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김병만 * · 김미진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인 유머능력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세 가지 변 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 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시와 도에 소재 한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어린이집 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사 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순응적 유머의 순으 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유머능력 공감능력과 의사 소통능력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사가 더 많은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유머능력을 가질수록 교사의 행복감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유아교사 유머능력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연구원 교신저자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4호 , 169 - 19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김병만* · 김미진**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인 유머능력,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세 가지 변

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

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시와 K도에 소재

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30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사

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순응적 유머의 순으

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유머능력, 공감능력과 의사

소통능력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사가 더 많은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유머능력을 가질수록 교사의 행복감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유아교사(early childhood teacher)

유머능력(humor skills)

공감능력(empathy skills)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y)

행복감(happiness)

※ 논문접수 : 2016. 07. 31 / 수정본 접수 : 2016. 09. 11 / 게재승인 : 2016. 09. 14*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연구원(교신저자, [email protected])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Ⅰ. 서 론

교사들은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ovess-Masféty,

Rios-Seide & Sevilla-Dedieu, 2007). 영국 보건건강관리국이 직장 내 스트레스 수준을 조사

한 결과, 교사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직업군 중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 맨체스

터 대학의 연구결과에서도 교사들은 80개 직종 중 스트레스 레벨이 가장 높은 3가지 직업 중

하나로 밝혀졌다(한국교육신문, 2016).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교사의 스트레스, 원인과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에 따르면, 교사 90.8%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78.7%가 스트레스로 인해 업무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는 스트레

스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교사가 56.7%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교사

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스트레스가 업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교사가 적다는 것이다(내일신문, 2009).

특히 유아교사는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등 고도

의 정신노동을 요구하는 일에 종사하기 때문에 다른 직종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직무스트레

스를 겪는다(석은조, 오성숙, 2007). 특히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전체 교육프

로그램의 질에 대해 30%의 설명력을 가진다는 선행연구 결과(구은미, 2004)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사의 높은 직무스트레스는 교육체계와 질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기 특성상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다른 어떤 조직보다도 그 파급효과

가 크기 때문에(김보들맘, 신혜영, 2000)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과거에는 이러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문제해결적 접근방법인 스트

레스 대처방안 및 완화기제에 대해 주로 논의되어 왔으나(도명애, 유현숙, 2011; 황해익, 김미

진, 탁정화, 2012),긍정심리학(Seligman, 2011/2011)의 등장 이후 어려움이나 스트레스에 대

한 접근방법이 변화되고 있다. 유아교사의 스트레스를 개인적 수준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

지에 대한 관심에서 나아가 유아교사의 행복을 증진시킴으로써 유아교사가 당면한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교사의 전문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김리진, 홍연애, 2013; 신현정, 박진성, 2010). 즉, 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가 생기고 난 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후 처치식의 소극적 대

처방안이 아니라, 예방 차원에서 유아교사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더 효과

적이라는 것이다(김미진, 2015).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71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들 또한 여러 선행연구

들에서 입증되었다. 행복한 유아교사가 더 높은 교사효능감을 가지고 유아와 질 높은 상호작

용을 할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도가 더 높다(곽희경, 2011; 황해익, 2013)는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 중에서 타인과의 긍정적 관계는 삶의 만족과 행복

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Reis & Gable, 2003). 친밀하고 상호 지지적인 긍정적 인

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Compton, 2005/2007). 특히 유아교사

는 유아, 부모, 동료교사, 원장, 지역사회 인사 등 유아교사를 둘러싼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작

용하는데, 이들과의 상호지지적인 긍정적 인간관계는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과 유아교육의 질

적 수준을 담보하는 주요 요인이다.

유아교사가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맺음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민감하고 개방적이며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타인과 관계맺음을 하는 능력을 사

회적 상호작용능력이라고 하는데, 이는 긍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행복감을

좌우하는 변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

사의 행복감에 대한 긍정적 예측변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상호작용능력의 구체적인 요

인들이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

과의 관계맺음에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능력들 중에서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사

회적 상호작용능력으로 정의하고,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한 외적 행복감, 내면적 특성과 관련

한 내적 행복감, 스스로 자신의 통제소재를 발휘함으로써 느끼는 자기조절행복감을 행복감으

로 정의하였다.

먼저, 행복과 관련이 있는 상호작용능력 변인으로 유머를 들 수 있는데, 유머감각은 자신

의 인생을 즐겁고 유쾌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주변사람들을 즐겁게 만들고 친화적인 인간관

계를 촉진함으로써(권석만, 2008), 행복감 향상에 기여한다. 유머는 웃음 관련 현상들을 나타

내는 포괄적인 집합적 용어(umbrella term)로 농담, 단독 코미디, 텔레비전 시트콤, 정치적 풍

자, 조롱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웃음을 지칭한다(Lopez & Snyder, 2003/2008). 유머는

즐거움을 주고 다양한 긍정적 정서와 활기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생활 스트레스로 인해 불쾌

한 기분이 초래되는 것을 막는 완충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Abel,

2002; Lefcourt, 2001; Martin, 2001). 즉, 유머감각이 있는 사람은 스트레스에 더 잘 대처하고

정신적·신체적으로 안녕하며 보다 건강하다(Snyder & Lopez, 2002/2008).

이처럼 유머는 인간의 심리적 건강 및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Martin, 2001). 유머와 신체 및 정신 건

17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강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들에서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가 산출된 이유 중 하나는 유머의 형태

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Lopez & Snyder, 2003/2008). 이에 Martin, Puhlik-Doris,

Larsen, Gray와 Weir(2003)는 Humor Styles Questionnaire(HSQ)를 개발함으로써 유머의 형

태를 구분하였다. 이 척도는 타인을 즐겁게 하고 사회적 응집력을 증진시키는 방식으로 유머

를 사용하는 관계적 유머, 조망수용적이며 대처로서의 유머를 의미하는 자기 고양적 유머, 빈

정거리거나 타인을 조롱하고 조종하고자 사용하는 유머를 의미하는 공격적 유머, 그리고 자

신의 부정적 정서를 숨기거나 스스로를 웃음거리로 만드는 유머인 자기 파괴적 유머의 네 가

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 가지 차원 중 관계적 유머와 자기 고양적 유머는 건강하

고 적응적인 유머인 순응적 유머를 나타내고, 공격적 유머와 자기 파괴적 유머는 건강하지

않은 부적응적 유머인 비순응적 유머를 나타낸다. 순응적 유머는 자존감, 긍정적 정서, 사회

적 지지, 친밀감 등과 같은 심리적 건강 및 안녕감 지표들과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우울, 불

안 등과 같은 부정적 기분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순응적 유머

는 우울, 불안, 적대감, 정신과적 증상 등과 같은 빈약한 심리적 가능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

며, 자존감, 사회적 지지, 관계 만족 등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Lopez & Snyder, 2003/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응적 유머와 비순응적 유머로 유머의 형태를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대인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공

감능력을 들 수 있다(Eisenberg, Fabes, Murphy, Karbon, Smith & Maszk, 1996; Singer,

2006). 행복한 대인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타인이 경험하

는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능력이 중요하다(고은경, 손애리, 황순택, 2010). 공감은 타인의 정서

상태에 대한 염려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타인의 감정과 유사해지거나 같아지는 정서적 각

성상태로 타인 관점 수용, 동정, 정서적 전염, 도움 행동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공감은

타인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염려나 이해를 기반으로 한 타인 지향적 정서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Preston & de Waal, 2002). 특히 유아, 부모, 조부모, 동료교사, 원장, 유아교육기관 교직

원, 행정가, 지역사회 인사 등 여러 사람들과 소통해야 하는 유아교사에게 타인의 감정을 이

해하고 배려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초중등학생, 대학생, 예비유아교사, 상담교

사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선행연구들(김미라, 2009; 김민숙, 민정숙, 옥진선, 정영숙, 홍인숙,

2012; 김여흠, 이윤주, 2013; 박진성, 2015; 조훈미, 2012)에서는 공감능력이 행복감과 정적 상

관가 있으며 행복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들에 비추어볼 때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또한 그들의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예언하

는 변인인 것으로 가정해볼 수 있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73

마지막으로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능력 또한 행복한 삶

과 밀접한 관련이 변인이다.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의사전달 및 교류 상황에 대한 집중, 이해와 해석, 분석과 평가, 반응, 기억 등을 의미한다(최

일선, 조운주, 2010).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기초직업능력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영국, 뉴질랜드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기초직업능력으로 설정하고 있다(나승일 외, 2004).

특히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유아의 학습을 지원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을 가정

과 공유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에 유아의 성장과 발달 및 유아, 부모와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유아교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우수

경, 서윤희, 2016; Reedy & McGrath, 2010). 류덕엽(2014)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보고하였

다. 또한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우수경과 서윤희(2016)의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비추어볼 때 유아

교사의 경우에도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행복감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행복감은 서로 밀

접한 관련이 있음을 예측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하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및 행복의 인식 정도를 파악해 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

펴보자 한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것은 유아교사의 행복

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설명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17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구 분 항 목 빈 도(N) 비 율(%)

연 령30세 이하 168 57.5

30세 초과∼40세 이하 83 28.4

40세 초과 41 14.0

기관유형

국공립유치원 32 11.0

사립유치원 115 39.4

국공립어린이집 22 7.5

민간가정어린이집 123 42.1

최종학력

보육교사교육원 졸업 9 3.1

2, 3년제 대학교 졸업 159 54.5

4년제 대학교 졸업 101 34.6

대학원 졸업 32 11.0

교직경력5년 이하 133 45.5

5년 초과∼10년 이하 103 35.3

10년 초과 56 19.2

유아교사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중 295부가 회수되어 98.3%

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된 295부 중 응답이 성실하지 않은 3부를 제외한 총 292부의 설문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N=292)

2. 연구도구

1) 유머능력

유아교사의 유머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artin 등(2003)이 개발한 Humor Style

Questionnaire(HSQ)를 이재선과 조아미(200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관

계적 유머와 자기 고양적 유머를 포함하는 순응적 유머 15문항, 공격적 유머와 자기 파괴적

유머를 포함하는 비순응적 유머 12문항의 총 2개 영역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

구는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유머 검

사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75

구 분 내용 문항 수 신뢰도 계수

순응적 유머

타인을 즐겁게 하고 사회적 응집력을 증진시키는

방식으로 유머를 사용하는 관계적 유머, 조망수용

적이며 대처로서의 유머를 의미하는 자기 고양적

유머를 포함하는 건강하고 적응적인 유머

15 .74

비순응적 유머

빈정거리거나 타인을 조롱하고 조종하고자 사용하

는 유머를 의미하는 공격적 유머, 그리고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숨기거나 스스로를 웃음거리로 만드

는 유머인 자기 파괴적 유머를 포함하는 건강하지

않은 유머

12 .72

유머능력 전체 27 .82

<표 2> 유머능력 측정문항

2) 공감능력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Mehrabin과 Epstein(1972)의 정서공감척도, Davis

(1980)의 IRI 검사, Bryant(1982)의 정서공감척도를 박성희(1993)가 번안한 도구를 전병성

(2003)이 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관점 취하기와 상상하기로 구성된

인지적 공감 15문항, 타자 지향적 공감적 각성과 개인적 고통 정서로 구성된 정서적 공감 15

문항의 총 2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는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공감능력 검사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다음 표 3과 같다.

구 분 내용 문항 수 신뢰도 계수

인지적 공감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하는 것 15 .88

정서적 공감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공유하는 것 15 .86

공감능력 전체 30 .90

<표 3> 공감능력 측정문항

3) 의사소통능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Fritz, Brown, Lunde와 Banset(1999)이 개발한

도구를 최일선과 조운주(2010)가 번안하여 유아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

다. 본 검사도구는 집중 5문항, 이해와 해석 5문항, 분석과 평가 5문항, 반응 5문항, 기억 5문

17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항의 총 5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는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

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

을 의미한다.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 분 내용 문항 수 신뢰도 계수

집중 타인의 이야기에 모든 관심을 기울이는 것 5 .82

이해와 해석타인의 이야기를 잘 알아서 받아들이고 문장이나

사물 따위로 표현된 내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5 .84

분석과 평가얽혀 있거나 복잡한 것을 풀어서 개별적인 요소나

성질로 나누고 사물의 가치나 수준을 평가하는 것5 .86

반응 대화에 반응하여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것 5 .80

기억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하거나 다

시 생각해내는 것5 .90

의사소통능력

전체25 .91

<표 4> 의사소통능력 측정문항

4) 행복감

행복감은 Argyle(2001)가 개발한 도구를 권석만(2011)이 번안 및 수정한 것을 김미진과 김

병만(2015)이 재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외적행복 10문항, 내적행복 6

문항, 자기조절행복 5문항의 총 3개 영역,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도구는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감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외적행복은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행복감을 느끼는

것과 관련된 내용, 내적행복은 내면적 특성과 관련하여 행복감을 느끼는 것과 관련된 내용,

자기조절행복은 스스로 자신의 통제소재를 발휘함으로써 행복감을 느끼는 것과 관련된 내용

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복감 검사도구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다음 표 5와 같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77

구 분 내용 문항 수 신뢰도 계수

외적 행복 대인관계와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한 행복감 10 .90

내적 행복삶에 대한 만족도, 긍정적 정서 등과 같은 내면적

특성과 관련한 행복감6 .78

자기조절 행복 내적 통제력 발휘에 의한 행복감 5 .72

행복 전체 21 .93

<표 5> 행복감 측정문항

3. 연구절차

1) 설문지 제작

내용분석을 위한 문헌연구로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 뒤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2) 예비조사

선정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21일부터 2015년 9월 25일까지 5일간 유아교사 20

명(유치원교사 10명,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실시 결

과, 설문지 응답에 어려움이 있는 문항이 없었으며, 설문지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

었다.

3) 본조사

2015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

였다. 유아교육기관 원장 혹은 재직 중인 교사를 통해 연구협조를 구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

한 기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를 걸어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인편 혹은 우편을 통해 배부 및 회수되었는데, 본 연구에

참여한 37개 유아교육기관 중 약 51%인 19개 기관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

하였고 그 중 10개 기관은 연구자가 직접 회수였으며 나머지 9개 기관은 반송봉투를 통한 우

편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그리고 18개 기관은 우편으로 설문지의 배송 및 회수가 이루어

졌다.

17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요인 평균(M) 표준편차(SD)

유머능력순응적 유머 3.61 .47

비순응적 유머 2.71 .45

공감능력

인지적 공감 3.60 .43

정서적 공감 3.72 .49

공감능력 전체 3.66 .43

의사소통능력

집중 3.71 .51

이해와 해석 3.46 .45

분석과 평가 3.71 .58

반응 3.65 .55

기억 3.52 .41

의사소통능력 전체 3.61 .33

행복감

외적행복 3.68 .52

내적행복 3.67 .60

자기조절행복 3.76 .55

행복감 전체 3.70 .52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설문지 자료처리를 위하여 Window용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이 어

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유아교사의 사회

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

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정도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인식 정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표 6>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인식 정도 (N=292)

표 6과 같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유머능력에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79

서는 ‘순응적 유머’(M=3.61, SD=.47), ‘비순응적 유머’(M=2.71, SD=.4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

고, 공감능력에서는 ‘정서적 공감’(M=3.72, SD=.49), ‘인지적 공감’(M=3.60, SD=.4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집중’(M=3.71, SD=.51)과 ‘분석과 평가’(M=3.71,

SD=.58), 반응(M=3.65, SD=.55), 기억(M=3.52, SD=.41), 이해와 해석(M=3.46, SD=.45)의 순

으로 높게 나타났고, 행복감에서는 ‘자기조절행복’(M=3.76, SD=.55), ‘외적행복’(M=3.68,

SD=.52), ‘내적행복’(M=3.67, SD=.6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상관관계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표 7과 같

다.

<표 7>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상관관계 (N=292)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1

2 -.03 1

3 .40** -.13* 1

4 .44**-.10 .76

**1

5 .45** -.12*.93** .95** 1

6 .06 -.14*.21** .19** .21** 1

7 .14* -.03 .20** .20** .22** .53** 1

8 .48 -.01 .50** .50** .53** .19* .17** 1

9 .15* -.07 .29** .23** .28** .51** .48** .32** 1

10 .03 -.10 .01 .04 .02 .29** .22** .10 .17** 1

11 .29** -.09 .39** .38** .41** .76** .70** .58** .77** .49** 1

12 .51** -.01 .52** .53** .56** .19** .16** .78** .32** .17** .52** 1

13 .51** -.02 .56** .56** .60** .22** .18** .98** .33** .11 .60** .81** 1

14 .59** -.06 .57** .61** .63** .18** .16** .73** .25** .14** .48** .75** .78** 1

15 .58**-.03 .59

**.61**.64**.21**.18**.90**.33**.15**.58**.93**.94**.91**

1

*p<.05, **p<.01

1. 순응적 유머, 2. 비순응성 유머, 3. 인지적 공감, 4. 정서적 공감, 5. 공감능력 전체, 6. 집중, 7. 이해와 해석, 8. 분석과 평가, 9. 반응, 10. 기억, 11. 의사소통능력 전체, 12. 외적행복, 13. 내적행복, 14. 자기조절행복, 15. 행복감 전체

표 7과 같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총점 및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

18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범위는 -.14∼.98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머의 경우 순응적 유머와

공감능력 총점의 상관관계는 .45, (p<.01), 순응적 유머와 의사소통능력 총점의 상관관계는

.29(p<.01), 순응적 유머와 행복감 총점의 상관관계는 .58(p<.01)로 나타나 순응적 유머는 공

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행복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비해 비순응적

유머는 공감능력 총점(r=-.12, p<.05)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 총

점(r=-.09, p>.05), 행복 총점(r=-.03, p>.05)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경우 총점 간 상관관계는 .41(p<.01)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고, 하위변인들 간 상관관계 범위는 .01~.53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변인들 중 기억의 경우에는 인지적 공감(r=.01, p>.05)과 정서적 공감(r=.04, p>.05) 모두와 유

의미한 상관관계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 이해와 해석, 분석과 평가, 반응은 공감의 모

든 하위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19~.53, p<.01). 셋째, 공감능력과 행

복감의 경우에는 총점(r=.64, p<.01) 및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r=.52~.63, p<.01). 넷째, 의사소통능력 총점과 행복감 총점 간의 상관관

계는 .58(p<.01)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변인들 간 상관관계 범위는 .1

1~.98로 나타났다. 기억과 내적행복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으며(r=.11, p>.05), 나머지 변인

들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4~98, p<.01).

3.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유아교

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인 순응적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행복감을 종속변인으로 투입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잔차의 독립성을 확인하고자

Durbin-Watson 값을 확인하였다.

1)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표 8과 같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81

종속변수 독립변수 B β t 의 변화량

F

행복감

(상수) -1.02

.61공감능력 .43 .36 7.96*** .41

140.73***의사소통능력 .52 .34 8.03

***.11

순응적 유머 .35 .32 7.47*** .09***p<.001

<표 8>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N=29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전 투입한

변인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Durbin-Watson의 통계치는 2.08로 나타나 자기상관이 없

는 것으로 나타나 기본가정을 충족하였다. 표 7과 같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은

행복감에 61%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공감능력은 41%의 영향력

을 가지며, 여기에 의사소통능력을 첨가할 경우에는 11%가 증가하여 52%의 영향력을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기에 순응적 유머를 첨가할 경우에는 9%가 증가하여 총 61%의 영향

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값은 140.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위의

회귀모형식이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공감능력, 의사소통능

력, 순응적 유머의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유아교사 공감능력 하위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2단계에서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에 의사소통능

력 하위요인이 추가될 경우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떤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유아교사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인에 유머능력 하위요인이 추가될 경

우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떤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은 모형별 변인

을 하나씩 투입하여 독립변인의 상대적 효과를 살펴보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므로 유아교

사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모형 1로 선정하였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1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단계 독립변수 B β t 의

변화량F

모형 1

(상수) .92

.41 .41 96.01***정서적 공감 .37 .31 4.46

***

인지적 공감 .39 .37 5.21***

모형 2

(상수) -.13

.85 .44 218.28***

정서적 공감 .17 .16 4.29***

인지적 공감 .10 .09 2.24*

집중 -.01 -.01 -.11

이해와 해석 -.03 -.03 -.95

분석과 평가 .68 .77 26.89***

반응 .03 .03 .95

기억 .09 .08 3.00**

모형 3

(상수) -.38

.86 .01 212.42***

정서적 공감 .14 .13 3.52***

인지적 공감 .09 .08 2.13*

집중 .01 .01 .37

이해와 해석 -.05 -.04 -1.41

분석과 평가 .64 .72 24.88***

반응 .03 .03 1.09

기억 .09 .07 3.10**

순응적 유머 .16 .14 5.19***

***p<.001, **p<.01, *p<.05

<표 9>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위계적 회귀분석

(N=292)

과 의사소통능력이 동시에 행복감에 미치는 과정을 모형 2로 선정하였으며, 유아교사의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유머능력이 동시에 행복감에 미치는 과정을 모형 3으로 선정하였다.

모형 1과 모형 2, 그리고 모형 3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유머

능력이 모형 2와 모형 3에서 추가로 투입될 경우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확인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표 9와 같다.

모형 1은 공감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공

감능력 하위요인을 투입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설명력은 41%

로 나타났고,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값을 살펴보면 96.01로, p<.001수준에

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 하위요인 중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

적 공감(t=4.46), 인지적 공감(t=5.21)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p<.001). 이는 유아교사의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 정도가 높을수록 행복감에 정적 영

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83

모형 2는 의사소통능력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추가하여 투입함으로써 공감능력과 의사

소통능력의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형 1에 의사소통능

력 하위요인이 추가되었을 경우, 44%가 증가하여 총 8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값을 살펴보면 218.28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에 의사소통능력이 동시에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정서적 공

감(t=4.29, p<.001), 인지적 공감(t=2.24, p<.05), 분석과 평가(t=26.89, p<.001), 기억(t=3.00,

p<.01)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3은 유머능력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추가하여 투입함으로써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및 유머능력의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형 2에 순

응적 유머가 추가되었을 경우, 1%가 증가하여 총 8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

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값을 살펴보면 212.42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유머능력이 동시에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정서적 공감(t=3.52, p<.001), 인지적 공감(t=2.13, p<.05), 분석과 평가(t=24.88, p<.001), 기억

(t=3.10, p<.01), 순응적 유머(t=5.19, p<.001)가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유머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

감 정도가 높을수록, 분석과 평가와 기억의 정도가 높을수록, 순응적 유머의 정도가 높을수록

행복감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

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항을 첨가해가면서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계값이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는 항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유의미한 하위요인만 결과값으로 제시되므로, 단계적 회

귀분석은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의 하위요인 중 행복감을 설명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따라서 단계적 회귀분석은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

중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며 새로운 변수가 추가

될 때마다 기존의 독립변수의 중요도를 발견할 수 있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

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는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1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종속변수 독립변수 B β t 의 변화량

F

행복감

(상수) -.40

.87

분석과 평가 .65 .72 25.65***

.80

339.91***정서적 공감 .13 .12 3.44

**.84

순응적 유머 .15 .14 5.10*** .85

기억 .09 .07 3.23** .86

인지적 공감 .10 .08 2.26* .87***p<.001, **p<.01, *p<.05

<표 10>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단계적 회귀분석

(N=29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확인하기

전 투입한 변인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Durbin-Watson의 통계치는 1.87로 나타나 자

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본가정을 충족하였다. 표 10과 같이 분석과 평가, 정서적 공

감, 순응적 유머, 기억, 인지적 공감은 행복감을 87% 정도 설명하며, 그 중에서도 분석과 평

가는 80%의 설명력을 가지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하위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값은

339.9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위의 회귀모형식이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의 하위요인 중 분석과

평가, 정서적 공감, 순응적 유머, 기억, 인지적 공감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

났다.

Ⅳ.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행복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유아교

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유머 중 순응적 유머와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

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교사의 순응적 유머와 행복감 간에는 유의미

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의적인 의도로 유머를 만들어내고 이해하

는(권석만, 2008) 관계적, 자기고양적인 순응적 유머가 유아교사의 행복감 증진에 대한 긍정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85

적인 예측변인임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순응적 유머와 행복 간에 정적 상

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들(김영만, 2011; 이솔잎, 2009; 이영화, 2011; 황해익, 강현

미, 탁정화, 2014)과 일치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재선과 민현기(2009)의 연구에서도 유

머스타일 중 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비

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한

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가 순응적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더 높은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남을 조롱하거나 비난하는, 혹은 자신 스스로를 웃

음거리로 만드는 비순응적 유머와 순응적 유머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르며, 순응적 유머를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또한 행복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를 통

해 공감능력이 높은 유아교사가 더 행복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조훈미, 2012),

청소년(김미라, 2009; 김영희, 고태순, 2014; 조한익, 이미화, 2010), 대학생(김여흠, 이윤주,

2013; 채영문, 곽수진, 2013), 예비유아교사(박진성, 2015), 상담교사(김민숙, 민정숙, 옥진선,

정영숙, 홍인숙, 2012), 생활체육 참가자(소영호, 2014)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공감능

력이 행복감이나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공감능력이 행복을 예측하는 요

인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속에서 행복을 느끼게 되는데 대인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

해보고 그 사람이 경험하는 감정적 상태를 이해하는 공감능력이 중요하다. 이는 타인의 감정

이나 입장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자신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김영희, 고태순, 2014; 박진성, 2015).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행복감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김연화와 강문희(2009)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와의 의사소

통 유형이 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하는 학생이 문제형 의사소통을 하는 학생보다 행복감이 더 높다는 것이다. 이정선, 이지연과

박미란(2013)의 연구에서도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학교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

을 밝혔으며, 황연덕과 이진숙(2011)의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류덕

엽(2014)의 연구에서도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인식하고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

1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61% 정도 설명하며, 공감능력, 의사소

통능력, 순응적 유머의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행복

감이 타인의 감정과 유사해지거나 같아지는 타인지향적 정서반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

며, 그 다음으로는 의사소통능력과 순응적 유머의 순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하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분석과 평가, 정서적 공감, 순응적 유머, 기억, 인지적 공감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의 하위요인들 중 가

장 설명력이 높은 하위요인은 분석과 평가인데,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인 분석과 평가는

얽혀 있거나 복잡한 것을 풀어서 개별적인 요소나 성질로 나누고 사물의 가치나 수준을 평가

하는 것에 관련된 능력이다(최일선, 조운주, 2010).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들은 분석과 평가

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증진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향후 유아교사의 분석 및

평가와 관련한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적극적으로 조력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설명력이 높은 하위요인은 정서적 공감인데, 여러 선행연구들(김미라, 2009; 김민

숙 외, 2012; 김영희, 고태순, 2014; 소영호, 2014; 조한익, 이미화, 2010; 조훈미, 2012; 채영문,

곽수진, 2013)에서 타인에게 공감을 잘 하는 사람일수록 행복 수준이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

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공감은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에 바탕을 둔 행동으로 이러한 타

인지향적 행동이 자신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공감은 인지적 공감

과 정서적 공감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지적 공감이 상대방의 행동을 상

대방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라면 정서적 공감은 상대방이 경험하는 감정을 대리적으로 경

험하는 것이다(김상희, 2014).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 행

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공감보다 인지적 공

감의 설명력이 더 높았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행복감의 관계를 연구한 박진성

(2015)의 연구에서 인지적 공감이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것과 일치

하는 결과이다. 즉, 정서적 공감보다 인지적 공감이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변인이

라는 것이다. 이에 비해 생활체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소영호(2014)와 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김민숙 등(2012)의 연구에서는 정서적 공감이 높으면 행복 인식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하여 다소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라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행복

감에 미치는 설명력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두 가지

차원을 모두 포함하는 공감능력이 유아교사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이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향상이 행복한 교사 양성을 위한 교사교육의 과제

라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87

또한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에 포함된 독립변인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유머능

력 하위요인이 추가될 경우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은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며,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유머능력의 하위요

인 중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 정도가 높을수록, 분석과 평가, 기억의 정도가 높을수록, 순응

적 유머의 정도가 높을수록 행복감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유머,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아교사가 더 많은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을 가질수록 교사의 행복감은 높아진다

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

통능력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유아교사의 상호작용능력을 향상을 통해 유아, 부모, 동료교사 등 유아교사를 둘러싼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맺음과 동시에 교사 자신의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의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유머,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교사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유아교

사가 유아, 부모, 동료교사 등 자신을 둘러싼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이들과 긴밀하게 협

력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자신의 행복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정

한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실시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의 일반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넓

은 지역을 대상으로 더 많은 표본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의 여건상 제한된 수의 표본을 표집 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확대된 지역에서 표본 수를 증가하여 연구를 진행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을 알아

보았다. 하지만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 대한 구체적이

고 심층적인 인식과 견해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인식과 견해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

으로 심층면담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가 실

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을 파악하지

는 못했다. 특히 유아교사의 기관 유형, 경력, 근무여건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사회적 상호작

용능력과 행복감 영역은 상당부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배

경변인에 따른 분석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1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참고문헌

고은경, 손애리, 황순택(2010). 중학생 자기애 성향의 하위유형에 따른 기질과 공감능력의 차이. 한

국학교심리학회지, 7(3), 391-404.

곽희경(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구은미(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011).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리진, 홍연애(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

국보육지원학회지, 9(4), 55-74.

김미라(2009).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진(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김미진, 김병만(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경로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99-120.

김민숙, 민정숙, 옥진선, 정영숙, 홍인숙(2012). 상담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3(2), 1-19.

김보들맘, 신혜영(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김상희(2014). 판매원의 행복과 고객에 대한 공감: 긍정심리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유통연구,

19(2), 27-64.

김여흠, 이윤주(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표현양

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김연화, 강문희(2009).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학회

지, 29(6), 35-54.

김영만(2011). 노인의 유머감각이 건강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

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희, 고태순(2014).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330-338.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89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기용, 정상택(2004).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는 기초직

업능력 영역 설정. 한국직업교육학회지, 36(4), 139-158.

내일신문(2009). 교사 10명 중 9명은 스트레스. http://www.naeil.com에서 2016년 5월 18일 인출.

도명애, 유현숙(201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61-290.

류덕엽(2014).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희(1993).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성(2015).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22(1), 97-118.

석은조, 오성숙(2007).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7.

소영호(2014). 생활체육 참가자의 공감능력이 회복탄력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1), 167-180.

신현정, 박진성(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

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우수경, 서윤희(2016).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과 공감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

육연구, 21(1), 367-384.

이솔잎(2009). 주부의 행복한 삶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유머감각과 유머대처를 중심으로. 명

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화(2011). 평생교육 학습자의 유머감각이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

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선, 민현기(2009). 대학생의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1세기

사회복지연구, 6(1), 51-63.

이재선, 조아미(2006).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79-100.

이정선, 이지연, 박미란(201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역량지각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 시설환경, 11(1), 27-46.

전병성(2003).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한익, 이미화(2010).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

구, 17(11), 139-158.

조훈미(2012).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및 행복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채영문, 곽수진(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

1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국생활과학회지, 22(6), 599-613.

최일선, 조운주(2010). 유아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한국교육신문(2016). NUT, 교사 스트레스 검사 촉구. http://www.hangyo.com에서 2016년 5월 9

일 인출.

황연덕, 이진숙(2011).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

개역할. 아동학회지, 33(1), 223-236.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

연구, 12(2), 157-180.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

육학논집, 18(1), 341-363.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313-335.

Abel, M. H.(2002). Humor,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5(4), 365-381.

Argyle, M.(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2nd ed.). East Sussex, England: Routledge.

Bryant, B. K.(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2), 413-426.

Bryant, B.(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

413-425.

Compton, W. C.(2007). 긍정심리학 입문.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 서울: 박학사. (원저 2005

출판).

Davis, M. H.(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103.

Davis, M. H.(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Eisenberg, N., Fabes, R. A., Murphy, B., Karbon, M., Smith, M., & Maszk, P.(1996). The

relations of children's dispositional empathy-related responding to their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2(2), 195.

Fritz, S., Brown, F. W., Lunde, J. P., & Banset, E. A.(1999). Interpersonal skill for readership.

NJ: Prentice Hall.

Kovess-Masféty, V., Rios-Seidel, C., & Sevilla-Dedieu, C.(2007).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7), 1177-1192.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 191

Lefcourt, H. M.(2001). Humor. The psychology of living buoyantly. New York: Plenum.

Lopez, S. J., & Snyder, C. R.(2008).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3 출판).

Martin, R. A.(2001). Humor, laughter, and physical health: Methodological issues and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27, 504-519.

Martin, R. A., Puhlik-Doris, P., Larsen, G., Gray, J., & Weir, K.(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s questionair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1), 48-75.

Mehrabin, A., & Epstein, N.(1972).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40, 525-543.

Preston, S. D., & de Waal, F. B. M.(2002). Empathy: Its ultimate and proximate base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5(1), 1-72.

Reedy, C. K., & McGrath, W. H.(2010). Can you hear me now? Staff–parent communication in

child care centre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3), 347-357.

Reis, H. T., & Gable, S. L.(2003).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relationships. Flourishing:

The positive person and the good life, 129-159.

Seligman, M. E. P.(2011). 플로리시. (우문식, 윤상운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저 2011 출

판).

Singer, T.(2006). The neural basis and ontogeny of empathy and mind reading: Review of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0(6), 855-863.

Snyder, C. R., & Lopez, S. J.(2008). 긍정심리학 핸드북. (이희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2 출판).

1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Abstract

A study on the social interaction abilities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ung Man Kim · Mi Jin Ki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humor skills, empathy skills,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re social interaction skills, on the happiness of the

teacher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boost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hree factor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selected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at were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and a

province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ok an

above-average positive view of their own social interaction abilities and happi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compliant humor and empathy skills, and

compliant humo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Moreover, the empathy skill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happiness, and the form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t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the

teachers on their happiness, empathy skills wer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a sense of humor. In conclusion, the humor, empathy skills,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regarded as the major variables for predicting

their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