비공개 조건의 보고서이기 때문에 이 중에서 내부적으로 공개가 가능한 149개의

국제협력 사업에 대한 연구 성과를 분석하였다.

가. 전체 국제협력 비율

국제협력 전체 사업 중에서 기본, 기초, 수시 과제 및 일반사업을 포함한 원내 과제는

총 80개이며 전체의 약 41%를 차지하였다. 수탁 과제인 원외 과제는 발주처의 대부분이

환경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였으며, 이외에도 KOICA, 세계은행(World Bank)과 민간계

및 학계를 포함한 사업이 117개로 전체의 59%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 중에서 100개의

연구보고서는 공개가 가능하지만, 나머지 97개는 과제의 성격상 과제책임자의 재량으로

비공개가 되거나 발주처의 요구조건으로 현재까지 대외비로 관리되고 있었다. 또한 KEI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2008년∼현재) 또는 지속가능발전 연구기관 네트워크

(Network of Institu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ISD) 운영(2004년~현재)과

같이 다년도 과제로 지속적인 국제협력연구를 진행하는 과제는 전체의 약 43%이며,

한시적으로 수행하는 개별과제는 57%로 나타났다.

Page 2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1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그림 2-1> KEI 국제협력사업의 분류

(기간: 1993~2013년 상반기)

<그림 2-2> KEI 국제협력사업의 공개

비율

<그림 2-3> KEI 국제협력사업의 다년도

과제 비율

Page 2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15

<그림 2-4> KEI가 기수행한 연도별 연구 실적

국제협력에 관한 연구 및 사업 활동을 살펴보면 초반의 1990년대까지는 전담 부서나

인력을 별도로 두지 않았고, 사업 또한 향후 이슈가 될 주요 환경협력 분야에 대하여

사전 대비차원의 과제를 주로 수행하였다. 이후에 2004년 지속가능발전 연구기관 네트워

크(NISD)가 운영되면서 개도국 지원 ODA 및 환경영향평가 이외에도 광범위하게 다양

한 국제협력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10년 개도국 녹색성장 전략 연구와 국제협력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글로벌녹색전략연구센터를 신설하였으며(현 글로벌전략센터

Global Strategy Center, GSC), 국제협력사업의 틀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KOICA,

GGGI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근 2011-2012년의 연구

실적이 30개를 상회하였으며, 향후 World Bank 및 녹색기후기금 (Green Climate

Fund, GCF)과의 협력이 증대되어 더욱 증가할 것이라 예상한다(그림 2-4 참조).

Page 2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1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나. 국제협력 유경험자 비율

2012년을 기준으로 KEI에서 국제협력 유경험자인 연구 책임자는 총 86명으로 추산되

었고 이 중에서 현직자는 34명(39.5%)이었다. 나머지 52명은 퇴직, 휴직(육아휴직 포함),

파견 및 자율연구에 포함된다.

다. 국제협력 연구 발주처 비율

국제협력 발주처의 분포는 KEI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한 원내 과제가 40%, 정부부처가

(환경부, 산림청, 기상청, 외교통상부, 한국환경공단 외) 43%, 타 연구소가 10%, 국제기

구(World Bank 외)가 4%, 민간계 2% 및 학계가 1%로 나타났다. 원내와 정부의 비율이

대부분인 약 83%를 차지하였다(그림 2-5 참조).

<그림 2-5> 국제협력 연구 발주처 비율

Page 2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17

라. 국제협력 유형별 & 연구 국가분포 비율

기수행한 국제협력 사업을 분석하여 연구유형 1은 대상국가(개도국 지원 및 ODA,

국제기구, 남북 관련, 선진국 공동)와 연구유형 2는 사업내용에 따라(환경정책 및 관련

연구, 역량강화 및 연수, 국제회의 및 협상대응, 환경영향평가) 구분하였다. 그 결과 대상

국가로 나뉘는 연구유형 1에서 개도국 지원 및 ODA가 49.6%, 국제기구가 33.5%, 남북

관련 15.4% 및 선진국 공동사업이 1.3%를 차지했다. 국제협력 사업은 대부분 개도국

지원 및 ODA로 분류되었으며, 그중에서도 환경정책에 대한 연구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

다(그림 2-6 참조).

국제협력 연구 국가분포는 아시아가 51%를 나타냈고, 아시아 국가 가운데 28%는

북한에 관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외에도 OECD 5%, 남아메리카 3%, 기타 개도국

4%, 남극 3%, 유럽 3%, 아프리카 3%, 선진국 1% 및 북아메리카 1%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 관련 연구사업으로는 원내과제로 환경부 및 통일부와 협업하여 수행한 「남북환경포

럼」이 8년간 운영되었다(2001∼2008년). 2008년 이후에는 한반도 전체의 환경보전을

위한 장기전략 연구를 목적으로 「남북환경협력기반구축사업」이 추진되어 현재까지 연구

사업이 수행 중이다. 초기에 수행한 국제협력 사업 중에는 국제회의 및 협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대상국가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사업들은 기타에 분류하였다

(그림 2-7 참조).

Page 3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1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그림 2-6> 국제협력 연구 유형별 분류

<그림 2-7> 국제협력 연구 국가분포 비율

Page 3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19

2. 유형별 성과

가. KOICA 해외초청연수

KOICA 해외초청연수 형태의 국제협력 사업은 2004년 싱가포르와 공동연수를 시작한

이후 최근 2012년까지 총 15개 과정을 운영하여 개발도상국 환경 분야 공무원 및 환경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생을 배출하였다(표 2-1 참조). <표 2-2>에는 지난 9년 동안 KEI

에서 수행한 KOICA 해외초청 국제협력 사업 관련 15개를 과거순서대로 정리하였다.

먼저 연수에 참가하기 위한 교육생들의 선정방법은 KOICA와 KEI가 협의를 통해

자격조건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수원국에 통보하여 연수후보자를 추천받는다. KEI는

모든 신청자들의 연수 참가신청서를 종합하여 해당 분야별 능력 및 상태를 고려하여

최종 연수생들을 선발한 후에 KOICA에 전달한다. 최근까지 해외초청 연수 사업은 국가

총 42개국에서 참여하여 우리나라가 경제발전을 이루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전수하였다(표 2-3 참조).

주요 교육 내용은 환경영향평가제도 소개 및 평가기법 등에 대한 커리큘럼을 구성하여

개발도상국의 효과적인 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기여하였다. 강의내용 중에는 해당 현장

견학을 연계하여 구성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고 다양한 교육 수단을 동원하여

연수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연수생들은 강의 및 현장 방문을 통하여 한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자국의 환경 관련 제도개선

및 새로운 제도의 도입에 필요한 유용한 지식과 시사점을 전파하였고 우리나라의 환경개

선 추진 노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각국의 연수생들은 국별 보고서를

발표를 통하여 자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시행 노력이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였으며, 해당 전문가와 진행내용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기회를 마련하

였다(조공장 외, 2010).

Page 3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지역 국가

아시아(17)캄보디아, 중국,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몽골, 네팔,

필리핀,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파키스탄

아프리카(12)아프가니스탄, 앙골라, 카메룬, 이집트, 아이티, 자메이카, 르완다, 세네갈,

튀니지, 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중동(2) 이라크, 요르단

CIS/유럽(7)아제르바이잔, 벨로루시,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세르비아

남미(4) 콜롬비아, 니카라과, 파라과이, 페루

<표 2-1> 해외초청연수사업 참여 국가

자료: 조공장 외(2010).

사업유형 사업명 추진시기

KOICA

해외초청

연수

한․싱 공동 연수: 환경관리 및 환경평가제도(3회) 2004~2006

한․싱 공동연수: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관리(3회) 2007~2010

환경영향평가교육과정(4회) 2007~2010

이라크 환경보호정책 교육과정 2007

CIS 지속가능한 개발 2007

인도네시아 환경적 도시수용능력 향상(2회) 2008

EACP(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 기후변화적응 초청연수 2010, 2012

<표 2-2> KEI에서 수행한 KOICA 해외초청연수 국제협력사업

Page 3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21

주요 내용

KOICA

해외초청연

수 종합성과

○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연수생초청사업은 개도국의 정책입안자나

기술인력 등을 초청하여 우리나라가 경제발전을 이루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개도국의 국가발전에 필요한 인력양성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참가국들과의

우호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한국국제협력단의 중추적 사업임

○ KEI는 환경정책 연구기관 및 환경평가 검토기관으로서 다년간 축적해 온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하여 한국의 환경정책을 홍보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연수생초청 사업에 참여하였음

○ 특히 초기에는 연수의 현지 접근성을 강화하고 다자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연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싱가폴과의 공동연수를 실시하였고

이후 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정책 등 특화된 분야의 과정을 확대 실시하였음

<표 2-3> KOICA 해외초청연수 종합성과

자료: 조공장 외(2010).

Page 3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주요 내용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

종합성과

○ 환경평가 및 환경정책 분야에서 축적된 KEI의 전문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KOICA 초청연수사업 이외에도 KEI의 일반사업인‘국제환경평가 교류협

력사업’의 일환으로 능력배양 프로그램을 실시

○ 개발도상국의 환경 담당 공무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지에서 환경영향평

가제도 및 평가기법 등을 교육함으로써 한국의 우수한 환경평가제도를 보급

하고 개도국의 현실에 부합되는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시행을 유도

○ 초청연수 사업과는 달리 KEI의 전문가가 현지에 파견되어 교육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다수의 교육생이 참여할 수 있고, 해당국의 현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가능함

○ 몽골, 라오스에서 교육이 시행되었으며 향후에 대상 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임. 특히 중앙아시아 등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지하자원

및 지하수 개발사업 관련 환경평가사업에 대하여 교육 및 교류를 추진할

예정

<표 2-4>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 종합성과

나. KEI 일반사업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 지속가능발전연구기관네트워크)

1)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

KEI가 수행한 국제환경평가 교류협력사업은 개발도상국의 환경 담당 공무원 및 전문

가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능력배양 프로그램 및 전문가 워크샵 등의 형태로 수행되었

다. 능력배양 프로그램은 몽골, 베트남, 라오스 및 캄보디아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교육

내용은 환경영향평가 개념 및 원리, 사전환경성 검토제도의 절차, 환경 관련 법안의 개정

등이 다루어졌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원격탐사(RS)를 이용한 자료 활용방법

도 포함되었다(표 2-4 참조).

자료: 조공장 외(2010).

2) 지속가능발전연구기관네트워크(NISD)

KEI에서 수행한 대표적인 일반 사업으로는 NISD가 있으며 수행기간은 2005년부터

계속 사업이 수행되어 현재까지 9차연도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NISD는

UNEP/ETB(Economics & Trade Branch)와 KEI의 발의로 출범하여 세계 환경 및

Page 3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23

지속가능발전정책 전문연구기관의 협의체이다. NISD 사업의 주요 목적은 연구 네트워

크 중심의 국제공동 정책연구 및 능력형성 사업 강화를 통한 개도국 경제발전, 빈곤퇴치

및 환경보전 등 세계 지속 가능 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다. 또한 자원개발 및 경제성장

과정에서 지속발전 수요가 큰 유라시아 체제전환 및 개발도상국, 아프리카 및 중남미

중점 협력국에 대한 정책연구 네트워크 강화 및 파트너십 프로젝트를 통한 지속 가능

발전 정책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운영되고 있다. 2005년 제1차 NISD 회의를 제네바에서

개최하여, 아프리카 및 중남미 지역 연구기관 네트워크 활동결과를 공유하고 Thailand

Environment Institute 등 아시아 지역 연구기관에 참여하였다. 2005년∼2006년에는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 중심의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원칙을 정하고, 주요 참여기

관 간 Joint Working Group 회의를 개최하였다. UNEP-ETB에서 담당하는 UNEP

e-News Letter를 통해 NISD Partnership Project 등의 공동연구 성과 등을 회원기관

에 전파하도록 하였으며 KEI 주도로 이루어지는 지속 가능 발전 연구내용 및 결과를

전파하였다. NISD 사업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을 위하여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연구

협력사업 홍보에 기여하고 있다(홈페이지 주소: http://nisd.kei.re.kr).

2012년을 기준으로 주요 사업내용을 보면 NISD 공동연구사업(Partnership Project)

은 「에티오피아 수자원 개발 사업 수행」(2차연도 완료) 및「과테말라 바이오매스 에너

지를 이용한 녹색마을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2차연도 완료)뿐만 아니라 KEI

International Conference를 활용한 몽골 IGMAS, 브리야트 러시아자치공화국 BINM

등 NISD 연구기관들과 후속사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OECD에 연구원을 파견하여 환경

국/기후변화-생물다양성(CBD)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생물다양성 관련 연구 사업

을 비롯하여 OECD, 일본 IGES와 협력을 강화하였다(노태호 외, 2012).

NISD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는 2007년도에 수행한 「셀렝게(Selenge) 통합물환경관리

모델 개발 연구」가 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참여 국가 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지역인

셀렝게 유역의 물 문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환경관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KEI-UNEP-BINM-IGMAS 간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외에도 NISD 사업을

통하여 참여한 기관 목록은 <표 2-5>와 같이 정리하였다.

Page 3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구분 국가/기관본부 기관

1 Uganda Advocates Coalition for Development and Environment

(ACODE)

2 Gabon gence Internationale pour le Developpement de

l’Information Environnementale (ADIE)

3 The Netherlands AIDEnvironment

4 The Netherlands TNO Strategy, Technology and Policy (STP)

5 Thailand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AIT)

6 Thailand Thailand Environment Institute (TEI)

7 Egypt Cairo University

8 ChinaChinese Academy of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CAITEC)

9 Costa Rica Tropical Agricultural Research and Higher Education

Center (CATIE)

10 Costa RicaCentro Internacional de Politica y Economia para el

Desarrollo Sostenible Universidad (CINPE-UNA)

<그림 2-8> NISD 홈페이지 화면 (http://nisd.kei.re.kr)

<표 2-5> NISD 참여기관 목록

Page 3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25

구분 국가/기관본부 기관

11 El Salvador Central-American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2 China HK

Centre for Environmental Policy and Resource

Management (CEPRM)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3 Russia Centre for International Projects (CIP)

14 Bangladesh Centre for Policy Dialogue (CPD)

15 Bangladesh East West University

16 Tunisia Centre International des Technologies de

l’Environnement de Tunis (CITET)

17 USA Conservation International

18 US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 (IAIA)

19 Viet Nam Hue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 Switzerland International Centre for Tra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CTSD)

21 Switzerland IUCN - The Conservation Union

22 Switzerland The South Centre

23 Switzerland World Wide Fund (WWF) International

24 Japan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25 Japan United Nations University

26 Canada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ISD)

27 CanadaMcGill University and the McGill-UNEP Collaborating

Centre in EIA

28 India Integrated Research and Action for Development (IRADe)

29 Senegal Institut des Sciences de l’Environnement (ISE)

30 Australia Institute for Sustainable Futures (ISF)

31 Indonesia Jenderal Soederman University

32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33 KenyaKenya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and Analysis

(KIPPRA)

<표 2-5> NISD 참여기관 목록 (계속)

Page 3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구분 국가/기관본부 기관

34 UgandaMakerere University Institute of Environment & Natural

Resources (MUIENR)

35 Mongolia Mongolian Nature and Environment Consortium (MNEC)

36 HungaryThe Regional Environmental Center for Central and

Eastern Europe (REC)

37 Chile Recursos e Investigacion para el Desarrollo Sustentable

(RIDES)

38 Namibia Southern African Institute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SAIEA)

39 Pakistan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Institute (SDPI)

<표 2-5> NISD 참여기관 목록 (계속)

자료: 조공장 외(2010).

Page 3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27

주요 내용

KOICA

개발원조

프로젝트사

업 종합성과

○ KOICA가 담당하고 있는 개발원조사업 중 프로젝트 사업은 개도국의 교육․훈련, 보건․의료, IT 분야 지원 등 특정 개발 목표달성을 위해 건물, 시청

등의 인적 협력수단(Software)을 결합하여 다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서,

일반적으로 수원국 측은 부지, 현지비용, 현지인력 등을 부담하며 한국

측은 물적․기술적․인적 협력수단을 지원하여 사업을 실시함

○ KEI는 환경정책 및 환경평가 분야에서 축적해 온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

로 사업수행기관(Project Management Consultant, PMC)으로서 환경

분야 개발원조사업에 기여해왔음

<표 2-6> KOICA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 종합성과

다.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

1960년 OECD에서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 개발 원조를 논의하기 위하여 개발원조

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를 산하기구로 출범시켰다. DAC

에는 선진국가인 미국 과 유럽연합 등 총 27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9년 가입조건을 충족하면서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성장하였다.

KEI에서 수행한 대표적인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으로는 2010년 「에콰도르 갈라파고

스 태양광 발전소 건립사업 전략환경평가」이며, KOICA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현지 조사를 통한 현황을 실시하여 태양광 발전소 건립에 대한 환경성

및 국제 환경규제를 검토하였으며, 해양보호지역 및 유네스코 지정 갈라파고스 국립공원

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사업을 통하여 한국형 ODA 및 해외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외원조 사업에 있어서 전략환경평가의 중요성 및 KEI

의 위상을 제고하였다(조공장 외, 2010).

자료: 조공장 외(2010).

Page 4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2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사업명 추진시기

개발원조

프로젝트

사업

파키스탄 펀잡주 고형폐기물관리 공동연구사업 2006~2007

베트남 환경교육센터 설립사업 2008~2010

스리랑카 폐기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2008~2010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태양광 발전소 건립사업 전략환경평가 2010

<표 2-7> KEI에서 수행한 개발원조 프로젝트 국제협력사업

Page 4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29

1) 베트남 녹색성장 마스터플랜 수립(Vietnam Green Growth Strategy,

VGGS)

정부는 2008년 녹색성장 전략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녹색성장 5개년

계획」(2009∼2013년)을 수립하였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세계 각국의 관심 속에 국제기

구(OECD, UN 등)의 주요 글로벌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의 국가 정책 연구기관인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베트남의 사회과학원(Vietnam Academy Social Science,

VASS)은 지속 가능한 국가발전을 위하여 공동연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2011년 그 후속사업의 일환으로 KEI에서는 “베트남 녹색성장 전략연구 및 정책개발

능력형성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강상인 외, 2011). 강상인 외(2011)의 주요 연구내용은

베트남의 경제․사회․환경 영향을 분석하여 녹색성장 전략방향에 따른 환경 여건을 전망하

여 사회경제 발전계획을 도출하였다. 이듬해인 2012년 베트남 녹색성장 사업의 일환으로

정우현 외(2012) “한․베트남 공동 동남아지역 녹색성장 확산체계 구축”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베트남을 포함한 인접 국가(캄보디아, 라오스)의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메콩 지역의 녹색성장을 위한 네트워크의 초기단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지속 가능한

농업 및 농촌개발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3국의 환경자원 검토하고 메콩지역의 지속 가능

발전을 구현하며 녹색성장을 확산하는 데 기여하였다.

강상인 외(2011)과 정우현 외(2012)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2013년 글로벌전략

센터에는 베트남 녹색성장 마스터플랜(VGGS)은 대표적인 ODA 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베트남의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개발에 따른 지속 가능한 사회건설을

위하여 법적․제도적 기반을 지원하고 녹색성장을 위한 사회․환경․경제적 인프라 확보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협력 사업이다(그림 2-9 참조). VGGS 사업을 위하여 법/경제 분야,

기후변화, 국제사업 유경험자 및 환경 분야 전문가(대기, 수자원, 폐기물, 보건, 에너지

등)의 26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였으며, 사업 기간은 24개월(2013.05∼2015.04) 동안 수행

될 예정이다. 베트남 현지에는 녹색성장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전담기구를 설립하

여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녹색성장 정책 발전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Page 4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3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워크숍 및 교육/연수 실시를 통해 국제 네트워크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극복/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녹색성장 실천 계획을 수립하고 베트남 지리/기상

정보를 GI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지리적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베트남의

지역별 기후변화 전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자료: VGGS 착수보고서(2013).

<그림 2-9> 베트남 녹색성장 마스터플랜(VGGS) 개요

Page 4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31

라. 환경부 국제사업 및 연구

한국은 선발 개도국으로서 현재 개발도상국이 겪고 있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이에 따르

는 환경오염문제를 앞서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면서 축적된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환경부와 협력하여 국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EI에서 수행한

환경부 국제사업은 2001년 「대아세안 환경협력 분야 조사사업-베트남」을 시작으로 국내

의 환경산업의 진출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이외에도 환경부 지원으로 「월경

성 동북아 환경영향평가교육」 및 「환경협력강화를 위한 국가별 환경기초자료조사(태국)

」과 「동북아 환경관리에 관한 한·중·일 공동연구」(Ⅰ)(Ⅱ)가 수행되었으며, 환경기술진

흥원의 지원으로 「베트남 지역별 환경보전 장기종합계획 수립」과 「아제르바이잔 환경개

선 마스터플랜 수립」을 수행하였다(표 2-8 참조).

1)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

(Training Workshop on the Transbound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Northeast Asia)

환경부 국제협력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가 2004년도부터

수행되었다. 이 사업은 인접국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도입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위해 중국, 몽골, 러시아 등 해당 국가의 공무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2004년부터 작년까지 총 9년 동안 관련 교육을 수행하였다. 현재

2013년에는 지난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에 종합적인 내용을 포괄하는 총괄보고서

를 작성하였다. 이 사업을 통하여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은 두만강 유역의 생물다양성과 수자원에 대한 위협요인을 분석하

고 이에 기초한 중장기 전략행동계획(Strategic Action Program, SAP)을 마련하기

위하여 「두만강유역 환경보전사업(TumenNET)」을 연계하여 추진하였다.

Page 4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3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주요 내용

환경부

국제사업 및

연구

종합성과

○ 선발 개도국으로서 한국이 갖는 특수한 여건, 즉 현재 개발도상국이 겪고

있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이에 따르는 환경오염문제를 최근에 겪은 경험과

이를 극복하여 축적된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

과의 지식협력사업을 추진

○ 이를 통하여 한국의 환경정책 및 기술을 홍보하고 환경선진국으로서의

한국의 위상을 제고하며 궁극적으로는 신흥 환경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개도국에 국내 환경산업의 진출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표 2-8> 환경부 국제사업 및 연구 종합성과

자료: 조공장 외(2010).

과제명 추진시기

제1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4

제2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5

제3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6

제4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7

제5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8

제6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09

제7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10

제8차 동북아시아지역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교육과정 2011

동아시아지역의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워크숍 2012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추진전략 연구 2013

<표 2-9> 2004~2013년 동북아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워크숍 리스트

Page 4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2장 ․ KEI 국제협력 현황 ∣ 33

마. 국제기구

KEI는 환경연구와 관련하여 그동안 축적된 경험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국제기구인

세계은행(World Bank)과의 국제협력에 관한 공동사업을 2003년부터 추진하기 시작하

였다.

국제기구와 같이 수행한 최초의 사업으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세계은행과 공동

수행한「필리핀 라구나호 유역관리(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for Laguna

de Bay for the Philippines)」등 여섯 건의 국제사업이 있다(표 2-11 참조). 세계은행은

한국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축적된 환경관리 경험을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기 위하

여 지식협력사업(Knowlege Partnership)을 수행하였다. 지식협력 사업은 2001년 2월

환경부와 세계은행이 맺은 양해각서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에서 매년 일정 규모의 자금을

신탁기금 형태로 세계은행에 제공하고 세계은행이 관리하여 추진하는 협력사업의 형태

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2002∼2004년간 136만 달러를 기술자문신탁기금으로 출연,

11개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KEI가 5개 과제를 수행하였다.

환경부, 세계은행과 공조하여 아시아지역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지식협

력 사업은 환경부와 세계은행이 맺은 양해각서와 이에 따른 선행기획과제(한․세계은행

환경협력사업 장단기 추진전략 연구, 2001)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세계은행과의 협력은

개발도상국에 KEI를 알리고 국제적인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국제기구 공동사업의 대표 사례인 ‘필리핀 라구나호 유역관리’ 사업은 과제의

수행결과에 만족한 필리핀 정부가 세계은행에 연계사업을 추진 요청하여 KEI가 두 개를

과제를 추가로 수행하였다. 세계은행과 협력 사업으로 추진한 세계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대아시아 환경협력사업의 추진에 있어 세계은행의 정보와 노하우를 활용하였다. KEI는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환경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대외적 위상

을 제고하였다.

Page 4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3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주요 내용

국제기구

(World

Bank)

공동사업

종합성과

○ 세계은행(World Bank)은 한국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얻어진 환경관리 경험

을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기 위하여 지식협력(Knowledge

Partnership, KP)사업을 수행하였으며 KEI는 사업의 준비와 계획, 사업발

굴 등 진행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음

<표 2-10> 국제기구(World Bank) 공동사업 종합성과

자료: 조공장 외(2010).

과제연도 과제명

2004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for Laguna de Bay for the Philippines

2004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MEs and Industrial Zones for China

2005 Vietnam-Reg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raditional Village

2005Philippines:Development of Implement Rules and Regulations of Selected

Provisions of the Philippines Clean Water Act

2006Development of Options for Effluent Trading in Water Quality Management

Areas in the Philippines

2011Study Tour for the Vietnamese Delegation on Water and Sanitation Sector's

Policies Development and Performance Database

<표 2-11> 세계은행 공동사업 추진 실적

Page 4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35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1. 지식 플랫폼의 필요성

한국의 환경 분야 국제협력 요청이 국내외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KEI에서도 이에 대응

하는 전략적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와 정책 분야 국제협력과 능력배양 프로그램 운영

을 위한 수행모듈이 필요하다. KEI에서 기수행한 국제협력으로는 지난 20년간 약 200여

개 이상의 사업들이 추진되었고, 연구 유형에 따라 환경영향평가, 역량강화 및 연수,

국제회의 및 협상, 개도국 지원 및 ODA, 남북 관련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교류협력 사업이 진행되었다. 원내 국제사업을 비롯한 수탁사업의 경우 글로벌전략센터

에서는 능력배양 프로그램의 형태의 사업이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KEI에서는 연구책임자의 개별적인 연구사업 진행으로 국제협력 관련 연구보

고서들이 분산되어 정확한 정보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개별 연구수행자는

관련 분야 정보만을 구축하는 경향이 있어 정보의 협소화 및 정보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KEI 내에서도 부서 간 정보 공유 및 소통에 한계가 존재하며, 비공개 보고서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그림 3-1> 국제협력 연구보고서 예시

Page 4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3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국제기구인 GCF, World Bank 등과 환경기술․지식집약적인

협력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에 산재되어 있던 사업들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I에서 기수행한 국제협력

사업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7개의 국제협력 연구 과제를 대상으로 원내/외

과제, 과제연도, 자료형태, 책임자, 대륙분포, 발주처, 언어 형태, 주요 키워드 및 유형별

(개도국 지원 및 ODA, 남북관련, 국제회의, 환경영향평가, 역량강화 및 연수, 환경정책

및 관련연구)로 분류하여 간단한 형태의 메타데이터를 시범적으로 작성해 보았다.

Page 4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37

2. KEI 국제사업 결과의 메타데이터화 예

KEI에서 수행한 국제사업 197개를 수집하여 원내/외, 과제연도, 국문/영문과제명,

책임자, 근무형태, 자료형식, 연구유형, 대륙분포, 키워드, 발주처, 언어 및 공개 여부

등 18개 부분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보고서 및 연구보고서가 없는

경우를 제외한 149개 보고서를 중심으로 메타데이터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림 3-2>에

는 1993년부터 2012년까지 KEI 국제사업 메타데이터 예시를 나타내었다.

<그림 3-2> KEI 국제사업 메타데이터 DB 구축 결과

Page 5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3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3. 발전된 국제환경 지식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향

가. 메타데이터 표준화

한국의 환경 분야 국제협력 요청이 국내외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KEI는 전략적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와 정책분야 국제협력과 능력배양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197개의

국제협력 사업을 선정하여 원내/외 과제들을 진행했다. 또한 이렇게 수행한 사업결과들

로 작성된 보고서는 현재 KEI에서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구보고서의 체계적인

검색지원, 관리, 요약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이용 효율을 높이고,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통합관리를 위해서는 연구과제들의 공통적인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키마를 정의하

고,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한데, 스키마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공통 메타데

이터 항목을 추출하기 위한 사전 분석이 필요하다.

1) 메타데이터의 정의

메타데이터는 대량의 연구보고서 가운데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부여되는 데이터의 정보를 의미한다.

2)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기구

연구논문이나 학술논문이면 MARC가 대표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이며, 우리나라는 경

우 2005년 통합 서지용 한국 문헌 자동화 목록(KORMARC) 형식이 KS규격으로 제정되

었다. 서지 데이터에는 공통으로 자료의 표제, 저자명, 판 사항, 발행 사항, 형태 사항,

주제, 주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Page 5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39

구분 정의

Harrod's Libraries 자원을 기술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

MARC 레코드책 또는 이미 정의된 엘리먼트 또는 어트리뷰트에 의하여 다른 아이템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

<표 3-1> 메타데이터 정의

표준화 기구 상세 내용

ONIX

- ONline Information eXchange

- 인쇄 전자책, CD, DVD 등의 유통 메타데이터로 출판물 등의 상품

정보의 확장된 표현과 자유로운 상호 교환을 위한 도서 정보 국제

표준

TTAS.KO-10.0174 - 전자책 메타데이터의 구성 요소 및 형식

TTAK.KO-10.0376 - 전자출판물 메타데이터 매핑

KS

- 국제표준을 부합화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표준

- KS X ISO/IEC 11179-1(MDR) : 프레임워크

- KS X ISO/IEC 11179-2(MDR) : 분류

- KS X ISO/IEC 11179-3(MDR) : 레지스트리 메타모델과 속성

- KS X ISO/IEC 11179-4(MDR) : 데이터 정의의 정형화

- KS X ISO/IEC 11179-5(MDR) : 명명과 식별원칙

- KS X ISO/IEC 11179-6(MDR) : 등록

KORMARC

- Machine Readable Cataloging

- 기계가독목록으로 컴퓨터가 목록으로 작성된 레코드를 읽어 해석할

수 있게 만든 데이터

- 통합 서지용 한국 문헌 자동화 목록으로 총 6종의 형식을 개발하여

KS로 제정

DC

- Dublin Core

- 특정 주제나 언어를 초월한 인터넷 네트워크상의 자원 표시

- 국내는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메타데이터 표준으로 이용

RDF

-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 Web에서 다양한 메타데이터들을 교환하려는 목적으로 W3C

메타데이터 RDF 워킹 그룹에서 제안한 XML 기반의 메타데이터

<표 3-2> 메타데이터 표준화 기구 및 표준

Page 5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나. 지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KMS 적용

현재 KEI 시스템 현황은 부서별 데이터를 기록물에서 관리하며, 기록물은 해당 부서가

아니면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란

부서별 지식공유 확산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지식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 KEI의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의 공유 및 협업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제환경 협력 및 연구에 대한 메타데이터 관리를 KMS와 연동하여 시스템을 관리한

다면 연구보고서의 유통이 더욱 효율적일 것이다.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한

검색 기능 강화(색인, 메타, 링크 검색), 통합 UI 변경(지식, 문서포털, 커뮤니티), 인트라

넷, 홈페이지 연계, 업무 매뉴얼을 제공한다. 또한 검색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메신저

(행정정보시스템) 및 PDF 변환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자료를 보낼 수 있다. 보안 차원에

대비하기 위하여 통합로그인 인증(PKI)을 적용한 정보 유출 방지 및 보안성이 강화

(SSL, PKI 적용)되어 있다. 수탁과제의 경우 발주처가 대외비를 요구한다면 책임연구자

의 허가를 받은 후 보고서를 열람할 수 있도록 수요에 따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 수행했던 국제환경 협력 및 사업에 대한 정보를 KMS 지식정보 통합관

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age 5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41

<그림 3-3> 지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KMS 홈페이지(2013.11.31)

Page 5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다. 메타데이터 항목 설정을 위한 벤치마킹

국제환경협력 및 연구 관련 메타데이터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전달하고 활용도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국내 주요 메타데이터 관련 시스템을 조사하였다. 총 네 개의 시스템

즉 국회전자도서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네이버포털, 국내학술 DB를 검토하였고, 그

중에서 본 과제와 가장 유사한 국회전자도서관을 조사하였다.

국회전자도서관은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위논문 및 학술

지 등 약 700만 권의 자료 검색이 가능하다. 주요 검색 항목은 자료명, 저자명, 발행자,

목차, 키워드 등이 있고, <그림 3-4>와 같이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한 보고서는

PDF, 원문 링크, 목차 및 초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보안이 있는 보고서에 대하여 사용자

의 레벨에 따라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에 E-book의 형태로 자료를 볼 수 있다.

자료: http://www.nanet.go.kr/main.jsp

<그림 3-4> 국회도서관 도서 검색 화면

Page 5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43

<그림 3-5> E-Book 조회 화면

Page 5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라. 메타데이터 항목 정의서

1) 분류 코드체계 정의

산재한 국제환경 협력 및 연구보고서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보고서마다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보고서의 특징과 연구유형

등을 담은 분류 코드체계를 <그림 3-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분류 코드체계는 네 가지 기관코드/사업분류, 연구유형과 국가/지역 및 유일한 값으로

구분한다. 먼저 기관코드/사업분류는 발주처의 기관 고유코드(KEI)와 사업분류(원내/

외)를 코드로 만든다. 연구유형은 연구보고서의 유형에 따라 연구유형 1(개도국 지원

및 ODA, 국제기구, 남북 관련, 선진국 공동)과 연구유형 2(환경정책 및 관련연구, 역량강

화 및 연수, 국제회의 및 협상대응, 환경영향평가)와 같이 구분하여 유형코드별로 적용시

킨다. 국가를 정의할 때 전 세계 국가를 나타낼 수 있는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ISO

3166-1 alpha-2에 의해 두 자리로 지정하고(ex, KR: 대한민국), 지역코드는 구체적인

지역을 설명하는 세 자리의 값(ex, A01: 두만강) 을 지정한다. 마지막으로 유일한 값은

연구내용이 국가와 구체적인 지역까지 동일하고 조건이 같을 경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보고서의 순서를 정하여 구분하도록 한다(ex, 001: 첫 번째).

<그림 3-6> 분류코드 체계

Page 5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45

구분

기관고유코드   사업분류

KEI   원내(0) 원외(1) 

<표 3-3> 기관코드/사업분류 유형코드

구분 유형명  유형코드

연구유형1

개도국 지원 및 ODA A

국제기구 B

남북 관련 C

선진국 공동 D

연구유형2

환경정책 및 관련연구 01

역량강화 및 연수 02

국제회의 및 협상대응 03

환경영향평가 04

<표 3-4> 연구유형별 유형코드

Page 5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자료: http://ko.wikipedia.org/wiki/ISO_3166-1_alpha-2

<그림 3-7> Decoding table of ISO 3166-1 alpha-2 codes

Page 5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47

2) 메타데이터 항목 정의서

분류체계는 국제협력과제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항목들의 조합으로 생성하였으며,

벤치마킹(국회전자도서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네이버, 국내 학술논문 DB) 및 내부

검토를 통하여 <표 3-5>와 같이 테이블을 구성하였다. 총 필드 개수는 32개이며, 반드시

입력이 되어야 하는 것은 11개이다. 필수 입력의 종류에는 분류코드, 발주처, 과제연도,

사업분류, 완료유무, 책임연구원, 국문 과제명, 영문 과제명, 연구과제의 국문 요약, 영문

요약 및 주제 분류가 있다.

<표 3-5> 메타데이터 테이블 정의서

그룹필드명

설명

데이터

형식

필드

크기설명 비고

분류

분류코드 CHAR 16 기관의 유니크한 관리번호 필수

ISBN TEXT 20 출판물의 ISBN 번호 -

발주

발주처 CHAR 4연구과제 발주처I001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필수

과제연도 DATE 4 연구과제의 과제연도 필수

사업분류 CHAR 4원내/원외 과제 표시0 : 원내, 1 : 원외

필수

완료유무 CHAR 1 연구과제 요약의 완료유무 (Y/N) 필수

저자

책임연구원 TEXT 20 연구과제의 책임연구원 필수

참여연구원 TEXT 100연구과제의 참여연구원으로 0명 이상 기입

-

근무형태 TEXT 100

책임 및 참여연구자의 근무형태C001 : 현직C002 : 자율연구C003 : 파견

-

Page 6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4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그룹필드명

설명

데이터

형식

필드

크기설명 비고

과제

과제명TEXT 100 연구과제의 국문 과제명 필수

TEXT 100 연구과제의 영문 과제명 필수

초록TEXT 1000 연구과제의 국문 초록 -

TEXT 1000 연구과제의 영문 초록 -

요약TEXT 1000 연구과제의 국문 요약 필수

TEXT 1000 연구과제의 영문 요약 필수

목차 TEXT 1000 연구과제의 목차 -

표 TEXT 1000 연구과제의 표 제목 -

이미지 TEXT 1000 연구과제의 이미지 제목 -

주제 분류 CHAR 3연구과제의 연구유형 1A01 : 개도국 지원 및 ODA

필수

국가

CHAR 1 연구과제의 대상 대륙 구분 -

CHAR 2 연구과제의 대상 국가/지역 -

TEXT 100 해당 지역의 담당자 정보 -

주요 항목 TEXT 1000 과제의 주요 키워드, 항목 -

자료형태

PDFCHAR 1 PDF 제공 유무 -

TEXT 100 PDF 파일명 위치 -

원문CHAR 1 원문 제공 유무 -

TEXT 100 원문 파일명 위치 -

담당자

TEXT 100 원문 및 PDF 자료실명 -

TEXT 100 원문 및 PDF 자료실 위치 -

TEXT 100 원문 및 PDF 담당자명 -

TEXT 100 원문 및 PDF 담당부서 및 전화 -

TEXT 100 원문 및 PDF 담당자 이메일주소 -

<표 3-5> 메타데이터 테이블 정의서 (계속)

Page 6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49

3) 연구보고서 DB 구축 및 관리

KEI가 기수행한 국제협력 연구과제에 대해 앞서 정의한 메타데이터 표준 안에 맞춰

만들어진 엑셀 프로그램이나 국제협력사업 관리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등록된 메타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분류코드는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지정한다.

11개의 필수항목은 추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완료하고, 나머지 20여 개의 메타데이터

항목을 채워 메타데이터를 구축한다. 대외서비스를 위해 연구보고서는 디지털 콘텐츠로

변환하여 파일로 저장한다. 디지털 콘텐츠는 PDF, E-Book, 요약본 등으로 생성한다.

콘텐츠의 품질확보를 위해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의 DQC-V(Data Quality

Certification - Value)를 참조하여 3단계로 자료를 검사한다.

<그림 3-8> 메타데이터 DB 구축 프로세스

Page 6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5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4) 메타데이터 주요 항목

국제환경 협력 및 사업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정리할 때 KEI 내부에서 관리하는 분류체

계코드와 발행했을 때 등록되는 ISBN으로 구분한다. 분류코드는 메타데이터 입력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키 값이다. 발주정보는 연구과제의 발주처를 기본으로 과제 발행연

도 등 기입한다. 발주처와 발행연도는 직접 입력하지 않고 등록되어 있는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다. 저자는 국제 협력 연구과제를 작성한 책임연구원과 참여연구원, 현재 근무형태

등을 기입한다. 근무형태는 선택 값이다. 과제는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과제명, 요약,

목차, 대상국가, 주제분류)을 입력한다. 과제명, 요약, 초록 등은 국문과 영문으로 구분되

며, 과제명과 요약문은 필수 값이고 텍스트로 입력한다. 본 과제의 중요한 항목(키워드)

은 쉼표(,)를 이용하여 최소 10개의 단어를 입력한다.

분류체계

분류체계 KEI0-A01-KRA01-001

ISBN 978-89-8464-619-3 93530

발주 정보

발주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발행년도 2002

완료유무 완료(Y)

저자 정보

책임연구원 한화진

근무형태 현직

<표 3-6> 메타데이터 주요 항목

Page 6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51

연구유형 1 정의

개도국 지원 및 ODA개발도상국 ODA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수원국의 환경관련 정책

연구, 환경정보 구축, 연수 및 환경영향평가와 관련된 모든 연구

국제기구국제환경 관련 모든 국제회의를 포함한 대응 방안 및 영향 분석

관련 연구

남북 관련북한의 환경보전 및 통일대비를 위한 북한의 환경실태와 환경자원에

관한 DB 구축 및 환경관리 관련 연구

선진국 공동국제기구 World Bank와 수행한 공동협력 사업. 필리핀, 중국, 베트

남 지역의 환경 개선을 위한 관련 연구

<표 3-7> 연구유형 1 항목의 정의

연구유형 2 정의

환경정책 및 관련연구대상국가의 환경관리정책 현황 및 부문별 환경정보 구축(대기,

수질, 폐기물, 에너지 등) 관련 연구

역량강화 및 연수개발도상국 OD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원국의 환경 분야 종합

계획 및 효과적인 발전방안 관련 연구

국제회의 및 협상대응국제환경 협력을 위한 국제회의/협상 연구유형으로 세계환경정상

회의(WSSD), Rio+20, WTO/DDA 및 기후변화협약 관련 연구

환경영향평가개발도상국이 겪고 있는 환경오염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원국

의 환경정책 분석 및 환경영향평가 도입방안 마련 관련 연구

<표 3-8> 연구유형 2 항목의 정의

연구유형 1과 연구유형 2는 국제협력을 수행하는 대상국가와 사업내용에 따라 구분하

였다. 유형에 대한 항목의 정의를 <표 3-7>과 <표 3-8>에 정리하였다.

Page 6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5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마. 발전방향

2000년 중반에 국제협력 전담부서를 신설하면서 국제협력에 관한 연구와 사업 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제협력 수요에 따라 연구범위는 점차 확대/증가하고 있고, 국제협

력 사업에 대한 지속 가능한 연구 수행을 위하여 ‘KEI형 지식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KEI는 보다 발전된 국제환경 협력 연구보고서 유통의 주체로서 효율적

관리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국제협력과제 관리시스템의 발전방향은 총 3단계로 구분하는 데 제1단계는 착수기,

제2단계는 고도화기, 제3단계는 안정기로 나뉜다. 각 단계에서 추진해야 할 주요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정보자원의 유통역할 강화, 국제협력체계 연구보고서의 질적/양

적 수준 제고 및 서비스 선진화로 구분할 수 있다. <표 3-9>에는 지식 플랫폼을 적용한

단계별 주요 추진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림 3-9>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발전방향

Page 6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3장 ․ 지식 플랫폼의 구축 ∣ 53

단계 주요 내용

1단계(착수기)

● 연구보고서 DB 구축 및 시스템 시범구축

- 연구보고서 E-Book화

- H/W 및 S/W 인프라 도입

- 연구보고서 조회 입력 가능한 시스템 구축

2단계(2015년)

● 검색엔진 도입 및 시스템 고도화

- 검색엔진 도입으로 인한 원문검색

- 온라인 대여신청 관리 및 시스템 고도화

3단계(2016년) ● KEI 전체 연구보고서 확대 DB 구축

<표 3-9> 단계별 주요 추진내용

Page 6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5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구분 내용

설문대상 KEI 정규직원 및 국제협력 유경험자 연구원 총 125명

설문기간 2013.8.20~30(11일간)

설문방법 KEI PIMS 시스템

설문응답비율 약 73.6% (92명)

<표 4-11> 설문조사 실시 결과

∣제4장 ․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의견수렴 및 제언∣1. 설문조사 배경

KEI가 국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비전과 목표와 함께 이를 뒷받침할 내부

구성원의 의지와 함께 제도개선을 위한 구성원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 구성원들의 국제협력에 대한 인식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KEI는 국제환경 협력 이외에도 환경영향평가, 국내 환경정책 및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으므로 다양한 사업목적을 갖고 연구하는 구성원들의 국제협력 증진

에 대한 인식은 기관 차원에서 제도적 지원을 수립하기 위해 기초적인 필수 정보이다.

2. 설문조사 결과

KEI 국제협력 증진에 대한 설문조사를 위해 원내 정규직원 및 국제협력 유경험자인

연구원 125명을 선정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3년 8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11일간)

KEI PIMS 시스템을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약 73.6%(92인)를 차지

하였으며, 한 부서로 의견이 치우치지 않도록 부서별로 과반 이상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지는 10문항으로 <그림 4-1>과 같고, 자세한 질문

내용은 <부록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Page 6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55

<그림 4-10> KEI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설문지 문항

Page 6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5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1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원내과제와 수탁과제 비율이 약

4:6 정도가 됩니다. 향후 국제 환경연구/사

업의 방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원내과제 비율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수탁과제 비율을 확대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2번. 현재 KEI가 수행하는 국제 환경연구/사

업은 전체과제 중 약 10%를 차지하고 있

습니다. 여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국제 협력연구/사업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국제문제보다는 국내환경문제에 더욱 집

중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그림 4-11> 1번 설문조사 결과

<그림 4-12> 2번 설문조사 결과

Page 6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57

3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것이

약 절반 (51%)가량 됩니다. 아시아 지역

중심의 국제 환경연구/사업 추진에 대해

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확대 필요

가 있음

② 현재의 연구 범위가 적절함

③ 아시아 지역 관련 사업의 확대를 추진해

야 함

④ 모름/무응답

4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ODA 관련 개도국 지원 사업이

대다수 (50%)를 차지하고 선진국과의

공동연구 실적(1%)이 미흡합니다. 여기

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수요가 많다면 개도국 지원 사업 중심으

로 계속 추진해야 함

② 선진국과의 공동연구를 점차 확대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함

③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도록 장기목

표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그림 4-13> 3번 설문조사 결과

<그림 4-14> 4번 설문조사 결과

Page 7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5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5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수탁과제 발주처의 요청, 대외

적인 비밀을 요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보

고서의 비공개 비율이 49%에 달하고 있

습니다. 또한 수탁과제의 경우는 비공개

보고서가 자료실에서 소장하지 않는 경

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대한 원내 비공개

보고서의 관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

니까?

① KEI 연구책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

공개를 조건으로 (열람의 경우 연구책임

자/원장 등의 승인을 득한 후) KEI가 보

고서를 소장하고 일괄적 관리를 할 필요

가 있음(의무제출)

② 수탁과제라면 공개에 민감한 보고서는

KEI가 보고서를 관리하지 않아도 됨

③ 모름/무응답

6번.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 확대를 위하

여 기관 차원의 장려정책으로 어떤 노력

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에 대한 추가 인센

티브/가산점의 부여 등 별도의 관리를 함

② 국제 환경협력 연구를 대상으로 별도의

장려대책은 불필요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타기관과의 관계 확대, 기관의 장려정책 적

용시 원내의 의견을 수렴한 후 내부의 갈등을 줄임 등)

<그림 4-15> 5번 설문조사 결과

<그림 4-16> 6번 설문조사 결과

Page 7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59

7번. 내부 「KEI 국제협력 TF 보고서」

(2010)에 따르면 KEI 국제협력 활성화

를 위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사업발굴 기

획과 성과의 홍보를 통한 파급효과 확대

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제협력사

업의 관리/홍보 혹은 국내외의 다양한

잠재적 발주처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제

선정 및 심의시에 “국제(협력)연구”로

지정하여 별도의 규정하에 관리할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협력연구를 별도 지정하여 KEI 차

원의 관리가 필요함

② 별도의 지정 및 관리는 필요없고 자발적

인 관리/대응을 함

③ 종전과 같이 별도의 지정 및 관리/대응이

필요 없음

④ 모름/무응답

8번. 만약 별도의 KEI 국제(협력)연구의 관

리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면 국제협력사

업의 관리 전담부서로 어떤 부서가 적정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조실에서 전담 관리함

② 글로벌전략센터(GSC)에서 전담 관리함

③ 국제협력사업의 전담 관리는 필요 없음

(개별 연구책임자가 각자 관리함)

④ 모름/무응답

<그림 4-17> 7번 설문조사 결과

<그림 4-18> 8번 설문조사 결과

Page 7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9번. 국제기구/기관 산하의 여러 글로벌 국제협력 Funding은 예산집행시 내(외)부 인건

비 등이 인정되지 않는 등, 실 경비 위주의 예산집행 지침으로 현실적으로 KEI 재정

기여율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이한 연구비 지침에 KEI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수탁과제 재정기여율 및 예산 집행에서 국제펀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과제 인센티브를 다른 형태로 고려하는 등 국제펀딩 수주를 장려해야 함

② 국제펀딩 추진을 위해 현재의 수탁과제 예산집행 기준을 탄력적으로 고려할 필요 없음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

<그림 4-19> 9번 설문조사 결과

Page 7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61

10번. 그 밖에 KEI 국제협력 확대/발전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자유롭게 작성해

주십시오.

<그림 4-20> 10번 설문조사 결과

(1) 행정적 차원

- 현 원내 규정은 국내 사업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외출장 및 숙박경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

(2) 기관차원

- 국제협력 유경험자의 박사와 연구원들이 장기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직

배정시 배려 필요

- 원내에서는 여러 사례를 분석하여 국제기구에서 지원되는 지원체계가 KEI에서도

가능하도록 운영 필요

- 원내 기여율 때문에 연구수행을 꺼리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필요

- 연구 수행시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와 보고서는 자료실에서 주관

- KEI가 기수행한 국제협력과제를 총정리 및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총괄시스템

마련 및 전담직원 배치

Page 7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2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 외국어 우수 연구원의 대거 채용 등

(3) 사업내용 차원

- 수행 전 필요성에 대한 세부적 사전검토 필요

- 지속적인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정기적인 연구성과 보고회의 개최

- 지역별, 매체별(수자원, 상하수도, 폐기물, 대기, 생물자원 등)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국제협력 사업성과를 제고하는데 기여

- 국제협력 사업이 ‘국익우선, 국익명분’의 수단이 아닌 함께 배워나가는 것임을 명심

- 사업의 유연성을 위해 연구기간 12개월 이내 종료 등

Page 7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63

구분 내용 설문 결과분석

Q1향후 국제환경 연구/

사업 방향

KEI에서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협력 사업에서 원내과제와 수탁과

제 비율이 약 4:6 정도였으며, 향후 국제 환경연구/사업의 방향에

대하여 원내과제 비율을 점차 확대해야 함(37%),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3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Q2 전체 과제 비율

KEI에서 수행하는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전체 연구과제 중 약

1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국제

협력연구/사업을 점차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70%를 차지하였

다.

Q3향후 국제환경 연구/

사업 방향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아시아 지역이 51%로 약

절반가량이 포함되는데, 향후 연구 지역 관련에 대한 응답내용은

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53%), 현재의 연구 범위가 적절함(23%),

아시아 지역 관련 사업의 확대를 추진해야 함(22%)의 순서로 나타

났다.

Q4 선진국 공동연구 관련

연구 유형을 분석한 결과 ODA 관련 개도국 지원사업이 50%를

차지하고 선진국과의 공동연구 실적은 1%로 미흡한 실정에 대하

여,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도록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함(42%), 선진국과의 공동연구를 점차 확대해야 함(41%), 수요가

많다면 개도국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계속 추진해야(15%)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Q5 원내 보고서 관리

수탁과제 발주처의 요청으로 대외적인 비밀을 요하는 경우의 비공

개 비율이 49%로 집계되었으며, 자료실에서 소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원내 비공개 보고서의 관리에 대하여 KEI 연구책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공개를 조건으로 연구책임자/원장 등의 승인을

득한 후 KEI 보고서를 의무제출하여 일괄적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86%를 차지하여 현재 보고서 관리수준이 미흡하다고 평가

되었다.

가. 설문내용 결과분석

KEI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원내 설문 결과를 <표 4-2>에 정리하였다.

<표 4-2> 설문내용 결과분석

Page 7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구분 내용 설문 결과분석

Q6 기관 차원의 장려정책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관 차원의 장려정

책으로는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가산점

의 부여 등 별도의 관리를 함(47%), 별도의 장려대책은 불필요

(38%)하다는 의견이 상충되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기관에서는

타 기관과의 관계를 확대하는 방안, 행정적 기준 완화, 기관의

장려정책 적용시 원내의 공감을 얻어 갈등을 줄이는 방안 및 국제

환경협력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추후에 장려정책을 세우

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조사되었다.

Q7 국제 환경사업 전담 관련

내부「KEI 국제협력 TF보고서」(2010)에 따르면 KEI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사업 발굴 기획과 성과의 홍보를

통한 파급효과 확대를 권장하고 있다. 이에 국제협력사업의 관리/

홍보 혹은 국내외 다양한 잠재적 발주처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제

선정 및 심의시에‘국제(협력)연구’로 지정하여 별도의 규정에

따른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KEI 차원의 지정 관리가 필요하다

는 내용이 전체 응답자의 62%를 상회하였으며, 별도의 지정 및

관리 없이 자발적으로 대응하자는 내용이 전체 응답자의 24%를

차지하였다.

Q8 국제 환경사업 전담 관련

국제협력/연구 관리에 대한 전담부서에 대해서는 글로벌전략센터

(GSC)에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60%였으며, 기획조정실의

관리는 25%로 조사되었다.

Q9 재정기여율 관련

국제기구/기관 산하의 여러 글로벌 국제협력 펀딩은 예산 집행시

내(외)부 인건비 등이 인정되지 않는 등, 실 경비위주의 예산집행

지침으로 현실적인 KEI 재정 기여율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런 상이한 연구비 지침에 대하여 KEI가 탄력적으로 조정하

고 과제 인센티브를 다른 형태로 고려하는 등 국제펀딩 수주를

장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75%를 차지하였다.

<표 4-2> 설문내용 결과분석 (계속)

Page 7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65

Q10. 기타 의견

KEI 국제협력 확대/발전을 위한 기타 의견을 행정적, 기관 및 사업 내용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1) 행정적 차원으로 현 원내 규정은 국내 사업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외출장

및 숙박 경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전체의 25%를 차지하였다.

(2) 기관 차원에서는 국제협력 유경험자의 박사와 연구원들이 장기적으로 사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보직 배정 시 배려가 필요하고, 원내에서는 여러 사례를 분석하여

국제기구에서 지원되는 지원체계가 가능하도록 운영하여 한다. 또한 연구보고서

관리에서 연구 수행 시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와 보고서는 자료실에서 주관해야

할 뿐만 아니라 KEI가 기수행한 국제협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총괄적인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전담직원을 배치해야 한다. 이외에 외국어 능력이 우수한 연구

원을 대거 채용하여 여러 국가와 국제협력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3) 사업내용 차원에서는 사업수행 전에 미리 필요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사업은 사업의 유연성을 위해 12개월 이내에 종료되어야 한다. 지속적인 네트워크

를 강화하기 위해 정기적인 연구 성과 보고회 형식의 회의를 개최하고 지역별,

매체별(수자원, 상하수도, 폐기물, 대기, 생물자원 등)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국제협

력사업 성과를 제고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또한 국제협력 사업은 국익의 수단이

아닌 함께 배워나가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는 연구자의 태도에 대한 의견도 있다.

Page 7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주요 내용

설문 결과

분석

○ 현재 KEI가 수행하는 국제환경연구/사업은 연구수행 범위를 점차 확대하여

야 하며 (70%), 그 지역은 현재 연구 범위(53%)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으로

확대(22%)되어야 할 것임

○ ODA 관련 개도국 사업은 선진국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거나(41%),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며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추진(42%)해야 함

○ 국제 환경연구 보고서는 발주처의 대외적인 비밀을 요하는 경우라도 연구책

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공개 조건으로 자료실에서 소장할 필요가 있음(의

무제출)(86%). 또한 연구/사업을 확대하기 위하여 국제 환경연구에 대한

인센티브/가산점의 부여 등 기관 차원의 장려정책이 중요함(47%)

○ KEI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협력사업의 관리/홍보 혹은 국내외

다양한 잠재적 발주처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제 선정 심의 시에‘국제(협력)

연구’로 지정하여 KEI 차원의 관리가 필요함(62%). KEI 관리부서는 글로

벌전략센터(GSC)에서 전담(60%)하거나 기획조정실에서 관리(25%)해야

○ 국제기구/기관 산하의 여러 글로벌 국제협력 펀딩은 예산집행 시 내(외)부

인건비 등이 인정되지 않는 등, 실경비 위주의 예산집행 지침으로 KEI

재정 기여율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연구비 지침을 탄력적으로

지정하고 과제 인센티브를 다른 형태로 전환하는 등 국제펀딩 수주를 장려해

야함(75%)

<표 4-3> 설문결과 분석 주요 내용

설문내용을 분석한 결과 <표 4-3>과 같은 결론들을 얻을 수 있다.

Page 7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4장 ․ 제도개선 등 제언∣ 67

KEI의 정규직원 및 국제협력 유경험자인 연구원을 대상으로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설문조사를 종합한 결과 국제환경사업의 연구범위는 현재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

이 많았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관 차원에서 국제환경 협력 사업을 위한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기관 차원에서는 과제 선정 심의

시에 ‘국제(협력)연구’ 로 지정된 연구에 대해서는 전담 부서를 정하고, 전담부서에서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후속 연구 및 수준 높은 국제 환경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국제협력 연구보고서 관리는 자료실에서도 소장하고 있지 않은 보고서가 상당수

를 차지하여 보고서의 관리수준이 매우 미흡하다고 평가하였다. 연구보고서 관리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KEI의 연구책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공개의 조건으로 연구책임자

및 원장 등의 승인을 얻은 후에 자료실에 일괄적으로 의무 제출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기관의 국제환경 연구/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행정 차원의 원내 규제 완화

및 사업내용 차원의 인식 제고 등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Page 8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6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제5장 ․ 결언∣한국의 환경 분야 국제협력 요청이 국내외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KEI에서도 국제협력

사업 및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2010년 국제사업을 총괄하는 글로벌전략센터

(구 글로벌녹색전략연구센터)를 신설하여 체계적인 틀을 마련하고 KOICA, GGGI 등의

유관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기관에서 수행한 국제협력 자료를 분석

한 결과 대상국가에 따라 개도국 지원 및 ODA, 남북 관련 사업, 선진국 공동연구, 국제기

구(World Bank)로 나뉘며, 연구 및 사업 내용으로는 환경정책, 역량강화 및 연수, 국제회

의 및 협상대응, 환경영향평가로 구분되었다. 기관에서 가장 많이 수행한 국제협력 분야

(49.6%)는 개도국(몽골,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을 대상으로 한 환경정책

관련 연구가 있으며, 대부분 아시아 지역(51%)을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보다 발전된 국제협력 사업을 위한 기관 차원에서 제도적 지원,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및 체계적인 검색 지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KEI 내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설문조사 응답률 73.6%). 그 결과 국제 협력사업의 수행 범위를 점차

확대해야 하며(70%), 대상 지역은 아시아 지역 이외의 선진국과 공동연구를 확대해야하

고(43%), 기관 차원의 인사규정 완화 및 별도의 장려정책이 필요(47%)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수탁과제의 연구보고서 중에서 발주처가 대외비를 요구하더라도 KEI 책임

연구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자료실에서 비공개 조건으로 소장할 필요가 있다(86%)는

의견이 나타나 이제까지의 연구보고서 관리 수준이 미흡하다고 평가하였으며, 국제(협

력)연구는 과제 심의 시에 별도의 규정에 따른 관리가 필요(62%)하다고 조사되었다.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국내외적으로 국제협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수행

되어온 개별 연구자의 역량과 경험에 의존하는 제한적인 국제협력 수행방법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발전시킬 수 있는 지식 플랫폼 시스템(Knowledgement

Platform System)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보고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통항목에 대한 메타데이터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항목에 따라

Page 8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제5장 ․ 결언∣ 69

코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18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연구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인 관련 보고서 및 자료의 정보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관 차원에서 국제환경 분야의 활발한 연구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국제협력 활동 연구자료 관리 및 개선 방향

KEI에서 수행한 국제협력 사업의 59%가 수탁과제이며, 대부분 발주처에서 비공개

등을 요구하는 이유로 기관 차원에서는 연구 자료의 관리에 제약이 있었다.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이제까지의 국제협력연구보고서는 197개로 추산되었으며, 전자도서관에서

열람이 가능한 보고서는 119개에 불과하였다. 현직인 책임연구자에게 요청하여 보고서

의 열람 허가를 승인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단 30개의 연구보고서만 추가로 수집할 수

있었다(총 149개). 또한 전자도서관에서는 KEI에서 수행한 수탁과제는 과제 검색이 제

대로 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렇듯 기관의 자료실에서도 수탁과제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기관 차원의 모든 보고서 및 관련

자료의 시스템적 관리가 시급하다.

(2) 국제환경 협력 사업에 관한 장기 시스템 구축 방향

기관 차원에서는 환경 분야의 지속적인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EI 국제협력 관련 구성원들은 국제협력 사업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을 마련하고, 상시적인 회의를 개최하여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협력의 기획과 추진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성과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의사 결정 및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

(3) 발전된 국제환경 지식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활용 방향

환경 분야의 국제협력 연구 및 사업에 관한 기관 차원의 고유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과거 KEI에서 수행한 총 197개의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공통 메타데

Page 8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7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이터 항목을 18개를 추출하여 시범적으로 분석하였다(예: 원내/외 구분, 과제연도, 국/영

문 과제명, 책임연구자, 근무형태, 자료형식, 연구유형, 대륙분포, 키워드, 발주처, 언어형

태 및 공개 여부 등). 기관차원에서 과거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보고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고서 및 관련 자료에 분류

코드 체계를 부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국제협력 관련 보고서 및 관련 정보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관련 정보의 실용적 DB화). 이를 통해 기관의 전략적인

국제협력 연구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현재 KEI는 환경 분야의 국제협력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국제기관 및 유관 기관

등의 협력을 강화/확대하고 있으며(KOICA, GGGI, World Bank 등), 특히 수원국의

요청으로 개도국 지원 및 ODA 사업으로 한국의 물적․기술적․인적 협력 수단을 지원하는

개발원조 사업에 기여해 오고 있다. 향후 글로벌 환경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적극적

이고 전문적인 국제협력 연구와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효과

적인 관리와 함께 이를 활용한 전문가들의 효과적인 의사결정과 논의, 그리고 이를 뒷받

침할 수 있는 기관차원의 시스템적 지원이 매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보고서를

기초로 향후 기관의 발전적인 혁신에 미량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age 8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참고 문헌 ∣ 71

∣참고 문헌∣

<국문 자료>

노태호 외. 2012. 「지속가능발전 연구기관 네트워크(NISD) 운영 201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우현, 강상인, 박시현, 허장, 이대섭. 2012. “Korea-Vietnam Joint Project for Building

Framework of Disseminating Green Growth in Southeast Asia”.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강상인, 정우현, 박준현, 권소현. 2011. 「NRCS-VASS 공동 베트남 녹색성장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및 능력형성 프로그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조공장, 문유리, 문현주, 양일주, 이윤, 이정호, 이희선. 2010.「KEI 국제협력 TF」.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영문 자료>

PRCEE, IGES, KE. 2008. (Tripartite) Joint Research o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Northeast Asia

Sawhney Pa. 2012.8.20. "Asia Pacific Adaptation Network(APAN): Adaptation Forum and

Best Practices". Institute of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Kobe, Japan.

<온라인 자료>

APAN 홈페이지: http://www.asiapacificadapt.net

CBD 홈페이지: http://www.cbd.int

IPCC 홈페이지: http://www.ipcc.ch/index.htm

NISD 홈페이지: http://nisd.kei.re.kr

TEMM 홈페이지: http://www.temm.org

UNFCCC 홈페이지: http://www.unfccc.int

UNEP 홈페이지: http://www.unep.org

국회도서관 검색페이지: http://www.nanet.go.kr/main.jsp

http://ko.wikipedia.org/wiki/ISO_3166-1_alpha-2

Page 8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Page 8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부록 ∣ 73

<부록 1> KEI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설문조사 설문지 문항

※ 설문지에서 국제 환경연구/협력 사업은 국내의 환경문제를 넘어서 국제 환경문제를

다루는 연구, 개도국 지원 및 Capacity building, 그리고 해외 연구자와 공동연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원내과제와 수탁과제 비율이 약

4:6 정도가 됩니다. 향후 국제 환경연구/사업의 방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원내과제 비율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수탁과제 비율을 확대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2번. 현재 KEI가 수행하는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전체과제 중 약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 협력연구/사업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국제문제보다는 국내환경문제에 더욱 집중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Page 86: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74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3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것이

약 절반 (51%)가량 됩니다. 아시아 지역 중심의 국제 환경연구/사업 추진에 대해

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확대 필요가 있음

② 현재의 연구 범위가 적절함

③ 아시아 지역 관련 사업의 확대를 추진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4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ODA 관련 개도국 지원 사업이

대다수 (50%)를 차지하고 선진국과의 공동연구 실적(1%)이 미흡합니다. 여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수요가 많다면 개도국 지원 사업 중심으로 계속 추진해야 함

② 선진국과의 공동연구를 점차 확대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함

③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도록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5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사업은 수탁과제 발주처의 요청, 대외적인

비밀을 요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보고서의 비공개 비율이 49%에 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탁과제의 경우는 비공개 보고서가 자료실에서 소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

니다. 여기에 대한 원내 비공개 보고서의 관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KEI 연구책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공개를 조건으로 (열람의 경우 연구책임자/

원장 등의 승인을 득한 후) KEI가 보고서를 소장하고 일괄적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음(의무제출)

② 수탁과제라면 공개에 민감한 보고서는 KEI가 보고서를 관리하지 않아도 됨

③ 모름/무응답

Page 87: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부록 ∣ 75

6번.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 확대를 위하여 기관 차원의 장려정책으로 어떤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가산점의 부여 등 별도의 관리를 함

② 국제 환경협력 연구를 대상으로 별도의 장려대책은 불필요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

7번. 내부 「KEI 국제협력 TF 보고서」(2010)에 따르면 KEI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사업발굴 기획과 성과의 홍보를 통한 파급효과 확대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제협력사업의 관리/홍보 혹은 국내외의 다양한 잠재

적 발주처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제 선정 및 심의시에 “국제(협력)연구”로 지정하

여 별도의 규정하에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협력연구를 별도 지정하여 KEI 차원의 관리가 필요함

② 별도의 지정 및 관리는 필요없고 자발적인 관리/대응을 함

③ 종전과 같이 별도의 지정 및 관리/대응이 필요 없음

④ 모름/무응답

8번. 만약 별도의 KEI 국제(협력)연구의 관리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면 국제협력사업

의 관리 전담부서로 어떤 부서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조실에서 전담 관리함

② 글로벌전략센터(GSC)에서 전담 관리함

③ 국제협력사업의 전담 관리는 필요 없음(개별 연구책임자가 각자 관리함)

④ 모름/무응답

Page 88: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76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9번. 국제기구/기관 산하의 여러 글로벌 국제협력 Funding은 예산집행시 내(외)부

인건비 등이 인정되지 않는 등, 실 경비 위주의 예산집행 지침으로 현실적으로

KEI 재정 기여율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이한 연구비

지침에 KEI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수탁과제 재정기여율 및 예산 집행에서 국제펀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과제 인센티브를 다른 형태로 고려하는 등 국제펀딩 수주를 장려해야

② 국제펀딩 추진을 위해 현재의 수탁과제 예산집행 기준을 탄력적으로 고려할 필요없음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

10번. 그 밖에 KEI 국제협력 확대/발전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자유롭게 작성해

주십시오.

※ 바쁘신 와중에도 성심껏 질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89: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부록 ∣ 77

<부록 2> GSC 비포함 설문분석 결과

1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원내과제와 수탁과제 비율이 약

4:6 정도가 됩니다. 향후 국제 환경연구/사

업의 방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원내과제 비율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수탁과제 비율을 확대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2번. 현재 KEI가 수행하는 국제 환경연구/사

업은 전체과제 중 약 10%를 차지하고 있

습니다. 여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

까?

① 국제 협력연구/사업을 점차 확대해야 함

② 현재의 비율이 적절함

③ 국제문제보다는 국내환경문제에 더욱 집중

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부록 2-1> 1번 설문조사 결과

<부록 2-2> 2번 설문조사 결과

Page 90: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78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3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것이 약

절반 (51%)가량 됩니다. 아시아 지역 중심

의 국제 환경연구/사업 추진에 대해서 어

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으로 확대 필요가

있음

② 현재의 연구 범위가 적절함

③ 아시아 지역 관련 사업의 확대를 추진해야

④ 모름/무응답

4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ODA 관련 개도국 지원 사업이 대

다수 (50%)를 차지하고 선진국과의 공동

연구 실적(1%)이 미흡합니다. 여기에 대

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수요가 많다면 개도국 지원 사업 중심으로

계속 추진해야 함

② 선진국과의 공동연구를 점차 확대할 수 있

도록 추진해야 함

③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도록 장기목표

를 설정하고 추진해야 함

④ 모름/무응답

<부록 2-3> 3번 설문조사 결과

<부록 2-4> 4번 설문조사 결과

Page 91: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부록 ∣ 79

5번. 현재까지 KEI가 수행한 국제 환경연구

/사업은 수탁과제 발주처의 요청, 대외

적인 비밀을 요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보

고서의 비공개 비율이 49%에 달하고 있

습니다. 또한 수탁과제의 경우는 비공개

보고서가 자료실에서 소장하지 않는 경

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대한 원내 비공

개 보고서의 관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

십니까?

① KEI 연구책임자가 수행한 연구라면 비

공개를 조건으로 (열람의 경우 연구책

임자/원장 등의 승인을 득한 후) KEI가

보고서를 소장하고 일괄적 관리를 할 필

요가 있음(의무제출)

② 수탁과제라면 공개에 민감한 보고서는

KEI가 보고서를 관리하지 않아도 됨

③ 모름/무응답

6번.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 확대를 위하

여 기관 차원의 장려정책으로 어떤 노력

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제 환경협력 연구/사업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가산점의 부여 등 별도의 관

리를 함

② 국제 환경협력 연구를 대상으로 별도의

장려대책은 불필요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

<부록 2-5> 5번 설문조사 결과

<부록 2-6> 6번 설문조사 결과

Page 9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80 ∣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시스템 개발

7번. 내부 「KEI 국제협력 TF 보고서」

(2010)에 따르면 KEI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사업발굴 기획과

성과의 홍보를 통한 파급효과 확대를 권장

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제협력사업의 관리

/홍보 혹은 국내외의 다양한 잠재적 발주

처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제 선정 및 심의

시에 “국제(협력)연구”로 지정하여 별도

의 규정하에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

십니까?

① 국제협력연구를 별도 지정하여 KEI 차원

의 관리가 필요함

② 별도의 지정 및 관리는 필요없고 자발적인

관리/대응을 함

③ 종전과 같이 별도의 지정 및 관리/대응이

필요 없음

④ 모름/무응답

8번. 만약 별도의 KEI 국제(협력)연구의 관리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면 국제협력사업의

관리 전담부서로 어떤 부서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기조실에서 전담 관리함

② 글로벌전략센터(GSC)에서 전담 관리함

③ 국제협력사업의 전담 관리는 필요 없음(개

별 연구책임자가 각자 관리함)

④ 모름/무응답

<부록 2-7> 7번 설문조사 결과

<부록 2-8> 8번 설문조사 결과

Page 93: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9번. 국제기구/기관 산하의 여러 글로벌 국제협력 Funding은 예산집행시 내(외)부 인건비

등이 인정되지 않는 등, 실 경비 위주의 예산집행 지침으로 현실적으로 KEI 재정 기여율

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이한 연구비 지침에 KEI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수탁과제 재정기여율 및 예산 집행에서 국제펀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조정하

고 과제 인센티브를 다른 형태로 고려하는 등 국제펀딩 수주를 장려해야 함

② 국제펀딩 추진을 위해 현재의 수탁과제 예산집행 기준을 탄력적으로 고려할 필요없음

③ 모름/무응답

④ 기타 의견

<부록 2-9> 9번 설문조사 결과

Page 94: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Page 95: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수행을 위한 자체지원 …webbook.me.go.kr/DLi-File/091/019/005/5568279.pdf∣사업보고서∣2013-08-02∣ KEI의 환경분야 국제협력사업

Abstract ∣ 83

Abstract

Planing for KEI's Institutional Support to Enhanc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 Cooperat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researches and cooperation, institutional support is critical. In particular, the knowledge platform to utiliz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experience is necessary, which is independent of each researcher's ability and experience. Here we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KEI's forme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es and cooperation. The KEI'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es/cooperation were mostly to support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capacity building for the developing country mostly in Asia. KEI also has conducted researches and has contributed to the government for international negotiation. However, we have less experience of collaboration with glob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 of developed countries. So we need to diversify the international partnership and enhance the relevant capacity.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search the relevant information/results and supporting internal regulation on the management for researchers and activities must be introduced. Most of the institutional staffs agree on boos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r the environmental researches and relevant activities, but the details for the supporting regulation needs more discussions for the internal agreement.

Keywords: KEI,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collaboration, Knowledge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