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미코노미 발표자 : Eileen

미코노미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미코노미발표자 : Eileen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과거의 경제(Economy)

기업

일방적인 공급

개인

미코노미(Me + Economy)

공급/소비

공급/소비

개인 개인

수동적인 소비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연결성의 참된 의미

두 개의 개체가 연결되었을 때 생각하지 못했

던 새로운 결과 발생

2H O H2O

연결

21세기의 인간 연금술

개인 개인

대화

시너지 효과 발생

대화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경제활동에서의 대화

중요성

사람들 사이에서 정보 전달

대화의 양과 정보의 질에 따라 경제 수준 결정

개인의 만족도가 높은 시장을 효율성이 높은 시장이

라고 함

개인 개인

대화

개개인의 만족도 증가

정보교류

무엇이든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

기존 지식 시스템

문서 생성 권한, 시스템 등록 권한, 조회 권한

등이 미리 지정된 소수에만 국한

즉, 지식의 전달과 대화 흐름의 방향이 한 방향

World Wide Web (팀 버너스리, 1991년)

Link(연결성)의 창조물

하나의 거대한 문서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웹

상 곳곳에 배치

느슨한 연결은 유연성과 역동성 높임

World Wide Web의 특징

누구든지 지식 생성

생성된 지식이 모든 사람에 의해 공유

웹으로 연결된 어느 누구나 대화의 장에 참여

양방향으로 지식의 전달

초기의 Web : 닷컴

충분한 대화가 이루어 지지 않음

일방향 가치 전달을 중요하게 여김

적은 대화의 양처럼 경제가치도 작아짐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아마추어 계급의 봉기

과거의 계급

프로페셔널

한 분야의 전문가로써 사회적인 동의를 얻은 자

돈을 대가로 상대방에게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치

제공

아마추어

활동하는 것 자체에서 오는 열정과 즐거움을 찾음

프로페셔널과 달리 보상을 바라지 않음

현재의 계급

프로-앰(Pro-Am) 등장

기존의 아마추어 + 프로페셔널 수준의 완성도

DIY(Do It Yourself)

프로슈머(Prosumer) : Producer와 Consumer의 경계가 허물어짐

오픈 소스 과학 : 자발적인 과학활동과 지식의

공유

프로-앰의 등장으로 참여의 시대 도래

아마추어 참여 시대의 원인

문화적인 변화 -> 개성을 찾으려는 노력

인터넷의 발달

프로-앰 활동의 의의

문화적인 영향력 -> 대중문화 발전

정치적 영향력 -> 자발적 참여로 인한 민주주의

경제적인 영향력 -> 공급과 유통구조 변화

아마추어 아마추어

정보 공유

서로에게 영향

실력 상승

<웹>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성장

정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성공요인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열정을 바탕으로 함

개방성으로 인한 참여하는 사람 수 多

무료/매우 적은 비용으로 구축 및 사용가능

소스코드

소스코드

소프트웨어

웹을 통한 무상공개

재배포

소스코드+

소스코드+

소프트웨어

성능 증가소프트웨어 개량

웹 2.0, 세상을 흔들다

웹의 그물망 구조는 언론기관과 미디어

업체들이 중간에서 정보의 흐름을 통제

하던 영역을 축소

웹 2.0 PC상에서 혼자만 처리하던 일들을 웹 상에서

진행

각종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웹 상에 생성

많은 이가 쉽게 대화의 장으로 뛰어듬

웹 2.0의 확산

기술적인 배경

정보생성 및 공유활동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도구와 장비 보급

도구는 개인의 능력을 강화-> 프로와의 격차 줄임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블로그

검색엔진 서비스

사회/문화적으로는 참여문화 -> 집단지성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시장

사람 대 사람의 형태를 가진 시장

과거 중앙집중적인 형태의 시장에는 진입할

수 없었던 아마추어 계급의 공급자들의 경제

활동

더 높은 효율성을 가진 시장에서 일어나는 모

든 거래가 전보다 비용이 훨씬 낮기 때문에 오

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웹2.0 기업의 경우에서

처럼 기존 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침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ATTENTION, PLEASE

주목(Attention) 사람과 사람 사이의 모든 교류에는 주목의 흐

름이 존재함

미코노미에서 주목의 중요성

개인의 경제적 활동을 위한 필수요소

개인의 자발적인 프로-앰 활동은 주목 받을 수

있는 기대감에서 이루어짐

주목경제의 10가지 특징

주목은 자원이다

주목은 한정된 자원이다

주목은 재산이다

주목은 우리가 소유하기 원하는 가치

있는 재산이다

주목은 각종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희소성이 점점 높아지는 자원이다

우리는 주목에 대해서도 다른 자원과

재산처럼 ROI(수익성)을 따진다

점점 더 주목에 대한 대가를 주목의 형

태 그대로 돌려받기를 원한다

점점 더 주목을 받기 위해서 다른 자원

들을 희생한다

주목을 받으면 다른 종류의 자원이 선

물로 따라온다

우리의 주목을 잘 관리하고 여기에 대

한 큰 대가를 얻게 도와주는 서비스가

주목 받을 것이다

주목은 미디어를 타고

매스미디어 시대 -> 웹의 시대

우리의 주목이 계속해서 다양한 대상으로

분산 됨

매스미디어 시대에 극소수의 사람들에게

몰리던 주목이 웹을 통해서 수없이 많은

사람에게 분산되기 시작

주목 받기 전략

주목에 관한 가설 정립

우리는 모두 주목을 받고 싶어함

주목의 희소성은 점점 높아지기 때문에 주목

은 경제적인 가치를 지님

미디어의 영역이 확장되는 현재, 주목은 미디

어를 타고 흐름

주목 받기 기법

장기적인 주목은 신뢰를 통하여 형성될 때만

얻을 수 있음

주목의 대상은 사람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CONTENTS1. 미코노미

2. 연결-이음(Link-Connect)

3. 계급혁명의 시대

4. 가치혁명의 시대

5. 새 시대의 새 원칙

신뢰는 사람과 사람 사이

과거의 산업시대

물질적인 부

인간다움 부재 -> 사람의 가치가 작아짐

미코노미

개인이 중심을 이루는 경제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자발적인 참여를 이루

어 그 속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찾아냄

신뢰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중심

적인 혁할

신뢰는 대화를 타고

마음을 움직이는 가치의 전달방법 대화

매스미디어 시대

일방향 커뮤니케이션

현재의 미코노미 경제체제

많은 이가 웹을 통해서 전에는 대화할 수 없던

사람과 대화를 원함

열어라 그리하면 받을 것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의 열림, 개방성 더 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일련의 자원 재배

치 작업과 관련된 모든 과정

훌륭한 가치를 지닌 것을 개방함

개방은 주목으로 이어짐

주목은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과정

웹 2.0 일반인이 정보의 생성 주체가 되고 서로가 서

로를 찾아서 교류하는 참여의 웹

개방을 통해 이루어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대표적

투명하게 속 드러내기

사람과 사람의 대화와 관계에서 투명성

과 진실성 중요

미코노미

사람의 마음을 움직임

이는 개인들의 참여를 이끌어냄

마음을 움직이기 위한 투명성과 진실성

복잡한 세상에서 단순해지기

현재 경제체제에서의 단순성

핵심가치만을 남김

기능 추가의 기회비용 < 고색이 원하는 핵심

핵심가치만 남겨둔 제품은 그 제품이 추구하

는 핵심 정체성에 가까운 모습을 가짐

나머지를 민첩하게 변형 용이

정보의 홍수 -> 핵심만 전달하는 것을 선호

단순성의 참된 가치는 개방성과 함께 실행

했을때 나타남

LET US BE CREATIVE!

창의력

다른 차별화된 것을 시도

과거에 제공되던 것보다 더 탁월한 가치 제공

사람의 관심, 주목, 신뢰, 열정을 끌어내는 필

수요소

미코노미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경제체제

창의력은 사람에게서 나와서 사람을 위해 사

용됨

열정적인 참여

미코노미 시대의 새로운 원칙

개방성

두명성

단순성

창의성

원칙의 궁극적인 목표

서비스를 받은 사람들이 마음을 움직임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