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January 27, 2018 Yong-Taek Kim [email protected]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한국어교육의 인지언어학적접근및동향naks-seksa.org/cfiles/4th_prin/4th_prin_lang.pdf · 2018. 1. 30.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January 27, 2018. Yong-Taek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January 27, 2018Yong-Taek Kim

    [email protected]

    한국어 교육의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인지언어학 언어:지각과인지와밀접한관련

    해석/주의/관심에따라동일한장면을다양한방식으로인지하고언어화가능 (Radden & Dirven 2007) (예: 민수가꽃병을깼다.)

    언어>지각&인지 (Talmy 2000, Bunger et al. 2012) (예: 저에게는아들이둘있습니다.)

    2/20

    [지각] [인지] [언어]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지각 vs 인지 vs 언어

    객관적인세계는존재하는가?화자의세계에대한해석/개념화만이존재(예: ‘하나라도백개인사과‘ 이노우에저)

    언어는마음의창

    언어습득

    발음/억양, 단어, 문법, 용법등 생각하는방식 = 문화

    3/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동서의지각및인지의차이

    4/20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가족유사성 vs 룰

    5/20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2번학생은 A와 B중어디에서더행복해보이나요?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6/20

    A B

    Masuda et al. (2008)

  • 젖소와같은그룹에속하는것은무엇일까요?

    7/20

    Nisbett (2003)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Nisbett and Masuda (2003)

    Asian Westerner

    (from Kishimoto 2007)

    Task

    8/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통합적 vs 분석적지각

  • 동 vs 서 ‘Geography of Thought’ by Nisbett동양: 서양:집단의식 < 농경사회 개인의식 < 해상무역

    주변환경과의관계중시(예: 2번학생 A>B)

    개인의자유, 개성, 객관적사고중시(예: 2번학생 A=B)

    관계에근거해서사물분류(예: 소와풀)

    사물이갖고있는성질로분류(예: 소와닭)

    유아에게감정과관련된표현사용 (예: 네가인형을던져서울고있잖아)

    유아에게사물의성질에관해물어보고그것에관한정보를전달(예: 풍선은동그란모양이야)

    동사습득속도 =명사습득속도 명사습득속도 >동사습득속도

    주제 (topic) 중심의언어. 문장의시작이셋팅 (시간과공간)어제는둘루스에비가많이왔어.

    주어 (subject)중심의언어(예: It rained very hard in Duluth yesterday.)

    전체적 (한의학) 분석적 (양의학)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9/20

  • 인물 vs. 환경

    Where am I ?

    영어

    영어 vs 한국어

    여기어디예요?(문자적해석 Here is where?)

    10/20

    I have two sons. 저에게는아들이둘있습니다.

    한국어

    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한국어교육연구의동향

    국어 vs 한국어

    단일민족, 백의민족, 순수혈통?

    11/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다문화사회

    자료: 동아일보 (2010, 10/6)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한국어교육연구의동향

    동향

    강승혜 2017. ‘한국어교육연구동향분석을기초로한한국어교육학의연구영역’

    2000-2016 석/박사학위논문, 학술지논문 7,681

    13/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한국어교육연구의동향

    현장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1959): 말하기중심교육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1982):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모집중단, 재개설 (1997)

    1990년대중반이후주요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개설

    2005년국어기본법: 한국어교원자격증연구

    이중언어학회 (19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85)

    14/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한국어교육연구의동향

    연구물양의증가: 2000년이후연구물이국어학연구의 3배 >한국어교육연구확대

    연구영역의다양화: 2005년이후부터다문화관련연구, 번역관련연구발표, 현저하게증가한연구 ‘대조분석‘

    15/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언어+컨텐츠 통합교육 & 온라인 교육컨텐츠(문학, 문화, 미디어등)을통한한국어교육: 드라마/영화/K-POP/요리로배우는한국어

    온라인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교육: 2008년캐나다매니토바대학교시작

    TIME 2012년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해.

    16/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미국에서의 MOOC

    2011 스탠포드 (Udacity): ‘인공지능입문’강좌, 190여개국 16만명수강생, 28,000 수료증

    2012 스탠포드 (Coursera): 2017년 2월기준으로 2천4백만수강생, 2천개이상의강좌

    2013 하버드&MIT (www.edX.org): 버클리, 조지타운가입: 2017년기준으로 110개이상의협력기관, 천만수강생, 1,270 강좌

    한국: 2015 K-MOOC,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성균관대, 한양대, 경희대, 과기원, 포항공대, 부산대. 80개강좌, 18만명수강생

    17/26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http://www.edx.org/

  • GT 온라인한국어교육 & 교포용한국어수업 LA 한국교육원과세계한국교육자협회의온라인한국어코스가미국 UC대학에서한국어정식학점인정 (2015)

    애틀랜타한국교육원과조지아텍한국어프로그램 3개년개발

    2018 봄학기 KOR 1001 온라인한국어시작 (10명수강40명지원)

    재미교포를위한온라인한국어도 2018년여름에개발예정

    재미교포전용한국어수업개설, 2017년가을학기

    18/26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이중언어교육 (Dual Language Education)

    2019년 8월부터귀넷카운티(Gwinnett County, Parsons Elementary School 에서한국어와영어를사용하는이중언어교육(Dual Language Education) 실행결정

    이중언어교육교재개발

    한국어교원양성및자격증

    19/26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I. 동서의지각/인지/언어의차이

    II. 언어의습득 = 생각하는방식의차이, 상황을이해하고해석하는차이 = 문화의차이

    III. 한국어교육의동향: 1. 다양화2. 컨텐츠를통한한국어교육3. 온라인한국어

    요약

    20/20한국어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및 동향

  • 참고문헌

    Kim, Yong-Taek. 2008. Relations between the Conative and Verb-Out At Constructions: An Extended Semantic Map Approach, paper presented at the 34th Annual Meeting of the Berkeley Linguistics Society.

    Kim, Yong-Taek. 2009. Event Construal and Its Linguistic Encoding: Towards an Extended Semantic Map Model.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Oregon.

    Nisbett, Richard E. and Miyamoto, Yuri. 2005. The influence of culture: holistic versus analytic percep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vol.9 no.10, 467-473

    Radden, Günter, and René Dirven. 2007. Cognitive English Grammar. Amsterdam: John Benjamins.

    Talmy, Leonard. 2000. Toward a Cognitive Semantics, Volume 1: Concept Structuring Systems. Cambridge, MA: MIT Press.

  • 경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Slide Number 1Slide Number 2Slide Number 3동서의 지각 및 인지의 차이가족 유사성 vs 룰2번 학생은 A와 B중 어디에서 더 행복해 보이나요?젖소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것은 무엇일까요?통합적 vs 분석적 지각Slide Number 9Slide Number 10Slide Number 11Slide Number 12Slide Number 13Slide Number 14Slide Number 15Slide Number 16Slide Number 17Slide Number 18Slide Number 19Slide Number 20Slide Number 21Slide Number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