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연구 윤현숙(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흥구(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4. 1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연구vkorea.or.kr/files/board.12/%bb%e7%c8%b8%ba%b9%c1... · 초기의 사회복지활동이 종교에 기반 한 외원단체의 선교활동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를 위한 연구

    윤현숙(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흥구(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4. 1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보건복지부

  • - 1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1950년대 외원단체의 활동으로 시작된 근대적 의미의 사회복지서비스는 그동안 많은 양적

    성장과 질적 변화가 있었다. 초기의 사회복지활동이 종교에 기반 한 외원단체의 선교활동에

    기인한 활동이었다면, 지금은 생활시설 뿐 아니라 다양한 이용시설로 사회복지의 기반이 급

    격하게 확대되어가고 있다.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사회복지관의 설립 및 운영을 지원

    하는 근거가 마련되고, 1989년 사회복지관 설치 운영 규정에 따라 대표적인 이용시설인 사

    회복지관업무가 활성화 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재가봉사 서비

    스가 제공되게 되었다. 1987년부터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이 배치됨으로써, 공공부문에서 사

    회복지서비스가 시행되었고, 2000년 10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시행되면서 저소득층의 일

    자리 확보와 자활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240개가 넘는 자활후견기관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

    한 1995년 정신보건법이 제정되면서 정신보건 영역에 사회복지사의 개입 근거가 마련되었으

    며, 1990년대 중반 이후 학교사회사업의 확대를 위한 노력의 결과, 전국적인 시범사업이 시

    행되는 등 사회복지의 2차 세팅으로까지 사회복지서비스의 내용과 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

    다.

    이러한 서비스의 확대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제공

    서비스에 대한 질 보장의 요구가 팽배하게 됨에 따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평가제도가 시

    행되었다. 1998년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을 통해 평가의 근거가 마련된 이후 1999년 장애인

    복지관과 정신요양시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999년도에는 사회복지관, 아동생활시

    설, 노인생활시설, 여성복지시설, 장애인생활시설, 부랑인복지시설 등에 대한 평가지표가 개

    발되었다.

    이러한 평가 지표는 사회복지 각 실천영역의 수행직무와 과업에 영향을 주었으며, 기관의

    업무수준과 서비스의 방향을 결정하는 안내판 역할을 수행하였다. 사회복지업무는 이러한

    평가지표 외에도 각종 법률과 시행령, 시행규칙 혹은 규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 내용과 사회복지사의 직무 수행수준을 보면, 동일 지역

    같은 사회복지영역이라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표준화된 직무 없이 기관이 처한 입장과 철학 또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능력이나 여건,

    지역사회자원체계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직무를 수행하다 보니, 사회복지의 정체성 혼란과

    업무의 비효율성이 가중되고 있다. 표준화된 직무의 부재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자신의 직무

    에 대해 분명한 인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고 이로 인해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불가능

    하게 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의 전체적인 입장에서는 일반 국민이나 다른 전문직

    에게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었으며, 사회

    복지사간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표준 직무의 부재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뿐 아니라 사회복지실천 영역 간 직무의 비교가

  • - 2 -

    불가능하여 책임성 있는 서비스 제공의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평가지

    표의 개발 못지않게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의 분석과 이에 기초한 직무의 표준화는 사

    회복지의 정체성 규명과 전문성 확보 및 질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사회복지의 직무와 관련된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이들 연구는 수행직무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라기보다는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등과 관련된 간접연구가 주를 이루

    고 있다. 직무분석이 이루어진 연구도 특정 영역의 직무와 역할로 한정된 연구이거나 사회

    복지사의 근무환경과 교육 등 관련성을 갖는 간접적인 요인 규명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

    로 이루어져 왔다(김태성 외, 1998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0 ; 강혜규․윤상용, 2001).

    직무분석과 관련한 연구로는 특정 단일 분야의 직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용교, 1990 ; 김성한, 2002),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김기환 외, 1997 ; 강흥구, 2003), 장애인복지관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최재성,

    2001), 종합사회복지관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안정선․김영일, 2004)가 있으나 사회복지

    사의 전반적인 직무를 통합적인 입장에서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사회복지 전 영역

    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직무를 조사한 김통원(2004)의 연구는 미국의 사회복지사 직무에 근

    거한 수정 도구를 활용하여 1급 사회복지사와 2,3급 사회복지사의 직무수준의 상이점을 고

    찰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초점이 분야별 표준 직무의 제시가 아니라, 사회복지사 급수별

    수행 직무 수준 이해에 그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직무분석을 통한 표준 직무의 선정과

    그에 따른 직무기술서의 제시, 매뉴얼 개발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따르고 있지 않으며, 사

    회복지사가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표준 직무의 도출과 분야별 직무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한

    계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사회복지의 6개 분야를 선정하였다. 표준 직무의 제시

    영역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는데, 이용시설 가

    운데는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봉사센터, 자활후견기관의 3분야와 생활시설 중에는 아동, 노인,

    장애인 분야의 3분야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야에 대해 직무분석기법에 의해 실제 수행하

    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분석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직무기술서의 제시근거와 분야별

    수행직무의 차이를 고찰하고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전체 사회복지사의 표준 직무를 제

    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률적으로 표준 직무를 제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일이다. 예를 들어 아동 생활

    시설의 표준 직무가 제시되었다고 하더라도 아동시설에는 육아시설 외에도 직업훈련시설,

    자립지원시설, 일시보호시설, 직업보도시설 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각 유형의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표준화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유형별 표준 직무의 제시는 전

    체적으로 공통적인 표준 직무가 제시되어 있다면, 분야별 특성을 감안하여 약간의 민감성을

    발휘하면 될 문제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통의 표준 직무 개발에 초점을 두고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 전체의 공통적인 표준 직무와 분야별 표준 직무의 제시

    외에도 사회복지사 자격의 급간 직무의 차이도 아울러 고찰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수

  • - 3 -

    가 증가하고, 국가시험에 의해 자격증을 교부하는 상황에서도 실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는 이러한 급수에 의한 업무 구분보다는 경력이나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따라 업무가 배분되

    고 있어 자격구분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급간의 수행직무 구분은 자격에 따

    른 업무 수행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실천현장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업무 수행의 근거가

    될 것이며, 사회복지업무 수행체계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사회복지의 급격한 확대는 반대로 해결해야 할 많은 도전 과제를 사회복지계에 던져주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공급과잉에 따른 사회복지의 정체성 확립 및 사회복지 영역의 수요개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체계 구축, 대학교육의 질 강화 방안과 적정인원의 관리

    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되었다. 이 중에서도 서비스의 적정 수

    준의 보장과 사회복지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표준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실습기관등록제 혹은 실습기관인증제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사회복지실습 교육의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고, 사회복지대학인증제에 대한 논의와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통해 사회복

    지 대학 교육의 표준화를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사의 수행 직무 분석을 통한 표

    준 직무의 제시는 사회복지의 정체성 향상과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표준 직무 개발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3종(아동, 노인, 장애

    인)의 생활시설과 3종(사회복지관, 재가봉사센터, 자활후견기관)의 이용시설에 대한 직무 분

    석을 통하여 공통의 표준 직무와 6개영역의 표준 직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분석을 통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직무(duty)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과업(task)

    및 업무요소(element)를 규명한다.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사회복지직무 요소의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을 측정한다.

    셋째, 이러한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에 대한 차이가 시설 유형별로 존재하는

    지 고찰한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공통 표준 직무와 6개의 사회복지영역별 표준 직무를 제시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급수 별 직무유형을 구분하고, 분야별 사회복지사 1급과 2,3급의 수

    행직무를 제시한다.

    여섯째,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행 직무의 특성을 고찰한다.

    일곱째, 표준 직무의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연구 목표의 달성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

    향상 및 사회복지서비스의 질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 4 -

    II. 사회복지사의 직무 표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사의 직무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서

    비스를 제공하거나 혹은 기관의 유지나 운영을 위해 및 사회복지사로서 역할하기 위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말한다. 이러한 직무의 표준화는 직무분석의 단계를 거쳐 표준적으로

    수행해야 할 직무를 선정하는 과정으로 요약된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고찰하고 직무

    분석과 표준화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1. 사회복지사의 직무

    1) 사회복지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 경향

    국내에서 사회복지사의 수행 직무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2000년대 이후에

    나타나고 있지만 그리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특정 영역

    의 직무에 관한 연구와 사회복지사의 근무환경과 교육 등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관련성을 갖

    는 간접적인 요인 규명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김태성 외, 1998 ; 한국사

    회복지사협회, 2000 ; 강혜규․윤상용, 2001). 체계적인 직무분석에 의해 전체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 차원을 분석하기 보다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나, 의료사회복지사 등 특정

    영역의 사회복지사들이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사회복지사의 수행직무와 연

    관성을 갖는 요인 규명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김태성 등(1998)은 사회복지사의 직무실태를 교육제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

    였으며,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0)에서는 사회복지 실태조사의 일환으로 사회복지사가 수행

    하는 업무를 제한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강혜규․윤상용(2001)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수행직무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 연구들은 직접적으로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에 초점을 둔 연구는 아니었다.

    직접적으로 직무 수행과 관련된 연구로는 단일 분야의 직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 전담공

    무원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용교, 1990 ; 김성한, 2002),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를 대

    상으로 한 연구(김기환 외, 1997 ; 강흥구, 2003), 장애인복지관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

    (최재성, 2001), 종합사회복지관의 직무를 대상으로 한 연구(안정선, 김영일, 2004)가 있다.

    또한 2개영역 이상의 직무를 조사한 연구로는 김태성 등(1998)의 연구와, 사회복지전담공무

    원과 종합사회복지관의 직무를 조사한 변재관 등(2000)의 연구, 사회복지 전 영역의 직무를

    조사한 김통원(2004)의 연구가 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이용교(1990)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

    무규정이 시행되기 이전에 전담공무원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고찰하였고, 김성한(2002)

  • - 5 -

    의 연구에서는 1999년과 200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하여, 전담 공무

    원이 실제 수행하는 업무의 비중을 살피고 있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수행직무

    의 성격을 이해하고, 업무 비중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으나, 이 또한 세세한 직무 분석과 연

    결되지 않고 있다.

    본격적으로 수행 직무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진 것은 김기환(1997)의 연구이다. 대한의료사

    회사업가협회에 용역을 받아 시행된 이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를 수행 빈

    도와 필요도를 기준으로 핵심직무를 포함한 4개집단별1) 표준 직무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연

    구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업무를 7개영역 33개 업무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직무수준

    을 ①심리․사회적 문제의 원인 조사 및 사정직무, ②사회복귀 및 재활문제 직무, ③팀 어프

    로치, ④경제적 문제 해결직무, ⑤지역사회 자원연결 직무, ⑥순수행정직무, ⑦교육 및 연구

    조사 업무로 구분하고 있다. 강흥구 등(2003)의 연구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수행업무에 관한

    13개의 표준(standards)과 31개의 기준(criteria), 103개의 지표(indicator)를 구조(structure)와

    과정(process)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다. 표준과 기준, 지표는 직접적인 직무는 아니더라도 의

    료사회사업의 직무 수행 근거를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연관성이 있다.

    본격적인 직무분석기법이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에 들어서이다. 변재관 등(2000)

    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법과 관찰법을 통하

    여,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있다. 비록 조사대상 범위가 한정된 한계는 있지만 직무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무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직무에 대해 접근하고 있는 것은 최재성(2001)

    의 연구이다. 그는 장애인복지관의 전산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의 업무를 수

    평적, 수직적 직무분석 방식을 통하여 표준화된 안을 제시하고 있다. 수평적 업무를 재활서

    비스, CBR서비스, 후원자 관리, 자원봉사자 관리의 4영역으로 제시하였고, 수직적인 업무로

    재활서비스, 지역복지사업, 연구개발사업, 별도사업, 행정의 5개영역으로 나누어 세부적인 직

    무를 제시하고 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에서는 단독 기관으로 유일하게 직원들의 직무분석을 통하여 업무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직원인 안정선, 김영일(2004)은 질문지법과 기

    관 자료 탐색, 면접법을 통하여 각 직원들의 직무수준을 파악하고, 단위별로 조정계수를 부

    여하여 산정된 조정업무량에 의하여 직원들의 직무가 적절하게 분담되도록 하였다. 이 연구

    에서는 직무등급을 중요도, 우선도, 직무수준에 의해 파악하고, 행정 공통 업무와 기타 공통

    업무, 직급별 공통 업무를 제시하고 있다.

    김통원(2004)은 미국의 JAS 조사지를 한국 실정에 맞도록 개정한 조사도구로 직무를 조사

    하여 직급별, 근무분야별, 직위별로 수행직무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주로 사회

    복지사 1급과 2,3급의 수행 직무 차이 검증에 초점을 둔 연구로서, 연구 결과 1급 사회복지

    사의 직무 수행 빈도가 2,3급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 병원규모와 전문영역을 기준으로 대학병원의 일반/재활직무, 대학병원의 정신의료직무, 종합병원 이하의 일반/

    재활의료직무, 종합병원 이하의 정신의료직무 등의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 6 -

    구분 김태성 등 (1998) 강혜규․윤상용

    (2001)김통원(2004)

    연구

    대상전 사회복지사 전 사회복지사 전 사회복지사

    구분 4개 영역 23업무 3개 영역 15업무 8개 영역 65업무

    <직접적인 서비스>

    1.사례발견

    2.정보수집과 접수

    3.개별상담

    4.가족상담과 가족치료

    5.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운영과 치료

    6.사후관리

    7.클라이언트에 대한 직접적 수발

    1. 대상자 돌보기

    2. 상담

    3. 재활 및 치료

    4. 교육 프로그램 실시

    5. 정보제공 및 서비스 의뢰

    6. 복지자원 발굴(후원자 개발)

    <직접서비스>

    1. 서비스 대상 발굴

    2.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수집

    3. 자원에 대한 정보제공

    4. 프로그램 이용안내

    5. 공문 작성

    6. 클라이언트의 이동

    7. 동료와 상의

    8. 클라이언트와 가족지지

    9. 클라이언트의 특정문제 개입

    10. 갈등중재

    11. 욕구사정

    12. 클라이언트의 학습지원

    13. 클라이언트의 행동지도

    14. 일상생활기술훈련

    15. 집단사회사업

    16. 급식활동

    17. 신체접촉이 없는 일상생활지원

    18. 신체접촉이 있는 일상생활지원

    19. 약 복용 관리

    20. 의료적 응급처치

    21. 여가활동

    사회복지사의 수행 직무구분

    2) 사회복지사의 직무분류

    지금까지 단일 분야 외에 주요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준을 분류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태성 등(1998)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4개영역, 23개의 업무로 제시하고 있

    는데, 직무수준을 ①직접적인 서비스 영역,②자원개발과 연계를 위한 직무, ③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활동, ④행정업무와 조사연구로 나누고 있다.

    변재관 등(2000)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를 ①대상자 접

    수, ②서비스 제공, ③서비스 제공 관련 지원업무, ④지역복지자원 발굴 및 관리, ⑤프로그

    램 개발, ⑥기획, ⑦평가, ⑧업무개선 및 능력개발, ⑨관련기관 업무협조로 구분하고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0)에서는 사회복지사 실태조사를 하면서 사회복지사의 업무를 ①

    개별/집단/가족 상담, ②주민/사회교육, ③재가복지/사례관리, ④자원봉사자 관리, ⑤프로그

    램 운영 및 개발, ⑥입소자/환자 관리, ⑦결연 후원, ⑧행정/조직 관리, ⑨교육/연구, ⑩지

    역/시민운동, ⑪자원개발, ⑫홍보, ⑬정보화 관리, ⑭기타 업무로 구분하고 있다.

    강혜규․윤상용(2001)은 업무를 보다 단순화하여 ①복지서비스 전달, ②복지행정, ③기관

    행정 등의 3개영역 15개 직무수준으로 구분하였다.

    김통원(2004)은 8개 영역의 65가지 업무에 대하여 직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①직접서비

    스, ②간접서비스, ③기획 및 업무추진(본인), ④기획 및 업무추진(타인), ⑤본인개발, ⑥타인

    개발, ⑦정보관리, ⑧근무부서관리로 나누고 있다.

  • - 7 -

    <자원의 개발과 연계를 위한 직무>

    1.의뢰서비스

    2.재정적 자원 지원

    3.직업훈련과 취업알선

    4.지역사회 자원 정보제공과 알선

    5.자원봉사자의 모집과 관리 운영

    <간접서비스>

    1. 클라이언트의 이동준비

    2. 고용주와 자격요건 논의

    3. 수급자격 검토

    4. 후원자 모집

    5. 사회행동 및 옹호활동

    6. 기관 및 사업홍보

    7. 기관의 개선 제안

    8. 자원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정보수집

    9. 자조활동지원

    10.자원봉사자 관리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활동>

    1.지역사회 교육프로그램(교실) 운영

    2.지역주민 가족관리 활동

    3.지역사회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

    4.대외활동과 사회행동

    1. 기안․결재

    2. 서비스 제공관련 일지 정리

    3. 사업기횔

    4. 프로그램 개발

    5. 자원봉사자 교육

    6. 관련기관 협조

    <행정업무와 조사연구>

    1.행정업무처리

    2.행사기획과 실시

    3.기관홍보

    4.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5.조사연구

    6.직원에 대한 지도감독

    7.실습생 교육

    1. 직원관리(수퍼비전)

    2. 예산 및 문서 행정

    3. 시설관리

    <기획 및 업무 추진(본인)>

    1.사업계획서 및 보고서 작성

    2.사업 스케쥴 조정

    3.사례 기록 검토

    4. 수퍼비전 받기

    5. 외부 자문 받기

    6. 업무기록검토

    7. 인테이크 면접

    <기획 및 업무추진(타인)>

    1. 문서작업 감독

    2. 인사고과

    3. 부서 직원 고충처리

    4. 직원간 근무시간 조정

    5. 업무분장

    <본인개발>

    1. 행정 업무능력 개발

    2. 기관 내부교육 참가

    3. 외부교육 참가

    <타인개발>

    1. 직원교육실시

    2. 사례회의 참석

    3. 정보전달

    4. 신입직원 교육

    5. 실습생 지도

    <정보관리>

    1. 사례기록

    2. 실적 및 사례보고

    3. 인사기록

    <근무부서관리>

    1. 욕구 및 만족도 조사

    2. 연구자료 마련

    3. 기관운영회의

    4. 업무지침마련

    5. 신규사업 마련

    6. 신규직원 선발 참여

    7. 근무평정

    8. 서류결재

    9. 재정관리

    10. 시설관리

    11. 비품관리

  • - 8 -

    2. 직무분석과 표준화

    1) 직무분석

    (1) 직무분석의 개념과 의의

    직무분석이란 “직무를 구성하고 있는 일의 전체 및 그 직무를 완수하기 위해서 담당자에

    게 요구되는 경험, 기능, 지능, 능력, 책임과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각각 명

    확하게 밝히어 기술하는 절차로”정의할 수 있다(송상호, 1997).

    이와 같은 직무는 직무를 분석할 때,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과제중심 직무분석

    (task-oriented job analysis)과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worker-oriented job analysis)으로 나눌

    수 있다(양일선 외, 1999). 과제중심 직무분석은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제나 활동이 어떤 것

    들인지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며, 이러한 과제중심 직무분석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직무 기

    술서를 작성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인간의 재능에 초점을 두어서 지식, 기술, 능력, 경험과 같은 작업자의 개인적 요

    건에 의해 직무가 표현되는데, 작업자중심 직무분석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작업자 명세서

    를 작성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직무의 분석을 통하여 사

    회복지사의 수행직무를 검토하는데 초점이 있으므로 과제중심 직무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

    다.

    김성수(2001)가 “직무분석이란 조직에서 특정 직무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과정”으로 정의하면서, 직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 정보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나 최재성(2002)이 직무분석을 “조직에서 수행되는 직무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

    로 수집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는 것 등은 과제중심 직무분석의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직무분석은 각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직

    무수준과 특성을 파악하고, 다른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필요한 정보

    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직무분석의 방법

    직무분석의 방법은 다양하나 수직적 직무분석과 수평적 직무분석, 역동적 직무분석의 방

    법이 있다(송상호, 1997).

    가) 수직적 직무분석

    수직적 직무분석은 직무 선정에 있어 기존 조직의 계층구조에 입각하여 분석하는 것을 말

    한다. 즉 조직성원들이 수행해야할 직무에 관한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조직계층상 가장 작

    은 단위의 조직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체계를 대, 중, 소 항목별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소항목별로 업무수행 담당자가 구체적으로 업무수행방법, 절차, 목적, 작업조건, 작업시간 등

    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를 취합하여 계, 과, 부 등 조직의 계층별로 연결함으로

    써 전체 조직의 직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 - 9 -

    이러한 수직적 직무분석은 현 조직과 직무가 안정적이라는 가정 하에서 각 단위조직별로

    업무구조나 업무량을 파악하는데 용이하여, 단위부서의 업무체계를 정립하거나 정원 산정을

    하는데 용이하다. 담당자별로 수행해야할 직무의 특성을 파악하기 쉬우며, 인적자원관리시스

    템 구축에 유용한 도구이나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직무와 직무사이의 연관관계에 집중하는 수평적 접근방법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나) 수평적 직무분석

    수평적 직무분석은 개별 프로세스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각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다양

    한 직무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분석

    을 통하여 중요한 과업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수행되어지며, 이러한 업무처

    리과정에서 고객이 요구하는 가치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효율성과 경직성이 발생되는 원인을 발견하고, 이러

    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에게 신속하게 대응하고,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

    안의 모색이 가능하다. 즉 프로세스 상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직무와 직무사이의 연관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수평적 직무분석이다.

    수직적 직무분석과 수평적 직무분석

    직 무

    과업

    수평적 직무분석

    : 수평적 업무흐름에 따른

    단위 직무의 연결고리를 찾음

    수직적 직무분석

    : 수직적 조직 계층에 따른

    단위 직무의 연결고리를 찾음

    출처 : 송상호(1997),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21(1) ;103.

    다) 역동적 직무분석

    역동적 직무분석이란 수직적 직무분석과 수평적 직무분석기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현

    재 직무 및 직무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정보 뿐 아니라 미래시점에서 요구되는 직무 및 직무

    담당자의 직무수행 여건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를 활용하

  • - 10 -

    여 미래의 조직 및 인력관리시스템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으로 3단계

    로 구성된다.

    1단계는 수직적 분석방법에 입각하여 현 직무의 구조와 직무수행방법, 직무수행자의 자격

    요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단계는 수평적 직무분석에 입각하여 업무의 수평적

    연결고리를 프로세스라는 시각에서 파악하고, 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미래의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수직적 분석과 수평적 분석을 연결하여 미래

    의 업무 프로세스가 기존 조직구조나 개인의 직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

    와 같은 3가지 분석단계를 거쳐 경쟁력 있는 기업의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새로운 프로세

    스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조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새로운 조직은 설계하거나 새로운 인적

    자원관리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역동적 직무분석이다.

    역동적 직무분석

    대상

    프로세스

    선정

    미래

    요구

    되는

    직무

    분석

    프로세스

    기술

    프로세스

    목표설정

    프로세스

    설계

    업무분류

    체계확정

    대상시간

    확정직무

    기술

    시간,

    조건

    기입

    Impact

    Assessment

    과업

    변경표미래과업

    요구서

    직무

    분석

    수직적+수평적 직무분석의 연계

    미래에 요구되는 새로운

    프로세스가 기존 직무나

    조직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출처: 송상호(1997).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21(1) ;107.

    이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수평적 직무분석에 입각하여 직무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부분적

    으로 역동적 직무분석의 개념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3) 직무분석의 단위

    직분분석이 보다 명확히 이해되기 위해서는 직부분석과 관련된 용어들이 규명되어야 하는

    데, 직무분석을 위한 관련용어로는 직무(job or duty), 과업(task), 과업의 요소(task element)

    등이 있다.

    실무적인 견지에서 보면, 직무(duty)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직위(position)가 모여서 형성

  • - 11 -

    되며, 직위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과업(task)이 모여서 형성되고, 과업이란 몇 가지의 동작

    (motion) 또는 요소업무(element)들이 모여서 형성되는 것(한국생산성본부, 1993)이므로 직무

    분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와 직위, 직위와 과업, 과업과 요소 업무를 시스템의 논리

    에 따라 분석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duty)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과업의 추상적 집합체로서 사회

    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큰 내용을 말하며, 과업(task)은 이러한 직무를 체계적인 방법

    에 따라 작은 단위로 나눈 것으로 그 단위 자체로 독립적이며 측정이 가능한 행동의 범위를

    말한다. 요소업무(element)는 과업의 달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행동(action), 단계(steps), 혹은

    결정(decis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사의 행동을 기술하고 작업을 세부적으로 기술하

    며, 작업의 진행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4) 직무분석의 방법

    직무분석의 방법으로는 자기기입법, 면접법, 관찰법, 설문지법, 데이컴법(DACUM) 등이

    있는데, 한 가지 방법만으로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종합적으로 활용된다

    (Muchinsky, 1990 : 차진아, 1996 재인용).

    자기기입법은 직무종사자에게 일정한 서면 양식을 배부하고 거기에 스스로 자기의 직무에

    대해 기입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신속, 간편하게 모든 직무에 관한 기록을 모을 수

    있어 광범위한 자료정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가 기록 양식을 구성하기 어렵고,

    기록자의 판단과 해석이 달라서 이를 통일성 있게 파악, 분류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성

    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편, 1995: 차진아, 1996 재인용).

    면접법은 특정 직무에 대하여 많은 지식과 오랜 경험을 가지고 그것을 언어로 정확히 표

    현할 수 있는 사람과 면접을 통하여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이다(황대석, 1990). 이 방법은 가

    장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며, 다른 방법과 병

    행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경비가 드는 단점이 있다.

    관찰법은 분석자가 직무 수행자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직무활

    동의 실제를 상세하게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는 방법이다. 분석자의 주관이 개입된다는

    단점이 있다(황대석, 1990).

    질문지법은 표준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직무 담당자가 직무에 관련된 항목을 체크하거나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폭 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는 직무정보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차진아,

    1996).

    데이컴(DACUM)법은 교육과정 개발(Developing A Curriculum)을 줄여서 이르는 말로,

    특정 직무분야에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겸비한 전문가들이 모여 워크샾(workshop)을 통하

    여 분석자료를 추출해 내는 방법이다(황대석, 1990).

    이 외에도 다양한 직무분석 방법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직무정보를 수집하는 1단계에

    서는 질문지법과 자기기입법, 예비 직무분석을 한 2단계에서는 데이컴법을 병용하였으며, 3

  • - 12 -

    단계 직문분석에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2) 표준화

    한국산업규격(KS)에서 “표준은 규칙 제정관계자가 편익이 공정하게 되도록 조정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물체, 성능, 능력, 배치, 상태, 동작, 순서, 방법, 수속, 책임, 의무, 권한, 사고

    방식, 개념 등에 관하여 정의한 약속”으로 규정하고 있다(공재근, 1997). 이러한 약속을 규정

    하기 위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표준화라고 할 수 있다.

    (1) 표준화의 정의와 과정

    표준화란 일반적으로 여러 부분의 관계하는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하여 기술, 수법,

    경험 등을 잘 활용하여 기준을 만들고 그것을 적용하는 것으로, 업무를 단순화하고 제도화

    함으로써 업무의 수월성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는 표준화란 “관계하는 사람 전체에 의해서 가장 적정한 이익을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사물의 움직임과 안전여건을 대상으로 관계자가 협동하여 과학, 기술,

    경험을 토대로 하여 표준을 정하고 이것을 활용해가는 조직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김원중, 1989).

    사회복지 영역에서 표준화는 사회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

    여, 사회복지지식과 기술에 기초하여, 업무를 단순화하고 기준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조직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표준화는 본질적으로 단순화 과정으로, 현존 복잡성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미래의 불필요

    한 복잡성을 예방하는 것으로, 관련 당사자 모두의 참여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표준화

    가 되면 모두가 지키도록 노력해야하며, 이러한 과정이 확고한 신념 하에 이루어지도록 해

    야 한다. 또한 일정한 기간에 따라 주기적인 검토와 개정이 필요하다.

    표준화는 물건과 업무 영역에서 모두 가능한데, 표준화에는 ①단순화, ②효율화, ③규정화

    (기준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단순화는 물건의 경우 그 종류를 줄이거나, 모양을

    간결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업무와 관련해서는 업무의 수행방법과 절차를 간결하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 효율화는 물품생산의 경우, 정해진 공정을 준수하고 업무수행과 관련해서는

    일정한 절차를 준수함으로써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직무분석 단

    계에서 유사직무를 통폐합함으로써 단순화 과정과 효율화 과정을 반영하였다. 세 번째 규정

    화(기준화)는 물건이나 수행방법을 통일하고 하나의 기준과 목표를 설정하여 문서화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에 의한 수행 빈도와 필요도에 의해 가치를 부여하

    여 기준화 하였다(김원중, 1989).

    (2) 표준화의 효용성

    표준화의 목적으로 ISO에서 제시한 것을 보면, ①생산과 교역의 경우, 인력, 자재, 동력

    등에 관한 경제적 관리, ②재화와 서비스에서 타당하고 일관성 있는 품질로서 소비자 이익

  • - 13 -

    의 보호, ③종사자의 안전, 보건 및 생명의 보호, ④관련 당사자간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두

    고 있다(김원중, 1989).

    이러한 표준화 목적과 연관지어 인간봉사조직인 사회복지직무의 표준화의 효용성을 도출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가 표준화됨으로써 업무수행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둘째, 표준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을 도모한다.

    셋째, 클라이언트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사회복지사간 의사소통이 쉬어지며, 영역 간, 직급 간 업무의 비교가 수월해져, 업무

    에 대한 책임성이 증가한다.

  • - 14 -

    직무정보수집 → 예비직무분석 → 직무분석 → 표준직무제시

    ․질문지법

    ․자기기입법

    ․데이컴법 ․질문지법

    연구의 진행과정

    III. 연구방법

    1. 주요 연구 개념의 조작적 정의

    1) 사회복지사의 직무

    이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는 생활시설 중 노인생활시설, 장애인생활시설, 아동생활시

    설, 이용시설 중에는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봉사센터, 자활후견기관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하

    는 직무를 말한다.

    2) 표준화

    이 연구에서 표준화는 직무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지식과 기술에 기초하여 업무를

    단순화하고 기준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단순화 작업은 직무에 관한 정보수집과 예비 직무분석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기준화

    과정은 수행 빈도와 중요도에 의해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2. 연구의 진행 과정

    이 연구에서는 과 같이 표준 직무를 제시하기 위하여 4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1) 1단계 - 직무에 관한 정보수집단계

    조사 영역별로 6명의 사회복지사, 총 36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법과 자

    기기입법에 의하여 직무에 관한 기초 정보를 파악하였다. 이때 사용한 질문지는 김통원

    (2004)이 미국의 사회복지직무 기준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65개의 도구 중 불필요하

    거나 중복되는 직무를 재분류하여 53개의 직무에 대한 수행 빈도와 소요시간, 필요도를 측

    정하였다. 53개의 직무를 직접서비스 직무, 간접서비스 직무, 교육 및 능력 개발 직무, 행정

  • - 15 -

    직무의 4개 직무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추가되어야 할 직무와 적합하지 않은 직무에 대

    하여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질문지와는 달리 1주일간 사회복지사가 실제 수행한 업무 내용을 ‘업무내용 기록

    서’에 10분 단위로 구체적으로 기술토록 하여, 각 영역별로 직무에 관한 기초정보를 수집하

    였다.

    2) 2단계 - 예비 직무분석

    이렇게 취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사의 공통 직무(duty)를 접수, 사정, 직접서비스

    수행, 간접서비스 수행, 점검, 종결 및 평가, 자기개발, 업무형성, 인력관리, 기획 및 재정관

    리, 시설관리, 문서관리 등의 12개영역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42개의 과업(task)과, 189개

    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를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직무와 과업, 일의 요소에 대하여

    는 정보 수집단계에 참여했던 사회복지사가 직접 참여하는 데이컴기법에 의해 내용을 보완

    하였다.

    데이컴기법의 사용결과 직무가 1개 추가되고, 과업과 일의 요소는 대폭 축소되었다. 이 연

    구가 단일 사회복지분야의 직무만을 분석하고, 이를 표준화하는데 초점을 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통의 요소와 분야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할지가 관건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통일성

    을 유지하기 위해 공통적인 요소를 규명하고, 전체적인 틀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분야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생활시설 중 노인생활시설, 장애인생활시설,

    아동생활시설, 이용시설 중에는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봉사센터의 직무와 관련하여 13개 직

    무, 33개의 과업, 98개의 일의 요소가 추출되었다.

    그러나 자활후견기관의 업무는 다른 분야와 기본적으로 업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13개

    의 직무, 36개의 과업, 101개의 일의 요소가 추출되었다.

    3) 3단계 - 직무분석

    데이컴기법에 의해 작성된 일의요소에 대하여 수행 빈도와, 중요도(업무성격), 직무수준을

    조사하였다.

    수행 빈도는 전혀 수행하지 않는다,①1년에 1-2회, ②1달에 1-2회, ③1주일에 1-2회,④하루에 1-2회로 측정하였고, 일의 요소 당 소요시간은 측정하지 않았다. 일의 요소 당 소요

    시간을 측정하지 않은 것은 전체 수행 직무의 양을 조사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원을 산정하

    는 것에 초점을 둔 연구가 아님으로, 수행 빈도만으로도 수행직무의 비중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의 대상자에 대한 조사에서 정확한 시간의 추계가 현

    실적으로 어려운 면을 고려하였다.

    중요도(업무성격)는 수행직무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차원에서 파악하였는데, ①전혀 중

    요하지 않다(보조업무에 해당), ②중요하지 않다(최소유지 또는 줄여야 할 업무에 해당), ③

    중요하다(직무상 고유 업무에 해당), ④매우중요하다(전략적 강화 업무에 해당)로 측정하였

    다. 역동적 직무분석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요도는 수행 직무에 대한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 - 16 -

    차원에서 고려되었다.

    직무수준은 직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으로, ①매우 쉽다(자원

    봉사자 활용가능 업무), ②쉽다(사회복지사 2급, 3급 수행업무),③어렵다(사회복지사 1급 수

    행업무),④매우 어렵다(전문사회복지사 수행업무)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 값이 높을수록

    직무수준이 높은 것으로 활용하였다.

    4) 표준 직무 제시

    설문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수행 빈도와 중요도, 직무수준을 기준으로 표준 직무를 제시하

    였다. 표준 직무의 선정을 위해 4분위수를 활용하여 하위 25% 미만을 배제하는 방식을 취

    하였다. 이는 단위 직무가 전체 직무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을 감안하는 일반적 방식으

    로, 이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수행 빈도를 고려하고, 두 번째에서는 수행 빈도와 중요도를

    같은 비중으로 고려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을 동비로 종합적으

    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하위 25%미만에 해당하는 일의 요소(element)를 배제하고, 일의 요

    소가 배제됨으로서 영향을 받는 과업(task)과, 직무(duty)를 배제시키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렇게 3가지 요소를 동비로 함께 고려한 것은 수행 빈도 외에 직무의 내용과 질을 포괄

    적으로 고려하기 위함이다. 수행 빈도만으로 표준 직무가 제시된다면 양적인 면이 부각되어

    중요하지 않은 직무도 표준 직무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고, 수행 빈도와 중요도를 함께 고려

    하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되나, 사회복지사의 직무수준 이해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3가지 요소를 같은 비중으로 고려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공통적인 사회복

    지사의 표준 직무와 6개 분야별로 표준 직무를 제시하였다.

    3. 측정도구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밝혔듯이 표준 직무 분석을 위한 질문지는 2단계에 걸쳐 개발되었

    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회복지의 6개영역 별로 6명씩 직무에 대하여 질문지법과 자기기

    입방법을 통하여 수행직무를 파악하였고, ‘업무내용 기록서’와 각 기관의 규정집이나 매뉴얼

    의 내용, 기관 운영 평가 규정 등을 참조하여 총 12개영역의 직무(duty)와 42개의 과업

    (task), 189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가 추출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데이컴기법을 활용하여 공통적인 13개 직무, 33개의 과업, 98개의 일

    의 요소로 단순화 하였고 특성이 다른 자활 후견기관의 업무는 13개의 직무, 36개의 과업,

    101개의 일의 요소가 추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분야별 표준 직무분석에 사용한 최종도구는 자활 후견기관의 101개의

    일의 요소와, 나머지 분야의 98개 요소를 가지고 직무를 조사하였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매

    우 높았다. 모든 도구의 신뢰도가 .97 이상이었으며, 가장 신뢰도가 낮은 항목이 .74 이상이

    어서 측정도구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 - 17 -

    과업 문항 수빈도의

    신뢰도

    중요도의

    신뢰도

    직무수준의

    신뢰도

    ․접수 3 .8757 .8072 .7458

    ․사정 6 .9215 .8958 .8772

    ․직접서비스, 점검

    (자활사업단 운영)

    17

    (20)

    .8895

    (.9061)

    .9295

    (.8929)

    .8892

    (.8834)

    ․평가 및 종결 5 .8451 .8636 .8430

    ․간접서비스 15 .9391 .9418 .9314

    ․자기개발 6 .7758 .8402 .8178

    ․업무형성과 유지 6 .8800 .8767 .8949

    ․인력관리 13 .9584 .9574 .9505

    ․기획 및 재정관리 14 .9134 .9280 .9065

    ․시설관리 3 .8741 .9103 .8844

    ․문서관리 10 .9010 .9376 .9381

    계 98(101) .9768 .9817 .9720

    측정도구의 신뢰도

    4.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이 연구의 조사 대상은 와 같이 사회복지 6개영역의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2003년도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조사한 전국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사 현황에 근거하여 표집 하였으며, 조사의 편의상 영역을 생활시

    설과 이용시설로 구분하고, 시설 중 사회복지사수가 가장 많은 분야를 중심으로 임의 표집

    하였다. 이용시설 중 장애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수는 659명으로 추정되어

    자활후견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수보다 많았으나, 이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직무와 관

    련된 최재성(2001)의 선행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제외하고 자활후견기관을 포함하였다.

    자활후견기관는 전수조사 하였으며, 다른 분야는 기관마다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수가

    추정치였기 때문에 평균 사회복지사 수를 감안하여 기관별로 시설 유형과 지역별 특성이 반

    영되도록 임의 표집 하였다. 예를 들어 아동생활시설의 경우 양육시설, 일시보호시설, 자립

    지원시설, 아동상담소, 보호치료시설 등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하였고, 지역별 특성은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별로 고루 표집 되도록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4년 11월 8일부터

    2004년 11월 27일까지 3주간 실시되었다. 총 배포된 설문지2,940부중 회수된 설문은 911부

    (회수율: 30.1%)로 모두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설문회수율이 가장 높은 곳은 재가복지센터

    (44.2%)였으며, 다음이 아동복지생활시설(36.3%)이었다. 노인복지생활시설(23.0%)과 종합사회

    복지관(24.1%)의 응답율이 낮았다.

  • - 18 -

    분 야 시설수 사회복지사(추정)

    기관당

    사회복지

    사 수

    표집기관배포

    설문지수

    회수 설문지

    설문지 응답율

    생활

    시설

    아동복지 274 1,918 7 72 504 183 36.3

    노인복지 259 2,065 7 72 504 116 23.0

    장애인복지 200 1,400 7 72 504 140 27.7

    이용

    시설

    종합사회복지관 360 1,980 6 85 510 123 24.1

    재가복지센터 335 670 2 250 500 221 44.2

    자활후견기관 209 418 2209

    (전수조사)418 128 30.6

    계 1,396 8,439 - 760 2,940 911 30.1

    조사대상의 할당과 설문회수율

    5. 자료의 분석방법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실태와 중요도 직무인식수준에 기초하여, 영역별로 직무

    를 표준화 하는 것이기 때문에 SPSS(10.0)에 의해 주로 빈도 분석과 평균, 표준 편차의 기술

    통계를 활용하였다. 표준 직무를 산정하기 위해 수행 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직무수준을 단

    계별로 합산 고려하여 하위 25% 미만의 직무는 탈락시켰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시설유형별 직무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 독립표본 T 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에 대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6. 연구의 제한점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방법론에 관련된 한계점으로 직무분석이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에

    서 직무분석은 시간의 한계로 영역별 2개 기관 6명의 사회복지사가 수행한 직무만을 대상으

    로 하였기 때문에 각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직무를 포괄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데

    이컴기법을 수차례 활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둘째, 연구의 목적과 관련된 한계점으로 6개영역의 표준 직무를 제시하다 보니, 각 분야의

    특성을 고르게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이용시설, 생활시설의 수행 직무와 업

    무 처리과정이 다르고, 노인생활시설의 경우도 요양원과, 양로시설의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직무의 차이가 있음에도 공통적인 특성을 위주로 표준 직무를 선정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

    구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사항이다.

  • - 19 -

    구분

    노인

    생활시설

    장애인

    생활시설

    아동

    생활시설

    종합사회

    복지관

    재가

    복지센터

    자활

    후견기관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빈도(%)

    성별

    남자 20(17.2) 37(26.4) 34(18.9) 39(31.7) 102(46.2) 53(41.7) 285(31.4)

    여자 96(82.8) 103(73.6) 146(81.1) 84(68.3) 119(53.8) 74(58.3) 622(68.6)

    계 116(100.0) 140(100.0) 180(100.0) 123(100.0) 221(100.0) 127(100.0) 907(100.0)

    연령

    30대 미만 58(52.3) 91(66.9) 102(57.0) 85(70.2) 162(74.7) 74(59.2) 572(64.3)

    31-40세 28(25.2) 28(20.6) 35(19.6) 34(28.1) 50(23.0) 42(33.6) 217(24.4)

    41-50세 18(16.2) 15(11.0) 30(16.8) 2(1.7) 3(1.4) 7(5.6) 75(8.4)

    51세 이상 7(6.3) 2(1.5) 12(6.7) 2(0.9) 2(1.6) 25(2.8)

    계 111(100.0) 136(100.0) 179(100.0) 121(100.0) 217(100.0) 125(100.0) 889(100.0)

    평균(표준편차)33.3(10.1) 30.0(7.6) 32.4(10.4) 28.6(4.4) 28.7(5.1) 30.7(6.6)

    30.5(7.8)31.9(9.6) 29.2(5.4)

    학력

    2년제 대학 졸 49(46.7) 61(45.9) 81(51.3) 16(13.2) 16(7.3) 18(14.9) 241(28.1)

    4년제 대학 졸 41(39.0) 58(43.6) 64(40.5) 88(72.7) 185(84.1) 78(64.5) 514(59.9)

    석사학위 이상 15(14.3) 14(10.5) 13(8.2) 17(14.0) 19(8.6) 25(20.7) 103(12.0)

    계 105(100.0) 133(100.0) 158(100.0) 121(100.0) 220(100.0) 121(100.0) 858(100.0)

    자격증

    사회복지사 1급 51(46.8) 59(47.6) 62(39.7) 101(82.1) 199(90.5) 74(63.8) 546(64.4)

    사회복지사 2급 57(52.3) 64(51.6) 89(57.1) 21(17.1) 21(9.5) 40(34.5) 292(34.4)

    사회복지사 3급 1(0.9) 1(0.9) 5(3.2) 1(0.8) 2(1.7) 10(1.2)

    계 109(100.0) 124(100.0) 156(100.0) 123(100.0) 220(100.0) 116(100.0) 848(100.0)

    근무기간

    1년 미만 43(37.7) 31(23.7) 50(28.2) 37(30.1) 56(25.6) 39(30.7) 256(28.7)

    1년-3년 43(37.7) 61(46.6) 52(29.4) 42(34.1) 95(43.4) 54(42.5) 347(38.9)

    3년-5년 21(18.4) 24(18.3) 24(13.6) 29(23.6) 43(19.6) 33(26.0) 174(19.5)

    5년 이상 7(6.1) 15(11.5) 51(28.8) 15(12.2) 25(11.4) 1(0.8) 114(12.8)

    계 114(100.0) 131(100.0) 177(100.0) 123(100.0) 219(100.0) 127(100.0) 891(100.0)

    평균(표준편차)27.2(27.2) 32.4(30.8) 65.2(85.5) 31.6(26.3) 31.9(26.7) 24.5(15.2)

    36.9(46.8)44.8(62.1) 29.8(24.3)

    직위

    중간관리자 28(37.8) 31(25.6) 34(23.9) 30(25.0) 54(24.9) 33(26.8) 210(26.3)

    실무담당자 46(62.2) 90(74.4) 108(76.1) 90(75.0) 163(75.1) 90(73.2) 587(73.7)

    계 74(100.0) 121(100.0) 142(100.0) 120(100.0) 217(100.0) 123(100.0) 797(100.0)

    근무지

    대도시 45(38.8) 33(23.7) 84(47.2) 70(56.9) 139(62.9) 47(38.2) 418(46.4)

    중소도시 20(17.2) 67(48.2) 45(25.3) 37(30.1) 75(33.9) 49(39.8) 293(32.6)

    농어촌 51(44.0) 39(28.1) 49(27.5) 16(13.0) 7(3.2) 27(22.0) 189(21.0)

    계 116(100.0) 139(100.0) 178(100.0) 123(100.0) 221(100.0) 123(100.0) 900(100.0)

    <표 4-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IV.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20 -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에 잘 나타나 있다. 여성의 비율이 68.6%로 남성 보다

    많았으며, 시설유형별로 보면 재가복지센터와 자활후견기관의 남성비율이 다른 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은 19세에서 75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30.5세(표준

    편차: 7.82)였다. 생활시설의 평균 연령이 31.9세로 이용시설의 29.2세 보다 높았으며, 세부

    분야별로 보았을 때,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평균 연령이 33.3세로 제일 높았고, 그 다

    음이 아동생활시설 32.4세였으며, 종합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센터의 평균연령이 28.6세, 28.7

    세로 낮은 편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미만이 64.3%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30

    대 24.4%, 40대 8.4%, 50대 이상 2.8%의 순을 보였다.

    학력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59.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2년제 대학 졸업자 28.1%,

    석사학위 이상 12.0%였다. 생활시설인 아동생활시설, 노인생활시설, 장애인생활시설에는 2년

    제 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용시설인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 자활후견기

    관에는 4년제 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높았다. 2년제 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제일 높은 곳이

    아동생활시설이었으며,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가 제일 많은 분야는 재가복지센터였다.

    사회복지사의 자격증은 1급이 64.4%로 가장 많았으며, 2급 34.4%, 3급 1.2%의 순을 보였

    다. 실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3급 사회복지사의 비중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생활시설인 아

    동생활시설, 노인생활시설, 장애인생활시설에는 2급 사회복지사의 근무 비율이 높았고, 이용

    시설인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 자활후견기관에는 1급 사회복지사의 비율이 높았다.

    아동생활시설의 1급 비율이 가장 낮았고, 재가복지센터의 1급 사회복지사 근무 비율이 제일

    높았다. 이용시설에 해당하는 자활후견기관에도 1급 사회복지사가 63.8%근무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2급의 비율이 34.5%였다.

    사회복지사의 현재 기관의 근무기간은 1개월에서 480개월(40년)까지 다양했으며, 평균

    36.9개월(표준편차 : 46.8)로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평균 근무기간(44.8개월)이 이용시설 사

    회복지사의 평균 근무기간(29.8개월) 보다 많았다. 세부시설별로는 아동생활시설이 65.2개월

    로 가장 길었으며, 자활후견기관의 재직 기간이 제일 짧았다. 기간별로 보면 1년에서 3년 사

    이가 38.9%로 가장 많았으며, 1년 미만자도 28.7%나 되었다. 3년에서 5년 사이 19.5%, 5년

    이상이 12.8%이었다.

    실무담당자의 비율(73.7%)이 중간관리자(26.3%) 보다 높았으며, 근무지별로는 대도시

    46.4%, 중소도시 32.6%, 농어촌 21.9%의 순을 보였다. 시설 유형별 근무지를 보면, 노인생활

    시설의 경우 농어촌이 많았고, 장애인생활시설의 경우에는 중소도시, 아동생활시설의 경우

    대도시 응답 비율이 높았다.

  • - 21 -

    구분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

    N Mean SD N Mean SD N Mean SD

    접수 862 2.1933 1.0551 850 3.1475 .6100 846 2.5169 .5909

    사정 855 2.2678 .8701 836 3.2016 .5372 818 2.7781 .5502

    직접서비스 690 2.3181 .7554 648 3.0630 .5148 644 2.4383 .4910

    (자활사업단 운영) 116 2.3348 .5876 115 2.5671 .4173 115 2.5671 .4173

    점검 882 2.0295 1.0767 871 3.1481 .6573 868 2.8237 .7425

    평가 및 종결 854 1.6976 .9564 839 3.1231 .5753 831 2.8893 .5725

    사후관리 878 1.8770 1.1284 864 3.1250 .6846 859 2.7311 .7185

    간접서비스 828 1.7330 .8547 793 3.0345 .5714 794 2.7264 .5465

    자기개발 851 1.9555 .7207 851 1.9555 .7207 823 2.7388 .5506

    업무형성과 유지 857 1.9033 .8473 842 2.9626 .5169 842 2.9626 .5169

    인력관리 817 1.2986 .9303 794 2.9916 .6690 786 3.0558 .6266

    기획 및 재정관리 809 1.5667 .8828 774 3.1032 .5625 759 2.8895 .5298

    시설관리 864 2.1640 1.1859 837 2.7718 .7784 836 2.2636 .7030

    문서관리 855 2.7122 .8490 831 3.0680 .5536 825 2.5813 .5853

    계 1.9588 .6742 2.9205 .4140 2.7259 .3595

    직무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2. 직무와 과업, 일의요소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1) 직무(duty)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13개 직무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은 과 같다. 전반적으로 직무 수행 빈도

    는 낮게 나타났지만 직무의 중요성과 직무수준에 대하여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 빈도 전체의 평균은 1.95로 낮게 나타났다. 문서관리에 대한 수행 빈도가 2.71점으로 제일

    높았으며, 그 다음이 직접 서비스 시행(2.31 -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단 운영은 2.33), 사정(2.26),

    접수(2.19), 시설관리(2.16)의 순으로 수행 빈도가 높았다. 반면 수행 빈도가 가장 낮은 직무로는 인

    력관리(1.29)였고, 기획 및 재정관리(1.56), 평가 및 종결(1.69), 간접 서비스(1.73), 사후관리(1.87)

    등도 수행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수행 빈도에 비하여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평균 2.92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제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직무가 사정(3.2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점검(3.14), 접

    수(3.14), 사후관리(3.12), 평가 및 종결(3.12) 순이었다. 반면 중요도가 가장 낮게 인식되고 있는 직

    무는 자기개발(1.95점)이었다.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균 2.72점으로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력관리가 3.05점으로

    직무수준이 제일 높게 인식되었고, 업무형성과 유지(2.96), 기획 및 재정관리(2.88), 평가 및 종결

    (2.88), 점검(2.82) 등의 직무도 높은 수준의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수준이 가장 낮은

    직무는 시설관리로 2.26점이었으며, 직접 서비스(2.43), 접수(2.51), 문서관리(2.58)등의 직무도 그

    수준이 낮은 직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2 -

    구분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

    N Mean SD N Mean SD N Mean SD

    방문이유파악 862 2.1933 1.0551 850 3.1475 .6100 846 2.5169 .5909

    정보수집 869 2.2689 .9471 849 3.1940 .5860 837 2.6993 .5968

    개입목표설정 863 2.2677 .9257 851 3.2135 .5906 839 2.8562 .6344

    정보제공 868 2.3848 1.0029 858 3.0647 .6415 849 2.4782 .6772

    구체적 서비스 제공 713 2.4979 .9227 684 3.0055 .6045 679 2.1740 .6258

    프로그램 시행 732 2.0321 .8823 696 3.1473 .5671 697 2.7967 .5783

    사업단 운영 목표설정 123 2.3232 .9103 123 3.3496 .4894 120 2.8021 .5265

    사업단 영업 120 2.4104 .7878 122 3.2930 .5017 122 2.5553 .5781

    교육 123 2.1301 .7642 122 3.2322 .4770 123 2.8049 .5661

    수익금 관리 121 2.6749 .8102 120 3.2944 .6175 121 2.4325 .7597

    운영회의 개최 125 1.8120 .6800 125 3.0800 .5290 125 2.4840 .5921

    사업단 물품 구매 126 2.4325 .7832 124 2.8306 .6622 127 2.0433 .6300

    점검 882 2.0295 1.0767 871 3.1481 .6573 868 2.8237 .7425

    목표달성 확인 877 1.8586 1.0940 865 3.1734 .6718 856 2.8481 .7044

    종결 867 1.7065 1.0441 853 3.1489 .6346 850 2.9518 .6347

    의뢰 875 1.5257 1.0514 859 3.0303 .7236 852 2.8181 .7164

    사후관리 878 1.8770 1.1284 864 3.1250 .6846 859 2.7311 .7185

    옹호 871 2.3823 1.0401 862 3.2146 .6222 857 2.7369 .7037

    모금 및 후원금 관리 861 1.6337 1.0604 838 2.9578 .7129 834 2.6935 .6689

    자원봉사자 관리 867 1.6159 1.0350 842 2.9601 .7329 843 2.6301 .6553

    지역사회 연계망 조직 874 1.6430 1.0004 856 3.1624 .6545 856 2.9256 .6798

    전문성 향상 858 1.8217 .7738 837 3.1867 .5003 832 2.8305 .5676

    자기관리 878 2.2238 1.0210 869 3.2100 .6511 859 2.5611 .7653

    업무 유지 868 2.0397 .8910 850 2.9729 .5422 842 2.6274 .6094

    협력관계 유지 875 1.6297 .9757 865 2.9393 .6237 857 2.7760 .6780

    직원채용 858 1.0637 1.0517 828 2.9549 .8327 824 3.0878 .7546

    직원교육 864 1.3808 1.1011 836 3.0510 .7668 831 3.1276 .7336

    업무수행 평가 852 1.3502 1.0864 832 3.0337 .7587 825 3.1119 .7276

    직원고충 처리 862 1.7216 1.2265 843 3.1388 .8029 838 2.9928 .8281

    실습생 지도 853 1.2775 1.0810 832 2.8982 .7604 824 2.9203 .7308

    업무지침 마련 849 1.3769 .9996 825 3.1362 .6601 814 3.1351 .6843

    사업계획 수립 870 1.9180 1.0565 857 3.2968 .6202 852 3.0290 .6353

    기관 및 사업 홍보 870 1.4115 1.0021 833 2.9823 .6867 831 2.6248 .7030

    예산 편성 및 재정관리 855 1.6418 1.1591 822 3.0502 .7732 822 2.8786 .7199

    시설안전 관리 870 2.1828 1.4093 847 2.8512 .8787 845 2.3716 .8141

    비품 및 공동물품 관리 872 2.1548 1.2434 848 2.7335 .7998 847 2.2102 .7411

    통계 및 보고서 작성 877 2.8877 .9193 850 3.0162 .6195 845 2.4728 .6279

    보고 및 행정처리 871 2.5235 1.1655 853 3.0078 .6269 851 2.6490 .6563

    서비스 내용 기록 879 2.6246 1.0329 863 3.1827 .6354 863 2.6427 .6928

    굴림체는 자활후견기관만의 과업에 해당

    과업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2) 과업(task)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 - 23 -

    33개 과업(task)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은 에 나타나 있다. 공통적인 과

    업 중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과업은 통계 및 보고서 작성(2.88)이었으며, 그 다음이 서비스 내용기

    록(2.62), 보고 및 행정처리(2.52) 등 문서관리 직무에 해당하는 과업이었다. 구체적 서비스 지원

    (2.49), 정보제공(2.38), 옹호(2.38), 개입목표설정(2.26), 정보수집(2.26), 자기관리(2.22) 등의 과업도

    수행 빈도가 높았다. 반면 수행 빈도가 낮은 과업은 직원채용(1.06), 업무수행평가(1.35), 직원교육

    (1.38) 등의 인력관리 직무에 해당하는 과업들 이었으며, 기관 및 사업 홍보(1.41), 의뢰(1.52) 등의

    과업이 수행 빈도가 낮았다. 자활후견기관의 과업 중에는 수익금 관리(2.67), 사업단 물품 구매

    (2.43), 사업단 운영목표설정(2.32)과 관련한 과업의 수행 빈도가 높았으며, 운영회의 개최(1.81) 과

    업이 수행 빈도가 낮았다.

    공통적인 과업 중 중요도가 가장 높게 인식되고 있는 과업은 사업계획 수립(3.29)이었으며, 옹호

    (3.21), 자기관리(3.21), 개입 목표설정(3.21), 정보수집(3.19), 전문성 향상(3.18), 서비스 내용기록

    (3.18), 목표달성 확인(3.17) 등도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는 과업이었다. 반면 중요도가 낮게 인식되

    어지는 과업은 비품 및 공동 물품관리(2.73), 시설관리(2.85), 실습생 지도(2.89)등이었다. 자활후견

    기관의 과업 중에는 사업단 운영 목표설정(3.34), 사업단 영업(3.29), 수익금 관리(3.29) 등의 중요성

    이 높게 인정되었고, 사업단 물품 구매 과업의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었다.

    공통적인 과정 중 직무수준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과업은 업무지침 마련(3.13)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원교육(3.12), 업무수행평가(3.11), 직원채용(3.08), 사업계획 수립(3.02) 등 인력관리와 기

    획 및 재정관리 직무에 해당하는 과업에 대해 직무수준을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직무수준이 가장

    낮은 항목은 구체적 서비스 제공(2.17)이었으며, 비품 및 공동 물품 관리(2.21), 시설 안전관리

    (2.37), 통계 및 보고서 작성(2.47), 정보제공(2.47) 등의 과업도 낮은 과업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자

    활사업단의 과업 중에는 수익금 관리(2.80)와 사업단 운영 목표설정(2.80)이 수준 높은 과업으로

    인식되었고, 사업단 물품구매 과업이 낮은 수준의 과업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의 요소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98개 일의 요소의(자활사업의 경우 103개)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은 에 나

    타나 있다. 일의 요소 중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업무일지 작성(3.37)이었으며, 식사 보조 및

    간식지원, 급식지원(2.98), 기안문 등 행정문서 작성(2.96), 문서결재 및 공문처리(2.91), 보고서 작

    성(2.83), 목욕 및 위생지도(2.76), 상담내용 기록(2.70), 기록관리 보존(2.62), 여가활동지원(2.60),

    내부회의 참석(2.58), 상담기록 활용(2.55)등이 수행 빈도가 높았다. 반면, 수행 빈도가 낮은 일의

    요소는 면접 또는 시험실시(1.04), 채용기준 및 계획 수립(1.06), 오리엔테이션 실시(1.09), 자원봉

    사자 포상(1.14), 모금 행사 개최(1.16), 실습 평가서 작성 및 송부(1.22), 손익계산서 또는 대차대조

    표 작성(1.25), 실습생 지도계획 수립(1.26), 기관 안내 책자 만들기(1.29)등 이었다. 자활후견기관의

    일의 요소 중에 수행 빈도가 높은 항목은 수익금 관리(2.89), 사업관련 정보수집(2.63), 월별 사업단

    회계정산(2.63)이었으며, 간담회(1.76), 의지강화 프로그램(1.86), 문화교육 실시(1.93)의 수행 빈도

  • - 24 -

    일의요소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

    N Mean SD N Mean SD N Mean SD

    ․방문(의뢰) 이유 파악 881 2.33 1.18 873 3.12 .70 865 2.39 .72

    ․기본 정보 파악 873 2.40 1.14 864 3.19 .69 859 2.48 .72

    ․입소결정, 등록 및 다른 기관 의뢰 864 1.86 1.20 854 3.12 .76 851 2.69 .75

    ․주요 문제와 관련된 자료 수집 875 2.31 1.03 858 3.19 .65 847 2.68 .68

    ․개인력과 가족력 파악 877 2.31 1.04 861 3.23 .65 854 2.68 .69

    ․기능상태와 자원에 관한 자료수집 870 2.19 1.07 854 3.17 .68 850 2.74 .70

    ․욕구규명, 표적문제 규명 873 2.27 1.00 859 3.18 .68 847 2.85 .72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871 2.28 .99 862 3.25 .65 856 2.89 .71

    ․개입의 방향과 제공서비스 설명 868 2.26 1.04 858 3.21 .65 853 2.83 .71

    ․기관의 규칙 및 생활안내 871 2.54 1.11 864 3.10 .71 857 2.44 .75

    ․지역사회 자원에 관한 정보 제공 871 2.23 1.08 859 3.03 .71 851 2.51 .75

    ․목욕 및 위생 지도 876 2.76 1.20 852 3.08 .77 852 2.02 .90

    ․학습지도, 학습지원 874 2.56 1.27 856 2.97 .79 855 2.01 .85

    ․금전관리 지도, 경제적 지원 871 2.38 1.19 853 3.07 .76 852 2.38 .83

    ․식사보조 및 간식지원, 급식지원 874 2.98 1.24 859 3.07 .77 863 2.10 .91

    ․여가활동 지원 751 2.60 1.18 734 3.00 .72 736 2.11 .83

    일의 요소의 수행 빈도와 중요도 및 직무수준

    가 낮았다.

    일의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항목은 사업평가(3.30)이었으며, 수퍼비

    전 주고받기(3.29), 사업계획 수립(3.29),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3.25), 정서지원 프로그램 시행

    (3.25), 예산 수립(3.24), 클라이언트의 권익옹호(3.22), 내외의 교육 참여(3.22), 시간관리(3.21), 건

    강관리(3.21), 상담 내용기록(3.21), 클라이언트가 차별받지 않도록 하기(3.21) 등이 중요하게 인식

    되었다. 중요도가 낮은 일의 요소로는 소모품 관리(2.70), 비품 및 공동 물품관리(2.76), 모금행사

    개최(2.84), 실습생 평가서 작성 및 송부(2.86), 손익계산서 또는 대차대조표 작성(2.88), 자원봉사

    자 포상(2.88), 실습 지도계획 수립(2.90), 회의자료 만들기(2.90), 실습 진행 및 수퍼비전(2.93), 면접

    또는 시험실시(2.94), 직원 오리엔테이션 실시(2.95), 자원봉사자 배치 및 관리(2.95) 등이었다. 자

    활사업의 단의 일의 요소 중에는 수익금 관리(3.08), 사업관련 정보수집(2.98), 사업단 회계정산

    (2.97)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간담회 실시(2.41), 사업관련 비품 구매(2.58 )등의 중요성이 낮은

    직무로 인식되었다.

    일의 요소에 대한 직무수준을 보면, 직무수준이 가장 높은 일의 요소로 직무분석(3.14)과 업무

    분장 및 업무 지침마련(3.14)이었으며, 교육 계획 및 교육자료 개발(3.13), 교육 훈련시키기(3.13),

    업무 수행도 평가 기준 마련(3.13), 교육결과 평가 및 업무 적용(3.11), 매뉴얼 갖추기(3.11), 평가 시

    행(3.10), 평가결과 활용(3.10), 추진할 사업계획 수립(3.09), 사업평가(3.05), 예산 세우기(3.04) 등

    이었다. 반면 직무수준을 낮게 인식된 일의요소로는 학습지도(2.01), 목욕 및 위생지도(2.02), 식사

    보조 및 간식 지원(2.10), 여가활동 지원(2.11), 이동수단 지원(2.15), 소모품 관리(2.18), 비품 및 공

    동 물품 관리(2.24), 시설안전 관리 상황 확인(2.37), 업무일지 작성(2.37), 금전관리지도, 경제적 지

    원(2.38)등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의 일 요소 중에는 사업단 운영 계획 수립(2.95), 판로개척(2.91),

    사업관련 교육실시(2.90) 등이 높은 직무로 평가되었고, 비품구매(2.39), 홍보물 배포(2.39)가 낮은

    직무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5 -

    ․보건 의료서비스 연계 751 2.51 1.22 736 3.10 .74 735 2.42 .87

    ․욕창예방과 와상 예방서비 747 1.80 1.36 729 2.97 .83 725 2.53 .87

    ․이동수단 지원 744 2.20 1.30 724 2.90 .79 727 2.15 .86

    ․정서지원 프로그램 시행 870 2.52 1.10 854 3.25 .69 851 2.69 .78

    ․인지능력 개발 프로그램 시행 870 2.15 1.17 850 3.08 .73 855 2.72 .77

    ․사회성 개발 프로그램 시행 870 2.23 1.14 855 3.20 .71 854 2.80 .76

    ․건강유지 프로그램 시행, 결혼지도, 교육프로그램 시행 748 2.00 1.26 725 3.15 .76 731 2.75 .81

    ․가족관계 유지 프로그램 시행 764 1.58 1.12 747 3.11 .68 740 2.88 .76

    ․임종, 치료, 재활치료, 재활 프로그램 시행 763 1.61 1.27 741 3.10 .76 736 2.98 .80

    ․사업단 운영계획 수립 124 2.34 1.08 124 2.94 .66 123 2.95 .53

    ․매출 또는 사회적 기여 목표 설정 123 2.31 1.00 123 2.82 .65 122 2.86 .53

    ․참여자의 업무분장 124 2.39 1.00 124 2.82 .67 121 2.76 .53

    ․사업단내 규칙 설정 124 2.24 1.02 124 2.73 .66 121 2.71 .54

    ․사업관련 정보수집 124 2.63 .87 124 2.98 .60 122 2.84 .53

    ․홍보물 배포 123 2.11 1.03 123 2.60 .73 122 2.39 .64

    ․판로개척 123 2.46 .98 123 2.93 .68 122 2.91 .57

    ․고객관리 121 2.42 1.05 121 2.87 .72 121 2.82 .59

    ․사업에 직접 관련된 교육 실시하기 123 2.36 .88 122 2.89 .60 122 2.90 .52

    ․문화교육 실시 123 1.93 .88 122 2.45 .61 122 2.48 .54

    ․자활프로그램체계에 대한 교육 실시 123 2.10 .96 122 2.69 .66 122 2.78 .52

    ․수익금 관리 123 2.89 1.08 122 3.08 .77 122 2.87 .65

    ․월별로 사업단 회계 정산하기 122 2.63 .94 120 2.97 .70 119 2.80 .62

    ․사업단 참여자 급여지금 122 2.49 .88 121 2.90 .66 121 2.73 .59

    ․간담회 실시 125 1.76 .87 125 2.41 .57 125 2.45 .46

    ․사업에 대한 의지강화프로그램실시(회식 등) 125 1.86 .68 125 2.48 .54 124 2.46 .50

    ․사업관련 재료 구매 126 2.56 .90 125 2.70 .65 125 2.48 .52

    ․사업관련 비품 구매 126 2.31 .80 124 2.56 .62 124 2.39 .52

    ․적응도 점검, 비효율적인 요인 제거 및 대안 강구 882 2.03 1.08 871 3.15 .66 868 2.82 .74

    ․퇴소시기 및 관련정보 제공, 목표달성여부 확인 877 1.86 1.09 865 3.17 .67 856 2.85 .70

    ․퇴소시기 결정 및 감정처리, 적절한 종결 시기 협의 결정 878 1.74 1.09 864 3.15 .68 861 2.95 .69

    ․자립생활 지원, 종결의 예고 및 종결에 따른 감정처리 871 1.67 1.13 858 3.16 .71 852 2.96 .70

    ․해결되지 않은 문제 다른 기관 연계, 의뢰 875 1.53 1.05 859 3.03 .72 852 2.82 .72

    ․클라이언트의 적응 상태 확인 및 연락체계 갖추기 878 1.88 1.13 864 3.12 .68 859 2.73 .72

    ․클라이언트의 권익옹호 875 2.33 1.09 866 3.22 .65 861 2.74 .73

    ․클라이언트가 차별받지 않도록 하기 874 2.44 1.08 866 3.21 .66 861 2.73 .75

    ․후원의뢰서 작성 및 후원의뢰 878 1.81 1.21 860 3.00 .78 857 2.65 .77

    ․후원자 모집(홍보) 및 관리 880 1.76 1.18 867 3.00 .79 860 2.70 .77

    ․모금행사 개최 880 1.16 1.11 862 2.84 .84 859 2.74 .83

    ․후원물품과 후원금 관리 및 집행 875 1.87 1.32 865 2.98 .81 859 2.68 .78

    ․후원금 결산 및 사용결과 보고 870 1.58 1.28 855 2.99 .83 852 2.72 .80

    ․자원봉사자 모집 880 1.82 1.24 861 3.00 .81 861 2.49 .76

    ․자원봉사자 교육 881 1.63 1.19 869 2.98 .83 866 2.68 .79

    ․자원봉사자 배치 및 관리 881 1.96 1.24 870 2.95 .79 868 2.54 .75

    ․자원봉사자 포상 877 1.14 1.08 861 2.88 .83 858 2.58 .79

    ․자원봉사자 수퍼비전 주기 877 1.52 1.17 869 3.01 .79 864 2.86 .81

    ․지역사회의 욕구와 정보 수집 881 1.57 1.07 862 3.12 .72 863 2.88 .75

    ․지역사회기관과 연계서비스 구축 881 1.72 1.07 872 3.18 .70 868 2.96 .73

    ․지역사회주민과의 연계망 조직 881 1.64 1.08 867 3.19 .71 865 2.94 .75

    ․내외의 교육 참여 881 1.90 .96 873 3.22 .61 869 2.65 .71

    ․수퍼비전 주고 받기 878 2.04 1.07 866 3.29 .61 863 2.89 .75

    ․연구 및 학술활동 878 1.39 1.05 861 3.09 .67 862 3.00 .76

    ․서비스 실천과 관련된 정보수집 880 1.99 .96 872 3.15 .63 866 2.79 .74

    ․시간관리 881 2.42 1.11 871 3.21 .68 864 2.58 .79

    ․건강관리 881 2.04 1.15 872 3.21 .70 861 2.54 .82

    ․회의자료 만들기 881 2.14 1.12 863 2.90 .65 858 2.57 .69

    ․내부회의 참석하기 884 2.58 1.05 873 2.97 .64 867 2.52 .70

    ․사례회의 자료 만들기 879 1.72 1.10 863 3.00 .68 857 2.75 .72

    ․사례회의 참석 875 1.73 1.10 866 3.01 .66 856 2.65 .72

    ․외부관련회의 참석 882 1.62 1.01 872 2.91 .66 863 2.74 .72

    ․외부 담당자와 사업내용 협의 876 1.64 1.04 867 2.97 .67 862 2.81 .74

  • - 26 -

    ․채용기준 및 계획 수립 867 1.06 1.11 834 2.96 .88 831 3.10 .84

    ․면접 또는 시험 실시 862 1.04 1.11 833 2.94 .91 831 3.14 .84

    ․오리엔테이션 실시 866 1.09 1.10 836 2.95 .87 836 3.00 .83

    ․교육계획 및 교육자료 개발 870 1.35 1.15 843 3.05 .79 839 3.13 .78

    ․교육훈련 시키기 867 1.38 1.14 842 3.04 .80 840 3.13 .79

    ․교육 결과 평가 및 업무에 적용 870 1.40 1.15 842 3.06 .81 839 3.11 .78

    ․수행도 평가기준 마련 859 1.33 1.11 838 3.02 .79 831 3.13 .77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 858 1.35 1.11 838 3.02 .79 833 3.10 .77

    ․평가결과 활용 857 1.37 1.14 837 3.07 .80 828 3.10 .77

    ․직원의 고충 들어주고 해결 862 1.72 1.23 843 3.14 .80 838 2.99 .83

    ․실습생 지도계획 수립 860 1.26 1.10 841 2.90 .78 837 2.92 .77

    ․일정에 따라 실습 진행 및 수퍼비전 862 1.36 1.14 840 2.93 .80 838 2.95 .78

    ․실습생 평가서 작성 및 송부 858 1.22 1.15 837 2.86 .80 831 2.90 .78

    ․직무분석 864 1.39 1.14 853 3.10 .78 843 3.14 .79

    ․업무분장 및 업무지침 마련 869 1.41 1.12 851 3.13 .75 843 3.14 .78

    ․매뉴얼 갖추기 874 1.37 1.11 849 3.18 .75 847 3.11 .79

    ․추진할 사업계획 수립 882 1.80 1.10 863 3.29 .68 866 3.09 .69

    ․사업시행 880 2.07 1.20 864 3.29 .65 861 2.95 .69

    ․사업평가 872 1.89 1.13 861 3.30 .66 854 3.05 .70

    ․기관 안내책자 만들기 876 1.29 1.08 847 3.00 .77 845 2.66 .76

    ․홈페이지 관리 878 1.56 1.41 846 2.97 .82 846 2.58 .86

    ․정기적인 소식지 제작 877 1.40 1.18 853 2.97 .77 849 2.59 .78

    ․언론매체 활용 877 1.40 1.14 851 2.97 .79 851 2.67 .83

    ․예산 세우기 875 1.56 1.19 846 3.24 .78 850 3.04 .75

    ․지출(수입)결의서 작성 871 2.20 1.51 849 3.04 .85 848 2.77 .84

    ․손익계산서 또는 대차대조표 작성 863 1.25 1.36 833 2.88 .97 835 2.86 .88

    ․결산서 작성 867 1.58 1.34 844 3.04 .89 838 2.87 .81

    ․시설안전 관리 상황 확인(라운딩) 870 2.18 1.41 847 2.85 .88 845 2.37 .81

    ․비품 및 공동 물품 관리 876 2.14 1.26 852 2.76 .82 850 2.24 .76

    ․소모품관리 875 2.16 1.31 851 2.70 .84 852 2.18 .76

    ․업무일지 작성 887 3.37 1.08 871 3.01 .75 866 2.37 .73

    ․보고서 작성 890 2.83 1.08 878 3.07 .66 875 2.51 .70

    ․기안문 등 행정문서 작성 889 2.96 1.16 873 3.04 .66 875 2.53 .71

    ․회의록 작성 884 2.39 1.24 859 2.94 .72 861 2.45 .70

    ․문서결재 및 공문처리 882 2.91 1.31 870 3.02 .69 869 2.57 .74

    ․사업실적과 진행 사례 보고 881 2.37 1.24 865 3.04 .66 866 2.70 .71

    ․관련행정기관에 업무 내용 보고 875 2.28 1.31 859 2.96 .72 859 2.67 .73

    ․상담내용 기록 885 2.70 1.06 875 3.21 .67 873 2.67 .75

    ․기록 관리 보존 882 2.62 1.14 870 3.15 .69 869 2.57 .77

    ․상담 기록 활용 883 2.55 1.10 869 3.19 .67 869 2.69 .74

    굴림체는 자활후견기관만의 일의 요소에 해당

  • - 27 -

    구분 수행 빈도 중요도 직무수준

    직무 세부기관 N Mean SD F Sig. N Mean SD F Sig. N Mean SD F Sig.

    접수

    노인생활시설 112 2.0744 1.2422 31.091 .000 112 3.2113 .5817 .635 .673 112 2.6548 .5405 9.320 .000

    장애인생활시설 130 1.8051 1.2099 121 3.1185 .7780 119 2.5742 .6317

    아동생활시설 167 1.5848 1.1286 166 3.1847 .6997 163 2.6074 .6186

    종합사회복지관 119 2.5154 .7832 117 3.1083 .6030 117 2.3533 .6117

    재가복지센터 212 2.6525 .6542 211 3.1469 .4669 213 2.5775 .5416

    자활후견기관 122 2.4372 .7972 123 3.1057 .5421 122 2.2650 .5177

    Total 862 2.1933 1.0551 850 3.1475 .6100 846 2.5169 .5909

    사정

    노인생활시설 115 2.1145 .9223 14.341 .000 111 3.2237 .4982 .337 .891 107 2.7461 .5702 7.104 .000

    장애인생활시설 125 2.1267 .9552 117 3.1923 .6800 113 2.6755 .5721

    아동생활시설 165 1.9212 .9517 162 3.1595 .5599 158 2.6814 .5710

    종합사회복지관 116 2.4397 .8327 114 3.2091 .5639 112 2.7634 .5930

    재가복지센터 212 2.5881 .6546 210 3.2262 .4527 206 2.9652 .4668

    자활후견기관 122 2.3060 .7467 122 3.1967 .5007 122 2.7240 .5061

    Total 855 2.2678 .8701 836 3.2016 .5372 818 2.7781 .5502

    직접서비

    노인생활시설 109 2.4960 .7893 2.694 .020 103 3.0783 .5278 7.970 .000 102 2.3946 .4901 1.719 .128

    장애인생활시설 118 2.3268 .8940 104 3.1162 .5711 103 2.3914 .4467

    아동생활시설 157 2.3531 .7557 150 3.2304 .5165 149 2.4732 .5261

    종합사회복지관 104 2.1280 .7568 105 2.9435 .5731 105 2.3601 .4830

    재가복지센터 202 2.2877 .6180 186 2.9573 .3853 185 2.5047 .4843

    자활후견기관 - - - - - - - - -

    Total 690 2.3181 .7554 648 3.0630 .5148 644 2.4383 .4910

    점검

    노인생활시설 115 2.1565 1.1964 2.496 .030 114 3.1228 .6260 2.422 .034 113 2.6372 .7327 9.124 .000

    장애인생활시설 133 1.9474 1.2811 125 3.0640 .6689 125 2.6720 .7159

    아동생활시설 173 1.8555 1.1599 170 3.1647 .7108 172 2.6744 .8012

    종합사회복지관 120 2.1417 1.0232 120 3.1917 .6520 120 3.0333 .6973

    재가복지센터 216 1.9815 .8890 217 3.0829 .6328 213 3.0188 .6796

    자활후견기관 125 2.2160 .9033 125 3.3040 .6251 125 2.8160 .7227

    Total 882 2.0295 1.0767 871 3.1481 .6573 868 2.8237 .7425

    평가 및

    종결

    노인생활시설 109 1.3165 1.0901 22.776 .000 108 2.9005 .6246 7.714 .000 107 2.9416 .6309 .532 .752

    장애인생활시설 126 1.2500 1.0536 115 3.0717 .7192 113 2.8451 .5932

    아동생활시설 164 1.4893 .9905 164 3.2424 .6360 163 2.8681 .6946

    종합사회복지관 117 2.0641 .7776 118 3.1208 .5544 116 2.8664 .5381

    재가복지센터 213 2.0540 .7385 210 3.0714 .4452 210 2.8905 .4600

    자활후견기관 125 1.8040 .7781 124 3.2964 .4136 122 2.9324 .5291

    Total 854 1.6976 .9564 839 3.1231 .5753 831 2.8893 .5725

    사후관리

    노인생활시설 114 1.5702 1.2689 19.387 .000 111 3.0360 .6997 2.262 .047 110 2.7182 .7311 .417 .837

    장애인생활시설 132 1.4091 1.2537 121 3.0331 .8260 123 2.6748 .7520

    아동생활시설 168 1.5298 1.1156 169 3.1953 .7964 167 2.7246 .8189

    종합사회복지관 120 2.2083 .9429 119 3.1429 .5864 119 2.7143 .7028

    재가복지센터 218 2.2110 .9511 218 3.0826 .6015 215 2.7442 .6150

    자활후견기관 126 2.2143 .9261 126 3.2540 .5504 125 2.8000 .7184

    Total 878 1.8770 1.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