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지성에서 시민행동으로: ‘폭력없는 우리학교’ 앱을 중심으로

Preview:

Citation preview

1

집단지성에서 시민행동으로 :

' 폭력없는 우리학교 ' 앱을 중심으로

Gov 2.0 Extending Collective Intelligence to Civic Actions

Youngwhan Lee, Ph. D.전화 : 010-7997-0345

이메일 : nicklee@konkuk.ac.krFacebook: Youngwhan Nick Lee

Twitter: nicklee002

Longtail Phenomena in Application Uni-verse

Bighead Applications

Longtail Application Universe

Popu

larit

y

The Long Tail by Chris Anderson (Wired, Oct. ´04) adopted to in-formation domains

… …

Mobile Apps iPhone Apps Android Apps

SNS Apps Facebook Apps Twitter Apps

LOD Apps Medical Apps 공공정보 Apps …

정부는 플랫폼의 역할이 요구됨

CrimesReport.com

Seattle Police Twitter

열린 정부 계획 (Open Government Initia-tive)

출처 : https://opengovdirective.pbworks.com/w/page/1832552/FrontPage

공공정보 참여 · 소통의 분류 모델과 진화단계

투명성 확보

신뢰성 보장

시민 참여 개선시민 협력 확대

시민 동참 실현

공공정보 공개 및 활용성 제고

공공정보 공개 시민 참여 시민 동참

집단 지성 시민 행동

투명성 확보 ( 정부의 노력 )

Data.gov

역할1. 데이터 공개 매니저 역할

• Data 의 접근 수준 결정• 데이터 포맷 확인• 프라이버시 , 비밀성 , 보안성 준수 여부 확인• 12 년 8 월 : 4602 데이터세트 , 1299 툴

2. Government Data 의 포털• 검색 관련 아키텍처• 검색 기능 강화 및 개선• 데이터의 정확성 검증

추가 예정–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 추가 기부 서비스

오바마 정부의 투명성 확보 노력

뉴욕시의 경우

뉴욕시 정부의 투명성 확보 노력

Challenge.gov

역할1. 정부의 개선 , 혁신을 위한 콘테스트

• 2010 년 재정부에서 미션을 위한 콘테스트 법적 근거 마련• 모든 부처는 챌런지닷거브를 통해 콘테스트 진행 가능

2. 도전 문제• 로고 디자인• 아이디어제안• 비디오제작• 제품 제작의뢰

3.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만 상금 지급

RFI RFP 심사 선정 계약없이 Challenge.gov 를 통해 구매할 법적 근거 마련

백악관의 이노베이션

• Blue Button for America: 개인의 건강기록• RFP-EZ: 정부 계약의 간편화

ㅇㅇ

• MyGov: 정부중심 웹 시민 중심 웹

투명성 확보 ( 시민 단체의 노력 )

Code for America

개요1. 열린 정부 확산 운동 비영리 단체 ( 미국 )

• 평화봉사단 개념의 프로그래밍 + 자원봉사 단체2. 펠로우 교육 프로그램

• 프로그래머 교육 후 지자체로 파견하여 시민참여 관련 소프트웨어 무료 개발 혹은 맞춤 설치

3. 자원 봉사자 파견 무료 프로그래밍 프로젝트 진행4. “ 시민 창업” 보조금 지급

Code for America (Project Example)

보스톤 학교 안내 브로셔 (28 페이지 )

시민 협력 확대

시민이 서로 협력하는 플랫폼으로 !

CarrotMob 환경 시민 운동 단체

• 로컬 스토어 등에서 구매를 약속하는 대신 환경 운동에 동참하게 함 .

사회문제에 대한 집단지성적 정보 공유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행동 플랫폼으로 !

시민 동참 확보

시민행동 플랫폼의 예 : 폭력없는 우리학교

왕따와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 왕따와 학교 폭력

출처 : school.weplr.co.kr

• 외모나 옷차림이 다소 다르거나 , 지적인 능력이 다소 떨어지거나 , 다소 소극적인 성격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정신 혹은 육체적으로 진행되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가해적 폭력 행위

` 왕따와 학교폭력 왜 생기고 있을까 ?

• 급속한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의 변화• 부모의 역할과 자식의 역할에 대한 몰이해• 아이들의 사회화 과정에서 학교 이외의 교육 부족• 학교에서는 서로 경쟁하는 것만 교육하는 것이 현실

해결방법은 ?

• 가해학생 집단과 피해학생 사이의 왕따의 심리적 고리 분해 소멸 필요• 부모 역할과 자식의 역할 또한 친구들에 대한 배려심 등의 교육 필요 : 집단지성적 대가족제도 환원 필요• 아이들의 사회화 과정에 학부모와 학교 , 교육당국 등의 지속적 집단지성적으로 개입 필요• 선제적 예방적 공유와 소통으로 해결 가능

“ 폭력없는 우리학교” 앱을 통해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시민 행동의 시작점 제공 !

결론

`

1. 세계적인 트렌드 .

• 시민 참여 민주주의 (Civic Participatory Democracy) 발현• 시민 지성 (Civic Intelligence) 확대 중• 시민 동참 (Civic Engagement) 과 시민 행동 (Civic Actions)

진화 중

2. 시민 행동을 위한 플랫폼 디자인 필요• 필수 요소

• 정보공개 , 투명성 , 신뢰성 확보 등 • Challenge.gov, RFP-EZ 도입• 코드포어메이카 유형의 단체 필요• 시민 위주 정부 웹사이트 구성 등

3. 시민 동참 - 행동을 위한 제도와 법 등 정비 필요

Recommended